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129A - 차량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129A
KR20230133129A KR1020220030259A KR20220030259A KR20230133129A KR 20230133129 A KR20230133129 A KR 20230133129A KR 1020220030259 A KR1020220030259 A KR 1020220030259A KR 20220030259 A KR20220030259 A KR 20220030259A KR 20230133129 A KR20230133129 A KR 20230133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anel
guide
vehicle
vehic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철
강동호
모진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129A/ko
Priority to US18/049,311 priority patent/US11912222B2/en
Priority to DE102022211508.2A priority patent/DE102022211508A1/de
Priority to CN202211423009.4A priority patent/CN116729506A/zh
Publication of KR2023013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28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doors or panels, e.g. displaced towards the occupants in case of a sid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built up with profiles of constant elongated shape, e.g. extruded, mechanically interconnected by coupling members, e.g. by clamping, riveting or b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021/043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or roof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의 루프와 양측 필러 외측에 결합되는 차량 패널 조립체로서, 차체의 루프와 양측 필러를 감싸는 형상이며, 루프측 상부에 제1이너조립부가 형성되고 필러측의 양측 사이드부에 제2이너조립부가 형성되며, 제2이너조립부의 상방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이너패널; 및 이너패널의 상방에서 로딩되어 이너패널의 외측을 감싸도록 이너패널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제1이너조립부와 체결되는 제1아우터조립부가 형성되고, 사이드부에는 상방에서의 로딩시 가이드부에 의해 하방으로 가이드되며 로딩 후 제2이너조립부와 마주함으로써 제2이너조립부와 체결되는 제2아우터조립부가 형성된 아우터패널;을 포함하는 차량 패널 조립체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 패널 조립체{VEHICLE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패널 조립체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차체 어퍼바디에 결합되는 이너패널과 아우터패널 조립체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인 차체 구조는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가공을 통해 부품을 가공 및 용접하여 차체를 생산함으로써, 프레스공장, 차체 용접공장, 도장공장 등의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요한 것은 물론, 디자인자유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차체는 다품종 소량 생산시에 많은 설계변경이 요구되고, 그에 따라 금형의 개수도 비약적으로 증대하여 생산원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과 고객의 니즈에 적기 대응하기 위해 차량 생산을 단순화하고, 개발기간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디자인에 대응 가능하면서도 스마트팩토리 환경에서 차체의 조립성을 개선한 차체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20-0122605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복수 개의 파이프로 구성된 차량의 차체의 외측으로 이너패널을 결합시키고 이너패널의 외측에 아우터패널을 결합시키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는 차체의 루프와 양측 필러 외측에 결합되는 차량 패널 조립체로서, 차체의 루프와 양측 필러를 감싸는 형상이며, 루프측 상부에 제1이너조립부가 형성되고 필러측의 양측 사이드부에 제2이너조립부가 형성되며, 제2이너조립부의 상방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이너패널; 및 이너패널의 상방에서 로딩되어 이너패널의 외측을 감싸도록 이너패널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제1이너조립부와 체결되는 제1아우터조립부가 형성되고, 사이드부에는 상방에서의 로딩시 가이드부에 의해 하방으로 가이드되며 로딩 후 제2이너조립부와 마주함으로써 제2이너조립부와 체결되는 제2아우터조립부가 형성된 아우터패널;을 포함한다.
