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114A -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114A
KR20230136114A KR1020237021068A KR20237021068A KR20230136114A KR 20230136114 A KR20230136114 A KR 20230136114A KR 1020237021068 A KR1020237021068 A KR 1020237021068A KR 20237021068 A KR20237021068 A KR 20237021068A KR 20230136114 A KR20230136114 A KR 20230136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socket
pin
lightning
adapter
lightning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즈여우 위
Original Assignee
썬전 즈여우 프리사이스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724174.2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422521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1034355.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745873A/zh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즈여우 프리사이스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즈여우 프리사이스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21/134340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273142A1/zh
Publication of KR2023013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1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1Live connection to bus, e.g. hot-plu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댑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라이트닝(lightning) 암(female)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의 라이트닝 암형 소켓과 어댑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과 어댑터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라이트닝 암형 소켓과 연통되는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이 본체 외부에 씌움 설치되어, 개구와 라이트닝 암형 소켓이 대응되고; 상기 어댑터 유닛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통해 외부로 전압과 전류를 내보내고;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써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통신 교류하며 외부 충전을 실현할 수 있고; 라이트닝 암형 소켓이 어댑터 유닛, 통신 제어 유닛, 어댑터 제어 유닛과 매칭되면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액세스된 단말장치와 어댑터가 식별된 후, 필요에 따라 대응하는 충전 작업이 이루어지고, 전기 에너지 출력 포트인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실현가능한 충전 방안이 제공되며 이는 안정성이 높다.

Description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어댑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라이트닝(lightning) 암(female)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트닝(lightning) 암(female)형 소켓은 단말장치의 출력 포트로, 단말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데이터 상호 교환 및 단말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구현한다. 라이트닝 암형 소켓은 작고 성능이 우수하면서 응용성이 높아 라이트닝 수(male)형 커넥터에 매칭되는 등의 이점을 지닌다. 통상의 기술자는 외부로 출력되거나 데이터 교환을 이루는 어댑터 인터페이스로서 라이트닝 암형 소켓이 전원 어댑터에 응용되기를 바라고 있다.
type-c 인터페이스가 암형 소켓으로서 전원 어댑터에 설치되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이 더 작고 성능이 우수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수도 있지만, 라이트닝 암형 소켓이 전원 어댑터에 응용되면 외부로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여 단말장치를 충전하도록 직접 설정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해결해야 될 문제는 종래 기술이 지닌 문제점에 착안하여 라이트닝(lightning) 암형 소켓이 설치된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전원 어댑터에 설치된 라이트닝 암형 소켓이 전기 에너지를 출력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라이트닝(lightning) 암(female)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에 있어서, 이의 바람직한 방안은 하기와 같이,
전기 에너지 출력 포트인 라이트닝 암형 소켓 및 어댑터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과 어댑터 유닛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
라이트닝 암형 소켓과 연통되는 개구가 설치되면서, 본체 외부에 씌움 설치되어, 개구와 라이트닝 암형 소켓이 대응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어댑터 유닛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통해 외부로 전압과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에는 통신 제어 유닛과 어댑터 제어 유닛이 더 설치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 각각이 어댑터 제어 유닛, 어댑터 유닛, 라이트닝 암형 소켓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단말장치가 외접될 때,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은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핸드셰이크(handshake) 통신하고;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은 핸드셰이크 통신이 완료되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어댑터 유닛은 프로토콜 수행이 완료되면 어댑터 제어 유닛에 따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충전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여 외부 단말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댑터 유닛은 어댑터 제어 유닛을 통해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충전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의 제1 제어 핀(PIN)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과 연결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의 핸드셰이크 핀과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식별 제어 핀이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 유닛의 전기 에너지 출력단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전원 핀과 연결되고; 여기에서,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은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단말장치가 외접될 때,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식별 제어 핀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핸드셰이크 통신하고;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에서 핸드셰이크 통신이 완료되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어댑터 유닛은 프로토콜 수행이 완료되면 어댑터 제어 유닛에 따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전원 핀에 충전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여 외부 단말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의 제2 제어 핀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상기 제1 채널 핀과 연결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상기 제1 채널 핀을 통해 전원 켜짐 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의 제3 제어 핀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상기 제2 채널 핀과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은 제1 프로토콜 모듈과 제2 프로토콜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프로토콜 모듈은 상기 제1 제어 핀을 통해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과 