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130A -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130A
KR20230137130A KR1020220034892A KR20220034892A KR20230137130A KR 20230137130 A KR20230137130 A KR 20230137130A KR 1020220034892 A KR1020220034892 A KR 1020220034892A KR 20220034892 A KR20220034892 A KR 20220034892A KR 20230137130 A KR20230137130 A KR 20230137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virtual object
metaverse
circadian rhyth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서카디안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서카디안,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서카디안
Priority to KR1020220034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7130A/ko
Publication of KR20230137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4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personal data, e.g. biometric data, records or preferences

Abstract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와 연계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의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TAVERSE SERVICE BASED ON CIRCADIAN RHYTHM}
본원은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과도한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상의 문제는 상당한 연관이 있으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학의 문제를 중계하는 것이 생활 리듬의 교란이다.
스트레스에 의해서 흔하게 경험하는 불면증과, 우울증, 조울증의 재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신질환의 발병 또는 재발은 생체리듬의 교란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생체 리듬을 조절하는 크로노테라피(Chronotherapy)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생체 리듬을 관리하고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들의 부재로, 불면증의 예방 치료, 재발성 우울증과 조울증의 재발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워 정신건강상의 교란을 미리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및 시장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기분, 인지, 수면 등과 같은 정신 건강 케어와 관련한 애플리케이션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 폰,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통해 디지털 표현형(Digital Phenotype)으로 지칭되는 다양한 사용자 로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들어 다양한 기술분야에 접목되고 있는 메타버스(metaverse)는 3차원에서 실제 생활과 연결된 가상 세계를 의미하며, 가상현실, 증강현실의 상위 개념으로서 실제 현실을 디지털 기반의 가상 세계로 확장시켜 가상의 공간에서 폭넓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시스템을 지칭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로그 데이터, 생체 데이터 등을 기초로 수행되는 일주기 리듬에 대한 분석 결과를 메타버스 상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피드백을 제공한다면, 사용자가 자신의 일주기 리듬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주기 리듬을 보다 잘 관리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358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에 따라 메타버스 상에 구현된 가상 객체의 상태, 활동 등을 변화시켜 사용자의 일주기 생체 리듬 교란에 대한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와 연계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의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상 객체의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의 성취 수준을 상기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주기 리듬이 개선된 것으로 상기 평가 결과가 도출되면, 상기 성취 수준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주기 리듬이 악화된 것으로 상기 평가 결과가 도출되면, 상기 성취 수준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인적 사항 정보, 증상 정보 및 상기 가상 객체와 연계된 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증상이 적용되는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증상을 강화하거나 완화하도록 상기 성취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호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상기 가상 객체의 유형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객체의 유형은, 반려 동물 타입, 반려 식물 타입 또는 유명인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상 객체의 유형에 따라 미리 결정되는 갱신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성취 수준이 변경되는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대한 맥박 정보, 광량 정보, 수면 정보 및 보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집된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획득되는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특징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와 연계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객체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의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객체의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의 