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093A - golf swing practice and stance rectif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golf swing practice and stance rectif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093A
KR20230141093A KR1020220040205A KR20220040205A KR20230141093A KR 20230141093 A KR20230141093 A KR 20230141093A KR 1020220040205 A KR1020220040205 A KR 1020220040205A KR 20220040205 A KR20220040205 A KR 20220040205A KR 20230141093 A KR20230141093 A KR 20230141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fixing
practice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2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정흠
김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스윙
윤정흠
김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스윙, 윤정흠, 김태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스윙
Priority to KR102022004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093A/en
Publication of KR2023014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093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력자가 없이 연습자 스스로 골프 스윙 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석 플레이트(21)에 고정되는 지지포스트(22) 상단에 허리 지지대(23)를 설치하고, 상기 허리 지지대(23)의 양측에 사용자의 하체를 기대어 지지할 수 있는 하체 지지대(24)를 타석 플레이트(21)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타격 자세를 취할 수 있게끔 구성한 타석부(20)와, 상기 타석부(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윙부(30)로 대분하여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10)를 구성하며, 상기 스윙부(30)에 설치되는 원형 스윙 궤적링(38)에 연습용 클럽(60)을 설치하여 연습용 클럽(60)이 스윙 궤적링(38)을 따라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윙 과정에서 두부 지지부재가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해주도록 하고 허리 지지부재 및 하체 지지프레임이 사용자의 허리와 하체를 적절하게 지지해주도록 구성함으로써 백스윙, 다운스윙 및 임팩트, 팔로우스윙 및 피니쉬 등의 스윙 과정에서 하체의 스텐스가 무너지는 현상과 헤드업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교정해줄 수 있어 스윙 연습의 효율을 향상시켜 주고 안정적이고 정확한 스윙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끔 훈련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that allows practitioners to perform golf swing training on their own without an assista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er body supporter (24) that installs a waist supporter (23) on the top of a support post (22) fixed to the batting plate (21), and supports the user's lower body by leaning on both sides of the waist supporter (23). Golf swing practice and golf swing practice and It constitutes a posture correction device (10), and a practice club (60) is installed on the circular swing trajectory ring (38) installed on the swing unit (30) so that the practice club (60) rotates along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It is designed so that you can exercis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head support member supports the user's head during the swing process, and the waist support member and lower body support frame appropriately support the user's waist and lower body, so that the backswing, downswing, impact, follow swing, and finish are performed. It can effectively correct the collapse of the lower body stance and the head-up phenomenon that occurs during the swing process,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wing practice and training to maintain a stable and accurate swing posture. there is.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golf swing practice and stance rectifying apparatus}Golf swing practice and stance rect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연습자 스스로 골프 스윙 훈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헤드업(head up) 현상을 교정하여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허리 및 하체의 스텐스(stance)를 올바르게 유지하게끔 교정해주도록 함으로써 스윙 훈련과 자세교정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발명한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that allows the practitioner to correct the head up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golf swing training by himself, as well as to provide posture correction for the waist and lower body. This relates to a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invented to provide swing training and posture correction effects at the same time by correcting the posture to maintain correct posture.

골프가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을 하면서 여가생활로 골프를 즐기고자 하는 취미 골퍼와 골프를 업으로 하는 프로 골퍼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취미로 골프를 즐기고자 하는 골퍼는 물론 직업 선수로 골프를 치는 골퍼 또한 아이언 및 드라이버의 운용시에 호쾌한 스윙에 의한 타구의 비거리 및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 타구의 비거리 및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스윙 연습을 통해서 임팩트를 강하게 하면서도 스윙의 처음부터 마지막 과정까지 정확하고 일률적인 타격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반복훈련하여야 한다.As golf has established itself as a popular sport, the number of hobby golfers who want to enjoy golf as a leisure activity and professional golfers who play golf as a career is increasing explosively. Golfers who want to enjoy golf as a hobby as well as professional players are growing explosively. Golfers who play golf also make considerable efforts to improve the distance and accuracy of batted balls through vigorous swings when using irons and drivers. In order to improve the distance and accuracy of batted balls, they strengthen the impact through continuous swing practice and improve the swing. You must train repeatedly to maintain an accurate and consistent hitting postur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레슨 코치 등의 조력자의 지원을 받아 스윙 연습을 진행하기 힘든 여건에 처한 많은 골프 연습자는 조력자 없이도 스스로 훈련을 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그와 같은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골프 스윙 연습기가 개발되어 골퍼에게 제공되어 왔다.Many golf practitioners who find it difficult to practice their swing with the support of a helper such as a lesson coach have raised the need for golf swing practice equipment that allows them to train on their own without a helper, and various types are available according to the needs of such consumers. Golf swing exercise machines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to golfers.

통상의 골프 스윙 연습기는 포스트의 일정 위치에 고정한 회전 샤프트에 스윙 암을 설치하고, 상기 스윙 암에 연습용 클럽을 고정하여 구성한 것으로, 사용자가 연습용 클럽을 파지한 상태에서 백스윙(back-swing), 다운스윙(down-swing) 및 임팩트(impact), 팔로우스윙(follow-swing) 및 피니쉬(finish)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윙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면 연습용 클럽이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연습용 클럽의 회전궤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 typical golf swing exercise machine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swing arm on a rotating shaft fixed at a certain position on a post and fixing a practice club to the swing arm. The user performs back-swing and down swings while holding the practice club. When the swing process consisting of down-swing, impact, follow-swing, and finish is performed sequentially, the practice club rotates around the rotating shaft, causing the practice club to rotate. This was done to accommodate the orbit.

종래에 제공되어온 대부분의 골프 스윙 연습기는 포스트에 고정된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윙 암에 연습용 클럽을 고정시켜 구성한 것으로서, 연습용 클럽을 이용한 골프 스윙 연습은 고정된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궤적의 회전운동으로 이루어진다.Most of the golf swing exercise machines that have been provided conventionally are constructed by fixing a practice club to a swing arm that rotates around a rotating shaft fixed to a post. Golf swing practice using a practice club follows a constant trajectory centered around a fixed rotating shaft. It consists of a rotational movement of.

