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679A -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preparation for communication error - Google Patents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preparation for communication e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679A
KR20230133679A KR1020220030941A KR20220030941A KR20230133679A KR 20230133679 A KR20230133679 A KR 20230133679A KR 1020220030941 A KR1020220030941 A KR 1020220030941A KR 20220030941 A KR20220030941 A KR 20220030941A KR 20230133679 A KR20230133679 A KR 20230133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reactive power
control command
renewable
renewabl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승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30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679A/en
Publication of KR2023013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67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1Methods to deal with contingencies, e.g. abnormalities, faults or fail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신오류에 대비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은, 신재생 발전기의 발전량과 연계된 계통의 상태 데이터(발전기 유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무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연계지점 전압, 연계지점 유효전력 정보, 연계지점 무효전력 정보 중 적어도 2 이상)를 입력받는 데이터입력 단계; 통신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입력 단계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중앙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통신오류가 발생되면, 신재생 발전기의 발전량 및 상기 계통의 상태 데이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err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ystem status data (generator 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connection point voltage, connection point active power information) linked to the power generation of the renewable generator. , a data input step of receiving at least 2 of the reactive power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point; If a communication error does not occur, controlling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a central control command derived using the data input in the data input step; And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t may include performing an independent response based on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bout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renewable generator and status data of the system.

Description

통신오류에 대비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및 장치{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PREPARATION FOR COMMUNICATION ERROR}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errors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PREPARATION FOR COMMUNICATION ERROR}

본 발명은 광범위 분산전원 발전단지에서 통신오류가 발생시 지령을 보정하는 방식으로 독자적으로 제어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풍력발전단지에서 개별 풍력 발전기(터빈)에 대한 통신오류에 대비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renewable generator independently by correcting commands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n a wide-distributed power generation complex.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renewable generator in a manner that corrects a command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n a widely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complex. It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new and renewable generators.

탄소 중립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원(분산전원)의 경우, 발전단지 및 인프라 구성과정에서 일반적으로 통신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는 광범위한 지역에 구성되기 때문에, 각 제어 신호의 생성·전달과정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As the importance of carbon neutrality emerges, interest in new and renewable energy is increasing, and in the cas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distributed power sources), the distribution of which is accelerating recently, communication errors are generally frequent during the construction of power generation complexes and infrastructure. Because it is comprised of a wide area where it can occur, there may be errors in th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process of each control signal.

도 1은 신재생에너지 관리시스템 데이터 취득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data acquisition structure of a renewable energy management system.

도시한 구성에서는 각 제어관리시스템 전용으로 SCADA 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할 수 있으나, 모니터링 대상이 많고, 대상 기기의 다양화·복잡화로 인해 변수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In the configuration shown, a SCADA system can be built and utilized exclusively for each control management system, but there are many monitoring targets and the variables are expanding due to the diversification and complexity of target devices.

실제 신재생에너지 대상 EMS 시스템을 확인하면, 하기 표 1에 예시한 제주지역 데이터 누락 사례와 같이, 통신오류에 의한 공란이 빈번하며 이러한 상황에서의 제어 어려움으로 인해 신뢰성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When checking the actual EMS system targeting new and renewable energy, blank spaces due to communication errors are frequent, as shown in the case of missing data in the Jeju area as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re are concerns about reduced reliability due to control difficulties in such situations.

이에 대한 추가 보상 조치를 구성하지 않을 경우, 실제 전력 제어 과정에서 부적절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If additional compensation measures are not taken for this, inappropriate results may occur in the actual power control process.

도 2는 대규모 풍력발전단지에서의 주요 고려 대상을 나타낸 개념도이다.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major considerations in large-scale wind power plants.

대규모 풍력발전단지의 경우 광역으로 구성되고, 개별 제어 신호가 안정적으로 전송되어야, Curtailment(출력제한), 저전압 대응 지령을 수월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이 도출될 것이 요망된다.In the case of large-scale wind power plants, they must be organized in a wide area and individual control signals must be transmitted stably so that curtailment (output limit) and low-voltage response commands can be easily transmitted. It is necessary to devise a plan to prepare for such situations.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는 하나의 Closed-control을 형성하게 되나, 특정 지점의 오류로 인해 계통 정보 및 지령을 반영할 수 없을 수 있으며, 최근 중앙제어형 발전단지 구조에서는 치명적인 상황이 유발될 수 있다.The structure shown in Figure 2 forms one closed-control, but system information and commands may not be reflected due to errors at specific points, and in recent centrally controlled power generation complex structures, a fatal situation may be caused. there is.

도 3은 풍력발전단지 통신오류 발생 시 취약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vulnerable parts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n a wind power farm.

특히, 최근 복잡화되고 있는 풍력발전단지 무효전력 제어관리방법에서 특정 목적함수를 고려할 경우, 도 3과 같은 구조에서 통신오류 발생 시, 지령 추종이 어렵고, 통신오류가 지속될 경우, 계통의 전압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In particular, when considering a specific objective function in the wind power farm reactive power control management method, which has recently become more complex, it is difficult to follow commands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 3, and when the communication error persists, it is flexible to voltage fluctuations in the system. This is a situation that cannot be dealt with easily, so countermeasures are needed.

대한민국 등록공보 10-2071469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ublication No. 10-2071469

본 발명은 통신오류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목적함수를 유지하면서 발전 제어에 대한 지령을 획득할 수 있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 device that can obtain commands for power generation control while stably maintaining the objective function even in communication error situation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오류에 대비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은, 신재생 발전기의 발전량과 연계된 계통의 상태 데이터(발전기 유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무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연계지점 전압, 연계지점 유효전력 정보, 연계지점 무효전력 정보 중 적어도 2 이상)를 입력받는 데이터입력 단계; 통신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입력 단계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중앙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통신오류가 발생되면, 신재생 발전기의 발전량 및 상기 계통의 상태 데이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controlling a renewable generator in preparation for a communication err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ystem status data (generator 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connection point voltage, connection A data input step of receiving at least two of branch active power information and linkage point reactive power information; If a communication error does not occur, controlling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a central control command derived using the data input in the data input step; And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t may include performing an independent response based on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bout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renewable generator and status data of the system.

여기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재생 발전기가 독자적으로 측정 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압변동 발생시, 통신 오류에 의해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변동이 없으면, 제어 지령을 개별적으로 변경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Here,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dependent response is a method of individually changing the control command when a voltage fluctuation occurs based on information that the renewable generator can independently measur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due to a communication error. It can be operated as

여기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재생 발전기 연계지점의 전압 및 전류의 측정값 변화로부터, 상기 신재생 발전기의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dependent response, the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of the renewable generator can be estimated from the change in measured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at the renewable generator connection point.

여기서, 상기 발전기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통신 오류가 없으면 발전 단지에 대한 중앙 제어 서버가 생성한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controlling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generator control command includes: obtaining the central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the central control server for the power generation complex if there is no communication error; storing the central control command; And i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central control command.