성취 수준을 상기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부는, 사용자에 대한 맥박 정보, 광량 정보, 수면 정보 및 보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집된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획득되는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특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에 따라 메타버스 상에 구현된 가상 객체의 상태, 활동 등을 변화시켜 사용자의 일주기 생체 리듬 교란에 대한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 개개인이 메타버스 상에 반영된 가상 객체에 적용되는 피드백을 기초로 하여 자신의 일주기 리듬을 정상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행동 양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기존의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피드백을 주는 방법보다 메타버스에서 자신의 아바타의 건강상태 또는 능력치와 같은, 보다 사용자에게 현실적으로 다가오는 방법으로 피드백을 줌을 통하여 행동의 교정에 대한 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메타버스 내 다양한 아바타를 미리 선택함에 따라서 사용자 개개인의 문제를 더 잘 반영하거나 개인의 선호를 반영한 개인 맞춤형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사용자와 연계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하, '서비스 제공 장치(100)'라 한다.), 사용자 단말(200),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및 데이터베이스(4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목부에 착용된 상태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등을 수집하기 위한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밴드(Smart Band) 등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머리 착용형(Head-worn) 디바이스, 스트랩(Strap)형 디바이스, 의류형 디바이스, 발 착용형(Shoe-won/Foot pods) 디바이스 등 다양한 위치에 착용되어 사용자(1)의 특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기를 폭넓게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Fitbit, Jawbone Up, Nike+ FuelBand, Apple Watch, Samsung Gear 등일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사용자 단말(200)은 하나의 사용자(1)에 대한 동일 계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호 연동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넓은 범위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데이터베이스(400)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생성되는 메타버스 공간의 구현을 위한 설계 요소에 대한 정보, 본원에서 개시하는 일주기 리듬 기반 메타버스 서비스에 참여하는 각각의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 로그 데이터, 측정 데이터,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의 변화 이력에 대한 데이터 등을 수집/관리하기 위한 스토리지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사용자와 연계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와 연계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가상 객체(1')는 사용자(1)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태가 변경되도록 메타버스 상에 구현되는 가상의 아바타, 캐릭터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가상 객체의 유형을 직접 선택하거나 사용자와 연계된 가상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정보로서 활용되는 개인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객체 생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인적 사항 정보, 증상 정보 및 가상 객체와 연계된 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화 정보를 고려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태가 변경되는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개인화 정보로서 고려될 수 있는 각각의 사용자 정보와 관련하여, 먼저 증상 정보는 사용자가 겪고 있는 소정의 증상, 사용자의 질병 이력, 사용자가 개선하고자 하는 신체적 특성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상 정보는 불면증, 우울증, 체중 감량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객체 생성 인터페이스에서 개인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도 2의 'B')에서 증상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탭(도 2의 b1)을 선택한 후 사용자가 일주기 리듬 관리를 통해 개선하고자 하는 증상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의 개인화 정보 중 인적 사항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정보, 성별 정보, 직업 정보, 주요 일정 정보 등 사용자의 실생활에서의 인적 사항과 연계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인적 사항 정보에 해당하는 개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가상 객체(1')는 해당 사용자(1)의 실제 인적 사항과 부합하는 특성을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의 직업 정보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가상 객체(1')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구현되는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도 상응하는 직업 활동을 수행하도록 생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사용자(1)가 구직 활동, 수험생, 고시생 등 주요 일정(예를 들면, 채용 면접, 수학능력시험 응시, 고시 응시 등)을 앞두고 있는 경우, 주요 일정 