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916A -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916A
KR20230132916A KR1020220029767A KR20220029767A KR20230132916A KR 20230132916 A KR20230132916 A KR 20230132916A KR 1020220029767 A KR1020220029767 A KR 1020220029767A KR 20220029767 A KR20220029767 A KR 20220029767A KR 20230132916 A KR20230132916 A KR 20230132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cation
lagoon
purified
zeo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선
Original Assignee
이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선 filed Critical 이영선
Priority to KR102022002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916A/ko
Publication of KR2023013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91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electro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바닷물을 유입로를 통해 석호로 유입하여 내면을 시공한 맥반석과 제올라이트와 게르마늄과 칠보석과 폐석탄 및 활성탄의 재질에 의해 1차 정화하도록 하고,
모터에 의해 높은 위치인 보충공간으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중에 영구자석과 전자석에 의해 2차 정화를 진행하도록 하고,
단턱에 의해 낮은 위치의 이송로로 낙하하는 압력과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3차 정화되도록 하고,
이송로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저수공간으로 이동된 물은 내면을 시공한 포졸란과 맥반석과 제올라이트와 게르마늄과 칠보석과 폐석탄 및 활성탄의 재질에 의해 4차 정화되도록 하고,
저수공간에서 토출로를 통해 다시 바다로 흐르는 중에 토출로의 저면에 심어진 수초에 의해 5차 정화되는 동시에 고기 서식지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자체 정화 능력에 의한 정화능력이 친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향상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닷물을 유입로를 통해 석호로 유입하여 내면을 시공한 맥반석과 제올라이트와 게르마늄과 칠보석과 폐석탄 및 활성탄의 재질에 의해 1차 정화하도록 하고, 모터에 의해 높은 위치인 보충공간으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중에 영구자석과 전자석에 의해 2차 정화를 진행하도록 하고, 단턱에 의해 낮은 위치의 이송로로 낙하하는 압력과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3차 정화되도록 하고, 이송로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저수공간으로 이동된 물은 내면을 시공한 포졸란과 맥반석과 제올라이트와 게르마늄과 칠보석과 폐석탄 및 활성탄의 재질에 의해 4차 정화되도록 하고, 저수공간에서 토출로를 통해 다시 바다로 흐르는 중에 토출로의 저면에 심어진 수초에 의해 5차 정화되는 동시에 고기 서식지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자체 정화 능력에 의한 정화능력이 친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향상되도록 한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또는 저수지와 같은 저수공간으로는 여러 경로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과정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 중에는 오염물질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저수된 물을 정화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었던 바, 종래 사용되어 오던 수질정화방법들은 자갈 접촉 산화법, 역간 접촉식 산화법, 하수처리장 수질정화법, 염소 투입 정화법 등이 있으나 한결같이 많은 비용이 들고 비용에 비해 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통해 수중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오염물질을 부유시키고, 이를 걷어냄으로써 수질정화를 구현하도록 한 장치도 등장한 바 있으나, 이는 수질 개선을 위해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그 수질정화영역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수질개선에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공지된 특허 공개번호 제 2001-0000343호의 "다단 저수장치를 이용한 자연적인 수질개선방법"의 경우 한개의 수문으로 구성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폭기에 의한 자연적인 자정효과가 매우 낮은 결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결점으로 인해 수문의 내부에 가두어져 있는 물과 오염물질들이 결합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 뭉침 작용과 물질 결합 작용에 의해 오염이 가중되면서 녹조 현상을 유발시킴으로 인하여 저장된 물을 더욱 더 악화시키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 