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345A - System for sharing image using multiple cheering stick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sharing image using multiple cheering stick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345A
KR20230136345A KR1020220033954A KR20220033954A KR20230136345A KR 20230136345 A KR20230136345 A KR 20230136345A KR 1020220033954 A KR1020220033954 A KR 1020220033954A KR 20220033954 A KR20220033954 A KR 20220033954A KR 20230136345 A KR20230136345 A KR 20230136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ticks
stick
video sharing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현모
이광일
최성일
김영준
박정희
조유진
박혜린
Original Assignee
이성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버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버라인 filed Critical 이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3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6345A/en
Publication of KR2023013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34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8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응원봉을 연동시키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응원봉의 배치를 설정받는 단계, 배치된 복수의 응원봉의 형태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응원봉에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응원봉 각각에 영상을 전송하여 복수의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공유 시스템이 복수의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콘서트나 공연장을 이외의 장소에서도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응원봉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sharing method performed by a video shar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includes link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a user terminal held by a user, and accessing an application using the user terminal. A step of sett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light sticks from the user, a step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arranged, and a step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the user terminal. It includes the step of transmitting an image to each rod and controlling the image to be displayed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sharing system provides videos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sticks, so users can watch videos through the light sticks in places other than concerts or performance halls,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light sticks. there is.

Description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SHARING IMAGE USING MULTIPLE CHEERING STICK AND METHOD THEREOF}Video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ple cheering sticks {SYSTEM FOR SHARING IMAGE USING MULTIPLE CHEERING STIC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응원봉 각각에 영상을 전송하여 전송된 영상의 일부분을 각각의 응원봉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nd more specifically, to transmit a video to each of a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a user terminal and display a portion of the transmitted video on the display of each light stick. It relates to a video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light sticks.

일반적으로, 스포츠경기나 콘서트가 열리는 경기장에서 관중 또는 관객으로 입장한 사람들이 해당 경기 또는 콘서트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플래카드, 카드섹션, 응원봉과 같은 도구를 사용한다.Generally, people who enter as spectators or spectators at a stadium where a sports game or concert is held use tools such as placards, card sections, and cheering sticks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game or concert.

최근, 응원도구는 종이, 종이 수술, 풍선 및 야광 물질의 응원 막대에서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명이 장착된 응원봉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응원봉 등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Recently, cheering tools have developed in a variety of ways, from cheering sticks made of paper, paper surgery, balloons, and luminous materials to cheering sticks equipped with lights that can maximize visual effects or cheering sticks controlled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there is.

특히, 응원봉은 주로 콘서트나 각종 공연 등 오프라인 팬 활동, 공연의 연출 및 이벤트의 일부분으로 참여하는 데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light sticks are mainly used for offline fan activities such as concerts and various performances, production of performances, and participation as part of events.

다만, 관객이 손에 소지한 채로 직접 조명을 제어하고, 콘서트나 공연장과 같은 장소 내에서만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활용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audience directly controls the lighting while holding it in their hands and is only used in places such as concerts or performance hall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has low practical usability.

그리고, 응원봉은 대부분 일회성이므로, 사용 후 버려지게 되어 이에 따른 환경문제 및 처리비 용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light sticks are mostly disposable, they are discarded after use, resulting in environmental problems and disposal cost problems.

따라서, 응원봉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echnology that can increase the usability of light sticks.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89803호 (2014.02.20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89803 (published on February 20, 201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응원봉 각각에 영상을 전송하여 전송된 영상의 일부분을 각각의 응원봉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that transmits an image to each of a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a user terminal and displays a portion of the transmitted video on the display of each light stick. It is provided.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응원봉을 연동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응원봉의 배치를 설정받는 단계, 상기 배치된 복수의 응원봉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응원봉에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응원봉 각각에 상기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technical problem, a video sharing method performed by a video shar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includes the steps of link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a user terminal held by a user; Receiving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from a user who accesses the application using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arranged. It includes a step of adjusting the size, and transmitting the imag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imag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상기 복수의 응원봉의 배치를 설정받는 단계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하여 상기 연동된 복수의 응원봉에 해당하는 개수의 가상 응원봉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의 배치, 배열, 간격을 직접 설정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setting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includes displaying a number of virtual cheering stick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inked cheering sticks through an application screen, and the arrangement, arrangement, and spacing of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from the user. It may include a step of directly setting .

