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923A - Smart Phone Gimbal for Drones - Google Patents

Smart Phone Gimbal for Dro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923A
KR20230139923A KR1020220037845A KR20220037845A KR20230139923A KR 20230139923 A KR20230139923 A KR 20230139923A KR 1020220037845 A KR1020220037845 A KR 1020220037845A KR 20220037845 A KR20220037845 A KR 20220037845A KR 20230139923 A KR20230139923 A KR 20230139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gimbal
drones
posture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일우
최안식
최슬기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시스
Priority to KR102022003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923A/en
Publication of KR2023013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923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0/0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 B64U20/80Arrangement of on-board electronics, e.g. avionics systems or wiring
    • B64U20/87Mounting of imaging devices, e.g. mounting of gimb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은 드론과 결합되는 짐벌 몸체와 상기 짐벌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짐벌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짐벌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짐벌에 연결된 제1 스마트폰, 및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2 스마트폰과 정보, 및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짐벌 몸체는 상기 드론에 상기 짐벌 몸체가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짐벌 몸체의 자세를 변경하는 복수의 회전축과 각각의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모터와 각각의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복수의 암과 상기 제1 스마트폰이 거치되고 상기 제1 스마트폰이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martphone gimbal for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imbal body coupled to a drone, a control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imbal body to control the gimbal, a first smartphon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imbal body and connected to the gimbal, and operated by a us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with a second smartphone.
Also preferably, the gimbal body includes a bracket to which the gimbal body is coupled to the drone, a plurality of rotation axes that change the posture of the gimbal body, a plurality of motors that rotate each of the rotation axes, and a plurality of motors that connect each of the rotation ax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rm of and a connection part that allows the first smartphone to be mounted an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Smart Phone Gimbal for Drones}Smart Phone Gimbal for Drones}

본 발명은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카메라 없이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촬영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통신을 통해 지상의 스마트폰으로 짐벌을 제어하며, 제어하는 스마트폰을 통해 영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입출력 포트를 통해 영상 및 통신, 저장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smartphone that allows shooting by connecting a smartphone without a separate camera, and controls the gimbal with a smartphone on the grou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It is about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that allows you to observe video and provides video, communication, and storage services through additional input/output ports.

드론(drone)은 실제 조종사가 직접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사전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날아가는 비행체로 UAV 본체, 탑재임무장비, 지상통제장비(GCS), 통신장비, 지원장비 및 운용인력의 전체 시스템을 통칭하는 UAS(unmanned aircraft system)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A drone is an aircraft that flies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according to a pre-programmed path on the ground without an actual pilot directly on board. It consists of a UAV body, onboard mission equipment, ground control system (GCS), communication equipment, support equipment, and operating personnel. It is one of the components of UAS (unmanned aircraft system), which refers to the entire system.

종래의 드론용 짐벌은 고가의 카메라를 장착하고, 별도의 통신장치를 통해 영상을 전송하며, 조종기 등을 통해 짐벌의 제어가 가능하여, 짐벌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Conventional gimbals for drones are equipped with expensive cameras, transmit images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the gimbal through a remote controller, etc., making it difficult to operate the gimbal.

