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090A - Thermochromic composition consisting of a color changeable mixture, base with hidden mark formed by the thermochromic composition, articles with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 Google Patents

Thermochromic composition consisting of a color changeable mixture, base with hidden mark formed by the thermochromic composition, articles with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090A
KR20230137090A KR1020220034806A KR20220034806A KR20230137090A KR 20230137090 A KR20230137090 A KR 20230137090A KR 1020220034806 A KR1020220034806 A KR 1020220034806A KR 20220034806 A KR20220034806 A KR 20220034806A KR 20230137090 A KR20230137090 A KR 20230137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temperature
substrate
hidden mark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길
최형석
Original Assignee
김창길
최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길, 최형석 filed Critical 김창길
Priority to KR102022003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7090A/en
Publication of KR2023013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090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6Thermosensitive pai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4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where the change is not permanent, e.g. labels only readable under a special light, temperature indicating labels and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변온(감온/시온) 변색성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문자, 도안(문양), 숫자, 기호 등의 다양한 형태의 히든마크(hidden mark)를 유리재/플라스틱재/금속재/필름재/종이재 등으로 이루어진 기재 및 물품에 인쇄하는 기술,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잉크와 감온 안료가 혼합된 색상 변화 혼합물로 이루어진 변온 변색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히든마크를 형성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발현 속도를 개선하고, 히든마크의 신비성, 장식성, 심미감 및 입체감을 종래기술에 비해 개선하며, 오염을 방지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fferential temperature (sensitive temperature/cold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using the composition to create hidden marks in various forms such as letters, designs (patterns), numbers, symbols, etc. on glass/plastic/metal/film/paper. It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inting on substrates and articles made of ash, etc.,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is performed by forming a hidden mark using a temperature changeable composition consisting of a color change mixture of a base ink and a thermosensitive pigment. can simplify, improve the speed of expression, improve the mystery, decoration, aesthetics and three-dimensionality of hidden marks compared to the prior art, prevent contamination, and reduce the defect rate.

Description

색상 변화 혼합물로 이루어진 변온 변색성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히든마크가 구비된 기재, 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THERMOCHROMIC COMPOSITION CONSISTING OF A COLOR CHANGEABLE MIXTURE, BASE WITH HIDDEN MARK FORMED BY THE THERMOCHROMIC COMPOSITION, ARTICLES WITH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A thermochromic composition consisting of a color changing mixture, a substrate with a hidden mark formed using the same, an artic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변온(감온/시온) 변색성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문자, 도안, 문양, 숫자, 기호 등의 다양한 형태의 마크(mark)를 유리재/플라스틱재/금속재/필름재/종이재 등으로 이루어진 기재 및 물품에 인쇄하는 기술,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nge-temperature (sensitive/low-temperature) color changeable composition, which can be used to create various types of marks such as letters, designs, patterns, numbers, and symbols into glass/plastic/metal/film/paper, etc. It relates to printing technology on substrates and 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변온 변색성 잉크를 이용하여 문자, 도안, 문양, 숫자, 기호 등의 다양한 형태의 마크(mark)를 양각 또는 음각으로 인쇄하는 기술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변온 변색성 잉크로 형성된 마크는 특정 온도 이하에서는 존재를 인식할 수 없으나, 온도를 변화시키면 숨겨진 마크가 외부로 표출되어 인식할 수 있다.Technology for embossing or engraving various types of marks such as letters, designs, patterns, numbers, and symbols using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ink i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Marks made with thermochromic ink cannot be recognized below a certain temperature, but when the temperature is changed, the hidden mark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can be recognized.

변온 변색성 잉크를 이용하여 숨겨진 마크(이하, '히든마크'라 함)를 형성하는 인쇄기술들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981676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390197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8-0044253호, 일본 공개특허 제10-1989-101512호, 일본 공개특허 제10-1997-179072호, 일본 공개특허 제10-2004-321928호 등에서 기술되어 있다.Printing technologies that form hidden mar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idden marks’) using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ink include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981676, Domestic Patent No. 10-1390197, and Domestic Published Patent No. 10-2018. It is described in -0044253,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989-10151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997-179072,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04-321928.

그러나, 전술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종래기술에서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prop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literatur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공정이 복잡하다. 종래에는 변온 변색성 잉크층과, 변온 변색성 잉크층의 배경이 되는 인쇄 잉크층(예컨대, 흰색)을 별도의 층으로 기재에 형성하는 방식으로 히든마크를 형성함에 따라 공정이 복잡하다. 즉, 변온 변색성 잉크층의 배경색으로 기능하는 인쇄 잉크층을 변온 변색성 잉크층과 별도의 층으로 상하로 형성하거나, 동일 선상에서 나란하게 형성함에 따라 제작이 번거롭고 복잡한 단점이 있다.First, the process is complicated. Conventionally, the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a hidden mark is formed by forming a variable temperature color-changing ink layer and a printing ink layer (for example, white), which serves as a background of the variable temperature color-changing ink layer, on a substrate as separate layers. That is, the printing ink layer, which functions as the background color of the variable temperature color-changing ink layer, is formed as a separate layer from the variable temperature color-changing ink layer, top and bottom, or formed side by side on the same line,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cumbersome and complicated to manufacture.

둘째, 외부로 표출되는 히든마크에 기인한 신비성, 장식성, 심미감 및 입체감이 부족하다. 종래에는 인쇄 잉크층을 배경색으로 하여 변온 변색성 잉크층으로 이루어진 히든마크가 온도 변화에 따라 단순히 사라지거나, 혹은 외부로 표출되는 방식으로 히든마크에 기인한 신비성, 장식성, 심미감 및 입체감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Second, it lacks mystery, decoration, aesthetics, and three-dimensionality due to the hidden marks that are expressed externally. Conventionally, the hidden mark, which is composed of a temperature-discoloring ink layer with the printing ink layer as the background color, simply disappears depending on temperature changes or is expressed externally,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lacking mystery, decoration, aesthetics, and three-dimensional effect due to the hidden mark. There is.

셋째, 쉽게 오염이 된다. 종래에는 변온 변색성 잉크층에 의해 형성된 히든마크에 발생하는 정전기로 인해 이물질이 쉽게 달라붙어 표면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Third, it is easily contaminated. 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substances easily stick to the hidden mark formed by the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ink layer due to static electricity, contaminating the surface.

넷째, 불량률이 증가한다. 종래에는 변온 변색성 잉크층의 밀착력과 부착력이 낮다. 특히 변온 변색성 잉크층으로 형성된 히든마크의 패턴이 얇은 경우에는 부착력이 더욱 낮아져 기재로부터 쉽게 들뜨거나 분리되어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Fourth, the defect rate increases. Conventionally, the adhesion and adhesion of the temperature changeable ink layer is low. In particular, when the pattern of the hidden mark formed with a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ink layer is thin, the adhesion becomes lower and easily lifts or separates from the substrate, which increases the defect rate.

다섯째, 색상 발현 속도가 느리다. 종래에는 수용체가 담겨진 물품의 재질이나 두께로 인해 열전도가 느려 수용체의 온도에 즉각 반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Fifth, the speed of color development is slow. 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immediately respond to th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due to slow heat conduction due to th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article containing the receptor.