상기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좌측 상단 또는 좌측 하단 모서리를 제1 지점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우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 모서리를 제2 지점으로 하며,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길이를 수평 거리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상측면과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하측면 사이의 길이를 수직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the upper left or lower left corner of the virtual cheering stick located on the leftmost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is set as the first point, and the virtual cheering stick located on the most right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is set as the first point. The upper right or lower right corner of the cheering stick is set as the second point,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s set as the horizontal distance, and the upper side of the virtual cheering stick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is The length between the lower sides of the virtual light stick located at the bottom can be set as the vertical distance.

상기 복수의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전송된 영상의 일부분에 해당되는 영상을 각각의 응원봉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The step of controlling to display an image through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transmit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of each light stick.

상기 복수의 응원봉은, LED로 구성되는 응원봉 손잡이, 상기 응원봉 손잡이 상단에 부착되어 영상 또는 문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단에 부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색상을 감지하는 광 측정 센서, 그리고 주변의 조도를 인식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include a light stick handle made of LED, a display unit attached to the top of the light stick handle to display an image or text,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pair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ttached to the top of the display unit. It may include a light measurement sensor that detects the color coming from the light, and an illuminance sensor that recognizes the surrounding illuminance.

상기 복수의 응원봉은, 상기 광 측정 센서를 통해 상기 외부에서 유입되는 색상에 대한 파장 데이터를 검출하고, 기 저장된 색상 보정 값을 기반으로 파장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상 데이터를 예측하여 상기 응원봉 손잡이에 색상을 표시하며,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응원봉의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값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detect wavelength data for the color coming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tical measurement sensor, predict color data corresponding to the wavelength data based on a pre-stored color correction value, and color the light stick handle. , and the surrounding illumination level is detected using the illumination sensor, and the brightness value of the display unit of the light stick can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detected change in illumination level.

사용자가 복수의 응원봉 중에서 제1 응원봉과 인접하는 다른 제2 응원봉을 통하여 서로 특정 액션을 수행하는 경우, 기 선택된 영상을 상기 제1 응원봉에서 상기 제2 응원봉으로 전달할 수 있다. When users perform a specific action through a second light stick adjacent to the first light stick amo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 pre-selected imag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light stick to the second light stick.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응원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message from the outside, it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received message through a display unit mount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stick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응원봉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동되는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응원봉의 배치를 설정받는 배치부, 상기 배치된 복수의 응원봉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응원봉에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조절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응원봉 각각에 상기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ideo shar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a communication unit linked with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 placement unit that receives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from a user, and the arranged a control unit to adjust the siz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and to transmit the imag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to display the image through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공유 시스템이 복수의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콘서트나 공연장 이외의 장소에서도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응원봉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sharing system provides videos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sticks, so users can watch videos through the light sticks in places other than concerts or performance halls,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light sticks.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응원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S420 단계 및 S4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의 S44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S45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ideo shar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light stick.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shar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ideo sharing method performed by a video shar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steps S420 and S430 of Figure 4.
FIGS. 6A to 6C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step S440 of FIG. 4.
Figure 7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450 of Figure 4.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The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video sharing system 100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1 to 2B.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ideo shar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0) 및 복수의 응원봉(300)과 네트워크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1,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using a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network with a user terminal 200 and a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300.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복수의 응원봉(300) 각각에 영상을 전송하여 복수의 응원봉(300)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First,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video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displays the video through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여기서, 복수의 응원봉(300)은 5개의 응원봉으로 도시하였으나, 응원봉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Here,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is shown as five light sticks, but the number of light sticks is not limited.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휴대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로서,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패드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200 is a portable user terminal and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can exchange information by connecting to a network wired or wirelessly, such as a laptop computer, smart pad, or smartphone.

특히, 사용자 단말기(200)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로 구현된 경우에는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영상 공유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user terminal 200 is implemented as a smartphone or smart pad, it can access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through a pre-installed application.

다음으로, 복수의 응원봉(300)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표시한다.Next,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display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display unit 320.