상기한 구성 및 작용관계를 가지는 종래 골프 스윙 연습기는, 연습용 클럽의 스윙 과정에서 허리를 돌려 백스윙(back-swing)을 하는 과정에서 허리가 빠지는 현상의 교정을 해줄수 없고, 다운스윙(down-swing) 및 임팩트(impact), 팔로우스윙(follow-swing) 및 피니쉬(finish) 등의 체중이동 과정에서 과정에서 하체의 스텐스(stance)가 무너지는 현상과 헤드업(head-up) 현상을 교정해줄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타격 자세의 훈련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The conventional golf swing exerciser having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and working relationship cannot correct the phenomenon of the waist being pulled out during the back-swing while swinging the practice club, and the down-swing. It is not possible to correct the phenomenon of the lower body's stance collapsing and the head-up phenomenon during the weight transfer process such as impact, follow-swing, and finish. Therefore, a problem is being raised that training in the correct hitting posture is not carried out.

즉, 종래의 골프 스윙 연습기를 이용하여 골프 스윙 연습을 진행할 경우 일정한 궤적의 스윙 연습은 가능할지 모르지만 실질적으로는 단순하게 팔의 스윙 연습만 이루어질 뿐이고 헤드업 현상이나 각 스윙 과정에서의 스탠스에 대한 교정을 해줄 수 없기 때문에 기대만큼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In other words, when practicing a golf swing using a conventional golf swing exerciser, it may be possible to practice swings with a certain trajectory, but in reality, only arm swing practice is performed and corrections to the head-up phenomenon or stance during each swing process are performed. Because it cannot be done, it is not receiving as much response as expected.

또한, 종래의 골프 연습기는 포스트에 고정된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윙 암에 연습용 클럽을 고정시켜 구성함으로써 골퍼의 체형이나 스윙 스타일에 따라서 달라지는 다양한 스윙-폼이나 스윙-아크(swing arc)를 온전하고 부드럽게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중대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golf exercise machine is configured by fixing a practice club to a swing arm that rotates around a rotating shaft fixed to a post, allowing various swing forms or swing arcs that vary depending on the golfer's body type or swing style. A serious problem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re are limits to complete and gentle acceptanc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골프 스윙 연습기가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별도의 두부 지지부재 및 허리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스윙 과정에서 사용자의 머리와 허리를 적절하게 지지해주도록 함으로써 백스윙(back-swing), 다운스윙(down-swing) 및 임팩트(impact), 팔로우스윙(follow-swing) 및 피니쉬(finish) 등의 스윙 과정에서 하체의 스텐스(stance)가 무너지는 현상과 헤드업(head-up) 현상을 효과적으로 교정해주고, 사용자의 두부나 허리를 지지해주는 과정에서 두부 지지부재 및 허리 지지부재가 사용자의 신체에 발생하는 운동변화를 강제로 제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면서 자연스러운 스윙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golf swing exercise machine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separate head support member and a waist support member to appropriately support the user's head and waist during the swing process. A phenomenon in which the stance of the lower body collapses during the swing process such as back-swing, down-swing and impact, follow-swing and finish, and head-up It effectively corrects the (head-up) phenomenon and prevents safety accidents such as injuries by preventing the head support member and waist support member from forcibly restricting movement changes that occur in the user's body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 user's head or waist. We aim to provide a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that has been completed with a focus on technical issues to prevent natural swing practice.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회전판의 원리를 응용한 각도 조절형 스윙 궤적링을 적용하여, 골퍼의 체형이나 스윙 스타일에 따라서 달라지는 다양한 스윙-폼이나 스윙-아크(swing arc)를 온전하고 부드럽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스윙 스타일을 가지는 다수의 골퍼에 대해 골프 스윙연습의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An important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n angle-adjustable swing trajectory ring that applies the principle of a rotating plate to completely and smoothly accommodate various swing forms or swing arcs that vary depending on the golfer's body type or swing style. The goal is to provide a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invented to further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golf swing practice for many golfers with various swing styles.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석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포스트 상단에 허리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허리 지지대의 양측에 사용자의 하체를 기대어 지지할 수 있는 하체 지지대를 타석 플레이트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타격 자세를 취할 수 있게끔 구성한 타석부와, 상기 타석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윙부로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s to install a waist support bar on the top of a support post fixed to the batting plate, and to install lower body supports that can support the user's lower body by leaning on both sides of the waist support bar, fixed to the batting plate. In constructing a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with a batting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assume a batting posture and a swing unit installed in front of the batting unit;