여기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재생 발전기의 계통과의 연계 지점의 전압 및 전류의 측정값을 획득하고, 변화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측정값의 변화로부터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예상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지령의 변화를 이전 시점의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반영하여 생성한 독자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dependent response includes obtaining measured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at a connection point with the system of the renewable generator and deriving changes; predicting a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from a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And i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independent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reflecting the change in the control command to the central control command at a previous time.

여기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연계 지점의 전압에 따라 계통 안정성을 확인하고, 기존의 무효전력 제어의 목적함수를 준수하는 범위에서 무효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dependent response, system stability may be confirmed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connection point, and reactive power may be supplied within a range that complies with the objective function of existing reactive power control.

여기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하기 수학식에 따른 목적함수를 준수한 상태에서 전압 회복에 필요한 무효전력 출력 지령을 독자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dependent response, the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required for voltage recovery can be independently updated while complying with the objec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QGn은 노드 n에서의 풍력 발전기의 무효전력 공급량, Qnn+1은 노드 n과 n+1 사이의 무효전력 흐름, QCn은 선로의 커패시턴스에서 발생하는 노드 n에서 무효전력 주입량, J는 계통의 자코비안 행렬 상수, U는 연계지점 전압, δ는 위상각 정보)(Q Gn is the amount of reactive power supplied by the wind generator at node n, Q nn+1 is the reactive power flow between nodes n and n+1, Q Cn is the amount of reactive power injection at node n resulting from the capacitance of the line, J is Jacobian matrix constant of the system, U is the connection point voltage, δ is phase angle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독자 제어 지령을 결정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dependent action, an independent control comman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η: 무효전력 공급에 대한 지분) (η: Share of reactive power supply)

여기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하기 수학식에 따른 목적함수를 준수한 상태에서 전류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효전력 출력 지령을 독자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dependent response, the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that minimizes current loss can be independently updated while complying with the objec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Pref, Qref는 풍력발전기에 입력되는 최대출력추종제어(MPPT) 계산 값 또는 최대 출력 지령과 무효전력 지령을 나타내고, Vn은 n 지점에서의 전압변동, r은 케이블 저항성분)(P ref and Q ref represent the maximum output tracking control (MPPT) calculated value or maximum output command and reactive power command input to the wind power generator, Vn is the voltage change at point n, and r is the cable resistan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신오류에 대비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장치는, 발전 단지의 중앙 제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신재생 발전기의 발전량과 연계된 계통의 상태 데이터(발전기 유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무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연계지점 전압, 연계지점 유효전력 정보, 연계지점 무효전력 정보 중 적어도 2 이상)를 입력받는 발전 단지 데이터 접수부; 상기 계통의 상태 데이터 및 상기 상태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중앙 제어 지령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신재생 발전기의 계통과의 연계 지점의 측정값 변화를 도출하는 연계 지점 측정값 변화 도출부; 상기 측정값 변화로부터 예상되는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산출하는 제어 지령 변화 산출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통신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고, 통신오류가 발생되면,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이용하여 독자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발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communication error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central control server of a power generation complex;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status data of the system linked to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renewable generator (at least two of the generator 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connection point voltage, connection point active power information, and connection point reactive power information) ) a power generation complex data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input; a storage unit that stores status data of the system and central control commands derived from the status data; a connection point measurement value change deriving unit that derives a measurement value change at a connection point with the system of the renewable generator; a control command chang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expected from the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And if a communication error does not occur in the communication unit, it will include a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central control command, and if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performs independent control using a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You can.

여기서, 상기 발전 제어부는, 상기 신재생 발전기가 독자적으로 측정 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압변동 발생시, 통신 오류에 의해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변동이 없으면, 제어 지령을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Here,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may individually change the control command based on information that the renewable generator can independently measur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due to a communication error when a voltage fluctuation occurs.

여기서, 상기 발전 제어부는, 상기 신재생 발전기 연계지점의 전압 및 전류의 측정값 변화로부터, 상기 신재생 발전기에 대한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추정하고, 상기 제어 지령의 변화를 이전 시점의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반영하여 생성한 독자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estimates the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for the renewable generator from the change in measured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at the renewable generator connection point, and determines the change in the control command at the central point at the previous time. The renewable generator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n independent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reflecting the control command.

여기서, 상기 발전 제어부는, 상기 연계 지점의 전압에 따라 계통 안정성을 확인하고, 기존의 무효전력 제어의 목적함수를 준수하는 범위에서 무효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may check grid stability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connection point and supply reactive power within a range that complies with the objective function of existing reactive power control.

여기서, 상기 발전 제어부는, 하기 수학식에 따른 목적함수를 준수한 상태에서 전압 회복에 필요한 무효전력 출력 지령을 독자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Here,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can independently update the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required for voltage recovery while complying with the objec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여기서, 상기 발전 제어부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독자 제어 지령을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may determine an independent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통신오류에 대비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및/또는 장치를 실시하면, 통신오류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목적함수를 유지하면서 발전 제어에 대한 지령을 획득하여 신재생 발전기의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or device for communication error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implemented, commands for power generation control are obtained while stably maintaining the objective function even in communication error situations, and the renewable generator is There is an advantage in being able to carry out the development of.

본 발명의 통신오류에 대비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및/또는 장치는, 광범위 영역으로 구성된 풍력발전단지 운영 중 통신오류가 발생했을 시, 터빈 발전 지령을 보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or device for communication err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lement turbine power generation commands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during the operation of a wind farm consisting of a wide area.

본 발명의 통신오류에 대비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및/또는 장치는, 계통의 안정적인 운영에 주목하여 전압변동 발생 시, 자체적으로 적절한 무효전력 값을 추종 및 산정하여 개별 풍력발전기에 지령으로 할당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or device for communication err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stable operation of the system and, when voltage fluctuations occur, automatically tracks and calculates appropriate reactive power values and assigns them as commands to individual wind power generators. There are benefits to this.

본 발명의 통신오류에 대비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및/또는 장치는, 통신오류 상황이 입력되는 비상시에도 자체적 판단으로 필요한 무효전력 공급량을 도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or device for communication err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rive the required amount of reactive power supply through its own judgment even in an emergency when a communication error situation is input.

본 발명의 통신오류에 대비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및/또는 장치는, 제어 지연상태를 인지한 후에 자체적인 지령 수정을 진행함에 따라 무효전력 지령이 보상되어, 연계지점의 전압 또한 빠르게 안정되는 이점이 있다.The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or device for communication err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reactive power command is compensated by correcting its own command after recognizing the control delay state, and the voltage at the connection point is also quickly stabilized. There is.

본 발명의 통신오류에 대비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및/또는 장치는, 지령 수정(보상)에 대한 time delay 및 전압 변동이 국내 규정에 위반되지 않도록 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or device for communication err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lleviate time delay and voltage fluctuations for command correction (compensation) so as not to violate domestic regulations.

본 발명의 통신오류에 대비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및/또는 장치는, 풍력발전단지의 운영 측면에서 안정성 확대를 위해 활용이 가능하며, 기존 중앙 관리시스템에 대해 사업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 method and/or device for controlling renewable generators against communication err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increase stability in terms of operation of wind power plant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mmercializable for existing central management systems.

