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206A -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kitchen draw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kitchen draw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206A
KR20230138206A KR1020220035954A KR20220035954A KR20230138206A KR 20230138206 A KR20230138206 A KR 20230138206A KR 1020220035954 A KR1020220035954 A KR 1020220035954A KR 20220035954 A KR20220035954 A KR 20220035954A KR 20230138206 A KR20230138206 A KR 20230138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kitchen
customized
module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놈놈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놈놈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놈놈놈
Priority to KR102022003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206A/en
Publication of KR2023013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2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형태 및 크기 정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를 설정하는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과,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구조에 필요한 기본 구조물 정보를 비롯하여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에 필요한 주방기기 품목별로 연계된 유관요소 정보를 설정하는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과,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주방기기 선택모듈과,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데이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및 주방기기 선택모듈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데이터를 각각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비지도 학습법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을 추출하는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과,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에 대해 해당 사용자의 설정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정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 설정 일치도를 분석한 후,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의 사용자 설정 일치도들 중 기 설정된 기준 사용자 설정 일치도 이상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 설정 일치도가 큰 순서대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순위를 선정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주방도면 추천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전문 프로그램 없이 웹(Web)과 모바일(Mobile)에서도 사용자 니즈(Needs)에 맞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의 제작을 보다 쉽게 작업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cluding a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that sets layout information of a user-customized kitchen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information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and a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that sets layout information of a user-customized kitchen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and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sets basic structure information and related element information linked to each kitchen appliance item required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and allows the user to select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ired industry and main menu. A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listed and provided on the display screen, layou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basic structure and related el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and Kitchen candidate is provided wit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selec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and based on this, extracts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using an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After analyzing user setting consistency by applying at least one user setting information among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to the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extracted from the drawing extraction module and the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the extracted user customized kitchen If there is a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is higher than the pre-set standard user-setting match among the user-set matching levels of the candidate drawings, a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is provided that ranks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in order of the user-set matching level in order of greatest match and recommends them to the user. By including it, you can not only check customized kitchen drawings that fit your needs on the web and mobile without a professional program, but also make it easier to create customized kitchen drawings.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KITCHEN DRAWING}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kitchen drawings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KITCHEN DRAWING}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식업 등의 창업 시 주방도면의 제작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s,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s that enable the production of kitchen drawings more smoothly when starting a restaurant business, etc. .

최근에, 국내 연간 신규 창업자 약 120만명 중에서 요식업의 창업이 약 22만명(약 18%)에 달하고 있으며, 폐업자 약 90만명 중에서 요식업의 폐업은 약 21만명(약 24%)에 달하고 있다. 그리고, 평균창업 비용은 약 1억 269만원이고, 이중 주방의 인테리어 및 주방기기의 비용은 약 1천만원이다.Recently, out of approximately 1.2 million new business start-ups in Korea annually, approximately 220,000 (approximately 18%) start a restaurant business, and among approximately 900,000 business closures, approximately 210,000 (approximately 24%) enter the restaurant business. And, the average start-up cost is about 102.69 million won, of which the cost of kitchen interior and kitchen appliances is about 10 million won.

한편, 요식업의 폐업 시 보증금 및/또는 권리금은 회수 가능하지만, 인테리어 및/또는 주방기기는 회수 가능성이 희박하다. 이때, 인테리어는 폐기 및 원상복구 문제로 조정여지가 희박하지만, 주방기기는 제품 상태나 처분 방법에 따라 약 10~50%까지 보전 가능하다.Meanwhile, when a restaurant business closes, the deposit and/or key money can be recovered, but the interior and/or kitchen appliances are unlikely to be recovered. At this time, there is little room for adjustment in the interior due to disposal and restoration issues, but kitchen appliances can be preserved by approximately 10 to 50% depending on the product condition and disposal method.

그리고, 요식업의 창업에서 주방기기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먼저, 창업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따라 구매 대상품목을 도출한 후, 주방 인테리어 전문업체에 해당 창업자가 원하는 주방의 도면제작을 의뢰하여 구매 대상품목이 배치된 주방도면을 제공받게 된다.In order to prepare kitchen equipment for starting a restaurant business, first, the entrepreneur identifies the items to be purchased according to the business type and main menu desired, then requests a kitchen interior design company to produce a drawing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entrepreneur, and selects the items to be purchased. You will be provided with a kitchen layout layout.

하지만, 주방 인테리어 전문업체에 창업자가 원하는 주방도면을 의뢰할 경우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품을 팔아 의뢰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방도면의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각 주방 인테리어 전문업체마다 주방의 도면이 달라 창업자가 원하는 주방의 도면을 제공받는데 어려움이 있다.However, if a business owner requests a kitchen interior design company to provide the kitchen drawing he or she wants, not only is ther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go to an offline store to make the request, but the production cost of the kitchen drawing is also high, and each kitchen interior specialty company has its own kitchen design. Because the drawings are different, it is difficult for entrepreneurs to receive the kitchen drawings they want.

상기와 같이 창업자의 주방기기의 배치 및 도면에 대한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지만, 만족할만한 주방기기가 배치된 주방도면의 의뢰 인프라(infra)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현실적인 어려움 발생하고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need for the layout and drawings of kitchen appliances is recognized, but practical difficulties are arising because the request infrastructure for kitchen drawings with satisfactory kitchen appliances has not been established.

이에 따라, 오프라인 발품 없이 온라인 즉, 웹(Web)과 모바일(Mobile) 등에서 빠른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의 확인 및 제작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user-tailored services to enable quick confirmation and production of customized kitchen drawings online, that is, on the web and mobile, without having to go offline.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104087호(2010.09.29. 공개)Domestic Public Patent No. 10-2010-0104087 (published on September 29, 201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주방도면에 대한 제작 요청사항을 분석하여, 전문 프로그램 없이 웹(Web)과 모바일(Mobile)에서도 사용자 니즈(Needs)에 맞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의 제작을 보다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user requests for kitchen drawings and meet user needs on the web and mobile without a specialized program. The goal is to provide a device that not only allows you to check customized kitchen drawings that fit your needs, but also provides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makes it easier to produce custom kitchen drawing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형태 및 크기 정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를 설정하는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구조에 필요한 기본 구조물 정보를 비롯하여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에 필요한 주방기기 품목별로 연계된 유관요소 정보를 설정하는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주방기기 선택모듈; 상기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데이터, 상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및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데이터를 각각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비지도 학습법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을 추출하는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 및 상기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에 대해 해당 사용자의 설정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정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 설정 일치도를 분석한 후, 상기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의 사용자 설정 일치도들 중 기 설정된 기준 사용자 설정 일치도 이상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 설정 일치도가 큰 순서대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순위를 선정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주방도면 추천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that sets layout information of a user-customized kitchen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information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A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that sets basic structur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tructure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as well as related element information linked to each kitchen appliance item required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A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that lists and provides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ired industry and main menu; Layou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basic structure and related el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an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selec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and a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that receives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and extracts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using an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based on this; And after analyzing user setting consistency by applying at least one user setting information among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to the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extracted from the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the extracted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If there is a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is higher than the preset standard user-setting match among the user-set matching degrees, it includes a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that ranks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in the order of the user-setting matching degree in increasing order and recommends them to the us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s.