상기 스윙부는; 타석 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의 선단에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끔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조의 고정포스트, 상기 각 고정포스트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에 마련되는 보조프레임에 상부 고정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하단부에 하부 고정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한 승강포스트, 상기 승강포스트 간에 설치되는 고정로드가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몸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나사의 조임에 의해 위치 및 각도가 고정되는 것으로, 몸체를 전,후로 관통하는 통공에 슬라이드 로드를 결합하여, 몸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2 고정나사의 조임에 의해 몸체가 슬라이드 로드 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슬라이드 로드의 후단에 완충재를 결합한 두부 지지부재, 상기 승강포스트의 상부 고정수단 및 하부 고정수단에 고정하여 사용자와 마주하는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하는 정원(正圓) 형태로 구성하고, 내측에 중공부를 마련함과 아울러 내측에 절개홈이 일주하도록 하여서 된 스윙 궤적링, 상기 스윙 궤적링의 중공부 내에 결합하여, 중공부를 따라 스윙 궤적링을 일주할 수 있도록 구성한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어 함께 기동을 하는 것으로, 연습용 클럽의 결합을 위한 홀더를 구비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홀더에 결합되는 연습용 클럽 등으로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swing part; A set of fixed posts installed vertically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on both sides at the tip of the support frame installed in front of the batting plate, and an auxiliary frame provided at the top that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fixed posts and coupled to be able to slide vertically. A lifting post constructed by installing an upper fixing means at the bottom and installing a lower fixing means at the lower end, and the fixing rod installed between the lifting posts is installed to be inserted and positioned and positioned by tightening the first fixing screw vertically coupled to the body. The angle is fixed, so that the slide rod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that penetrates the body front and rear, and the body is fixed at a certain position on the slide rod by tightening the second fixing screw that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body, and the slide rod A head support member combining a cushioning material at the rear end of the lifting post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ans of the lifting post and is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to face the user, and has a hollow portion on the inside. In addition, a swing trajectory ring with a cut groove on the inside to go around, a rotating body that is coupled to the hollow part of the swing tracing ring and configured to go around the swing tracing ring along the hollow part, and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nd moves together. In other words, the technical feature is that it is composed of a fixture including a holder for combining practice clubs, and a practice club coupled to the holder of the fixture.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는 두부 지지부재에 사용자의 머리를 맞대어 밀착하고 허리 지지부재에 허리 후부를 인입시켜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하체 지지프레임 사이의 영역에 양측 다리를 위치하게 하고 스윙 연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스윙 과정에서 두부 지지부재와 허리 지지부재가 사용자의 머리와 허리를 적절하게 지지해주도록 구성함으로써 백스윙(back-swing), 다운스윙(down-swing) 및 임팩트(impact)의 과정에서 두부 지지부재가 머리를 지지해주어 헤드업(head-up)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교정하여주고, 허리 지지부재가 사용자의 허리를 잡아주어 스윙을 위한 체중이동 과정에서 허리가 과하게 빠지는 현상을 교정하여 줌과 아울러 하체 지지프레임이 하체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여 줌으로 신체가 어느 방향으로 쏠려 타격 스탠스(stance)가 무너지는 현상을 교정하여 줄 수 있으며, 허리 지지부재 및 하체 지지프레임은 팔로우스윙(follow-swing) 및 피니쉬(finish) 등의 스윙 과정에서도 신체의 스윙 밸런스가 흐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교정해줄 수 있어 독자적으로 이루어지는 스윙 연습의 효율을 향상시켜 주면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스윙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끔 훈련할 수 있는 것으며, 또한, 본 발명은 두부 지지부재 및 허리 지지부재가 사용자의 신체에 발생하는 운동변화를 강제적으로 제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습과정에서 부상 등의 사고발생을 예방하면서 자연스러운 스윙 연습을 실시할 수 있게끔 해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The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both legs in the area between the lower body support frame while the user's hea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support member and the back of the waist is supported by inserting the back of the waist into the waist support member. It is designed to enable swing practice, and the head support member and waist support member are configured to properly support the user's head and waist during the swing process, allowing for back-swing, down-swing, and impact. In the process of impact, the head support member supports the head and corrects the head-up phenomenon, and the waist support member holds the user's waist to prevent excessive waist strain during the weight transfer process for the swing. In addition to correcting the falling phenomenon, the lower body support frame can correct the phenomenon of the body being tilted in a certain direction and the hitting stance collapsing by limiting excessive movement of the lower body, and the waist support member and lower body support frame It can effectively correct the body's swing balance to prevent it from being disturbed during the swing process such as follow-swing and finish, improving the efficiency of independent swing practice and creating a stable and accurate swing. It is possible to train to maintain posture, and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ccidents such as injuries during practice by preventing the head support member and the waist support member from forcibly restricting movement changes that occur in the user's body.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you to practice your swing naturally while doing so.

본 발명은 회전판의 원리를 응용한 각도 조절형 스윙 궤적링을 적용하여, 골퍼의 체형이나 스윙 스타일에 따라서 달라지는 다양한 스윙-폼이나 스윙-아크(swing arc)를 온전하고 부드럽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스윙 스타일을 가지는 다수의 골퍼에 대해 골프 스윙연습의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n angle-adjustable swing trajectory ring that applies the principle of a rotating plate to completely and smoothly accommodate various swing forms or swing arcs that vary depending on the golfer's body type or swing style. This invention is truly beneficial for its expected effects, such as being able to further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golf swing practice for many golfers with different swing styles.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고정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지지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와 고정체의 구성 및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궤적링 및 회전체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궤적링 및 회전체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클럽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와 연습용 클럽의 구성 및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ference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state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fixed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ference front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working relationship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and the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ference plan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working relationship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and the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ferenc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ractice cl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combined state of the fixture and the practice cl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향유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or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have been omitted in order to not obscure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to be enjoy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를 통해 본 발명은 타석 플레이트(21)에 고정되는 지지포스트(22) 상단에 허리 지지대(23)를 설치하고, 상기 허리 지지대(23)의 양측에 사용자의 하체를 기대어 지지할 수 있는 하체 지지대(24)를 타석 플레이트(21)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타격 자세를 취할 수 있게끔 구성한 타석부(20)와, 상기 타석부(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윙부(30)로 대분하여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10)를 구성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스윙부(30)의 상세한 구성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1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st 22 fixed to the batting plate 21. A waist supporter 23 is installed at the top, and lower body supports 24, which can support the user's lower body by leaning against it,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aist supporter 23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a batting posture. It can be seen that the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10 is comprised largely of a batting unit 20 configured to be able to take a hit and a swing unit 30 installed in front of the batting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wing part 30 according to is made as follows.

상기 타석 플레이트(21)의 전방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1)의 선단에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한 조의 고정포스트(32)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각 고정포스트(32)에 승강포스트(33)를 삽입하여 수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승강포스트(33) 간에 연결프레임(33b)을 설치하여 승강포스트(33)의 견고성을 강화하고, 상기 승강포스트(33)의 상단에 마련되는 보조프레임(33c)에 상부 고정수단(34)을 설치함과 아울러 승강포스트(33)의 하단부에 하부 고정수단(35)을 설치하여 구성한다.A set of fixed posts 32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on both sides are installed vertically at the tip of the support frame 31 installed in front of the batting plate 21, and a lifting post ( 33) is inserted and coupled to be able to slide vertically, and a connection frame (33b) is installed between the lifting posts (33) to strengthen the sturdiness of the lifting post (33). The upper fixing means 34 is installed on the auxiliary frame 33c, and the lower fixing means 35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post 33.