JP 10-1989-101512 A, 1989. 04. 19.JP 10-1989-101512 A, 1989. 04. 19. JP 10-1997-179072 A, 1997. 07. 11.JP 10-1997-179072 A, 1997. 07. 11. JP 10-2004-321928 A, 2004. 11. 18.JP 10-2004-321928 A, 2004. 11. 18. KR 10-1981676 B1, 2019. 05. 17.KR 10-1981676 B1, 2019. 05. 17. KR 10-1390197 B1, 2014. 04. 23.KR 10-1390197 B1, 2014. 04. 2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히든마크가 구비된 기재 및 물품,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ble composition that can simplify the process, a substrate and article equipped with a hidden mark formed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도 변화에 따라 외부로 표출되는 히든마크에 기인한 신비성, 장식성, 심미감 및 입체감을 개선하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히든마크가 구비된 기재 및 물품,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mperature changeable composition that improves mystique, decoration, aesthetics and three-dimensionality due to hidden marks that are expressed externally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s, substrates and articles with hidden marks formed using the same, Its manufacturing method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기에 의해 표면에 들러붙은 이물질로 인한 오염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히든마크가 구비된 기재 및 물품,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mperature changeable composition that can minimize or prevent contamination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surface due to static electricity formed on the surface, substrates and articles provided with hidden marks formed using the same, and their It provides a manufactur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착력과 부착력을 강화하여 히든마크의 들뜸이나 탈리 현상을 최소화하여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히든마크가 구비된 기재 및 물품,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that can reduce the defect rate by minimizing the lifting or detachment phenomenon of hidden marks by strengthening adhesion and adhesion, substrates and articles with hidden marks formed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the same. It provides a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의 재질이나 두께와 무관하게 수용체의 온도에 대한 반응 속도를 증가시켜 색상 발현 속도를 개선하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히든마크가 구비된 기재 및 물품,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that improves the color development rate by increasing the reaction rate to th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regardless of th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product, and a substrate and article with a hidden mark formed using the same. , its manufacturing method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목적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urposes, and various other purpose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hrough the techniques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and claims described lat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온도에 따라 색상이 발현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은 베경색이 되는 베이스 잉크와, 감온 안료와, 희석제가 혼합된 변온 변색성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lor change mixture that develops color depending on temperature, wherein the color change mixture is a mixture of a base ink that becomes a background color, a thermosensitive pigment, and a diluent. A discolorable composition is provided.

또한,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정전기 방지제, 열전달제, 부착 강화제 또는 내마모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or change mixture further includes an additive, and the additive may be at least one of an antistatic agent, a heat transfer agent, an adhesion enhancer, or an anti-wear agent.

또한, 상기 베이스 잉크는 화이트, 엘로우, 레드, 블랙, 블루 및 오렌지 색상들 중 단독으로 이루어진 원색 잉크로 이루어지거나, 이들 원색 잉크 중 적어도 2개의 색상이 혼합하여 얻어진 조색 잉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ink may be composed of a primary color ink made up of white, yellow, red, black, blue, and orange colors alone, or may be made of a color ink obtained by mixing at least two of these primary color inks.

또한, 상기 감온 안료는 레드, 로즈 레드, 마젠타, 버밀리온, 오렌지, 엘로우, 그린, 엘로우 그린, 참 그린, 스카이 블루, 터키시 블루, 블루, 다크 블루, 바이오렛, 블랙 색상들 중 단독으로 이루어진 원색 안료이거나, 이들 원색 안료들 중 적어도 2개의 색상이 혼합하여 얻어진 조색 안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ermosensitive pigment is a primary color composed solely of the following colors: red, rose red, magenta, vermilion, orange, yellow, green, yellow green, charm green, sky blue, Turkish blue, blue, dark blue, biolet, and black. It may be a pigment, or it may be made of a coloring pigment obtained by mixing at least two colors among these primary color pigments.

또한,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에서 베이스 잉크의 함유량은 50~60중량%이고, 상기 감온 안료의 함유량은 30~40중량%이며, 나머지는 희석제가 혼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base ink in the color change mixture is 50 to 6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thermosensitive pigment is 30 to 40% by weight, and the remainder may be mixed with a diluent.

또한,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에서, 희석제의 함유량은 1~2중량%일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color change mixture, the content of the diluent may be 1 to 2% by weight.

또한,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에서, 첨가제의 함유량은 5~10중량%일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color change mixture, the additive content may be 5 to 10% by weight.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변온 변색 조성물로 형성된 히든마크가 구비된 기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substrate provided with a hidden mark formed from the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또한, 상기 히든마크는 도안, 문양, 로고, 문자, 캐릭터, 기호 또는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idden mark may be at least one of a design, pattern, logo, letter, character, symbol, or number.

또한, 상기 히든마크는 감온 안료의 발현온도에 따라 색상이 발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idden mark may develop a color depending on the expression temperature of the thermosensitive pigment.

또한, 상기 히든마크는 도안, 문양, 로고, 문자, 캐릭터, 기호 또는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히든마크는 복수 개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idden mark is at least one of a design, pattern, logo, letter, character, symbol, or number, and the hidden mark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ttern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각각 서로 동일한 색상의 감온 안료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의 감온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patterns may each be formed from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thermosensitive pigments of the same color, or may include thermosensitive pigments of different color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각각 서로 동일한 함유량을 갖는 감온 안료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함유량을 갖는 감온 안료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patterns may each be formed from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thermosensitive pigments having the same content, or may be formed from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thermosensitive pigments having different content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각각 서로 동일한 색상을 갖는 베이스 잉크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베이스 잉크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patterns may each be formed from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base inks having the same color, or may be formed from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base inks having different color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각각 서로 동일한 함유량을 갖는 베이스 잉크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함유량을 갖는 베이스 잉크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patterns may each be formed from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base inks having the same content, or may be formed from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base inks having different content.

또한,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은 열전달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각각 서로 동일한 열전달제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열전달제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or change mixture further includes a heat transfer agent, and the plurality of patterns may be formed from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the same heat transfer agent, or may be formed from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different heat transfer agent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각각 상기 히든마크의 전체 영역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상기 히든마크의 전체 영역 중 일부에서 다른 부위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patterns may each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in the entire area of the hidden mark, or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entire area of the hidden mark to have a step difference from other portion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열전도층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heat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n or below the plurality of pattern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패턴 사이에 열전도층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heat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ttern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패턴들 중 일부의 패턴 상부에만 열전도층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heat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nly on top of some of the plurality of patterns.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기재가 부착 또는 접착된 물품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n article to which the above substrate is attached or adhered.