정보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가상 객체(1') 역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구현되는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해당 주요 일정/이벤트(시험 등)에 우수한 성과를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도록 특성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객체 생성 인터페이스에서 개인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도 2의 'B')에서 인적 사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탭(도 2의 b2)을 선택한 후 사용자의 주요 일정 등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의 개인화 정보 중 가상 객체와 연계된 선호 정보는 사용자(1)가 메타버스 상에서 가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특정 객체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에서 개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자신의 인적 사항, 증상 정보 등과 연동하도록 생성되는 가상 객체 유형뿐만 아니라, 사용자 자신과는 무관한 유명인(Celebrity), 반려 동물, 반려 식물 등의 유형에 해당하는 가상 객체를 메타버스 상에서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객체의 상태/활동 등이 사용자 자신의 일주기 리듬에 대한 특징 정보에 영향을 받도록 하는 메타버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연예인, 스포츠 스타 등의 유명인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를 생성하고, 가상 객체의 메타버스 상에서의 상태/활동 등이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에 대한 특징 정보에 연동하여 변경되도록 하는 메타버스 서비스(콘텐츠)를 참여함으로써 자신이 선호하는 유명인이 보다 우월한 성취를 얻거나 긍정적인 경험을 메타버스 상에서 영위할 수 있도록 자신의 일주기 리듬이 개선될 수 있는 방향으로 행동 양식을 변화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객체 생성 인터페이스에서 개인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도 2의 'B')에서 가상 객체에 대한 선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탭(도 2의 b3)을 선택한 후 사용자가 가상 객체로서 생성하고자 하는 객체 유형 등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가상 객체가 메타버스 상에서 수행하는 가상의 행위(행동)의 내용을 선택된 가상 객체의 유형에 부합하도록 구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스타에 해당하는 선호 정보가 입력되어 특정 선수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가 생성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선수가 실제 참여하거나 참여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는 대회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대회 일정 정보 등)를 기초로 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가상 객체가 상응하는 대회에 참여하여 경기는 펼치는 행동을 수행하도록 콘텐츠의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예인에 해당하는 선호 정보가 입력되어 특정 연예인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가 생성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연예인 또는 해당 연예인과 동일한 직군의 인물이 실제 참여하거나 참여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는 방송 활동, 공연 활동, 오디션 등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콘서트 일정 정보 등)를 기초로 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가상 객체가 상응하는 대회에 참여하여 경기는 펼치는 행동을 수행하도록 콘텐츠의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A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이 완료되거나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가상 객체의 시각화 결과를 객체 생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출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에 따라 상태가 변화하는 가상 객체(1')를 단일 사용자에 대하여 복수 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인적 사항 정보에 대응하도록 생성되는 제1가상 객체와 자신이 선호하는 유명인에 대응하도록 생성되는 유명인 타입의 제2가상 객체를 동시에 생성하여 관리하는 내용의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상 객체를 생성하기 위하여는 1차적으로 하나의 가상 객체(1')를 생성한 후 해당 사용자가 자신의 일주기 리듬을 꾸준히 우수한 수준으로 관리함으로써 해당 가상 객체(1')에 대한 성취 수준이 미리 설정된 수준을 달성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달리 말해,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인적 사항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가상 객체가 미리 설정된 성취 수준을 달성하고 나면, 유명인 타입 등 제1가상 객체와 상이한 유형의 추가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이 해당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미리 설정된 성취 수준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연계된 수치화된 건강 지표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에 도달하거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유지하는 경우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가상 객체가 생성되고 나면,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1)에 대한 특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수집하는 특징 정보는 사용자(1)의 맥박 정보, 광량 정보, 수면 정보 및 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1)에 대하여 수집되는 특징 정보는 광량 정보('Light exposure'), 보행 정보('Step'), 수면 정보('Sleep'), 맥박 정보('Heart rate, HR') 등의 카테고리(Category)로 