상기 승강포스트(33) 간에 설치되는 고정로드(33d)에 설치되는 두부 지지부재(36)는, 두부 지지부재(36) 몸체의 슬라이드공을 삽입하도록 설치한 두부 지지부재(36)의 수직 암나사공에 제1 고정나사(36a)를 수직으로 결합하여, 제1 고정나사(36a)의 조임에 의해 제1 고정나사(36a)의 하단부가 고정로드(33c)에 가압되어 두부 지지부재(36)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두부 지지부재(36)를 소망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두부 지지부재(36)를 전,후로 관통하는 통공(36b)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로드(37)를 설치하여, 슬라이드 로드(37)의 선단에 사용자의 머리를 맞대어 지지할 수 있는 완충재(37a)를 결합하며, 상기 두부 지지부재(36)의 수평 암나사공에 제2 고정나사(36c)를 결합하여, 제2 고정나사(36c)의 조임에 의해 제2 고정나사(36c)의 하단부가 슬라이드 로드(37)에 가압되어 완충재(37a)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도 3 참조)The head support member 36 installed on the fixing rod 33d installed between the lifting posts 33 is a vertical female threaded hole of the head support member 36 installed to insert the slide hole of the body of the head support member 36. By vertically coupling the first fixing screw (36a) to the first fixing screw (36a), the lower end of the first fixing screw (36a) is pressed against the fixing rod (33c) to secure the head support member (36).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be fixed in a certain position, the head support member 36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angle, and the head support member 36 can be slid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36b penetrating forward and backward. By installing a combined slide rod 37, a cushioning member 37a that can support the user's head is coupled to the tip of the slide rod 37, and a second cushioning member 37a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emale thread hole of the head support member 36. By combining the fixing screws 36c,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xing screw 36c is pressed against the slide rod 37 by tightening the second fixing screw 36c so that the cushioning material 37a can be fixed in a certain position. Configure (see Figure 3)

상기와 같이 두부 지지부재(36)를 구성함으로써 슬라이드 로드(37)의 출몰에 따라 완충재(37a)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다양한 체형의 골퍼의 머리 지지에 완충재(37a)를 이용할 수 있다.By configuring the head support member 36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cushioning material 37a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appearance and appearance of the slide rod 37. As a result, the cushioning material 37a can be used to support the head of golfers of various body types. You can.

상기 승강포스트(33)에 설치되는 상부 고정수단(34) 및 하부 고정수단(35)에 정원(正圓) 형태의 스윙 궤적링(38)을 고정하여, 스윙 궤적링(38)이 사용자와 마주하는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스윙 궤적링(38)은 내부에 중공부(38a)가 마련되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하며, 상기 스윙 궤적링(38)의 내측 중앙에는 절개홈(39)이 일주하도록 형성하여 구성한다.The swing trajectory ring 38 of a circular shape is fixed to the upper fixing means 34 and the lower fixing means 35 installed on the lifting post 33, so that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faces the user. It is configured to take the form of, and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is composed of a square pipe with a hollow portion 38a provided therein, and a cut groove 39 is formed around the inner center of the swing trace ring 38. It is formed and configured to do so.

상기 스윙 궤적링(38)의 중공부(38a) 내에 회전체(40)를 결합하여, 회전체(40)가 중공부(38a)를 따라 스윙 궤적링(38)을 일주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체(40)에 연습용 클럽(60)의 결합을 위한 홀더(56)를 구비하는 고정체(50)를 결합하여, 고정체(50)가 회전체(40)와 함께 기동할 수 있도 하며, 상기 고정체(50)의 홀더(56)에 연습용 클럽(60)을 결합하여 스윙부(30)를 구성한다.The rotating body 40 is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38a of the swing tracking ring 38, so that the rotating body 40 can circumnavigate the swing tracking ring 38 along the hollow portion 38a, By combining the fixture 50 with a holder 56 for coupling the practice club 60 to the rotator 40, the fixture 50 can move together with the rotator 40. , the swing unit 30 is formed by combining the practice club 60 with the holder 56 of the fixture 50.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고정수단(34)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342)을 관통하는 볼트(343)에 의해 승강포스트(33)의 보조프레임(33c)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41), 상기 고정부재(341)에 설치되는 제1 지지브라켓(344), 상기 제1 지지브라켓(3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신축로드(346)가 나사결합되는 턴버클(345), 상기 턴버클(345)에 나사결합되는 제2 신축로드(347)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브라켓(348), 상기 제2 지지브라켓(348)에 부착되는 설치부재(349)로 구성하여, 상기 설치부재(349)에 스윙 궤적링(38)의 후면 상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 고정수단(34)을 구성한다.In Figure 2,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fixing means 3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shown, the lifting post 33 is secured by a bolt 343 penetrating a long hole 342 formed long forward and backward. ), a fixing member 341 fixed to the auxiliary frame 33c, a first support bracket 344 installed on the fixing member 341, and a first expansion and contrac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344. A turnbuckle 345 to which the rod 346 is screwed, a second support bracket 348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telescopic rod 347 to which the turnbuckle 345 is screwed,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348 It consists of an installation member 349 attached to, and an upper fixing means 34 is configured to fix the rear upper end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to the installation member 349.

상기 하부 고정수단(35)은, 승강포스트(33)에 고정되는 지지축(35a), 상기 회전축(35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35b)으로 구성하여, 고정판(35b)의 단부에 스윙 궤적링(38)의 후면 하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lower fixing means 35 consists of a support shaft 35a fixed to the lifting post 33 and a fixing plate 35b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5a, and swings at the end of the fixing plate 35b. It is configured to fix the rear lower part of the tracking ring (38).