KRKR 10-1689197 10-1689197 B1B1 2016.12.192016.12.19 KRKR 10-2135776 10-2135776 B1B1 2020.07.142020.07.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에 짐벌을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을 짐벌에 연결하고 앱을 실행함으로 드론으로 영상 촬영이 가능해지고, 스마트폰의 통신을 통해 지상의 사용자에게 영상 정보를 송신하며, 지상의 사용자는 송신받은 영상을 토대로 짐벌의 제어 신호를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로 송신하게 된다.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스마트폰의 배터리로 짐벌의 구동이 가능하여 드론과의 별개의 전원으로 독립적인 운용이 가능하여 드론의 추락이나 비상시에 블랙박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짐벌에 내장된 멀티 포트를 통해 HDMI 및 USB, SD card의 외부 확장성을 추가로 지원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video shooting with a drone by connecting a smartphone to the gimbal and running an app when using a gimbal on a drone, and to transmit video information to users on the grou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Based on the received video, the gimbal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rone smartphone gimbal. The gimbal can be driven by a smartphone battery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allowing independent operation with a separate power source from the drone. It performs a black box-like function in case of a drone crash or emergency, and has a multi-port built into the gimbal. The goal is to provide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that additionally supports external expandability of HDMI, USB, and SD cards.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한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은 드론과 결합되는 짐벌 몸체와 상기 짐벌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짐벌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짐벌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짐벌에 연결된 제1 스마트폰, 및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2 스마트폰과 정보, 및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martphone gimbal for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imbal body coupled to a drone, a control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imbal body to control the gimbal, a first smartphon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imbal body and connected to the gimbal, and operated by a us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with a second smartphon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짐벌 몸체는 상기 드론에 상기 짐벌 몸체가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짐벌 몸체의 자세를 변경하는 복수의 회전축과 각각의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모터와 각각의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복수의 암과 상기 제1 스마트폰이 거치되고 상기 제1 스마트폰이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gimbal body includes a bracket to which the gimbal body is coupled to the drone, a plurality of rotation axes that change the posture of the gimbal body, a plurality of motors that rotate each of the rotation axes, and a plurality of motors that connect each of the rotation ax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rm of and a connection part that allows the first smartphone to be mounted an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은 규격화된 크기로 제작되어 상기 드론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기 짐벌 몸체가 상기 드론에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bracket is manufactured in a standardized size and includes a fixing plate that allows the gimbal body to be coupled to the drone regardless of the type of dron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판은 상면에 상기 드론과 상기 짐벌 몸체가 나사가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 중공이 가공된 복수의 기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fixing plat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hollow columns on the upper surface of which the drone and the gimbal body can be screwed and coupl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판을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연결부를 수평 방향으로 제어하고, 회전의 방향이 연속적으로 가능한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연결부를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고, 180° 범위로 수직 회전이 가능한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연결부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45° 범위로 회전이 가능한 제3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rotation shaft controls the fixing plate and the connection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motor, and is connected to a first rotation shaft whose direction of rotation is continuous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motor. Controlled by a second rotation axis capable of vertical rotation in a range of 180°, and a third rotation ax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axis to maintain the connection part horizontally through the motor and capable of rotation in a ±45° rang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고정판이 연결되도록 각각의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암 내부에 마련된 공간을 통해 각각의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전선이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arm is connected to each of the rotation shafts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xing plate are connected, and electric wires connected to each of the rotation shafts are embedded through spaces provided inside the plurality of arm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스마트폰이 거치되고 고정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스마트폰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holder on which the first smartphone is mounted and fixed, and a connec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der to connect the first smartphone to the control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3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하로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제1 스마트폰을 가로 방향으로 눕혀 고정하고, 상기 거치대 내부에 마련된 IMU센서가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자세를 센싱하고, 센싱된 자세 정보를 상기 제어부의 자세제어회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holder is connected to the third rotation axis, can be adjusted in size up and down, so that the first smartphone is fixed by lying d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IMU sensor provided inside the holder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first smartphone. It is characterized by sensing and transmitting the sensed posture information to the posture control circuit of the control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마트폰과 상기 제어부의 IO포트를 유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스마트폰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짐벌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connecto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d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smartphone to connect the first smartphone and the IO port of the control unit by wire, and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smartphone to load the luggage. It is characterized by supplying power to the bee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회전축을 제어하는 상기 자세제어회로와 외부 디바이스로 연결이 확장되는 상기 IO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IMU센서가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자세를 센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자세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전달받은 자세 정보로 상기 제어부의 상기 자세제어회로에서 각각의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자세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발생된 상기 자세제어신호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4 단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posture control circuit that controls each of the rotation axes and the IO port that extends connection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IMU sensor performs a first step in which the posture of the first smartphone is sensed. and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generated in the first step to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each of the motors in the posture control circuit of the control unit with the postur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second step. It is characterized by a third step of generating an attitude control signal and a fourth step of controlling the motor with the attitude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third step.