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335A - Smart automatic block device dual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field device information in one station device - Google Patents

Smart automatic block device dual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field device information in one st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335A
KR20230141335A KR1020220040782A KR20220040782A KR20230141335A KR 20230141335 A KR20230141335 A KR 20230141335A KR 1020220040782 A KR1020220040782 A KR 1020220040782A KR 20220040782 A KR20220040782 A KR 20220040782A KR 20230141335 A KR20230141335 A KR 20230141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occlusion
digital data
section
magnetic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원
서도석
장명석
Original Assignee
서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원 filed Critical 서정원
Priority to KR102022004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335A/en
Publication of KR20230141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3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61L23/08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vehicle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 B61L23/1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vehicle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auto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3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trackside elements or system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ckside control system condi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은, 하나의 모장치(즉, 역사 내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 및 다수의 자장치(즉, 외부의 선로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들을 포함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장치 및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은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디지털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자장치들 각각은 자신의 식별정보, 및 대응된 폐색구간의 궤도신호를 포함하는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모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모장치는 상기 자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을 통합 관리하되,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하나의 모장치가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 신호기를 통합 제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부 폐색구간에 대응한 장치의 오류로 인한 전체 열차 운행구간의 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mart automatic closing device du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closing device system that includes one mother device (i.e., an automatic closing device installed in the station) and multiple magnetic devices (i.e., an automatic closing device installed on an external line). In the method, the mother device and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are connected by an optical cable to perform digital communication, and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transmits first digital data including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trajectory signal of the corresponding occluded section.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ther device, the mother device collects the first digital data from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and manages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in an integrated manner based on the first digital data. B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peed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speed of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one parent device can integratedly control the occlusion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ultiple magnetic devices, thereby allowing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a decrease in speed of the entire train operation section due to an error in the device corresponding to some blocked sections.

Description

다수의 자장치 정보를 하나의 모장치에서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SMART AUTOMATIC BLOCK DEVICE DUAL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FIELD DEVICE INFORMATION IN ONE STATION DEVICE}Smart automatic blocking device dual system that manages information from multiple magnetic devices in one mother device {SMART AUTOMATIC BLOCK DEVICE DUAL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FIELD DEVICE INFORMATION IN ONE STATION DEVICE}

본 발명은 자동폐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자장치 정보를 하나의 모장치에서 통합 관리하는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los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closing device dual-system system that integrates and manages information from multiple magnetic devices in one mother device.

자동폐색장치란, 열차의 운행능률 향상을 위해, 역간에 열차의 운행 구간을 소정 거리 단위의 구간(즉, ‘폐색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폐색구간 내에 단 하나의 열차만이 진입할 수 있도록 열차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In order to improve train operation efficiency, an automatic blocking device divides the train's operating section between stations into sections (i.e., 'blocked sections') of a predetermined distance unit, and only one train can enter the blocked section. It refers to a device that controls the running speed of a train.

이를 위해, 폐색장치는 상기 폐색구간별로 설치된 폐색 신호기, 열차를 자동 정지시키는 열차자동 정지장치(Automatic Train Stop, ATS) 및 열차자동방호장치(Automatic Train Protectionp, ATP)를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the occlusion device includes an occlusion signal installed for each occlusion section, an Automatic Train Stop (ATS) device that automatically stops the train, and an Automatic Train Protection device (ATP).

폐색 신호기는 선행열차의 위치에 따라서 후속열차의 제동거리를 감안한 속도 조건을 상기 폐색 신호기에 색등으로 현시함으로써, 기관사가 현시되는 속도 조건에 따라 속도를 조정하여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occlusion signal displays speed conditions considering the braking distance of the following trai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eceding train with colored lights, allowing the driver to operate by adjusting the speed according to the displayed speed condition.

열차자동 정치장치(ATS) 및 열차자동 방호장치(ATP)는 열차가 신호기 현시조건에서 허용되는 속도 조건보다 빠르게 운행할 경우, 해당 열차를 자동 정지시킨다.The Automatic Train Stopping System (ATS) and Automatic Train Protecting System (ATP) automatically stop the train when it runs faster than the speed allowed by the signal display conditions.

한국등록특허 제10-1466912호에는 이러한 폐색장치로서, 이중화된 광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데이터 전송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전방 신호현시정보 및 궤도점유 정보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자동폐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466912 discloses an automatic occlusion device that stably transmits forward signal display information and orbit occupancy information by apply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a dual optical communication interface as such an occlusion device.

상기 특허에 의하면, 상기 자동폐색장치는 이중화된 광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장애 감소로 열차 운행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동폐색장치의 동작상태 정보를 현장의 자장치에 의해 모장치로 전송하여 자장치의 동작 변화를 확인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atent, the automatic blocking device can improve train operation efficiency by reducing obstacles by using a duplicated optical communication interface, and the opera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automatic block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mother device by the magnetic device in the field.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maintainability by being able to check changes i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자동폐색장치는, 분산형 단독 제어 방식이 적용된 시퀀스 제어에 의해 대응된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설정함으로써, 특정 구간에 포함된 다수의 자동폐색장치 중 어느 하나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주파수 장애 등의 이유로, 전방 폐색구간의 신호현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안전유지를 위해, 자체적으로 해당 폐색구간의 속도를 낮게 제어해야 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automatic blocking device sets the speed condition of the corresponding blocking section by sequence control using a distributed independent control method, so that an error occurs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utomatic blocking devices included in a specific section or When signal display information of the front blockage section could not be received due to reasons such as frequency interference, the speed of the blockage section had to be controlled to a low level to maintain safety.

이로 인해, 종래의 자동폐색장치는 열차운행 속도의 저하를 초래함으로써, 열차 운행에 지장을 발생시킬 수 있었다.For this reason, the conventional automatic closing device could cause disruption to train operation by causing a decrease in train operation speed.