여기서,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은, 상기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에 대해 해당 사용자의 설정정보들에 따라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용자 설정 일치도를 분석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preferably analyzes user setting consistency by assigning a preset weight to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extracted from the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inform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은, 사용자 설정 일치도가 큰 순서대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순위를 선정한 후, 기 설정된 순위내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을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may select a ranking of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in order of greater consistency with user settings, and then recommend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within a preset ranking to the user.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은, 해당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의 추천 시 해당 사용자가 상기 추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2차원 또는 3차원 도면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when recommen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o the user, displays a screen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drawing so that the user can easily visually view the recommended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It can be displayed in .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은, 상기 추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정보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may transmit the recommended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information data to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는, 미리 설치된 주방도면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로 전송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을 2차원 또는 3차원 도면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xternal terminal or server receives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to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through a pre-installed kitchen drawing-related application and uses this to create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in two-dimensional or The service can be provided so that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n the form of a 3D drawing.

바람직하게, 해당 사용자의 편집요청에 따라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을 통해 추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을 해당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도면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주방도면 편집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according to the user's editing request, the user can manually edit any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recommended through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A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that provides drawing editing functions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편집모듈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만족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만족유무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a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that provides a user satisfaction selection function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there is.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편집모듈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arrang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as satisfactory by the user.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can be lis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편집모듈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별로 시세 정보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arrang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as satisfactory by the user. Price information for ea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can be deriv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편집모듈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견적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견적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arrang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as satisfactory by the user. A quote request message can be sent to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so that user-customized quotations can be provided for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편집모듈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불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determines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ccording to the user's desired industry and main menu.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can be listed and provided on the display screen for resel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의 사용자 설정 일치도들 중 기 설정된 기준 사용자 설정 일치도 이상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데이터, 상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및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데이터를 각각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작 및 생성한 후, 해당 사용자 맞춤형 유관요소와 인접한 필요 유관품목을 우선순위로 상기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상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을 자동 배치하는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re is no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with a degree of matching with user settings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extracted through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that is higher than a preset standard user-setting matc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s set from the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Layout information data of the kitchen, basic structure and related el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an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selec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are provided and based on this. After producing and creating a custom kitchen drawing desired by the user, the selecte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in the produced and created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with priority given to the necessary related items adjacent to the user-customized related elements. Additional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s may be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은, 상기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인공지능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을 통해 상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및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데이터를 비롯한 기 설정된 각 유관요소와 인접한 필요 유관품목 정보데이터를 분석하여 주방기기 자동 배치를 위한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구축한 후, 상기 구축된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상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을 자동 배치할 수 있다.Preferably,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includes the basic structure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through a prese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achine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produced and generated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for automatic placement of kitchen appliances is created by analyzing related element information data and necessary related item information data adjacent to each preset related element, including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selec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After construction, the selecte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can be automatically placed on the produced and generated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using the constructe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만족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만족유무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a user satisfaction selection function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whether he or she is satisfied or dissatisfied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nd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arranged. A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nd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that are automatically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is selected by satisfaction can be lis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별로 시세 정보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nd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Market price information can be derived for ea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utomatically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selected by satisfaction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견적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견적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nd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A quote request message can be sent to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so that user-customized quotations can be provided for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utomatically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selected by satisfa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불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nd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Depending on the industry and main menu,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can be listed and provided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users can reselect them.

바람직하게, 해당 사용자의 편집요청에 따라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을 통해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을 해당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배치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주방기기 배치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kitchen appliance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place and edit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that are automatically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produced and generated through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editing request. A kitchen appliance layout editing module that provides a layout editing func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만족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만족유무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there is a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that provides a user satisfaction selec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edited with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from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editing module. may be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edited with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from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arrang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as satisfactory by the user.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can be lis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별로 시세 정보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edited with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from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arrang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as satisfactory by the user. Price information can be derived for each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견적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견적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edited with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from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arrang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as satisfactory by the user. A quote request message can be sent to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so that user-customized quotations can be provided for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불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edited with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from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according to the user's desired industry and main menu. Devi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can be listed and provided on the display screen for resel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데이터, 상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데이터,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 정보데이터, 및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자동 배치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의 배치 정보데이터를 각각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별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 정보, 및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의 배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layou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basic structure and related el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an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s selec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Item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formation data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nd plac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utomatically arrang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re provided, respectively. Based on this, for each user, the layout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the basic structure and related elements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s informati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formation, and the placement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stored in a database ( A user kitchen information storage module that stores and manages DB)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은, 해당 사용자별로 저장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의 배치 정보, 및 해당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주방도면 또는 주방기기 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the user kitchen information storage module includes layout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tored for each user, basic structure and related element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s information,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formation, and user-customized kitchen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kitchen appliance items and the kitchen drawing or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information edited by the user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은, 기 설정된 업종 및 메뉴 기준 거래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해당하는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를 도출한 후, 상기 도출된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에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추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analyzes transaction data based on preset industries and menus to derive a list of recommended kitchen appliance items corresponding to the industry and main menu desired by the user, and then generates a list of recommended kitchen appliance items. A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ation function can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custom-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s.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면적 및 주방구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도출된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에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면적 및 주방구조에 적합한 사용자 특성 맞춤형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를 도출한 후, 상기 도출된 사용자 특성 맞춤형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에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특성 맞춤형 주방기기 추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analyzes the user-customized kitchen area and kitchen structur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selects user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area and kitchen structure from the deriv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ed item list. After deriving a kitchen appliance recommendation item list, a kitchen appliance recommendation function tailored to user characteristics can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s from the deriv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ation item list customized to user characteristics.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에 대해 해당 사용자가 수동으로 사양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맞춤형 사양 수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may provide a user-customized specification modifica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modify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selected by the user.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은, 해당 사용자의 설정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구조에 필요한 기본 구조물의 배치를 설정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에 필요한 주방기기 품목별로 연계된 유관요소의 배치를 설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sets the arrangement of basic structures necessary for the structure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request, and also sets related elements linked to each kitchen equipment item required for the user's customized kitchen. You can set the plac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을 통해 설정되는 주방의 구조에 필요한 기본 구조물은 문과 창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에 필요한 주방기기 품목별로 연계된 유관요소는 수도, 가스, 및 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basic structure required for the kitchen structure set through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includes doors and windows, and related elements linked to each kitchen appliance item required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include water, gas, and electricity. It can be done including.