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세제어회로는 상기 제1 회전축만을 작동하는 제1 작동 상태와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만을 작동하는 제2 작동 상태와 상기 제1 회전축 내지 상기 제3 회전축을 작동하는 제3 작동 상태와 상기 제1 회전축 내지 상기 제3 회전축을 고정하는 제4 작동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IMU센서가 센싱한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자세 정보로 제1 스마트폰의 방향을 유지하고, 상기 드론의 움직임에도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시점이 변하지 않도록 각각의 상기 회전축 내부의 각각의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상기 자세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attitude control circuit has a first operating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rotation axis is operated, a second operating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are operated, and an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rotation axes are operated. It includes a third operating state and a fourth operating state fixing the first rotation axis to the third rotation axis, maintaining the direction of the first smartphone using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sensed by the IMU sensor, and , Characterized in generating the attitude control signal to control each motor inside each rotation axis so that the viewpoint of the first smartphone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drone move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IO포트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제1 스마트폰부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4k의 고화질 영상정보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HDMI포트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제1 스마트폰부터 확장되어 복수의 USB 2.0 단자, 및 복수의 USB 3.0 단자가 구비되는 USB포트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제1 스마트폰부터 확장되어 SD 카드, 및 마이크로 SD 카드가 삽입되는 SD카드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IO port is an HDMI port that receives video information from the first smartphone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connection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external device as 4K high-definition video information, and the IO por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connection unit. 1 A USB port that extends from a smartphone and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USB 2.0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USB 3.0 terminals, and an SD that extends from the first smartphone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connection part and inserts an SD card and a micro SD car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ard slo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마트폰은 짐벌 앱이 설치되어 실행되고, 상기 짐벌 앱은 상기 제1 스마트폰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 상기 제1 스마트폰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자세 정보, 및 상기 자세제어회로에서 발생된 상기 자세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 서비스와 상기 컨트롤러 서비스의 정보, 및 신호를 교환하는 제1 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first smartphone has a gimbal app installed and running, and the gimbal app includes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smartphon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smartphone, and the gimbal app.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ntroller service that processes posture information and the postur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osture control circuit, and a first network service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of the controller servi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스마트폰은 유저 앱이 설치되어 실행되고, 상기 유저 앱은 상기 제1 스마트폰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 상기 제1 스마트폰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자세 정보, 및 상기 자세제어회로에서 발생된 상기 자세제어신호를 상기 제2 스마트폰에서 화면으로 출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정보, 및 신호를 교환하는 제2 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second smartphone has a user app installed and running, and the user app includes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smartphon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smartphone, and the user app.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user interface that outputs posture information and the postur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osture control circuit on a screen from the second smartphone, and a second network service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of the user interface. do.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스마트폰과 상기 제2 스마트폰의 정보, 및 신호를 주고받는 릴레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서버는 상기 컨트롤러 서비스의 정보, 및 신호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정보, 및 신호를 교환하는 데이터 딜레이 모듈과 상기 데이터 딜레이 모듈의 정보 및 신호를 교환하는 제3 네트워크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relay server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of the first smartphone and the second smartphone, and the relay server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roller service, and information on the signal and the user interface. , and a data delay module for exchanging signals and a third network service for exchanging information and signals of the data delay module.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별도의 카메라 없이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촬영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통신을 통해 지상의 스마트폰으로 짐벌을 제어하며, 제어하는 스마트폰을 통해 영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입출력 포트를 통해 영상 및 통신, 저장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이다.You can shoot by connecting a smartphone without a separate camera, control the gimbal with a smartphone on the ground through smartphone communication, and observe video through the controlling smartphone. It i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that provides communication and storage service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의 드론과 짐벌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을 도시한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제어부의 자세제어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제어부의 자세제어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IO포트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통신부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one and a gimbal of a smartphone gimbal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gimbal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martphone gimbal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posture control of the gimbal control unit of a smartphone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posture control of the gimbal control unit of a smartphone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gimbal IO port of a smartphone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gimbal communication unit of a smartphone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의 드론과 짐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one and a gimbal of a smartphone gimbal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gimbal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드론(100)에 결합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은 상기 드론(100)과 결합되는 짐벌 몸체(200)와 상기 짐벌 몸체(2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짐벌을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짐벌 몸체(2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짐벌에 연결된 제1 스마트폰(400), 및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2 스마트폰(500)과 정보, 및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smartphone gimbal for a drone coupled to the drone 1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imbal body 200 and the gimbal body 200 coupled to the drone 100 to control the gimbal. A communication unit 600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with the control unit 300, a first smartphone 4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imbal body 200 and connected to the gimbal, and a second smartphone 500 operated by the user. ) may includ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을 도시한 세부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martphone gimbal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짐벌 몸체(200)는 상기 드론(100)에 상기 짐벌 몸체(200)가 결합되는 브라켓(210)과 상기 짐벌 몸체(200)의 자세를 변경하는 복수의 회전축(220)과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모터(230)와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을 연결하는 복수의 암(240)과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이 거치되고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이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gimbal body 200 includes a bracket 210 on which the gimbal body 200 is coupled to the drone 100 and a plurality of rotation axes 220 that change the posture of the gimbal body 200. and a plurality of motors 230 that rotate each of the rotation shafts 220 and a plurality of arms 240 connecting each of the rotation shafts 220 and the first smartphone 400 are mounted, and the first smart phone 400 is mounted on the first smart phone 400. The phone 400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250 that allow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300.