분류되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광량 정보 및 보행 정보를 미리 분할된 복수의 시간대 별로 구분하여 수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시간대는 하루를 주간(daytime) 및 야간(bedtime)으로 이분할한 것이거나 일출 시간 또는 일몰 시간을 기준으로 8시간씩 삼분할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분할의 경우, 복수의 시간대는 주간 및 야간이 12시간씩 동등하게 분할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징 정보가 수집되는 지역, 계절, 날짜, 기후 등에 대응하여 불균등하게 분할(예를 들면, 일출 시간부터 8시간 전부터 일출 시간까지를 야간 시간대로, 나머지 시간대(16시간)를 주간 시간대로 분할하는 등)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카테고리 별로 수집되는 특징 정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량 정보(Light exposure) 카테고리는 주간 광노출량(light_exposure_during_daytime) 및 야간 광노출량(light_exposure_during_bedtime)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야간 광노출량은 사용자(1)가 정상적인 경우 일반적으로 수면을 취하는 시간대에 대하여 수집된 광량으로서, 예시적으로 하루 중 일출 8시간 전부터 일출 시간까지의 시간대에 수집된 광량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주간 광노출량은 일출 8시간 전부터 일출 시간까지의 시간대를 제외한 시간대에 수집된 광량 정보일 수 있다. 특히, 광량 정보와 관련하여 빛은 사람 뿐만 아니라 지구상 모든 생물의 일주기 리듬을 동기화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trigger)로서, 후술하는 건강 지표(구체적으로, 광노출 관련 지표)는 야간 광노출량이 많을수록 나쁘게 평가되고 주간 광노출량이 많을수록 좋게 평가되도록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행 정보(Step) 카테고리는 주간 누적 걸음수(steps_during_daytime) 및 야간 누적 걸음수(steps_during_bedtim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간 및 야간의 구분은 전술한 광량 정보 카테고리에서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간 누적 걸음수는 주간 시간대에 수집된 사용자(1)의 걸음수를 누적하여 카운트한 정보이고, 야간 누적 걸음수는 야간 시간대에 수집된 사용자(1)의 걸음수를 누적하여 카운트한 정보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건강 지표(구체적으로, 활동성 관련 지표)는 사용자(1)가 건강한 일주기 리듬을 유지하고, 수면(Sleep) 상태와 각성(Wake) 상태가 명확히 구분되는 생활 패턴을 보일수록 좋게 평가될 수 있도록, 주간 누적 걸음수가 많을수록 좋게 평가되고 야간 누적 걸음수가 많을수록 나쁘게 평가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수면 정보(Sleep) 카테고리는, 수면 길이(sleep_length), 수면의 질(sleep_quality), 수면 개시 편차(sleep_onset_dev) 및 수면 종료 편차(sleep_offset_dev)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면 길이는 해당일에 수면이 개시된 시점부터 수면이 종료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의 수면이 개시된 시점 또는 수면이 종료된 시점은 사용자(1)가 사용자 단말(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인가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면, 수면 전에 수면을 시작한다는 내용의 사용자 입력을 인가하거나 기상 후 수면을 종료하고 기상하였다는 내용의 사용자 입력을 인가하는 등)을 통해 결정되는 것이거나, 사용자 단말(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사용자(1)의 보행 정보, 광량 정보 등의 나머지 특징 정보 등을 고려하여 추론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면의 질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되는 것일 수 있다.
[식 1]
여기서, 'sleep length'는 전체 수면 시간으로서 전술한 수면 길이에 대응하는 특징 정보이고, 'restless sleep length'는 사용자(1)가 불안한 수면 상태를 보낸 것으로 평가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수면의 질은 사용자(1)의 수면 상태 또는 뒤척임 정도를 수면 도중 평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사용자(1)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한 상태로 수면을 취할 경우 수집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수면 개시 편차(sleep_onset_dev) 정보는 사용자(1)의 수면 개시 시간이 규칙적인지를 나타내는 특징 정보로서, 기준 시점(예를 들면, 일출 8시간 전)과 사용자(1)의 수면 개시 시간 사이의 편차일 수 있다. 또한, 수면 종료 편차(sleep_offset_dev) 정보는 사용자(1)의 수면 종료 시간이 규칙적인지를 나타내는 특징 정보로서, 기준 시점(예를 들면, 일출 시점)과 사용자(1)의 수면 종료 시간 사이의 편차일 수 있다.
특히, 수면 정보(Sleep)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사용자(1)가 충분한 수면 및 규칙적인 수면을 취할수록 건강 지표(구체적으로, 수면 관련 지표)는 좋은 것으로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맥박 정보(Heart rate, HR) 카테고리는, 사용자(1)의 단위 시간당 맥박수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맥박 피팅 커브에서의 정점 위상(CR_acrophase), 진폭(CR_amplitude), 진동 중앙(CR_mesor), 결정 계수(CR_goodness_of_fit) 및 안정기 심박수(resting_heartr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맥박(HR)은 주요한 리듬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맥박은 수면 중에 떨어지고 활동 중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야간 시간대에 수면을 취하고, 주간 시간대에 많은 활동을 보이는 사용자(1)의 맥박 피팅 커브에서는 S자와 유사한 이상적인 코사인 곡선을 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맥박 피팅 커브에서의 진폭(CR_amplitude)은 코사인 곡선 형상의 맥박 피팅 커브에서의 진폭을 의미하며, 진폭이 클수록 맥박 리듬이 명확한 것일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진폭이 상대적으로 크면, 사용자(1)가 활동 중(in activity)이고, 진폭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사용자(1)가 수면 중일 수 있다.
