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596A - sleeve assembly with heat shielding function - Google Patents

sleeve assembly with heat shield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596A
KR20230139596A KR1020220038127A KR20220038127A KR20230139596A KR 20230139596 A KR20230139596 A KR 20230139596A KR 1020220038127 A KR1020220038127 A KR 1020220038127A KR 20220038127 A KR20220038127 A KR 20220038127A KR 20230139596 A KR20230139596 A KR 20230139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heat
cable
tray
tra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종원
Original Assignee
(주) 상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상일이엔지 filed Critical (주) 상일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3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596A/en
Publication of KR20230139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5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에 설치되며, 상하측에 각각 케이블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된 복수의 케이블이 내측을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가 각각 결합 가능한 트레이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레이 결합부는, 상기 슬리브의 서로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 및 상기 슬리브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케이블을 둘레방향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 중 하나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열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차단 플레이트가 케이블을 둘레방향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화재발생시 케이블을 통해 전도되는 열이 주변 실내공간으로 전파 확산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 sleeve assembly having a heat shield function is disclosed. The sleeve assembly having a heat-insula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floor or wall of a building,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connecting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to which cables are fix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nd is installed in a concrete structure. a sleeve that is buried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that a plurality of cable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pass through; and a tray coupling par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leeve and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can be coupled, wherein the tray coupling part includes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that are separ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leeve facing each other. Second tray coupling body; and a plurality of heat-blocking plates provided at one of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to circumferentially cover the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 shield plate is provided to cover the c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block the spread of heat conducted through the cable to the surrounding indoor space in the event of a fire.

Description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sleeve assembly with heat shielding function}Sleeve assembly with heat shielding func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 내측을 차폐하는 작업을 실시할 때 관통구를 완벽하게 차폐하여 내화성능을 향상시킨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insulating function that improves fire resistance performance by completely shielding the penetration hole when performing the work of shielding the inside of the penetration hole provided in the floor or wall of a building.

산업의 발달로 현대건축은 효율적인 공간활용과 고부가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대형화, 고층화된 건물의 건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건물들의 건축에서는 공공 소방력의 한계가 분명하며 자체적인 방재 시스템의 자립화가 중요한 요구 성능이 된다.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modern architecture is increasingly constructing large-scale, high-rise buildings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space utilization and high added value. In the construction of these buildings, the limits of public firefighting power are clear, and self-sufficiency of the own fire prevention system becomes an important performance requirement.

화재를 진압하는데 있어 스프링쿨러와 같이 기계적인 해결을 액티브 시스템(Active System)이라 하고, 방염, 방화구획, 내화구조 등 건축적 해결을 통한 방법을 패시브 시스템(Passive System)이라 한다. 액티브 시스템에 비해 패시브 시스템은 화재의 발생 및 진압에 있어 보다 근본적인 접근이라 할 수 있으며, 건축 재료를 통한 발화, 화재의 확산 및 전파를 억제하고, 유독 가스나 연기, 열로부터 피난에 필요한 일정시간을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In extinguishing fires, mechanical solutions such as sprinklers are called active systems, and methods using architectural solutions such as flame prevention, fire compartments, and fire-resistant structures are called passive systems. Compared to active systems, passive systems can be said to be a more fundamental approach to the occurrence and suppression of fire, suppressing ignition, spread and propagation of fire through building materials, and maintaining a certain amount of time required for evacuation from toxic gases, smoke, and heat. By securing it, you can prevent casualties.

모든 건축물에는 전기 및 배관시설이 들어가고, 이 시설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구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화염 확대의 통로가 될 수 있는 방화구획체의 관통구를 밀폐시키는 구조를 내화충전구조라 한다. 내화충전구조란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인접 실이나 층으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것으로, 방화구획의 수평수직 설비관통부, 조인트 및 커튼월과 바닥 사이 등의 틈새를 통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ll buildings have electrical and plumbing facilities, and there are penetrations to connect these facilities. The structure that seals the penetrations of the fire compartment, which can serve as passageways for the spread of flames, is called a fire-resistant filling structure. Fire-resistant filling structures are designed to prevent flames or toxic gases from rapidly spreading to adjacent rooms or floors when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They are designed to fill gaps such as horizontal and vertical facility penetrations, joints, and curtain walls in fire compartments and the floor. It plays a role in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부연하자면, 현재 고층아파트나 건축물 공사시 각 층마다 바닥에 케이블 트레이 설치를 위한 관통구를 만들기 위해 슬리브를 설치한다.To elaborate, currently, when constructing high-rise apartments or buildings, a sleeve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each floor to create a through hole for cable tray installation.

이러한 슬리브는 케이블 트레이가 상하 관통 설치되는 OPEN형 슬리브와, 케이블 트레이가 상하 관통하지 않고 상부와 하부에서 별도 브래킷을 통해 케이블 트레이와 연결되는 일체형 슬리브가 적용되고 있다.These sleeves include an open type sleeve in which the cable tray is installed through the top and bottom, and an integrated sleeve in which the cable tray does not penetrate the top and bottom but is connected to the cable tray through separate brackets at the top and bottom.

이 중,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OPEN형 슬리브(10)를 적용하여 케이블 트레이(20)를 설치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20)는 슬리브(10)의 뒷면(후방 내측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관통 설치된다.Among these, as shown in FIG. 1, when installing the cable tray 20 by applying the OPEN type sleeve 10, the cable tray 20 is almost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ide (rear inner surface) of the sleeve 10. It is installed through the installed state.

이후, 작업자가 케이블 트레이(20)의 렁(21)에 케이블을 고정하여 케이블 포설작업을 실시한 후, 슬리브 내측 공간을 방화폼 패드(40)를 이용하여 내화충전구조를 설치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의 한 쌍의 지지바와 슬리브의 후방 내측면간의 밀착 상태로 인해 케이블 후방측에 대한 내화충전구조를 위한 작업공간(방화폼 패드 설치를 위한 작업공간)이 나오지 않는다. 참고로, 방화폼 패드(40)는 슬리브(10)의 높이 변화에 따라 슬리브 내측에 적어도 1번의 횟수로 충전 가능하며 도 1에는 2번 충전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Afterwards, the worker performs cable laying work by fixing the cable to the rung 21 of the cable tray 20, and then installs a fireproof filling structure in the space inside the sleeve using a fireproof foam pad 40, as shown in Figure 1. As shown, due to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pair of support bars of the cable tray and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sleeve, there is no work space (work space for installing fire prevention foam pads) for the fire-resistant filling structure on the rear side of the cable. For reference,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 can be charged at least once inside the sleeve according to the change in height of the sleeve 10, and a case of being charged twice is shown in Figure 1.

부연하자면, 작업자는 케이블의 전방측에서 슬리브 내측 관통홀을 차폐하도록 방화폼 패드 설치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케이블 트레이(20)와 슬리브 후방 내측면의 밀착으로 인해, 즉 작업공간의 협소함 또는 작업공간이 나오지 않음으로 인해 작업 케이블(50) 후방측에 대해서는 방화폼 패드 설치작업을 실시하기 어려운게 현실이다.To elaborate, the worker installs a fire prevention foam pad to shield the penetration hole inside the sleeve from the front side of the cable, but due to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cable tray (20) and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sleeve, that is, the work space is narrow or the work space is small. The reality is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on the rear side of the work cable 50 because it does not come out.

한편, 이와 같이 방화폼 패드를 설치한 상태의 내화채움구조 시험기준이 국토교통부 고시 KSF ISO 10295-1에 개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1,000도 가열로에서 2시간 동안 차열과 차염 시험을 합격한 내화채움구조에 한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덧붙여, 이러한 시험합격기준은 차열시험이 비가열면의 온도가 초기온도보다 180도를 넘지 않아야 한다. 즉, 벽체를 기준으로 일측(가열면)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타측(비가열면)의 온도가 초기보다 180도를 넘지 않아야 한다.Meanwhile, the test standards for fire-resistant fill structures with fire-proof foam pads installed are disclosed in KSF ISO 10295-1 notifi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specifically, fire-resistant fills that passed the heat and flame insulation tests for 2 hours in a 1,000-degree heating furnace. Installation is possible only depending on the structure. In addition, this test acceptance criterion require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non-heating surface of the heat shield test not exceed 180 degrees above the initial temperature. In other words, if a fire breaks out on one side (heating side) of the wall, the temperature on the other side (non-heating side) should not exceed 180 degrees from the initial level.

현재 이러한 시험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슬리브(10) 상측으로 노출된 작업 케이블(50)을 차열재(일 예로 세라크울)를 사용하여 감싸는 방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Currently, in order to meet these test standards, a method of wrapping the working cable 50 exposed above the sleeve 10 using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Cerakwool) is widely applied.

