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870A - 헤어케어 기구 - Google Patents

헤어케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870A
KR20230132870A KR1020237029230A KR20237029230A KR20230132870A KR 20230132870 A KR20230132870 A KR 20230132870A KR 1020237029230 A KR1020237029230 A KR 1020237029230A KR 20237029230 A KR20237029230 A KR 20237029230A KR 20230132870 A KR20230132870 A KR 20230132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
attachment
curved surface
airflow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퍼넬
아일톤 필
데이비드 티베츠
스티븐 코트니
로버트 코울톤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3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8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A45D20/124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comprising rot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45D20/50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and provision for an air stream

Abstract

공기 유입구, 공기 유출구, 및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유출구로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류 생성기를 갖는 헤어케어 기구, 및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는 헤어케어 기구용 부착물.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며 공기 유출구의 하류에 있는 곡면. 헤어케어 기구 또는 부착물은,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며 공기 유출구의 하류에 있는 곡면을 갖는다. 헤어케어 기구 또는 부착물은, 공기 유출구를 빠져나가는 기류가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헤어케어 기구
본 발명은 헤어케어 기구 및 헤어케어 기구용 부착물에 관한 것이다.
헤어케어 기구는 일반적으로 모발을 건조하고 스타일링하는 데 사용된다. 매끄러운(smooth) 외양을 생성하도록 모발을 스타일링하는 데 헤어케어 기구를 사용함에 있어, 때때로 플라이어웨이(flyaways)로 지칭되는 보다 짧거나 끊어진(broken) 모발의 존재가 원하는 매끄러운 외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부착물(attachment)이 제공되며, 부착물은, 공기 유입구, 공기 유출구, 및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며 공기 유출구의 하류(downstream)에 있는 곡면을 포함하고, 이때 부착물은, 사용 중인 공기 유출구를 빠져나오는 기류(airflow)가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부착물은, 사용 중인 공기 유출구를 빠져나오는 기류가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며 공기 유출구의 하류인 위치에 곡면을 제공하면 곡면에 인접한 부압(negative pressure) 영역이 생성되어 긴 모발은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고, 또한 기류가 모발과 상호 작용하며 짧은 모발은 곡면으로부터 멀리 밀어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로 인해 짧은 모발들이 긴 모발들 사이를 통해 밀려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긴 모발들 사이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를 향하는(facing) 모발 면(side) 쪽으로 밀려나면서 매끄러운 마감(finish)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유출구에서 빠져나오는 기류는 사용 중인 곡면 위로 흐를 수 있다. 부착물은, 사용 중인 곡면 부근에 부압 영역이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곡면은 코안다(Coanda) 표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볼록한(convex) 표면으로, 코안다 효과로 인해 사용 중일 때 기류가 이 표면을 따라 부착된다.
공기 유출구는, 약 140mm2 내지 450mm2의 범위 내, 예를 들어 약 280mm2 내지 350mm2의 범위 내의 개방(open) 단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개방 단면적이 곡면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공기 유출구는, 약 70mm 내지 90mm의 범위 내, 예를 들어 약 75mm 내지 85mm의 범위 내의 너비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출구는, 약 2mm 내지 5mm의 범위 내의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출구는, 예를 들어 공기 유출구를 빠져나오는 기류가 전체적으로 층류(laminar) 형태를 갖도록,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곡면은 약 16mm 내지 60mm의 범위 내의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을 포함할 수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곡률 반경이 곡면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곡면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은 공기 유출구로부터 적어도 95도인 호 길이(arc length)를 포함할 수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호 길이가 곡면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곡면의 호 길이에 대한 곡면의 곡률 반경의 비율은 약 0.04 내지 0.63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부착물은,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며 공기 유출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평탄면(flat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출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표면이 비평탄면(non-flat surface)인 경우, 스타일링 작업 중에 통상적으로 그러듯이 부착물이 사용 중 모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때 매끄러운 마감에 방해가 될 수 있다. 공기 유출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표면이 거친 면, 예컨대 강모(bristle) 등과 같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면인 경우, 이러한 거친 면은 부착물이 사용 중 모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때 공기 유출구로부터의 기류에 의해 이미 매끄럽게 처리된 모발에 간섭할 수 있다.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며 공기 유출구 하류에 있는 곡면을 제공하고,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며 공기 유출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평탄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부착물을 사용 중에 모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때 매끄러운 모발 마감이 만들어지고 유지될 수 있다.
평탄면은 또한, 공기 유출구에서 빠져나오는 기류가 상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부착물이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올바른 위치에 있게 하는 가이드 면(guide surface) 역할을 할 수 있다.
평탄면은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중단되지 않는(uninterrupted)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평탄면은 약 5mm 내지 20mm의 범위 내의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물은, 사용 중 모발에 대해 부착물이 상대적으로 움직일 때, 예를 들어 부착물이 사용 중 모발의 뿌리부터 모발의 끝(tip)까지 모발을 따라 선형으로 움직일 때, 공기 유출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모발과 평탄면이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탄면은 전체적으로 평면인(plane)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부착물이 사용 중 모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때 매끄러운 모발 표면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공기 유출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모발이 표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평탄면은 공기 유출구 평면을 기준으로 비스듬히(obliquely)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유출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모발이 평탄면과 접촉하는 한편 공기 유출구 하류에 있는 모발은 사용 중 곡면 쪽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평탄면은, 공기 유출구에 바로 인접한 곡면의 한 지점에서 곡면에 접하는(tangential) 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부착물은 곡면을 따라 기류를 가이딩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가이드 벽은 곡면으로부터 직립(upstanding)한다. 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 중 곡면을 따라 흐르는 기류에 의해 생성되는 부압 영역에 주변 공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이드 벽을 사용하지 않는 유사한 배열체에 비해 곡면을 향한 모발의 인력이 더 증가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벽은, 예를 들어 곡면의 곡률에 따른 곡률을 갖는 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의 가이드 벽들은, 예를 들어 그 사이에 채널이 획정(define)되고 곡면이 채널의 베드(bed)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은 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곡면의 서로 반대쪽 에지(edge)에서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벽들 사이의 간격은 공기 유출구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곡면은 한 쌍의 가이드 벽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중단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중 한 쌍의 가이드 벽 사이의 곡면을 모발이 감싸도록(wrap around) 할 수 있다.
