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059A -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elective heating method of multiple heating elements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elective heating method of multiple heating ele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059A
KR20230137059A KR1020220034719A KR20220034719A KR20230137059A KR 20230137059 A KR20230137059 A KR 20230137059A KR 1020220034719 A KR1020220034719 A KR 1020220034719A KR 20220034719 A KR20220034719 A KR 20220034719A KR 20230137059 A KR20230137059 A KR 20230137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generating device
aerosol
aerosol generating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7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광원
김범준
김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20034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7059A/en
Publication of KR20230137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059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hand held tools

Abstract

다수의 실시예들은 다중 발열부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히터 몸체에 다수의 능동 발열부를 형성하고 이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방식의 가열이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삽입되면 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삽입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적어도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히터는 능동적으로 발열하는 영역인 발열부를 다수 포함하고, 각 발열부는 제어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발열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any embodiments relate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selectively heats multiple heating units. More specifically,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heating in various ways by forming multiple active heating units in one heater body and individually controlling them. It's about.
An embodiment is a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heat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when inserted, comprising a heater for heating the inserted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at leas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er, and the heater actively generates he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heating parts, which are the areas where heat is generated, and the heat generation of each heating part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Description

다중 발열부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ELECTIVE HEATING METHOD OF MULTIPLE HEATING ELEMENTS}Aerosol generating device for selectively heating multiple heating elements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ELECTIVE HEATING METHOD OF MULTIPLE HEATING ELEMENTS}

다수의 실시예들은 다중 발열부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히터 몸체에 다수의 능동 발열부를 형성하고 이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방식의 가열이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Many embodiments relate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selectively heats multiple heating units. More specifically,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heating in various ways by forming multiple active heating units in one heater body and individually controlling them. It's about.

에어로졸은 대기 중에 부유상태로 존재하는 액체 또는 고체의 작은 입자로 보통 0.001 ~ 1.0 ㎛의 크기를 갖는다. 특히 여러 종류의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유래하는 에어로졸을 사람이 흡입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궐련형 통상의 담배를 선호하는 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통상의 담배의 필터부와, 궐련부의 모양을 갖는 전자 담배도 제안되고 있는데, 이 전자 담배는 궐련부에 포함된 흡입물질을 전자히터로 기화시키면 통상의 담배와 동등한 구성을 갖는 필터부를 통해 사용자가 흡입하는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는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기재(10)가 삽입되는 공동(20)이 구비되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삽입된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공동(20) 외주에는 파이프 형태의 히터(30)가 구비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는 히터(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와, 이 배터리(40)로부터 히터(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40)로부터 히터(30)에 전력을 공급하여 히터(3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기재(10)가 가열되어 궐련형 에어로졸 형성 기재(10)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질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한다.Aerosols are small liquid or solid particles that exist in suspension in the atmosphere and usually have a size of 0.001 to 1.0 ㎛. In particular, there are cases where people inhale aerosols derived from various types of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substrates. For example,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consumers who prefer cigarette-type regular cigarettes, electronic cigarettes that have the filter part of a regular cigarette and the shape of a cigarette part are also being proposed. This electronic cigarette uses the inhaled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igarette part as electronic cigarettes. When vaporized with a heater, the user inhales it through a filter unit tha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regular cigarett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cavity 20 into which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is inserted, and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provided. In order to generate aerosol by heating, for example, a pipe-shaped heater 3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vity 20. 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cludes a battery 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30, and a control unit 50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40 to the heater 30. .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40 to the heater 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and the cigarette-type aerosol forming substrate 10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30 to form cigarette-type aerosol. An aerosol is generat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within the forming substrate 10.

