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688A - Trolly conveyor apparatus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device - Google Patents

Trolly conveyor apparatus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688A
KR20230134688A KR1020220031778A KR20220031778A KR20230134688A KR 20230134688 A KR20230134688 A KR 20230134688A KR 1020220031778 A KR1020220031778 A KR 1020220031778A KR 20220031778 A KR20220031778 A KR 20220031778A KR 20230134688 A KR20230134688 A KR 20230134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dog
guide rail
cam plate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4324B1 (en
Inventor
박영한
Original Assignee
박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한 filed Critical 박영한
Priority to KR102022003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324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3177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4324B1/en
Publication of KR2023013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6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3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 헤드형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장 상층 공간에 일정하게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된 상측 안내 레일(1);
상기 상측 안내 레일(1)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상측 안내 레일(1)과 동일한 경로를 따라 평행하게 설치된 하측 안내 레일(2),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에 안내되고, 제품을 고정하여 이송하기 위한 행거를 구비하며, 캐리어 도그(21)를 구비한 캐리어(5), 상기 하측 안내 레일상의 정해진 캐리어 정지 위치(S)에 설치되고, 걸림위치(P1)에 위치한 상기 체인 도그(12)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 도그 트롤리(10)와 함께 이동하는 상기 캐리어(5)의 캐리어 도그(21)를, 상기 캐리어 정지 위치(S)에서, 상기 체인 도그 트롤리(10)의 체인 도그(12)와 걸림해제시키는 캠 플레이트(42) 및 상기 캠 플레이트(4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체인 도그(12)가 상기 캐리어 도그(21)와 걸림해제될 때 상기 캠 플레이트(42)에 충돌하여 상기 캐리어(5)를 상기 캐리어 정지 위치(S)에 정지시키는 스토퍼 핀(46))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핀(46)이 상기 캠 플레이트(42)에 충돌할 때, 상기 캠 플레이트(42)를 통하여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는 쇽업소버(50);를 더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head type trolley conveyor device, particularly an upper guide rail (1) installed along a certain moving path in the upper space of a workshop;
A lower guide rail (2) installed in parallel along the same path as the upper guide rail (1) at regular intervals below the upper guide rail (1), is guided by the lower guide rail (2), and fixes the product. A carrier (5) equipped with a carrier dog (21) for transport, installed at a designated carrier stop position (S) on the lower guide rail, and the chain dog (12) located at the locking position (P1) ) and the carrier dog 21 of the carrier 5 that is coupled to the chain dog trolley 10 and moves with the chain dog trolley 10, and the chain dog 12 of the chain dog trolley 10 at the carrier stop position S. When the chain dog 12 is released from the carrier dog 21 by the cam plate 42 and the operation of the cam plate 42, it collides with the cam plate 42 and causes the carrier ( 5) includes a stopper pin (46) that stops the carrier at the carrier stop position (S), and when the stopper pin (46) collides with the cam plate (42), the It further includes a shock absorber (50) capable of absorbing and cushion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lower guide rail (2).

Description

충격 흡수기구를 구비한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TROLLY CONVEYOR APPARATUS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DEVICE} Trolley conveyor device with shock absorbing mechanism {TROLLY CONVEYOR APPARATUS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DEVICE}

본 발명은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제조 공장에서 일정한 경로를 따라 안내 레일이 설치되고, 자동차 부품을 행거(hanger)에 매달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안내 레일의 경로상 정해진 정지위치에서 정지할 때, 정지하려는 부재와 정지시키는 부재 사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는 충격 흡수기구를 구비한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olley conveyor device, and in particular, in an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a guide rail is installed along a certain path, and while automobile parts are supported by hanging on a hanger, they move along the guide rail and then move along the guide rail's path. It relates to a trolley conveyor device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mechanism that can absorb and cushion the shock caused by a collision between a member to be stopped and a member to be stopped when stopping at a predetermined stopping position.

자동차 제조공장에는 제품을 행거에 지지한 상태로 공장 내에서 일정한 경로를 따라 설치된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정해진 특정 공정 작업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그 정지한 위치에서 공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품을 이송시키는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가 구비된다. In an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a product is moved along a guide rail installed along a certain path within the factory while supported on a hanger, stopped at a specific process work position, and the product is transported so that process work can be performed at that stopped position. A trolley conveyor device is provided.

이러한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는 통상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 공장 내에 일정한 경로를 따라 체인안내용 상측 안내 레일(23)과, 상기 상측 안내 레일(23)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이송 트롤리(3,4,5)를 안내하기 위한 하측 안내 레일(2)이 설치된다.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such a trolley conveyor device generally includes an upper guide rail 23 for chain guidance along a certain path within a manufacturing plant, and a plurality of transfer trolleys 3 and 4 below the upper guide rail 23. A lower guide rail (2) is installed to guide ,5).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에 구비된 이송 트롤리는, 전방 트롤리(3), 상기 전방 트롤리(3)에 로드바(6)로 연결된 중간 트롤리(4), 및 상기 중간 트롤리(4)의 후방에 로드바(7)로 연결된 후방 트롤리(7)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트롤리(3)는 피동용 도그(10)가 상기 상측 안내 레일(23)을 따라 이동하는 체인 트롤리(22)에 구비된 체인 도그(24, 선행특허의 공보에서는 '푸셔'라고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체인 도그'로 지칭함)에 맞물려 있을 때, 체인 트롤리(22)의 이동함과 함께 이동하고(이동방향은 화살표방향), 이에 따라 행거(9)와 행거(9)에 지지된 제품(8)도 이동한다. The transfer trolley provided on the lower guide rail (2) includes a front trolley (3), a middle trolley (4) connected to the front trolley (3) with a load bar (6), and a rear of the middle trolley (4). It includes a rear trolley (7) connected to a load bar (7), and the front trolley (3) is a chain provided on a chain trolley (22) on which a driven dog (10) moves along the upper guide rail (23). When engaged with the dog (24, referred to as a 'pusher' in the prior patent pub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hain dog'), it moves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chain trolley 22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ccordingly, the hanger 9 and the product 8 supported on the hanger 9 also move.