또한, 정점 위상(CR_acrophase)은 생체 리듬(예를 들면, 맥박 피팅 커브 등)이 시간 축 상에서 밀리거나 당겨지는 현상을 정량화한 맥박 리듬의 정렬 불량 정도를 의미하며, 이와 관련하여 생체 리듬이 밀리거나 당겨지는 현상과 조증 및 우울증 등의 기분 장애의 발생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또한, 결정 계수(CR_goodness_of_fit)는 맥박 피팅 커브가 원래의 샘플 데이터들을 얼마나 잘 충실하게 표현하는지 나타내는 것으로, 0 내지 1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1에 가까울수록 보다 확실하게 코사인 커브 피팅이 잘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0에 가까울수록 코사인 커브 피팅이 잘 안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맥박 피팅 커브가 코사인 곡선의 형상에 피팅이 잘 될수록 R-Squared(R2) 값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안정기 심박수(resting_heartrate)는 사용자(1)가 활동이 없는 시간대(timeslot) 내에서의 평균 심박수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안정기 심박수는 사용자(1)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안한 상태에 놓인 경우 상승할 수 있어, 사용자(1)의 기분 상태와 연관된 특징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측면에서 수집되는 사용자(1)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1)에 대한 건강 지표(H-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심박 관련 지표(CR_h_score), 광노출 관련 지표(LE_h_score), 수면 관련 지표(SL_h_score) 및 활동성 관련 지표(ACT_h_scor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전술한 정점 위상, 진폭, 진동 중앙 및 결정 계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1)의 심박 관련 지표(CR_h_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맥박 정보에 포함된 진폭 및 정점 위상에 기초하여 하기 식 2를 통해 심박 관련 지표(CR_h_score)를 연산할 수 있다.
[식 2]
여기서, CR_amplitue는 맥박 정보에 포함된 진폭이고, CR_acrophase는 맥박 정보에 포함된 정점 위상일 수 있다.
또한, N(x)는 입력(상기 식 2에서의 진폭 및 정점 위상)을 0 내지 100 사이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정규화하는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측 가능한 범위에서 최소값에 대하여 N(x)는 0이고, 평균에 대하여 N(x)는 50이고, 최대값에 대하여 N(x)는 100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간 광노출량 및 야간 광노출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광노출 관련 지표(LE_h_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하기 식 3을 통해 광노출 관련 지표(LE_h_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식 3]
여기서, light_exposure_during_bedtime은 광량 정보에 포함된 야간 광노출량이고, light_exposure_during_daytime은 광량 정보에 포함된 주간 광노출량이고, N(x)는 전술한 정규화 함수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면 길이, 수면의 질, 수면 개시 편차 및 수면 종료 편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면 관련 지표(SL_h_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면의 질, 수면 개시 편차 및 수면 종료 편차에 기초하여 하기 식 4를 통해 수면 관련 지표(SL_h_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식 4]
여기서, sleep_efficiency는 수면 정보에 포함된 수면의 질이고, sleep_onset_dev는 수면 정보에 포함된 수면 개시 편차이고, sleep_offset_dev는 수면 정보에 포함된 수면 종료 편차이고, N(x)는 전술한 정규화 함수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간 누적 걸음수 및 야간 누적 걸음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활동량 관련 지표(ACT _h_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간 누적 걸음수 및 야간 누적 걸음수에 기초하여 하기 식 5를 통해 활동량 관련 지표(ACT_h_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식 5]
여기서, steps_during_bedtime은 야간 걸음수이고, steps_during_daytime은 주간 걸음수이고, N(x)는 전술한 정규화 함수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카테고리의 건강 지표의 연산을 위한 전술한 식 2 내지 식 5의 계산식에서, 각각의 특징 정보에 대하여 곱해지는 상수는(예를 들면, 0.5, 0.25 등) 사용자(1)의 개인화 특성 등에 기초하여 다양한 값으로 설정되어 사용자(1) 맞춤형의 건강 지표가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수한 식 2 내지 식 5의 계산식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상수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체형, BMI 정보, 질병 이력, 기분 장애 유무 등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산출된 건강 지표(H-score)에 기초하여 건강 지표(H-score)를 개선하기 위한 행동 양식을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1)의 사용자 단말(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란 전술한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의 건강 지표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로 평가된 경우, 사용자(1)가 해당 건강 지표를 개선할 수 있도록 추천되는 행동 교정 가이드를 포함하는 코칭 메시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종합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한 맥박 정보, 광량 정보, 수면 정보 및 보행 정보를 포함하는 특징 정보를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집된 로그 데이터 및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서 획득되는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로그 데이터 및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특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집된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상에서의 가상 객체(1')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가상 객체(1')의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메타버스 상에서의 성취 수준을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와 연동하여 상태가 변화하도록 생성된 가상 객체가 사용자(1)의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증상이 적용되는 가상 객체(1')인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증상을 