제1이너조립부에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제1아우터조립부는 제1삽입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가 포함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에는 연장된 방향으로 너비가 좁아지는 제1경사부가 형상되어 제1결합돌기는 제1경사부를 따라 제1삽입홈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와 제2이너조립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부에서 슬라이딩되어 하방으로 이탈된 제2아우터조립부는 제2이너조립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이너조립부에는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가이드부에 의해 로딩되어 하방으로 이탈된 제2아우터조립부가 제2이너조립부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우터패널은 상부 및 사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사이드부가 상부와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벌어짐이 가능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가이드부 및 제2이너조립부는 내판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하방에 위치된 가이드부 및 제2이너조립부는 상방에 위치된 가이드부 및 제2이너조립부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부에는 제2아우터조립부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만입되며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제2아우터조립부는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이너조립부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아우터조립부는 제2삽입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가 포함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에는 연장된 방향으로 너비가 좁아지는 제2경사부 및 제2경사부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만입부가 형성되며, 제2결합돌기는 제2경사부를 따라 제2삽입홈에 삽입되고 만입부에 걸려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제2아우터조립부에는 만입부에 내측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외측의 만입부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아우터조립부에는 만입부의 단부에서 제2아우터조립부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아우터조립부의 삽입을 제한하는 제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는 제2아우터조립부는 정확하게 제2이너조립부에 위치되어 결합될 수 있고, 제2아우터조립부가 가이드부에 의해 하방으로 로딩이 가이드됨에 따라 제1아우터조립부 또한 제1이너조립부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이너패널과 아우터패널의 결합 작업시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며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우터패널의 상부와 사이드부가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상부와 사이드부의 파팅 라인이 없어 외관미가 향상되고, 파팅라인이 형성되지 않아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우터패널이 상부와 사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부품부가 감소되어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조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조립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이너패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제1이너조립부 및 제1아우터조립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제2이너조립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제2아우터조립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제2아우터조립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제2이너조립부와 제2아우터조립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의 파이프 단부에 결합부재가 결합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에 포함된 아우터패널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종래의 차량은 승객이 승차하며, 승객을 위해 승차감, 안전사양, 외관미 및 주행성능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서스팬션, 익스테리어, 인테리어, 조향장치 및 안전장치 등을 차량에 모두 마련하기 위해 비교적 긴 제조과정 및 제조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용도마다 각각 개별적인 차량들을 제작해야 하기에 모든 용도에 맞도록 맞춤형으로 차량을 제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 적용된 차량은 PBV(PURPOSE BUILT VEHICLE) 차량에 있어서 물류, 푸드트럭, 배송, 서비스제공 등 다양한 상업적 목적을 갖는 비즈니스 차량에 관한 것이며,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대표적인 케이스로서 승객이 탑승하지 않고 화물만 내부 공간에 적재되어 운송되며, 자율 주행 시스템을 통해 운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물이나 음식 등의 무인 배송/물류/배달 시스템을 위한 차량을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구조가 단순해짐에 따라 설계 및 제조가 단순해질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은 차량의 부품이 모듈화되어 공용화됨으로써 원가가 절감되고 부품 수급이 용이해지며, 모듈화된 차량의 부품이 프레스 공정, 차체 용접 공정, 도장 공정이 없는 친환경 스마트 팩토리 생산 공법을 통해 볼팅 또는 리벳과 같은 기계적 결합만으로 차량이 완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을 저감하기 위해 복수의 파이프로 차체를 구성할 수 있다. 다만, 파이프의 경우 압출이나 롤포밍 등을 통해 제작이 가능하여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파이프와 파이프 또는 다른 패널들과의 결합시 결합강도의 보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차체 파이프의 단부가 다른 파이프 또는 패널과 강한 결합을 할 수 있도록, 차체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는 결합부재(20)를 적용하고, 결합부재(20)를 통해 개방된 차체 파이프 단부의 변형을 억제하며 다른 구성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21a)이 형성된 결합면(21)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의 파이프 단부에 결합부재(20)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0)는 파이프의 단부에서 파이프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용접되고, 결합부재(20)가 파이프의 내측으로 이격된만큼 형성된 이격공간에 용접 비드가 배치됨으로써 용접비드의 사상작업이 제외될 수 있음으로 결합부재(20)의 일체화 작업이 단순화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파이프와 결합부재(20)가 일체화된 구조에 따르면, 친환경 스마트팩토리에서 볼팅 또는 리벳과 같은 기계적 결합만을 통해 차체를 쉽게 조립이 가능하며, 용접 등이 불필요하여 친환경적이고, 사고 또는 정비시 차체의 일부 멤버의 교체가 용이하며, 다양한 종류의 차종을 쉽게 조립하여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은 상부에 위치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비지니스 영역 및 하부에 위치되어 차량의 구동을 담당하는 드라이브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비지니스 영역은 고객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드라이브 영역은 차량의 구동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차량은 기본적으로 도어가 일측으로만 오픈되어 화물을 적재시킬 수 있는 공간이 개방되는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고객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비지니스 영역이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어퍼바디는 상기 무인 배송 시스템을 위한 차량의 비지니스 영역에 위치한 차체를 구성한다.