연결되고,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제1 프로토콜 통신이 수행되고; 상기 제2 프로토콜 모듈이 제3 제어 핀을 통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2 채널 핀과 연결되고,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2 채널 핀을 통해 상기 외부 단말장치와 제2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은 제1 프로토콜 통신이 실패한 후 또는 외부 단말장치가 제1 프로토콜 통신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제2 프로토콜 모듈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제2 프로토콜 통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프로토콜 모듈은 DP 핀과 DM 핀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2 채널 핀은 L1P 핀과 L1N 핀을 포함하고, 상기 DP 핀과 L1P 핀이 연결되며, 상기 DM 핀과 L1N 핀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로토콜 모듈은 CC 핀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은 L0P 핀을 포함하고, 상기 CC 핀은 상기 L0P 핀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프로토콜 모듈은 PD 프로토콜 모듈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 모듈은 QC 프로토콜 모듈이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은 리셋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셋 모듈의 리셋 핀에 리셋 회로가 외접되고, 상기 리셋 회로는 리셋 단, 제1 커패시터, 제1 저항 및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리셋 핀 각각이 리셋 단, 제1 커패시터, 제1 저항, 제2 저항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제1 저항의 다른 하나의 단은 모두 접지되고, 상기 제2 저항의 다른 일단이 어댑터 유닛의 전기 에너지 출력단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 어댑터는 본체에 설치되는 USB 암형 소켓 및/또는 type-C 암형 소켓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충전 장치를 더 제공하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전원 어댑터와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은 도선 세그먼트 및 도선 세그먼트의 일단에 설치되면서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삽입될 수 있는 라이트닝 수(male)형 인터페이스 및 도선 세그먼트의 다른 일단에 설치되는 I/O(입력/출력) 포트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I/O 인터페이스는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I/O 인터페이스는 type-C 수형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I/O 인터페이스는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 type-C 수형 인터페이스 및 micro 수형 인터페이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충전 시스템을 더 제공하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전원 어댑터, 데이터 케이블 및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 일단의 라이트닝 수형 커넥터가 전원 어댑터의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삽입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다른 일단에 있는 I/O 포트가 단말장치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데이터 케이블 컨트롤러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스위치 MOSFET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의 제2 제어 핀은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과 연결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은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상기 제1 채널 핀을 통해 전원 켜짐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 컨트롤러는 전원이 들어온 신호에 따라 스위치 MOSFET를 도통하여 통신 제어 유닛과 단말장치를 통신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라이트닝(lightning) 암(female)형 인터페이스를 지닌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을 통해 라이트닝 암형 소켓과 외부 단말장치가 통신 교류하며 외부 충전을 구현할 수 있고; 라이트닝 암형 소켓이 어댑터 유닛, 통신 제어 유닛, 어댑터 제어 유닛과 매칭되면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액세스된 단말장치와 어댑터가 식별된 후, 필요에 따라 대응하는 충전 작업이 이루어지고, 전기 에너지 출력 포트인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실현가능한 충전 방안이 제공되며 이는 안정성이 높다.
아래는 도면과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진일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전원 어댑터의 구조 개략도 1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전원 어댑터의 구조 개략도 2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전원 어댑터의 구조 개략도 3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전원 어댑터의 구조 개략도 4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로토콜 통신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리셋 모듈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아래는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라이트닝(lightning) 암(female)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에 있어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 어댑터는,
전기 에너지 출력 포트인 라이트닝 암형 소켓(11) 및 어댑터 유닛(12)이 설치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11)과 어댑터 유닛(1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1);
라이트닝 암형 소켓(11)과 연통되는 개구(21)가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 (1) 외부에 씌움 설치되어, 개구(21)와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이 대응되는 하우징(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어댑터 유닛(12)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통해 외부로 전압과 전류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는 하나의 회로 기판이고, 상기 회로 기판에는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이 설치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은 전기 에너지 출력 포트로서 외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에는 어댑터 유닛(12)이 더 설치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11)과 어댑터 유닛(1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 유닛(12)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외부 단말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 어댑터는 하우징(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에는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연통되는 개구(21)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가 하우징(2) 내부에 설치되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과 개구(21)가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댑터 유닛(12)은 주로 주파수가 낮은 교류를 직류로 정류시키고, 직류를 고주파수 교류 신호로 전환한 후 변압을 통해 직류로 정류되면 외부 단말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 유닛(12)이 상기 하우징(2)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21)가 하우징(2)의 일 측면에 개설되며,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은 어댑터 유닛(12)과 연결되면서 하우징(2)의 개구(21) 지점을 향해 이 개구(21)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주로 외부 단말기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두 가지 설치 방식을 제공한다.
