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376A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havning layered structure in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havning layered structure in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376A
KR20230142376A KR1020230043150A KR20230043150A KR20230142376A KR 20230142376 A KR20230142376 A KR 20230142376A KR 1020230043150 A KR1020230043150 A KR 1020230043150A KR 20230043150 A KR20230043150 A KR 20230043150A KR 20230142376 A KR20230142376 A KR 20230142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synchronization
communication device
nth
s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1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병재
장갑석
조원철
고영조
김용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8/129,20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19738A1/en
Publication of KR2023014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3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69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the domain of operation
    • H04L27/2671Time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81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constraints
    • H04L27/2684Complex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component)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1차(primary) 계수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sections)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의 결합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part)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의 시간 영역 상에서의 결합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identify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constituting a set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and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Generating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based on a plurality of prim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signal elements, an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t may include generating (parts), and generat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in the time domain.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계층 구조를 가지는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HAVNING LAYERED STRUCTURE IN COMMUNICATION SYSTEM}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ous signals having a hierarchical struct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HAVNING LAYERED STRUCTURE IN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송수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통신 시스템에서 계층 구조를 가지는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technolog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specifically relates to technolog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s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 5G 이후의 무선 통신 기술(이를테면, 6G(6th Generation) 등)을 B5G(beyond 5G) 무선 통신 기술이라 칭할 수 있다.With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Representativ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long term evolution (LTE) and new radio (NR), which are defined in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tandard. LTE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mong 4G (4th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NR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mong 5G (5th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fter 5G (such as 6G (6th Generation), etc.) can be referred to as B5G (beyond 5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와의 시간/주파수 동기를 획득한 후 서빙 셀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기 획득 및 서빙 셀 식별 등의 동작은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PSS 및 SSS로 구성되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등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n order to access a wireless network, a user may perform serving cell identification after obtaining time/frequency synchronization with the network. Operations such as obtaining synchronization and identifying serving cells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Here,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correspond to a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a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or a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composed of PSS and SSS.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간의 시간 동기 및/또는 주파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동기 신호는 전송 지연 시간을 이용한 거리 추정을 위하여 사용되거나, 복수의 송신 장치들 간의 구분을 위하여 사용되거나, 두 무선 통신 장치들 간의 무선 채널을 추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동기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되는 동기 신호들 각각의 성능은, 통신 상황, 통신 환경, 용도 등에 따라서 우수할 수도 있고, 열등할 수도 있다. 다양한 통신 상황, 통신 환경, 용도 등에서 동기 신호에 기초한 동기 동작 및/또는 추정 동작의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동기 신호 송수신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a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used to achieve time synchronization and/or frequency synchronization between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Meanwhile,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used for distance estimation using transmission delay time,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tting devices, or may be used to estimate a wireless channel between tw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ynchronization signals can be generated in a variety of ways. The performance of each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in various ways may be excellent or inferior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situation, communication environment, purpose, etc. There may be a need for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chnology that provides excellent performance of synchronous operation and/or estimation operation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 various communication situations, communication environments, purposes, etc.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art section have been written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상기한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층 구조를 가지는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s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ynchronization signal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to improve synchronization performa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component)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1차(primary) 계수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sections)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의 결합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part)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의 시간 영역 상에서의 결합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identify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constituting a set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based on a plurality of prim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generat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Generating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generat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based on a combination in the time domain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can do.

상기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은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원소로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이용하여,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1차 계수들로 구성되는 제1 1차 계수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 및 상기 제1 1차 계수 행렬에서 서로 대응되는 원소들을 곱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J는 1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has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s elements, and the step of generati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cludes determining a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matrix using the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determining a first first-order coefficient matrix having the same size as a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matrix and consisting of the plurality of first-order coefficients, and and generati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by multiplying corresponding elements, wherein J may be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 각각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구분되는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 중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 섹션들 간의 합연산들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합연산들의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은 1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rresponds to one of first to Nth time interval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he time domain, and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clud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performing sum operations between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nd in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nd generating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based on the corresponding results of the sum operations, where N may be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2차 계수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합연산들의 결과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내지 제N 2차 계수들 간의 곱연산들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곱연산들의 결과들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Generating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cludes checking first to Nth second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Performing multiplication operations between the results of the su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and the first to Nth second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nd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It may include obtaining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corresponding to results of the multiplication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tions.

상기 제1 내지 제N 2차 계수들은, N×N 크기를 가지는 왈시 행렬(Walsh matrix)의 특정한 행 또는 특정한 열을 구성하는 원소들로 결정될 수 있다.The first to Nth secondary coefficients may be determined as elements constituting a specific row or specific column of a Walsh matrix having a size of N×N.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제1 내지 제M 섹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M 섹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시간 영역에서 서로 연결하여, 제1 내지 제M 동기 신호 섹션 묶음(section bundle)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M 동기 신호 섹션 묶음들에 대한 합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M은 1보다 큰 자연수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time domain, and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cludes classifyi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to first to M-th section groups, connect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to M-th section groups to each other in the time domain to generate first to M-th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s, and generating first to M-th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s; and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based on a sum operation on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s, wherein M may be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은 하나의 제1 동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 모두를 시간 영역에서 중첩 없이 연결하여,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 on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step of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s connecting all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without overlapping in the time domain to generate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It may include a creation step.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의 개수는 K개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1 내지 제K 동기 신호들은, 제1 동기 신호 집합을 구성하며, 상기 K는 자연수일 수 있다.The number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s K, and the first to Kth synchronization signals generated based on the step of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constitute a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set, and K may be a natural number. there is.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은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은 하나의 제2 동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시간 영역에서 연결하여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N은 1보다 큰 자연수일 수 있다.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clud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 on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and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s: and generating th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by connecting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 the time domain.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at least some of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arts are connected so that they overlap, and N may be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통신 장치의 일 실시예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component)들을 확인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1차(primary) 계수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sections)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의 결합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part)들을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의 시간 영역 상에서의 결합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송신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rocessor,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constituting a set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identify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nd generate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based on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nd a plurality of prim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generat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an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in the time domain, generat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and and may be operative to cause transmission of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상기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은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원소로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이용하여,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1차 계수들로 구성되는 제1 1차 계수 행렬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 및 상기 제1 1차 계수 행렬에서 서로 대응되는 원소들을 곱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생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J는 1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has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s elements, and when generati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the processor cause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generate a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using the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Determine a signal element matrix, determine a first primary coefficient matrix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synchronous signal element matrix and consisting of the plurality of primary coefficients, and determine the first synchronous signal element matrix and the first 1 Operates to further cause to generate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by multiplying corresponding elements in the first-order coefficient matrix, wherein J may be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 각각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구분되는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 중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 섹션들 간의 합연산들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합연산들의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N은 1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rresponds to one of first to Nth time interval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he time domain, and when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enab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 for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perform sum operations between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mo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and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further cause to generat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The N may be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2차 계수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합연산들의 결과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내지 제N 2차 계수들 간의 곱연산들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곱연산들의 결과들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획득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When generating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dentifies first to Nth second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nd Perform multiplication operations between the results of the su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nd the first to Nth second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nd The operation may further cause obtaining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corresponding to results of the multiplication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제1 내지 제M 섹션 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제1 내지 제M 섹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시간 영역에서 서로 연결하여, 제1 내지 제M 동기 신호 섹션 묶음(section bundle)들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M 동기 신호 섹션 묶음들에 대한 합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M은 1보다 큰 자연수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time domain, and when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caus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generate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to first to Mth Classifying into section groups and connect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to M-th section groups to each other in the time domain to generate first to M-th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s, and further cause to generate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based on a sum operation on the first to Mth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s, where M may be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은 하나의 제1 동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 모두를 시간 영역에서 중첩 없이 연결하여,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 on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and when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caus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combine all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without overlapping in the time domain. By connecting, it may further operate to generate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의 개수는 K개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은 제1 내지 제K 동기 신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K 동기 신호들은, 제1 동기 신호 집합을 구성하며, 상기 K는 자연수일 수 있다.The number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s K,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 first to Kth synchronization signals, and the first to Kth synchronization signals constitute a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set, and the K may be a natural number.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은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은 하나의 제2 동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시간 영역에서 연결하여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N은 1보다 큰 자연수일 수 있다.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clud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 on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and when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the processor 1 The communication node operates to further cause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to be connected in the time domain to generate th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wherein when generating th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are connected in the time domain. At least some of the N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are connected so that some parts overlap each other, and N may be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에서 송신된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대한 동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은 상기 제2 통신 장치에서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의 결합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의 시간 상에서의 결합에 기초하여 생성되었으며,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은, 상기 제2 통신 장치에서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component)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1차(primary) 계수들에 기초하여 생성되었을 수 있다.One embodiment of 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receiv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based on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Obtain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for a device, wherein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are based on a combination in time of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generated based on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enerated,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clud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constitu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plurality of primary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 may have been generated based on the coefficients.

상기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은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원소로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은, 상기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이용하여 결정된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 및 상기 복수의 1차 계수들로 구성되는 제1 1차 계수 행렬에서 서로 대응되는 원소들을 곱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J는 1 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과 상기 제1 1차 계수 행렬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has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s elements, and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nsist of a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matrix determined using the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nd the plurality of primary coefficients. It is generated by multiplying corresponding elements in the first first-order coefficient matrix, where J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and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matrix and the first first-order coefficient matrix may have the same size.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 각각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구분되는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은,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 중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 섹션들 간의 합연산들의 결과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이며, 상기 N은 1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rresponds to any one of first to Nth time interval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he time domain, and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clude the first to Nth time sections amo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re generated based on the results of sum operations between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Nth time intervals, where N is It may be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통신 시스템에서 계층 구조를 가지는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는 계층 구조(또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동기 신호(이하, 계층적(layered) 동기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계층적 동기 신호는, 하나 이상의 종류들의 동기 신호들(이하, 동기 신호 요소들)로 구성되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송신 장치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의 결합(이를테면, 선형 결합)에 기초하여, 계층적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계층적 동기 신호는, 여러 종류의 동기 신호들이 가지는 장점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계층적 동기 신호는 향상된 동기 성능 및/또는 추정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계층적 동기 신호는 실시예에 따라 낮은 구현 복잡도를 가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ynchronization signal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 transmitting device generates and transmits a synchronization signal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or multi-layered structure) (hereinafter, a layered synchronization signal). You can.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a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consisting of one or more types of synchronization signals (hereinafter,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The transmitting device may generate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based on a combination (eg, linear combination) of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included 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The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in this way can simultaneously have the advantages of various types of synchronization signals. The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in this way may have improved synchronization performance and/or estimation performance. Additionally, the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may have low implementation complexit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동기 신호의 제1 및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동기 신호의 제3 내지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동기 신호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동기 신호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동기 신호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동기 신호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상호 상관기(cross-correlator)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상호 상관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동기 신호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a radio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4A and 4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synchronization signals.
5A to 5C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ird to fifth embodiments of synchronization signals.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eventh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ighth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ninth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cross-correlator.
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ross-correlator.
Figure 1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tenth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Figure 1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Figure 1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Figure 1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disclosure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disclosur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Communication systems to whic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re applied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below,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Here, communication system may be used in the same sense as communication network.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5G 이동통신망, B5G 이동통신망(6G 이동통신망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network refers to, for example, wireless Internet such as WiFi (wireless fidelity), mobile Internet such a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or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or 2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r CDMA2000,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r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t may include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3.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s or LTE-Advanced networks,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B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6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etc.).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erminal refers to a mobile station, mobile terminal, subscriber station, portable subscriber station, user equipment, and access terminal. It may refer to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part of the functions of a terminal, a mobile station,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a user device, an access terminal, etc.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Here, a desktop computer, laptop computer, tablet PC, wireless phone, mobile phone, smart phone, and smart watch that can communicate with terminals. (smart watch), smart glass, e-book reader,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ortable game console, navigation device, 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layer, digital voice digital audio recorder, digital audio player, digital picture recorder, digital picture player, digital video recorder, digital video player ), etc. can be used.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은 접근점(access point),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base station refers to an access point, radio access station, node B, evolved node B,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MMR ( It may refer to a mobile multihop relay)-BS, etc., and may include all or part of the functions of a base station, access point, wireless access station, Node B, eNodeB, transmitting and receiving base station, and MMR-B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in explaining the present disclosu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예를 들어, NR(new radio))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are 4G communication (e.g., long term evolution (LTE), LTE-A (advanced)), 5G communication (e.g., new radio (NR)) specified in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tandard. ), etc. can be supported. 4G communications can be performed in frequency bands below 6 GHz, and 5G communications can be performed in frequency bands above 6 GHz as well as below 6 GHz.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For example, for 4G communication and 5G communicatio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use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wideband CDMA (WCDMA),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Filtered OFDM,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CP (cyclic prefix)-OFDM,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based communication protocol,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based communication protocol, SC (single carrier)-FDMA-based communication protocol,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 (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based communication protocols, FBMC (filter bank multi-carrier)-based communication protocols, UFMC (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based communication protocols, and SDMA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based communication protocols. .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4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5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core network. If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supports 4G communication, the core network may include a serving-gateway (S-GW), a packet data network (PDN)-gateway (P-GW),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etc. there is. When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supports 5G communication, the core network may include a user plane function (UPF), a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and an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한편,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4, 130-5, 130-6) Each can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220, a memory 220, and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230 that is connected to a network and performs communication.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240, an output interface device 250, a storage device 260, etc.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200 is connected by a bus 270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2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However,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be connected through an individual interface or individual bus centered on the processor 220, rather than the common bus 270. For example, the processor 22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memory 220,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230, the input interface device 240, the output interface device 250, and the storage device 260 through a dedicated interface. .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22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The processor 220 may refer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performed. Each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may be comprised of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220 may be comprised of at least one of read 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30- 1, 130-2, 130-3, 130-4, 130-5, 130-6).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and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that includes may be referred to as an “access network.”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may form a macro cell. Each of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and the fifth base station 120-2 may form a small cell.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the third terminal 130-3,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may belo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terminal 130-2,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may belo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The fifth base station 120-2, the fourth terminal 130-4, the fifth terminal 130-5, and the sixth terminal 130-6 may belo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third base station 110-3. there is. The first terminal 130-1 may belo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The sixth terminal 130-6 may belo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fifth base station 120-2.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eNB, gNB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includes a NodeB, an evolved NodeB,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Radio base station, radio transceiver, access point, access node, road side unit (RSU), radio remote head (RRH), transmission point (TP), TRP (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eNB, gNB, etc.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디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 장치,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또는 on board device/terminal 등)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and 130-6) each include a user equipment (UE), a terminal, an access terminal, and a mobile device. Terminal, station, subscriber station, mobile station, portable subscriber station, node, device, IoT (Internet of Thing) It may be referred to as a device, a mounted device (mounted module/device/terminal or on board device/terminal, etc.), etc.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operate in different frequency bands or may operate in the same frequency b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deal backhaul link or a non-ideal backhaul link. ,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rough an ideal backhaul link or a non-ideal backhaul link.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be connected to the core network through an ideal backhaul link or a non-ideal backhaul link.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130-1, 130-2, 130-3, 130). -4, 130-5, 130-6),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is sent to the core network. can be transmitted to.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performs MIMO transmission (e.g., single user (SU)-MIMO, multi user (MU)- MIMO, massive MIMO, etc.), coordinated multipoint (CoMP) transmission, carrier aggregation (CA) transmission, transmission in an unlicensed band,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or ProSe ( proximity services)), etc. can be supported.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and 130-6 is connected to a base station 110-1, 110-2, 110-3, and 120-1. , 120-2) and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ose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For example,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based on the SU-MIMO method,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based on the SU-MIMO method. A signal can be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lternatively,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based on the MU-MIMO method,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can each receive a sig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by the MU-MIMO method.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based on the CoMP method,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The terminal 130-4 can receive signal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using the CoMP method. Each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has a terminal (130-1, 130-2, 130-3, 130-4) within its cell coverage. , 130-5, 130-6), and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ased on the CA method.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each control D2D between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and each of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can perform D2D under the control of each of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테면, 수신 노드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송신 노드는 수신 노드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송신 노드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는 송신 노드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Next,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Here, even when a method performed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mong the communication nodes (e.g.,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a signal) is described, the corresponding second communication node is a method corresponding to the method perform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For example, receiving or transmitting a signal)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of a receiving node is described, the corresponding transmitting node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ceiving node. Conversely, when the operation of a transmitting node is described, the corresponding receiving node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ransmitting node.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a radio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타임 슬롯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타임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개의 심볼들을 가질 수 있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개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영역의 복수개의 심볼들은 OFDM 심볼들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시간 영역의 복수개의 심볼들이 OFDM 심볼들인 OFDM 전송 모드를 예시로 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 구조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 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SC(single carrier) 전송 모드 등의 다른 전송 모드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in a communication system, one radio frame may consist of 10 subframes, and one subframe may consist of two time slots. One time slot may have a plurality of symbols in the time domai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A plurality of symbols in the time domain may be OFDM symbols. Below, for convenience, an embodiment of a radio frame struct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using an OFDM transmission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symbols in the time domain are OFDM symbols as an exampl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embodiments of the wireless frame structu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re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nother embodiment of a radio frame struct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other transmission modes, such as a single carrier (SC) transmission mode.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파수 대역 특성에 따른 ICI(inter-carrier interference) 감소, 서비스 특성에 따른 지연 감소(latency reduction) 등의 다양한 목적에 맞추어 표 1의 뉴머롤러지(numerology)들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one or more of the numerologies in Table 1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educing inter-carrier interference (ICI) according to frequency band characteristics and latency reduction according to service characteristics. This can be used.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뉴머롤러지들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뉴머롤러지 μ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 Δf 및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의 정보들에 대응될 수 있다. 단말은 상위 계층의 파라미터인 'subcarrierSpacing', 'cyclicPrefix' 등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downlink bandwidth part) 또는 상향링크 대역폭 부분(uplink bandwidth part)에 적용되는 뉴머롤러지 μ 및 CP 값을 등을 확인할 수 있다.Table 1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embodiments of numerology used in a communication system may not be limited thereto. Each numerology μ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on subcarrier spacing (SCS) Δf and cyclic prefix (CP). The terminal determines the numerology μ and CP values applied to the downlink bandwidth part or uplink bandwidth part based on the upper layer parameters 'subcarrierSpacing', 'cyclicPrefix', etc. You can check it.

