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542A -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fir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f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542A
KR20230133542A KR1020220030673A KR20220030673A KR20230133542A KR 20230133542 A KR20230133542 A KR 20230133542A KR 1020220030673 A KR1020220030673 A KR 1020220030673A KR 20220030673 A KR20220030673 A KR 20220030673A KR 20230133542 A KR20230133542 A KR 20230133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nductor
gas
electrical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동철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에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블유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542A/en
Publication of KR2023013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542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가 포함된 전기설비, 전기시설물 또는 전기장치; 도체 간 접속을 제공하는 도체접속 어셈블리 및 상기 도체접속 어셈블리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표출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al installations, electrical facilities, or electrical devices that include at least one conductor that transmits electricity; Disclosed is an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comprising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that provides connection between conductors and a display material formed at a set position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Description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FIRE}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FIRE}

본 발명은 화재징후 표출대상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하고, 화재징후의 수준을 예측하며, 화재징후에 수준에 대응하는 절차를 진행하는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that detects gases generated from a fire sign display object, predicts the level of the fire sign, and performs procedures to respond to the level of the fire sign.

<전기 도체용 절연체의 특징><Characteristics of insulators for electrical conductors>

전선, 튜브 및 단자대 등 전기도체용 절연체는 난연제를 포함하여 도체의 온도가 상승하여도 연소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도록 하지만, 일단 불이 붙으면 쉽게 연소하고 장기간에 걸쳐 연소하여 화재의 확대요인으로 작용하였다.Insulators for electrical conductors such as wires, tubes, and terminal blocks contain flame retardants to prevent combustion from proceeding smoothly eve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nductor rises, but once ignited, they combust easily and burn for a long period of time, acting as a factor in the spread of fire.

할로겐원소 물질 등 일부 난연제는 연소시 인체에 해롭고, 도체의 부식을 유발하는 유도가스를 발생시킨다Some flame retardants, such as halogen elements,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when burned and generate induced gases that cause corrosion of conductors.

따라서 절연체보다 먼저 화재징후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고, 난연제를 미포함하는 표출재를 개발하여 원천적으로 전기화재를 사전에 예방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that can detect fire signs at an early stage before insulators and develop surface materials that do not contain flame retardants to fundamentally prevent electrical fires in advance.

<도체의 온도 상승원인><Cause of temperature rise of conductor>

전기설비는 도체 간의 접속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하거나 분배하고, 도체 간의 접속은 볼트/너트를 통하여 이루어진다.Electrical equipment supplies or distributes electricity through 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and 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are made through bolts/nuts.

종래에는 도체를 장기간 사용시 전류의 흐름과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차에 의해 도체의 수축이완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도체의 수축이완작용에 의해 볼트/너트의 압착이 느슨해지는 풀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Conventionally, when a conductor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conductor may occur due to the flow of current and temperature differences due to seasonal changes, and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conductor may cause a loosening phenomenon in which the compression of the bolt/nut becomes loose.

종래에는 풀림현상이 발생한 쪽으로 전계가 집중되어 절연체의 열분해(열화)가 발생할 수 있고, 더욱 심해지면 연소가 확대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past, the electric field was concentrated in the direction where the loosening phenomenon occurred, which may cause thermal decomposition (deterioration) of the insulator, and if it becomes more severe, combustion may expand and a fire may occur.

종래에는 볼트/너트의 풀림 등 접촉불량에 의해 열이 발생할 수 있고, 과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접촉불량이나 과전류에 의해 절연체의 열분해가 발생할 수 있다.Conventionally, heat may be generated due to poor contact such as loosening of bolts/nuts, heat may be generated due to overcurrent, and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insulator may occur due to poor contact or overcurrent.

따라서 전기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 절연체의 열분해가 발생하기 이전에 표출재에서 발생하는 가스감지 또는 외형변화로 느슨해진 볼트/너트를 빠르게 찾고, 느슨해진 볼트/너트를 죄어 화재를 예방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electrical fires,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to quickly detect loose bolts/nuts by detecting gases generated from exposed materials or changing their appearance before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insulator occurs, and to prevent fires by tightening the loose bolts/nuts. am.

<전기설비의 온도규정><Temperature regulations for electrical equipment>

도 1은 전기설비 온도패턴법 판정기준을 도시한 예로서, 우리나라 전기규정에서는 과전류나 접속불량 등 전기설비의 이상이나 위험을 의미하는 온도상승한도와 최고허용온도를 규정하였고, 전기시설 관리자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전기설비의 온도를 측정하였다.Figure 1 is an example of the judgment criteria for the electrical equipment temperature pattern method. Korea's electrical regulations stipulate the temperature rise limit and 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which indicate abnormalities or risks of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overcurrent or poor connection, and the electric facility manager must use infrared heat. The temperature of electrical equipment was measured passively using a video camera.

전기시설 관리자는 주로 과전류나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도체 간의 접속지점에 대하여 온도를 측정하였고, 온도가 높은 지점을 찾아 느슨해진 볼트/너트를 죄어줬다.The electric facility manager measured the temperature at the connection points between conductors where overcurrent or connection failure occurred, found high temperature points, and tightened loose bolts/nuts.

최근에는 전기시설 관리자의 수동적인 점검을 수시로 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 낭비가 발생할 수 있고, 관리자의 안전에서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센서를 활용하여 전기설비의 이상이나 위험을 감지하였다.Recently, manual inspection by electric facility managers is required, which can lead to a waste of manpower and pose a risk to the safety of managers, so sensors have been used to detect abnormalities or risks in electrical facilities.

<종래의 센서기술><Conventional sensor technology>

도 2는 종래의 센서기술을 도시한 예로서, 종래에는 선행기술로 기재된 특허문헌 1과 같이 연기센서, 불꽃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기화재를 감시하였으나, 전기화재 발생 이전이 아닌 발생 이후에 감지하였으므로, 인적/물적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Figure 2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ensor technology. In the past, an electrical fire was monitored using a smoke sensor, a flame sensor, and a camera, as in Patent Document 1, which was described as prior art, but the detection occurred after the electrical fire occurred, not befor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human/material damage in advance.

종래에는 특허문헌 2와 같이 도체 간 접속지점마다 열전소재를 설치하였으므로, 열전소재의 설치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열전소재에 의한 다중 접촉지점이 발생하여 도체의 전계강도 이상이나 전기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ast, thermoelectric materials were installed at each connection point between conductors as shown in Patent Document 2, so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ost for installing thermoelectric materials increased, and multiple contact points occurred due to the thermoelectric materials, resulting in abnormal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conductors or loss of electrical energy.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loss.

종래에는 특허문헌 3과 같이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도 도체 간 접속지점마다 설치하였으므로, 종래에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의 설치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로 온도측정의 정확도가 감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s in Patent Document 3, an infrared thermal imaging camera was installed at each connection point between conductors,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for installing an infrared thermal imaging camera increases. Additionally,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of temperature measurement may be reduced due to signals reflected by the conductor.

종래에는 특허문헌 4와 같이 아크센서를 이용하여 전기화재를 감시하였으나, 실제 아크 결함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아크결함신호로 판단하여 오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의 출력전압과 전력설비 기동 시에 발생하는 펄스전압이 유사하여 과전류에 의한 아크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어렵다.Conventionally, electrical fires were monitored using an arc sensor as shown in Patent Document 4, but even when an arc fault signal does not actually occur, it may be judged to be an arc fault signal and cause malfunction. For example, in the past, the output voltage when an arc occurs and the pulse voltage that occurs when starting power equipment are similar,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arcs caused by overcurrent.

종래에는 특허문헌 5와 같이 절연체의 열화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하였으나, 도체의 최고허용온도를 훨씬 넘어간 상태에서 가스를 감지하였으므로, 화재발생 위험수준이 매우 높을 수 있다.Conventionally, gas generated by the deterioration of the insulator was detected as shown in Patent Document 5, but since the gas was detected in a state far exceeding the 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of the conductor, the risk level of fire occurrence may be very high.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도체의 최고허용온도의 부근이나 절연체의 열화가 발생하기 이전에 화재징후를 감시할 수 있는 표출재를 이용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using a display material that can solve the existing problems and monitor fire signs near the 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of the conductor or before deterioration of the insulator occurs.

<버스바 간 접속지점 이상감지><Detection of abnormalities at connection points between bus bars>

전기시설물 중에서 수배전반의 전면에는 전기설비의 조작을 위한 패널이 위치하고, 후면에는 전기를 분배하고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버스바가 위치한다. 버스바 간의 연결은 볼트/너트 등 도체접속 어셈블리를 통해 연결된다.Among electrical facilities, a panel for operating electrical equipment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switchboard, and a number of bus bars are located on the back to distribute and transmit electricity. Connections between bus bars are made through conductor connection assemblies such as bolts/nuts.

