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572A -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572A
KR20230139572A KR1020220038066A KR20220038066A KR20230139572A KR 20230139572 A KR20230139572 A KR 20230139572A KR 1020220038066 A KR1020220038066 A KR 1020220038066A KR 20220038066 A KR20220038066 A KR 20220038066A KR 20230139572 A KR20230139572 A KR 20230139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store
terminal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건
이성민
박현준
박용원
김준모
안지영
Original Assignee
(주)비바리퍼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바리퍼블리카 filed Critical (주)비바리퍼블리카
Priority to KR102022003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572A/ko
Publication of KR20230139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572A/ko
Priority to KR1020230154063A priority patent/KR20230158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5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 선정을 위해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UWB(ultra-wideband)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SER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PAYMENT THEREOF,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OF SERVER}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 폰의 보급에 힘입어 기존의 현금 결제, 카드 결제 등 전통적인 결제수단에서 탈피한 다양한 결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결제 서비스들로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애플 페이(Apple pay), 삼성 페이(Samsung pay) 등과 같은 다양한 페이 서비스가 있으며, 이 밖에도 사용자의 지문, 홍채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이용한 전자 결제 서비스들이 존재하거나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 폰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의 경우 결제 시 반드시 스마트폰을 소지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스마트 폰을 분실하는 경우 저장된 카드 정보, 결제 관련 정보와 같은 개인 정보들이 유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전자 결제 서비스들의 경우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그대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유출의 우려가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일 목적은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일 목적은 보안성이 향상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 선정을 위해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UWB(ultra-wideband)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내부 측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내부 측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내부 측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에 포함된 사용자 중 소정의 결제 예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한 세부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측위 정보는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상대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제 예정 조건은 상기 상대 거리가 임계 거리 미만이고 상기 상대 각도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대 거리는 ToF(time of flight) 방식을 통해 획득되고, 상기 상대 각도는 AoA(angle of arrival) 방식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상기 상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우선적으로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대응 타겟 집합보다 우선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세부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우선적으로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와 상기 상점 식별 정보를 매칭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상기 상점 식별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변환된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상점 단말에 대응하는 상점의 상점 식별 정보 및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 선정을 위해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상기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증부, 및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를 기초로 상기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요청을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UWB(ultra-wideband)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내부 측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내부 측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내부 측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에 포함된 사용자 중 소정의 결제 예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한 세부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측위 정보는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상대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제 예정 조건은 상기 상대 거리가 임계 거리 미만이고 상기 상대 각도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대 거리는 ToF(time of flight) 방식을 통해 획득되고, 상기 상대 각도는 AoA(angle of arrival) 방식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방법은, 서버가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 선정을 위해 상기 상점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상점 단말에 대응하는 상점의 상점 식별 정보 및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상기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를 기초로 상기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UWB(ultra-wideband)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각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각 사용자 별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상기 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저장하는 단계,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 선정을 위해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상점 단말에 대응하는 상점의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점 단말로부터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대상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 각각의 기준 템플릿 정보와 상기 대상 템플릿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UWB(ultra-wideband)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각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각 사용자 별로 생성되는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상기 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저장하는 단계,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 선정을 위해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상점 단말에 대응하는 상점의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점 단말로부터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대상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 각각의 기준 템플릿 정보와 상기 대상 템플릿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UWB(ultra-wideband)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보안성이 향상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a 내지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사용자 단말과 상점 단말 간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치와 제2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내부 측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치와 제2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내부 측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내부 측위 정보를 이용해 타겟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a 내지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 관리 서버(200), 상점 단말(300), 및 VAN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는 결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에는 결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결제 서비스에 가입하고, 사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결제 등록 정보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의 제공에 대한 동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 사용자의 ID 및/또는 비밀번호, 사용자의 이름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얼굴을 촬영한 얼굴 이미지는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는 템플릿 정보로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얼굴을 촬영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촬영된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하고,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고, 각각의 템플릿 정보를 대응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이외에도 사용자의 지문, 홍채 이미지 등의 다양한 생체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의 다양한 감지 장치를 통해 획득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들은 사용자 정보로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될 수 있다. 결제 등록 정보는 결제 처리에 이용되는 카드 정보 및/또는 계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채 상점(S)을 방문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상점 단말(300)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점 단말(300)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UWB(ultra-wideband) 통신을 통해 상점 단말(300)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점 식별 정보는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상점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점마다 다른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점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들의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점 식별 정보, 결제 이력 정보, 사용자 생체 정보, 상점 체류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20).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S130).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은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상점을 방문하고 있는 사용자들은 동일한 타겟 집합으로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상점 단말(300)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50). 예를 들어, 결제 요청은 대상 사용자(즉, 상점 단말(300)에 결제를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결제 요청일 수 있으며, 상점 단말(300)에 대응하는 상점의 상점 식별 정보 및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점 단말(300)은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40).