도 1은 신재생에너지 관리시스템 데이터 취득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대규모 풍력발전단지에서의 주요 고려 대상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풍력발전단지 통신오류 발생 시 취약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풍력발전단지 중앙제어형 관리구조에서의 유효전력/무효전력 지령 전달 차이를 표현한 개념도.
도 5는 통신 오류 상태에서도 풍력발전시스템에 지속적·실시간으로 무효전력을 할당하기 위한 독자 대처 방안의 전체 개념도.
도 6은 목적함수 도입 상황에서 통신오류 발생 시 수정 개념을 표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독자 대처가 가능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도 7의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9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통신오류 보정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도록 설계된 모의 시험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a 및 10b는 통신오류 없는 안정적 상황에서의 연계지점의 전압 및 무효전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a 내지 11d는 통신오류 없는 풍력발전단지 내 개별 풍력발전기의 무효전력 공급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
도 12a 및 12b는 통신오류 상황에서의 연계지점의 전압 및 무효전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3a 내지 13d는 통신오류 상태에서 풍력발전단지 내 개별 풍력발전기의 무효전력 공급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
도 14a 및 14b는 보정모델 삽입 후 통신오류 상황에서의 연계지점의 전압 및 무효전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15a 내지 15d는 보정모델 삽입 후 통신오류 상태에서 풍력발전단지 내 개별 풍력발전기의 무효전력 공급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data acquisition structure of a renewable energy management system.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major considerations in large-scale wind power generation complexes.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vulnerable parts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n a wind power farm.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expressing the difference in transmission of active power/reactive power commands in the central control management structure of a wind power plant.
Figure 5 is an overall conceptual diagram of an independent response plan for continuously and real-time allocating reactive power to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even in a communication error state.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expressing the concept of correction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n a situation where an objective function is introduced.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capable of independent respons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of FIG. 7.
Figure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test system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error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a and 10b are graphs showing the voltage and reactive power of the connection point in a stable situation without communication errors.
Figures 11a to 11d are graphs showing the reactive power supply status of individual wind power generators in a wind power farm without communication errors.
Figures 12a and 12b are graphs showing the voltage and reactive power of the connection point in a communication error situation.
Figures 13a to 13d are graphs showing the reactive power supply situation of individual wind power generators in a wind power farm in a communication error state.
Figures 14a and 14b are graphs showing the voltage and reactive power of the connection point in a communication error situation after inserting the correction model.
Figures 15a to 15d are graphs showing the reactive power supply situation of individual wind power generators in a wind power farm in a communication error state after inserting a correction model.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intend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nclu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본 제안기술은 광범위 영역으로 구성된 풍력발전단지 운영 중 통신오류가 발생했을 시, 지령을 보완하는 기법 및 통신오류 상황이 입력되는 비상시에도 자체적 판단으로 필요한 무효전력 공급량을 도출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This proposed technology seeks to provide a technique to supplement commands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during the operation of a wind power farm consisting of a wide area, and a method to derive the required amount of reactive power supply through independent judgment even in an emergency when a communication error situation is input.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목적함수를 준수하면서 계통의 전압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대응하는 방안을 개발하여, 하나의 제어 모듈로서 구성할 수 있도록 정식화를 추구한다. 해당 방안은 개별 풍력발전의 제어기로 삽입되어, 저전압 발생 시 풍력발전기의 측정정보를 바탕으로 자체적으로 지령 수정이 가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evelops a method that effectively reflects and responds to the grid voltage while complying with the objective function, and pursues formalization so that it can be configured as a single control module. This method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roller of an individual wind power plant, allowing self-correction of commands based on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wind power generator when low voltage occurs.

먼저, 통신오류가 없는 경우의 풍력발전단지 중앙제어/관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First, we will explain the central control/management of the wind power farm when there is no communication error.

도 4는 풍력발전단지 중앙제어형 관리구조에서의 유효전력/무효전력 지령 전달 차이를 표현한 개념도이다.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expressing the difference in transmission of active power/reactive power commands in the central control management structure of a wind power plant.

계통운영자(TSO)는 풍력 발전소의 예상 유효전력 출력량에 따라 수요와 공급 사이의 전력 균형을 유지해야 하며, 각 풍력발전기에 대한 유·무효전력 지령 신호를 계산·전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의 보조가 요구된다.The grid operator (TSO) must maintain power bala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according to the expected active power output of the wind power plant, and assistance from a management system to calculate and transmit active and reactive power command signals for each wind power generator is required. do.

유·무효전력 지령을 위한 해당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계통운영자(TSO)는 필요한 풍력 발전량(유효·무효전력)을 풍력발전단지의 중앙 관리시스템(WFMS)에 보내고, 풍력발전단지 연계지점(PCC)에 주목하고 있는 중앙 관리시스템은 각 풍력발전기에 지령 신호를 전달한다.The relevant process for commanding active and reactive power is as follows. First, the system operator (TSO) sends the required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active/reactive power) to the wind farm's central management system (WFMS), and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which focuses on the wind farm connection point (PCC), controls each wind power generator. Delivers a command signal to

유효전력의 경우, 일반적으로 최대출력제어를 수행하나, 운영자로부터 Curtailment(출력제한) 신호가 입력될 경우, 최대 출력량 설정을 진행하게 된다.In the case of active power, maximum output control is generally performed, but when a Curtailment (output limit) signal is input from the operator, the maximum output amount is set.

국내 Curtailment(출력제한) 신호는 10분 이상의 주기로 설정되어, 통신오류에 영향이 민감하지 않을 수 있으나, 무효전력의 경우 저전압 상황이 발생하면 즉각적인 대응이 요구될 수 있으므로, 단기 통신오류도 계통 상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Domestic curtailment (output limit) signals are set at intervals of 10 minutes or more, so they may not be sensitive to communication errors. However, in the case of reactive power, immediate response may be required when a low voltage situation occurs, so even short-term communication errors can affect the grid situation. It can have an impact.

무효전력의 경우, 중앙 관리시스템이 활용하는 목적함수에 따라 결정되나,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최적화 기법의 경우, 복잡한 계산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분배방식(동일 분배)와 지령 값에 차이가 발생하며, 통신 오류 시 능동적인 대처가 어려울 수 있다.(동일 분배 지령 값과 최적화 기법의 지령 값의 차이 발생 시 리플 발생) 특히, 통신오류 발생 후, 전압 강하 발생 시, 전압 회복을 위한 대처가 어렵게 된다.In the case of reactive power,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bjective function used by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but in the case of commonly used optimization techniques, a complex calculation process is required, so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distribution method (equal distribution) and the command value. , Active response may be difficult in the event of a communication error (ripple occurs whe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ame distribution command value and the command value of the optimization technique). In particular, when a voltage drop occurs after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t becomes difficult to respond to voltage recovery. .