방안 1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이 어댑터 유닛(12)과 연결된 후 하우징(2) 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하우징(2) 측면의 개구(21) 지점까지 연장되고, 이 개구(21) 위치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데이터 케이블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삽입될 때, 상기 외부 데이터 케이블의 인터페이스 지점에 있는 라이트닝 수(male)형 인터페이스(32)가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의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으로 뻗어 들어가고,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통해 하우징(2) 내부에 있는 어댑터 유닛(12)과 연결된다.
방안 2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에는 외부 데이터 케이블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금속 링(22)이 더 설치되고, 상기 금속 링(22)이 외측과 가까운 개구(21)의 단부에 설치되면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단부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데이터 케이블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삽입될 때, 상기 외부 데이터 케이블의 인터페이스 지점에 있는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가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의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으로 뻗어 들어가고,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통해 하우징(2) 내부에 있는 어댑터 유닛(12)과 연결되고, 더 나아가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 외측의 금속링(22)을 통해 고정된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외측에는 일반적으로 고무 링이 설치되어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가 더 안정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삽입되나, 고무링은 유연한 링으로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가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삽입될 때 좌우로 쉽게 흔들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외측 단부에 하나의 금속 링(22)을 설치하여 이의 경도를 크게하여, 일 방면으로,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가 삽입될 때의 안정성이 더 향상되고, 다른 일 방면으로, 외부 데이터 케이블의 충전 과정에서 구부려져서 케이블이 갈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라이트닝 암형 소켓(11)과 케이블 사이가 차단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에는 통신 제어 유닛(13)과 어댑터 제어 유닛(14)이 더 설치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13) 각각이 어댑터 제어 유닛(14), 어댑터 유닛(12), 라이트닝 암형 소켓(11)과 연결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단말장치가 외접될 때, 상기 통신 제어 유닛(13)은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핸드셰이크(handshake) 통신하고;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14)은 핸드셰이크 통신이 완료되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어댑터 유닛(12)은 프로토콜 수행이 완료되면 어댑터 제어 유닛(14)에 따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충전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여 외부 단말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제어 유닛(13)의 제2 제어 핀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1 채널 핀과 연결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13)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1 채널 핀을 통해 전원 켜짐 신호를 제공하고,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단말장치가 외접될 때, 핸드셰이크 통신이 수행된다. 먼저 상기 통신 제어 유닛(13)은 단말장치와 직접적으로 핸드셰이크 통신하고, 상기 어댑터 유닛(12)이 단말장치를 고속 충전할 수 있도록 사전에 통신을 준비하고; 및 핸드셰이크 통신이 완료되면 통신 성공이 조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한 후 어댑터 유닛(12)은 프로토콜 수행이 완료되면 어댑터 제어 유닛(14)에 따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충전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여 외부 단말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14)의 제1 제어 핀(PIN)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1 채널 핀과 연결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13)의 핸드셰이크 핀과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식별 제어 핀이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 유닛(12)의 전기 에너지 출력단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전원 핀과 연결되고; 여기에서, 상기 통신 제어 유닛(13)은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단말장치가 외접될 때,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식별 제어 핀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핸드셰이크 통신하고; 어댑터 제어 유닛(14)에서 핸드셰이크 통신이 완료되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1 채널 핀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고; 어댑터 유닛(12)은 프로토콜 수행이 완료되면 어댑터 제어 유닛(14)에 따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전원 핀에 충전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여 외부 단말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댑터 유닛(12)은 주로 전원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전원은 상업 전원 소켓 등과 같이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근원이며, 어댑터 유닛(12)이 전원에서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를 어댑터 자체에 전원을 공급하고,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통해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는 동시에, 어댑터 유닛(12)을 통해 서로 다른 전압 값, 전류 값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외접된 단말장치에 필요한 충전 에너지를 공급하여 일반 충전과 고속 충전 등의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 유닛(12)이 어댑터 제어 유닛(14)을 통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충전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어댑터 