하측 안내 레일(2)을 따라 이동하던 전방 트롤리(3)의 피동용 도그(10)가 안내 레일(2)의 정해진 '캐리어 정지 위치'에 구비된 스토퍼 기구(도시안됨)의 작동에 의해 체인 도그(24)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측 안내 레일(2)을 따라 이동하던 체인 트롤리(22)는 상측 안내 레일(2)을 따라 계속 진행한다. The driven dog (10) of the front trolley (3) moving along the lower guide rail (2) is moved to the chain dog by the operation of a stopper mechanism (not shown) provided at the designated 'carrier stop position' of the guide rail (2). When the engagement with (24) is released, the chain trolley (22), which was moving along the upper guide rail (2), continues to proceed along the upper guide rail (2).

반대로, 체인 도그(24)와 맞물림 해제된 전방 트롤리(3)를 포함한 이송 트롤리(3,4,5)는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지만, 관성에 의해 계속 전진이동하면서 안내 레일(2)에 고정되어 있던 부분, 예컨대 스토퍼 기구 등에 충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충격이 발생한다. Conversely, the transport trolleys (3, 4, 5), including the front trolley (3),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chain dog (24), stop at the stop position, but continue to move forward due to inertia and are fixed to the guide rail (2). It collides with an existing part, such as a stopper mechanism, and thus generates an impact.

이러한 충격은, 행거, 전방 트롤리 및 제품에 전달되어 제품에 손상을 일으킨다.This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hanger, front trolley, and product, causing damage to the product.

KR 10-0150410BKR 10-0150410B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가 가진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제품을 탑재하여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하던 캐리어가 경로상 정해진 정지위치에서 정지할 때 관성에 의해 컨베이어 장치의 정지된 부품과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는 충격 흡수기구를 구비한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trolley conveyor device. When the carrier carrying the product and moving along the guide rail stops at a fixed stop position on the path, the conveyor device is stopped due to inertia.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rolley conveyor device equipped with a shock absorbing mechanism that can absorb and cushion the shock that occurs when colliding with par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버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로서,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overhead trolley conveyor device,

작업장 상층 공간에 일정하게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된 상측 안내 레일; Upper guide rail installed along a certain movement path in the upper space of the workshop;

상기 상측 안내 레일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상측 안내 레일과 동일한 경로를 따라 평행하게 설치된 하측 안내 레일; a lower guide rail installed in parallel along the same path as the upper guide rail at regular intervals below the upper guide rail;

상기 상측 안내 레일과 상기 하측 안내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각은 상부와 하부에 상기 상측 안내 레일과 상기 하측 안내 레일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guide rail and the lower guide rail, each supporting frame fixing and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at an upper and lower portion;

상기 하측 안내 레일에 안내되고, 제품을 고정하여 이송하기 위한 행거를 구비하며, 캐리어 도그를 구비한 캐리어; A carrier guided by the lower guide rail, provided with a hanger for fixing and transporting a product, and provided with a carrier dog;

상기 상측 안내 레일에 안내되는 트롤리와, 체인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상측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체인에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 도그에 맞물려 결합하는 걸림위치와 상기 캐리어 도그와 걸림해제되는 걸림해제위치 사이를 선회하도록 피봇결합되어, 상승방향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자중에 의해 상기 걸림위치로 선회하여 상기 캐리어 도그와 맞물려 결합하는 체인 도그를 구비한 체인 도그 트롤리; A trolley is guided on the upper guide rail, and is connected to a chain that moves along the upper guide rail by a chain drive means, between a locking position engaged with the carrier dog and an unlocking position where the carrier dog is released. A chain dog trolley provided with a chain dog pivoted to pivot and pivoted to the locking position by its own weight when no external force in an upward direction is applied to engage and couple with the carrier dog;

상기 하측 안내 레일상의 정해진 캐리어 정지 위치에 설치되고, 걸림위치에 위치한 상기 체인 도그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 도그 트롤리와 함께 이동하는 상기 캐리어의 캐리어 도그를, 상기 캐리어 정지 위치에서, 상기 체인 도그 트롤리의 체인 도그와 걸림해제시키는 캠 플레이트; 및 The carrier dog of the carrier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carrier stop position on the lower guide rail, is coupled to the chain dog located at a locking position, and moves with the chain dog trolley. At the carrier stop position, the chain of the chain dog trolley Dog and disengaging cam plate; and

상기 캠 플레이트의 작동에 의해 상기 체인 도그가 상기 캐리어 도그와 걸림해제될 때 상기 캠 플레이트에 충돌하여 상기 캐리어를 상기 캐리어 정지 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 핀;을 포함하는 오버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When the chain dog is released from the carrier dog by the operation of the cam plate, a stopper pin collides with the cam plate and stops the carrier at the carrier stop position. In the overhead trolley conveyor device including,

상기 스토퍼 핀이 상기 캠 플레이트에 충돌할 때, 상기 캠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하측 안내 레일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는 쇽업소버;를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hock absorber capable of absorbing and cushioning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lower guide rail through the cam plate when the stopper pin collides with the cam plate.

그리고, 상기 충격 흡수기구는, And, the shock absorbing mechanism is,

상기 충격 흡수기구는, The shock absorbing mechanism is,

상기 하측 안내 레일의 좌우측 외측면에 각각 상기 캐리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전방 고정블록과 후방 고정블록에 양단이 결합되어 고정된 가이드 봉; A guide rod fixed at both ends to a front fixed block and a rear fixed block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of the lower guide rail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arrier, respectively;

상기 캠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캠 플레이트에 진행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가이드 봉을 따라 진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에 결합된 가동 블록; 및a movable block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rod to which the cam plate is coupled and capable of sli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along the guide ro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am pl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상기 전방 고정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 사이의 상기 가이드 봉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가동 블록을 통하여 상기 전방 고정 블록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하는 쇽업소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hock absorber is inse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rod between the front fixed block and the movable block to absorb and cushion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front fixed block through the movable block.