여기서, 상기 브라켓(210)은 규격화된 크기로 제작되어 상기 드론(100)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기 짐벌 몸체(200)가 상기 드론(100)에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판(211)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racket 210 is manufactured in a standardized size and may include a fixing plate 211 that allows the gimbal body 200 to be coupled to the drone 100 regardless of the type of drone 100.

그리고, 상기 고정판(211)은 상면에 상기 드론(100)과 상기 짐벌 몸체(200)가 나사가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 중공(213)이 가공된 복수의 기둥(212)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late 21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llars 212 on the upper surface of which a hollow 213 is machined, through which the drone 100 and the gimbal body 200 can be screwed together.

또한,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고정판(211)을 상기 모터(230)를 통해 상기 연결부(250)를 수평 방향으로 제어하고, 회전의 방향이 연속적으로 가능한 제1 회전축(221)과 상기 제1 회전축(221)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230)를 통해 상기 연결부(250)를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고, 180° 범위로 수직 회전이 가능한 제2 회전축(222)과 상기 제2 회전축(222)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230)를 통해 상기 연결부(250)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45° 범위로 회전이 가능한 제3 회전축(223)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220 controls the connection portion 25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motor 230 of the fixing plate 211, and includes a first rotation shaft 221 whose rotation direction is continuous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221. It is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221 and controls the connection part 25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motor 230, and is connected to a second rotation shaft 222 capable of vertical rotation in a 180° range. It maintains the connection part 250 horizontally through the motor 230 and may include a third rotation axis 223 capable of rotating within a ±45° range.

여기서,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은 각각의 회전축 일측에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부가하여 더욱 정확한 회전이 가능 할 수 있다. Here, each of the rotation shafts 220 can be rotated more accurately by adding a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the rotation angle to one side of each rotation shaft.

이때, 상기 센서(미도시)는 상기 회전축(220)의 회전각을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일종의 회전각 센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not shown) may be a type of rotation angle sensor that senses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shaft 220, converts the sensed informa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300.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각각의 상기 센서(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220)의 상하 좌우 회전각을 계산한 후 이를 보정하여 더욱 정확한 회전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0 calculates the vertical, horizontal, and left-right rotation angles of the rotation axis 220 through signals transmitted from each sensor (not shown) and then corrects them, enabling more accurate rotation control.

여기서, 짐벌제어부와 팬틸트 콘트롤부가 동기화되어, 카메라가 정확한 목표지점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있다.Here, the gimbal control unit and the pan-tilt control unit are synchronized, allowing the camera to be controlled to point at the exact target point.

그리고, 상기 암(240)은 상기 연결부(250)와 상기 고정판(211)이 연결되도록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과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암(240) 내부에 마련된 공간을 통해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에 연결되는 전선이 매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m 24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rotation shafts 220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250 and the fixing plate 211 are connected, and each of the rotation shafts is connected through a space provided inside the plurality of arms 240. The wire connected to (220) may be buried.

이때, 상기 연결부(250)는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이 거치되고 고정되는 거치대(251)와 상기 거치대(25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이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되는 커넥터(252)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250 is provided on a holder 251 on which the first smartphone 400 is mounted and fixed and on one side of the holder 251 so that the first smartphone 4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300. It may include a connector 252 to be connect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제어부의 자세제어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제어부의 자세제어를 도시한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osture control of the gimbal control unit of the smartphone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ttitude control of the gimbal control unit of the smartphone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flow chart shown.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251)는 상기 제3 회전축(223)과 연결되고, 상하로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을 가로 방향으로 눕혀 고정하고, 상기 거치대(251) 내부에 마련된 IMU센서(253)가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자세를 센싱하고, 센싱된 자세 정보를 상기 제어부(300)의 자세제어회로(310)로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holder 251 is connected to the third rotation axis 223 and can be adjusted in size up and down to fix the first smartphone 400 by lying 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MU sensor 253 provided inside the holder 251 can sense the posture of the first smartphone 400 and transmit the sensed posture information to the posture control circuit 310 of the controller 300.

그리고, 상기 커넥터(252)는 상기 거치대(25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스마트폰(40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마트폰(400)과 상기 제어부(300)의 IO포트(320)를 유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스마트폰(400)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짐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25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der 251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martphone 400 to connect the first smartphone 400 and the IO port 320 of the control unit 300 by wire. , and receive power from the first smartphone 400 to supply power to the gimbal.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을 제어하는 상기 자세제어회로(310)와 외부 디바이스(700)로 연결이 확장되는 상기 IO포트(320)를 포함하고, 상기 IMU센서(253)가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자세를 센싱하는 제1 단계(S100)와 상기 제1 단계(S100)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자세 정보를 상기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제2 단계(S200)와 상기 제2 단계(S200)에서 전달받은 자세 정보로 상기 제어부(300)의 상기 자세제어회로(310)에서 각각의 상기 모터(230)를 제어하는 자세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3 단계(S300)와 상기 제3 단계(S300)에서 발생된 상기 자세제어신호로 상기 모터(230)를 제어하는 제4 단계(S400)로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the IO port 320 that is connected to the posture control circuit 310 that controls each of the rotation axes 220 and an external device 700, and the IMU sensor ( 253) detects the posture of the first smartphone 400 in the first step (S100) and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400 generated in the first step (S100) to the control unit 300. A posture control signal that controls each of the motors 230 in the posture control circuit 310 of the control unit 300 with the postur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second step (S200) and the postur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second step (S200). It can be controlled in a third step (S300) of generating and a fourth step (S400) of controlling the motor 230 with the posture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third step (S300).