바람직하게,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로 추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만족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만족유무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a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that provides a user satisfaction selec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recommended by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may be further included. there is.

바람직하게,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at least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plac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can be lis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바람직하게,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별로 시세 정보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at least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plac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Price information can be derived for each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바람직하게,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견적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견적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at least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plac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 quote request message can be sent to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so that user-customized quotations can be provided for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바람직하게,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불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user selects dissatisfaction with at least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determines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according to the user's desired industry and main menu.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can be listed and provided on the display screen for resel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주방도면에 대한 제작 요청사항을 분석하여, 전문 프로그램 없이 웹(Web)과 모바일(Mobile)에서도 사용자 니즈(Needs)에 맞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의 제작을 보다 쉽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request for kitchen drawing is analyzed and user needs are met on the web and mobile without a professional program. ), there is the advantage of not only being able to check customized kitchen drawings that fit the requirements, but also making it easier to produce custom kitchen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외부의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을 통해 도면 기본정보 설정의 화면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주방기기 선택모듈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에 배치될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의 선택을 위한 화면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을 통해 제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되는 상태의 화면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xternal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tting basic drawing information through a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lecting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s to be placed in a user-customized kitchen through a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arranged in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produced through a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tailed below.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mbination of each block in the attached block diagram and each step in the flow 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ion engine), and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install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ince it can be mounted, the instructions executed through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create a means of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 diagram.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e instructions stored in can also produce manufactured items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 diagram.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a series of operation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the computer and run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 Instructions that perform possi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 diagram.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contain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blocks or steps referred to in the blocks or steps may represent a portion of code.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possible for function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for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to be performed substantially at the same time, an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blocks or steps to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s, if necess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외부의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을 통해 도면 기본정보 설정의 화면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주방기기 선택모듈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에 배치될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의 선택을 위한 화면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을 통해 제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되는 상태의 화면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pecif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xternal terminal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tting basic drawing information through a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shows a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lecting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s to be placed in a user-customized kitchen, and Figure 5 is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produced through a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크게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100),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150), 주방기기 선택모듈(200),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250), 주방도면 추천모듈(300), 및 전원공급모듈(3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주방도면 편집모듈(400),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450),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500),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600),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100, a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150, and a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a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250), a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and a power supply module (350). In addition,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400, a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450, a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editing module 500, and user satisfaction review. It may additionally include a module 550, a user kitchen information storage module 600, an external terminal 20 and/or a server 30, etc. Meanwhile,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5 are not essential, the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ere i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e will look in detail at the components of the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1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형태(예컨대,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및 크기(예컨대, 가로 및 세로 길이 등) 정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layout)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3 참조).The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100 creates a layout of a user-customized kitchen according to the shape (e.g., triangle, square, polygon, circle, oval, etc.) and size (e.g.,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 etc.) information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Performs the function of setting information (see Figure 3).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150)은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구조에 필요한 기본 구조물(예컨대, 문, 창문 등) 정보를 비롯하여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에 필요한 주방기기 품목별로 연계된 유관요소(예컨대, 수도, 가스, 전기 등)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3 참조).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15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basic structures (e.g., doors, windows, etc.) required for the structure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as well as related elements (e.g., water, gas, etc.) linked to each kitchen appliance item required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 electricity, etc.) performs the function of setting information (see Figure 3).

즉,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150)은 해당 사용자의 설정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구조에 필요한 기본 구조물의 배치를 설정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에 필요한 주방기기 품목별로 연계된 유관요소의 배치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150 sets the arrangement of the basic structures necessary for the structure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request, as well as related elements linked to each kitchen equipment item required for the user's customized kitchen. It is desirable to set the arrangement of .

또한,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150)을 통해 설정되는 주방의 구조에 필요한 기본 구조물은 문과 창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에 필요한 주방기기 품목별로 연계된 유관요소는 수도, 가스, 및 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sic structure required for the kitchen structure set through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150 preferably includes doors and windows, and the related elements linked to each kitchen equipment item required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include water, gas, and , and electricity.

주방기기 선택모듈(2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또는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예컨대, 사이즈, 기타 세부사양 등)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list)화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4 참조).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allows the user to select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s (e.g., size, other detailed specifications, et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ired industry and/or main menu.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by listing it on the display screen (see FIG. 4).

또한, 주방기기 선택모듈(200)은 기 설정된 업종 및/또는 메뉴 기준 거래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또는 주요 메뉴에 해당하는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를 도출한 후, 상기 도출된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에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추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analyzes transaction data based on a preset industry and/or menu to derive a list of recommended kitchen appliance items corresponding to the industry and/or main menu desired by the user, and then A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ation funct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custom-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nd/or specification from the appliance recommendation item list.

또한, 주방기기 선택모듈(200)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면적 및/또는 주방구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도출된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에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면적 및/또는 주방구조에 적합한 사용자 특성 맞춤형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를 도출한 후, 상기 도출된 사용자 특성 맞춤형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에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특성 맞춤형 주방기기 추천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analyzes the user-customized kitchen area and/or kitchen structur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selects the user-customized kitchen area and/or kitchen structure from the deriv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ation item list. After deriving an appropriate user characteristic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ed item list, a user characteristic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ation function allows the user to select user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s from the user characteristic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ed item list derived above. may also be provided.

또한, 주방기기 선택모듈(200)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에 대해 해당 사용자가 수동으로 사양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맞춤형 사양 수정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도 4 참조).Additionally,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may provide a user-customized specification modifica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modify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selected by the user (see FIG. 4).

한편,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100),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150), 및/또는 주방기기 선택모듈(200)은 예컨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별도의 표시모듈(미도시)에 표시된 주방의 형태 및 크기, 주방의 구조에 필요한 기본 구조물, 주방에 필요한 주방기기 품목별로 연계된 유관요소, 및/또는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등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100,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150, and/or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may, for example, configure the shape of the kitchen displayed on a separate display module (not shown) by the user's operation. and a user input unit (not shown) that outputs a user input signal for setting the size, basic structure necessary for the structure of the kitchen, related elements linked to each kitchen appliance item, and/or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s, etc. It is desirable to include.

이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통상적으로 마우스 및/또는 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리모콘,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장치(예컨대, 키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user input unit is preferably comprised of a mouse and/or keyboard,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 some cases may be a remote control, a touch panel (static pressure/capacitive) input by the user's touch, or a separate input unit. It may be comprised of a device (eg, keypad dome switch, jog wheel, jog switch, etc.).

