KR20230142697A -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멀티모달 atm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기반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멀티모달 atm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기반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697A
KR20230142697A KR1020237018626A KR20237018626A KR20230142697A KR 20230142697 A KR20230142697 A KR 20230142697A KR 1020237018626 A KR1020237018626 A KR 1020237018626A KR 20237018626 A KR20237018626 A KR 20237018626A KR 20230142697 A KR20230142697 A KR 20230142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
user
wireless device
gui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리사-미셸 로드리게즈
케빈 오스본
라티카 굴라티
Original Assignee
캐피탈 원 서비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피탈 원 서비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캐피탈 원 서비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142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멀티모달 ATM 접근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컴퓨터 구현 방법은, ATM에 근접한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 세션 키에 기초하여 ATM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도록 앱에 명령하는 단계; 적어도 입력된 계정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성공적인 인증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제2 GUI를 제공하도록 앱에 명령함으로써 사용자를 위한 ATM 트랜잭션 세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GUI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계정으로 하나 이상의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멀티모달 ATM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기반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저작권 고지
본 특허 문서의 공개 내용 중 일부에는 저작권 보호 대상이 되는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저작권 소유자는 특허청 특허 파일 또는 기록에 나타난 대로 특허 문서 또는 특허 공개를 누구든지 팩스로 복제하는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지만, 그 외에 모든 저작권을 보유한다. 다음 고지는 아래에 기재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와 이 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면에 적용된다: Copyright, Capital One Services, LLC., All Rights Reserved.
기술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 세션 확립, 인증 활성화 및 특정 인스턴스에서의 멀티모달 상호 작용 및/또는 다른 특징 수행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위해 구성된 ATM 접근성(accessibility) 양상을 수반하는 하나 이상의 신규 기술 응용을 위해 구성된, 개선된 컴퓨터 구현 방법, 개선된 컴퓨터 기반 플랫폼 또는 시스템, 개선된 컴퓨팅 컴포넌트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네트워크 플랫폼/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통신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결되고 통신하는 컴퓨터 그룹(예컨대, 클라이언트, 서버, 컴퓨팅 클러스터, 클라우드 리소스 등) 및 기타 컴퓨팅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무선 디바이스 기반 트랜잭션과 연관된 멀티모달 ATM 접근성(multimodal ATM accessibility)을 수반하는 다양한 예시적인 기술적으로 개선된 컴퓨터 구현 방법을 제공하며, 예컨대 적어도 다음 단계들:
ATM에 의해, 상기 ATM에 근접한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ATM을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얻기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과 관련하여 실행가능한 명령을 갖는 앱으로 구성됨 - ;
상기 ATM에 의해 그리고 상기 ATM에 근접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의 검출에 응답하여, 세션 키에 기초하여 상기 ATM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 상기 세션 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트랜잭션 카드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ATM으로 전달됨 - ;
상기 ATM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도록 상기 앱에 명령하는 단계 - 상기 제1 GUI는 상기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계정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포함함 - ;
상기 ATM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입력된 계정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ATM에 의해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성공적인 인증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2 GUI를 제공하도록 상기 앱에 명령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위한 ATM 트랜잭션 세션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GUI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하나 이상의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는, 시각 모드, 청각 모드, 모스 부호(Morse code) 모드, 및 촉각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ATM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무선 디바이스 기반 트랜잭션과 연관된 멀티모달 ATM 접근성을 수반하는 다양한 예시적인 기술적으로 개선된 컴퓨터 구현 시스템을 제공하며, 예컨대 적어도 다음 컴포넌트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통신하며, 명령어들을 저장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시스템에 근접한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고 -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얻기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과 관련하여 실행가능한 명령을 갖는 앱으로 구성됨 - ;
상기 시스템에 근접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의 검출에 응답하여, 세션 키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고 - 상기 세션 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트랜잭션 카드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시스템으로 전달됨 - ;
상기 사용자에게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도록 상기 앱에 명령하고 - 상기 제1 GUI는 상기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계정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포함함 - ;
적어도 상기 입력된 계정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공적인 인증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2 GUI를 제공하도록 상기 앱에 명령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위한 ATM 트랜잭션 세션을 개시하게 하고 - 상기 제2 GUI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하나 이상의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포함함 - ,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는, 시각 모드, 청각 모드, 모스 부호 모드, 및 촉각 기반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시스템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또한, 기술적으로 개선된 컴퓨터 기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예시적으로 제공하며, 트랜잭션 카드, 컴퓨터 디바이스 또는 플랫폼에 상주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하도록 제공되고/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및/또는 연결과 관련하여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고/되거나 이를 수반하는, 본원에 서술된 것에 부합하는 특징, 기능, 컴퓨팅 컴포넌트 및/또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이를 수반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될 수 있으며, 여러 도면에 걸쳐 유사한 구조는 유사한 번호로 지칭된다. 도시된 도면은 반드시 실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며, 대신에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원리를 예시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구체적인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 사항은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단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다양하게 채용하도록 당업자에게 교시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반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의 예시적인 양상에 부합하는, 무선 디바이스 기반 트랜잭션을 위한 멀티모달 ATM 접근성 특징을 수반하는 예시적인 시스템 및/또는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의 예시적인 양상에 부합하는, 무선 디바이스 기반 트랜잭션과 연관된 ATM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에 관련된 예시적인 트랜잭션 카드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의 예시적인 양상에 부합하는, 무선 디바이스 기반 트랜잭션과 연관된 멀티모달 ATM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에 관련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컴퓨터 기반 시스템 및/또는 플랫폼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예시적인 컴퓨터 기반 시스템 및/또는 플랫폼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개시된 기술이 동작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양상의 2개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한 본 개시의 다양한 상세한 실시예가 여기에 개시되지만, 개시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주어진 각각의 예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의도되며 제한적이지 않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음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 명시적으로 연관된 의미를 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하나의 실시예에서" 및 "일부 실시예에서"라는 문구는 반드시 동일 실시예(들)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럴 수도 있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된 "또다른 실시예에서" 및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라는 문구는 반드시 상이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럴 수도 있다. 따라서,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실시예가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다.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컴퓨터 기반 시스템 및 방법은, 자동 입출금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와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트랜잭션 디바이스(transacting device)와의 무선 디바이스 기반 트랜잭션과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개선된 ATM 접근성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컴퓨터 구현 방법은, ATM에 근접한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 세션 키에 기초하여 ATM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것,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액세스에 대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 사용자가 시각 모드, 청각 모드, 모스 부호 모드 및 촉각 모드 중 하나 이상으로 무선 디바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ATM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도록 ATM 트랜잭션 세션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약어 ATM(automated teller machine)이 본원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개시된 기술은 본원에서의 트랜잭션 카드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가 상호 작용하는 임의의 관련 트랜잭션 디바이스, 즉 셀프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트랜잭션 디바이스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POS(point-of-service, point-of-sale 등) 디바이스, 결제 키오스크, 및 트랜잭션 카드의 이러한 디바이스와의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카드 또는 고객 정보를 읽거나 수신하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트랜잭션 카드 판독기(마그네틱 또는 다른 방식으로)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트랜잭션 디바이스를 통해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 유지, 관리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의하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와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엔티티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 유지, 관리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의하는 금융 서비스 엔티티일 수 있다. 이러한 금융 서비스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고객에게 트랜잭션을 제공하는 것을 수반하는 금융 서비스 계정을 생성, 제공, 관리 및/또는 유지하는, 은행, 신용카드 발급사,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금융 서비스 엔티티일 수 있으며, 트랜잭션 카드는 연관된 금융 서비스 계정에 액세스하기 위해 ATM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금융 서비스 계정은 예를 들어 신용 카드 계정, 당좌 예금 계좌 및/또는 저축 계좌와 같은 은행 계정, 리워드 또는 로열티 프로그램 계정, 차변 계정 및/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유형의 금융 서비스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를 통한 개선된 멀티모달 ATM 접근성의 양상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컴퓨터 기반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서버(101),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160),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 카드(110)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 디바이스(19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전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105)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103). 트랜잭션 디바이스(195)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트랜잭션 카드(110)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160)를 통해 승인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ATM, 비슷한 POS(point-of-sale, point-of-service 등) 디바이스, 또는 다른 단말기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트랜잭션 디바이스(195)에서 더 많은 트랜잭션을 유치하고 더 만족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트랜잭션 디바이스(195)와 연관된 비즈니스 또는 상인(merchant) 및 통상적으로 사용자에게 카드(110)를 발급한 신용 카드 회사와 같은 금융 기관은 트랜잭션 디바이스(195)에서 편리하고 안전하며 멀티모달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해 트랜잭션 디바이스를 향상시키려는 인센티브 및 욕구를 갖는다. 