가이드 벽은, 예를 들어 가이드 벽과 곡면이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은 실질적으로 곡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압 영역이 실질적으로 곡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은 공기 유출구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중 공기 유출구를 빠져나가는 공기 제트(jet)의 실질적으로 전체 높이를 따라 부압 영역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은, 공기 유출구에 인접한 영역 내에서 공기 유출구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공기 유출구에 인접한 영역에서 부압 영역을 유지하는 것이 곡면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제 1 표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발생시키는 데 유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 쌍의 가이드 벽은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 더 큰 곡률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가이드 벽은 공기 유출구에 인접한 영역 내에서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 더 큰 곡률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 벽이 사용 중 공기 유출구에 인접한 영역에서 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은, 가이드 벽의 길이를 따라 달라지는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가들은 가이드 벽이 곡면의 특정 영역, 예를 들어 공기 유출구에 인접한 영역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 쌍의 가이드 벽은 공기 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가이드 벽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예를 들어 가이드 벽의 높이가 일정한 경우에 비하여 가이드 벽을 형성하는 데 더 적은 재료를 필요로 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은, 예를 들어 높이가 단계적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공기 유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의 가이드 벽들은 각각 동일한 높이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 벽 사이의 공간을 이등분하는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일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은 일정한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곡면에 인접하여 생성되는 부압 영역이 곡면의 길이를 따라 영향을 받지 않도록 확실성을 제공할 수 있다.
부착물은 곡면의 일 단부에 위치한 단부 벽(end wal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 중 부착물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기류가 닿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공기 유출구는 고정된 공기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정된 단면적, 길이, 및/또는 너비를 가진 공기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류 생성기(airflow generator)에 의해 생성된 기류의 주어진 유량에 대하여 부착물의 기류 특성이 일정하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곡면을 따라 기류가 생성됨으로 인해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는 또한 가변적인 공기 유출구를 가진 부착물에 비해 움직이는 부품이 적은 보다 간단한 부착물을 제공하여 고장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부착물은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 사이의 유로(flow path)를 획정하는 중공 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곡면은 중공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곡면이 중공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므로, 중공 몸체 및/또는 부착물의 나머지 부분은 사용 중 곡면을 감싸는 모발의 영역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곡면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스타일링 과정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곡면의 곡률 중심축(central axis of curvature)은 중공 몸체의 중심 축으로부터 변위(displaced)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중공 몸체의 중심 축에 평행하고 중공 몸체의 중심 축으로부터 변위되거나, 중공 몸체의 중심 축에 직교(orthogonal)하고 중공 몸체의 중심 축으로부터 변위될 수 있다.
곡면은 중공 몸체에 부착된 제 1 단부 및 제 1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제 2 자유 단부(free en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2 자유 단부는 중공 몸체에 부착되지 않는다. 제 1 단부는, 예를 들면 곡면이 공기 유출구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공기 유출구 영역 내에서 중공 몸체에 부착될 수 있다. 곡면은 전체적으로 호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곡면은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중단되지 않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중에 머리카락이 곡면을 감쌀 수 있다.
곡면은 중공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곡면과 중공 몸체가 단일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출구는 중공 몸체에 형성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물은 단일 공기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물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매끄럽게 하는(smoothing) 과정을 방해하는 추가 공기 유출구가 없도록 할 수 있으며, 공기 유출구를 빠져나가는 기류가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공기 유출구는 부착물의 제 1 측에 위치한 제 1 공기 유출구 및 부착물의 제 1 측에 반대되는 부착물의 제 2 측에 위치한 제 2 공기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곡면은 제 1 및 제 2 공기 유출구 각각에 인접하며 그 하류에 있고, 부착물은, 제 1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고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평탄면 및 제 2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고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평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공기 유출구, 그리고 제 1 및 제 2 평탄면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달성하면서도 부착물을 여러 배향(orientation)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곡면은 제 1 공기 유출구와 제 2 공기 유출구 사이로 연장되는 연속 표면(continuous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속 표면은 부착물이 여러 배향으로 사용될 때 모발이 곡면을 향해 끌어당겨지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부착물은, 기류가 제 1 공기 유출구는 통과하고 제 2 공기 유출구는 통과하지 않는 제 1 구성에서 기류가 제 2 공기 유출구는 통과하고 제 1 공기 유출구는 통과하지 않는 제 2 구성으로 부착물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류가 사용 중 부착물의 한 측만을 통과할 수 있다. 이는 기류의 방향이 사용 중인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낭비되는 기류가 줄어들고 스타일링이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중에 스타일링 과정의 일부로서 이용되지 않음에 따라 스타일링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스트레이(stray) 기류가 공기 유출구로부터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칭 메커니즘은 중력의 작용에 따라 부착물을 제 1 구성과 제 2 구성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입력이 필요 없는 간단한 스위칭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곡면의 곡률 중심축은 기류 생성기의 중심 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류 생성기가 배치되는 하우징의 중심 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곡면은, 예를 들어 곡면이 공기 유출구의 에지로부터 직접 연장되지 않도록 공기 유출구의 에지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다. 곡면은 공기 유출구 에지로부터 0.5mm 내지 1.5mm만큼 변위될 수 있다. 곡면은, 공기 유출구의 에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예를 들어 공기 유출구의 길이를 따라(lengthwise) 연장되는 에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공기 유출구의 에지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다.
부착물은 기류 생성기로부터 공기 유출구를 향해 기류 방향을 돌리기 위한(예를 들어 공기 유출구를 향해 기류 방향을 약 90도로 돌리기 위한) 내부 배플(baffl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공기 유입구, 공기 유출구,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유출구로의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류 생성기, 및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며 공기 유출구의 하류에 있는 곡면을 포함하는 헤어케어 기구가 제공되며, 헤어케어 기구는, 공기 유출구로 빠져나가는 기류가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헤어케어 기구는 기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스타일링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류가 건조 기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헤어케어 기구는 기류 생성기가 수용되는 핸들 유닛과 핸들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releasably) 부착될 수 있는 부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착물은 공기 유출구 및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출구 및 곡면을 제거 가능한 부착물의 부품으로 제공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헤어케어 기구는, 공기 유출구에서의 기류가 약 30m/s 내지 45m/s의 범위 내의 속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속도가 곡면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제 1 표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공기 유출구는, 공기 유출구에서의 기류가 약 30m/s 내지 45m/s의 범위 내의 속도를 포함하도록 하기 위한 형상 및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기류 생성기는, 공기 유출구에서의 기류가 약 30m/s 내지 45m/s의 범위 내의 속도를 포함하도록 하기 위한 소정 유량의 기류를 생성하게 구성될 수 있다.
