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185A - 암호화 방법, 암호화 장치, 전자 장치 및 매체 - Google Patents

암호화 방법, 암호화 장치, 전자 장치 및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185A
KR20230136185A KR1020237028962A KR20237028962A KR20230136185A KR 20230136185 A KR20230136185 A KR 20230136185A KR 1020237028962 A KR1020237028962 A KR 1020237028962A KR 20237028962 A KR20237028962 A KR 20237028962A KR 20230136185 A KR20230136185 A KR 20230136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ryption
input
encryp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 장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3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18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7File encryption

Abstract

본 출원은 암호화 방법, 암호화 장치, 전자 장치 및 매체를 공개한다. 해당 암호화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은 하나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단계; 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객체와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방식과 목표 객체가 매칭되는 경우, 제1 암호화 방식으로 목표 객체를 처리하는 바, 제1 암호화 방식은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인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암호화 방법, 암호화 장치, 전자 장치 및 매체
본 출원은 정보 암호화 기술분야에 속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암호화 방법, 암호화 장치, 전자 장치 및 매체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교차 인용>
본 출원은 2021년 01월 27일 중국에서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110112722.6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출원에서는 그 모든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자가 기타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 장치 중의 어느 한 내용을 확인하도록 하나, 기타 사용자가 전자 장치 중의 기타 내용, 예를 들면 어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인하지 못하게 하고 싶을 때,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암호화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설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애플리케이션 록” 기능에서, 어느 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디를 선택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암호화를 진행할 수 있는 바, 이로써 기타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의 내용을 확인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방법을 사용하면, 종래의 암호화 방식의 설정 계층이 비교적 깊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느 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암호화를 진행하고자 할 때, 한 계층씩 입력을 진행하여야만 비로소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암호화를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종래의 암호화 방식은 단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암호화를 진행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의 어느 한 특정 내용에 대한 암호화를 구현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전자 장치에서 암호화 단계가 비교적 번거롭고, 암호화 방식이 비교적 융통성이 없으며 유연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암호화 방법, 암호화 장치, 전자 장치 및 매체를 제공하여, 전자 장치에서 암호화 단계가 비교적 번거롭고, 암호화 방식이 비교적 융통성이 없으며 유연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하기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양태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암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은 하나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단계; 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객체와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방식과 목표 객체가 매칭되는 경우, 제1 암호화 방식으로 목표 객체를 처리하는 바, 제1 암호화 방식은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인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암호화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암호화 장치는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과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수신 모듈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은 하나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객체와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며; 처리 모듈은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방식과 목표 객체가 매칭되는 경우, 제1 암호화 방식으로 목표 객체를 처리하는 바, 제1 암호화 방식은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이다.
제3 양태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양태의 암호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양태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해당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양태의 암호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5 양태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와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시켜, 상기 제1 양태의 암호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은 하나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며; 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객체와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방식과 목표 객체가 매칭되는 경우, 제1 암호화 방식으로 목표 객체를 처리하는 바, 제1 암호화 방식은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이다. 해당 방안을 통하여,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해당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그 후 해당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과 목표 객체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한 후, 해당 제2 입력에 응답하여, 만일 해당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제1 암호화 방식과 해당 목표 객체가 매칭되면, 직접 해당 제1 암호화 방식으로 해당 목표 객체를 처리할 수 있는 바, 즉 직접 제1 암호화 방식으로 목표 객체를 암호화한다. 이로써,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방법을 통하여, 유연하게 내용 암호화의 암호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어, 내용 암호화에 대한 조작 방식이 비교적 간편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일 암호화 방법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도면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일 암호화 방법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도면 2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일 암호화 방법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도면 3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일 암호화 방법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도면 4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일 암호화 방법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도면 5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일 암호화 방법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도면 6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일 암호화 방법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도면 7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일 암호화 방법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도면 8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일 암호화 방법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의 도면 9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게 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중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렇게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당한 상황 하에서 호환이 가능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실시될 수 있고, 또한 "제1", "제2" 등이 구분하는 객체는 일반적으로 같은 유형이고, 객체의 수량을 한정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제1 객체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및/또는”은 연결된 객체의 적어도 그 중의 하나를 표시하고,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면” 등 단어는 예를 들고, 예증 또는 설명하는 것을 표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면”으로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은 기타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에 비하여 더욱 바람직하거나 또는 더욱 장점을 갖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정확하게 말하면,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면” 등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구체적인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고, 구체적인 실시예 및 그 응용 시나리오를 통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암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은 하기 201 단계 내지 204 단계를 포함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방법의 실행 주체는 암호화 장치이거나, 또는 해당 암호화 장치 중의 암호화 방법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일 수 있으며, 또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래 전자 장치를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방법에 대하여 예시적인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201 단계: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한다.
