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851A - cleaning sheets and cleaners - Google Patents

cleaning sheets and clean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851A
KR20230132851A KR1020237028502A KR20237028502A KR20230132851A KR 20230132851 A KR20230132851 A KR 20230132851A KR 1020237028502 A KR1020237028502 A KR 1020237028502A KR 20237028502 A KR20237028502 A KR 20237028502A KR 20230132851 A KR20230132851 A KR 20230132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adhesive
cleaning sheet
approximately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5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요스케 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23013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851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Abstract

청소 대상면 상에 존재할 수 있는 물 등의 액체와 고형의 이물을, 모두 적확하게 제거할 수 있는 클리닝 시트를 제공한다.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클리닝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클리닝 시트는, 적어도 전방면에 흡수층을 갖는 기재와, 해당 흡수층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점착제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면은, 상기 점착제가 노출되는 제1 영역과, 상기 흡수층이 노출되는 제2 영역을 갖는 클리닝면을 포함한다. 상기 클리닝 시트는, 흡수량이 0.5g/d㎡ 이상이다.A cleaning sheet is provided that can accurately remove both liquid and solid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that may be present on a surface to be cleaned. A cleaning sheet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is provided. The cleaning sheet includes a base material having an absorbent layer at least on the front surface, and an adhesive partially disposed on the absorbent layer. The first surface includes a cleaning surface having a first area where the adhesive is exposed and a second area where the absorbent layer is exposed. The cleaning sheet has an absorption amount of 0.5 g/dm2 or more.

Description

클리닝 시트 및 클리너cleaning sheets and cleaners

본 발명은, 클리닝 시트 및 해당 클리닝 시트를 구비하는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1년 1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2021-12195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서 원용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sheet and a cleaner equipped with the cleaning sheet. 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21-12195 filed on January 28, 2021, and the entir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바닥이나 카펫 등의 청소 수단으로서, 청소 대상면에 존재하는 진애나 티끌 등의 이물을 점착제에 의해 포착하는 점착 클리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외주가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롤 형상의 포착 부재(점착 롤)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면을 청소 대상면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롤을 굴림으로써 해당 청소 대상면 상의 이물을 포착하여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된 점착 클리너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점착 클리너를 개시하는 기술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 2를 들 수 있다.As a means of cleaning floors, carpets, etc., adhesive cleaners, which captur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dirt presen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with an adhesive, are widely used. For example, a roll-shaped capturing member (adhesive roll) whose outer circumference is an adhesive surface is provided, and the roll is rolled while the adhesiv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capture and remov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dhesive cleaners configured to be able to do so are known. As technical documents disclosing this type of sticky cleaner, patent documents 1 and 2 can be cited.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8-000745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8-000745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1-160856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1-160856

그런데, 세면소나 탈의소 등은, 그 사용 양태로부터, 바닥면에 머리털이나 섬유 조각 등의 이물이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들의 바닥면은, 물의 비산이나 물방울 등에 의해 젖은 상태로 되기 쉽다. 특허문헌 2는, 젖은 바닥면이어도 당해 바닥면 상의 티끌을 효과적으로 점착 수집할 수 있는 클리너용 점착 테이프를 제안하고 있지만, 실용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추가 검토의 여지가 있다.However, due to the usage patterns of washrooms and changing rooms, etc., there are many cases where foreign matter such as hair or fiber fragments falls on the floor surface. Additionally, their bottom surfaces are likely to become wet due to water splashing or droplets. Patent Document 2 proposes an adhesive tape for cleaners that can effectively adhesively collect dust on a wet floor, but there is room for further examination in order to obtain a product that is practically satisfactory.

그래서 본 발명은, 청소 대상면 상에 존재할 수 있는 물 등의 액체와 고형의 이물을, 모두 적확하게 제거할 수 있는 클리닝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되는 다른 발명은, 이러한 클리닝 시트를 구비하는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sheet that can accurately remove both liquid and solid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that may exi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nother related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equipped with such a cleaning sheet.