히터(3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경험과 직결되는 핵심 요소로서, 특히 균일한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내부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로 균일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최초 가동 시부터 최종 가동 완료 시까지 균일한 맛을 제공하는 것이 사용자 경험에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히터(30)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3782호에서는 내열성 금속 파이프와 발열 패턴, 센서 패턴을 포함하는 히터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균일한 온도의 발열과 균일한 맛의 제공을 통한 사용자 경험 향상의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The heater 30 is a key element directly related to the user experience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particular, it must be able to continuously maintain a uniform temperature and evenly transfer heat to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inserted therein. Additionally, providing a uniform taste from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o the completion of the final oper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user experience. Therefore, as a prior art for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heater 30,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23782 discloses a heater structure including a heat-resistant metal pipe, a heating pattern, and a sensor pattern. However,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improving user experience through uniform heat generation and uniform taste.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영역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발열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예열 속도와 발열 효율을 높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택적 가열 방식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s i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 selective heating method that can improve the user experience by increasing the preheating speed and heating efficiency by se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heating parts divided by region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o.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삽입되면 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삽입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적어도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히터는 능동적으로 발열하는 영역인 발열부를 다수 포함하고, 각 발열부는 제어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발열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one embodiment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a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heat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when inserted, and includes a heater for heating the inserted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at leas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er, and the heater includes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which are areas that actively generate heat, and the heat generation of each heating unit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히터는 길게 연장하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서 그 내측으로 수용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외주를 감싸며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er is in the form of a long extending hollow pipe and surrounds and heat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accommodated inside the heater.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히터의 발열부는 히터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portion of the heater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er.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어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주기에 대응하여 시작 위치의 발열부에서 종료 위치의 발열부까지 각 발열부가 단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발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each heating unit to sequentially generate heat in a single direction from the heating unit at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heating unit at the ending position in response to the use cycl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감지하는 퍼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퍼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퍼프 행위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puff sensor that detects the user's puffing behavior,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use cycl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user's puffing behavior detected by the puff sensor. do.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어부는 가열 시작 후의 경과 시간을 기초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use cycl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elapsed time after the start of heating.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어부는, 다수의 발열부 중 적어도 두 개의 발열부의 발열 온도가 서로 다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ing temperatures of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heating units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발열부는 미세발열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portion is formed in a fine heating pattern.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각 발열부는 독립적인 전원 공급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heating unit includes an independent power supply terminal.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시작 위치는 다수의 발열부 중 최하단에 위치한 발열부이고 종료 위치는 최상단에 위치한 발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position is a heating unit located at the bottom among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and the ending position is a heating unit located at the top.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시작 위치는 최하단에 위치한 발열부이고 종료 위치는 최상단에 위치한 발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position is the heating unit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ending position is the heating unit located at the top.

본 발명이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삽입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 전체를 가열하지 않고 일부분만을 집중하여 가열하므로 효율적이면서도 에어로졸의 발생이 원활하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eat the entire inserted aerosol-forming substrate, but rather heats only a portion, so it is efficient and generates aerosol smoothly.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각 영역을 시간 순으로 제어하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므로 작동 시간 내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균일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어 균일한 맛의 제공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each region in chronological order and heats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so that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can be heated to a uniform temperature throughout the operating time, thereby providing a uniform taste.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 주기에 따라 각 발열부를 차례로 발열시켜 사용자의 에어로졸 흡입 주기와 속도에 맞도록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heat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to suit the user's aerosol inhalation cycle and speed by sequentially generating heat in each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usage cy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나타낸 투명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기능적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히터(200) 부위를 상세히 나타낸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200)를 펼친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의 제어부(300)가 수행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의 제어부(300)가 수행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n to explain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shown to explain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in detail the heater 200 por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anded view of the heat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300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300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나타낸 내부 구성도로서 도 2는 단면도의 형태로, 도 3은 사시도의 형태로 도시하였다. 도 4는 기능적인 표현을 위하여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궐련형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10)가 삽입되면 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내부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궐련 수용부(120)와 삽입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00)와 적어도 히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그 외에도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른 공지된 요소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버튼이나 LED 등의 표시 수단과 히터(200) 및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0)도 포함될 수 있으나, 당업자가 충분히 예상 가능한 공지된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삽입될 수 있는 궐련형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예시로서, 에어로졸로 변환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기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담지부(T)와 사용자의 입술과 접촉하기 위한 필터부(F)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s 2 and 3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shown in the form of a cross-sectional view and Figure 3 is shown in the form of a perspective view. did.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for functional express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of this embodiment is a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heating the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when inserted, and includes a case 110 and a case 110 for accommodating other components. ), a cigarette receiving portion 120 for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into the interior of the cigarette, a heater 200 for heating the inserted aerosol-forming substrate 10, and at least a heater 200 for controlling the heater 200. Includes a control unit 300. In addition, other known elements for oper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also be included. For example, display means such as a power button or LED, and a battery 4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200 and other components may also be included, but detailed information about known components that can be exp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s sufficient. Cities and descriptions are omitted. As an example of a cigarette-typ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of the embodiment, contacting the user's lips with an aerosol carrying portion T containing an aerosol-generating substrate for conversion into an aerosol. It may include a filter unit (F) for.