본 발명에서는 통신오류가 발생했을 시 풍력발전기 내부에서 측정 가능한 값(전압, 현재 유효전력 출력)을 바탕으로 계통연계지점의 전압을 회복하는 무효전력 출력 값을 외부의 신호 입력 없이 능동적으로 독자 대처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the reactive power output value that restores the voltage at the grid connection point based on the measurable value (voltage, current active power output) inside the wind power generator is actively responded to without external signal input. We want to come up with a plan.

도 5는 통신 오류 상태에서도 풍력발전시스템에 지속적·실시간으로 무효전력을 할당하기 위한 독자 대처 방안의 전체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the overall concept of an independent response plan for allocating reactive power to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ontinuously and in real time even in a communication error state.

발명의 기본 원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풍력발전기가 통신오류시 0값, 혹은 이전 상태의 지령 값을 추종하는 것을 고려하여, 통신오류 상황에서도 측정 가능한 값을 반영하여 목적함수를 일정 부분 반영하여 통신오류 전/후의 제어 신호를 Acceptance zone에 위치하도록 자체 수정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각 풍력터빈 제어기에 삽입하여, 능동적 대처가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As shown in Figure 5, the basic principle of the invention is to consider that the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or follows the 0 value or the previous state command value in the event of a communication error, and creates an objective function by reflecting the measurable value even in the communication error situation. This is a method that develops a self-correction algorithm to reflect a certain amount of control signals before and after a communication error and places them in the acceptance zone, and inserts it into each wind turbine controller to enable active response.

도 6은 목적함수 도입 상황에서 통신오류 발생 시 수정 개념을 표현한 개념도이다.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expressing the concept of correction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n a situation where an objective function is introduced.

광역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풍력발전시스템에 지속적·실시간으로 무효전력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통신 상태에 대한 보완 방법이 요구되며, 이는 개별 제어관리시스템 특성에 맞추어 설계되어야 한다.In order to allocate reactive power continuously and in real time to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must be configured in a wide area, a complementary method for communication status is required, which must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control management system.

도 6은 일반적인 목적함수에 기반한 무효전력 배분 방법의 자체 수정 프로세스의 개념을 보여준다. 설정된 목적함수에 따라 풍력발전에 요구되는 무효전력 공급 지령 값이 다를 수 있다. 또한, 사고 등 문제로 인해 일부 터빈은 무효전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계통의 전압 강하 등 변동이 발생할 시, 통신오류에 의해 중앙 제어 서버의 지령 조정 신호가 전달되지 못하면, 계통연계지점의 전압 변동을 보상할 수 없다. 중앙 제어 서버의 보상 신호가 통신문제 유무와 관계없이 원활하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잠재적인 조건을 반영한 수정방안이 필요하다.Figure 6 shows the concept of the self-correction process of the reactive power distribution method based on a general objective function. Depending on the set objective function, the reactive power supply command value required for wind power generation may be different. In addition, a situation may arise in which some turbines are unable to provide reactive power due to problems such as accidents. When changes such as voltage drops in the system occur and the command adjustment signal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is not transmitted due to a communication error, the system connection Point voltage fluctuations cannot be compensated for. In order for the compensation signal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to be transmitted smoothly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mmunication problems, a correction plan that reflects these potential conditions is needed.

V-Q Nodal 분석은 무효전력 흐름 및 AC 전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전압 각과 무효전력 공급량에 따라 시스템을 선형화할 수 있으며, 전력방정식을 표현하면 다음 수학식 1과 같다.V-Q Nodal analysis is commonly used to solve reactive power flow and AC voltage problems. This allows the system to be linearized according to the voltage angle and the amount of reactive power supplied, and the power equation is expressed as Equation 1 below.

여기서, QGn은 노드 n에서의 풍력 발전기의 무효전력 공급량이고, Qnn+1은 노드 n과 n+1 사이의 무효전력 흐름이며, QCn은 선로의 커패시턴스에서 발생하는 노드 n에서 무효전력 주입량을 나타낸다. 또한, J는 계통의 자코비안 행렬 상수, U는 연계지점 전압, δ는 위상각 정보이다.Here, Q Gn is the reactive power supply amount of the wind generator at node n, Q nn+1 is the reactive power flow between nodes n and n+1, and Q Cn is the reactive power injection amount at node n generated from the capacitance of the line. represents. In addition, J is the Jacobian matrix constant of the system, U is the connection point voltage, and δ is phase angle information.

케이블에서 생성되는 무효전력을 무시하면 특정 노드에서 필요한 무효전력의 변화율은 예컨대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이전에 계산된 계수를 따라 할당할 수 있다.Ignoring the reactive power generated in the cable, the rate of change of reactive power required at a specific node can be assigned according to a coefficient previously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above, for example.

따라서, 설정된 목적함수에 의해 무효전력 공급에 대한 지분(n)이 결정된 경우, 풍력발전기는 해당 목적함수를 준수한 상태에서 전압 회복에 필요한 무효전력 공급량(지령신호)을 단독으로 갱신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hare (n) for reactive power supply is determined by the set objective function, the wind power generator can independently update the amount of reactive power supply (command signal) required for voltage recovery while complying with the objective function.

변경되는 지령은 풍력발전기 측에서 측정이 가능한 유효전력 공급량, 무효전력 공급량 및 해당 버스에서의 전압 변화를 반영하여, 공식을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선형화할 수 있다.The changed command reflects the amount of active power supply and reactive power supply that can be measured from the wind power generator, and the voltage change on the corresponding bus, and the formula can be linearized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따라서, 중앙 관리시스템이 활용하는 목적함수를 고려하여, 풍력발전단지에 요구되는 전체 무효전력 공급요구량 대비 현재 풍력발전기의 출력요구량을 기반으로 지분을 설정한다면, 위 식을 통해 전압변동에 대처하는 방안 도출할 수 있다.Therefore, considering the objective function used by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if the stake is set based on the current output demand of the wind power generator compared to the total reactive power supply demand required for the wind power farm, a method of coping with voltage fluctuations using the above equation It can be derived.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독자 대처가 가능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capable of independent respons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은, 신재생 발전기로서 풍력 발전기의 발전량과 연계된 계통의 상태 데이터(발전기 유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무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연계지점 전압, 연계지점 유효전력 정보, 연계지점 무효전력 정보 중 적어도 2 이상)와 운영자의 지령 정보를 입력받는 데이터입력단계(S100); 통신 상태를 확인하여(S200) 통신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입력단계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전기에 대한 중앙 제어 지령(유효전력/무효전력 출력 지령)을 도출하고 그에 따라 상기 풍력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S400); 및 통신오류가 발생되면, 풍력 발전기의 발전량 또는 계통의 상태 데이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is a renewable generator, and the status data of the system linked to the power generation of the wind generator (generator 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connection point voltage, connection point active power information, connection point A data input step (S100) of receiving at least two of the reactive power information and the operator's command information; If the communication status is checked (S200) and no communication error occurs, a central control command (active power/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for the generator is derived using the data input in the data input step, and the wind power generator is operated accordingly. Control step (S400); And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t may include a step (S600) of performing an independent response based on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bout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wind power generator or system status data.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S600)는, 단일 풍력발전기에서 측정 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압변동 발생 시, 통신 오류에 의해 외부 지령 신호에 변동이 없으면, 출력 제어 신호를 개별적으로 변경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dependent response (S600) is to individually change the output control signal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external command signal due to a communication error when a voltage change occurs based on information that can be measured from a single wind power generator. It operates.