종래에는 볼트/너트 등 도체접속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버스바 간의 연결을 제공하였으나, 버스바 간의 연결 부위에 별도의 화재징후를 표출하는 재료가 부재하여 볼트/너트의 풀림 등 버스바 간 접속지점의 이상을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표출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Conventionally, the connection between bus bars was provided using conductor connection assemblies such as bolts/nuts, but due to the absence of a material that expresses separate fire signs at the connection area between bus bars, abnormalities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bus bars, such as loosening of bolts/nuts, etc. There is a problem that makes it difficult to detec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display materials to solve these problems.

<종래의 검지제><Conventional detection agent>

종래에는 특허문헌 6과 같이 도체 접속부에 검지제가 형성되고, 소정온도 이상으로 융해했을 때 가스를 발생하며, 가스감지를 통하여 고전압설비의 발열을 알아낼 수 있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Patent Document 6, a detection agent is formed in the conductor connection part, and gas is generated when melted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heat generation of high voltage equipment can be detected through gas detection.

도체 접속부는 버스바(busbar) 간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볼트/너트(도체접속 어셈블리)가 형성되고, 종래에는 복수의 도체접속 어셈블리에 인접하여 버스바에 검지제를 도포하였다.The conductor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lts/nuts (conductor connection assemblies) to provide a connection between busbars, and conventionally, a detection agent was applied to the busbar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ductor connection assemblies.

그러나 종래에는 버스바에 검지제를 도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관리자가 어떤 도체접속 어셈블리에서 풀림이 발생하였는지 알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method is to apply a detection agent to the busb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ager cannot tell which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the loosening occurred.

또한 종래에는 검지제가 표출재의 기능과 일부 유사하지만, 절연체보다 먼저 열분해가 가능한 화재징후 조기감지 용도의 표출재에 관한 기술 및 표출재와 절연체를 함께 감지하여 단계별 화재징후의 수준을 판별하는 기술이 미비한 실정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 detection agent has some similarities to the function of the display material, the technology for the display material for early detection of fire signs that can thermally decompose before the insulator and the technology to detect the display material and the insulator together to determine the level of fire signs by stage are insufficient. This is the situation.

<종래의 화재징후 예측방법><Conventional fire sign prediction method>

도 3은 종래의 화재징후 예측방법을 도시한 예이고, 도 4는 종래의 화재징후 예측방법을 비교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재징후 표출재료를 도시한 예로서,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풀림현상이 발생한 쪽으로 전계가 집중하여 케이블 등 절연체의 열화가 발생하고, 절연체의 열화에 의해 가스가 발생하며, 가스는 공기나 수분과 접촉하여 미세먼지 형태의 초미립자가 발생하고, 더욱 심해지면 눈으로 보이는 연기가 발생한다. 결국 좀 더 심해지면 연소가 확대하여 플래시 오버 즉 화재가 발생한다.Figure 3 is an example showing a conventional fire sign prediction method, and Figure 4 is an example showing a fire sign display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fire sign prediction method. In the past, as described above, the loosening phenomenon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in the direction where it is generated, causing deterioration of insulators such as cables, and gas is generat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insulator. When the gas comes into contact with air or moisture, ultrafine particles in the form of fine dust are generated, and when it gets worse, visible smoke is generated. Occurs. Eventually, if it becomes more severe, combustion expands and flashover, or fire, occurs.

종래에는 절연체의 가스를 감지하여 화재징후를 감시하였으나, 미소방전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는 시기 등 절연체 열화보다 좀 더 일찍 화재징후를 감시하는 방법이나 초미립자를 감시하는 방법이 구체화되지 않아 예측방법에서 정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예측방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Conventionally, signs of fire were monitored by detecting gas in the insulator, but there was no concrete method for monitoring fire signs earlier than the deterioration of the insulator, such as when microdischarges occur and the temperature rises, or for monitoring ultrafine particles, so prediction methods were used. There is a problem with low accuracy. Therefore, technology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ediction methods is needed.

<가스특성 특성시험><Gas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s test>

종래에는 비특허문헌 1과 같이 챔버 내부에 연소대상을 배치하고, 연소대상을 직접 가열시켜 연소대상의 열분해 생성물인 가스의 유해성을 분석하였다. 연소대상은 전선, 튜브 및 단자대 등 전기도체용 절연체이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Non-Patent Document 1, a combustion object is placed inside a chamber, and the combustion object is directly heated to analyze the harmfulness of gas, which is a thermal decomposition product of the combustion object. The target of combustion is insulators for electrical conductors such as wires, tubes, and terminal blocks.

절연체는 도체의 절연을 위해 도체를 감싸고, 도체의 열을 받아 열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된 표출재는 도체 간의 접속을 제공하는 도체접속 어셈블리에 형성되며, 절연체처럼 도체의 열을 받아 열분해될 수 있다.The insulator surrounds the conductor to insulate the conductor, and can be thermally decomposed by receiving heat from the conductor. The display material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that provides a connection between conductors, and like an insulator, it can be thermally decomposed by receiving heat from the conductor.

그러나 종래에는 도체에 열을 가하는 방식이 아닌 직접적으로 절연체를 가하는 방식으로 신뢰성이 있는 실험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However, in the past,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reliable experimental data by directly applying insulation rather than applying heat to the conductor.

또한 종래에는 절연체의 가열온도와 이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농도에 관한 실험데이터를 제공하였으나, 화재징후의 수준을 판별하는 알고리즘 개발에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ast, experimental data o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insulator and the resulting gas concentration were provided,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fire signs.

또한 종래에는 도체의 온도측정이 아닌 절연체를 직접 가열한 가열온도에 관한 실험데이터이기 때문에 알고리즘 개발에 있어서 실험데이터를 도 1의 전기설비 온도패턴법의 판정기준에 적용하기 어렵고, 신뢰성이 있는 실험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In addition, since conventional experimental data is about the heating temperature of directly heating the insulator rather than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ducto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experimental data to the judgment criteria of the electrical equipment temperature pattern method of Figure 1 in algorithm development, and reliable experimental data may be difficult to obtain.

한국등록특허 제10-2101698호Korean Patent No. 10-2101698 한국등록특허 제10-1647456호Korean Patent No. 10-1647456 한국등록특허 제10-1287906호Korean Patent No. 10-1287906 한국등록특허 제10-1993832호Korean Patent No. 10-1993832 한국등록특허 제10-1691164호Korean Patent No. 10-1691164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9-097248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097248

박수영 외.,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20권, 제4호, 2006, pp. 26-32.Park Soo-young et al., Journal of the Korea Fire Protection Society, Volume 20, No. 4, 2006, pp. 26-32.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가 포함된 전기장치 또는 전기시설물, 도체 간 접속을 제공하는 도체접속 어셈블리 및 상기 도체접속 어셈블리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표출재를 포함하는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al device or electrical facility containing at least one conductor that transmits electricity,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that provides a connection between conductors, and a display material formed at a set position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Provides an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은, 전기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가 포함된 전기설비, 전기시설물 또는 전기장치; 도체 간 접속을 제공하는 도체접속 어셈블리(100) 및 상기 도체접속 어셈블리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표출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problem to be solved includes an electrical facility, electrical facility, or electrical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conductor that transmits electricity;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that provides connection between conductors, and a display material 20 formed at a set position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은, 상기 도체의 절연을 위한 절연체; 상기 표출재의 열분해에 발생하는 가스, 절연체의 열분해에 발생하는 가스 및 공기나 수분과 접촉하여 가스가 상변이된 초미립자의 감지가 가능한 감시부(310) 및 상기 감시부에서 감지된 측정값 이용하여 단계별 화재징후 수준의 예측이 가능한 예측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ulator for insulating the conductor; A monitoring unit 310 capable of detecting gas generated from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display material, gas generated from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insulator, and ultrafine particles in which the gas undergoes a phase change upon contact with air or moisture, and a step-by-step method using the measurement values detected by the monitor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prediction unit 320 capable of predicting the level of fire sig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은, 배터리의 전해물질의 온도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와 도체의 열을 전달받아 표출재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의 감지가 가능한 감시부 및 상기 감시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화재징후의 발생원인을 예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itoring unit capable of detecting gas generated by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display material by receiving heat from the gas and conductor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electrolyte of the battery, and the monitoring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the cause of the fire sign using the measured value detected.