이 명세서에 의하면,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클리닝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클리닝 시트는, 적어도 전방면에 흡수층을 갖는 기재와, 해당 흡수층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점착제를 구비한다. 상기 클리닝 시트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점착제가 노출되는 제1 영역과, 상기 흡수층이 노출되는 제2 영역을 갖는 클리닝면을 포함한다. 상기 클리닝 시트는, 흡수량이 0.5g/d㎡ 이상이다. 여기서 「dm」은 「데시미터」를 나타낸다.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a cleaning sheet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is provided. The cleaning sheet includes a base material having an absorbent layer at least on the front surface, and an adhesive partially disposed on the absorbent layer. The first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includes a cleaning surface having a first area where the adhesive is exposed and a second area where the absorbent layer is exposed. The cleaning sheet has an absorption amount of 0.5 g/dm2 or more. Here, “dm” represents “decimeter.”

이러한 구성의 클리닝 시트는, 그 제1 면에 상기 제1 영역(점착제 노출 영역)과 상기 제2 영역(흡수층 노출 영역)을 갖는 클리닝면을 가지므로, 해당 클리닝면에 의해 청소 대상면으로부터 물 등의 액체와 고형 이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클리닝 시트는, 소정 이상의 흡수량이 담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젖은 청소 대상면이어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The cleaning sheet of this configuration has a cleaning surface having the first area (adhesive exposed area) and the second area (absorbent layer exposed area) on its first surface, so that water, etc.,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cleaning surface. It is possible to remove liquid and solid foreign substances at the same time. Additionally, since the cleaning sheet is configured to ensure a predetermined or higher absorption amount, it can be cleaned efficiently even if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wet.

몇 가지의 양태에 관한 클리닝 시트는, 상기 클리닝면이 점착면인 점착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액체의 제거성과 고형 이물의 제거성을 고레벨로 양립시키기 쉽다.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n adhesive sheet where the cleaning surface is an adhesive surfac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easy to achieve both liquid removal and solid foreign matter removal at a high level.