통신오류가 발생된 상태에서는, 상기 풍력 발전기의 제어부는, 무효전력 발생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받지는 못하지만, 해당 풍력 발전기와 계통의 연계 지점의 전압 및 전류의 측정값들은 획득할 수 있다.In a state where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the control unit of the wind power generator does not receiv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generation of reactive power, but can obtain measured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wind power generator and the system.

이를 감안하여,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S600)에서는, 상기 풍력 발전기 연계지점의 전압 및 전류의 측정값 변화로부터, 상기 풍력 발전기 제어 지령의 변화를 추정하고, 추정된 제어 지령의 변화를 이전 제어 시점의 제어 지령에 반영한 제어 지령으로 상기 풍력 발전기의 발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전 제어 시점의 상기 S400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풍력 발전기에 대한 제어 지령을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Considering this,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dependent response (S600), the change in the wind power generator control command is estimated from the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voltage and current at the wind power generator connection point, and the change in the estimated control command is transferred. Power genera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or can be controlled by a control command reflected in the control command at the control point.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command for the wind power generator derived in step S400 of the previous control point must be stored.

상술한 제어 지령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발전기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풍력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S400)는, 통신 오류가 없으면 발전 단지에 대한 중앙 제어 서버의 중앙 제어 지령을 획득(수령, 수신)하는 단계(S420);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을 저장하는 단계(S440); 및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풍력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S460)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be able to store the above-described control command, the step of controlling th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generator control command (S400) is to obtain (receive, receive) a central control comman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for the power generation complex if there is no communication error. ) step (S420); Storing the central control command (S440); And i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central control command (S460).

이에 대응하여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S600)는, 상기 풍력 발전기의 계통과의 연계 지점의 전압 및 전류의 측정값을 획득하고, 변화(량)를 도출하는 단계(S620); 상기 측정값의 변화로부터 제어 지령의 변화(량)를 예상하는 단계(S640); 및 상기 제어 지령의 변화를 이전 시점의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반영하여 생성한 독자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풍력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S660)를 포함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is,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dependent response (S600) includes obtaining measured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at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system of the wind power generator and deriving the change (amount) (S620); A step of predicting a change (amount) in a control command from a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S640); And it may include a step (S660) of controlling th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independent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reflecting the change in the control command to the central control command at a previous time.

무효 전력 대처의 관점에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S600)는, 상기 연계 지점의 전압(값)에 따라 계통 안정성을 확인하고, 기존의 무효전력 제어의 목표를 준수하는 범위하에서, 무효전력 공급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독자 제어 지령은, 상술한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따라 구해질 수 있다.From the perspective of reactive power response,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dependent response (S600) is to check system stability according to the voltage (value) of the connection point and, within the range that complies with the goal of existing reactive power control, reactive power carry out supply. For example, the independent control command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Equation 1 and Equation 2 described above.

구현에 따라, 상기 데이터입력단계(S100)는 풍력 발전 단지에 대한 상기 중앙 제어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S400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풍력 발전기의 제어 장치가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을 접수받아서 수행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data input step (S100) may be performed in the central control server for the wind power farm, and in step S400, the control device of the wind power generator receives the central control comman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It can be done.

또는, 상기 데이터입력단계(S100)에서는 상기 중앙 제어 서버에서 각 풍력 발전기의 제어 장치로 각종 연계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S400 단계의 중앙 제어 지령은 상기 각 풍력 발전기의 제어 장치가 생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data input step (S100), various linked data may be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to the control device of each wind power generator, and the central control command of the step S400 may be generated by the control device of each wind power generator.

구현에 따라, 상기 발전기 유효전력 출력 지령 및 발전기 무효전력 출력 지령이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이 되거나, 추가된 지령을 포함하여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을 구성할 수 있다.Depending on implementation, the generator active power output command and the generator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may become the central control command, or may include additional commands to form the central control command.

이와 같은 방식의 무효전력 공급을 수행하는 방법은, 풍력발전기의 지령을 중앙제어장치에서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것과 유사하게 되며, 그 결과 중앙제어장치의 운영자가 설정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분배가 이루어지게 된다.This method of supplying reactive power is similar to directly managing commands from wind power generators from the central control device, and as a result, distribution is made to meet the purpose set by the operator of the central control device. .

상술한 수학식들에 의한 알고리즘뿐 아니라 타 알고리즘에서 도출된 결과를 지분(비율)으로 재구성하여 변형 및 응용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transform and apply not only the algorithm based on the above-mentioned mathematical equations, but also the results derived from other algorithms by reconstructing them into shares (ratios).

본 발명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개별 풍력 터빈용 지령 수정은 개별 시스템에서 측정 가능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발명의 설명에서 제시된 수식의 경우, 전압변화 조건이 발생할 때 무효전력 공급 지령을 조정하기 위해 작성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The command correction for individual wind turbines to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constructed based on measurable data from the individual system. In the case of the formula presen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is exemplified as being written to adjust the reactive power supply command when a voltage change condition occurs.

보다 개선된 실시예에서는, 중앙 관리시스템의 목적함수로서 무효전력 공급과정에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도입하여, 통신 신호를 모의하고 응답 능력을 확인·검증함으로써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개선된 실시예에서는, 전압변동을 보상하기 위한 무효전력량이나 계통운영자의 추가적 요청으로, 비상시 무효전력 공급 지령을 각 터빈에 분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목적함수로 설정한다.In a more improved embodiment, a method of minimizing loss in the reactive power supply process can be introduced as the objective function of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simulating communication signals and confirming and verifying response capabilities to suggest a utilization method. That is, in the improved embodiment described later, the objective function is to minimize losses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distributing reactive power supply commands to each turbine in an emergency due to the amount of reactive power to compensate for voltage fluctuations or additional requests from the system operator. Set to .

예컨대, 목적함수로서 다음에 대한 것을 도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ollowing can be introduced as an objective function.

계통운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무효전력 요구량은 중앙 관리시스템에 의해 각 풍력터빈에 분배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목적함수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풍력발전단지의 레이아웃(Layout)에 지속적으로 반영하고자 한다.The reactive power demand input by the system operator must be distributed to each wind turbine by a central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consider additional objective functions in this process, we plan to continuously reflect them in the layout of the wind farm.

각 풍력 발전기(터빈)의 각 연계지점을 할당지점으로 설정하면, 각 Array의 계통연계지점(Point of interconnection)에서부터 마지막 터빈 연계지점까지 순차적인 분배가 가능하다.By setting each connection point of each wind power generator (turbine) as an allocation point, sequential distribution is possible from the point of interconnection of each array to the last turbine connection point.