본원에서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를 통한 ATM 기능의 접근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가 트랜잭션 디바이스 부근에 있음을 검출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트랜잭션 디바이스(195)가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 세션을 확립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식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ATM의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시각, 청각, 모스 부호 기반, 촉각 기반 등과 같은 다양한 상호 작용 모드에서, 무선 디바이스로 "마이그레이션"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본원에서의 실시예는 또한,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려는 사용자가 종종, 트랜잭션 카드를 소지하고 있다는 것에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아이패드, 아이팟, 랩탑 컴퓨터, 헤드셋, 점자 지원 스마트워치, 음성 지원 스마트워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은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 근처에 있다는 사실을 활용할 수 있으며, 본원에 서술되는 다양한 멀티모달 ATM 액세스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둘 사이의 상호 작용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 및 트랜잭션 카드와 연관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시스템은, 트랜잭션 카드(110)의 소유자와 같은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109)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109)는 다른 프로그램 중에서 ATM 애플리케이션(107a)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ATM 애플리케이션(107a)은, 온라인 계정에 액세스하고 트랜잭션 카드(110)와 연관된 계정의 다양한 다른 양상들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160)를 위한 ATM 앱(107b) 및/또는 포털을 예컨대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것에 부합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시적인 ATM 애플리케이션(107a)은,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ATM 접근성을 구성 및 관리하는 것과 연관된 다양한 기능 뿐만 아니라,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도시되고 기재되는 것과 같은 본원에서의 트랜잭션 카드 기반 특징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 및 그의 확장 디바이스(예컨대,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된 이동 전화 및 헤드셋)는, ATM 부근에 있을 때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기 전에, ATM 애플리케이션(107b)(및 ATM 애플리케이션(107a)이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109))으로 프로비저닝되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TM 애플리케이션(107a)을 통해 사전 구성된 헤드셋만이 가청(audible) 모드를 통해 ATM에 액세스하기 위해 이동 전화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프로비저닝된 스마트워치만이 모스 부호 모드를 통해 ATM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워치에 모스 부호 요소를 입력하고 이에 대응하여 ATM은 모스 부호 모드에서 동작한다. 구현에서, 이러한 프로비저닝은, 무선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식별 정보 등 뿐만 아니라, 사용자 정보, 사용자 계정 정보, 사용자의 트랜잭션 카드 정보 등을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비저닝은 다양한 사용자 상호 작용 모드에서 무선 디바이스로 ATM 기능을 확장하는 데 있어서 보안 조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비저닝 동안, 키 관련 정보가 또한 서버에서 및/또는 프로비저닝된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전 생성 및/또는 사전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ATM 애플리케이션(107a 및/또는 107b)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원격 시스템 및/또는 서버에 의해, 예컨대 카드 소유자에게 트랜잭션 카드(110)를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엔티티와 연관된 서버(101)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호스팅 및/또는 동작될 수 있고, ATM이 근접해 있는 무선 디바이스(160)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09)의 존재를 검출하면 ATM 애플리케이션(107a/107b)의 인스턴스가 무선 디바이스(160)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09)로 푸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들)(101)는 트랜잭션 디바이스(195)에서의 카드 트랜잭션에 대한 이해관계자인 하나 이상의 엔티티, 예컨대, 비즈니스 또는 상인, 하나의 금융 서비스 제공자, 예컨대 신용 카드, 직불 카드 또는 시도된 트랜잭션과 연관된 다른 트랜잭션 카드의 발급자와 연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트랜잭션 디바이스(195)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컴포넌트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170), 메모리(180), 통신 회로 및/또는 인터페이스(185), 및 적어도 하나의 카드 판독 컴포넌트(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 판독 컴포넌트(들)(190)는 트랜잭션 카드(110)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카드 판독 컴포넌트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판독기, 칩 판독기 및/또는 제1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 및/또는 인터페이스(185)는, 트랜잭션의 실행 전에 및/또는 동안, 액세스를 위해 제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60)(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09))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 트랜시버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 트랜시버 컴포넌트는 제2 NFC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191)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생체 센서(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디바이스(195)는 무선 디바이스(160)(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09))에서 가청 모드 및/또는 모스 부호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청 모드는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가청 음악, 경고음, 신호 및/또는 음성 명령으로 사용자를 인터페이스하도록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러한 디바이스는 트랜잭션 디바이스(195)와 무선 디바이스(160)(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09))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을 포함하는 NFC 통신 세션에서 동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프로세싱 컴포넌트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170)는 도 3과 본원에서의 다른 곳에 관련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는 것과 같은 방법을 수행하는 것과 연관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2), RAM(random-access memory)과 같은 메모리(104), 및 위험 모델(1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101)는 트랜잭션 카드를 발행하는 엔티티에 의해, 상인에 의해, 그리고/또는 사용을 위해 트랜잭션 카드를 승인하는 것과 관련된 임의의 트랜잭션 프로세싱 엔티티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110)는 통상적인 신용 카드, 직불 카드, 스마트 카드 또는 RFID 카드일 수 있고, 플라스틱, 금속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트랜잭션 카드(110)는 그 안에 직접 형성된, 그리고/또는 접착, 본딩에 의해 또는 트랜잭션 카드(110)의 재료에 회로를 부착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접착 방법에 의해 그 안에 배치된, 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회로는 임의의 하드와이어 회로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드 회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회로 보드에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고 본딩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칩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110)는 비접촉식 카드일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110)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110)는 스마트 카드일 수 있다.
스마트폰 또는 다른 휴대용 또는 무선 또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160)는 모바일 디바이스 회로(162)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회로(162)는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 RAM과 같은 메모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통신 회로 및 인터페이스, 및/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같은 임의의 입력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다음에 관련된 것들을 포함하는, 본원에서의 다양한 ATM 접근성 체계의 하나 이상의 양상을 구현하게 할 수 있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1) 카드 소유자를 근처 ATM으로 안내/내비게이션하는 것, (2) 예컨대 카드 소유자의 계정에 대해 ATM에 대한 접근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60)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 (3) 생체 인식(예컨대, 지문, 음성 인식, 안면 인식 등)을 사용하여 카드 소유자를 인증하는 것, (4) 모바일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geo-location)를 검출하는 것, (5) 근접해 있는 ATM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 및/또는 (6) ATM에 근접할 때 다양한 다른 관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ATM과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것.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카드 소유자가 본원에서의 ATM 접근성 특징을 구현, 구성 및/또는 관리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60)는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한 멀티모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른 무선 디바이스(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헤드셋)와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추가적으로 및/또는 그 대신에 가청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헤드셋이 이동 전화에 연결될 수 있다. 또다른 예에서, 헤드셋은, 추가적으로 또는 그 대신에, 가청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ATM 액세스 모달리티를 더욱 증강시키기 위해 모스 부호 및/또는 점자 지원 스마트워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를 발행하고 및/또는 트랜잭션 카드 소유자의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엔티티에 의해 공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16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트랜잭션 디바이스로 정보를 전송하고 엔티티(예컨대, 서버(101))로 정보를 다시 중계하고 및/또는 다른 컴퓨팅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본원에서의 관련된 개시와 연관된 다양한 실시예는 보안 방식으로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를 통해 확장된 접근성으로 트랜잭션 디바이스를 증강시키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한다. 다양한 실시예는, ATM 부근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ATM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기 위한 키 생성 및 공유에 대하여 사용자의 트랜잭션 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 특징 및 기능 뿐만 아니라, 멀티모달 ATM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한 특징 및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솔루션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 및 기능은, 근처 ATM과 상호 작용하고 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60)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트랜잭션 카드의 사용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60)와 트랜잭션 디바이스(195)의 페어링을 수반하는, 트랜잭션 디바이스 접근성 및/또는 인증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것에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60) 및/또는 디바이스 또는 카드 소유자를 통해 수집된 다양한 정보는 서버(101)(예컨대, 서버 프로세서(102))로 다시 중계되어, 예컨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ATM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해, 보다 세부적인 존재 검출, 사용자 인증,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한 맞춤형 ATM 액세스 메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110)를 모바일 디바이스(160)와 페어링하기 위한 초기 인증은, 트랜잭션 카드(110)의 모바일 디바이스(160)와의 페어링을 처음에 인가하도록 사용자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엔티티에 접촉하여 페어링 승인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와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및/또는 페어링 해제 프로세스는, 특히 동일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과거에 동일한 트랜잭션 카드와 이전에 페어링된 적이 있는 경우, 예컨대 사용자 측의 어떠한 조치 없이, 자동으로 그리고 끊김없이(seamlessly)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근접 MFA는, 트랜잭션 카드를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클라이언트와 페어링하거나 페어링 해제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생체인식(예컨대, 지문, 음성 인식 등) 및/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 및/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 스크린의 스와이핑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트랜잭션 카드의 근접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110)를 컴퓨팅 디바이스(109)와 페어링하기 위한 초기 인증은, 트랜잭션 카드(110)의 컴퓨팅 디바이스(109)와의 페어링을 처음에 인가하도록 사용자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엔티티에 접촉하여 페어링 승인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와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및/또는 페어링 해제 프로세스는, 특히 동일한 컴퓨팅 디바이스가 과거에 동일한 트랜잭션 카드와 이전에 페어링된 적이 있는 경우, 예컨대 사용자 측의 어떠한 조치 없이, 자동으로 그리고 끊김없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근접 MFA는, 트랜잭션 카드를 무선 디바이스 및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클라이언트와 페어링하거나 페어링 해제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생체인식(예컨대, 지문, 음성 인식 등) 및/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 및/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컴퓨팅 디바이스에서의 동작(예컨대, 탭핑(tapping))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트랜잭션 카드의 