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315A - A Vacuum Cleaner Head - Google Patents

A Vacuum Cleaner H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315A
KR20230134315A KR1020220031469A KR20220031469A KR20230134315A KR 20230134315 A KR20230134315 A KR 20230134315A KR 1020220031469 A KR1020220031469 A KR 1020220031469A KR 20220031469 A KR20220031469 A KR 20220031469A KR 20230134315 A KR20230134315 A KR 20230134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lit
foreign substances
opening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순정
Original Assignee
고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순정 filed Critical 고순정
Priority to KR102022003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315A/en
Priority to PCT/KR2022/003693 priority patent/WO2023176993A1/en
Publication of KR20230134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31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외주연에 형성된 개구부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회전자; 저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외부를 감싸는 드럼케이싱;을 포함하며, 개방된 저면의 슬릿의 전체 면적을 통하여 이물질을 흡입하면서도 어느 일순간에는 회전자의 개구부와 드럼케이싱의 슬릿이 동시에 만나는 개방면에서 흡입을 집중시켜 동일한 용량의 모터에서 보다 큰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head, which includes a rotor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nto an opening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 sli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enter is formed on the bottom, and a drum casing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otor; and while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n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slit on the open bottom, at some point, they are formed between the opening of the rotor and the drum casing. I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head that provides greater suction power from a motor of the same capacity by concentrating suction on an open surface where slits meet simultaneously.

Description

진공청소기 헤드 {A Vacuum Cleaner Head}A Vacuum Cleaner Head}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외주연에 형성된 개구부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회전자; 저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의 외부를 감싸는 드럼케이싱;을 포함하며, 개방된 저면의 슬릿의 전체 면적을 통하여 이물질을 흡입하면서도 어느 일순간에는 회전자의 개구부와 드럼케이싱의 슬릿이 동시에 만나는 개방면에서 흡입을 집중시켜 동일한 용량의 모터에서 보다 큰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head, which includes a rotor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nto an opening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 sli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enter is formed on the bottom, and a drum casing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otor; and while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n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slit on the open bottom, at some point, they are formed between the opening of the rotor and the drum casing. I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head that provides greater suction power from a motor of the same capacity by concentrating suction on an open surface where slits meet simultaneously.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청소 공간에 존재하는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쓸거나 비산시키고, 비산된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흡입력에 의해 흡입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청소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weeps or scatter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hair existing in a cleaning space, and cleans the area to be cleaned by sucking the scattere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hair using suction force.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업소에서 바닥을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헤드부, 흡입력을 생성하는 모터, 먼지 및 쓰레기를 한 곳에 모으는 집진기, 헤드부와 집진기 사이를 잇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used to clean floors in homes, offices, or businesses consists of a head that sucks in foreign substances, a motor that generates suction, a dust collector that collects dust and trash in one place,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head and the dust collector. It is composed.

청소기 흡입구에 교체 가능하게 탈착되는 헤드부의 경우, 넓은 범위를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일반 헤드, 창틀이나 문틈 같이 좁은 틈새를 청소할 수 있는 틈새 헤드 및 수납장 상부와 가구 사이 틈새 같이 다양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브러쉬 헤드가 구비된다. In the case of the head part that is replaceable and detachable from the vacuum cleaner inlet, there is a general head that can easily clean a wide area, a crevice head that can clean narrow gaps such as window frames or door gaps, and a brush head suitable for various usage environments such as the gap between the top of a cabinet and furniture. It is provided.

너비가 길게 형성된 일반 헤드의 경우, 넓은 면적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거실이나 안방 또는 공연장 같이 넓은 바닥면을 청소할 때 일반 헤드가 사용된다. 그러나 모터에서 생성된 흡입력이 일반 헤드의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어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나 무거운 이물질을 흡입할 시에 흡입력이 부족하여 청소 효과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A regular head with a long width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lean a large area. Therefore, a regular head is used when cleaning large floor surfaces such as the living room, master bedroom, or concert hall. However, the suction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is distributed over a large area of the general head, so when suctioning dust or heavy foreign substances stuck to the floor is insufficien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leaning effect is lowered.

창틀이나 가구 사이 틈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틈새 헤드의 경우, 일반 헤드보다 흡입구의 면적이 좁다. 모터에서 생성된 흡입력이 좁은 면적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더 높은 흡입력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좁은 틈새 헤드로 넓은 공간을 청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청소기 흡입구를 일반 헤드보다 더 많이 움직이면서 청소해야하고, 장시간 청소시에 청소기의 무게로 인해 팔이나 허리 등 신체에 피로감과 불편함을 주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crevice head that can easily clean gaps between window frames or furniture, the suction port area is smaller than that of a regular head. Because the suction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is concentrated in a small area,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higher suction power. However, when cleaning a large space with a narrow gap head, the user must clean while moving the vacuum cleaner suction port more than with a regular head, and the weight of the vacuum cleaner during long-time cleaning ha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fatigue and discomfort to the body, such as arms and waist. there is.

또한, 진공청소기 내 공기의 흐름으로 볼 때, 종래의 진공청소기에서 이물질이 청소기 헤드부, 연결부를 경유하여 집진기에 도달하며, 집진기에는 필터가 구비되어 있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걸러낸다. 공기를 흡입하는 모터는 집진기의 뒷편에 위치한다. 따라서 청소하면서 먼지,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집진기 내부의 필터에 쌓여 모터의 흡입 구멍을 막아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감소한 흡입력을 일정 수준으로 올리기 위해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면 청소기의 소비전력이 증가하고 큰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flow of air within the vacuum cleaner, in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foreign substances reach the dust collector via the cleaner head and connection parts, and the dust collector is equipped with a filter to filter out dust contained in the air. The motor that sucks air is located at the back of the dust collector. Therefore, during clea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hair accumulate on the filter inside the dust collector and block the suction hole of the motor, reducing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to raise the reduced suction power to a certain level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vacuum cleaner and generating loud noise.

이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모터를 가동하는 무선청소기나 로봇청소기의 경우, 증가된 소비전력에 맞추어 배터리의 용량을 늘려야한다. 용이하게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청소기가 무거운 배터리 무게로 인해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고, 증가한 소비전력으로 인해 사용시간이 짧아져 자주 충전을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In the case of cordless vacuum cleaners or robot vacuum cleaners that use batteries to run their motors, the battery capacity must be increased to match the increased power consumption. Cordless vacuum cleaners, which are used for easy cleaning, have the disadvantage of causing inconvenience to users due to the heavy battery weight, and the use time is shortened due to increased power consumption, requiring frequent charging.

따라서 넓은 바닥면에 달라붙은 먼지와 이물질을 강한 흡입력으로 제거하면서도 장시간 청소시에 신체에 무리가지 않고, 일정한 흡입력을 유지하여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청소기의 헤드 개발이 대두된다.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vacuum cleaner head that can remov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a large floor surface with strong suction pow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uction power without putting a strain on the body during long-term cleaning and lowering power consumption is emerging.

