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548A - Air purifying apparatus mounted on vehicle - Google Patents

Air purifying apparatus mounted o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548A
KR20230139548A KR1020220038027A KR20220038027A KR20230139548A KR 20230139548 A KR20230139548 A KR 20230139548A KR 1020220038027 A KR1020220038027 A KR 1020220038027A KR 20220038027 A KR20220038027 A KR 20220038027A KR 20230139548 A KR20230139548 A KR 20230139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mode
sterilizer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승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548A/en
Publication of KR20230139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548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75Photocatalytic filters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른 자동 모드를 제공하는 공기살균기; 및 상기 자동 모드가 제공될 경우,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에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n air sterilizer that provides an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nd when the automatic mode is provided, it may include an air vent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outdoor air mode or indoor air mode depending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AIR PURIFYING APPARATUS MOUNTED ON VEHICLE}Air purifying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IR PURIFYING APPARATUS MOUNTED ON VEHICL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벤트, 차량의 공기 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칵핏 공기살균기 작동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n air sterilizer mounted on a vehicle, an air vent mounted on a vehicle, and a method of purifying air in a vehicle, and specifically relates to a cockpit air sterilizer operation scenario.

차량은 사람들이 빈번히 이용하고 있는 교통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COVID-19 유행과 공유 차량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사람들의 위생 개선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Vehicles are frequently used by people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with the COVID-19 pandemic and increasing interest in shared vehicles, people's interest in improving hygiene is increasing.

그에 따라, 공중의 위생을 위하여 정기적으로 차량의 내부 공기를 정화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regularly purify the air inside the vehicle for public hygiene.

따라서, 차량 내부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차량 실내의 살균수단 등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vehicle interior, a simple and efficient means of sterilizing the vehicle interior is needed.