어퍼바디와 로워바디는 복수의 파이프 형태의 멤버들을 통해 볼팅 등으로 조립되어 제조와 수리 및 리빌딩이 용이하며, 어퍼바디의 하부는 플로어를 구성하고, 로워바디에는 전후방으로 구동모터, 휠, 현가장치, 배터리 등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로워바디의 중앙에는 추가적인 배터리가 탑재되거나 또는 화물공간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어퍼바디와 로워바디는 각각 조립된 후 상하 체결되어 완성된 차량의 차체를 구성한다. 따라서 다양한 조합의 어퍼바디와 로워바디가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는 상기와 같이 파이프로 형성된 어퍼바디에 결합된 차량의 이너패널(200) 및 이너패널(200)의 외측에 조립된 아우터패널(100)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조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조립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이너패널(20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제1이너조립부(210) 및 제1아우터조립부(110)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제2이너조립부(220)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제2아우터조립부(12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는 차체의 루프와 양측 필러 외측에 결합되는 차량 패널 조립체로서, 차체의 루프와 양측 필러를 감싸는 형상이며, 루프측 상부에 제1이너조립부(210)가 형성되고 필러측의 양측 사이드부에 제2이너조립부(220)가 형성되며, 제2이너조립부(220)의 상방에 가이드부(230)가 형성된 이너패널(200); 및 이너패널(200)의 상방에서 로딩되어 이너패널(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이너패널(200)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제1이너조립부(210)와 체결되는 제1아우터조립부(110)가 형성되고, 사이드부에는 상방에서의 로딩시 가이드부(230)에 의해 하방으로 가이드되며 로딩 후 제2이너조립부(220)와 마주함으로써 제2이너조립부(220)와 체결되는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형성된 아우터패널(10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차체는 전방 및 후방에 상방으로 돌출되고 절곡되어 양측의 필러 및 루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패널(200)은 차량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위치되며, 차량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배치된 차량의 필러의 양사이드부, 루프부 및 전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2개의 패널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00)은 이너패널(20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로딩되며 이너패널(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패널(200)의 루프부에는 제1이너조립부(210)가 형성되고 아우터패널(100)에는 제1이너조립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아우터조립부(110)가 형성되며 제1이너조립부(210)와 제1아우터조립부(110)는 서로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이너패널(200)의 루프부와 아우터패널(100)의 루프부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아우터패널(100)의 사이드부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로딩되어 이너패널(200)의 사이드부를 커버링하도록 결합되며, 이때 아우터패널(100)의 사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형성되고, 이너패널(200)의 사이드부에는 제2아우터조립부(1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2이너조립부(220)가 형성되어 제2아우터조립부(120)와 제2이너조립부(220)는 서로 끼움 결합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제2아우터조립부(120)와 제2이너조립부(220)가 서로 끼워지기 이전에 제1아우터조립부(110)가 제1이너조립부(210)에 우선 결합되어 아우터패널(100)의 위치를규제한 이후 제2아우터조립부(120)와 제2이너조립부(220)가 서로 끼워짐으로써 결합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이너패널(200)의 사이드부와 아우터패널(100)의 사이드부가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서로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이너조립부(220)의 상측에는 상방에서 로딩되는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제2이너조립부(220)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제2아우터조립부(120)와 접촉되며 제2아우터조립부(120)의 로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30)가 형성되어 제2아우터조립부(120)는 가이드부(230)의 가이드에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로딩되어 제2이너조립부(220)에 위치되고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제2이너조립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00)이 하방으로 로딩되어 이너패널(2000)로 조립시 제1아우터조립부(110)가 제1이너조립부(210)에 접촉하게 되어 아우터패널(100)과 이너패널(200)이 조립시 전후, 좌우 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으며, 아우터패널(100) 하방으로 추가 로딩시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가이드부(230)에 가이드되어 하방으로 로딩이 가이드되며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된 아우터패널(100)은 탄성에 의해 벌어지게 되고,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제2이너조립부(220)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후 외력에 의해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제2이너조립부(220)에 결합되며 아우터패널(200)은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원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이너패널(200)과 아우터패널(100)의 결합 작업시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며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이너조립부(210)에는 제1삽입홈(211)이 형성되고, 제1아우터조립부(110)는 제1삽입홈(211)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111)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너조립부(210)에는 홈 형상의 제1삽입홈(211)이 형성되고, 제1아우터조립부(110)에는 제1삽입홈(211) 내부로 삽입되도록 돌출된 제1결합돌기(111)가 형성되어 제1결합돌기(111)는 제1삽입홈(211) 내부로 삽입되어 제1이너조립부(210)와 제1아우터조립부(11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이너조립부(210)와 제1아우터조립부(110)는 볼팅 또는 리벳과 같은 별물의 결합부재 없이 서로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아우터패널(100)이 이너패널(20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로딩시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결합돌기(111)에는 연장된 방향으로 너비가 좁아지는 