상기 캐리어는 전진 이동방향으로 선두에 위치하는 전방 캐리어와, 상기 전방 캐리어의 후방에 전방 연결로드에 의해 연결된 중앙 전방 캐리어와, 상기 중앙 전방 캐리어의 후방에 중간 연결로드로 연결된 중앙 후방 캐리어와, 상기 중앙 후방 캐리어에 후방 연결로드로 연결된 후방 캐리어, 및 상기 중앙 캐리어에 한 쌍의 행거 바아로 연결되어 제품을 고정하는 행거를 포함하고 The carrier includes a front carrier located at the front in a forward moving direction, a central front carrier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front carrier by a front connecting rod, a central rear carrier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entral front carrier by an intermediate connecting rod, and A rear carrier connected to the central rear carrier with a rear connecting rod, and a hanger connected to the central carrier with a pair of hanger bars to secure the product;

상기 전방 캐리어에는 상기 캐리어 도그와, 상기 캐리어 도그와 마주보게 배치된 체크 도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ront carrier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the carrier dog and a check dog disposed to face the carrier dog.

본 발명의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는 작업장의 천장에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된,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각 지지 프레임은 상부, 하부 및 상부와 하부를 연결한 측부를 가지며, The trolley convey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fixed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predetermined path on the ceiling of a workshop, and each support frame has an upper part, a lower part, and a side part connecting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상기 상측 안내 레일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되고,The upper guide rail is coupled to and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상기 하측 안내 레일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The lower guide rail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frame.

또, 상기 캠 플레이트는 상기 하측 안내 레일의 측판에 구비된 회전축 상에 회전하게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인 도그를 캐리어 도그와의 걸림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상태와, 상기 체인 도그와 접촉해제하여 상기 체인 도그를 자중에 의해 캐리어 도그와의 걸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비작동상태를 가지고, 상기 캠 플레이트를 상기 작동상태 또는 상기 비작동상태로 회전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cam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a rotating shaft provided on the side plate of the lower guide rail, and has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chain dog is moved to an unlocked position with the carrier dog and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chain dog. It has a non-operating state that moves the chain dog to a locking position with the carrier dog by its own weight, and further includes an actuator that rotates the cam plate to the operating state or the non-operating state.

상기 액츄에이터는 공압식 왕복 실린더이거나 회전 실린더일 수 있다. The actuator may be a pneumatic reciprocating cylinder or a rotating cylind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쇽업소버가 설치되는, 상기 전방 고정블록과 가동 블록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쇽업소버의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이다.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uffering force of the shock absorbe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front fixed block and the movable block on which the shock absorber is installed.

상기 스토퍼 핀은 상기 전방 캐리어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돌출하게 구비되고, 상기 캠 플레이트가 작동상태에 있을 때, 상기 캠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맞닿고, 상기 캠 플레이트가 비작동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캠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맞닿지 않고 캠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위치에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The stopper pin is provid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carrier, abuts the lower end of the cam plate when the cam plate is in an operating state, and contacts the cam when the cam plate is in an inoperative st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a position that passes through the cam plate rather than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plate.

한편, 상기 전방 캐리어에는 보조 트롤리가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an auxiliary trolley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carrier.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을 탑재하여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하던 캐리어가 경로상 정해진 정지위치에서 정지할 때 관성에 의해 컨베이어 장치의 정지된 부품과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하므로, 이동하던 캐리어에 실려 이동하는 제품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when a carrier moving along a guide rail with a product loaded on it stops at a fixed stop position along the path, it absorbs and cushions the shock generated when it collides with a stationary part of the conveyor device due to inertia, thereby preventing movement. It can prevent products being transported on a carrier from being broken or damaged by impact.

도 1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a는 체인 도그가 캐리어 도그와의 걸림위치에 위치할 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체인 도그가 갬 도그와의 걸림해제위치에 위치할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캐리어 정지 위치에 쇽업소버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캠 플레이트가 작동상태에 놓여 있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쇽업소버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캠 플레이트가 비작동상태로 전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b의 'C'부의 확대도로서 쇽업소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rolley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in Figure 1.
Figure 3a is a diagram showing when the chain dog is located in the locked position with the carrier dog,
Figure 3b is a view showing when the chain dog is located in the unlocked position with the gap dog.
Figure 4a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ock absorber installed at the carrier stop position, showing the cam plate in an operating state.
Figure 4b is a top view of Figure 4a.
Figure 5a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ock absorber, showing the cam plate in a non-operating state.
Figure 5b is a top view of Figure 5a.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ure 4b,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ock absorb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 상층 공간에 일정한 이동 경로를 따라 상측 안내 레일(1)이 설치되고, 이 상측 안내 레일(1)의 하측에 동일한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상측 안내 레일(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측 안내 레일(2)이 설치된다. As shown in Figure 1, an upper guide rail (1) is installed along a certain movement path in the upper space of the workshop, and the upper guide rail (1) and the upper guide rail (1) are installed along the same movement path below the upper guide rail (1). Lower guide rails (2) are install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안내 레일(1)과 하측 안내 레일(2)은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3)에 각각 결합되어 작업장 상층 공간에 지지된다.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upper guide rail (1) and the lower guide rail (2) are each coupled to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3)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positioned in the upper space of the workshop. Supported.

상기 각 상기 지지 프레임(3)은 상부(3a), 하부(3b) 및 상기 상부(3a)와 상기 하부(3b)를 연결한 측부(3c)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안내 레일(1)은 상기 지지 프레임(3)의 상기 상부(3a)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은 상기 지지 프레임(3)의 상기 하부(3b)에 결합되어 지지된다.Each of the support frames 3 has an upper part 3a, a lower part 3b, and a side part 3c connecting the upper part 3a and the lower part 3b, and the upper guide rail 1 is It is supported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part (3a) of the support frame (3), and the lower guide rail (2)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lower part (3b) of the support frame (3).