그러나, 이와 같이 차열재(세라크울)를 이용하여 감싸는 방식은 건축물의 수명이 대략 30년 이상인 경우를 감안할 경우 차열재가 초기 형태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However, considering that the lifespan of a building is approximately 30 years or m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difficult for the insulating material to continuously maintain its initial form or function in this way of wrapping using insulating material (cerakwool).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84860호 (2019.05.31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84860 (announced on May 31, 201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차열재(세라크울) 작업이 필요없이 작업성을 높임은 물론 차열(차염)의 기능을 반영구적으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s a heat insulator that not only improves workability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insulating material (cerakwool) work, but also maintains the heat insulating (salt blocking) function semi-permanently and firm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leeve assembly having a func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에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여 관통구를 차폐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의 슬리브 조립체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관통구(슬리브 조립체의 내측 영역)의 내화충전을 위한 차폐작업을 한층 용이하면서 완벽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결국 내화충전구조 성능을 완벽하게 확보할 수 있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eeve assembly of a structure and material that can expand and expand with heat to a penetration hole provided in the floor or wall of a building to shield the penetration hole, so that the worker can fill the penetration hole (inner area of the sleeve assembly) with fire resistance.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insulating function that allows the shielding work to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perfectly, ultimately ensuring the performance of the fire-resistant filling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에 설치되며, 상하측에 각각 케이블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된 복수의 케이블이 내측을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가 각각 결합 가능한 트레이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레이 결합부는, 상기 슬리브의 서로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 및 상기 슬리브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케이블을 둘레방향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 중 하나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열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in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floor or wall of a building, has a structure capable of connecting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to which cables are fix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is embedded in a concrete structure, a sleev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cable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pass through; and a tray coupling par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leeve and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can be coupled, wherein the tray coupling part includes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that are separ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leeve facing each other. Second tray coupling body; and a sleeve having a heat-insulating fun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blocking plates provided at one of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to circumferentially cover the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An assembly is provided.

상기 복수의 열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슬리브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케이블의 후방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후방측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리브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케이블의 전방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전방측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t blocking plates are first and second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rear edge of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to cover the rear side of the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Rear heat shield plate; And i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edge of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to cover the front side of the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You can.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에 대해 회전불가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에 대해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are fixed so as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ies,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ies. It can be combined so that the hinge can rotate with respect to.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에 대해 회전불가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에 대해 결합부재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are fixed so as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ies,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ies. It can be coupled to be detachable through a coupling member.

상기 복수의 열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슬리브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케이블의 후방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후방측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리브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케이블의 전방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전방측 모서리부에 각각 결합부재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t blocking plates are first and second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rear edge of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to cover the rear side of the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Rear heat shield plate; And one front heat block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edge of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through a coupling member to cover the front side of the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May include a plate.

상기 하나의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는, 난연 또는 불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금속 재질의 금속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블을 마주보는 상기 금속 재질의 금속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난연 보온재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one front heat-blocking plate may be made of a flame-retardant or non-combustible plastic material, or may be made to include a metal plate made of metal, and a flame-retardant insulation material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metal plate facing the cable. .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1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와, 상기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는 서로 접촉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1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와, 상기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는 서로 접촉상태를 가질 수 있다.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respectively, the first tray A protruding end of the first rear heat 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body and a protruding end of the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tray is coupled.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front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sub-main body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second front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second tray coupler main body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1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와, 상기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는 상호간에 설정거리 이하의 이격거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1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와, 상기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는 상호간에 설정거리 이하의 이격거리가 형성될 수 있다.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respectively, the first tray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rear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body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second rear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set distance or less. ,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front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first tray-coupling body,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second front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second tray-coupling main body are less than or equal to a set distance between each other. A separation distance may be formed.

상기 설정거리는 1 내지 10mm일 수 있다.The set distance may be 1 to 10 mm.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는 각각, 상기 슬리브에 고정되는 중앙 결합부 본체; 상기 슬리브의 상측 개구를 폐쇄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결합부 본체의 상측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폭방향 양단에 상기 복수의 열차단 플레이트가 마련되는 상측 결합부 본체; 및 상기 슬리브의 하측 개구를 폐쇄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결합부 본체의 하측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each include a central coupling body fixed to the sleeve; An upper coupling body that is hing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coupling body so as to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sleeve and is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heat-blocking plate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entral coupling body; And it may include a lower coupling body that is hing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entral coupling body so as to close the lower opening of the sleeve.

상기 슬리브는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여 상기 관통구 내측을 차폐할 수 있는 발포성 재료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성 슬리브일 수 있다.The sleeve may be a fire-resistant foam sleeve containing a foam material that can foam and expand with heat to shield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는, 상하가 개구된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져 사출을 통해 성형되는 슬리브 본체;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복수로 돌출되되, 상기 슬리브 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볼트 관통홀과 각각 연통하도록 연통홀이 마련되고 외측에 각각 너트 삽입홈이 마련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 가능한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includes a sleeve body that has a penetrating shape with top and bottom openings and is made of the foam material and molded through inj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hol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body, each of which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eeve body, and each nut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and when concrete is placed, the concrete structur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leeve protrusions that are embedded within and can be fixed by the concrete structure.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슬리브 본체와 동일한 열에 의해 발포 팽창되는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추가 케이블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예비 관통홀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The sleeve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made of a foam material that expands by the same heat as the sleev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preliminary through hole to allow the additional cable to pas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에 의하면, 열차단 플레이트가 케이블을 둘레방향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화재발생시 케이블을 통해 전도되는 열이 주변 실내공간으로 전파 확산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leeve assembly having a heat-insula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t-blocking plate is provided to cover the c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block the spread of heat conducted through the cable into the surrounding indoor space in the event of a fire. there is.

또한,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가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에 대해 힌지 회전하거나 결합부재를 통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작업자가 방화폼 패드 시공, 케이블 포설작업을 진행할 때 한층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are provided so that they can be hinged and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ies or separated and coupled through a coupling member, so that when workers proceed with fire prevention foam pad construction or cable laying work, You can proceed with your work more easily.

또한, 열에 의해 발포 팽창 가능한 내화발포성 슬리브를 관통구 내측에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관통구를 차폐하기 위한 내화충전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fire-resistant foam sleeve capable of foaming and expanding by heat inside the through-hole, workers can easily proceed with the fire-resistant filling construction work to shield the through-hole.

부연하자면, 방화폼 패드에 의해 케이블을 내화발포성 슬리브에 밀착되도록 시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내화발포성 슬리브의 관통홀 내에서 방화폼 패드를 케이블의 전방 영역측에 설치해도 방화폼 패드와 내화발포성 슬리브가 케이블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는 형태가 됨으로써 내화 차폐작업을 완벽하게 실시할 수 있다.To elaborate, the fire-resistant foam pad allows the cable to be construc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so even if the worker installs the fire-resistant foam pad on the front area of the cable within the through-hole of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the fire-resistant foam pad and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By wrapping the c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ire-resistant shielding work can be performed perfectly.

또한, 추가 케이블 삽입부가 마련됨으로써 케이블 포설작업 및 방화폼 패드 설치작업이 완료된 후 추가적인 케이블 설치가 필요한 경우, 방화폼 패드의 해체 작업없이 용이하게 추가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n additional cable insertion part, if additional cable installation is required after the cable laying work and fire prevention foam pad installation work are completed, the additional cable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dismantling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리브 내의 내화충전 시공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하여 내화충전시공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하여 내화충전시공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에 케이블 트레이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에서 전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가 외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의 트레이 결합부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4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의 트레이 결합부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1의 트레이 결합부가 슬리브에 설치되어 슬리브의 상하측 개구를 폐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의 트레이 결합부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를 이용한 내화충전구조 시공방법이 완료된 후의 평면도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e-resistant filling construction structure in a slee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re-resistant filling construction is performed using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insul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re-resistant filling construction is performed using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insul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le tray connected to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 shiel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plate in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 shiel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 shiel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6;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in FIG. 7 are rotated outward;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tray coupling portion of the sleeve assembly having a heat shiel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ure 4;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tray coupling portion of the sleeve assembly with a heat shiel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rotation occurs around the hinge axis in FIG. 11;
Figure 1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coupling part of Figure 11 is installed on the sleeve to close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of the sleeve;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tray coupling portion of the sleeve assembly having a heat shiel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20 are diagrams sequentially showing a fire-resistant fil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insul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plan view after the fire-resistant fil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slee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is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the drawings, like symbols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에 설치된 슬리브와 연결되도록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한 후 작업자가 상기 관통구의 내화충전을 위한 차폐작업을 한층 용이하면서 완벽하게 실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화재발생 열이 주변 실내공간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열전파 차단구조가 반영구적으로 견고하게 유지되어 유지보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sleeve assembly having a heat-insulat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ier for workers to perform shielding work for fireproof filling of the penetration hole after installing a cable tray to be connected to the sleeve installed in the penetration hole provided in the floor or wall of the building. In particular, it adopts a structure that can block the heat generated from a fire from spreading to the surrounding indoor space, and this heat propagation blocking structure is maintained semi-permanently and firmly to maximize maintenance efficiency. there is.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200, 이하, 슬리브 조립체)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100)에 설치되며, 상하측에 각각 케이블(120)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를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sleeve assembly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leeve assembly) having a heat-insula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100 provided in the floor or wall of a building, and is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It has a structure capable of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140 and 150, on which the cable 120 is fixed to each side.