관리 서버(200)는 결제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예를 들어,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여 템플릿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S160). 이를 위해, 관리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대응되는 상점 식별 정보가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타겟 집합을 대응 타겟 집합으로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대상 사용자의 템플릿 정보와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들의 템플릿 정보를 우선적으로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상점 단말(300)에 전달할 수 있다(S170).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0)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전체가 아닌 선별된 일부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생체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 인증 처리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관리 서버(200)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전체가 아닌 확률적으로 결제 요청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일부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 인증의 정확도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 중 결제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결제 이력 정보에 포함된 결제 횟수가 기준값 이상인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하여, 세부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결제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결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결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결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하여, 세부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상점 체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상점 체류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하여, 세부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세부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관리 서버(200)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하여 세부 집합을 생성하고, 세부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생체 정보)를 우선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 인증 처리 속도 및 인증의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사용자 중 2인 이상의 사용자가 대상 사용자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오는 경우, 세부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사용자 중 2인 이상의 사용자가 대상 사용자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오는 경우, 상기 2인 이상의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세부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인 이상의 사용자들 중 세부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가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최종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증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기초로 대상 사용자에 대한 결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인 경우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인 경우 VAN 서버(400)에 결제 승인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S180). 여기서, 결제 승인 요청은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VAN 서버(400)로부터 결제 승인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S190),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상점 단말(300)에 결제 완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200). 여기서, 결제 완료 정보는 결제 금액, 결제 시간, 상점 정보, 이용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점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상점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점 단말(300)은 상점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점 식별 정보는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상점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점마다 서로 다른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점 단말(300)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UUID를 포함하는 비컨(beacon)을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에 상점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점 단말(300)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결제 방식에 따라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방식은 카드 결제, 현금 결제, 전자 화폐, 계좌 이체 등 일반적인 결제 방식과,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결제 서비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결제 서비스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인증만으로 결제 처리가 가능한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점에서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이용한 후 상점 단말(300)에서 결제를 진행하게 되는데, 결제 방식으로서 상기 결제 서비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점 단말(300)은 결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제 정보에 대한 결제 요청을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정보는 대상 사용자가 구매하거나 이용한 금액, 상점 식별 정보, 대상 사용자(즉,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점에서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이용한 후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결제 서비스를 결제 수단으로 선택하고, 상점 단말(300)에 생체 정보만 제공하면(즉, 한번의 얼굴 촬영 만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 과정에서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점 단말(30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지문, 홍채 등 다양한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점 단말(300)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점 단말(300)은 촬영된 얼굴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템플릿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점 단말(300)은 수집된 템플릿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점 단말(300)과 별도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가 운영될 수 있다. 즉, 상점 단말(30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가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는 상점 단말(300)의 운영 주체와 다른 운영 주체에 의해 운영 및 관리됨으로써 사용자들의 개인정보인 생체 정보가 유출되거나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VAN 서버(4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결제 승인 요청에 응답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AN 서버(400)는 결제 승인 요청에 포함된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결제 승인 결과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결제 서비스에 가입하고, 사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결제 등록 정보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등의 제공에 대한 동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도 2a와 달리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채 상점(S)을 방문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상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5).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AP(access point)를 통해 WiFi에 연결된 경우, WiFi 접속 정보를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WiFi 접속 정보는 WiFi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Ex. “Incheon Airport”, “OO bank Jongno” 등)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의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인 경우, WiFi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API(ex. WifiManager API)를 통해 WiFi 접속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UWB 통신을 통해 상점 단말(300)과 연결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상점 단말(300)의 UWB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예컨대, UWB 모듈)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S115 단계에 상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GPS 모듈(미도시)을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예컨대, GPS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GPS 모듈을 통한 사용자 위치 정보의 획득은 미리 정해진 조건(예컨대, 일정 주기 경과)이 만족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25).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S135).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의 분석부(230)는 사용자 위치 정보와 상점 식별 정보를 매칭하는 테이블을 미리 저장할 수 있고, 미리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수신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상점 식별 정보로 변환한 뒤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변환된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상점을 방문하고 있거나 동일한 상점에 상응하는 위치를 갖는 사용자들은 동일한 타겟 집합으로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2a 또는 도 2b에서는 각각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점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1차적으로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 정보를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고, 2차적으로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검증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즉,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는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관리 서버(200)가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범위에 사용자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가 포함되는 경우에만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일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채 상점(S)을 방문하는 경우, 상점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2).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IR(infra-red), Zigbee,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점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점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22).