제770035호와 특허 제812634호와 등록실용신안 제364372호와 등록실용신안 제 340318~9호와 등록실용신안 제3401004호와 공개특허 제 2003-063287호의 경우 수문을 구동시켜주는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이물질들이 쉽게 걸림은 물론이려니와 홍수시 상류에서 떠내려오는 이물질들의 수문의 측면에 구성되는 가이드홈과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구동부에 걸림과 동시에 수문의 구동장치에 걸리는 이물질들이 수로를 차단하면서 수위를 상승시켜주는 작용으로 인해 막대한 홍수피해가 유발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특허 제546006호의 수문방식과 같이 수문의 하부에 작동실린더와 링크를 구성한 상태에서 실린더와 연결 구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문을 기립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문을 구성할 수가 있으나, 이 방식의 수문은 수문의 상단부에 이물질들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0021년 12월 29일자 특허공개 제10-2021-0157716호(대량의 하천수를 저장하여 인공양어장을 조성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여주도록 유도시켜서 대기중의 오염된 공기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분자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면서 저수지, 호수,댐, 석호,하천,강의 수질을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공법)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도랑이나 하천을 깊게 준설한 후 물막이를 설치하고 준설한 하천 바닥에 기초 콘크리트를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 상단에 설치되어 비중이 무거운 저층수를 우선적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수질정화기 겸용 친환경 가동보와 결합 구성되는 하천수위 탐지기와 종합컨트롤 작동장치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에 있어서 상기 도랑이나 하천을 깊게 준설한 후 준설한 하천이나 도랑의 측면을 토목 자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보강 시공 한 후 물막이를 실시한 후 준설한 도랑이나 하천 바닥에 상기 기초 콘크리트를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 상단에 하단 흰지축이 구성되는 구조;
상기 하단 흰지축의 상단부에는 이중 가로 지지대(2000)가 결합 구성되는 구조;
상기 하단 흰지축과 상기 이중 가로 지지대의 사이에는 가로판 지지부재가 전후면에 장설 결합되는 구조;
상기 하단 흰지축과 상기 이중 가로지지대의 후면부 상단에는 후면결합이 구성되는 구조;
상기 후면결합판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수위조절통로 가이드가 구성되는 구조;
상기 수위조절통로 가이드의 상단에는 가이드판을 결합 구성하여 저층수 상단배출구와 저층수 하단 유입구를 구성시킨 구조;
상기 가이드판의 상단부에는 일측과 타측부가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있는 상하 가이드와 상하가이드 홈이 각각 구비된 배출수위조절판을 상,하 작동시켜주는 슬라이드 작동방식으로 구성시킨 구조;
상기 배출수위조절판의 상단부에는 가로 지지부재를 결합 구성시킨 구조;
상기 수위조절통로 가이드는 스크류형 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가이드홈에는 레크기어를 구성하여 상기 배출수위조절판을 상,하 작동시켜주는 상,하 작동 유닛을 각각 구성시킨구조;
상기 배출수위조절판과 상기 후면결합판에 구성되는 상, 하작동 유닛과 상기 하천수위 탐지기와 상기 종합컨트롤 작동장치와 결합시킨 수질정화기 겸용 친환경 가동보(8888)의 구조를 이용하여 하천에 대량의 하천수를 저장한 상태에서 하천의 상류에서 사전에 정해진 계획수위 이상으로 하천수가 유입되는 상황을 상기 하천수위 탐지기가 탐지함과 동시에 탐지된 상승 수위 신호를 상기 종합컨트롤 작동장치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종합컨트롤 작동장치가 발생시키는 동력의 힘으로 상기 상, 하작동 유닛을 가동하여 상기 배출수위조절판을 상승시켜서 폐쇄되어 있던 상기 저층수 하단 유입구를 개방하여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상기 저층수 하단 유입구와 상기 저층수 상단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수질정화기 겸용 친환경 가동보의 상단부를 통하여 하천의 하류방향으로 상시 배출시키는 저층수 상시 배출공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대량의 하천수를 저장하여 인공양어장을 조성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여주도록 유도시켜서 대기중의 오염된 공기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 분자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면서 저수지, 호수,댐, 석호,하천,강의 수질을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공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공법에 의하여서는 물의 자기정화에 의한 구조로 인해 정화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바닷물을 유입로를 통해 석호로 유입하여 내면을 시공한 맥반석과 제올라이트와 게르마늄과 칠보석과 폐석탄 및 활성탄의 재질에 의해 1차 정화하도록 하고, 모터에 의해 높은 위치인 