202 단계: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은 하나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될 수 있고, N은 정정수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암호화 컨트롤은 또한 프라이버시 보호 카드, 암호화 방식 카드 또는 암호화 옵션 카드라 칭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만일 사용자가 전자 장치 중의 객체(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면 중 내용 또는 어느 한 페이지 등)에 대하여 암호화를 진행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1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는 해당 N 개 암호화 컨트롤에서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을 선택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암호화하고자 하는 객체에 대하여 암호화를 진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때, 전자 장치는 프라이버시 보호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프라이버시 보호 모드로 진입한 후, 사용자는 해당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암호화 컨트롤 및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해당 객체에 대하여 암호화를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서의 클릭 입력, 더블 클릭 입력, 길게 누르기 입력 또는 세게 누르기 입력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은 전자 장치 중의 미리 설정된 가상 제스처 네비게이션의 지시바 영역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입력이 사용자의 가상 제스처 네비게이션의 지시바 영역에 대한 길게 누르기 입력이라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가상 제스처 네비게이션의 지시바 영역(31)을 길게 누를 때, 전자 장치는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프라이버시 보호 모드로 진입하고, 도 2의 (b)에 도시된 3 개 암호화 컨트롤(32)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202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 202a 단계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202a 단계: 전자 장치가 제1 입력에 응답하여, 목표 순서에 따라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목표 순서는 목표 매칭 정도에 따라 결정한 것일 수 있고, 목표 매칭 정도는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객체와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의 매칭 정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객체와 암호화 방식의 매칭 정도는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객체가 해당 암호화 방식을 통하여 암호화할 수 있는지 여부를 가리킨다.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객체가 어느 한 암호화 방식을 통하여 암호화할 수 있을 때,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객체와 해당 암호화 방식의 매칭 정도는 높음이며;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일부 객체가 어느 한 암호화 방식을 통하여 암호화할 수 있을 때,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객체와 해당 암호화 방식의 매칭 정도는 중간이며;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객체가 어느 한 암호화 방식을 통하여 암호화할 수 없을 때,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객체와 해당 암호화 방식의 매칭 정도는 낮음인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객체와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의 매칭 정도가 높은 것으로부터 낮은 것까지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객체가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어느 한 암호화 방식을 통하여 암호화할 수 없는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암호화 컨트롤을 해당 N 개 암호화 컨트롤의 뒤쪽 위치에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암호화 컨트롤을 회색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전자 장치가 어느 한 암호화 컨트롤을 회색으로 디스플레이할 때, 사용자는 해당 암호화 컨트롤에 대하여 조작을 진행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목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해당 목표 디스플레이 영역은 좌우 슬라이딩, 암호화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위치의 순서 조정, 기타 암호화 컨트롤 추가 등 기능을 지원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1회적으로 목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없을 때, 사용자는 목표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좌우 슬라이딩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전자 장치가 목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은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203 단계: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객체와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한다.
204 단계: 전자 장치가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방식과 목표 객체가 매칭되는 경우, 제1 암호화 방식으로 목표 객체를 처리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암호화 방식은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 후,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객체와 해당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는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제1 암호화 방식이 목표 객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만일 제1 암호화 방식이 목표 객체와 매칭되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암호화 방식으로 목표 객체를 처리하여 목표 객체에 대한 암호화를 구현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제1 암호화 방식이 목표 객체와 매칭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는 임의의 조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1 암호화 방식이 목표 객체와 매칭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제1 암호화 방식이 목표 객체와 매칭되는지 여부는 목표 객체가 제1 암호화 방식을 통하여 암호화할 수 있는지 여부를 가리킨다. 만일 목표 객체가 제1 암호화 방식을 통하여 암호화할 수 있으면, 전자 장치는 제1 암호화 방식이 목표 객체와 매칭된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만일 목표 객체가 제1 암호화 방식을 통하여 암호화할 수 없으면, 전자 장치는 제1 암호화 방식이 목표 객체와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객체는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중의 모든 객체일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중의 일부 객체일 수 있으며, 또한 전자 장치의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객체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일 수 있고,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의 구체적인 페이지, 조각, 정보, 이미지 또는 비디오 등 내용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입력은 목표 객체를 제1 암호화 컨트롤 상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으며;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목표 객체와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하여 연속 클릭하는 입력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객체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고, 상기 제1 암호화 컨트롤이 “애플리케이션 숨기기” 암호화 컨트롤이며, 상기 제2 입력이 도 3의 (a)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3)(즉 목표 객체)을 “애플리케이션 숨기기” 암호화 컨트롤(34)(제1 암호화 컨트롤) 상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으로 가정한다. 그렇다면, 전자 장치가 해당 제2 입력을 수신한 후, 전자 장치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3)이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암호화를 진행할 수 있는 바, 즉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때, 아이디 정보 검증을 진행하여야 한다.