즉,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2a와 달리 사용자 단말(100)이 아닌 상점 단말(300)이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점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일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점 단말(300)은 사용자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인 경우 VAN 서버(400)에 결제 승인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S185). 여기서, 결제 승인 요청은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는 S185 단계에 앞서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점 단말(300)로 미리 전달될 수 있다. 즉, S160 단계에서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할 경우, S17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인증 결과와 함께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를 상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S160 단계에서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실패할 경우, S17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를 상점 단말(300)로 전달하지 않고 사용자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상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점 단말(300)은 VAN 서버(400)로부터 결제 승인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S195), 대상 사용자에게 전달할 결제 완료 정보를 표시한 매체(예컨대, 영수증)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완료 정보는 결제 금액, 결제 시간, 상점 정보, 이용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2a와 달리 관리 서버(200)가 아닌 상점 단말(300)이 결제 승인 요청을 VAN 서버(400)로 전송하고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일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e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2a와 달리 사용자 단말(100)이 아닌 상점 단말(300)이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점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고, 또한 관리 서버(200)가 아닌 상점 단말(300)이 결제 승인 요청을 VAN 서버(400)로 전송하고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일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채 상점(S)을 방문하는 경우, 상점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7).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IR, Zigbee, Bluetooth, NFC,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점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27).
즉, 도 2f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2b와 달리 사용자 단말(100)이 아닌 상점 단말(300)이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g를 참조하면,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일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점 단말(300)은 사용자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인 경우 VAN 서버(400)에 결제 승인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S185). 여기서, 결제 승인 요청은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는 S185 단계에 앞서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점 단말(300)로 미리 전달될 수 있다. 즉, S160 단계에서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할 경우, S17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인증 결과와 함께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를 상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S160 단계에서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실패할 경우, S17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를 상점 단말(300)로 전달하지 않고 사용자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상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점 단말(300)은 VAN 서버(400)로부터 결제 승인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S195), 대상 사용자에게 전달할 결제 완료 정보를 표시한 매체(예컨대, 영수증)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완료 정보는 결제 금액, 결제 시간, 상점 정보, 이용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g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2b와 달리 관리 서버(200)가 아닌 상점 단말(300)이 결제 승인 요청을 VAN 서버(400)로 전송하고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h를 참조하면,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일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h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2b와 달리 사용자 단말(100)이 아닌 상점 단말(300)이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점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고, 또한 관리 서버(200)가 아닌 상점 단말(300)이 결제 승인 요청을 VAN 서버(400)로 전송하고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사용자 단말과 상점 단말 간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점 단말(300)은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점 단말(300)과 사용자 단말(100)은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와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 또는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는 상점 단말(300)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되지 않고 독립된 장치일 수 있다.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와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는 서로 동일한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는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와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가 UWB 통신을 수행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UWB 통신은 임펄스 라디오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으로서, 상대적으로 넓은 광대역(약 6.5~8GHz)에 걸쳐 폭이 좁은(약 2ns) 펄스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다른 무선 기술(예컨대, GPS, Wi-Fi, 블루투스)은 상대적으로 좁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정현파(sine wave)를 전송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UWB 통신은 실내와 같이 노이즈가 많은 채널 환경 또는 다중 경로 채널 환경에서도 식별이 용이한 펄스 신호를 사용하므로 다른 무선 기술에 비해 간섭이 적을 수 있다. UWB 통신은 펄스 위치 변조(PPM, Pulse Position Modulation)와 2진 위상 편이 변조(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와 같은 상대적으로 낮은 차수(order)의 변조 방식을 통해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는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로 UWB 통신을 통해 앞서 설명된 상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와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 각각은 서로 간의 UWB 통신을 통해 내부 측위를 수행하여 내부 측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측위는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에 대한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에 대한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내부 측위 정보는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와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내부 측위는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 및/또는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가 복수 개로 구비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위치(예컨대, 삼각 측량을 이용한 2차원 좌표, 3차원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본 개시에서는 단일의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 또는 단일의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에 의해 수행되는 내부 측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치와 제2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내부 측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장치는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와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 장치는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와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도 5a에서 설명되는 내부 측위는 제1 장치와 제2 장치 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에 해당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장치는 ToF(Time of Flight) 방식을 이용해 제2 장치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먼저 제1 시점(t1)에서, 제1 장치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변조된 펄스 신호인 측정 요청(Request)을 제2 장치로 송신(또는 방사)할 수 있다. 이때, 제1 장치는 제1 시점(t1)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시점(t2)에서, 제2 장치는 측정 요청(Request)을 수신할 수 있고, 측정 요청(Request)에 대한 처리(processing)를 통해 측정 요청(Request)과 동일한 파형을 포함하는 측정 응답(Response)을 생성하여 제3 시점(t3)에 제1 장치로 송신(또는 방사)할 수 있다. 이때, 측정 응답(Response)은 제2 시점(t2)과 제3 시점(t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시점(t4)에서, 제1 장치는 제2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응답(Response)를 수신하고 측정 요청(Request)과 동일한 파형을 포함하는 측정 응답(Response)을 식별할 수 있다.