근접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110)를 무선 디바이스(160) 및 컴퓨팅 디바이스(109) 둘 다와 페어링하기 위한 초기 인증은, 트랜잭션 카드(110)의 무선 디바이스(160) 및 컴퓨팅 디바이스(109) 둘 다와의 페어링을 처음에 인가하도록 사용자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엔티티에 접촉하여 페어링 승인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와 무선 디바이스 및 컴퓨팅 디바이스 둘 다 사이의 페어링 및/또는 페어링 해제 프로세스는, 특히 동일한 컴퓨팅 디바이스가 과거에 동일한 트랜잭션 카드와 이전에 페어링된 적이 있는 경우, 예컨대 사용자 측의 어떠한 조치 없이, 자동으로 그리고 끊김없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근접 MFA는, 트랜잭션 카드를 무선 디바이스 및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클라이언트와 페어링하거나 페어링 해제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생체인식(예컨대, 지문, 음성 인식 등) 및/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 및/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에서의 동작(예컨대, 탭핑)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와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트랜잭션 카드의 근접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하나의 서버(101), 컴퓨팅 디바이스(109), 네트워크(105), 트랜잭션 디바이스(195), 모바일 디바이스(160) 및 트랜잭션 카드(110)가 도시되어 있지만, 시스템(100)은 이들 컴포넌트 중 어느 것이든 하나보다 많이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및 컴포넌트 배열은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100)은 개시된 실시예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그 수행을 보조하는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9)는 ATM 애플리케이션(107a)을 실행하는 것에 부합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60)는 ATM 애플리케이션(107b)을 실행하는 것에 부합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의 예시적인 양상에 부합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예시적인 단순화된 트랜잭션 카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110)는 통상적인 신용 카드, 직불 카드 등의 대략적인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트랜잭션 카드(110)는 개시된 혁신의 다양한 양상을 수행하기 위한 내장된 전자기기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잭션 카드(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또는 프로세싱 회로, 메모리(230), 전원 또는 전력 회로(240), 지문 입력 요소 및/또는 회로(260),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250), 통신 회로/디바이스(255), 마그네틱 스트라이프(280), 및 전자 칩 요소 및 관련 인터커넥트와 같은 다른 결합 회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또는 전력 회로(240)는, 예컨대 전자 칩을 통한 연결에 의해, POS 디바이스에 결합시 카드에 대한 전력을 생성하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이러한 회로는 배터리와 같은 전압 공급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110)는 도 2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통상적인 신용 카드 또는 직불 카드의 크기 정도로 구성될 때 트랜잭션 카드(110) 내에 맞도록 충분한 크기 및 폼 팩터의 하나 이상의 공지된 또는 특수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어 트랜잭션 카드(110)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지문 입력(250, 260)에 기초할 수 있는, 트랜잭션 카드(110)의 사용과 연관된 지문 검증의 유효성 검사(validation)와 관련된 정보, 식별자를 생성 및 전송하는 것과 같은, 개시된 방법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또한, 전원(240)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고, 메모리(230)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쓰고, 센서(25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고, 결합 회로(220)와 연관된 정보 또는 명령을 처리하고, 지문 입력 요소 및/또는 회로(260)로부터 입력을 수신 및 처리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부합하는 임의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카드 트랜잭션 수행에 필요하거나 이와 연관된 정보와 같은 관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자기, 반도체, 또는 다른 유형의 저장 요소 및/또는 유형(tangible)(즉,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110)에 의해 생성된 지문 유효성 검사 결과에 관련하여, 이러한 명령어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때, 카드(110)로 하여금 지문 기반 카드 활성화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은, 온라인 엔티티로 구매 트랜잭션이 시도될 때, 무선 통신 회로(255)에 의해 지문 검증의 유효성 검사와 관련된 정보를 온라인 엔티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지문 검증의 유효성 검사에 관련된 정보는, 무선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및/또는 카드 사용자와 연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된다. 또다른 예에서, 지문 검증의 유효성 검사에 관련된 정보는 트랜잭션 시도를 인가하기 위해, 다음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전송된다: (i) 온라인 엔티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상인 컴퓨터 및 (ii) 트랜잭션 카드(110)의 제공자와 연관된 서버.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은 또한 다음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 카드(110)가, 트랜잭션 능력이 비활성화된 슬립 모드로부터, (예컨대, 탭핑, NFC, 블루투스 등을 통해) POS 단말기 또는 카드 사용자와 연관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근접 체결(proximal engagement)에 진입할 때, 카드 제어 회로(135)를 활성화함; (ii) 검출된 지문이 유효하다고 검증하면, 트랜잭션을 완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카드(110)를 활성화함; 및/또는 (iii) 적합한 통신 매체(예컨대, NFC, RFID,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WiFi, WiMax, ZigBee, Bluetooth 등)에 의해 트랜잭션을 전송함.
다른 실시예에서, 명령어는, i) 추가적인 유효성 검사 조치; 및/또는 ii) 카드 사용자와 연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과의 추가적인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요구함으로써 트랜잭션 또는 카드(110)를 유효성 검사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애플릿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추가적인 유효성 검사 조치는, 예컨대 문자, 전화 통화 등을 통해, 온라인 구매 트랜잭션을 유효성 검사하기 위한 사용자와의 부가 통신, 트랜잭션 카드와 연관된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는 부가 조치(예컨대, 모바일 앱에 로그인하도록 사용자에게 요구함)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임의의 랩탑, 모바일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과 같은, 전자 통신으로 사용자가 이러한 구매를 확인하기 위해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에 대한 다른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과의 추가적인 통신은, 예를 들어, 카드를 활성화하거나 애플리케이션 내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 구매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사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 내의 프롬프트에 응답하는 것, 또는 단순히 사용자에게 온라인 앱, 모바일 앱 등과 같은 앱에 성공적으로 로그인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은 다음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 트랜잭션이 제출되는 트랜잭션 디바이스에, 카드(110)가 트랜잭션을 완료할 권한이 부여되는지 여부를 알림; 및/또는 (ii) 트랜잭션 디바이스에, 트랜잭션 시도와 연관된 추가적인 프로세싱의 수행과 관하여 카드 사용자와 연관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과,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통신하도록 명령함.
전원(240)은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와 같은 전력 저장 디바이스, 유도 전력 코일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와 같은 전력 수신기, 태양열 또는 운동 발전기와 같은 발전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원(240)은 전기 에너지를 생성, 수신 및/또는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공지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250)는 트랜잭션 카드(110) 주변의 환경, 트랜잭션 카드(110)의 움직임, 및/또는 트랜잭션 카드(110)를 수반한 다른 검출 가능한 상호 작용을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센서(250)는 예를 들어, 카메라, 광학 센서, 마이크,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충격 센서, 위치 센서, 주변 광 센서와 같은 광 센서, 온도 센서, 터치 센서, 전도도 센서 및/또는 촉각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250)는 또한, 하나 이상의 버튼, 스위치, 다른 촉각 입력 메커니즘, 또는 카드 사용자로부터의 표시 또는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사용자 유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입력 디바이스는, 프로세서(210)가 개시된 실시예와 연관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시퀀스 또는 일련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트랜잭션 카드는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상태 또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스크린, 표시등,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소형 LCD 스크린, 전자 잉크 스크린,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또는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알림, 프롬프트 및/또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110)는 하나 이상의 외부 위치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안테나 및/또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 회로와 같은 통신 회로/디바이스(25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255)는 단거리 무선 트랜시버 또는 근거리 통신(NFC)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255)는 모바일 디바이스(160), POS 디바이스(195)와 연관된 비접촉식 카드 판독기, 다른 시스템, 및/또는 트랜잭션 카드(110)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다른 센서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디바이스(255)는 블루투스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블루투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블루투스 회로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에서, 통신 회로/디바이스(255)는 RFID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검출된 지문이 유효함을 검증함으로써 카드(110)가 활성화될 때까지 카드(110) 상의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무선 액세스는 디스에이블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110)는 자기 저장된 정보를 공유하거나 판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280) 또는 다른 자기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280)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특정 계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280)를 작성, 소거 및 재작성할 수 있다.
개시된 혁신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잭션 카드(110)는, 트랜잭션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60)와 트랜잭션 디바이스(195)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션 키를 생성 및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트랜잭션 카드(110)를 수반한 접촉 기반(예컨대, 스와이핑, 삽입) 및/또는 비접촉식(예컨대, 탭핑) 모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트랜잭션 카드의 사용을 수반하는 세션 키의 세부 사항은 아래에 도 3과 관련하여 기재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의 예시적인 양상에 부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멀티모달 ATM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에 관련된 예시적인 프로세스(300)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ATM 접근성 프로세스(300)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302에서,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와 같은 트랜잭션 디바이스(195)에 근접해 있는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함(302); 304에서, ATM에 근접해 있는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의 검출에 응답하여, 세션 키에 기초하여 ATM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함; 306에서, 사용자에게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도록 무선 디바이스 상의 앱에 명령하며, 제1 GUI는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계정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포함함; 308에서, 적어도 입력된 계정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사용자를 인증함; 및 310에서, 사용자의 성공적인 인증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제2 GUI를 제공하도록 앱에 명령함으로써 사용자를 위한 ATM 트랜잭션 세션을 개시함.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GUI 및/또는 제2 GUI는 시각 모드, 청각 모드, 모스 부호 모드 및 촉각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통해 ATM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ATM 접근성 프로세스(300)는 트랜잭션 디바이스(19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ATM 접근성 프로세스(300)는,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단계 또는 양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실행하고 있는, 서버 및/또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연결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함께,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ATM 접근성 프로세스(300)는, 302에서, ATM과 같은 트랜잭션 디바이스(195)에 근접해 있는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ATM을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얻기 위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과 관련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갖는 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앱은 도 1에 관련하여 위에 기재된 ATM 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앱은 ATM이 그 부근에 있다는 표시를 수신할 때만 그 특징의 일부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에서, 단계 302는 트랜잭션 디바이스와 연관된 프로세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또는 트랜잭션 디바이스에서의 트랜잭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엔티티는 은행, 신용 카드 발급자, 또는 하나 이상의 고객에 대한 금융 서비스 계정을 생성, 제공, 관리 및/또는 유지하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금융 서비스 엔티티와 같은 금융 기관일 수 있다.