<캐리어(5)><Carrier (5)>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에는 캐리어(5)가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캐리어(5)는 자동차 차체와 같은 제품(도시생략)을 행거에 고정하고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을 따라 이동한다. A carrier 5 is movably guided on the lower guide rail 2, and the carrier 5 fixes a product (not shown) such as an automobile body to a hanger and moves along the lower guide rail 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5)는 전진 이동방향(도 1의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선두에 위치하는 전방 캐리어(20)와, 상기 전방 캐리어(20)의 후방에 전방 연결로드(22)에 의해 연결된 중앙 전방 캐리어(24)와, 상기 중앙 전방 캐리어(24)의 후방에 중간 연결로드(26)로 연결된 중앙 후방 캐리어(28)와, 상기 중앙 후방 캐리어(28)에 후방 연결로드(30)로 연결된 후방 캐리어(32), 및 상기 중앙 캐리어(34)에 한 쌍의 행거 바아(36)로 연결되어 제품을 싣는 행거(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arrier 5 includes a front carrier 20 located at the front in the forward moving direction (bold arrow direction in FIG. 1), and a front connecting rod at the rear of the front carrier 20. A central front carrier 24 connected by 22), a central rear carrier 28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entral front carrier 24 by an intermediate connecting rod 26, and a rear connecting rod to the central rear carrier 28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ar carrier 32 connected to (30), and a hanger 38 connected to the central carrier 34 with a pair of hanger bars 36 to load products.

그리고, 상기 전방 캐리어(20)에는 캐리어 이동수단과 연동하기 위하여 캐리어 이동수단에 결합되는 캐리어 도그(21)가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 도그(21)의 후방에는 체크 도그(23)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front carrier 20 is provided with a carrier dog 21 coupled to the carrier moving means in order to interlock with the carrier moving means, and a check dog 23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rrier dog 21.

상기 전방 캐리어(20)의 후방에는 보조 트롤리(20-1)가 연결될 수도 있다. An auxiliary trolley 20-1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front carrier 20.

<캐리어 이동수단 ><Carrier transportation means>

상기 상측 안내 레일(1)에는 상기 캐리어(5)를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을 따라 이송시키는 캐리어 이동수단이 구비된다. The upper guide rail (1) is provided with carrier moving means for transporting the carrier (5) along the lower guide rail (2).

이 캐리어 이동수단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구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상기 상측 안내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체인(4)과, 상기 체인(4)에 연결된 체인 도그 트롤리(10)와, 상기 체인(4)중 적어도 하나의 체인에 핀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체인 도그(12)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3, this carrier moving means includes a chain 4 moving along the upper guide rail 1 by a chain driving means (not shown), and a chain connected to the chain 4. It is provided with a dog trolley (10) and a chain dog (12) rotat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chains (4)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bout a pin.

상기 체인 도그(1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정지 기구(40)가 없는 구간에서는, 자중에 의해 핀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선회하여 상기 캐리어 도그(21)에 맞물리는 걸림위치(P1)에 위치한다.As shown in FIG. 3A, in the section where there is no carrier stop mechanism 40, the chain dog 12 rotates downward around the pin by its own weight and is in a locking position ( It is located at P1).

체인 도그(12)는 캐리어 정지 기구(40)에 의해 상승방향으로 선회하여, 걸림해제위치(P2)로 이동한다. 반대로 체인 도그(12)는 캐리어 정지 기구(40)로부터 힘을 받지 않으면, 자중에 의해 하강 방향으로 선회하여 걸림위치(P1)로 이동한다.The chain dog 12 is turned upward by the carrier stop mechanism 40 and moves to the unlocking position P2. Conversely, if the chain dog 12 does not receive force from the carrier stop mechanism 40, it rotates in a downward direction due to its own weight and moves to the locking position P1.

상기 캐리어 도그(21)와의 걸림위치(P1)에 있던 체인 도그(12)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42)에 맞닿아 캐리어 도그(21)와 걸림해제되는 걸림해제위치(P2)로 상승 선회하고, 이에 따라 캐리어(5)의 전방 캐리어(20)는 이동하는 체인 도그(12)에서 분리됨으로써 이동이 정지된다. As shown in FIG. 3B, the chain dog 12, which was in the locking position P1 with the carrier dog 21, is in contact with the cam plate 42 and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position P2 with the carrier dog 21. ), and as a result, the front carrier 20 of the carrier 5 is separated from the moving chain dog 12 and the movement is stopped.

<캐리어 정지 기구(40)><Carrier stop mechanism (40)>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안내 레일(2)을 따라 이동하는 전방 캐리어(20)가 하측 안내 레일(2) 상의 '캐리어 정지 위치(S)'에 도착할 때, 상기 전방 캐리어(20)의 상기 캐리어 도그(21)에 결합된 상기 체인 도그(12)를 상기 캐리어 도그(21)으로부터 걸림해제시킴으로써 전방 캐리어(20)와 전방 캐리어(20)를 포함한 캐리어(5) 전체를 정지시키는 캐리어 정지 기구(40)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front carrier 20 moving along the lower guide rail 2 arrives at the 'carrier stop position (S)' on the lower guide rail 2, the front carrier ( Stopping the front carrier 20 and the entire carrier 5 including the front carrier 20 by releasing the chain dog 12 coupled to the carrier dog 21 of 20) from the carrier dog 21. A carrier stopping mechanism (40) is provided.

상기 캐리어 정지 기구(4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정지 위치(S)'에 설치되고, '비작동상태(N)'에서 '작동상태(O)'로 전환되거나(도 4a에 도시), 또는 작동상태(O)에서 비작동상태(N)로 전환되는(도 4b에 도시) 캠 플레이트(42)와, 상기 캠 플레이트(42)의 일측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캠 플레이트(42)를 작동상태(O) 또는 비작동상태(N)로 회전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arrier stop mechanism 40 is installed at the ‘carrier stop position (S)’ and is switched from the ‘non-operating state (N)’ to the ‘operating state (O)’. (shown in FIG. 4A), or a cam plate 42 that switches from the operating state (O) to the non-operating state (N) (shown in FIG. 4B),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m plate 42 and the cam It includes an actuator that rotates the plate 42 to the operating state (O) or the non-operating state (N).

상기 액츄에이터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작동을 하는 캠작동 실린더(45) 또는 회전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ctuator may be composed of a cam-operated cylinder 45 or a rotating cylinder that expands and contracts by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캠 플레이트(42)Cam plate(42)

상기 캠 플레이트(42)는, 도 4a에 도시된 '작동상태(O)'에서, 상기 체인 도그(12)를 걸림위치(P1)에서 걸림해제위치(P2)로 선회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체인 도그(12)가 상기 캐리어 도그(21)에서 걸림해제된다. The cam plate 42, in the 'operating state (O)' shown in FIG. 4A, swings the chain dog 12 from the locked position (P1) to the unlocked position (P2), thereby (12) is released from the carrier dog (21).