제1 장치는 측정 요청(Request)이 송신된 시점인 제1 시점(t1), 측정 응답(Response)이 수신된 시점인 제4 시점(t4)과 함께, 측정 요청(Request)에 포함된 제2 시점(t2)과 제3 시점(t3)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ToF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ToF = {(t4-t1)-(t3-t2)}/2
여기서, ToF는 제1 장치로부터 제2 장치로 측정 요청(Request)이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 또는 제2 장치로부터 제1 장치로 측정 응답(Response)이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기파인 측정 요청(Request) 또는 측정 응답(Response)이 속도가 광속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ToF와 광속의 곱은 제1 장치에 대한 제2 장치의 상대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치와 제2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내부 측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장치는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와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 장치는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와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도 5b에서 설명되는 내부 측위는 제1 장치와 제2 장치 간의 상대적인 각도를 산출하는 방법에 해당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장치는 AoA(Angle of Arrival) 방식을 이용해 제2 장치와의 상대적인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1 장치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측정 요청을 송신하고 측정 요청에 대한 측정 응답을 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ANT1)와 제2 안테나(AN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ANT1)와 제2 안테나(ANT2)가 송신하는 측정 요청들은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상이한 파형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안테나(ANT1)와 제2 안테나(ANT2)는 별도의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동일한 측정 요청에 대한 측정 응답을 각각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ANT1)는 ToF 방식을 통해 제2 장치와의 거리를 제1 거리(d1)로 계산할 수 있고, 제2 안테나(ANT2)는 ToF 방식을 통해 제2 장치와의 거리를 제2 거리(d2)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2 장치의 제1 안테나(ANT1)에 대한 상대적인 각도, 및 제2 안테나(ANT2)에 대한 상대적인 각도가 모두 상대 각도(θ)로 동일하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제1 안테나(ANT1)와 제2 안테나(ANT2)가 서로 안테나 간격(d)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고 할 때, 안테나 간격(d)을 빗변으로 하는 직각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d1-d2에 해당하고, 이는 dcosθ와 동일한 값을 가진다. 이러한 관계에 따라 상대 각도(θ)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즉, 제1 안테나(ANT1)와 제2 안테나(ANT2)가 위치한 제1 장치의 정면에 대한 제2 장치의 상대 각도(θ)는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 간의 차이와 미리 정해져 있는 안테나 간격(d)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근거리 통신 장치(310)와 제2 근거리 통신 장치(110) 각각은 서로 간의 UWB 통신을 통해 상대적인 거리 및 상대적인 각도를 획득할 수 있는 내부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대적인 거리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ToF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TWR(Two Way Ranging),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RSSI(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AoA를 통한 상대 각도(θ)를 간략히 추정할 수 있는 예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정밀하게 상대 각도(θ)를 추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이용될 수 있다.
UWB 통신은 넓은 대역폭에서 나노초 단위의 폭을 갖는 펄스 신호는 매우 높은 ToF 계산의 정확도(+/-10cm의 오차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좁은 대역폭에서 정현파를 이용하는 Wi-Fi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은 매우 낮은 ToF 계산의 정확도(+/-1~5m 정도의 오차 범위)를 가짐에 그친다.
이는 UWB 통신에 사용되는 펄스 신호는 특히 실내와 같은 다중 경로 환경에서 구별이 쉬워, 펄스 신호가 출발하고 도착하는 시간을 높은 수준의 확실성으로 식별하기에 더 용이하다. 반면, Wi-Fi 통신이나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해 거리를 결정할 때 필요한 변조된 정현파의 다중 경로 상의 구성요소를 분리하는 방법은 복잡하며, 식별의 정확도도 현저하게 낮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 및 상점 단말(300)에 의하면, 높은 정확도로 상대방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예컨대,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정보 관리부(210), 통신부(220), 분석부(230), 사용자 인증부(240), 및 결제 처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21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되는 상점 식별 정보, 결제 이력 정보, 사용자 생체 정보, 상점 체류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상점 단말(300)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요청은 대상 사용자(즉, 상점 단말(300)에 결제를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결제 요청일 수 있으며, 상점 단말(300)에 대응되는 상점의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상점에서 결제를 요청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상점 단말(30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결제 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상점 단말(300)에 전달할 수 있다.