일반적으로, 슬리브는 케이블 트레이가 상하 관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open 타입의 슬리브와, 케이블 트레이가 관통하지 않고 상부와 하부에서 레일을 통해 연결하는 일체형 슬리브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하 설명하는 슬리브 조립체(200)의 슬리브 본체(212)는 후자(後者)인 일체형 슬리브에 해당한다.In general, sleeves include open type sleeves that are opened in the top and bottom direction so that the cable tray passes through them, and integrated sleeves that are connected through rails at the top and bottom without the cable tray penetrating.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body 212 of the sleeve assembly 200 described below corresponds to the latter integrated sleev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조립체(200)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는 슬리브(210), 및 슬리브(2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가 결합 가능한 트레이 결합부(26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 to 4, the sleeve assembl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eeve 210 embedded in a concrete structure, and a sleeve 210 that is separably coupled to the sleeve 210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It includes a tray coupling portion 260 to which the cable trays 140 and 150 can be coupled.

여기서, 슬리브(210)는 일 예로, 금속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상하관통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리브(210)는 다른 예로, 자체적으로 내화발포성 기능을 갖는 내화발포성 슬리브로 적용될 수도 있다.Here, the sleeve 21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frame with top and bottom penetrations using a metal plate. Additionally, as another example, the sleeve 210 may be applied as a fire-resistant foam sleeve that itself has a fire-resistant foam function.

이하에서는 슬리브(210)가 예를 들어 내화발포성 슬리브로 적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슬리브(210)를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로 명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leeve 210 is applied as, for example, a fire-resistant foam sleeve, and the sleeve 210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210.

먼저,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의 렁에 고정된 복수의 케이블(120)이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하 관통되는 관통홀(211)이 형성된다.First,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210 is embedded and fixed in the concrete structure, and has a through hole (up and down)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cables 120 fixed to the rungs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140 and 150 penetrate the inside. 211) is formed.

이러한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는 그 자체로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여 관통구(100) 내측을 차폐할 수 있는 발포성 재료를 포함하며,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는 화재 열에 의해 관통구(10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팽창한다.This fire-resistant foam sleeve 210 itself includes a foam material that can expand and expand with heat to shield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100, and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Specifically,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210 expands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through-hole 100 due to the heat of the fir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는 기존의 금속성 슬리브와 달리 그 자체로 열 발포성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바, 기존 슬리브의 내화충전 시공구조에 비해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연기가 관통구(100)를 통해 일측 공간에서 타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210, unlike the existing metallic sleeve, contains a thermal foam material itself, and compared to the fire-resistant filled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existing sleeve, when a fire occurs, flame or smoke is transmitted through the penetration hole ( 100), movement from one space to the other can be more effectively blocked, and mor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는 슬리브 본체(212)와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24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210 includes a sleeve body 212 and a plurality of sleeve protrusions 242.

먼저, 슬리브 본체(212)는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상하가 개구된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져 사출을 통해 성형되고, 양측에 각각 복수의 볼트 관통홀(213)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리브 본체(2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자체로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는 열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짐에 따라,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팽창하여 건축물 바닥 또는 벽체의 관통구(100)를 완벽하게 차폐하여 화염, 연기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First, the sleeve body 212 has a through-hole 211 formed in a penetrating shape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is made of a foam material, is molded through injection, and a plurality of bolt through-holes 213 are provided on both side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body 212 is made of a thermal foam material that expands by heat as described above, and thus expands by heat when a fire occurs and forms a through hole 100 in the floor or wall of the building. It can be completely shielded to block the spread of flame and smok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 본체(212)에는 열에 의해 발포 팽창되는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추가 케이블(121)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예비 관통홀(216)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슬리브 본체(212)와 동일하게 열에 의해 발포 팽창되는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진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to 6, the sleeve body 212 is made of a foam material that expands by heat and has a preliminary through hole 216 so that the additional cable 121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at least on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That is, 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is made of a foam material that foams and expands by heat in the same way as the sleeve body 212.

이러한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후술하는 시공방법에서 방화폼 패드(400)가 화염 및 연기의 전파를 차단하도록 관통구(100), 즉 슬리브 본체(212)의 내측 관통홀(211)을 폐쇄하도록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에 고정된 케이블(120) 외에 추가 케이블(121)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 방화폼 패드(400)의 분리 및 재설치 과정없이 이를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is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closes the through hole 100, that is, the inner through hole 211 of the sleeve body 212, so that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blocks the propagation of flame and smoke in the construction method described later. When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if there is a need to install additional cables 121 in addition to the cables 120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140 and 150,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must be removed and reinstalled. It is prepared to make this possible without any process.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내측에 예비 관통홀(216)이 형성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예비 관통홀(216)에는 추가 케이블로서 전기선, 통신선 등이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방화폼 패드(400)가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특히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의 상단부는 방화폼 패드(400)의 상면에 대해서도 일정이상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필요시 추가 케이블(121)을 한층 용이하게 추가 케이블 삽입부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다. 관련된 부연 설명은 후술한다.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is made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with a preliminary through hole 216 formed on the inside, and an electric wire, communication line, etc. can be inserted through the preliminary through hole 216 as an additional cable. Here, 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is installed, and in particular, the upper end of 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protrudes upward by a certain amount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It is desirable to have it.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more easily insert the additional cable 121 into 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when necessary. Related additional explanations will be provided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슬리브 본체(21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슬리브 본체(212)의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공정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리브 본체(212)와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leeve body 212,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during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leeve body 212. That is, the sleeve body 212 and 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are molded as one piece through one injection.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그 내측에 예비 관통홀(216)이 형성되어 예비 관통홀이 폐쇄되지 않는다면 화재발생시 화염, 연기의 전파 통로로 기능하는 문제가 있지만,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슬리브 본체(212)와 동일하게 열에 의해 팽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화재 열에 의해 팽창되어 예비 관통홀(216)이 폐쇄 가능하여 화염, 연기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has a problem in that it functions as a passage for flame and smoke to propagate in the event of a fire if a preliminary through hole 216 is formed inside the preliminary through hole 216 and the preliminary through hole is not closed. However, 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As the sleeve body 212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expand by heat, it expands due to the heat of the fire and the preliminary penetration hole 216 can be closed, thereby blocking the spread of flame and smoke.

추가적으로, 예비 관통홀(216)에 추가 케이블을 삽입하지 않는 경우, 예비 관통홀(216) 내측에 내화 실란트 등을 도포하여 예비 관통홀을 폐쇄하거나,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의 상단에 고무캡(미도시) 등을 장착하여 예비 관통홀(216)의 개구를 막을 수 있다.Additionally, when an additional cable is not inserted into the preliminary through hole 216, the preliminary through hole is closed by applying a fireproof sealant, etc. to the inside of the preliminary through hole 216, or a rubber cap is placed on the top of 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not shown), etc. can be installed to block the opening of the preliminary through hole 21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리브 본체(212)는 상하 관통되는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body 212 has an overall rectangular frame shape that penetrates the top and bottom.

구체적으로, 일 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 본체(212)는 전면 플레이트(220), 후면 플레이트(221), 좌측 플레이트(222), 우측 플레이트(223)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일부에는 후술하는 시공방법에서 슬리브 본체(212)를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 형성을 위한 거푸집(미도시)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플랜지(240)가 마련되며, 이러한 플랜지(240)에는 거푸집으로의 고정을 위해 볼트가 관통 체결되도록 볼트 체결홀이 마련된다.Specifically,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sleeve body 212 includes a front plate 220, a rear plate 221, a left plate 222, and a right plate 223, and the plurality of Some of the plates are provided with separate flanges 240 for fixing the sleeve body 212 to a form (not shown) for forming the floor or wall of a building in the construction method described later, and these flanges 240 are provided with a formwork. For fixation, a bolt fastening hole is provided so that the bolt penetrates.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리브는 내화발포성 슬리브가 아니라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후면, 좌측, 우측 플레이트로 구성하여 상하 관통된 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may be applied not as a fire-resistant foam sleeve, but as a metal plate composed of front, rear, left, and right plates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applied in a vertically penetrating structure.

이하에서는 다시 슬리브 본체(212)가 내화발포성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leeve body 212 is formed through injection molding using a fire-resistant foam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 예로 슬리브 본체(212)는 전술한 4개의 플레이트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 즉 관통홀을 갖는 사각틀 형상의 구조체가 1회의 사출 공정을 통해 한번에 성형될 수도 있으며, 1회의 사출 완료시 슬리브 본체(212)에는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 또한 일체로 마련된다. 즉, 슬리브 본체(212)와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the sleeve body 212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four plates described above are integrally connected, that is, a rectangular frame-shaped structure with a through hole may be molded at once through a single injection process. Upon completion of injection, an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is also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leeve body 212. That is, the sleeve body 212 and 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are molded as one piece through one injection.

변형 예로, 슬리브 본체는 전술한 4개의 플레이트가 개별 사출공정을 통해 각각 제조된 후 플레이트 결합부(미도시, 홈/돌기 구조, 볼트 등)를 통해 서로 일체가 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거푸집에 고정될 수도 있다. As a modified example, the sleeve body is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the four above-mentioned plates through an individual injection process, and is then fixed to the formwork by being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rough plate coupling parts (not shown, groove/protrusion structure, bolt, etc.). It could be.

후자(後者)의 경우, 두께가 얇은 4개의 플레이트를 개별 사출하여 제조함으로써, 전자(前者)의 경우에 비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운반상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전자(前者)의 경우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한다.In the latter case, the space occupied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former case by manufacturing four thin plates by individual injection, so there is an advantage in storage and transportation. Below, further explanation will be given based on the former case, which is integrally injection molded.

