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660A - 에어분사노즐의 폭 조절이 가능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분사노즐의 폭 조절이 가능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660A
KR20230138660A KR1020220036515A KR20220036515A KR20230138660A KR 20230138660 A KR20230138660 A KR 20230138660A KR 1020220036515 A KR1020220036515 A KR 1020220036515A KR 20220036515 A KR20220036515 A KR 20220036515A KR 20230138660 A KR20230138660 A KR 20230138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ir
die block
air knife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748B1 (ko
Inventor
조경철
이인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3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748B1/ko
Publication of KR2023013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2Spinnerettes
    • D01D4/025Melt-blowing or solution-blowing d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at ran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가 개시된다. 개시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는, 노즐다이블록(100)의 수직방향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되 하단부에는 상단부 보다 작은 직경의 수지분사노즐(110)이 노즐다이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지공급유로(120)와, 상기 노즐다이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관통공(130)과 상기 노즐다이블록(100)의 하측으로 오목한 공기저장홈(140)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공기저장홈(140)의 상기 수지공급유로(120)쪽 내측면의 하단부가 수지분사노즐(110) 쪽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공급유로(150), 그리고 상기 노즐다이블록(100)의 일측에 상기 공기저장홈(140)과 연통되도록 노즐다이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관통공(160)이 구비된 노즐다이블록(100);
단면이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이 상기 공기저장홈(140)의 경사진 내측면과 평행하게 경사면을 이루어 에어분사노즐(170)을 형성하는 에어나이프(200); 및
상기 제2 관통공(160)에 삽입되어 상기 에어나이프(2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조정하는 에어나이프 조정볼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분사노즐의 폭 조절이 가능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Melt blown nozzle assembly with a width controllable air ejection nozzle}
본 발명은 에어분사노즐의 폭 조절이 가능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다이블록에 이동가능한 에어나이프를 구비하여 에어분사노즐의 폭을 가변적으로 변경가능하며, 노즐다이블록과 에어나이프 사이에 간격조절지그를 설치함으로써 에어분사노즐의 폭을 정확하게 조절가능한 에어분사노즐의 폭 조절이 가능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이 많아짐에 따라 필터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필터는 통상적으로 부직포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부직포의 제조방법으로 멜트블로운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멜트블로운 방식으로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 우선 섭씨 200도씨 이상의 고온으로 PP, PA, PET 등의 고분자수지를 용융시킨다. 그리고 스크류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로 분해한 후, 용융펌프를 이용하여 압출한다.
압출된 용융수지는 노즐다이블록에서 고온, 고압, 고속으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방사된다. 이 때 용융수지는 연신되면서 극세사화된 상태로 방사된다.
극세사화 되어 방사된 수지는 잔열에 의한 자기 접착성으로 결합하여 부직포 형태로 적층된다.
한편, 부직포의 종류가 변경되면 그에 상응하는 고분자 수지를 사용해야 하고, 노즐다이블록에서 분사되는 에어분사노즐의 폭도 그에 맞추어 변경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노즐다이블록에서는 제조할 부직포의 종류가 변경되면 에어분사노즐의 폭이 고정되어 있어 새로운 노즐다이블록으로 교체해야 하거나, 노즐 폭방향으로 에어분사 노즐의 균일한 폭조절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에어분사노즐의 폭을 균일하게 변경가능하여 다양한 종류의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3-01317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노즐다이블록에 이동가능한 에어나이프를 구비하여 에어분사노즐의 폭을 가변적으로 변경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다이블록과 에어나이프 사이에 간격조절지그를 설치함으로써 에어분사노즐의 폭을 정확하게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급받은 용융된 고분자 수지에 고온,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극세사화 된 수지를 분사하는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에 있어서,
노즐다이블록의 수직방향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되 하단부에는 상부 보다 작은 직경의 수지분사노즐이 노즐다이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지공급유로와, 상기 노즐다이블록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상기 노즐다이블록의 하측으로 오목한 공기저장홈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공기저장홈의 상기 수지공급유로쪽 내측면의 하단부가 수지분사노즐 쪽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공급유로, 그리고 상기 노즐다이블록의 일측에 상기 공기저장홈과 연통되도록 노즐다이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관통공이 구비된 노즐다이블록;
단면이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이 상기 공기저장홈의 경사진 내측면과 평행하게 경사면을 이루어 에어분사노즐을 형성하는 에어나이프; 및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에어나이프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에어분사노즐의 폭을 조정하는 에어나이프 조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에어나이프 조정볼트는,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회전하면서 단부가 상기 에어나이프를 상기 수지분사노즐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에어분사노즐의 폭을 좁히는 제1 조정볼트; 및