도 2a 및 도 2b는 응원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s 2a and 2b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light stick.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응원봉(300a, 300b, …, 300e)은 응원봉 손잡이(310), 디스플레이부(320),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광 측정 센서(330) 및 조도 센서(3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light sticks 300a, 300b, ..., 300e include a light stick handle 310, a display unit 320,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n optical measurement sensor 330. and an illuminance sensor 340.

여기서, 응원봉 손잡이(310)는 LED로 구성되어 구현된다. Here, the light stick handle 310 is implemented by being made of LED.

그리고, 디스플레이부(320)는 응원봉 손잡이(310) 상단에 부착되어 영상 또는 문구를 표시한다.Additionally, the display unit 320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light stick handle 310 and displays an image or text.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20)는 연예인과 관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A, the display unit 320 may display images related to celebrities.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페어링하기 위해 응원봉(300a, 300b, …, 300e)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installed on the light sticks 300a, 300b, ..., 300e for pairing with the user terminal 200.

그리고, 광 측정 센서(330)는 복수의 응원봉(300a, 300b, …, 300e)의 디스플레이부(320) 상단에 각각 부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색상을 감지하고, 응원봉(300a, 300b, …, 300e)은 감지된 색상을 응원봉 손잡이(3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light measurement sensor 330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display unit 320 of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300a, 300b, ..., 300e, respectively, and detects the color coming from the outside, and detects the color coming from the outside. , 300e) controls the detected color to be displayed on the light stick handle 310.

그 다음, 조도 센서(340)는 주변의 조도를 인식하여 감지된 조도 변화에 대응하여 응원봉(300a, 300b, …, 300e)의 디스플레이부(320)의 밝기 값을 제어한다. Next, the illuminance sensor 340 recognizes the surrounding illuminance and controls the brightness value of the display unit 320 of the light sticks 300a, 300b, ..., 300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illuminance change.

이하에서는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shar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배치부(120), 조절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placement unit 120, an adjustment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먼저, 통신부(110)는 복수의 응원봉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동된다.First, 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linked with a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이때,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WLAN(와이파이)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WFD(Wi-Fi Direct)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Ant+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es Bluetooth communic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WLAN (Wi-Fi)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communication, WFD (Wi-Fi Direct) communication, and UWB (ultrawideband)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Ant+ communication, etc., but is not limited to this.

다음으로, 배치부(12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응원봉(300)의 배치를 설정받는다. Next, the arrangement unit 120 receives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300 from the user who accesses the application using the user terminal 200.

이때, 배치부(120)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하여 연동된 복수의 응원봉(300)에 해당하는 개수의 가상 응원봉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가상 응원봉(300)의 배치, 배열, 간격을 직접 설정받는다.At this time, the arrangement unit 120 displays the number of virtual cheering stick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inked cheering sticks 300 through the application screen, and allows the user to control the placement, arrangement, and spacing of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300. Get set directly.

다음으로, 조절부(130)는 배치된 복수의 응원봉의 형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응원봉(300)을 통해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한다.Next, the control unit 130 adjusts the siz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300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arranged.

이때, 조절부(130)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하여 표시된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좌측 상단 모서리를 제1 지점으로 하고,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우측 상단 모서리를 제2 지점으로 하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길이를 수평 거리로 설정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virtual cheering stick located on the leftmost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screen as the first point, and sets the virtual cheering stick located on the most right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as the first point.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bar is set as the second point, and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s set as the horizontal distance.

또는, 조절부(130)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하여 표시된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좌측 하단 모서리를 제1 지점으로 하고,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우측 하단 모서리를 제2 지점으로 하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길이를 수평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virtual cheering stick located on the leftmost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screen as the first point, and sets the virtual cheering stick located on the most right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as the first point.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bar is set as the second point, and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can be set as the horizontal distance.

그리고, 조절부(130)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하여 표시된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상측면과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하측면 사이의 길이를 수직 거리로 설정한다.Then,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uppermost virtual cheering rod and the lower side of the lowermost virtual cheering rod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s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screen.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복수의 응원봉(300) 각각에 영상을 전송하여 복수의 응원봉(300)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Next, the control unit 140 transmits an imag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and controls the imag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이때, 제어부(140)는 전송된 영상의 일부분에 해당되는 영상을 각각의 응원봉(300a, 300b, …, 300e)의 디스플레이부(320) 상에 표시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0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transmit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320 of each cheering stick (300a, 300b, ..., 300e).

