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608A - Integrated heat exchanger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Integrated heat exchanger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608A
KR20230133608A KR1020220030802A KR20220030802A KR20230133608A KR 20230133608 A KR20230133608 A KR 20230133608A KR 1020220030802 A KR1020220030802 A KR 1020220030802A KR 20220030802 A KR20220030802 A KR 20220030802A KR 20230133608 A KR20230133608 A KR 2023013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refrigerant
heat exchange
heat exchang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영삼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608A/en
Publication of KR2023013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6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93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42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liquid-liqui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with U-flow or serpentine-flow inside conduits; with centrally arranged openings on th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제1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 그리고 제2 냉각수와 상기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는 상기 제1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제1 냉각수 인렛과 제1 냉각수 아웃렛, 상기 제2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제2 냉각수 인렛과 제2 냉각수 아웃렛, 상기 냉매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냉매 인렛과 냉매 아웃렛, 그리고 상기 제1 냉각수와 상기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냉각수와 상기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제2 열교환부를 형성하도록 적층되는 복수의 열교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 플레이트는 상기 냉매, 상기 제1 냉각수 및 상기 제2 냉각수가 U자 형상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된다.A heat exchanger configured to perform heat exchange between the first coolant and the refrigerant,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second coolant and the refrigerant, respectively, includes a first coolant inlet and a first coolant outlet for inlet and discharge of the first coolant, and the second coolant A second coolant inlet and a second coolant outlet for inflow and discharge of coolant, a refrigerant inlet and a refrigerant outlet for inflow and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and a first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first coolant and the refrigerant. It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plates stacked to form a second heat exchange unit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second coolant and the refrigerant. The heat exchange plate is configured to allow the refrigerant, the first coolant, and the second coolant to flow in a U shape.

Description

차량용 통합 열교환기{Integrated heat exchanger for vehicles}Integrated heat exchang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for vehicles.

차량, 특히 전기차의 에너지 효율의 제고를 위해, 캐빈, 배터리, 전장제품 등의 폐열을 냉각수를 매개로 수집하고 재사용하는 통합 열관리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나아가 전기차의 경우 주행 마일리지의 증가를 위해 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경량화, 소형화 등에 대한 활발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vehicles, especially electric vehicles, a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is being developed that collects and reuses waste heat from the cabin, battery, and electronic products using coolant. Furthermore, in the case of electric vehicles, active technology development is being conducted to reduce the weight and miniaturization of the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to increase driving mileage.

전기차의 열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칠러(chiller)는 배터리 칠러와 전장폐열회수 칠러가 있다. 이러한 두 종류의 칠러를 하나의 제품으로 구성하는 통합 칠러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통합 칠러는 유체의 채널 유동과 한 튜브 플레이트에 채널을 구분하기 위한 격벽과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냉각수와 냉매 채널의 격벽이 겹치는 지점은 제품의 내부 리크(leak)를 유발하고 유체의 유로에 위치하는 플랜지부는 유동을 방해하여 차압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냉각수 채널을 구분하는 격벽은 냉매 유로 상에 바이패스 통로가 구성되기 때문에 제품 성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Chillers applied to the thermal management system of electric vehicles include battery chillers and battlefield waste heat recovery chillers. An integrated chiller that combines these two types of chillers into one product is being developed, and this integrated chiller includes a partition and a flange to separate the channel flow of the fluid and the channels in one tube plate. The point where the coolant and the partition walls of the refrigerant channel overlap cause internal leaks in the product, and the flange located in the fluid flow path interferes with the flow and increases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particular, the partition wall that separates the coolant channels forms a bypass passage on the refrigerant flow path, which reduces product performance.

등록특허공보 10-2288882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10-2288882 등록특허공보 10-2058119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10-2058119 일본 특허공보 제5993884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99388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컴팩트하면서 향상된 열교환 효율을 갖는 통합형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that is compact and has improved heat exchange efficienc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 그리고 제2 냉각수와 상기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는 상기 제1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제1 냉각수 인렛과 제1 냉각수 아웃렛, 상기 제2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제2 냉각수 인렛과 제2 냉각수 아웃렛, 상기 냉매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냉매 인렛과 냉매 아웃렛, 그리고 상기 제1 냉각수와 상기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냉각수와 상기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제2 열교환부를 형성하도록 적층되는 복수의 열교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 플레이트는 상기 냉매, 상기 제1 냉각수 및 상기 제2 냉각수가 U자 형상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된다.A heat exchanger configured to perform heat exchange between the first coolant and the refrigerant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second coolant and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olant inlet for inlet and discharge of the first coolant, and a 1 coolant outlet, a second coolant inlet and a second coolant outlet for inflow and discharge of the second coolant, a refrigerant inlet and a refrigerant outlet for inflow and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first coolant and the refrigerant. It includes a first heat exchange unit for heat exchange and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plates stacked to form a second heat exchange unit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second coolant and the refrigerant. The heat exchange plate is configured to allow the refrigerant, the first coolant, and the second coolant to flow in a U shape.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는 상기 복수의 열교환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1 냉각수 인렛, 상기 제1 냉각수 아웃렛, 상기 제2 냉각수 인렛, 상기 제2 냉각수 아웃렛, 상기 냉매 인렛 그리고 상기 냉매 아웃렛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열교환 플레이트의 동일한 사이드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may be arranged along a stack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plates, the first coolant inlet, the first coolant outlet, the second coolant inlet, the second coolant outlet, The refrigerant inlet and the refrigerant outlet may all be disposed on the same side of the plurality of stacked heat exchange plates.