본 발명은 도체접속 어셈블리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고, 도체의 열을 받으면 가스를 발생하여 화재징후를 표출하며, 절연체보다 융점이나 열분해온도가 낮아, 화재징후의 조기감지와 도체접속 어셈블리의 풀림예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a set position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generates gas when exposed to heat from the conductor and displays fire signs, and has a lower melting point or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than the insulator, enabling early detection of fire signs and prediction of loosening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can be used for

도 1은 전기설비 온도패턴법 판정기준을 도시한 예이다.
도 2는 종래의 센서기술을 도시한 예이다.
도 3은 종래의 화재징후 예측방법을 도시한 예이다.
도 4는 종래의 화재징후 예측방법을 비교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재징후 표출재료를 도시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징후 예측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체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2의 도체접속 어셈블리에서 표출링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체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도체접속 어셈블리에서 끼움부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체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도 12의 도체접속 어셈블리에서 퓨즈형 표출부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체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모형의 화재징후 가스측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n example showing the judgment criteria for the electrical equipment temperature pattern method.
Figure 2 is an example showing conventional sensor technology.
Figure 3 is an example showing a conventional fire sign prediction method.
Figure 4 is an example showing a fire sign display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fire sign prediction metho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fire sign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ring is removed from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of FIG. 2.
Figure 10 shows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of FIG. 10 is separated from the fitting portion.
Figure 12 shows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shows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of Figure 12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fuse-type display part.
Figure 14 shows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e sign gas measuring device of a switchboard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체는 전기를 전달한다. 도체는 전기설비, 전기시설물 또는 전기장치에 포함된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ductor transmits electricity. A conductor is included in an electrical installation, installation, or electrical device.

전기설비는 중전기기, 가전기기 및 산업기기로 구분된다. 중전기기는 전력기기라는 명칭을 가질 수 있고 전기에너지의 생산, 수송 또는 변환에 사용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중전기기는 도체를 통하여 전기적인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가전기기와 산업기기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구동되는 기기를 의미한다.Electrical equipment is divided into heavy electrical equipment, home appliances, and industrial equipment. Heavy electrical equipment may be called electric power equipment and refers to equipment used for the production, transportation or conversion of electrical energy. Heavy electrical equipment can transmit electrical energy through conductors. Home appliances and industrial appliances refer to devices that are driven using electrical energy.

전기설비는 변압기, 단로기, 도체와 같은 버스바(bus-bar), 단자대, 전선 및 고정권선 저항기 등 다양한 기기로 분류될 수 있고, 전기에너지의 전달 등 도체 간의 접속을 위하여 볼트와 너트와 같은 도체접속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Electrical equipment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devices such as transformers, disconnectors, bus-bars such as conductors, terminal blocks, wires, and fixed winding resistors, and conductors such as bolts and nuts for connection between conductors such as the transmission of electrical energy. It may include a connection assembly 100.

전기설비는 전기시설물에 포함될 수 있다. 전기시설물은 크게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 전력소비자에게 보내는 과정에서 생산된 전력의 전압을 변환하는 변전소, 전력소비자에게 전기를 안정적으로 전기를 안정적으로 분배하고 공급하는 수배전반 및 전력소비자가 사용하는 전기소비 시설물을 포함한다.Electrical equipment may be included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lectrical facilities are largely divided into power plants that produce electricity, substations that convert the voltage of the electricity produced in the process of sending it to power consumers, distribution boards that stably distribute and supply electricity to power consumers, and electricity consumers used by power consumers. Includes facilities.

수배전반은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시설물은 가정용, 산업용 또는 빌딩에 존재하는 시설을 의미할 수 있다.The switchboard may include a high-voltage switchboard, a low-voltage switchboard, a motor control panel, and a distribution board. Electrical facilities may refer to facilities that exist in domestic, industrial, or buildings.

수배전반은 아파트, 학교, 공장, 빌딩, 항만, 지하철, 터널 또는 사회 간접시설 등 전기를 필요로 하는 전력소비자에게 전기를 안정적으로 분배하고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된다.Switchboards are used to reliably distribute and supply electricity to power consumers who need electricity, such as apartments, schools, factories, buildings, ports, subways, tunnels, or social infrastructure.

전기장치는 전기를 사용하여 구동되는 장치로서, 전기 사용을 위해 배터리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장치는 대표적으로 미래산업인 전기자동차, 드론 또는 로봇일 수 있고, 전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n electric device is a device that is driven using electricity and may include a battery or motor to use electricity. Electric devices may typically be electric vehicles, drones, or robots, which are future industries, and may be various devices that use electricity,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전기설비, 전기시설물 또는 전기장치는 도체가 포함된다. 일부 도체는 절연을 위한 절연체가 형성된다. 절연체는 전기 또는 열을 통하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도체를 감싸 형성될 수 있고, 도체 간의 접속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Electrical installations, installations or devices include conductors. Some conductors are formed with insulators for insulation. An insulator prevents electricity or heat from passing through and can be formed around a conductor or at a connection point between conductors.

절연체는 도체의 열에 의해 열분해 또는 열화가 발생할 수 있고, 화재징후가 되는 가스를 발생할 수 있으며, 제조사별 구성되는 물질에 의해 다양한 가스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절연체는 열화온도와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가 다를 수 있다.Insulators can undergo thermal decomposition or deterioration due to the heat of the conductor, can generate gas that is a sign of fire, and can generate various gases depending on the materials used by each manufacturer. Additionally, the gases generated by insulators may vary depending on the deterioration temperature and time.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10)은 표출재(20) 및 화재징후 감시장치(300)를 포함한다. 표출재(20)는 도체접속 어셈블리(100)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고, 도체의 열을 받으면 가스를 발생하여 화재징후를 표출하며, 절연체보다 융점이나 열분해온도가 낮아 화재징후 조기감지로 활용 가능하다.The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10 includes a display material 20 and a fire sign monitoring device 300. The display material 20 is formed at a set position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generates gas when exposed to heat from the conductor and displays fire signs, and has a lower melting point or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than an insulator, so it can be used for early detection of fire signs. .

절연체는 도체의 절연을 제공하고, 표출재(20)는 절연체보다 융점이나 열분해온도가 낮다. 절연체와 표출재는 도체의 열을 받으면 열분해가 되어 화재징후를 의미하는 가스를 발생하므로, 화재징후 표출대상으로 명명한다.The insulator provides insulation for the conductor, and the display material 20 has a lower melting point or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than the insulator. Insulators and display materials are thermally decomposed when exposed to heat from the conductor and generate gas indicating fire signs, so they are named fire sign display object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징후 예측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화재징후 감시장치(300)는 감시부(310), 예측부(320) 및 대응부(330)를 포함한다. 감시부(310)는 화재징후 표출대상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한다. 감시부(310)는 표출재의 열분해에 발생하는 가스, 절연체의 열분해에 발생하는 가스 및 공기나 수분과 접촉하여 가스가 상변이된 초미립자를 감지한다.Figure 6 shows a fire sign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e sign monitoring device 300 includes a monitoring unit 310, a prediction unit 320, and a response unit 330. The monitoring unit 310 detects gas generated from a fire symptom display target. The monitoring unit 310 detects gas generated from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display material, gas generated from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insulator, and ultrafine particles in which the gas undergoes a phase transformation upon contact with air or moisture.

표출재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저농도일 수 있고, 절연체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저농도 또는 고농도일 수 있으며, 초미립자는 고농도일 수 있으므로, 감시부(310)는 저농도 가스센서와 고농도 가스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Since the gas generated from the exposed material may be of low concentration,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sulator may be of low or high concentration, and the ultrafine particles may be of high concentration, the monitoring unit 310 may include a low concentration gas sensor and a high concentration gas sensor. .

예측부(320)는 복수의 기준농도를 설정하고, 감시부(310)에서 감지된 가스농도 측정값과 복수의 기준농도를 비교하여 단계별 화재징후의 수준을 예측한다. 예측부(320)는 감시부(310)에서 감지된 측정값 이용하여 화재징후의 수준을 예측하고, 감시부(310)를 이용하여 단계별 화재징후 수준의 예측이 가능하다. 화재징후의 수준은 화재조짐의 경고수준을 의미한다.The prediction unit 320 sets a plurality of standard concentrations and compares the measured gas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monitoring unit 310 with the plurality of standard concentrations to predict the level of fire signs by stage. The prediction unit 320 predicts the level of fire signs using the measured values detected by the monitoring unit 310, and can predict the level of fire signs by stage using the monitoring unit 310. The level of fire signs refers to the warning level of fire signs.

예측부(320)는 도체의 온도에 따라 화재징후 표출대상에서 발생 가능한 가스에 대하여 복수의 기준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복수 기준농도는 단계별 화재징후의 수준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값이다.The prediction unit 320 can set a plurality of standard concentrations for gases that may be generated from a fire symptom display target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conductor. Multiple standard concentrations are standard values for comparing the levels of fire signs at each stage.

