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232A -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232A
KR20230138232A KR1020220036030A KR20220036030A KR20230138232A KR 20230138232 A KR20230138232 A KR 20230138232A KR 1020220036030 A KR1020220036030 A KR 1020220036030A KR 20220036030 A KR20220036030 A KR 20220036030A KR 20230138232 A KR20230138232 A KR 20230138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rainwater
sewage
excavation spac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철
이건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코스
Priority to KR102022003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232A/ko
Publication of KR20230138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23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07Underground or underwater stora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e.g. due to gaseous ac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34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placed above the ground
    • F17C2270/0139Fuel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4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placed under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PG 또는 LNG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저장탱크가 매립되는 지하굴착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오수를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시로 굴착부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빗물이나 오수에 장기간 노출되어 저장탱크 또는 저장탱크의 받침부분에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부식에 의한 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저장탱크의 받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저장탱크를 항상 수평상태의 안정적인 형태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freshwater treatment system for landfill gas storage tanks installed at gas filling stations}
본 발명은 LPG 또는 LNG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저장탱크가 매립되는 지하굴착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오수를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시로 굴착부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빗물이나 오수에 장기간 노출되어 저장탱크 또는 저장탱크의 받침부분에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부식에 의한 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저장탱크의 받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저장탱크를 항상 수평상태의 안정적인 형태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에너지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충분한 에너지의 확보와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목표로 하는 많은 노력이 세계적으로 있어 왔다. 많은 에너지원들 중에서 LNG(Liquefied Natural Gas)는 천연가스와 화학조성이 같기 때문에 많은 양을 소비할 경우, 액화석유가스(LPG)나 다른 액화가스보다 훨씬 실용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LNG는, 액화된 가스로서, 그것이 가스 형태일 때보다 대략 1/600의 부피만을 차지하므로 대량의 저장 및 운송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LNG는 천연가스를 비등점 이하인 -162℃ 이하로 냉각하여 만들어지며, 대기압이나 이보다 약간 높은 압력에서 이중벽으로 만든 저온용기 안에 저장하는데 온도만 올려주면 가스 형태로 전환된다.
최근 수요자에게 천연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일환으로, LNG를 비축 저장할 수 있는 LNG 저장설비에 대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LNG 저장설비로는, 지상 또는 반지하에 설치되는 시설로서, 지면을 LNG저장탱크가 일부분 또는 전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굴착하고 바닥면과 측면을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저장탱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에 저장탱크를 설치하여 저장탱크의 설치안정성은 유지하면서도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하는 설치형태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LNG저장설비를 지하에 설치하는 구성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9-0055790호(공개일: 2009년 06월 03일)LNG 저장설비 및 그것의 건설방법은, 지반을 굴착하여 지상으로부터 지하로 이어지는 공동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동의 깊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며 외벽과 단열재가 일체화된 LNG 저장탱크를 상기 공동 내로 운반하는 단계 및 상기 LNG 저장탱크의 내부와 연결된 파이프가 상기 지상으로 나온 상태에서, 상기 LNG 저장탱크가 완전히 매립되도록 상기 공동에 채움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스 저장탱크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 굴착공간으로 빗물 또는 오수가 쉽게 유입되어 저장탱크의 표면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더욱이, 저장탱크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분은 일반금속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빗물이나 오수에 따른 부식이 쉽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지다리의 부식에 의하여 굴착공간으로 수용된 가스 저장탱크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리자가 1개월 내지 2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굴착공간에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를 펌핑하여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계속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5790호(공개일: 2009년 06월 03일) "LNG 저장설비 및 그것의 건설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상에서의 부지 점유율이 극히 적은 지하 저장설비를 형성함에 있어서 굴착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오수등을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시로 굴착공간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저장탱크 및 관련 설비가 빗물이나 오수에 장기간 노출되어 저장탱크 또는 저장탱크의 받침부분에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부식에 의한 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은, 지면을 일정깊이로 굴착하여 굴착공간을 형성하고 바닥면에 복수 개의 설치단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단에 지지다리가 안착 고정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배출관이 굴착공간의 외부로 설치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굴착공간으로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의 유입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굴착공간으로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의 유입량을 감지하여 펌프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펌프를 