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676A -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676A
KR20230137676A KR1020220035415A KR20220035415A KR20230137676A KR 20230137676 A KR20230137676 A KR 20230137676A KR 1020220035415 A KR1020220035415 A KR 1020220035415A KR 20220035415 A KR20220035415 A KR 20220035415A KR 20230137676 A KR20230137676 A KR 20230137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ressed air
unit
discharged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3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7676A/ko
Publication of KR2023013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67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005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ion of waste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002/125Heating; Cooling making use of wast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내에 설치된 에어 컴프레셔의 폐열을 회수하는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외부로부터 공기와 오일을 공급받아 상기 공기로부터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상기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오일과 상기 압축공기를 포함하는 혼합유체를 생성하는 공기압축부(100); 상기 혼합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혼합유체를 압축공기와 가열된 오일로 각각 분리시켜 배출하는 분리부(200); 상기 분리부(200)를 통해 분리 배출되어 유입된 상기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며, 상기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압축공기공급부(300); 일단이 상기 분리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분리부(200)를 통해 분리 배출되어 유입된 상기 가열된 오일이 이송되는 제1 오일이송로(410)와,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가열된 오일을 전달받아, 전달받은 상기 가열된 오일과의 열교환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여 배출하는 열교환기(420)를 포함하는 온수생성부(400);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열교환되어 배출된 오일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오일유입유로 측으로 이송시키는 오일순환공급부(500); 상기 오일순환공급부(500)로부터 배출된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냉각부(600);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열교환되어 배출된 오일과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에서 유입되는 상기 가열된 오일의 유량을 조절하는 온수생성제어부(700); 및 상기 오일냉각부(600)를 거쳐 냉각된 오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순환제어부(8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Heat recovery system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내에 설치된 에어 컴프레셔의 폐열을 회수하는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선박배출가스에 대한 기준 강화 및 세계 주요 국가의 배출규제해역(ECA, Emission Control Area)을 확대하는 등 전 세계 해역을 항행하는 선박들의 황산화물 배출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환경적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그에 따라 환경규제에 대비하기 위한 친환경 고효율·고연비 선박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선박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열회수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47506호와 같이, 선박에서 사용되는 공기압축기에서,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에 따라, 선박에서는 엔진시동, 선체 데크 또는 선실내 등에서 공기압축기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선박에서 설치되어 사용되는 다수의 공기압축기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등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폐열회수장치를 부가함으로써, 선박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하나, 종래의 폐열회수장치는 장치의 특성상 부피를 크게 차지하여 선박 내에 설치하기에 공간의 제약이 큰 문제가 있어,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선박에 도입하기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7506호 (2014.12.3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되어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에어 컴프레셔의 폐열을 회수하는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공기와 오일을 공급받아 상기 공기로부터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상기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오일과 상기 압축공기를 포함하는 혼합유체를 생성하는 공기압축부(100); 상기 혼합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혼합유체를 압축공기와 가열된 오일로 각각 분리시켜 배출하는 분리부(200); 상기 분리부(200)를 통해 분리 배출되어 유입된 상기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며, 상기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압축공기공급부(300); 일단이 상기 분리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분리부(200)를 통해 분리 배출되어 유입된 상기 가열된 오일이 이송되는 제1 오일이송로(410)와,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가열된 오일을 전달받아, 전달받은 상기 가열된 오일과의 열교환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여 배출하는 열교환기(420)를 포함하는 온수생성부(400);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열교환되어 배출된 오일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오일유입유로 측으로 이송시키는 오일순환공급부(500); 상기 오일순환공급부(500)로부터 배출된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냉각부(600);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열교환되어 