전면 플레이트(220)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가 일체로 마련되고, 후면 플레이트(221)는 전면 플레이트(220)와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The front plate 22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and the rear plate 221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late 2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좌측 플레이트(222)는 전면 플레이트(220)와 후면 플레이트(221)의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고, 우측 플레이트(223)는 전면 플레이트(220)와 후면 플레이트(221)의 각각의 타단에 연결된다.The left plate 222 is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front plate 220 and the rear plate 221, and the right plate 223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ront plate 220 and the rear plate 22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좌측 플레이트(222)와 우측 플레이트(223)에 각각 복수의 볼트 관통홀(213)이 마련되며, 이러한 볼트 관통홀(213)은 슬리브 본체 사출 성형시 이와 동시에 형성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213 are provided in each of the left plate 222 and the right plate 223, and these bolt through holes 213 ar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sleeve body.

다음,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242)는 슬리브 본체(212), 구체적으로 좌측 플레이트(222)와 우측 플레이트(223)의 외면으로부터 복수로 돌출되며, 볼트 관통홀(2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FIGS. 3 and 4, a plurality of sleeve protrusions 242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s of the sleeve body 212, specifically the left plate 222 and the right plate 223, and penetrate through the bolt. Each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213.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242)는 복수의 볼트 관통홀(213)과 각각 연통하도록 연통홀(243)이 마련되고 외측에 각각 너트 삽입홈(245)이 마련된다. 이러한 슬리브 돌출부(242)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슬리브 돌출부(242)가 콘크리트 내측에 고정됨에 따라 결국 슬리브 본체(212)가 더욱 안정적으로 콘크리트에 고정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leeve protrusions 242 are provided with communication holes 243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213, respectively, and nut insertion grooves 245 are provided on the outside thereof. These sleeve protrusions 242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when concrete is poured and can be fixed by the concrete structure. As the sleeve protrusion 242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ncrete in this way, the sleeve body 212 can be more stably fixed to the concrete.

여기서, 너트 삽입홈(245)의 단면 형상은 후술하는 너트(267)의 외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너트(267)가 육각 너트인 경우 너트 삽입홈(245) 또한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따라서 후술하는 볼트(250)와 너트(267)의 결합과정에서 너트(267)가 너트 삽입홈(245)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한층 용이하게 볼트 체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외에, 너트(267)가 사각 너트인 경우 너트 삽입홈(245)은 사각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nut insertion groove 245 corresponds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nut 26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pecifically, when the nut 267 is a hexagonal nut, the nut insertion groove 245 is also made to have a hexagonal cross-sectional shape, and therefore,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bolt 250 and the nut 26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nut 267 is connected to the nut. Since rotation can be prevented whil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45, workers can more easily perform bolt fastening work. In addition, when the nut 267 is a square nut, the nut insertion groove 245 may have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리브 본체(212)와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242)는 서로 동일한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져 1회의 사출을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body 212 and the plurality of sleeve protrusions 242 are made of the same foam material and are integrally injection molded through a single injection.

이하, 트레이 결합부(26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ray coupling portion 2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 도 4,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결합부(26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가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As shown in FIGS. 3, 4, and 6 to 8, the tray coupling portion 26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210, and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140 and 150 ) is provided so that each can be comb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트레이 결합부(260)는 너트(267), 볼트(250),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와 복수의 열차단 플레이트(280)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coupling unit 260 includes a nut 267, a bolt 250,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ies 268 and 269, and a plurality of heat blocking plates 280.

너트(267)는 너트 삽입홈(245)에 삽입되는데, 콘크리트 타설작업 전에 작업자는 너트 삽입홈(245)에 너트(267)를 삽입한다.The nut 267 is inserted into the nut insertion groove 245. Before the concrete pouring operation, the worker inserts the nut 267 into the nut insertion groove 245.

볼트(250)는 그 바디 부위가 슬리브 본체(212)의 볼트 관통홀(213)을 관통하여 너트 삽입홈(245)에 삽입된 너트(267)에 단부 체결됨으로써 슬리브 본체(212)와 결합된다. 볼트(250)의 헤드 부위는 슬리브 본체(212)에 내측 영역에 위치한다.The bolt 250 is coupled to the sleeve body 212 by having its body portion pass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 213 of the sleeve body 212 and end fastened to the nut 267 inserted into the nut insertion groove 245.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250 is located in the inner area of the sleeve body 212.

즉, 시공과정에서 슬리브 본체(212)를 거푸집에 먼저 고정하고, 이어서 너트(267)를 너트 삽입홈(245)에 삽입하고 볼트(250)를 너트(267)와 결합시키는데, 볼트의 바디부는 볼트 관통홀(213), 연통홀(24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267)와 체결되도록 일정이상의 길이를 가진다.That i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sleeve body 212 is first fixed to the form, and then the nut 267 is inserted into the nut insertion groove 245 and the bolt 250 is coupled with the nut 267. The body of the bolt is the bolt. It has a length of a certain length or more so that it sequentially penetrates the through hole 213 and the communication hole 243 and is fastened with the nut 267.

이후,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슬리브 본체(212)를 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하여 고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250)와 너트(267)가 기체결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므로 콘크리트는 너트(267)의 내측 체결홀 내부로는 충진되지 않게 된다.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볼트(250)를 풀어서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를 슬리브 본체의 대응 위치에 배치한 후 다시 볼트(250)를 너트(267)에 체결하여 슬리브 본체(212)에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를 결합 고정할 수 있다.Thereafter,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and the sleeve body 212 is embedded and fixed in the concrete structure formed by pouring. In this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concrete is poured while the bolt 250 and nut 267 are pre-connected. Because this is achieved, concrete is not filled into the inner fastening hole of the nut 267. When concrete curing is completed, the worker loosens the bolt 250, places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269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sleeve body, and then fastens the bolt 250 to the nut 267 again to secure the sleeve.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parts 268 and 269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main body 21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는 슬리브 본체의 좌측 플레이트(222)와 우측 플레이트(223)에 각각 결합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슬리브 본체(212)의 내측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and 269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eft plate 222 and the right plate 223 of the sleeve body,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re connected to the sleeve body 212. It is arranged so that it i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는 좌측 플레이트(222)와 우측 플레이트(223)의 내측면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복수의 볼트(250)가 관통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볼트 삽입홀(262)이 마련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와 각각 스크루 결합되도록 장공 형상의 복수의 스크루 체결홀(265)이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and 269 are dispos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left plate 222 and the right plate 223, and allow a plurality of bolts 250 to be inserted through. A plurality of bolt insertion holes 262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long screw fastening holes 265 are provided to be screw-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140 and 150, respectively.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상하측에는 각각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가 결합되는데 스크루 체결홀(265)과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형성된 체결홀을 서로 관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볼트, 너트를 통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140 and 150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parts 268 and 269, respectively, and pass through the screw fastening hole 265 and the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The connection is made through separate bolts and nuts while positioned so as to do so.

슬리브 본체(212)에 대한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콘크리트 타설전 너트(267)에 기결합시킨 볼트(250)의 결합을 해제하여 분리한 후 슬리브 본체(212)의 볼트 관통홀(213)과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볼트 삽입홀(262)이 서로 연통하도록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슬리브 본체(212)의 내측에서 볼트(250)의 바디부가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볼트 삽입홀(262), 슬리브 본체(212)의 볼트 관통홀(213), 슬리브 돌출부(242)의 연통홀(24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267)에 단부 체결되도록 한다. 이후,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상하측에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When explain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parts 268 and 269 to the sleeve main body 212, when concrete pouring and curing are completed, the worker attaches the bolt 250 previously coupled to the nut 267 before concrete pouring. ) After disengaging and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bolts so that the bolt through hole 213 of the sleeve body 212 and the bolt insertion hole 262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and 269 communicate with each other. Position the tray coupling body (268, 269). Next, on the inside of the sleeve body 212, the body of the bolt 250 is connected to the bolt insertion hole 262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and 269, the bolt through hole 213 of the sleeve body 212, It sequentially penetrates the communication hole 243 of the sleeve protrusion 242 so that the end is fastened to the nut 267. Thereafter,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parts main bodies 268 and 269.

다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차단 플레이트(280)는 슬리브(210) 외측으로 노출되는 케이블(120)을 둘레방향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길이방향 양단 중 하나에 각각 복수로 마련된다.Next, as shown in FIGS. 6 to 8, the heat blocking plate 28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 268,269)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respectively, at one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관련 도면에는, 열차단 플레이트(280)가 슬리브(21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케이블(120)을 둘레방향으로 커버하도록 설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슬리브(210)가 건물의 가로 벽에 설치되는 경우 열차단 플레이트는 슬리브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노출되는 케이블을 커버할 수 있다.In the related drawings, a case where the heat blocking plate 280 is installed to cover the cable 120 exposed above the sleeve 2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hown, but when the sleeve 21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wall of a building The heat shield plate can cover the cable exposed on one side based on the sleeve.

케이블(120)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열차단 플레이트(280)는 예를 들어 하층(1층)에서 발생하여 케이블(예를 들어 구리 재질의 강선)을 통해 상층(2층)으로 전달된 열이 상층(2층) 주변으로 전파(열 복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Based on the case where the cable 120 is install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eat blocking plate 280 is generated, for example, in the lower layer (1st floor) and is connected to the cable (e.g., a steel wire made of copper). It is possible to block the heat transferred to the upper layer (2nd floor) from propagating (heat radiation) to the surroundings of the upper layer (2nd floor).