제어 유닛(14)으로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는 것을 조절함으로써 바람직한 전기 에너지 출력 작업을 제공하여 단말장치의 충전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외접된 단말장치는 보통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외부 단말장치에 연결시키고, 데이터 케이블의 일단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삽입되는 라이트닝 수(male)형 커넥터이고, 데이터 케이블의 다른 일단이 외부 단말장치의 충전구에 삽입되는 충전 커넥터이고; 여기에서, 어댑터 유닛의 전기 에너지 출력 양극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전원 핀, 라이트닝 수형 커넥터의 전원 핀, 데이터 케이블의 전원 케이블, 충전 커넥터의 전기 에너지 출력 양극을 통해 단말장치의 전기 에너지 입력 양극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핸드셰이크 프로토콜이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상호간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말한다. 통신 제어 유닛(13)에 전원이 켜지거나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외부 단말장치를 감지한 경우 먼저 통신 제어 유닛(13)의 핸드셰이크 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핸드셰이크 통신을 수행한 후 프로토콜 고속 충전에 해당되는 장치인지 또는 이미 등록된 장치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통신 제어 유닛(13)은 제1 칩과 주변 회로를 포함하고, 하나의 칩(IC)을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상호 작용하여 외부 단말장치와 고효율적이고 정확성있게 통신할 수 있는 수준을 제고하는 한편, 어댑터의 어댑터 제어 유닛(14)을 바탕으로 제1 칩을 추가하여 통신 제어 유닛(13)을 형성하고, 일 방면으로 어댑터 제어 유닛(14)에 대한 어댑터의 설계를 간략화할 수 있고, 다른 일 방면으로 모듈화 구도를 실현하여 회로 구조의 양산화를 향상시키고 생산 원가를 낮추는 한편 기능 분산화를 구현할 수 있고, 특히, 특정 기능이 제1 칩에 집적되어 전용 기능을 갖는 칩이 생산되어 칩 기능의 낭비를 방지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칩의 복수 개의 핀이 버닝 핀 역할을 하여 제1 핀에 대한 소프트웨어 버닝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핸드셰이크 모듈은 제1 칩의 하나의 통신 핀을 통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ID 핀과 연결되면서, 제1 핀과 라이트닝 암형 소켓(11) 사이에는 하나의 저항이 설정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단말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웨어러블 등의 장치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토콜 통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14)의 제3 제어 핀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2 채널 핀과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14)은 제1 프로토콜 모듈(141)과 제2 프로토콜 모듈(142)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프로토콜 모듈(141)은 제1 제어 핀을 통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1 채널 핀과 연결되고,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1 채널 핀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제1 프로토콜 통신이 수행되고; 상기 제2 프로토콜 모듈(142)이 제3 제어 핀을 통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2 채널 핀과 연결되고,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2 채널 핀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제2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프로토콜 모듈(141)이 PD 프로토콜 모듈이고, 상기 제1 프로토콜 모듈(141)은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PD 프로토콜 통신이 수행된다. PD 충전 프로토콜은 USB-IF 조직에서 발표한 “USB Power Delivery"로 이는 오늘날 최대 출력인 5V/2A의 type-c 인터페이스를 100W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며, 구글은 Android7.0 이상 버전인 휴대폰 탑재 고속 충전 프로토콜의 고속 충전 시장 통합을 목적으로 고속 시장에 PD 충전 프로토콜을 반드시 지원할 것이라 발표하였다. USBPD는 USB 케이블과 커넥터를 통해 전력 전송을 증가시키고, USB 응용에서 버스 케이블의 전원 공급 능력을 확장하면 더 높은 전압과 전류를 얻을 수 있고, 전송 시 최대 출력이 100와트까지 도달되어 전력의 전송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제1 프로토콜 모듈(141301) 또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14)은 제1 프로토콜 통신이 실패한 후 또는 외부 단말장치가 제1 프로토콜 통신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제2 프로토콜 모듈(142)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제2 프로토콜 통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 프로토콜 모듈(142)은 DP 핀과 DM 핀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2 채널 핀(440)은 L1P 핀과 L1N 핀을 포함하고, 상기 DP 핀과 L1P 핀이 연결되며, 상기 DM 핀과 L1N 핀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로토콜 모듈(141301)은 CC 핀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1 채널 핀은 L0P 핀을 포함하고, 상기 CC 핀은 L0P 핀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14)은 제1 프로토콜 통신이 실패한 후 또는 상기 외부 단말장치가 급속 충전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제2 프로토콜 모듈(142)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제2 프로토콜 통신하도록 제어한다. 일 방면으로, 어댑터의 호환성을 향상시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매칭될 수 있는 외부 단말장치가 늘어나고, 다른 일 방면으로, 어댑터에 서로 다른 암형 소켓 인터페이스가 설치되고, 제2 프로토콜 모듈(142)은 이렇게 별도로 추가된 암형 소켓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면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재사용될 수 있도록 다중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프로토콜 모듈(142)은 DP 핀과 DM 핀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2 채널 핀(440)은 L1P 핀과 L1N 핀을 포함하고, 상기 DP 핀과 상기 L1P 핀이 연결되며, 상기 DM 핀과 상기 L1N 핀이 연결된다. 및, 상기 제2 프로토콜 모듈(142)은 QC 프로토콜 모듈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 모듈(142)은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QC 프로토콜 통신이 수행된다. 장치는 USB 데이터 통신 포트 D+, D-을 통해 전압 신호를 충전기에 전송하고, 충전기에 내장된 USB 디코더 칩이 충전기에서 출력해야 할 전압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충전용 USB 케이블에 대한 특별한 조건은 없다.