그리고, 제어부(140)는 광 측정 센서(330)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색상에 대한 파장 데이터를 검출하고, 기 저장된 색상 보정 값을 기반으로 파장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상 데이터를 예측하여 응원봉 손잡이(310)에 색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조도 센서(340)를 이용하여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 변화에 대응하여 응원봉(300a, 300b, …, 300e)의 디스플레이부(320)의 밝기 값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detects the wavelength data for the color coming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light measurement sensor 330, predicts the color data corresponding to the wavelength data based on the pre-stored color correction value, and predicts the color data corresponding to the wavelength data to control the light stick handle ( 310) is controlled to display a color, and the surrounding illuminance is detected using the illuminance sensor 340, and the brightness value of the display unit 320 of the light sticks 300a, 300b, ..., 300e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detected illuminance change. control.

그 다음,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복수의 응원봉(300) 중에서 제1 응원봉과 인접하는 다른 제2 응원봉을 통하여 서로 특정 액션을 수행하는 경우에 기 선택된 영상을 제1 응원봉에서 상기 제2 응원봉으로 전달한다.Next, when a user performs a specific action through another second cheering rod adjacent to the first cheering rod among the plurality of cheering rods 300, the control unit 140 transmits a pre-selected image from the first cheering rod to the second cheering rod. 2 Pass it with a light stick.

그리고, 제어부(140)는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시지를 복수의 응원봉(30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And,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received messag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20 mounted on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300.

이하에서는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공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video sharing method performed by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ideo sharing method performed by a video shar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복수의 응원봉(300)을 연동시킨다(S410).First,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nks a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carried by the user (S410).

이때,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복수의 응원봉(300)을 연동시키기 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어드버타이징(Bluethooth advertising)을 이용하여 고유 ID와 LED 색상 패턴 데이터를 포함하는 특정코드를 복수의 응원봉(300)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uses Bluetooth advertising of the user terminal 200 to create a unique ID and LED color pattern before linking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A specific code containing data can be transmit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여기서, 블루투스 어드버타이징은 특정 디바이스를 지정하지 않고도 신호를 보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나타내며, LED 색상 패턴 데이터는 빨강, 노랑, 초록 등과 같은 색상과 점멸, 점등 등의 패턴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Here, Bluetooth advertising refers to a technology that transmits data by sending a signal without specifying a specific device, and LED color pattern data includes data including colors such as red, yellow, green, and patterns such as blinking and lighting. indicates.

그리고,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응원봉(300) 각각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페어링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may be pair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tta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가상 응원봉의 개수를 선택받는다(S420).Next,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number of virtual light sticks from the user accessing the application (S420).

도 5는 도 4의 S420 및 S4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steps S420 and S430 of Figure 4.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 인근에 위치한 복수의 응원봉(A-1, A-2, …, A-6, B-1, …, C-1, …, D-1, …, D-6)으로 강제 점멸 신호를 전송하여 복수의 응원봉 전체 수량인 24개를 인식한다. As shown in FIG. 5,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uses a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A-1, A-2, ..., A-6, B) located near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1, …, C-1, …, D-1, …, D-6) to recognize a total of 24 light sticks.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자동으로 영상 촬영을 시작한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automatically starts capturing image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응원봉(300)의 배치를 설정받는다(S430).Next,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from the user (S430).

이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는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복수의 응원봉을 촬영하면서 A-1부터 D-6까지 순차적으로 1회 점멸 신호를 전송하고,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응원봉 각각의 위치를 인식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user terminal 200 sequentially transmits a flashing signal once from A-1 to D-6 while photograph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an attached camera, and the video sharing system ( 100) recognizes the loc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는 복수의 응원봉 각각에 부여된 특정코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응원봉 각각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can recognize the loc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using a specific code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드래그하여 복수의 가상 응원봉의 배치, 배열, 간격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user can directly set the placement, arrangement, and spacing of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by dragging the screen of an application already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20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배치된 복수의 응원봉(300)의 형태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한다(S440).Next,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size of the video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arranged (S440).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의 S44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S. 6A to 6C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step S440 of FIG. 4.