강화하거나 완화하도록 성취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수집된 특징 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일주기 리듬이 개선된 것으로 평가 결과가 도출되면, 메타버스 상에서의 가상 객체(1')에 적용되는 가상의 증상 역시 완화되어 가상 객체(1')의 행동, 기분, 표정, 외형 등에 반영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생성한 가상 객체(1')가 유명인 타입인 경우, 해당 가상 객체(1')가 메타버스 상에서 수행하는 활동(예를 들면, 스포츠 스타의 경우 가상으로 치뤄지는 경기, 가수의 경우 가상의 공연 등)에서의 가상 객체(1')의 성과가 사용자(1)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집된 특징 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일주기 리듬이 개선된 것으로 평가 결과가 도출되면, 메타버스 상에서의 스포츠 스타 타입의 가상 객체(1')가 참여한 경기에서의 활약도가 향상되거나 가수 타입의 가상 객체(1')가 참여한 공연, 프로그램, 영화 등의 흥행 수준이 향상되는 것일 수 있다. 이렇듯, 본원에서 개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메타버스 상에서 생성된 가상 객체의 유형에 따라 사용자(1)의 일주기 리듬에 대한 특징 정보에 영향을 받게 되는 메타버스 상에서의 성취 수준의 세부 내용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행동 양식을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산출된 카테고리별 건강 지표(구체적으로, 심박 관련 지표, 광노출 관련 지표, 수면 관련 지표 및 활동성 관련 지표)를 수치화(점수화)하여 표시하고,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하여 피드백 정보가 표출되는 영역을 각기 구분(구획)하여 제공할 수 있다(도 3의 'B' 참조). 달리 말해, 건강 지표의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구획된 영역 각각에는 카테고리별 건강 지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가 개별적으로 표출될 수 있다(도 3의 f1, f2, f3, f4).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도 3은 소정의 사용자(1)의 심박 관련 지표가 100점 만점에 54점 이고, 활동성 관련 지표가 100점 만점에 77점 이고, 수면 관련 지표가 100점 만점에 65점이고, 광노출 관련 지표가 100점 만점에 39점인 경우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표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산출된 건강 지표에 대응하여 표출되는 피드백 정보를 수치화(점수화)된 카테고리별 건강 지표가 속하는 수치 구간에 대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지표에 대응하여 표출되는 피드백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평가 정보 인터페이스에서 각 지표에 따른 점수를 표시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면, 터치 입력 등)에 대응하여 활성화(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산출된 심박 관련 지표가 미리 설정된 수치 구간 중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 범위에 속하는 경우, "심장리듬 건강 점수가 좋지 않습니다. 아침에 활동을 더 늘리고 밤에 충분한 수면을 취하세요."와 같은 심박 관련 지표의 개선을 위한 행동 양식을 포함하는 안내 문구를 포함하도록 결정되고, 활동성 관련 지표가 미리 설정된 수치 구간 중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 범위에 속하는 경우, "활동량 건강 점수가 좋지 않습니다. 아침 활동을 늘리고 낮잠을 자제하세요."와 같은 활동성 관련 지표의 개선을 위한 행동 양식을 포함하는 안내 문구를 포함하도록 결정되고, 수면 관련 지표가 미리 설정된 수치 구간 중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 범위에 속하는 경우, "수면건강 점수가 좋지 않습니다. 아침 시간에 깬 상태를 유지하고 야외 활동을 늘리십시오. 낮잠은 자제해 주세요."와 같은 수면 관련 지표의 개선을 위한 행동 양식을 포함하는 안내 문구를 포함하도록 결정되고, 광노출 관련 지표가 미리 설정된 수치 구간 중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 범위에 속하는 경우, "빛노출 건강 점수가 좋지 않습니다. 아침에 야외 활동을 늘리고 밤에는 빛을 피하세요. 특히, 밤에 스마트 폰을 보는 것은 해롭습니다."와 같은 광노출 관련 지표의 개선을 위한 행동 양식을 포함하는 안내 문구를 포함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피드백 정보에 포함되는 안내 문구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다양한 내용으로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정보의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건강 지표의 수치 구간은 낮음, 보통, 높음을 포함하는 세 구간으로 분할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보다 세밀하게 4개 이상의 복수의 레벨로 구분되는 것일 수 있으며, 건강 지표의 카테고리 별로 분할되는 레벨의 수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카테고리 별로 피드백 정보를 개별 생성하되,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건강 지표에 대하여 생성되는 피드백 정보의 내용을, 특정 카테고리 외의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건강 지표 또는 특징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면 관련 지표가 낮은 수치 범위에 동일하게 속하는 경우라도, 활동 관련 지표, 광노출 관련 지표 등이 속하는 수치 범위에 대응하여 수면 관련 지표에 대한 피드백 정보의 내용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한정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대하여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모든 카테고리의 건강 지표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표출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로 평가된 건강 지표 유형에 대한 피드백 정보만 선별하여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및 사용자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1)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표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평가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가상 객체(1')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도 3의 'A' 참조).