목표 객체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의 조각, 정보, 이미지 또는 비디오 등 내용이고, 상기 암호화 컨트롤이 “내용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 “쪽지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 “통신 내용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 “비밀함” 암호화 컨트롤 등이며, 상기 제2 입력이 도 3의 (b)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의 객체(35)(즉 목표 객체)를 “내용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36)(즉 제1 암호화 컨트롤) 상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으로 가정한다. 그렇다면,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입력을 수신한 후, 전자 장치는 차폐 부호(예를 들면 부호 “*”, 부호 “~”)로 목표 객체를 교체할 수 있고, 만일 사용자가 해당 목표 객체를 확인하려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아이디 정보를 입력할 것을 알리고, 아이디 정보 검증에 성공한 경우, 전자 장치가 목표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목표 객체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의 구체적인 페이지이고, 상기 제1 암호화 컨트롤이 “스크린 고정” 암호화 컨트롤이며, 상기 제2 입력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페이지(즉 목표 객체)를 “스크린 고정” 암호화 컨트롤(즉 제1 암호화 컨트롤) 상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으로 가정한다. 그렇다면,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입력을 수신한 후, 전자 장치는 해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유지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기타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아이디 정보를 입력할 것을 알리고, 아이디 정보 검증에 성공한 경우, 전자 장치가 기타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암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해당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그 후 해당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과 목표 객체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한 후, 해당 제2 입력에 응답하여, 만일 해당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제1 암호화 방식과 해당 목표 객체가 매칭되면, 직접 해당 제1 암호화 방식으로 해당 목표 객체를 처리할 수 있는 바, 즉 직접 제1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목표 객체를 암호화한다. 이로써,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방법을 통하여, 유연하게 암호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어, 객체에 대한 암호화의 조작 방식이 비교적 간편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만일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서 어느 한 암호화 방식의 빠른 실행 방식을 설정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하나의 특정 입력(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제3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전자 장치 중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암호화 컨트롤(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해당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특정 영역(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해당 암호화 방식의 빠른 실행 방식(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방법은 하기 205 단계 내지 208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05 단계: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한다.
206 단계: 전자 장치가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상기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을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은 전자 장치 중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암호화 컨트롤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3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상기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는 해당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에서 암호화 방식의 빠른 실행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은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 중의 암호화 방식을 설정하는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에서 입력하는 것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암호화 방식의 빠른 실행 방식의 설정, 생성 또는 삭제 등을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입력은 사용자의 상기 가상 제스처 네비게이션의 지시바 영역에 대한 상향 슬라이딩 입력 또는 하향 슬라이딩 입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도 4의 (a)에 도시된 가상 제스처 네비게이션의 지시바 영역에(31)에서 상향 슬라이딩 할 때, 전자 장치는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도 4의 (b)에 도시된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해당 화면은 7 개 암호화 컨트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각각 “애플리케이션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 “애플리케이션 숨기기” 암호화 컨트롤, “비밀함” 암호화 컨트롤, “스크린 고정” 암호화 컨트롤, “내용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 “쪽지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과 “계산서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이다.
207 단계: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2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4 입력을 수신한다.