도 6a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배치된 가상의 응원봉(400a, 400b, 400c, 400d, 400e)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b 및 도 6c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배치된 가상의 응원봉(400a, 400b, 400c, 400d, 400e)을 확대하여 가상의 응원봉(400a, 400b, 400c, 400d, 400e)만 도시한 예시도이다. Figure 6a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virtual light sticks (400a, 400b, 400c, 400d, 400e) arranged o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and Figures 6b and 6c show virtual light sticks (400a, 400b, 400c, 400d, 400e) arranged o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This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only the virtual light sticks (400a, 400b, 400c, 400d, 400e) by enlarging 400a, 400b, 400c, 400d, 400e.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실제 복수의 응원봉(300a, 300b, 300c, 300d, 300e)을 애플리케이션에서 배치시킨 가상의 응원봉(400a, 400b, 400c, 400d, 400e)과 유사한 형태로 배치시킨다고 가정한다. As shown in Figure 6a, the user uses a plurality of actual light sticks (300a, 300b, 300c, 300d, 300e) in a form similar to the virtual light sticks (400a, 400b, 400c, 400d, 400e) arranged in the application. Assume it is placed.

이때, 실제 복수의 응원봉(300a, 300b, 300c, 300d, 300e)와 가상의 응원봉(400a, 400b, 400c, 400d, 400e)의 배치가 서로 다른 형태일 수도 있으며, 한정하지 않고, S430 단계에서, 응원봉과 응원봉 사이의 간격이 1cm로 배치하도록 설정하거나, 복수의 응원봉을 장변이 상측에 위치한 사다리꼴 형태로 배치하도록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the actual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300a, 300b, 300c, 300d, 300e) and the virtual cheering sticks (400a, 400b, 400c, 400d, 400e) may be of different shapes, but is not limited to step S430. In , it is assum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ticks is set to be 1 cm, or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are set to be arrang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he long side located at the top.

그리고, 도 6b 및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상에 가상 응원봉이 배치된 상태에서,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응원봉(300)의 형태에 대응하여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한다. And, as shown in FIGS. 6B and 6C, with the virtual cheering stick placed on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displays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300. Adjust the size.

예를 들어, 도 6b와 같이,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400a)의 좌측 상단 모서리를 제1 지점으로 설정하고,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400c)의 우측 상단 모서리를 제2 지점으로 설정하여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길이를 수평 거리로 설정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B,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sets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virtual light stick 400a, which is located on the leftmost side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light sticks, as the first point, and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virtual cheering stick 400c, which is located on the far right, is set as the second point, and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s set as the horizontal distance.

그리고,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400a, 400b, 400c)의 상측면과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400d, 400e)의 하측면 사이의 길이를 수직 거리로 설정한다. In addition,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has the upper side of the virtual cheering rods (400a, 400b, 400c)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s, and the lower side of the virtual cheering rods (400d, 400e)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Set the length between them as the vertical distance.

또는, 도 6c와 같이,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400c)의 좌측 하단 모서리를 제1 지점으로 설정하고,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400e)의 우측 하단 모서리를 제2 지점으로 설정하여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길이를 수평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C,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sets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virtual cheering stick 400c, which is located at the leftmos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as the first point and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virtual cheering stick 400e located on the right side can be set as the second point, and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can be set as the horizontal distance.

그리고,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400a, 400b)의 상측면과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400c, 400d, 400e)의 하측면 사이의 길이를 수직 거리로 설정한다. In addition,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has the upper side of the virtual cheering sticks (400a, 400b)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s, and the lower side of the virtual cheering rods (400c, 400d, 400e)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Set the length between them as the vertical distance.

즉,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수평 거리 및 수직 거리에 따라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That is,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can adjust the size of the video according to the horizontal distance and vertical distance.

그리고, 도 5와 같은 직사각형 형태로 복수의 응원봉이 배치된 경우,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평 거리 및 수직 거리에 따라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re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5,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can adjust the size of the video according to the horizontal distance and vertical distance in the same mann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응원봉(300)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450).Next,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to display video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S450).