상기 기재는, 상기 흡수층의 배면측에 배치된 방수층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흡수층의 배면측에 방수층을 마련함으로써, 클리닝 시트의 제1 면측에서 흡수한 액체가 제2 면측에서 번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롤 형태의 클리닝 시트나 복수매가 적층된 형태의 클리닝 시트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청소 대상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범위로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클리닝 시트를 1매만 사용하는 형태에서는, 해당 클리닝 시트의 제2 면에 접하는 부재나 손가락에 상기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se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waterproof layer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absorbent layer. By providing a waterproof layer on the back side of the absorbent layer, the liquid absorbed on the first side of the cleaning sheet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on the second side. As a result, for example, in a roll-shaped cleaning sheet or a plurality of stacked cleaning shee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from expanding to a range that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surface to be cleaned. Additionally, for example, in a form in which only one cleaning sheet is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from adhering to members or finger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층간 강도는, 대략 0.5N/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방수층과 흡수층이 부주의하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기 쉬워진다.In some embodime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layer strength of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absorbent layer is approximately 0.5 N/25 mm or more. This makes it easy to prevent inadvertent separation of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absorbent layer.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시트의 인열 강도는, 대략 1.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클리닝 시트를 권회한 클리닝 롤의 외주면의 갱신 시에, 상기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넘김부)를 그 내주의 클리닝 시트로부터 들어 올릴 때의 세로 갈라짐을 방지하기 쉬워진다.In some embodiments, the tearing strength of the cleaning sheet is preferably approximately 1.0 N or more. This makes it easy to prevent vertical cracking when, for exampl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eaning roll around which the cleaning sheet is wound is renewed, and the wound outer peripheral end (turning portion) of the cleaning sheet is lifted from the inner peripheral cleaning sheet.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상기 클리닝 시트는, 해당 클리닝 시트의 긴 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부를 갖는다. 이러한 절단부를 마련함으로써, 해당 절단부를 이용하여 클리닝 시트의 일부를 잔부로부터 분리하기 쉬워져, 클리닝 시트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cleaning sheet has a cu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for example, the width direction). By providing such a cut portion, it becomes easy to separate a part of the cleaning sheet from the remainder using the cut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use of the cleaning sheet.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는, 상기 클리닝면을 외측으로 하여 권회됨으로써, 클리닝 롤로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클리닝 롤은, 예를 들어 청소 대상면 상을 전동시키는 양태에서 사용되고, 해당 청소 대상면 상의 액체 및 고형 이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may be configured as a cleaning roll by being wound with the cleaning surface facing outward. This cleaning roll is used, for example, in a manner that rolls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can efficiently remove liquid and soli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이 명세서에 의하면,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것의 클리닝 시트가 상기 클리닝면을 외측으로 하여 권회된 클리닝 롤과, 상기 클리닝 롤을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그를 구비하는 클리너가 제공된다. 상기 클리너는, 상기 클리닝 롤이 청소 대상면 상을 전동하는 양태에서 사용되고, 해당 청소 대상면 상의 액체 및 고형 이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there is provided a cleaner including a cleaning roll in which any of the cleaning sheets disclosed herein is wound with the cleaning surface facing outward, and a jig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cleaning roll. The cleaner is used in such a way that the cleaning roll rolls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can efficiently remove liquid and soli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 요소를 적절히 조합한 것도, 본 출원에 의해 특허에 의한 보호를 구하는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ppropriate combinations of each elem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for which protection by patent is sought by this application.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리닝 시트가 클리닝면을 외측으로 하여 권회된 클리닝 롤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양태에 관한 클리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 방향 화살표도이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리닝 시트가 클리닝면을 외측으로 하여 권회된 클리닝 롤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roll in which a cleaning she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wound with the cleaning surface facing outwar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4 is a diagram showing arrows in the direction IV of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roll in which a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wound with the cleaning surface facing outward.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에 관한 교시와 출원 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부재·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는 경우가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에 기재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모식화되어 있고, 실제로 제공되는 제품의 사이즈나 축척을 반드시 정확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matters other than those specifically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matters necessary for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teaching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common sense at the time of filing the appl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ont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knowledge in the fiel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below, members and parts that exert the same function may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may be omitted or simplified.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re modeled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necessarily accurately represent the size or scale of the actually provided product.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리닝 시트가 클리닝면을 외측으로 하여 권회된 클리닝 롤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클리닝 시트를 폭 방향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roll in which a cleaning she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wound with the cleaning surface facing outward,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leaning sheet cut along the width direction. .

클리닝 시트(10)는, 제1 면(10A) 및 제2 면(10B)을 갖는 테이프상(긴 띠 모양)이고, 흡수층(22)을 갖는 기재(20)와, 흡수층(22)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점착제(31)를 구비한다. 기재(20)는, 흡수층(22)의 배면측에 배치된 방수층(24)을 더 구비한다. 방수층(24)의 표면에는, 공지된 박리 처리(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The cleaning sheet 10 is tape-shaped (long strip-shaped) having a first side 10A and a second side 10B, a base material 20 having an absorbent layer 22, and a partial portion on the absorbent layer 22. It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31 arranged as. The base material 20 further includes a waterproof layer 24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absorbent layer 22. The surface of the waterproof layer 24 may be subjected to a known peeling treatment (for example, a peeling treatment using a silicone-based peeling agent).