상기 열교환 플레이트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냉매 인렛과 상기 냉매 아웃렛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한 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냉각수 인렛, 상기 제1 냉각수 아웃렛, 상기 제2 냉각수 인렛 그리고 상기 제2 냉각수 아웃렛은 상기 한 변의 반대측 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plate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refrigerant inlet and the refrigerant outle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rectangular shape, and the first coolant inlet, the first coolant outlet, the second coolant inlet, and the second coolant outlet are loca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It can be placed adjacent to the 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열교환부는 상기 제1 냉각수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냉각수의 상기 U자형 유동을 위한 제1 격벽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냉매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냉매의 상기 U자형 유동을 위한 제2 격벽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열교환부는 상기 제2 냉각수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냉각수의 상기 U자형 유동을 위한 제3 격벽을 포함하는 제3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냉매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냉매의 상기 U자형 유동을 위한 제4 격벽을 포함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eat exchanger includes a first plate that forms a space filled with the first coolant and includes a first partition for the U-shaped flow of the first coolant, and a space filled with the refrigerant. may include a second plate that forms a space and includes a second partition for the U-shaped flow of the refrigerant. The second heat exchanger forms a space filled with the second coolant, a third plate including a third partition for the U-shaped flow of the second coolant, and a space filled with the refrigerant. It may include a fourth plate including a fourth partition for the U-shaped flow.

상기 적층된 열교환 플레이트는 상기 냉매 인렛을 통해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거쳐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냉매 유입 유로, 상기 냉매를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로부터 상기 냉매 아웃렛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거쳐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냉매 배출 유로, 상기 제1 냉각수 인렛을 통해 유입된 상기 제1 냉각수를 상기 제1 열교환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교환부에서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냉각수 유입 유로, 상기 제1 열교환부로부터 상기 제1 냉각수를 상기 제1 냉각수 아웃렛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교환부에서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냉각수 배출 유로, 상기 제2 냉각수 인렛을 통해 유입된 상기 제2 냉각수를 상기 제1 열교환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열교환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거쳐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냉각수 유입 유로, 그리고 상기 제2 냉각수를 상기 제2 열교환부로부터 상기 제2 냉각수 아웃렛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거쳐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냉각수 배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cked heat exchange plate is a refrigerant that extends in the stacking direction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to allow the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to flow into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an inflow passage, a refrigerant discharge passage extending in the stacking direction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to discharge the refrigerant from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to the refrigerant outlet,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1 A first coolant inlet flow path extending from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in the stacking direction to allow the first coolant flowing in through the coolant inlet to flow into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 first coolant discharge passage extending from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in the stacking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coolant can be discharged to the first coolant outlet, and the second coolant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coolant inlet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a second coolant inlet flow path extending in the stacking direction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so that the second coolant can flow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coolant is supplied from the second heat exchanger to the second coolant. It may include a second coolant discharge passage extending in the stacking direction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an outlet.

상기 제2 냉각수 유입 유로는 상기 제1 열교환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냉각수가 상기 제1 열교환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제2 열교환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olant inlet flow path may include a bypass flow path that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allows the second coolant to bypass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flow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r.

상기 제1 냉각수는 배터리 냉각수일 수 있고, 상기 제2 냉각수는 전장 냉각수일 수 있다.The first coolant may be a battery coolant, and the second coolant may be a battlefield coolant.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 제1 냉각수 및 제2 냉각수의 유출입이 동일한 사이드에서 이루어지고 열교환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을 따라 제1 열교환부와 제2 열교환부를 배열함으로써, 컴팩트하면서 우수한 열교환 효율을 가지는 열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냉매와 냉각수가 서로 교차하는 U자 형상으로 유동을 하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nt, the first coolant, and the second coolant flow in and out from the same side,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are arranged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heat exchange plates, thereby providing a heat exchanger that is compact and has excellent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provided. In particular,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refrigerant and coolant flow in a U-shape that intersects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1 열교환부의 열교환 플레이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2 열교환부의 열교환 플레이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ure 1.
Figure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exchange plate of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of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exchange plate of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of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열교환기(10)는 적층되는 복수의 열교환 플레이트(11)를 포함하고, 적층된 복수의 열교환 플레이트(11)의 양측에는 상측 및 하측 커버 플레이트(12, 13)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0)는 제1 냉각수와 제2 냉각수, 예를 들어 배터리 냉각수와 전장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열교환기(10)는 배터리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 및 전장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두 개의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하나의 열교환기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는 통합형 열교환기라고 할 수 있다. 배터리 냉각수는 차량의 배터리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이고, 전장 냉각수는 차량의 전장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이다.1 and 2, the heat exchanger 10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plates 11 that are stacked, and upper and lower cover plates 12 and 13 are plac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plates 11 that are stacked. can be placed respectively. The heat exchanger 10 is configured to enable heat exchange between the first coolant and the second coolant, for example, the battery coolant, the battlefield coolant, and the refrigerant. That is, the heat exchanger 10 is configured to perform heat exchange between the battery coolant and the refrigerant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battlefield coolant and the refrigerant, respectively.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in that heat exchange with two coolants is performed in one heat exchanger. Battery coolant is a coolant for cooling the vehicle's battery, and electronic coolant is a coolant for cooling the vehicle's electrical components.

열교환기(10)는 배터리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1 열교환부(21)와 전장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2 열교환부(23)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부(21)와 제2 열교환부(23)는 복수의 열교환 플레이트(11)의 적층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The heat exchanger 10 includes a first heat exchanger 21 in which heat is exchanged between the battery coolant and the refrigerant, and a second heat exchanger 23 in which heat is exchanged between the battery coolant and the refrigerant.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21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23 are arranged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plates 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냉각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배터리 냉각수 인렛(31) 및 배터리 냉각수 아웃렛(32), 전장 냉각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전장 냉각수 인렛(33) 및 전장 냉각수 아웃렛(34), 그리고 냉매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냉매 인렛(35) 및 냉매 아웃렛(36)이 하나의 사이드, 예를 들어 상측 커버 플레이트(12)에 모두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냉매와 냉각수의 유출입을 위한 배관이 최소화되어 컴팩트한 열교환기가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coolant inlet 31 and a battery coolant outlet 32 through which battery coolant flows in and out, a battlefield coolant inlet 33 and a battlefield coolant outlet 34 through which battery coolant flows in and out, Additionally, a refrigerant inlet 35 and a refrigerant outlet 36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in and out are provided on one side, for example, the upper cover plate 12. With this structure, piping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refrigerant and coolant is minimized, allowing a compact heat exchanger to be implemented.