또한 종래의 자동폐색장치는 계전기를 이용한 접점제어를 함으로써, 자장치(즉, 역 외부의 선로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의 경우, 해당 폐색구간에 열차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알리기 위한 궤도신호, 및 해당 폐색 신호기의 고장발생여부를 알리기 위한 신호기 고장정보만을 발생시킬 수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utomatic blocking device performs contact control using a relay, so that in the case of a magnetic device (i.e., an automatic blocking device installed on the track outside the station), a track signal is provided to inform whether a train exists in the corresponding blocking section, and It was only possible to generate signal failure information to notify whether the occlusion signal was malfunctioning.

따라서 종래에는, 임의의 폐색 신호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모장치(즉, 역사내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가 그 고장 발생여부만을 인지할 뿐, 고장의 원인을 분석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Therefore, in the past, when a malfunction occurred in any block signal,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arent device (i.e., automatic block device installed in the station) only recognized whether the malfunction occurred and could not analyze the cause of the malfunction.

또한, 데이터 용량 문제로 인하여,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하나의 모장치에서 통합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해, 효과적인 열차 운행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due to data capacity issues, it was difficult to integrate and manage analog signals generated from each of multiple magnetic devices in one mother device, which made effective train operation control difficult.

한국등록특허 제10-1466912호Korean Patent No. 10-1466912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모장치(즉, 역사 내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 및 다수의 자장치(즉, 역 외부의 선로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들을 포함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장치 및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간에 디지털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열차에서 발생하는 선로변 노이즈에 의한 간섭 또는 유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locking device system including one mother device (i.e., an automatic locking device installed within the station) and a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i.e., an automatic locking device installed on the track outside the station), wherein the mother device And, by performing digital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the aim is to provide a smart automatic blocking device redundancy system that can minimize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or induction by trackside noise generated in train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장치들 각각이 자신의 식별정보, 동작정보, 및 대응된 폐색구간의 궤도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모장치는 상기 디지털 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자장치들 각각의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하나의 모장치에서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의 상태를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generates digital state information including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a trajectory signal of the corresponding occlusion se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other device, and the mother device transmits the digital state information to the master device. By managing the status of each magnetic device based on status information, we aim to provide a smart automatic closing device dual-system system that allows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status of multiple magnetic devices in one mother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장치가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의 속도제어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하나의 모장치가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 신호기를 통합 제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부 폐색구간에 대응한 장치의 오류로 인한 전체 열차 운행구간의 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mother device generates and transmits a speed control signal of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as a digital signal, so that one parent device occludes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We aim to provide a smart automatic blocking device dual system that can control signals in an integrated manner and thus prevent speed reductions in the entire train operation section due to errors in devices corresponding to some blocked sections.

또한, 본 발명은, 폐색구간별 상태정보 또는 속도제어신호를 디지털화함으로써,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고, 이로 인해, 데이터 처리의 부담 없이 폐색구간의 간격을 짧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열차의 배차 간격을 경제적으로 운용하여 철도 선로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data management by digitizing the status information or speed control signal for each blockage section, and as a result, the interval between blockage sections can be set short without the burden of data processing, thereby making the train dispatch interval economical. We aim to provide a smart automatic blocking device dual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railway track use by operating as a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은 하나의 모장치(즉, 역사 내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 및 다수의 자장치(즉, 외부의 선로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들을 포함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장치 및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은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디지털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자장치들 각각은 자신의 식별정보, 및 대응된 폐색구간의 궤도신호를 포함하는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모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모장치는 상기 자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을 통합 관리하되,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rt automatic closing device dual syste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one mother device (i.e., automatic closing device installed within the station) and multiple magnetic devices (i.e., automatic closing device installed on the external line) In the automatic blocking device system including generates first digital data including the first digital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mother device, and the mother device collects the first digital data from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based on the first digital data. Integrated management, and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peed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speed of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은 하나의 모장치 및 다수의 자장치들을 포함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장치 및 자장치들 각각은 디지털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열차에서 발생하는 선로변 노이즈에 의한 간섭 또는 유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mart automatic closing device du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closing device system including one mother device and a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wherein each of the mother device and magnetic devices performs digital communic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or induction caused by trackside noise generated from train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장치들 각각이 자신의 식별정보, 동작정보, 및 대응된 폐색구간의 궤도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모장치는 상기 디지털 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자장치들 각각의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하나의 모장치에서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의 상태를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generates digital state information including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a trajectory signal of the corresponding occlusion se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other device, and the mother device transmits the digital state information to the master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by managing the status of each magnetic device based on status information, the status of each of multiple magnetic devices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in one mother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장치가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의 디지털 속도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하나의 모장치가 다수의 자장치 각각에 대응한 폐색 신호기를 통합 제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부 폐색구간에 대응한 장치의 오류로 인한 전체 열차 운행구간의 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mother device generates and transmits a digital speed control signal of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so that one parent device integrates an occlusion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It can be controlled, and this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a decrease in speed of the entire train operation section due to an error in the device corresponding to some blocked sections.

또한, 본 발명은, 폐색구간별 상태정보 또는 속도제어신호를 디지털화함으로써,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고, 이로 인해, 데이터 처리의 부담 없이 폐색구간의 간격을 짧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열차의 배차 간격을 경제적으로 운용하여 철도 선로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data management by digitizing the status information or speed control signal for each blockage section, and as a result, the interval between blockage sections can be set short without the burden of data processing, thereby making the train dispatch interval economical.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ailway track use by operating it as a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장치의 통합정보관리 DB에 대한 필드 구조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장치에서 생성되는 속도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장치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예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smart automatic closing device du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th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of a field structure for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DB of the par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of a data format for transmitting a speed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moth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agne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of a data format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generated in a self-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eanwhile,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descriptions of part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omitted even if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은 하나의 모장치(100)(즉, 역사 내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 및 다수의 자장치(200)(즉, 외부의 선로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들을 포함하며, 모장치(100) 및 다수의 자장치(200)들은 이중화된 광케이블(10)로 연결되어 디지털 통신을 수행한다. Figure 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smart automatic closing device du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smart automatic closing device dual syste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mother device 100 (i.e., an automatic closing device installed in the station) and a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200 (i.e. It includes automatic blocking devices installed on external lines, and the mother device 100 and a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200 are connected through a duplicated optical cable 10 to perform digital communication.