먼저, 첫 번째 할당지점까지의 무효전력 손실을 계산하여 할당지점에 필요한 무효전력량을 산출(Qreq)하여, 할당지점에 직접 연계된 터빈의 저항성분(rcon)과 다음 구간까지의 저항성분(rnn+1)을 고려해 무효전력을 할당한다. 이때, 연계된 풍력터빈에 대한 지령(Qn)과 나머지 부분(Qreqn)에 대한 비례식은 아래 수학식 3으로 표현할 수 있다.First, calculate the reactive power loss up to the first allocation point and calculate the amount of reactive power required for the allocation point (Qreq), calculate the resistance component (rcon) of the turbine directly connected to the allocation point and the resistance component (rnn+) to the next section. Allocate reactive power considering 1). At this time, the proportional expression for the command (Qn) and the remaining portion (Qreqn) for the connected wind turbine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3 below.

손실에 기여하는 무효전력 성분을 고려하여 상기 수학식 3이 도출되었으며, 마지막 터빈의 연계지점까지, 각 할당지점에서 입력되는 저항 성분에 따라 두 지점에 무효전력 지령이 할당되게 된다.Equation 3 above was derived considering the reactive power component contributing to the loss, and the reactive power command is assigned to two points according to the resistance component input at each allocation point until the last turbine connection point.

상술한 무효전력 할당 방법(수학식 3에 따른 정책)을 도입한 상태에서 통신오류를 검증하고자, 전류에 의한 손실을 목적함수로 설정하였으며, 해당 식은 하기 수학식 4와 같다.In order to verify communication errors while introducing the above-mentioned reactive power allocation method (policy according to Equation 3), loss due to current was set as the objective function, and the corresponding equation is as shown in Equation 4 below.

상기 수학식에서, Pref, Qref는 풍력발전기에 입력되는 최대출력추종제어(MPPT) 계산 값 또는 최대 출력 지령과 무효전력 지령을 나타내고, Vn은 n 지점에서의 전압변동을 나타낸다.In the above equation, P ref and Q ref represent the maximum output tracking control (MPPT) calculated value or maximum output command and reactive power command input to the wind power generator, and Vn represents the voltage change at point n.

상기 수학식에서의 유효전력 흐름과 각 터빈에 할당되는 무효전력 지령을 활용함으로써, 각 Array에서 발생하는 저항 손실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Incremental loss 값을 빠르게 도출할 수 있다. 증분 손실 값이 동일해지면 손실 비교과정이 중지되고, 각 터빈에 입력되는 지령 값이 고정된다. Incremental loss는 하기 수학식 5를 이용하여 계산이 진행될 수 있다.By utilizing the active power flow in the above equation and the reactive power command assigned to each turbine, the resistance loss occurring in each array can be quickly predicted, and based on this, the incremental loss value can be quickly derived. When the incremental loss values become the same, the loss comparison process stops, and the command value input to each turbine is fixed. Incremental loss can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5 below.

도 8은 도 7의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of FIG. 7.

도시한 신재생 발전기 제어 장치는, 발전 단지의 중앙 제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110);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신재생 발전기의 발전량과 연계된 계통의 상태 데이터(발전기 유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무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연계지점 전압, 연계지점 유효전력 정보, 연계지점 무효전력 정보 중 적어도 2 이상)를 입력받는 발전 단지 데이터 접수부(120); 상기 계통의 상태 데이터 및 상기 상태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중앙 제어 지령을 저장하는 저장부(130); 상기 신재생 발전기의 계통과의 연계 지점의 측정값 변화를 도출하는 연계 지점 측정값 변화 도출부(140); 상기 측정값 변화로부터 예상되는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산출하는 제어 지령 변화 산출부(160); 및 상기 통신부(110)에서 통신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고, 통신오류가 발생되면,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이용하여 독자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발전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renewable generator control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for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ontrol server of the power generation complex;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status data of the system linked to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renewable generator (generator 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connection point voltage, connection point active power information, connection point reactive power information) A power generation complex data reception unit 120 that receives input (at least 2 or more); a storage unit 130 that stores state data of the system and central control commands derived from the state data; A connection point measurement value change deriving unit 140 that derives a measurement value change at a connection point with the system of the renewable generator; a control command change calculation unit 160 that calculates a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expected from the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And a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central control command if a communication error does not occur in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performs independent control using a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if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t may include (180).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상기 발전 제어부(180)는, 상기 신재생 발전기가 독자적으로 측정 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압변동 발생시, 통신 오류에 의해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변동이 없으면, 제어 지령을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180, based on information that the renewable generator can independently measure, sends a control command individually when a voltage change occurs and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due to a communication error. You can change i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전 제어부(180)는, 상기 신재생 발전기 연계지점의 전압 및 전류의 측정값 변화로부터, 상기 신재생 발전기에 대한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추정하고, 상기 제어 지령의 변화를 이전 시점의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반영하여 생성한 독자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풍력 발전기를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180 estimates the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for the renewable generator from the change in measured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at the renewable generator connection point, and transfers the change in the control command. The wind power generator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n independent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reflecting the central control command at the time.

이때, 상기 발전 제어부(180)는, 상기 연계 지점의 전압에 따라 계통 안정성을 확인하고, 기존의 무효전력 제어의 목적함수를 준수하는 범위에서 무효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180 can check system stability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connection point and supply reactive power within a range that complies with the objective function of existing reactive power control.

예컨대, 상기 발전 제어부(180)는,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목적함수를 준수한 상태에서 전압 회복에 필요한 무효전력 출력 지령을 독자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전 제어부(180)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독자 제어 지령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180 can independently update the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required for voltage recovery while complying with the objective function according to Equation 1 above. In this case,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180 may determine an independent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Equation 3 below.

또한, 상기 발전 제어부(180)는, 상기 수학식 4 및 수학식 5에 따른 목적함수 등을 적용하여 독자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180 can perform independent control by applying the objective function according to Equation 4 and Equation 5.

다음, 상술한 개선된 실시예에 대한 통신오류 검증의 효과를 모의실험한 내용을 기재한다. Next, a simulation of the effect of communication error verification for the improv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통신오류 보정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도록 설계된 모의 시험 시스템을 도시한다.Figure 9 shows a simulation test system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communication error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검증을 진행하기 위해, EMTP 시뮬레이션 툴(M)을 사용하여 풍력발전단지를 모의 구성한다. 또한, RTDS를 활용하여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설계, 통신오류 상황을 모의하였고, 발생하는 통신오류를 보완하도록 설계하였다. 무효전력 공급 관점에서 지령 보정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전압강하에 대한 무효전력 지령은 계통이 안정적으로 운용되도록 유지하는 범위로 기준(±0.01 p.u.)을 두었다. 도 8은 검증 과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In order to proceed with verification including the algorith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wind power farm is simulated using the EMTP simulation tool (M). In addition, real-time simulation was designed using RTDS to simulate communication error situations and designed to compensate for communication errors that occur. Since we wanted to evaluate the command correction effect from the perspective of reactive power supply, the reactive power command for voltage drop was set as a standard (±0.01 p.u.) within the range that maintains stable operation of the system. Figure 8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verification process.