또한, 상기 기재는 유리재, 플라스틱재, 금속재, 필름재 또는 종이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ubstrate may be any one of glass, plastic, metal, film, or paper.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기재의 표면에 상기 변온 변색 조성물을 인쇄하여 히든마크를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히든마크가 형성된 기재를 표면에 부착 또는 접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rocess of forming a hidden mark by printing the temperature changeable composition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and a process of attaching or adhering the substrate on which the hidden mark is formed to a surfa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잉크와 감온 안료가 혼합된 색상 변화 혼합물로 이루어진 변온 변색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히든마크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인쇄 잉크층과 변온 변색성 잉크층을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하는 제조방식에 비해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특히, 복잡한 패턴을 갖는 히든마크의 제조가 용이하다. 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idden mark is formed using a color changeable mixture of a base ink and a thermosensitive pigment, thereby forming a printing ink layer and a temperature changeable ink layer independently, as in the prior art.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compared to other manufacturing methods. In particular, it is easy to manufacture hidden marks with complex patterns.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온도에 발현하도록 서로 다른 베이스 잉크(또는 감온 안료)의 함유량을 갖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히든마크(히든마크의 패턴)를 형성함으로써 온도 차를 통해 동일 히든마크 내에서도 패턴끼리 시간차를 두고 발현되도록 하여 신비성, 장식성, 심미감 및 입체감을 개선할 수 있다. 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idden mark (pattern of a hidden mark) is formed using a temperature changeable composition having different contents of base ink (or temperature sensitive pigment) to be expressed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reby forming the same hidden mark through the temperature difference. Even within a mark, patterns can be expressed at different times to improve mystery, decoration, aesthetics, and three-dimensionality.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변온 변색성 조성물에 정전기 방지제, 열전달제, 부착 강화제 또는 내마모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성 첨가제를 추가함으로써 오염을 방지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키며, 신비성, 심미감 및 입체감을 개선할 수 있다. 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t least one functional additive of an antistatic agent, a heat transfer agent, an adhesion enhancer, or an abrasion resistance agent to the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contamination is prevented, the defect rate is reduced, and the mystery, aesthetics, and three-dimensional effect are improved. can do.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에 수용되는 수용체의 열이 물품에 부착 또는 접착된 기재(히든마크가 형성된 기재)로 빠르게 전이되도록 함으로써 물품의 재질이나 두께와 무관하게 수용체의 온도에 빠르게 반응하는 히든마크를 제공할 수 있다. Four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of the receptor accommodated in the article is quickly transferred to the substrate attached or adhered to the article (the substrate on which the hidden mark is formed), thereby quickly react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regardless of th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article. Marks can be provided.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에 숨겨져 있는 히든마크가 표출될 때 인접한 히든마크 또는 히든마크의 패턴끼리 서로 명암 차이를 줌으로써 입체감과 심미감을 개선할 수 있다.Fif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idden mark hidden in an article is displayed,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aesthetics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a contrast difference between adjacent hidden marks or patterns of hidden mark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온 변색성 조성물의 조성비에 따른 히든마크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히든마크가 형성된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히든마크 형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히든마크 형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든마크가 형성된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의 응용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응용 예를 통해 제작된 물품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degree of expression of hidden mark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a changeable temperatur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on which hidden mark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idden mark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idden mark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on which hidden marks are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rticle manufactured through the application example shown in Figure 6.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각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크기 및 형상이 과도하게 도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dditionally,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mponent shown in each drawing may be excessive,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온 변색성 조성물은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혼합물(이하, '색상 변화 혼합물'이라 함)을 포함한다.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은 액상의 베이스 잉크 50~60중량%와, 분말의 감온 안료 30~40중량%와, 희석제 1~2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첨가제가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정전기 방지제, 열전달제, 부착 강화제 또는 내마모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xture whose color changes depending on tempera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lor change mixture'). The color change mixture includes 50 to 60% by weight of liquid base ink, 30 to 40% by weight of powdered thermosensitive pigment, and 1 to 2% by weight of diluent. Additionally, additives may be further mixed. Here, the additive may be at least one of an antistatic agent, a heat transfer agent, an adhesion enhancer, or an anti-wear agent.

구체적인 조성비는 실시 예들은 아래 [표 1]과 같다. Examples of specific composition ratio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 예Example 베이스
잉크
Base
ink
감온 안료
(15℃/blue)
thermosensitive pigment
(15℃/blue)
감온 안료
(15℃/Red)
thermosensitive pigment
(15℃/Red)
감온 안료
(15℃/Green)
thermosensitive pigment
(15℃/Green)
감온 안료
(15℃/Orange)
thermosensitive pigment
(15℃/Orange)
첨가제additive 희석제diluent

실시 예1

Example 1
50~60 중량%50~60% by weight 15~20
중량%
15~20
weight%
15~20
중량%
15~20
weight%

-

-

-

-

-

-
1~2
중량%
1~2
weight%

실시 예2

Example 2
50~60 중량%50~60% by weight 15~20
중량%
15~20
weight%
15~20
중량%
15~20
weight%