이를 위해, 모장치(100), 및 자장치(200)들 각각은 이중화로 구현되며, 또한모장치(100) 및 다수의 자장치(200)들 간에 디지털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마트 자동폐색장치 이중계 시스템은 열차에서 발생하는 선로변 노이즈에 의한 간섭 또는 유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r this purpose, the mother device 100 and each of the self devices 200 are implemented in redundancy, and by performing digit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her device 100 and a plurality of self devices 200, the smart automa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occlusion system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or induction caused by trackside noise generated from trains.

자장치(200)(일명, ‘현장장치’라고도 함)는 역간에 포함된 폐색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자동폐색장치(ABS)들로서, 자신의 식별정보, 및 대응된 폐색구간의 궤도신호를 포함하는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장치(1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는 대응된 자장치의 고장여부, 및 고장원인이 되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동작상태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자장치(200)는 자신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The magnetic device 200 (also known as 'field device') is an automatic blocking device (AB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locked sections included between stations, and include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rack signal of the corresponding blocked section. The first digital data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ther device 100. At this time, the first digital data may further includ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is malfunctioning and information causing the malfunction. To this end, the magnetic device 200 determines its operating state. Additional monitoring functions can be performed.

한편, 모장치(100)(일명, ‘역장치’라고도 함)는 자장치(200)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에 의거하여 다수의 자장치(200)들 각각을 통합 관리하되, 다수의 자장치(200)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Meanwhile, the mother device 100 (also called a 'station device') collects the first digital data from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200, and connects a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200 based on the first digital data. Each of them is integratedly managed, and a speed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speed of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200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장치(100)가 자장치(200)들 각각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자장치(200)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데이터의 처리 및 관리가 용이하고, 하나의 모장치(100)에서 다수의 자장치(200)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 신호기를 통합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her device 100 uses digital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200 to analyze the state of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200, making it easy to process and manage the data.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cclusion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ultiple magnetic devices 200 can be integratedly controlled from one mother device 100.

이러한 모장치(100) 및 자장치(200)들 각각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each of the mother device 100 and the hos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장치(100)는 통합정보 관리 DB(110), 수신부(120), 제어부(130), 송신부(140), 자장치상태 분석부(150), 및 속도제어신호 생성부(160)를 포함한다.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th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moth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DB 110, a receiving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 transmitting unit 140, and magnetic device state analysis. It includes a unit 150 and a speed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통합정보 관리 DB(110)는 다수의 자장치(200)들 각각으로부터 수집된 디지털 데이터들(즉,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들) 및 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저장/관리한다. 이는, 하나의 모장치(100)에서 다수의 자장치(200)를 통합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함으로써, 이러한 통합정보 관리 DB(110)에서 저장/관리하는 데이터의 예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DB 110 stores/manages digital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200 (i.e., the first digital data) and processing results thereof. This is for integrated management and control of a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200 in one mother device 100, and an example of data stored/managed in this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DB 110 is illustrated in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장치의 통합정보관리 DB에 대한 필드 구조의 예로써, 도 3을 참조하면, 통합정보관리 DB(110)는 자장치 ID 저장필드(111), 수집일시 저장필드(112), 최종 속도조건 저장필드(113), 궤도신호 저장필드(114), 고장신호 저장필드(115), 오류정보 저장필드(116), 및 처리상태 저장필드(117)를 포함할 수 있다. 자장치 ID 저장필드(111)는 다수의 자장치들 중 해당 데이터에 대응되는 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Figure 3 is an example of a field structure for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DB of the moth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DB 110 includes a self-device ID storage field 111, collection Includes a temporary storage field (112), final speed condition storage field (113), orbit signal storage field (114), fault signal storage field (115), error information storage field (116), and processing status storage field (117). can do. The magnetic device ID storage field 111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magnet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ata among a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자장치 ID 저장필드(111)는 자장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자장치 식별정보는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이 전송한 제1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되며, 모장치(100)가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판독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self-device ID storage field 111 stores self-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agnet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rst digital data transmit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and the mother device 100 can read and store the first digital data.

수집일시 저장필드(112)는 해당 자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 최근 날짜 및 시간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통합정보관리 DB(100)는 새로운 데이터가 수집될 때마다 상기 수집일시를 갱신한다. 이는 자장치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최신정보로 유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의 최근 수집일시를 비교함으로써, 통신오류 등으로 인하여, 특정 자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이를 모장치(100)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collection date storage field 112 stores the most recent date and time when data was collected from the corresponding device. To this end,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DB 100 updates the collection date and time whenever new data is collected. This not only keep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lf-device up-to-date, but also compares the most recent collection date and time of each of the multiple self-devices, so that if data is not collected from a specific self-device due to a communication error, etc., it is transferred to the parent device ( This is to ensure that 100) can recognize it.

최종 속도조건 저장필드(113)는 해당 자장치에 대응한 폐색구간의 최종 속도조건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통합정보관리 DB(100)는 자장치에 대응한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이 변경될 때마다 그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는 모장치(100)가 다수의 자장치(200)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설정할 때, 참고함으로써, 이전 정보와 비교하여 변경된 경우에만 상기 속도조건을 갱신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nal speed condition storage field 113 stores the final speed condition of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To this end,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DB 100 updates the information whenever the speed condition of the blocked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device changes. This is so that the mother device 100 refers to the speed conditions of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200 and updates the speed conditions only when there is a change compared to the previous information.