208 단계: 전자 장치가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암호화 방식의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암호화 방식은 제2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에 상기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2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4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2 암호화 방식의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스크린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서 상기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전자 장치가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한 후, 사용자는 해당 미리 설정된 영역에서 입력하는 것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2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객체 암호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은 전자 장치의 스크린의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또는 우측 하단 등 임의의 가능한 영역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입력은 제2 암호화 컨트롤을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으며; 제4 입력은 제1 서브 입력과 제2 서브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서브 입력은 제2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길게 누르기 입력일 수 있고, 제2 서브 입력은 제2 암호화 컨트롤을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2 암호화 컨트롤을 길게 누를 때, 전자 장치는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편집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그 후 사용자는 제2 암호화 컨트롤을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 드래그하여 전자 장치를 드래그하여 제2 암호화 방식의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하여, 사용자는 직접 해당 미리 설정된 영역에서 입력하는 것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2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객체 암호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4 입력이 상기 제1 서브 입력과 제2 서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암호화 컨트롤이 “내용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이라고 가정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내용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41)을 길게 누를 때, 전자 장치는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편집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그 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내용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41)을 전자 장치의 스크린 좌측 상단(42)으로 드래그하면, 전자 장치는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의 스크린 좌측 상단(42)에 “내용 암호화” 암호화 방식의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제2 암호화 방식이 설정한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한 후, 전자 장치는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에서 제2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취소할 수 있거나, 또는 전자 장치는 또한 제2 암호화 컨트롤을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의 마지막 디스플레이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거나, 또는 전자 장치는 제2 암호화 컨트롤을 상기 제4 입력을 수신하기 전 제2 암호화 컨트롤이 소재하던 디스플레이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에서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암호화 방식의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자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의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해당 암호화 방식이 처리하는 객체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직접 해당 빠른 실행 방식에 대한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에서 해당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처리하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서의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자 장치가 제2 암호화 방식의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한 후, 사용자는 하나의 특정 입력(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제5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취소하고,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의 첫번째 디스플레이 위치에 제2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208 단계 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방법은 하기 209 단계와 21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09 단계: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한다.
210 단계: 전자 장치가 제5 입력에 응답하여,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취소하고,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 중의 첫번째 디스플레이 위치에 제2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제2 암호화 방식의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한 후, 사용자는 상기 제5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취소하고, 전자 장치는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의 첫번째 디스플레이 위치에 상기 제2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자 장치가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제2 암호화 방식의 아이디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사용자는 해당 아이디를 미리 설정된 영역 내로부터 미리 설정된 영역 외로 드래그하는 입력(즉 상기 제5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하여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취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자 장치가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영역에서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슬라이딩 또는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슬라이딩 입력(즉 제5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하여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취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암호화 방식을 지시하는 아이디(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제1 객체)에 대한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하여 해당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의 아이디(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그 후 사용자는 이러한 암호화 객체 아이디 중의 어느 한 암호화 객체 아이디(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에 대한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해당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의 암호화를 취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방법은 하기 211 단계 내지 21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11 단계: 전자 장치가 제1 객체에 대한 제6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객체는 전자 장치 중의 제3 암호화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212 단계: 전자 장치가 제6 입력에 응답하여,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상기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하는 바, 상기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는 제3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 객에 대한 제6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3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K 개 암호화 객체의 아이디(즉 상기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 중의 각 암호화 객체 아이디는 각각 하나의 암호화 객체를 지시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객체는 제3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제3 암호화 컨트롤일 수 있고, 또한 제3 암호화 방식의 빠른 실행 방식의 아이디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6 입력은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클릭 입력, 더블 클릭 입력, 길게 누르기 입력 또는 무겁게 누르기 입력 등 임의 가능한 형식의 입력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객체가 “내용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이고, 상기 제6 입력이 클릭 입력이라고 가정하며; 그렇다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내용 암호화” 암호화 컨트롤(43)을 클릭할 때, 전자 장치는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객체 암호화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해당 객체 암호화 페이지는 도 6의 (b)에 도시된 3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즉 상기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213 단계: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 중의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에 대한 제7 입력을 수신한다.