반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작동상태(N)'에 있는 캠 플레이트(42N)는, 상기 체인 도그(12)가 자중에 의해 걸림해제위치(P2)에서 걸림위치(P2)로 선회하도록, 지지하고 있던 상기 체인 도그(12)를 지지해제한다. Conversely, as shown in FIG. 4B, the cam plate 42N in the 'non-operating state (N)' causes the chain dog 12 to rotate from the unlocked position (P2) to the locked position (P2) due to its own weight. To do this, the chain dog 12 that was supported is unsupported.

이하, 액츄에이터가 캠작동 실린더(45)로 구성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캠작동 실린더(45)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작동을 할 때 상기 캠 플레이트(42)는 고정핀(41)을 중심으로 작동상태(O)(체인 도그(12)를 캐리어 도그(21)에서 걸림해제시키는 상태)로 선회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actuator consists of a cam-operating cylinder 45 will be described. When the cam-operating cylinder 45 retracts,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am plate 42 It rotates to the operating state (O) (a state in which the chain dog (12) is released from the carrier dog (21)) centered on the fixing pin (41).

반대로, 상기 캠작동 실린더(45)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작동을 할 때 고정핀(41)을 중심으로 비작동상태(N)(체인 도그(12)가 캐리어 도그(21)에 걸림되도록 체인 도그(12)를 지지해제하는 상태)로 선회한다. Conversely, as shown in FIGS. 5A and 5B, when the cam-operated cylinder 45 is extended, it is in a non-operated state (N) centered on the fixing pin 41 (the chain dog 12 is in a carrier dog ( Rotate to a state where the chain dog (12) is released so that it is caught by 21).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작동 실린더(45)를 신장시켜 캠 플레이트(42)를 '비작동상태(N)'로 전환시켜 놓으면, 상기 체인 도그(12)는 비작동상태의 캠 플레이트(42N)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체인 도그(12)는 자중에 의해 상기 걸림위치(P1)로 하강 선회하여 상기 캐리어 도그(21)에 맞물려 결합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5A and 5B, when the cam operation cylinder 45 is extended and the cam plate 42 is converted to the 'non-operating state (N)', the chain dog 12 is non-operating. Since it is not in contact with the cam plate 42N in an operating state, the chain dog 12 rotates downward to the locking position P1 by its own weight and is engaged and coupled to the carrier dog 21.

이 경우, 체인 도그(12)는 전방 캐리어(20)의 캐리어 도그(21)에 맞물린 상태에서 체인(4)이 체인 구동수단에 이동함에 따라 함께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방 캐리어(20)를 포함한 캐리어(5) 전체를 전진 방향으로 견인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chain dog 12 is engaged with the carrier dog 21 of the front carrier 20 and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as the chain 4 moves to the chain drive means, thereby moving the carrier including the front carrier 20. (5) The entire thing is towed in the forward direction.

반대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작동 실린더(45)를 수축시켜 캠 플레이트(42)를 작동상태(O)로 전환시켜 놓으면, 상기 체인 도그(12)는 상기 캐리어 정지 위치(S)에 도달할 때, 상기 작동상태의 캠 플레이트(42O)에 맞닿아 걸림해제위치(P2)로 상승하고, Conversely, as shown in FIGS. 4A and 4B, when the cam operation cylinder 45 is retracted and the cam plate 42 is converted to the operating state (O), the chain dog 12 is moved to the carrier stop position. When it reaches (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m plate (42O) in the operating state and rises to the unlocking position (P2),

이에 따라 상기 체인 도그(12)는 상기 전방 캐리어(20)의 상기 캐리어 도그(21)에서 분리된다. 이 때, 체인 도그(12)는 체인(4)의 이동과 함께 전진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지만, 상기 전방 캐리어(20)를 포함한 상기 캐리어(5)는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캐리어 정지 위치(S)에서 정지한다. Accordingly, the chain dog 12 is separated from the carrier dog 21 of the front carrier 20. At this time, the chain dog 12 continues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chain 4, but the carrier 5, including the front carrier 20, cannot move and stops at the carrier stop position (S). do.

작동상태의 캠 플레이트(42O)는 도 3b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 도그(12)를 상기 걸림해제위치(P2)로 선회시켜 상기 캐리어 도그(21)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전방 캐리어(20)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방 캐리어(20)의 하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스토퍼 핀(46)이 상기 캠 플레이트(42)의 하단부에 충돌하여, 상기 전방 캐리어(20)가 관성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As shown in FIGS. 3B and 4A, the cam plate 42O in the operating state rotates the chain dog 12 to the unlocking position P2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with the carrier dog 21. The movement of the front carrier 20 is stopp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opper pin 46 provided to extend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carrier 20 collides with the lower end of the cam plate 42, causing the front carrier 20 to stop moving. The carrier 20 is stopped from moving by inertia.

전방 캐리어(20)의 하단에 구비된 스토퍼 핀(46)이 정지시 후진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진 방지 바아(48)이 구비된다. A reverse prevention bar 48 is provided to prevent the stopper pin 46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carrier 20 from moving backward when stopped.

<쇽업소버(50)><Shock absorber (50)>

본 발명은 상기 전방 캐리어(20)를 포함한 상기 캐리어(5)가 캐리어 정지 위치(S)에서 정지할 때, 상기 스토퍼 핀(46)이 상기 캠 플레이트(42)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완충하여 캐리어(5) 전체, 특히 행거(38)를 통하여 제품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50)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and cushions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stopper pin 46 collides with the cam plate 42 when the carrier 5 including the front carrier 20 stops at the carrier stop position (S). Therefore, it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er 50 that can absorb and cushion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product through the entire carrier 5, especially the hanger 38.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전방 고정블록(51)과, 후방 고정블록(52)이 상기 전방 캐리어(20)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전방 고정블록(51)과 후방 고정블록(52) 사이에 가동 블록(55)이 가이드 봉(5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동 블록(55)에는 상기 캠 플레이트(42)가 결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and 5A and 5B, a front fixing block 51 and a rear fixing block 52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guide rail 2, respectively, to secure the front carrier 20. )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of travel. A movable block 55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fixed block 51 and the rear fixed block 52 to slide along the guide rod 53, and the movable block 55 has the cam plate 42. It is combined.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블록(55)과 상기 전방 고정블록(51) 사이에 쇽업쇼버(50)가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쇽업쇼버(50)는 상기 가동 블록(55)을 통하여 상기 전방 고정블록(51) 쪽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완충한다. And, as shown in FIG. 6, a shock absorber 50 is flexibly installed between the movable block 55 and the front fixed block 51. The shock absorber 50 absorbs and cushions the shock applied toward the front fixed block 51 through the movable block 55.