배출된 오일과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에서 유입되는 상기 가열된 오일의 유량을 조절하는 온수생성제어부(700); 및 상기 오일냉각부(600)를 거쳐 냉각된 오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순환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온수생성제어부(700)는,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 상에 설치되되, 상기 분리부(200)를 통해 분리 배출되는 상기 가열된 오일이 일정 온도에 이르면 밸브가 열리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제1 서모스태틱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일순환제어부(800)는, 상기 오일순환공급부(5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열교환되어 배출된 오일이 일정 온도에 이르면 밸브가 열리면서 상기 오일냉각부(600)로 오일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 서모스태틱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는, 일측이 상기 제1 서모스태틱밸브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열교환기(420)에 결합되는 오일이송로가 히트파이프로 구성되어 열을 빠르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히트파이프는, 외면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피막이 형성되며, 내부 관벽은 구리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실 내에서 사용되는 생활용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등에 회수된 폐열을 재사용함으로써 선박 연비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되어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폐열 회수 시스템 내부에 냉각장치가 존재함으로써 에어 컴프레셔에 별도의 냉각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에어컴프레셔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은 크게 공기압축부(100), 분리부(200), 압축공기공급부(300), 온수생성부(400), 오일순환공급부(500), 오일냉각부(600), 온수생성제어부(700) 및 오일순환제어부(8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공기압축부(100)는, 외부로부터 공기압축실 내부로 공기와 오일을 공급받아, 구동수단에 의해 스크류부재가 구동됨에 따라 생성되는 압축공기와 상기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110)와, 일단이 상기 공기압축기(110)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압축기(110)에서 배출되는 상기 혼합유체가 이송되는 혼합유체배출유로(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부(200)는, 상기 공기압축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압축공기와 상기 가열된 오일을 포함하는 상기 혼합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혼합유체에 포함된 상기 압축공기와 상기 가열된 오일을 각각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분리기(2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분리기(210)는 세퍼레이터라고도 불리며, 이는 종래의 압축공기와 오일을 분리하는 장치를 다양하게 변형 적용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00)는, 일단은 상기 분리기(210)와 연결되어, 상기 분리기(210)를 통해 분리 배출되는 상기 압축공기가 유입되고, 타단은 압축공기저장수단 또는 압축공기수요수단과 연결되어 유입된 상기 압축공기가 이송되어 배출되는 압축공기이송로(310)와, 상기 압축공기이송로(31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는 압축공기냉각유닛(320)과, 상기 압축공기이송로(3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공기이송로(31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압축공기건조유닛(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축공기냉각유닛(320)은, 열교환수단 또는 팬구동식 냉각수단 등과 같이 상기 압축공기이송로(31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압축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종래의 냉각수단을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건조유닛(330)은, 수분이 포함된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배관 또는 연결된 장비 등 상기 압축공기저장수단 또는 상기 압축공기수요수단에서 부식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압축공기건조유닛(330)은 종래의 압축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가 다양하게 변형 적용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공기이송로(310) 상에는 상기 압축공기이송로(31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압축공기압력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압축공기압력센서는 종래의 기체나 액체의 압력변화를 감압소자에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다양한 압력센서로 적용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온수생성부(400)는, 일단이 상기 분리기(210)와 연결되어, 상기 분리기(210)를 통해 분리 배출되는 상기 가열된 오일이 이송되는 제1 오일이송로(410)와,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를 통해 이송되는 가열된 오일을 전달받아, 전달받은 가열된 오일과의 열교환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여 배출하는 열교환기(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420)는 본체의 내부로 물이 유입 및 유출되어 순환되는 구조를 갖는 수냉식 열교환기를 사용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공랭식 열교환기를 적용하여 과열로 인해 냉각팬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420)는 물과의 접촉에 의한 부식 및 녹물을 방지하며, 종래 열교환기에 비해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비내식성 금속재로 제작되며, 그 내면에 부식방지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식방지코팅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HCPP) 중에서 선택된 1종과 폴리알킬실리케이트 및 그라파이트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기(420) 상에는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생성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수온도센서와 온수의 공급량을 측정할 수 있는 온수공급량센서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오일순환공급부(500)는, 일단은 상기 열교환기(420)와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열교환되어 