감시부(310)는 표출재(20)에서 발생 가능한 제1 표적가스와 절연체에서 발생 가능한 제2 표적가스를 감지하고, 예측부(320)는 제1 표적가스의 감지로 화재징후 초기수준의 예측이 가능하고, 제2 표적가스의 감지로 화재징후 초기수준보다 이상의 수준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 대응부(330)는 화재징후의 수준에 대응하여 전기설비를 제어하거나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에게 알림을 제공한다.The monitoring unit 310 detects the first target gas that can be generated from the display material 20 and the second target gas that can be generated from the insulator, and the prediction unit 320 predicts the initial level of fire signs by detecting the first target gas. This is possible, and by detecting the second target gas, it is possible to predict a level higher than the initial level of fire signs. The response unit 330 controls electrical equipment in response to the level of fire signs or provides notifications to a set manager terminal or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은 표출재 가스, 절연체 가스 및 초미립자 등 표적가스를 감지하는 기술을 포함하여 가스감지의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화재징후의 수준 판별이 가능하여 화재징후의 예측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electivity of gas detection by including technology for detecting target gases such as surface gas, insulator gas, and ultrafine particles, and can further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fire signs by enabling discrimination of the level of fire signs. there is.

화재징후 감시장치(300)는 감시부(310), 예측부(320) 및 대응부(330)를 하우징하는 케이스(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측부(320)와 대응부(330)는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시부(310)와 예측부(320)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re sign monitoring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case 340 housing the monitoring unit 310, the prediction unit 320, and the response unit 330. The prediction unit 320 and the corresponding unit 330 may be formed as one unit. The monitoring unit 310 and the prediction unit 320 may be manufactured as an integrated unit or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unit.

감시부(310)는 단계별 화재징후의 수준을 예측하기 위하여 복수의 가스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예측부(320)는 가스센서별 가스농도의 비교를 통하여 특정 가스센서에 대한 가스농도의 오차를 보정하거나, 특정 가스센서의 오작동을 판별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310 may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gas sensors to predict the level of fire signs by stage. The prediction unit 320 may correct an error in the gas concentration for a specific gas sensor or determine a malfunction of the specific gas sensor through comparison of the gas concentration for each gas sensor.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표출재(20)는 느슨해진 볼트/너트를 찾기 위해 전기시설의 관리자의 육안검사(표출재의 외형변화), 냄새검사(표출재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의 냄새) 및 자동검사(표출재의 가스감지)를 위해 사용된다.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aterial 20 is visually inspected by the manager of the electrical facility to find loose bolts/nuts (change in appearance of the display material) and odor. It is used for inspection (odor of gas generated by thermal decomposition of exposed material) and automatic inspection (detection of gas of exposed material).

표출재(20)는 인체에 해로운 독성가스를 유발하거나 도체의 부식을 유발하는 난연제를 미포함하여, 절연체보다 먼저 열분해되어 화재징후의 조기감지로 사용될 수 있다.The display material 20 does not contain a flame retardant that causes toxic gases harmful to the human body or corrosion of the conductor, so it is thermally decomposed before the insulator and can be used for early detection of fire signs.

표출재(20)는 관리자에게 외형의 변화로 도체접속 어셈블리(100)의 풀림예측을 제공하고, 화재징후 감시장치(300)에게 단계별 화쟁후의 수준판별을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material 20 can provide the manager with a prediction of loosening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based on changes in its appearance, and can provide the fire sign monitoring device 300 with a step-by-step determination of the level of the fire after the fire.

본 발명은 화재발생 이전에 감지하여 인적/물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육안검사/냄새검사/자동검사 등 복합적인 검사를 제공하여 검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human and material damage by detecting fire before it occurs, and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by providing complex inspection such as visual inspection, smell inspection, and automatic inspection.

본 발명은 감시부(310)를 R, S, T, N 등 상별로 설치할 필요 없이 복수의 도체 접속지점을 커버하여 설치 또는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installation or maintenance costs by covering a plurality of conductor connection points without the need to install the monitoring unit 310 for each phase, such as R, S, T, and N.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체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2의 도체접속 어셈블리에서 표출링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체접속 어셈블리(100)는 몸체(110)를 포함하고, 몸체(110)는 너트(111)와 볼트(112)를 포함한다. 너트(1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볼트 형상의 볼트(112)와 결합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고, 분리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FIG. 8 shows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ring is removed from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of FIG. 2.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includes the body 110. The body 110 includes a nut 111 and a bolt 112. As shown in FIG. 2, the nut 111 may be manufactured in a state coupled to the bolt-shaped bolt 112 at the bottom, or may be manufactured in a separated state.

너트(11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볼트(11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너트(111)와 볼트(112)는 도체 간의 접속을 제공한다. 도체접속 어셈블리(100)는 렌치 또는 드라이버와 같이 조임수단에 의해 죄거나 풀릴 수 있는 다양한 나사이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nut 111 may have a thread formed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bolt 112 may have a thread formed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Nuts 111 and bolts 112 provide connections between the conductors.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is a variety of screws that can be tightened or loosened by a tightening means such as a wrench or driver, but is not limited to this.

도체접속 어셈블리(100)는 안착홈(120) 및 표출링(21)을 포함한다. 안착홈(120)은 너트(110)의 외주면에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표출링(21)은 안착홈(120)에 형성된다. 표출재(20)는 표출링(21)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includes a seating groove 120 and an expression ring 21. The seating groove 1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ut 110. The display ring 21 is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120. The display material 2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display ring 21.

표출링(21)은 너트(111)를 통하여 도체의 열을 받으면 화재징후 표출을 위한 가스발생이 가능하고, 절연체의 열화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와 다른 성분의 가스를 포함한다. 표출링(21)은 링 또는 띠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절연체의 열화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와 다른 표적가스를 발생할 수 있다.The discharge ring 21 can generate gas for displaying fire signs when it receives heat from the conductor through the nut 111, and contains gas of different components from the gas generated by deterioration of the insulator. The discharge ring 21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ring or a strip, and can generate a target gas that is different from the gas generated by deterioration of the insulator.

감시부(310)는 표출링(21)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320)는 가스농도의 오차보정을 위한 온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310 includes a gas sensor for detecting gas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ring 21. The sensor unit 320 may include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for error correction of gas concentration.

본 발명은 표출재(20)를 통하여 절연체의 열화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와 다른 성분의 표적가스를 발생함으로써, 표적가스에 대한 가스센서의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정확하게 전기화재에 대한 징후를 알아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target gas with a different component from the gas generated by deterioration of the insulator through the display material 20, thereby improving the selectivity of the gas sensor for the target gas and accurately detecting signs of an electrical fire. You can find out.

가스센서는 기체 중에 포함된 특정 성분의 가스를 감지하여 그 농도에 따라 적당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이다. 가스센서는 동작방식에 따라 전기화학식, 접촉연소식, 반도체식, 광이온화식 및 적외선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적외선 가스센서는 NDIR 센서라고 불린다.A gas sensor is a device that detects a specific gas component contained in a gas and converts it into an appropriate electrical signal depending on its concentration. Gas sensors can be classified into electrochemical type, contact combustion type, semiconductor type, photoionization type, and infrared type depending on the operation method. Infrared gas sensors are called NDIR sensors.

안착홈(120)은 상부 안착홈(120a)과 하부 안착홈(120b)을 포함할 수 있고, 표출링(21)은 상부 안착홈(120a)에 형성된 상부 표출링(21a)과 하부 안착홈(120b)에 형성된 하부 표출링(21b)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ating groove 120 may include an upper seating groove (120a) and a lower seating groove (120b), and the display ring 21 may include an upper display ring (21a) and a lower seating groove ( It may include a lower expression ring (21b) formed in 120b).

상부 표출링(21a)과 하부 표출링(21b)은 발생하는 가스, 냄새 또는 융점이나 열분해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표출링(21a)과 하부 표출링(21b)에서 발생하는 가스나 냄새 또는 융점이나 열분해온도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단계별 화재징후의 판별을 제공할 수 있다.The upper discharge ring (21a) and the lower discharge ring (21b) may have different gases, odors, or melting points or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step-by-step discrimination of fire signs by varying the gas, odor, melting point, or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generated from the upper discharge ring (21a) and the lower discharge ring (21b).

상부 표출링(21a)은 하부 표출링(21b)보다 융점이나 열분해온도가 낮은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본 발명은 도체의 비정상적인 열이 발생하면 먼저 상부 표출링(21a)에서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관리자는 육안으로 2가지 종류의 표출링(21)의 상태를 관찰하여 단계별로 화재징후의 수준을 판별할 수 있다. 상부 표출링(21a)은 제1 표출재이고, 하부 표출링(21b)은 제2 표출재이다.The upper display ring (21a)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a lower melting point or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than the lower display ring (21b).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bnormal heat of the conductor occurs, deterioration may first occur in the upper display ring (21a). . The manager can visually observe the status of the two types of display rings (21) and determine the level of fire signs by stage. The upper display ring (21a) is the first display material, and the lower display ring (21b) is the second display material.