제1경사부(111a)가 형상되어 제1결합돌기(111)는 제1경사부(111a)를 따라 제1삽입홈(211)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돌기(111)는 단부 측으로 단면이 작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된 제1경사부(111a)가 형성되어 제1결합돌기(111)가 제2삽입홈(221)에 삽입될 때 제1경사부(111a)를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제1결합돌기(111)의 단면이 두꺼워짐에 따라 제1삽입홈(211)에 제1결합돌기(111)가 삽입이 완료된 이후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부(230)와 제2이너조립부(220)는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부(230)에서 슬라이딩되어 하방으로 이탈된 제2아우터조립부(120)는 제2이너조립부(220)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30)와 제2이너조립부(220)는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너패널(200)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시 가이드부(230)와 제2이너조립부(220)를 일체로 형성되도록 쉽게 성형이 가능하며, 가이드부(230)와 제2이너조립부(220)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제조원가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30)에서 하방으로 로딩되는 것이 가이드된 제2아우터조립부(120)는 가이드부(230)에서 이탈시 바로 제2아우터 조립부에 위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이너조립부(220)에는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40)가 형성되어 가이드부(230)에 의해 로딩되어 하방으로 이탈된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제2이너조립부(220)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40)는 제2이너조립부(22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30)에 의해 하방 로딩이 가이드된 제2아우터조립부(120)는 가이드부(230)에서 이탈되어 하방으로 이동되어 제2이너조립부(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하방으로 이동시 제2이너조립부(220) 보다 하방으로 이동되면 제2아우터조립부(120)와 제2이너조립부(220)가 정상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비하여 제2이너조립부(220)의 하부에서 돌출된 돌출부(24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제2아우터조립부(120)를 지지하여 제2아우터조립부(120)와 제2이너조립부(220)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후 필요시 작업자의 외력을 통해 제2아우터조립부(120)와 제2이너조립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00)은 상부 및 사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사이드부가 상부와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벌어짐이 가능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패널(100)은 상부 및 사이드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역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이너패널(20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로딩되며, 사이드부의 제2아우터결합부가 가이드부(230)에 의해 로딩이 가이드되도록 상부와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벌어짐이 가능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100)의 일 실시에로서 아우터패널(100)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이드부가 상부에서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벌어짐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패널(100)의 상부와 사이드부가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상부와 사이드부의 파팅 라인이 없어 외관미가 향상되고, 파팅라인이 형성되지 않아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우터패널(100)이 상부와 사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부품부가 감소되어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너패널(200)을 활용하여, 아우터패널을 분할하지 않고 조립 가능할 수 있다.
가이드부(230) 및 제2이너조립부(220)는 내판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하방에 위치된 가이드부(230) 및 제2이너조립부(220)는 상방에 위치된 가이드부(230) 및 제2이너조립부(220)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30) 및 제2이너조립부(220)는 이너패널(200)의 사이드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패널(200)의 사이드부의 상부보다 하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하부 측의 가이드부(230) 및 제2이너조립부(220)가 상부 측의 가이드부(230) 및 제2이너조립부(220) 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복수개의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이드부(230)에 하방 로딩이 가이드되고 제2이너조립부(2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우터패널(100)과 이너패널(200)이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부(230)에는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만입되며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홈(231)이 형성되고, 제2아우터조립부(120)는 가이드홈(23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가이드부(230)는 하방으로 로딩되는 제2아우터조립부(120)를 가이드하기 위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만입된 가이드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제2이너조립부(220)와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제2아우터조립부(120)는 가이드홈(231)에 삽입되어 하방 로딩시 가이드홈(231) 내부에서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2이너조립부(220)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231)에 삽입됨에 따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유동이 억제되어 정확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이너조립부(220)에는 제2삽입홈(221)이 형성되고, 제2아우터조립부(120)는 제2삽입홈(221)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121)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너조립부(220)에는 홈 형상의 제2삽입홈(221)이 형성되고, 제2아우터조립부(120)에는 제2삽입홈(221) 내부로 삽입되도록 돌출된 제2결합돌기(121)가 형성되어 제2결합돌기(121)는 제2삽입홈(221) 내부로 삽입되어 제2이너조립부(220)와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이너조립부(220)와 제2아우터조립부(120)는 볼팅 또는 리벳과 같은 별물의 결합부재 없이 서로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의 제2아우터조립부(120)의 단면도이다.