한편, 상기 표시모듈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의 영상, 문자 또는 문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module may includ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Flexible Display, Plasma Display Panel (PDP), Alternate Surface Lighting (ALiS), Digital Light Source Processing (DLP), Liquid Crystal of Silicon (LCoS), Surface Conductive Electron-emitting device displays (SED), field emission displays (FED), laser TV (quantum dot laser, liquid crystal laser), optoelectric liquid display (FLD),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iMoD), thick film dielectric electric (TDEL), quantum dot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of a display (QD-LED), a telescopic pixel display (TPD), an organic light emitting transistor (OLET), a laser fluorescent display (LPD), and a 3D display. It can include anything as long as it can display at least one of video, text, or document data or display user setting information.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250)은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100)로부터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데이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150)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또는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및/또는 주방기기 선택모듈(200)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데이터를 각각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비지도 학습법(Un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250 includes layou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100, and basic structure and/or related el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150. , and/or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selec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based on this, an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is used to select a kitchen appliance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It performs the function of extracting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with characteristics.

이때, 상기 비지도 학습법(Unsupervised Learning)은 특정 입력에 대하여 올바른 정답이 없는 데이터 집합이 주어지는 경우의 학습을 말하며, 데이터를 비슷한 특성을 가진 부류로 묶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이 있으며, 데이터의 숨겨진 특징이나 구조를 발견하는데 도움이 된다.At this time, the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refers to learning when a data set without the correct answer for a specific input is given. There is a clustering algorithm that groups data into class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nd hidden features or structures of the data are used. It helps to discover.

주방도면 추천모듈(300)은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250)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에 대해 해당 사용자의 설정정보들(예컨대,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설정정보,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또는 유관요소 설정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설정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정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 설정 일치도를 분석한 후, 상기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의 사용자 설정 일치도들 중 기 설정된 기준 사용자 설정 일치도(예컨대, 약 85%~95% 등) 이상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 설정 일치도가 큰 순서대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순위를 선정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provides the user's setting information (e.g., layout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basic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extracted from the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250. After analyzing user setting consistency by applying at least one user setting information (structure and/or related element setting information, user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nd/or specification setting information, etc.), the user of the extracted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If there is a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is higher than the preset standard user-setting consistency (e.g., about 85% to 95%, etc.) among the settings matching degrees,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are ranked in the order of the user setting consistency and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user. Performs recommended functions.

또한, 주방도면 추천모듈(300)은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250)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에 대해 해당 사용자의 설정정보들에 따라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용자 설정 일치도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has a function of analyzing the degree of matching of user settings by assigning a preset weight to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extracted from the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250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주방도면 추천모듈(300)은 사용자 설정 일치도가 큰 순서대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순위를 선정한 후, 기 설정된 순위내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을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may perform a function of selecting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in order of greatest consistency with user settings and then recommending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within a preset ranking to the user.

또한, 주방도면 추천모듈(300)은 해당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의 추천 시 해당 사용자가 상기 추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2차원(2D) 및/또는 3차원(3D) 도면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commen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o the user,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recommends a two-dimensional (2D) and/or three-dimensional drawing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easily view the recommended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3D)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screen in the form of a drawing.

또한, 주방도면 추천모듈(300)은 상기 추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정보데이터를 통신망(10)을 통해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transmits the recommended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information data to the external terminal 20 and/or server 30 through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t can perform the function:

이때, 통신망(10)은 이더넷(Ethernet) 또는 이동 통신망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preferably made of Ethernet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a high-speed backbone network of a larg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high-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high-speed multimedia service. It may be a next-generation wireless network that includes Wi-Fi, WiGig,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주방도면 추천모듈(300)이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다.The Internet includes the TCP/IP protocol and various services existing at its upper layer, such as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 (File Transfer Protocol), DNS (Domain Name System),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It refers to a global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that provides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 (Network File Service), NIS (Network Information Service), etc., and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is connected to external terminals 20 and /Or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allows connection to the server 30. Meanwhile, the Internet may be wired or wireless Internet, or it may also be a core network integrated with a wired public network,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portable Internet.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주방도면 추천모듈(300)과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f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 example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yp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Meanwhile, although the WCDMA network was used as an example, it can be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3G LTE network, 4G network, or 5G network, or any other IP-based IP network. This communication network 10 serves to mutually transfer signals and data between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and the external terminal 20 and/or server 30.

그리고, 전원공급모듈(350)은 전술한 각 모듈들 즉,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100),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150), 주방기기 선택모듈(200),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250), 주방도면 추천모듈(300), 주방도면 편집모듈(400),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450),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500),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 및/또는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600)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상용 교류(AC) 전원(예컨대, AC 220V 또는 380V 등)을 직류(DC) 및/또는 교류(AC)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module 350 includes each of the above-mentioned modules, namely, the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100,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150,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the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250,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400),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450),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editing module (500),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and/or storing user kitchen information.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dule 600, etc., and for continuous power supply, commercial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e.g., AC 220V or 380V, etc.) is used as direct current (DC) and/or alternating current (AC).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it to be converted to AC) power,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also be implemented including a normal portable battery (Battery).

또한, 전원공급모듈(350)에는 외부의 전원 충격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고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ESD(Electro Static Damage) 보호기, 전원 감지기, 정류기 및 전원 차단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wer supply module 35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unit (not shown) that protects components from external power shock and outputs a constant voltage. The power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n ESD (Electro Static Damage) protector, a power detector, a rectifier, and a power breaker.

여기서, 상기 ESD 보호기는 정전기 또는 급격한 전원 충격으로부터 전장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감지기는 허용 전압 범위 외의 전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전원 차단기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 변화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 신호를 상기 정류기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하여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의 정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차단기는 상기 전원 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단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Here, the ESD protector is configured to protect electrical components from static electricity or sudden power shock. The power detector is configured to send a cut-off signal to the power breaker when a voltage outside the allowable voltage range is introduced, and to transmit a step-up or step-down signal to the rectifier according to voltage changes within the allowable voltage range. The rectifier is configured to perform a step-up or step-down rectif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power detector to minimize fluctuations in input voltage and supply a constant voltage. The power breaker is configured to cut off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according to a cutof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wer detector.