분석부(23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은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정보 관리부(21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도시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점 식별 정보, 결제 이력 정보, 결제 등록 정보, 및 사용자 템플릿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점 식별 정보는 각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일 수 있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점명(예를 들어, 상점A, 상점B)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결제 이력 정보는 결제횟수, 결제장소, 결제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7의 상점 식별 정보는 사용자 위치 정보로 대체될 수도 있다.
분석부(23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타겟 집합(T1, T2)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예시적으로 2개의 타겟 집합(T1, T2)이 생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타겟 집합이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점이 상점A인 경우 분석부(230)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타겟 집합(T1)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30)는 사용자 정보 중 결제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집합(T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230)는 타겟 집합(T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결제 이력 정보에 포함된 결제 횟수가 기준값(예를 들어, 4) 이상인 사용자3 내지 사용자5를 추가적으로 식별하여, 세부 집합(D1)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3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결제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결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이력 정보는 방문시간, 결제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문시간은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한 시간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230)는 특정 사용자의 결제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상점A를 보통 언제 방문하고, 얼마나 오래 체류하며, 평균 결제 금액은 얼마인지 등을 포함하는 결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부(230)는 결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집합(T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230)는 대상 사용자가 상점A를 방문한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타겟 집합(T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결제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타겟 집합(T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하여 세부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점 식별 정보, 상점 체류 시간 정보, 결제 등록 정보, 및 사용자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230)는 타겟 집합(T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상점 체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집합(T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230)는 타겟 집합(T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중 상점 체류 시간이 기준 시간(예를 들어, 30분) 이상인 사용자4 및 사용자5를 추가적으로 식별하여, 세부 집합(D2)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점A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평균적인 체류 시간이 30분인 경우, 상점 체류 시간이 30분 이상인 사용자들은 상점 이용을 끝내고 결제를 요청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부(240)는 결제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예를 들어,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여 템플릿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예를 들어, 상점A)에 대응되는 대응 타겟 집합(T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증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대응되는 상점 식별 정보(예를 들어, 상점A)가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예를 들어, 상점A)와 일치하는 타겟 집합(T1)을 대응 타겟 집합으로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증부(240)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부(240)는 대상 사용자의 템플릿 정보와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들의 템플릿 정보를 우선적으로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240)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상점 단말(3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부(240)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전체가 아닌 선별된 일부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생체 정보)를 우선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 인증 처리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인증부(240)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전체가 아닌 확률적으로 결제 요청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일부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 인증의 정확도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부(240)는 세부 집합(D1 or D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인증부(240)는 타겟 집합(T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하여 세부 집합(D1 or D2)을 생성하고, 세부 집합(D1 or D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생체 정보 or 템플릿 정보)를 우선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 인증 처리 속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결제 처리부(250)는 상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요청은 대상 사용자에 대한 결제 요청일 수 있다. 결제 처리부(250)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기초로 대상 사용자에 대한 결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처리부(250)는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인 경우 결제 처리부(250)는 VAN 서버(600)에 결제 승인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승인 요청은 대상 사용자의 결제 등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250)는 VAN 서버(400)로부터 결제 승인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상점 단말(300)에 결제 완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완료 정보는 결제 금액, 결제 시간, 상점 정보, 이용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10), 사용자 생체 정보로부터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20), 상점 단말이 사용자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30), 상점 단말로부터 사용자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40), 사용자 생체 정보로부터 대상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50), 및 기준 템플릿 정보와 대상 템플릿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S310 단계 내지 S360 단계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310 단계에서, 결제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수집된 사용자 생체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사용자들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예를 들어,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여 각 사용자 별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템플릿 정보는 사용자 인증 시에 대비 대상이 되는 기준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가 각 사용자에 대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00)이 각 사용자에 대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예를 들어,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 대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 대한 기준 템플릿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고,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수신하여 각 사용자 별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상점 단말(300)은 상점에서 결제를 요청하는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기준 정보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등록하고, 결제 요청 시에는 상점 단말(300)에 생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340 단계에서, 상점 단말(300)은 수집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S35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대상 템플릿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36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기준 템플릿 정보와 대상 템플릿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기준 템플릿 정보들 중 대상 템플릿 정보와 일치하는 템플릿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10), 사용자 생체 정보로부터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20), 사용자 단말(100)이 상점 단말(300)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30),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40), 관리 서버(200)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S450), 상점 단말이 사용자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60), 상점 단말로부터 사용자 생체 정보 및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70), 사용자 생체 정보로부터 대상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80), 및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기준 템플릿 정보와 대상 템플릿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4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S410 단계 