부연하자면, 구리 재질의 강선의 경우, 일정이상의 열전도성을 갖는바 하층에서 발생한 고온의 화재열이 강선을 통해 다른 편(상층)으로 전달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열차단 플레이트(280)가 케이블(120)을 둘레방향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이와 같이 케이블을 통해 전도되는 열이 상층(2층) 주변 실내공간으로 전파 확산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o elaborate, in the case of a steel wire made of copper, it has thermal conductivity above a certain level, so high-temperature fire heat generated in the lower layer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side (upper layer) through the steel wir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hield plate 280 is used as a cable As it is provided to cover (1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block the spread of heat conducted through the cable into the indoor space around the upper floor (second floor).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열차단 플레이트(280)는,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와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6 to 8 , the plurality of heat blocking plates 280 includes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and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여기서,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는 슬리브(210), 즉 슬리브 본체(212)의 외측(도면상 상측)으로 노출되는 케이블(120)의 후방측을 커버하도록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길이방향 일단부(상단부)의 후방측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are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to cover the rear side of the cable 120 exposed to the outside (upper side in the drawing) of the sleeve 210, that is, the sleeve body 212. 2 Tray coupling units are provided at the rear corners of the longitudinal ends (upper ends) of the main bodies 268 and 269, respectively.

또한,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는 슬리브 본체(212)의 외측(도면상 상측)으로 노출되는 케이블(120)의 전방측을 커버하도록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길이방향 일단부(상단부)의 전방측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cover the front side of the cable 120 exposed to the outside (upper side in the drawing) of the sleeve body 212 ( 268 and 269), respectively, are provided at the front edge of one end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와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는 일정이상의 폭과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120)로 전도된 열이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are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width and length of a certain level or more and are conducted by the cable 120 as described above. It can effectively block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urroundings.

한편, 후술하는 시공방법에서 방화폼 패드(400)는 케이블(120)의 전방의 슬리브 본체(212)의 내측 빈 공간을 채우도록 시공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는 작업자가 방화폼 패드(400)를 시공하는 과정에 특별한 불편함이나 방해를 제공하지 않는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화폼 패드(400)가 케이블(120) 후방에는 채워지지 않고 케이블의 전방 측에만 채워져도 충분한 내화채움 효과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in the construction method described later,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is constructed to fill the empty space inside the sleeve body 212 in front of the cable 1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does not provide any special inconvenience or interference to the worker's process of constructing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To elaborat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ufficient fire resistance filling effect even if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is not filled in the rear of the cable 120 but is filled only in the front side of the cab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는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상단부의 후방측 모서리부에 대해 회전불가하도록 고정되게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may be fixed so as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rear corners of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parts main bodies 268 and 269.

그러나, 후술하는 시공방법에서 방화폼 패드(400)는 케이블(120)의 전방측 슬리브 본체(212)의 내측 빈 공간을 채우도록 시공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는 작업자가 방화폼 패드(400) 설치, 케이블 포설 등의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 불편함이나 방해가 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onstruction method described later,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is constructed to fill the empty space inside the front sleeve body 212 of the cable 1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This may cause inconvenience or interference to the worker dur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and laying cables.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작업자가 방화폼 패드를 설치하는 과정에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로 인해 방화폼 패드의 설치작업이 원활하지 않고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from being smooth and causing inconvenience due to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284) when the worker installs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provides.

일 예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는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에 대해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는 힌지축(28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허용 각도는 270도 이내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 to 8,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may be hinged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and 269. Here,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are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hinge shaft 285 and can be freely rotated within a range of 270 degrees.

이와 같이 힌지회전 결합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작업자는 방화폼 패드(400)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를 슬리브 본체(212)에 대해 외측(일측)방향으로 젖혀서(도 17 참조) 케이블(120)의 전방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방화폼 패드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hinge rotation coupling structure is applied, when the worker wants to install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are oriented outwar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leeve body 212.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installation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the front side of the cable 120 opened by flipping it (see FIG. 17).

이어서, 방화폼 패드(400)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를 슬리브 본체(212)에 대해 내측(타측)방향으로 젖혀서 케이블(120)의 전방측을 커버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 케이블로 전도된 열이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에 의해 전방측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is completed, the worker tilts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in the inward (other sid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leeve body 212 to cover the front side of the cable 120. By doing so, as described above, when a fire occurs, heat conducted through the cable can be block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front interior space by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다른 예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는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에 대해 결합부재(286)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and 269 through coupling members 286. You can.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전방측 단부에는 제1 체결공(287a)이 형성된 플랜지(287b)가 마련되고,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에는 제1 체결공(287a)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공(287c)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 체결공을 대략 일렬로 배치한 후 모두 관통하도록 결합부재(286)를 체결하여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단부에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286)는 볼트, 핀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a flange (287b) with a first fastening hole (287a)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268,269),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284) are provided. A second fastening hole 287c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287a, and after arranging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approximately in a line, the coupling member 286 is fastened so as to penetrate all of the first fastening holes 287a.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second tray coupling body 268 and 269. Here, the coupling member 286 may be applied as a bolt, pin, etc.

이와 같이 결합부재(286)에 의한 탈부착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작업자는 방화폼 패드(400)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를 슬리브 본체(212)에 대해 분리하여 케이블(120)의 전방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방화폼 패드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etachable structure using the coupling member 286 is applied, the worker separates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from the sleeve body 212 when installing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Therefore,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installation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the front side of the cable 120 open.

한편, 관련 도면에는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가 별도로 마련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eanwhile, the related drawings show a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are provided separately,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즉, 슬리브 본체(212)의 외측(도면상 상측)으로 노출되는 케이블(120)의 전방측을 커버하도록,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가 2개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의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미도시)가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길이방향 일단부(상단부)의 전방측 모서리부에 결합부재(286)를 통해 그 양단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That is, to cover the front side of the cable 120 exposed to the outside (upper side in the drawing) of the sleeve body 212, the front heat-blocking plate may be formed as one rather than separated into two, and one front heat-blocking plate (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front edge of one longitudinal end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parts main bodies 268 and 269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separable through a coupling member 286.

이때, 하나의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미도시)는 금속 재질이 아닌 난연 또는 불연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난연 또는 불연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front heat-blocking plate (not shown) may include a flame-retardant or non-combustible material rather than a metal material,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a flame-retardant or non-combustible plastic material.

이와 달리, 하나의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미도시)는 금속 재질의 금속 플레이트(미도시)와, 케이블을 마주보는 금속 재질의 금속 플레이트(미도시)의 내측면에 마련(부착 등)되는 난연 보온재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난연 보온재는 세라쿨, 폼 형태의 난연 보온재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In contrast, one front heat-blocking plate (not shown) includes a metal plate (not shown) made of metal, and a flame-retardant insulation material provided (attached, etc.) on the inner side of the metal plate (not shown) facing the cable. It can be made to include. Here, flame retardant insulation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such as Cerakool and foam-type flame retardant insulation.

이어서, 방화폼 패드(400)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를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에 결합부재(286)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케이블(120)의 전방측을 커버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 케이블로 전도된 열이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에 의해 막혀 전방측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is completed, the worker couples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and 269 using the coupling member 286. By covering the front side of the cable 120, as described above, in the event of a fire, heat conducted through the cable is blocked by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thereby preventing i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ront indoor space. .

이하,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로 전도된 열이 전방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추가로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structures that can more efficiently block heat conducted through cables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front interior space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will be further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 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와,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가 각각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로부터 돌출되는 제1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의 돌출단부와,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9)로부터 돌출되는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2)의 돌출단부는 서로 접촉상태를 갖도록 이루어진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are the first and second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respectively. 2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rear heat blocking plate 281 protruding from the first tray coupling body 268 and the second tray are coupl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y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tray coupling main bodies 268 and 269. The protruding ends of the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 282 protruding from the sub body 269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로부터 돌출되는 제1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의 돌출단부와,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9)로부터 돌출되는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4)의 돌출단부는 서로 접촉상태를 갖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front heat blocking plate 283 protruding from the first tray coupling body 268, and the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 284 protruding from the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y 269. The protruding ends ar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즉,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와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가 슬리브 본체(212)의 상측으로 노출된 케이블(120)을 둘레방향으로 빈틈없이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로 전도된 열이 케이블의 전방, 후방, 측방으로 전파하는 것을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와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가 최대한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tightly surround the cable 120 ex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leeve body 2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lace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can block heat conducted to the cable from propagating to the front, rear and sides of the cable as efficiently as possible. You ca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예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와,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가 각각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로부터 돌출되는 제1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의 돌출단부와,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9)로부터 돌출되는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2)의 돌출단부는 상호간에 설정거리 이하의 이격거리(d)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are the first and second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respectively. 2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rear heat blocking plate 281 protruding from the first tray coupling body 268 and the second tray are coupl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y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tray coupling main bodies 268 and 269. The protruding ends of the second rear heat-blocking plate 282 protruding from the sub-main body 269 are formed so that a separation distance d of less than a set distance is formed between them.