또한, 상기 자세제어회로(310)는 상기 제1 회전축(221)만을 작동하는 제1 작동 상태와 상기 제1 회전축(221), 및 상기 제2 회전축(222)만을 작동하는 제2 작동 상태와 상기 제1 회전축(221) 내지 상기 제3 회전축(223)을 작동하는 제3 작동 상태와 상기 제1 회전축(221) 내지 상기 제3 회전축(223)을 고정하는 제4 작동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IMU센서(253)가 센싱한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자세 정보로 제1 스마트폰(400)의 방향을 유지하고, 상기 드론(100)의 움직임에도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시점이 변하지 않도록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 내부의 각각의 상기 모터(230)를 제어하는 상기 자세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ture control circuit 310 has a first operating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rotation shaft 221 is operated, a second operating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rotation shaft 22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222 are operated, and the A third operating state for operating the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221 and 223 and a fourth operating state for fixing the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221 and 223, wherein the IMU The direction of the first smartphone 400 is maintained using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400 sensed by the sensor 253, and the viewpoint of the first smartphone 400 is maintained even when the drone 100 moves. The attitude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to control each motor 230 inside each rotation axis 220 so that this does not chang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IO포트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IO port of a smartphone gimbal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IO포트(320)는 상기 연결부(250)의 상기 커넥터(252)에 연결된 상기 제1 스마트폰(400)부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4k의 고화질 영상정보로 상기 외부 디바이스(700)에 전달하는 HDMI포트(321)와 상기 연결부(250)의 상기 커넥터(252)에 연결된 상기 제1 스마트폰(400)부터 확장되어 복수의 USB 2.0 단자, 및 복수의 USB 3.0 단자가 구비되는 USB포트(322)와 상기 연결부(250)의 상기 커넥터(252)에 연결된 상기 제1 스마트폰(400)부터 확장되어 SD 카드, 및 마이크로 SD 카드가 삽입되는 SD카드슬롯(32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IO port 320 receives image information from the first smartphone 4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252 of the connection unit 250 and transmits it to the external device (4K high-definition image information). 700) is extended from the first smartphone 400 connected to the HDMI port 321 and the connector 252 of the connection unit 250,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SB 2.0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USB 3.0 terminals. It extends from the USB port 322 and the first smartphone 4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252 of the connection unit 250 and may include an SD card slot 323 into which an SD card and a micro SD card are inserted. there is.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통신부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gimbal communication unit of a smartphone for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은 짐벌 앱(410)이 설치되어 실행되고, 상기 짐벌 앱(410)은 상기 제1 스마트폰(400)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자세 정보, 및 상기 자세제어회로(310)에서 발생된 상기 자세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 서비스(411)와 상기 컨트롤러 서비스(411)의 정보, 및 신호를 교환하는 제1 네트워크 서비스(41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irst smartphone 400 is installed and running the gimbal app 410, and the gimbal app 410 includes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smartphone 400, the firs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martphone 400, pos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400, and a controller service 411 that processes the postur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posture control circuit 310 and the controller service. It may include the information of 411 and a first network service 412 for exchanging signals.

그리고, 상기 제2 스마트폰(500)은 유저 앱(510)이 설치되어 실행되고, 상기 유저 앱(510)은 상기 제1 스마트폰(400)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자세 정보, 및 상기 자세제어회로(310)에서 발생된 상기 자세제어신호를 상기 제2 스마트폰(500)에서 화면으로 출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511)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11)의 정보, 및 신호를 교환하는 제2 네트워크 서비스(51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martphone 500 has the user app 510 installed and executed, and the user app 510 contains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smartphone 400, the first smartphone 400, and the user app 510. ), a user interface that outputs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400, and the postur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osture control circuit 310 to the screen on the second smartphone 500. It may include a second network service 512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of the user interface 511 and the user interface 511.

또한, 상기 통신부(600)는 상기 제1 스마트폰(400)과 상기 제2 스마트폰(500)의 정보, 및 신호를 주고받는 릴레이 서버(610)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서버(610)를 상기 컨트롤러 서비스(411)의 정보, 및 신호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11)의 정보, 및 신호를 교환하는 데이터 딜레이 모듈(611)과 상기 데이터 딜레이 모듈(611)의 정보 및 신호를 교환하는 제3 네트워크 서비스(61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600 includes a relay server 610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between the first smartphone 400 and the second smartphone 500, and the relay server 610 A data delay module 611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of the controller service 411 and signals and information and signals of the user interface 511 and a third network service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of the data delay module 611 It may include (612).