214 단계: 전자 장치가 제7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에 대한 암호화를 취소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상기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는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의 제7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의 암호화를 취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는 상기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 중의 한 암호화 객체 아이디일 수 있고, 또한 K 개 암호화 개체 아이디 중의 복수의 암호화 객체 아이디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일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전자 장치가 상기 제6 입력을 수신한 후, 전자 장치는 해당 제6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의 스크린 저부에 “암호화 취소”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7 입력은 상기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를 “암호화 취소” 컨트롤 상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암호화 객체 아이디(44)를 “암호화 취소” 컨트롤(45)로 드래그할 때, 전자 장치는 암호화 객체 아이디(44)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에 대한 암호화를 취소하여, 사용자는 직접 전자 장치를 트리거하여 해당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암호화 객체 아이디(46)를 “암호화 취소” 컨트롤(45)로 드래그할 때, 전자 장치는 암호화 객체 아이디(46)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에 대한 암호화를 취소하여, 사용자는 직접 전자 장치를 트리거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7 입력은 제3 서브 입력과 제4 서브 입력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서브 입력은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에 대한 길게 누르기 입력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를 길게 누른 후, 전자 장치는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 상에서 삭제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제4 서브 입력은 해당 삭제 컨트롤에 대한 클릭 입력일 수 있고, 사용자가 해당 삭제 컨트롤을 클릭할 때, 전자 장치는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에 대한 암호화를 취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 중의 어느 한 암호화 방식(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제4 암호화 방식)을 지시하는 아이디(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제2 객체)에 대한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하여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그 후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 정보(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목표 아이디 정보)와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M 개 암호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는 이러한 암호화 방식이 처리하는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방법은 하기 215 단계 내지 218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15 단계: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제2 객체에 대한 제8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객체는 전자 장치 중의 제4 암호화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216 단계: 전자 장치가 제8 입력에 응답하여,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제8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시켜 상기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는 해당 화면에 아이디 정보를 입력하여 아이디 정보 검증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제4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제4 암호화 컨트롤일 수 있고, 또한 제4 암호화 방식의 빠른 실행 방식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8 입력은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클릭 입력, 더블 클릭 입력, 드래그 입력 또는 슬라이딩 입력 등 임의 가능한 형식의 입력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2 객체가 제4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빠른 실행 방식이고, 해당 빠른 실행 방식이 전자 장치의 스크린의 좌측 상단에 생성된다고 가정하며; 그렇다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스크린의 좌측 상단에서 외부로부터 내부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하여 도 8의 (b)에 도시된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가상 제스처 네비게이션의 지시바 영역에서의 더블 클릭 또는 길게 누르기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하여 암호화 컨트롤 화면(예를 들면 도 9의 (a)에 도시된 화면(5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해당 암호화 컨트롤 화면은 복수의 암호화 컨트롤을 포함하여 사용자는 제4 암호화 컨트롤(예를 들면 도 9의 (a)에 도시된 암호화 컨트롤(52))에 대한 입력을 통하여 전자 장치를 트리거하여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예를 들면 도 9의 (b)에 도시된 화면(5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사용자가 상기 가상 제스처 네비게이션의 지시바 영역(예를 들면 도 10의 (a)에 도시된 지시바 영역(54))에서의 더블 클릭 입력 또는 길게 누리기 입력을 수신한 후, 전자 장치는 먼저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예를 들면 도 10의 (b)에 도시된 화면(55))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 정보와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상기 암호화 컨트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로써 다단계 암호화 보호를 진행하여, 프라이버시 보호 강도를 향상시킨다.
217 단계: 전자 장치가 입력한 목표 아이디 정보와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는 해당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에서 상기 목표 아이디 정보를 입력하여, 전자 장치는 해당 목표 아이디 정보와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 매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목표 아이디 정보와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가 매칭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 정보가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알릴 수 있으며; 만일 목표 아이디 정보와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가 매칭되면, 전자 장치는 제4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M 개 암호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바, 즉 입력한 목표 아이디 정보와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하기 218 단계를 수행한다.
218 단계: 전자 장치가 평문의 형식으로 M 개 암호화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상기 M 개 암호화 객체는 제4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일 수 있고, M은 정정수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 아이디 정보와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평문의 형식으로 상기 M 개 암호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는 직접 제4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모든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평문의 형식으로 M 개 암호화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때, 해당 M 개 암호화 객체 중의 내용은 모두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상기 M 개 암호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전, 전자 장치는 먼저 해당 M 개 암호화 객체의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만일 사용자가 해당 M 개 암호화 객체 중의 어느 한 암호화 객체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해당 암호화 객체의 아이디를 입력할 수 있고, 전자 장치는 해당 입력에 응답하여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 정보와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암호화 객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암호화 객체에 대하여 다단계 암호화 보호를 진행하여, 프라이버시 보호 강도를 향상시킨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암호화 장치가 암호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장치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암호화 장치(600)를 제공하는 바, 해당 암호화 장치(600)는 수신 모듈(601), 디스플레이 모듈(602)과 처리 모듈(603)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601)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며; 디스플레이 모듈(602)은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은 하나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며; 수신 모듈(601)은 또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객체와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며; 처리 모듈(603)은 또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방식과 상기 목표 객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암호화 방식으로 목표 객체를 처리하는 바, 제1 암호화 방식은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은 구체적으로 목표 순서에 따라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며; 여기에서, 목표 순서는 목표 매칭 정도에 따라 결정한 것일 수 있고, 목표 매칭 정도는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객체와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의 매칭 정도이다.