또한,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로부터 돌출되는 제1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의 돌출단부와,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9)로부터 돌출되는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4)의 돌출단부는 상호간에 설정거리 이하의 이격거리(d)가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front heat blocking plate 283 protruding from the first tray coupling body 268, and the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 284 protruding from the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y 269. The protruding ends ensure that a separation distance (d) of less than the set distance is formed between them.

즉,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와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가 슬리브 본체(212)의 상측으로 노출된 케이블(120)을 둘레방향으로 최소한의 빈틈만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로 전도된 열이 케이블의 전방, 후방, 측방으로 전파하는 것을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와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가 최대한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blocking plates 281 and 282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blocking plates 283 and 284 form a minimal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ble 120 ex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leeve body 212. It is arranged to surround it in a formed state.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can block heat conducted to the cable from propagating to the front, rear and sides of the cable as efficiently as possible. You can.

이러한 이격거리(d)는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각각의 후술하는 상측 결합부 본체(312)의 상하 회전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케이블로 전도된 열의 주변 전파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정도의 거리로 적용된다. This separation distance (d) can sufficiently block the peripheral propagation of heat conducted by the cable without restricting the vertical rotation of the upper coupling body 3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and 269. It is applied at a certain dist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거리는 1 내지 10mm로 적용될 수 있다. 설정거리가 1mm 미만인 경우, 후술하는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각각의 상측 결합부 본체(312)가 서로 걸림되거나 접촉되어 중앙 결합부 본체(310)에 대해 자유롭게 상하 회전하기 힘들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distance may be 1 to 10 mm. When the set distance is less than 1 mm, the upper coupling body 312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and 26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caught or contacted with each other and freely rotat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coupling body 310. It can be difficult.

또한, 설정거리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 케이블로 전도된 열이 제1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의 돌출단부와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4)의 돌출단부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는바 열차단 효율이 저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t distance exceeds 10 mm, the heat conducted through the cable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front heat blocking plate 283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 284.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heat blocking efficiency may be reduced.

물론,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의 각각의 상측 결합부 본체(312)가 슬리브 본체(212)를 향해 하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와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는 서로간에 단부가 일정이상 어긋난 상태로 겹쳐지게 배치되어 상측 결합부 본체(312)의 상하 회전을 구속하지 않을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어긋난 상태'라 함은 슬리브 본체(212) 측면에 대한 제1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와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2)의 각각의 사이거리가 상이함을 의미하고,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Of course, in a state where each upper coupling body 312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and 269 rotates downward toward the sleeve main body 212,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with their ends shifted by a certain amount or more, so they may not restrict the vertical rotation of the upper coupling body 312. Here, the 'misaligned state' mean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ar heat blocking plate 281 and the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 282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sleeve body 212 is different, and the The same applies to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본 발명의 변형 예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a,269a)는 각각, 중앙 결합부 본체(310), 상측 결합부 본체(312) 및 하측 결합부 본체(314)를 포함할 수 있다.In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1 to 14,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a and 269a are respectively a central coupling body 310 and an upper coupling body 312. ) and a lower coupling body 314.

중앙 결합부 본체(310)는 볼트(250), 너트(267)를 통해 슬리브(2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된다.The central coupling body 310 is detachably and fixedly coupled to the sleeve 210 through a bolt 250 and a nut 267.

상측 결합부 본체(312)는 슬리브 본체(212)의 상측 개구를 폐쇄 가능하도록 중앙 결합부 본체(310)의 상측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폭방향 양단에 복수의 열차단 플레이트가 마련된다. 즉,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의 상측 결합부 본체(312)에는 제1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와 제1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가 마련된다. 또한,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9)의 상측 결합부 본체(312)에는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2)와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4)가 마련된다.The upper coupling body 312 is hing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coupling body 310 so as to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sleeve main body 212, and a plurality of heat blocking plates are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a first rear heat blocking plate 281 and a first front heat blocking plate 283 are provided on the upper coupling body 312 of the first tray coupling body 268. In addition, a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 282 and a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 284 are provided on the upper coupling body 312 of the second tray coupling body 269.

여기서, 제1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와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결합부 본체(312)의 일측 모서리 단부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별도의 결합부재(286)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front heat blocking plate 283 and the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 284 are hinged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corner end of the upper coupling body 312, as described above, or are attached to a separate coupling member ( 286) can be separably combined.

하측 결합부 본체(314)는 슬리브 본체(212)의 하측 개구를 폐쇄 가능하도록 중앙 결합부 본체(310)의 하측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lower coupling body 314 is hing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entral coupling body 310 so as to close the lower opening of the sleeve main body 21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측 결합부 본체(312)와 하측 결합부 본체(314)는 슬리브 본체(212) 내부를 외부에 대해 밀폐(폐쇄)할 필요가 있을때, 예컨대 공사 중에 콘크리트 몰탈이나 기타 이물질이 슬리브 본체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슬리브 본체(212)의 상하측 개구를 덮어 밀폐시키게 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upling body 312 and the lower coupling body 314 are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seal (close) the inside of the sleeve body 212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by concrete mortar or other foreign matter during construction. If it is necessary to prevent it from flowing into the sleeve main body,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of the sleeve main body 212 are closed and seal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의 시공방법(이하, '시공방법'이라 함)을 설명하며, 트레이 결합부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기준으로 도시 및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트레이 결합부 구조 또한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inafter, a construc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struction method') of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 insul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tray coupling portion will be shown and explained based on the structure shown in FIG. 6.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of course, the tray coupling structure shown in FIGS. 9, 11, and 14 can also be applied in the same way.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100)에 슬리브 조립체(200)를 설치하고 이후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를 설치하고 케이블 포설작업까지 완료한 후, 관통구(100), 즉 슬리브 본체의 내측 관통홀을 차폐하여 슬리브 조립체(200)를 기준으로 일측 영역에서 타측 영역으로 화재발생에 의한 화염, 연기가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이다. 15 to 20,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installing the sleeve assembly 200 in the through hole 100 provided in the floor o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n install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After installing (140,150) and completing the cable laying work, the through hole (100), that is, the inner through hole of the sleeve body is shielded, and the flame caused by fire occurs from one area to the other area based on the sleeve assembly (200). This is a method to block the spread of smoke.

덧붙여, 슬리브 조립체(200)를 기준으로 일측 영역에서 타측 영역으로 케이블을 통해 전도된 열이 타측 영역의 주변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이다.(열차단 플레이트에 의한 열차단 구조에 의함)In addition, this is a method to block heat conducted through a cable from one area to the other area based on the sleeve assembly 20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urrounding indoor space of the other area. (Due to a heat-blocking structure using a heat-blocking plat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내화발포성 슬리브 고정단계(S100), 콘크리트 타설단계(S200), 트레이 결합부 1차 설치단계(S300),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설치고정단계(S400), 방화폼 패드 설치단계(S500), 트레이 결합부 2차 설치단계(S600)를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e-resistant foam sleeve fixing step (S100), a concrete pouring step (S200), a tray joint first installation step (S300), and a first and second cable tray and cable installation fixing step ( S400), fire prevention foam pad installation step (S500), and tray joint secondary installation step (S600).

먼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 형성을 위한 거푸집에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 연결을 위한 슬리브 조립체(200)의 내화발포성 슬리브(210)를 고정한다(S100). S100 단계에서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에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을 고정 결합한다. 이때, 슬리브 본체(212)에는 볼트(250) 및 너트(267)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갖는다. 따라서, 후술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시 콘크리트가 너트(267) 내측 체결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5, the fireproof foam sleeve 210 of the sleeve assembly 200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140 and 150 is fixed to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floor or wall of the building (S100) ). In step S100,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210 is fixedly coupled to the formwork using bolts, etc. At this time, the sleeve body 212 has a bolt 250 and a nut 267 coupled to each o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crete from flowing into the fastening hole inside the nut 267 during the concrete pouring ste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S100 단계에서는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에 추가적으로 트레이 결합부(260a)를 설치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a tray coupling portion 260a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210 in step S100.

이와 같이 S100 단계에서 트레이 결합부(260a)가 설치되는 경우, 이러한 트레이 결합부(260a)는 도 11,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결합부 본체(310), 상측 결합부 본체(312) 및 하측 결합부 본체(314)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S100 단계에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트레이 결합부(260a)는 상측 결합부 본체(312)와 하측 결합부 본체(314)가 각각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의 상하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회전한 상태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S200 단계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내화발포성 슬리브(2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tray coupling portion 260a is installed in step S100, the tray coupling portion 260a includes the central coupling body 310, the upper coupling body 312, and the central coupling body 310, as shown in Figures 11 and 14. It consists of a structure having a lower coupling body 314. In step S100,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this tray coupling portion 260a is configured so that the upper coupling body 312 and the lower coupling body 314 close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of the fireproof foam sleeve 210, respectively. It is installed in a rotated state,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crete poured in step S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flowing into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210.

그러나, 트레이 결합부가 중앙 결합부 본체(310), 상측 결합부 본체(312) 및 하측 결합부 본체(314)를 갖지 아니한 도 6, 도 9에 도시된 구조라면 S100 단계에서 이러한 트레이 결합부는 설치되지 않는다. 이하 설명 및 관련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도시의 편의를 위해, 트레이 결합부가 중앙 결합부 본체(310), 상측 결합부 본체(312) 및 하측 결합부 본체(314)를 갖지 아니하고 열차단 플레이트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However, if the tray coupling portion has the structure shown in FIGS. 6 and 9 that does not have the central coupling body 310, the upper coupling body 312, and the lower coupling body 314, these tray coupling parts are not installed in step S100. N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related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llustration, the tray coupling portion does not have the central coupling body 310, the upper coupling body 312, and the lower coupling body 314, but has a heat blocking plate. The explanation and illustration are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tructure is formed.