기류 생성기는 약 8L/s 내지 14L/s의 범위 내의 유량으로 기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기류 유량이 곡면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제 1 표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기류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기류 유량의 공기 유출구 개방 단면적에 대한 비율은 약 0.01 내지 0.1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공기 유출구에서의 기류 속도에 대한 곡면의 곡률 반경의 비율은 약 0.33 내지 2.00의 범위 내, 예를 들어 0.5 내지 1.5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기류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기류 유량에 대한 공기 유출구에서의 기류 속도의 비율은 약 2.14 내지 5.63의 범위 내, 예를 들어 2.6 내지 3.6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모발을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부착물이 기류 생성기로부터 공기 유출구를 향해 기류 방향을 돌리기 위한(예를 들어 공기 유출구를 향해 기류 방향을 약 90도로 돌리기 위한) 내부 배플을 포함하는 경우, 헤어케어 기구에서 기류 생성기를 수용하는 주요 부분이 공기 유출구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헤어케어 기구에서 기류 생성기를 수용하는 주요 부분이 공기 유출구와 정렬(aligned)되는 헤어케어 기구에 비하여 더 큰 설계 유연성 및 보다 나은 인체공학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의 선택적인 특징들은, 적절한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케어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어케어 기구의 핸들 유닛을 관통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헤어케어 기구용 부착물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착물의 지오메트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사용 중 도 3의 부착물을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생성되는 힘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3의 부착물의 변형된 버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헤어케어 기구용 부착물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부착물의 제 1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부착물의 제 2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1 구성인 도 7의 부착물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제 2 구성인 도 7의 부착물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케어 기구의 추가적인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헤어케어 기구의 손잡이 핸들 유닛을 관통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헤어케어 기구용 부착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부착물을 관통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10으로 지정되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케어 기구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헤어케어 기구(10)는 핸들 유닛(12) 및 핸들 유닛(12)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부착물(100)을 포함한다.
핸들 유닛(12)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 기류 생성기(16), 히터(18), 및 제어 유닛(20)을 포함한다.
하우징(14)은 관형이며, 기류 생성기(16)에 의해 기류가 하우징(14)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22) 및 기류가 하우징(14)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유출구(24)를 포함한다. 기류 생성기(16)는 하우징(14) 내에 수용되며, 전기 모터(28)에 의해 구동되는 임펠러(26)를 포함한다. 기류 생성기는, 약 8 내지 14L/s의 범위 내의 유량, 예를 들어 약 10 내지 13L/s의 범위 내의 유량으로 기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적절한 기류 생성기는,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Dyson Technology Limited)에서 생산하는 다이슨 V9 디지털 모터(Dyson V9 Digital Motor)이다. 히터(18) 또한 하우징(14) 내에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기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요소(30)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20)은 제어 모듈(3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2)를 위한 전자 회로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는 하우징(14)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되며, 헤어케어 기구(10)의 전원을 켜거나 끄고, 유량을 선택(예: 높음, 중간, 낮음)하고, 기류 온도를 선택(예: 고온, 중간, 또는 저온)하는 데 사용된다. 도 1의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슬라이딩 스위치(sliding switches)를 포함하지만, 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다른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2)도 구상된다.
제어 모듈(3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2)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기류 생성기(16) 및 히터(18)를 제어하는 역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32)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모듈(34)은 기류의 기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해 기류 생성기(16)의 동력 또는 속력을 제어하고, 기류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해 히터(18)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부착물(100)은 도 3 및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부착물(100)은, 중공 몸체(102), 곡면(104), 및 한 쌍의 가이드 벽(106)을 포함한다. 중공 몸체(102)는, 공기 유입구(108), 공기 유출구(110), 평탄면(112), 및 복수의 내부 배플(114)을 포함한다.
공기 유입구(108)는, 중공 몸체(102)에 형성되는 전체적으로 원형인 개구부(aperture)를 포함하며, 공기 유입구(108)는, 부착물(100)이 사용 중 핸들 유닛(12)에 부착되었을 때 핸들 유닛(12)의 공기 유출구(24)로부터 기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공기 유입구(108)의 주변부는, 부착물(100)을 핸들 유닛(12)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 특징부(attaching features)들을 포함한다. 부착 특징부들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본 발명과는 연관성을 갖지 않으므로 간결성을 위해 설명이 생략된다.
공기 유출구(110)는, 중공 몸체(110)의 일 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슬롯을 포함한다. 공기 유출구(110)는 약 70mm 내지 90mm의 범위 내의 너비, 예를 들어 약 75mm 내지 85mm의 범위 내의 너비를 가지며, 약 2mm 내지 5mm의 범위 내의 높이, 예를 들어 약 3.0mm 내지 4.5mm의 범위 내의 높이를 가진다. 이에 따라, 공기 유출구(110)의 전체 개방 단면적은 약 140mm2 내지 450mm2의 범위 내이며, 예를 들어 약 225.0mm2 내지 382.5mm2의 범위 내이다.
현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 유출구(110)의 너비는 약 77mm이고, 공기 유출구(110)의 높이는 약 4.5mm이다. 공기 유출구(110)의 개방 단면적은 약 346.5mm2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공기 유출구(110)의 이러한 치수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복수의 내부 배플(114)은 구부러진 형태로 되어 있으며, 공기 유입구(108)로부터 공기 유출구(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내부 배플(114)은, 공기 유입구(108)로부터 공기 유출구(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를 돌리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기류 방향이 공기 유입구(108)로부터 공기 유출구(110)를 향해 실질적으로 90도 회전되도록 한다. 이는 핸들 유닛(12)이 공기 유출구(11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헤어케어 기구의 핸들 유닛과 공기 유출구가 정렬되는 헤어케어 기구에 비하여 더 큰 설계 유연성 및 보다 나은 인체공학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평탄면(112)은 공기 유출구(110)에 인접하고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이에 따라 평탄면(112)은 공기 유출구(110)의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평탄면(112)은, 공기 유출구(110)가 배치된 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는데, 예를 들어 3 내지 10도의 범위 내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평탄면(112)은 전체적으로 평면형이며,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중단되지 않는데, 예컨대 돌출부, 오목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평탄면(112)은 약 5mm 내지 20mm의 범위 내의 높이를 갖는다. 평탄면(112)의 기능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곡면(104)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공기 유출구(110)의 영역 내에서 중공 몸체(10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데, 예를 들어 곡면(104)의 제 1 에지(116)가 공기 유출구(110)에 인접한 중공 몸체(102)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곡면(104)은 공기 유출구(110)에 인접하며 그 하류에 위치한다. 곡면(102)의 제 2 에지(118)는 자유 에지로서, 곡면(104)이 중공 몸체(102)에 대하여 캔틸레버(cantilevered)되도록 한다. 곡면(104)의 제 1 에지(116)는 공기 유출구(110)로부터 약간(예를 들어 약 0.5 내지 1.5mm의 범위 내의 거리만큼) 변위되어, 공기 유출구(110)로부터 곡면(102)까지 약간의 스텝다운(step down)이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공기 유출구(110)로부터 곡면(104)까지의 스텝다운이 없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곡면(102)은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중단되지 않는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돌출부, 오목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될 부착물(100)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곡면(102)은 약 16mm 내지 60mm의 범위 내, 예를 들어 약 20mm 내지 40mm의 범위 내의 곡률 반경을 가지며, 약 95 내지 360도의 범위 내, 예를 들어 약 95 내지 120도의 범위 내의 호 길이를 갖는다. 현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곡면(102)은 약 20mm의 곡률 반경 및 약 110도의 호 길이를 갖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곡면(102)의 이러한 지오메트리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 쌍의 가이드 벽(106)이 곡면(102)의 서로 반대되는 에지들에 배치되며, 이러한 에지들은 앞서 언급된 곡면(102)의 제 1 에지(116) 및 제 2 에지(118)에 직교한다. 가이드 벽(106)들은 곡면(102)으로부터 직립하며, 곡면(102)의 전체 호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가이드 벽(106)은 공기 유출구(110)의 높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그 길이를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갖는다.