케이스(110)는 사람이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서 강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 그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보호할 수 있다. 궐련 수용부(120)는 케이스(110)에 형성되는 내부 공동의 형태로서 궐련 형태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다.The case 110 is of a size that a person can carry and is made of a rigid material to accommodate and protect other components therein. The cigarette receiving portion 120 is in the form of an internal cavity formed in the case 110 and can accommodate and secure at least a portion of the cigarette-shaped aerosol-forming substrate 10.

히터(200)는 본 실시예에서 상하로 길게 연장하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서, 궐련 수용부(120)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10)가 궐련 수용부(120)로 수용되면 그 외주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200)는 능동 발열이 가능한 영역인 발열부를 다수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200)는 총 7 개의 발열부(제1 발열부 내지 제7 발열부)를 포함하며 이는 물론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 요구에 따라 총 갯수는 바뀔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ater 200 is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that extends vertically, and is formed adjacent to the cigarette receiving portion 120, so that when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is received in the cigarette receiving portion 120, the heater 200 is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An aerosol can be generated by heating. As shown in FIG. 4, the heater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which are areas capable of active heat generation. In this embodiment, the heater 200 includes a total of seven heating units (first to seventh heating units), which is of course just an example and the total number may change depending on design requirements.

제어부(3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히터(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히터(200)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출력하는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PWM 제어로서 히터(200)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히터(200)의 다수의 발열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The control unit 300, for example, is a microprocessor and can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er 200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0 can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er 200 using PWM control that adjusts the duty ratio of the output signal.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300 has the feature of being able to individually control multiple heating units of the heater 200.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그 내부 일측에 퍼프 센서(500)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센서(500)는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서 바람직하게는 궐련 수용부(120)의 인근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이다. 사용자의 퍼프 행위로 궐련 수용부(120) 내부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내려가고 이러한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퍼프 센서(500)는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감지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include a puff sensor 500 on one side thereof. The puff sensor 500 i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user's puff behavior and is preferably a pressure sensor installed near the cigarette receiving portion 120. The pressure inside the cigarette receiver 120 temporarily decreases due to the user's puffing action, and the puff sensor 500 can detect the user's puffing action by detecting this pressure chang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히터(200) 부위를 상세히 나타낸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200)를 펼친 전개도이다. 실시예에서 히터(200)는 능동적으로 발열하는 영역인 발열부(210a ~ 210g)를 다수 포함한다. 발열부(210a ~ 210g)는 예를 들어, 절연체 상에 열선 또는 미세발열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능동 발열한다. 특히 실시예서 제어부(300)는 다수의 발열부(210a ~ 210g)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개별적 제어란 예를 들어 다수의 발열부(210a ~ 210g) 중 적어도 두 개의 발열부의 발열 온도가 서로 다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Figure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in detail the heater 200 por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n expanded view of the heat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the heat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heating parts 210a to 210g, which are areas that actively generate heat. The heating units 210a to 210g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forming a heating wire or a micro heating pattern on an insulator, and actively generate hea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0.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300 may individually control the plurality of heating units 210a to 210g. Here, individual control may mean, for example,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s of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heating units 210a to 210g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체 필름 상에 다수의 발열부(210a ~ 210g)의 미세발열패턴의 배선을 개별적으로 구성하고 각각 독립적인 전원 공급 터미널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개별적 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00)의 개별적 제어는 히터(200)의 각 부위의 개별적 발열을 가능하게 한다. 삽입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로부터 에어로졸을 원활히 발생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히터(200)의 발열부(210a ~ 210g)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에어로졸 담지부(T) 전체를 가열할 수 있도록 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다수의 발열부(210a ~ 210g)는 히터(2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며, 삽입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에어로졸 담지부(T)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6, the individual control can be achieved by individually configuring the wiring of the micro heating pattern of the plurality of heating parts 210a to 210g on the insulating film and forming independent power supply terminals for each. Such individual control by the control unit 300 enables individual heat generation in each part of the heater 200. In order to smoothly generate aerosol from the inserted aerosol-forming substrate 10, the heating portions 210a to 210g of the heater 200 are preferably distributed so as to heat the entire aerosol carrying portion T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It is desirable to do so. Preferably, the plurality of heating parts (210a ~ 210g)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er 200, and are preferab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aerosol carrying part (T) of the inserted aerosol forming substrate 10.