그러나, 차량 실내를 소독하는 소독장치는 간단한 분사장치에 통해 간이적으로 차량을 소독하는 장치들이 대부분이다.However, most disinfection devices that disinfect the vehicle interior are devices that simply disinfect the vehicle using a simple spray device.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별다른 큰 성과는 없는 실정이다.Research on thi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no significant results have been achieved.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른 자동 모드를 제공하는 공기살균기; 및 상기 자동 모드가 제공될 경우,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에어벤트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살균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 커버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n air sterilizer that provides an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nd when the automatic mode is provided, it includes an air vent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o an outside air mode or an inside air mode depending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air sterilizer is disposed under a speaker cover mounted on the vehicle. It can b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자동 모드가 제공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that sets the outside air mode or inside air mode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when the automatic mode is provided.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상기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에어벤트를 외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et the air vent to an outside air mode whe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exceeds a preset threshold.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상기 임계치보다 미만일 경우, 상기 에어벤트를 내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et the air vent to an air vent mode whe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의 특정 기체에 대한 변화를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hange the air vent to an outside air mode or an inside air mode based on a change i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for a specific gas.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의 특정 기체에 대한 오염도를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the airflow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a specific gas i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기살균기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et the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state of the air sterilize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기살균기가 켜진 상태인 경우, 상기 에어벤트를 내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et the air vent to an air vent mode when the air sterilizer is turned on.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기살균기가 꺼진 상태인 경우, 상기 에어벤트를 외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et the air vent to an outside air mode when the air sterilizer is turned off.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공기살균기에 대한 정보, 상기 에어벤트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that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air sterilizer, information about the air vent, or information about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공기질에 따른 자동 모드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된 공기질에 대한 정보는 에어벤트에 전달되고, 상기 에어벤트는, 상기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An air sterilizer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n air quality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that provides an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quality, wherein information on the measured air quality is transmitted to the air vent, and the air vent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outdoor mode or indoor mode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quality. can be converted.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는,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모드 설정의 선택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설정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상기 공기살균기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ir sterilizer mounted on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user setting input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ion of mode settings by the user of the vehicle,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lect an automatic mode setting by an occupant of the vehicle. When is selected, at least part of the air sterilizer can be controlled to sterilize incoming air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quality.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는,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모드 설정의 선택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설정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설정 출력부가 자동 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표시, 또는 공기 살균의 종료를 알리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ir sterilizer mounted on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user setting output unit that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ion of mode settings by the user of the vehicle,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lect an automatic mode setting by an occupant of the vehicle. When is selected, depending on the measured air quality, the user setting output unit can be controlled to output a display indicating that the automatic mode has been selected or a display indicating the end of air sterilization.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는, 흡기구; 및 배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기구 또는 상기 배기구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 또는 상기 스피커의 커버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An air sterilizer mounted on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wherein the intake port or the exhaust port may be disposed close to a speaker mounted on the vehicle or a cover of the speake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는, 상기 흡기구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 블로우 팬(Blow Fan); 및 광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블로우 팬 또는 상기 광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An air sterilizer mounted on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filter through which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or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passes; Blow Fan; and an optical output unit, wherein the blow fan or the optical output un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nd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quality.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어벤트는, 상기 블로우 팬 또는 상기 광 출력부가 작동하면, 내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The air v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switched to an air vent mode when the blow fan or the light output unit operates.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벤트는, 공기살균기에서 제공되는 자동 모드에 따른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공기질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수신된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에 따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 vent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n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an automatic mode provided by an air sterilizer; and a control unit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o an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accor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질 정보 관리부는, 상기 공기살균기에서 자동 모드가 제공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The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when an automatic mode is provided by the air sterilize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side air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You can set the mode or bet mod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상기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에어벤트를 외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et the air vent to an outside air mode whe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exceeds a preset threshold.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상기 임계치보다 미만일 경우, 상기 에어벤트를 내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et the air vent to an air vent mode whe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 정화 방법은,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라 공기살균기의 자동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모드가 제공될 경우,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라 에어벤트에 대해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purifying air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providing an automatic mode of an air sterilizer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nd when the automatic mode is provided, it may include automatically switching the air vent to an outdoor air mode or indoor air mode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 모드가 제공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In the automatic switching ste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automatic mode is provided, the outdoor air mode or internal air mode of the air vent can be set based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상기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에어벤트를 외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The automatic switching ste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et the air vent to an outside air mode whe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exceeds a preset threshold.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상기 임계치보다 미만일 경우, 상기 에어벤트를 내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automatic switching ste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the air vent may be set to the ventilation mod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의 특정 기체에 대한 변화를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The automatic switching ste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hange the air vent to an outside air mode or an inside air mode based on a change i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for a specific gas.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의 특정 기체에 대한 오염도를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The automatic switching ste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the airflow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a specific gas i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살균기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The automatic switching ste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et the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state of the air sterilize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살균기가 켜진 상태인 경우, 상기 에어벤트를 내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automatic switching ste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air sterilizer is turned on, the air vent may be set to the ventilation mod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공기 정화 방법은, 상기 공기살균기에 대한 정보, 상기 에어벤트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urifying air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air sterilizer, information about the air vent, or information about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살균기 및 에어벤트에 대한 동작 또는 모드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벤트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의 공기 정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air sterilizer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screen of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is a screen of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6 is a screen of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s a screen of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r mode of the air sterilizer and air v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9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sterilizer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vent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urifying air in a vehicle, which is performed by an air purifying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optionally us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used by combining and replac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the meaning of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by considering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B and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can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lso is connected to that component. It can also include cases where other components ar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m.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above” or “below” each component, “above” or “below” refers not only to cases wher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o one This also includes cases where another component described above is formed or plac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top (above) or bottom (bottom)”, it can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살균기(110), 에어벤트(120), 제어기(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 요소, 또는 공기살균기(110), 에어벤트(120), 제어기(130) 각각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일반적인 공기살균기, 에어벤트, 제어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 프로세서, 데이터송수신기, 회로, 반도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include an air sterilizer 110, an air vent 120, a controller 130, etc.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or each of the air sterilizer 110, air vent 120, and controller 130,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a general air sterilizer, air vent, and controller. It can include at least some of memory, processor, data transceiver, circuit, and semiconductor.

공기살균기(110)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른 자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살균기(110)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 커버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sterilizer 110 may provide an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sterilizer 110 may be disposed under a speaker cover mounted on the vehicle.

에어벤트(120)는, 자동 모드가 제공될 경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When the automatic mode is provided, the air vent 120 can automatically switch to the outdoor air mode or indoor air mode depending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제어기(130)는, 자동 모드가 제공되면,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기초로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automatic mode is provided, the controller 130 can set the outdoor air mode or indoor air mode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130)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에어벤트(120)를 외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set the air vent 120 to the outside air mode whe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exceeds a preset threshold.

차량 내부의 공기질은 지정된 기체들에 대한 측량값의 적어도 일부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으며, 임계치는 각 기체마다 다를 수 있다.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a portion of measurement values for designated gases, and the threshold may be different for each gas.