-

-

-

-
5~10
중량%
5~10
weight%
1~2
중량%
1~2
weight%

실시 예3

Example 3
50~60
중량%
50~60
weight%
15~20
중량%
15~20
weight%

-

-
15~20
중량%
15~20
weight%

-

-
5~10
중량%
5~10
weight%
1~2
중량%
1~2
weight%

실시 예4

Example 4
50~60
중량%
50~60
weight%
15~20
중량%
15~20
weight%

-

-

-

-
15~20
중량%
15~20
weight%
5~10
중량%
5~10
weight%
1~2
중량%
1~2
weight%

실시 예5

Example 5
50~60
중량%
50~60
weight%
30~40
중량%
30~40
weight%

-

-

-

-

-

-
5~10
중량%
5~10
weight%
1~2
중량%
1~2
weight%

실시 예6

Example 6
50~60
중량%
50~60
weight%

-

-
30~40
중량%
30~40
weight%

-

-

-

-
5~10
중량%
5~10
weight%
1~2
중량%
1~2
weight%

실시 예7

Example 7
50~60
중량%
50~60
weight%

-

-

-

-
30~40
중량%
30~40
weight%

-

-
5~10
중량%
5~10
weight%
1~2
중량%
1~2
weight%

실시 예8

Example 8
50~60
중량%
50~60
weight%

-

-

-

-

-

-
30~40
중량%
30~40
weight%
5~10
중량%
5~10
weight%
1~2
중량%
1~2
weight%

위 [표 1]과 같이, 상기 감온 안료로는 일례로 15℃에서 색상이 발현하는 안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위 [표 1] 이외에도 다양한 조합의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As shown in [Table 1] above, as an example, a pigment that develops color at 15°C was used as the thermosensitive pigment. And, in addition to [Table 1] above, various combination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일례로 사용된 발현온도 15℃를 갖는 감온 안료는 발현하고자 하는 목표온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형성된 히든마크가 구비된 기재 또는 상기 기재가 부착된 물품의 재질과 두께, 물품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체(음료, 커피 등)의 온도, 그리고 외부 온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thermosensitive pigment used with an expression temperature of 15°C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arget temperature for expression. This is due to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substrate provided with a hidden mark formed from the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article to which the substrate is attached, th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beverage, coffee, etc.) accommodated inside the article, and the external It can be determined considering temperature.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형성된 히든마크가 구비된 스티커가 부착된 물품의 재질은 금속재이고, 두께는 2~5mm이며, 상기 물품에 수용되는 수용체의 온도는 5℃ 이하이고, 외부 온도는 대략 23℃인 경우, 수용체의 온도 5℃에서 발현하기 위해 15℃의 발현온도를 갖는 감온 안료를 사용한다.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article with the sticker attached with the hidden mark formed from the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tal, the thickness is 2 to 5 mm,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accommodated in the article is 5.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 and the external temperature is approximately 23℃, a thermosensitive pigment with an expression temperature of 15℃ is used to express at a receptor temperature of 5℃.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일례로 위 [표 1]에서와 같이, 물품에 수용되는 수용체의 온도가 5℃인 것을 감안하여 15℃의 발현온도를 갖는 감온 안료를 사용하였다. 이때, 히든마크가 형성된 기재가 부착된 물품은 유리재/플라스틱재/금속재/필름재/종이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감온 안료의 발현온도는 기재 및 물품의 재질 및 두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기재 및 물품의 재질 및 두께를 고려하는 이유는 수용체의 열을 전달하는 열 전도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이다.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able 1] above, a thermosensitive pigment with an expression temperature of 15°C was used, considering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accommodated in the article is 5°C. At this time, the article to which the substrate on which the hidden mark is formed may be any one of glass/plastic/metal/film/paper, and the expression temperature of the thermosensitive pigment may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substrate and article. there is. Here, the reason why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substrate and article are considered is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thermal conductivity that transfers heat to the recept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온 변색성 조성물에서, 베이스 잉크의 함유량은 50~60중량%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 잉크는 배경이 되는 배경색 잉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화이트, 엘로우, 레드, 블랙, 블루 및 오렌지 색상들 중 단독으로 이루어진 원색 잉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색상이 혼합하여 얻어진 조색 잉크일 수 있다. 이외에도, 배경색 잉크로 공지된 원색의 잉크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In the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base ink is 50 to 60% by weight. Here, the base ink refers to the background color ink, which is composed of primary color ink alone among white, yellow, red, black, blue, and orange colors, or a color tone obtained by mixing at least two of these colors. It could be ink. In addition, any primary color ink known as background color ink can be us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온 변색성 조성물에서, 감온 안료의 함유량은 30~40중량%로 한다. 감온 안료는 특정 온도에서 색상이 발현되는 안료로서, 예를 들어, 레드, 로즈 레드, 마젠타(magenta), 버밀리온(vermilion), 오렌지, 엘로우, 그린, 엘로우 그린, 참 그린(charm green), 스카이 블루(sky blue), 터키시 블루(turkish blue), 블루, 다크 블루(dark blue), 바이오렛(violet), 블랙 색상들 중 단독으로 이루어진 원색 안료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색상이 혼합하여 얻어진 조색 안료일 수 있다. 이외에도, 감온 안료로 공지된 안료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In the variable temperature color changeabl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pigment is 30 to 40% by weight. Thermosensitive pigments are pigments that develop colors at a specific temperature, for example, red, rose red, magenta, vermilion, orange, yellow, green, yellow green, charm green, and sky blue. It is a primary color pigment composed solely of the following colors: sky blue, turkish blue, blue, dark blue, violet, and black, or obtained by mixing at least two of these colors. It may be a coloring pigment. In addition, any pigment known as a thermosensitive pigment can be used.

본 발명에서, 베이스 잉크의 함유량을 50중량%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베이스 잉크에 비해 감온 안료의 혼합률이 높아 설정된 목표온도(수용체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발현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수용체의 온도가 5℃ 이상에서도 히든마크에서 발현이 일어난다. 또한, 감온 안료를 통해 발현되는 색상과 대비되는 베이스 색상의 비율이 낮아 발현되는 색상의 채도가 낮아져 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ent of the base ink is less than 50% by weight, the mixing ratio of the thermosensitive pigment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base ink, so expression occurs even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set target temperatur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For example, expression occurs in hidden marks eve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is above 5℃.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base color compared to the color expressed through the thermosensitive pigment is low, so the saturation of the color expressed may be lowered and the clarity may be reduced.

또한, 베이스 잉크의 함유량이 6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베이스 잉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온 안료의 혼합률이 낮다. 이 경우, 수용체의 온도, 즉 목표온도(물품의 재질, 두께 및 외부 온도를 고려하여 수용체의 온도에 따라 결정된 목표치 발현온도) 5℃에서 즉시 발현이 일어나지 않고, 그 보다 낮은 온도에서 발현이 일어나 발현속도가 느려진다. 또한, 감온 안료를 통해 발현되는 색상과 대비되는 베이스 색상의 비율이 높아 감온 안료에서 발현되는 색상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base ink exceeds 60% by weight, the mixing ratio of the thermosensitive pigment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base ink. In this case, expression does not occur immediately at th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that is, at 5°C, the target temperature (target expression temperatu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considering the material, thickness, and external temperature of the product), but expression occurs at a lower temperature. The speed slows dow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vidness of the color expressed by the thermosensitive pigment is reduced because the ratio of the base color contrasting with the color expressed through the thermosensitive pigment is hig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잉크의 함유량에 따른 히든마크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도면들로서, 예를 들어, 화이트 잉크의 함유량이 각각 다른 변온 변색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재에 히든마크를 형성한 상태에서 발현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사용된 물품은 종이재이고,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외부 온도는 23℃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degree of occurrence of hidden mark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base 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state in which hidden marks are formed on a film material using different temperature discoloring compositions with different white ink contents.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degree of expression. At this time, the article used was paper material, had the same thickness, and the external temperature was 23°C.

도 1의 (a)는 화이트 잉크의 함유량이 50중량% 미만(감온 안료의 함유량이 40중량% 초과)인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히든마크가 형성된 기재가 부착된 물품(1)에 5℃의 수용체가 채워지기 전 히든마크(hM1)의 발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a) shows an article (1) with a hidden mark formed on a base material made of a changeable color change composition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white ink (more than 40% by weight of thermosensitive pigment) at 5°C.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expression state of the hidden mark (hM1) before the receptor is filled.

도 1의 (b)는 도 1의 (a)와 동일한 조건(화이트 잉크와 감온 안료의 함유량, 물품의 재질 및 두께, 외부 온도)으로 이루어진 히든마크가 형성된 기재가 부착된 물품(1)에 6℃ 이상의 수용체를 채운 후 히든마크(hM1)의 발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b) shows an article (1) with a hidden mark formed on an article (1) under the same conditions (content of white ink and thermosensitive pigment,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article, external temperature) as in (a) of Figure 1.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expression state of the hidden mark (hM1) after filling the receptor at ℃ or higher.

도 1의 (a)에서와 같이, 화이트 잉크의 함유량이 5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화이트 잉크에 비해 감온 안료의 혼합률이 높아 물품(1) 내에 수용체가 채워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히든마크(hM1)의 잔상이 비교적 선명하게 표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의 (b)에서와 같이, 설정된 목표온도보다 높은 온도, 예를 들면, 수용체의 온도가 6℃ 이상인 경우에도 히든마크(hM1)가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1, when the white ink content is less than 50% by weight, the mixing ratio of the thermosensitive pigmen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white ink, so that a hidden mark (hM1) is created even when the receptor is not filled in the article 1. ) can be seen that the afterimage is expressed relatively clearly.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 (b), it can be seen that the hidden mark (hM1) is expressed even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set target temperature,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is 6°C or higher.