통신 시스템(300)에서 무선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자원은 하나 이상의(

Figure pat00002
) 서브프레임(subframe)(320)으로 구성되는 프레임(frame)(330), 하나 이상의 () 슬롯(slot)(310)으로 구성되는 서브프레임(320), 그리고 개의 OFDM 심볼(symbol)들로 구성되는 슬롯(310)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각 변수 , , 의 값들은 설정된 뉴머롤러지에 따라 정규 사이클릭 프리픽스인 경우는 표 2의 값을 따를 수 있고,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인 경우는 표 3의 값을 따를 수 있다.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들은 상위 계층 시그날링 혹은 상위 계층 시그날링 및 L1 시그날링의 조합에 의하여 '하향링크(downlink)', '플렉서블(flexible)' 또는 '상향링크(uplink)'로 구별될 수 있다.The time resource for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in the communication system 300 is one or more (
Figure pat00002
) A frame (330) consisting of a subframe (320), one or more ( ) a subframe 320 consisting of a slot 310, and It can be expressed as a slot 310 consisting of OFDM symbols. At this time, each variable , , The values of may follow the values of Table 2 in the case of a regular cyclic prefix and may follow the values in Table 3 in the case of an extended cyclic prefix, depending on the set numerology. OFDM symbols included in one slot can be distinguished as 'downlink', 'flexible', or 'uplink' by upper layer signaling or a combination of upper layer signaling and L1 signaling. You can.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330)은 10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서브프레임(320)은 1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330)은 두 개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하프 프레임(half-frame)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첫 번째 하프 프레임(half-frame 0)은 0번 ~ 4번의 서브프레임(320)들로 구성될 수 있고, 두 번째 하프 프레임(half-frame 1)은 5번 ~ 9번의 서브프레임(320)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캐리어에는 상향링크를 위한 프레임들의 집합(uplink frames)과 하향링크를 위한 프레임들의 집합(downlink frames)이 있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frame 330 may have a length of 10 ms, and subframe 320 may have a length of 1 ms. Each frame 330 can be divided into two half-frames of equal length, and the first half-frame (half-frame 0) consists of subframes 320 numbered 0 to 4. may be, and the second half-frame (half-frame 1) may be composed of subframes 320 numbered 5 to 9. One carrier may include a set of frames for uplink (uplink frames) and a set of frames for downlink (downlink frames).

하나의 슬롯은 6개(Extended Cyclic Prefix인 경우) 또는 7개(Normal Cyclic Prefix인 경우)의 OFDM 심볼들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슬롯으로 정의되는 시간-주파수 영역을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라고 부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이 7개의 OFDM 심볼들을 가질 경우,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들()을 가질 수 있다.One slot can have 6 (in case of Extended Cyclic Prefix) or 7 (in case of Normal Cyclic Prefix) OFDM symbols. A time-frequency area defined by one slot can be called a resource block (RB). If one slot has 7 OFDM symbols, one subframe has 14 OFDM symbols ( ) can have.

서브프레임은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에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중 일부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를 포함할 수 있다. DwPTS는 단말의 시간 및 주파수 동기 추정 및 셀 탐색에 활용될 수 있다. GP는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으로 볼 수 있다.A subframe can be divided into a control area and a data area.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may be allocated to the control area.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may be allocated to the data area. Some of the subframes may be special subframes. Special subframes may include 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Guard Period (GP), and Uplink Pilot Time Slot (UpPTS). DwPTS can be used for UE 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estimation and cell search. GP can be viewed as a section to eliminate interference caused by multipath delay of downlink signals.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와의 시간/주파수 동기를 획득한 후 서빙 셀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기 획득 및 서빙 셀 식별 등의 동작은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PSS 및 SSS로 구성되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등에 해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n order to access a wireless network, a user may perform serving cell identification after obtaining time/frequency synchronization with the network. Operations such as obtaining synchronization and identifying serving cells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Here,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correspond to a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a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or a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composed of PSS and SSS.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간의 시간 동기 및/또는 주파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동기 신호는 전송 지연 시간을 이용한 거리 추정을 위하여 사용되거나, 복수의 송신 장치들 간의 구분을 위하여 사용되거나, 두 무선 통신 장치들 간의 무선 채널을 추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동기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되는 동기 신호들 각각의 성능은, 통신 상황, 통신 환경, 용도 등에 따라서 우수할 수도 있고, 열등할 수도 있다. 다양한 통신 상황, 통신 환경, 용도 등에서 동기 신호에 기초한 동기 동작 및/또는 추정 동작의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동기 신호 송수신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a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used to achieve time synchronization and/or frequency synchronization between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Meanwhile,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used for distance estimation using transmission delay time,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a plurality of transmitting devices, or may be used to estimate a wireless channel between tw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ynchronization signals can be generated in a variety of ways. The performance of each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in various ways may be excellent or inferior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situation, communication environment, purpose, etc. There may be a need for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chnology that provides excellent performance of synchronous operation and/or estimation operation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 various communication situations, communication environments, purposes, etc.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은 시간 영역에서 프레임(330), 서브프레임(320), 슬롯(310) 또는 슬롯(310)을 구성하는 OFDM 심볼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동기 신호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은 변조되어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 개의 부반송파들에 매핑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은 하나 이상의 이진 시퀀스들 또는 복소 시퀀스들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a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constructed based on one or more sequences. One or more sequence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arranged in a frame 330, a subframe 320, a slot 310, or an OFDM symbol constituting the slot 310 in the time domain. Meanwhile, one or more sequence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modulated and mapped to a plurality of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In one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one or more sequences constitu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may correspond to one or more binary sequences or complex sequences.

도 4a 및 도 4b는 동기 신호의 제1 및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4A and 4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synchronization signals.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는 아날로그(analog) 방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아날로그 방식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이하, 아날로그 동기 신호)는, 간단한 펄스 신호(pulse signal) 또는 첩 신호(chirp signa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날로그 동기 신호가 사용될 경우, 동기 신호의 송수신 시각이 용이하게 추정될 수 있다. 한편, 아날로그 동기 신호가 사용될 경우, 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들 중 동기 신호를 송신한 특정한 송신 장치의 식별(또는 구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In communication systems, synchronization signals can be generated in a variety of ways. Here,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analog methods. A synchronization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nalog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ased on an analog method may be composed of a simple pulse signal or chirp signal. When an analog synchronization signal is use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ime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easily estimated. Meanwhile, when an analog synchronization signal is used, it may not be easy to identify (or distinguish) a specific transmission device that transmitted the synchronization signal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xisting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는 디지털(digital) 방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디지털 방식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이하, 디지털 동기 신호)가 사용될 경우, 동기 신호의 송수신 시각이 용이하게 추정될 수 있다. 디지털 동기 신호가 사용될 경우, 통신 환경에 존재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들 중 동기 신호를 송신한 특정한 송신 장치가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동기 신호들 각각이 복수의 기지국들 각각에 할당되되, 서로 근거리에 있는 기지국들에는 동일한 동기 신호가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각의 기지국에서 송신된 동기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는 수신된 동기 신호를 송신한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on a digital basis. When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ased on a digital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gi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use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ime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easily estimated. When a digi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used, a specific transmitting device that transmitted the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easily identified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xisting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example, in a communication system, each of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s is assigned to each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but the same synchronization signal may not be assigned to base stations that are close to each other. Through this, the user who receives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base station can identify the base station that transmitted the received synchronization signal.

동기 신호의 기능과 용도가 다양한 만큼, 동기 신호의 특성을 평가하는 지표 역시 다양할 수 있다. 특정한 동기 신호가 다양한 지표들에 기초하여 일관되게 우수하게 평가되기는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테면, 동기 신호의 일 실시예는 우수한 동기 추정 성능을 가지는 한편 구현 복잡도가 높거나 많은 무선 자원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동기 신호의 다른 실시예는 비교적 잡음이 없는 무선 채널 환경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가지지만, 잡음이 많은 무선 채널 또는 페이딩(fading)이 심한 다중 경로 무선 채널 환경에서는 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동기 신호의 또 다른 실시예는, 우수한 동기 추정 성능을 가지지만 무선 채널 추정 성능은 우수하지 않을 수 있다.As the functions and uses of synchronization signals are diverse, the indicators that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synchronization signals may also vary. It may not be easy to consistently evaluate a specific synchronization signal as excellent based on various indicators. For example, one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have excellent synchronization estimation performance, but may have the disadvantage of having high implementation complexity or requiring a lot of radio resources. Other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have excellent performance in a relatively noise-free wireless channel environment, but performance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in a noisy wireless channel or a multi-path wireless channel environment with severe fading. Another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may have good synchronization estimation performance but not good wireless channel estimation performance.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는 수학적 시퀀스 또는 디지털 시퀀스가 펄스 형성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동기 신호는, 우수한 자기 상관(auto-correlation) 특성과 우수한 상호 상관(cross-correlation)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동기 신호를 생성할 경우, 네트워크는 상대적으로 많은 원소들을 포함하는 동기 신호 집합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PSS는 3개로 구성될 수 있고, SSS는 1008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시퀀스 또는 디지털 동기 신호를 원소로서 사용하여 동기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동기 신호가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기 신호 생성 방식은, 상대적으로 높은 설계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이를테면, 네트워크는 동기 신호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 길이가 더 긴 시퀀스를 선택하거나, 구현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서 복소 시퀀스가 아닌 이진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동기 신호의 생성을 위해서는, m-시퀀스,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 골드(Gold) 시퀀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동기 신호를 수신한 수신 장치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동기 추정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신된 동기 신호를 디지털 영역(digital domain)에서 처리할 수 있다. 디지털 동기 신호를 처리하는 동기 신호 처리부(또는 동기 신호 처리 연산)의 복잡도는, 다양한 요소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디지털 동기 신호를 처리하는 동기 신호 처리부의 복잡도는, 사용된 시퀀스의 길이, 동기 신호 집합을 구성하는 원소들의 개수, 사용되는 대역폭 등의 요소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높은 성능을 가지는 동기 신호를 지원하기 위하여는, 수신 장치의 동기 신호 처리부(또는 동기 신호 처리 연산)의 복잡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y passing a mathematical or digital sequence through a pulse forming filter.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in this way may have excellent auto-correlation characteristics and excellent cross-correlation characteristics. When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in this way, the network can easily generate a synchronization signal set containing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elements.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PSS may be composed of 3 and SSS may be composed of 1008. By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using such a digital sequence or a digital synchronization signal as an element, various synchronization signals can be easily generated. This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method can have a relatively high degree of design freedom. For example, the network can select a longer sequence to improve synchronization signal performance, or use a binary sequence rather than a complex sequence to reduce implementation complexity. To generate a synchronization signal, an m-sequence, Zadoff-Chu sequence, Gold sequence, etc. may be used. A receiving device that receives a digital synchronization signal may process the received synchronization signal in the digital domain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time and/or frequency synchronization estimation. The complexity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rocessing unit (or synchronization signal processing operation) that processes the digital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determined based on various factors. For example, the complexity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digital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determined based on factors such as the length of the sequence used, the number of element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and the bandwidth used. In order to support a synchronization signal with high performanc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complexity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rocessing unit (or synchronization signal processing operation) of the receiving device increases.