100: 드론 200: 짐벌 몸체
210: 브라켓 211: 고정판
212: 기둥 213: 중공
220: 회전축 221: 제1 회전축
222: 제2 회전축 223: 제3 회전축
230: 모터 240: 암
250: 연결부 251: 거치대
252: 커넥터 253: IMU센서
300: 제어부 310: 자세제어회로
320: IO포트 321: HDMI포트
322: USB포트 323: SD카드슬롯
400: 제1 스마트폰 410: 짐벌 앱
411: 컨트롤러 서비스 412: 제1 네트워크 서비스
500: 제2 스마트폰 510: 유저 앱
511: 유저 인터페이스 512: 제2 네트워크 서비스
600: 통신부 610: 릴레이 서버
611: 데이터 릴레이 모듈 612: 제3 네트워크 서비스
700: 외부 디바이스
100: Drone 200: Gimbal body
210: Bracket 211: Fixing plate
212: pillar 213: hollow
220: rotation axis 221: first rotation axis
222: second rotation axis 223: third rotation axis
230: motor 240: arm
250: Connection 251: Holder
252: Connector 253: IMU sensor
300: Control unit 310: Posture control circuit
320: IO port 321: HDMI port
322: USB port 323: SD card slot
400: First smartphone 410: Gimbal app
411: Controller service 412: First network service
500: Second smartphone 510: User app
511: User interface 512: Second network service
600: Communication department 610: Relay server
611: data relay module 612: third network service
700: External device

Claims (15)