사용자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를 삽입한 후,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작동시키면, 제어부(300)는 제1 발열부 내지 제7 발열부(순서대로 도면 부호 210a 내지 210g로 표기됨)를 개별적으로 발열시키며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300)는 시작 위치의 발열부에서 종료 위치의 발열부까지 각 발열부가 단일 방향으로, 예를 들어 최하단의 발열부부터 최상단의 발열부까지,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발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를 삽입한 후,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작동시키면, 제어부(300)는 제1 발열부(210a)를 발열시켜 에어로졸 담지부(T)의 최전단 부위에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소정의 시간 동안 발열시킨 후, 제어부(300)는 제1 발열부(210a)의 발열(능동 발열)을 중단시키고, 제2 발열부(210b)를 가동하여 그 다음 부위에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를 반복하여 최종 발열부인 제7 발열부(210g)까지 발열을 마치고 장치의 작동을 종료한다. 이로써 도 5의 화살표 방향과 같은 달일 방향의 순차적인 발열부의 발열이 실현될 수 있다. 물론 반대 방향(제7 발열부부터 발열하여 제1 발열부를 향하는)의 순차적인 발열도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순차적인, 교번식의 다수의 발열부(210a ~ 210g)의 발열을 통하여, 열을 에어로졸 형성 기재(1000)의 일부분에 집중하여 가하여, 히터의 효율을 높이고 가열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최종적으로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에어로졸 담지부(T)의 전 영역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After the user inserts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and operates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1, the control unit 300 operates the first to seventh heating units (indicated in that order by reference numerals 210a to 210g). They can individually generate heat and form aerosols. Preferably, the control unit 300 sequentially alternates each heating unit from the heating unit at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heating unit at the ending position in a single direction, for example, from the lowest heating unit to the uppermost heating unit,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heat generation. For example, after inserting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300 generates heat in the first heating unit 210a to control the frontmost portion of the aerosol carrying unit T. generates aerosol. After generating hea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300 stops the heat generation (active heat gener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210a and operates the second heating unit 210b to generate aerosol at the next site. By repeating this control, heat is generated up to the final heat-generating part, the seventh heating part (210g), and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s terminated. As a result, sequential heat generation from the heating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5 can be realized. Of course, sequential heat gener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seventh heating unit to the first heating unit) can also be performed. Through the sequential and alternating heating of the plurality of heating units 210a to 210g, heat is concentrated and applied to a portion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00,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heater, shortening the heating time, and ultimately producing aerosol. The entire area of the aerosol carrying portion (T) of the forming substrate 10 can be heated evenly.

특히 어느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최초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를 삽입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작동시켜 에어로졸 흡입을 모두 마칠 때까지의 어느 시점인 사용 주기에 대응하여 히터(200)의 각 부위(발열부)가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주기로서, 사용자의 퍼프(puff) 행위를 그 결정의 근거 삼고 히터(200)의 발열부를 순차적으로 발열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가 퍼프 센서(500)를 토대로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감지한 경우, 히터(200)의 다음 발열부가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0)가 삽입된 후 히터(200)의 어느 발열부의 가열을 시작한 후의 경과 시간을 사용 주기로 간주하고 발열부를 순차적으로 발열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를 삽입한 후, 에어로졸 흡입 과정을 모두 마칠 때까지의 사용자의 퍼프 횟수 또는 소요시간에 비례하여 히터(200)가 에어로졸 담지부(T)의 각 영역을 차례대로 교번하며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300 operates the heater ( 200) can be controlled so that each part (heating part) of the unit generates heat. For example, as a usage cycle, the heating parts of the heater 200 may be sequentially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puffing behavior as the basis for the decision.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300 detects the user's puff behavior based on the puff sensor 500, it can control the next heating part of the heater 200 to generate heat. Alternatively, the elapsed time from when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is inserted and the heating of any heating part of the heater 200 begins is regarded as a usage cycle, and the heating parts can be sequentially generated. This control is such that after the user inserts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the heater 200 controls each area of the aerosol carrying unit (T)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puffs or time required until the aerosol inhalation process is completed. Allow heating to take place alternately.