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평가 정보 인터페이스 상에 표출되는 가상 객체(1')의 표정, 움직임, 외형, 옷차림, 대화 등이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가상 객체의 유형에 따라 미리 결정되는 갱신 주기에 기초하여 성취 수준이 변경되는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인적 사항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앞두고 있는 주요 일정까지의 잔여 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기간에 해당하여 상대적으로 긴 기간 동안 일주기 리듬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거나 사용자의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의 유형이 상대적으로 긴 기간 동안의 지속적인 치료가 요구되는 타입인 경우에는 갱신 주기를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인적 사항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앞두고 있는 주요 일정까지의 잔여 기간이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해당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의 집중적인 일주기 리듬 관리가 요구되거나 사용자의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겪고 있는 증상의 유형이 상대적으로 경미하여 적절한 생활 습관 변경 등을 통해 즉각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타입인 경우에는 갱신 주기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객체 생성부(110), 수집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생성부(110)는 사용자와 연계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객체 생성부(110)는 사용자의 인적 사항 정보, 증상 정보 및 가상 객체와 연계된 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수집부(120)는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집부(120)는 사용자에 대한 맥박 정보, 광량 정보, 수면 정보 및 보행 정보를 포함하는 특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부(120)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200)을 수집된 로그 데이터 및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서 획득되는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집된 로그 데이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의해 획득된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술한 특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집부(120)를 통해 도출된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상에서의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가상 객체의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메타버스 상에서의 성취 수준을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사용자와 연계되어 메타버스 상에서 생성된 가상 객체가 사용자의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증상이 적용되는 가상 객체이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객체의 가상 증상을 강화하거나 완화하는 방식으로 성취 수준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종합하면, 제어부(130)는 수집부(120)에 의해 일주기 리듬이 개선된 것으로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가 도출되면, 메타버스 상에서의 성취 수준을 상향 조정하고, 이와 달리 수집부(120)에 의해 일주기 리듬이 악화된 것으로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가 도출되면, 메타버스 상에서의 성취 수준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가상 객체의 유형에 따라 미리 결정되는 갱신 주기에 기초하여 성취 수준이 변경되는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객체 생성부(110)는 사용자와 연계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1에서 객체 생성부(110)는 사용자의 인적 사항 정보, 증상 정보 및 가상 객체와 연계된 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수집부(120)는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12에서 수집부(120)는 사용자에 대한 맥박 정보, 광량 정보, 수면 정보 및 보행 정보를 포함하는 특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2에서 수집부(120)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200)을 수집된 로그 데이터 및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서 획득되는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2에서 수집부(120)는 수집된 로그 데이터 및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특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제어부(130)는 단계 S12를 통해 도출된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상에서의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13에서 제어부(130)는 가상 객체의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메타버스 상에서의 성취 수준을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11에서 생성된 가상 객체가 사용자의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증상이 적용되는 가상 객체이면, 단계 S13에서 제어부(130)는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증상을 강화하거나 완화하도록 성취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단계 S13에서 제어부(130)는 단계 S12에서 일주기 리듬이 개선된 것으로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가 도출되면, 메타버스 상에서의 성취 수준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반대로, 단계 S13에서 제어부(130)는 단계 S12에서 일주기 리듬이 악화된 것으로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가 도출되면, 메타버스 상에서의 성취 수준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3에서 제어부(130)는 가상 객체의 유형에 따라 미리 결정되는 갱신 주기에 기초하여 성취 수준이 변경되는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메타버스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0: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110: 객체 생성부
120: 수집부
130: 제어부
200: 사용자 단말
300: 웨어러블 디바이스
400: 데이터베이스
20: 네트워크

Claims (16)

  1.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와 연계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의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상 객체의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의 성취 수준을 상기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주기 리듬이 개선된 것으로 상기 평가 결과가 도출되면, 상기 성취 수준을 상향 조정하고,