배출되는 오일이 유입되는 제2 오일이송로(510)와, 상기 제2 오일이송로(510)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오일이송로(510)를 통해 이송되어 배출되는 오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오일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제1 밸브유닛(520)과, 일단은 상기 제1 밸브유닛(520)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밸브유닛(520)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공급받아 상기 오일유입유로 측으로 이송시키는 냉각오일순환유로(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오일냉각부(600)는, 일단과 타단은 모두 상기 제1 밸브유닛(520)과 연결되어, 일단을 통해 상기 제1 밸브유닛(520)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공급받아 오일냉각유닛(610)을 통해 오일을 냉각시켜 타단을 통해 상기 제1 밸브유닛(520)으로 냉각된 오일을 다시 재공급하는 오일냉각유로(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온수생성제어부(700)는, 상기 제2 오일이송로(510) 상에 설치되되,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열교환된 오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오일온도센서와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열교환된 오일과 제1 오일이송로(410)에서 유입되는 가열된 오일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1 밸브유닛(520)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제2 밸브유닛(7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수생성제어부(700)는,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기(210)를 통해 분리 배출되는 상기 가열된 오일이 일정 온도에 이르면 밸브가 열리면서 상기 가열된 오일이 상기 열교환기(210)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1 서모스태틱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1 서모스태틱밸브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열교환기(420)에 결합되는 오일이송로가 히트파이프로 구성되어 열을 빠르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히트파이프는, 외면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피막이 형성되며, 내부 관벽을 구리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히트파이프의 외면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하고, 내면은 구리 재질로 구성하여 종래의 히트파이프가 가지고 있는 열효율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히트파이프의 재료비 및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분리기(210)에서 배출된 상기 가열된 오일의 온도가 높을 경우(예:60℃ 이상) 상기 열교환기(420)로 보내지고, 온도가 낮을 경우(예:60℃ 이하) 상기 제2 밸브유닛(710)으로 보내져 빨리 상기 오일이 냉각되어 상기 공기압축기(110)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제2 밸브유닛(710)으로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에서 유입되는 상기 가열된 오일과 상기 열교환기(420)에서 유입되는 상기 오일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유입 유량 변화에 따른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오일순환제어부(800)는, 상기 제1 밸브유닛(520)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오일냉각유닛(610)을 거쳐 냉각된 오일이 상기 오일냉각유로(620)를 통해 유입되어, 오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 상기 냉각오일순환유로(530)로 공급하는 오일필터(810)를 더 포함하는 오일순환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일순환제어부(800)는, 상기 제1 밸브유닛(520)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열교환되어 배출되는 오일이 일정 온도에 이르면 밸브가 열리면서 상기 오일냉각유닛(610)으로 오일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 서모스태틱밸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서모스태틱밸브를 통해 열교환되어 배출되는 상기 오일의 온도가 낮을 경우(예:40℃ 이하) 상기 오일냉각유닛(610)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상기 오일필터(810)로 이송시켜 마모된 금속 가루나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정화하여 상기 공기압축기(110)로 상기 오일을 이송하여 상기 오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의 상기 공기압축부(100), 상기 분리부(200), 상기 압축공기공급부(300), 상기 온수생성부(400), 상기 오일순환공급부(500), 상기 오일냉각부(600), 상기 온수생성제어부(700) 및 상기 오일순환제어부(800)는 하나의 장치로 이루어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더불어, 상기 제1 밸브유닛(520)이, 상기 제1 오일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오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2 오일이송로(5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오일을 상기 오일냉각유로(620)와 상기 냉각오일순환유로(530) 중 한 곳으로 상기 제2 오일이송로(5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오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밸브유닛을 통해 오일 냉각 및 오일 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체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은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되어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냉각유닛(320) 및 상기 오일냉각유닛(61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나의 냉각수단에 의해 압축공기와 유일을 모두 냉각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다 간소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오일온도센서, 상기 제2 오일온도센서, 상기 온수온도센서, 상기 온수공급량센서 및 상기 압축공기압력센서를 통해 온수온도, 온수공급량, 부하/무부하 전력, 압력 등의 값을 센서를 통해 실시간 확인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공기압축부
110 : 공기압축기
120 : 혼합유체배출유로
200 : 분리부
210 : 분리기
300 : 압축공기공급부
310 : 압축공기이송로
320 : 압축공기냉각유닛
330 : 압축공기건조유닛
400 : 온수생성부
410 : 제1 오일이송로
420 : 열교환기
500 : 오일순환공급부
510 : 제2 오일이송로
520 : 제1 밸브유닛
530 : 냉각오일순환유로