상기와 같이 스윙 궤적링(38)의 고정을 위한 상,하부 고정수단(34,35)을 구성함으로써 상부 고정수단(34)을 구성하는 턴버클(345)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턴버클(345)에 나사결합된 제,1,2 신축로드(346,347)가 수축하거나 신장하여 스윙 궤적링(38)의 상단부를 밀어주거나 당겨주고, 상기 하부 고정수단(35)은 지지축(35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고정판(35b)이 스윙 궤적링(38)의 하단부를 고정지지하므로 턴버클(345)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스윙 궤적링(38)의 각도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By constructing the upper and lower fixing means 34 and 35 for fixing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as described above, if the turnbuckle 345 constituting the upper fixing means 34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turnbuckle ( The first, second, and second expansion rods (346,347) screwed to 345) contract or extend to push or pull the upper end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and the lower fixing means (35) rotates on the support shaft (35a). Since the possibly coupled fixing plate 35b fixes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angle change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caused by the action of the turnbuckle 345.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40)와 고정체(50)의 구성 및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40)는, 스윙 궤적링(38)의 중공부(38a) 내부에 수납되는 규격을 가지는 구동휠 고정블록(41), 상기 구동휠 고정블록(41)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스윙 궤적링(38)의 절개부(39)를 통해 돌출하는 고정구(42), 상기 구동휠 고정블록(41)의 전후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스윙 궤적링(38) 중공부(38a)의 상,하면에 연접(도 5 참조)하도록 한 수직지지 구동휠(43), 상기 구동휠 고정블록(41)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스윙 궤적링(38) 중공부(38a)의 전,후면에 연접(도 6 참조)하도록 한 수평지지 구동휠(44)로 구성한다.Figure 4 shows a reference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state of the rotating body 40 and the fixtur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rotating body 40 has a swing trajectory ring ( A drive wheel fixing block 41 having a standard stored inside the hollow part 38a of 38)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wheel fixing block 41 to form a cutout portion 39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A fixture 42 protruding through a vertical fixtur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rive wheel fixing block 41 to connect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llow portion 38a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see FIG. 5). A horizontal support drive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support drive wheel 43 and the drive wheel fixing block 41 to connect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llow portion 38a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see FIG. 6). It consists of a wheel (44).

상기와 같이 회전체(40)를 구성함으로써 회전체(40)가 스윙 궤적링(38)의 중공부(38a) 내벽에 간섭받지 않으며, 구동휠 고정블록(41)에 설치된 수직지지 구동휠(43) 및 수평지지 구동휠(44)이 스윙 궤적링(38)의 중공부(38a)의 상,하,전,후면에 연접하여 회전구동하므로 회전체(40)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구동시켜 줄 수 있게 된다.By configuring the rotating body 40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ng body 40 is not interfered with by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portion 38a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and the vertical support driving wheel 43 installed on the driving wheel fixing block 41 ) and the horizontal support drive wheel 44 is connected to the upper, low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llow portion 38a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and rotates, so that the rotating body 40 can be driven smoothly and flexibly. do.

상기 회전체(40)에 결합되는 고정체(50)는, 상기 회전체(40)의 고정구(42)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고정공(52)을 구비하는 고정플레이트(51), 상기 고정플레이트(51)의 전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53), 상기 고정브라켓(5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암(54), 상기 회동암(54)에 결합되는 유니버설조인트(55), 상기 유니버설조인트(55)에 결합되는 홀더(56)로 구성하여, 고정공(52)을 관통하는 볼트(B)를 회전체(40)의 고정구(42)에 나사결합하여 회전체(40)와 고정체(5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홀더(56)에 마련되는 슬라이드공(57)에 연습용 클럽(60)의 하단 샤프트(63)를 결합할 수 있게끔 구성한다.The fixture 50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40 includes a fixing plate 51 having a fixing hole 52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ture 42 of the rotating body 40, and the fixing plate ( A fixing bracket 53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bracket 51, a pivoting arm 54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53, a universal joint 55 coupled to the pivoting arm 54, and the universal joint ( It consists of a holder 56 coupled to 55), and a bolt (B) penetrating the fixing hole 52 is screwed to the fixture 42 of the rotating body 40 to form the rotating body 40 and the fixture 50. ) is configured so that the lower shaft 63 of the practice club 60 can be coupled to the slide ball 57 provided in the holder 56.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클럽(6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습용 클럽(60)은, 그립(62)이 설치된 상단 샤프트(61), 상기 상단 샤프트(61)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 스톱퍼(64a), 그 상단부가 제1 스톱퍼(64a)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하여 상단 샤프트(61) 내로 인입되게 한 하단 샤프트(63), 상기 상단 샤프트(61) 내로 인입된 하단 샤프트(63)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는 제2 스톱퍼(64b), 상기 제1 스톱퍼(64a)와 제2 스톱퍼(64b)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탄발스프링(65), 상기 제2 스톱퍼(64b)와 상단 샤프트(61) 내측 상단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탄발스프링(66)으로 구성하여, 상단 샤프트(61)의 수축과 신장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한다.In Figure 7, a referenc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ractice club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shown, the practice club 60 includes an upper shaft 61 on which a grip 62 is installed, A first stopper (64a)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shaft (61), a lower shaft (63) whose upper end slideably passes through the first stopper (64a) and is drawn into the upper shaft (61), the upper shaft (61) a second stopper (64b) installed in the upper area of the lower shaft (63) inserted into the inside, a first elastic spring (65)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topper (64a) and the second stopper (64b), It is composed of a second elastic spring 66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stopper 64b and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upper shaft 61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upper shaft 61.

상기와 같이 연습용 클럽(60)을 구성함으로써 연습용 클럽(60)의 상단 샤프트(61)에 제2 스톱퍼(64b)를 중심으로 상하로 대응하는 양방향 탄발력이 발생하여, 위 탄발력에 의해 연습용 클럽(60)의 상단 샤프트(61) 위치가 항상성을 유지하며 외부 물리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당겨지거나 밀려질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사용자가 연습용 클럽(60)을 파지하고 스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습용 클럽(60)의 위치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By configuring the practice club 60 as described above, a two-way elastic force corresponding upward and downward centered on the second stopper 64b is generated on the upper shaft 61 of the practice club 60, and the above elastic force causes the practice club to The position of the upper shaft 61 of (60) maintains homeostasis and can be elastically pulled or pushed by external physical forces, thereby removing the practice club (60)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the user holding and swinging the practice club (60). 60) position changes can be accommodated.