동기 신호의 목표 성능(또는 성능 목표)는 시스템의 요구사항(또는 서비스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목표 성능이 결정되면, 동기 신호의 설계에 있어서 자유도가 상당히 제한될 수 있다. 이를테면, 사용하는 대역폭, 구현 복잡도, 전송 거리, 전력 소모, 장치 간의 간섭, 동기 신호가 처리해야 하는 여러가지 기능 등, 시스템의 요구사항 및/또는 목표 성능이 결정되면 결정된 사항을 만족하는 특성을 가지는 종류의 동기 신호만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가 자도프-추 시퀀스를 기반으로 생성될 경우, 생성된 동기 신호는 자도프-추 시퀀스의 특성을 물려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도프-추 시퀀스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신호는 상호 상관 특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자도프-추 시퀀스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신호는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carrier frequency offset, CFO)에 취약하고, 구현 복잡도가 다소 높다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가 첩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될 경우, 생성된 동기 신호는 첩 신호의 특성을 물려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첩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신호는 자기 상관 특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첩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기신호는 시퀀스 기반의 동기 신호들이 지원하는 기능과 설계 상의 유연성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The target performance (or performance targe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quirements (or service requirements) of the system. Once the target performance is determined, the freedom in design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significantly limited. For example, once the requirements and/or target performance of the system are determined, such as the bandwidth used, implementation complexity, transmission distance, power consumption, interference between devices, and various functions that the synchronization signal must handle, a type that has characteristics that satisfy the determined requirements. Only synchronization signals of can be selected.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when a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Zadoff-Chu sequence, the generated synchronization signal may inher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Zadoff-Chu sequence. In this way,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Zadoff-Chu sequence can have the advantage of excellent cross-correlation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Zadoff-Chu sequence may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vulnerable to carrier frequency offset (CFO) and having somewhat high implementation complexity. In another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when a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a chirp signal, the generated synchronization signal may inher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rp signal. In this way,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chirp signal can have the advantage of excellent autocorrelation characteristics. Meanwhile,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ased on a chirp signal may not have the functions and design flexibility supported by sequence-based synchronization signals.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는 계층 구조(또는 다층 구조)를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계층 구조(또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동기 신호'를, '계층적(layered) 동기 신호'라 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A and 4B,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to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or multi-layer structure). Hereinafter, in the present disclosure, a 'synchronization signal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or multi-layered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a 'layered synchronization signal'.

계층적 동기 신호는 하나 이상의 종류들의 동기 신호 요소(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들로 구성되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알파벳'(alphabet), 'Λ' 등과 같이 칭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종류들의 동기 신호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함으로써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a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composed of one or more types of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The set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may be referred to as 'alphabet', ' Λ ', etc. The network may generate a synchronization signal by using at least some of one or more types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종류들의 동기 신호 요소들 각각은, 아날로그 신호(이를테면, 펄스 신호, 첩 신호 등)일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종류들의 동기 신호 요소들 각각은,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종류들의 동기 신호 요소들 각각은, 수학적 시퀀스가 펄스 형성 필터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신호일 수 있다. 이를테면,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은 수학적 시퀀스가 주파수 영역에서 OFDM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매핑(mapping)된 이후,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를 통해 시간 영역으로 변환된 신호를 원소(element)로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은, 다른 동기 신호 요소 집합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호를 원소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그 밖에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된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one or more types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may be an analog signal (eg, pulse signal, chirp signal, etc.). Each of one or more types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may be a digital signal. Each of one or more types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may be a signal whose mathematical sequence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ased on a pulse forming filter. For example, a set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is a mathematical sequence mapped to an OFDM sub-carrier in the frequency domain, and the signal converted to the time domain through 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s converted into elements. It can be included.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may include signals generated based on other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s as elements.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may include signals generated in various other ways.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수학식 1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표현될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can be expressed identically or similarly to Equation 1.

수학식 1에서, sa(t)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구성하는 원소들(즉, 동기 신호 요소들)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NΛ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구성하는 원소들의 개수를 의미하는 자연수일 수 잇다.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은 서로 상이한 신호들을 원소로 가질 수 있다. 이를테면,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은 펄스 신호와 첩 신호를 동시에 원소로 가질 수 있다. 또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은 첩 신호와 자도프-추 시퀀스 신호를 동시에 원소로 가질 수 있다. 또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은 m-시퀀스 신호와 자도프-추 시퀀스 신호를 동시에 원소로 가질 수 있다.In Equation 1, s a (t) may refer to each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i.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N Λ may be a natural number meaning the number of element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may have different signals as elements. For example, a set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may have pulse signals and chirp signals as elements at the same time. Alternatively,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may have a Chirp signal and a Zadoff-Chu sequence signal as elements at the same time. Alternatively,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may have an m-sequence signal and a Zadoff-Chu sequence signal as elements at the same time.

동기 신호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행렬 X를 원소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행렬 X의 크기는 (M×N)일 수 있고, M 및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또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동기 신호 요소 xm,n(t)를 원소로 포함할 수 있고, xm,n(t)에 기초하여 행렬 X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m 및 n은 자연수일 수 있고, 일 수 있고, 일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벡터 g를 원소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벡터 g의 크기는 (1×N)일 수 있다. 또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g[n]을 원소로 포함할 수 있고, g[n]에 기초하여 벡터 g가 구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M×N) 크기의 행렬 A를 원소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행렬 A의 크기는 (M×N)일 수 있다. 또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am,n을 원소로 포함할 수 있고, am,n에 기초하여 행렬 A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am,n 및/또는 xm,n은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동기 신호 요소 xm,n(t)의 조합 방식을 결정하는 계수일 수 있다.A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a set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Λ . Here,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may include matrix X as an element. Here, the size of matrix X may be (M×N), and M and N may be natural numbers. Alternatively,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may includ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m,n (t) as elements, and a matrix X may be constructed based on x m,n (t). Here, m and n can be natural numbers, It can be, It can be.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may include vector g as an element. Here, the size of vector g may be (1×N). Alternatively,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may include g[n] as an element, and the vector g may be constructed based on g[n].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may include a matrix A of size (M×N) as an element. Here, the size of matrix A may be (M×N). Alternatively,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may include a m,n as elements, and a matrix A may be constructed based on a m,n . Here, a m,n and/or x m,n may be a coefficient that determines a combination method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m,n (t) to generate a synchronization signal.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에 포함되는 특정한 요소들에 기초하여 특정한 행렬(또는 특정한 벡터 등)이 구성될 경우,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가 해당 행렬(또는 해당 벡터 등)을 원소로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가 rm,n을 원소로 포함하고 rm,n에 기초하여 행렬 R이 구성될 경우,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가 행렬 R을 원소로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a specific matrix (or specific vector, etc.) is constructed based on specific elements included 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is the corresponding matrix (or corresponding vector, etc.) It can be expressed as including as an element. For example, if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includes r m,n as an element and a matrix R is constructed based on r m,n ,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can be expressed as including the matrix R as an element.

도 4a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p(t)(400)는 계층적 동기 신호로서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 xm,n(t) 및 대응되는 계수 am,n(t)를 곱함으로써, 동기 신호 섹션(section) am,n·xm,n(t)이 생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섹션들(sections)이 결합됨에 따라,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part)들이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t)(400)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part) g[n]·fn(t)(0≤n≤N-1)을 시간 영역에서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as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By multiply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m,n (t) and the corresponding coefficients a m,n (t), a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a m,n ·x m,n (t) can be generated. As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are combined,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may be generated.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400) is composed of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g[n]·f n (t)(0≤n≤N-1) expressed as Equation 2 in series in the time domain. It can be created by connecting.

동기 신호 p(t)(400)는 동기 신호 부분들 g[0]·f0(t)(401), g[1]·f1(t)(402), ..., g[N-1]·fN-1(t)(409)을 시간 영역에서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t)(400)는 수학식 3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표현될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400) is composed of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g[0]·f 0 (t)(401), g[1]·f 1 (t)(402), ..., g[N- 1]·f N-1 (t) (409) can be generated by connecting them in series in the time doma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400) may be expressed the same or similar to Equation 3.

수학식 3을 참조하면, 동기 신호 p(t)(400)는 동기 신호 부분들 g[n]·fn(t)을 n=0부터 n=N-1까지 결합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g[n]은 벡터 g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fn(t)는 수학식 4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3,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400) can be defined as a value combin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g[n]·f n (t) from n=0 to n=N-1. Here, g[n] can constitute vector g . Meanwhile, f n (t) may be defined the same or similar to Equation 4.

수학식 4를 참조하면, fn(t)는 동기 신호 섹션들 am,n·xm,n(t)을 m=0부터 m=M-1까지 더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am,n은 행렬 A를 구성할 수 있고, xm,n(t)는 행렬 X를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4, f n (t) can be defined as the sum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a m,n ·x m,n (t) from m=0 to m=M-1. Here, a m,n can form matrix A , and x m,n (t) can form matrix X.

도 4a에서, 동기 신호 부분들(401, 402, ..., 409)의 f0(t), f1(t), ..., fN-1(t)은 동기 신호 섹션들(sections) am,n·xm,n(t)(410, 420, ..., 440)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동기 신호 부분(401)의 f0(t)는 동기 신호 섹션들 a0,0·x0,0(t)(411), a1,0·x1,0(t)(421), ..., aM-1,0·xM-1,0(t)(441)의 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 동기 신호 부분(402)의 f1(t)는 동기 신호 섹션들 a0,1·x0,1(t)(412), a1,1·x1,1(t)(422), ..., aM-1,1·xM-1,1(t)(442)의 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N 동기 신호 부분(409)의 fN-1(t)는 동기 신호 섹션들 a0,N-1·x0,N-1(t)(419), a1,N-1·x1,N-1(t)(429), ..., aM-1,N-1·xM-1,N-1(t)(449)의 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FIG. 4A, f 0 (t), f 1 (t), ..., f N-1 (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401, 402, ..., 409 a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 a m,n ·x m,n (t)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sum of (410, 420, ..., 440). Specifically, f 0 (t) of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401 is divided into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a 0,0 ·x 0,0 (t) (411), a 1,0 ·x 1,0 (t )(421), ..., a M-1,0 ·x M-1,0 (t)(441). f 1 (t) of th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402 is divided into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a 0,1 ·x 0,1 (t) (412), a 1,1 ·x 1,1 (t) (422)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um of , ..., a M-1,1 ·x M-1,1 (t) (442). f N-1 (t) of the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409 is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a 0,N-1 ·x 0,N-1 (t) (419), a 1,N-1 ·x 1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um of ,N-1 (t)(429), ..., a M-1,N-1 ·x M-1,N-1 (t)(449).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 p(t)(400)는 벡터 g를 구성하는 g[n], 행렬 A를 구성하는 am,n, 및 행렬 X를 구성하는 xm,n(t)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벡터 g, 행렬 A 및 행렬 X는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3 and Equation 4,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400) is g[n] constituting the vector g , a m,n constituting the matrix A , and x m constituting the matrix X. It can be defined based on n (t). Vector g , matrix A , and matrix X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5.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벡터 g, 행렬 A 및/또는 행렬 X를 원소로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가 주어지고 벡터 g, 행렬 A 및 행렬 X가 결정되면, 동기 신호 p(t)(400)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기 신호 p(t)(400)의 생성 과정은, 수학식 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may include vector g , matrix A , and/or matrix X as elements. Given a set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Λ and the vector g , matrix A , and matrix X are determined,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400 can be determined. The generation process of this synchronization signal p(t)(400)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6.

본 개시에서는 문맥상 혼돈이 없는 경우 수학식 6에 기초하여 가 p(t)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if there is no confusion in the context, based on Equation 6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as p(t).

동일한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가 주어지더라도, 벡터 g, 행렬 A 및 행렬 X에 따라서 동기 신호 p(t)(400)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동기 신호 p1(t) 및 동기 신호 p2(t)는 동일한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1(t)는 벡터 g 1 , 행렬 A 1 및 행렬 X 1 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2(t)는 벡터 g 2 , 행렬 A 2 및 행렬 X 2 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수학식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Even if the sam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is given,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400)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ector g , matrix A , and matrix X. For example,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1 (t)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2 (t)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sam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1 (t) can be determined based on vector g 1 , matrix A 1 and matrix X 1 .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2 (t) can be determined based on vector g 2 , matrix A 2 and matrix X 2 . This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7.

만약 벡터 g 1 및 벡터 g 2 가 서로 동일하고, 행렬 A 1 및 행렬 A 2 가 서로 동일하고, 행렬 X 1 및 행렬 X 2 가 서로 동일할 경우, 동기 신호 p1(t) 및 동기 신호 p2(t)는 서로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수학식 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If vector g 1 and vector g 2 are equal to each other, matrix A 1 and matrix A 2 are equal to each other, and matrix X 1 and matrix X 2 are equal to each other, then synchronization signal p 1 (t) and synchronization signal p 2 (t) can be determined identically to each other. This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8.

수학식 8에서 '∧'는 '그리고(AND)'를 의미하는 논리 연산자일 수 있다.In Equation 8, '∧' may be a logical operator meaning 'AND'.

한편, 만약 벡터 g 1 및 벡터 g 2 가 서로 상이하거나, 행렬 A 1 및 행렬 A 2 가 서로 상이하거나, 행렬 X 1 및 행렬 X 2 가 서로 상이할 경우, 동기 신호 p1(t) 및 동기 신호 p2(t)는 서로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수학식 9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vector g 1 and vector g 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atrix A 1 and matrix A 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matrix X 1 and matrix X 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ynchronization signal p 1 (t) and synchronization signal p 2 (t)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This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9.

수학식 9에서 '∨'는 '또는(OR)'을 의미하는 논리 연산자일 수 있다. 수학식 9는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In Equation 9, '∨' may be a logical operator meaning 'OR'. Equation 9 can also be expressed as Equation 10.