구동시켜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를 굴착공간 외부로 배출하여 저장탱크의 부식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센서는 굴착공간의 바닥면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1전극과 제 2전극 및 제 3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전극은 교류 전원(AC)과 연결되고, 제 2전극 및 제 3전극과 함께 굴착공간에 유입되는 빗물 또는 오수에 침수되는 형태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조절센서는 굴착공간의 바닥면에 안착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리드 스위치가 형성되고 외측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의 걸림편이 형성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도넛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인 부력부와 자석이 형성된 이동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이동체는 고정관에 끼움된 상태에서 고정관을 축으로 하여 굴착공간의 바닥면에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시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에 의하여 이동체가 부력에 의하여 고정관을 타고 상부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착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펌프와 수위감지센서를 바닥면의 아래에 설치할 수 보조굴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와 수위감지센서의 동작여부를 지상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제1전극상태확인램프와 제2전극상태확인램프와, 제3전극상태확인램프 및 펌프상태확인램프가 형성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은 LNG 저장탱크 및 이와 연결된 파이프를 제외하면 모두 지하의 굴착공간에 설치되어 부지활용성이 우수하며 특히, 굴착공간에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되더라도 일정수위 이상으로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되는 경우 이를 수위감지센서가 감지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펌프가 동작하여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빗물이나 오수에 의한 저장탱크의 표면부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있으며 특히, 일반금속으로 형성되는 저장탱크 지지다리부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LNG저장탱크를 항상 일정한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저장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이나 오수의 유입량이 수위감지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감지되고 일정수위에 도달하면 펌프가 동작하여 자동으로 빗물 또는 오수를 굴착공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굴착공간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시설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중 제어부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중 다른 실시예의 수위감지센서의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의 개략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중 제어부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중 다른 실시예의 수위감지센서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LPG 또는 LNG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저장탱크가 매립되는 지하굴착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오수를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시로 굴착부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빗물이나 오수에 장기간 노출되어 저장탱크 또는 저장탱크의 받침부분에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부식에 의한 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저장탱크의 받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저장탱크를 항상 수평상태의 안정적인 형태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A)은, LNG 가스 또는 LPG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가 수용되는 굴착공간(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펌프(10)와 상기 펌프(10)의 동작을 제어하며 굴착공간(2)으로 유입되는 빗물 또는 오수의 유입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스 저장탱크(1)는 하부에 굴착공간(2)의 바닥면(2a)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다리(1a)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1a)는 바닥면(2a)에 형성된 설치단(2b)에 안착고정되어 실질적으로 가스 저장탱크(1)를 굴착공간(2)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펌프(10)는 굴착공간(2)의 바닥면(2a)에 안착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펌프(10)는 설치되는 위치 및 굴착공간(2)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 및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중펌프가 사용되는 경우 굴착공간(2)의 바닥면(2a)에 설치되고 배출관(11)을 통하여 굴착공간(2) 외부로 배출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면에 펌프를 설치하고 흡입관(미도시)을 굴착공간(2)의 바닥면(2a)으로 설치하여 바닥면에 모여지는 빗물 또는 오수를 펌핑하여 제거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2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착공간(2)의 바닥면(2a)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순차적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전극(21, 22, 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전극(21)은 교류 전원(AC)과 연결되고, 제 2전극(22) 및 제 3전극(23)과 함께 굴착공간(2)에 유입되는 빗물 또는 오수에 침수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즉, 제 1전극(21)과 제 2전극(22) 및 제 3전극(23) 각각의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준비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굴착공간(2)의 내부에 빗물 또는 오수가 침투하여 바닥면에 고이게 되면 그 유입량에 따라서 교류 전원(AC)과 연결된 제 1전극(21)과 제 2전극(22)이 물에 잠겨 전류가 흐르게 되어 굴착공간(2)에 유입된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펌프(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를 굴착공간(2)외부로 배출함으로서 저장탱크(10)가 빗물이나 오수에 의하여 부식되는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위감지센서(20)와 펌프(10)의 동작상태를 지면에 형성된 컨트롤러(30)를 통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굴착공간(2)으로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가 일정수위로 모이게 되면 제 1전극(21)이 물에 잠기고, 잠긴 상태가 지면에 형성된 컨트롤러(30)의 제1전극상태확인램프(31)를 점등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빗물의 침투여부를 지상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이때, 펌프(10)는 구동되지 않는다.)
또한, 계속되는 오수의 유입에 의하여 제 2전극(22)이 물에 잠기게 되면 잠긴 상태가 지면에 형성된 컨트롤러(30)의 제1전극상태확인램프(31)와 제2전극상태확인램프(32)를 점등시켜 빗물의 침투여부를 지상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 2전극(22)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펌프(10)에 전원을 공급하여 펌프(10)를 구동시킴으로써 굴착공간(2) 내부로 유입된 빗물과 오수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한다.