도 8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체(50)와 연습용 클럽(60)의 구성 및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50)의 홀더(56)에 상기 연습용 클럽(60)을 결합함에 있어, 상기 홀더(56)의 슬라이드공(57)을 통과한 하단 샤프트(63)의 상하부에 홀더(56)를 사이에 두는 상,하부 고정링(67a,67b)을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 고정링(67a,67b)과 홀더(56) 사이에 제3,4 탄발스프링(68a,68b)을 각각 개재하여 구성한다.In Figure 8,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is shown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state of the fixture 50 and the practice club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holder 56 of the fixture 50 is shown. When combining the practice club 60, upper and lower fixing rings 67a, 67b are provided between the holder 56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lower shaft 63 that passes through the slide hole 57 of the holder 56. is installed, and the third and fourth elastic springs (68a, 68b) ar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xing rings (67a, 67b) and the holder (56).

상기와 같이 고정체(50)의 홀더(56)에 연습용 클럽(60)을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연습용 클럽(60)의 하단 샤프트(63)에 홀더(56)를 중심으로 상하로 대응하는 양방향 탄발력이 발생하여, 위 탄발력에 의해 연습용 클럽(60)의 하단 샤프트(63) 위치가 항상성을 유지하며 외부 물리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당겨지거나 밀려질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사용자가 연습용 클럽(60)을 파지하고 스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습용 클럽(60)의 위치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By combining the practice club 60 with the holder 56 of the fixture 50 as described above, a two-way elastic force corresponding up and down with the holder 56 centered on the lower shaft 63 of the practice club 60 As this occurs, the position of the lower shaft 63 of the practice club 60 maintains homeostasis due to the above elastic force and can be elastically pulled or pushed by an external physical forc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practice club 60.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practice club 60 that occur during the process of gripping and swinging.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타격부(20)의 타격 플레이트(21) 상에서 타격 자세를 취하고 연습용 클럽(60)을 파지한 상태에서 두부 지지부재(36)의 완충재(37a)에 머리 부위를 맞댐과 아울러 허리 지지대(23)에 허리를 인입시켜 지지하고, 하체 지지대(24) 사이 영역에 양측 다리를 위치시켜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훈련을 진행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allows the user to take a hitting posture on the hitting plate 21 of the hitting unit 20, hold the practice club 60, and place the head on the cushioning material 37a of the head support member 36. In addition to butting, the waist is supported by inserting it into the waist supporter 23, and both legs are placed in the area between the lower body supports 24 to perform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training.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윙 과정에서 완충재(37a)와 허리 지지대(23)가 사용자의 머리와 허리를 적절하게 지지해주도록 구성함으로써 백스윙(back-swing), 다운스윙(down-swing) 및 임팩트(impact)의 과정에서 헤드업(head-up)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교정하여 주고, 허리 지지대(23)가 사용자의 허리를 잡아주어 스윙을 위한 체중이동 과정에서 허리가 과하게 빠지는 현상을 교정하여 줌과 아울러 하체 지지대(24)가 하체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여 줌으로 신체가 어느 방향으로 쏠려 타격 스탠스(stance)가 무너지는 현상을 교정하여 줄 수 있으며, 허리 지지대(23) 및 하체 지지대(24)는 팔로우스윙(follow-swing) 및 피니쉬(finish) 등의 스윙 과정에서도 신체의 스윙 밸런스가 흐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교정해줄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ing material 37a and the waist support 23 are configured to appropriately support the user's head and waist during the swing process, thereby enabling back-swing, down-swing, and impact. ) It corrects the head-up phenomenon that occurs in the process, and the waist supporter 23 holds the user's waist and corrects the phenomenon of the waist falling excessively during the weight transfer process for swing. The lower body supporter (24) can correct the phenomenon of the body being tilted in a certain direction and the batting stance collapsing by limiting excessive movement of the lower body, and the waist supporter (23) and lower body supporter (24) provide follower support. Even during swing processes such as follow-swing and finish, it can effectively correct the body's swing balance to prevent it from being disturbed.

본 발명은 300°이상의 회전으로 이루어지는 연습용 클럽(60)의 회전을 스윙 궤적링(38)이 온전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회전판의 원리를 응용한 각도 조절형 스윙 궤적링(38)을 적용하여, 골퍼의 체형이나 스윙 스타일에 따라서 달라지는 다양한 스윙-폼이나 스윙-아크(swing arc)를 온전하고 부드럽게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can completely accommodate the rotation of the practice club 60, which rotates more than 300°, and applies an angle-adjustable swing trajectory ring 38 that applies the principle of a rotating pl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and smoothly accommodate various swing forms or swing arcs that vary depending on the golfer's body type or swing style.

본 발명은 연습용 클럽(60)의 상,하단 샤프트(61,63) 위치가 항상성을 유지하며 외부 물리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당겨지거나 밀려질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사용자가 연습용 클럽(60)을 파지하고 스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습용 클럽(60)의 위치변화를 적절하게 수용하여 스윙자세를 보다 자연스럽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hafts 61 and 63 of the practice club 60 maintain homeostasis and can be elastically pulled or pushed by external physical forces,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hold the practice club 60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natural swing posture by appropriately accommodating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practice club 60 that occur during the swing process.