제어기(130)는 지정된 각 기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체가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또는 임계치와 같을 경우, 에어벤트(120)를 외기 모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set the air vent 120 to an external air mode when at least one of the designated gases exceeds or is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130)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임계치보다 미만일 경우, 에어벤트(120)를 내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내기 모드는 차량 내 공기가 차량 내부에서만 순환되는 모드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set the air vent 120 to the ventilation mode whe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The ven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air inside the vehicle circulates only inside the vehicle.

제어기(130)는 지정된 각 기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체가 임계치보다 미만이거나 또는 임계치와 같을 경우, 에어벤트(120)를 외기 모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set the air vent 120 to an ambient air mode when at least one of the designated gas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130)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의 특정 기체에 대한 변화를 기초로, 에어벤트(120)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외기 모드는 차량 내 공기가 차량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또는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모드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the air vent 120 to the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based on changes i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for a specific gas. The outdoor air mode is a mode in which the air inside the vehicle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or is discharg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130)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의 특정 기체에 대한 오염도를 기초로, 에어벤트(120)의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airflow of the air vent 120 based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a specific gas i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130)는, 공기살균기(110)의 상태를 기초로, 에어벤트(120)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set the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of the air vent 120 based on the state of the air sterilizer 110.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130)는, 공기살균기(110)가 켜진 상태인 경우, 에어벤트(120)를 내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set the air vent 120 to the ventilation mode when the air sterilizer 110 is turned 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130)는, 공기살균기(110)가 꺼진 상태인 경우, 에어벤트(120)를 외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set the air vent 120 to an outside air mode when the air sterilizer 110 is turned off.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살균기(110)에 대한 정보, 에어벤트(120)에 대한 정보, 또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includes an output unit (not shown) that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air sterilizer 110, information about the air vent 120, or informatio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t may further include.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display.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air sterilizer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의 (a)를 참조하면, 공기살균기는, 상부 몸체(UPR BODY)(210), 필터 커버(filter cover)(220), 필터(230), PCB(240), 하부 몸체(LWR BODY)(250), UV LED(260), 블로우 팬(270), 필터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2, the air sterilizer includes an upper body (UPR BODY) 210, a filter cover 220, a filter 230, a PCB 240, and a lower body (LWR BODY). (250), UV LED (260), blow fan (270), and filter holder may be included.

도 2의 (b)를 참조하면, UV의 조사를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b), UV irradiation can be seen.

공기살균기의 하우징은 상부(UPR), 하부(LWR) 하우징 구성으로 상/하 조립이 될 수 있다.The housing of the air sterilizer can be assembled top/bottom with an upper (UPR) and lower (LWR) housing configuration.

블로우 팬(270)은 흡/배기 구현을 위한 장치로서 3개(3 EA) 정도 사용할 수 있다(충분한 풍량 확보 필요).The blow fan 270 is a device for implementing intake/exhaust and can be used in up to three units (3 EA) (sufficient wind volume must be secured).

필터(230)는 모재 세라믹 실리카(SiO2) + 촉매제(TiO2) 코팅이 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lter 230 may be coated with base ceramic silica (SiO2) + catalyst (TiO2).

UV LED(260)는 UVA, UVC LED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살균 성능에 따른 사양 선정 필요).UV LED (260) can be used including UVA and UVC LED (specification must be selected according to sterilization performance).

PCB(240)는 메탈(METAL) PCB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로 인한 PCB 손상 방지를 위해 메탈 재질이 사용 될 수 있으며, PCB에 LED가 적용될 수 있다.The PCB 240 may include a metal PCB. Metal materials can be used to prevent damage to the PCB due to heat generation, and LEDs can be applied to the PCB.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의 (a)를 참조하면, 공기 정화 장치는, 스피커 커버(310), 에어벤트 커넥션 덕트(320), 및 살균 장치로서 공기살균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3,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ay include a speaker cover 310, an air vent connection duct 320, and an air sterilizer 330 as a sterilization device.

도 3의 (b)를 참조하면, 공기 정화 장치는, 배기구와 흡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3,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ay include an exhaust port and an intake port.

도 3의 (c)를 참조하면, 공기 정화 장치 또는 공기 정화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스피커를 포함하거나, 또는 스피커와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3, the air purifying device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purifying device may include a speaker or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speaker.

차량에 공기살균기(330)가 배치되어 적용될 수 있다. 기존 공조 유로와는 별개의 유로가 구성될 수 있다.The air sterilizer 330 may be placed and applied to the vehicle. A separate flow path may be formed from the existing air conditioning flow path.