궤도신호 저장필드(114)는 해당 자장치에 대응한 폐색구간을 열차가 점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저장한다. 이를 위해, 자장치(200)는 1비트의 digit 신호(1 또는 0)를 이용하여 해당 폐색구간에 열차가 위치하는 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모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track signal storage field 114 stores whether the train occupies the blocked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To this end, the magnetic device 200 can use a 1-bit digit signal (1 or 0) to generate a signal to indicate whether a train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blocked section and transmit it to the mother device 100.

고장신호 저장필드(115)는 해당 자장치에 고장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저장한다. 이 때, 상기 고장은 대응된 폐색 신호기 고장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고장(예컨대, 전원 오류, Fuse 용단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장치(200)는 1비트의 digit 신호(1 또는 0)를 이용하여 해당 자장치에 고장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모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failure signal storage field 115 stores whether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At this time, the failure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failures (eg, power failure, presence or absence of fuse blowing, etc.) including the corresponding occlusion signal failure. To this end, the magnetic device 200 can use a 1-bit digit signal (1 or 0) to generate a signal to indicate whether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magnetic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 mother device 100.

오류정보 저장필드(116)는 해당 자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그 고장원인을 저장한다. 이 때, 고장원인은 자장치(200)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The error information storage field 116 stores the cause of the failur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At this time, the cause of the failure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digital data transmitted from the magnetic device 200.

처리상태 저장필드(117)는 해당 자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그에 대한 처리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구완료/복구대기/복구불가 등의 처리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The processing status storage field 117 can store the processing status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For example, processing statuses such as recovery complete/awaiting recovery/unable to recovery can be stor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장치(100)는 자장치(200)의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저장/관리함으로써, 다수의 자장치(200)들 각각의 정보를 통합관리 및 통합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mother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information of the magnetic device 200 into digital and stores/manages it, thereby enabling integrated management and integrated control of the information of each of the multiple magnetic devices 20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120)는 미리 설정된 수집주기마다 다수의 자장치(200)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수신부(120)는 광케이블(10)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제어부(13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receiving unit 120 receives the first digital data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200 at each preset collection cycle. To this end, the receiving unit 120 interfaces with the optical cable 10 and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30.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모장치 제어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모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수집주기를 저장하고, 상기 수집주기에 의해 수신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며, 수신부(12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통합정보 관리 DB(1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모장치 제어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후술될 송신부(140), 자장치상태 분석부(150), 및 속도제어신호 생성부(16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ster device 100 based on a preset master device control algorithm.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30 stores a preset collection cycl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120 according to the collection cycle, and stores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receiver 120 in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DB 110. there i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perations of each of the transmitter 140, the magnetic device state analysis unit 150, and the speed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parent device control algorithm.

송신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를 받아 자장치(200)로 전송할 데이터를 광케이블(10)을 통해 전송한다. 특히, 송신부(140)는 후술될 속도제어신호 생성부(160)에서 생성된 폐색구간별 속도제어신호를 전송한다. The transmitter 140 receives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and transmit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agnetic device 200 through the optical cable 10. In particular, the transmitter 140 transmits a speed control signal for each occlusion section generated by the speed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자장치상태 분석부(150)는 다수의 자장치(200)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제1 디지털 데이터에 의거하여 대응된 자장치들 각각의 상태를 분석한다. 즉, 자장치상태 분석부(150)는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궤도신호(즉, 해당 자장치에 대응한 폐색구간의 궤도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별 속도조건을 결정하되, 상기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들 중 임의의 열차가 점유한 폐색구간(이하, ‘제1 폐색구간’이라 칭함)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폐색구간으로부터 그 폐색구간 후방의 폐색구간들에 대한 속도조건을 순차적으로 결정한다.The magnetic device status analysis unit 150 analyzes the status of each of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s 200 based on the first digital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200. That is, the magnetic device state analysis unit 150 reads the orbital signal (i.e., the orbital signal of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included in the first digital data and determines the occlu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Determine the speed conditions for each section, identify the blocked section occupied by a random train among the blocked s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blocked section'), and determine the blocked section from the first blocked section. The speed conditions for the blocked sections behind the closed section are sequentially determined.

예를 들어, 상기 제1 폐색구간에 열차가 위치하고, 상기 제1 폐색구간 후방에 제2 내지 제5 폐색구간이 순차적으로 이어진 경우, 자장치상태 분석부(150)는 상기 제1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정지(R), 상기 제2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경계(YY), 상기 제3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주의(Y), 상기 제4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감속(YG), 상기 제5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프리(G)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train is located in the first blocked section and the second to fifth blocked sections are sequentially connected behind the first blocked section, the magnetic device state analysis unit 150 determines the speed of the first blocked section. The condition is stop (R), the speed condition of the second blocked section is alert (YY), the speed condition of the third closed section is cautioned (Y), and the speed condition of the fourth closed section is slowed down (YG). The speed condition of the fifth blocking section can be determined as free (G).

즉, 종래에는 제1 폐색구간에 대응한 폐색장치가 후방으로 신호현시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시퀀스 제어에 의해 후방의 폐색구간들에 대한 속도조건을 결정해야 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모장치(100)에 포함된 자장치상태 분석부(150)가 상기 제1 폐색구간의 궤도신호에 의거하여, 후방의 모든 폐색구간들에 대한 속도조건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past, the occlus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cclusion section had to transmit signal display information to the rear to determine the speed conditions for the rear occlusion sections through sequence contro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like this, the mother device ( The magnetic device state analysis unit 150 included in 100) is capable of integratedly controlling the speed conditions for all rear occlusion sections based on the trajectory signal of the first occlusion section.