추가적으로, 주방도면 편집모듈(400)은 해당 사용자의 편집요청에 따라 주방도면 추천모듈(300)을 통해 추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을 해당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도면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dditionally,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400 selects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recommended through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in response to the user's editing request. It provides a drawing editing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edit it.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450)은 주방도면 추천모듈(300)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의 사용자 설정 일치도들 중 기 설정된 기준 사용자 설정 일치도 이상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100)로부터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데이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150)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또는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및/또는 주방기기 선택모듈(200)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데이터를 각각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작 및 생성한 후, 해당 사용자 맞춤형 유관요소와 인접한 필요 유관품목(예컨대, 수도의 유관요소의 근처에 싱크대의 유관품목을 배치)을 우선순위로 상기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상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을 자동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450 does not have a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with a matching level higher than a preset standard among the user-set matching drawings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extracted through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Layou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layout setting module 100, basic structure and/or related el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150, and/or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 each of the selecte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is provided, and based on this, a custom-customized kitchen drawing desired by the user is produced and generated, and then necessary related items adjacent to the user-customized related elements (e.g., water supply) are provided. It perform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rranging the selecte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on the produced and generated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with priority (placement of the sink's related items near related elements of ).

또한,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450)은 상기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을 통해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100)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또는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및/또는 주방기기 선택모듈(200)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데이터를 비롯한 기 설정된 각 유관요소와 인접한 필요 유관품목 정보데이터를 분석하여 주방기기 자동 배치를 위한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구축한 후, 상기 구축된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상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을 자동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450 is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100 through a preset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machine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produced and generated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Basic structure and/or related el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kitchen, and/or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selec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as well as necessary related item information data adjacent to each preset related element. After analyzing and construc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for automatic placement of kitchen appliances, a function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place the selecte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on the produced and created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using the constructe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It can be done.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500)은 해당 사용자의 편집요청에 따라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450)을 통해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을 해당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배치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주방기기 배치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kitchen appliance placement editing module 500 allows the user to manually edit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that are automatically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produced and created through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450 according to the user's edit request. It provides a kitchen appliance layout editing function so that it can be placed and edited.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도면 추천모듈(300)로 추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만족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만족유무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provides a user satisfaction selec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recommended by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Perform.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만족을 선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리스트(list)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at least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is arrang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listing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m on the display screen.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만족을 선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별로 시세 정보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at least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is arrang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deriving price information for ea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screen.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만족을 선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견적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로 견적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at least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is arrang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It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quotation request message to the external terminal 20 and/or the server 30 so that user-customized quotations can be provided for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불만족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또는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예컨대, 주방기기 선택모듈(200)을 통해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dissatisfaction with at least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provides customization according to the user's desired industry and/or main menu. For example,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listing and providing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on a display screen so that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can be reselected.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도면 편집모듈(400)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만족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만족유무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provides a user satisfaction selec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400. It can perform the function: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도면 편집모듈(400)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400,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with the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select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listing the place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m on the display screen.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도면 편집모듈(400)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별로 시세 정보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400,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with the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selected by the user.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deriving price information for each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placed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screen.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도면 편집모듈(400)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견적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0)로 견적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400,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with the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selected by the user.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quotation request message to the external terminal 20 and/or the server 300 may be performed so that user-customized quotations can be provided for the deploye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도면 편집모듈(400)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불만족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또는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예컨대, 주방기기 선택모듈(200)을 통해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400,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operates according to the user's desired industry and/or main menu. For example,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listing and providing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on a display screen so that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can be reselected.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450)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만족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만족유무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450,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or dissatisfied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It can perform a function that provides a function to select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or not.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450)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450, and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listing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automatically placed in a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nd displaying them on the display screen.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450)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별로 시세 정보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450, and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deriving price information for each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utomatically placed in the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selected by the user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screen.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450)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견적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로 견적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450, and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Sending a quote request message to the external terminal 20 and/or server 30 so that user-customized quotations can be provided for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utomatically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by the user. It can perform its function.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450)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불만족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또는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예컨대, 주방기기 선택모듈(200)을 통해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450, and when the user selects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the user For example,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are listed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so that the user can re-select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ired industry and/or main menu. You can perform the functions provided.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500)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만족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만족유무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has a user satisfaction selec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whether he or she is satisfied or dissatisfied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edited with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from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editing module 500.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providing.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500)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whos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has been edi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editing module 500, the user-satisfied review module 55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with the customized kitchen drawing select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listing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placed in and displaying them on the display screen.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500)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별로 시세 정보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whos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has been edi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editing module 500, the user-satisfied review module 55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with the customized kitchen drawing select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deriving price information for ea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placed in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screen.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500)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견적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로 견적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whos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has been edi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editing module 500, the user-satisfied review module 55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satisfied with the customized kitchen drawing select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sending a quote request message to the external terminal 20 and/or server 30 so that user-customized quotations can be provided for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placed in .

또한,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550)은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500)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불만족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또는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예컨대, 주방기기 선택모듈(200)을 통해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edited with the kitchen appliance layout from the kitchen appliance layout editing module 500,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550 is used to select the user's desired industry and/or main menu. For example,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listing and providing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on a display screen so that the user can re-select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600)은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100)로부터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데이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150)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또는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주방기기 선택모듈(200)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데이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450)로부터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 정보데이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450)로부터 자동 배치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의 배치 정보데이터, 및/또는 해당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주방도면 및/또는 주방기기 배치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별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또는 유관요소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의 배치 정보, 및/또는 해당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주방도면 및/또는 주방기기 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user kitchen information storage module 600 includes layout information data of a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100, and basic structure and/or related el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150. ,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selec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00,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formation data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450, and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450.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data is provided among the layout information data of kitchen appliance items customized to the user automatically arranged from the user, and/or the kitchen drawing and/or kitchen appliance layout information data edited by the user, and based on this, the user is assigned to each user. Layout information of a customized kitchen, basic structure and/or related element information of a user-customized kitchen,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formation, placement information of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the relevant user. It performs the function of converting at least one of the kitchen drawings and/or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information edited by into a database (DB) to store and manage.

또한,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600)은 해당 사용자별로 저장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또는 유관요소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의 배치 정보, 및/또는 해당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주방도면 및/또는 주방기기 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통신망(10)을 통해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kitchen information storage module 600 stores layout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tored for each user, basic structure and/or related element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placement information of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kitchen drawings and/or kitchen appliance placement information edited by the user is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by wired and/or wirelessly.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o an external terminal 20 and/or server 30 can be performed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또한,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600)은 전술한 각 모듈들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user kitchen information storage module 600 may perform a function of storing and maintaining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each of the above-described modules and at least one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code.

이러한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600)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is user kitchen information storage module 600 includes, for exampl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memory (e.g., SD or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전술한 각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such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of each of the modules described abov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600)에 저장되고, 전술한 각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a separate software module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n appropriate programming language. Additionally,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the user kitchen information storage module 600 and can be executed by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modules.

그리고,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는 미리 설치된 주방도면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방도면 추천모듈(300)로 전송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을 2차원(2D) 및/또는 3차원(3D) 도면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external terminal 20 and/or the server 30 receives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to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through a pre-installed kitchen drawing-related application and uses it to create a customized kitchen drawing information data for the user.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roviding a service to display kitchen candidate drawings on the display screen in two-dimensional (2D) and/or three-dimensional (3D) drawing form.