KR 20-0243532 (Y1) 2001.08.08.KR 20-0243532 (Y1) 2001.08.08. KR 10-2020-0117358 (A) 2020.10.14.KR 10-2020-0117358 (A) 2020.10.1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드럼케이싱 저면에 이물질이 흡입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개구부와 차단부가 형성되는 회전자가 상기 드럼케이싱 내부에 삽입되어 슬릿의 면적 일부가 차단부에 의해 폐쇄되므로,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슬릿의 전체 면적에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릿과 개구부가 중첩되는 개방면에서 흡입력이 집중되어 강한 흡입력으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sli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drum casing, and a rotor formed with an opening and a block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drum casing, so that a part of the area of the slit is closed by the blocking part, This provides a vacuum cleaner head that prevents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from being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lit and concentrates the suction force on the open surface where the slit and the opening overlap, allowing the vacuum cleaner head to suck in foreign substances with strong suction for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나선형의 개구부와 슬릿이 중첩되는 개방면이 슬릿의 전체 면적을 커버하도록 가변되므로, 거실과 같은 넓은 바닥면을 청소시에 작은 크기의 모터를 사용하면서도 강한 흡입력으로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open surface where the spiral opening and the slit overlap is changed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slit as the rotor rotates by the rotary motor, so that when cleaning a large floor surface such as a living room, a small-sized motor is used. It provides a vacuum cleaner head that can clean a large area with strong suction power while using a vacuum cleaner hea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이 있는 바닥면에 한정하여 흡입하고, 바닥면에서도 드럼케이싱의 개방된 슬릿과 회전자의 개구부가 동시에 만나는 지점에서 집중 흡입을 할 수 있도록 제한하면서, 회전자의 개구부의 위치를 변경시켜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imit suction to the bottom surface where foreign substances are present, and to limit suction to the bottom surface at the point where the open slit of the drum casing and the opening of the rotor meet at the same time, while limiting the suction to the opening of the rotor. It provides a vacuum cleaner head that can clean a large area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ea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자의 차단부를 내부의 중심까지 채워지도록 바디면을 형성하여 회전자 내부의 중공부를 최소화하여, 개방면을 통해 회전자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회전자의 내부에서 계류하지 않고 반대면의 개구부까지 차단부가 최단거리로 안내하므로 회전자 내부에서의 이물질 걸림이 없고 흡입효율이 증가하고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hollow space inside the rotor by forming the body surface so that the blocking part of the rotor is filled to the inner center,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rotor through the open surface are moored inside the rotor. Instead of doing so, the blocking part guides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opening on the opposite side,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getting caught inside the rotor, increasing suction efficiency, and providing a vacuum cleaner head that can suppress noi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회전력으로 큰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은 용량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어 소음이 작고 소요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ead that can provide a large suction force with the same rotational force and can use a small capacity motor, thereby making nois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선형의 외주연을 갖는 개구부(111)를 통해 이물질이 흡입되는 회전자(110); 중공인 내부에 상기 회전자(110)가 삽입되며, 저면에는 청소 대상면의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개방된 슬릿(12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110)를 둘러싸는 커버면(127)이 형성되는 드럼케이싱(120);을 포함하되, 상기 슬릿(121)은 상기 회전자(110)의 개구부(111)에 의한 개방면(121a)과 이물질이 차단되는 차단부(113)에 의한 차단면(121b)이 노출되어 개방면(121a)과 차단면(121b)이 동시에 배치되고, 상기 슬릿(121)의 개방면(121a)은 회전하는 상기 회전자(110)에 의해 가변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rotor 110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through an opening 111 having a spiral outer periphery; The rotor 1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body, and an open slit 121 is formed on the bottom to allow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enter, and a cover surface 127 is formed surrounding the rotor 110. a drum casing 120; wherein the slit 121 has an open surface 121a formed by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and a blocking surface formed by a blocking part 113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blocked ( 121b) is exposed so that the open surface 121a and the blocking surface 121b are disposed simultaneously, and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is changed by the rotating rotor 11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자(110)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개구부(111)와 이물질이 차단되는 차단부(113)가 교차되며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1)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oto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rossing an opening 111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nd a blocking part 113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blocked, so that the openings 111 are formed continuously.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드럼케이싱(120)의 슬릿(121)은 상기 개방면(121a)에서만 이물질을 흡입한다.In addition, the slit 121 of the drum casing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sucks foreign substances only from the open surface 121a.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드럼케이싱(120)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자(110)의 개구부(111)와 슬릿(121)이 동시에 형성된 개방면(121a)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홀(128)이 형성된다.In addition, at the top of the drum casing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ischarge hole 128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pen surface 121a, where the opening 111 and the slit 121 of the rotor 110 are formed simultaneously, are discharged.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자(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릿(121)에 노출되는 개방면(121a)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헤드의 이동방향과 직교를 이룬다.In addition, as the roto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open surface 121a exposed to the slit 121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럼케이싱(120)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자(110)의 개구부(111)와 슬릿(121)이 동시에 형성된 개방면(121a)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드럼케이싱(120)을 경유하여 흡기관(134)으로 유도되는 롤러넥(13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m casing 120 is inserted,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pen surface 121a, where the opening 111 and the slit 121 of the rotor 110 are formed simultaneously, are inserted into the drum casing 120. It further includes a roller neck 130 that is guided to the intake pipe 134 via.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자(110)에서 이물질이 차단되는 상기 차단부(113)는 내부가 채워진 바디면(115)이 형성되고,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개방면(121a)를 통과하고 상기 바디면(115) 사이를 지나 중심의 반대면의 개구부(111)를 관통한다.In addition, the blocking portion 113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blocked in the roto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body surface 115 filled inside,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pass through the open surface 121a and the body surface It passes between (115) and penetrates the opening (11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enter.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헤드는 드럼케이싱 저면에 이물질이 흡입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개구부와 차단부가 형성되는 회전자가 상기 드럼케이싱 내부에 삽입되어 슬릿의 면적 일부가 차단부에 의해 폐쇄되므로,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슬릿의 전체 면적에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릿과 개구부가 중첩되는 개방면에서 흡입력이 집중되어 강한 흡입력으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vacuum cleaner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li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drum casing, and a rotor in which an opening and a blocking part are formed is inserted into the drum casing, and a part of the area of the slit is closed by the blocking part, thereby generating generation in the motor.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suction force from being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lit and concentrating the suction force on the open surface where the slit and the opening overlap, allowing foreign substances to be sucked in with strong suction force.

또한 본 발명은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나선형의 개구부와 슬릿이 중첩되는 개방면이 슬릿의 전체 면적을 커버하도록 가변되므로, 거실과 같은 넓은 바닥면을 청소시에 작은 크기의 모터를 사용하면서도 강한 흡입력으로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otor is rotated by a rotary motor, the open surface where the spiral opening and the slit overlap is varied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slit, so that when cleaning a large floor surface such as a living room, a small-sized motor can be used while cleaning.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lean a large area with strong suction power.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이 있는 바닥면에 한정하여 흡입하고, 바닥면에서도 드럼케이싱의 개방된 슬릿과 회전자의 개구부가 동시에 만나는 지점에서 집중 흡입을 할 수 있도록 제한하면서, 회전자의 개구부의 위치를 변경시켜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stricts suction to the bottom surface where foreign substances are present, and restricts suction to the bottom surface at the point where the open slit of the drum casing and the opening of the rotor meet at the same time, while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opening of the roto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lean a large area by changing it.

또한 본 발명은 회전자의 차단부를 내부의 중심까지 채워지도록 바디면을 형성하여 회전자 내부의 중공부를 최소화하여, 개방면을 통해 회전자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회전자의 내부에서 계류하지 않고 반대면의 개구부까지 차단부가 최단거리로 안내하므로 회전자 내부에서의 이물질 걸림이 없고 흡입효율이 증가하고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hollow part inside the rotor by forming the body surface so that the blocking part of the rotor is filled to the inner center, so that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rotor through the open surface do not remain inside the rotor and are opposed to it. Since the blocking part guides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opening of the surface, there are advantages in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getting caught inside the rotor, increasing suction efficiency, and suppressing noise.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회전력으로 큰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은 용량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어 소음이 작고 소요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arge suction force with the same rotational force, an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noise and reducing power requirements by allowing the use of a small capacity motor.

도 1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 따른 회전자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 따른 다각형상의 바디면이 형성된 회전자를 일부 단면처리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 따른 삼각형상의 바디면이 형성된 회전자를 일부 단면처리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자를 장착한 진공청소기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 따른 드럼케이싱을 도시한 것으로, (a)는 회전모터가 기어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회전모터가 타이밍벨트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 따른 회전자와 드럼케이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자가 드럼케이싱과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자가 드럼케이싱과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회전자와 드럼케이싱을 슬릿이 보이는 위치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어느 순간의 회전자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b)는 회전자가 일부 회전하여 개방면이 수평이동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 따른 롤러넥의 사시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 따른 회전자 회전속도의 자동 제어방식의 흐름도이고, 도 10(b)는 회전자 회전속도의 수동제어방식의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 따른 회전자와 드럼케이싱이 결합된 상태로서, 드럼케이싱과 회전자 사이의 간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or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cross-section of the rotor with a polygonal body surface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front view,
Figure 3 is a partial cross-section of the rotor having a triangular body surface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front view,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head equipped with the rotor shown in Figure 3;
Figure 6 shows a drum casing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motor coupled to the gear, and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motor coupled to the timing belt. ,
Figure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tor and drum casing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where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or shown in Figure 2 combined with the drum casing, and (b) is a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or shown in 3 combined with the drum casing,
FIG. 8 shows the rotor and drum casing of FIG. 7 view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slit is visible. (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otor at a certain moment, and (b) is an open surface after the rotor has partially rotated. This is a front view in a horizontally moved state,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ller neck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a) is a flowchart of the automatic control method of the rotor rotation speed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b) is a flowchart of the manual control method of the rotor rotation speed,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gap between the drum casing and the rotor in a state where the rotor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drum cas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는 나선형의 외주연을 갖는 개구부(111)를 통해 이물질이 흡입되는 회전자(110);As shown in Figures 1 to 11,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or 110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through an opening 111 having a spiral outer periphery;

중공인 내부에 상기 회전자(110)가 삽입되며, 저면에는 청소 대상면의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개방된 슬릿(12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110)를 둘러싸는 커버면(127)이 형성되는 드럼케이싱(120);을 포함한다.The rotor 1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body, and an open slit 121 is formed on the bottom to allow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enter, and a cover surface 127 is formed surrounding the rotor 110. Includes a drum casing (120).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100)는 외부에 있는 이물질을 청소기 내부로 흡입하도록 저면에 개방되어 형성된 슬릿(121) 및 상면 또는 뒷면에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어 슬릿(121)으로부터 빨아들인 이물질을 집진기로 유도하는 흡입관(131)이 형성된다. The vacuum cleaner he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lit 121 that is open on the bottom to suck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into the interior of the cleaner, and is formed with a hollow tube on the top or back,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slit 121 are collected into a dust collector. A suction pipe 131 leading to is formed.

청소시에 헤드는 청소의 대상이 되는 바닥면과 접촉하면서 사용자에 의하여 앞뒤 수직으로 움직이고, 흡입관(131)에서 이격된 모터(미도시)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헤드에 전달되어 이물질을 헤드의 내부로 흡입한다. 이물질은 헤드에서 작용하는 흡입력을 받아 헤드 내부로 흡입되며 공기의 유동을 따라 연결부를 거쳐 집진기에 도달한다. During cleaning, the head is moved vertically back and forth by the user while contacting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motor (not shown)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ipe 131 is transmitted to the head to suck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terior of the head. do. Foreign matter is sucked into the head by receiving the suction force acting on the head, and reaches the dust collector through the connection part along the air flow.