수학식 9 또는 수학식 10에서와 같이, 동일한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가 주어지더라도, 동기 신호들의 기초가 되는 벡터들 및 행렬들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상이하게 결정될 경우, 동기 신호들이 서로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동일한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에 기초하여도, 벡터 g, 행렬 A 및 행렬 X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함으로써 동기 신호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As in Equation 9 or Equation 10, even if the same set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Λ is given, if at least some of the vectors and matrices that are the basi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s are determin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the synchronization signals will be determin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You can. That is, even based on the sam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the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by changing at least some of the vector g , matrix A , and matrix X.

벡터 g를 구성하는 원소들 g[n](n=0, 1, ..., N-1)은 동기 신호의 성격,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 또는 결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벡터 g는 왈시 행열(Walsh matrix)의 행 또는 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벡터 g는 m-시퀀스 또는 자도프-추 시퀀스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The elements g[n] (n=0, 1, ..., N-1) constituting the vector g can be selected or determin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nature and purpose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For example, vector g can be created based on the rows or columns of a Walsh matrix. Meanwhile, vector g may be generated based on an m-sequence or Zadoff-Chu sequence.

도 4b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450)는 계층적 동기 신호로서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450)는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4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동기 신호(450)는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10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the synchronization signal 4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as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synchronization signal 450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The synchronization signal 450 may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part of Equation 1 to Equation 10.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M=1이고 N=4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동기 신호의 제2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M=1이고 N=4일 경우, 수학식 5는 수학식 1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B, M=1 and N=4.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limited to this. When M = 1 and N = 4, Equation 5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1.

구체적으로는,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벡터 g, 행렬 A, 행렬 X 및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수학식 1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B, vector g , matrix A , matrix X , and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2.

수학식 12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신호 x(t) 하나만을 원소로 포함할 수 있다. 신호 x(t)는 첩 신호(chirp signal)일 수 있다. 신호 x(t)는 특정한 시간 구간(이를테면, 0≤t<TK)에서,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첩 신호일 수 있다. 신호 x(t)는 수학식 1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12,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may include only one signal x(t) as an element. The signal x(t) may be a chirp signal. The signal x(t) may be a chirp signal whose frequency increases linearly with time in a specific time interval (for example, 0≤t<T K ). Signal x(t) can be defined as Equation 13.

동기 신호(450)는 벡터 g, 행렬 A, 행렬 X 등에 기초하여 생성된 x(t)(451), -x(t)(452), x(t)(453), -x(t)(454)를 시간 영역에서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450 is x(t)(451), -x(t)(452), x(t)(453), -x(t)() generated based on vector g , matrix A , matrix X , etc. 454) can be generated by connecting them in series in the time domain.

도 5a 내지 도 5c는 동기 신호의 제3 내지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5A to 5C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ird to fifth embodiments of synchronization signals.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의 제3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500, 550, 560)는 계층적 동기 신호로서 생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동기 신호의 제3 내지 제5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A to 5C, synchronization signals 500, 550, and 560 according to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as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B may be omitted.

도 5a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500)는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4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M=2이고 N=2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동기 신호의 제3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M=2이고 N=2일 경우, 수학식 5는 수학식 1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synchronization signal 5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5A, M=2 and N=2.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limited to this. When M=2 and N=2, Equation 5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4.

구체적으로는,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벡터 g, 행렬 A, 행렬 X 및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수학식 1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A, vector g , matrix A , matrix X , and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5.

수학식 15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500)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의 원소들인 동기 신호 요소 x1(t) 및 x2(t)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x1(t)는 특정한 시간 구간(이를테면, 0≤t<TK)에서 정의된 신호일 수 있다. 한편, x2(t)는 x1(t)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를테면, x2(t)는 수학식 16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15, the synchronization signal 500 can be generated based on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1 (t) and x 2 (t), which are ele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Here, x 1 (t) may be a signal defined in a specific time interval (for example, 0≤t<T K ). Meanwhile, x 2 (t) can be defined based on x 1 (t). For example, x 2 (t) may be defined the same as or similar to Equation 16.

동기 신호 p(t)(500)는 벡터 g, 행렬 A, 행렬 X 등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 섹션들(sections) x1(t)(511) 및 x2(t)(512)의 합인 동기 신호 부분(part) f0(t)(510)와, 동기 신호 섹션들 x1(t)(521) 및 -x2(t)(522)의 합인 동기 신호 부분 f1(t)(520)를 연결, 결합 또는 조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500) is a synchronization signal that is the sum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x 1 (t) (511) and x 2 (t) (512) generated based on vector g , matrix A , matrix X , etc. A signal part f 0 (t) (510)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part f 1 (t ) (520) which is the sum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x 1 (t) (521) and -x 2 (t) (522). It can be created by connecting, combining, or combining.

도 5b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550)는 계층적 동기 신호로서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550)는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400),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500) 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동기 신호(550)는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10 및 수학식 14 내지 수학식 16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the synchronization signal 55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as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synchronization signal 550 is the same as the synchronization signal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the synchronization signal 5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A, etc. It may be similar. The synchronization signal 550 may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part of Equations 1 to 10 and Equations 14 to 16.

동기 신호(55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은 변조되어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 개의 부반송파들에 매핑될 수 있다. 도 5b에는 동기 신호(55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성분들(또는 시퀀스들)이 변조되어 OFDM 심볼의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결과가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테면, 동기 신호(550)는 NFFT개의 성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NFFT는 자연수일 수 있다. 동기 신호 성분들 P[i](i=0, 1, ..., NFFT)은 짝수 인덱스(즉, i=0, 2, 4, ..., NFFT-2)를 가지는 성분들(이하, 짝수 번째 성분들(551))과 홀수 인덱스(즉, i=1, 3, 5, ..., NFFT-1)를 가지는 성분들(이하, 홀수 번째 성분들(552)을 포함할 수 있다. 0 이상의 정수 k에 대하여, 동기 신호(550)를 구성하는 짝수 번째 성분 P[2k]의 값은 X1[k]일 수 있다. 여기서, X1[k]는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간 영역에서의 동기 신호 성분 x1(t)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간 영역의 동기 신호(500)를 구성하는 동기 신호 성분 x1(t)는,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주파수 영역의 동기 신호(550)를 구성하는 짝수 번째 성분들(551)이 IDFT를 통해 시간 영역으로 변환된 결과에 대응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간 영역의 동기 신호(500)를 구성하는 동기 신호 성분 x2(t)는,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주파수 영역의 동기 신호(550)를 구성하는 홀수 번째 성분들(552)이 IDFT를 통해 시간 영역으로 변환된 결과에 대응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수학식 16에서와 같이, 시간 영역의 동기 신호(500)를 구성하는 동기 신호 성분 x1(t) 및 x2(t)는 배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Δf은 수학식 17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One or more sequence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550 may be modulated and mapped to a plurality of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FIG. 5B shows the result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or sequence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550 being modulated and mapped to subcarriers of an OFDM symbol. For example, the synchronization signal 550 may be composed of N FFT components. Here, N FFT may be a natural number.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P[i] (i=0, 1, ..., N FFT ) are composed of components with even indices (i.e., i=0, 2, 4, ..., N FFT -2) ( Hereinafter, it will include even-numbered components 551) and components with odd indices (i.e., i=1, 3, 5, ..., N FFT -1) (hereinafter, odd-numbered components 552). For an integer k greater than or equal to 0, the value of the even component P[2k]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550 may be X 1 [k], where X 1 [k] is It may correspond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 x 1 (t) in the time domai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described synchronization signal. In other words, the synchronization signal 500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500 in the time domai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A Signal component Similarly,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 It can be seen that the th components 552 correspond to the result of being converted to the time domain through IDFT. As in Equation 16,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 x 1 (t)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500 in the time domain and x 2 (t) is You can have a double relationship. Here, Δf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Equation 17.

수학식 17을 참조하면, 주파수 영역의 동기 신호(550)를 구성하는 홀수 번째 성분 P[2k+1]은 짝수 번째 성분 P[2k]과 동일한 값 X1[k]를 가지지만, 주파수 영역에서 짝수 번째 성분 P[2k]으로부터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만큼 주파수 천이된 것으로 볼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17, the odd component P[2k+1]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550 in the frequency domain has the same value It can be seen as a frequency shift by one subcarrier interval from the even-numbered component P[2k].

도 5c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560)는 계층적 동기 신호로서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560)는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400),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500) 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동기 신호(56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은 변조되어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 개의 부반송파들에 매핑될 수 있다. 동기 신호(560)는 NFFT개의 성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성분들 P[i]은 짝수 번째 성분들(561)과 홀수 번째 성분들(562)을 포함할 수 있다. 0 이상의 정수 k에 대하여, 동기 신호(560)를 구성하는 짝수 번째 성분 P[2k]의 값은 X1[k]일 수 있다. 여기서, X1[k]는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간 영역에서의 동기 신호 성분 x1(t)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간 영역의 동기 신호(500)를 구성하는 동기 신호 성분 x1(t)는,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주파수 영역의 동기 신호(560)를 구성하는 짝수 번째 성분들(561)이 IDFT를 통해 시간 영역으로 변환된 결과에 대응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간 영역의 동기 신호(500)를 구성하는 동기 신호 성분 x2(t)는,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주파수 영역의 동기 신호(560)를 구성하는 홀수 번째 성분들(562)이 IDFT를 통해 시간 영역으로 변환된 결과에 대응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수학식 16에서와 같이, 시간 영역의 동기 신호(500)를 구성하는 동기 신호 성분 x1(t) 및 x2(t)는 배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Δf은 수학식 18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the synchronization signal 56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as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synchronization signal 560 is the same as the synchronization signal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or the synchronization signal 5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A. It may be similar. One or more sequence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560 may be modulated and mapped to a plurality of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560 may be composed of N FFT components.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P[i] may include even-numbered components 561 and odd-numbered components 562. For an integer k greater than or equal to 0, the value of the even component P[2k]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560 may be X 1 [k]. Here, X 1 [k] may correspond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 x 1 (t) in the time domai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A. Expressed differently,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 The components 561 can be viewed as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being converted to the time domain through IDFT. Similarly,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 The components 562 can be viewed as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being converted to the time domain through IDFT. As in Equation 16,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x 1 (t) and x 2 (t)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500 in the time domain are You can have a double relationship. Here, Δf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Equation 18.

수학식 18을 참조하면, 주파수 영역의 동기 신호(560)를 구성하는 홀수 번째 성분 P[2k+1]은 짝수 번째 성분 P[2k]과 동일한 값 X1[k]를 가지지만, 주파수 영역에서 짝수 번째 성분 P[2k]으로부터 (NFFT/2+1)개의 부반송파 간격만큼 주파수 천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테면, 짝수 번째 성분 P[0]의 값은 X1[0]일 수 있다. 또한, 짝수 번째 성분 P[0]에서 (NFFT/2+1)개의 부반송파 간격만큼 주파수 천이된 홀수 번째 성분 P[NFFT/2+1]의 값은 짝수 번째 성분 P[0]과 동일한 값 X1[0]일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18, the odd component P[2k+1]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560 in the frequency domain has the same value It can be seen as a frequency shift from the even-numbered component P[2k] by the interval of (N FFT /2+1) subcarriers. For example, the value of the even component P[0] may be X 1 [0]. In addition, the value of the odd-numbered component P[N FFT /2+1], which is frequency shifted by (N FFT /2+1) subcarrier intervals from the even-numbered component P[0], is the same as the even-numbered component P[0]. It may be X 1 [0].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두 신호들 x(t) 및 r(t) 간의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ρxr(τ)는 수학식 19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the correlation coefficient ρ xr (τ) between any two signals x(t) and r(t) may be defined the same as or similar to Equation 19.

수학식 19를 참조하면, 두 신호들 x(t) 및 r(t)가 서로 동일할 경우, τ=0일 때 ρxr(τ)=1일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19, if the two signals x(t) and r(t) are the same, ρ xr (τ)=1 when τ=0.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가 시간 영역에서 긴 길이를 가지면, 도플러 천이, CFO, 위상 잡음 등에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도기 신호가 시간 영역에서 짧은 길이를 가질수록 도플러 천이, CFO, 위상 잡음 등에 강인한(robust) 특성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if the synchronization signal has a long length in the time domain, it may be more affected by Doppler shift, CFO, phase noise, etc. In other words, the shorter the Doppler signal has in the time domain, the more robust it can be to Doppler shift, CFO, phase noise, etc.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3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들(500, 550, 560) 각각은 자신보다 길이가 짧은 동기 신호 성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3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500)는 시간 영역에서 자신보다 길이가 짧은 f0(t)(501) 및 f1(t)(502)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550, 560)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짝수 번째 성분들(551, 561) 및 홀수 번째 성분들(552, 562)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each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s 500, 550, and 560 may be composed of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that are shorter than themselves. For exampl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A, the synchronization signal 500 is a combination of f 0 (t) (501) and f 1 (t) (502) that are shorter than themselves in the time domain. It can be composed of . Meanwhile, in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B and 5C, the synchronization signals 550 and 560 have relatively short even-numbered components 551 and 561 and odd-numbered components. It may be composed of components 552 and 562.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동기 신호(이하, '송신 신호')를 p(t)라 하고, 수신 장치에서 수신되는 신호(이하, '수신 신호')를 r(t)라 할 때, 송신 신호 p(t) 및 수신 신호 r(t) 간의 상관 계수 ρpr(τ)는, 동기 신호의 검출기 출력 신호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송신 신호 p(t) 및 수신 신호 r(t)가 동일할 경우, τ=0일 때 ρpr(τ)=1일 수 있다. 그러나, 무선 채널의 영향, 송수신 장치의 구현상 한계 등으로 인하여, 수신 신호 r(t)는 송신 신호 p(t)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테면, 도플러 천이(Doppler shift), 송수신기 간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CFO: Carrier Frequency Offset), 위상 잡음(Phase noise) 등으로 인하여, 수신 신호 r(t)는 송신 신호 p(t)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τ=0일 때 ρpr(τ)는 1보다 작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synchronization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nsmitted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device is referred to as p(t), and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ceived signal') is referred to as r(t). When , the correlation coefficient ρ pr (τ) between the transmitted signal p(t) and the received signal r(t) may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or output signal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When the transmitted signal p(t) and the received signal r(t) are the same, ρ pr (τ)=1 when τ=0. Howev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wireless channel, limitations in implementation of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etc., the received signal r(t) may not be the same as the transmitted signal p(t). For example, due to Doppler shift, carrier frequency offset (CFO) between transmitters and receivers, phase noise, etc., the received signal r(t) may not be the same as the transmitted signal p(t). there is. In this case, ρ pr (τ) may be less than 1 when τ=0.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송신 신호 p(t)는 송신 신호 성분들 x1(t) 및 x2(t)로 구성될 수 있고 수신 신호 r(t)는 수신 신호 성분들 r1(t) 및 r2(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신호 성분들 r1(t) 및 r2(t) 각각은 송신 신호 성분들 x1(t) 및 x2(t)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수신 신호 성분들 r1(t) 및 r2(t) 각각은 송신 신호 성분들 x1(t) 및 x2(t) 각각의 수신 결과에 해당할 수 있다. 송신 신호 성분들 x1(t) 및 x2(t)은 송신 신호 p(t)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시간 영역에서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수신 신호 성분들 r1(t) 및 r2(t)은 수신 신호 r(t)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시간 영역에서 길이가 짧을 수 있다. τ가 충분히 작다고 가정할 경우, 송신 신호 p(t) 및 수신 신호 r(t) 간의 상관 계수 ρpr(τ)는, 수학식 2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근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the transmitted signal p(t) may consist of transmitted signal components x 1 (t) and x 2 (t) and the received signal r(t) may consist of received signal components r 1 (t) ) and r 2 (t). Here, each of the received signal components r 1 (t) and r 2 (t) may correspond to each of the transmitted signal components x 1 (t) and x 2 (t). Expressed differently, each of the received signal components r 1 (t) and r 2 (t) may correspond to the reception result of each of the transmitted signal components x 1 (t) and x 2 (t). The transmission signal components x 1 (t) and x 2 (t) may have a relatively short length in the time domain compared to the transmission signal p(t). The received signal components r 1 (t) and r 2 (t) may have a relatively short length in the time domain compared to the received signal r(t). Assuming that τ is sufficiently small, the correlation coefficient ρ pr (τ) between the transmitted signal p(t) and the received signal r(t) can be approximate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Equation 20.

