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347A - 검체 채취 도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 도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347A
KR20230134347A KR1020220031584A KR20220031584A KR20230134347A KR 20230134347 A KR20230134347 A KR 20230134347A KR 1020220031584 A KR1020220031584 A KR 1020220031584A KR 20220031584 A KR20220031584 A KR 20220031584A KR 20230134347 A KR20230134347 A KR 20230134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ollection
sample
foam
body por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욱
은상규
이현종
전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피테크
Priority to KR102022003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347A/ko
Publication of KR2023013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8Swabs having a stick-type handle, e.g. cotton tips
    • A61F13/385Apparatu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73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for diagnostic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 채취 도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의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끝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검체를 채취하는 검체 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 채취부는,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체 채취 도구 및 그의 제조방법{TOOL FOR COLLECTING SPECIMEN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검체 채취 도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검체 채취용 도구는 인체의 세포벽과 시료 등을 특정 부위로부터 추출할 때 사용되고 있으며, 인체용은 비인두와 구강 등에 있는 바이러스, 항원, 항체 등을 채취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돌기가 있는 형태로 발전해 왔다.
근래들어 매년 반복되는 독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는 독감은 물론, 사스 바이러스, COVID-19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신종 유행병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해당 질병의 감염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검체의 채취가 가장 우선시되며, 효율적으로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이뤄지고 있다.
종래 바이러스가 포함된 인체 분비물의 채취 등 생물학적 액체 샘플을 수집 및 이송하기 위해 면봉을 이용한 검체 채취가 이뤄지고 있으며, 면봉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을 갖는 검체 채취기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COVID-19 바이러스로 인해 검체 채취용 도구의 수요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면봉은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생물학적 액체 샘플을 용이하게 수집, 이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액체 샘플을 정확하게 수집하는 측면에 있어서는 면봉에 의해 흡수되어 액체 샘플의 소실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 소량의 검체 채취로는 질병 감염여부 파악에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검체 채취용 도구 중 일명 플로킹 타입(flocked type)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헤드, 몸통, 손잡이로 구분되어 있다.
플로킹 타입의 제작은 몸통 끝단에 의료용 본드를 접착하고, 그 위에 정전기를 발생하여 아주 짧은 실을 부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주 짧은 실이 몸통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기처럼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플로킹 타입은 타 타입 대비 부드러워 고통을 줄여줄 뿐 아니라, 많은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의료용 본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체 안정성 문제와 제조가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표면적이 넓지 않아 검체가 묻는 양이 제한적이어서 검체의 포집 효율이 떨어진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체 채취시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키고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검체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검체 채취 도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의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끝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검체를 채취하는 검체 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 채취부는,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취부는 발포폼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기는, 발포폼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발포폼이 변형을 일으키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검체 채취부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 또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검체 채취 후 파지되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 둘레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검체 채취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몸통부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몸통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의 제조방법은, 손잡이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몸통부를 준비하는 단계; 발포폼에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형성하여 검체 채취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검체 채취부를 열융착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발포폼에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형성하여 검체 채취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발포폼을 100 ℃ 내지 300 ℃의 온도 범위 및 3 ton 내지 10 ton의 압력 범위에서 변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검체 채취부를 열융착하여 접합하는 단계는, 