ATM에 근접해 있는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한정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의 실시예는, ATM에 근접해 있는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의 검출이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M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제1 스캔가능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스캔가능한 정보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스캔된다는 표시를 수신함; ATM의 카메라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된 제2 스캔가능한 정보를 스캔함; 무선 디바이스가 ATM에 근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지리적 위치를 검출함;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가 ATM에 근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검출함. 구현에서, ATM은 자신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스캔가능한 정보(예컨대, 바코드,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근접해 있는 사용자는 무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1 스캔가능한 정보를 스캔하며, 이어서 스캔 결과를 다시 ATM으로 전송하여 ATM에 근접해 있는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ATM에 근접하면, 사용자는 제2 스캔가능한 정보(예컨대, 바코드, QR코드)를 생성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고, 이어서 ATM의 카메라가 무선 디바이스를 스캔하여 그에 근접해 있는 것으로서 식별하도록 제2 스캔가능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위치 서비스(예컨대, GPS) 지원 무선 디바이스에 대하여, ATM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의 현재 지리적 위치와 비교하여 둘 사이의 거리가 무선 디바이스가 근접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만큼 충분히 짧은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에서, ATM의 NFC 및 다른 무선 통신 기능에 기초하여 임계 거리가 미리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ATM은 또한, NFC, Wi-Fi 등을 통한 통신 채널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M 접근성 프로세스(300)는, 304에서, ATM에 근접해 있는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의 검출에 응답하여, 세션 키에 기초하여 ATM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세션 키는 사용자의 트랜잭션 카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고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ATM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션 키는 트랜잭션 카드와 ATM 사이의 제1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션 키는 트랜잭션 카드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제2 상호 작용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와 공유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비접촉식 트랜잭션 카드의 경우, 사용자는 ATM 상에(예컨대, ATM 상에 표시된 비접촉식 아이콘 상에) 카드를 탭핑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ATM이 트랜잭션 카드로부터 새로 생성된 난수를 판독하여 트랜잭션 카드에서 새로운 세션 키를 생성 및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로부터 검색된 번호는 ATM에 의해 세션 키 자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트랜잭션 카드를 추가로 탭핑하여 ATM과 확립된 키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ATM에 의해 트랜잭션 카드로부터 검색된 난수가 세션 키를 생성하기 위한 시드 번호로서 사용되는 예에서, 도 1의 ATM 애플리케이션(107b)을 통한 트랜잭션 카드 및 무선 디바이스의 프로비저닝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트랜잭션 카드가 난수 생성을 위해 사용하는 카운터에 대한 인지 또는 액세스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트랜잭션 카드의 탭핑 시, 무선 디바이스는 ATM에 의해 검색된 난수를 계산하고 결과적으로 세션 키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비접촉식 트랜잭션 카드는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가 ATM 부근에 있는 것으로서 확인되면, ATM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은 ATM과 무선 디바이스 둘 다의 NFC 컴포넌트의 기능을 활용하여 확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통신 세션은 블루투스 페어링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구현되며, 트랜잭션 카드와 ATM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되고 무선 디바이스에 공유되는 키는 블루투스 핀 코드 또는 패스키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ATM은 그의 NFC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페어링 요청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무선 디바이스가 그의 부근에 존재함을 검출 시에; 그리고 2) 트랜잭션 카드가 세션 키를 생성하기 위해 ATM과 상호 작용한 후에. 일부 실시예에서, 페어링 요청은 ATM의 식별 정보, 타임스탬프, 트랜잭션 카드에 관한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에, 트랜잭션 카드에 의해 공유된 세션 키를 수신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페어링 응답을 ATM에 보낼 수 있으며, 그에 의해 ATM과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성공적인 페어링이 되게 할 수 있다. 다음의 비한정적인 예는 예시적인 비접촉식 스마트카드를 사용하여 세션 키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트랜잭션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기 위한 세션 키를 생성하기 위해, 마스터 키 세트가 트랜잭션 카드(110)와 연관되어 미리 생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스터 키 세트는 적어도 2개의 마스터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는 암호화에 사용되고(예컨대, ENC 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메시지 인증 코드에 사용됨(예컨대, MAC 키). 구현에서, 마스터 키 세트 중 하나 이상은 무작위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마스터 키 중 하나 이상은, 트랜잭션 카드와 연관된, 은행 식별 번호(BIN; Bank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발행자 식별 번호(IIN; Issuer Identification Number)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마스터 키 중 하나 이상은, 트랜잭션 카드(110)와 연관된, 계정, 발급자, 브랜드 및/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와 같은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션 키 애플리케이션은 트랜잭션 카드 상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잭션 카드의 프로세서(210)에 의한 실행을 위해 트랜잭션 카드의 메모리(230)에 Applet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세션 키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저장을 위해 카드 레벨 마스터 키가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카드 레벨 마스터 키는 위에 기재된 마스터 키 세트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카드 레벨 마스터 키는 키 다각화(key diversification)(UDKS)와 같은 기술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트랜잭션 카드의 고유 카드 식별자를 사용하여, 카드 레벨 ENC 키 및/또는 카드 레벨 MAC 키는 키 다각화 기술을 통해 ENC 키, MAC 키와 공유 비밀 번호를 결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밀 번호는 사용자 구성, 시스템 지정,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서버(101)와 공유되는 번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드 레벨 ENC 키, 카드 레벨 MAC 키, 고유 카드 식별자, 및 공유 비밀 번호 중 하나 이상이 메모리(230)에 세션 키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트랜잭션 카드(110)가 트랜잭션 디바이스(195)에서 탭핑될 때, 트랜잭션 카드(110)에서 실행되는 카운터가 한 번 증분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카운터는 프레스토 애플리케이션 트랜잭션 카운터(pATC; Presto Application Transaction count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에, ENC 키에 대한 세션 키(예컨대, ENC 세션 키) 및 MAC 키에 대한 세션 키(예컨대, MAC 세션 키)는 각각 카드 레벨 ENC 키 및 카드 레벨 MAC 키를 고유 카드 식별자(예컨대, 프레스토 고유 식별자(pUID; presto unique identifier)) 및 pATC와 결합함으로써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MAC(예컨대, 세션 키)는 MAC 알고리즘 중 하나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리테일 MAC 알고리즘(예컨대, MAC 알고리즘 3)이 MAC을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C는 도출된 MAC 세션 키(예컨대, 동적 MAC 세션 키)와, 버전 정보, pUID, pATC, 및 공유 비밀 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MAC는 암호(cryptogram)를 생성하기 위해 ENC 세션 키를 사용하여 더 암호화될 수 있다. 또한, 트랜잭션 디바이스(195)와의 통신 채널을 통해, 트랜잭션 카드는, 버전 번호, pUID, pATC, 및 암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지(예컨대, 암호 베어링 메시지(cryptogram bearing message), 프레스토 메시지)를 트랜잭션 디바이스로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디바이스는 수신된 버전 번호, pUID, pATC, 및 암호를 서버(101)로 더 전달할 수 있다.
위에 기재된 암호 베어링 메시지에 대한 수신 측에서, 서버(예컨대, 서버(101), 트랜잭션 디바이스(195), 모바일 디바이스(160))는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암호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암호 베어링 메시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암호를 생성하기 위해 일련의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 생성 암호와 카드 생성 암호를 비교함으로써, 둘이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서버는 수신된 암호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에 기재된 공유 비밀 번호는 서버 측 암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공유 비밀 번호는 트랜잭션 카드 자체로부터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본 개시의 실시예는 암호에 대한 무차별 대입 공격에 대한 추가적인 보안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카드(110)가 먼저 트랜잭션 디바이스에서 탭핑된 후 모바일 디바이스(160)에서 탭핑될 때, 또다른 암호 베어링 메시지가 트랜잭션 카드에 의해 생성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60)로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60)는 이어서 수신된 암호 베어링 메시지를 서버(101)로 전달할 수 있다.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암호 베어링 메시지 수신 엔티티는, 암호 베어링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암호를 생성하기 위한 동일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수신된 정보를 유효성 검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온-카드 카운터(예컨대, pATC)에 기초하여, 암호 수신 엔티티는 카운터 및/또는 암호 베어링 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데이터를 사용하여 트랜잭션 카드에 의해 이전에 또는 이후에 생성된 암호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세션 키는, 트랜잭션 디바이스(195)에 전송된 MAC 정보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된 MAC 정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시나리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신된 암호화 베어링 메시지에 기초하여 트랜잭션 디바이스에서 제1 탭을 통해 전송된 MAC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어서 보안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제1 탭을 통해 생성된 MAC 정보를 트랜잭션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신된 MAC 정보를 트랜잭션 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트랜잭션 디바이스는 이어서 트랜잭션 카드로부터 수신된 암호 베어링 메시지를 사용하여 수신된 MAC 정보를 계산 및 유효성 검사하며, 그에 의해 수신된 MAC 정보를 세션 키로서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보안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트랜잭션 디바이스에서의 탭핑을 통해 생성된 암호는 트랜잭션 카드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트랜잭션 카드가 탭핑될 때, 트랜잭션 카드에 저장된 암호는 트랜잭션 카드의 제2 탭 시에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리고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트랜잭션 카드 및/또는 ATM은 또한, 세션 키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달하기 전에 세션 키를 암호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타임스탬프, 트랜잭션 카드 정보, 프레스토 카드 카운터 등을 포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세션 키를 복호화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다양한 실시예는 대칭 및 비대칭 암호화 기술 둘 다가 트랜잭션 카드 및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가 무선 디바이스에서 ATM에 액세스하는 것에 대응하는 동작이 ATM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위에 기재된 통신 세션을 통해 ATM에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에서 ATM에 액세스하는 사용자의 이러한 동작은, 서버를 통해 ATM과 무선 디바이스를 통신가능하게 결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ATM에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는 ATM과 연관된 트랜잭션을 서비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는 ATM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해 각 금융 기관과 연관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금융 기관은 사용자에게 트랜잭션 카드를 발급한 신용 카드 회사, 사용자에게 카드와 연관된 은행 계좌를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개체 등일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ATM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은, 통신 세션이 살아있는 한, ATM 자체에서 트랜잭션하려고 시도하는 또다른 사용자에 의해 ATM이 동작가능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 잠금 메커니즘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자면, ATM이 무선 디바이스와의 통신 세션을 시작하는 한, 무선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무선 디바이스를 통해 ATM에서의 모든 상호 작용을 인계받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ATM과 무선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통신 세션이 확립되면, ATM의 기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가 기능을 중지하거나 한정된 능력으로 기능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기능 키 및 키패드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는 더 이상 어떠한 입력도 받아들이도록 동작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헤드폰 잭 및 스피커와 같은 출력 디바이스도 또한, 사용자가 ATM과 직접 상호 작용하는 기존의 ATM 트랜잭션 세션 동안 이용가능한 시각적 또는 음성 기반 정보를 출력하도록 더 이상 동작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1 및 제2 NFC 컴포넌트, 카메라, 생체 특징 인식을 위한 다른 센서, 및/또는 본원에서의 ATM 접근성 프로세스와 관련될 수 있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와 같은, ATM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은, 트랜잭션 카드,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ATM을 서비스하도록 구성된 서버와 함께, 동작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트랜잭션 영수증 프린터, 현금 청구서 디스펜서 및/또는 예금 개구부와 같은 ATM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ATM 트랜잭션을 서비스하기 위해 동작 상태를 유지한다.