수학식 20을 참조하면, 송신 신호 p(t) 및 수신 신호 r(t) 간의 상관 계수 ρpr(τ)는, 송신 신호 성분들 x1(t) 및 x2(t)와 수신 신호 성분들 r1(t) 및 r2(t) 간의 상관 계수 의 선형 결합으로 정의 또는 근사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송신 신호 p(t)의 상관 계수 특성은, 시간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송신 신호 성분들 x1(t) 및 x2(t)의 상관 계수 특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3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들(500, 550, 560)은 도플러 천이, CFO, 위상 잡음 등의 영향에 강인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의 상관 계수 특성은 그 외에도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의 특징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2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ρ pr (τ) between the transmitted signal p(t) and the received signal r(t) is the transmitted signal components x 1 (t) and x 2 (t) and the received signal component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r 1 (t) and r 2 (t) and It can be defined or approximated as a linear combination of . Expressed different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ssion signal p(t) can be determined b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of transmission signal components x 1 (t) and x 2 (t) that are relatively short in length in the time domain. The synchronization signals 500, 550, and 560 according to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may have robust characteristics against influences such as Doppler shift, CFO, and phase noise. there i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may appear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수학식 16 및 수학식 20을 조합할 경우, 수학식 21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When Equation 16 and Equation 20 are combined, the same or similar conclusion as Equation 21 can be drawn.

수학식 21에서, 등호는 τ=0일 때 성립할 수 있다. 수학식 21을 참조하면,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3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들(500, 550, 560)의 경우, τ≠0일 때 상관 계수 ρpr(τ)의 값이 상관 계수 의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ρpr(τ)의 사이드로브(sidelobe)(τ≠0인 경우)에서의 값이, 상관 계수 의 사이드로브에서의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관 계수 ρpr(τ)의 값은 동기 신호 p(t)의 상관 계수 특성에 대응될 수 있고, 상관 계수 의 값은 동기 신호 성분 x1(t)의 상관 계수 특성에 대응될 수 있다. 수학식 21은,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3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들(500, 550, 560)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동기 신호 성분들이 연결됨으로써 생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길이가 긴 동기 신호의 성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길이가 짧은 동기 신호 성분들을 연결하여 동기 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동기 신호의 성능 개선을 위하여 특정한 특성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하는 설계가 적용될 수 있다.In Equation 21, the equal sign can be established when τ=0. Referring to Equation 21, in the case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s 500, 550, and 560 according to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when τ≠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e value of ρ pr (τ) 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t may be smaller than the value of . Expressed differently, the value in the sidelobe of ρ pr (τ) (when τ≠0) 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t may be smaller than the value in the sidelobe of . Here, the valu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ρ pr (τ) may correspond t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e value of may correspond t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 x 1 (t). Equation 21 shows that the synchronization signals 500, 550, and 560 according to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are obtained by connecting relatively short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This may mean that, despite being generated, it can have the performance of a long synchronization signal. In this way, when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by connecting short-length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a design that allows specific characteristics to be provid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applied.

도 6은 동기 신호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도 6을 참조하면, 동기 신호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구조(600)는 계층적 동기 신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동기 신호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ynchronization signal structure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six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with reference to FIG. 6,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C may be omitted.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동기 신호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동기 신호로 이루어진 동기 신호 집합이 구성될 수 있고, 동기 신호 집합을 구성하는 동기 신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 신호 집합 W의 원소의 개수를 자연수 NW라 할 때, 동기 신호 집합 W는 수학식 2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표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on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used alone.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 synchronization signal se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s may be configured,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s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may be used. When the number of ele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is a natural number N W ,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can be expressed the same or similar to Equation 22.

수학식 22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 집합 W는 NW개의 동기 신호들 pi(t)(i=0, 1, ..., NW-1)을 원소로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동기 신호 구조(600)에서는, NW=4일 수 있다. 즉, 수학식 22에 따른 동기 신호 집합 W는 4개의 동기 신호들 p0(t)(618), p1(t)(628), p2(t)(638), p3(t)(648)을 원소로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동기 신호의 제7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Equation 22,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may have N W synchronization signals p i (t) (i = 0, 1, ..., N W -1) as elements. 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structure 600 shown in FIG. 6, N W = 4. In other words,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according to Equation 22 is composed of four synchronization signals p 0 (t)(618), p 1 (t)(628), p 2 (t)(638), p 3 (t)( 648) as an element.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limited to this.

동기 신호 집합 W를 구성하는 4개의 동기 신호들 p0(t)(618), p1(t)(628), p2(t)(638), p3(t)(648) 각각은,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동기 신호들(618, 628, 638, 648) 각각은, 수학식 23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결정될 수 있다.Each of the four synchronization signals p 0 (t) (618), p 1 (t) (628), p 2 (t) (638), and p 3 (t) (648) that constitute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is, It can be generated based on a set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Λ . For example, each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s 618, 628, 638, and 648 may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Equation 23.

수학식 23에서, pi(t)는 동기 신호들(618, 628, 638, 648)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동기 신호 pi(t)는 벡터 g i, 행렬 A i, 행렬 X i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 pi(t)를 결정하는 벡터 g i, 행렬 A i, 행렬 X i,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수학식 24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표현될 수 있다.In Equation 23, p i (t) may refer to each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s 618, 628, 638, and 648.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i (t) may be determined based on vector g i , matrix A i , matrix X i , etc.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6, the vector g i , matrix A i , matrix X i , and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that determine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i (t) may be expressed the same or similar to Equation 24.

수학식 24에서, 4개의 벡터들 g 1, g 2, g 3 g 4 각각은 수학식 25와 같이 표현되는 (4×4) 크기의 왈시 행렬의 행에 해당할 수 있다.In Equation 24, each of the four vectors g 1 , g 2 , g 3 and g 4 may correspond to a row of a Walsh matrix of size (4×4) expressed as Equation 25.

수학식 24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들(618, 628, 638, 648) 각각은 하나의 동기 신호 요소 x(t)만을 원소로 가지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0(t)(618)는 수학식 24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 섹션들(610, 611, ..., 617)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1(t)(628)는 수학식 24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 섹션들(620, 621, ..., 627)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2(t)(638)는 수학식 24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 섹션들(630, 631, ..., 637)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3(t)(648)는 수학식 24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 섹션들(640, 641, ..., 647)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24, each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s 618, 628, 638, and 648 can be generated based on a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that has only on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x(t) as an element.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0 (t) 618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610, 611, ..., 617 generated based on Equation 24.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1 (t) 628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620, 621, ..., 627 generated based on Equation 24.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2 (t) 638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630, 631, ..., 637 generated based on Equation 24.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3 (t) 648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640, 641, ..., 647 generated based on Equation 24.

도 7은 동기 신호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eventh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도 7을 참조하면, 동기 신호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구조(700)는 계층적 동기 신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동기 신호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ynchronization signal structure 70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with reference to FIG. 7,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may be omitted.

도 7에 도시된 동기 신호 구조(700)에서, 동기 신호 집합 W는 4개의 동기 신호들 p0(t)(718), p1(t)(728), p2(t)(738), p3(t)(748)을 원소로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동기 신호의 제7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structure 700 shown in FIG. 7,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includes four synchronization signals p 0 (t) (718), p 1 (t) (728), p 2 (t) (738), It can have p 3 (t) (748) as an element.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limited to this.

동기 신호들(718, 728, 738, 748) 각각은 동기 신호 pi(t)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i(t)를 결정하는 벡터 g i, 행렬 A i, 행렬 X i,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수학식 26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표현될 수 있다.Each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s 718, 728, 738, and 748 can be expressed as a synchronization signal p i (t). The vector g i , matrix A i , matrix

수학식 26에서, 4개의 벡터들 g 1, g 2, g 3 g 4 각각은 수학식 25와 같이 표현되는 (4×4) 크기의 왈시 행렬의 행에 해당할 수 있다. 수학식 26을 참조하면, 동기 신호들(718, 728, 738, 748) 각각은 2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 x1(t) 및 x2(t)을 원소로 가지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0(t)(718)는 수학식 27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 섹션들(710, 711, ..., 717)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1(t)(728)는 수학식 27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 섹션들(720, 721, ..., 727)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2(t)(738)는 수학식 27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 섹션들(730, 731, ..., 737)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p3(t)(748)는 수학식 27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 섹션들(740, 741, ..., 747)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Equation 26, each of the four vectors g 1 , g 2 , g 3 and g 4 may correspond to a row of a Walsh matrix of size (4×4) expressed as Equation 25. Referring to Equation 26, each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s 718, 728, 738, and 748 is based on a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having two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1 (t) and x 2 (t) as elements. can be created.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0 (t) 718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710, 711, ..., 717 generated based on Equation 27.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1 (t) 728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720, 721, ..., 727 generated based on Equation 27.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2 (t) 738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730, 731, ..., 737 generated based on Equation 27. The synchronization signal p 3 (t) 748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740, 741, ..., 747 generated based on Equation 27.

한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 집합 W는 수학식 27에서와 같이 복수 개(이를테면, 4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포함하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including a plurality (for example, four)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s shown in Equation 27.

수학식 24, 수학식 26 및 수학식 27에는, 동기 신호 pi(t)별로 적용되는 행렬 A i 및 행렬 Xi가 모두 동일한 실시예들이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 집합 W는 수학식 28과 같이 동기 신호 pi(t)별로 적용되는 행렬 A i 및/또는 행렬 Xi가 서로 상이한 수학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Equation 24, Equation 26, and Equation 27 can be seen as expressing embodiments in which the matrix A i and matrix X i applied to each synchronization signal p i (t) are all the sam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embodiments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may be generated based on equations in which the matrix A i and/or the matrix X i applied to each synchronization signal p i (t) are different, as shown in Equation 28. .

도 8은 동기 신호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ighth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도 8을 참조하면, 동기 신호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800)는 계층적 동기 신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동기 신호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synchronization signal 800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configured as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with reference to FIG. 8,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may be omitted.

도 4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서는, 동기 신호가 하나의 동기 신호 요소(이를테면, x(t) 등)에 기초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시간 영역에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동기 신호 요소들(이를테면, xi(t) 등)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동기 신호의 제8 실시예에서는 동기 신호 p(t)는 복수의 동기 신호 요소들 xm,n(t)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복수의 동기 신호 요소들 xm,n(t) 중 적어도 일부는 시간 영역에서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n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7,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on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e.g., x(t), etc.), or has the same length in the time domain. It can be viewed as being gene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for example, x i (t), etc.) having . Meanwhile, in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may be gene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m,n (t), and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m,n (t ), at least some of which may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time domain.

동기 신호의 제8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 p(t)(800)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 g·f(t)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동기 신호 부분이 1개일 경우, 1개의 동기 신호 부분이 동기 신호 p(t)(800)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동기 신호 부분들이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시간 영역에서 연결한 결과가 동기 신호 p(t)(80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8에는 동기 신호 p(t)(800)가 1개의 동기 신호 부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동기 신호의 제8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In an eigh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800 may be defined based on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g·f(t). When there is on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on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may correspond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800). Meanwhi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the result of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in the time domain may correspond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800). FIG. 8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800) is generated based on on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However,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limited to this.

동기 신호 p(t)(800)의 시간 영역에서의 길이는 LP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동기 신호 부분의 시간 영역에서의 길이는 LS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동기 신호 부분들이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동기 신호 부분들은 서로 동일한 길이 LS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The length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800) in the time domain can be expressed as L P . Meanwhile, the length of eac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in the time domain can be expressed as L 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may have the same length L S or different lengths.

동기 신호 p(t)(800)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복수의 동기 신호 요소들 xm,n(t)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 xm,n(t)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섹션들(sections)이 시간 영역에서 연결됨에 따라, 시간 영역에서 동기 신호 p(t)(8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동기 신호 섹션 묶음(section bundle)이 생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수학식 29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표현될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800)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may include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m,n (t). As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generated based on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m,n (t) are connected in the time domain, the length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800) in the time domain A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 having the same length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can be expressed the same or similar to Equation 29.

수학식 29에서, 동기 신호 요소 x0,0(t)의 시간 영역에서의 길이는 LS일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 x0,0(t)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동기 신호 섹션 a0,0·x0,0(t)(811)은 시간 영역에서 1개의 동기 신호 부분의 길이 LS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동기 신호 섹션 a0,0·x0,0(t)(811)이 제1 동기 신호 섹션 묶음(810)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In Equation 29, the length in the time domain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x 0,0 (t) may be L S.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a 0,0 ·x 0,0 (t) (811), defin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x 0,0 (t) , has a length equal to the length L S of on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in the time domain. You can have it. On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a 0,0 ·x 0,0 (t) 811 can be viewed a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 810.