청소의 대상이 되는 환경과 사용목적에 따라 헤드는 여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넓은 바닥면을 쉽게 청소하기 위해 와이드 형상의 일반 헤드, 문틈이나 가구 사이 틈새에 쌓여 있는 이물질을 빨아들이기 위한 틈새 헤드, 브러쉬가 형성되어 쌓여 있는 먼지를 비산시키고 흡입하는 브러쉬 헤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넓은 바닥면을 쉽게 청소하기 위한 와이드 형상의 일반 헤드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술적 사상이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hea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being cleaned and the purpose of use. There is a wide-shaped general head for easy cleaning of large floor surfaces, a crevice head for sucking up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gaps between doors and furniture, and a brush head for scattering and sucking in dust accumulated in the form of a brush.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consisting of a general head of a wide shape for easily cleaning a large floor surface is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am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100)는 헤드부와 집진기를 연통하는 연결부에 탈착되어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먼지가 쌓여 세척이 필요할 때 헤드만 따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고, 파손이 일어나 흡입기능을 상실했을 시에 다른 헤드로 교환할 수 있다. 모터를 비롯한 흡입관(131) 상부의 구성은 일반적인 청소기를 채용할 수 있고, 이미 알려진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The vacuum cleaner he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laced by being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part that communicates the head part and the dust collector. Therefore, when dust accumulates and needs to be cleaned, the head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separately, and when it is damaged and loses its suction function, it can be exchanged for another head.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suction pipe 131, including the motor, can be adopted as a general vacuum cleaner, and since the configuration is already known,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100)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면적을 축소하여 흡입력을 강화시키고 흡입면적을 가변하여 모든 면적에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헤드부에서의 흡입력에 의한 공기유동을 간소화하여 흡입에 의한 청소효율을 개선하고 소음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vacuum cleaner he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trengthens the suction power by reducing the suction area where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nd changes the suction area to enable suction of foreign substances from all areas,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flow due to the suction power in the head part. The purpose is to improve cleaning efficiency by suction and suppress noise generation by simplifying the process.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1)가 형성되는 회전자(110)가 구비되고 저면에 슬릿(121)이 형성되는 드럼케이싱(120) 내부로 삽입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rotor 110 having an opening 111 is provided and inserted into a drum casing 120 having a slit 121 on the bottom.

모터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이 개구부(111)와 슬릿(121)이 중첩되는 영역인 개방면(121a)에서 집중되어 강한 힘으로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지며, 회전자(110)의 회전에 따라 개방면(121a)이 슬릿(121)의 내부에서 가변되며 강화된 흡입력이 슬릿(121)의 전 면적에 작용하여 넓은 면적을 강한 흡입력으로 청소를 진행할 수 있다.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is concentrated on the open surface 121a, which is the area where the opening 111 and the slit 121 overlap, and foreign substances are suctioned with strong force, and as the rotor 110 rotates, the open surface ( 121a) is variable inside the slit 121, and the enhanced suction force acts on the entire area of the slit 121, allowing cleaning of a large area with strong suction force.

이물질은 회전자(110)의 개구부(111)를 거쳐 드럼케이싱(120)의 배출홀(128)로 이동한다. 회전자(110)는 양단부가 폐쇄되어, 슬릿(121)의 개방면(121a)과 회전자(110)의 개구부(111)를 통해 회전자(11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다시 회전자(110)의 개구부(111)로 배출되며 회전자(110)의 내외부를 출입하고, 회전자(110)의 개구부(111)로 배출된 이물질은 회전자(110)를 둘러싼 드럼케이싱(120)의 상방의 배출홀(128)로 배출되어 집진기(미도시)로 이동한다. Foreign matter moves to the discharge hole 128 of the drum casing 120 through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The rotor 110 is closed at both ends, so that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rotor 110 through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and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is returned to the rotor (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and enters and exit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otor 110, and foreign matter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is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um casing 120 surrounding the rotor 110.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8 and moves to a dust collector (not shown).

즉, 청소대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회전자(110)의 하면인 개구부(111)로 유입되며, 유입된 개구부(111)의 상부면인 반대면에 위치한 개구부(111)를 통하여 빠져나가는, 즉 회전자(110)를 관통하며 유동한다. That is, foreign matter presen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flows into the opening 111, which is the lower surface of the rotor 110, and exits through the opening 111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which is the upper surface of the introduced opening 111, that is, It flows through the rotor 110.

따라서, 본 발명은 흡입력을 개방면(121a)에 집중시키면서도 개방면(121a)의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더욱 강한 흡입력으로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유동을 최단경로로 유도, 안내함으로써 헤드부 내의 걸림을 방지하고 흡입효율이 향상되며 소음이 저감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leans a large area with stronger suction power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pen surface (121a) while concentrating the suction force on the open surface (121a), but also allows the head to be cleaned by guiding and guiding the flow of foreign substances to the shortest path. It prevents jamming inside the unit, improves suction efficiency, and reduces nois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헤드(100)에서 회전자(110)는 드럼케이싱(120)에 형성되는 슬릿(121)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흡입력이 개방면(121a)에 집중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2 to 4, in the vacuum cleaner he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or 110 adjusts the open area of the slit 121 formed in the drum casing 120 so that the suction force is adjusted to the open area ( It is a configuration that focuses on 121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회전자(110)의 일정 면적은 회전자(110)의 내부와 외부가 통할 수 있는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일정 면적은 막힌 차단부(113)가 형성된다. 이물질이 흡입되는 상기 개구부(111)와 이물질이 차단되는 상기 차단부(113)은 교차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1)는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An opening 111 through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otor 110 can communicate is formed in a certain area of the rotor 110, and a blocking portion 113 is formed in a certain area. The opening 111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nd the blocking part 113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blocked are formed to intersect, and the openings 111 are formed continuously.

회전자(110)의 개구부(111)는 회전자(11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리드각을 가진 단방향의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1) 사이에는 차단부(113)가 형성된다.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may be formed in a unidirectional spiral shape with a constant lead angl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or 110. A blocking portion 113 is formed between the openings 111.

회전자(110)의 개구부(111)와 차단부(113)는 나선형상으로 제시하였으나, 원통형의 회전자(110)가 회전하여 어느 한 순간에 개구부(111)와 차단부(113)가 일부씩 슬릿(121) 사이에서 노출되고 회전에 의해 그 위치가 가변되는 형상이면 비나선형이라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The opening 111 and the blocking portion 113 of the rotor 110 are presented in a spiral shape, but as the cylindrical rotor 110 rotates, the opening 111 and the blocking portion 113 are partially separated at a certain moment. Any shape that is exposed between the slits 121 and whose position can be changed by rotation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non-helical.

청소대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개구부(111)를 통하여 회전자(110)의 내부로 들어갔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차단부(113)로는 회전자(110)의 내,외부로의 출입이 불가능하다. Foreign matter presen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can enter the inside of the rotor 110 through the opening 111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blocking part 113 allows entry and exit into and out of the rotor 110. impossible.

도 7를 참고하여, 회전되는 회전자(110)는 드럼케이싱(120)의 개방된 슬릿(121)에 의하여 바닥면에 접하는 일부가 이물질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자(110)의 개구부(111)와 차단부(113)도 슬릿(121)에 노출되며, 이물질은 슬릿(121)과 상기 개구부(111)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자(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part of the rotating rotor 1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s exposed to foreign substances due to the open slit 121 of the drum casing 120. Accordingly, the opening 111 and the blocking portion 113 of the rotor 110 are also exposed to the slit 121, and foreign substances pass through the slit 121 and the opening 111 to the inside of the rotor 110. flows into.

개구부(111) 및 차단부(113)는 동시에 슬릿(121)에 의하여 노출된다. 즉, 개구부(111)만이 슬릿(121)에 의하여 노출되면, 슬릿(121) 전체로 흡입력이 분산되어 큰 흡입력의 발생이 곤란하므로 어느 한 순간에도 개구부(111)가 전체적으로 슬릿(121)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모터에 무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차단부(113)도 어느 한 순간에 슬릿(121) 전체에 노출되지 않는다. 슬릿(121)에는 개구부(111)와 차단부(113)가 항상 공존한다.The opening 111 and the blocking portion 113 are simultaneously exposed by the slit 121. That is, if only the opening 111 is exposed by the slit 121, the suction force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slit 121, making it difficult to generate a large suction force, so the entire opening 111 is not exposed to the slit 121 at any moment. No. Additionally, to prevent strain on the motor, the blocking portion 113 is not exposed to the entire slit 121 at any one time. The opening 111 and the blocking portion 113 always coexist in the slit 121.

회전자(110)의 개구부(111)는 이물질을 내부로 흡입함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차단부(113)는 슬릿(121) 면적의 일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슬릿(121)의 면적을 축소하여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개방면(121a)에만 집중시킨다. 청소대상면의 이물질은 차단부(113)를 통한 출입이 불가능하며, 개구부(111)에서 출입이 이루어진다.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is configured to suck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side and discharge them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he blocking portion 113 is configured to close a portion of the area of the slit 121, and reduces the area of the slit 121 to concentrate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only on the open surface 121a.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cannot enter or exit through the blocking portion 113, and enters or exits through the opening 111.