600 : 오일냉각부
610 : 오일냉각유닛
620 : 오일냉각유로
700 : 온수생성제어부
710 : 제2 밸브유닛
800 : 오일순환제어부
810 : 오일필터

Claims (5)

  1. 외부로부터 공기와 오일을 공급받아 상기 공기로부터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상기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오일과 상기 압축공기를 포함하는 혼합유체를 생성하는 공기압축부(100);
    상기 혼합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혼합유체를 압축공기와 가열된 오일로 각각 분리시켜 배출하는 분리부(200);
    상기 분리부(200)를 통해 분리 배출되어 유입된 상기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며, 상기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압축공기공급부(300);
    일단이 상기 분리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분리부(200)를 통해 분리 배출되어 유입된 상기 가열된 오일이 이송되는 제1 오일이송로(410)와,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가열된 오일을 전달받아, 전달받은 상기 가열된 오일과의 열교환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여 배출하는 열교환기(420)를 포함하는 온수생성부(400);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열교환되어 배출된 오일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오일유입유로 측으로 이송시키는 오일순환공급부(500);
    상기 오일순환공급부(500)로부터 배출된 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냉각부(600);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열교환되어 배출된 오일과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에서 유입되는 상기 가열된 오일의 유량을 조절하는 온수생성제어부(700); 및
    상기 오일냉각부(600)를 거쳐 냉각된 오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순환제어부(800);를 포함하는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생성제어부(700)는,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 상에 설치되되, 상기 분리부(200)를 통해 분리 배출되는 상기 가열된 오일이 일정 온도에 이르면 밸브가 열리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제1 서모스태틱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순환제어부(800)는,
    상기 오일순환공급부(5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420)를 통해 열교환되어 배출된 오일이 일정 온도에 이르면 밸브가 열리면서 상기 오일냉각부(600)로 오일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 서모스태틱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일이송로(410)는,
    일측이 상기 제1 서모스태틱밸브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열교환기(420)에 결합되는 오일이송로가 히트파이프로 구성되어 열을 빠르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는,
    외면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피막이 형성되며, 내부 관벽은 구리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KR1020220035415A 2022-03-22 2022-03-22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KR20230137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415A KR20230137676A (ko) 2022-03-22 2022-03-22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415A KR20230137676A (ko) 2022-03-22 2022-03-22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676A true KR20230137676A (ko) 2023-10-05

Family

ID=8829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415A KR20230137676A (ko) 2022-03-22 2022-03-22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76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506A (ko) 2013-06-20 2014-12-30 주식회사동방에이티 폐열 회수를 위한 공기 압축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506A (ko) 2013-06-20 2014-12-30 주식회사동방에이티 폐열 회수를 위한 공기 압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9692C (en) Flue gas cooling and cleaning system
KR101328401B1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장치
KR102144662B1 (ko) 일체형 공기압축기 폐열회수장치
CN112983825B (zh) 空气压缩系统
KR20110022634A (ko) 순산소 연소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방법과 시스템
CN101778758A (zh) 船舶的机械布置结构
CN108141155A (zh) 热电发电装置和燃料储存罐的发热装置和废热回收系统
KR102240006B1 (ko) 선박용 에어컴프레셔 폐열회수 시스템
US20130300038A1 (en) Integrated gas cooling system for electric arc furnace
KR20230137676A (ko)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KR20130101723A (ko) 증기의 소모없이 용존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선박의 폐열회수시스템
RU2340785C1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оты отходящих газов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суд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5629341B2 (ja) 船舶機関室のタンク加熱システム
NO331938B1 (no) Fremgangsmate og system for energigjenvinning og/eller kjoling
CN103322634A (zh) 一种船用主机冷却水余热利用装置
JP5504394B2 (ja) ディーゼル機関の排熱を利用した燃料油加熱供給システム
KR20180036532A (ko) 증기 생성 시스템
KR102144663B1 (ko) 일체형 공기압축기 폐열회수장치
EP0063941A2 (en) Cool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153769B1 (ko) 선박의 폐열회수 시스템
KR101466195B1 (ko) 선박의 배기열 회수 시스템
KR101519542B1 (ko) 유기냉매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의 에너지 절감 장치
US20230365243A1 (en) Split Cooling System for Marine Jet engine
CN115832523B (zh) 一种电动船舶动力电池能源热管理系统
KR102117381B1 (ko) 유기냉매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의 에너지 절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