도 1의 (c)는 화이트 잉크의 함유량이 60중량%를 초과(또는, 감온 안료의 함유량이 30 중량% 미만)하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히든마크가 형성된 기재가 부착된 물품(1)에 5℃의 수용체가 채워진 후 히든마크(hM2)의 발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c) shows an article (1) with a hidden mark formed on a base material made of a temperature changeable composition with a white ink content of more than 60% by weight (or a thermosensitive pigment content of less than 30% by weight).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expression state of the hidden mark (hM2) after the receptor at 5°C is filled.

도 1의 (c)와 같이, 화이트 잉크의 함유량이 60중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화이트 잉크에 비해 감온 안료의 혼합률이 낮아 물품(1) 내에 5℃의 수용체가 채워지더라도 히든마크(hM2)가 선명하지 않고 희미하게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c), when the white ink content exceeds 60% by weight, the mixing ratio of the thermosensitive pigment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white ink, so even if the 5 ℃ receptor is filled in the article 1, hidden marks ( It can be seen that hM2) is expressed vaguely and not clearly.

도 1의 (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성비를 갖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형성된 히든마크로서, 화이트 잉크의 함유량이 50~60중량%(또는, 감온 안료의 함유량이 30~40 중량%)인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히든마크가 형성된 기재가 부착된 물품(1)에 5℃의 수용체가 채워진 후 히든마크(hM3)의 발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d) is a hidden mark formed from a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having a composition rat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white ink content is 50 to 60% by weight (or the thermosensitive pigment content is 30 to 40% by weight). )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expression state of the hidden mark (hM3) after a receptor at 5°C is filled in an article (1) attached with a base material on which a hidden mark is formed made of a different temperature discoloring composition.

도 1의 (d)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성비를 갖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형성된 히든마크의 경우에는 목표온도인 5℃의 온도를 갖는 수용체가 물품(1) 내에 채워지는 순간 빠르게 히든마크(hM3)가 선명하게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d), in the case of a hidden mark formed of a changeable temperature composition having a composition rat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ment a receptor having a temperature of 5°C, which is the target temperature, is quickly filled in the article (1) It can be seen that the hidden mark (hM3) is clearly express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온 변색성 조성물은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로는 아농(Anone)(시클로헥사논, cyclohexanone)을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luent. Anone (cyclohexanone) can be used as the dilu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온 변색성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정전기 방지제, 열전달제, 부착 강화제 또는 내마모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체 함유량은 5~10중량% 범위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The additiv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ntistatic agent, a heat transfer agent, an adhesion enhancer, or an anti-wear agent, and the total content may be in the range of 5 to 10% by weight.

상기 정전기 방지제는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이물질 부착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정전기 방지제는 계면 활성제, 카티온성 고분자 화합물 및 고분자 전해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계면 활성제로는 대전 방지 기능을 갖는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The antistatic agent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attaching, thereby preventing surface contamination. This antistatic ag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urfactant, a cationic polymer compound, and a polymer electrolyte. At this time, a cationic surfactant having an antistatic function can be used as the surfactant.

상기 열전달제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의 열전도율을 증대시켜 변온 변색성 조성물의 색상이 빠르게 발현되도록 하는 첨가제이다. 즉, 0~60℃ 범위 내에서 보다 낮은 온도에서 발현되도록 하는 첨가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열전달제로는 금속성 입자나 전도성 폴리머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금속성 입자로는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알루미늄, 금, 은, 니켈, 크롬 또는 이들이 2종 이상 혼합된 합금 입자들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제를 첨가제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열전도율을 증가시켜 히든마크가 발현되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 온도에서 발현되는 색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heat transfer agent is an additive that increases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ngeable temperature composition and allows the color of the changeable composition to develop quickly. In other words, it is an additive that allows expression at lower temperatures within the range of 0 to 60°C. For example, the heat transfer agent may be at least one of metallic particles or conductive polymer particles. The metallic particles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pper, aluminum, gold, silver, nickel, chromium, and alloy particles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When such a heat transfer agent is added as an additive, the speed at which hidden marks appear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heat conductivity. Additionally, the vividness of colors expressed at the same temperature can be improved.

상기 부착 강화제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인쇄층과 기재의 표면과의 부착력을 강화시키는 강화제로서,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점착제로는 아트릴레이트나 실리콘 원료에 에스테르고무 페놀수지 등의 보조제와 파자마유,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저분자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The adhesion enhancer is a reinforcing agent that strengthens the adhesion betwee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printing layer made of a changeable temperature composition. An adhesive or an adhesive may be used. For example, the adhesive may include arylates or silicone raw materials, ester rubber phenolic resins, etc. It can also be formed by mixing auxiliaries such as pajama oil and low molecular substances such as polyisobutylene.

상기 내마모제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인쇄층으로 형성된 히든마크의 표면에 스크래치와 마모, 또는 벗겨짐 등을 방지하는 첨가제로서,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인쇄층이 형성되는 기재의 재질에 따라 테프론, 실리콘, 카본섬유, 아라미드섬유, 흑연파우더 또는 몰리브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ear resistance agent is an additive that prevents scratches, abrasion, or peeling on the surface of the hidden mark formed by a printing layer made of a changeable temperature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print layer made of a changeable temperature composition is formed, it is Teflon or silicone.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arbon fiber, aramid fiber, graphite powder, or molybdenum.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히든마크가 형성된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on which hidden mark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재(2)는 화이트 잉크 50~60 중량%와, 감온 안료 30~40 중량%와, 나머지는 희석제 및/또는 첨가제가 혼합된 색상 변화 혼합물을 포함하는 전술한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형성된 히든마크(hM)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substrat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or change mixture of 50 to 60% by weight of white ink, 30 to 40% by weight of thermosensitive pigment, and the remainder is a mixture of diluents and/or additives. It includes a hidden mark (hM) formed from the above-described variable temperature discoloration composition.

히든마크(hM)는 도안, 문양, 로고, 문자, 캐릭터, 기호 또는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외에도, 표현할 수 있는 공지된 형상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hidden mark (hM) may be at least one of a design, pattern, logo, letter, character, symbol, or number. In addition, all known shapes that can be expressed can be included.

기재(2)는 유리재, 플라스틱재, 금속재, 필름재 또는 종이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름재는 스티커 또는 라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ubstrate 2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glass, plastic, metal, film, or paper. Here, the film material may be in the form of a sticker or label.

히든마크(hM)는 공지된 다양한 인쇄방식을 이용하여 기재(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크인쇄 또는 패드(pad) 인쇄 등과 같은 인쇄방법, 커팅시트를 붙이는 방법 또는 자외선 경화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기재(2)에 형성할 수 있다. The hidden mark (hM) can be formed on the substrate 2 using various known printing methods. For example, it can be formed on the substrate 2 using a printing method such as silk printing or pad printing, a method of attaching a cutting sheet, or a method using ultraviolet curing resin.

이외에도 다양한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formed through various process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히든마크 형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idden mark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와 같이, 기재(2)의 표면을 전처리한다. 즉, 전처리 공정을 통해 기재(2)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나 유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As shown in Figure 3 (a),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 is pretreated. That is, various foreign substances or organic contaminants, such as dust,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 are removed through the pretreatment process.