ATM 접근성 프로세스(300)는, 306에서, 사용자에게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도록 앱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GUI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계정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프롬프트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포함한다.
ATM 접근성 프로세스(300)는, 308에서, 적어도 입력된 계정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또한,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인증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를 들면, 사용자는 또한, ATM, 트랜잭션 카드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집될 수 있는 그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인증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안면 특징, 사용자의 음성 특징 및/또는 사용자의 지문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ATM 접근성 프로세스(300)는, 310에서, 사용자의 성공적인 인증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제2 GUI를 제공하도록 앱에 명령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ATM 트랜잭션 세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GUI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계정으로 하나 이상의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의 다양한 실시예는, 제 1 GUI 및/또는 제 2 GUI가, 시각 모드, 청각 모드, 모스 부호 모드, 및 촉각 기반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통해 ATM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게끔 구성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GUI 및/또는 제2 GUI는,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헤드폰에서 사용자에게 가청 트랜잭션 프롬프트를 제공하고, 모스 부호 및/또는 터치 기반 입력 기술로 사용자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GUI의 하나 이상의 요소는 ATM 트랜잭션에 관한 사용자 선호도에 기초하여 맞춤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GUI는, 예를 들어 ATM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적으로 구성된 ATM 액세스 메뉴 항목들을 초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맞춤화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사용자는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ATM의 일반 메뉴를 탐색하지 않아도 된다. 다르게 말하자면,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ATM 트랜잭션(예컨대, 개인화된 금액의 빠른 현금 인출, 계좌 간 이체, 계좌로의 입금)를 지정/수정하도록 ATM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ATM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은, 사용자가 ATM에 종결(conclusion) 요청을 보내도록 무선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제2 GUI 요소를 동작시키면 끝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GUI의 "로그아웃" 버튼을 동작시키거나, 제2 GUI에서 "로그아웃" 신호에 대응하는 모스 부호 요소를 탭핑하거나, 제2 GUI에서 "로그아웃" 점자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또는 제2 GUI에서 "로그아웃" 명령을 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ATM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은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가 더 이상 ATM에 근접하여 존재하지 않음을 검출하면 자동으로 끝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 기재된 근접성 검출 기술을 사용하여, ATM은 다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가 그 부근에서 벗어남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가 더 이상 ATM에 근접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지리적 위치를 검출함;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가 더 이상 ATM에 근접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의 손실을 검출함. 일부 구현에서, 이러한 무선 신호의 손실은 페어링된 디바이스들이 더 이상 서로 통신 범위 내에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블루투스 신호와 같은 NFC 신호의 손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에서의 방법은 또한, ATM 앱이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 정보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블루투스 탐색 결과에 기초하여 ATM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ATM 앱에 명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 디바이스에서 ATM 앱을 활성화하면, 사용자가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근처에 있는 ATM을 능동으로 검색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원에서의 방법은 또한, 위치 정보, 내비게이션 명령 및/또는 지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ATM 앱 및/또는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시스템, 플랫폼,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본원에 서술된 다양한 자동화된 모바일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 및/또는 수반할 수 있는 멀티모달 ATM 접근성 메커니즘을 포함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종래의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과 달리,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근접한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고 ATM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보안 통신 세션을 확립함으로써,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ATM에 대한 개선된 접근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멀티모달 접근성을 갖는 개선된 ATM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방식에서, 예시적인 개시된 무선 디바이스 기반 ATM 접근성 메커니즘으로 강화된 소프트웨어를 수반한 구현은 공지된 임의의 종래의 ATM 접근 기술에 비해 개선된 것이다.
개시된 멀티모달 ATM 접근성 메커니즘의 양상은 또한, 예컨대, 근접한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고, 검출된 존재에 따라 ATM과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보안 통신 세션을 확립하고,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사용자를 인증하며, 사용자가 확장된 모달리티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에서 ATM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ATM 트랜잭션 세션을 개시하는 것을 통해, 프로세싱 및 통신 자원 둘 다의 보다 효율적이고 다른 방식으로 개선된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개시된 ATM 접근성 메커니즘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ATM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그리고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유자가 ATM과의 상호 작용 불가 또는 사기에 노출될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본 검출 메커니즘에 의해 달리 피할 수 있는 동작 불가 및/또는 사기 트랜잭션으로 인한 불필요한 프로세싱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는 데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다양한 특징에 의해 개선된 응답성, 효율성, 정확성, 보안 및 확장된 모달리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해 이들 컴포넌트가 전부 요구되는 것은 아닐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컴포넌트의 배열 및 유형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의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팅 컴포넌트는 본원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및/또는 동시 트랜잭션의 인스턴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은 데이터 평가, 캐싱, 검색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연결 풀링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통합하는 확장 가능한 컴퓨터 및/또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기초할 수 있다.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의 예로는 다수의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아키텍처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의 멤버들(702-704)(예컨대, POS 디바이스 또는 클라이언트)은, 네트워크(705)와 같은 네트워크(예컨대,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706 및 707)와 같은 또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해 서로, 등등 메시지를 수신하고 보낼 수 있는 사실상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버 디바이스(702-704)는 개인용 컴퓨터,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소비자 전자기기, 네트워크 PC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버 디바이스(702-704) 내의 하나 이상의 멤버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휴대폰, 스마트폰, 호출기, 워키 토키, 무선 주파수(RF) 디바이스, 적외선(IR) 디바이스, CB, 전술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을 결합한 통합 디바이스, 또는 사실상 임의의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매체를 사용하여 연결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버 디바이스(702-704) 내의 하나 이상의 멤버 디바이스는, PDA, 포켓 PC, 웨어러블 컴퓨터, 랩탑, 태블릿, 데스크탑 컴퓨터, 넷북, 비디오 게임 디바이스, 호출기, 스마트폰,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MPC; 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및/또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매체(예컨대, NFC, RFID, NBIOT, 3G, 4G, 5G, GSM, GPRS, WiFi, WiMax, CDMA, 위성, ZigBee, 등)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매체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버 디바이스(702-704) 내의 하나 이상의 멤버 디바이스는 무엇보다도 인터넷 브라우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음성 통화, 비디오 게임, 화상 회의 및 이메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버 디바이스(702-704) 내의 하나 이상의 멤버 디바이스는 웹 페이지 등을 수신 및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인 특별히 프로그램된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SMG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예컨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DML(Handheld Device Markup Language), 예컨대 WML(Wireless Markup Language), WMLScript, XML, JavaScript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사실상 임의의 웹 기반 언어를 채용하는, 그래픽, 텍스트, 멀티미디어 등을 수신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버 디바이스(702-704) 내의 멤버 디바이스는 Java, .Net, QT, C, C++ 및/또는 다른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특별히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버 디바이스(702-704) 내의 하나 이상의 멤버 디바이스는, 한정 없이 메시징 기능, 브라우징, 검색, 재생, 로컬 저장되거나 업로드된 메시지,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의 스트리밍 또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게임과 같은, 다양한 가능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거나 실행하도록 특별히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네트워크(705)는 네트워크 액세스, 데이터 전송 및/또는 다른 서비스를 그에 결합된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네트워크(705)는, 예를 들어, 한정 없이, GSM(Global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협회,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포럼에 의해 설정된 하나 이상의 표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포함 및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네트워크(705)는, GSM 아키텍처,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아키텍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아키텍처, 및 LTE(Long Term Evolution)로 지칭되는 UMTS의 진화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네트워크(705)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그와 함께, WiMAX 포럼에 의해 정의된 WiMAX 아키텍처를 포함 및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위 또는 아래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와 조합하여, 예시적인 네트워크(705)는 또한,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가상 LAN(VLAN; virtual LAN), 엔터프라이즈 LAN, 계층 3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엔터프라이즈 IP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위 또는 아래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와 조합하여, 예시적인 네트워크(705)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은, 다음과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통신 모드 중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NFC, RFID,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ZigBee, 3G, 4G, 5G, GSM, GPRS, WiFi, WiMax, CDMA, 위성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네트워크(705)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NAS; network attached storage), 저장 영역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DN; content delivery network) 또는 다른 형태의 컴퓨터 또는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와 같은, 대용량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서버(706) 또는 예시적인 서버(707)는 네트워크 운영 체제를 실행하는 웹 서버(또는 일련의 서버들)일 수 있으며, 이의 예는 Microsoft Windows Server, Novell NetWare, 또는 Linux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서버(706) 또는 예시적인 서버(707)는 클라우드 및/또는 네트워크 컴퓨팅에 사용되고/되거나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서버(706) 또는 예시적인 서버(707)는, 이메일, SMS 메시징, 문자 메시징, 광고 콘텐츠 제공자 등과 같은 외부 시스템에 대한 연결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서버(706)의 임의의 특징은 또한 예시적인 서버(707)에서도 구현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서버(706 및 707) 중 하나 이상은, 비한정적인 예에서, 인증 서버, 검색 서버, 이메일 서버,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 SMS 서버, IM 서버, MMS 서버, 교환 서버, 사진 공유 서비스 서버, 광고 제공 서버, 금융/은행 관련 서비스 서버, 여행 서비스 서버, 또는 멤버 컴퓨팅 디바이스(701-704)의 사용자에 대한 임의의 유사하게 적합한 서비스 기반 서버로서 수행하도록 특별히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위 또는 아래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와 조합하여,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컴퓨팅 멤버 디바이스(702-704), 예시적인 서버(706) 및/또는 예시적인 서버(707)는, 스크립팅 언어, 원격 프로시저 호출, 이메일, 트윗,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인스턴트 메시징(IM), 인터넷 릴레이 채팅(IRC), mIRC, Jabber,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방법,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 처리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특별히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예시적인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8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해 이들 컴포넌트가 전부 요구되는 것은 아닐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컴포넌트의 배열 및 유형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멤버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POS 디바이스)(802a, 802b 내지 802n)는 각각 적어도, 