도시한 모의 시험 시스템 상 중앙 제어 서버에서 발생하는 지령은 각 풍력터빈의 제어기(I)로 전달되도록 구성하였으며, RTDS Modbus 프로토콜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이 설계되었다. 각 풍력터빈의 제어기에서 측정이 가능한 Local 데이터를 구분(황색 표기)하고, 풍력발전단지 관리시스템 중앙제어기의 데이터 전달을 시뮬레이션 중간에 차단하도록 설계하였다(붉은색 표기). In the simulation test system shown, commands generat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wer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I) of each wind turbine, and data transmission using the RTDS Modbus protocol was designed. Local data that can be measured by the controller of each wind turbine are distinguished (yellow notation), and data transmission to the central controller of the wind farm management system is designed to be blocked in the middle of the simulation (red notation).

초기화 시간 및 지령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하여 검증을 수행하였고, 시뮬레이션 내, 2번(1초, 3초)의 전압강하 상황이 모의되며, 이에 따른 검증을 진행하였다.Verification was performed including the initialization time and the time required to change the command, and within the simulation, two voltage drop situations (1 second and 3 seconds) were simulated, and verification was conducted accordingly.

도 10a 및 10b는 통신오류 없는 안정적 상황에서의 연계지점의 전압 및 무효전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s 10a and 10b are graphs showing the voltage and reactive power of the connection point in a stable situation without communication errors.

도 11a 내지 11d는 통신오류 없는 풍력발전단지 내 개별 풍력발전기의 무효전력 공급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s 11a to 11d are graphs showing the reactive power supply situation of individual wind power generators in a wind power farm without communication errors.

도 10a 내지 11는 통신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을 도시한 것으로, 중앙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무효전력 신호가 전압 변화를 모두 인지하여 할당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10A to 11 show a situation in which a communication error does not occur,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active power signal input from the central controller is allocated by recognizing all voltage changes.

도 12a 및 12b는 통신오류 상황에서의 연계지점의 전압 및 무효전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s 12a and 12b are graphs showing the voltage and reactive power of the connection point in a communication error situation.

도 13a 내지 13d는 통신오류 상태에서 풍력발전단지 내 개별 풍력발전기의 무효전력 공급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s 13a to 13d are graphs showing the reactive power supply situation of individual wind power generators in a wind power farm in a communication error state.

통신오류 발생 시 보완이 없는 경우 도 12a 내지 13d와 같은 상황이 발생된다. 통신오류로 인하여 전압의 변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기존 무효전력 지령이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f there is no compensation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situations such as those shown in FIGS. 12A to 13D occur. It can be confirmed that due to a communication error, the change in voltage cannot be reflected and the existing reactive power command is performed.

도 14a 및 14b는 보정모델 삽입 후 통신오류 상황에서의 연계지점의 전압 및 무효전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s 14a and 14b are graphs showing the voltage and reactive power of the connection point in a communication error situation after inserting the correction model.

도 15a 내지 15d는 보정모델 삽입 후 통신오류 상태에서 풍력발전단지 내 개별 풍력발전기의 무효전력 공급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s 15a to 15d are graphs showing the reactive power supply situation of individual wind power generators in a wind power farm in a communication error state after inserting a correction model.

본 발명을 적용한 후, 통신오류를 적용하면, 도 14a 내지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황이 발생된다. 제어 지연상태를 인지한 후에 제시한 기법을 활용하여 자체적인 수정을 진행함에 따라 무효전력 지령이 제시한 제어기를 통해 보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f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afte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a situation as shown in FIGS. 14A to 15 occurs. After recognizing the control delay stat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active power command is compensated through the presented controller as self-correction is performed using the proposed techniqu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an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Just do 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10 : 통신부
120 : 발전 단지 데이터 접수부
130 : 저장부
140 : 연계 지점 측정값 변화 도출부
160 : 제어 지령 변화 산출부
180 : 발전 제어부
11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20: Power generation complex data reception unit
130: storage unit
140: Connection point measurement value change derivation unit
160: Control command change calculation unit
180: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Claims (15)

신재생 발전기의 발전량과 연계된 계통의 상태 데이터(발전기 유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무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연계지점 전압, 연계지점 유효전력 정보, 연계지점 무효전력 정보 중 적어도 2 이상)를 입력받는 데이터입력 단계;
통신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입력 단계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중앙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통신오류가 발생되면, 신재생 발전기의 발전량 및 상기 계통의 상태 데이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Data that receives system status data (at least two of the generator 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connection point voltage, connection point active power information, and connection point reactive pow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generation amount of the renewable generator. input stage;
If a communication error does not occur, controlling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a central control command derived using the data input in the data input step; and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taking independent action based on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bout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renewable generator and the status data of the system.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재생 발전기가 독자적으로 측정 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압변동 발생시, 통신 오류에 의해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변동이 없으면, 제어 지령을 개별적으로 변경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s for carrying out the above independent response are: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operated by individually changing the control command based on information that the renewable generator can independently measure, when a voltage change occurs and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due to a communication erro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재생 발전기 연계지점의 전압 및 전류의 측정값 변화로부터, 상기 신재생 발전기의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추정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s for carrying out the above independent response are: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for estimating a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of the renewable generator from changes in measured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at the renewable generator connection poi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통신 오류가 없으면 발전 단지에 대한 중앙 제어 서버가 생성한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tep of controlling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generator control command is,
If there is no communication error, obtaining the central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the central control server for the power generation complex;
storing the central control command; and
Controlling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central control command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재생 발전기의 계통과의 연계 지점의 전압 및 전류의 측정값을 획득하고, 변화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측정값의 변화로부터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예상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지령의 변화를 이전 시점의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반영하여 생성한 독자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steps for carrying out the above independent response are:
Obtaining measured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at a connection point with the system of the renewable generator and deriving changes;
predicting a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from a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and
Controlling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independent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reflecting the change in the control command to the central control command at a previous point in time.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연계 지점의 전압에 따라 계통 안정성을 확인하고, 기존의 무효전력 제어의 목적함수를 준수하는 범위에서 무효전력 공급을 수행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s for carrying out the above independent response are: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that confirms system stability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connection point and supplies reactive power within a range that complies with the objective function of existing reactive power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하기 수학식에 따른 목적함수를 준수한 상태에서 전압 회복에 필요한 무효전력 출력 지령을 독자적으로 갱신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QGn은 노드 n에서의 풍력 발전기의 무효전력 공급량, Qnn+1은 노드 n과 n+1 사이의 무효전력 흐름, QCn은 선로의 커패시턴스에서 발생하는 노드 n에서 무효전력 주입량, J는 계통의 자코비안 행렬 상수, U는 연계지점 전압, δ는 위상각 정보)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step of carrying out the above independent response,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that independently updates the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required for voltage recovery while complying with the objec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equation below.