또한, 외부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는 미리 설치된 주방도면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600)로부터 전송된 해당 사용자별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또는 유관요소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또는 사양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의 배치 정보, 및/또는 해당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주방도면 및/또는 주방기기 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별 각종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거나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terminal 20 and/or the server 30 may store the layout information of the user-specific kitchen and the basics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transmitted from the user kitchen information storage module 600 through a pre-installed kitchen drawing-related application. Structure and/or related element information,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specification information,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formation, placement information of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or kitchen drawings and/or kitchen appliances edited by the user. You can receive at least one piece of batch information and use it to visually check various information for each user or store and manage it in a database (DB).

한편, 전술한 외부의 단말(2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및/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 시스템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주방도면 추천모듈(3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시스템을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xternal terminal 20 is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syste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mart Phone, Smart Pad, and/or Smart Note that communicates via wireless Internet or mobile Internet.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a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in addition to a Palm PC, mobile game console (Mobile play-station),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hone with communication function, tablet PC, iPad, etc. It can comprehensively refer to all wired and wireless home appliances/communication systems that have a user interface for access.

이러한 외부의 단말(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21), A/V(Audio/Video) 입력모듈(22), 사용자 입력모듈(23), 센싱모듈(24), 출력모듈(25), 저장모듈(26), 인터페이스 모듈(27), 단말 제어모듈(28) 및 전원모듈(2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외부의 단말(2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is external terminal 2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 an audio/video (A/V) input module 22, a user input module 23, a sensing module 24, It may include an output module 25, a storage module 26, an interface module 27, a terminal control module 28, and a power module 29. Meanwhile,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the external terminal 20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이하, 외부의 단말(2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etailed look at the components of the external terminal 20 is as follows.

무선 통신모듈(21)은 외부의 단말(20)과 주방도면 추천모듈(300) 및/또는 서버(3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21)은 방송 수신 모듈(21a), 이동 통신 모듈(21b), 무선 인터넷 모듈(21c), 근거리 통신 모듈(21d) 및 위치 정보 모듈(21e)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20 and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and/or the server 30.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 may include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21a,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b, a wireless Internet module 21c,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d,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21e.

방송 수신 모듈(21a)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21a receives broadcast signals (e.g., TV broadcast signals, radio broadcast signals, data broadcast signals, etc.) and/or broadcasts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various broadcast channels (e.g., satellite channels, terrestrial channels, etc.). Receive relevant information.

이동 통신 모듈(21b)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20),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b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signals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20,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resulting from voice call signals, video call signals, or text/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21c)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외부의 단말(2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1c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to or external to the external terminal 20. For example, WLAN (Wi-Fi), Wibro, Wimax, HSDPA, LTE, etc. may be used as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근거리 통신 모듈(21d)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d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Bluetooth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or infrared (IR) communication. It can be used.

위치 정보 모듈(21e)은 외부의 단말(2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외부의 단말(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21e is a module for confirm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 and can obtai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 using GPS (Global Position System), etc.

한편,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21)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26)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버(30) 및/또는 주방도면 추천모듈(3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the server 30 and /Or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00.

A/V 입력모듈(22)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22a)와 마이크부(22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22a)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22b)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The A/V input module 22 is a module for inputting audio signals or video signals, and may basically include a camera unit 22a and a microphone unit 22b. The camera unit 22a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video call mode or shooting mode. The microphone unit 22b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all mode, recording mode,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it into electrical voice data.

사용자 입력모듈(23)은 외부의 단말(2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25)의 디스플레이부(25a)를 통해 표시되는 데이터 관리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The user input module 23 is a module that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 and in particular, any one of the data management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5a of the output module 25. It performs the function of inputting a selection signal,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touch panel (static pressure/electrostatic) input by the user's touch, or using a separate input device (e.g., key pad dome switch, jog wheel, jog switch, etc.) It can be entered as follows.

센싱모듈(24)은 외부의 단말(20)의 개폐 상태, 외부의 단말(2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외부의 단말(20)의 방위, 외부의 단말(2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외부의 단말(2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외부의 단말(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28)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28)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The sensing module 24 monitor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external terminal 20,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user's touch operation on a specific part, the orient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 and the external terminal 20. It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external terminal 20, such as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 This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and can become the basis for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출력모듈(25)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a),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및 햅틱부(25d)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module 25 is a module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ion, hearing, or tactile sensation, and basically includes a display unit 25a, an audio output unit 25b, an alarm unit 25c, and a haptic unit 25d. You can.

디스플레이부(25a)는 외부의 단말(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외부의 단말(2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25a is for display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external terminal 20.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terminal 20 is in a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related to the call is displayed. ) is displayed, and in the case of video call mode or shooting mode, the captured and/or received video, UI, or GUI is displayed.

음향출력부(25b)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21)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26)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audio output unit 25b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 or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6, for example, in call signal reception, communication mode or recording mode, voice recognition mode, broadcast reception mode, etc. .

알람부(25c)는 외부의 단말(2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의 단말(2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The alarm unit 25c may output a signal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external terminal 2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external terminal 2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햅틱부(25d)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25d)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25d)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The haptic unit 25d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unit 25d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portion 25d can be controlled.

저장모듈(26)은 단말 제어모듈(28)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module 26 can store programs for operating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and can also temporarily store input/output data (eg, phone book, messages, still images, videos, etc.).

또한, 저장모듈(26)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주방도면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orage module 26 can store data on various patterns of vibration and sound output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and can store an application program related to kitchen drawings.

또한, 저장모듈(26)은 주방도면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주방도면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방도면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module 26 can store source data for forming kitchen drawing-related information, and the kitchen drawing-related data can be in the form of images and sounds, and the creation of related data about the kitchen drawing progresses. Processes and results can also be saved.

이러한 저장모듈(26)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se storage modules 26 include flash memory type, hard disk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SRAM, ROM, EEPROM, and PROM. ,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외부의 단말(2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의 단말(2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외부의 단말(2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module 27 serves as a passageway for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20. The interface module 27 transmits data or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external terminal 20, or transmits data inside the external terminal 20 to the external device.

단말 제어모듈(28)은 통상적으로 외부의 단말(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20 and performs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for example,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execution of various applications.