프로세서(810) 및/또는 메모리(808)에 결합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808)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08)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 및/또는 상태 머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10)는 매체, 예를 들어, 프로세서(810)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810)가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게 할 수 있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와 통신할 수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는, 클라이언트(802a)의 프로세서(810)와 같은 프로세서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광학, 자기, 또는 다른 저장 또는 전송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합한 매체의 다른 예로는, 플로피 디스크, CD-ROM, DVD, 자기 디스크, 메모리 칩, ROM, RAM, ASIC, 구성된 프로세서, 모든 광학 매체, 모든 자기 테이프 또는 다른 자기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판독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양한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라우터, 사설 또는 공용 네트워크, 다른 전송 디바이스 또는 채널(유선 및 무선 모두 포함)을 포함하여, 컴퓨터에 명령어를 전송하거나 운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명령어는, 예를 들어, C, C++, Visual Basic, Java, Python, Perl, JavaScript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로부터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버 컴퓨팅 디바이스(802a 내지 802n)는 또한, 마우스, CD-ROM, DVD, 물리적 또는 가상 키보드,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입력 또는 출력 디바이스와 같은, 다수의 외부 또는 내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버 컴퓨팅 디바이스(802a 내지 802n)(예컨대, 클라이언트)의 예는, 네트워크(806)에 연결되는 임의의 유형의 프로세서 기반 플랫폼, 예컨대 한정 없이 개인용 컴퓨터, DA, PDA, 스마트폰, 호출기, 디지털 태블릿, 랩탑 컴퓨터,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및 기타 프로세서 기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버 컴퓨팅 디바이스(802a 내지 802n)는 본원에 상세히 설명된 하나 이상의 원리/방법론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특별히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버 컴퓨팅 디바이스(802a 내지 802n)는, Microsoft™, Windows™, 및/또는 Linux와 같은, 브라우저 또는 브라우저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임의의 운영 체제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멤버 컴퓨팅 디바이스(802a 내지 802n)는, 예를 들어, Microsoft Corporation의 Internet Explorer™, Apple Computer, Inc.의 Safari™, Mozilla Firefox 및/또는 Opera와 같은,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버 컴퓨팅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02a 내지 802n)를 통해, 사용자(812a 내지 812n)는 예시적인 네트워크(806)를 통해 서로 및/또는 네트워크(806)에 결합된 다른 시스템 및/또는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서버 디바이스(804 및 813)도 또한 네트워크(806)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멤버 컴퓨팅 디바이스(802a 내지 802n)는 모바일 클라이언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데이터베이스(807 및 815)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DBMS 관리(DBMS-managed)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의 조직, 저장, 관리 및/또는 검색을 제어하는 엔진으로서 특별히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DBMS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쿼리, 백업 및 복제할 수 있는 능력, 규칙 시행, 보안 제공, 컴퓨팅, 변경 및 액세스 로깅 수행, 및/또는 자동 최적화를 제공하도록 특별히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DBMS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Oracle 데이터베이스, IBM DB2, Adaptive Server Enterprise, FileMaker, Microsoft Access, Microsoft SQL Server, MySQL, PostgreSQL, 및 NoSQL 구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DBMS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계층적 모델, 네트워크 모델, 관계형 모델, 객체 모델, 또는 필드, 레코드, 파일 및/또는 객체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적용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초래할 수 있는 일부 다른 적합한 조직을 포함할 수 있는, 본 개시의 특정 데이터베이스 모델에 따라, 예시적인 DBMS에서 각 데이터베이스의 각자의 스키마를 정의하도록 특별히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DBMS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특별히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기술의 일부 실시예는 또한,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컴포넌트(825)를 포함 및/또는 수반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를 위해 도면에 함께 그룹화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분산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포넌트(825)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예컨대, 큐 등),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플랫폼(예컨대, Web 프론트엔드 등), 클라우드 인프라구조(예컨대, 가상 머신 등), 및/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예컨대,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등)와 같은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하나의 예로써 도시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디바이스, 컴포넌트 및 매체, 및/또는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구현 방법은, IaaS(infrastructure a service)(1010), PaaS(platform as a service)(1008) 및/또는 SaaS(software as a service)(1006)와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클라우드 컴퓨팅/아키텍처에서 또는 이와 함께 동작하도록 특별히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구현 방법 및/또는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디바이스, 컴포넌트 및/또는 매체가 동작하도록 특별히 구성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아키텍처(들)의 예시적인 구현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클라우드 아키텍처(1006, 1008, 1010)는 본원에 상세히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를 달성하기 위해, 1004에 도시된 웹 브라우저 및 브라우저 확장 양상과 연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임의의 청구항에 사용될 때에, "기초한다"라는 용어는 배타적인 것이 아니며,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기재되지 않은 추가 요소에 기초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a", "an" 및 "the"의 의미는 복수의 참조를 포함한다. "in"의 의미는 "in" 및 "on"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기능은 실시간으로 및/또는 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에, "실시간"이라는 용어는 또다른 이벤트/조치가 발생한 시점에 즉각적으로 또는 거의 즉각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행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간 프로세싱", "실시간 계산" 및 "실시간 실행"은 전부, 관련된 물리적 프로세스(예컨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과 상호 작용함)가 발생하는 실제 시간 중의 계산의 수행과 관련되며, 계산의 결과가 물리적 프로세스를 안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에, "동적으로" 및 "자동으로"라는 용어 및/또는 그의 논리적 및/또는 언어적 관계어 및/또는 파생어는, 특정 이벤트 및/또는 조치가 어떠한 인간의 개입 없이 트리거 및/또는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따른 이벤트 및/또는 조치는, 실시간으로 그리고/또는 나노초, 수 나노초, 밀리초, 수 밀리초, 초, 수 초, 분, 수 분, 매시간, 수 시간, 매일, 수 일, 매주, 매월 등 중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에, "런타임"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의 실행 동안 동적으로 결정되는 임의의 거동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발명의 특별히 프로그래밍된 컴퓨팅 시스템/플랫폼은 관련 디바이스와 함께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적합한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위성 등)를 통해 서로 통신하고, 한정없이 IPX/SPX, X.25, AX.25, AppleTalk(TM), TCP/IP(예컨대, HTTP), Bluetooth™, 근거리 무선 통신(NFC), RFID, NBIOT(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3G, 4G, 5G, GSM, GPRS, WiFi, WiMax, CDMA, 위성, ZigBee 및 다른 적합한 통신 모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모드를 이용한다. 본원에서의 다양한 실시예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이 무선, 예컨대 Bluetooth™ 및/또는 NFC 통신 양상을 수반하는 인터랙티브 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NFC는, NFC 지원 디바이스가 "스와이핑", "범프", "탭" 또는 다른 방식으로 근접하게 이동되어 통신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NFC는, 통상적으로 10 cm 이하의 거리를 필요로 하는, 단거리 무선 기술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NFC는 ISO/IEC 18000-3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13.56MHz에서 106 kbit/s 내지 424 kbit/s 범위의 속도로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NFC는 개시자 및 타겟을 수반할 수 있으며, 개시자는 수동 타겟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RF 필드를 능동으로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는 NFC 타겟이 배터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태그, 스티커, 열쇠고리 또는 카드와 같은 매우 간단한 폼 팩터를 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NFC의 피어투피어 통신은 복수의 NFC 가능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가 서로 근접한 거리에 있을 때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자료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수 있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기계(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 및/또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전기, 광학, 음향 또는 다른 형태의 전파 신호(예컨대, 반송파, 적외선 신호, 디지털 신호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에, "컴퓨터 엔진" 및 "엔진"이라는 용어는, 다른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컴포넌트(예컨대,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software development kit), 객체 등)를 관리/제어하도록 설계/프로그램/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조합을 식별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관련 시스템, 컴퓨터 시스템 및 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요소의 예로는,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회로, 회로 요소(예컨대, 트랜지스터, 저항기, 커패시터, 인덕터 등), 집적 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PLD; programmable logic devices),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s),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논리 게이트, 레지스터, 반도체 디바이스, 칩, 마이크로칩, 칩 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또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프로세서, x86 명령어 세트 호환 프로세서, 멀티코어, 또는 임의의 다른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듀얼 코어 프로세서(들), 듀얼 코어 모바일 프로세서(들) 등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예로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루틴, 서브루틴, 함수, 방법, 절차,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명령어 세트, 컴퓨터 코드, 컴퓨터 코드 세그먼트, 단어, 값, 기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하드웨어 요소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원하는 계산 속도, 전력 레벨, 열 허용 오차, 프로세싱 사이클 예산, 입력 데이터 레이트, 출력 데이터 레이트, 메모리 리소스, 데이터 버스 속도 및 기타 설계 또는 성능 제약과 같은, 임의의 수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양상은, 프로세서 내의 다양한 로직을 나타내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전형적인 명령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기계에 의해 판독될 때 기계로 하여금 본원에 기재된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을 제작하게 한다. "IP 코어"로 알려진 이러한 표현은, 유형의(tangible)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다양한 고객 또는 제조 시설에 공급되어 로직 또는 프로세서를 만드는 제작 기계로 로딩될 수 있다. 물론,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는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및/또는 컴퓨팅 소프트웨어 언어(예컨대, C++, Objective-C, Swift, Java, JavaScript, Python, Perl, QT 등)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디바이스 및/또는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의 개인용 컴퓨터(PC), 랩탑 컴퓨터, 울트라 랩탑 컴퓨터, 태블릿, 터치 패드, 휴대용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팜탑 컴퓨터, PDA, 휴대폰, 복합 휴대폰/PDA, 텔레비전, 스마트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또는 스마트 텔레비전),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ID; mobile internet device), 메시징 디바이스, 데이터 통신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에, "서버"라는 용어는 프로세싱, 데이터베이스 및 통신 시설을 제공하는 서비스 포인트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로써 한정없이, "서버"라는 용어는, 관련 통신 및 데이터 스토리지 및 데이터베이스 시설을 갖춘 단일 물리적 프로세서를 지칭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와 관련 네트워크 및 저장 디바이스, 그 뿐만 아니라 운영 소프트웨어, 및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네트워킹 또는 클러스터된 복합체를 지칭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포넌트(예컨대, 도 6 및 도 7) 및 클라우드 서버는 예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원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디바이스 및/또는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은, 한정 없이 파일, 연락처, 작업, 이메일, 트윗, 지도, 전체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계산기)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일 수 있는 임의의 디지털 객체 및/또는 데이터 유닛을 획득, 조작, 전송, 저장, 변환, 생성 및/또는 출력할 수 있다(예컨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내부 및/또는 외부로부터). 일부 실시예에서, 본원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디바이스 및/또는 예시적인 발명적 컴퓨터 기반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은, 다음과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다양한 컴퓨터 플랫폼 중 하나 이상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1) AmigaOS, AmigaOS 4; (2) FreeBSD, NetBSD, OpenBSD; (3) Linux; (4) Microsoft Windows; (5) OpenVMS; (6) OS X (Mac OS); (7) OS/2; (8) Solaris; (9) Tru64 UNIX; (10) VM; (11) Android; (12) Bada; (13) BlackBerry OS; (14) Firefox OS; (15) Ios; (16) Embedded Linux; (17) Palm OS; (18) Symbian; (19) Tizen; (20) WebOS; (21) Windows Mobile; (22) Windows Phone; (23) Adobe AIR; (24) Adobe Flash; (25) Adobe Shockwave; (26) 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BREW); (27) Cocoa (API); (28) Cocoa Touch; (29) Java Platforms; (30) JavaFX; (31) JavaFX Mobile; (32) Microsoft XNA; (33) Mono; (34) Mozilla Prism, XUL and XULRunner; (35) .NET Framework; (36) Silverlight; (37) Open Web Platform; (38) Oracle Database; (39) Qt; (40) SAP NetWeaver; (41) Smartface; (42) Vexi; 및/또는 (43) Windows Runtime.