본 발명은 연습용 클럽(60)을 회전가능하게 잡아주는 회전체(40)가 스윙 궤적링(38)의 내부(공간부)에 은닉되어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전체(4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1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윙 연습시 고속회전하는 회전체(40)가 주변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회전체(4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rotating body 40, which rotatably holds the practice club 60, is hidden in the interior (space portion)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and can be rotated, thereby protecting the rotating body 40 from external impact. It not only prevents damage to the equipment and facilitates maintenance, but also improves marketability by making the appearance of the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10) beautiful, and it rotates at high speed during swing practice. Since the rotating body 40 does not affect the surroundings, various types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40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는 전술하고 있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 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며, 본 발명에서 향유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인바,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and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to be enjoyed by the present invention.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hich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10: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 20: 타석부
21: 타석 플레이트 22: 지지포스트
23: 허리 지지대 24: 하체 지지대
30: 스윙부 31: 지지프레임
32: 고정포스트 33: 승강포스트
34: 상부 고정수단 35: 하부 고정수단
36: 두부 지지부재 38: 스윙 궤적링
39: 절개홈 40: 회전체
50: 고정체 60: 연습용 클럽
10: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20: Batting area
21: batting plate 22: support post
23: lumbar support 24: lower body support
30: Swing part 31: Support frame
32: fixed post 33: lifting post
34: upper fixing means 35: lower fixing means
36: Head support member 38: Swing trajectory ring
39: Cut groove 40: Rotating body
50: fixture 60: practice club

Claims (5)

타석 플레이트(21)에 고정되는 지지포스트(22) 상단에 허리 지지대(23)를 설치하고, 상기 허리 지지대(23)의 양측에 사용자의 하체를 기대어 지지할 수 있는 하체 지지대(24)를 타석 플레이트(21)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타격 자세를 취할 수 있게끔 구성한 타석부(20)와, 상기 타석부(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윙부(30)로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30)는; 타석 플레이트(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1)의 선단에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끔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조의 고정포스트(32),
상기 각 고정포스트(32)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에 마련되는 보조프레임(33c)에 상부 고정수단(34)을 설치함과 아울러 하단부에 하부 고정수단(35)을 설치하여 구성한 승강포스트(33),
상기 승강포스트(33) 간에 설치되는 고정로드(33d)가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몸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고정나사(36a)의 조임에 의해 위치 및 각도가 고정되는 것으로, 몸체를 전,후로 관통하는 통공(36b)에 슬라이드 로드(37)를 결합하여, 몸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2 고정나사(36c)의 조임에 의해 몸체가 슬라이드 로드(37) 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슬라이드 로드(37)의 후단에 완충재(37a)를 결합한 두부 지지부재(36),
상기 상부 고정수단(34) 및 하부 고정수단(35)에 고정하여 사용자와 마주하는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하는 정원(正圓) 형태로 구성하고, 그 내부에는 중공부(38a)를 마련함과 아울러 내측에 절개홈(39)이 일주하도록 하여서 된 스윙 궤적링(38),
상기 스윙 궤적링(38)의 중공부(38a) 내에 결합하여, 중공부(38a)를 따라 스윙 궤적링(20)을 일주할 수 있도록 구성한 회전체(40),
상기 회전체(40)에 결합되어 함께 기동을 하는 것으로, 연습용 클럽(60)의 결합을 위한 홀더(56)를 구비하는 고정체(50),
상기 고정체(50)의 홀더(56)에 결합되는 연습용 클럽(6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
A waist supporter 23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upport post 22 fixed to the batting plate 21, and lower body supports 24 that can support the user's lower body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aist supporter 23. A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10) consisting of a batting unit (20) fixed to (21) so that the user can assume a batting posture, and a swing unit (30) installed in front of the batting unit (20). ) in constructing;
The swing part 30 is; A set of fixed posts (32) installed vertically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on both sides at the tip of the support frame (31) installed in front of the batting plate (20),
It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fixing posts 32 and coupled to be able to slide vertically, and an upper fixing means 34 is installed on the auxiliary frame 33c provided at the top, and a lower fixing means 35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A lifting post (33) composed of
The position and angle are fixed by tightening the first fixing screw 36a, which is installed to insert the fixing rod 33d installed between the lifting posts 33 and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body, penetrating the body forward and backward. By coupling the slide rod 37 to the through hole 36b, the body is fixed at a certain position on the slide rod 37 by tightening the second fixing screw 36c horizontally coupled to the body, and the slide rod A head support member (36) combining a cushioning material (37a) at the rear end of (37),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ircle that is fixed to the upper fixing means 34 and the lower fixing means 35 to face the user, and a hollow portion 38a is provided inside the inner portion. A swing trajectory ring (38) formed by allowing the cut groove (39) to go round,
A rotating body (40)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38a)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and configured to circumnavigate the swing trajectory ring (20) along the hollow portion (38a),
A fixture 50 having a holder 56 for coupling a practice club 60, which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40 and moves together,
A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ractice club (60) coupled to the holder (56) of the fixture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수단(34)은,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342)을 관통하는 볼트(343)에 의해 승강포스트(33)의 보조프레임(33c)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41), 상기 고정부재(341)에 설치되는 제1 지지브라켓(344), 상기 제1 지지브라켓(3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신축로드(346)가 나사결합되는 턴버클(345), 상기 턴버클(345)에 나사결합되는 제2 신축로드(347)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브라켓(348), 상기 제2 지지브라켓(348)에 부착되는 설치부재(349)로 구성하여, 상기 설치부재(349)에 스윙 궤적링(38)의 후면 상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 고정수단(35)은, 승강포스트(33)에 고정되는 지지축(35a), 상기 회전축(35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35b)으로 구성하여, 고정판(35b)의 단부에 스윙 궤적링(38)의 후면 하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fixing means 34 includes a fixing member 341 fixed to the auxiliary frame 33c of the lifting post 33 by a bolt 343 penetrating a long hole 342 formed long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fixing member ( A first support bracket 344 installed on 341), a turnbuckle 345 to which a first expansion rod 346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344 is screwed, and a turnbuckle 345 is screwed to the turnbuckle 345. It consists of a second support bracket 348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expansion rod 347, and an installation member 349 attached to the second support bracket 348, and swings on the installation member 349. It is configured to fix the rear upper part of the tracking ring (38),
The lower fixing means 35 consists of a support shaft 35a fixed to the lifting post 33 and a fixing plate 35b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5a, and swings at the end of the fixing plate 35b. A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configured to fix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trajectory ring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40)는, 스윙 궤적링(38)의 중공부(38a) 내부에 수납되는 규격을 가지는 구동휠 고정블록(41), 상기 구동휠 고정블록(41)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스윙 궤적링(38)의 절개부(39)를 통해 돌출토록 한 고정구(42), 상기 구동휠 고정블록(41)의 전후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스윙 궤적링(38) 중공부(38a)의 상,하면에 연접하도록 한 수직지지 구동휠(43), 상기 구동휠 고정블록(41)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스윙 궤적링(38) 중공부(38a)의 전,후면에 연접하도록 한 수평지지 구동휠(44)로 구성하고,
상기 회전체(40)에 결합되는 고정체(50)는, 상기 회전체(40)의 고정구(42)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고정공(52)을 구비하는 고정플레이트(51), 상기 고정플레이트(51)의 전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53), 상기 고정브라켓(5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암(54), 상기 회동암(54)에 결합되는 유니버설조인트(55), 상기 유니버설조인트(55)에 결합되는 홀더(56), 상기 고정공(52)을 관통하여 회전체(40)의 고정구(42)에 나사결합되는 볼트(B)로 구성하여, 홀더(56)에 마련되는 슬라이드공(57)에 연습용 클럽(60)의 하단 샤프트(63)를 결합할 수 있게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body 40 is coupled to a drive wheel fixing block 41 having a standard stored inside the hollow portion 38a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wheel fixing block 41 to swing. A fixture 42 protruding through the cutout 39 of the trajectory ring 38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rive wheel fixing block 41 to form a hollow portion 38a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A vertical support drive wheel (43)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drive wheel fixing block (41) to connect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llow portion (38a) of the swing trajectory ring (38). It consists of a horizontal support drive wheel (44),
The fixture 50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40 includes a fixing plate 51 having a fixing hole 52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ture 42 of the rotating body 40, and the fixing plate ( A fixing bracket 53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bracket 51, a pivoting arm 54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53, a universal joint 55 coupled to the pivoting arm 54, and the universal joint ( A slide hole provided in the holder 56, consisting of a holder 56 coupled to the holder 55) and a bolt B that passes through the fixing hole 52 and is screwed to the fixing hole 42 of the rotating body 40. A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uple the lower shaft (63) of the practice club (60) to (5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용 클럽(60)은, 그립(62)이 설치된 상단 샤프트(61), 상기 상단 샤프트(61)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 스톱퍼(64a), 그 상단부가 제1 스톱퍼(64a)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하여 상단 샤프트(61) 내로 인입되게 한 하단 샤프트(63), 상기 상단 샤프트(61) 내로 인입된 하단 샤프트(63)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는 제2 스톱퍼(64b), 상기 제1 스톱퍼(64a)와 제2 스톱퍼(64b)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탄발스프링(65), 상기 제2 스톱퍼(64b)와 상단 샤프트(61) 내측 상단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탄발스프링(66)으로 구성하여, 상단 샤프트(61)의 수축과 신장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actice club 60 includes an upper shaft 61 on which a grip 62 is installed, a first stopper 64a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shaft 61,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stopper 64a that can slide. A lower shaft 63 that passes through the upper shaft 61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shaft 61, a second stopper 64b installed in the upper area of the lower shaft 63 inserted into the upper shaft 61, and the first stopper ( It consists of a first elastic spring 65 interposed between 64a) and the second stopper 64b, and a second elastic spring 66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stopper 64b and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upper shaft 61. Thus, a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lasticity is provided to the contraction and extension of the upper shaft (61).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50)의 홀더(56)에 상기 연습용 클럽(60)을 결합함에 있어, 상기 홀더(56)의 슬라이드공(57)을 통과한 하단 샤프트(63)의 상하부에 홀더(56)를 사이에 두는 두 개의 고정링(67a,67b)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링(67a,67b)과 홀더(56) 사이에 제3,4 탄발스프링(68a,68b)을 각각 개재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3 or 4;
When coupling the practice club 60 to the holder 56 of the fixture 50, the holder 56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ower shaft 63 that passes through the slide hole 57 of the holder 56. It is characterized by installing two fixing rings (67a, 67b) between them, and interposing third and fourth elastic springs (68a, 68b) between the fixing rings (67a, 67b) and the holder 56, respectively. Golf swing practice and posture correction device.
KR1020220040205A 2022-03-30 2022-03-30 golf swing practice and stance rectifying apparatus KR202301410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205A KR20230141093A (en) 2022-03-30 2022-03-30 golf swing practice and stance rectif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205A KR20230141093A (en) 2022-03-30 2022-03-30 golf swing practice and stance rectify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093A true KR20230141093A (en) 2023-10-10