사용 중에, 부착물(100)은 핸들 유닛(12)에 부착된다. 기류 생성기(16)는 핸들 유닛(12)의 공기 유입구(22)로부터 핸들 유닛(12)의 공기 유출구(24)로 기류를 생성하여, 기류가 핸들 유닛의 공기 유출구(24)로부터 부착물(100)의 공기 유입구(108)로 통과하도록 한다. 기류는 부착물의 공기 유입구(108)로부터 중공 몸체(102)를 통해 흐르고, 복수의 내부 배플(114)에 의해 부착물(100)의 공기 유출구(110)를 향해 방향을 돌린다. 기류는 공기 유출구(110)를 통해 중공 몸체(102)를 빠져나와 곡면(102) 위를 통과한다.
본 출원의 발명가들은 코안다 효과를 통해 기류가 곡면(102)에 부착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모발의 다발(tress)을 부착물(100) 부근으로 가져왔을 때, 다발 중의 긴 머리카락은 곡면(102) 위의 기류에 의해 생성된 부압 영역의 결과로 발생한 힘(F_PULL)에 의해 곡면(102)을 향하여 끌어당겨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면을 감싸게 된다. 그러나 다발에 걸친 압력 구배는, 일부 기류가 다발을 직접 통과하도록 하는 힘(F_PUSH) 또한 발생시킨다. 곡면(102) 및 나머지 다발에 대한 이 힘의 상대적 위치 때문에, 이 시점에서 짧은 모발은 곡면(102) 상에서 제자리에 유지되고 있는 긴 모발에 비해 느슨하게만 유지된다. 짧은 모발은 다발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쪽을 향해 날아가는 반면, 긴 모발은 다발의 바깥쪽, 즉 사용자의 머리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다발 부분에서 제자리에 남아 있게 된다. 이는 헤어케어 기구(10) 및 연관 부착물(100)와의 상호작용 후 모발에 매끄러운 마감을 제공한다.
상술한 힘들의 상호 작용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효과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지오메트리 및 파라미터를 적절히 변형함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파라미터 중 하나는, 부착물(100)의 공기 유출구(110)에서 기류의 속도이다. 특히, 속도가 너무 크면 짧은 모발이 곡면(102)에 달라붙게 되어 긴 모발들 사이로 밀려나지 않을 수 있고, 반면 너무 낮은 속도는 긴 모발을 먼저 곡면(102)으로 끌어당기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출원인은, 약 30m/s 내지 45m/s의 범위 내의 속도가 곡면(102)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102)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102)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현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 유출구(110)에서의 기류의 속도는 약 35m/s이다.
전술한 방식으로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기류 생성기(16)에 의해 생성된 기류 유량에 대한 공기 유출구(110)에서의 기류 속도의 비율이다. 도 3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2.14 내지 5.63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2.89이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102)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102)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102)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방식으로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기류 생성기(16)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 유량의 공기 유출구(110) 개방 단면적에 대한 비율이다. 도 3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01 내지 0.10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04이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102)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102)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102)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방식으로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공기 유출구(110)에서의 기류 속도에 대한 곡면(102)의 곡률 반경의 비율이다. 도 3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33 내지 2.00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57이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102)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102)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102)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방식으로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곡면(102)의 호 길이에 대한 곡면(102)의 곡률 반경의 비율이다. 도 3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04 내지 0.63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18이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102)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102)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102)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사용 중에, 부착물(100)은 모발 다발의 길이를 따라, 예를 들어 다발 내 모발의 뿌리부터 모발의 끝 방향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평탄면(112)은 곡면(102)을 기준으로 배치되어, 평탄면(112)이 공기 유출구(1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모발과 접촉하는 한편 공기 유출구(110)의 하류에 있는 모발은 곡면(102)과 접촉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평탄면(112)은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중단되지 않는 형태를 가지며, 돌출부, 오목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헤어케어 기구(10)가 사용 중에 모발 다발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면서, 곡면(102)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매끄럽게 처리된 모발을 평탄면(112)이 가로질러 지나간다. 평탄면(112)의 매끄럽고 중단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평탄면(112)은 이미 매끄럽게 처리된 모발을 간섭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공기 유출구(110)의 후방에 강모 및/또는 추가적인 공기 유출구가 있는 대응되는 헤어케어 기구에 비해 더 나은 마감으로 이어진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벽(106)은 곡면(102)의 서로 반대되는 에지들을 따라 연장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기류 채널을 형성하며, 한 쌍의 가이드 벽(106)이 채널의 벽 역할을 하고 곡면(102)이 채널의 베드 역할을 한다. 가이드 벽(106)은 사용 중에 곡면(102)을 따라 흐르는 기류와 주변 공기가 상호작용하지 못하게 하여 곡면(102)을 따라 흐르는 기류에 의해 생성되는 부압 영역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는 곡면(102)을 따라 높이가 일정한 가이드 벽(106)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가이드 벽(106)은 공기 유출구(110)의 영역에서 가장 효과적일 수 있음이 밝혀졌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물(100)은 공기 유출구(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높이가 감소하는 가이드 벽(120)을 갖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정한 높이의 가이드 벽(106)에 비하여 가이드 벽(120)을 형성하는 데 더 적은 재료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부착물은 하나의 고정된 공기 유출구(110)를 가지며, 이는 실질적으로 중공 몸체(104)에 형성된 슬롯이다.