이후, 도 3의 (b)와 같이, 기재(2)에 히든마크(hM)를 형성하기 위한 스크린 마스크(3)를 형성한다. 이때, 스크린 마스크(3)는 히든마크(hM)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된다. Afterwards, as shown in (b) of FIG. 3, a screen mask 3 is formed on the substrate 2 to form a hidden mark (hM). At this time, the screen mask 3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hidden mark (hM) is not formed.

스크린 마스크(3) 형성공정은 실크인쇄 또는 패드(pad) 인쇄 등과 같은 인쇄방법, 커팅시트를 붙이는 방법 또는 자외선 경화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process of forming the screen mask 3 may use a printing method such as silk printing or pad printing, a method of attaching a cutting sheet, or a method using ultraviolet curing resin.

이후, 도 3의 (c)와 같이, 히든마크(hM)를 형성한다. 여기서, 히든마크(hM)는 표현하고자 하는 형상의 일부 패턴이거나 전체 형상일 수도 있다. 히든마크(hM)는 스크린 마스크(3)의 형성공정과 마찬가지로, 실크인쇄 또는 패드 인쇄 등과 같은 인쇄방법, 커팅시트를 붙이는 방법 또는 자외선 경화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Afterwards, a hidden mark (hM) is formed, as shown in (c) of FIG. 3. Here, the hidden mark (hM) may be a partial pattern or the entire shape of the shape to be expressed. Similar to the process of forming the screen mask 3, the hidden mark (hM) can be made using a printing method such as silk printing or pad printing, a method of attaching a cutting sheet, or a method using ultraviolet curing resin.

이후, 도 3의 (d)와 같이, 스크린 마스크(3)를 제거하여 히든마크(hM)를 완성한다. Afterwards, as shown in (d) of FIG. 3, the screen mask 3 is removed to complete the hidden mark (hM).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히든마크 형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idden mark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기재(2)의 표면을 전처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그 상면에 히든마크(hM)를 형성하기 위한 코팅층(4)을 형성한다. 이때, 코팅층(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잉크층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4 (a) and (b), after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 is pretreat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 coating layer 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form a hidden mark (hM). At this time, the coating layer 4 may be an ink layer made of a changeable temperatur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후, 도 4의 (c) 및 (d)와 같이, 스크린 마스크(5)를 형성한 후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코티층(4)을 원하는 형태로 패터닝하여 히든마크(hM)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식각공정은 레이저 조사방식 또는 습식방식(에칭용액)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ures 4 (c) and (d), after forming the screen mask 5, an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to pattern the coated layer 4 into a desired shape to form a hidden mark (hM). At this time, the etching process can be performed using a laser irradiation method or a wet method (etching solution).

이후, 도 4의 (e)와 같이, 스크린 마스크(5)를 제거하여 히든마크(hM)를 형성한다. Thereafter, as shown in (e) of FIG. 4, the screen mask 5 is removed to form a hidden mark (hM).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든마크가 형성된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on which hidden marks are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21)는 동일 온도 하에서 서로 다른 발현 특성을 갖도록 형성된 히든마크(hM11, hM12)를 포함한다. 히든마크(hM11, hM12)는 서로 다른 조성비를 갖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로 각각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5, the substrate 2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hidden marks (hM11 and hM12) formed to have different expression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emperature. Hidden marks (hM11, hM12) are each made of different temperature discoloring composition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 ratios.

히든마크(hM11)와 히든마크(hM12)를 각각 형성하는 변온 변색성 조성물 간의 조성비 차이는 동일 온도, 가령 5℃의 수용체에서 서로 다른 발현 특성을 보이도록 한다. 예를 들어, 히든마크(hM11)는 5℃의 수용체에서 빠르게 발현되고, 히든마크(hM12)는 동일한 5℃의 수용체에서 상대적으로 느리게 발현되도록 조성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히든마크(hM12)는 동일한 5℃의 수용체에서 발현되지 않고, 다른 온도, 가령 5℃ 초과, 또는 5℃ 미만에서 발현되도록 조성비를 조정할 수도 있다. The difference in composition ratio between the different temperature discoloring compositions forming the hidden mark (hM11) and the hidden mark (hM12) causes different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 receptors at the same temperature, for example, 5°C. For example, the composition ratio can be adjusted so that the hidden mark (hM11) is expressed rapidly in the receptor at 5°C, and the hidden mark (hM12) is expressed relatively slowly in the receptor at the same 5°C. In additio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hidden mark (hM12) may be adjusted so that it is not expressed in the same receptor at 5°C, but is expressed at a different temperature, such as above 5°C or below 5°C.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의 응용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기재(22)의 표면에 복수 개의 히든마크(hM13~hM16)를 형성한다. 이때, 히든마크(hM13~hM16)는 각각 최종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형상 중 일부 패턴이거나, 또는 히든마크(hM13~hM16) 각각은 서로 다른 형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hidden marks (hM13 to hM16)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2. At this time, each of the hidden marks (hM13 to hM16) may be a partial pattern of the shape to be ultimately expressed, or each of the hidden marks (hM13 to hM16) may represent a different shape.

기재(22)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분리된 각각의 히든마크(hM13~hM16)는 서로 다른 조성비를 갖는다. 가령, 전체 조성비에서 기재(22)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균일하게 화이트 잉크의 함유량을 증가(또는, 감온 안료의 함유량은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체의 온도에 따라 기재(22)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색상이 발현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신비성과 심미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Each hidden mark (hM13 to hM16) separated from the center of the substrate 22 has a different composition ratio. For example, the content of white ink can be uniformly increased (or the content of thermosensitive pigment can be decreased) from the center of the base material 22 to the outside of the overall composition ratio. Through this, colors can be expressed sequentially from the center of the base material 22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thereby providing mystery and aesthetics to the user.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응용 예를 통해 제작된 물품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rticle manufactured through the application example shown in Figure 6.

도 7과 같이, 하나의 도안(히든마크) 내에서 중앙 부위(원형 'B' 참조)와 외곽 부위에 화이트 잉크의 함유량이 서로 다른 변온 변색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안을 형성하는 경우, 수용체의 동일 온도에서 외곽은 색상 발현이 일어나는 반면, 중앙('B') 부위에서는 색상 발현이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7, within one design (hidden mark), the central area (see circle 'B') and the outer area are formed using different temperature discoloring compositions with different white ink contents. When a design is formed 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color development occurs in the outer area at the same temperature of the receptor, while color development does not occur in the central ('B') area.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23)에서는 히든마크(hM17, hM18)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히든마크(hM17, hM18)는 기재(23)의 표면에 단차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단차를 갖는 히든마크(hM17, hM18)는 기재(23)의 표면에 교번적으로 형성되거나 랜덤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the substrate 2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idden marks hM17 and hM18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That is, the hidden marks hM17 and hM18 may be formed with steps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3. At this time, hidden marks hM17 and hM18 having steps may be formed alternately or random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3.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24)에서는 히든마크(hM19, hM20)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예를 들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히든마크(hM20)는 상면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in the substrate 2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idden marks (hM19, hM20)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for example, the hidden mark (hM20) has a relatively low height. may be formed to have an upper surface inclined to one side.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25)에서는 히든마크(hM21, hM22)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예를 들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히든마크(hM22)는 상면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계단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in the substrate 2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idden marks (hM21, hM22)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For example, the hidden mark (hM22) has a relatively low height. may be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with the upper surface inclined to one side.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26)에서는 히든마크(hM23, hM24)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예를 들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히든마크(hM24)는 상면에 볼록형상 또는 오목형상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in the substrate 26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idden marks (hM23, hM24)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for example, the hidden mark (hM24) has a relatively low height. Convex or concave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도 8 내지 도 11에서 제시된 히든마크들은 단차뿐만 아니라 화이트 잉크의 함유량을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도안 내에서 발현되는 색상의 명암을 인접하게 형성된 히든마크와 상대적으로 다르게 표출하여 입체감을 구현할 수도 있다. The hidden marks shown in FIGS. 8 to 11 may have different levels as well as different amounts of white ink.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expressing the light and dark of the color within the design relatively differently from the hidden mark formed adjacent to it.