회전자(110)의 개구부(111)와 차단부(113)가 동시에 슬릿(121)에 노출되어 있으며, 차단부(113)에 의해 막힌 부분에서는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고 개구부(111)에서 집중되어 흡입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흡입력은 슬릿(121)의 전체 면적에 분산되지 않고 개구부(111)에서 작용하는 흡입력은 동일 용량의 모터를 사용하면서도 크게 강화된다. The opening 111 and the blocking portion 113 of the rotor 110 are exposed to the slit 121 at the same time, and the suction force does not act in the portion blocked by the blocking portion 113, but is concentrated at the opening 111. This works. Therefore, the suction force is not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lit 121, and the suction force acting at the opening 111 is greatly strengthened even when using a motor of the same capacity.

슬릿(121)에 의하여 노출되는 개구부(111)는 차단부(113)보다 작은 면적인 것이 흡입력 손실을 작게 할 수 있어 배터리의 긴 수명과 작은 소음에 적합하나, 청소 대상이나 청소 면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opening 111 exposed by the slit 121 has a smaller area than the blocking portion 113, which can reduce suction loss and is suitable for a long battery life and low noise. However, it varies depending on the cleaning object or cleaning area. It can be provided.

상기 회전자(110)는 상기 드럼케이싱(12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양단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양단부(112)는 상기 회전자(110)가 드럼케이싱(120)에 거치되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The rotor 110 has both ends 112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drum casing 120. The both ends 112 are configured to allow the rotor 110 to be mounted on the drum casing 120 and rotated.

상기 양단부(112)는 상기 회전자(11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밀폐된 면으로 회전자(110)의 양단을 폐쇄시킨다. The both ends 112 protru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110, and close both ends of the rotor 110 with sealed surfaces.

상기 양단부(112)는 후술할 드럼케이싱(120)의 케이싱홀(122)에 삽입되되 회전모터(123)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The both ends 112 are inserted into the casing hole 122 of the drum casing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receive rotational force by the rotation motor 12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양단부(112)는 상기 회전자(11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도 2에 도시하였으나, 상기 양단부(112)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밋밋한 형태(미도시)이거나 또는 내부로 움푹 파인 형태(미도시)일 수 있다. 상기 회전자(110)의 양단부(112)가 밋밋하거나 또는 내측으로 움푹 파인 경우는 드럼케이싱(120)과의 결합용이성을 위해 드럼케이싱(120)에서 샤프트(미도시)가 돌출되어 양단부(112) 내부로 삽입된다. 양단부(112)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파인 형태이거나 또는 밋밋하게 형성되는 형태는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기에, 양단부(112)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본 발명은 양단부(112)가 내부 또는 외부로 돌출된 형태 및 내,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양단부(112)의 형상 변경에 따라 회전자(110)를 회전시키는 구성도 드럼케이싱(120)의 샤프트(미도시) 추가로 쉽게 변경할 수 있기에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both ends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 2 to protru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110, but the both ends 112 have a flat shape (not shown) that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r It may be in a hollow shape (not shown). When both ends 112 of the rotor 110 are flat or inwardly recessed, a shaft (not shown) protrudes from the drum casing 120 for ease of coupling with the drum casing 120 to form both ends 112. It is inserted inside. Sinc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the form in which both ends 112 protrude to the outside, are recessed inward, or are formed plainly, the both ends 112 are shown and described in a form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oth a form in which the both ends 112 protrude inwardly or externally and a form in which the both ends 112 do not protrude inwardly or outwardly,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tor 110 is rotat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shape of the both ends 112. Since the drum casing 120 can be easily changed by adding a shaft (not shown),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물질이 청소대상면에서 모터(미도시)의 흡입력에 의해 슬릿(121)을 통과하고 상기 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회전자(1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회전자(110)의 내부의 이물질이 회전자(110)의 양단으로 이동하더라도 밀폐된 상기 양단부(112)에 의해 회전자(110)의 양단으로 빠져나갈 수 없고, 흡입력이 형성하는 공기유동을 따라 다른 쪽의 개구부(111)로 회전자(110)를 빠져나간다. Foreign matter passes through the slit 121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suction force of a motor (not shown) and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rotor 110 through the opening 111. Even if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rotor 110 move to both ends of the rotor 110, they cannot escape to both ends of the rotor 110 due to the sealed both ends 112, and cannot escape from the airflow formed by the suction force. Accordingly, it exits the rotor 110 through the opening 111 on the other side.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110)의 차단부(113)는 회전자(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중심부까지 채울 수 있다. 이런 형상에서 개구부(111)는 내부까지 계속하여 빈 중공면(114)이고, 차단부(113)는 내부까지 채워진 바디면(115)이 되어, 개구부(111)를 통해 회전자(11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차단부(113)의 바디면(115)을 경계로 중공면(114)으로 이동하여 유동경로가 최단거리로 유도되며, 회전자(110) 내부에서 계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blocking portion 113 of the rotor 110 may extend into the inside of the rotor 110 and fill the center. In this shape, the opening 111 is an empty hollow surface 114 all the way to the inside, and the blocking part 113 becomes a body surface 115 filled to the inside, so that the inside of the rotor 110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1.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block moves to the hollow surface 114 bordering the body surface 115 of the blocking part 113, leading to the shortest flow path and preventing it from being moored inside the rotor 110. .

이때 바디면(115)은 회전자(110)의 중심까지 완전히 채워지지 않고 중공면(114) 가장자리에서 바디면(115)으로 경계면(표면)을 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고, 중심이 일부 제외된 상태까지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회전자(110)의 내부까지 채워져 바디면(115)은 이러한 형상을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body surface 115 is not completely filled to the center of the rotor 110, but can be provided by forming a boundary surface (surface) from the edge of the hollow surface 114 to the body surface 115, with the center partially excluded. Includes up t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surface 115 is filled to the inside of the rotor 110 and has this shape.

차단부(113)가 회전자(110)의 내부까지 채워져 바디면(115)이 형성된 경우, 바디면(115)의 단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113)의 단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물질이 어느 일면의 개구부(111)로 유입되어 바디면(115) 사이의 중공면(114)을 관통하여 다른 면의 개구부(111)로 배출되는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이면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When the blocking portion 113 is filled to the inside of the rotor 110 to form the body surface 115,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surface 115 may be formed 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3, and as shown in FIG. 4. As shown, it may be formed with a triangular cross-sec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blocking portion 113 is not limited to this, and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opening 111 on one side, penetrates the hollow surface 114 between the body surfaces 115,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111 on the other side. Any configuration that forms a flow path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머리카락과 같은 길이가 긴 이물질의 경우에 회전자(110)의 내부에서 계류하여 걸리지 않고 차단부(113) 내부의 바디면(115)에 의하여 배출되는 개구부(111)까지 최단거리로 안내되어 배출되므로 차단부(113)의 바디면(115)은 이물질의 원활한 흡입 및 배출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차단부(113)의 바디면(115)은 이물질이 회전자(110) 내부에서 계류하는 것을 억제하므로 계류된 이물질이 회전하며 발생시키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lo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they are not moored and caught inside the rotor 110, but are guided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discharge opening 111 by the body surface 115 inside the blocking part 113 and are discharged. The body surface 115 of the blocking portion 113 provides smooth suction and discharge performance of foreign substances. In addition, the body surface 115 of the blocking unit 113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moored inside the rotor 110, thereby reducing noise generated when the moored foreign substances rotate.

회전자(110)가 회전함에 따라 슬릿(121)에 노출되는 개구부(111)와 차단부(113)는 위치가 가변되므로, 어느 일순간에는 단부(113)에 의해 폐쇄된 슬릿(121)의 일부는 곧장 개구부(111)에 의해 개방되어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As the rotor 110 rotates, the positions of the opening 111 and the blocking portion 113 exposed to the slit 121 change, so at some point, a portion of the slit 121 closed by the end 113 is It is opened straight through the opening 111 so that foreign substances can be sucked in.

개방부에 의해 개방된 슬릿(121)의 일부는 이물질을 흡입하지만, 회전자(110)가 회전함에 따라 차단부(113)에 의해 폐쇄된다. A portion of the slit 121 opened by the opening part suctions foreign substances, but is closed by the blocking part 113 as the rotor 110 rotates.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케이싱(120)은 내부가 중공인 관으로 형성되되, 양단부에 회전자(110)의 양단부(112)를 지지하는 케이싱홀(122)이 형성되고 저면에 회전자(110)의 내부 중공까지 연속된 개방통로를 형성하도록 슬릿(121)이 형성된다. 드럼케이싱(120)의 외주연에는 슬릿(121)을 제외한 부분으로 이루어진 커버면(1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홀(122)에 삽입된 양단부(112)가 후술할 회전모터(123)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6 and 7, the drum casing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hollow tube on the inside, and has casing holes 122 at both ends supporting both ends 112 of the rotor 110. is formed, and a slit 12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form a continuous open passage to the inner hollow of the rotor 110. A cover surface 127 consisting of a portion excluding the slit 121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um casing 120. Additionally, both ends 112 inserted into the casing hole 122 can be rotated by a rotation motor 1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케이싱홀(122)은 회전자(110)의 양단부(112)를 지지하는 형상이다. 양단부(112)의 형상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케이싱홀(122)에 삽입될 수 있고, 양단부(112)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밋밋한 형태(미도시)이거나 내부로 돌출(미도시)되게 형성되어 케이싱홀이 샤프트 형상으로 돌출되어 양단부(1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양단부(112)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기에 양단부(112)를 지지하는 케이싱홀(122)의 형상 또한 양단부(112)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단부(112)가 외부로 돌출되고 케이싱홀(122)내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The casing hole 122 is shaped to support both ends 112 of the rotor 110. The shape of the both ends 112 can be inserted into the casing hole 122 while being formed to protrude outward, and the both ends 112 are formed to have a plain shape (not shown) that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r to protrude inward (not shown). Thus, the casing hole protrudes in the shape of a shaft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both ends 112.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ape of the both ends 112 can be easi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of the casing hole 122 supporting the both ends 112 can also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h ends 112. . In this embodiment, both ends 112 are shown and described as protruding outward and inserted into the casing hole 122.