다수의 공기 유출구를 갖는 부착물(200)의 대안적인 일 실시예가 도 7 내지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부착물(200)은, 유입구 배럴(202), 유출구 몸체(204), 및 흐름 가이드(206)를 포함한다. 유입구 배럴(202)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부착물(200)이 사용 중 핸들 유닛(12)에 부착되었을 때 핸들 유닛(12)의 공기 유출구(24)로부터 기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공기 유입구(208)를 포함한다. 공기 유입구(208)의 주변부는, 부착물(200)을 핸들 유닛(12)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부착 특징부들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본 발명과는 연관성을 갖지 않으므로 간결성을 위해 설명이 생략된다.
유입구 배럴(202)은 곡면(210)을 획정한다. 곡면(210)은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중단되지 않는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돌출부, 오목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될 부착물(200)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곡면(210)은 약 16mm 내지 60mm의 범위 내, 예를 들어 약 20mm 내지 40mm의 범위 내의 곡률 반경을 가지며, 약 95 내지 360도의 범위 내의 호 길이를 갖는다. 현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곡면(210)은 약 20mm의 곡률 반경 및 약 296도의 호 길이를 갖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곡면(210)의 이러한 지오메트리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유입구 배럴(202)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앙 피봇 축(212)을 포함하여 이를 중심으로 흐름 가이드(206)가 피봇 가능하다.
유출구 몸체(204)는, 제 1 단부(214), 제 2 단부(216), 및 제 1 단부(214)와 제 2 단부(216) 사이로 연장되는 연결부(218)를 포함한다. 제 1 단부(214)는 전체적으로 물방울 형태이고, 개구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를 통해 유입구 배럴(202)이 연장되며, 이에 따라 제 1 단부(214)의 적어도 일부분이 유입구 배럴(202) 주위로 환형(annularly)으로 연장된다.
제 2 단부(216)는 전체적으로 제 1 단부(214)와 동일한 물방울 형태를 갖지만, 실질적으로 중실형(solid)이며, 유입구 배럴(202)의 캡(cap)을 획정한다.
연결부(218)는 제 1 단부(214) 및 제 2 단부(216)의 첨단부들(apexes) 사이에서 유입구 배럴(202)의 곡면(210)을 따라 연장된다. 연결부(218)는 전체적으로 삼각 프리즘 형태를 갖는다.
연결부(218)는, 제 1 공기 유출구(220), 제 2 공기 유출구(222), 제 1 평탄면(224), 및 제 2 평탄면(226)을 갖는다.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는 연결부(218)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에 위치하며, 따라서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는 유입구 배럴(202)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에, 또한 이에 따라 부착물(200)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유입구 배럴(202)의 곡면(210)은,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 각각에 인접하고 그 하류에 위치하여, 곡면(210)이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제 1 단부(214) 및 제 2 단부(216)는 유입구 배럴(202)의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를 가지며, 이에 따라 가이드 벽(227)들이 곡면(210)의 주변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 각각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는 각각 약 70mm 내지 90mm의 범위 내의 너비, 예를 들어 약 75mm 내지 85mm의 범위 내의 너비를 가지고, 약 2mm 내지 5mm의 범위 내의 높이, 예를 들어 약 3mm 내지 4.5mm의 범위 내의 높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 각각의 전체 개방 단면적은 약 140mm2 내지 450mm2의 범위 내이며, 예를 들어 약 225mm2 내지 382.5mm2의 범위 내이다.
현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 각각의 너비는 약 77mm이고,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 각각의 높이는 약 4.5mm이다.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 각각의 개방 단면적은 약 346.5mm2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 각각에 대한 이러한 치수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도 7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서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 각각은 더 작은 하위 유출구(sub-outlets)로 분할되지만,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의 전체 치수는 위에서 주어진 치수대로이다.
제 1 평탄면(224)은 제 1 공기 유출구(220)에 인접하며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 2 평탄면(226)은 제 2 공기 유출구(222)에 인접하며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 1 평탄면(224) 및 제 2 평탄면(226)은 연결부의 첨단부 양쪽에 위치하여, 제 1 평탄면(224) 및 제 2 평탄면(226)이 부착물(200)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 1 평탄면(224) 및 제 2 평탄면(226)은 전체적으로 평면형이며,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중단되지 않는데, 예컨대 돌출부, 오목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 1 평탄면(224) 및 제 2 평탄면(226)은, 각각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가 형성되어 있는 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다.
연결부(218)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입구 배럴(202)의 내부와 유체 연통하도록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제 1 기류 채널(228) 및 제 2 기류 채널(230)을 더 포함한다.
흐름 가이드(206)는, 제 1 차단면(232), 제 2 차단면(234), 흐름 슬롯(236), 연결 아암(238), 및 복수의 웨이트(weights : 240)를 포함한다.
제 1 차단면(232) 및 제 2 차단면(234)은 실질적으로 중실형이며, 각각 제 1 기류 채널(228) 및 제 2 기류 채널(230)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흐름 슬롯(236)은 제 1 차단면(232) 및 제 2 차단면(234)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기류 채널(228) 및 제 2 기류 채널(230)과 유입구 배럴(202) 내부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연결 아암(238)은 흐름 가이드(206)의 상부 및 하부 영역에 위치하며, 흐름 가이드(206)를 유입구 배럴(202)의 중앙 피봇 축(212)에 피봇식으로 연결한다. 제 1 차단면(232) 및 제 2 차단면(234)은 유입구 배럴(202)의 벽에 형성된 채널(24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slidably) 수용되어, 흐름 가이드(206)의 유입구 배럴(202)에 대한 피봇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복수의 웨이트(240)는 제 1 차단면(232) 및 제 2 차단면(234)에 임베딩(embedded)된다. 흐름 가이드(206)는 또한 공기 유입구(208)로부터 흐름 슬롯(236) 쪽으로 기류 방향을 돌리는 복수의 내부 배플(244)을 갖는다.
흐름 가이드(206)는, 부착물(200) 내에서, 도 10에 도시된 제 1 구성과 도 11에 도시된 제 2 구성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제 1 구성, 즉 부착물(200)이 사용자 머리의 좌측에 유지되고 제 1 평탄면(224)이 모발과 접촉하는 구성에서, 복수의 웨이트(240)는 흐름 슬롯(236)이 제 1 기류 채널(228)과 정렬되는 한편 제 2 차단면(234)이 제 2 기류 채널(230)과 정렬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구성에서 기류는 제 1 공기 유출구(220)로부터는 빠져나갈 수 있지만 제 2 공기 유출구(222)로부터는 빠져나갈 수 없다.
제 2 구성, 즉 부착물(200)이 사용자 머리의 우측에 유지되고 제 2 평탄면(226)이 모발과 접촉하는 구성에서, 복수의 웨이트(240)는 흐름 슬롯(236)이 제 2 기류 채널(230)과 정렬되는 한편 제 1 차단면(232)이 제 1 기류 채널(228)과 정렬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 2 구성에서 기류는 제 2 공기 유출구(222)로부터는 빠져나갈 수 있지만 제 1 공기 유출구(220)로부터는 빠져나갈 수 없다.