다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슬리브 돌출부(242) 및 외측을 향하는 너트(267)의 전면(일측면) 부위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하방향으로 케이블을 관통하도록 통로 기능을 하는 관통구(100)를 형성한다(S200).Next, as shown in FIG. 16,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so that the front (one side) portion of the sleeve protrusion 242 and the nut 267 facing outward is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and fixed by the concrete structure. In addition, a through hole 100 that functions as a passageway is formed to allow the cable to pass through in the vertical direction (S200).

다음,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에 트레이 결합부(260)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볼트(250)를 너트(267)로부터 결합 해제한 후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를 다시 볼트(250), 너트(267)를 이용하여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와 결합 고정한다(S300).Next, as shown in FIG. 17, the tray coupling portion 260 is coupled to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210. Specifically, after disconnecting the bolt 250 from the nut 267,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parts 268 and 269 are again coupled to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210 using the bolt 250 and nut 267. Fix it (S300).

전술한 바와 같이, 너트(267)는 너트 삽입홈(245) 내에 삽입되어 있고 일측면이 콘크리트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이 억제됨에 따라, 작업자는 볼트(250) 체결작업을 한층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ut 267 is inserted into the nut insertion groove 245 and one side is fixed by concrete to suppress rotation, so the worker can perform the bolt 250 fastening operation more quickly and easily. You can.

또한, S300 단계에서,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는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에 대해 외측으로 젖혀진 상태(힌지회전 결합 구조가 적용된 경우)이거나,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에 결합 분리된 상태(결합부재를 통해 탈부착 결합구조가 적용된 경우)를 갖는다.In addition, in step S300,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ar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parts 268 and 269 are tilted outward (when a hinge rotation coupling structure is applied), or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parts have a state of being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ies 268 and 269 (when a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is applied through a coupling member).

이에 반해,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는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In contrast,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are installe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and 269.

다음,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결합부(26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를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연결하고, 내화발포성 슬리브(210) 내측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케이블(120)을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140,150)에 고정한다(S400). 여기서, 전기선, 통신선 등의 케이블(120)은 케이블 트레이의 렁에 케이블 타이 등을 통해 고정 가능하다. 또한, 케이블은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가 먼저 이루어진 후 케이블 타이 등을 통해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된다.Next, as shown in FIG. 18,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140 and 150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ay coupling portion 260, respectively, using bolts, nuts, etc., and the fireproof foam sleeve 210 ) A plurality of cables 120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140 and 150 so as to penetrate the inside (S400). Here, cables 120 such as electric lines and communication lines can be fixed to the rungs of the cable tray using cable ties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ables are fixed to the cable tray using cable ties, etc. after the cable tray is first installed.

다음,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구(100), 즉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의 내측 관통홀(211) 영역을 막도록 방화폼 패드(400)를 내화발포성 슬리브(210) 내측에 적어도 1회 이상의 횟수로 설치한다(S500). Next, as shown in FIG. 19, at least a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is placed inside the fire resistant foam sleeve 210 to block the through hole 100, that is, the area of the inner through hole 211 of the fire resistant foam sleeve 210. Install more than once (S500).

구체적으로, 관통구(100) 내에 배치되는 케이블(120),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가 방화폼 패드(400)의 설치작업을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방화폼 패드(400)를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의 관통홀(211) 내에 설치하여 상기 관통홀을 방화폼 패드(400)로 덮을 수 있다(실링).Specifically, the fireproof foam pad 400 is placed in a fireproof foam sleeve ( 210) can be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211 and the through hole can be covered with a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sealing).

방화폼 패드(400)는 실질적으로 내화발포성 슬리브(210)의 관통홀(211)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120),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에 의해 간섭되어 관통홀(211)을 전체적으로 차폐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져야 한다.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substantially shields the through hole 211 of the fire resistant foam sleeve 210, and is interfered with by the cable 120 and 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thereby covering the through hole 211 as a whole. This must be done so that a situation where shielding cannot be achieved does not occur.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화폼 패드(400)는 일정이상의 연성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예로 스폰지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관통홀(211) 내측에 압축된 상태로 삽입되어 관통홀을 확실하게 차폐하게 된다. 이러한 방화폼 패드(400)는 내화충전구조체로서 화재 발생시 온도가 상승하면 슬리브 본체(212)와 동일하게 팽창하는 특성을 갖는다.For this purpo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may be made in a form having a certain level of ductility or,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sponge, and is inserted in a compressed state inside the through hole 211. This ensures that the through hole is shielded. This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is a fire-resistant filled structure and has the same expansion characteristics as the sleeve body 212 when the temperature rises when a fire occurs.

부연하자면, 방화폼 패드(400)는 바닥 또는 벽체를 기준으로 일측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열을 받아 팽창하여 관통구(100), 즉 관통홀(211)을 더욱 견고하게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타측 공간으로 화염 및 연기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화폼 패드(400)는 작업자가 일정이상 압축력을 가했을 때 탄성적으로 수축되는 형상 및 구조의 특성을 갖는다.To elaborate, when a fire occurs in a space on one side of the floor or wall,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receives heat and expands to more firmly close the through hole 100, that is, the through hole 211. By maintaining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flames and smoke from spreading to the other space. This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hape and structure that elastically contracts when an operator applies compression force above a certain level.

방화폼 패드(400)는 관통홀(211)을 덮도록 설치된 후 서로 접촉되는 방화폼 패드(400)와 내화발포성 슬리브(210) 내면 사이에는 실링을 위해 내화 실란트(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After the fireproof foam pad 400 is installed to cover the through hole 211, a fireproof sealant (not shown), etc. may be provided for sealing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eproof foam pad 400 and the fireproof foam sleeve 21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이와 같이 방화폼 패드(400)는 일정이상 탄성 압축 및 복원 가능한 특성을 갖는바, 케이블(120),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에 의해 간섭되어 관통구(100), 즉 관통홀(211)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지 못하는 일이 없이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has the characteristics of elastic compression and restoration over a certain level, and is interfered with by the cable 120 and 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art 215 to form the through hole 100, that is, through hole 211. It can be closed reliably as a whole without failing to close partiall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500단계에서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방화폼 패드(400)를 압축하여 내화발포성 슬리브(210) 내측으로 삽입하고, 방화폼 패드(400)가 복수의 케이블(120)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케이블(120)의 후방측이 열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화발포성 슬리브(210), 구체적으로 슬리브 본체(212)에 밀착되도록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500, as shown in FIG. 19, the worker compresses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and inserts it into the fire resistant foam sleeve 210, and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has a plurality of The cable 120 is pressed backwards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cable 1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eproof foam sleeve 210 made of a thermally foamable material, specifically the sleeve body 212.

덧붙이자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화폼 패드(400)에 의해 케이블(120)이 슬리브 본체(212)에 밀착됨에 따라, 방화폼 패드(400)와 슬리브 본체(212), 구체적으로 후면 플레이트(221)는 복수의 케이블(120)에 밀착된 상태로 케이블(120)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1, as the cable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leeve body 212 by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and the sleeve main body 212, specifically the rear The plate 2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ables 120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cables 1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러한 설치에 의해, 방화폼 패드(400)와 슬리브 본체(212)는 케이블 등에 의한 간섭없이 바닥 또는 벽체의 관통구(100)를 완벽하게 차폐시켜 화염, 연기의 전파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By this installation,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and the sleeve body 212 can completely block the penetration hole 100 of the floor or wall without interference by cables, etc., thereby reliably blocking the spread of flame and smoke.

또한, S500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는 방화폼 패드(400)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일정이상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추가 케이블(121)의 추가 설치가 필요한 경우, 기설치되어 있는 방화폼 패드(400)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또는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추가 케이블(121)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추가 케이블(121)의 추가 설치가 필요없는 경우, 추가 케이블 삽입부(215)의 개구 부위에 내화 실란트 등을 통해 도포하여 보조 케이블 삽입부의 삽입홀을 내화 실란트로 막거나 고무캡 등을 결합하여 막을 수 있다.Additionally, in step S500, at least on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215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by a certain amount relative to the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Accordingly, when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additional cable 121 is necessary, the worker installs the additional cable 121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from the bottom to the top without dismantling the already installed fire prevention foam pad 400. Can be easily inserted. On the other hand, if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additional cable 121 is not necessary, apply fireproof sealant, etc. to the opening of th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art 215 and block the insertion hole of the auxiliary cable insertion part with fireproof sealant, or attach a rubber cap, etc. It can be prevented.

다음,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를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에 대해 내측으로 회전(힌지회전 결합 구조가 적용된 경우)시키거나,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에 결합부재(286)를 통해 결합(결합부재를 통해 탈부착 결합구조가 적용된 경우)시킨다(S600).Next, as shown in FIG. 20,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are rotat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268 and 269 (when a hinge rotation coupling structure is applied).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parts 268 and 269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member 286 (if a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is applied through the coupling member) (S600).