드럼케이싱(120)의 상부면에는 배출홀(128)이 형성된다. 슬릿(121)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배출홀(128)을 통하여 배출되어 집진기로 이동한다. A discharge hole 128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um casing 120. Foreign matter that flows inside through the slit 121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8 and moves to the dust collector.

배출홀(128)의 형상은 드럼케이싱(120)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물질이 드럼케이싱(12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으면 충분하다. The shape of the discharge hole 128 may be lo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um casing 120,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sufficient as long as foreign substances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drum casing 120.

슬릿(121)과 배출홀(128)을 제외한 외주연은 회전자(110)를 감싸는 커버면(127)으로 형성된다. 커버면(127)은 드럼케이싱(120)에서 슬릿(121)과 배출홀(128)을 제외한 면에서 이물질의 출입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The outer periphery, excluding the slit 121 and the discharge hole 128, is formed by a cover surface 127 surrounding the rotor 110. The cover surface 127 is configured to block the entry and exit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drum casing 120 except for the slit 121 and discharge hole 128.

회전자(110)의 외주연을 커버면(127)이 감싸므로 흡입력은 슬릿(121)에서만 가해지게 되며, 슬릿(121)과 개구부(111)의 중첩된 부분에서만 이물질이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Since the cover surface 127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or 110, suction force is applied only to the slit 121, and foreign substances can be sucked inside only in 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slit 121 and the opening 111.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110)는 드럼케이싱(12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외부에 있는 드럼케이싱(120) 저면의 슬릿(121)을 통하여 내부에 있는 회전자(110)의 개구부(111)로 이물질을 흡입한다. 즉 드럼케이싱(120)의 커버면(127)은 회전자(110) 외부를 감싸고 있어, 슬릿(121)을 제외한 커버면(127) 내부에서 회전자(110)는 외부와 통할 수 없고, 드럼케이싱(120)의 저면에 형성된 슬릿(121)을 통해서 이물질이 회전자(110)의 개구부(111)를 거쳐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물질은 먼저 드럼케이싱(120)의 슬릿(121)을 통과한 후 회전자(110)의 개구부(111)를 통하여 내부로 흡입된다. As shown in FIG. 7, since the rotor 110 is located inside the drum casing 120, the rotor 110 inside is exposed through the slit 121 on the bottom of the drum casing 120 on the outside.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through the opening 111. That is, the cover surface 127 of the drum casing 120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rotor 110, so the rotor 110 cannot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nside the cover surface 127 except for the slit 121, and the drum casing cannot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Foreign substances may be sucked into the rotor 110 through the opening 111 through the slit 121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otor 120 . Foreign substances first pass through the slit 121 of the drum casing 120 and are then suck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상기 드럼케이싱(120)의 슬릿(121)이 상기 회전자(110)의 개구부(111)에 의해 개방되는 면을 개방면(121a)라 칭하고, 슬릿(121)이 상기 회전자(110)의 차단부(113)에 의해 막히는 면을 차단면(121b)라 칭한다. The surface where the slit 121 of the drum casing 120 is opened by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is called an open surface 121a, and the slit 121 blocks the rotor 110. The surface blocked by the portion 113 is called the blocking surface 121b.

이때 드럼케이싱(120)의 커버면(127)은 회전자(110)의 외주연과 매우 근접하게 배치되나 회전자(110)의 회전을 위하여 양자 사이에 간극이 있다. 이 경우, 슬릿(121)의 내벽면과 회전자(110)와의 거리(a)는 커버면(127)과 회전자(110) 사이의 거리(b)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된다. 커버면(127)과 회전자(110) 사이에 간극이 존재해도 회전자(110)의 개구부(111)는 커버면(127)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므로 이물질은 커버면(127)에 의해 막힌 개구부(111)로 흡입될 수 없으며 슬릿(121)의 개방면(121a)를 통해서 회전자(110) 내부로 흡입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cover surface 127 of the drum casing 120 is disposed very clos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or 110, but there is a gap between the two for rotation of the rotor 110. In this case, the distance (a)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slit 121 and the rotor 110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b) between the cover surface 127 and the rotor 110. Even if a gap exists between the cover surface 127 and the rotor 110,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is surrounded by the cover surface 127, so foreign substances are not stored in the opening 111 blocked by the cover surface 127. ) and can be sucked into the rotor 110 through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회전자의 개구부(111)로 흡입되는 이물질이 길어 슬릿(121)내의 개방면(121a)에서 모두 흡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릿(121)에서 벗어난 커버면(127)을 통과하면서 또는 커버면(127)을 지나 다시 슬릿(121)의 위치로 이동하며 이물질이 개구부(111)로 흡입되거나, 또는 회전자(110)의 회전에 따라 드럼케이싱(120)의 상부로 올라가 배출홀(128)을 통해 집진기로 이동한다. 이때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110)와 커버면(127)의 간격이 슬릿(121)의 내벽면과 회전자(110) 사이의 간격처럼 매우 좁다면 내벽면에서의 이물질이 개구부(111)에서 차단부(113)에 걸쳐서 붙게되고 이물질의 흡입 또는 회전자(110)의 회전에 방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110)와 커버면(127) 사이의 간격(b)이 슬릿(121)의 내벽면과 회전자 사이의 간격(a)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foreign matter sucked into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is long and not all of it is sucked in from the open surface 121a within the slit 121, it passes through the cover surface 127 away from the slit 121 or through the cover surface 127. It moves back to the position of the slit 121 and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nto the opening 111, or rise to the top of the drum casing 1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110 and into the dust collector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8. mov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1(a), if the gap between the rotor 110 and the cover surface 127 is very narrow, such as the gap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slit 121 and the rotor 110, foreign matter on the inner wall can be removed. It sticks from the opening 111 to the blocking part 113 and may interfere with the intake of foreign substances or the rotation of the rotor 11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11 (b), the gap (b) between the rotor 110 and the cover surface 127 is made larger than the gap (a)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lit 121 and the rotor. It is desirable.

커버면(127)은 회전자(110)의 외주연을 구성하는 개구부(111)와 차단부(113)를 둘러싸고 있어, 커버면(127)에 막힌 개구부(111)에서는 커버면(127) 밖에서 회전자(110) 내부로의 흡입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슬릿(121)이 개구부(111)에 의해 개방된 개방면(121a)에 집중되어 작용할 수 있으므로 흡입력이 강화될 수 있다.The cover surface 127 surrounds the opening 111 and the blocking portion 113 constitu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or 110, and the opening 111 blocked in the cover surface 127 allows rotation outside the cover surface 127. No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side the electron 110. Therefore, since the slit 121 can act concentrated on the open surface 121a opened by the opening 111, the suction force can be strengthened.

청소기 본체 내부의 모터에서 발생된 흡입력이 헤드로 전해지고 슬릿(121)에 작용한다. 드럼케이싱(120)은 커버면(127)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흡입력은 슬릿(121)의 개방면(121a)에 집중되어 작용할 수 있어, 흡입력의 누설없이 이물질을 강력하게 빨아들일 수 있다. 따라서 강력한 흡입력을 좁은 면적에 집중시킴으로 흡입력은 거듭 강화되며, 바닥면에서 분리되기 어려운 이물질 또한 강한 흡입력으로 흡입할 수 있다.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inside the cleaner body is transmitted to the head and acts on the slit 121. Since the drum casing 120 is blocked by the cover surface 127, the suction force can be concentrated on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and foreign substances can be strongly sucked in without leakage of suction force. Therefore, by concentrating the strong suction power in a small area, the suction power is strengthened, and foreign substances that are difficult to separate from the floor can also be sucked in with strong suction power.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자(110)는 상기 드럼케이싱(120) 내부에 삽입되면서, 드럼케이싱(120) 저면에 형성된 슬릿(121)은 회전자(110)의 차단부(113)에 의해 일부분이 막힌 차단면(121b)과, 회전자(110)의 개구부(111)와 드럼케이싱(120)의 슬릿(121)이 공동으로 겹쳐 개방되는 개방면(121a)이 형성된다. 이물질은 슬릿(121)의 개방면(121a)에서 흡입되고, 회전자(110)의 차단부(113)에 의해 슬릿(121)이 막힌 차단면(121b)에서는 흡입될 수 없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rotor 110 is inserted into the drum casing 120, and the slit 121 formed on the bottom of the drum casing 120 is a blocking portion of the rotor 110. A blocking surface (121b) partially blocked by (113) and an open surface (121a) in which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and the slit 121 of the drum casing 120 overlap and open are formed. .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n from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and cannot be sucked in from the blocking surface 121b, where the slit 121 is blocked by the blocking part 113 of the rotor 110.