따라서, 부착물(200)을 사용자의 머리 양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웨이트(240)는 사용자 상호작용 없이도 제 1 구성과 제 2 구성 사이에서 흐름 가이드(206)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칭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도 3 및 도 4의 부착물(100)과 유사하게, 사용 중에, 부착물(200)은 핸들 유닛(12)에 부착된다. 기류 생성기(16)는 핸들 유닛(12)의 공기 유입구(22)로부터 핸들 유닛(12)의 공기 유출구(24)로 기류를 생성하여, 기류가 핸들 유닛의 공기 유출구(24)로부터 부착물(200)의 공기 유입구(208)로 통과하도록 한다. 기류는 부착물의 공기 유입구(208)로부터 유입구 배럴(202)을 통해 흐르고, 복수의 내부 배플(244)에 의해 흐름 슬롯(236)을 향해 방향을 돌린다. 기류는, 부착물이 제 1 구성인지 제 2 구성인지에 따라 제 1 공기 유출구(220) 및 제 2 공기 유출구(222)중 어느 하나를 통해 부착물을 빠져나와 곡면(210) 위를 통과한다.
본 출원의 발명가들은 코안다 효과를 통해 기류가 곡면(210)에 부착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모발의 다발을 부착물(200) 부근으로 가져왔을 때, 다발 중의 긴 머리카락은 곡면(210) 위의 기류에 의해 생성된 부압 영역에 의해 곡면(210)을 향하여 끌어당겨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면을 감싸게 된다. 그러나 다발에 걸친 압력 구배는, 일부 기류가 다발을 직접 통과하도록 하는 힘 또한 발생시킨다. 곡면(210) 및 나머지 다발에 대한 이 힘의 상대적 위치 때문에, 이 시점에서 짧은 모발은 곡면(210) 상에서 제자리에 유지되고 있는 긴 모발에 비해 느슨하게만 유지된다. 짧은 모발은 다발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쪽을 향해 날아가는 반면, 긴 모발은 다발의 바깥쪽, 즉 사용자의 머리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다발 부분에서 제자리에 남아 있게 된다. 이는 헤어케어 기구(10) 및 연관 부착물(100)와의 상호작용 후 모발에 매끄러운 마감을 제공한다.
이러한 효과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지오메트리 및 파라미터를 적절히 변형함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파라미터 중 하나는, 부착물(200)의 공기 유출구(220, 222)에서 기류의 속도이다. 특히, 속도가 너무 크면 짧은 모발이 곡면(210)에 달라붙게 되어 긴 모발들 사이로 밀려나지 않을 수 있고, 반면 너무 낮은 속도는 긴 모발을 먼저 곡면(210)으로 끌어당기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출원인은, 약 30 내지 45m/s의 범위 내의 속도가 곡면(210)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210)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210)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현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 유출구(220, 222)에서의 기류의 속도는 약 35m/s이다.
전술한 방식으로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기류 생성기(16)에 의해 생성된 기류 유량에 대한 공기 유출구(220, 222)에서의 기류 속도의 비율이다. 도 7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2.14 내지 5.63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2.89이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210)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210)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210)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방식으로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공기 유출구(220, 222)중 하나의 개방 단면적에 대한 기류 생성기(16)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 유량의 비율이다. 도 7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01 내지 0.10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04이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210)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210)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210)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방식으로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공기 유출구(220, 222)에서의 기류 속도에 대한 곡면(210)의 곡률 반경의 비율이다. 도 7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33 내지 2.00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57이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210)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210)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210)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방식으로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곡면(210)의 호 길이에 대한 곡면(210)의 곡률 반경의 비율이다. 도 7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04 내지 0.63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07이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210)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210)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210)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사용 중에, 부착물(200)은 모발 다발의 길이를 따라, 예를 들어 다발 내 모발의 뿌리부터 모발의 끝 방향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평탄면(224, 226)은 곡면(210)을 기준으로 배치되어, 평탄면(224, 226)이 공기 유출구(220, 22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모발과 접촉하는 한편 공기 유출구(220, 222)의 하류에 있는 모발은 곡면(210)과 접촉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평탄면(224, 226)은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중단되지 않는 형태를 가지며, 돌출부, 오목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헤어케어 기구(10) 및 연관된 부착물(100)이 사용 중에 모발 다발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면서, 곡면(210)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매끄럽게 처리된 모발을 평탄면(224, 226)이 가로질러 지나간다. 평탄면(224, 226)의 매끄럽고 중단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평탄면(224, 226)은 이미 매끄럽게 처리된 모발을 간섭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공기 유출구(220, 222)의 후방에 강모 및/또는 추가적인 공기 유출구가 있는 대응되는 헤어케어 기구에 비해 더 나은 마감으로 이어진다.
가이드 벽(244)들이 곡면(210)의 서로 반대되는 에지들을 따라 연장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기류 채널을 형성하며, 가이드 벽(244)들이 채널의 벽 역할을 하고 곡면(210)이 채널의 베드 역할을 한다. 가이드 벽(244)들은 사용 중 곡면(210)을 따라 흐르는 기류와 주변 공기가 상호작용하지 못하게 하여 곡면(210)을 따라 흐르는 기류에 의해 생성되는 부압 영역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헤어케어 기구(300)의 대안적인 일 실시예가 도 12 내지 도 1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헤어케어 기구(300)는, 핸들 유닛(302) 및 부착물(306)를 포함한다. 핸들 유닛(302)은 핸들부(308), 헤드부(310), 기류 발생기(312), 및 히터(314)를 포함한다.
핸들부(308)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이고 중공형이며, 기류 발생기(312)를 수용한다. 핸들부(308)는, 핸들부(308)의 제 1 단부(318)에 복수의 천공 형태의 공기 유입구(316)를 갖는다.
헤드부(3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이고 중공형이며, 핸들부(308)의 제 2 단부(320)에 배치되고, 헤드부(310)의 중심축은 핸들부(308)의 중심축에 직교하여 핸들 유닛(302)이 전체적으로 T자 형태가 되도록 한다. 헤드부(310)는 히터(314)를 수용한다. 헤드부(310)는 공기가 유입되는 보어(322) 및 공기 유출구(324)를 포함한다. 공기 유출구(324)는 일반적으로 보어(322)의 주변을 둘러싼 환형 형태이다.