내지 S490 단계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410 단계에서, 결제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수집된 사용자 생체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사용자들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예를 들어,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여 각 사용자 별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템플릿 정보는 사용자 인증 시에 대비 대상이 되는 기준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가 각 사용자에 대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00)이 각 사용자에 대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예를 들어,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 대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 대한 기준 템플릿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고,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수신하여 각 사용자 별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상점 단말(300)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점을 방문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점 단말(300)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점 식별 정보는 UUID(Universal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상점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점마다 다른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S44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45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은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상점을 방문하고 있는 사용자들은 동일한 타겟 집합으로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S460 단계에서, 상점 단말(300)은 상점에서 결제를 요청하는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기준 정보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등록하고, 결제 요청 시에는 상점 단말(300)에 생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470 단계에서, 상점 단말(300)은 수집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상점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S48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대상 템플릿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49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상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기준 템플릿 정보와 대상 사용자의 대상 템플릿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490). 이를 위해, 관리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대응되는 상점 식별 정보가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타겟 집합을 대응 타겟 집합으로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기준 템플릿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대상 템플릿 정보와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200)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전체가 아닌 선별된 일부 사용자들(즉,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사용자)의 템플릿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 인증 처리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관리 서버(200)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전체가 아닌 확률적으로 결제 요청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일부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 인증의 정확도도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내부 측위 정보를 이용해 타겟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내부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세부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비록 도 11에서는 도 2a가 변형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나, 도 11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사상은 도 2b 내지 도 2h 중 어느 하나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변형되는 실시예에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결제 서비스에 가입하고, 사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결제 등록 정보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등의 제공에 대한 동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채 상점(S)을 방문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상점 단말(300)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사용자 단말(100)이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점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20).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S530).
관리 서버(200)는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점 단말(300)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내부 측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535). 내부 측위 정보의 요청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측위 정보는 상점 단말(300)이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결정한 상대적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대적인 위치는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점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내부 측위를 수행하여 내부 측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40). 일 실시예에 따라, 상점 단말(300)은 UWB 통신을 통해 ToF 및/또는 AoA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점 단말(300)은 요청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내부 측위를 수행하기 위해,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획득하는 동작 이전에 또는 도중에,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요청된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점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내부 측위를 수행한 결과인 내부 측위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545).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내부 측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집합에 포함된 사용자 중 소정의 결제 예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한 세부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546). 세부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동작은 관리 서버(200)의 분석부(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사각형 형태를 갖는 상점(S)이 예시되어 있고, 상점(S)의 내부에는 제1 내지 제6 테이블(TB1~TB6)이 배열되어 있으며, 제4 테이블(TB4)과 제5 테이블(TB5)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의 아래측에 상점 단말(300)이 위치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제3 테이블(TB3)에 착석하여 A 지점에 위치하였다가, 결제를 위해 B 지점으로 이동한 뒤, 상점 단말(300)을 마주보는 C 지점으로 이동하였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A 지점, B 지점 및 C 지점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때, 상점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내부 측위를 수행하여 내부 측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내부 측위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또는 관리 서버(200)의 요청에 정해진 바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2b에서는 A 지점, B 지점 및 C 지점 각각에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위치하는 시점에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내부 측위가 수행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A 지점에 위치할 때, 내부 측위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상점 단말(300)에 대한 상대 거리(a) 및 상대 각도(θ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B 지점에 위치할 때, 내부 측위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상점 단말(300)에 대한 상대 거리(b) 및 상대 각도(θ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C 지점에 위치할 때, 내부 측위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상점 단말(300)에 대한 상대 거리(c) 및 상대 각도(θ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 b 및 c 각각은 양수로서 a>b>c의 대소 관계를 가지며, θ1과 θ2는 θ1<θ2의 대소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내부 측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가 소정의 결제 예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세부 집합에 추가하여 세부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546). 결제 예정 조건은 상점(S) 내에서 사용자가 결제를 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하였는지 여부(즉, 결제 예정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조건으로서, 도 12b의 예시에서는 상대 거리가 임계 거리(Td) 미만이고 상대 각도가 임계 각도(Tθ)를 초과하는 조건일 수 있다. 임계 거리(Td)와 임계 각도(Tθ)는 상점(S)의 물리적인 구조, 상점 단말(300)의 위치, 종류, 사양 등으로 고려하여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결제 예정 조건이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 각각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제 예정 조건은 상대 거리 또는 상대 각도에 대한 조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결제 예정 조건을 구성하는 조건이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건임에 한정되지 않고, 상점 단말(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0)이 획득 가능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임의의 물리 정보에 대한 조건일 수 있다.