더 나아가서,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제어 유닛(14)은 제2 칩과 이의 주변 회로를 포함하고, 제2 칩을 통해 집적화 설계되어 하나의 논리 회로가 설치될 수도 있어 연관된 제어 기능이 실현될 수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셋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 제어 유닛(13)은 리셋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셋 모듈의 리셋 핀에 리셋 회로가 외접되고, 상기 리셋 회로는 리셋 단, 제1 커패시터, 제1 저항 및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리셋 핀 각각이 리셋 단, 제1 커패시터, 제1 저항, 제2 저항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제1 저항의 다른 하나의 단은 모두 접지되고, 상기 제2 저항의 다른 일단이 어댑터 유닛(12)의 전기 에너지 출력단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왼쪽의 U1은 제1 칩이고, 제1 칩에서 핀 P51이 리셋 모듈의 리셋 핀이다. 리셋 핀에 리셋 회로가 외접되면 리셋 회로는 리셋 핀과 연결되는 리셋 단(RST), 제1 커패시터(C7), 제1 저항(R7) 및 제2 저항 (R5)을 포함하고, 제2 저항(R5)의 다른 일단이 어댑터 유닛(12)의 전기 에너지 출력단(VOUTL)과 연결되고, 전원이 켜져 리셋 및 초기화를 거쳐 제1 칩이 핸드셰이크 통신과 같이 연관된 통신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제어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충전 장치에 있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전원 어댑터와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은 도선 세그먼트(31) 및 도선 세그먼트(31)의 일단에 설치되면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삽입될 수 있는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 및 도선 세그먼트(31)의 다른 일단에 설치되는 I/O(입력/출력) 포트(33)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 케이블은 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니는 전원 어댑터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어 외부 장치를 충전시킬 수 있고, 상기 충전 케이블의 일단에는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니는 전원 어댑터와 매칭 사용될 수 있는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가 설치되고, 이의 다른 일단에는 외부 장치 유닛과 연결되는 I/O 인터페이스(33)가 설치되며, 여기에서, 상기 충전 케이블의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는 라이트닝 암형 소켓이 구비된 전원 어댑터를 통해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로 외부 장치를 충전시킬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기타 외부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두 장치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기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방안 1
상기 I/O 인터페이스(33)는 외부 장치와 연결시키는 데 사용되는 라이트닝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일단이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이고, 이의 다른 일단이 라이트닝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라이트닝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를 의미하여 이중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를 구비하는 데이터 케이블은 각각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니는 전원 어댑터와 외부 장치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를 충전할 수 있고, 또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지니는 두 개의 외부 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두 개의 외부 장치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기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방안 2
상기 I/O 인터페이스(33)는 외부 장치와 연결시키는 데 사용되는 type-C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일단이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이고, 이의 다른 일단이 type-C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type-C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type-C 수형 인터페이스(32)를 의미하고, 이 데이터 케이블에는 각각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구비하는 전원 어댑터와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외부 장치를 충전할 수 있고, 또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지니는 외부 장치 및 type-C 암형 소켓이 구비된 외부 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다른 암형 소켓이 구비된 두 개의 외부 장치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기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방안 3
상기 I/O 인터페이스(33)는 라이트닝 인터페이스, type-C 인터페이스 및 micro 인터페이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외부 장치는 라이트닝 인터페이스, type-C 인터페이스 또는 micro 인터페이스를 통해 충전 장치와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일단이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이고, 이의 다른 일단이 다중 인터페이스 단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라이트닝 인터페이스, type-C 인터페이스 및 micro 인터페이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닝 인터페이스, type-C 인터페이스 및 micro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으로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32B1), type-C 수형 인터페이스 및 micro 수형 인터페이스를 의미하고, 이 데이터 케이블에는 각각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구비하는 전원 어댑터와 두 개의 서로 다른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각각 또는 동시에 두 개의 서로 다른 외부 장치를 충전할 수 있고, 