노즐다이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조정볼트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2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에어나이프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홈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에어나이프를 상기 제2 관통공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에어분사노즐의 폭을 넓히는 제2 조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저장홈의 경사진 내측면과 에어나이프 사이에 삽입되는 간격조절지그;
상기 간격조절지그를 상기 에어나이프에 고정시키는 지그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지그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에어분사노즐의 폭을 정확하게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간격조절지그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나이프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의 일단에 연이어져 상기 평탄부에 대해 소정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저장홈의 경사진 내측면과 에어나이프 사이에 삽입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경사부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장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이웃하는 구성들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는 에어분사노즐의 폭을 가변적으로 변경가능하여 다양한 종류의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다이블록과 에어나이프 사이에 간격조절지그를 설치하여 에어분사노즐의 폭을 정확하게 조절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멜트블로운 방식으로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의 AA 단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의 BB 단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나이프의 간격을 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지그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의 AA 단면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의 BB 단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는 노즐다이블록(100), 에어나이프(200), 그리고 에어나이프 조정볼트(300)를 포함한다.
노즐다이블록(100)은 용융된 고분자수지를 극세사화 하여 방사하는 구성이다.
노즐다이블록(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노즐다이블록(10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된다.
우선 노즐다이블록(100)의 중앙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수지공급유로(120)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수지공급유로(120)의 하단부에는 상부 보다 작은 직경의 수지분사노즐(110)이 형성되어 용융된 수지가 연신된다.
또한 수지공급유로(120)는 노즐다이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된다.
노즐다이블록(100)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공급유로(150)가 형성된다.
공기공급유로(150)는 제1 관통공(130)과 공기저장홈(140)이 연통되어 형성된다.
제1 관통공(130)은 노즐다이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고온, 고압, 고속의 공기가 공급되는 통로이다.
공기저장홈(140)은 노즐다이블록(100)의 하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관통공(130)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이와 연통된 공기저장홈(140)으로 흐르게 된다.
공기저장홈(140)의 수지공급유로(120)쪽 내측면의 하단부는 수지분사노즐(110) 쪽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수직 하방향으로 공급되는 용융 수지가 양측에서 소정 각도로 유입되는 고속의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노즐다이블록(100)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저장홈(140)과 연통되도록 노즐다이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관통공(160)이 형성된다.
에어나이프(2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정하는 구성이다.
에어나이프(200)는 단면이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공기저장홈(140)의 경사진 내측면과 평행하게 경사면을 이루어 에어분사노즐(170)을 형성한다.
즉, 에어분사노즐(170)은 공기저장홈(140)과 에어나이프(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경로이다.
에어나이프 조정볼트(300)는 제2 관통공(160)에 삽입되어 에어나이프(2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통해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나이프(200)의 간격을 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지그(400)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에서는 에어나이프 조정볼트(300)를 그 기능에 따라 제1 조정볼트(310)와 제2 조정볼트(330)로 구분하여 설치하였다.
제1 조정볼트(310)는 제2 관통공(16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회전하면서, 제1 조정볼트(310)의 단부가 에어나이프(200)를 수지분사노즐(110)쪽으로 이동시켜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좁힌다.
제2 조정볼트(330)는 노즐다이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제1 조정볼트(31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조정볼트(330)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2 관통공(160)을 경유하여 에어나이프(2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홈(32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에어나이프(200)를 제2 관통공(160)쪽으로 이동시켜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넓힌다.
제1 조정볼트(310)가 삽입되는 체결홈(32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2 조정볼트(330)가 삽입되는 체결홈(32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제1 조정볼트(310)는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좁히는 반면, 제2 조정볼트(330)는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제1 조정볼트(310)와 제2 조정볼트(330)는 노즐다이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는 에어나이프 조정볼트(300)를 사용하여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에어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할 부직포의 종류가 변경되더라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조립체로 대응이 가능한 것이다.