120 ℃ 내지 300 ℃의 온도 범위 및 3 ton 내지 10 ton의 압력 범위에서 접합하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검체 채취용 스왑(swab)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의 검체 채취부를 준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의 검체 채취부 사진이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는, 검체 채취 도구에 섬유층이 없으므로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서와 같이 섬유층 부분이 떨어져서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없고, 의료용 본드를 사용하지 않아 신체 안정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는 종래의 스왑에 비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 채취 도구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의 채취량이 증대됨에 따라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는 검체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시켜줄 수 있고, 검체 채취시 피검사자의 불편함을 경감시켜줄 수 있다. 발포폼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의 제조과정에서 요구되는 플로킹(flocking)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검체 채취 도구의 제조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검체 채취 도구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의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끝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검체를 채취하는 검체 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 채취부는,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는,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기 위하여 체내 채취 영역, 예를 들어, 비강(鼻腔) 또는 구강(口腔) 내에 삽입하여 검체를 채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100)는, 손잡이부(110), 몸통부(120) 및 검체 채취부(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는, 소정의 길이 및 직경을 가지는 로드(rod) 또는 바(bar)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는 상기 몸통부(120)의 후측단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는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된다. 검사자는 상기 손잡이부(110)를 이용하여 검체 채취부(130)를 피검사자의 구강 또는 비강 등을 통해 체내로 진입 또는 삽입시키는 컨트롤을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검체 채취 후 파지되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 둘레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검체 채취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12)에 의해,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손잡이부(110)의 외측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함으로써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검체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20)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20)는, 소정의 길이 및 직경을 가지는 로드(rod) 또는 바(bar)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20)의 직경은 상기 손잡이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20)는 검체 채취부(130)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몸통부(120)는 검체 채취부(130)가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20)는 전달받는 힘에 따라 유연하게 휘어지거나, 변형될 수 있으면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20)는 고분자 또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20)는 피검사자의 비강이나 구강 내에 삽입하는 경우 검체 채취부(130)와 연결되는 몸통부(120)가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체내 비강 또는 구강 내부의 점막이나 피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피검사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도록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몸통부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부(110)와 상기 몸통부(120)가 분리될 수 있도록 절단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22)는 절단마디 또는 절단홈 형태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22)는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검체 채취부(130)가 인출되면 검체용기에 검체 채취부(130)와 몸통부(120)를 수용시키는데, 손잡이부(110)는 검체 용기에 수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몸통부(120)로부터 손잡이부(110)를 분리해내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취부(130)는, 피검사자의 체내, 예를 들어, 비강 또는 구강으로 삽입 또는 진입되어 검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검체 채취 또는 채집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취부(130)는 상기 몸통부(120)의 전측단에 결합되어 위치하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취부(130)는 피검사자의 체내, 예를 들어, 비강 또는 구강으로 삽입 또는 진입되어야 하므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취부(130)는 발포폼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폼이 발포 성형을 걸쳐 제조된 발포폼인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발포폼으로 인해 매끄러운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폼은,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실리콘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합성수지, 상기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합성수지를 이용한 폼, 고무 또는 발포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취부(130)의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융기(132)가 랜덤한 방향으로 둘러싸인 것일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기(132)는, 발포폼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발포폼이 변형을 일으키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기(132)는 발포폼에 열, 압력, 장력을 이용하여 변형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폼 타입이 가지고 있는 매끄러운 표면을 유지하면서, 플로킹 타입과 같이 복수개의 융기(13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기(132)는, 상기 검체 채취부(130)가 피검자의 체내, 예를 들어, 비강 또는 구강 내에서 회전할 때에 조직을 훑어주어서 조직에서 검체를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종래의 검체 채취용 스왑(swab)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스왑에 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융기(132)는, 상기 검체 채취부(13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융기(132) 사이에 이격된 간격에 의해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된다. 