부착물(304)은 도 14 및 도 1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부착물(304)은, 유입구 몸체(326), 곡면(328), 가이드 벽(330), 및 단부 벽(332)을 포함한다. 유입구 몸체(326)는 전체적으로 중공형이며, 보어(322)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후방 연장 돌출부(334)를 포함하고, 후방 연장 돌출부(334)를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 유입구(336)를 포함한다. 유입구 몸체(326)는, 핸들 유닛(302)의 공기 유출구(324)로부터 기류를 수용하기 위한 플레넘(plenum) 역할을 한다. 유입구 몸체(306)는 공기 유출구(388)를 포함하는데, 이는 그 너비를 따라 높이가 변화하는 슬롯 형태로서 너비의 중앙 지점에서 최고 높이를 갖는다. 공기 유출구(338)는 약 81mm의 너비 및 최소 3mm에서 최대 4mm까지 변화하는 높이를 갖는다. 공기 유출구(338)의 전체 개방 단면적은 약 292.7mm2이다.
곡면(328)은 공기 유출구(338)의 영역에서 유입구 몸체(326)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곡면(328)은 공기 유출구(338)에 인접하며 그 하류에 위치한다. 곡면(328)은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중단되지 않는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돌출부, 오목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될 부착물(100)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곡면(328)은 약 20mm의 곡률 반경을 가지며, 약 110도의 호 길이를 갖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곡면(328)의 이러한 지오메트리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이드 벽(330)들이 곡면(328)의 서로 반대되는 에지들에 배치된다. 가이드 벽(330)들은 곡면(328)으로부터 직립하며, 곡면(328)의 전체 호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가이드 벽(328)들은 공기 유출구(338)의 높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그 길이를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갖는다. 단부 벽(332)은 공기 유출구(338)로부터 멀리 떨어진 곡면(328)의 일 단부에 위치하며, 가이드 벽(330)들 사이로 연장된다. 단부 벽(332)은, 부착물(304)이 사용 중 핸들 유닛(302)에 부착되어 있을 때 기류가 핸들 유닛(302)의 핸들부(308)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 중에, 부착물(304)은 핸들 유닛(302)에 부착된다. 기류 생성기(312)는 핸들 유닛(302)의 공기 유입구(316)로부터 핸들 유닛(302)의 공기 유출구(324)로 기류를 생성하여, 기류가 핸들 유닛(302)의 공기 유출구(324)로부터 부착물(304)의 공기 유입구(336)로 통과하도록 한다. 기류는 부착물의 공기 유입구(336)로부터 유입구 몸체(326)를 통하여 공기 유출구(338)를 향해 흐른다. 기류는 공기 유출구(338)를 통해 부착물(304)을 빠져나와 곡면(328) 위를 통과한다.
본 출원의 발명가들은 코안다 효과를 통해 기류가 곡면(328)에 부착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모발의 다발을 부착물(304) 부근으로 가져왔을 때, 다발 중의 긴 머리카락은 곡면(328) 위의 기류에 의해 생성된 부압 영역으로 인해 곡면(328)을 향하여 끌어당겨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면을 감싸게 된다. 그러나 다발에 걸친 압력 구배는, 일부 기류가 다발을 직접 통과하도록 하는 힘 또한 발생시킨다. 곡면(328) 및 나머지 다발에 대한 이 힘의 상대적 위치 때문에, 이 시점에서 짧은 모발은 곡면(328) 상에서 제자리에 유지되고 있는 긴 모발에 비해 느슨하게만 유지된다. 짧은 모발은 다발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쪽을 향해 날아가는 반면, 긴 모발은 다발의 바깥쪽, 즉 사용자의 머리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다발 부분에서 제자리에 남아 있게 된다. 이는 헤어케어 기구(300) 및 연관 부착물(100)과의 상호작용 후 모발에 매끄러운 마감을 제공한다.
이러한 효과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지오메트리 및 파라미터를 적절히 변형함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파라미터 중 하나는, 부착물(304)의 공기 유출구(338)에서 기류의 속도이다. 특히, 속도가 너무 크면 짧은 모발이 곡면(328)에 달라붙게 되어 긴 모발들 사이로 밀려나지 않을 수 있고, 반면 너무 낮은 속도는 긴 모발을 먼저 곡면(328)으로 끌어당기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출원인은, 약 30m/s 내지 45m/s의 범위 내의 속도가 곡면(328)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328)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328)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현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 유출구(338)에서의 기류의 속도는 약 43m/s이다.
전술한 방식으로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기류 생성기(312)에 의해 생성된 기류 유량에 대한 공기 유출구(338)에서의 기류 속도의 비율이다. 도 12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2.14 내지 5.63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3.14이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328)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328)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328)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방식으로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기류 생성기(312)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 유량의 공기 유출구(338) 개방 단면적에 대한 비율이다. 도 12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01 내지 0.10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04이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328)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328)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328)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방식으로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공기 유출구(338)에서의 기류 속도에 대한 곡면(328)의 곡률 반경의 비율이다. 도 13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33 내지 2.00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47이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328)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328)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328)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방식으로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곡면(328)의 호 길이에 대한 곡면(328)의 곡률 반경의 비율이다. 도 12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04 내지 0.63의 범위 내이고,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약 0.18이다. 출원인은 이러한 비율이 곡면(328)을 따라 기류를 생성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모발을 곡면(328)을 향해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제 1 힘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대적으로 짧은 모발은 곡면(328)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 또한 발생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가이드 벽(330)들이 곡면(328)의 서로 반대되는 에지들을 따라 연장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기류 채널을 형성하며, 가이드 벽(330)들이 채널의 벽 역할을 하고 곡면(210)이 채널의 베드 역할을 한다. 가이드 벽(330)들은 사용 중 곡면(328)을 따라 흐르는 기류와 주변 공기가 상호작용하지 못하게 하여 곡면(328)을 따라 흐르는 기류에 의해 생성되는 부압 영역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탈착 가능한 부착물이 구비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핸들 유닛과 부착물을 포함하는 헤어 케어 기기 대신, 헤어 케어 기기가 단일 유닛인 실시예, 예컨대 앞서 설명된 핸들 유닛과 부착물의 결합된 형태를 취하는 경우 또한 구상된다.