동기 신호 요소들 x1,0(t), x1,1(t)의 시간 영역에서의 길이는 (1/2)LS일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들 x1,0(t), x1,1(t)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2개의 동기 신호 섹션들 a1,0·x1,0(t)(821), a1,1·x1,1(t)(822)는 각각 시간 영역에서 1개의 동기 신호 부분의 길이 LS의 1/2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시간 영역에서 연결한 결과에 해당하는 제2 동기 신호 섹션 묶음(820)은, 시간 영역에서 동기 신호 부분의 길이 LS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1,0 (t), x 1,1 (t) in the time domain may be (1/2)L S. Two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defined based on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1,0 (t), x 1,1 (t) a 1,0 ·x 1,0 (t) (821), a 1,1 ·x 1,1 (t) 822 may each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1/2 of the length L S of on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in the time domain. Th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 820, which is the result of concatenating two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 the time domain, may have a length equal to the length L 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in the time domain.

동기 신호 요소들 x2,0(t), x2,1(t), x2,2(t)의 시간 영역에서의 길이는 (1/3)LS일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들 x2,0(t), x2,1(t), x2,2(t)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3개의 동기 신호 섹션들 a2,0·x2,0(t)(831), a2,1·x2,1(t)(832), a2,2·x2,2(t)(833)는 각각 시간 영역에서 동기 신호 부분의 길이 LS의 1/3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3개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시간 영역에서 연결한 결과에 해당하는 제3 동기 신호 묶음(830)은, 시간 영역에서 동기 신호 부분의 길이 LS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2,0 (t), x 2,1 (t), and x 2,2 (t) in the time domain may be (1/3)L S. Thre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a 2,0 ·x 2,0 (t ) defined based on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2,0 (t), x 2,1 (t), x 2,2 (t) (831), a 2,1 ·x 2,1 (t)(832), a 2,2 ·x 2,2 (t)(833) are 1/ of the length L 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in the time domain, respectively. It can have a length equivalent to 3. The third synchronization signal bundle 830, which is the result of concatenating thre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 the time domain, may have a length equal to the length L 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in the time domain.

동기 신호 요소들 x3,0(t), x3,1(t), x3,2(t), x3,3(t)의 시간 영역에서의 길이는 (1/4)LS일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들 x3,0(t), x3,1(t), x3,2(t), x3,3(t)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4개의 동기 신호 섹션들 a3,0·x3,0(t)(841), a3,1·x3,1(t)(843), a3,3·x3,3(t)(844)는 각각 시간 영역에서 동기 신호 부분의 길이 LS의 1/4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4개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시간 영역에서 연결한 결과에 해당하는 제4 동기 신호 묶음(840)은, 시간 영역에서 동기 신호 부분의 길이 LS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length in the time domain of the synchronous signal elements x 3,0 (t), x 3,1 (t), x 3,2 (t), x 3,3 (t) is (1/4) L S days. You can. Four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a 3,0 defined based on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3,0 (t), x 3,1 (t), x 3,2 (t), x 3,3 (t) ·x 3,0 (t)(841), a 3,1 ·x 3,1 (t)(843), a 3,3 ·x 3,3 (t)(844) are each synchronization signal in the time domain It can have a length equivalent to 1/4 of the length of the part, L S. The fourth synchronization signal bundle 840, which is the result of concatenating four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 the time domain, may have a length equal to the length L 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in the time domain.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섹션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섹션 묶음들을 더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이 생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복수의 동기 신호 요소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811, 821, 822, 831, 832, 833, 841, 842, 843, 844)에 기초하여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 묶음들(810, 820, 830, 840)이 생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 묶음들(810, 820, 830, 840)을 더함으로써, 동기 신호 부분 g·f(t)(800)이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부분이 1개이기 때문에, 이와 같이 생성된 동기 신호 부분(800)이 동기 신호 p(t)에 해당할 수 있다.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may be generated by add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s generated based on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For example,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s 810 based on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811, 821, 822, 831, 832, 833, 841, 842, 843, 844). , 820, 830, 840) can be generated. By adding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s 810, 820, 830, and 840, a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g·f(t) 800 can be generated. Since there is only on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800 generated in this way may correspond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벡터 g, 행렬 A, 행렬 X, 동기 신호 요소 집합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는 수학식 3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표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vector g , matrix A , matrix

도 9는 동기 신호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ninth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도 9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900)는 계층적 동기 신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동기 신호의 제9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ynchronization signal 900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configured as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nin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with reference to FIG. 9,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may be omitted.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섹션들이 생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섹션들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이 생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이 연결 또는 결합되어 동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a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a set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Λ .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may be generated based on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may be connected or combined to generate a synchronization signal.

도 4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1 내지 제8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동기 신호 부분들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가 생성될 경우, 복수의 동기 신호 부분들이 시간 영역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고 연결(또는 결합)됨으로써 동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동기 신호의 제9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동기 신호 부분들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가 생성될 경우, 복수의 동기 신호 부분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일부 중첩되며 결합됨으로써 동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In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8, when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time domain. A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generated by being connected (or combined). Meanwhile, in the nin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when a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a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y partially overlapping and combining some or all of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there is.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900)는 N개의 동기 신호 부분들(910, 911, ..., 912)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1보다 큰 자연수일 수 있다. N개의 동기 신호 부분들(910, 911, ..., 912) 각각이 가지는 값은 g[0]·f0(t), g[1]·f1(t), ..., g[N-1]·fN-1(t)일 수 있다. N개의 동기 신호 부분들(910, 911, ..., 912)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900)가 생성될 경우, N개의 동기 신호 부분들(910, 911, ..., 912)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일부 중첩되며 결합됨으로써 동기 신호(900)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 부분들이 서로 중첩되는 구간들에 대하여는 합연산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동기 신호 부분들이 서로 중첩되는 구간에서, 서로 중첩되는 2개의 동기 신호 부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실제 정보값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동기 신호 부분들에서 실제 정보값을 가지지 않는 구간이 중첩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synchronization signal 900 may be generated based on N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910, 911, ..., 912. Here, N may be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The values of each of the N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910, 911, ..., 912) are g[0]·f 0 (t), g[1]·f 1 (t), ..., g[ It may be N-1]·f N-1 (t). When the synchronization signal 900 is generated based on the N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910, 911, ..., 912, some of the N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910, 911, ..., 912 or The synchronization signal 900 can be generated by combining all of them with some overlap with each other. Here, summation may be performed on sections whe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overlap each other. Alternatively, in a section wher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overlap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two overlapping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may not have an actual information value. Expressed differently, section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that do not have actual information values may be controlled to overlap.

도 10은 상호 상관기(cross-correlator)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cross-correlator.

도 10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는 계층적 동기 신호가 아닌 동기 신호(이하, 비-계층적(non-layered)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 장치는 비-계층적 동기 신호 p(t)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에서 송신된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호 상관기(cross-correlator)에 기초하여, 비-계층적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상호 상관기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a communication system, a transmitting device may transmit a synchronization signal other than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hereinafter, a non-layered synchronization signal). The transmitting device may transmit a non-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p(t). The receiving device can receive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The receiving device may receive a non-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based on a cross-correlator that is the same or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10.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ross-correlator with reference to FIG. 10,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may be omitted.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간에는 계층적 동기 신호 p(t)에 대한 정보가 사전 공유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검출하고자 하는 동기 신호 p(t)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analog-to-digital converter)를 이용하여 Np개의 샘플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 p[n]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about the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p(t) may be shared in adv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The receiving device can convert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to be detected into a digital signal p[n] consisting of N p samples using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수신 장치는 상호 상관기(1000)에 상관기 입력(1001)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관기 입력(1001)은 수신 장치가 수신 및/또는 복조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호 상관기(1000)에 상관기 입력(1001)이 입력되면, 상호 상관기(1000)는 상관기 출력(1002)을 출력할 수 있다.The receiving device may input the correlator input 1001 to the crosscorrelator 1000. Here, the correlator input 1001 may refer to a signal received and/or demodulated by the receiving device. When the correlator input 1001 is input to the crosscorrelator 1000, the crosscorrelator 1000 may output a correlator output 1002.

상호 상관기(1000)는 상관기 입력(1001)에 대하여, 신호 p[n]에 기초한 상호 상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Np개의 샘플들로 구성되는 신호 p[n]에 기초한 상호 상관 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호 상관기(1000)는 적어도 Np개의 메모리(1020), Np개의 곱셈부(1030), 1개의 덧셈부(10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ross-correlator 1000 may perform a cross-correlation operation based on the signal p[n] on the correlator input 1001. In order to perform a cross-correlation operation based on a signal p[n] consisting of N p samples, the crosscorrelator 1000 includes at least N p memories 1020, N p multipliers 1030, and 1 adder. It may include unit 1040.

도 11은 상호 상관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ross-correlator.

도 1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는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기 신호를 용이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수신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호 상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상호 상관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a communication system, a transmitting device can transmit a synchronization signal. The receiving device can receive a synchronization signal. In order to easily receive a synchronization signal, the receiving device may include the same or similar crosscorrelator as shown in FIG. 11.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ross-correlator with reference to FIG. 11,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may be omitted.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수신 장치는 동기 신호 p(t)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analog-to-digital converter)를 이용하여 Np개의 샘플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 p[n](n=0, 1, ..., Np-1)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p[n]은 수학식 3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receiving device converts the synchronization signal p(t) into a digital signal p[n] (n=n=N p samples) using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0, 1, ..., N p -1). In this case, the signal p[n]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31.

수학식 31에서, Np는 디지털 신호 p[n]의 샘플들의 개수를 의미하는 자연수일 수 있다. 상호 상관기(1100)는 변환된 신호 p[n]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동기 신호 p(n)에 해당하는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In Equation 31, N p may be a natural number meaning the number of samples of the digital signal p[n]. The crosscorrelator 1100 may use the converted signal p[n] to perform an operation to detect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p(n) in the received signal.

수신 장치는 상호 상관기(1100)에 상관기 입력(1101)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관기 입력(1101)은 수신 장치가 수신 및/또는 복조한 신호일 수 있다. 상호 상관기(1100)는 상관기 입력(1101)에 대하여, 신호 p[n](n=0, 1, ..., Np-1)에 기초한 상호 상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호 상관기(1100)는 상관기 출력(1102)을 출력할 수 있다. The receiving device may input a correlator input 1101 to the crosscorrelator 1100. Here, the correlator input 1101 may be a signal received and/or demodulated by the receiving device. The cross-correlator 1100 may perform a cross-correlation operation based on the signal p[n] (n=0, 1, ..., N p -1) with respect to the correlator input 1101. Cross-correlator 1100 may output a correlator output 1102.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에서 송신된 비-계층적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장치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호 상관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호 상관기에 기초하여, 수신된 비-계층적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르게 필요하면, 상호 상관기(1100)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호 상관기(10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경우, 수신 장치는 상호 상관기(1100)를 이용하여 비-계층적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a receiving device may receive a non-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ing device. In this case, the receiving device may detect the received non-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based on a cross-correlator that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ross-correlato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If otherwise needed, if the crosscorrelator 1100 is configured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e crosscorerator 10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receiving device may detect a non-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using the crosscorrelator 1100. You can.

한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에서 송신된 계층적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장치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동기 신호 검출기들에 기초하여, 수신된 계층적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르게 필요하면, 상호 상관기(1100)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동기 신호 검출기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경우, 수신 장치는 상호 상관기(1100)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 검출기를 이용하여 계층적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 receiving device may receive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ing device. In this case, the receiving device can detect the received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based on the same or similar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s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5. there is. Alternatively, when the cross-correlator 1100 is included in any one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s shown in FIGS. 13 to 15, the receiving device uses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including the cross-correlator 1100 to detect the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detected.

도 12는 동기 신호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1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tenth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도 12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는 계층적 동기 신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동기 신호의 제10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configured as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ten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with reference to FIG. 12,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may be omitted.

계층적 동기 신호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의 원소인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동기 신호 요소 xm,n(t) 및 대응되는 계수 am,n(t)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섹션(section) am,n·xm,n(t)(1201)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am,n·xm,n(t)(1201)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섹션들(sections)의 결합에 기초하여 fn(t)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fn(t) 및 대응되는 계수 g[n]에 기초하여, n번째 동기 신호 부분(part) g[n]·fn(t)(1200)가 생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이 연결(또는 결합)됨에 따라, 동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that are elements of a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For example,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m,n (t) and the corresponding coefficients a m,n (t), a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a m,n ·x m,n (t) 1201 is generated. It can be. Additionally, f n (t)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cluding a m,n ·x m,n (t) (1201). Based on the generated f n (t) and the corresponding coefficient g[n], the nth synchronization signal part g[n]·f n (t) 1200 may be generated. As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are connected (or combined), a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다르게 표현하면, 동기 신호는 N개의 동기 신호 부분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N개의 동기 신호 부분들 중 n번째 동기 신호 부분 g[n]·fn(t)(1200)은, M개의 동기 신호 섹션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M개의 동기 신호 섹션들 중 m번째 동기 신호 섹션 am,n·xm,n(t)(1201)은,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의 원소인 동기 신호 요소 xm,n(t)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Expressed differently, the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generated based on N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Among the N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the nth synchronization signal part g[n]·f n (t) (1200)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M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Among the M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the m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a m,n ·x m,n (t) (1201) is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x m,n (t), which is an ele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can be created.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동기 신호는 도 12에 도시된 동기 신호의 제10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신 장치는 수신된 동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동기 신호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기는 하나 이상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modules)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 각각은 특정한 동기 신호 요소, 특정한 동기 신호 섹션, 특정한 동기 신호 섹션 묶음, 특정한 동기 신호 부분에 대한 검출을 위한 연산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13에는 동기 신호 요소 xm,n(t) 또는 동기 신호 섹션 am,n·xm,n(t)(1201)에 대응되는 검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상호 상관기 모듈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device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s the tenth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shown in FIG. 12. The receiving device may include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to detect the received synchronization signal. The synchronous signal detector may include one or more crosscorrelator modules. Each of the one or more crosscorrelator modules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for detection of a specific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a specific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a specific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set, or a specific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 For example, Figure 13 shows a cross-correlator module configured to perform a detectio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x m,n (t) or a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a m,n ·x m,n (t) (1201). An embodiment can be seen as shown.

도 13은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1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도 13을 참조하면,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기는 계층적 동기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기는 도 4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1 내지 제9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계층적 동기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동기 신호 검출기는 하나 이상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호 상관기 모듈은 도 13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ninth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9. For this purpose,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may include one or more crosscorrelator modules. Each crosscorrelator module may be configured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13 .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with reference to FIG. 13,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may be omitted.