또한,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을 지니는 외부 장치 및 라이트닝 인터페이스, type-C 인터페이스 또는 micro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별도의 두 개의 외부 장치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암형 소켓이 구비된 다수의 외부 장치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기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라이트닝 인터페이스, type-C 인터페이스 및 micro 인터페이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방안은 라이트닝 인터페이스 및 type-C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구비하는 방안을 포함하거나 라이트닝 인터페이스와 micro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구비하는 방안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type-C 인터페이스와 micro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구비하는 방안 및 라이트닝 인터페이스, type-C 인터페이스 및 micro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구비하는 방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충전 케이블에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보호 유닛이 더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충전 케이블에 있는 양단 인터페이스는 모두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여기에서 하나의 외부 장치가 다른 하나의 외부 장치를 충전할 때 두 개의 외부 장치의 전기량이 계속 변하는 경우, 전류의 역류 현상이 쉽게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상이한 외부 장치 간에 역류 현상으로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전 케이블에 보호 유닛을 더 설치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충전 케이블에 양방향 전원 어댑터 유닛이 더 설치되고, 상기 양방향 전원 어댑터 유닛은 충전 장치와 충전될 장치 간의 역할을 호환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방향 전원 어댑터 유닛은 특정한 양방향 충전 회로를 의미하거나, 디폴트 규칙을 지니는 양방향 충전 프로토콜을 말하며, 이는 제1 외부 장치가 제2 외부 장치로 데이터 또는 전기량을 전송하거나, 제2 외부 장치가 제1 외부 장치로 데이터 또는 전기량을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여 전체 데이터 케이블의 실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전원 어댑터, 데이터 케이블(3), 단말장치(4)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3) 일단의 라이트닝 커넥터가 상기 전원 어댑터의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에 삽입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다른 일단에 있는 I/O 포트에 상기 단말장치(4)가 삽입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원 어댑터는 USB 인터페이스 및 type-c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I/O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함으로써, 전원 어댑터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호환성이 높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데이터 케이블 컨트롤러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스위치 MOSFET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13)의 제2 제어 핀은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1 채널 핀과 연결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13)은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1 채널 핀을 통해 전원 켜짐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 컨트롤러는 전원이 들어온 신호에 따라 스위치 MOSFET를 도통하여 통신 제어 유닛(13)과 단말장치가 통신 연결된다.
따라서 전기 어댑터에 전원이 들어오면, 즉 통신 제어 유닛(13)에 전원이 켜질 경우 전원이 들어온 신호를 통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의 제1 채널 핀에 전원 켜짐 신호가 생성되는 동시에, 데이터 케이블의 컨트롤러는 전원이 들어온 신호에 따라 스위치 MOSFET를 도통하여 통신 제어 유닛(13)과 단말장치가 통신 연결되고; 또한, 통신 제어 유닛(13)과 단말장치가 통신 연결되면 통신 제어 유닛(13)은 바로 단말장치와 핸드셰이크 통신을 수행하고, 핸드셰이크 통신이 완료되면 제1 프로토콜 통신이 수행되어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은 외부 충전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라이트닝 암형 소켓(11)으로 고속 충전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 범위에 한해서 등가 변경 또는 수식을 행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7)

  1. 라이트닝(lightning) 암(female)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 출력 포트인 라이트닝 암형 소켓 및 어댑터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과 어댑터 유닛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
    라이트닝 암형 소켓과 연통되는 개구가 설치되면서, 본체 외부에 씌움 설치되어, 개구와 라이트닝 암형 소켓이 대응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어댑터 유닛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통해 외부로 전압과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통신 제어 유닛과 어댑터 제어 유닛이 더 설치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 각각이 어댑터 제어 유닛, 어댑터 유닛, 라이트닝 암형 소켓과 연결되고;