열교환기(10)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인렛(35)과 냉매 아웃렛(36)은 직사각형의 한 변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고, 전장 냉각수 인렛(33)과 전장 냉각수 아웃렛(34)이 그 마주하는 변의 양측 단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배터리 냉각수 인렛(31)은 전장 냉각수 인렛(33)의 근처에 배치되고 배터리 냉각수 아웃렛(32)은 전장 냉각수 아웃렛(34)의 근처에 배치된다. 뒤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냉매는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유로를 형성하고, 배터리 냉각수와 전장 냉가수가 냉매의 흐름과 교차하는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배터리 냉각수와 전장 냉각수가 냉매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10 may have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shape, and as shown in FIG. 1, the refrigerant inlet 35 and the refrigerant outlet 36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rectangle, and the full-length coolant inlet 33 and Full-length coolant outlets 34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opposing sides. Additionally, the battery coolant inlet 31 is disposed near the battlefield coolant inlet 33 and the battery coolant outlet 32 is disposed near the battlefield coolant outlet 34. As explained later, the refrigerant forms an approximately U-shaped flow path, and the battery coolant and electric field coolant form an approximately U-shaped flow path that intersects the flow of the refrigerant. This arrangement allows battery coolant and battlefield coolant to flow in directions crossing the refrigerant, thereby increasing heat transfer efficiency.

제1 열교환부(21)에서는 적층된 열교환 플레이트(11) 사이의 공간에 배터리 냉각수와 냉매가 교대로 채워지고, 이에 의해 열교환 플레이트(11)를 통해 배터리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배터리 냉각수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열교환부(23)에서는 적층된 열교환 플레이트(11)의 사이의 공간에 전장 냉각수와 냉매가 교대로 채워지고, 이에 의해 열교환 플레이트(11)를 통해 전장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전장 냉각수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21, the space between the stacked heat exchange plates 11 is alternately filled with battery coolant and refrigerant, whereby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the battery coolant and refrigerant through the heat exchange plate 11. Cooling of the battery coolant may be achieved. Meanwhile, in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23, the space between the stacked heat exchange plates 11 is alternately filled with battlefield coolant and refrigerant,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battlefield coolant and refrigerant is achieved through the heat exchange plate 11. and cooling of the battlefield coolant can be achieved accordingly.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수, 전장 냉각수 그리고 냉매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s of battery coolant, battlefield coolant, and refriger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열교환 플레이트(11)는 배터리 냉각수, 전장 냉각수 그리고 냉매의 디자인된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 복수의 열교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먼저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 열교환부(21)를 구성하는 열교환 플레이트에 대해 설명한다.The heat exchange plate 11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plates having passages for forming designed flows of battery coolant, battlefield coolant, and refrigerant. Referring first to FIGS. 3, 4, and 5, the first heat exchange portion ( The heat exchange plate constituting 21) will be described.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부(21)에서는 적층된 열교환 플레이트(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터리 냉각수와 냉매가 교대로 채워진다. 이때 배터리 냉각수와 냉매가 열교환기의 동일한 사이드, 즉 상측 사이드를 통해서 유입되기 때문에 내부 바이패스 통로가 사용된다. 즉 열교환기 내부에 형성되는 통로를 통해 상하로 차례로 배열되는 특정 공간에는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인접하는 공간에는 해당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21,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tacked heat exchange plates 11 is alternately filled with battery coolant and refrigerant. At this time, an internal bypass passage is used because the battery coolant and refrigerant flow in through the same side of the heat exchanger, that is, the upper side. In other words, it is configured to allow fluid to flow into specific spaces arranged vertically in order through passages formed inside the heat exchanger, and to prevent the fluid from flowing into adjacent spaces.

배터리 냉각수, 전장 냉각수 및 냉매의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연결 플레이트(41)가 상측 커버 플레이트(12)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매개 플레이트(41)는 냉매 인렛(35)과 냉매 아웃렛(36)에 각각 연통되는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11, 412), 배터리 냉각수 인렛(31)과 배터리 냉각수 아웃렛(32)에 각각 연통되는 배터리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13, 414), 그리고 전장 냉각수 인렛(33)과 전장 냉각수 아웃렛(34)에 각각 연통되는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15, 416)를 구비한다.The first connection plate 41 forming a flow path for battery coolant, battlefield coolant, and refrigerant may be disposed directly below the upper cover plate 12. The intermediate plate 41 has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11 and 412 that communicate with the refrigerant inlet 35 and the refrigerant outlet 36, respectively, and a battery that communicates with the battery coolant inlet 31 and the battery coolant outlet 32,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13 and 414, and battlefield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15 and 416 resp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battlefield coolant inlet 33 and the battlefield coolant outlet 34.

제1 플레이트(42)와 제2 플레이트(43)가 적층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제1 연결 플레이트(41), 제1 플레이트(42) 그리고 제2 플레이트(43)는 이들 사이에 적층 방향으로 차례로 형성되는 공간에 배터리 냉각수와 냉매가 교대로 채워지도록 형성된다.The first plate 42 and the second plate 43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stacking direction. The first connection plate 41, the first plate 42, and the second plate 43 are formed so that battery coolant and refrigerant are alternately fill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m in the stacking direction.