상기 회전자(110)는 드럼케이싱(12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슬릿(121)과 개구부(111)가 공동으로 겹쳐져 개방되는 면인 개방면(121a)의 위치가 가변된다. 회전자(110)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였을 시에 슬릿(121)의 개방면(121a)은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개방되고 차단면(121b)은 회전자(110)의 차단부(113)에 의해 막히지만, 회전자(110)가 회전하면서 슬릿(121)의 개방면(121a)와 차단면(121b)의 위치가 수평이동하며 가변되므로, 슬릿(121) 전체에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As the rotor 110 rotates inside the drum casing 120, the position of the open surface 121a, which is the surface where the slit 121 and the opening 111 overlap and are opened, changes. When the rotor 110 stops without rotating,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is open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communicate, and the blocking surface 121b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portion 113 of the rotor 110. However, as the rotor 110 rotates, the positions of the open surface 121a and the blocking surface 121b of the slit 121 move horizontally and change, so foreign substances can be sucked from the entire slit 121.

회전자(110)의 외주연에 형성된 차단부(113)가 슬릿(121)의 일부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모터에서 발생하고 헤드로 전달된 흡입력은 슬릿(121)이 개구부(111)에 의해 개방된 개방면(121a)에 작용한다. 따라서 흡입력은 개구부(111)의 전 면적 또는 슬릿(121)의 전 면적에 분산되지 않고 개방면(121a)에 집중되므로 흡입 압력이 매우 크다.Since the blocking portion 11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or 110 closes a portion of the slit 121,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and transmitted to the head is caused by the slit 121 being opened by the opening 111. It acts on the open surface (121a). Therefore, the suction force is not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opening 111 or the entire area of the slit 121, but is concentrated on the open surface 121a, so the suction pressure is very large.

상기 회전자(110)가 회전함으로, 슬릿(121)의 개방면(121a)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차단면(121b)은 차단부(113)에 의해 막히고 개방면(121a)는 개구부(111)에 의해 개방되는데, 회전자(110)가 회전함으로써 개방면(121a)와 차단면(121b)의 위치는 가변되어 이동하고, 그 방향은 수평방향이다. 슬릿(121)의 개방면(121a)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슬릿(121)의 전체 면적이 개방될 수 있다. As the rotor 110 rotates,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locking surface (121b) is blocked by the blocking part 113 and the open surface (121a) is opened by the opening 111. As the rotor 110 rotates, the positions of the open surface (121a) and the blocking surface (121b) is variable and moves, and its direction is horizontal. Since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ntire area of the slit 121 can be opened.

슬릿(121)의 개방면(121a)은 어느 일순간에는 일부 위치에서만 개방이 이루어지지만, 회전자(110)가 빠르게 회전하여 슬릿(121)이 전체적으로 개방되는 것이다.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is opened only in some positions at any one time, but the rotor 110 rotates quickly to open the slit 121 as a whole.

흡입력을 슬릿(121)의 전체 면적에 가하지 않고, 개방면(121a)에 집중하여 가함으로 종래의 흡입력으로는 빨아들이기 어려운 무거운 이물질이나, 바닥면과 끈끈하게 밀착되어 있는 이물질도 동일 용량의 모터에서 흡입할 수 있는 충분한 힘이 발생한다. 이물질이 슬릿이 차단부(113)에 의해 막힌 차단면(121b)의 위치에 있더라도 개방면(121a)의 위치는 수평방향으로 빠르게 가변되어 차단면(121b)의 위치가 이내 개방면(121a)에 위치하여 흡입할 수 있다.By concentrating the suction force on the open surface (121a) rather than applying it to the entire area of the slit 121, heavy foreign substances that are difficult to be sucked in with conventional suction force or foreign substances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can be removed with a motor of the same capacity. Sufficient force is generated to inhale. Even if a foreign substance is located on the blocking surface 121b, where the slit is blocked by the blocking part 113, the position of the open surface 121a is rapidly ch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surface 121b is within the open surface 121a. It can be positioned and inhaled.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는 슬릿(121)의 전체 면적에 대비 제한적인 흡입 면적을 가지나, 회전자(110)를 회전시켜 개방면(121a)의 위치를 빠르게 수평이동하며 가변시킴으로써, 강화된 흡입력을 슬릿(121)의 전 면적에 대해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mited suction area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slit 121, but by rotating the rotor 110 to quickly horizontal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open surface 121a, enhanced suction power is provided. This is to enable it to act on the entire area of the slit 121.

진공청소기 헤드(100)는 청소 대상이 되는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인 앞뒤로 이동하고, 슬릿(121)의 개방면(121a)은 슬릿(121)의 너비 방향(축방향)인 수평으로 좌우 이동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 헤드(100)의 이동 방향과 슬릿(121)의 개방면(121a)의 이동 방향이 직교를 이룬다. 청소를 진행하면서 진공청소기 헤드(100)를 좌우로 비틀어 나아가더라도 개방면(121a)의 이동방향도 이에 대응하여 변하기 때문에 항상 직교를 이룰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head 100 moves vertically back and forth on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moves horizontally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of the slit 121. Therefore, as shown in FIGS. 1 and 5,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head 100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Even if the vacuum cleaner head 100 is twisted left and right while clean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pen surface 121a also changes correspondingly, so that it can always be perpendicular to the vacuum cleaner head 100.

청소 시에 회전자(110)는 헤드의 이동속도에 대비하여 충분히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슬릿(121)의 전 면적이 개방되었다가 폐쇄되는 시간이 짧아져 슬릿(121) 전체가 개방된 것과 동일하게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에 분포되어 있는 이물질이 슬릿(121)의 폐쇄로 인해 흡입되지 않는 것을 막고 회전자(110)가 회전하면서 차단면(121b)을 개방하고 이물질을 흡입함으로, 청소 효율은 향상된다. During cleaning, when the rotor 110 rotates at a sufficiently fast speed compared to the moving speed of the head, the time for the entire area of the slit 121 to be opened and then closed is shortened, making it equivalent to the entire slit 121 being open. It can be cleaned easily. Therefore, clean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distributed on the floor from being sucked in due to the closure of the slit 121, and rotating the rotor 110 to open the blocking surface 121b and suck in the foreign substances.

일정 전력을 공급하여 모터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헤드는 흡입력을 증폭시켜 이물질을 더 효과적으로 빨아들인다. 따라서 흡입 효율이 좋아지면서도 모터에 공급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무게 또한 감소하거나 청소기의 작동 시간을 더 오래 늘릴 수 있다. 또한 무선청소기의 경우 무거운 배터리의 무게로 오랜 시간 청소할 시에 사용자는 피로감과 불편함을 느끼지만,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는 배터리 무게가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다.When a certain amount of power is supplied to generate suction force from the motor, the vacuum cleaner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plifies the suction force to more effectively suck in foreign substances. Therefore, while suction efficiency improves,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can be reduced, which can also reduce the weight of the battery that supplies power or extend the operating time of the vacuum clean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rdless vacuum cleaner, users feel fatigue and discomfort when cleaning for a long time due to the weight of the heavy battery, but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battery weight, allowing users to clean more conveniently.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모터는 집진기의 상면 또는 뒷편에 위치한다. 청소가 진행됨에 따라 집진기에 이물질이 일정 수준이상으로 쌓이면 흡입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모터의 흡입구멍을 막는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약해져 청소효율이 낮아진다.The motor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is located on the top or back of the dust collector. As cleaning progresses, if foreign matter accumulates in the dust collector above a certain level, foreign matter accumulates in the filter that filters dust from the intake air, blocking the motor's intake hole. Therefore,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becomes weaker and cleaning efficiency decreases.

배터리를 사용하는 로봇청소기는 좁은 틈을 지나다니며 청소할 필요가 있어 그 크기를 일정 수준이상 키우기 어렵다. 로봇청소기에 탑재되는 배터리 또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력과 사용시간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는 로봇청소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드를 구비한 로봇청소기는 제한된 배터리 용량에도 더욱 큰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작동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로봇청소기의 단점인 낮은 흡입력과 짧은 사용시간을 극복하고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Robot vacuum cleaners that use batteries need to move through narrow gaps to clean, so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ir size beyond a certain level. The batteries installed in robot vacuum cleaners are also limited, so suction power and usage time are limited.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robot cleaner. A robot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greater suction power even with limited battery capacity and can increase operating time. It can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robot vacuum cleaners, such as low suction power and short usage time, and improve cleaning efficiency.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케이싱(120)에는 회전자(110)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모터(123)가 장착된다. 회전모터(123)는 드럼케이싱(120)의 외부에 장착되거나, 또는 드럼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자(110)의 양단부(112)는 드럼케이싱(120)의 케이싱홀(122)에 삽입되고 외부로 돌출된다. 회전모터(123)의 회전력은 타이밍벨트(124) 또는 기어(126)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타이밍벨트(124) 또는 기어(126)에 의해 회전모터(123)의 회전축과 회전자(110)의 양단부(112)가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모터(123)의 회전력을 양단부(112)에 전달함으로써 회전자(1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양단부(112)가 내부로 돌출되거나 밋밋한 형상일 경우에는, 드럼케이싱(120)에 샤프트(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양단부 내부로 삽입시킨 후 샤프트를 회전시켜 회전자를 회전시킨다. 이는 양단부(112) 형상에 따른 단순 변경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s shown in Figures 6 and 7, a rotation motor 123 for driving the rotor 110 is mounted on the drum casing 120. The rotation motor 123 may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drum casing 120, or may b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drum casing. Both ends 112 of the rotor 110 are inserted into the casing hole 122 of the drum casing 120 and protrude outwar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 motor 123 can be transmitted to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timing belt 124 or a gear 126, and the rotation shaft and rotor of the rotation motor 123 are connected by the timing belt 124 or the gear 126. Both ends 112 of 110 are coupled. Therefore, the rotor 110 can be driven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 motor 123 to both ends 112. When both ends 112 protrude inward or have a flat shape, a shaft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in the drum casing 120, inserted into both ends, and then the shaft is rotated to rotate the rotor. Since this is a simple change depending on the shape of both ends 112,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물질에 의해 동력전달 수단인 타이밍벨트(124)나 기어(126)사이로 끼이거나 파손될 우려를 예방하기 위해 보호대(125)를 장착할 수 있다. 보호대(125)는 타이밍벨트(124)나 기어(126)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드럼케이싱(120)의 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차단막(140)에 의해 타이밍벨트(124)나 기어(126) 내면으로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A protector 125 can be install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timing belt 124 or the gear 126, which are power transmission means, or being damaged. The guard 125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timing belt 124 or the gear 126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drum casing 120. Additionally, the blocking film 140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coming trapped inside the timing belt 124 or the gear 126.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자(110)는 회전모터(123)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본 발명은 회전모터(123)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자(110)의 회전속도가 사용자에 의하여 움직이는 청소기 헤드의 이동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작동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e roto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by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the rotation motor 123.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or 110 rotated by the rotation motor 123 operates much faster than the moving speed of the cleaner head moved by the user.