그리고, 상기 가동 블록(55)과 상기 전방 고정블록(51)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리턴스프링(59)에 의해 상기 쇽업소버(50)를 완충 전 상태로 복귀시킨다. In addition, the shock absorber 50 is returned to its pre-charged state by the return spring 59 elas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movable block 55 and the front fixed block 51.

상기 쇽업소버(50)는 바람직하게는 도 4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고정블록(55)에 고정되고 내부에 오일이 충전된 실린더(58)와, 일단은 상기 가동 블록(55)에 맞닿아 지지되고, 타단은 피스톤(도시생략)을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58)의 오일에 탄력지지되는 피스톤로드(57)를 포함한다. Preferably, as shown in FIGS. 4B and 6, the shock absorber 50 includes a cylinder 58 fixed to the front fixed block 55 and filled with oil therein, and one end of the movable block 55. ) a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piston rod 57, the other end of which is provided with a piston (not shown)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oil of the cylinder 58.

그리고, 상기 전방 고정블록(51)과 상기 가동 블록(55) 사이의 간격(D)은 조정나사(60)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정나사(60)로 상기 간격(D)을 조절함으로써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p D between the front fixed block 51 and the movable block 55 can be adjusted with an adjustment screw 60. The buffering for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gap (D) with the adjustment screw (6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쇽업소버(5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5a 및 도 5b)<When the shock absorber 50 does not operate> (FIGS. 5A and 5B)

체인 구동수단(도시안됨)에 의해 체인(4)이 상기 상측 안내 레일(1)을 따라 이동할 때, 체인(4)에 결합된 체인 도그(12)는 자중에 의해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해제위치(P2)에 위치하여 캐리어 도그(21)를 결합한 상태로 체인(4)과 함께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 캐리어(20), 중앙 캐리어 및 상기 후방 캐리어(32), 제품도 행거(38)에 실려 이동한다. 이 경우 쇽업소버(50)는 작동하지 않는다. When the chain 4 moves along the upper guide rail 1 by a chain drive means (not shown), the chain dog 12 coupled to the chain 4 moves by its own weight as shown in FIGS. 1 and 3A. As shown, it is located in the unlocking position (P2) and moves together with the chain (4) with the carrier dog (21) engaged. Accordingly, the front carrier 20, the central carrier, the rear carrier 32, and the product are also moved on the hanger 38. In this case, the shock absorber 50 does not operate.

< 쇽업소버(50)가 작동하는 경우>< When the shock absorber (50) operates>

체인 도그(12)가 전방 캐리어(20)의 캐리어 도그(21)를 결합한 상태로 이동하다가 도 3b,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정지 위치(S)에 도달하면, 체인 도그(12)는 작동상태(O)에 있는 캠 플레이트(42O)에 접촉하여, 걸림위치(P1)에서 걸림해제위치(P2)로 상승선회하여 캐리어 도그(21)와 걸림해제된다. When the chain dog 12 moves while coupled with the carrier dog 21 of the front carrier 20 and reaches the carrier stop position S, as shown in FIGS. 3B, 4A, and 4B, the chain dog ( 12) contacts the cam plate 42O in the operating state (O), rotates upward from the locking position (P1) to the unlocking position (P2), and is unlocked with the carrier dog 21.

이에 따라, 체인 도그(12)는 이동하는 체인(4)을 따라 전진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서 캐리어 정지 위치(S)를 통과하고, 캐리어 도그(21)는 체인 도그(12)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캐리어 정지 위치(S)에서 정지한다. Accordingly, the chain dog 12 continues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along the moving chain 4 and passes the carrier stop position (S), and the carrier dog 21 is released from locking with the chain dog 12 and moves to the carrier. Stop at the stop position (S).

이 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캐리어(20)의 하부에 마련된 스토퍼 핀(46)이 상기 캠 플레이트(42O)의 하단부에 부딪히면서 상기 전방 캐리어(20)도 정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A, the stopper pin 46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carrier 20 hits the lower end of the cam plate 42O, and the front carrier 20 also stops.

이와 같이, 상기 전방 캐리어(20)의 스토퍼 핀(46)이 상기 캠 플레이트(42O)의 하단부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은 상기 캠 플레이트(42)를 통하여 상기 캠 플레이트(42)가 설치된 가동 블록(55)에 전달된다. 상기 쇽업소버(50)는 상기 가동 블록(55)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한다. In this way,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stopper pin 46 of the front carrier 20 collides with the lower end of the cam plate 42O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m plate 42 to the movable block on which the cam plate 42 is installed. It is passed to (55). The shock absorber 50 absorbs and cushions the shock transmitted through the movable block 55.