Claims (24)

  1. 헤어케어 기구용 부착물로서,
    상기 부착물은, 공기 유입구, 공기 유출구, 및 상기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며 상기 공기 유출구의 하류(downstream)에 있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은, 사용 중 상기 공기 유출구를 빠져나오는 기류(airflow)가 모발을 상기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상기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부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구는, 약 140mm2 내지 450mm2의 범위 내의 개방(open) 단면적을 포함하는,
    부착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구는, 약 70mm 내지 90mm의 범위 내의 너비를 포함하는,
    부착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구는, 약 2mm 내지 5mm의 범위 내의 높이를 포함하는,
    부착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약 16mm 내지 60mm의 범위 내의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을 포함하는,
    부착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상기 공기 유출구로부터 적어도 95도의 호 길이(arc length)를 포함하는,
    부착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의 호 길이에 대한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의 비율은 약 0.04 내지 0.63의 범위 내인,
    부착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상기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며 상기 공기 유출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평탄면(flat surface)을 포함하는,
    부착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상기 곡면을 따라 기류를 가이딩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벽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벽은 상기 곡면으로부터 직립(upstanding)하는,
    부착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구는 고정된(fixed)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는,
    부착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중공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출구는 상기 중공 몸체 내에 획정(defined)되고, 상기 곡면은 상기 중공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착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단일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는,
    부착물.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구는, 상기 부착물의 제 1 측에 위치한 제 1 공기 유출구 및 상기 부착물의 상기 제 1 측에 반대되는 상기 부착물의 제 2 측에 위치한 제 2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은 상기 제 1 및 제 2 공기 유출구 각각에 인접하며 그 하류에 있고,
    상기 부착물은, 상기 제 1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고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평탄면 및 상기 제 2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고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평탄면을 포함하는,
    부착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기류가 상기 제 1 공기 유출구는 통과하고 상기 제 2 공기 유출구는 통과하지 않는 제 1 구성에서 기류가 상기 제 2 공기 유출구는 통과하고 상기 제 1 공기 유출구는 통과하지 않는 제 2 구성으로 상기 부착물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부착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메커니즘은, 중력의 작용에 따라 상기 부착물을 상기 제 1 구성과 상기 제 2 구성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작동할 수 있는,
    부착물.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상기 기류 생성기로부터 상기 공기 유출구를 향해 기류 방향을 돌리기 위한 내부 배플(baffle)을 포함하는,
    부착물.
  17. 헤어케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헤어케어 기구는, 공기 유입구, 공기 유출구,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유출구로의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류 생성기, 및 상기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고 상기 공기 유출구의 하류에 있는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헤어케어 기구는, 상기 공기 유출구로 빠져나가는 기류가 모발을 상기 곡면을 향해 끌어당기는 제 1 힘 및 모발을 상기 곡면으로부터 밀어내는 제 2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헤어케어 기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케어 기구는, 상기 기류 생성기가 수용되는 핸들 유닛 및 상기 핸들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releasably) 부착될 수 있는 부착물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물은 상기 공기 유출구 및 상기 곡면을 포함하는,
    헤어케어 기구.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케어 기구는, 상기 공기 유출구에서의 기류가 약 30m/s 내지 40m/s의 범위 내의 속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헤어케어 기구.
  20.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생성기는, 약 8L/s 내지 14L/s의 범위 내의 유량으로 기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헤어케어 기구.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기류 유량의 상기 공기 유출구 개방 단면적에 대한 비율은 약 0.01 내지 0.10의 범위 내인,
    헤어케어 기구.
  22.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구에서의 기류 속도에 대한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의 비율은 약 0.33 내지 2.00의 범위 내인,
    헤어케어 기구.
  23. 제 17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기류 유량에 대한 상기 공기 유출구에서의 기류 속도의 비율은 약 2.14 내지 5.63의 범위 내인,
    헤어케어 기구.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케어 기구는, 상기 기류 생성기로부터 상기 공기 유출구를 향해 기류 방향을 돌리기 위한 내부 배플을 포함하는,
    헤어케어 기구.
KR1020237029230A 2021-01-29 2022-01-06 헤어케어 기구 KR202301328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101265.3 2021-01-29
GB2101265.3A GB2603175B (en) 2021-01-29 2021-01-29 A haircare appliance
PCT/GB2022/050012 WO2022162337A1 (en) 2021-01-29 2022-01-06 A haircare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870A true KR20230132870A (ko) 2023-09-18

Family

ID=7486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230A KR20230132870A (ko) 2021-01-29 2022-01-06 헤어케어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20240081506A1 (ko)
EP (1) EP4284212A1 (ko)
JP (1) JP2024505932A (ko)
KR (1) KR20230132870A (ko)
CN (1) CN116963637A (ko)
AU (1) AU2022213518A1 (ko)
GB (1) GB2603175B (ko)
WO (1) WO20221623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8122A (en) * 2021-06-22 2022-12-28 Dyson Technology Ltd A haircare appliance
USD1021238S1 (en) 2022-06-02 2024-04-02 Sharkninja Operating Llc Hair care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3252B1 (fr) * 1995-12-28 2004-12-24 Krups Fa Robert Dispositif de commande de la puissance de chauffage d'une resistance electrique
GB2503685B (en) * 2012-07-04 2017-11-15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GB2526049B (en) * 2014-03-20 2017-04-12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MX2016012202A (es) * 2014-03-20 2017-05-01 Dyson Technology Ltd Accesorio para un aparato electrodomestico portatil.
GB2548816B (en) * 2016-03-24 2019-09-11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GB2548812B (en) * 2016-03-24 2019-10-02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GB2548819B (en) * 2016-03-24 2020-05-06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GB2548815A (en) * 2016-03-24 2017-10-04 Dyson Technology Ltd A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SG10201810752RA (en) * 2018-11-30 2020-06-29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US11457713B2 (en) * 2020-04-01 2022-10-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ir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8115A1 (en) 2024-04-04
JP2024505932A (ja) 2024-02-08
GB202101265D0 (en) 2021-03-17
AU2022213518A1 (en) 2023-08-17
WO2022162337A1 (en) 2022-08-04
CN116963637A (zh) 2023-10-27
GB2603175B (en) 2023-12-27
EP4284212A1 (en) 2023-12-06
US20240099441A1 (en) 2024-03-28
GB2603175A (en) 2022-08-03
US20240081506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9917B2 (ja) 手持型機器の付属品
KR20230132870A (ko) 헤어케어 기구
EP3849373B1 (en) Digitally controlled hair dryer
EP3222165A1 (en)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JP2017170150A (ja) 手持型機器の付属品
CN107257637B (zh) 一种用于理发的真空辅助系统和方法
CN211984215U (zh) 用于手持设备的附件
JP2017170152A (ja) 手持型機器の付属品
WO2022162340A1 (en) A haircare appliance
EP4072372B1 (en) Haircare unit
GB2548819A (en)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CN117545402A (zh) 护发器具
US20240115027A1 (en) Haircare appliance
US20240081505A1 (en) Haircare appliance
WO2022162339A1 (en) A haircare appliance
CN116887718A (zh) 头发护理器具
GB2603174A (en) A haircare appliance
CN219088594U (zh) 用于护发器具的附件和护发器具
GB2621350A (en) Attachment for a hair care appli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