제2결합돌기(121)에는 연장된 방향으로 너비가 좁아지는 제2경사부(121a) 및 제2경사부(121a)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만입부(121b)가 형성되며, 제2결합돌기(121)는 제2경사부(121a)를 따라 제2삽입홈(221)에 삽입되고 만입부(121b)에 걸려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아우터조립부(120)는 단부 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부(121a) 및 경사부의 단부에서 제2아우터조립부(120)의 중심 측으로 만입된 만입부(121b)가 형성되고, 제2이너조립부(220)에는 제2경사부(121a)가 삽입되고 만입부(121b)에 걸림 결합되어 제2이너조립부(220)와 제2아우터조립부(120)는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아우터조립부(120)는 제2이너조립부(220)에 삽입된 상태로 이탈되지 않으며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아우터조립부(120)에는 만입부(121b)에 내측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외측의 만입부(121b)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리브(121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입부(121b)의 내측으로는 제2아우터조립부(120)의 중심부 측으로 대각선으로 연장된 탄성리브(121c)가 형성되어 만입부(121b) 측으로 탄성을 가하여 제2결합돌기(121)가 제2삽입홈(221)으로 삽입된 이후 만입홈에 제2이너조립부(220)가 걸리게 될 때 탄성을 가하여 제2아우터조립부(1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아우터조립부(120)에는 만입부(121b)의 단부에서 제2아우터조립부(120)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아우터조립부(120)의 삽입을 제한하는 제한부(121d)가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121d)는 만입부(121b)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결합돌기(121)가 제2삽입홈(221) 내부로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우터패널(100)의 사이드부가 이너패널(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아우터조립부(120)의 형상은 제2아우터조립부(120)의 일 실시예로서 이러한 형상은 제1아우터조립부(11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패널 조립체에 포함된 아우터패널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패널(100)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루프 측 및 양측면 모두를 커버링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서 또한 도 10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로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차량은 전방 또는 후방에 차량의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패널 조립체는 각각의 패널이 서로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차체와 볼팅 또는 리벳에 의해 결합되며, 이러한 조립방식은 각각의 패널이 제조되어 스마트 팩토리로 운송되고, 프레스 공정, 도장 공정과 같은 제조공정이 없는 스마트 팩토리에서 끼움 결합, 볼팅 결합 또는 리벳 결합과 같은 간소한 결합방식으로 차량을 제조하여 고객에게 전달됨에 따라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아우터패널
110 : 제1아우터조립부
111 : 제1결합돌기
111a : 제1경사부
120 : 제2아우터조립부
121 : 제2결합돌기
121a : 제2경사부
121b : 만입부
121c : 탄성리브
121d : 제한부
200 : 이너패널
210 : 제1이너조립부
211 : 제1삽입홈
220 : 제2이너조립부
221 : 제2삽입홈
230 : 가이드부
231 : 가이드홈
240 : 돌출부

Claims (10)

  1. 차체의 루프와 양측 필러 외측에 결합되는 차량 패널 조립체로서,
    차체의 루프와 양측 필러를 감싸는 형상이며, 필러측의 양측 사이드부에 제2이너조립부가 형성되며, 제2이너조립부의 상방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이너패널; 및
    이너패널의 상방에서 로딩되어 이너패널의 외측을 감싸도록 이너패널에 결합되며, 사이드부에는 상방에서의 로딩시 가이드부에 의해 하방으로 가이드되며 로딩 후 제2이너조립부와 마주함으로써 제2이너조립부와 체결되는 제2아우터조립부가 형성된 아우터패널;을 포함하는 차량 패널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이너조립부에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제1아우터조립부는 제1삽입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패널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너패널에는 루프측 상부에 제1이너조립부가 형성되고,
    아우너패널에는 상부에 제1이너조립부와 체결되는 제1아우터조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패널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부와 제2이너조립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부에서 슬라이딩되어 하방으로 이탈된 제2아우터조립부는 제2이너조립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패널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2이너조립부에는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가이드부에 의해 로딩되어 하방으로 이탈된 제2아우터조립부가 제2이너조립부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패널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우터패널은 상부 및 사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사이드부가 상부와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벌어짐이 가능한 재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패널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부 및 제2이너조립부는 내판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하방에 위치된 가이드부 및 제2이너조립부는 상방에 위치된 가이드부 및 제2이너조립부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패널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부에는 제2아우터조립부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만입되며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제2아우터조립부는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패널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이너조립부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아우터조립부는 제2삽입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패널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2결합돌기에는 연장된 방향으로 너비가 좁아지는 제2경사부 및 제2경사부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만입부가 형성되며,
    제2결합돌기는 제2경사부를 따라 제2삽입홈에 삽입되고 만입부에 걸려 걸림 결합되고,
    제2아우터조립부에는 만입부에 내측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외측의 만입부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리브가 형성되며,
    제2아우터조립부에는 만입부의 단부에서 제2아우터조립부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아우터조립부의 삽입을 제한하는 제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패널 조립체.