크래시패드 상단부 스피커 커버 아래 공기살균기(330)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스피커 커버의 홀을 통해 흡/배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기적용된 스피커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82 파이(φ), 66φ와 같이 원지름 82 mm 또는 66 mm 크기의 스피커 등에 공기살균기를 적용 가능). 공기살균기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공기살균기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 커버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sterilizer 330 may be placed under the speaker cover at the top of the crash pad. This allows an intake/exhaust flow path to be formed through the hole in the speaker cover,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used speakers (air sterilizers for speakers with a circular diameter of 82 mm or 66 mm, such as 82 phi (ϕ) or 66 ϕ). applicable).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sterilizer may be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peaker mounted on the vehicle.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sterilizer may be disposed under a speaker cover mounted on the vehicle.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이다.Figure 4 is a screen of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거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칵핏 내 AVN(Audio, Video, Navigation)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 purifying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include a display or may be connected to a display mounted on the vehicle. The display may include at least part of AVN (Audio, Video, Navigation) in the cockpit.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공기질 모니터링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측정한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Air purification devices installed in vehicles can apply an air quality monitoring function using a display. Air purification devices installed in vehicles can output information about measured air quality through a display.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ON, OFF, AUTO 모드에 따라 상이한 버튼을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할 경우, 모드가 수행될 수도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provides different buttons for ON, OFF, and AUTO modes and can output them through the display. When the user selects a button, the mode may be performed.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각각의 ON 모드, OFF 모드, AUTO 모드의 버튼에 대해 켜짐과 꺼짐을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켜짐과 꺼짐은 레드, 블루와 같은 색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화이트 또는 블랙과 같은 명암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on and off for each ON mode, OFF mode, and AUTO mode button. On and off can be distinguished by colors such as red and blue, and can also be distinguished by contrast such as white or black.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살균기 작동시 내기 공조 모드와 같이 에어벤트를 내기 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에어벤트의 내기 모드를 해당되는 버튼의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켜짐과 꺼짐이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 색상이 버튼 상에 표시될 경우, 켜짐으로 간주되고, 블루 색상이 표시되지 않거나 화이트 색상이 버튼 상에 표시될 경우, 꺼짐으로 간주될 수 있다. 살균성능 극대화를 위해 외부 공기 차단 필요하므로,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내기 모드를 통해 차량 내부의 공기 또는 공기살균기를 통과한 공기가 내부에서만 순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to automatically switch the air vent to ventilation mode, such as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mode, when the air sterilizer is operating. 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display the air vent mode in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button, and can display it to distinguish between on and off. For example, if a blue color is displayed on the button, it may be considered on, and if the blue color is not displayed or a white color is displayed on the button, it may be considered off. Since it is necessary to block external air to maximize sterilization performance, 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be set in the ventilation mode so that the air inside the vehicle or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ir sterilizer circulates only inside the vehicle.

표 1을 참조하면 공기질 측정 기준을 알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질 또는 공기 중 해당 대상의 오염수준에 따라 해당되는 기체 또는 대상에 대하여 녹색, 청색, 황색, 적색으로 상이한 색상을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해당되는 기체 또는 측정 대상은 미세먼지/초미세먼지(PM2.5), 이산화탄소(CO2), 포름알데히드(HCHO),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 to Table 1 to see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tandards. 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different colors such as green, blue, yellow, and red for the corresponding gas or object depending on the air quality or the pollution level of the target in the air. Measurement targets may include fine dust/ultrafine dust (PM2.5), carbon dioxide (CO2), formaldehyde (HCHO), and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미세먼지/초미세먼지(PM2.5), 이산화탄소(CO2), 포름알데히드(HCHO),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각각에 대하여 녹색, 청색, 황색, 적색으로 상이한 색상을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초미세먼지(PM2.5), 이산화탄소(CO2), 포름알데히드(HCHO),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각각에 대한 정보는 서로 평행하거나 또는 병렬로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is colored in green, blue, yellow, and red for fine dust/ultrafine dust (PM2.5), carbon dioxide (CO2), formaldehyde (HCHO), and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Colors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information on fine dust/ultrafine dust (PM2.5), carbon dioxide (CO2), formaldehyde (HCHO), and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are either parallel to each other or They can be plac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in parallel.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는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와 연결되어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부터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는 공기 중 측정 대상 또는 해당되는 기체를 센싱하거나 또는 그 대상의 양/비중/시간 당 정도를 센싱할 수 있다.An air purification device may be equipped with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ir quality, or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ir quality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air quality from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ir quality. A sensor that can measure air quality can sense the measurement object or corresponding gas in the air, or sense the amount/specific gravity/degree per hour of the object.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이다.Figure 5 is a screen of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수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ON/OFF 버튼을 조작하여 항균 공조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하도록 할 수 있다. 버튼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provide a manual mode. 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allows the user to activate/deactivate the antibacterial air conditioning function by operating the ON/OFF button through the display. The button may be outpu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도 5의 (a)를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항균공조 기능 비활성화 시(수동 모드가 꺼질(OFF) 경우/공기살균기가 꺼질 경우) 외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5,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can switch to the outdoor air mode when the antibacterial air conditioning function is deactivated (when the manual mode is turned off / when the air sterilizer is turned off).