선택적으로, 암호화 장치는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을 포함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은 전자 장치 중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암호화 컨트롤이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2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4 입력을 수신하며; 설정 모듈은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암호화 방식의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하는 바, 제2 암호화 방식은 제2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하며; 설정 모듈은 또한 제5 입력에 응답하여,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취소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 중의 첫번째 디스플레이 위치에 제2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은 또한 제1 객체에 대한 제6 입력을 수신하는 바, 제1 객체는 전자 장치 중의 제3 암호화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제6 입력에 응답하여,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하는 바,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는 제3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이고, K는 정정수이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 중의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에 대한 제7 입력을 수신하며; 처리 모듈은 또한 제7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에 대한 암호화를 취소한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제2 객체에 대한 제8 입력을 수신하는 바, 제2 객체는 전자 장치 중의 제4 암호화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수신 모듈이 수신한 제8 입력에 응답하여,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입력된 목표 아이디 정보와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평문의 형식으로 M 개 암호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바, M 개 암호화 객체는 제4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이고, M은 정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암호화 장치를 제공하는 바,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해당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그 후 해당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과 목표 객체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한 후, 해당 제2 입력에 응답하여, 만일 해당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제1 암호화 방식과 해당 목표 객체가 매칭되면, 직접 해당 제1 암호화 방식으로 해당 목표 객체를 처리할 수 있는 바, 즉 직접 제1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목표 객체를 암호화한다. 이로써,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장치에서, 유연하게 암호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어, 객체에 대한 암호화의 조작 방식이 비교적 간편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암호화 장치는 장치일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 중의 부품, 집적 회로 또는 칩일 수도 있다. 해당 장치는 이동 전자 장치일 수 있고, 또한 비이동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 전자 장치는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탑, 차량탑재 전자 장치, 웨어러블 장치, 울트라 모바일 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고, 비이동 전자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셀프 서비스 장치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암호화 장치는 운영체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해당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일 수 있고, iOS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또한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암호화 장치는 상기 방법 실시예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 장치(700)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701), 메모리(702), 메모리(7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701)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암호화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전자 장치는 이동 전자 장치와 비이동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전자 장치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해당 전자 장치(1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유닛(103), 입력 유닛(104), 센서(105), 디스플레이 유닛(106), 사용자 입력 유닛(107), 인터페이스 유닛(108), 메모리(109) 및 프로세서(110) 등 부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전자 장치(100)는 또한 각 부품을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11)(예를 들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전자 장치 구조가 전자 장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전자 장치는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품 또는 서로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며;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은 하나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며;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또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객체와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며;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또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방식과 상기 목표 객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암호화 방식으로 목표 객체를 처리하는 바, 제1 암호화 방식은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구체적으로 목표 순서에 따라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며; 여기에서, 목표 순서는 목표 매칭 정도에 따라 결정한 것일 수 있고, 목표 매칭 정도는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객체와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의 매칭 정도이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또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며;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또한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은 전자 장치 중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암호화 컨트롤이며;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또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2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4 입력을 수신하며; 프로세서(110)는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암호화 방식의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하는 바, 제2 암호화 방식은 제2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이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또한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하며; 프로세서(110)는 또한 제5 입력에 응답하여,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취소하며;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또한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 중의 첫번째 디스플레이 위치에 제2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또한 사용자의 제1 객체에 대한 제6 입력을 수신하는 바, 제1 객체는 전자 장치 중의 제3 암호화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또한 제6 입력에 응답하여,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하는 바,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는 제3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이고, K는 정정수이며;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또한 사용자의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 중의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에 대한 제7 입력을 수신하며; 프로세서(110)은 제7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에 대한 암호화를 취소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또한 사용자의 제2 객체에 대한 제8 입력을 수신하는 바, 제2 객체는 전자 장치 중의 제4 암호화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또한 제8 입력에 응답하여,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또한 입력된 목표 아이디 정보와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평문의 형식으로 M 개 암호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바, M 개 암호화 객체는 제4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이고, M은 정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해당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그 후 해당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과 목표 객체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한 후, 해당 제2 입력에 응답하여, 만일 해당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제1 암호화 방식과 해당 목표 객체가 매칭되면, 직접 해당 제1 암호화 방식으로 해당 목표 객체를 처리할 수 있는 바, 즉 직접 제1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목표 객체를 암호화한다. 