제1 표출재(21a)와 제2 표출재(21b)는 상호비교에 기반하여 화재징후의 수준을 판별하기 위한 육안검사 기능이 구비된다. 관리자는 제1 표출재(21a)와 제2 표출재(21b)의 상호비교를 통해 화재징후의 수준이 어느 정도로 진행되었는지 육안검사를 할 수 있따.The first display material 21a and the second display material 21b are equipped with a visual inspection function to determine the level of fire signs based on mutual comparison. The manager can visually inspect the level of fire symptoms through mutual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display material (21a) and the second display material (21b).

상부 표출링(21a)과 하부 표출링(21b)은 서로 냄새가 다른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본 발명은 도체의 비정상적인 열이 발생하면 먼저 상부 표출링(21a)에서 열화에 의한 냄새를 발생할 수 있다. 작업자는 후각으로 어떤 냄새인지 관찰하여 단계별로 화재징후의 수준을 판별할 수 있다.The upper expression ring (21a) and the lower expression ring (21b) may be made of materials with different odor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bnormal heat of the conductor occurs, an odor due to deterioration may first be generated in the upper expression ring (21a). there is. Workers can determine the level of fire signs by stage by observing what kind of smell it is through their sense of smell.

상부 표출링(21a)과 하부 표출링(21b)은 융점과 가스성분이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센서부(320)를 통하여 단계별 화재징후의 판별을 제공할 수 있다.The upper discharge ring 21a and the lower discharge ring 21b may contain materials with different melting points and gas compon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step-by-step discrimination of fire signs through the sensor unit 320.

감시부(310)는 표출재(20)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제1 가스 및 절연체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제2 가스를 감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가스는 절연체의 최고허용온도 및 절연체의 융점 사이의 온도로 열을 받을 때 표출재(20)에서 발생하는 가스일 수 있고, 제2 가스는 절연체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열을 받을 때 절연체에서 발생하는 가스일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310 may detect the first gas generated by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display material 20 and the second gas generated by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insulator. The first gas may be a gas generated from the display material 20 when heated at a temperature between the 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of the insulator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insulator, and the second gas may be a gas generated from the insulator when heated at a temperature above the melting point of the insulator. It may be a gas that is generated.

예측부(320)는 온도에 따라 제1 가스와 제2 가스의 발생시기가 다르므로, 가스의 종류 또는 농도로 단계별 화재징후의 수준 판별이 가능하다.Since the generation time of the first gas and the second gas vari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the prediction unit 320 can determine the level of fire signs by stage based on the type or concentration of the gas.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체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도체접속 어셈블리에서 끼움부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체접속 어셈블리(100)는 캡슐형으로서 내부공간(130), 부취제(22), 끼움홈(140) 및 끼움부(150)를 포함한다.FIG. 10 shows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shows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of FIG. 10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fitting portion.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is capsule-type. It includes an internal space 130, an odorant 22, a fitting groove 140, and a fitting portion 150.

내부공간(130)은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고, 부취제(22)는 내부공간에 형성된다. 끼움홈(140)은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끼움부(150)는 끼움홈(140)에 형성된다.The internal space 130 is formed inside the body 110, and the odorant 22 is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The fitting groove 140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and the fitting portion 150 is formed in the fitting groove 140.

끼움부(150)는 도체의 열에 의해 열화가 발생할 수 있고, 열화에 의해 끼움홈(140)으로부터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부취제(22)는 끼움부(150)의 이탈이 발생하면 화재징후 표출을 위해 내부공간(130)에서 외부로 방출된다.The fitting portion 150 may be deteriorated due to heat of the conductor,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140 due to deterioration. When the fitting portion 150 is separated, the odorant 22 is released from the internal space 130 to the outside to display fire signs.

부취제(22)는 절연체의 열화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와 다른 가스를 발생할 수 있다. 부취제(22)는 도체의 열에 의한 압력 팽창이 발생할 수 있고, 팽창되는 힘에 의해 끼움부(150)의 이탈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표출재(20)는 열분해시 부취를 발생할 수 있는 부취제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절연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odorant 22 may generate a gas different from the gas generated by deterioration of the insulator. The odorant 22 may cause pressure expansion due to the heat of the conductor, and may further promote separation of the fitting portion 150 due to the force of the expansion. The display material 20 may contain an odorant component that may generate odor when thermally decomposed, and may have insulating properties.

도체접속 어셈블리(100)는 끼움부(150)의 이탈 촉진을 위하여 내부공간(130) 사이에 형성된 탄성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150)는 몸체(110)를 통하여 전달받는 도체의 열과 탄성수단(160)의 힘을 받으면 끼움홈(150)으로부터 이탈발생이 가능하다.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may further include elastic means 160 formed between the internal spaces 130 to promote separation of the fitting portion 150. The fitting portion 15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150 when it receives the heat of the conductor transmitted through the body 110 and the force of the elastic means 160.

끼움부(150)는 열에 의해 변형될 수 있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160)에 의해 끼움홈(15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끼움부(150)의 변형 또는 이탈을 통하여 육안식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는 끼움부(150)가 끼움홈(140)으로부터 이탈되어 육안식별이 가능하다. 끼움부(150)는 열화에 의해 가스를 발생할 수 있다.The fitting portion 150 may be deformed by heat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150 by an elastic means 160 such as a spr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isual identification function through deformation or separation of the fitting portion 150. The manager can visually identify the fitting portion 150 as it is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140. The fitting portion 150 may generate gas due to deterioration.

본 발명은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이 되는 도체 간의 접속지점에 형성된 도체접속 어셈블리를 설치하고, 도체접속 어셈블리에 화재징후를 표출하기 위한 표출링(21) 또는 부취제(22)의 표출재(20)를 형성함으로써, 전기화재의 징후를 센서 또는 관리자를 통하여 신속하게 알아낼 수 있고, 전기화재에 의한 인명/물적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출재(20)를 통하여 절연체에서 발생하는 가스와 다른 성분의 가스를 발생함으로써, 가스센서의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form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conductors, which is the main cause of electrical fires, and provides a display ring (21) or a display material (20) for the odorant (22) to display fire signs on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By forming, signs of electrical fire can be quickly detected through sensors or managers, and human/material damage caused by electrical fi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electivity of the gas sensor by generating gas of a different component from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sulator through the display material 20.

본 발명은 내부공간(130)을 몸체(110)의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형성될 수 있고, 상부와 하부 등 양쪽에서 화재징후에 대한 표출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space 130 can be formed not only at the top but also at the bottom of the body 110, and can provide fire signs from both the top and bottom.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체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 도 12의 도체접속 어셈블리에서 퓨즈형 표출부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체접속 어셈블리(100)는 퓨즈형으로서 몸체(110), 내부공간(130), 개방부(170) 및 퓨즈형 표출부(180)를 포함한다.Figure 12 shows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3 shows a state separated from the fuse-type display part in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of Figure 12.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is a fuse. The shape includes a body 110, an internal space 130, an opening 170, and a fuse-type display portion 180.

개방부(170)는 내부공간(130)의 일단에 형성되고, 퓨즈형 표출부(180)는 개방부(170)를 통하여 삽입되어 내부공간(130)에 안착된다. 내부공간(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출재(20) 중 하나인 부취제(22)가 있는 분위기에서 내부공간(130)에 퓨즈형 표출부(180)를 삽입함으로써, 도체접속 어셈블리(100)의 제조를 완성할 수 있다.The opening part 17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ternal space 130, and the fuse-type display part 18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part 170 and is seated in the internal space 130. The internal space 130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10 or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110, as shown in FIG. 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e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can be completed by inserting the fuse-type display portion 180 into the internal space 130 in an atmosphere with the odorant 22, which is one of the display materials 20. .

퓨즈형 표출부(180)는 상부부재(181), 하부부재(182), 심선(183), 탄성수단(160) 및 부취제(22)를 포함한다. 상부부재(181)는 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되고, 하부부재(182)는 내부공간(130)의 타단에 형성되며, 심선(183)은 상부부재(181)와 하부부재(182)를 연결한다.The fuse-type display unit 180 includes an upper member 181, a lower member 182, a core wire 183, an elastic means 160, and an odorant 22. The upper member 181 is used to close the opening, the lower member 18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nal space 130, and the core wire 183 connects the upper member 181 and the lower member 182.