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디바이스 및/또는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컴포넌트는 본 개시의 원칙에 부합하는 특징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명령어 대신에 또는 그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하드와이어 회로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원리에 부합하는 구현은 하드웨어 회로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특정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는, 한정 없이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조합과 같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로서 많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더 큰 소프트웨어 제품의 "툴"로서 통합된 소프트웨어 패키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원리에 따라 특별히 프로그래밍된 예시적인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웹사이트로부터, 독립형 제품으로서 또는 기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설치하기 위한 애드인 패키지로서 다운로드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원리에 따라 특별히 프로그래밍된 예시적인 소프트웨어는 또한, 클라이언트-서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또는 웹 지원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이용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원리에 따라 특별히 프로그래밍된 예시적인 소프트웨어는 또한,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디바이스 및/또는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컴포넌트는, 본 개시의 별개의 특별히 프로그래밍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예컨대, 데스크탑, 웹 앱 등)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최종 출력은, 한정 없이 컴퓨터의 스크린,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크린 등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는 시각적 투사를 수신할 수 있는 투명 표면일 수 있다. 이러한 투사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이미지 및/또는 객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투사는 모바일 증강 현실(MAR; mobile augmented reality)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시각적 오버레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플랫폼,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디바이스 및/또는 예시적인 발명의 컴퓨터 기반 컴포넌트는, 게임, 모바일 디바이스 게임, 화상 채팅, 화상 회의, 라이브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스트리밍 및/또는 증강 현실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디바이스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및 기타 유사하게 적합한 컴퓨터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예를 들어 한정 없이, MFA 인증 프로세스 및/또는 세션 상호 작용의 일부로서, ATM과의 다양한 상호 작용에 이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될 때에,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 등의 용어는 위치 추적 기능(예컨대, MAC 주소,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등)이 가능할 수 있거나 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는, 이동 전화, PDA, Blackberry™, 호출기,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또는 임의의 다른 합당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될 때에, "근접성 검출", "위치 파악", "위치 데이터", "위치 정보" 및 "위치 추적"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본 개시의 특정 컴퓨팅 디바이스/시스템/플랫폼 및/또는 임의의 관련 컴퓨팅 디바이스의 위치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위치 추적 기술 또는 위치 파악 방법을 지칭하며, 한정 없이 다음 기술/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가속도계(들), 자이로스코프(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s); Bluetooth™를 사용하여 액세스되는 GPS; 임의의 합당한 형태의 무선 및/또는 비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액세스되는 GPS; WiFi™ 서버 위치 데이터; Bluetooth™ 기반 위치 데이터; 네트워크 기반 삼각 측량, WiFi™ 서버 정보 기반 삼각 측량, Bluetooth™ 서버 정보 기반 삼각 측량와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삼각 측량; 셀 식별 기반 삼각 측량, 향상된 셀 식별 기반 삼각 측량, 업링크-도달 시간차(U-TDOA; Uplink-Time difference of arrival) 기반 삼각 측량, 도달 시간(TOA; Time of arrival) 기반 삼각 측량, 도래각(AOA; Angle of arrival) 기반 삼각 측량; 경도 및 위도 기반, 측지 높이 기반, 데카르트 좌표 기반과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지리적 좌표계를 사용하는 기술 및 시스템; 장거리 RFID, 단거리 RFID와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무선 주파수 식별; 액티브 RFID 태그, 패시브 RFID 태그, 배터리 지원 패시브 RFID 태그와 같은,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형태의 RFID 태그 사용; 또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합당한 방식. 편의를 위해, 때때로 위의 변형들은 나열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나열될 수 있으며, 이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한정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될 때에, 용어 "클라우드", "인터넷 클라우드",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아키텍처" 및 유사 용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다: (1) 실시간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 (2) 동시에 많은 연결된 컴퓨터(예컨대, 물리적 컴퓨터, 가상 컴퓨터(VM; virtual machine))에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 (3) 실제 서버 하드웨어에 의해 제공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하나 이상의 실제 기계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시뮬레이션되는 가상 하드웨어(예컨대, 가상 서버)에 의해 서비스되는 것인,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예컨대, 최종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즉시 이동 및 확장(또는 축소)이 가능).
전술한 예는 물론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본원에 사용될 때에, "사용자"라는 용어는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를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가입자", "소비자" 또는 "고객"이라는 용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사용자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에 의해 공급되는 데이터의 소비자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로써 한정 없이, "사용자" 또는 "가입자"라는 용어는, 브라우저 세션에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람을 지칭할 수 있으며,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처리하는 자동화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할 수 있다.
이제,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양상이 다음의 번호가 매겨진 조항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조항 1. 컴퓨터 구현 방법(computer-implemented method)에 있어서,
ATM에 의해, 상기 ATM에 근접한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ATM을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얻기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과 관련하여 실행가능한 명령을 갖는 앱으로 구성됨 - ;
상기 ATM에 의해 그리고 상기 ATM에 근접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의 검출에 응답하여, 세션 키에 기초하여 상기 ATM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 상기 세션 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트랜잭션 카드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ATM으로 전달됨 - ;
상기 ATM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도록 상기 앱에 명령하는 단계 - 상기 제1 GUI는 상기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계정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포함함 - ;
상기 ATM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입력된 계정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ATM에 의해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성공적인 인증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2 GUI를 제공하도록 상기 앱에 명령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위한 ATM 트랜잭션 세션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GUI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하나 이상의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는, 시각 모드, 청각 모드, 모스 부호 모드, 및 촉각 기반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ATM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조항 2. 조항 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앱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에 대응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ATM 사이의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ATM에 전달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조항 3. 조항 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앱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에 대응하는 동작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ATM에 전달되며, 상기 네트워크는 서버를 통해 상기 ATM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통신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ATM과 연관된 트랜잭션을 서비스하도록 구성된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조항 4. 조항 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트랜잭션 카드와 상기 ATM 사이의 제1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조항 5. 조항 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트랜잭션 카드와 상기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제2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공유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조항 6. 조항 5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카드는 RFID 칩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조항 7. 조항 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ATM에 근접한 사용자의 존재의 검출은:
상기 ATM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제1 스캔가능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스캔가능한 정보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스캔된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
상기 ATM의 카메라에 의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된 제2 스캔가능한 정보를 스캔하는 것;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ATM에 근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지리적 위치(geo-location)를 검출하는 것;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ATM에 근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를 검출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조항 8. 조항 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특징, 상기 사용자의 음성 특징, 및 상기 사용자의 지문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조항 9. 조항 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2 GUI의 하나 이상의 GUI 요소는, 상기 ATM과 페어링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하여 맞춤화된 ATM 액세스 메뉴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조항 10. 조항 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헤드폰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가청 트랜잭션 프롬프트를 제공하고, 모스 부호 및/또는 터치 기반 입력 기술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조항 11. ATM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통신하며, 명령어들을 저장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ATM으로 하여금:
상기 ATM에 근접한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고 -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ATM을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얻기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과 관련하여 실행가능한 명령을 갖는 앱으로 구성됨 - ;
상기 ATM에 근접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의 검출에 응답하여, 세션 키에 기초하여 상기 ATM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고 - 상기 세션 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트랜잭션 카드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ATM으로 전달됨 - ;
상기 사용자에게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도록 상기 앱에 명령하고 - 상기 제1 GUI는 상기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계정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포함함 - ;
적어도 상기 입력된 계정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공적인 인증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2 GUI를 제공하도록 상기 앱에 명령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위한 ATM 트랜잭션 세션을 개시하게 하고 - 상기 제2 GUI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하나 이상의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포함함 - ,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는, 시각 모드, 청각 모드, 모스 부호 모드, 및 촉각 기반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ATM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ATM.
조항 12. 조항 1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앱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에 대응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ATM 사이의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ATM에 전달되는 것인, ATM.
조항 13. 조항 1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앱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에 대응하는 동작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ATM에 전달되며, 상기 네트워크는 서버를 통해 상기 ATM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통신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ATM과 연관된 트랜잭션을 서비스하도록 구성된 것인, ATM.
조항 14. 조항 1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트랜잭션 카드와 상기 ATM 사이의 제1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ATM.
조항 15. 조항 1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트랜잭션 카드와 상기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제2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공유되는 것인, ATM.
조항 16. 조항 15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카드는 RFID 칩을 포함하는 것인, ATM.