또한, 도 8 내지 도 11에서 제시된 히든마크들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간의 간격은 균일하게 규칙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히든마크 인쇄시 인쇄 퍼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 0.20mm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idden marks shown in FIGS. 8 to 11 may be spaced apart. The gap between them may be formed uniformly and regularly, or may be formed differently. To prevent printing spread when printing hidden marks, they can be formed at minimum intervals of 0.20 mm.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27)는 히든마크(hM25) 사이에 열전도층(6)이 추가로 형성된다. 이때, 열전도층(6)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도전성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전도층(6)은 구리, 알루미늄, 금, 은, 니켈, 크롬 또는 이들이 2종 이상 혼합된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in the substrate 2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conductive layer 6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hidden marks (hM25). At this time, the heat conductive layer 6 may be made of a conductive thin film with excellent heat conductivity. The heat-conducting layer 6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pper, aluminum, gold, silver, nickel, chromium, or an alloy of two or more thereof.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28)는 도 12에 도시된 기재(27)과 다르게 열전도층(61)이 히든마크(hM26)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열 전도 특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히든마크(hM26)를 보호하는 보호층으로도 기능한다. Referring to FIG. 13, the substrate 2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ubstrate 27 shown in FIG. 12 in that the heat conductive layer 61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hidden mark (hM26) to conduct heat. It improves the characteristics and also functions as a protective layer to protect the hidden mark (hM26).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29)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기재(27, 28)과 다르게 열전도층(62)이 기재(29)의 후면부에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4, the substrate 29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t conductive layer 62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substrate 29, unlike the substrates 27 and 28 shown in FIGS. 12 and 13. do.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3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기재(27, 28, 29)와 다르게 열전도층(63)이 히든마크(hM28)(또는 히든마크 패턴) 사이로 노출되는 기재(30)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때, 열전도층(63)의 높이는 히든마크(hM28)와 동일하거나, 또는 히든마크(hM28)보다 낮을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ure 15, the substrate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ubstrates 27, 28, and 29 shown in Figures 12 to 14, and the heat conductive layer 63 has a hidden mark (hM28) ( or hidden mark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30 exposed between them.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heat conductive layer 63 may be the same as the hidden mark (hM28) or may be lower than the hidden mark (hM28).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재(31)는 열전도층(64)이 히든마크들(hM29)(또는 히든마크 패턴) 중 어느 하나의 상부 또는 하부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히든마크들 간에도 열 전도율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substrate 3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heat conductive layer 64 formed selectively only on the top or bottom of one of the hidden marks (hM29) (or hidden mark pattern). You can. Through this, the thermal conductivity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even between hidden marks.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기재들에는 히든마크를 보호하기 위해 히든마크를 덮도록 보호필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히든마크의 손상이나 스크래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재들은 다양한 물품에 부착 또는 접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를 물품에 부착시키는 방식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기재의 후면을 물품에 접착시키고, 기재를 물품에 접착시키는 방식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기재의 후면을 물품에 접착시킨다. 이때, 상기 물품은 안경렌즈, 거울, 컵, 병(용기), 투명 스티커 또는 투명 라벨 그 자체이거나, 혹은 적어도 일측부에 거울, 렌즈 또는 유리 등과 같은 투명 기재가 구비되어 있는 잡화, 장식품 또는 가전제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Meanwhile, a protective film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ubstrat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ver the hidden mark to protect the hidden mark. This can prevent damage or scratches to hidden marks. Additionally, the substrates can be used by attaching or adhering to various articles. Here, the method of attaching the substrate to the product is to adhere the back side of the substrate to the article using an adhesive, and the method of adhering the substrate to the article is to adhere the back side of the substrate to the article using an adhesive. At this time, the goods are eyeglass lenses, mirrors, cups, bottles (containers), transparent stickers, or transparent labels themselves, or miscellaneous goods, decorations, or home appliances equipped with transparent substrates such as mirrors, lenses, or glass on at least one side. It can be any one of the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for explanation and not limitation. As su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through combina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물품
2,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기재
3, 5 : 스크린 마스크
4 : 코팅층
6, 61, 62, 63, 64 : 열전도층
hM, hM1~hM3, hM11~hM29 : 히든마크
1: Goods
2,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listed
3, 5: Screen mask
4: Coating layer
6, 61, 62, 63, 64: heat conduction layer
hM, hM1~hM3, hM11~hM29: Hidden mark

Claims (23)