즉, 검체 채취부(130)의 표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상기 검체 채취부(130)의 표면에 묻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기(132)의 사이에 홀딩되는 검체 채취량이 증대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 채취부(130)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20)와 상기 검체 채취부(130)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20)와 상기 검체 채취부(130)는 서로 각각 다른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각 제조되어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는, 검체 채취 도구에 섬유층이 없으므로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서와 같이 섬유층 부분이 떨어져서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없고, 의료용 본드를 사용하지 않아 신체 안정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는 종래의 스왑에 비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 채취 도구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의 채취량이 증대됨에 따라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는 검체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시켜줄 수 있고, 검체 채취시 피검사자의 불편함을 경감시켜줄 수 있다. 발포폼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의 제조방법은, 손잡이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몸통부를 준비하는 단계; 발포폼에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형성하여 검체 채취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검체 채취부를 열융착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의 검체 채취부를 준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폴리우레탄폼의 조직이 제조 과정에서 매끄러운 표면이 융기를 발생시키는 과정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 우레탄폼의 조직은 최초 기공을 형성하고 있어, 실들이 점을 기점으로 모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폼에 인장력을 주어지게 되면 기공의 넓이가 넓어지게 된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폼에 일정 온도가 가해지게 되면 점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던 실들의 형태가 융기형태로 변하게 될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c)와 같은 프로세스를 모든 공정에서 일정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양산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발포폼에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형성하여 검체 채취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발포폼을 100 ℃ 내지 300 ℃; 100 ℃ 내지 250 ℃; 100 ℃ 내지 200 ℃; 100 ℃ 내지 250 ℃; 200 ℃ 내지 300 ℃; 200 ℃ 내지 250 ℃; 또는 250 ℃ 내지 300 ℃;의 온도 범위 및 3 ton 내지 10 ton; 3 ton 내지 8 ton; 3 ton 내지 5 ton; 5 ton 내지 10 ton; 5 ton 내지 8 ton; 또는 8 ton 내지 10 ton;의 압력 범위에서 변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20 ℃ 내지 240 ℃의 온도 범위 및 5 ton 내지 8 ton 압력 범위에서 변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검체 채취부를 열융착하여 접합하는 단계는, 120 ℃ 내지 300 ℃; 120 ℃ 내지 250 ℃; 120 ℃ 내지 200 ℃; 120 ℃ 내지 150 ℃; 150 ℃ 내지 300 ℃; 150 ℃ 내지 250 ℃; 150 ℃ 내지 200 ℃; 200 ℃ 내지 300 ℃; 200 ℃ 내지 250 ℃; 또는 250 ℃ 내지 300 ℃;의 온도 범위 및 3 ton 내지 10 ton; 3 ton 내지 8 ton; 3 ton 내지 5 ton; 5 ton 내지 10 ton; 5 ton 내지 8 ton; 또는 8 ton 내지 10 ton;의 압력 범위에서 접합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40 ℃ 내지 250 ℃의 온도 범위 및 5 ton 내지 10 ton 압력 범위에서 접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의 제조과정에서 요구되는 플로킹(flocking)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검체 채취 도구의 제조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폴리우레탄 폼을 발포 성형 하였다. 발포 성형된 발포폼을 150
Figure pat00001
에서 6 ton의 압력에서 변형하여 복수개의 융기를 성형하여 검체 채취부를 준비하고, 몸통부와 180
Figure pat00002
에서 7 ton의 압력으로 열융착하여 접합하여 검체 채취 도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종래 플로킹 타입(flocked type) 검체 채취용 도구를 준비하였다.
[검체 채취]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폴리우레탄(PU) 폼 (1-100) 및 비교예의 플로킹 타입(flocked type) (1-100)의 검체 채취용 도구를 이용하여 동일한 사람에게서 비인두 내 검체를 채취하여 수송배지에 보관 후 당일 핵산을 추출하였다.
검체 채취는 동일한 전문가가 실시하였으며, 부위는 비인두로 통일하였고, 삽입 길이는 브레이크 포인트가 코 끝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비교예의 플로킹 타입(flocked type)과 실시예의 폴리우레탄(PU) 폼 타입은 동일한 사이즈로 구성되게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삽입 위치는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비인두 삽입은 점막을 ?씨? 내는 방식 보다는 검체부가 비인두에 들어갔다 나오는 방법으로 채취하는 사람의 컨디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검체가 보관된 수송배지에서 각각 동일한 양(500uL)을 취하여 genomic DNA추출을 진행하였으며 핵산의 추출은 QIAGEN 사의 extraction kit를 사용하여 동시에 진행되었다.
각 샘플의 핵산 추출양을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양(30uL)의 여러 buffer로 회수 되었으며, 회수된 각 샘플의 gDNA는 전기영동을 통해 추출 여부를 1차 확인 후 Nano-drop 장비를 통해 ng/uL의 수치로 측정되었으며 260/280 및 260/230 값을 통해 purity를 확인하였다.
각 샘플에서 추출된 gDNA는 농도 보정 작업을 거치지 않고 Semi-PCR법을 통해 검사 가능 여부를 확인하였고 해당 과정에서의 primer는 Human 유래 House keeping gene (GAPDH)을 사용하였다.