    상기 일주기 리듬이 악화된 것으로 상기 평가 결과가 도출되면, 상기 성취 수준을 하향 조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인적 사항 정보, 증상 정보 및 상기 가상 객체와 연계된 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증상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증상이 적용되는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증상을 강화하거나 완화하도록 상기 성취 수준을 결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상기 가상 객체의 유형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의 유형은,
    반려 동물 타입, 반려 식물 타입 또는 유명인 타입을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상 객체의 유형에 따라 미리 결정되는 갱신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성취 수준이 변경되는 주기를 결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대한 맥박 정보, 광량 정보, 수면 정보 및 보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집된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획득되는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특징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12.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와 연계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객체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일주기 리듬과 연계된 특징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의 상기 가상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객체의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의 성취 수준을 상기 특징 정보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하되,
    상기 개인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인적 사항 정보, 증상 정보 및 상기 가상 객체와 연계된 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사용자에 대한 맥박 정보, 광량 정보, 수면 정보 및 보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징 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집된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획득되는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특징 정보를 도출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20034892A 2022-03-21 2022-03-21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137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892A KR20230137130A (ko) 2022-03-21 2022-03-21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892A KR20230137130A (ko) 2022-03-21 2022-03-21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130A true KR20230137130A (ko) 2023-10-04

Family

ID=8829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892A KR20230137130A (ko) 2022-03-21 2022-03-21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71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6031B2 (en) Systems and techniques for tracking sleep consistency and sleep goals
US9430617B2 (en) Content suggestion engine
US201701329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to user for improving performance level management thereof
US20160253918A1 (en) Encouraging achievement of health goals
US20220015695A1 (en) Sleep reactivity monitoring based sleep disorder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US20180178063A1 (en) Method of allowing a user to receiv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goal
US117934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to user for improving performance level management thereof
Oyebode et al. Nourish your tree! Developing a persuasive exergame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adults
Zhou et al. Music-induced emotions influence intertemporal decision making
Cherubini et al. The unexpected downside of paying or sending messages to people to make them walk: Comparing tangible rewards and motivational messages to improve physical activity
CN113196415A (zh) 用于预测视觉相关参数随时间的演变的方法和装置
US20220375572A1 (en) Iterative generation of instructions for treating a sleep condition
CN113261067A (zh) 建立用于预测视觉相关参数随时间的演变的模型的方法和装置
Sołtys et al. Emotions in decision making
Ilhan et al. Improving sleep-wake behaviors using mobile app gamification
KR20230137130A (ko) 일주기 리듬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57951B1 (ko) 페르소나 매칭을 통한 맞춤형 큐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JP2018088966A (ja) 気分推定システム
US202201395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ircadian rhythm based on feedback function
JP6639404B2 (ja) 減量支援方法、減量支援プログラム、及び減量支援装置
Pavek et 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fluencing determinacy of day and night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JP7413658B2 (ja) 運動支援システム、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方法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Dawson Participation and demonstration effects:‘Couch potatoes to runner beans’
CN109243610A (zh) 评估用户生理状态的方法及装置
Stroulia et al. Smart-phone application design for lasting behavioral cha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