즉, 단말 제어모듈(28)은 저장모듈(26)에 저장된 주방도면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방도면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주방도면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주방도면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other words,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controls the kitchen drawing-related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6 to be executed, requests the creation of kitchen drawing-related data through execution of the kitchen drawing-related application program, and generates a kitchen drawing related thereto. It performs a control function to ensure that relevant data is provided.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상기 주방도면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도면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25a)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햅틱부(25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displays auxiliary elements including at least one of video, voice, or soun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kitchen drawing-related data desired by the user through execution of the kitchen drawing-related application program to the display unit 25a and I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output through at least one of other output devices (e.g., audio output unit 25b, alarm unit 25c, haptic unit 25d, etc.).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배터리부(29a)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26)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26)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can constantly monitor the charging current and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unit 29a and temporarily store the monitoring values in the storage module 26. At this time, the storage module 26 preferably stores not only battery charging status information such as monitored charging current and charging voltage, but also battery spec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code, rating, etc.).

전원모듈(29)은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29)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29a)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The power module 29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e power module 29 operates by supplying power from the built-in battery unit 29a to each component, and the battery can be charged using a charging terminal (not shown).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such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26)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a separate software module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n appropriate programming language. Additionally, the software code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6 and executed by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8.

만약, 외부의 단말(2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f the external terminal 20 is made of a smartphone, the smartphone, unlike a general cell phone (so-called feature phone), can downloa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desired by the user, freely use them, and delete them. As a phone based on an open operating system, it is a phone that has commonly used functions such as voice/video calls and internet data communication, as well as any mobile phone with a mobile office function or any internet connection that does not have a voice call function but can access the internet.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it as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phone or tablet PC.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As such, smartphones use an open operating system, so unlike mobile phones with a closed operating system, users can install and manage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t will.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o modify and implement it, and thi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
150 :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
200 : 주방기기 선택모듈,
250 :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
300 : 주방도면 추천모듈,
350 : 전원공급모듈,
400 : 주방도면 편집모듈,
450 :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
500 :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
550 :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
600 :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
100: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150: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200: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250: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300: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350: power supply module,
400: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450: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500: Kitchen appliance placement editing module,
550: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600: User kitchen information storage module