복수 개의 에어나이프 조정볼트(300)를 작업자가 조정할 경우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정확히 맞추기는 쉽지 않으며, 이로 인해 방사되는 수지의 직경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간격조절지그(400)를 설치하여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한편, 작업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간격조절지그(400)는 공기저장홈(140)의 경사진 내측면과 에어나이프(200) 사이에 삽입되어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지그 고정볼트(500)는 간격조절지그(400)를 에어나이프(200)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지그(400)는 평탄부(410)와 경사부(420)를 포함한다.
평탄부(41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나이프(200)의 하측면에 밀착된다.
경사부(420)는 평탄부(410)의 일단에 연이어져 평탄부(41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형성된다.
경사부(420)는 공기저장홈(140)의 경사진 내측면과 에어나이프(200) 사이에 삽입되어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제한하는 구성이다.
경사부(420)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장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이웃하는 구성들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에서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제2 조정볼트(330)를 회전시켜 에어나이프(200)를 체결홈(320)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간격조절지그(400)를 공기저장홈(140)의 경사진 내측면과 에어나이프(200) 사이에 삽입한 후, 지그 고정볼트(500)를 에어나이프(200)에 체결한다.
제1 조정볼트(310)를 회전시켜 에어나이프(200)가 간격조절지그(400)에 밀착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간격조절지그(400)를 노즐다이블록(100)에서 장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간격조절지그(400)를 이용하여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정확하게 조정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래 에어분사노즐(170)의 폭 조정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에어분사노즐(170)의 폭 조절이 가능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다이블록(100)에 이동가능한 에어나이프(200)를 구비하여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가변적으로 변경가능하며, 노즐다이블록(100)과 에어나이프(200) 사이에 간격조절지그(400)를 설치함으로써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정확하게 조절가능한 에어분사노즐(170)의 폭 조절이 가능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100 : 노즐다이블록
110 : 수지분사노즐
120 : 수지공급유로
130 : 제1 관통공
140 : 공기저장홈
150 : 공기공급유로
160 : 제2 관통공
170 : 에어분사노즐
200 : 에어나이프
300 : 에어나이프 조정볼트
310 : 제1 조정볼트
320 : 체결홈
330 : 제2 조정볼트
400 : 간격조절지그
410 : 평탄부
420 : 경사부
500 : 지그 고정볼트

Claims (5)

  1. 공급받은 용융된 고분자 수지에 고온,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극세사화 된 수지를 분사하는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1000)에 있어서,
    노즐다이블록(100)의 수직방향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되 하단부에는 상부 보다 작은 직경의 수지분사노즐(110)이 노즐다이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지공급유로(120)와, 상기 노즐다이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관통공(130)과 상기 노즐다이블록(100)의 하측으로 오목한 공기저장홈(140)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공기저장홈(140)의 상기 수지공급유로(120)쪽 내측면의 하단부가 수지분사노즐(110) 쪽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공급유로(150), 그리고 상기 노즐다이블록(100)의 일측에 상기 공기저장홈(140)과 연통되도록 노즐다이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관통공(160)이 구비된 노즐다이블록(100);
    단면이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이 상기 공기저장홈(140)의 경사진 내측면과 평행하게 경사면을 이루어 에어분사노즐(170)을 형성하는 에어나이프(200); 및
    상기 제2 관통공(160)에 삽입되어 상기 에어나이프(2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조정하는 에어나이프 조정볼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나이프 조정볼트(300)는,
    상기 제2 관통공(16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회전하면서 단부가 상기 에어나이프(200)를 상기 수지분사노즐(110)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좁히는 제1 조정볼트(310); 및
    노즐다이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조정볼트(31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2 관통공(160)을 경유하여 상기 에어나이프(2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홈(32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에어나이프(200)를 상기 제2 관통공(160)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넓히는 제2 조정볼트(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장홈(140)의 경사진 내측면과 에어나이프(200) 사이에 삽입되는 간격조절지그(400);