*PCR condition : annealing temp. 60°C / 30 cycle
하기는 표 1은 비교예의 플로킹 타입 나일론(Flocked nylon), 폴리우리텐 폼(Polyurethane foam)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를 이용하여 수송배지 및 버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DNA 양을 통해서 비교한 것이다.
ng/ml water TE PBS Saline AL buffer ATL buffer Lysis buffer Nucleic
Lysis
solution
Flocked nylon 5 5.7 6.3 7.1 8.4 5.4 6.4 7.5
Polyurethane foam 3.8 5.8 7.2 6.8 9.5 6.3 7.5 8.1
실시예 4.7 5.8 6.1 7.3 8.2 5.7 6.6 7.4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의 플로킹 나일론(Flocked nylon), 폴리우리텐 폼(Polyurethane foam)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는 플로킹 타입 대비 유사한 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도구는 종래 플로킹 타입의 장점인 제작 용이성, QC, 성능을 모두 충족시킨다. 특히, 검체 시 이물질이 남기는 문제 및 의료용 본드에 의한 신체 안정성 문제가 해결될 뿐만 아니라, 종래의 플로킹 타입의 성능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체 채취 속도를 높이고, 생산의 용이성도 보장되어 여러 환경에 빠르게 대응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검체 채취 도구
110: 손잡이부
112: 돌기부
120: 몸통부
122: 절단부
130: 검체 채취부

Claims (11)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의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끝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검체를 채취하는 검체 채취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 채취부는,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포함하는 것인,
    검체 채취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취부는 발포폼으로 형성된 것인,
    검체 채취 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기는, 발포폼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발포폼이 변형을 일으키며 형성된 것인,
    검체 채취 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검체 채취부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 것인,
    검체 채취 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 또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것인,
    검체 채취 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검체 채취 후 파지되는 것인,
    검체 채취 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 둘레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검체 채취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를 더 포함하는,
    검체 채취 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몸통부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몸통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절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검체 채취 도구.
  9. 손잡이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몸통부를 준비하는 단계;
    발포폼에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형성하여 검체 채취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검체 채취부를 열융착하여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도구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폼에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형성하여 검체 채취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발포폼을 100 ℃ 내지 300 ℃의 온도 범위 및 3 ton 내지 10 ton의 압력 범위에서 변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융기를 형성하는 것인,
    검체 채취 도구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검체 채취부를 열융착하여 접합하는 단계는,
    120 ℃ 내지 300 ℃의 온도 범위 및 3 ton 내지 10 ton의 압력 범위에서 접합하는 것인,
    검체 채취 도구의 제조방법.
KR1020220031584A 2022-03-14 2022-03-14 검체 채취 도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34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584A KR20230134347A (ko) 2022-03-14 2022-03-14 검체 채취 도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584A KR20230134347A (ko) 2022-03-14 2022-03-14 검체 채취 도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347A true KR20230134347A (ko) 2023-09-21

Family

ID=8818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584A KR20230134347A (ko) 2022-03-14 2022-03-14 검체 채취 도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43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5285B2 (ja) 生物学的試料を採取して安定化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ES2912965T3 (es) Dispositivos para la recopilación, estabilización y conservación de muestras
US5084005A (en) Swab for collection of biological samples
US9359600B2 (en) Biologic sample collection device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10519434B2 (en) Biologic sample collection device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9506889B2 (en) Biosensor and biosensor manufacturing method
WO2011094745A2 (en)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system
ES2850123T3 (es) Dispositivo para recolectar, transferir y almacenar muestras de un material biológico y/o químico
EP0357892B1 (en) Swab for collection of biological samples
US20190105020A1 (en) Assistive sample collection and storage assembly
JP5686853B2 (ja) 生物学的検体の採取用スワブ、該スワブの製造方法及び該スワブを用いたキット
US9708600B2 (en) Biologic sample collection device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EP3355797B1 (en) Method for micro-needle sampling
KR20230134347A (ko) 검체 채취 도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328830A (zh) 一种生物传感器
JP2011106926A (ja) 生物学的検体の採取用スワブ、該スワブの製造方法及び該スワブを用いたキット
US20220022783A1 (en) Microneedle Device for Interstitial Fluid Extraction
CN210990430U (zh) 一种宫颈细胞采样刷、宫颈细胞采样器和采样组件
CN210990429U (zh) 一种采样器
CN110559020A (zh) 一种宫颈细胞采样刷、宫颈细胞采样器和采样组件
CN216317702U (zh) 一种采样拭子
CN219021271U (zh) 一种自溶式采样拭子
US20240156444A1 (en) Automation compatible collection device for biological samples
CN211985920U (zh) 一种便利输液贴
CN214346556U (zh) 一种样本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