도 5의 (b)를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수동 모드가 켜질(ON) 경우(공기살균기가 켜질 경우), 외부 유해물질 차단을 위해 내기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5, when the manual mode is turned on (when the air sterilizer is turned on),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can automatically switch to the ventilation mode to block external harmful substances.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항균 공조 기능을 사용하거나 또는 내기 모드 적용 시 이산화탄소 수치가 매우 오염 상태로 변할 경우, 탑승자 또는 사용자에게 외기 모드로의 변환을 알리는 기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may provide a function through the display to notify the occupants or the user of the change to the outdoor air mode when the carbon dioxide level changes to a very polluted state when using the antibacterial air conditioning function or when applying the indoor air mode.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이다.Figure 6 is a screen of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자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자동(AUTO) 모드 버튼 조작할 경우, 공기질 상황에 맞춰 공기살균기가 자동으로 ON/OFF 전환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provide an automatic mode. 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provide a function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he air sterilizer on/off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situa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AUTO mode button through the display.

도 6의 (a)를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질이 오염 상태일 때 공기살균기를 켜지도록(ON) 할 수 있으며, UV 광촉매의 공기살균기가 살균 가능한 범위인 HCHO와 TVOC 치수가 약간 오염이거나, 또는 심한 오염 상태일 때 켜지도록(ON) 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a) of FIG. 6,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can turn on the air sterilizer when the air quality is polluted, and can sterilize HCHO and TVOC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UV photocatalyst air sterilizer can sterilize. You can also turn it on when the pulp is slightly contaminated or heavily contaminated.

도 6의 (b)를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 공기 오염이 해소되었을 때 공기살균기를 꺼지도록(OFF) 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b) of FIG. 6,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may turn the air sterilizer off (OFF) when air pollution in the vehicle is eliminated.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이다.Figure 7 is a screen of a display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자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내기 모드 또는 외기 모드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provide an automatic mode.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can display the status of indoor mode or outdoor mode through a display.

도 7의 (a)를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 수치가 매우 오염 상태일 때, 에어벤트의 내기 모드를 꺼진 상태(OFF)로 전환할 수 있다(외기 모드 켜진 상태로 전환).Referring to (a) of FIG. 7,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can switch the ventilation mode of the air vent to OFF when the carbon dioxide level in the air in the vehicle is very polluted (outside air) mode on).

도 7의 (b)를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 수치가 우수/매우우수 상태가 된 후 에어벤트의 내기 모드를 켜진 상태(ON)로 전환 할 수 있다(외기 모드 꺼진 상태로 전환).Referring to (b) of FIG. 7, 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switch the ventilation mode of the air vent to ON after the carbon dioxide level in the air in the vehicle becomes excellent/excellent. (Switch to external air mode off).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살균기가 꺼진 상태(OFF)에서 차량 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매우 오염 상태로 되기 전까지는 에어벤트의 내기 모드(의 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maintain the air vent ventilation mode (on) until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ir in the vehicle becomes very polluted when the air sterilizer is turned off (OFF).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살균기 및 에어벤트에 대한 동작 또는 모드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r mode of the air sterilizer and air v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살균기 또는 에어벤트에 대한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provide a manual mode or automatic mode for an air sterilizer or air vent.