Claims (37)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형태 및 크기 정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를 설정하는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구조에 필요한 기본 구조물 정보를 비롯하여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에 필요한 주방기기 품목별로 연계된 유관요소 정보를 설정하는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주방기기 선택모듈;
상기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데이터, 상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및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데이터를 각각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비지도 학습법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을 추출하는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 및
상기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에 대해 해당 사용자의 설정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정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 설정 일치도를 분석한 후, 상기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의 사용자 설정 일치도들 중 기 설정된 기준 사용자 설정 일치도 이상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 설정 일치도가 큰 순서대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순위를 선정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주방도면 추천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that sets the layout information of a user-customized kitchen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information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A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that sets basic structur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tructure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as well as related element information linked to each kitchen appliance item required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A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that lists and provides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ired industry and main menu;
Layou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basic structure and related el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an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selec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and a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that receives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and extracts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tchen desired by the user using an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based on this; and
After analyzing user setting consistency by applying at least one user setting information among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to the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extracted from the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the extracted user 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If there is a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is higher than the pre-set standard user-setting match among the user-setting matches,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is ranked in the order of the user-setting match, and the user includes a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that recommends it to the user. A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kitchen drawing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은, 상기 주방 후보도면 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에 대해 해당 사용자의 설정정보들에 따라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용자 설정 일치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is a user-customized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analyzes the degree of matching of user settings by assigning a preset weight to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extracted from the kitchen candidate drawing extra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information. A device for providing kitchen drawing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은, 사용자 설정 일치도가 큰 순서대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순위를 선정한 후, 기 설정된 순위내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을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provides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selects the rankings of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in order of greatest match to user settings, and then recommends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within a preset ranking to the user. device f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은, 해당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의 추천 시 해당 사용자가 상기 추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2차원 또는 3차원 도면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when recommen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o the user, displays the recommended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on the display screen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drawing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easily view the recommended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 device for providing a customized kitchen draw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은, 상기 추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정보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is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mmended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information data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는, 미리 설치된 주방도면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로 전송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을 2차원 또는 3차원 도면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external terminal or server receives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to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through a pre-installed kitchen drawing-related application and uses this to create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drawing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 device for providing a 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service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in the form of a kitchen drawing.
제1 항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의 편집요청에 따라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을 통해 추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을 해당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도면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주방도면 편집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rawing editing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manually edit any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recommended through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editing request.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that provide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편집모듈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만족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만족유무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that provides a user satisfaction selec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A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kitchen drawing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편집모듈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provides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lists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plac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screen. device fo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편집모듈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별로 시세 정보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derives price information for ea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screen. Devi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편집모듈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견적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견적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transmits a quote request message to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so that a user-customized quotation can be provided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 device for providing a customized kitchen drawing.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편집모듈로부터 도면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불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If the user selects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edited from the kitchen drawing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lists and provides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user can re-select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ired industry and main menu.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의 사용자 설정 일치도들 중 기 설정된 기준 사용자 설정 일치도 이상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데이터, 상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및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데이터를 각각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작 및 생성한 후, 해당 사용자 맞춤형 유관요소와 인접한 필요 유관품목을 우선순위로 상기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상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을 자동 배치하는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f there is no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with a matching level higher than the pre-set standard user-setting among the user-setting matching levels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extracted through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the layout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Information data, basic structure and related el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an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selec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based on this, the user After producing and creating a desired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a kitchen drawing that automatically places the selecte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in the produced and created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with priority given to the user-customized related elements and necessary related items adjacent to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A device for providing a 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roduction engine modul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은, 상기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인공지능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을 통해 상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및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데이터를 비롯한 기 설정된 각 유관요소와 인접한 필요 유관품목 정보데이터를 분석하여 주방기기 자동 배치를 위한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구축한 후, 상기 구축된 인공지능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상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을 자동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generates basic structure and related element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through a prese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achine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produced and generated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After construc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for automatic placement of kitchen appliances by analyzing the data and the necessary related item information data adjacent to each preset related element, including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selec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e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in the produced and generated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using the constructe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만족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만족유무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A user satisfaction selection function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whether he or she is satisfied or dissatisfied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nd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further comprising a satisfaction review modul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If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nd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provides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lists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automatically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screen. A device for doing so.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별로 시세 정보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If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nd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provides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derives price information for ea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automatically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screen. device for.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견적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견적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If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nd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sends a quote request message to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so that user-customized quotations can be provided for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utomatically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제작 및 생성됨과 아울러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이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불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If the user selects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is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nd in whi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automatically placed,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lists and provides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user can re-select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ired industry and main menu. Device.
제13 항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의 편집요청에 따라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을 통해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자동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을 해당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배치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주방기기 배치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Kitchen appliance layout editing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place and edit custom kitchen appliance items that are automatically placed in the custom kitchen drawing produced and created through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editing request.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kitchen appliance layout editing module that provides.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만족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만족유무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20,
A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further included to provide a user satisfaction selec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edited with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from the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editing module. A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kitchen drawings with unique features.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21,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edited with the kitchen appliance layout from the kitchen appliance layout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lists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plac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screen. Device.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별로 시세 정보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21,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edited with the kitchen appliance layout from the kitchen appliance layout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derives price information for ea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screen. .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견적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견적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21,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edited with the kitchen appliance layout from the kitchen appliance layout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transmits a quotation request message to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so that a user-customized quotation can be provided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plac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selected by the user. A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kitchen drawings with unique features.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기기 배치 편집모듈로부터 주방기기 배치 편집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불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21,
If the user selects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edited with the kitchen appliance layout from the kitchen appliance layout editing module,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lists and provides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user can re-select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ired industry and main menu. Devic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 레이아웃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데이터, 상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로부터 설정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데이터,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데이터,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제작 및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 정보데이터, 및 상기 주방도면 제작엔진모듈로부터 자동 배치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의 배치 정보데이터를 각각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별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 정보, 및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의 배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Layou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layout setting module, basic structure and related el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et from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an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s selected from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Information dat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formation data produced and generat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nd placement information data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utomatically arranged from the kitchen drawing production engine module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provided based on this. For each user, the layout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the basic structure and related elements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s informati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formation, and the placement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re created in a database (DB).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user kitchen information storage module that stores and manages the user's kitchen information.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주방정보 저장모듈은, 해당 사용자별로 저장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레이아웃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의 기본 구조물 및 유관요소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 정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의 배치 정보, 및 해당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주방도면 또는 주방기기 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use 26,
The user kitchen information storage module includes layout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stored for each user, basic structure and related element information of the user-customized kitchen,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s information,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information, and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arrangement information and the kitchen drawing or kitchen appliance arrangement information edited by the user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은, 기 설정된 업종 및 메뉴 기준 거래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해당하는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를 도출한 후, 상기 도출된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에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추천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analyzes preset industry and menu-based transaction data to derive a list of kitchen appliance recommended items corresponding to the industry and main menu desired by the user, and then selects the kitchen appliance recommended item list from the deriv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ed item list to the user.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ation function so that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s can be selected.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면적 및 주방구조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도출된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에서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면적 및 주방구조에 적합한 사용자 특성 맞춤형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를 도출한 후, 상기 도출된 사용자 특성 맞춤형 주방기기 추천 품목리스트에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특성 맞춤형 주방기기 추천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use 28,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analyzes the user-customized kitchen area and kitchen structure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and recommends kitchen appliances tailored to user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area and kitchen structure from the deriv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ation item list. After deriving the item list, a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ation function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s from the derived user-characteristics-customized kitchen appliance recommendation item list. A device for providing kitchen drawing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기기 선택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에 대해 해당 사용자가 수동으로 사양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맞춤형 사양 수정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kitchen appliance selection module is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user-customized specification modifica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modify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selected by the user.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은, 해당 사용자의 설정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의 구조에 필요한 기본 구조물의 배치를 설정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에 필요한 주방기기 품목별로 연계된 유관요소의 배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sets the layout of the basic structures necessary for the kitchen structure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request, and also arranges the related elements linked to each kitchen equipment item required for the user's customized kitchen.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by sett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 기본구조 설정모듈을 통해 설정되는 주방의 구조에 필요한 기본 구조물은 문과 창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해당 사용자 맞춤형 주방에 필요한 주방기기 품목별로 연계된 유관요소는 수도, 가스, 및 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ic structures required for the kitchen structure set through the kitchen basic structure setting module include doors and windows, and related elements linked to each kitchen equipment item required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include water, gas, and electricity. A device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면 추천모듈로 추천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또는 불만족의 만족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만족유무 선택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that provides a user satisfaction selec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with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recommended by the kitchen drawing recommendation module. A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kitchen drawings.
제33 항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use 33,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at least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provides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lists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placed o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screen. device for.
제33 항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별로 시세 정보를 도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use 33,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at least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derives price information for each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screen. Device.
제33 항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만족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맞춤형 견적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로 견적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use 33,
When the user selects satisfaction with at least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transmits a quote request message to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so that a user-customized quotation can be provided for the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placed in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that has been selected with satisfaction by the user. A device for providing a customized kitchen drawing.
제33 항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맞춤형 주방 후보도면에 대하여 불만족을 선택할 경우,
상기 사용자 만족유무 검토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 및 주요 메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주방기기 품목 및 사양 정보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리스트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주방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use 33,
If the user selects dissatisfaction with at least on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 among the user-customized kitchen candidate drawings,
The user satisfaction review module is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kitchen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lists and provides user-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user can re-select customized kitchen appliance item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ired industry and main menu. Device.
KR1020220035954A 2022-03-23 2022-03-23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kitchen drawing KR202301382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954A KR20230138206A (en) 2022-03-23 2022-03-23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kitchen dra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954A KR20230138206A (en) 2022-03-23 2022-03-23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kitchen draw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206A true KR20230138206A (en) 2023-10-05

Family

ID=8829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954A KR20230138206A (en) 2022-03-23 2022-03-23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kitchen draw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820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087A (en) 2009-03-16 2010-09-29 (주)케이엔케이아트프라자 3d preview and automatic estimation system for hoem interi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087A (en) 2009-03-16 2010-09-29 (주)케이엔케이아트프라자 3d preview and automatic estimation system for hoem interi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4598B1 (en) User customization of cards
EP2763094A1 (en) Method of displaying user interface on device, and device
US106357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placing the application visual control
KR102231754B1 (en) User Interface Displaying Method for Device and Device Thereof
CN106202308A (en) A kind of method of Information Sharing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40089697A (en) Operating Method of User Function based on a Face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41062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s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CN112667887B (en)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erver
CN107436712B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setting skin for calling menu
EP2453371A2 (en) Mobile terminal and metadata applying method thereof
KR20130123506A (en)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dule determina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9891405A (en) The method, system and medium of the presentation of video content on a user device are modified based on the consumption mode of user apparatus
CN108737551B (en) VR experiences equipment and VR broadcast management system
CN108769360A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2088624B1 (en) Image security apparatus with image advertising
CN106657841B (en) Recommendation of the channels method and apparatus
CN103873943B (en) A kind of OSD interactive interface display methods, terminal and system
CN106572131A (en) Media data sharing method and system in Internet of things
CN103051718A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dynamic standby interface and each level menu of mobile terminal
KR20230138206A (en)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kitchen drawing
CN114866793B (e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784186A (en) Terminal device, server,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2101093B1 (en) Misuse preventing system for normal controlling of electric power facilities
KR20230051328A (en)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disaster safe education contents based on metaverse
KR20230051329A (en)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disaster safe education contents based on metave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