이때,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복수의 응원봉(300) 각각에 영상을 전송하고, 전송된 영상을 복수의 응원봉(300a, 300b, 300c, 300d, 300e)의 디스플레이부(320) 상에 각각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transmits the video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sends the transmitted video to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a, 300b, 300c, 300d, and 300e. Each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도 7은 도 4의 S45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ure 7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450 of Figure 4.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전송된 영상의 일부분에 해당되는 영상을 복수의 응원봉(300a, 300b, 300c, 300d, 300e) 각각의 디스플레이부(320)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As shown in FIG. 7,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transmitted video on the display unit 32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a, 300b, 300c, 300d, and 300e. Control as much as possible.

그리고,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응원봉(300a, 300b, 300c, 300d, 300e) 각각의 디스플레이부(320)에 해당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대한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controls the images for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a, 300b, 300c, 300d, and 300e that are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20, respectively.

즉,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전송된 영상 중 배치된 복수의 응원봉(300a, 300b, 300c, 300d, 300e) 각각의 디스플레이부(320)에 해당되는 일부분의 영상만 디스플레이부(32)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That is,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displays only a portion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32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a, 300b, 300c, 300d, and 300e arranged among the transmitted images on the display unit 32. Control it to be displayed.

한편,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응원봉(300)을 이용하여 무드등, 데이터 전송, 메시지 표시를 추가적으로 더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can additionally perform mood lighting, data transmission, and message display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먼저,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응원봉(300) 각각에 부착된 광 측정 센서(330)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색상에 대한 파장 데이터를 검출한다.First,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detects wavelength data for colors coming from the outside using an optical measurement sensor 330 atta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그리고,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기 저장된 색상 보정 값을 기반으로 파장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상 데이터를 예측하여 응원봉 손잡이(310)에 색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Then,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predicts color data corresponding to the wavelength data based on the pre-stored color correction value and controls the light stick handle 310 to display the color.

또한,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복수의 응원봉(300) 각각에 부착된 조도 센서(340)를 이용하여 이용하여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 변화에 대응하여 복수의 응원봉(300) 각각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320)의 밝기 값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detects the surrounding illumination using the illumination sensor 340 atta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300, and connects each of the plurality of cheering sticks 300 in response to the detected change in illumination. The brightness value of the display unit 320 installed in is controlled.

즉,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부착된 광 측정 센서(330) 또는 조도 센서(340)를 이용하여 색상 또는 디스플레이부(320)의 밝기를 제어하고,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응원봉을 무드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at is,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controls the color or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320 using the attached light measurement sensor 330 or illuminance sensor 340, and the user uses this to turn the light stick into a mood light. You can use it.

그리고,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복수의 응원봉 중에서 제1 응원봉과 인접하는 다른 제2 응원봉을 통하여 서로 특정 액션을 수행하는 경우에 기 선택된 영상을 제1 응원봉에서 제2 응원봉으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transmits a pre-selected video from the first light stick to the second light stick when users perform a specific action through another second light stick adjacent to the first light stick among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Pass it to

예를 들어, 제1 응원봉과 제2 응원봉이 서로 부딪히는 경우,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제1 응원봉에서 상기 제2 응원봉으로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light stick and the second light stick collide with each other,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can transmit the image that the user wants to convey from the first light stick to the second light stick.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액션을 제1 응원봉과 제2 응원봉이 서로 부딪히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특정 액션은 한정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action is described as the first light stick and the second light stick colliding with each other, but the specific action is not limited.

그리고, 영상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된 메시지를 복수의 응원봉(300) 각각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And, when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a message from the outside, the video sharing system 100 controls the received messag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20 mount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3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공유 시스템이 복수의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콘서트나 공연장을 이외의 장소에서도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응원봉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sharing system provides videos through a plurality of light sticks, so users can watch videos through the light sticks in places other than concerts or performance halls,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light sticks. I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00: 영상 공유 시스템, 110: 통신부,
120: 배치부, 130: 조절부,
140: 제어부, 200: 사용자 단말기,
300: 복수의 응원봉, 300a, 300b, …, 300e: 응원봉,
310: 응원봉 손잡이, 320: 디스플레이부,
330: 광 측정 센서, 340: 조도 센서,
400a, 400b, …, 400e: 가상의 응원봉
100: Video sharing system, 11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20: placement unit, 130: control unit,
140: control unit, 200: user terminal,
300: Multiple light sticks, 300a, 300b, … , 300e: light stick,
310: light stick handle, 320: display unit,
330: light measurement sensor, 340: illuminance sensor,
400a, 400b, … , 400e: virtual light stick