제1 플레이트(42)는 냉매 인렛(35) 및 냉매 아웃렛(36)과 각각 연통되는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21, 422), 배터리 냉각수 인렛(31)과 배터리 냉각수 아웃렛(32)에 각각 연통되는 배터리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23, 424), 전장 냉각수 인렛(33)과 전장 냉각수 아웃렛(34)에 연통되는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25, 426)를 구비한다. 이때, 냉매가 제1 연결 플레이트(41)와 제1 플레이트(4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21, 422)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연결 플레이트(41)의 하면에 밀착되는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장 냉각수가 제1 연결 플레이트(41)와 제1 플레이트(4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25, 426)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연결 플레이트(41)의 하면에 밀착되는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25, 426)를 형성하는 돌출부는 제1 연결 플레이트(41)의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15, 416)를 형성하기 위해 하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 부분에 끼임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매와 전장 냉각수는 제1 연결 플레이트(41)와 제1 플레이트(42) 사이의 공간을 채우지 않고 바이패스한다. 한편, 제1 연결 플레이트(41)의 배터리 냉각수 유입 통로(413)를 통해 아래 방향으로 유입된 배터리 냉각수의 일부는 제1 플레이트(42)의 배터리 냉각수 유입 통로(423)를 통해 아래 방향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도 5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연결 플레이트(41)와 제1 플레이트(42)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아래에서 배터리 냉각수 배출 통로(424)를 통해 흐르는 배터리 냉각수와 함께 제1 연결 플레이트(41)의 배터리 냉각수 배출 통로(414)를 통해 배출된다.The first plate 4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frigerant inlet 35 and the refrigerant outlet 36, respectively, and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21 and 422, and the battery coolant inlet 31 and the battery coolant outlet 32,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battery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23 and 424, and battlefield coolant inlet 33 and battlefield coolant outlet 34,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the battlefield coolant inlet and outlet 34. At this time, to prevent the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late 41 and the first plate 42, the refrigerant inlet and discharge passages 421 and 422 protrude upward to form a spa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late 41 and the first connection plate 42. It is formed to penetrate a protrus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In addition, to prevent the battlefield coolant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late 41 and the first plate 42, the battlefield coolant inflow and discharge passages 425 and 426 protrude upward to form the first connection plate 41. It is formed to penetrate a protrus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rotrusions forming the full-length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25 and 426 correspond to the full-length coolant inlet and discharge passages 415 and 416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41. It can be assembled in a pinched manner with a cylindrical part protruding downward to form a cylindrical part. As a result, the refrigerant and the battlefield coolant bypas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late 41 and the first plate 42 without filling it. Meanwhile, a portion of the battery coolant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battery coolant inflow passage 413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41 flows downward through the battery coolant inflow passage 423 of the first plate 42. The remaining par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5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late 41 and the first plate 42 and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with the battery coolant flowing through the battery coolant discharge passage 424 from below.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battery coolant discharge passage 414 of the plate 41.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42)는 배터리 냉각수가 대략 U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격벽(427)을 구비한다. 격벽(427)은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25, 426)에 인접하는 제1 플레이트(42)의 한 쪽 변에서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21, 422)에 인접하는 변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격벽(427)의 존재에 의해 유입된 배터리 냉각수가 도시된 U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동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plate 42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427 to allow the battery coolant to flow while forming an approximately U-shaped flow path. The partition 427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irst plate 42 adjacent to the full-length coolant inlet and discharge passages 425 and 426 toward the side adjacent to the refrigerant inlet and discharge passages 421 and 422. . Due to the presence of the partition wall 427, the introduced battery coolant flows while forming a U-shaped flow path.

제2 플레이트(43)는 냉매 인렛(35) 및 냉매 아웃렛(36)과 각각 연통되는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31, 432), 배터리 냉각수 인렛(31)과 배터리 냉각수 아웃렛(32)에 각각 연통되는 배터리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33, 434), 전장 냉각수 인렛(33)과 전장 냉각수 아웃렛(34)에 연통되는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35, 436)를 구비한다. 이때, 배터리 냉각수와 전장 냉각수가 제1 플레이트(42)와 제2 플레이트(43)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배터리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33, 434), 그리고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35, 436)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플레이트(42)의 하면에 밀착되는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 냉각수와 전장 냉각수는 제1 플레이트(42)와 제2 플레이트(43) 사이의 공간을 채우지 않고 바이패스된다. 한편, 제1 플레이트(42)의 냉매 유입 통로(421)를 통해 아래 방향으로 유입된 냉매의 일부는 제2 플레이트(43)의 냉매 유입 통로(431)를 통해 아래 방향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도 5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플레이트(42)와 제2 플레이트(43)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아래에서 냉매 배출 통로(432)를 통해 흐르는 냉매와 함께 제1 플레이트(42)의 냉매 배출 통로(422)를 통해 배출된다.The second plate 4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frigerant inlet 35 and the refrigerant outlet 36, respectively, and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31 and 432, and the battery coolant inlet 31 and the battery coolant outlet 32,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battery coolant inlet and discharge passages 433 and 434, and battlefield coolant inlet 33 and battlefield coolant outlet 34,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the battlefield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35 and 436. At this time, to prevent the battery coolant and battlefield coolant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late 42 and the second plate 43, the battery coolant inflow and discharge passages 433 and 434 and the battlefield coolant inflow and discharge passages 435 , 436)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nd penetrate the protrus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42. As a result, the battery coolant and the electronic coolant are bypassed without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late 42 and the second plate 43. Meanwhile, part of the refrigerant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passage 421 of the first plate 42 flows downwar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passage 431 of the second plate 43, and the remaining part flows into the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5, the refrigerant discharge passage of the first plate 42 fill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late 42 and the second plate 43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e passage 432 from below. It is discharged through (422).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43)는 냉매가 대략 U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격벽(437)을 구비한다. 격벽(437)은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31, 432)에 인접하는 제2 플레이트(43)의 한 쪽 변에서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35, 436)에 인접하는 변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격벽(437)의 존재에 의해 유입된 냉매가 도시된 U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동한다. 배터리 냉각수와 냉매가 서로 교차하는 U자 형상을 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plate 43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437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while forming an approximately U-shaped flow path. The partition wall 437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43 adjacent to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31 and 432 toward the side adjacent to the full-length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35 and 436. . Due to the presence of the partition wall 437, the introduced refrigerant flows while forming a U-shaped flow path.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battery coolant and refrigerant form a U-shaped flow path that intersects each other.