도 10을 참고하여 회전자(110)의 회전속도 제어는 청소기 헤드의 이동속도를 감지하여 최적의 흡입력을 달성하도록 회전자(110)의 회전속도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자동제어방식 또는 사용자가 직접 속도를 결정하는 수동제어방식 중에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rotation speed control of the rotor 110 is an automatic control method that detects the moving speed of the vacuum cleaner head and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or 110 to achieve optimal suction power, or the user directly controls the rotation speed. It can be any one of the manual control methods that determines .

자동제어방식은 청소기 헤드의 이동속도, 즉 사용자가 청소기 헤드를 움직이는 속도(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를 검출한다. 이때에는 적외선, 레이저 또는 가속도 센서 등 이미 개발된 센서를 이용한다. 센서(미도시)는 청소기 헤드의 일측에 부착되며, 센서로부터 청소기 헤드의 속도 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미도시)는 충분한 흡입력이 제공되도록 회전모터(123)의 회전 속도를 적당하게 가감한다. 이때에 회전자(110)의 실제 속도를 검출하여 회전모터(123)의 회전속도를 제어에 반영할 수 있다. The automatic control method detects the moving speed of the vacuum cleaner head, that is, the speed (which may include the direction) at which the user moves the vacuum cleaner head. In this case, already developed sensors such as infrared, laser, or acceleration sensors are used. A sensor (not shown)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leaner head,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speed information of the cleaner head from the sensor appropriately adjusts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ry motor 123 to provide sufficient suction power. At this time, the actual speed of the rotor 110 can be detect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motor 123 can be reflected in the control.

수동제어방식은 회전모터(123)의 회전 속도를 전압, 전류 또는 펄스 등으로 조절하는 스위치를 두고,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가 선택되면 회전모터(123)를 선택된 회전속도로 구동시킨다. 스위치는 단계를 직접 누르는 버튼식, 누르는 횟수별로 속도가 변경되는 터치식, 위치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식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속도를 결정하는 모든 방식이 포함된다. The manual control method has a switch that adjusts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motor 123 with voltage, current, or pulse, and when the switch is selected by the user, the rotation motor 123 is driven at the selected rotation speed. Switches include all methods in which the user directly determines the speed, such as a button type that directly presses the step, a touch type that changes the spe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it is pressed, and a slide type that moves the position.

도 1,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러넥(130)은 상기 드럼케이싱(120)과 함께 진공청소기 헤드(10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으로, 양단부에 드럼케이싱(120)을 지지하기 위한 원형형상의 고정부(132)가 형성되고, 양단 고정부(132) 사이에 있는 노출부(133)는 드럼케이싱(12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비어있다. 상기 노출부(133)는 내부에 삽입되는 드럼케이싱(120)을 노출시키며, 드럼케이싱(120)의 저면인 슬릿(121)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단에는 이물질을 집진기로 유도하는 중공 원통형의 흡입관(131)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5, and 9, the roller neck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vacuum cleaner head 100 together with the drum casing 120, and has drum casings (at both ends) A circular fixing part 132 is formed to support the 120, and the exposed part 133 between the two end fixing parts 132 is empty so that the drum casing 12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exposed portion 133 exposes the drum casing 120 inserted inside, and the slit 121, which is the bottom of the drum casing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A hollow cylindrical suction pipe 131 is formed at the top to guide foreign substances to the dust collector.

상기 흡입관(131)은 드럼케이싱(120)의 배출홀(128)과 연통되어 있어, 회전자(110)의 외부로 빠져나온 이물질이 상기 배출홀(128)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흡입관(131)을 통하여 집진기(미도시)로 이동한다. The suction pipe 13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hole 128 of the drum casing 120, so foreign substances exiting the rotor 110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8, and the suction pipe 131 It moves to the dust collector (not shown).

또한, 상기 롤러넥(130)의 양측면을 밀폐시키는 측벽(150)이 구비된다.In addition, side walls 150 are provided to seal both sides of the roller neck 130.

상기 롤러넥(130)의 너비는 드럼케이싱(120)의 양단부에서 일정 거리 연장된 길이를 가진다. 연장된 길이만큼 롤러넥(130)은 양단에 공간을 형성한다. 형성된 공간의 일부는 드럼케이싱(120)의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132)로 형성된다.The width of the roller neck 130 has a length extending a certain distance from both ends of the drum casing 120. The roller neck 130 forms spaces at both ends along the extended length. A portion of the formed space is formed as a fixing part 132 for supporting the drum casing 120.

상기 롤러넥(130)은 드럼케이싱(120)을 지지하고 외형을 이루는 구성이다. 그러나 롤러넥(130)은 선택적으로 차용할 수 있는 구성이며, 드럼케이싱(120)이 외형을 이루도록 하고 배출홀(128)을 관으로 형성하여 집진기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조와 형상을 충분히 변형하여 흡입관(131)을 대체하면 드럼케이싱(120)이 롤러넥(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roller neck 130 supports the drum casing 120 and forms the outer shape. However, the roller neck 130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selectively adopted, and the structure and shape are sufficiently modified so that the drum casing 120 forms an external shape and the discharge hole 128 can be formed into a pipe to guide it to the dust collector. If 131 is replaced, the drum casing 12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roller neck 130.

본 발명에서 모터의 흡입력에 의한 공기유동은 슬릿(121)의 개방면(121a)을 통해 회전자(110) 내부로 유입되고, 슬릿(121)의 반대면에 있는 개구부(111)를 통해 회전자(110)를 빠져나와 흡입관(131)으로 유도되어 집진기로 유동한다. 따라서 유동경로를 최단거리로 형성할 수 있어 흡입효율이 향상되고 소음이 저감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 caus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motor flows into the rotor 110 through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and flows into the rotor 110 through the opening 11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lit 121. It exits (110) and is guided to the suction pipe (131), where it flows to the dust collector. Therefore, the flow path can be formed with the shortest distance, improving suction efficiency and reducing noise.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헤드(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he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가동하면, 모터에서는 흡입 압력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흡입한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to operate, the motor generates suction pressure and sucks in foreign substances.

흡입 압력에 의한 공기의 유동경로는 청소대상면에서 슬릿(121)의 개방면(121a)을 통해 회전자(110)의 내부로 유입되며, 회전자(110) 내부의 중공면(114)을 지나 슬릿(121)의 반대면에 있는 개구부(111)으로 회전자(110)를 빠져나가고, 드럼케이싱(120)의 상부면에 있는 배출홀(128)을 통해 흡입관(131)으로 이동하여 집진기로 이동한다. The air flow path due to the suction pressure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rotor 110 through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passes through the hollow surface 114 inside the rotor 110. It exits the rotor 110 through the opening 11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lit 121, moves to the suction pipe 131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8 on the upper side of the drum casing 120, and moves to the dust collector. do.

청소대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슬릿(121)을 통과하되 차단부(113)에 의해 막힌 차단면(121b)으로는 흡입될 수 없고 개구부(111)와 슬릿(121)이 중첩된 영역인 개방면(121a)을 통해 회전자(110) 내부로 유입된다.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pass through the slit 121, but cannot be sucked into the blocking surface 121b blocked by the blocking part 113, and cannot be sucked into the open surface, which is the area where the opening 111 and the slit 121 overlap. It flows into the rotor 110 through (121a).

회전자(11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회전자(110) 내부를 채우는 바디면(115)에 의해 회전자(110) 내부에서 계류하지 않고 최단경로로 회전자(110)를 빠져나가게 된다. Foreign matter that flows into the rotor 110 is not stopped inside the rotor 110 by the body surface 115 that fills the inside of the rotor 110, but exits the rotor 110 through the shortest path.

배출홀(128)과 개구부(111)가 중첩되는 영역에서 이물질이 빠져나가게 되는데, 회전자(110)으로의 유입부터 배출까지 최단경로로 안내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어느 구조물에 걸리지 않고 신속히 빠져나가게 되며, 흡입경로를 이물질이 막지 않아 흡입효율이 향상되고 소음이 저감된다. Foreign matter comes out from the area where the discharge hole 128 and the opening 111 overlap. Since it is guided through the shortest path from the inflow into the rotor 110 to the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escapes quickly without getting caught in any structure. Since foreign substances do not block the suction path, suction efficiency is improved and noise is reduced.