KR1020220030259A 2022-03-10 2022-03-10 차량 패널 조립체 KR20230133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259A KR20230133129A (ko) 2022-03-10 2022-03-10 차량 패널 조립체
US18/049,311 US11912222B2 (en) 2022-03-10 2022-10-25 Vehicle panel assembly
DE102022211508.2A DE102022211508A1 (de) 2022-03-10 2022-10-31 Fahrzeugpaneelanordnung
CN202211423009.4A CN116729506A (zh) 2022-03-10 2022-11-15 车辆面板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259A KR20230133129A (ko) 2022-03-10 2022-03-10 차량 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129A true KR20230133129A (ko) 2023-09-19

Family

ID=8775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259A KR20230133129A (ko) 2022-03-10 2022-03-10 차량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12222B2 (ko)
KR (1) KR20230133129A (ko)
CN (1) CN116729506A (ko)
DE (1) DE10202221150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605A (ko) 2019-04-18 2020-10-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외장패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07B2 (ja) * 1985-10-15 1994-04-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支持構造体
US6168231B1 (en) * 1999-04-01 2001-01-02 Daimlerchrysler Corporation Two piece plastic vehicle panel construction
WO2001081155A2 (en) * 2000-04-21 2001-11-01 Haba Chaz Coupling member for interconnecting profiles to create a frame assembly
US10899393B2 (en) * 2017-03-14 2021-01-26 Honda Motor Co., Ltd. Rear body structure
KR20220096305A (ko) * 2020-12-31 2022-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로저 모듈 프레임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605A (ko) 2019-04-18 2020-10-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외장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29506A (zh) 2023-09-12
DE102022211508A1 (de) 2023-09-14
US20230303023A1 (en) 2023-09-28
US11912222B2 (en)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5373B1 (en) Frame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KR20130041262A (ko) 측면 시트 쿠션 지지 강화 구조를 구비한 자동차 섀시
KR20230133129A (ko) 차량 패널 조립체
US20230182818A1 (en) Upper Body for Vehicle
US20230249749A1 (en) Vehicle Body for Vehicle
US20230249766A1 (en) Vehicle Panel Assembly
US20230182822A1 (en) Panel Assembly for Vehicle
US20230173987A1 (en) Vehicle Luggage Box
US20230286592A1 (en) Upper Body Inner Panel Assembly of Vehicle
KR20240075405A (ko) 모빌리티의 패널 조립체
US20230249765A1 (en) Vehicle Body for Vehicle
US20230174161A1 (en) Vehicle Truss Member
US20230278635A1 (en) Panel Assembly for Vehicle
CN115402424B (zh) 一种地板骨架总成、地板总成以及车辆
US20240166263A1 (en) Panel assembly for mobility vehicle
US11718345B2 (en) Lower body for vehicle
US20230174155A1 (en) Vehicle Lower Body
US20230202570A1 (en) Outer Panel and Forming Method Thereof
US20230147372A1 (en) Body for vehicle
KR20240043549A (ko) 강성이 향상된 차량용 패널 도어
KR20240071631A (ko) 차체 멤버 연결 구조
CN117141590A (zh) 车顶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