Claims (16)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공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응원봉을 연동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응원봉의 배치를 설정받는 단계,
상기 배치된 복수의 응원봉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응원봉에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응원봉 각각에 상기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공유 방법.
In a video sharing method performed by a video shar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A step of linki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Receiving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upport sticks from a user who accesses the application using the user terminal,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arranged, and
A video sharing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the video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video to be displ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응원봉의 배치를 설정받는 단계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하여 상기 연동된 복수의 응원봉에 해당하는 개수의 가상 응원봉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의 배치, 배열, 간격을 직접 설정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공유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setting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is,
A step of displaying a number of virtual light stick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inked light sticks through the application screen, and
A video sharing method comprising directly setting the arrangement, arrangement, and spacing of the plurality of virtual light sticks from a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좌측 상단 또는 좌측 하단 모서리를 제1 지점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우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 모서리를 제2 지점으로 하며,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길이를 수평 거리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상측면과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하측면 사이의 길이를 수직 거리로 설정하는 영상 공유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The upper left or lower left corner of the virtual cheering stick located on the leftmost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is set as the first point, and the upper right or lower right corner of the virtual cheering stick located on the most right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is set as the first point. Set the second point, and set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s the horizontal distance,
A video sharing method that set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uppermost virtual cheering stick and the lower side of the lowermost virtual cheering rod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전송된 영상의 일부분에 해당되는 영상을 각각의 응원봉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영상 공유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controlling to display an image through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includes,
A video sharing method that displays a video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transmitted video on the display unit of each light sti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응원봉은,
LED로 구성되는 응원봉 손잡이,
상기 응원봉 손잡이 상단에 부착되어 영상 또는 문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단에 부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색상을 감지하는 광 측정 센서, 그리고
주변의 조도를 인식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영상 공유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are,
Lighting stick handle composed of LED,
A display unit attached to the top of the light stick handle to display a video or text,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pairing with the user terminal,
A light measurement sensor attached to the top of the display unit to detect colors coming from the outside, and
A video sharing method that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that recognizes the surrounding illumin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응원봉은,
상기 광 측정 센서를 통해 상기 외부에서 유입되는 색상에 대한 파장 데이터를 검출하고, 기 저장된 색상 보정 값을 기반으로 파장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상 데이터를 예측하여 상기 응원봉 손잡이에 색상을 표시하며,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응원봉의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값을 제어하는 영상 공유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are,
Detecting wavelength data for the color coming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tical measurement sensor, predicting color data corresponding to the wavelength data based on a pre-stored color correction value, and displaying the color on the light stick handle,
A video sharing method for detecting ambient illumination using the illumination sensor and controlling the brightness value of the display unit of the light stick in response to the detected change in illumination.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복수의 응원봉 중에서 제1 응원봉과 인접하는 다른 제2 응원봉을 통하여 서로 특정 액션을 수행하는 경우, 기 선택된 영상을 상기 제1 응원봉에서 상기 제2 응원봉으로 전달하는 영상 공유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 video sharing method for transmitting a pre-selected video from the first light stick to the second light stick when users perform a specific action through a second light stick adjacent to the first light stick amo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응원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영상 공유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 video sharing method in which,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message from the outside, the received message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mounted on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복수의 응원봉을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응원봉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연동되는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응원봉의 배치를 설정받는 배치부,
상기 배치된 복수의 응원봉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응원봉에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조절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응원봉 각각에 상기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응원봉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공유 시스템.
In a video sharing system using multiple light sticks,
A communication unit linked with a plurality of light sticks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 placement unit that receives placement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from the user;
An adjuster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arranged, and
A video sharing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the video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and controls the video to be displ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하여 상기 연동된 복수의 응원봉에 해당하는 개수의 가상 응원봉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의 배치, 배열, 간격을 직접 설정받는 영상 공유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arrangement part is,
A video sharing system that displays a number of virtual light stick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inked light sticks through an application screen and receives the placement, arrangement, and spacing of the plurality of virtual light sticks directly from the us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좌측 상단 또는 좌측 하단 모서리를 제1 지점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우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 모서리를 제2 지점으로 하며,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길이를 수평 거리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상측면과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상 응원봉의 하측면 사이의 길이를 수직 거리로 설정하는 영상 공유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The control unit,
The upper left or lower left corner of the virtual cheering stick located on the leftmost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is set as the first point, and the upper right or lower right corner of the virtual cheering stick located on the most right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sticks is set as the first point. Set the second point, and set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s the horizontal distance,
A video sharing system that sets the length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uppermost virtual cheering stick and the lower side of the lowermost virtual cheering rod among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s as the vertical distan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송된 영상의 일부분에 해당되는 영상을 각각의 응원봉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영상 공유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 unit,
A video sharing system that displays a portion of the transmitted video on the display unit of each light stic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응원봉은,
LED로 구성되는 응원봉 손잡이,
상기 응원봉 손잡이 상단에 부착되어 영상 또는 문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단에 부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색상을 감지하는 광 측정 센서, 그리고
주변의 조도를 인식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영상 공유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are,
Lighting stick handle composed of LED,
A display unit attached to the top of the light stick handle to display a video or text,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pairing with the user terminal,
A light measurement sensor attached to the top of the display unit to detect colors coming from the outside, and
A video sharing system that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that recognizes the surrounding illuminan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측정 센서를 통해 상기 외부에서 유입되는 색상에 대한 파장 데이터를 검출하고, 기 저장된 색상 보정 값을 기반으로 파장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상 데이터를 예측하여 상기 응원봉 손잡이에 색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응원봉의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값을 제어하는 영상 공유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3,
The control unit,
Detecting wavelength data for the color coming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tical measurement sensor, predicting color data corresponding to the wavelength data based on a pre-stored color correction value, and controlling the color to be displayed on the light stick handle,
A video sharing system that detects ambient illumination using the illumination sensor and controls the brightness value of the display unit of the light stick in response to the detected change in illumin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복수의 응원봉 중에서 제1 응원봉과 인접하는 다른 제2 응원봉을 통하여 서로 특정 액션을 수행하는 경우, 기 선택된 영상을 상기 제1 응원봉에서 상기 제2 응원봉으로 전달하는 영상 공유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 unit,
A video sharing system that transmits a pre-selected video from the first light stick to the second light stick when users perform a specific action through a second light stick adjacent to the first light stick among a plurality of light stick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응원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영상 공유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 unit,
A video sharing system that controls, upon receiving a message from the outside, to display the received message through a display unit mounted on the plurality of light sticks.
KR1020220033954A 2022-03-18 2022-03-18 System for sharing image using multiple cheering stick and method thereof KR202301363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954A KR20230136345A (en) 2022-03-18 2022-03-18 System for sharing image using multiple cheering stick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954A KR20230136345A (en) 2022-03-18 2022-03-18 System for sharing image using multiple cheering stick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345A true KR20230136345A (en) 2023-09-26