만일 내부 측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가 소정의 결제 예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세부 집합에 추가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내부 측위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세부 집합에 추가된 후 내부 측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가 소정의 결제 예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 경우, 관리 서버(200)는 세부 집합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제거하여 세부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S550 동작 내지 S610 동작의 경우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S140 동작 내지 S200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S57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S546 단계에서 업데이트된 세부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타겟 집합에 비해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관리 서버(200)는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하여 세부 집합을 생성하고, 세부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생체 정보 or 템플릿 정보)를 우선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 인증 처리 속도 및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내부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세부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비록 도 13에서는 도 2a가 변형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나, 도 13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사상은 도 2b 내지 도 2h 중 어느 하나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변형되는 실시예에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1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내부 측위 정보를 생성하는 주체가 상점 단말(300)이 아닌 사용자 단말(100)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100)로,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점 단말(300)에 대한 내부 측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537). 내부 측위 정보의 요청은 상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측위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이 상점 단말(300)에 대해 결정한 상대적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대적인 위치는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점 단말(300)에 대해 내부 측위를 수행하여 내부 측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42).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UWB 통신을 통해 ToF 및/또는 AoA를 이용하여 상점 단말(300)에 대한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요청된 상점 단말(300)에 대해 내부 측위를 수행하기 위해,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획득하는 동작 이전에 또는 도중에, 상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요청된 상점 단말(300)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점 단말(300)에 대해 내부 측위를 수행한 결과인 내부 측위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547).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내부 측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집합에 포함된 사용자 중 소정의 결제 예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한 세부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548). 도 11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상점 단말(300)이 아닌 사용자 단말(100)이 내부 측위 정보를 생성함에 따라, 앞서 설명된 결제 예정자를 판단하기 위한 결제 예정 조건이 세부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나, 관리 서버(2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세부 집합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S548 단계에서 업데이트된 세부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타겟 집합에 비해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관리 서버(200)는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하여 세부 집합을 생성하고, 세부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생체 정보 or 템플릿 정보)를 우선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으로 사용하므로 사용자 인증 처리 속도 및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과 비교하여 사용자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비록 도 14에서는 도 2a가 변형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나, 도 14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사상은 도 2b 내지 도 2h 중 어느 하나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변형되는 실시예에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결제 서비스에 가입하고, 사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 음성 정보, 결제 등록 정보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녹음되어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사용자 인증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등의 제공에 대한 동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20). 또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에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들의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점 식별 정보, 결제 이력 정보, 사용자 생체 정보, 사용자의 음성 정보, 상점 체류 시간 정보, 사용자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S730). 따라서, 동일한 상점을 방문하고 있는 사용자들은 동일한 타겟 집합으로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상점 단말(300)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760). 예를 들어, 결제 요청은 대상 사용자(즉, 상점 단말(300)에 결제를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결제 요청일 수 있으며, 상점 단말(300)에 대응하는 상점의 상점 식별 정보,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대상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점 단말(300)은 결제를 요청하는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40). 또한, 상점 단말(300)은 결제를 요청하는 대상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50). 예를 들어, 상점 단말(300)은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정보(ex. “OO페이로 결제 할게요”)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점 단말(300)과 별도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가 운영될 수 있다. 즉, 상점 단말(30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가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는 상점 단말(300)의 운영 주체와 다른 운영 주체에 의해 운영 및 관리됨으로써 사용자들의 개인정보인 음성 정보가 유출되거나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점 단말(300)은 수집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점 단말(300)은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전처리하거나 압축하여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200)는 결제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예를 들어, 특징점 정보)를 추출하여 템플릿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대상 사용자의 음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S770). 이를 위해, 관리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대응되는 상점 식별 정보가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타겟 집합을 대응 타겟 집합으로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우선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대상 사용자의 음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대상 사용자의 음성 정보와 비교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1차적으로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2차적으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증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S780 동작 내지 S810 동작은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S170 동작 내지 S200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결제 처리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관리 서버
210: 정보 관리부
220: 통신부
230: 분석부
240: 사용자 인증부
250: 결제 처리부
300: 상점 단말
400: VAN 서버

Claims (19)