도 8의 (a)를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살균기 또는 에어벤트에 대하여 수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8,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provide a manual mode for an air sterilizer or air vent.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살균 성능 극대화를 위해 공기살균기의 작동 시 에어벤트를 내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switch the air vent mode when the air sterilizer is in operation to maximize sterilization performance.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내기 모드 적용 시 차량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대될 경우 오염도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display the pollution level on a display or notify the user through a speaker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vehicle increases when the ventilation mode is applied.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심한 이산화탄소 오염 발견 시 알림 표시 기능을 적용하여, 알림 확인 후 사용자 편의에 따라 에어벤트의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applies a notification display function when severe carbon dioxide pollution is detected, and after checking the notification, the air vent mod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도 8의 (b)를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살균기 또는 에어벤트에 대하여 자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8,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may provide an automatic mode for the air sterilizer or air vent.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 이산화 탄소 농도에 따라 공기살균기의 작동을 켤 수도 있고, 또는 끌 수도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 이산화 탄소 농도가 약간 오염/심한 오염일 경우, 공기살균기를 작동시킬 수 있고, 차량 내 이산화 탄소 농도가 우수/매우 우수일 경우, 공기살균기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 이산화 탄소 농도가 약간 오염/심한 오염일 경우, 공기살균기를 작동시킨 이후에, 차량 내 이산화 탄소 농도가 우수/매우 우수일 경우, 공기살균기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turn the air sterilizer on or off depending 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vehicle. 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operate the air sterilizer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vehicle is slightly/severely polluted, and stops the air sterilizer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vehicle is excellent/very good. You can do it. In addition, 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operates the air sterilizer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vehicle is slightly/severely polluted, and then operates the air sterilizer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vehicle is excellent/very good. can also be stopped.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 이산화 탄소 농도 증대 시 자동으로 에어벤트를 외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automatically switch the air vent to outside air mode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vehicle increases.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저하된 후 다시 에어벤트를 내기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switch the air vent back to ventilation mode afte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vehicle decreases.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의 블록도이다.Figure 9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sterilizer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900)는, 공기질 측정부(910), 제어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900)는, 상술한 공기살균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sterilizer 900 mounted on a vehicle may include an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910 and a control unit 920. The air sterilizer 900 mounted on the vehicle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above-described air sterilizer or perform an operation.

공기질 측정부(910)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The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910 can measure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제어부(920)는, 측정된 공기질에 따른 자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920 may provide an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quality.

측정된 공기질에 대한 정보는 에어벤트에 전달될 수 있다. 에어벤트는,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measured air quality can be transmitted to the air vent. The air vent can automatically switch to outdoor mode or indoor air mode depending on the measured air quality.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900)는,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모드 설정의 선택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설정 입력부(미도시)를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입력부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입력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모든 수단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입력부는 디스플레이, 마이크 등 차량 내 장착되는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sterilizer 900 mounted on a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user setting input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ion of mode settings by the vehicle user. The user setting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The user setting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all means provided as a user interface. The user setting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vehicle, such as a display and microphone.

제어부(920)는, 차량의 탑승자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될 경우,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공기살균기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by the occupant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920 may control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sterilizer to perform an operation of sterilizing incoming air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quality.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900)는,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모드 설정의 선택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설정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출력부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출력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 차량 내 장착되는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sterilizer 900 mounted on a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user setting output unit (not shown) that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ion of mode settings by the vehicle user. The user setting out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The user setting out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means used as a user interface. The user setting out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vehicle, such as a display and a speaker.

제어부(920)는, 차량의 탑승자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될 경우,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사용자 설정 출력부가 자동 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표시, 또는 공기 살균의 종료를 알리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by the occupant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920 can control the user-set output unit to output a display indicating that the automatic mode has been selected or a display indicating the end of air sterilization, depending on the measured air quality. there is.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900)는, 흡기구(미도시), 및 배기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sterilizer 900 mounted on a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n intake port (not shown) and an exhaust port (not shown).

흡기구 또는 배기구는,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 또는 스피커의 커버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intake or exhaust port may be disposed close to a speaker mounted in the vehicle or a cover of the speaker.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900)는, 흡기구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미도시), 블로우 팬(Blow Fan)(미도시), 및 광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sterilizer 900 mounted on a vehicle includes a filter (not shown), a blow fan (not shown), and light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o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passes.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not shown).

블로우 팬 또는 광 출력부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The blow fan or light output unit is controlled by a controller and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quality.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벤트는, 블로우 팬 또는 광 출력부가 작동하면, 내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vent may be switched to the ventilation mode when the blow fan or the light output unit operates.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벤트의 블록도이다.Figure 10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vent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벤트(1000)는, 공기질 정보 관리부(1010), 제어부(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벤트(1000)는 상술한 에어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vent 1000 mounted on a vehicle may include an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10 and a control unit 1020. The air vent 1000 mounted on the vehicle may include at least part of the above-described air vent or perform an operation.