마찬가지로, 배터리 냉각수가 제2 플레이트(43)와 그 아래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42) 사이에 채워진다. 이에 의해 제1 열교환부(21)의 적층 방향으로 배열되는 공간에 배터리 냉각수와 냉매가 교대로 채워져 배터리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전장 냉각수는 제1 열교환부(21)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바이패스 되어 제2 열교환부(23)로 유입된다.Likewise, battery coolant is filled between the second plate 43 and the first plate 42 disposed below it. As a result, the space arrang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21 is filled alternately with the battery coolant and the refrigerant, thereby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battery coolant and the refrigerant, and the full-length coolan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21. While doing so, it is bypassed and flows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23).

다음으로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2 열교환부(23)를 구성하는 열교환 플레이트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heat exchange plate constituting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2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4, and 6.

제2 및 제3 연결 플레이트(44, 45)가 제1 열교환부(21)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43)의 아래에 차례로 배치된다. 제2 연결 플레이트(44)는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41, 442), 그리고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45, 446)를 구비한다. 냉매 및 전장 냉각수가 제2 연결 플레이트(44)와 그 바로 위의 제2 플레이트(43) 사이의 공간을 채우지 않도록,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41, 442), 그리고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45, 446)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플레이트(43)의 하면에 밀착되는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 플레이트(44)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43)의 배터리 냉각수 유입 통로(433)를 통해 유입된 배터리 냉각수는 도 6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연결 플레이트(44)와 제2 플레이트(43) 사이의 공간을 채운 후 제2 플레이트(43)의 배터리 냉각수 배출 통로(434)를 통해 배출된다.The second and third connection plates 44 and 45 are sequentially disposed below the second plate 43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21.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 has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41 and 442, and full-length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45 and 446. To prevent the refrigerant and battlefield coolant from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 and the second plate 43 immediately above it,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41 and 442 and the battlefield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45 , 446)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and penetrate the protrus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43. Meanwhile, the battery coolant flowing in through the battery coolant inflow passage 433 of the second plate 43 located immediately above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6 and flows into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 ) and the second plate 43 are filled, then the battery coolant is discharged through the battery coolant discharge passage 434 of the second plate 43.

제3 연결 플레이트(45)는 냉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51, 452), 그리고 전장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55, 456)를 구비한다. 이때, 전장 냉각수가 제2 연결 플레이트(44)와 제3 연결 플레이트(45) 사이의 공간을 채우지 않고 바이패스 되도록,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55, 456)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연결 플레이트(44)의 하면에 밀착되는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돌출부(453, 45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돌출부(453, 454)는 위에 있는 제2 연결 플레이트(44)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 플레이트(44)의 냉매 유입 통로(441)를 통해 유입된 냉매의 일부는 냉매 유입 통로(451)를 통해 아래로 이동하고 나머지 일부는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및 제3 연결 플레이트(44, 45) 사이의 공간을 채운 후 냉매 배출 통로(452)를 통해 배출되는 냉매와 함께 제2 연결 플레이트(442)의 냉매 배출 통로(442)로 배출된다.The third connection plate 45 has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51 and 452 for inflow and discharge of refrigerant, and battlefield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55 and 456 for inflow and discharge of battlefield coolant. At this time, the battlefield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55 and 456 protrude upward so that the battlefield coolant bypasses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 and the third connection plate 45 without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 and the third connection plate 45. It may be formed to penetrate a protrus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44. Additionally, protrusions 453 and 454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may be provided, and these protrusions 453 and 454 may be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 above. . Meanwhile, part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passage 441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 moves downwar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passage 451, and the remaining par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After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lates 44 and 45,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into the refrigerant discharge passage 442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442 together with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e passage 452.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연결 플레이트(45)는 냉매가 대략 U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격벽(457)을 구비한다. 격벽(457)은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31, 432)에 인접하는 제3 연결 플레이트(45)의 한 쪽 변에서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55, 456)에 인접하는 변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격벽(457)의 존재에 의해 유입된 냉매가 도시된 U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동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third connection plate 45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457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while forming an approximately U-shaped flow path. The partition 457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late 45 adjacent to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31 and 432 toward the side adjacent to the full-length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55 and 456. there is. Due to the presence of the partition wall 457, the introduced refrigerant flows while forming a U-shaped flow path.

제3 플레이트(46)와 제4 플레이트(47)가 제3 연결 플레이트(45) 아래에 교대로 배열된다. 적층되는 제3 및 제4 플레이트(46, 47)는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냉매와 전장 냉각수가 차례로 채워지고 냉매의 하방향 유입 및 상방향 배출, 그리고 전장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The third plate 46 and the fourth plate 47 are alternately arranged below the third connecting plate 45. The stacked third and fourth plates 46 and 47 are formed so that the space formed between them is sequentially filled with refrigerant and battlefield coolant, and downward inflow and upward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and inflow and discharge of battlefield coolant occur. do.