배출홀(128)과 개구부(111)를 통하여 회전자(110) 및 드럼케이싱(120)을 빠져나온 이물질은 흡입 경로를 따라 흡입관(131)으로 유도되어 집진기로 이동된다. Foreign matter that exits the rotor 110 and the drum casing 12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8 and the opening 111 is guided to the suction pipe 131 along the suction path and moved to the dust collector.

롤러넥(130)의 구성을 차용하지 않고 드럼케이싱(120)이 헤드부의 외형을 이룰 시에는 배출홀(128)과 연통된 흡기관(미도시)이 드럼케이싱(120)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집진기로 안내할 수 있다. When the drum casing 120 forms the shape of the head portion without adop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ller neck 130, an intake pipe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128 is formed in the drum casing 120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You can be guided by: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헤드(100)는 넓은 바닥면을 청소시에 사용되는 일반 헤드의 흡입구에 흡입력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강한 흡입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vacuum cleaner he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suction force from being distributed to the suction port of a general head used when cleaning a large floor surface and maintaining strong suction force.

또한 본 발명은 거실과 같은 넓은 바닥면을 청소시에 작은 크기의 모터를 사용하면서도 넓은 면적을 흡입할 수 있어 강한 흡입력을 가지고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lean a large area with strong suction power because it can suction a large area while using a small-sized motor when cleaning a large floor surface such as a living room.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이 있는 바닥면에 한정하여 흡입하고, 바닥면에서도 드럼케이싱(120)의 개방된 슬릿(121)과 회전자(110)의 개구부(111)가 동시에 만나는 지점에서만 집중 흡입을 할 수 있도록 제한하면서, 회전자(110)의 개구부(111)의 위치를 변경시켜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uction limited to the bottom surface where foreign substances are present, and even on the bottom surface, concentrated suction can be performed only at the point where the open slit 121 of the drum casing 120 and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meet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arge area can be clean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while limiting the cleaning.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회전력(흡입력)을 제공하는 무선청소기의 배터리의 용량을 줄여 사용자가 가볍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users to use it lightly by reducing the battery capacity of a cordless vacuum cleaner that provides the same rotational force (suction force).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회전력으로 큰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은 용량의 모터를 사용해 소음이 상대적으로 작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a large suction force with the same rotational force and having relatively low noise by using a small capacity motor.

100:진공청소기 헤드
110:회전자
111:개구부 112:양단부 113:차단부 114:중공면 115:바디면
120:드럼케이싱
121:슬릿 121a:개방면 121b:차단면
122:케이싱홀 123:회전모터
124:타이밍벨트 125:보호대 126:기어 127:커버면 128:배출홀
130:롤러넥
131:흡입관 132:고정부 133:노출부
140:차단막
150:측벽
100: Vacuum cleaner head
110: rotor
111: Opening 112: Both ends 113: Blocking portion 114: Hollow side 115: Body side
120: Drum casing
121: Slit 121a: Open side 121b: Blocked side
122: Casing hole 123: Rotating motor
124: Timing belt 125: Protector 126: Gear 127: Cover surface 128: Discharge hole
130: Roller neck
131: Suction pipe 132: Fixed part 133: Exposed part
140:Barrier
150: side wall

Claims (7)

나선형의 외주연을 갖는 개구부(111)를 통해 이물질이 흡입되는 회전자(110);
중공인 내부에 상기 회전자(110)가 삽입되며, 저면에는 청소 대상면의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개방된 슬릿(12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110)를 둘러싸는 커버면(127)이 형성되는 드럼케이싱(120);을 포함하되,
상기 슬릿(121)은 상기 회전자(110)의 개구부(111)에 의한 개방면(121a)과 이물질이 차단되는 차단부(113)에 의한 차단면(121b)이 노출되어 개방면(121a)과 차단면(121b)이 동시에 배치되고,
상기 슬릿(121)의 개방면(121a)은 회전하는 상기 회전자(110)에 의해 가변되는 진공청소기 헤드.
A rotor 110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through an opening 111 having a spiral outer periphery;
The rotor 1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body, and an open slit 121 is formed on the bottom to allow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enter, and a cover surface 127 is formed surrounding the rotor 110. Includes a drum casing (120),
The slit 121 exposes the open surface 121a by the opening 111 of the rotor 110 and the blocking surface 121b by the blocking part 113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blocked, forming an open surface 121a and The blocking surface 121b is disposed at the same time,
A vacuum cleaner head in which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slit (121) is changed by the rotating rotor (1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10)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개구부(111)와 이물질이 차단되는 차단부(113)가 교차되며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1)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헤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otor 110 is a vacuum cleaner head in which an opening 111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nd a blocking part 113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blocked intersect to form the openings 111 continuous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케이싱(120)의 슬릿(121)은 상기 개방면(121a)에서만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청소기 헤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lit 121 of the drum casing 120 is a vacuum cleaner head that sucks foreign substances only from the open surface 121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케이싱(120)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자(110)의 개구부(111)와 슬릿(121)이 동시에 형성된 개방면(121a)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홀(128)이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헤드.
According to paragraph 1,
At the top of the drum casing 120,
A vacuum cleaner head in which an discharge hole 128 is formed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pen surface 121a of the rotor 110 where the opening 111 and the slit 121 are simultaneous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릿(121)에 노출되는 개방면(121a)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헤드의 이동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진공청소기 헤드
According to paragraph 1,
As the rotor 110 rotates, the open surface 121a exposed to the slit 121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orms a vacuum cleaner head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케이싱(120)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자(110)의 개구부(111)와 슬릿(121)이 동시에 형성된 개방면(121a)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드럼케이싱(120)을 경유하여 흡기관(134)으로 유도되는 롤러넥(130);를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헤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um casing 120 is inserted, and foreign matter flowing in from the open surface 121a where the opening 111 and the slit 121 of the rotor 110 are formed simultaneously passes through the drum casing 120 and enters the intake pipe. A vacuum cleaner head further comprising a roller neck (130) guided to (1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10)에서
이물질이 차단되는 상기 차단부(113)는 내부가 채워진 바디면(115)이 형성되고,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개방면(121a)를 통과하고 상기 바디면(115) 사이를 지나 중심의 반대면의 개구부(111)를 관통하는 진공청소기 헤드.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rotor 110
The blocking portion 113, which blocks foreign substances, is formed with a body surface 115 filled with the inside,
A vacuum cleaner head in which introduced foreign matter passes through the open surface (121a), passes between the body surfaces (115), and penetrates the opening (11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enter.
KR1020220031469A 2022-03-14 2022-03-14 A Vacuum Cleaner Head KR2023013431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469A KR20230134315A (en) 2022-03-14 2022-03-14 A Vacuum Cleaner Head
PCT/KR2022/003693 WO2023176993A1 (en) 2022-03-14 2022-03-16 Vacuum cleaner h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469A KR20230134315A (en) 2022-03-14 2022-03-14 A Vacuum Cleaner He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315A true KR20230134315A (en) 2023-09-21

Family

ID=8802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469A KR20230134315A (en) 2022-03-14 2022-03-14 A Vacuum Cleaner Hea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4315A (en)
WO (1) WO2023176993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32Y1 (en) 2000-10-24 2001-10-25 권철신 Vacuum Cleaner with a Sliding Scale Type Head-Beam and an Auxiliary Brush
KR20200117358A (en) 2019-04-04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01774A (en) * 1925-03-12 1926-10-05 Carl F Scheffer Vacuum tool
KR19990003481A (en) * 1997-06-25 1999-01-15 최진호 Suction device of vacuum cleaner
US6260232B1 (en) * 1998-09-22 2001-07-17 Marc O. Nelso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0306319Y1 (en) * 2002-11-27 2003-03-04 홍재희 Vacuum cleaning appointment suction head the brush is had built-in
KR20090001312U (en) * 2007-08-02 2009-02-0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102378303B1 (en) * 2021-03-10 2022-03-25 고순정 A Vacuum Cleaner Hea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32Y1 (en) 2000-10-24 2001-10-25 권철신 Vacuum Cleaner with a Sliding Scale Type Head-Beam and an Auxiliary Brush
KR20200117358A (en) 2019-04-04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6993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591B1 (en) Robot cleaner
KR20080087596A (en) Robot cleaner
CA2359778C (en) Suction port assembly of vacuum cleaner
KR20130137580A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handy-type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012375B1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20220010298A (en) Cleaner
KR102378303B1 (en) A Vacuum Cleaner Head
KR20230134315A (en) A Vacuum Cleaner Head
KR101084122B1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JP4607683B2 (en) Vacuum cleaner suction tool
KR20070016420A (en) Suction Unit for Cleaner
KR101330729B1 (en) Robot cleaner
JP2003153830A (en) Stationary dust collector for floor
KR100854144B1 (en) Robot cleaner
KR20120032496A (en) Robot cleaner
KR100504892B1 (en) Upright vacuum cleaner
KR100584261B1 (en)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liding Type Brush
CN218165140U (en) Surface cleaning device
KR100667861B1 (en) Vacuum cleaner
KR101300955B1 (en) Dust collector and electrical cleaner
JP2019030456A (en) Suction body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108047B1 (en) Robot Cleaner
KR0133742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suction power of brush for a vacuum cleaner
KR200328541Y1 (en) Nozzle for cleaner
KR0158386B1 (en) Vacuum cleaner with double suction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