드론(100)에 결합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에 있어서,
상기 드론(100)과 결합되는 짐벌 몸체(200);
상기 짐벌 몸체(2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짐벌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및
상기 짐벌 몸체(2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짐벌에 연결된 제1 스마트폰(400), 및 사용자가 조작하는 제2 스마트폰(500)과 정보, 및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In the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coupled to the drone 100,
A gimbal body 200 coupled to the drone 100;
A control unit 3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imbal body 200 to control the gimbal; and
It includes a first smartphone 4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imbal body 200 and connected to the gimbal, and a communication unit 600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with a second smartphone 500 operated by the user.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짐벌 몸체(200)는
상기 드론(100)에 상기 짐벌 몸체(200)가 결합되는 브라켓(210);
상기 짐벌 몸체(200)의 자세를 변경하는 복수의 회전축(220);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모터(230);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을 연결하는 복수의 암(240); 및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이 거치되고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이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1,
The gimbal body 200 is
A bracket 210 on which the gimbal body 200 is coupled to the drone 100;
A plurality of rotation axes 220 that change the posture of the gimbal body 200;
A plurality of motors 230 that rotate each of the rotation shafts 220;
A plurality of arms 240 connecting each of the rotation shafts 220; and
The first smartphone 400 is mounted and includes a connection unit 250 that allows the first smartphone 400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300.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10)은
규격화된 크기로 제작되어 상기 드론(100)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기 짐벌 몸체(200)가 상기 드론(100)에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판(2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2,
The bracket 210 is
It is manufactured in a standardized size and includes a fixing plate 211 that allows the gimbal body 200 to be coupled to the drone 100 regardless of the type of drone 100.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11)은
상면에 상기 드론(100)과 상기 짐벌 몸체(200)가 나사가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 중공(213)이 가공된 복수의 기둥(2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3,
The fixing plate 211 is
The drone 100 and the gimbal body 20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with a plurality of pillars 212 machined with a hollow 213 through which the drone 100 and the gimbal body 200 can be screwed together.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고정판(211)을 상기 모터(230)를 통해 상기 연결부(250)를 수평 방향으로 제어하고, 회전의 방향이 연속적으로 가능한 제1 회전축(221);
상기 제1 회전축(221)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230)를 통해 상기 연결부(250)를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고, 180° 범위로 수직 회전이 가능한 제2 회전축(222); 및
상기 제2 회전축(222)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230)를 통해 상기 연결부(250)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45° 범위로 회전이 가능한 제3 회전축(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2,
The rotation axis 220 is
A first rotation shaft 221 that controls the fixing plate 211 to horizontally control the connecting portion 250 through the motor 230 and can rotate in a continuous direction;
a second rotation shaft 222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221 to vertically control the connecting portion 250 through the motor 230 and capable of vertical rotation in a 180° range; and
A third rotation shaft 223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222, maintains the connection portion 250 horizontally through the motor 230, and is rotatable in a ±45° range.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240)은
상기 연결부(250)와 상기 고정판(211)이 연결되도록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과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암(240) 내부에 마련된 공간을 통해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에 연결되는 전선이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2,
The arm 240 is
A wir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rotation shafts 220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250 and the fixing plate 211 are connected,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rotation shafts 220 through a space provided inside the plurality of arms 240. being landfilled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50)는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이 거치되고 고정되는 거치대(251); 및
상기 거치대(25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이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되는 커넥터(2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2,
The connection portion 250 is
A holder 251 on which the first smartphone 400 is mounted and fixed; an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der 251 and includes a connector 252 through which the first smartphone 4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51)는
상기 제3 회전축(223)과 연결되고, 상하로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을 가로 방향으로 눕혀 고정하고, 상기 거치대(251) 내부에 마련된 IMU센서(253)가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자세를 센싱하고, 센싱된 자세 정보를 상기 제어부(300)의 자세제어회로(31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7,
The holder 251 is
It is connected to the third rotation axis 223 and can be adjusted in size up and down, so that the first smartphone 400 is fixed by lying d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MU sensor 253 provided inside the holder 251 is used to adjust the size up and down. 1 Sensing the posture of the smartphone 400 and transmitting the sensed posture information to the posture control circuit 310 of the control unit 300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52)는
상기 거치대(25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스마트폰(40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마트폰(400)과 상기 제어부(300)의 IO포트(320)를 유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스마트폰(400)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짐벌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7,
The connector 252 is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lder 251 and connected to the first smartphone 400 to connect the first smartphone 400 and the IO port 320 of the control unit 300 by wire, and the first smart phone 400 is connected to the IO port 320 of the control unit 300. Receive power from the phone 400 and supply power to the gimbal.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을 제어하는 상기 자세제어회로(310); 및
외부 디바이스(700)로 연결이 확장되는 상기 IO포트(320)를 포함하고,
상기 IMU센서(253)가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자세를 센싱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제1 단계(S100)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자세 정보를 상기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제2 단계(S200)에서 전달받은 자세 정보로 상기 제어부(300)의 상기 자세제어회로(310)에서 각각의 상기 모터(230)를 제어하는 자세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제3 단계(S300)에서 발생된 상기 자세제어신호로 상기 모터(230)를 제어하는 제4 단계(S400)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trol unit 300 is
The posture control circuit 310 that controls each of the rotation axes 220; and
It includes the IO port 320 that extends connection to an external device 700,
A first step (S100) in which the IMU sensor 253 senses the posture of the first smartphone 400;
A second step (S200) of transmitting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400 generated in the first step (S100) to the control unit 300;
A third step (S300) of generating a postur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motor 230 in the posture control circuit 310 of the control unit 300 using the postur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second step (S200); and
Controlling the motor 230 with the attitude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third step (S300) to the fourth step (S400)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제어회로(310)는
상기 제1 회전축(221)만을 작동하는 제1 작동 상태;
상기 제1 회전축(221), 및 상기 제2 회전축(222)만을 작동하는 제2 작동 상태;
상기 제1 회전축(221) 내지 상기 제3 회전축(223)을 작동하는 제3 작동 상태; 및
상기 제1 회전축(221) 내지 상기 제3 회전축(223)을 고정하는 제4 작동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IMU센서(253)가 센싱한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자세 정보로 제1 스마트폰(400)의 방향을 유지하고, 상기 드론(100)의 움직임에도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시점이 변하지 않도록 각각의 상기 회전축(220) 내부의 각각의 상기 모터(230)를 제어하는 상기 자세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10,
The posture control circuit 310 is
a first operating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rotation shaft 221 is operated;
a second operating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rotation shaft 22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222 are operated;
a third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221 to 223 are operated; and
It includes a fourth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rotation shafts 221 to 223 are fixed,
The direction of the first smartphone 400 is maintained using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400 sensed by the IMU sensor 253, and the first smartphone 400 is maintained even when the drone 100 moves. Generating the attitude control signal to control each motor 230 inside each rotation axis 220 so that the viewpoint does not change.
Featured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IO포트(320)는
상기 연결부(250)의 상기 커넥터(252)에 연결된 상기 제1 스마트폰(400)부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4k의 고화질 영상정보로 상기 외부 디바이스(700)에 전달하는 HDMI포트(321);
상기 연결부(250)의 상기 커넥터(252)에 연결된 상기 제1 스마트폰(400)부터 확장되어 복수의 USB 2.0 단자, 및 복수의 USB 3.0 단자가 구비되는 USB포트(322); 및
상기 연결부(250)의 상기 커넥터(252)에 연결된 상기 제1 스마트폰(400)부터 확장되어 SD 카드, 및 마이크로 SD 카드가 삽입되는 SD카드슬롯(3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10,
The IO port 320 is
An HDMI port 321 that receives video information from the first smartphone 4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252 of the connection unit 250 and transmits it to the external device 700 as 4K high-definition video information;
A USB port 322 extending from the first smartphone 4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252 of the connection unit 250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SB 2.0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USB 3.0 terminals; and
Extended from the first smartphone 4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252 of the connection part 250, it includes an SD card slot 323 into which an SD card and a micro SD card are inserted.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은
짐벌 앱(410)이 설치되어 실행되고,
상기 짐벌 앱(410)은
상기 제1 스마트폰(400)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자세 정보, 및 상기 자세제어회로(310)에서 발생된 상기 자세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 서비스(411); 및
상기 컨트롤러 서비스(411)의 정보, 및 신호를 교환하는 제1 네트워크 서비스(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1,
The first smartphone 400 is
The gimbal app 410 is installed and run,
The gimbal app 410 is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smartphone 400,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smartphone 400, pos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400, and generated in the posture control circuit 310. A controller service 411 that processes the posture control signal; and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service 411 and a first network service 412 for exchanging signals
Featured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마트폰(500)은
유저 앱(510)이 설치되어 실행되고,
상기 유저 앱(510)은
상기 제1 스마트폰(400)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상기 제1 스마트폰(400)의 자세 정보, 및 상기 자세제어회로(310)에서 발생된 상기 자세제어신호를 상기 제2 스마트폰(500)에서 화면으로 출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511);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11)의 정보, 및 신호를 교환하는 제2 네트워크 서비스(5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1,
The second smartphone 500 is
The user app 510 is installed and executed,
The user app 510 is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smartphone 400,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smartphone 400, pos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400, and generated in the posture control circuit 310. a user interface 511 that outputs the posture control signal from the second smartphone 500 to the screen; and
Containing information of the user interface 511 and a second network service 512 for exchanging signals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600)는
상기 제1 스마트폰(400)과 상기 제2 스마트폰(500)의 정보, 및 신호를 주고받는 릴레이 서버(610)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서버(610)는
상기 컨트롤러 서비스(411)의 정보, 및 신호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11)의 정보, 및 신호를 교환하는 데이터 딜레이 모듈(611); 및
상기 데이터 딜레이 모듈(611)의 정보 및 신호를 교환하는 제3 네트워크 서비스(6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스마트폰 짐벌.