이로써, 전자 장치에서 유연하게 암호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어, 전자 장치를 통한 객체에 대한 암호화의 조작 방식이 비교적 간편하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암호화 장치 중의 수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 유닛(107)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암호화 장치 중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6)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암호화 장치 중의 처리 모듈과 설정 모듈은 모두 상기 프로세서(110)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소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하여 사용자를 위하여 무선의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를 도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 접속하며, 스트림 미디어를 접속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스피커, 부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104)은 그래픽 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41)와 마이크(10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처리장치(1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가 취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 형식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터치 패널(1071) 및 기타 입력 장치(1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71)은 또한 터치 스크린이라 칭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검출 장치와 터치 제어기 두 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1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스틱 등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응용프로그램과 운영체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10)에는 응용 프로세서와 변조/복조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고, 그 중에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운영체제, 유저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110)에 집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해당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암호화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 중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이다.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와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시켜, 상기 암호화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 등이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문에서, 용어 “포함하다” 또는 이의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 배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뜻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 아니라, 또한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은 기타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상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를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의... 을(를)을 포함하다”는 구절로 한정되는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또한 기타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짚고 넘어가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방식 중의 방법과 장치의 범위는 예시되거나 토론한 순서에 따라 실행된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언급된 기능에 의하여 기본상 동시적인 방식에 따라 또는 반대되는 순서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설명된 순서와 다르게 상기 설명한 방법을 실행하고, 또한 여러 가지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예시에서 기술한 특징을 참조하여 기타 예시에서 조합할 수 있다.
상기 실시방식에 대한 기재를 통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여러 경우 중에서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전자 장치(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는 도면을 결부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의 힌트 하에서 본 출원의 사상과 청구항이 보호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얼마든지 더욱 많은 형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7)

  1.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은 하나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는 단계;
    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객체와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방식과 상기 목표 객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암호화 방식으로 상기 목표 객체를 처리하는 바, 상기 제1 암호화 방식은 상기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인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목표 순서에 따라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목표 순서는 목표 매칭 정도에 따라 결정한 것이고, 상기 목표 매칭 정도는 상기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객체와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의 매칭 정도인 암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상기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을 포함하는 단계;
    사용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2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암호화 방식의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하는 바, 상기 제2 암호화 방식은 상기 제2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호화 방식의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한 후,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5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취소하고, 상기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 중의 첫번째 디스플레이 위치에 상기 제2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 객체에 대한 제6 입력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객체는 전자 장치 중의 제3 암호화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6 입력에 응답하여,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하는 바, 상기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는 상기 제3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이고, K는 정정수인 단계;
    사용자의 상기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 중의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에 대한 제7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7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에 대한 암호화를 취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2 객체에 대한 제8 입력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객체는 전자 장치 중의 제4 암호화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8 입력에 응답하여,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입력된 목표 아이디 정보와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평문의 형식으로 M 개 암호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바, 상기 M 개 암호화 객체는 상기 제4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이고, M은 정정수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7.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과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은 하나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되며;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목표 객체와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암호화 방식과 상기 목표 객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암호화 방식으로 상기 목표 객체를 처리하는 바, 상기 제1 암호화 방식은 상기 제1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인 암호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구체적으로 목표 순서에 따라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목표 순서는 목표 매칭 정도에 따라 결정한 것이고, 상기 목표 매칭 정도는 상기 전자 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하는 객체와 상기 N 개 암호화 컨트롤 중의 각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의 매칭 정도인 암호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장치는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상기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컨트롤 중의 제2 암호화 컨트롤에 대한 제4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암호화 방식의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생성하는 바, 상기 제2 암호화 방식은 상기 제2 암호화 컨트롤에 대응되는 암호화 방식인 암호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제5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설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5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빠른 실행 방식을 취소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암호화 방식 설정 화면 중의 첫번째 디스플레이 위치에 상기 제2 암호화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암호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제1 객체에 대한 제6 입력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객체는 전자 장치 중의 제3 암호화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제6 입력에 응답하여,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를 디스플레이하는 바, 상기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는 상기 제3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이고, K는 정정수이며;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상기 K 개 암호화 객체 아이디 중의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에 대한 제7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7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암호화 객체 아이디가 지시하는 암호화 객체에 대한 암호화를 취소하는 암호화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제2 객체에 대한 제8 입력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객체는 전자 장치 중의 제4 암호화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상기 제8 입력에 응답하여, 아이디 정보 검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된 목표 아이디 정보와 미리 설정된 아이디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평문의 형식으로 M 개 암호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바, 상기 M 개 암호화 객체는 상기 제4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객체이고, M은 정정수인 암호화 장치.