속도제어신호 생성부(160)는 자장치상태 분석부(150)에서 통합적으로 결정된 폐색구간별 속도조건에 의거하여, 대응된 폐색구간들 각각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폐색구간별 속도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속도제어신호 생성부(160)는 다수의 자장치(200)들 각각으로 전송할 속도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속도제어신호 생성부(160)는 상기 폐색구간별 속도조건에 의거하여, 각 폐색구간에 대응한 자장치 식별정보, 및 해당 폐색구간의 속도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제2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peed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generates a speed control signal for each occluded section to control the speed of each occluded section, based on the speed conditions for each occluded section comprehensively determined by the magnetic device state analysis unit 150. do. That is, the speed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generates a speed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200. For this purpose, the speed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generates second digital data including magnet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blocked section and the speed control signal of the corresponding blocked section, based on the speed conditions for each blocked section. can do.

상기 예에서와 같이, 임의의 제1 폐색구간에 열차가 위치하고, 상기 제1 폐색구간 후방에 제2 내지 제5 폐색구간이 순차적으로 이어짐으로써, 상기 제1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정지(R), 상기 제2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경계(YY), 상기 제3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주의(Y), 상기 제4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감소(YG), 상기 제5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프리(G)로 결정한 경우, 속도제어신호 생성부(160)는 상기 폐색구간 각각에 대응한 자장치들의 식별정보, 및 속도조건을 포함하는 제2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As in the above example, a train is located in an arbitrary first blockage section, and the second to fifth blockage sections sequentially follow behind the first blockage section, so that the speed condition of the first blockage section is stopped (R) , Be alert to the speed condition of the second closed section (YY), pay attention to the speed condition of the third closed section (Y), reduce the speed condition of the fourth closed section (YG), and speed of the fifth closed section. When the condition is determined to be free (G), the speed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may generate second digital data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agnetic devi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locked sections and the speed condi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장치에서 생성되는 속도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예로써, 상기 제2 디지털 데이터 포맷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디지털 데이터(20)는, 해당 데이터를 생성한 장치(즉, 대응된 모장치)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모장치 ID(21), 해당 데이터를 수신할 장치(즉, 대응된 자장치)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자장치 ID(22), 및 속도제어신호(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장치의 식별정보가 ‘0010’이고, 상기 제1 폐색구간에 대응한 자장치의 식별정보가 ‘0001’이고, 정지조건을 나타내는 제어신호가 ‘0000’인 경우, 속도제어신호 생성부(160)는 ‘0010 0001 0000’인 제2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디지털 데이터의 전체 길이는 광케이블(10)을 통한 통신 규격에서 정한 데이터 전송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장치/자장치 식별정보 및 속도조건별 제어신호는 모장치와 자장치 간에 미리 공유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Figure 4 is an example of a data format for transmitting a speed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moth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ample of the second digital data format. 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digital data 20 includes a parent device ID 21 that stor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that generated the data (i.e., the corresponding parent device), and a device to receive the data ( That is, it may include a magnetic device ID 22 that stor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and a speed control signal 23. For exampl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ther device is '001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f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cclusion section is '0001', and the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stop condition is '0000', speed control The signal generator 160 may generate second digital data of '0010 0001 0000'. At this time, the total length of the second digital data can be determined by the data transmission length specified in the communication standard through the optical cable 10. In addition, the master device/self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s for each speed condition may use information previously shared between the master device and the host device.

또한, 속도제어신호 생성부(160)는 자장치상태 분석부(150)에서 결정된 폐색구간별 속도조건과, 통합 정보 관리 DB(110)에 자장치별로 기 저장된 최종 속도조건을 비교하여, 그 값이 변경된 경우에만, 상기 제2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중복된 정보의 잦은 전송으로 인해, 통신 트래픽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speed control signal generator 160 compares the speed condition for each blockage section determined by the magnetic device status analysis unit 150 with the final speed condition pre-stored for each magnetic device in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DB 110, and calculates the value. Only when this is changed, the second digital data can be generated. This is to prevent communication traffic from increasing due to frequent transmission of duplicate information.

한편, 상기 속도제어신호는 색등의 색상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속도조건별 색등의 현시 방법은 종래의 방식을 준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speed control signal may b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color of the color light, and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color light for each speed condition may be a conventional method.

또한, 모장치(100)는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의 고장여부, 및 고장원인을 표출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ther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to indicate whe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is malfunctioning and the cause of the malfunction.

이와 같이, 자장치들 각각의 고장여부, 및 고장원인을 표출하기 위해, 자장치상태 분석부(150)는 자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집된 제1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응된 자장치의 고장여부, 및 고장원인을 인지하고, 이를 표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indicate whether each magnetic device has failed and the cause of the failure, the magnetic device status analysis unit 150 analyzes the first digital data collected from each magnetic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has failed. , and the cause of the failure can be recognized and the display unit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em.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장치(200)는 수신부(210), 제어부(220), 송신부(230), ATS(240), 폐색 신호기(250), 동작상태 수집부(260), 및 궤도 회로부(270)를 포함한다.Figure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agne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magnet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210, a control unit 220, a transmitting unit 230, an ATS 240, an occlusion signal 250, and an operation. It includes a state collection unit 260 and a trajectory circuit unit 270.