보충공간으로 이동하여 저장하는 중에 영구자석과 전자석에 의해 2차 정화를 진행하도록 하고, 단턱에 의해 낮은 위치의 이송로로 낙하하는 압력과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3차 정화되도록 하고, 이송로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저수공간으로 이동된 물은 내면을 시공한 포졸란과 맥반석과 제올라이트와 게르마늄과 칠보석과 폐석탄 및 활성탄의 재질에 의해 4차 정화되도록 하고, 저수공간에서 토출로를 통해 다시 바다로 흐르는 중에 토출로의 저면에 심어진 수초에 의해 5차 정화되는 동시에 고기 서식지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자체 정화 능력에 의한 정화능력이 친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향상되도록 한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은,
바닷물이 유입로를 통해 석호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석호의 내면을 맥반석과 제올라이트와 게르마늄과 칠보석과 폐석탄 및 활성탄으로 시공하여 이들의 재질에 의해 1차 정화하도록 하고,
상기의 석호에서 모터에 의해 1m 이상 높은 위치인 보충공간으로 펌핑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의 보충공간의 내부 밀폐된 투명체 내부에 설치한 다수의 전자석에서 발생되는 간헐적 자기장에 의한 정화는 물론, 다수의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2차 정화를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의 보충공간에 형성한 단턱에 의해 낮은 위치의 이송로로 자연 낙하하는 압력과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3차 정화되도록 하고,
이송로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저수공간으로 이동된 물은 내면을 시공한 포졸란과 맥반석과 제올라이트와 게르마늄과 칠보석과 폐석탄 및 활성탄의 재질에 의해 4차 정화되도록 하고,
저수공간에서 토출로를 통하여 다시 바다로 흐르는 중에 토출로의 저면에 심어진 수초에 의해 5차 정화되는 동시에 고기 서식지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자체 정화 능력에 의한 정화능력이 친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향상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에 의하여서는
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은,
바다(10)의 오염된 물이 유입로(20)를 통해 석호(3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석호(30)의 내면을 맥반석(31)과 제올라이트(32)와 게르마늄(33)과 칠보석(34)과 폐석탄(35) 및 활성탄(36)으로 시공하여 이들의 재질에 의해 1차 정화하도록 하고,
상기의 석호(30)에서 모터(37)에 의해 1m 이상 높은 위치인 보충공간(40)으로 펌핑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보충공간(40)의 영구자석(4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내부 밀폐된 투명체 내부에 설치한 다수의 전자석(42)에서 생되는 간헐적 자기장에 의해 2차 정화를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의 보충공간(40)에 형성한 단턱(43)에 의해 낮은 위치의 이송로(44)로 자연 낙하하는 압력과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3차 정화되도록 하고,
이송로(44)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저수공간(50)으로 이동된 물은 내면을 시공한 포졸란(51)과 맥반석(52)과 제올라이트(53)와 게르마늄(54)과 칠보석(55)과 폐석탄(56) 및 활성탄(57)의 재질에 의해 4차 정화되도록 하고,
저수공간(50)에서 토출로(58)를 통하여 다시 바다로 흐르는 중에 토출로(58)의 저면에 심어진 수초(59)에 의해 5차 정화되는 동시에 고기 서식지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자체 정화 능력에 의한 정화능력이 친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향상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은,
바다(10)의 오염된 물이 유입로(20)를 통해 석호(30)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의 유입로(20)에 원활한 유입을 위해 급수용 모터를 설치한다.
상기 석호(30)의 내면을 맥반석(31)과 제올라이트(32)와 게르마늄(33)과 칠보석(34)과 폐석탄(35) 및 활성탄(36)으로 시공하여 이들의 재질에 의해 1차 정화하도록 한다.
상기의 석호(30)에 유입된 물이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수중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에 의해 석호의 내면과의 접촉이 빈번해지도록 한다.
상기의 석호(30)에서 모터(37)에 의해 1m 이상 높은 위치인 보충공간(40)으로 펌핑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보충공간(40)의 영구자석(4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내부 밀폐된 투명체 내부에 설치한 다수의 전자석(42)에서 생되는 간헐적 자기장에 의해 2차 정화를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의 보충공간(40)에 형성한 단턱(43)에 의해 낮은 위치의 이송로(44)로 자연 낙하하는 압력과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3차 정화되도록 한다.