동기 신호 검출기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 각각은 상호 상관기(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상관기 모듈의 상호 상관기(1300)에는 상관기 입력(1301)이 입력될 수 있다. 상호 상관기 모듈은 상호 상관기 모듈의 구조에 기초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관기 출력(1302)을 출력할 수 있다.Each of one or more cross-correlator modules included 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may include a cross-correlator 1300. A correlator input 1301 may be input to the crosscorrelator 1300 of the crosscorrelator module. The crosscorrelator module may perform an operation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crosscorrelator module and output a correlator output 1302.

구체적으로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간에는 계층적 동기 신호의 생성을 위한 벡터 g, 행렬 A, 행렬 X 및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가 사전 공유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의 원소인 동기 신호 요소 xm,n(t)를, ADC를 이용하여 K개의 샘플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 xm,n[k](k=0, 1, ..., K-1)로 변환할 수 있다. 신호 xm,n[k]는 xmn[k]와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수신 장치의 동기 신호 검출기는, 변환된 신호 xm,n[k]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동기 신호 요소 xm,n(t)에 대응되는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information about at least some of the vector g , matrix A , matrix X , and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for generating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shared in adv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The receiving device uses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x m,n (t), which is an ele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and uses an ADC to convert a digital signal x m,n [k] (k=0, 1, ..) consisting of K samples. ., K-1). The signal x m,n [k] can also be expressed as x mn [k].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of the receiving device may use the converted signal x m,n [k] to perform an operation to detect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x m,n (t) in the received signal.

수신 장치는 동기 신호 검출기에 포함되는 상호 상관기(1300)에 상관기 입력(1301)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관기 입력(1301)은 수신 장치가 수신 및/또는 복조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호 상관기(1300)는 상관기 입력(1301)에 대하여, 신호 xm,n[k]에 기초한 상호 상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ceiving device may input the correlator input 1301 to the crosscorrelator 1300 included 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Here, the correlator input 1301 may refer to a signal received and/or demodulated by the receiving device. The cross-correlator 1300 may perform a cross-correlation operation based on the signal x m,n [k] on the correlator input 1301.

상호 상관기(1300)에서 출력된 신호는, 곱셈기에 입력될 수도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샘플 딜레이들에서의 연산을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호 상관기 모듈은 하나 이상의 K-샘플 딜레이들 Z-K(13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K-샘플 딜레이들 Z-K(1310) 각각은 K개의 샘플 딜레이들 Z-1(13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호 상관기(1300)에서 출력된 신호는 n개의 K-샘플 딜레이들 Z-K(1310)을 거쳐서, 제1 곱셈기(1350)에 입력될 수 있다. 제1 곱셈기(1350)에서는 계수 am,n(t)이 곱해질 수 있다. 곱셈기(1350)에서 출력된 신호는 덧셈기(1320)에 입력될 수 있다. 덧셈기(1320)에서는 하나 이상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 각각의 곱셈기에서 출력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이 더해질 수 있다. 덧셈기(1320)의 출력은 제2 곱셈기(1330)에 입력될 수 있다. 제2 곱셈기(1330)에서는 계수 g[n]이 곱해질 수 있다. 제2 곱셈기(1330)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호 상관기 모듈의 출력(즉, 상관기 출력(1302))에 해당할 수 있다. The signal output from the crosscorrelator 1300 may be input to a multiplier or may be operated on one or more sample delays. Specifically, the crosscorrelator module may include one or more K-sample delays Z -K (1310). Each of the one or more K-sample delays Z -K (1310) may be composed of K sample delays Z -1 (1340). The signal output from the crosscorrelator 1300 may be input to the first multiplier 1350 through n K-sample delays Z -K (1310). In the first multiplier 1350, coefficients a m, n (t) may be multiplied. The signal output from the multiplier 1350 may be input to the adder 1320. In the adder 1320, one or more signals output from the multipliers of each of one or more crosscorrelator modules may be added. The output of the adder 1320 may be input to the second multiplier 1330. In the second multiplier 1330, the coefficient g[n] may be multiplied.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multiplier 1330 may correspond to the output of the crosscorrelator module (i.e., correlator output 1302).

도 13에 도시된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호 상관기 모듈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 섹션 am,n·xm,n(t)(1201)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상호 상관기 모듈은, 동기 신호 섹션 am,n·xm,n(t)(1201)에 대한 검출(또는 복원)을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호 상관기 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관기 출력(1302)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섹션 am,n·xm,n(t)(1201)에 대한 검출(또는 복원)이 수행될 수 있다.The crosscorrelato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shown in FIG. 13 may correspond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a m,n ·x m,n (t) 120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The crosscorrelator module shown in FIG. 13 may perform operations for detection (or recovery)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a m,n ·x m,n (t) 1201. Based on the correlator output 1302 output from the cross-correlator module, detection (or restoration)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a m,n ·x m,n (t) 1201 may be performed.

도 14는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1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도 14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기는 계층적 동기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기는 도 4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의 제1 내지 제9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계층적 동기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동기 신호 검출기는 하나 이상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복수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을 포함하는 동기 신호 검출기 구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ninth embodi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9. For this purpose,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may include one or more crosscorrelator modules. FIG. 14 shows an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cross-correlator module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with reference to FIG. 14,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may be omitted.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2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 검출기는 복수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J가 1보다 큰 자연수라 할 때, 동기 신호 검출기는 J개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J개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을 포함하는 동기 신호 검출기는,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In a second embodiment of a synchronous signal detector, the synchronous signal detec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rosscorrelator modules. When J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the synchronous signal detector may include J cross-correlator modules.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including J crosscorrelator modules can detect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using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 검출기는 제1 상호 상관기 모듈 및 제2 상호 상관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호 상관기 모듈은 제1 상호 상관기(1400-1), 제1 곱셈기(1431), 제2 곱셈기(1432), 제1 K-샘플 딜레이(1441) 및 제1 덧셈기(14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호 상관기 모듈은 제2 상호 상관기(1400-2), 제3 곱셈기(1433), 제4 곱셈기(1434), 제2 K-샘플 딜레이(1442) 및 제2 덧셈기(1452)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4, the sync signal detector may include a first crosscorrelator module and a second crosscorrelator module. The first crosscorrelator module may include a first crosscorrelator (1400-1), a first multiplier (1431), a second multiplier (1432), a first K-sample delay (1441), and a first adder (1451). there is. The second crosscorrelator module may include a second crosscorrelator (1400-2), a third multiplier (1433), a fourth multiplier (1434), a second K-sample delay (1442), and a second adder (1452). there is.

구체적으로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간에는 계층적 동기 신호의 생성을 위한 벡터 g, 행렬 A, 행렬 X 및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가 사전 공유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의 원소들인 동기 신호 요소 x1(t) 및 x2(t)를, ADC를 이용하여 K개의 샘플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들 x1[k] 및 x2[k]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장치의 동기 신호 검출기는, 제1 및 제2 상호 상관기 모듈과, 변환된 신호들 x1[k] 및 x2[k]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동기 신호 요소들 x1(t) 및 x2(t)에 대응되는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information about at least some of the vector g , matrix A , matrix X , and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for generating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shared in adv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The receiving device converts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1 (t) and x 2 (t), which are ele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into digital signals x 1 [k] and x 2 [k] consisting of K samples using an ADC. It can be converted to .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of the receiving device uses the first and second crosscorrelator modules and the converted signals x 1 [k] and x 2 [k] to detec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x 1 (t) and An operation can be performed to detect the component corresponding to x 2 (t).

수신 장치는 동기 신호 검출기에 포함되는 제1 상호 상관기(1400-1) 및 제2 상호 상관기(1400-2)에, 상관기 입력(1401)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관기 입력(1401)은 수신 장치가 수신 및/또는 복조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상호 상관기(1400-1)는 상관기 입력(1401)에 대하여, 신호 x1[k]에 기초한 상호 상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상호 상관기(1400-2)는 상관기 입력(1401)에 대하여, 신호 x2[k]에 기초한 상호 상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ceiving device may input the correlator input 1401 to the first cross correlator 1400-1 and the second cross correlator 1400-2 included 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Here, the correlator input 1401 may refer to a signal received and/or demodulated by the receiving device. The first cross-correlator 1400-1 may perform a cross-correlation operation based on the signal x 1 [k] with respect to the correlator input 1401. The second cross-correlator 1400-2 may perform a cross-correlation operation based on the signal x 2 [k] with respect to the correlator input 1401.

동기 신호 검출기는 제1 및 제2 상호 상관기 모듈에서 출력된 신호들에 대한 합연산을 위하여 제3 덧셈기(14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동기 신호 검출기에서, 상호 상관기 모듈들에서 출력된 신호들은 덧셈기(1453)에서 더해진 이후, 상관기 출력(1402)으로서 출력될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dder 1453 to perform a sum operation on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crosscorrelator modules. In the synchronous signal detector shown in FIG. 14, signals output from the cross-correlator modules may be added in an adder 1453 and then output as a correlator output 1402.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기는, 복수의 동기 신호 요소들(이를테면, x1(t), x2(t))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can effectively detect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eg, x 1 (t), x 2 (t)).

도 15는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1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도 15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기는 계층적 동기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기는 하나 이상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는 하나의 상호 상관기 모듈을 포함하는 동기 신호 검출기 구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하, 도 15을 참조하여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sync signal detector may include one or more crosscorrelator modules. FIG. 15 shows an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structure including one crosscorrelator module.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with reference to FIG. 15,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may be omitted.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3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 검출기는 하나 이상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상호 상관기 모듈을 포함하는 동기 신호 검출기는, 하나의 동기 신호 요소(이를테면, x(t))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상호 상관기 모듈들을 포함하는 동기 신호 검출기는, 복수의 동기 신호 요소들(이를테면, x1(t), x2(t))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에는 동기 신호 검출기가 하나의 상호 상관기 모듈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3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In a third embodiment of a sync signal detector, the sync signal detector may include one or more crosscorrelator modules.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including one crosscorrelator module may perform operations to detect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ased on on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e.g., x(t)). Meanwhil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including a plurality of crosscorrelator modules detects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e.g., x 1 (t), x 2 ( An operation can be performed to detect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ased on t)). FIG. 1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includes one crosscorrelator modul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is not limited to this.

동기 신호 검출기의 제3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 검출기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로 구성되는 동기 신호 집합 W을 검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동기 신호 검출기는 수신된 동기 신호가 동기 신호 집합 W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 pi(t)(i=0, 1, ..., NW-1) 중 어떤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 집합 W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 집합 W 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신호 집합 W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In a third embodi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may perform an operation to detect a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consisting of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Alternatively,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determines that the received synchronization signal includes any synchronization signal amo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p i (t) (i = 0, 1, ..., N W -1) constitu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An operation can be performed to detect whether the Here,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or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구체적으로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간에는 계층적 동기 신호의 생성을 위한 벡터 g, 행렬 A, 행렬 X,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 및 동기 신호 집합 W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가 사전 공유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 Λ의 원소인 동기 신호 요소 x(t)를, ADC를 이용하여 K개의 샘플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 x[k](k=0, 1, ..., K-1)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장치의 동기 신호 검출기는, 변환된 신호 x[k]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동기 신호 요소 x(t)에 대응되는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information on at least some of the vector g , matrix A , matrix The receiving device uses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x(t), which is an elemen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Λ , and uses an ADC to generate a digital signal x[k] (k=0, 1, ..., K-1) consisting of K samples. It can be converted to .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of the receiving device may use the converted signal x[k] to perform an operation to detect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x(t) in the received signal.

수신 장치는 동기 신호 검출기에 포함되는 상호 상관기(1500)에 상관기 입력(1501)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관기 입력(1501)은 수신 장치가 수신 및/또는 복조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호 상관기(1500)는 상관기 입력(1501)에 대하여, 신호 x[k]에 기초한 상호 상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ceiving device may input the correlator input 1501 to the crosscorrelator 1500 included 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Here, the correlator input 1501 may refer to a signal received and/or demodulated by the receiving device. The cross-correlator 1500 may perform a cross-correlation operation based on the signal x[k] on the correlator input 1501.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 집합 W의 원소의 수 NW는 4일 수 있다. 동기 신호 집합 W는 4개의 동기 신호들 p0(t), p1(t), p2(t), p3(t)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 상관기(1500)에서 출력된 신호 y(t)는 곱셈기, 샘플 딜레이, 덧셈기 등에 입력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호 상관기 모듈은 3개의 곱셈기들(1531, 1532, 1533), 3개의 K-샘플 딜레이들 Z-K(1541, 1542, 1543), 4개의 덧셈기들(1551, 1552, 1553, 1554)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5, the number N W of ele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may be 4.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may include four synchronization signals p 0 (t), p 1 (t), p 2 (t), and p 3 (t). The signal y(t) output from the crosscorrelator 1500 may be input to a multiplier, sample delay, adder, etc. For example, the crosscorrelator module has three multipliers (1531, 1532, 1533), three K-sample delays Z -K (1541, 1542, 1543), four adders (1551, 1552, 1553, 1554), etc. may include.

상호 상관기(1500)에서 출력된 신호 y(t)는 제1 및 제4 덧셈기(1551, 1554) 각각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호 상관기(1500)에서 출력된 신호 y(t)는 '-1' 곱셈 연산을 수행하는 제1 곱셈기(1531)에 입력될 수 있다. 제1 곱셈기(1531)에서의 '-1' 곱셈 연산을 거친 신호 -y(t)는 제2 및 제3 덧셈기(1552, 1553) 각각에 입력될 수 있다.The signal y(t) output from the crosscorrelator 1500 may be input to the first and fourth adders 1551 and 1554, respectively. Meanwhile, the signal y(t) output from the crosscorrelator 1500 may be input to the first multiplier 1531 that performs a '-1' multiplication operation. The signal -y(t) that has undergone the '-1' multiplication operation in the first multiplier 1531 may be input to the second and third adders 1552 and 1553, respectively.