공기질 정보 관리부(1010)는, 공기살균기에서 제공되는 자동 모드에 따른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1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automatic mode provided by the air sterilizer.

제어부(1020)는, 수신된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에 따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20 can automatically switch to the outdoor air mode or indoor air mode accor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질 정보 관리부(1010)는, 공기살균기에서 자동 모드가 제공되면,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1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when an automatic mode is provided by the air sterilizer.

제어부(1020)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기초로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20 can set the outdoor air mode or internal air mode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20)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에어벤트를 외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020 may set the air vent to the outside air mode whe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exceeds a preset threshold.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20)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임계치보다 미만일 경우, 에어벤트를 내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020 may set the air vent to the ventilation mode whe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의 공기 정화 방법의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urifying air in a vehicle, which is performed by an air purifying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의 공기 정화 방법의 각 단계는, 상술한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 요소는 상술한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each step of the vehicle air purifying method may be performed by components of the air purifying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described above. Components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단계(1101)에서,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라 공기살균기의 자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1101,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may provide an automatic mode of th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단계(1102)에서,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자동 모드가 제공될 경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라 에어벤트에 대해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In step 1102, if an automatic mode is provided,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air vent to the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자동 모드가 제공되면,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기초로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n automatic mode is provided,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set the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에어벤트를 외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may set the air vent to the outside air mode whe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exceeds a preset threshold.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임계치보다 미만일 경우, 에어벤트를 내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may set the air vent to the ventilation mode whe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의 특정 기체에 대한 변화를 기초로, 에어벤트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change the air vent to an outside air mode or an inside air mode based on a change in a specific gas i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의 특정 기체에 대한 오염도를 기초로, 에어벤트의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control the airflow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a specific gas i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살균기의 상태를 기초로,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set the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state of the air sterilizer.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살균기가 켜진 상태인 경우, 에어벤트를 내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may set the air vent to the ventilation mode when the air sterilizer is turned 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살균기에 대한 정보, 에어벤트에 대한 정보, 또는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an air sterilizer, information about an air vent, or informatio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refers to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nd the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Additionally,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Claims (20)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른 자동 모드를 제공하는 공기살균기; 및
상기 자동 모드가 제공될 경우,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에어벤트
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살균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 커버 아래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 장치.
In an ai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n air sterilizer that provides an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nd
When the automatic mode is provided, an air vent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o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depending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ncluding,
An air purifying devic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sterilizer is disposed under a speaker cover mounted on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모드가 제공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기
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automatic mode is provided, a controller that sets the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n air purif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의 특정 기체에 대한 오염도를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기류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ntroller is,
An air purification device that controls the airflow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a specific gas i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기살균기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ntroller is,
An air purification device that sets the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state of the air steriliz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기살균기가 켜진 상태인 경우, 상기 에어벤트를 내기 모드로 설정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ntroller is,
An air purification device that sets the air vent to venting mode when the air sterilizer is turned 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기살균기가 꺼진 상태인 경우, 상기 에어벤트를 외기 모드로 설정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ntroller is,
An air purification device that sets the air vent to outside air mode when the air sterilizer is turned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살균기에 대한 정보, 상기 에어벤트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output unit that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air sterilizer, information about the air vent, or informatio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n air purif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살균기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공기질에 따른 자동 모드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된 공기질에 대한 정보는 에어벤트에 전달되고,
상기 에어벤트는, 상기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며,
상기 공기살균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공기살균기.
In an air sterilizer mounted on a vehicle,
An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nd
Control unit providing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quality
Inclu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air quality is transmitted to the air vent,
The air vent automatically switches to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depending on the measured air quality,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sterilizer is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a speaker mounted on the vehi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모드 설정의 선택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설정 입력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상기 공기살균기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살균기.
According to clause 8,
A user setting input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ion of mode settings by the user of the vehicle
Including more,
The control unit,
An air sterilizer that controls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sterilizer to perform an operation of sterilizing incoming air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quality when an automatic mode is selected by an occupant of the vehic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모드 설정의 선택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설정 출력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설정 출력부가 자동 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표시, 또는 공기 살균의 종료를 알리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살균기.
According to clause 9,
A user setting output unit that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ion of mode settings by the user of the vehicle
Including more,
The control unit,
An air sterilizer that controls the user-set output unit to output a display indicating that the automatic mode has been selected or a display indicating the end of air sterilization, depending on the measured air quality, when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by the occupant of the vehicle.
제8항에 있어서,
흡기구; 및
배기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기구 또는 상기 배기구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 또는 상기 스피커의 커버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공기살균기.
According to clause 8,
intake port; and
exhaust
Including more,
The intake port or the exhaust port,
An air sterilizer disposed close to a speaker mounted on the vehicle or a cover of the speak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
블로우 팬(Blow Fan); 및
광 출력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블로우 팬 또는 상기 광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측정된 공기질에 따라 동작하는 공기살균기.
According to clause 11,
a filter through which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or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passes;
Blow Fan; and
optical output
Including more,
The blow fan or the optical output unit,
An air sterilizer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operating according to the measured air qualit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는,
상기 블로우 팬 또는 상기 광 출력부가 작동하면, 내기 모드로 전환되는 공기살균기.
According to clause 12,
The air vent is,
An air sterilizer that switches to the ventilation mode when the blow fan or the light output unit operates.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벤트에 있어서,
공기살균기에서 제공되는 자동 모드에 따른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공기질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수신된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에 따라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살균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에어벤트.
In the air vent mounted on a vehicle,
An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automatic mode provided by the air sterilizer; and
A control unit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o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accor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sterilizer is an air vent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a speaker mounted on the vehic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정보 관리부는,
상기 공기살균기에서 자동 모드가 제공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하는 에어벤트.
According to clause 14,
The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When an automatic mode is provided by the air sterilizer, informatio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An air vent that sets the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차량의 공기 정화 방법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라 공기살균기의 자동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모드가 제공될 경우,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따라 에어벤트에 대해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살균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공기 정화 방법.
In a method of purifying air in a vehicle,
Providing an automatic mode of the air sterilizer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nd
When the automatic mode is provided, automatically switching the air vent to the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Including,
An air purifying method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sterilizer is disposed close to at least a portion of a speaker mounted on the vehicl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 모드가 제공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하는 공기 정화 방법.
According to clause 16,
The automatic conversion step is,
When the automatic mode is provided, an air purification method for setting the outdoor air mode or indoor air mode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의 특정 기체에 대한 오염도를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기류를 제어하는 공기 정화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The automatic conversion step is,
An air purific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flow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a specific gas in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살균기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에어벤트의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를 설정하는 공기 정화 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The automatic conversion step is,
An air purification method for setting the outside air mode or indoor air mode of the air vent based on the state of the air steriliz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살균기에 대한 정보, 상기 에어벤트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