    상기 간격조절지그(400)를 상기 에어나이프(200)에 고정시키는 지그 고정볼트(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지그(40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에어분사노즐(170)의 폭을 정확하게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지그(40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나이프(200)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평탄부(410); 및
    상기 평탄부(410)의 일단에 연이어져 상기 평탄부(41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저장홈(140)의 경사진 내측면과 에어나이프(200) 사이에 삽입되는 경사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420)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장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이웃하는 구성들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KR1020220036515A 2022-03-24 2022-03-24 에어분사노즐의 폭 조절이 가능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KR102653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515A KR102653748B1 (ko) 2022-03-24 2022-03-24 에어분사노즐의 폭 조절이 가능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515A KR102653748B1 (ko) 2022-03-24 2022-03-24 에어분사노즐의 폭 조절이 가능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660A true KR20230138660A (ko) 2023-10-05
KR102653748B1 KR102653748B1 (ko) 2024-04-01

Family

ID=8829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515A KR102653748B1 (ko) 2022-03-24 2022-03-24 에어분사노즐의 폭 조절이 가능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7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541A (ko) * 1991-08-21 1993-03-22 주창환 고압유체를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JPH06240552A (ja) * 1992-11-13 1994-08-30 Reifenhaeuser Gmbh & Co Mas Fab 溶融吹込成形法により繊維フリースを製造する装置用のノズルヘッド
KR20050109008A (ko) * 2004-05-14 2005-11-17 오장원 원통형 카트리지필터 제조를 위한 방사 노즐 조립체
KR20120008230A (ko) * 2010-07-16 2012-01-30 (주)엠엔에스 초극세 섬유 제조용 멜트-블로잉 전기방사장치
US20130131751A1 (en) 2011-11-21 2013-05-23 Medtroni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preferred pacing vector in a cardiac resynchroniz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541A (ko) * 1991-08-21 1993-03-22 주창환 고압유체를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JPH06240552A (ja) * 1992-11-13 1994-08-30 Reifenhaeuser Gmbh & Co Mas Fab 溶融吹込成形法により繊維フリースを製造する装置用のノズルヘッド
KR20050109008A (ko) * 2004-05-14 2005-11-17 오장원 원통형 카트리지필터 제조를 위한 방사 노즐 조립체
KR20120008230A (ko) * 2010-07-16 2012-01-30 (주)엠엔에스 초극세 섬유 제조용 멜트-블로잉 전기방사장치
US20130131751A1 (en) 2011-11-21 2013-05-23 Medtroni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preferred pacing vector in a cardiac resynchroniz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748B1 (ko) 202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4977C (en) Spinning device for producing fine threads by splitting
KR100783450B1 (ko)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장치
US8550381B2 (en) Nozzle for dispensing random pattern of adhesive filaments
US20230002934A1 (en) Meltblown die tip assembly and method
KR102649060B1 (ko) 필라멘트의 압출 및 스펀본디드 패브릭의 제조를 위한 장치
JP6047786B2 (ja) ナノファイバー製造装置及びナノファイバー製造方法
KR100342601B1 (ko) 높은표면방사구밀도의방사구금및고속급냉을이용한다성분섬유의고속방사법
EP1710329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melzspinnen und abkühlen einer vielzahl von filamenten
US20230332342A1 (en) Manufacture of spunbonded nonwoven from continuous filaments
CN113260743A (zh) 用于制造纺喷纤维的具有一体式喷丝头本体和喷嘴的喷丝头块
KR102653748B1 (ko) 에어분사노즐의 폭 조절이 가능한 멜트블로운 노즐조립체
US5435708A (en) Nozzle head for a meltblowing aparatus
US20050048152A1 (en) Device for spinning materials forming threads
KR101325318B1 (ko) 슬롯형 분사구를 가지는 분사노즐
KR101128374B1 (ko) 금속분말 제조용 분무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금속분말 제조장치
KR101393211B1 (ko) 수지코팅막 성형장치의 분사간극 조절기구
US8186986B2 (en) Device for drawing filaments
KR101357988B1 (ko) 수지코팅막 성형장치의 진공 흡입에 의한 코팅막 안정화 기구
US2008012214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ximizing ultrafine meltblown fiber attenuation
EP16216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ynthetic yarns
JPH06166945A (ja) メルトブロー装置
JP2018071037A (ja) ナノファイバー製造装置及びナノファイバー製造方法
CN219653190U (zh) 无纺布纺丝箱体
KR100233298B1 (ko) 방사팩
JP2016183445A (ja) ナノファイバー製造装置及びナノファイバー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