상부부재(181), 하부부재(182) 및 심선(183)은 동일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상부부재(181)와 하부부재(182)는 심선(183)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부부재(181)와 하부부재(182)는 심선(183)과 다른 물질로 제조될 수 있고, 상부부재(181)와 하부부재(182)는 심선(183)보다 융점이나 강도가 높을 수 있다.The upper member 181, lower member 182, and core wire 183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upper member 181 and lower member 182 may be thicker than the core wire 183. The upper member 181 and lower member 182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than the core wire 183, and the upper member 181 and lower member 182 may have a higher melting point or strength than the core wire 183.

탄성수단(160)은 심선(183)을 감싸고, 상부부재(181)와 하부부재(182)의 사이에 위치하여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도체의 열에 의해 심선(183)이 끊어지면 원래의 상태로 팽창된다. 이때 상부부재(181)는 탄성수단(160)의 팽창력에 의해 이탈되고, 부취제(22)는 개방부(170)를 통하여 내부공간(130)에서 외부로 방출된다. 부취제(22)는 심선(183)이 끊어지기 전에 탄성수단(160)과 심선(183) 사이의 공간에 존재할 수 있다.The elastic means 160 surrounds the core wire 183 and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member 181 and the lower member 182 to maintain the contracted state. When the core wire 183 is broken by the heat of the conductor, it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is expanded to At this time, the upper member 181 is separat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elastic means 160, and the odorant 22 is discharged from the internal space 130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70. The odorant 22 may exist in the space between the elastic means 160 and the core wire 183 before the core wire 183 is broken.

본 발명은 도체접속 어셈블리(100)에 내부공간(130)을 형성하기 위한 홈을 가공하고, 홈에 세트 형태로 제조된 퓨즈형 표출부(180)를 삽입함으로써, 제조가 매우 간단하고, 제조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퓨즈형 표출부(180)의 교체로 손쉽게 유지보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ple to manufacture by machining a groove to form an internal space 130 in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and inserting a fuse-type display portion 180 manufactured in a set form into the groove. Time can be shortene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asy maintenance by replacing the fuse-type display unit 180.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체접속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체접속 어셈블리(100)의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내부공간(130)이 형성될 수 있다.FIG. 14 shows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ternal space 130 may be formed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110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퓨즈형 표출부(180)는 상부부재(181)와 하부부재(182)를 감싸는 삽입관(18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관(184)의 내부에는 부취제(2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완제품의 퓨즈형 표출부(180)를 내부공간(130)에 삽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심선(183)이 끊어지면 상부부재(181) 또는 하부부재(182)의 부재가 이탈되어 몸체(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부취제(22)가 방출될 수 있다. 작업자는 도체접속 어셈블리(100)의 상부와 하부쪽을 관찰하여 화재징후의 표출이 발생하였는지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다.The fuse-type display unit 180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tube 184 surrounding the upper member 181 and the lower member 182. An odorant 22 is formed inside the insertion tube 18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se-type display part 180 of the finished product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130.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re wire 183 is broken, the upper member 181 or the lower member 182 may be separated and the odorant 22 may be released from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body 110. The operator can easily visually identify whether signs of fire have occurred by observ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본 발명은 완제품의 퓨즈형 표출부(180)를 삽입함으로써, 제조가 매우 간단하고, 제조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퓨즈형 표출부(180)의 교체로 손쉽게 유지보수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ing is very simple and manufacturing process time can be shortened by inserting the fuse-type display portion 180 of the finished product.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ovide maintenance by replacing the fuse-type display unit 180.

배터리는 전해액을 포함하고, 육불황인산리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열 폭주가 발생하면 불화수소(HF)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셀을 감싸기 위한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고, 열 폭주에 의해 절연체의 열분해에 의한 가스를 발생할 수 있다.The battery contains an electrolyte and may contain lithium hexafluoride phosphate, which may generate hydrogen fluoride (HF) when thermal runaway occurs. Additionally, the battery may include an insulator to surround the cell, and gas may be generated by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insulator due to thermal runaway.

배터리는 과충전을 모니터링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회로 불량에 의해 이상징후를 조기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배터리는 전기를 전달하기 위한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고, 버스바 간의 접속에서 도체접속 어셈블리(100)의 풀림이 발생할 수 있다.Batteries may include a circuit that monitors overcharge, and early detection of abnormal signs may be difficult due to circuit failure. The battery may include bus bars for transmitting electricity, and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may become loose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bus bars.

감시부(310)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의 온도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 및 도체의 열을 전달받아 표출재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의 감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감시부(310)를 이용하여 배터리와 표출재(20)를 함께 이용하여 배터리의 폭발징후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310 is capable of detecting gas generated by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display material by receiving heat from the gas and conductor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battery storing electric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monitoring unit 310 to detect signs of battery explosion in advance by using the battery and the display material 20 together.

종래에는 볼트/너트의 풀림이 발생하면 펜을 이용하여 볼트/너트에 표시하여 볼트/너트를 다시 죄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볼트/너트의 불량에 의한 풀림인지 또는 수축이완작용에 의한 풀림인지 알 수가 없다.Conventionally, when a bolt/nut becomes loose, a pen is used to mark the bolt/nut and the bolt/nut is tightened again. However, conventionally, it is impossible to know whether loosening is due to a defective bolt/nut or loosening due to contraction/relaxation action.

종래에는 도체의 열 등 수축이완작용에 의한 풀림이면 볼트/너트를 다시 죄어주면 해결되지만, 볼트/너트의 불량에 의한 풀림이면 다시 죄어도 반복적으로 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관리자가 수시로 펜에 의한 마킹을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몇 번을 마킹했는지 알아내기 어렵다.Conventionally, if loosening is caused by shrinkage/relaxation such as heat of the conductor, it can be solved by re-tightening the bolt/nut. However, if loosening is due to a defective bolt/nut, the problem of repeated loosening occurs even after re-tightening, and the manager has to frequently tighten the pen. This causes the inconvenience of marking, and it is difficult to find out how many times marking was done.

표출재(20)는 도체 간의 접속에서 도체접속 어셈블리(100)의 교체횟수를 의미하는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출재(20)는 노란색이면 처음 설치된 것을 의미하고, 파란색이면 1번 교체된 것을 의미하며, 빨간색이면 2번 교체된 것을 의미한다. 색상에 따른 교체횟수는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display material 20 may have a color indicating the number of replacements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in the connection between conductors. For example, if the display material 20 is yellow, it means that it was installed for the first time, if it is blue, it means that it has been replaced once, and if it is red, it means that it has been replaced twice. The number of replacements according to color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administrator, but is not limited to this.

부취제는 도시가스 산업에서 가스누출징후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서, 일반적으로 도체의 부식을 발생하는 황성분을 포함하고, 가스배관은 도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되어 있다.Odorants are materials used in the city gas industry to detect signs of gas leaks. They generally contain sulfur components that cause corrosion of conductors, and gas pipes are coated to prevent corrosion of conductors.

표출재는 황성분이 없는 무황부취제를 포함할 수 있다. 무황부취제는 합성수지의 강도나 물성을 강화하고, 인체에 해가 없으며, 금속의 부식성이 낮다. 본 발명은 무황부취제를 통해 연소과정에서 냄새가 발생하여 작업자가 후각으로 전기화재의 징후를 알아낼 수 있고, 탄화수소 계열을 가스를 발생하여 감시부(310)의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스증발로 인한 절연재의 외형변화가 발생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전기화재의 징후를 알아낼 수 있다.The expressed material may include a sulfur-free odorant without sulfur. Sulfur-free odorants enhance the strength and physical properties of synthetic resins, are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have low corrosiveness of metals.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odor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through a sulfur-free odorant, allowing workers to detect signs of an electrical fire through the sense of smell, and generates hydrocarbon-based gas to improve the selectivity of the monitoring unit 310. The appearance of the insulation material changes due to evaporation, allowing workers to visually detect signs of an electrical fire.

무황부취제는 이소발레르알데히드(isovaleraldehyde) 또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일 수 있다. 이소발레르알데히드는 바나나, 사과, 당근, 카카오 및 커피와 같은 식품을 비롯하여 180종이 넘는 식물의 천연으로부터 입수가 가능하다. 이소발레알데히드는 아미노산 제조, 항바이러스성 보호, 중추신경계 질환 약물 또는 부형제로 사용되는 물질이다.The sulfur-free odorant may be isovaleraldehyde or acrylate. Isovaleraldehyde is available naturally from over 180 plant species, including foods such as bananas, apples, carrots, cacao, and coffee. Isovarealdehyde is a substanc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mino acids, antiviral protection,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 drugs, or as an excipient.