수신부(210)는 모장치(100)에서 전송한 제2 디지털 데이터(20)를 수신한다. 특히, 수신부(210)는 모장치(100)에서 전송한 다수의 제2 디지털 데이터들 중, 대응된 자장치를 목적지로 하는 데이터만을 수신한다. 이를 위해, 수신부(210)는 제어부(220)로부터 자신의 식별정보(즉, 대응된 자장치(200)의 식별정보)(식별정보 #1)를 전달받고, 상기 제2 디지털 데이터의 자장치 ID(22) 저장영역에 포함된 정보(식별정보 #2)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정보(식별정보 #2)가 제어부(220)로 부터 전달받은 식별정보(식별정보 #1)과 동일한 경우에만, 해당 데이터를 수신한다. The receiving unit 210 receives the second digital data 20 transmitted from the mother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receiving unit 210 receives only data destined for the corresponding self-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digital data transmitted from the mother device 100. For this purpose, the receiving unit 210 receive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elf-device 2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1) from the control unit 220, and receives the self-device ID of the second digital data. (22) Analyze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2) included in the storage area, and only if the analyz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2) is the same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1)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20 , receive the corresponding data.

제어부(220)는 미리 설정된 자장치 제어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대응된 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20)는 대응된 폐색구간에 열차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모장치(100)로 알리기 위한 신호(즉,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부(23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제1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포맷의 예가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장치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의 예로써,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30)는, 해당 데이터를 생성한 장치(즉, 대응된 자장치)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자장치 ID(31), 해당 데이터를 수신할 장치(즉, 대응된 모장치)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모장치 ID(32), 대응된 폐색구간에 열차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궤도신호(33), 대응된 자장치(200)의 고장 여부를 나타내는 고장신호(34), 및 상기 고장원인을 나타내는 오류정보(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based on a preset magnetic device control algorithm.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20 may generate a signal (i.e., first digital data) to inform the parent device 100 whether a train exists in the corresponding blocked section and transmit it through the transmitter 230. An example of the data format for the first digital data generated at this time is illustrated in FIG. 6. FIG. 6 is an example of a data format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generated by a self-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digital data 30 is a device that generates the data. A self-device ID 31 that stor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i.e., the corresponding self-device), a parent device ID 32 that stores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to receive the data (i.e., the corresponding parent device), It may include a track signal 33 indicating whether a train exists in the blocked section, a failure signal 34 indicat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200 has failed, and error information 35 indicating the cause of the failure. .

이를 위해, 제어부(220)는 대응된 자장치의 식별정보, 및 대응된 모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응된 모장치란 해당 자장치로 속도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해당 자장치가 포함된 구간의 속도제어를 관할하는 모장치를 말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unit 220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elf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ent device. At this time, the corresponding parent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transmits a speed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In other words, it can refer to the parent device that controls the speed control of the section that includes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또한, 제어부(220)는 후술될 궤도회로부(270)로부터 상기 궤도신호를 수집하고, 후술될 동작상태 수집부(260)로부터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동작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자장치(200)의 고장여부, 및 고장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상기 궤도신호와, 상기 동작상태정보의 분석결과로 획득한 고장신호, 및 오류정보를 포함하는 제1 디지털 데이터(30)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0 collects the orbit signal from the orbit circuit unit 2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receive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tate collection unit 2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n operates the magnetic device 200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 can be analyzed for failure and the cause of the failure. That is, the control unit 220 may generate first digital data 30 including the trajectory signal, a failure signal obtain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operating state information, and error information.

한편, 제어부(220)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속도제어신호(즉, 제2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속도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폐색신호기(250)의 현시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20)는 제2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자장치 식별정보가 제어부(220)에 미리 저장된 자장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만, 해당 제2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수신부(210)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속도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폐색신호기(250)의 현시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220 can adjust the current state of the occlusion signal 250 based on the speed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210 (i.e., the speed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digital data).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reception unit 210 to receive the second digital data only when the self-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digital data is the same as the self-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occlusion signal 250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speed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digital data.

송신부(230)는, 광케이블(10)을 통해 제1 디지털 데이터(30)를 모장치(100)로 전송하되, 모장치(100)의 제어부(130)에 저장된 수집주기와 동일하게 설정된 전송주기에 의거하여 제1 디지털 데이터(30)를 전송한다. The transmitter 230 transmits the first digital data 30 to the mother device 100 through the optical cable 10, at a transmission cycle set to be the same as the collection cycle stored in the control unit 130 of the mother device 100. Based on this, the first digital data 30 is transmitted.

ATS(240)는 열차 자동정지장치(ATS)로서, 해당 폐색구간을 운행하는 열차가 폐색 신호기(250)를 통해 현시되는 속도 조건보다 빠르게 운행할 경우, 해당 열차를 자동 정지시킨다.The ATS (240) is an automatic train stopping system (ATS) that automatically stops the train in the blocked section when it runs faster than the speed condition displayed through the block signal (250).

폐색 신호기(250)는 대응된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색등으로 현시한다. 이를 위해, 폐색 신호기(250)는 1개의 적색등, 2개의 황색등, 및 1개의 녹색 등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디지털 데이터(20)에 포함된 속도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각 등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The occlusion signal 250 displays the speed conditions of the corresponding occlusion section with colored lights. For this purpose, the occlusion signal 250 is equipped with one red light, two yellow lights, and one green light, and turns on each light based on the speed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digital data 20. You can control /off.

동작상태 수집부(260)는 대응된 자장치의 동작상태정보를 수집한다. 동작상태 수집부(260)는 대응된 자장치를 구성하는 각 장치들(예컨대, 수신부(210), 제어부(220), 송신부(230), ATS(240), 폐색 신호기(250), 및 궤도 회로부(270) 각각의 동작상태정보를 수집하되, 예를 들어, 상기 장치들 각각에 흐르는 동작전류를 수집할 수 있다. 이는, 각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전류의 공급 여부에 의해, 해당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이 때, 동작상태 수집부(260)는 상기 동작전류 이외에도 각 장치들의 특성에 따라 정상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The operating state collection unit 260 collects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The operating state collection unit 260 includes each device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e.g., the receiver 210, the control unit 220, the transmitter 230, the ATS 240, the occlusion signal 250, and the track circuit unit). (270) Each operating status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for example, the operating current flowing through each of the devices can be collected. This is determined by whether or not the operating current required for each device to operate normally is supplied. This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evice is operating normally.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operating current, the operating state collection unit 260 may collect other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operating normal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vice.