According to clause 1,
The communication unit 600 is
It includes a relay server 610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between the first smartphone 400 and the second smartphone 500,
The relay server 610 is
a data delay module 611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of the controller service 411 with information and signals of the user interface 511; and
Including a third network service 612 that exchanges information and signals of the data delay module 611.
Features a smartphone gimbal for drones.

KR1020220037845A 2022-03-28 2022-03-28 Smart Phone Gimbal for Drones KR202301399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845A KR20230139923A (en) 2022-03-28 2022-03-28 Smart Phone Gimbal for Dr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845A KR20230139923A (en) 2022-03-28 2022-03-28 Smart Phone Gimbal for Dro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923A true KR20230139923A (en) 2023-10-06

Family

ID=8829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845A KR20230139923A (en) 2022-03-28 2022-03-28 Smart Phone Gimbal for Dro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923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197B1 (en) 2016-06-20 2016-12-23 주식회사 엠지아이티 Gimbal assembly for drone
KR102135776B1 (en) 2019-05-29 2020-07-20 이관이 Camera gimbal connection device for dr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197B1 (en) 2016-06-20 2016-12-23 주식회사 엠지아이티 Gimbal assembly for drone
KR102135776B1 (en) 2019-05-29 2020-07-20 이관이 Camera gimbal connection device for dr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0920B2 (en) Gimbal for image capturing
US11233943B2 (en) Multi-gimbal assembly
EP3735774B1 (en) Modular image capture systems
US10571931B2 (en) Vehicle control system
EP2844560B1 (en) Payload mounting platform
CN108235702B (en) Cloud deck,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352992A1 (en) Image Stabilization Mechanism
US20190361435A1 (en) Location processing device, flight vehicle, location processing system, flight system, location processing method, flight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70302852A1 (en) Three Axis Gimbals Stabilized Action Camera Lens Unit
WO2019056865A1 (en) Pan-tilt and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same
WO2019119340A1 (en) Gimbal control method and device, gimbal, and unmanned aerial vehicle
CN108780321B (en) Method, devic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device pose adjustment
KR101951666B1 (en) Drone for taking picture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139923A (en) Smart Phone Gimbal for Drones
CN111977007B (en) Cloud platform, shooting equipment and unmanned vehicles
US11428362B2 (en) Two-axis gimbal system for supporting a camera
CN110799801A (en) Unmanned aerial vehicle-based distance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JP6329219B2 (en) Operation terminal and moving body
KR101802880B1 (en) A position recognition and control device for a remote control device
WO2019093692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comprising camera
WO20202502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ying of a mobile device
WO2021217584A1 (en) Camera calling method and device
CN110972511B (en) Communication connector and remote controller assembly
WO2020143029A1 (en) Two-axis gimbal system for supporting a camera
CN115723978A (en) Panorama unmanned aeria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