According to clause 16,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air sterilizer, information about the air vent, or information about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An air purific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KR1020220038027A 2022-03-28 2022-03-28 Air purifying apparatus mounted on vehicle KR202301395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027A KR20230139548A (en) 2022-03-28 2022-03-28 Air purifying apparatus mounted o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027A KR20230139548A (en) 2022-03-28 2022-03-28 Air purifying apparatus mounted on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548A true KR20230139548A (en) 2023-10-05

Family

ID=8829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027A KR20230139548A (en) 2022-03-28 2022-03-28 Air purifying apparatus mounted o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54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035B1 (en) Air purifi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9751667B (en) Air conditioner sterilization method, air conditioner sterilization system and air conditioner
KR101594142B1 (en) a air cleaning system of IOT based
JP2020503924A (en) Equipment and systems for air purification
KR102249536B1 (en) Ultraviolet sterilization apparatus for vehicle
KR101803267B1 (en) Ultraviolet air sterilizer and ulraviolet air sterilizing system
KR20210018156A (en) Air purification system
KR20210065430A (en) Air Cleaner
KR20200139020A (en) Air Cleaner Comprising Ultraviolet Air Sterilizer
KR20180056928A (en) Room lamp unit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31707A (en) System,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KR101539985B1 (en) Lamp device
US20040081596A1 (en) Device case and air purifier arrangement
KR20230139548A (en) Air purifying apparatus mounted on vehicle
KR20180125833A (en) Lighting apparatus for air filtering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WO2022051464A1 (en) Air treatment system with airflow detection
WO2022024629A1 (en) Concentration monitoring device
WO2021075634A1 (en) Ai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20080077A1 (en) Occupant respiration isolation system
JP6466866B2 (en) Ion delivery device
KR102473862B1 (en) Multifunctional display device
KR102367603B1 (en) Hybrid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different purific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polluted environment and its control method
CN213364712U (en) Air quality detecting system
CN216048234U (en) Multifunctional indoor air purification device
KR102107240B1 (en) Air quality improvement system and air quality improvement method using the gateway for envirunment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