S: 캐리어 정지 위치 1: 상측 안내 레일
2: 하측 안내 레일 3: 지지 프레임
3a: 상부 3b: 하부
3c: 측부 4: 체인
5: 캐리어 P1: 걸림위치
P2: 걸림해제위치 10: 체인 도그 트롤리
12: 체인 도그 20: 전방 캐리어
21: 캐리어 도그 22: 전방 연결로드
23: 체크 도그 24: 중앙 전방 캐리어
26: 중간 연결로드 28: 중앙 후방 캐리어
30: 후방 연결로드 32: 후방 캐리어
36: 행거 바아 38: 행거
40: 캐리어 정지 기구 42: 캠 플레이트
O: 캠 플레이트의 작동상태 N: 캠 플레이트의 비작동상태
42O: 작동상태의 캠 플레이트 42N: 비작동상태의 캠 플레이트
45: 캠작동 실린더 46: 스토퍼 핀
48: 후진 방지 바아
50: 쇽업소버 51: 전방 고정블록
52: 후방 고정블록 53: 가이드 봉
55: 가동 블록 57: 피스톤로드
58: 실린더 59: 리턴스프링
60: 조정나사
S: Carrier stop position 1: Upper guide rail
2: Lower guide rail 3: Support frame
3a: top 3b: bottom
3c: side 4: chain
5: Carrier P1: Locking position
P2: Unlock position 10: Chain dog trolley
12: Chain dog 20: Front carrier
21: carrier dog 22: front connecting rod
23: Check dog 24: Center front carrier
26: middle connecting rod 28: central rear carrier
30: rear connecting rod 32: rear carrier
36: hanger bar 38: hanger
40: carrier stop mechanism 42: cam plate
O: Operating state of cam plate N: Non-operating state of cam plate
42O: Cam plate in operating state 42N: Cam plate in non-operating state
45: Cam operating cylinder 46: Stopper pin
48: Reverse prevention bar
50: Shock absorber 51: Front fixing block
52: Rear fixing block 53: Guide rod
55: movable block 57: piston rod
58: cylinder 59: return spring
60: Adjustment screw

Claims (8)