    여기에서,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단말장치가 외접될 때,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은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핸드셰이크(handshake) 통신하고;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은 핸드셰이크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어댑터 유닛은 프로토콜 수행이 완료되면 어댑터 제어 유닛에 따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충전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여 외부 단말장치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유닛은 어댑터 제어 유닛을 통해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충전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의 제1 제어 핀(PIN)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과 연결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의 핸드셰이크 핀과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식별 제어 핀이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 유닛의 전기 에너지 출력단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전원 핀과 연결되고; 여기에서,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은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단말장치가 외접될 때,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식별 제어 핀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핸드셰이크 통신하고;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에서 핸드셰이크 통신이 완료되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어댑터 유닛은 프로토콜 수행이 완료되면 어댑터 제어 유닛에 따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전원 핀에 충전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여 외부 단말장치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의 제2 제어 핀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과 연결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을 통해 전원 켜짐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의 제3 제어 핀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상기 제2 채널 핀과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은 제1 프로토콜 모듈과 제2 프로토콜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프로토콜 모듈은 상기 제1 제어 핀을 통해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과 연결되고,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을 상기 외부 단말장치와 제1 프로토콜 통신이 수행되고; 상기 제2 프로토콜 모듈이 제3 제어 핀을 통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2 채널 핀과 연결되고,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2 채널 핀을 통해 상기 외부 단말장치와 제2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제어 유닛은 제1 프로토콜 통신이 실패한 후 또는 외부 단말장치가 제1 프로토콜 통신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제2 프로토콜 모듈이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통해 외부 단말장치와 제2 프로토콜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토콜 모듈은 DP 핀과 DM 핀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2 채널 핀은 L1P 핀과 L1N 핀을 포함하고, 상기 DP 핀과 L1P 핀이 연결되며, 상기 DM 핀과 L1N 핀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로토콜 모듈은 CC 핀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은 L0P 핀을 포함하고, 상기 CC 핀은 상기 L0P 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모듈은 PD 프로토콜 모듈이고, 상기 제2 프로토콜 모듈은 QC 프로토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은 리셋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셋 모듈의 리셋 핀에 리셋 회로가 외접되고, 상기 리셋 회로는 리셋 단, 제1 커패시터, 제1 저항 및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리셋 핀 각각이 리셋 단, 제1 커패시터, 제1 저항, 제2 저항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제1 저항의 다른 하나의 단은 모두 접지되고, 상기 제2 저항의 다른 일단이 어댑터 유닛의 전기 에너지 출력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댑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USB 암형 소켓 및/또는 type-C 암형 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12. 충전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원 어댑터와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은 도선 세그먼트 및 도선 세그먼트의 일단에 설치되면서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삽입될 수 있는 라이트닝 수(male)형 인터페이스 및 도선 세그먼트의 다른 일단에 설치되는 I/O(입력/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I/O 인터페이스는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I/O 인터페이스는 type-C 수형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I/O 인터페이스는 라이트닝 수형 인터페이스, type-C 수형 인터페이스 및 micro 수형 인터페이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16.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원 어댑터, 데이터 케이블 및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 일단의 라이트닝 수형 커넥터가 전원 어댑터의 라이트닝 암형 소켓에 삽입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다른 일단에 있는 I/O 포트가 단말장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데이터 케이블 컨트롤러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스위치 MOSFET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의 제2 제어 핀은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제1 채널 핀과 연결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은 상기 라이트닝 암형 소켓의 상기 제1 채널 핀을 통해 전원 켜짐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 컨트롤러는 전원이 들어온 신호에 따라 스위치 MOSFET를 도통하여 통신 제어 유닛과 단말장치를 통신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시스템.