클리닝 시트(10)의 제1 면(10A)의 폭 중앙부는, 점착제(31)가 노출되는 제1 영역(점착제 노출 영역)과, 흡수층(22)이 노출되는 제2 영역(흡수층 노출 영역)(32)을 갖는 클리닝면(11)이 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층(22) 상에 부분적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리닝 시트(10)의 긴 변 방향과 거의 평행한 스트라이프상으로 배치된 점착제(31)에 의해 제1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라이프의 각 선 사이가 제2 영역(32)이 되고 있다. 제1 면(10A)의 폭 방향의 양단은, 점착제(3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점착제 비배치부(12, 13)가 되고 있다.The width center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cleaning sheet 10 includes a first area where the adhesive 31 is exposed (adhesive exposed area) and a second area where the absorbent layer 22 is exposed (absorbent layer exposed area) ( It becomes a cleaning surface 11 having 32).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gion is formed partially on the absorbent layer 22, more specifically, by the adhesive 31 disposed in strip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10, The space between each line of the stripe becomes the second area 32. Both ends of the first surface 10A in the width direction serve as adhesive non-disposition portions 12 and 13 where the adhesive 31 is not disposed.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점착제(31)의 상단이 흡수층(22)의 표면보다도 높게 돌출되도록(즉, 제1 영역이 제2 영역보다 돌출되도록) 점착제(31)가 배치되어 있지만,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높이 관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영역이 제2 영역보다 낮아도 되고,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거의 동일한 높이여도 된다. 예를 들어, 흡수층의 전방면측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해당 오목부의 깊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메우도록 점착제를 충전함으로써, 제1 영역이 제2 영역보다 낮거나 또는 제1 영역이 제2 영역과 거의 동일한 높이인 클리닝면을 형성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제1 영역이 제2 영역보다 돌출되어 있거나, 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거의 동일한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클리닝 시트는, 청소 대상면에 클리닝면을 접촉시킬 때, 해당 청소 대상면에 점착제를 용이하게 직접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고형 이물의 제거성이 좋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영역에 걸치는 사이즈의 고형 이물(예를 들어, 머리털, 실밥 등)의 포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제1 영역이 제2 영역보다 돌출되어 있는 구성에 의하면, 제1 영역의 정상면에 추가하여 측면도 고형 이물의 포착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2에서는 점착제(31)와 흡수층(22)을 직선으로 구획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흡수층(22)이 다공질인 경우, 점착제(31)는, 그 적어도 일부가 흡수층(22)에 침투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well shown in FIG. 2, the adhesive 31 is appli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adhesive 31 protrudes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absorbent layer 22 (i.e., the first area protrudes more than the second area). ) is disposed, but the heigh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not limited to this. The first area may be lower than the second area, an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be of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For example, by providing a concave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absorbent layer and filling the adhesive to fill part or all of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the first region is lower than the second region or the first region is equal to or equal to the second region. A cleaning surface of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can be formed. In some embodime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gion protrudes more than the second region, or that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The cleaning sheet configured in this way has good removal properties of solid foreign substances because the adhesive can be easily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when the cleaning surfa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example, the capturing ability of solid foreign substances (e.g., hair, lint, etc.) of a size spanning the plurality of first regions is excellent.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region protrudes more than the second region, the side surface in addition to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region can also be used to capture solid foreign substances, which is preferable.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dhesive 31 and the absorbent layer 22 are divided by a straight line in FIG. 2. However, for example, when the absorbent layer 22 is porous,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31 is formed by the absorbent layer 22. ) can be infiltrated and deployed.