Family

ID=8819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954A KR20230136345A (en) 2022-03-18 2022-03-18 System for sharing image using multiple cheering stick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634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398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cheering light-emitting devices at a performance venue
JP2024029145A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CN103716953B (en) Illuminator
CN100515149C (en) Light condition recorder system and method
ES2811362T3 (en) Emission control system using barcode information
CN103947295B (en)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unit of luminescent device
ES2933680T3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functionality of lighting devices
JP2003036981A (en) Light-emitting device for rendition by portable light- emitting device and directing method
RU2713463C2 (en) Control of lighting dynamics
CN106105104A (en) For sharing between illuminator and/or the system of attribute of synchronized transmissions light
EP3113157A1 (en) Light fixture with infrared light beam and with visible light beam
JP7448611B2 (en) cloud control system
KR20230065204A (en) Method for performance directing using light emitting device for chiiring and system using thereof
JP2006092917A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KR20230136345A (en) System for sharing image using multiple cheering stick and method thereof
KR100930950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of miniature
JP6390885B2 (en) Lighting production system and program
CN113383614A (en) LED illumination simulation system
KR102336353B1 (en) System for controlling cheering stick for directing performances and method thereof
JP2009230724A (en) Human detection apparatus and load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JP6370733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JP2014143090A (en) Space control system, space control terminal, and space control device
CN108770146B (en) Multi-scene-change intelligent control lighting device
JP2016126968A (en) Light emis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538414B1 (en) Movable lighting module and wireless-based rendering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cation of lighting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