Family

ID=8829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205A KR20230141093A (en) 2022-03-30 2022-03-30 golf swing practice and stance rectif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109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2424A (en) Sports Training Aids
US7887429B2 (en) Golf training aids
JP6753864B2 (en) Golf swing practice device
US20070087856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0991487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golf swing pose
GB2460908A (en) Golf swing training aid
KR200425800Y1 (en) Swing correcting apparatus for golf practice
US7846035B2 (en) Golf swing exercising/train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KR20230141093A (en) golf swing practice and stance rectifying apparatus
US7597631B2 (en) Golf training aid
JP6228930B2 (en) Golf swing practice equipment
US8079917B2 (en) Training apparatus for improving an athletes swing
KR101007581B1 (en) Golf swing posture correction equipment
US10632357B1 (en) Swing training device
KR102598054B1 (en) golf swing practice and stance rectifying apparatus
KR101258215B1 (en) Training device for a putting posture
KR200259041Y1 (en) posture correction and practice structure for golf
US20240082678A1 (en) Golf training apparatus
JP2541528Y2 (en) Golf swing practice machine
JP2814198B2 (en) Golf swing practice equipment
KR100617442B1 (en) Golf practice device
KR20230058832A (en) golf putting and swing training apparatus with combination type
BR102019020405A2 (en) equipment to practice tennis and method of using it
KR20100018172A (en) Support tool for golf practice and practice method utilizing it
KR20220106262A (en) Guiding Apparatus for Golf Sw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