도 7은 앞서 설명한 제어부(300)가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제어 방법은, 예를 들어, 히터(200)의 시작 위치의 발열부(예를 들어 최하단의 제1 발열부)를 작동시켜 발열을 시작하는 단계(s110)가 포함된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는 제1 발열부의 발열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다음 단계로서, 사용자의 퍼프(흡입 행위)를 감지하고 감지한 퍼프 횟수가 소정의 임계치에 도달했는지 판단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여기서 감지한 퍼프 횟수가 소정의 임계치에 도달한 경우, 가열 중인 발열부의 작동을 중단하고 다음 발열부를 작동시키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s120 단계에서 예를 들어 퍼프 센서(500)를 통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300)는 현재의 발열부의 발열이 시작된 후부터의 누적 퍼프 횟수가 소정의 임계치에 도달했는지 판단하여 그에 대응하여 발열부를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발열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히터(200)의 발열 부위(발열부)를 사용자의 퍼프 행위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실제 궐련을 피우는 행위와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300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method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es, for example, the step of starting heat generation by operating the heating unit at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heater 200 (for example, the first heating unit at the lowest stage) (s110 ) is included. At this stage, the user can inhale the aerosol generated from the aerosol-forming base 10 due to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ing unit. The next step includes detecting the user's puff (inhalation ac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detected puffs has reached a predetermined threshold (s120). Next, when the number of puffs detected here reaches a predetermined threshold, a step (s130)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and operating the next heating unit is included. In step s120, for example, the user's puff can be detected through the puff sensor 500, and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cumulative number of puffs since the start of heat generation of the current heating uni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responds accordingly. The heating parts are controlled to generate heat alternately sequentially. In the control method of this embodiment, the heating part (heating part) of the heater 200 is sequentially moved in response to the user's puffing action, thereby providing a user experience similar to the actual act of smoking a cigarette.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종료 위치의 발열부(예를 들어 최상단의 제7 발열부)까지 발열 주기를 마쳤는지 판단하고(s140), 종료 위치의 발열부까지 발열을 마친 것이 감지된 경우, 모든 발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제어에서, 제어부(300)는 시작 위치의 발열부에서 종료 위치의 발열부까지 각 발열부가 단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발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에어로졸 담지부(T)에 포함된 에어로졸 형성 기질의 대부분을 에어로졸로 변환시킬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heating cycle has completed up to the heating unit at the end position (for example, the seventh heating unit at the top) (s140),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eating unit at the ending position has completed the heat generation, It includes a step (s150)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cluding all heating parts. In this series of control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each heating unit to alternately generate heat in a single direction from the heating unit at the start position to the heating unit at the end position. As a result, most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contained in the aerosol carrying portion (T)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can be converted into aerosol.

도 8은 앞서 설명한 제어부(300)가 수행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하는 단계(s120)가 사용 경과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s220)로 대체된다는 점을 달리한다. 퍼프 센서(500)를 통한 사용자의 퍼프 행위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사용 주기를 판단하지 않고, s220 단계와 같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를 가열하기 시작한 후 경과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 주기를 판단하여 다음 발열부를 작동시킨다(s230). 즉 소정의 시간 간격(임계치)이 경과했는지 제어부(300)가 지속적으로 판단하고 경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현재 발열부의 작동을 중단하고 다음 발열부를 교번식으로 작동시킨다. 또한 이를 반복하여 다수의 발열부(210a ~ 210g)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전체 사용 주기에 걸쳐 순차적으로 발열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가열 시작 후, 경과 시간에 비례하여, 히터(200)의 발열 부위(발열부)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에어로졸 담지부(T)가 대응되는 각 부위별로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300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FIG. 7 in that the step (s120) of detecting the user's puff is replaced with a step (s220) of determining the elapsed usage time. Rather than determining the usage cycl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based on the user's puff action through the puff sensor 500, the usage cy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time elapsed after starting to heat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as in step s220. This operates the next heating unit (s230). That is, the control unit 300 continuously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reshold) has elaps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reshold) has elapsed, it stops operating the current heating unit and operates the next heating unit alternately. Additionally, this is repeated to control the plurality of heating units 210a to 210g to sequentially generate heat throughout the entire use cycl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his control sequentially moves the heating portion (heating portion) of the heater 200 in proportion to the elapsed time after the start of heating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and uniformly distributes the aerosol carrying portion (T) for each corresponding portion. Allow it to heat up.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히터(200)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발열부를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발열하도록 제어하며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를 가열하는 것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주기 내내 일정한 에어로졸의 발생을 기대할 수 있다. 히터(200) 전체를 가열하지 않고 그보다 작은 면적의 발열부를 발열시키는 것으로 히터의 효율을 높이고 가열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에어로졸 담지부(T)의 전 영역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eater 200 are controlled to sequentially alternately generate heat and heat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10, so that constant aerosol generation is expected throughout the use cycl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You can. By generating heat in a smaller area of the heater rather than heating the entire heater 200, the efficiency of the heater can be increased and the heating time can be shortened, while the entire area of the aerosol carrying portion (T) of the aerosol forming substrate 10 can be heated evenly. .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에어로졸 발생 장치 10: 에어로졸 형성 기재
110: 케이스 120: 궐련 수용부
200: 히터 210a ~ 210g: 발열부
300: 제어부 400: 배터리
500: 퍼프 센서
1: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erosol forming substrate
110: Case 120: Cigarette receiving portion
200: Heater 210a ~ 210g: Heating part
300: Control unit 400: Battery
500: Puff sensor