오버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로서,
작업장 상측 공간에 일정하게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된 상측 안내 레일(1);
상기 상측 안내 레일(1)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상측 안내 레일(1)과 동일한 경로를 따라 평행하게 설치된 하측 안내 레일(2);
상기 상측 안내 레일(1)과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각은 상부와 하부에 상기 상측 안내 레일(1)과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3);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에 안내되고, 제품을 고정하여 이송하기 위한 행거를 구비하며, 캐리어 도그(21)를 구비한 캐리어(5);
상기 상측 안내 레일(1)에 안내되는 트롤리와, 체인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상측 안내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체인(4)에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 도그(21)에 맞물려 결합하는 걸림위치(P1)와 상기 캐리어 도그(21)와 걸림해제되는 걸림해제위치(P2) 사이를 선회하도록 피봇결합되어, 상승방향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자중에 의해 상기 걸림위치(P1)로 선회하여 상기 캐리어 도그(21)와 맞물려 결합하는 체인 도그(12)를 구비한 체인 도그 트롤리(10);
상기 하측 안내 레일상의 정해진 캐리어 정지 위치(S)에 설치되고, 걸림위치(P1)에 위치한 상기 체인 도그(12)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 도그 트롤리(10)와 함께 이동하는 상기 캐리어(5)의 캐리어 도그(21)를, 상기 캐리어 정지 위치(S)에서, 상기 체인 도그 트롤리(10)의 체인 도그(12)와 걸림해제시키는 캠 플레이트(42); 및
상기 캠 플레이트(4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체인 도그(12)가 상기 캐리어 도그(21)와 걸림해제될 때 상기 캠 플레이트(42)에 충돌하여 상기 캐리어(5)를 상기 캐리어 정지 위치(S)에 정지시키는 스토퍼 핀(46);을 포함하는 오버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핀(46)이 상기 캠 플레이트(42)에 충돌할 때, 상기 캠 플레이트(42)를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는 쇽업소버(50);를 더 포함하는 충격흡수기구를 구비한 오버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An overhead trolley conveyor device, comprising:
An upper guide rail (1) installed along a certain movement path in the upper space of the workshop;
a lower guide rail (2) installed below the upper guide rail (1) at regular intervals and in parallel along the same path as the upper guide rail (1);
A plurality of pieces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guide rail (1) and the lower guide rail (2), and each of the upper guide rail (1) and the lower guide rail (2) is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A support frame (3) for fixing and supporting;
A carrier (5) guided by the lower guide rail (2), provided with a hanger for fixing and transporting the product, and provided with a carrier dog (21);
A locking position ( P1) is pivoted to rotate between the carrier dog 21 and the locking release position (P2) where the lock is released, and when no external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is applied, the carrier swings to the locking position (P1) by its own weight. A chain dog trolley (10) having a chain dog (12) engaged and coupled with the dog (21);
The carrier of the carrier 5 is installed at a designated carrier stop position (S) on the lower guide rail, is coupled to the chain dog 12 located at the locking position (P1), and moves together with the chain dog trolley 10. a cam plate (42) for disengaging the dog (21) from the chain dog (12) of the chain dog trolley (10) at the carrier stop position (S); and
When the chain dog 12 is released from the carrier dog 21 by the operation of the cam plate 42, it collides with the cam plate 42 to move the carrier 5 to the carrier stop position (S). In the overhead type trolley conveyor device including a stopper pin (46) for stopping,
When the stopper pin 46 collides with the cam plate 42, a shock absorber 50 capable of absorbing and cushioning the shock transmitted through the cam plate 42; Equipped with an overhead trolley conveyo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기구(50)는,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의 좌우측 외측면에 각각 상기 캐리어(5)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전방 고정블록(51)과 후방 고정블록(52)에 양단이 결합되어 고정된 가이드 봉(53);
상기 캠 플레이트(42)가 결합되고, 상기 캠 플레이트(42)에 진행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가이드 봉(53)을 따라 진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봉(53)의 외주에 결합된 가동 블록(55); 및
상기 전방 고정블록(51)과 상기 가동 블록(55) 사이의 상기 가이드 봉(53)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가동 블록(55)을 통하여 상기 전방 고정 블록(51)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하는 쇽업소버(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를 구비한 오버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hock absorption mechanism 50 is,
A guide rod whose both ends are coupled and fixed to the front fixing block 51 and the rear fixing block 52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of the lower guide rail 2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arrier 5, respectively. (53);
The cam plate 42 is coupled, and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rod 53 so that it can slide in the forward direction along the guide rod 53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am plate 42 in the forward direction. movable block 55; and
A shock that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rod 53 between the front fixed block 51 and the movable block 55 and absorbs and cushions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front fixed block 51 through the movable block 55. An overhead trolley conveyor device equipped with a shock absorb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bsorber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5)는 전진 이동방향으로 선두에 위치하는 전방 캐리어(20)와, 상기 전방 캐리어(20)의 후방에 전방 연결로드(22)에 의해 연결된 중앙 전방 캐리어(24)와, 상기 중앙 전방 캐리어(24)의 후방에 중간 연결로드(26)로 연결된 중앙 후방 캐리어(28)와, 상기 중앙 후방 캐리어(28)에 후방 연결로드(30)로 연결된 후방 캐리어(32), 및 상기 중앙 캐리어(34)에 한 쌍의 행거 바아(36)로 연결되어 제품을 고정하는 행거(38)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캐리어(20)에는 상기 캐리어 도그(21)와, 상기 캐리어 도그(21)와 마주보게 배치된 체크 도그(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를 구비한 오버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arrier 5 includes a front carrier 20 located at the front in the forward moving direction, a central front carrier 24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front carrier 20 by a front connecting rod 22, and a central front carrier 24. A central rear carrier 28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arrier 24 by an intermediate connecting rod 26, a rear carrier 32 connected to the central rear carrier 28 by a rear connecting rod 30, and the central carrier ( 34) and includes a hanger (38) connected to a pair of hanger bars (36) to secure the product.
An overhead trolley conveyor device with a shock absorb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carrier (20) is provided with the carrier dog (21) and a check dog (23) disposed to face the carrier dog (2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플레이트(42)는 상기 하측 안내 레일(2)에 회전하게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인 도그(12)를 캐리어 도그(21)와의 걸림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상태(42O) 또는 상기 체인 도그(12)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체인 도그(12)를 자중에 의해 캐리어 도그(21)와의 걸림위치(P1)로 이동시키는 비작동상태(42N)로 전환되게 되어 있고,
상기 캠 플레이트(42)를 상기 작동상태(42O) 또는 상기 비작동상태(42N)로 회전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한 충격흡수기구를 구비한 오버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am plate 4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guide rail 2, and is in an operating state 42O that moves the chain dog 12 to an unlocked position with the carrier dog 21 or the chain dog 21. (12) and is switched to a non-operating state (42N) in which the chain dog (12) is moved by its own weight to the locking position (P1) with the carrier dog (21),
An overhead trolley conveyor device with a shock absorbing mechanism further comprising an actuator that rotates the cam plate (42) to the operating state (42O) or the non-operating state (42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공압식 캠작동 실린더(45) 또는 회전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를 구비한 오버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n overhead trolley conveyor device with a shock absorption mechanism, wherein the actuator is a pneumatic cam-operated cylinder (45) or a rotating cyli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50)가 설치되는, 상기 전방 고정블록(51)과 상기 가동 블록(55)의 사이 간격(D)을 조절함으로써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정나사(60)을 구비한, 충격흡수기구를 구비한 오버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shock absorbing mechanism provided with an adjustment screw 60 that can adjust the buffering force by adjusting the gap D between the front fixed block 51 and the movable block 55, where the shock absorber 50 is installed. An overhead trolley conveyor device equipped with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핀(46)은 상기 전방 캐리어(20)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돌출하게 구비되고, 상기 캠 플레이트(42)가 작동상태(O)에 있을 때, 상기 스토퍼 핀(46)은 상기 작동상태의 캠 플레이트(42O)의 하단부에 맞닿고, 상기 캠 플레이트(42)가 비작동상태(42N)에 있을 때에는, 상기 캠 플레이트(42)의 하단부에 맞닿지 않고 캠 플레이트(42N)를 통과하는, 충격흡수기구를 구비한 오버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topper pin 46 is provid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bottom of the front carrier 20, and when the cam plate 42 is in the operating state (O), the stopper pin 46 is in the operating state (O). abuts the lower end of the cam plate 42O, and passes through the cam plate 42N without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cam plate 42 when the cam plate 42 is in an inoperative state (42N). An overhead trolley conveyor device equipped with a shock absorbing mechanis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캐리어(20)에는 보조 트롤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구를 구비한 오버 헤드형 트롤리 컨베이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n overhead trolley conveyor device with a shock absorb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an auxiliary trolley is connected to the front carrier (20).
KR1020220031778A 2022-03-15 Trolly conveyor apparatus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device KR1026643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778A KR102664324B1 (en) 2022-03-15 Trolly conveyor apparatus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778A KR102664324B1 (en) 2022-03-15 Trolly conveyor apparatus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688A true KR20230134688A (en) 2023-09-22
KR102664324B1 KR102664324B1 (en) 2024-05-08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410B1 (en) 1992-05-19 1998-10-15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Drive unit for transport trolle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410B1 (en) 1992-05-19 1998-10-15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Drive unit for transport trolle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1078B2 (en) Conveying equipment using traveling vehicle
CN103717516B (en) There is the rolling conveyor module of segregation apparatus
US5038912A (en) Vertically actuated transfer switch
AU2012213681B2 (en) Transporting system
US4122778A (en) Damped suspended conveyor trolley
US7516857B2 (en) Crane with boom and running track for a cable carrier
KR102664324B1 (en) Trolly conveyor apparatus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device
KR20230134688A (en) Trolly conveyor apparatus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device
JPS5825608B2 (en) Device for stopping movable articles along a travel path
KR100241121B1 (en) Pusher conveyor having pusher dog with retainer
FI70194B (en) GENOMGAONGSREGALLAGERANORDNING
US10589944B2 (en) Vehicle restraints with a barrier having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motion
US6523671B2 (en) Conveyor escapement
US3503338A (en) Subfloor conveyor tow trucks
DK2943425T3 (en) SHOCK BUFFER
KR20230160414A (en) Trolly conveyor apparatus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device
JP6725882B2 (en) Transport equipment using a transporting vehicle with a turntable
KR20230164779A (en) On-floor equipped chain trolly conveyor apparatus having a shock absorbing device
KR930001765B1 (en) Conveyor device
JP5092807B2 (en) Hanging trolley conveyor
GB1565523A (en) Aerial conveyors of the double track type
KR100758450B1 (en)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trolley of a unloader from impacting against a stopper
KR200192969Y1 (en) An apparatus for buffing impact of trailer and preventing wirerope from rolling for crane
JP2682970B2 (en) Bumper device for carrier truck
RU2006356C1 (en) Line technological trans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