아크릴레이트는 황성분을 미포함하고, 특유의 냄새를 발생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는 메틸, 에틸, 부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분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는 투명성, UV안정성, 신율, 내용제성 및 내수성이 있으므로, 도료, 섬유, 접착제, 코팅제 또는 잉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특히 메틸 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에스테르 모노머들과 공중합체를 이루어져 합성수지의 강도나 물성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무황부취제는 에스테르계 유기화합물인 알킬 이소발레이트, 아크릴계 유기화합물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피라진을 포함할 수 있다.Acrylates do not contain sulfur and may emit a characteristic odor. Acrylates can be classified into methyl, ethyl, butyl, 2-ethylhexyl acrylate, acrylic acid, and methyl methacrylate. Acrylates have transparency, UV stability, elongation, solvent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so they ar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paints, fibers, adhesives, coatings, or inks. In particular, methyl acrylate forms a copolymer with acrylic ester monomers and provides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the strength and physical properties of synthetic resins. Sulfur-free odorants may include alkyl isovalate, which is an ester-based organic compound, and alkyl acrylate or alkyl pyrazine, which are acrylic organic compounds.

표출재(20)는 탄소와 수소원자로 구성된 열변색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열에 의한 색상변화를 제공하는 열변색 고분자는 열변색층으로 명명할 수 있다. 열변색층은 종래의 변색용 안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The display material 20 may include a thermochromic polymer composed of carbon and hydrogen atoms. Thermochromic polymers that provide color change by heat can be named thermochromic layers. The thermochromic layer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color-changing pigments.

열변색 고분자는 일반적을 바이오센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주성분이 폴리디아세틸렌(polydiacetylene)이며, 고분자에 펩타이드 곁가지(sid chain)를 도입하여 200℃까지 매우 빠른 색상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열변색 고분자(120)는 200℃이상의 열을 받으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어 더 이상 열변색 성질이 존재하지 않는다. 열변색 고분자(120)는 폴리디아세틸렌의 양에 대응하여 다양한 조건의 온도로 색상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폴리디아세틸렌은 분자식이 C4H2로서 수소와 탄소 원자로 구성되고, 착화온도 이상으로 열을 받으면 탄화수소 계열의 가스를 발생할 수 있다. 열변색 고분자는 변색용 안료보다 색상변화에 따른 온도범위가 넓고, 절연체의 열화가 발생하는 온도와 완전연소가 발생하는 온도 사이의 범위를 갖을 수 있다. 열변색 고분자는 수소와 탄소 원자로 구성되어 불완전 연소시 도체의 부식과 관련된 가스의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탄화수소 계열의 표적가스를 감지하는 감시부(310)의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mochromic polymers are generally used to manufacture biosensors. The main ingredient is polydiacetylene, and by introducing peptide side chains into the polymer, it can provide a very rapid color change up to 200°C. When the thermochromic polymer 120 is subjected to heat above 200°C, it is irreversibly damaged and no longer has thermochromic properties. The thermochromic polymer 120 can provide color changes under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polydiacetylene. Polydiacetylene has a molecular formula of C 4 H 2 and is composed of hydrogen and carbon atoms, and can generate hydrocarbon-based gas when heated above the ignition temperature. Thermochromic polymers have a wider temperature range for color change than color change pigments, and can range between the temperature at which deterioration of the insulator occurs and the temperature at which complete combustion occurs. The thermochromic polymer is composed of hydrogen and carbon atoms and can minimize the emission of gases related to corrosion of the conductor during incomplete combustion and improve the selectivity of the monitoring unit 310 that detects hydrocarbon-based target gas.

열변색 고분자는 탄소와 수소 원자로 구성되어 불완전 연소시 탄화수소 계열의 표적가스를 발생할 수 있다. 부취제도 또한 탄소, 수소 및 산소 원자로 구성되어 불완전 연소시 탄화수소 계열의 표적가스를 발생할 수 있다.Thermochromic polymers are composed of carbon and hydrogen atoms and can generate hydrocarbon-based target gas during incomplete combustion. The odorant is also composed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and can generate hydrocarbon-based target gas during incomplete combus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모형의 화재징후 가스측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표출재(20) 또는 가스센서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전기시설물 모형의 화재징후 가스측정 장치(500)가 필요하다.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e sign gas measuring device of a switchboard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display material 20 or a gas sensor, a fire sign gas measuring device 500 of an electrical facility model is used. ) is required.

화재징후 가스측정 장치(500)는 챔버(510), 가열부(540), 온도측정부(570) 및 가스측정부(580)를 포함한다. 챔버(510)는 배전반 모형을 가지고, 도체부(30)에 형성된 화재징후 표출대상을 배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화재징후 표출대상은 절연체 또는 표출재이다. 챔버(510)는 도체부(30) 간의 접속을 제공하는 도체접속 어셈블리(100)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표출재를 내부에 배치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fire sign gas measuring device 500 includes a chamber 510, a heating unit 540,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570, and a gas measuring unit 580. The chamber 510 has a switchboard model and is used to place the fire symptom display object formed in the conductor portion 30. The target of fire signs is the insulator or the display material. The chamber 510 is used to place inside the display material formed at a set position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that provides connection between the conductor portions 30.

가열부는 도체부(30)를 가열하고, 온도측정부(570)는 도체부(30)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측정부(570)는 대표적으로 열전소자이다.The heating unit heats the conductor unit 30, and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57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conductor unit 30.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570 is typically a thermoelectric element.

가스측정부(580)는 도체부(30)의 열에 의해 화재징후 표출대상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다. 가스측정부(580)는 화재징후 감시장치(300)의 감시부(310)일 수 있다.The gas measuring unit 580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gas generated from the fire symptom display target by the heat of the conductor unit 30. The gas measuring unit 580 may be the monitoring unit 310 of the fire sign monitoring device 300.

온도측정부(570)와 가스측정부(58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화재징후 표출대상의 제작, 가스측정부(580) 또는 감시부(310)의 성능시험 및 화재징후의 수준을 판별하기 위한 기준농도의 선정 중 적어도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The data measured i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570 and the gas measurement unit 580 are used as standards for producing fire symptom display objects, performance testing of the gas measurement unit 580 or monitoring unit 310, and determining the level of fire signs. It can be used as at least one of the selection of concentrations.

화재징후 가스측정 장치(500)는 제어부(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90)는 가열부(140), 온도측정부(570) 및 가스측정부(58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적외선 또는 센서네트워크 통신일 수 있고, 다양한 통신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fire sign gas measuring device 5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590. The control unit 590 can communicate with the heating unit 140,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570, and the gas measuring unit 580 by wire or wirelessly.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Bluetooth, Wi-Fi, infrared, or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and may be a variety of communica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화재징후 가스측정 장치(500)는 흡기부(551)와 배기부(5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기부(551)는 챔버(510) 하부에 형성되어 신선한 공기를 챔버(510) 내부로 흡입하며, 배기부(552)는 챔버(510) 상부에 형성되어 챔버(5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흡기부(551)와 배기부(552)는 제어부(590)의 제어를 통하여 시험직전 또는 시험직후에 가동된다.The fire sign gas measuring device 500 may further include an intake unit 551 and an exhaust unit 552. The intake unit 55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hamber 510 to suck fresh air into the chamber 510, and the exhaust unit 552 is formed at the top of the chamber 510 to take the air inside the chamber 510 to the outside. discharge. The intake unit 551 and exhaust unit 552 are operated immediately before or after the test through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90.

본 발명은 표출재(20)가 절연체보다 융점이나 열분해온도가 낮아 화재징후의 조기감지와 단계별 화재징후의 수준판별로 활용할 수 있고, 표출재(20)가 도체접속 어셈블리(100)에 형성되어 외형변화로 도체접속 어셈블리(100)의 풀림예측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aterial 20 has a lower melting point or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than the insulator, so it can be used for early detection of fire signs and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fire signs by stage, and the display material 20 is formed in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to change the external appearance. The change can be used to predict loosening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본 발명은 표출재(20)와 절연체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하여 단계별 화재징후의 수준을 예측할 수 있고, 화재징후의 수준에 대응하여 전기설비를 제어하거나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전기시설물의 전기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gas generated from the display material 20 and the insulator to predict the level of fire signs by stage, and controls the electrical equipment in response to the level of the fire sign or provides notification to a set manager terminal to manage the electrical facilities. Electrical fires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은 도체부(30)의 온도를 측정한 데이터와 화재징후 표출대상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징후 표출대상의 제작, 가스측정부(580)나 감시부(310)의 성능시험 및 화재징후의 수준을 판별하기 위한 기준값의 선정 중 적어도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data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ductor part 30 and data measuring the gas generated from the fire symptom display object to produce a fire symptom display object, and to use the gas measurement unit 580 or the monitoring unit 310. It can be used as at least one of performance tests and selection of reference values to determine the level of fire signs.

본 발명은 난연제가 없는 친환경의 표출재(20)를 개발함으로써, 절연체보다 먼저 열분해하는 표출재(20)를 제공할 수 있고, 난연제에 의한 도체의 부식이나 인체에 해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By developing an eco-friendly display material 20 without a flame retardant,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lay material 20 that thermally decomposes before the insulator, and can solve problems such as corrosion of conductors caused by flame retardants or harmful to the human body.