Claims (11)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삽입되면 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삽입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적어도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히터는 능동적으로 발열하는 영역인 발열부를 다수 포함하고, 각 발열부는 제어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발열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In the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heating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when inserted,
a heater for heating the inserted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It includes at leas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er,
The heater includes a plurality of heating parts, which are areas that actively generate heat, and the heat generation of each heating part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히터는 길게 연장하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서 그 내측으로 수용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외주를 감싸며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ater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the form of a long, hollow pipe that surrounds and heat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accommodated inside the heater.
제2항에 있어서,
히터의 발열부는 히터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portion of the heater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er.
제3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주기에 대응하여 시작 위치의 발열부에서 종료 위치의 발열부까지 각 발열부가 단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발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each heating unit to sequentially generate heat in a single direction from the heating unit at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heating unit at the ending position in response to the usage cycl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퍼프 행위를 감지하는 퍼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퍼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퍼프 행위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It further includes a puff sensor that detects the user's puff behavi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use cycl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user's puff behavior detected by the puff sensor.
제4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가열 시작 후의 경과 시간을 기초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use cycl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elapsed time after the start of heating.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다수의 발열부 중 적어도 두 개의 발열부의 발열 온도가 서로 다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ing temperatures of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heating units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발열부는 미세발열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part is formed in a fine heating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각 발열부는 독립적인 전원 공급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each heating unit includes an independent power supply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시작 위치는 다수의 발열부 중 최하단에 위치한 발열부이고 종료 위치는 최상단에 위치한 발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position is a heating unit located at the bottom among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and the ending position is a heating unit located at the top.
제4항에 있어서,
시작 위치는 다수의 발열부 중 최하단에 위치한 발열부이고 종료 위치는 최상단에 위치한 발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position is a heating unit located at the bottom among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and the ending position is a heating unit located at the top.
KR1020220034719A 2022-03-21 2022-03-21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elective heating method of multiple heating elements KR202301370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719A KR20230137059A (en) 2022-03-21 2022-03-21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elective heating method of multiple heating ele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719A KR20230137059A (en) 2022-03-21 2022-03-21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elective heating method of multiple heating ele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059A true KR20230137059A (en) 2023-10-04

Family

ID=8829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719A KR20230137059A (en) 2022-03-21 2022-03-21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elective heating method of multiple heating ele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705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7103C2 (en) Electronic device for aerosol generation
JP7073439B2 (en)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housing and coupler
KR102537701B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an induction heater having a conical induction coil
CN111050579B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1031822B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modular induction heater
US20210378308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ing Chamber Therefor
EP3863445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ing chamber therefor
US20220046990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ing Chamber Therefor
KR20180107161A (en) Flavor transfer device
UA128083C2 (en) Microtextured liquid transport element for aerosol delivery device
EP3871530A1 (en) Control unit,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heater
EP3871531A1 (en) Control unit, aerosol gener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heater, and smoking article
WO2022079753A1 (en) Inhal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4340427A (en) Heating status indicator and heating method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JPWO2020084775A1 (en) Control units, aerosol generators, methods and programs for controlling heaters, and smoking items
JP2022057852A (en) Power supply unit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20047792A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aerosol generation of e-cigarettes
WO2022079749A1 (en) Inhal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30137059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elective heating method of multiple heating elements
CN115666301A (en) Suc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637951B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heater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7202809A (en) Power supply unit for inhaler
KR20230134250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moving heater blade
WO2022079750A1 (en) Inhal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RU2796954C2 (en) Electronic aerosol genera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