궤도 회로부(270)는 대응된 폐색구간에 열차의 점유여부를 검지하여 궤도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궤도 회로부(270)는 철도 레일을 열차 검지를 위한 전기회로로 사용하여 열차의 자기 폐색 구간 점유 여부를 검지하되, 열차가 자기 구간(즉, 대응된 폐색구간)을 점유하면 열차의 차축이 레일을 단락시켜 전기회로가 쇼트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궤도신호를 생성한다. The track circuit unit 270 detects whether a train occupies the corresponding blocked section and generates a track signal. At this time, the track circuit unit 270 uses the railway rail as an electric circuit for train detection to detect whether the train occupies the magnetic block section, and if the train occupies the magnetic section (i.e., the corresponding block section), the train's axle By short-circuiting this rail, the above-mentioned trajectory signal is generated using the characteristic of short-circuiting the electric circui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모장치(즉, 역사 내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 및 다수의 자장치(즉, 역 외부의 선로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들을 포함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장치들 각각이 자신의 식별정보, 동작정보, 및 대응된 폐색구간의 궤도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모장치는 상기 디지털 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자장치들 각각의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하나의 모장치에서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의 상태를 통합관리할 수 있으며, 하나의 모장치가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의 속도제어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하나의 모장치가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 신호기를 통합 제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부 폐색구간에 대응한 장치의 오류로 인한 전체 열차 운행구간의 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ocking device system including one mother device (i.e., an automatic locking device installed within a station) and a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i.e., an automatic locking device installed on a track outside the station), Each of the devices generates digital state information including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a trajectory signal of the corresponding occlusion se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other device, and the mother device generates digital state information including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a trajectory signal of the corresponding occlusion section, and the mother device By managing the status of each of the multiple magnetic devices, one mother device can manage the states of each of the multiple magnetic devices in an integrated manner, and one parent device digitally transmits the speed control signal of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ultiple magnetic devices. B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one parent device can control the occlusion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of multiple magnetic devices in an integrated manner, resulting in a decrease in speed of the entire train operation section due to an error in the device corresponding to some occlusion section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from the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s recognized as equivalent. Includes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extent permitted.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모장치(100) 및 자장치(200)들 각각의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하여 하나씩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각 구성 요소들이 이중화로 구현되어 각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모장치(100)의 제어부(130), 및 자장치(200)의 제어부(220) 각각은 이중화로 구현된 각 구성요소들을 통합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each component of the mother device 100 and the self device 200 is included as an example was used, but in reality, each component is implemented in duplicat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and each of the control unit 130 of the mother device 100 and the control unit 220 of the host device 200 can integrate and manage each component implemented in redundancy.

100: 모장치 110: 통합정보 관리 DB
120: 수신부 130: 제어부
140: 송신부 150: 자장치상태 분석부
160: 속도제어신호 생성부 200: 자장치
210: 수신부 220: 제어부
230: 송신부 240: ATS
250: 폐색 신호기 260: 동작상태 수집부
270: 궤도 회로부
100: Mother device 110: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DB
120: receiving unit 130: control unit
140: Transmitting unit 150: Magnetic device status analysis unit
160: Speed control signal generator 200: Magnetic device
210: receiving unit 220: control unit
230: Transmitter 240: ATS
250: occlusion signal 260: operation status collection unit
270: Orbital circuitry

Claims (10)