한편, 상호 상관기(1500)에서 출력된 신호 y(t)는 K개의 샘플 만큼의 지연 연산을 수행하는 제1 K-샘플 딜레이(1541)에 입력될 수 있다. 제1 K-샘플 딜레이(1541)에서의 지연 연산을 거친 신호 y(t+K)는 제1 및 제2 덧셈기(1551, 1552) 각각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K-샘플 딜레이(1541)에서의 지연 연산을 거친 신호 y(t+K)는 '-1' 곱셈 연산을 수행하는 제2 곱셈기(1532)에 입력될 수 있다. 제2 곱셈기(1532)에서의 '-1' 곱셈 연산을 거친 신호 -y(t+K)는 제3 및 제4 덧셈기(1553, 1554) 각각에 입력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y(t) output from the crosscorrelator 1500 may be input to the first K-sample delay 1541 that performs a delay operation for K samples. The signal y(t+K) that has undergone the delay operation in the first K-sample delay 1541 may be input to the first and second adders 1551 and 1552, respectively. Meanwhile, the signal y(t+K) that has undergone the delay operation in the first K-sample delay 1541 may be input to the second multiplier 1532 that performs a '-1' multiplication operation. The signal -y(t+K) that has undergone the '-1' multiplication operation in the second multiplier 1532 may be input to the third and fourth adders 1553 and 1554, respectively.

한편, 제1 K-샘플 딜레이(1541)에서의 지연 연산을 거친 신호 y(t+K)는 K개의 샘플 만큼의 지연 연산을 수행하는 제2 K-샘플 딜레이(1542)에 입력될 수 있다. 제2 K-샘플 딜레이(1542)에서의 지연 연산을 거친 신호 y(t+2K)는 제1 및 제3 덧셈기(1551, 1553) 각각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2 K-샘플 딜레이(1542)에서의 지연 연산을 거친 신호 y(t+2K)는 '-1' 곱셈 연산을 수행하는 제3 곱셈기(1533)에 입력될 수 있다. 제3 곱셈기(1533)에서의 '-1' 곱셈 연산을 거친 신호 -y(t+2K)는 제2 및 제3 덧셈기(1552, 1553) 각각에 입력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y(t+K), which has undergone a delay operation in the first K-sample delay 1541, may be input to the second K-sample delay 1542, which performs a delay operation for K samples. The signal y(t+2K) that has undergone the delay operation in the second K-sample delay 1542 may be input to the first and third adders 1551 and 1553, respectively. Meanwhile, the signal y(t+2K) that has undergone the delay operation in the second K-sample delay 1542 may be input to the third multiplier 1533 that performs a '-1' multiplication operation. The signal -y(t+2K) that has undergone the '-1' multiplication operation in the third multiplier 1533 may be input to the second and third adders 1552 and 1553, respectively.

한편, 제2 K-샘플 딜레이(1542)에서의 지연 연산을 거친 신호 y(t+2K)는 K개의 샘플 만큼의 지연 연산을 수행하는 제3 K-샘플 딜레이(1543)에 입력될 수 있다. 제3 K-샘플 딜레이(1543)에서의 지연 연산을 거친 신호 y(t+3K)는 제1 내지 제4 덧셈기(1551, 1552, 1553, 1554) 각각에 입력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ignal y(t+2K) that has undergone the delay operation in the second K-sample delay 1542 may be input to the third K-sample delay 1543 that performs a delay operation for K samples. The signal y(t+3K) that has undergone the delay operation in the third K-sample delay 1543 may be input to each of the first to fourth adders 1551, 1552, 1553, and 1554.

제1 내지 제4 덧셈기(1551, 1552, 1553, 1554)에서는 입력된 신호들에 대한 덧셈 연산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덧셈기(1551, 1552, 1553, 1554) 각각은 덧셈 연산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덧셈기(1551)의 출력 Y1(t), 제2 덧셈기(1552)의 출력 Y2(t), 제3 덧셈기(1553)의 출력 Y3(t), 제4 덧셈기(1554)의 출력 Y4(t)은 수학식 32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adders 1551, 1552, 1553, and 1554 may perform addition operations on input signals. Each of the first to fourth adders 1551, 1552, 1553, and 1554 can output the result of an addition operation. Output Y 1 (t) of the first adder 1551, output Y 2 (t) of the second adder 1552, output Y 3 ( t) of the third adder 1553, output of the fourth adder 1554. Y 4 (t)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Equation 32.

수학식 32와 같이 표현되는 제1 내지 제4 덧셈기(1551, 1552, 1553, 1554) 각각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가 동기 신호 집합 W의 원소들 중 어떤 동기 신호에 대응되는 성분을 포함하는지가 검출될 수 있다. Based on the output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adders (1551, 1552, 1553, and 1554) expressed as Equation 32, which synchronization signal does the received signal include among the element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set W ? can be detected.

통신 시스템에서 계층 구조를 가지는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는 계층 구조(또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동기 신호(이하, 계층적(layered) 동기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계층적 동기 신호는, 하나 이상의 종류들의 동기 신호들(이하, 동기 신호 요소들)로 구성되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송신 장치는 동기 신호 요소 집합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의 결합(이를테면, 선형 결합)에 기초하여, 계층적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계층적 동기 신호는, 여러 종류의 동기 신호들이 가지는 장점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기 신호에 기초한 동기 성능, 추정 성능 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ynchronization signal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 transmitting device generates and transmits a synchronization signal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or multi-layered structure) (hereinafter, a layered synchronization signal). You can.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a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consisting of one or more types of synchronization signals (hereinafter,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The transmitting device may generate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based on a combination (eg, linear combination) of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included in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The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in this way can simultaneously have the advantages of various types of synchronization signals. Accordingly, synchronization performance, estimation performance, etc.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improved.

다만, 통신 시스템에서 계층 구조를 가지는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들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본 개시의 명세서 상에 기재된 구성들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embodiments of the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ynchronization signal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achieved through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From these,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program or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information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can be distributed across network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readable programs or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본 개시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lthough some aspects of the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n apparatus, it may also refer to a corresponding method description, where a block or device corresponds to a method step or feature of a method step. Similarly, aspect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method may also be represented by corresponding blocks or items or features of a corresponding device. Some or all of the method steps may be performed by (or using) a hardware device, such as a microprocessor, programmable computer, or electronic circuit,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 steps may be performed by such an apparatus.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ogrammable logic devices (e.g.,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us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ality of the method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microprocessor to perform one of the method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In general, the methods are preferably performed by some hardware device.

이상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disclosure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Claims (20)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component)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1차(primary) 계수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sections)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의 결합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part)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의 시간 영역 상에서의 결합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identify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constitu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generating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based on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nd a plurality of prim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generat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based on combini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generat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based on a combination in the time domain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에서,
상기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은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원소로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이용하여,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1차 계수들로 구성되는 제1 1차 계수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 및 상기 제1 1차 계수 행렬에서 서로 대응되는 원소들을 곱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J는 1 이상의 자연수인,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In claim 1,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has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s elements,
The step of generati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cludes:
determining a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matrix using the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determining a first primary coefficient matrix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matrix and consisting of the plurality of primary coefficients; and
Generati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by multiplying corresponding elements in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matrix and the first primary coefficient matrix,
Wherein J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에서,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 각각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구분되는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 중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 섹션들 간의 합연산들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합연산들의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은 1 이상의 자연수인,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In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rresponds to one of first to Nth time intervals distinct from each other in the time domain,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cludes:
For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performing sum operations between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mo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generating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
wher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3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2차 계수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합연산들의 결과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내지 제N 2차 계수들 간의 곱연산들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곱연산들의 결과들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In claim 3,
The step of generating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cludes:
Confirming first to Nth second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Performing multiplication operations between the results of the su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nd the first to Nth second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 and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ults of the multiplication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4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 2차 계수들은, N×N 크기를 가지는 왈시 행렬(Walsh matrix)의 특정한 행 또는 특정한 열을 구성하는 원소들로 결정되는,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In claim 4,
The first to Nth secondary coefficients are determined by elements constituting a specific row or specific column of a Walsh matrix having a size of N × N,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에서,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제1 내지 제M 섹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M 섹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시간 영역에서 서로 연결하여, 제1 내지 제M 동기 신호 섹션 묶음(section bundle)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M 동기 신호 섹션 묶음들에 대한 합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M은 1보다 큰 자연수인,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In claim 1,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time domain,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cludes:
classifyi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to first to Mth section groups;
connect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to Mth section groups to each other in the time domain to generate first to Mth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s; and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based on a sum operation on the first to Mth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s;
The M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은 하나의 제1 동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 모두를 시간 영역에서 중첩 없이 연결하여,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In claim 1,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 on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s:
Containing generating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by connecting all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without overlapping in the time domain,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의 개수는 K개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1 내지 제K 동기 신호들은, 제1 동기 신호 집합을 구성하며,
상기 K는 자연수인,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In claim 1,
The number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s K,
The first to Kth synchronization signals generated based on the step of generat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constitute a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set,
K is a natural number,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은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은 하나의 제2 동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시간 영역에서 연결하여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N은 1보다 큰 자연수인,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In claim 1,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clud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and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 a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s:
Generating th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by connecting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in the time domain,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at least some of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are connected so that some parts overlap each other,
Th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제1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component)들을 확인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1차(primary) 계수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sections)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의 결합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part)들을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의 시간 영역 상에서의 결합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송신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제1 통신 장치.
A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processor,
The processor cause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identify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constitu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generate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based on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nd a plurality of prim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generat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generat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based on a combination in the time domain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and
operative to cause transmission of the generated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0에서,
상기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은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원소로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이용하여,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1차 계수들로 구성되는 제1 1차 계수 행렬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 및 상기 제1 1차 계수 행렬에서 서로 대응되는 원소들을 곱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생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J는 1 이상의 자연수인,
제1 통신 장치.
In claim 10,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has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s elements,
When generati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the processor cause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Using the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determine a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matrix;
determine a first primary coefficient matrix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matrix and consisting of the plurality of primary coefficients; and
Operate to further cause to generate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by multiplying corresponding elements in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matrix and the first linear coefficient matrix;
Wherein J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0에서,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 각각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구분되는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 중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 섹션들 간의 합연산들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합연산들의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N은 1 이상의 자연수인,
제1 통신 장치.
In claim 10,
Each of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rresponds to one of first to Nth time intervals distinct from each other in the time domain,
When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the processor cause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For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perform sum operations between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mo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further cause to generat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It work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2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2차 계수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합연산들의 결과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내지 제N 2차 계수들 간의 곱연산들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곱연산들의 결과들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획득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제1 통신 장치.
In claim 12,
When generating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the processor cause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Checking first to Nth second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performing multiplication operations between the results of the sum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nd the first to Nth second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nd
operative to further cause obtaining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corresponding to results of the multiplication opera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0에서,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제1 내지 제M 섹션 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제1 내지 제M 섹션 그룹들 각각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섹션들을 시간 영역에서 서로 연결하여, 제1 내지 제M 동기 신호 섹션 묶음(section bundle)들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M 동기 신호 섹션 묶음들에 대한 합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을 생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M은 1보다 큰 자연수인,
제1 통신 장치.
In claim 10,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time domain,
When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the processor cause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classify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to first to Mth section groups;
connect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to Mth section groups to each other in the time domain to generate first to Mth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s; and
operative to further cause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based on a sum operation on the first to Mth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 bundles;
The M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0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은 하나의 제1 동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 모두를 시간 영역에서 중첩 없이 연결하여, 상기 제1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제1 통신 장치.
In claim 10,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 on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When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the processor cause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o:
operative to further cause to generate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by connecting all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without overlap in the time domain,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0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의 개수는 K개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은 제1 내지 제K 동기 신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K 동기 신호들은, 제1 동기 신호 집합을 구성하며,
상기 K는 자연수인,
제1 통신 장치.
In claim 10,
The number of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s K,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 first to Kth synchronization signals, and the first to Kth synchronization signals constitute a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set,
K is a natural number,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0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은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은 하나의 제2 동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을 시간 영역에서 연결하여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2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N은 1보다 큰 자연수인,
제1 통신 장치.
In claim 10,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clud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and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 a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When generating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the processor causes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to:
Operate to further cause generation of th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by connecting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in the time domain,
When generating th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at least some of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are connected so that some parts overlap each other,
Th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First communication device.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2 통신 장치에서 송신된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대한 동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들은 상기 제2 통신 장치에서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의 결합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의 시간 상에서의 결합에 기초하여 생성되었으며,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은, 상기 제2 통신 장치에서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component)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요소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1차(primary) 계수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Receiving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Obtain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for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s are generated based on a combination in time of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generat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includ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constitu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plurality of primary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components. Created based on,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8에서,
상기 동기 신호 요소 집합은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원소로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은, 상기 J개의 동기 신호 요소들을 이용하여 결정된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 및 상기 복수의 1차 계수들로 구성되는 제1 1차 계수 행렬에서 서로 대응되는 원소들을 곱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J는 1 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제1 동기 신호 요소 행렬과 상기 제1 1차 계수 행렬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In claim 18,
The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set has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s elements,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are generated by multiplying corresponding elements in a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matrix determined using the J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s and a first primary coefficient matrix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primary coefficients. And
The J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and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element matrix and the first first coefficient matrix have the same size,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청구항 18에서,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 각각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구분되는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동기 신호 부분들은,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섹션들 중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동기 신호 섹션들 간의 합연산들의 결과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 구간들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동기 신호 부분들이며,
상기 N은 1 이상의 자연수인,
제1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In claim 18,
Each of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rresponds to one of first to Nth time intervals distinct from each other in the time domain,
The one or more synchronization signal portions are generated based on results of sum operations between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N-th time intervals among the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 sections. The first to Nth synchronization signal parts corresponding to N time section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Method of operat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KR1020230043150A 2022-04-01 2023-03-3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havning layered structure in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423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29,206 US20230319738A1 (en) 2022-04-01 2023-03-3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having layered structure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41317 2022-04-01
KR1020220041317 2022-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376A true KR20230142376A (en) 2023-10-11

Family

ID=8829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150A KR20230142376A (en) 2022-04-01 2023-03-3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havning layered structure in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237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4171B2 (en) Zero insertion for ISI free OFDM reception
WO2018228335A1 (en) Pilot signal sending and receiving methods and apparatuse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2003808A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939140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signals
KR1026524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665644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US20110085519A1 (en) Spreading Code Allocation
CN107370701A (en) Method,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of transmission signal
JP7370703B2 (en) Terminal and base station
JP2024508680A (en) Access methods, device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a
JP7118011B2 (en)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WO2010013468A1 (en)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yclic delay setting method
JP2022033190A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80103475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1534137A (en) Device and method for demodulating control signals
CN109644520A (en) The metho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of resource impact
WO20211959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CN115001644A (en)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302867B (en) Common signal structure for multiple parameter sets
KR20100137391A (en) Method of transmitting 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KR201900526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11757367A (en) Interference detection method, signal sending method and device
KR202301423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havning layered structure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197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 having layered structure in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228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