클리닝 롤(1)은, 권취 코어(40)의 주위에 클리닝 시트(10)를, 클리닝면(11)이 외측(롤의 외주측)을 향하도록 하여 롤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클리닝 시트(10)의 권회 외주 단부(넘김부)(16)로부터 클리닝 롤(1)의 거의 1주분에 상당하는 길이를, 클리닝 롤(1)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클리닝 롤(1)은, 그 표면의 성능(예를 들어, 제거 대상물의 포착 성능이나 흡수 성능)이 저하되면, 이렇게 클리닝 시트(10)를 클리닝 롤(1)로부터 인출해서(되감아) 잘라냄으로써, 클리닝 롤(1)의 표면에 새로운 클리닝면(11)을 노출시킬 수 있다. 즉, 클리닝 롤(1)은, 상기 인출 및 잘라내기에 의해 표면을 갱신함으로써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잘라내기의 편의를 위해, 클리닝 시트(10)에는, 클리닝 롤(1)의 거의 1주 길이마다, 절단용의 절단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절단부(14)는, 클리닝 시트(10)의 긴 변 방향의 일단부를 잔부로부터 절단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절단 수단이며, 예를 들어 긴 구멍이나 파형의 슬릿을 배열한 것, 재봉선 등의 간헐 슬릿 등일 수 있다.The cleaning roll 1 is formed by winding the cleaning sheet 10 around the winding core 40 in a roll shape with the cleaning surface 11 facing the outsid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roll). In Figure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length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one turn of the cleaning roll 1 is drawn from the winding outer peripheral end (turning portion) 16 of the cleaning sheet 10. It indicates the status. When the surface performance of the cleaning roll 1 (for example, the capturing performance or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object to be removed) deteriorates, the cleaning sheet 10 is pulled out (rewinded) from the cleaning roll 1 and cut. , a new cleaning surface 11 can be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roll 1. That is, the cleaning roll 1 is configured to maintain its performance by updating the surface through the drawing and cutting. For convenience of such cutting, the cleaning sheet 10 is provided with cutting portions 14 for cutting at approximately every length of the cleaning roll 1. The cutting portion 14 is a cutting means used to easily cut one end of the cleaning sheet 10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from the remainder, for example, an arrangement of long holes or wavy slits, or intermittent slits such as a seam line. It may be, etc.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절단부(14)는, 권회 외주 단부(16)로부터 클리닝 시트(10)의 긴 변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길이가 클리닝 롤(1)의 1주 길이보다 약간(예를 들어 2mm 내지 10mm 정도) 길어지는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리닝 롤(1)에 있어서 가장 외주측에 있는 절단부(14)는, 해당 클리닝 시트(1)의 최외주를 구성하는 클리닝 시트(10)에 의해 덮이고, 청소 대상면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젖은 청소 대상면에 사용된 클리닝 롤(1)로부터 클리닝 시트(10)를 인출하여 절단부(14)로부터 잘라냄으로써, 클리닝 시트(10) 중 흡수한 범위는 제거되고, 나머지의 클리닝 롤(1)을 마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관계가 클리닝 롤(1)의 내주로부터 외주까지 대략 동일 정도로 유지되도록, 절단부(14)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ome embodiments, the cut portion 14 has a length measured from the winding outer peripheral end 16 alo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10 slightly longer than on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leaning roll 1 (e.g. It is desirable to provide it in a position where it is elongated (about 2mm to 10mm).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ut portion 14 on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cleaning roll 1 is covered by the cleaning sheet 10 constituting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cleaning sheet 1,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re is no case for doing so. Therefore, by pulling out the cleaning sheet 10 from the cleaning roll 1 used on the surface to be wet cleaned and cutting it through the cut portion 14, the absorbed area of the cleaning sheet 10 is removed, and the remaining cleaning roll 1 ) can be kept dry.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cut portion 14 so that this relationship is maintained to approximately the same exten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eaning roll 1.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절단부(14)가 클리닝 시트(10)의 폭 방향(긴 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지만, 폭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절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일정해도 되고, 도중에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어, 클리닝 시트의 폭의 도중에, 절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직선적 또는 곡선적으로 굴곡하는 개소가 1 또는 2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클리닝 시트(10)의 폭 전체를 횡단하여 절단부(14)가 마련되어 있지만, 클리닝 시트의 폭의 한쪽으로부터 도중까지 연장하여 절단의 계기를 부여하게 마련된 절단부여도 된다.Furthermor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cut portion 14 is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10, but may be provid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t portion extends may be constant or may be changed along the way. For example, one or two or more portions may be provided along the width of the cleaning sheet w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t portion extends is bent linearly or curvedly. Furthermor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cutting portion 14 is provided across the entire width of the cleaning sheet 10, but the cutting portion 14 is also provid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cutting b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width of the cleaning sheet to the middle. do.

클리닝 롤(1)의 권취 코어(40)로서는, 비용, 폐기 처분의 용이성, 쿠션성 등의 관점에서, 종이제(전형적으로는 보드지제)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혹은, 다른 재질(예를 들어, 합성 수지, 금속 등)로 이루어지는 권취 코어여도 된다. 또한, 권취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 클리닝 시트만을 롤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소위 코어리스 타입의 클리닝 롤이어도 된다. 즉,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롤에 있어서, 권취 코어는 어디까지나 임의적인 구성 요소이다.As the winding core 40 of the cleaning roll 1, one made of paper (typically made of cardboard) can b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s of cost, ease of disposal, cushioning properties, etc. Alternatively, the winding core may be made of another material (for example, synthetic resin, metal, etc.). Additionally, a so-called coreless type cleaning roll may be used, which is formed by winding only the cleaning sheet into a roll without using a winding core. That is, in the cleaning roll disclosed herein, the winding core is an arbitrary component.