(Q Gn is the amount of reactive power supplied by the wind generator at node n, Q nn+1 is the reactive power flow between nodes n and n+1, Q Cn is the amount of reactive power injection at node n resulting from the capacitance of the line, J is Jacobian matrix constant of the system, U is the connection point voltage, δ is phase angle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독자 제어 지령을 결정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η: 무효전력 공급에 대한 지분)
In clause 7,
In the step of carrying out the above independent response,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that determines an independent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equation below.

(η: Share of reactive power supp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자적인 대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하기 수학식에 따른 목적함수를 준수한 상태에서 전류 손실을 최소화하는 무효전력 출력 지령을 독자적으로 갱신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방법.


(Pref, Qref는 풍력발전기에 입력되는 최대출력추종제어(MPPT) 계산 값 또는 최대 출력 지령과 무효전력 지령을 나타내고, Vn은 n 지점에서의 전압변동, r은 케이블 저항성분)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step of carrying out the above independent response,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that independently updates the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that minimizes current loss while complying with the objec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equation below.


(P ref and Q ref represent the maximum output tracking control (MPPT) calculated value or maximum output command and reactive power command input to the wind power generator, Vn is the voltage change at point n, and r is the cable resistance)
발전 단지의 중앙 제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신재생 발전기의 발전량과 연계된 계통의 상태 데이터(발전기 유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무효전력 출력 지령, 발전기 연계지점 전압, 연계지점 유효전력 정보, 연계지점 무효전력 정보 중 적어도 2 이상)를 입력받는 발전 단지 데이터 접수부;
상기 계통의 상태 데이터 및 상기 상태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중앙 제어 지령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신재생 발전기의 계통과의 연계 지점의 측정값 변화를 도출하는 연계 지점 측정값 변화 도출부;
상기 측정값 변화로부터 예상되는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산출하는 제어 지령 변화 산출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통신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고, 통신오류가 발생되면,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이용하여 독자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발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ontrol server of the power generation complex;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status data of the system linked to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renewable generator (at least two of the generator 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generator connection point voltage, connection point active power information, and connection point reactive power information) ) a power generation complex data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input;
a storage unit that stores status data of the system and central control commands derived from the status data;
a connection point measurement value change deriving unit that derives a measurement value change at a connection point with the system of the renewable generator;
a control command chang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expected from the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and
If a communication error does not occur in the communication unit, a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central control command, and if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performs independent control using a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제어부는,
상기 신재생 발전기가 독자적으로 측정 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압변동 발생시, 통신 오류에 의해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변동이 없으면, 제어 지령을 개별적으로 변경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device that individually changes a control command based on information that the renewable generator can independently measure, when a voltage change occurs and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due to a communication err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제어부는,
상기 신재생 발전기 연계지점의 전압 및 전류의 측정값 변화로부터, 상기 신재생 발전기에 대한 상기 중앙 제어 지령의 변화를 추정하고,
상기 제어 지령의 변화를 이전 시점의 상기 중앙 제어 지령에 반영하여 생성한 독자 제어 지령에 따라 상기 신재생 발전기를 제어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Estimating the change in the central control command for the renewable generator from the change in measured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at the renewable generator connection point,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renewa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independent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reflecting the change in the control command to the central control command at a previous tim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제어부는,
상기 연계 지점의 전압에 따라 계통 안정성을 확인하고, 기존의 무효전력 제어의 목적함수를 준수하는 범위에서 무효전력 공급을 수행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device that verifies system stability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connection point and supplies reactive power within a range that complies with the objective function of existing reactive power contro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제어부는,
하기 수학식에 따른 목적함수를 준수한 상태에서 전압 회복에 필요한 무효전력 출력 지령을 독자적으로 갱신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장치.

(QGn은 노드 n에서의 풍력 발전기의 무효전력 공급량, Qnn+1은 노드 n과 n+1 사이의 무효전력 흐름, QCn은 선로의 커패시턴스에서 발생하는 노드 n에서 무효전력 주입량, J는 계통의 자코비안 행렬 상수, U는 연계지점 전압, δ는 위상각 정보)
According to clause 13,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device that independently updates the reactive power output command required for voltage recovery while complying with the objec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equation below.

(Q Gn is the amount of reactive power supplied by the wind generator at node n, Q nn+1 is the reactive power flow between nodes n and n+1, Q Cn is the amount of reactive power injection at node n resulting from the capacitance of the line, J is Jacobian matrix constant of the system, U is the connection point voltage, δ is phase angle inform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제어부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독자 제어 지령을 결정하는 신재생 발전기 제어 장치.

(η: 무효전력 공급에 대한 지분)
According to clause 14,
The power generation control unit,
A renewable generator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an independent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equation below.

(η: Share of reactive power supply)
KR1020220030941A 2022-03-11 2022-03-11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preparation for communication error KR202301336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941A KR20230133679A (en) 2022-03-11 2022-03-11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preparation for communication e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941A KR20230133679A (en) 2022-03-11 2022-03-11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preparation for communication err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679A true KR20230133679A (en) 2023-09-19

Family

ID=8819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941A KR20230133679A (en) 2022-03-11 2022-03-11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preparation for communication e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67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469B1 (en) 2019-04-25 2020-01-30 한국전기연구원 Power converting module, and parallel composed modular power conver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469B1 (en) 2019-04-25 2020-01-30 한국전기연구원 Power converting module, and parallel composed modular power conver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149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distribution
CN101719676B (en) Voltag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windfarms
US8554383B2 (en) Power supply and demand control apparatus and power supply and demand control method
EP2208273B1 (en) Active network management
JP7432602B2 (en) Optimization of distributed and decentralized DER systems
CN113054688B (en) Renewable energy cluster output distributed coordination control method considering uncertainty
Cardell et al. Operation and control in a competitive market: distributed generation in a restructured industry
Papangelis et al. A receding horizon approach to incorporate frequency support into the AC/DC converters of a multi-terminal DC grid
Basit et al. Real-time impact of power balancing on power system operation with large scale integration of wind power
Iovine et al. Modeling the partial renewable power curtailment for transmission network management
US105574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active power output of a wind farm
KR20230133679A (en) Renewable generat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preparation for communication error
CN111860969A (en) Power transmission network extension planning method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KR20150008753A (en) Wind Farm Controller and Reactive Power Dispatch Method Thereof
EP41317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generating system
Yoo et al. Adaptive response method for communication failures of hierarchical reactive power control in wind farms
KR102258945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control regulating parameters from a controller, in particular a wind farm controller of a wind farm to a unit and the controlled unit and controller
CN114094641B (en) Active voltage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driving and electronic equipment
US11437825B2 (en) Hybrid renewable power plant
Hu et al. Robust Cooperative Load Frequency Control for Enhancing Wind Energy Integration in Multi-Area Power Systems
Aghdam et al. Profit‐based evaluation of optimal FACTS devices planning for the large consumers and TRANSCO considering uncertainty
Tiwari et al. Implementation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 in a novel solar power plant controller solution
US20230077967A1 (en) Power distribution control
CN108448656B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active power output error of distributed power supply under communication interference
Chen et al. A new approach of generating scheduling in power system with wind power using electrical paths between generators and lo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