조항 17. 조항 1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ATM에 근접한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ATM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제1 스캔가능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스캔가능한 정보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스캔된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
상기 ATM의 카메라에 의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된 제2 스캔가능한 정보를 스캔하는 것;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ATM에 근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지리적 위치를 검출하는 것;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ATM에 근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를 검출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ATM.
조항 18. 조항 1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 -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특징, 상기 사용자의 음성 특징, 및 상기 사용자의 지문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을 더 포함하는 것인, ATM.
조항 19. 조항 1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2 GUI의 하나 이상의 GUI 요소는, 상기 ATM과 페어링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하여 맞춤화된 ATM 액세스 메뉴를 포함하는 것인, ATM.
조항 20. 조항 11 또는 여기에서의 임의의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헤드폰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가청 트랜잭션 프롬프트를 제공하고, 모스 부호 및/또는 터치 기반 입력 기술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ATM.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기재되었지만,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본원에 기재된 발명의 방법론, 발명의 시스템/플랫폼 및 발명의 디바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서로 임의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포함하여, 많은 수정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단계들은 임의의 원하는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그리고 임의의 원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임의의 원하는 단계가 제거될 수 있음).

Claims (20)

  1. 컴퓨터 구현 방법(computer-implemented method)에 있어서,
    ATM에 의해, 상기 ATM에 근접한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ATM을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얻기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과 관련하여 실행가능한 명령을 갖는 앱으로 구성됨 - ;
    상기 ATM에 의해 그리고 상기 ATM에 근접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의 검출에 응답하여, 세션 키에 기초하여 상기 ATM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 - 상기 세션 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트랜잭션 카드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ATM으로 전달됨 - ;
    상기 ATM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도록 상기 앱에 명령하는 단계 - 상기 제1 GUI는 상기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계정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포함함 - ;
    상기 ATM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입력된 계정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ATM에 의해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성공적인 인증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2 GUI를 제공하도록 상기 앱에 명령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위한 ATM 트랜잭션 세션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GUI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하나 이상의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는, 시각 모드, 청각 모드, 모스 부호(Morse code) 모드, 및 촉각 기반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ATM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앱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에 대응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ATM 사이의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ATM에 전달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앱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에 대응하는 동작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ATM에 전달되며, 상기 네트워크는 서버를 통해 상기 ATM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통신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ATM과 연관된 트랜잭션을 서비스하도록 구성된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트랜잭션 카드와 상기 ATM 사이의 제1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트랜잭션 카드와 상기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제2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공유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카드는 RFID 칩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TM에 근접한 사용자의 존재의 검출은:
    상기 ATM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제1 스캔가능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스캔가능한 정보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스캔된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
    상기 ATM의 카메라에 의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된 제2 스캔가능한 정보를 스캔하는 것;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ATM에 근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지리적 위치(geo-location)를 검출하는 것;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ATM에 근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를 검출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특징, 상기 사용자의 음성 특징, 및 상기 사용자의 지문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GUI의 하나 이상의 GUI 요소는, 상기 ATM과 페어링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하여 맞춤화된 ATM 액세스 메뉴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헤드폰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가청 트랜잭션 프롬프트를 제공하고, 모스 부호 및/또는 터치 기반 입력 기술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컴퓨터 구현 방법.
  11. ATM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통신하며, 명령어들을 저장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ATM으로 하여금:
    상기 ATM에 근접한 사용자의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고 -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ATM을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얻기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과 관련하여 실행가능한 명령을 갖는 앱으로 구성됨 - ;
    상기 ATM에 근접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의 검출에 응답하여, 세션 키에 기초하여 상기 ATM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고 - 상기 세션 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트랜잭션 카드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ATM으로 전달됨 - ;
    상기 사용자에게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도록 상기 앱에 명령하고 - 상기 제1 GUI는 상기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계정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포함함 - ;
    적어도 상기 입력된 계정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의 성공적인 인증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2 GUI를 제공하도록 상기 앱에 명령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위한 ATM 트랜잭션 세션을 개시하게 하고 - 상기 제2 GUI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하나 이상의 ATM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포함함 - ,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는, 시각 모드, 청각 모드, 모스 부호 모드, 및 촉각 기반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ATM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ATM.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앱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에 대응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ATM 사이의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ATM에 전달되는 것인, ATM.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앱과의 사용자 상호 작용에 대응하는 동작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ATM에 전달되며, 상기 네트워크는 서버를 통해 상기 ATM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통신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ATM과 연관된 트랜잭션을 서비스하도록 구성된 것인, ATM.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트랜잭션 카드와 상기 ATM 사이의 제1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ATM.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세션 키는 상기 트랜잭션 카드와 상기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제2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공유되는 것인, ATM.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카드는 RFID 칩을 포함하는 것인, ATM.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ATM에 근접한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ATM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제1 스캔가능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스캔가능한 정보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스캔된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
    상기 ATM의 카메라에 의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된 제2 스캔가능한 정보를 스캔하는 것;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ATM에 근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지리적 위치를 검출하는 것;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ATM에 근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를 검출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ATM.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 -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특징, 상기 사용자의 음성 특징, 및 상기 사용자의 지문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을 더 포함하는 것인, ATM.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GUI의 하나 이상의 GUI 요소는, 상기 ATM과 페어링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하여 맞춤화된 ATM 액세스 메뉴를 포함하는 것인, ATM.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헤드폰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가청 트랜잭션 프롬프트를 제공하고, 모스 부호 및/또는 터치 기반 입력 기술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ATM.
KR1020237018626A 2020-11-03 2021-11-03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멀티모달 atm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기반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301426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88,230 US11797990B2 (en) 2020-11-03 2020-11-03 Computer-based systems configured to provide multimodal ATM access via mobile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7/088,230 2020-11-03
PCT/US2021/057913 WO2022098769A1 (en) 2020-11-03 2021-11-03 Computer-based systems configured to provide multimodal atm access via mobile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697A true KR20230142697A (ko) 2023-10-11

Family

ID=8137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626A KR20230142697A (ko) 2020-11-03 2021-11-03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멀티모달 atm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기반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797990B2 (ko)
EP (1) EP4241185A1 (ko)
JP (1) JP2023550610A (ko)
KR (1) KR20230142697A (ko)
CN (1) CN116830138A (ko)
AU (1) AU2021373632A1 (ko)
CA (1) CA3196994A1 (ko)
WO (1) WO2022098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9060B1 (en) * 2019-08-27 2020-11-17 Capital One Services, Llc Techniques for multi-voice speech recognition commands
US20220231837A1 (en) * 2021-01-20 2022-07-21 Cisco Technology, Inc. Intelligent and secure packet captures for cloud solutions
US11556264B1 (en) * 2021-07-26 2023-01-1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Offline data transfer between devices using gestures
US20230048931A1 (en) * 2021-08-10 2023-02-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plit input and output remote access
US20230376923A1 (en) * 2022-05-23 2023-11-23 Maplebear Inc. (Dba Instacart) Automatically establishing sessions between users and shopping carts
US20240095698A1 (en) * 2022-09-15 2024-03-2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Banking at an atm using a mobile device
CN116760638B (zh) * 2023-08-17 2023-10-27 建信金融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6480B2 (en) 1998-04-17 2011-05-24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Transaction dependent on ATM receiving user input of the security code sent during transaction to account'S designated mobile phone
US8321346B2 (en) * 2002-12-19 2012-1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teller machine for use with computing devices
US20080172733A1 (en) * 2007-01-12 2008-07-17 David Coriaty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a secure workstation
US9361619B2 (en) 2012-08-06 2016-06-07 Ca, Inc. Secure and convenient mobile authentication techniques
US8990895B2 (en) * 2012-09-23 2015-03-24 Farhad David Nosrati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rtable wireless security device
US10270748B2 (en) 2013-03-22 2019-04-23 Nok Nok Labs, Inc. Advanced authentica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US20150106868A1 (en) * 2013-10-14 2015-04-16 Yuan-Chang Lo Supervisory controls using contextual awareness
US20160125412A1 (en) * 2014-11-05 2016-05-05 Royce E. Canno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identity theft and increasing security on all systems
US10574692B2 (en) 2016-05-30 2020-02-25 Christopher Nathan Tyrwhitt Drake Mutual authentication security system with detection and mitigation of active man-in-the-middle browser attacks, phishing, and malware and other security improvements
US10489781B1 (en) 2018-10-02 2019-11-26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8769A1 (en) 2022-05-12
US11797990B2 (en) 2023-10-24
CN116830138A (zh) 2023-09-29
AU2021373632A1 (en) 2023-06-08
EP4241185A1 (en) 2023-09-13
JP2023550610A (ja) 2023-12-04
US20220138746A1 (en) 2022-05-05
CA3196994A1 (en) 2022-05-12
US20240054490A1 (en)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7990B2 (en) Computer-based systems configured to provide multimodal ATM access via mobile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21373632A9 (en) Computer-based systems configured to provide multimodal atm access via mobile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348118B2 (en) Transaction cards and computer-based systems that provide fraud detection at POS devices based on analysis of feature se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055683B1 (en) Computer-based systems involving fingerprint or biometrically-activated transaction car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941617B2 (en) Computer-based systems configured to provide pre-staged transactions via lock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763293B2 (en) Computer-based systems involving temporary cards and associated server and/or mobile device featur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720897B2 (en) Computer-based systems and methods configured for one or more technological applications for authorizing a credit card for use by a user
US11954667B2 (en) Transaction cards and computer-based systems involving an on-card display and mobile device for authenticating transac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748589B2 (en) Computer-based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biometric authentication aspects for handling exceptions, enabling deactivation and/or performing other functionality
US20220253857A1 (en) Computer-based systems having computing devices programmed to execute fraud detection routines based on feature sets associated with input from physical car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463436B2 (en) Computing systems utilizing generated unique authorization identifiers for authorizing user opera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30068008A1 (en) Systems for Providing Access To and Utilization of Transaction Card Information Via System-Level Settings Ti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