제3 플레이트(46)는 냉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61, 462), 그리고 전장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65, 466)를 구비한다. 이때, 냉매가 제3 플레이트(46)와 제3 연결 플레이트(45) 사이의 공간을 채우지 않고 바이패스 되도록,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61, 462)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위의 제3 연결 플레이트(45)의 하면에 밀착되는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연결 플레이트(45)의 전장 냉각수 유입 통로(455)를 통해 유입된 전장 냉각수의 일부는 전장 냉각수 유입 통로(465)를 통해 아래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3 플레이트(46)와 제3 연결 플레이트(45) 사이의 공간을 채운 후 전장 냉각수 배출 통로(466)를 통해 배출되는 전장 냉각수와 함께 제3 연결 플레이트(45)의 전장 냉각수 배출 통로(456)를 통해 배출된다.The third plate 46 has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61 and 462 for inflow and discharge of refrigerant, and battlefield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65 and 466 for inflow and discharge of battlefield coolant.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61 and 462 protrude upward so that the refrigerant bypasses the space between the third plate 46 and the third connection plate 45 without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third plate 46 and the third connection plate 45. It may be formed to penetrate a protrus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45. Meanwhile, part of the battlefield coolant flowing in through the battlefield coolant inlet passage 455 of the third connection plate 45 flows downward through the battlefield coolant inlet passage 465, and the remaining par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After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third plate 46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45, the full-length coolant discharge passage 456 of the third connecting plate 45 is filled with the full-length coolant discharged through the full-length coolant discharge passage 466. is discharged through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플레이트(46)는 냉매가 대략 U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격벽(467)을 구비한다. 격벽(467)은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65, 466)에 인접하는 제3 플레이트(46)의 한 변에서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31, 432)에 인접하는 제3 플레이트(46)의 변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격벽(467)의 존재에 의해 유입된 전장 냉각수가 도시된 U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동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third plate 46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467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while forming an approximately U-shaped flow path. The partition wall 467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third plate 46 adjacent to the full-length coolant inlet and discharge passages 465 and 466, and on the side of the third plate 46 adjacent to the refrigerant inlet and discharge passages 431 and 432. can be extended toward. Due to the presence of the partition wall 467, the full-length coolant flows while forming a U-shaped flow path.

제4 플레이트(47)는 냉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71, 472), 그리고 전장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75, 476)를 구비한다. 이때, 전장 냉각수가 제3 플레이트(46)와 제4 플레이트(47) 사이의 공간을 채우지 않고 바이패스 되도록,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75, 476)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위의 제3 플레이트(46)의 하면에 밀착되는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플레이트(46)의 냉매 유입 통로(461)를 통해 유입된 냉매의 일부는 냉매 유입 통로(471)를 통해 아래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3 플레이트(46)와 제4 연결 플레이트(47) 사이의 공간을 채운 후 냉매 배출 통로(472)를 통해 배출되는 냉매와 함께 제3 플레이트(46)의 냉매 배출 통로(462)를 통해 배출된다.The fourth plate 47 has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71 and 472 for inflow and discharge of refrigerant, and battlefield coolant inlet and discharge passages 475 and 476 for inflow and discharge of battlefield coolant. At this time, the battlefield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75 and 476 protrude upward so that the battlefield coolant bypasses the space between the third plate 46 and the fourth plate 47 without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third plate 46 and the fourth plate 47. It may be formed to penetrate a protrus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46. Meanwhile, part of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passage 461 of the third plate 46 flows downwar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passage 471, and the remaining par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6 and enters the third plate ( After filling the space between 46) and the fourth connection plate 47,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e passage 462 of the third plate 46 together with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e passage 472.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플레이트(47)는 냉매가 대략 U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격벽(477)을 구비한다. 격벽(477)은 냉매 유입 및 배출 통로(471, 472)에 인접하는 제4 플레이트(47)의 한 쪽 변에서 전장 냉각수 유입 및 배출 통로(475, 476)에 인접하는 변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격벽(477)의 존재에 의해 유입된 냉매가 도시된 U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동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fourth plate 47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477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while forming an approximately U-shaped flow path. The partition 477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ourth plate 47 adjacent to the refriger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71 and 472 toward the side adjacent to the full-length coolant inlet and outlet passages 475 and 476. . Due to the presence of the partition wall 477, the introduced refrigerant flows while forming a U-shaped flow path.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와 전장 냉각수가 서로 교차하는 U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With this structur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refrigerant and the electric cooling water form a U-shaped flow path that intersects each other, as shown in FIG. 6.