본 발명은 절연체보다 열분해가 먼저 발생하는 표출재(20)를 개발함으로써, 화재징후를 조기에 감지하여 화재징후의 예측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elops a display material 20 in which thermal decomposition occurs earlier than the insulator, thereby detecting fire signs early and further improving the accuracy of predicting fire signs.

본 발명은 도체 간의 접속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도체접속 어셈블리(100)에 표출재(20)를 형성시키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종래와 다르게 도체 간의 접속지점마다 별도로 화재징후 감시를 위한 요소가 불필요하여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표출재(20)의 육안검사로 느슨해진 볼트/너트를 빠르게 찾아 죄어줘 인적/물적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elops a technology for forming the display material 20 in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which is essential for connection between conductors, so that, unlike the prior art, there is no need for separate elements for fire sign monitoring at each connection point between conductors, thereby reducing costs. A savings effect can be achieved, and human/material damag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quickly finding and tightening loose bolts/nuts through visual inspection of the display material (20).

본 발명은 감시부(310)를 이용한 자동검사, 표출재(20)의 외형변화에 따른 육안검사 및 표출재(20)의 가스냄새에 의한 냄새검사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검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by providing automatic inspection using the monitoring unit 310, visual inspection based on changes i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display material 20, and odor inspection based on the gas odor of the display material 20. there is.

감시부(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선, 튜브 및 단자대 등 도체 절연을 위한 절연체의 열분해에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할 수 있고, 발열 가능한 회로기판, 다이오드 및 전자부품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nitoring unit 310 can detect gas generated by thermal decomposition of insulators for insulating conductors such as wires, tubes, and terminal blocks, and detects gas generated by abnormalities in circuit boards, diodes, and electronic components that can generate heat. It can be detected.

예측부(320)는 과전류, 도체접속불량 또는 전자부품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가스농도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화재징후의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The prediction unit 320 can predict the level of fire signs by comparing the gas concentration generated due to overcurrent, poor conductor connection, or abnorm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with a reference value.

10: 시스템 20: 표출재
21: 표출링 21a: 제1 표출링
21b: 제2 표출링 22: 부취제
100: 도체접속 어셈블리 110: 몸체
111: 너트 112: 볼트
120: 안착홈 120a: 제1 안착홈
120b: 제2 안착홈 130: 내부공간
140: 끼움홈 150: 끼움부
160: 탄성수단 170: 개방부
180: 퓨즈형 표출부 181: 상부부재
182: 하부부재 183: 심선
184: 삽입관 310: 감시부
320: 예측부 330: 대응부
340: 케이스 500: 화재징후 가스측정 장치
510: 챔버 540: 가열부
551: 흡기부 552: 배기부
570: 온도측정부 580: 가스측정부
590: 제어부
10: System 20: Expression material
21: display ring 21a: first display ring
21b: second expression ring 22: odorant
100: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10: Body
111: nut 112: bolt
120: Seating groove 120a: First seating groove
120b: Second seating groove 130: Internal space
140: Fitting groove 150: Fitting portion
160: elastic means 170: opening part
180: Fuse-type display unit 181: Upper member
182: lower member 183: core wire
184: Insertion tube 310: Monitoring unit
320: prediction unit 330: response unit
340: Case 500: Fire sign gas measuring device
510: Chamber 540: Heating unit
551: intake section 552: exhaust section
570: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580: Gas measurement unit
590: Control unit

Claims (3)

전기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가 포함된 전기설비, 전기시설물 또는 전기장치;
도체 간 접속을 제공하는 도체접속 어셈블리(100) 및
상기 도체접속 어셈블리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표출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
An electrical installation, installation, or device containing at least one conductor that transmits electricity;
A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100 that provides 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and
An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comprising a display material (20) formed at a set position of the conductor connection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의 절연을 위한 절연체;
상기 표출재의 열분해에 발생하는 가스, 절연체의 열분해에 발생하는 가스 및 공기나 수분과 접촉하여 가스가 상변이된 초미립자의 감지가 가능한 감시부(310) 및
상기 감시부에서 감지된 측정값 이용하여 단계별 화재징후 수준의 예측이 가능한 예측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nsulator for insulating the conductor;
A monitoring unit 310 capable of detecting gas generated from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display material, gas generated from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insulator, and ultrafine particles in which the gas undergoes a phase transformation upon contact with air or moisture, and
An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rediction unit 320 capable of predicting the level of fire signs by stage using the measurement values detected by the monitor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전해물질의 온도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와 도체의 열을 전달받아 표출재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의 감지가 가능한 감시부 및
상기 감시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화재징후의 발생원인을 예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 예방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monitoring unit capable of detecting gas generated by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display material by receiving heat from the conductor and gas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rise of the electrolyte of the battery, and
An electrical fire preven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the cause of fire signs using the measurement values detected by the monitoring unit.
KR1020220030673A 2022-03-11 2022-03-11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fire KR202301335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673A KR20230133542A (en) 2022-03-11 2022-03-11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f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673A KR20230133542A (en) 2022-03-11 2022-03-11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f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542A true KR20230133542A (en) 2023-09-19

Family

ID=8819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673A KR20230133542A (en) 2022-03-11 2022-03-11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f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542A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906B1 (en) 2012-10-18 2013-07-25 동일산전(주) Apparatus for monitoring temperature of distributing board using non-contact ir temperature sensor
KR101647456B1 (en) 2015-06-02 2016-08-10 (주)탑솔루션 Directly contact-type bus bar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KR101691164B1 (en) 2016-04-12 2016-12-30 민지원 Diagnostic unit for combined deterioration of power utilities
JP2019097248A (en) 2017-11-20 2019-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Diagnostic apparatus for high voltage equipment and diagnostic method therefor
KR101993832B1 (en) 2019-01-17 2019-06-28 (주)제이루트 Solar connection board
KR102101698B1 (en) 2018-07-12 2020-04-17 주식회사동우유니온 Early fire detec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based on fire, smoke and video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906B1 (en) 2012-10-18 2013-07-25 동일산전(주) Apparatus for monitoring temperature of distributing board using non-contact ir temperature sensor
KR101647456B1 (en) 2015-06-02 2016-08-10 (주)탑솔루션 Directly contact-type bus bar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KR101691164B1 (en) 2016-04-12 2016-12-30 민지원 Diagnostic unit for combined deterioration of power utilities
JP2019097248A (en) 2017-11-20 2019-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Diagnostic apparatus for high voltage equipment and diagnostic method therefor
KR102101698B1 (en) 2018-07-12 2020-04-17 주식회사동우유니온 Early fire detec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based on fire, smoke and video
KR101993832B1 (en) 2019-01-17 2019-06-28 (주)제이루트 Solar connection boar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수영 외.,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20권, 제4호, 2006, pp. 26-3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495B1 (en) Conductor connecting assembly for showing sign of fire
US7538557B2 (en) Arc fault and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tester apparatus and method
CN102243285B (en) Fault detection apparatus based on temperature and current analyses, and method thereof
CN106483423B (en) Fault searching method and device for breaker opening electric loop
KR1007542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partial discharge of a powercable
KR101457880B1 (en) A high tension panel, low tension panel, dstribution panel and motor control panel for Fire Sensing Fuction
CN203760780U (en) Intelligent cable plug
KR20140122771A (en) A high voltage panel, low voltage panel, distribution panel and motor control panel for fire sensing function using multiple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sensor
Babrauskas Research on electrical fires: The state of the art
Hadziefendic et al. Detection of poor contacts in low-voltage electrical installations
KR102533840B1 (en) Distributin board for prevention of electric fire
Fisher et al. A criterion for thermally-induced failure of electrical cable
CN106842016A (en) A kind of SF6 breaker apparatus cancel the condition test method of the customary experiment that has a power failure
KR102499457B1 (en) Conductor connecting assembly having ring of showing sign
KR102499460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fire sign gas
KR20230133542A (en)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fire
KR20230133536A (en) Material of showing sign formed conductor connecting assembly
KR101535923B1 (en) An electric distributing board with diagnosis function of electric power quality through monitoring carbonization of power cable and dischare of power apparatus connecting parts
KR20230133540A (en) Conductor connecting assembly including odorant
CN115389874A (en) Electrical cabinet insulation performance online detection method
Al Qabbani Tests of series arcing and arc fault detection devices in low voltage systems
CN115083093A (en) Electrical fire monitoring system
KR102533842B1 (en) Material for showing sign of fire
JP2014066563A (en) Ac control circuit insulation-monitoring device
KR102645245B1 (en) Distribution board for figuring out sign of electric fire or abnorm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