하나의 모장치(즉, 역사 내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 및 다수의 자장치(즉, 외부의 선로에 설치된 자동폐색장치)들을 포함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장치 및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은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디지털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자장치들 각각은
자신의 식별정보, 및 대응된 폐색구간의 궤도신호를 포함하는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모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모장치는
상기 자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을 통합 관리하되,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
In an automatic locking device system that includes one mother device (i.e., an automatic locking device installed within a station) and multiple magnetic devices (i.e., an automatic locking device installed on an external track),
The mother device and the plurality of self devices are connected via optical cables to perform digital communication,
Each of the above magnetic devices is
Generating first digital data including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trajectory signal of the corresponding occlusion sec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ther device,
The parent device is
The first digital data is collected from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is integrated and managed based on the first digital data, and the speed of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is adjusted. An automatic closing device system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peed control signal for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장치는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집된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 및 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저장/관리하되, 자장치별로 대응된 폐색구간의 최종 속도조건을 함께 저장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부;
미리 설정된 수집주기마다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장치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 디지털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의 상태를 분석하되,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된 폐색구간의 궤도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별 속도조건을 결정하는 자장치상태 분석부;
상기 폐색구간별 속도조건에 의거하여, 대응된 폐색구간들 각각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폐색구간별 속도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속도제어신호 생성부; 및
상기 폐색구간별 속도제어신호를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는 모장치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ther device
an integrated database unit that stores/manages the first digital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and the resulting processing results, and also stores the final speed conditions of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magnetic device;
a mother devic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first digital data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at a preset collection period;
The stat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is analyzed based on the received first digital data, and the orbit signal of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is read to determine the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A magnetic device state analysis unit that determines the speed conditions for each star;
a speed control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speed control signal for each blockage section to control the speed of each corresponding blockage section, based on the speed conditions for each blockage section; and
An automatic occlusion device system comprising a mother device transmitter that transmits a speed control signal for each occlusion section through the optical c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장치상태 분석부는
상기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들 각각의 궤도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자장치들 각각에 대응한 폐색구간들 중 열차가 위치한 제1 폐색구간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폐색구간으로부터 그 폐색구간 후방의 폐색구간들에 대한 속도조건을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gnetic device state analysis unit
By reading the orbital signal of each occlusion s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among the blocked s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gnetic devices, the first blocked section in which the train is located is identified, and the speed conditions for the blocked sections behind the blocked section are sequentially determined from the first blocked section. Automatic occlus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폐색구간별 속도조건에 의거하여, 각 폐색구간에 대응한 자장치 식별정보, 및 해당 폐색구간의 속도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제2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peed control signal generator
An automatic occlusion system that generates second digital data including magnet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cclusion section and a speed control signal for the occlusion section, based on the speed conditions for each occlusion s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자장치상태 분석부에서 결정된 폐색구간별 속도조건과,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부에 자장치별로 기 저장된 최종 속도조건을 비교하여, 그 값이 변경된 경우에만, 상기 제2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peed control signal generator
Comparing the speed conditions for each occlusion section determined in the magnetic device state analysis unit with the final speed conditions pre-stored for each magnetic device in the integrated database unit, and generating the second digital data only when the value is changed. automatic closing device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장치는
대응된 폐색구간의 속도조건을 색등으로 현시하는 폐색 신호기;
상기 폐색구간에 열차의 점유여부를 검지하고 궤도신호를 생성하는 궤도회로부;
대응된 자장치 식별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자장치 식별정보와, 상기 궤도회로에서 생성한 궤도신호를 포함하는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미리 설정된 전송주기마다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는 자장치송신부; 및
상기 모장치에서 전송한 상기 제2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자장치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속도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폐색신호기의 현시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agnetic device is
A occlusion signal that displays the speed conditions of the corresponding occlusion section with colored lights;
a track circuit unit that detects whether the blocked section is occupied by a train and generates a track signal;
a control unit that stores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vance and generates first digital data including the magnet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orbital signal generated by the orbital circuit;
a magnetic device transmitter that transmits the first digital data through the optical cable at preset transmission periods; and
Comprising a magnetic device receiver that receives the second digital data transmitted from the mother device,
The control unit
An automatic occlusion de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rent state of the occlusion signal is adjusted based on a speed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digital dat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자장치 식별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자장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제2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속도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폐색신호기의 현시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Only when the self-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digital data is the same as the self-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control unit, the current state of the occlusion signal is adjusted based on the speed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digital data. An automatic closing de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장치는
대응된 자장치의 동작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상태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장치의 고장여부, 및 고장원인을 분석한 후, 상기 고장여부를 나타내는 고장신호, 및 상기 고장원인을 나타내는 오류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1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agnetic device is
It further includes an operating state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fter analyzing whether the magnetic device has failed and the cause of the failure, generate first digital data further including a failure signal indicating the failure and error information indicating the cause of the failure. An automatic closing de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 수집부는
상기 폐색 신호기, 상기 궤도회로부, 상기 자장치 송신부, 및 상기 자장치수신부 각각에 흐르는 동작전류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operating state collection unit
An automatic closing de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llects operating current flowing through each of the occlusion signal, the track circuit, the magnetic device transmitter, and the magnetic device recei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장치는
상기 다수의 자장치들 각각의 고장여부, 및 고장원인을 표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장치상태 분석부는
상기 제1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응된 자장치의 고장여부, 및 고장원인을 인지하고, 이를 표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색장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the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whe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devices is malfunctioning and the cause of the malfunction,
The magnetic device status analysis unit
An automatic closing device system characterized by analyzing the first digital data, recognizing whether a corresponding magnetic device has failed and the cause of the failure,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nformation.
KR1020220040782A 2022-03-31 2022-03-31 Smart automatic block device dual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field device information in one station device KR202301413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782A KR20230141335A (en) 2022-03-31 2022-03-31 Smart automatic block device dual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field device information in one st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782A KR20230141335A (en) 2022-03-31 2022-03-31 Smart automatic block device dual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field device information in one st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335A true KR20230141335A (en) 2023-10-10

Family

ID=8829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782A KR20230141335A (en) 2022-03-31 2022-03-31 Smart automatic block device dual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field device information in one st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133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12B1 (en) 2013-08-21 2014-11-28 한국철도공사 Automatic Block System using Optical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12B1 (en) 2013-08-21 2014-11-28 한국철도공사 Automatic Block System using Optical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03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xiliary train control system
US7140577B2 (en) Remote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railroad wayside equipment
AU2016201090B2 (en) Signalling system for a railway network and method for the full supervision of a train realised by such a signalling system
CN109040249B (en) Vehicle-mounted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EP3919347A1 (en) Train security system
US11104361B2 (en) Railroad virtual track block system
US20040049327A1 (en) Radio based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using universal code
CN105807701A (en) Platform maintaining and managing system
KR101466912B1 (en) Automatic Block System using Optical Communication
KR20230141335A (en) Smart automatic block device dual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multiple field device information in one station device
EP4051553A1 (en) Balise integrity
RU2763082C1 (en) Interval train control system
CN113147834B (en) Auxiliary trai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CBTC (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system
JP6505525B2 (en) Level crossing control device
CN112744266B (en) Central control method, device and control system for train operation
US2005001518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occupancy status of a track section in particular following a restart of an axle counting system, as well as an evaluation device and counting point for this
CN113665625A (en) Axle counting method and equipment
KR200394750Y1 (en) LICS : Lineside Integrated Control System
US202301667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block operational status control with long block time delay
KR102426967B1 (en) Optical communication interface apparatus based automatic block system
CN211107461U (en) Intelligent vehicle control and route auxiliary display system for SAS non-centralized area
CN117698803A (en) Method, equipment and medium for detecting vehicle crossing of boundary of protection zone of TACS (traffic control system)
CN117565940A (en) Double-acting turnout protection method, equipment and medium of TACS system under degradation
CN105245426A (en) Platform plug-in having board position identification function
CN116946222A (en) CBTC system based on interval protection and heterogeneous redundancy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