온도에 따라 색상이 발현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은 베경색이 되는 베이스 잉크와, 감온 안료와, 희석제가 혼합된 변온 변색성 조성물.
A color changeable composition comprising a color change mixture that develops color depending on temperature, wherein the color change mixture is a mixture of a base ink that becomes a beige color, a temperature sensitive pigment, and a dilu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정전기 방지제, 열전달제, 부착 강화제 또는 내마모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변온 변색성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lor change mixture further includes an additive, and the additive is at least one of an antistatic agent, a heat transfer agent, an adhesion enhancer, or an anti-wear ag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잉크는 화이트, 엘로우, 레드, 블랙, 블루 및 오렌지 색상들 중 단독으로 이루어진 원색 잉크로 이루어지거나, 이들 원색 잉크 중 적어도 2개의 색상이 혼합하여 얻어진 조색 잉크로 이루어진 변온 변색성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ink is composed of a primary color ink made of only white, yellow, red, black, blue, and orange colors, or a color-changing ink obtained by mixing at least two of these primary color ink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온 안료는 레드, 로즈 레드, 마젠타, 버밀리온, 오렌지, 엘로우, 그린, 엘로우 그린, 참 그린, 스카이 블루, 터키시 블루, 블루, 다크 블루, 바이오렛, 블랙 색상들 중 단독으로 이루어진 원색 안료이거나, 이들 원색 안료들 중 적어도 2개의 색상이 혼합하여 얻어진 조색 안료로 이루어진 변온 변색성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thermosensitive pigment is a primary color pigment consisting of only one of the following colors: red, rose red, magenta, vermilion, orange, yellow, green, yellow green, charm green, sky blue, Turkish blue, blue, dark blue, biolet, and black. , a changeable temperature composition consisting of a coloring pigment obtained by mixing at least two colors among these primary color pigme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에서 베이스 잉크의 함유량은 50~60중량%이고, 상기 감온 안료의 함유량은 30~40중량%이며, 나머지는 희석제가 혼합된 변온 변색성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lor change mixture, the content of the base ink is 50 to 6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thermosensitive pigment is 30 to 40% by weight, and the remainder is a dilu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에서, 희석제의 함유량은 1~2중량%인 변온 변색성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lor change mixture, the content of the diluent is 1 to 2% by weigh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에서, 첨가제의 함유량은 5~10중량%인 변온 변색성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2,
In the color change mixture, the content of the additive is 5 to 10% by weight.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변온 변색 조성물로 형성된 히든마크가 구비된 기재.
A substrate with a hidden mark formed from the temperature changeable composition of any one of claims 1 to 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든마크는 도안, 문양, 로고, 문자, 캐릭터, 기호 또는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기재.
According to claim 8,
The hidden mark is at least one of a design, pattern, logo, letter, character, symbol, or numb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든마크는 감온 안료의 발현온도에 따라 색상이 발현되는 기재.
According to claim 8,
The hidden mark is a base material that develops color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temperature of the thermosensitive pigmen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든마크는 도안, 문양, 로고, 문자, 캐릭터, 기호 또는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히든마크는 복수 개의 패턴을 포함하는 기재.
According to claim 8,
The hidden mark is at least one of a design, pattern, logo, letter, character, symbol, or number, and the hidden mark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각각 서로 동일한 색상의 감온 안료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의 감온 안료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된 기재.
According to claim 11,
The plurality of patterns are each formed of a color-changing mixture containing temperature-sensitive pigments of the same color, or a substrate formed of a color-changing mixture containing temperature-sensitive pigments of different color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각각 서로 동일한 함유량을 갖는 감온 안료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함유량을 갖는 감온 안료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된 기재.
According to claim 11,
The plurality of patterns are each formed of a color-changing mixture containing temperature-sensitive pigments having the same content, or a color-changing mixture containing temperature-sensitive pigments having different conten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각각 서로 동일한 색상을 갖는 베이스 잉크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베이스 잉크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된 기재.
According to claim 11,
A substr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patterns are each formed from a color-changing mixture containing base inks having the same color, or a color-changing mixture containing base inks having different color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각각 서로 동일한 함유량을 갖는 베이스 잉크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함유량을 갖는 베이스 잉크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된 기재.
According to claim 11,
The plurality of patterns are each formed of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base inks having the same content, or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base inks having different conten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변화 혼합물은 열전달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각각 서로 동일한 열전달제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열전달제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혼합물로 형성된 기재.
According to claim 11,
The color change mixture further includes a heat transfer agent, and the plurality of patterns are each formed from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the same heat transfer agent, or a color change mixture containing different heat transfer agent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은 각각 상기 히든마크의 전체 영역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상기 히든마크의 전체 영역 중 일부에서 다른 부위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기재.
According to claim 11,
The plurality of patterns are each formed at the same height in the entire area of the hidden mark, or are formed to have a level difference from other portions in a portion of the entire area of the hidden mark.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패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열전도층이 형성된 기재.
According to claim 11,
A substrate having a heat-conducting layer formed on or below the plurality of pattern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패턴 사이에 열전도층이 형성된 기재.
According to claim 11,
A substrate having a heat conductive layer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ttern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패턴들 중 일부의 패턴 상부에만 열전도층이 형성된 기재.
According to claim 11,
A substrate in which a heat-conducting layer is formed only on top of some of the plurality of patterns.
제 8 항의 기재가 부착 또는 접착된 물품.
Articles to which the description of Article 8 is attached or adhered.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유리재, 플라스틱재, 금속재, 필름재 또는 종이재 중 어느 하나인 물품.
According to claim 21,
The base material is any one of glass material, plastic material, metal material, film material, or paper material.
기재의 표면에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변온 변색 조성물을 인쇄하여 히든마크를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히든마크가 형성된 기재를 표면에 부착 또는 접착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방법.
A process of forming a hidden mark by printing the temperature changeable composition of any one of claims 1 to 7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and
A process of attaching or adhering the substrate on which the hidden mark is formed to a surfac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comprising a.
KR1020220034806A 2022-03-21 2022-03-21 Thermochromic composition consisting of a color changeable mixture, base with hidden mark formed by the thermochromic composition, articles with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KR202301370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806A KR20230137090A (en) 2022-03-21 2022-03-21 Thermochromic composition consisting of a color changeable mixture, base with hidden mark formed by the thermochromic composition, articles with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806A KR20230137090A (en) 2022-03-21 2022-03-21 Thermochromic composition consisting of a color changeable mixture, base with hidden mark formed by the thermochromic composition, articles with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090A true KR20230137090A (en) 2023-10-04

Family

ID=8829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806A KR20230137090A (en) 2022-03-21 2022-03-21 Thermochromic composition consisting of a color changeable mixture, base with hidden mark formed by the thermochromic composition, articles with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709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197B1 (en) 2012-12-17 2014-04-30 주식회사 케이엘씨 Cold storage safety indicator using temperature dependent ink layer
KR101981676B1 (en) 2017-12-15 2019-05-24 (주)삼보팩 Printed sheet controlled color-shift tim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197B1 (en) 2012-12-17 2014-04-30 주식회사 케이엘씨 Cold storage safety indicator using temperature dependent ink layer
KR101981676B1 (en) 2017-12-15 2019-05-24 (주)삼보팩 Printed sheet controlled color-shift tim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90270B (en) Decorative molded body, key top and key sheet for the pushbutton switch
US5294494A (en) Printed glass grating decorative plate
JP2000140159A (en) Marked golf ball and its production
KR102214938B1 (en) Manufacturing methode of integrated deco-film for touch window and integrated deco-film for touch window manufactured by the same
US4392905A (en) Method of transferring designs onto articles
RU2007114641A (en) PROTECTIVE ELEMENT WITH VARIABLE OPTICAL PROPERTIES
KR20200072231A (en) Cellular phone decorat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7069511A1 (en) Printed material for temperature sensing display package and packaging material using same
CN108369351A (en) Outer member with temperature sensor
CN112513600A (en) System having a layer comprising a thermochromic material
US4997506A (en) Process of decorating articles
KR20230137090A (en) Thermochromic composition consisting of a color changeable mixture, base with hidden mark formed by the thermochromic composition, articles with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KR20060058140A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durability of coated or decorated ceramic substrates
KR10177132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chromic design decalcomania paper
KR20220083110A (en) Manufacturing method of mobile phone decoration film containing Zion pigment and mobile phone decoration film manufactured through the same
KR102340518B1 (en) Temperature sensing display packaging prints and packing thereof
KR100860116B1 (en) Melt adhesive film for glas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glass applied by thereof
KR102163360B1 (en) Cellular phone decorat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75117B1 (en) A composition of coloring agent for retro-reflectives.
KR2006009113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matter using digital printer
KR102503461B1 (en) Design Pattern Color Mirr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CN215642460U (en) Display screen cover plate with temperature prompt function and display screen
KR10259487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mobile phone decoration film and mobile phone decoration film manufactured through the same
JP7369663B2 (en) top plate for cooker
JP2003005657A (en) Cover part for display p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