이때, 상기 제 1전극(21)의 단부는 굴착공간(2)의 바닥면(2a)과 근접하게 형성하고, 제 2전극(22)의 단부는 설치단(2b)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저장탱크(1)를 지지하는 지지다리(1a)부분이 물에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1 전극(21)과 제 2전극(22)의 높이범위(h1)에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시 펌프(10)가 구동하여 빗물이나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저장탱크(1)의 부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우기와 같이 집중적인 폭우가 발생되거나 또는 빗물이나 오수차단시스템이 손상되어 급격하게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되어 제 3전극(23)이 빗물이나 오수에 잠기는 경우 잠긴 상태가 지면에 형성된 컨트롤러(30)의 제1전극상태확인램프(31)와 제2전극상태확인램프(32) 및 제3전극상태확인램프(33)를 점등시키고 사이렌과 같은 소리를 이용하여 동시에 위급상황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 2전극(22)과 제 3전극(23)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펌프(10)와 보조펌프(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여 두개의 펌프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굴착공간(2) 내부로 유입된 빗물과 오수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펌프(10)와 보조펌프(미도시)의 동작 역시 컨트롤러(30)에 형성된 펌프상태확인램프(34, 35)를 점등시킴으로써 지상에서 관리자가 펌프 및 보조펌프의 동작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중 수위감지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의 수위감지센서(50)는 굴착공간(2)의 바닥면(2a)에 안착 고정되는 베이스(51)와, 상기 베이스(51)의 상부에 상부가 고정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리드 스위치(52)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부와 하부에 걸림편(53)이 형성된 고정관(54)과, 상기 고정관(54)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도넛 형태로 구성되고내부에 빈 공간인 부력부(55)와 내측면에 자석(56)이 형성된 이동체(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체(57)는 고정관(54)에 끼움된 상태에서 고정관(54)을 축으로 하여 상하 이동하는 형태를 갖음으로서 굴착공간(2)의 바닥면(2a)에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에 의하여 이동체(57)가 부력에 의하여 고정관(54)을 타고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체(57)는 고정관(54)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걸림편(53)의 사이에 위치되어 걸림편(53)의 거리만큼의 이동범위를 갖도록 구성되며, 고정관(54)의 내부에 형성되는 리드스위치(52) 역시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걸림편(53)의 이격거리 내에 위치한다.
즉, 하부의 걸림편(53)은 굴착공간(2)의 바닥면(2a)에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상부의 걸림편(53)은 바닥면(2a)에 형성된 설치단(2b)의 높이와 동일 내지 유사한 높이에 형성하여 굴착공간(2)의 바닥부분으로부터 설치단(2b)의 높이까지 빗물이나 오수의 수위가 올라가면 이동체(57)가 부력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리드스위치(52)에 자력의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자력의 신호에 따라 펌프(10)에 전원을 공급하여 펌프(10)를 구동시켜 굴착공간(2)의 바닥면에 고인 빗물 또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드 스위치(52)는 도면에서 하나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와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복수 개를 형성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한 형태로 유입되는 빗물 또는 오수의 유입량에 따라서 오수의 배출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 중 굴착공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실시예에서는 펌프(10)와 수위감지센서(20)를 굴착공간(2)의 바닥면(2a) 아래에 설치할 수 있도록 바닥면(2a)을 굴착하여 보조굴착부(3)를 형성함에 특징이 있다.