  13.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암호화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전자 장치.
  14.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암호화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5.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암호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6.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암호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칩.
  1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암호화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KR1020237028962A 2021-01-27 2022-01-26 암호화 방법, 암호화 장치, 전자 장치 및 매체 KR202301361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112722.6A CN112948843B (zh) 2021-01-27 2021-01-27 加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202110112722.6 2021-01-27
PCT/CN2022/074041 WO2022161406A1 (zh) 2021-01-27 2022-01-26 加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185A true KR20230136185A (ko) 2023-09-26

Family

ID=7623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962A KR20230136185A (ko) 2021-01-27 2022-01-26 암호화 방법, 암호화 장치, 전자 장치 및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85426A1 (ko)
EP (1) EP4276667A1 (ko)
KR (1) KR20230136185A (ko)
CN (1) CN112948843B (ko)
WO (1) WO2022161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8843B (zh) * 2021-01-27 2022-07-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加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5757191B (zh) * 2023-01-05 2023-05-16 广州市千钧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5128B1 (en) * 2012-05-10 2015-10-20 Isaac S. Daniel System and method of securing content from public display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4700001B (zh) * 2013-12-04 2020-01-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的信息加密方法及装置
CN105808238B (zh) * 2016-02-26 2019-03-22 四川效率源信息安全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Dock及其应用方法
CN106203061B (zh) * 2016-06-27 2020-03-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加密方法及移动终端
CN106203176A (zh) * 2016-07-29 2016-12-0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应用加密方法及装置
CN106599723B (zh) * 2016-12-19 2020-03-17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文件加密方法及装置、文件解密方法及装置
CN107103247A (zh) * 2017-03-13 2017-08-2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加密方法及装置
CN108509105B (zh) * 2018-03-16 2020-04-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管理方法和终端
CN108491133B (zh) * 2018-03-28 2020-09-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终端
CN109886047B (zh) * 2019-03-21 2021-01-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文件加密处理方法和装置
CN110457879A (zh) * 2019-06-26 2019-11-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对象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1371773A (zh) * 2020-02-28 2020-07-03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和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428223A (zh) * 2020-03-19 2020-07-17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加密方法、加密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48843B (zh) * 2021-01-27 2022-07-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加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6667A1 (en) 2023-11-15
WO2022161406A1 (zh) 2022-08-04
US20230385426A1 (en) 2023-11-30
CN112948843A (zh) 2021-06-11
CN112948843B (zh)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36185A (ko) 암호화 방법, 암호화 장치, 전자 장치 및 매체
CN112399006B (zh) 文件发送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455075B2 (en) Display method when application is exited and terminal
WO2022194004A1 (zh) 应用图标整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2486444B (zh) 投屏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3794795B (zh) 信息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177190A (zh) 文档内容分享的方法和电子设备
US20230230084A1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12286612A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4012508A1 (zh) 功能界面的显示方法和装置
CN113434226A (zh) 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WO2023103901A1 (zh) 应用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WO2023131092A1 (zh) 信息显示方法及其装置
WO2023093719A1 (zh) 应用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1817944A (zh) 图片分享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3274171A1 (zh) 应用运行方法和装置
CN113807831A (zh) 支付方法和装置
CN113238691B (zh) 应用图标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835601A (zh) 截图管理方法和装置
CN113868269A (zh) 截图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2988426A (zh) 消息的处理方法和装置
CN112286615A (zh) 应用程序的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12182673A (zh) 信息共享方法、装置及设备
CN112181565A (zh) 屏幕显示方法及装置
KR20160024505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