이송로(44)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저수공간(50)으로 이동된 물은 내면을 시공한 포졸란(51)과 맥반석(52)과 제올라이트(53)와 게르마늄(54)과 칠보석(55)과 폐석탄(56) 및 활성탄(57)의 재질에 의해 4차 정화되도록 한다.
상기의 저수공간(50)에 유입된 물이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수중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에 의해 저수공간의 내면과의 접촉이 빈번해지도록 한다.
저수공간(50)에서 토출로(58)를 통하여 다시 바다로 흐르는 중에 토출로(58)의 저면에 심어진 수초(59)에 의해 5차 정화되는 동시에 고기 서식지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자체 정화 능력에 의한 정화능력이 친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향상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바다 20 : 유입로
30 : 석호 40 : 보충공간
44 : 이송로 50 : 저수공간
58 : 토출로

Claims (1)

  1. 바다(10)의 오염된 물이 유입로(20)를 통해 석호(3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석호(30)의 내면을 맥반석(31)과 제올라이트(32)와 게르마늄(33)과 칠보석(34)과 폐석탄(35) 및 활성탄(36)으로 시공하여 이들의 재질에 의해 1차 정화하도록 하고,
    상기의 석호(30)에서 모터(37)에 의해 1m 이상 높은 위치인 보충공간(40)으로 펌핑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보충공간(40)의 영구자석(4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내부 밀폐된 투명체 내부에 설치한 다수의 전자석(42)에서 생되는 간헐적 자기장에 의해 2차 정화를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의 보충공간(40)에 형성한 단턱(43)에 의해 낮은 위치의 이송로(44)로 자연 낙하하는 압력과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3차 정화되도록 하고,
    이송로(44)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저수공간(50)으로 이동된 물은 내면을 시공한 포졸란(51)과 맥반석(52)과 제올라이트(53)와 게르마늄(54)과 칠보석(55)과 폐석탄(56) 및 활성탄(57)의 재질에 의해 4차 정화되도록 하고,
    저수공간(50)에서 토출로(58)를 통하여 다시 바다로 흐르는 중에 토출로(58)의 저면에 심어진 수초(59)에 의해 5차 정화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
KR1020220029767A 2022-03-10 2022-03-10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 KR20230132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767A KR20230132916A (ko) 2022-03-10 2022-03-10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767A KR20230132916A (ko) 2022-03-10 2022-03-10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916A true KR20230132916A (ko) 2023-09-19

Family

ID=8819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767A KR20230132916A (ko) 2022-03-10 2022-03-10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9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2303C (zh) 生态净污型复式河床湿地系统成型方法
US3854291A (en) Self-cleaning filter for hydrological regeneration
CN110397149A (zh) 一种市政排水系统
KR20230132916A (ko) 석호를 이용한 해수 정화 및 발전 시스템
CN111470633A (zh) 一种入湖河口水质净化型湿地系统
KR100812569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CN113582349B (zh) 一种自适应水位变化的多功能净化箱
CN102139994B (zh) 城镇污水厂达标尾水水质强化净化方法
KR102507157B1 (ko)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CN107651751A (zh) 一种具有水体修复功能的河岸式渗滤系统和方法
CN104129884A (zh) 一种适用于农田排水沟渠的间歇式生态净化池
KR20070012746A (ko)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 정화시키는 수문
CN210176638U (zh) 一种河湖生态污染治理拦河坝
CN107663848B (zh) 适于多泥沙河流过滤、分水的水闸结构
KR20070108437A (ko)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JP3595429B2 (ja) 汚水浄化装置
CN112573662A (zh) 一种导流式透水生态滤坝
KR100812595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CN111115963A (zh) 一种基于河堰的污水处理装置
CN113880255B (zh) 一种自适应水位变化的净化箱
CN217323780U (zh) 一种立体水环境生态修复系统
CN217628008U (zh) 一种河湖双模式运行水质净化装置
SU1224275A1 (ru) Систем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комплексов
Panday et al. Modelling for Desilting chamber of naitwar Mori Hydro Power Project
KR20070108449A (ko)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