즉, 보조굴착부(3)의 구성을 통하여 굴착공간으로 유입된 빗물이나 오수가 보조굴착부(3)로 모일 수 있어 빗물이나 오수가 저장탱크에 근접하기 전 선재적으로 빗물과 오수를 배출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저장탱크의 설치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보조굴착부(3)는 내면이 콘크리트로 타설되지 않음으로써 지하에서 지하수가 굴착공간으로 유입되더라도 먼저 보조굴착부(3)로 유입됨으로써 유입되는 지하수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굴착공간의 벽면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선재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은 LNG 저장탱크 및 이와 연결된 파이프를 제외하면 모두 지하의 굴착공간에 설치되어 부지활용성이 우수하며 특히, 굴착공간에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되더라도 일정수위 이상으로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되는 경우 이를 수위감지센서가 감지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펌프가 동작하여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빗물이나 오수에 의한 저장탱크의 표면부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있으며 특히, 일반금속으로 형성되는 저장탱크 지지다리부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LNG저장탱크를 항상 일정한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우수한 저장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빗물이나 오수의 유입량이 수위감지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감지되고 일정수위에 도달하면 펌프가 동작하여 자동으로 빗물 또는 오수를 굴착공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굴착공간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시설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 저장탱크 1a : 지지다리
2 : 굴착공간 2a : 바닥면
2b : 설치단
10 : 펌프 11 : 배출관
20, 50 : 수위조절센서
21 : 제 1전극 22 : 제 2전극
23 : 제 3전극 30 : 컨트롤러
31 : 제1전극상태확인램프
32 : 제2전극산태확인램프
33 : 제3전극상태확인램프
34 : 펌프확인램프
51 : 베이스 52 : 리드스위치
53 : 걸림편 54 : 고정관
55 : 부력부 56 : 자석
57 : 이동체

Claims (5)

  1. 가스 충전소의 지면을 일정깊이로 굴착하여 가스 저장탱크를 매립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은,
    지면을 일정깊이로 굴착하여 굴착공간을 형성하고 바닥면에 복수 개의 설치단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단에 지지다리가 안착 고정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배출관이 굴착공간의 외부로 설치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굴착공간으로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의 유입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굴착공간으로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의 유입량을 감지하여 펌프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펌프를 구동시켜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를 굴착공간 외부로 배출하여 저장탱크의 부식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센서는 굴착공간의 바닥면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 1전극과 제 2전극 및 제 3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전극은 교류 전원(AC)과 연결되고, 제 2전극 및 제 3전극과 함께 굴착공간에 유입되는 빗물 또는 오수에 침수되는 형태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센서는 굴착공간의 바닥면에 안착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리드 스위치가 형성되고 외측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의 걸림편이 형성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도넛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인 부력부와 자석이 형성된 이동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이동체는 고정관에 끼움된 상태에서 고정관을 축으로 하여 굴착공간의 바닥면에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시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에 의하여 이동체가 부력에 의하여 고정관을 타고 상부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펌프와 수위감지센서를 바닥면의 아래에 설치할 수 보조굴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수위감지센서의 동작여부를 지상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제1전극상태확인램프와 제2전극상태확인램프와, 제3전극상태확인램프 및 펌프상태확인램프가 형성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KR1020220036030A 2022-03-23 2022-03-23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KR20230138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030A KR20230138232A (ko) 2022-03-23 2022-03-23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030A KR20230138232A (ko) 2022-03-23 2022-03-23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232A true KR20230138232A (ko) 2023-10-05

Family

ID=8829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030A KR20230138232A (ko) 2022-03-23 2022-03-23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82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790A (ko) 2007-11-29 2009-06-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지하 매립형 lng 저장설비 및 그것의 건설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790A (ko) 2007-11-29 2009-06-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지하 매립형 lng 저장설비 및 그것의 건설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30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ing liquid substance
KR100966167B1 (ko) 점감결합부를 구성한 지열 열교환기장치 및 구성방법
CN102947582A (zh) 海浪发电设备
CN208168933U (zh) 一种矿山法深埋水下交通隧道废水池有效容积优化结构
KR20230138232A (ko) 가스 충전소에 설치되는 매립형 가스 저장탱크의 담수 처리 시스템
CN102767225B (zh) 一种配电房自动排水装置
JP2009300092A (ja) 受水槽の水位検知管
CN202284480U (zh) 一种竖井壁环向截水沟自动排水系统
CN107829745B (zh) 竖井井筒截水装置
CN206754793U (zh) 一种双膜气柜储气装置
US86511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section of fluid line
JP2006104714A (ja) 地下水揚水設備の閉塞防止方法及び装置並びに閉塞防止型地下水揚水設備
CA2725950A1 (en) A method and pump unit for a pressure sewerage system
CN106245676A (zh) 一种管体及综合管廊
CN207525813U (zh) 一种一体化预制地埋式取水泵站
KR101606691B1 (ko)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KR20010094200A (ko) 사이펀식 지하철지하수이송장치
JP2007120012A (ja) 浸水防止用人工地盤
CN209844338U (zh) 一种环网柜
US8439648B2 (en) Process water lift station apparatus
JP3180217U (ja) 仮設用浄化槽ユニット
CN105822898A (zh) 一种lng泄露收集系统及其泄露收集方法
EP2503212A2 (en) Fixed LPG tank
CN108223008A (zh) 一种矿山法深埋水下交通隧道废水池有效容积优化结构
CN205088780U (zh) 玻璃钢一体化提升泵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