마찬가지로, 전장 냉각수가 제4 플레이트(47)와 그 아래에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46) 사이에 채워진다. 이에 의해 제2 열교환부(23)의 적층 방향으로 배열되는 공간에 전장 냉각수와 냉매가 교대로 채워져 전장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Likewise, full-length coolant is filled between the fourth plate 47 and the third plate 46 disposed below it. As a result, the space arrang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23 is alternately filled with the battlefield coolant and the refrigerant, thereby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battlefield coolant and the refrigerant.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부(21)와 제2 열교환부(23)는 열교환 플레이트(11)의 적층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 열교환부(21)에서는 냉매와 제1 냉각수, 즉 배터리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제2 열교환부(23)에서는 냉매와 제2 냉각수, 즉 전장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냉매 인렛 및 아웃렛(35, 36), 배터리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배터리 냉각수 인렛 및 아웃렛(31, 32), 그리고 전장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전장 냉각수 인렛 및 아웃렛(33, 34)가 열교환기(10)의 동일한 사이드, 예를 들어 상측 사이드에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21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23 are arranged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heat exchange plate 11, and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21 contains a refrigerant and a first coolant, that is, a battery. Heat exchange with the coolant takes place, and in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23, heat exchange takes plac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second coolant, that is, the battlefield coolant. At this time, refrigerant inlets and outlets (35, 36) for inflow and discharge of coolant, battery coolant inlets and outlets (31, 32) for inflow and discharge of battery coolant, and battlefield coolant inlets for inflow and discharge of battlefield coolant. and outlets 33 and 34 are disposed on the same side of the heat exchanger 10, for example, on the upper sid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열교환기(10)의 적층되는 복수의 플레이트(11)는 냉매가 채워지는 공간, 배터리 냉각수로 채워지는 공간, 그리고 전장 냉각수로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 열교환부(21)에서는 냉매가 채워지는 공간과 배터리 냉각수가 채워지는 공간이 교대로 배열되고, 제2 열교환부(23)에서는 냉매가 채워지는 공간과 전장 냉각수가 채워지는 공간이 교대로 배열된다. 냉매 인렛(35)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한 냉매 유입 통로들에 의해 형성되는 냉매 유입 유로(51)를 통해 열교환기(10)로 유입되어 제1 열교환부(21)와 제2 열교환부(23)로 차례로 유입되고 상기한 냉매 배출 통로들에 의해 형성되는 냉매 배출 유로(52)를 통해 제2 열교환부(23)와 제1 열교환부(21)로부터 배출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plurality of stacked plates 11 of the heat exchanger 10 form a space filled with refrigerant, a space filled with battery coolant, and a space filled with battlefield coolant. In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21, the space filled with refrigerant and the space filled with battery coolant are arranged alternately, and in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23, the space filled with refrigerant and the space filled with battlefield coolant are arranged alternately. do.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35 flows into the heat exchanger 10 through the refrigerant inflow passage 51 formed by the above-mentioned refrigerant inlet passages, thereby forming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21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23. ) and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23 and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21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e passage 52 formed by the above-mentioned refrigerant discharge passages.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냉각수 인렛(31)을 통해 유입된 배터리 냉각수는 상기한 배터리 냉각수 유입 통로들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 냉각수 유입 유로(53)를 통해 제1 열교환부(21)로 유입되고 열교환 플레이트(11) 사이의 정해진 공간을 채운 후 상기한 배터리 냉각수 배출 통로들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 냉각수 배출 유로(54)를 통해 배터리 냉각수 아웃렛(32)을 통해 배출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battery coolant flowing in through the battery coolant inlet 31 flows into the first heat exchanger 21 through the battery coolant inlet flow path 53 formed by the battery coolant inlet passages. ) and fills the designated space between the heat exchange plates 11, and then is discharged through the battery coolant outlet 32 through the battery coolant discharge passage 54 formed by the battery coolant discharge passages.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장 냉각수 인렛(33)을 통해 유입된 전장 냉각수는 전장 냉각수 유입 유로(56)를 통해 제2 열교환부(23)로 유입된다. 이때, 전장 냉각수 유입 유로(56)는 상기한 제1 열교환부(21)의 전장 냉각수 유입 통로들에 의해 형성되는 전장 냉각수 바이패스 유로(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열교환부(23)로 유입된 전장 냉각수는 열교환 플레이트(11)의 사이의 정해진 공간을 채운 후 상기한 전장 냉각수 배출 통로들에 의해 형성되는 전장 냉각수 배출 유로(57)를 통해 전장 냉각수 배출 아웃렛(34)으로 배출된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battlefield coolant flowing in through the battlefield coolant inlet 33 flows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23 through the battlefield coolant inlet flow path 56 . At this time, the full-length coolant inflow passage 56 may include a full-length coolant bypass passage 55 formed by the full-length coolant inflow passages of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21. The battlefield coolant flowing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23 fills the designated space between the heat exchange plates 11 and then passes through the battlefield coolant discharge path 57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battlefield coolant discharge passages to the battlefield coolant discharge outlet. It is discharged as (34).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re recognized as equivalent. Includes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extent permitted.

10: 열교환기
11: 열교환 플레이트
12, 13: 커버 플레이트
21: 제1 열교환부
23: 제2 열교환부
31: 배터리 냉각수 인렛
32: 배터리 냉각수 아웃렛
33: 전장 냉각수 인렛
34: 전장 냉각수 아웃렛
35: 냉매 인렛
36: 냉매 아웃렛
41: 제1 연결 플레이트
42: 제1 플레이트
43: 제2 플레이트
44: 제2 연결 플레이트
45: 제3 연결 플레이트
46: 제3 플레이트
47: 제4 플레이트
51: 냉매 유입 유로
52: 냉매 배출 유로
53: 배터리 냉각수 유입 유로
54: 배터리 냉각수 배출 유로
56: 전장 냉각수 유입 유로
57: 전장 냉각수 배출 유로
10: heat exchanger
11: heat exchange plate
12, 13: Cover plate
21: First heat exchange unit
23: Second heat exchange unit
31: Battery coolant inlet
32: Battery coolant outlet
33: full-length coolant inlet
34: Battlefield coolant outlet
35: Refrigerant inlet
36: Refrigerant outlet
41: first connection plate
42: first plate
43: second plate
44: second connection plate
45: Third connection plate
46: third plate
47: fourth plate
51: Refrigerant inlet flow path
52: Refrigerant discharge path
53: Battery coolant inlet flow path
54: Battery coolant discharge path
56: Full-length coolant inlet flow path
57: Full-length coolant discharge path

Claims (7)