KR1020237021068A 2021-06-29 2021-11-30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361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724174.2 2021-06-29
CN202110724174.2A CN113422521A (zh) 2021-06-29 2021-06-29 一种带lightning母接口的电源适配器及充电装置
CN202111034355.9 2021-09-03
CN202111034355.9A CN113745873A (zh) 2021-09-03 2021-09-03 一种设有Lightning母座的适配器及充电系统
PCT/CN2021/134340 WO2023273142A1 (zh) 2021-06-29 2021-11-30 一种带lightning母座的电源适配器、充电装置及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114A true KR20230136114A (ko) 2023-09-26

Family

ID=8454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1068A KR20230136114A (ko) 2021-06-29 2021-11-30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55396B2 (ko)
EP (1) EP4231482A1 (ko)
JP (1) JP2023552245A (ko)
KR (1) KR202301361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114A (ko) * 2021-06-29 2023-09-26 썬전 즈여우 프리사이스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60417A (en) * 2004-02-16 2011-04-28 Mosaid Technologies Inc Unit added to the outlet
US8834210B2 (en) * 2011-08-24 2014-09-16 Daniel John Brausen Electrial outlet safety device
US9240700B2 (en) * 2012-09-07 2016-01-19 Apple Inc. Cascading power for accessories
CN103066340B (zh) 2012-12-17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充电方法、移动终端及适配器
CN103066666B (zh) * 2013-01-22 2015-08-26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升压型电池充电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US9075425B2 (en) * 2013-04-19 2015-07-07 Blackberry Limited Adjustable output power supply
US20150212967A1 (en) * 2014-01-30 2015-07-30 Eric Jermaine Griffin Wireless Communication Adaptor And Receiver Device With Integrated Speakers
BR112016028206B1 (pt) 2014-11-11 2022-03-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erminal, e, adaptador de energia
US20170293335A1 (en) * 2016-04-08 2017-10-12 Robert A. Dunstan Adjustable power delivery apparatus for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c
TWM531082U (zh) * 2016-04-13 2016-10-21 pei-lun Wang 複合型連接器
US20170374188A1 (en) * 2016-06-23 2017-1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Peripheral
US10727731B1 (en) * 2017-04-01 2020-07-28 Smart Power Partners, LLC Power adapters adapted to receive a module and methods of implementing power adapters with modules
EP3582361B1 (en) * 2017-04-07 2022-08-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device to be charge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6992755U (zh) 2017-08-10 2018-02-09 沈洪生 一种多功能移动式排插适配器
US20190081426A1 (en) * 2017-09-13 2019-03-14 Anand Kumar Chavakula Multi-use Connector
CN107623357B (zh) * 2017-10-23 2020-04-10 深圳市乐得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源负载能力评估方法和usb类型转换器
US11101673B2 (en) * 2018-03-13 2021-08-24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Programmable gate driver control in USB power delivery
EP3672292B1 (en) * 2018-12-20 2022-10-26 GN Audio A/S Audio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with a dongle
US11249769B2 (en) * 2019-01-28 2022-02-15 Future Dial, Inc. Enhanced MobileQ platform application for IOS and android mobile devices
US11208211B2 (en) * 2019-04-26 2021-12-28 Burrana Ip And Assets, Llc Replaceable connection modules for high use electronic device receptacles
US10958020B1 (en) * 2019-06-30 2021-03-23 Smart Power Partners LLC Control attachment for an in-wall power adap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n-wall power adapter
US10756644B1 (en) * 2019-08-22 2020-08-2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ontrolled gate-source voltage N-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NFET) gate driver
CN210669562U (zh) 2019-09-25 2020-06-02 东莞市隆佳展能源科技有限公司 基于USB Type-C的笔记本电脑充电转接结构
KR20230136114A (ko) * 2021-06-29 2023-09-26 썬전 즈여우 프리사이스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
CN113422521A (zh) 2021-06-29 2021-09-21 深圳市质友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带lightning母接口的电源适配器及充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5396B2 (en) 2023-12-26
EP4231482A1 (en) 2023-08-23
US20220416488A1 (en) 2022-12-29
JP2023552245A (ja)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8020B (zh) 集线器
US9559534B2 (en) Data cable for fast charging
CN105281398B (zh) 便携设备、电缆组件以及usb系统
US20120276763A1 (en) Wall mountable universal serial bus and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ing receptacle
CN207116873U (zh) 快充转接头及快充线缆结构
CN102064582A (zh) 可对外供电的终端
CN216720327U (zh) 一种设有Lightning母座的适配器及充电系统
KR102315230B1 (ko) Usb c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230136114A (ko) 라이트닝 암형 소켓을 지닌 전원 어댑터, 충전 장치 및 시스템
CN209297212U (zh) 一种平板电脑
CN105932738A (zh) 一种电传输控制方法、移动电源以及终端设备
EP4231164A1 (en) Information reading method, device, cable, charging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3425220B (zh) 一种电能控制模块、装置及设备
CN210807090U (zh) 一种兼具电能转换和数据传输功能的电源适配器
CN201075214Y (zh) 一种usb通用数据线
CN113745873A (zh) 一种设有Lightning母座的适配器及充电系统
CN112086830B (zh) 一种与iOS设备通信的数据线电路
WO2023273142A1 (zh) 一种带lightning母座的电源适配器、充电装置及系统
CN112803525A (zh) 电子设备及其充电控制方法
CN216563861U (zh) 一种排插
CN219106560U (zh) 一种设有Lightning母座的插座面板
CN216851324U (zh) 一种带lightning母座的车载充电器及其充电装置
CN219554632U (zh) 一种反向充电电路及反向充电转接头
KR20140115582A (ko)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충전장치 및 시스템
CN216134295U (zh) 一种设有Lightning母座的移动电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