  1.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 선정을 위해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UWB(ultra-wideband)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내부 측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내부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내부 측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에 포함된 사용자 중 소정의 결제 예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한 세부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측위 정보는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상대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예정 조건은 상기 상대 거리가 임계 거리 미만이고 상기 상대 각도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거리는 ToF(time of flight) 방식을 통해 획득되고,
    상기 상대 각도는 AoA(angle of arrival) 방식을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상기 상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우선적으로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대응 타겟 집합보다 우선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세부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우선적으로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와 상기 상점 식별 정보를 매칭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상기 상점 식별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변환된 상점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상점 단말에 대응하는 상점의 상점 식별 정보 및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 선정을 위해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분석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상기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증부; 및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를 기초로 상기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요청을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UWB(ultra-wideband)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내부 측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내부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내부 측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에 포함된 사용자 중 소정의 결제 예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를 추가적으로 식별한 세부 집합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측위 정보는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기 상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상대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예정 조건은 상기 상대 거리가 임계 거리 미만이고 상기 상대 각도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거리는 ToF(time of flight) 방식을 통해 획득되고,
    상기 상대 각도는 AoA(angle of arrival) 방식을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서버가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 선정을 위해 상기 상점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상점 단말에 대응하는 상점의 상점 식별 정보 및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 중에서 상기 결제 요청에 포함된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응 타겟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를 기초로 상기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UWB(ultra-wideband)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결제 처리 방법.
  18.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각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각 사용자 별로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상기 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저장하는 단계;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 선정을 위해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상점 단말에 대응하는 상점의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점 단말로부터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대상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 각각의 기준 템플릿 정보와 상기 대상 템플릿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UWB(ultra-wideband)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
  19.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각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각 사용자 별로 생성되는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준 템플릿 정보를 상기 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저장하는 단계;
    상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교 대상 선정을 위해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겟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상점 단말에 대응하는 상점의 상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점 단말로부터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대상 템플릿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 각각의 기준 템플릿 정보와 상기 대상 템플릿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UWB(ultra-wideband)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0220038066A 2022-03-28 2022-03-28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20230139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066A KR20230139572A (ko) 2022-03-28 2022-03-28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0230154063A KR20230158450A (ko) 2022-03-28 2023-11-09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066A KR20230139572A (ko) 2022-03-28 2022-03-28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4063A Division KR20230158450A (ko) 2022-03-28 2023-11-09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572A true KR20230139572A (ko) 2023-10-05

Family

ID=882939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066A KR20230139572A (ko) 2022-03-28 2022-03-28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0230154063A KR20230158450A (ko) 2022-03-28 2023-11-09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4063A KR20230158450A (ko) 2022-03-28 2023-11-09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3957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450A (ko) 202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7475B2 (en) Hybrid multi-camera based positioning
CN109076076A (zh) 双因素认证
US94204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rogue device
CN102667762B (zh) 用于文件共享功能性的装置移动用户接口示意动作
US20180302414A1 (en) Wireless authentication based on location data
KR102570787B1 (ko) Nfc 태그 인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nfc 태그 인식 시스템
RU2666789C2 (ru) Обнаружение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й близости
US105731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device localization-based access
EP301446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visit location detection
US202103042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8206355A (ja) 取引を促進するためのモバイルデバイス及びリーダ
KR102228653B1 (ko) 강화된 인증을 포함하는 태그 식별 시스템
Papapostolou et al. Scene analysis indoor positioning enhancements
Bai Development of a WiFi and RFID based indoor location and mobility tracking system
JPWO2020208745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端末、ユーザ端末、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92862B1 (en) Providing enhanced security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devices
KR101994841B1 (ko) 위치기반 복지 포인트 가맹점에 대한 정보 제공과 복지 포인트 결제를 위한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230139572A (ko)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
De Schepper et al. Dynamic BLE-based fingerprinting for location-aware smart homes
CN108235228B (zh) 一种安全校验方法和装置
KR20190100786A (ko) 결제 정보에 기반한 지오펜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Tian et al. SAPIL: single access point based indoor localisation using Wi‐Fi L‐shaped antenna array
KR101418523B1 (ko) 위치기반 코드이미지 표시 방법
KR102472157B1 (ko) 서버 및 그것의 결제 처리 방법, 서버의 사용자 인증 방법
US20240163676A1 (en) Pairing A Payment Object Reader With A Point-Of-Sa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