제1 냉각수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 그리고 제2 냉각수와 상기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제1 냉각수 인렛과 제1 냉각수 아웃렛,
상기 제2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제2 냉각수 인렛과 제2 냉각수 아웃렛,
상기 냉매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냉매 인렛과 냉매 아웃렛, 그리고
상기 제1 냉각수와 상기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냉각수와 상기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제2 열교환부를 형성하도록 적층되는 복수의 열교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 플레이트는 상기 냉매, 상기 제1 냉각수 및 상기 제2 냉각수가 U자 형상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
In the heat exchanger configured to perform heat exchange between the first coolant and the refrigerant,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second coolant and the refrigerant,
A first coolant inlet and a first coolant outlet for inflow and discharge of the first coolant,
A second coolant inlet and a second coolant outlet for inflow and discharge of the second coolant,
A refrigerant inlet and a refrigerant outlet for the inflow and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and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plates are stacked to form a first heat exchange part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first coolant and the refrigerant and a second heat exchange part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second coolant and the refrigerant,
The heat exchange plate is a heat exchanger configured to allow the refrigerant, the first coolant, and the second coolant to flow in a U shape.
제1항에서,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는 상기 복수의 열교환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냉각수 인렛, 상기 제1 냉각수 아웃렛, 상기 제2 냉각수 인렛, 상기 제2 냉각수 아웃렛, 상기 냉매 인렛 그리고 상기 냉매 아웃렛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열교환 플레이트의 동일한 사이드에 모두 배치되는 열교환기.
In paragraph 1: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are arranged along a stack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plates,
The first coolant inlet, the first coolant outlet, the second coolant inlet, the second coolant outlet, the refrigerant inlet, and the refrigerant outlet are all disposed on the same side of the plurality of stacked heat exchange plates.
제2항에서,
상기 열교환 플레이트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냉매 인렛과 상기 냉매 아웃렛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한 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냉각수 인렛, 상기 제1 냉각수 아웃렛, 상기 제2 냉각수 인렛 그리고 상기 제2 냉각수 아웃렛은 상기 한 변의 반대측 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열교환기.
In paragraph 2,
The heat exchange plate has a rectangular shape,
The refrigerant inlet and the refrigerant outlet are arrang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rectangular shape,
The first coolant inlet, the first coolant outlet, the second coolant inlet, and the second coolant outlet are disposed adjacent to a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제3항에서,
상기 제1 열교환부는 상기 제1 냉각수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냉각수의 상기 U자형 유동을 위한 제1 격벽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냉매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냉매의 상기 U자형 유동을 위한 제2 격벽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열교환부는 상기 제2 냉각수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냉각수의 상기 U자형 유동을 위한 제3 격벽을 포함하는 제3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냉매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냉매의 상기 U자형 유동을 위한 제4 격벽을 포함하는 제4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In paragraph 3,
The first heat exchanger forms a space filled with the first coolant, a first plate including a first partition for the U-shaped flow of the first coolant, and a space filled with the refrigerant. Comprising a second plate including a second partition for the U-shaped flow,
The second heat exchanger forms a space filled with the second coolant, a third plate including a third partition for the U-shaped flow of the second coolant, and a space filled with the refrigerant. A heat exchanger comprising a fourth plate including a fourth partition for the U-shaped flow.
제4항에서,
상기 적층된 열교환 플레이트는
상기 냉매 인렛을 통해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거쳐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냉매 유입 유로,
상기 냉매를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로부터 상기 냉매 아웃렛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거쳐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냉매 배출 유로,
상기 제1 냉각수 인렛을 통해 유입된 상기 제1 냉각수를 상기 제1 열교환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교환부에서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냉각수 유입 유로,
상기 제1 열교환부로부터 상기 제1 냉각수를 상기 제1 냉각수 아웃렛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교환부에서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냉각수 배출 유로,
상기 제2 냉각수 인렛을 통해 유입된 상기 제2 냉각수를 상기 제1 열교환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열교환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거쳐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냉각수 유입 유로, 그리고
상기 제2 냉각수를 상기 제2 열교환부로부터 상기 제2 냉각수 아웃렛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거쳐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냉각수 배출 유로
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In paragraph 4,
The stacked heat exchange plates are
A refrigerant inlet flow path extending in the stacking direction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to allow the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to flow into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A refrigerant discharge passage extending in the stacking direction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to discharge the refrigerant from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to the refrigerant outlet,
A first coolant inflow passage extending from the first heat exchanger in the stacking direction to allow the first coolant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coolant inlet to flow into the first heat exchanger;
A first coolant discharge passage extending from the first heat exchanger in the stacking direction so as to discharge the first coolant from the first heat exchanger to the first coolant outlet;
extending in the stacking direction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so that the second coolant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coolant inlet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flows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r. A second coolant inlet flow path, and
A second coolant discharge passage extending in the stacking direction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to discharge the second coolant from the second heat exchanger to the second coolant outlet.
A heat exchanger containing a.
제5항에서,
상기 제2 냉각수 유입 유로는 상기 제1 열교환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냉각수가 상기 제1 열교환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제2 열교환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In paragraph 5,
The second coolant inlet flow path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includes a bypass flow path that allows the second coolant to bypass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flow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r.
제1항에서,
상기 제1 냉각수는 배터리 냉각수이고,
상기 제2 냉각수는 전장 냉각수인 열교환기.
In paragraph 1:
The first coolant is a battery coolant,
A heat exchanger wherein the second coolant is full-length coolant.
KR1020220030802A 2022-03-11 2022-03-11 Integrated heat exchanger for vehicles KR202301336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02A KR20230133608A (en) 2022-03-11 2022-03-11 Integrated heat exchanger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802A KR20230133608A (en) 2022-03-11 2022-03-11 Integrated heat exchanger for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608A true KR20230133608A (en) 2023-09-19

Family

ID=8819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802A KR20230133608A (en) 2022-03-11 2022-03-11 Integrated heat exchanger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608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3884U (en) 1982-12-16 1984-06-26 プラス工業株式会社 stapler
KR102058119B1 (en) 2014-10-23 2019-12-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288882B1 (en) 2019-07-19 2021-08-12 현대위아(주) Chiller for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and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modul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3884U (en) 1982-12-16 1984-06-26 プラス工業株式会社 stapler
KR102058119B1 (en) 2014-10-23 2019-12-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288882B1 (en) 2019-07-19 2021-08-12 현대위아(주) Chiller for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and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modul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035B1 (en) U-flow heat exchanger
EP3648243B1 (en) Structure and system with battery cooling
CN106958472B (en) Heat exchanger
CN101540408A (en) Fuel cell assemblies with integrated reactant-conditioning heat exchangers
KR20170079191A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 element
JP4306120B2 (en) Stacked cooler
JP2020023965A (en) Cooling system of vehicle
KR20230133608A (en) Integrated heat exchanger for vehicles
KR20230133607A (en) Integrated heat exchanger for vehicles
KR20180131130A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 Element
EP3467422B1 (en) Heat exchanger assembly
KR102315648B1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s
CN111765786A (en)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assembly
KR102347839B1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s
CN217155081U (en) Heat exchanger and motor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US20240118042A1 (en) Heat Exchanger
CN219068014U (en) Liquid cooling device and linear motor
CN218296826U (en) Heat exchanger core,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and vehicle
JPH0356774Y2 (en)
CN220304342U (en) Shell assembly, heat exchanger and vehicle
CN218616147U (en) Heat exchange assembly and automobile
CN219121156U (en) Plate heat exchanger and car
KR20180109668A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 element
CN215070254U (en) Battery module, power battery package and vehicle
CN219303756U (en) Heat exchanger and thermal management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