따라서, 슬리브 상측으로 노출되는 케이블(120)은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에 의해 그 둘레방향이 커버된 상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에 의해 케이블(120)로 전달된 열은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268,269),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283,284),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281,282)에 의해 주변 공간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차단 가능하다.Accordingly, the cable 120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sleeve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parts 268 and 269,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and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covered by .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heat transferred to the cable 120 due to the fir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joint bodies 268 and 269,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and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283 and 284. The heat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surrounding space and can be blocked by the heat blocking plates 281 and 282.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슬리브 20: 케이블 트레이
40: 방화폼 패드
50: 케이블 100: 관통구
120: 케이블 121: 추가 케이블
140: 제1 케이블 트레이 150: 제2 케이블 트레이
200: 슬리브 조립체 210: 내화발포성 슬리브
211: 관통홀 212: 슬리브 본체
213: 볼트 관통홀 215: 추가 케이블 삽입부
220: 전면 플레이트 221: 후면 플레이트
222: 좌측 플레이트 223: 우측 플레이트
242: 슬리브 돌출부 243: 연통홀
245: 너트 삽입홈 250: 볼트
260, 260a: 트레이 결합부 267: 너트
268,268a: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
269,269a: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
280: 열차단 플레이트 281: 제1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
282: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
283: 제1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
284: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
286: 결합부재 310: 중앙 결합부 본체
312: 상측 결합부 본체 314: 하측 결합부 본체
400: 방화폼 패드
10: sleeve 20: cable tray
40: Fire prevention foam pad
50: cable 100: through hole
120: Cable 121: Additional cable
140: first cable tray 150: second cable tray
200: Sleeve assembly 210: Fire resistant foam sleeve
211: Through hole 212: Sleeve body
213: Bolt through hole 215: Additional cable insertion part
220: Front plate 221: Rear plate
222: Left plate 223: Right plate
242: sleeve protrusion 243: communication hole
245: nut insertion groove 250: bolt
260, 260a: tray coupling portion 267: nut
268,268a: First tray joint body
269,269a: Second tray joint body
280: Heat blocking plate 281: First rear heat blocking plate
282: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
283: First front heat blocking plate
284: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
286: Coupling member 310: Central coupling body
312: upper coupling body 314: lower coupling body
400: Fire prevention foam pad

Claims (13)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구에 설치되며, 상하측에 각각 케이블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된 복수의 케이블이 내측을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트레이가 각각 결합 가능한 트레이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레이 결합부는,
상기 슬리브의 서로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 및
상기 슬리브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케이블을 둘레방향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 중 하나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열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It is installed in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floor or wall of a building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connecting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to which cables are fix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 sleeve embedded in a concrete structur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that a plurality of cable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pass through; and
A tray coupling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leeve and capable of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 trays,
The tray coupling part,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resp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opposite sides of the sleeve; and
A sleeve assembly having a heat-insulating fun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blocking plates provided at one of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to circumferentially cover the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슬리브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케이블의 후방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후방측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리브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케이블의 전방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전방측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lurality of heat blocking plates,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respectively provided at rear corners of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to cover the rear side of the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and
Comprising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edge of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to cover the front side of the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A sleeve assembly with a thermal insulation fun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에 대해 회전불가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에 대해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are fixed so as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ies,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ies.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 shield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so as to be hinged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에 대해 회전불가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에 대해 결합부재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are fixed so as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ies,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ies. A sleeve assembly having a heat shield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슬리브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케이블의 후방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후방측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리브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케이블의 전방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의 길이방향 일단부의 전방측 모서리부에 각각 결합부재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의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lurality of heat blocking plates,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respectively provided at rear corners of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to cover the rear side of the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and
One front heat-blocking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edge of on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through a coupling member to cover the front side of the cab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A sleeve assembly having a heat-insulating function,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는,
난연 또는 불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금속 재질의 금속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블을 마주보는 상기 금속 재질의 금속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난연 보온재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5,
The one front heat blocking plate is,
Made of flame-retardant or non-combustible plastic material,
A sleeve assembly having a heat shield function, comprising a metal plat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 flame retardant insulation material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etal plate facing the cable.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1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와, 상기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는 서로 접촉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1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와, 상기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는 서로 접촉상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respectively,
A protruding end of the first rear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first tray coupling body and a protruding end of the second rear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front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first tray coupling body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second front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insulating function.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1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와, 상기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는 상호간에 설정거리 이하의 이격거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1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와, 상기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전방 열차단 플레이트의 돌출단부는 상호간에 설정거리 이하의 이격거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ar heat blocking plates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heat blocking plates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y, respectively,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rear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first tray coupling body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second rear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t distance or less. A distance is formed,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front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first tray coupling body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second front heat-b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second tray coupling main bod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t distance or less.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 shield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distance is form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거리는 1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8,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 shield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distance is 1 to 10 mm.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결합부 본체는 각각,
상기 슬리브에 고정되는 중앙 결합부 본체;
상기 슬리브의 상측 개구를 폐쇄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결합부 본체의 상측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폭방향 양단에 상기 복수의 열차단 플레이트가 마련되는 상측 결합부 본체; 및
상기 슬리브의 하측 개구를 폐쇄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결합부 본체의 하측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first and second tray coupling bodies are each,
a central coupling body fixed to the sleeve;
An upper coupling body that is hing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coupling body so as to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sleeve and is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heat-blocking plate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entral coupling body; and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 shield function, comprising a lower coupl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entral coupling body so as to close the lower opening of the slee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열에 의해 발포 팽창하여 상기 관통구 내측을 차폐할 수 있는 발포성 재료를 포함하는 내화발포성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 shield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leeve is a fire-resistant foam sleeve containing a foam material that expands by heat to shield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발포성 슬리브는,
상하가 개구된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져 사출을 통해 성형되는 슬리브 본체;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복수로 돌출되되, 상기 슬리브 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볼트 관통홀과 각각 연통하도록 연통홀이 마련되고 외측에 각각 너트 삽입홈이 마련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고정 가능한 복수의 슬리브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1,
The fire-resistant foam sleeve is,
A sleeve body that has a penetrating shape with top and bottom openings and is made of the foam material and molded through inj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holes are provi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body, and communication holes ar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eeve body, respectively, and nut insertion grooves are provided on the outside, respectively, and are inserted into the concrete structure when pouring concrete. A sleeve assembly with a heat shield func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sleeve protrusions that are embedded and fixable by a concrete structu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는, 상기 슬리브 본체와 동일한 열에 의해 발포 팽창되는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추가 케이블이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예비 관통홀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케이블 삽입부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을 갖는 슬리브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2,
The sleeve has a heat shield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additional cable insertion portion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foam material that expands by the same heat as the sleeve main body and is provided with a preliminary through hole to allow additional cables to pas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leeve assembly having a.


KR1020220038127A 2022-03-28 2022-03-28 sleeve assembly with heat shielding function KR202301395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127A KR20230139596A (en) 2022-03-28 2022-03-28 sleeve assembly with heat shield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127A KR20230139596A (en) 2022-03-28 2022-03-28 sleeve assembly with heat shield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596A true KR20230139596A (en) 2023-10-05

Family

ID=8829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127A KR20230139596A (en) 2022-03-28 2022-03-28 sleeve assembly with heat shield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59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860B1 (en) 2017-07-05 2019-05-31 아인텍(주) Sleeve assembly for cable tra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860B1 (en) 2017-07-05 2019-05-31 아인텍(주) Sleeve assembly for cable tra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1038A1 (en) Device for passing pipes or cables through an opening in a building
AU630174B2 (en)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fire, water or (flue) gas and the like from propagating along cables
KR102239032B1 (en) Fire-resistant charging integrated wall sleeve
KR20170084970A (en) Socket for Intumescent Fireproof Filler
JP5462478B2 (en) Outlet box fire prevention structure
KR102412548B1 (en) fireproof foam sleeve and sleeve assembly for cable tray connection hav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fireproof fill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230139596A (en) sleeve assembly with heat shielding function
KR101530014B1 (en) Anti fire structure for cable in underground power tunnel or common tunnel
KR101622540B1 (en) Fire stop structure using expandable sleeve
KR101026256B1 (en) Cable tray capable of blocking transmission of flame
JP2000170282A (en) Fire protecting device, fire protecting structure and fire protecting method for through hole section
KR100444575B1 (en) Fire stopping apparatus of underground common utility tunnels having fire stopping room
US5099625A (en) Partition wall for openings in building shells, forming fire proof sections
JP2012081175A (en) Fireproof section treating structure of cable duct
KR102517233B1 (en) fireproof foam sleeve and sleeve assembly for cable tray connection hav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fireproof fill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200060817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fire diffus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517215B1 (en) construction method of fireproof filling structure using cable tray and the cable tray
JP3130233U (en) Fire prevention compartment wiring structure of building
KR102318532B1 (en) System for casing of wall through-hole using selectively inward sealing
KR20220001730U (en) Open Type Fire Stop Tray with Detachable Cover
KR20200136303A (en) Fireproof fill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JP7267906B2 (en) Fireproof retrofit window structure
JP2004266990A (en) Fire-protecting-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cable-passing portion in building and fire protecting structure of cable-passing portion in building
KR101938732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bus duct
JP2005137194A (en) Construction method for fire protection structure at bus duct penetrating part in building, and the fire protection structure at bus duct penetrating part in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