클리닝 롤(1)은, 예를 들어 도 3,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지그(50)와 함께, 해당 지그(50)의 회전 부재(52)에 클리닝 롤(1)이 설치된 형태의 클리너(100)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할 수 있다. 회전 부재(52)는 막대 형상이며, 막대 형상의 파지 부재(54)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리너(100)는, 예를 들어 클리닝 롤(1)의 권회 중심에 마련된 공동부(권취 코어를 갖는 양태에서는, 해당 권취 코어의 공동부일 수 있음)에 회전 부재(52)를 삽입함으로써, 클리닝 롤(1)이 회전 부재(52)와 연동하여 롤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리너(100)는, 파지 부재(54)의 타단부를 파지하여, 클리닝 롤(1)의 외주면을 청소 대상면(56)의 표면에 접촉시키면서, 해당 청소 대상면(56)의 표면을 따라 클리닝 롤(1)을 전동 시키는 양태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cleaning roll 1 is, for example, a jig 50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a cleaner 100 in which the cleaning roll 1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member 52 of the jig 50. ) can be used as a component of. The rotating member 52 is rod-shaped and is rotatably supported on one end of the rod-shaped holding member 54. The cleaner 100, for example, inserts the rotating member 52 into a cavity provided at the winding center of the cleaning roll 1 (in an embodiment having a winding core, it may be a cavity of the winding core), thereby forming the cleaning roll. (1) is configured to rotate in the direction around the roll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member 52. The cleaner 100 holds the other end of the holding member 54, bring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eaning roll 1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leaning target surface 56, and cleans the surface along the cleaning target surface 56. It can be preferably used in an aspect in which the roll 1 is rolled.

또한, 클리닝 롤과 함께 클리너를 구성하는 지그의 형태는, 도 3, 4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지그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4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파지 부재(54)가 클리닝 롤(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파지 부재는, 클리닝 롤의 권회 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권회 축과의 이루는 각이 대략 60도 이하, 또는 45도 이하, 또는 30도 이하가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명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클리너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그와 클리닝 롤을 포함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클리닝 롤을 그대로 클리너로서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상기 클리닝 롤은, 클리너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롤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지그로 교환 가능 또는 일회용의 형태로 설치하여 클리너를 구성하는 클리닝 롤(리필용 클리닝 롤)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e form of the jig that constitutes the cleaner together with the cleaning roll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S. 3 and 4, and various types of jigs can be appli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For example, in the form shown in FIGS. 3 and 4, the holding member 54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leaning roll 1, but the holding member may extend along the winding axis of the cleaning roll, and the holding member 54 may extend along the winding axis of the cleaning roll. It may extend in a direction such that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two is approximately 60 degrees or less, or 45 degrees or less, or 30 degrees or less. In addition, the cleaner provided by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a form including a jig and a cleaning roll as shown in FIG. 3, and the cleaning roll may be used as a cleaner as is. In other words, the cleaning roll can also be understood as a cleaner. Additionally, the cleaning roll disclosed herein may be a cleaning roll (refillable cleaning roll) that can be replaced with an appropriate jig as needed or installed in a disposable form to constitute a cleaner.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는, 롤상으로 권회되지 않는 형태로, 예를 들어 매엽상의 형태로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매엽상의 클리닝 시트를, 적절한 지그에 설치하여, 또는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클리닝 시트 단독으로, 클리너로서 사용할 수 있다. 매엽상의 클리닝 시트는, 1매만의 형태로 사용되어도 되고, 2매 이상의 적층체의 형태로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적층체는, 그 최표면에 위치하는 1매의 클리닝 시트를 청소 대상면에 접촉시키는 양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최표면의 1매를 나머지의 적층체로부터 박리하면, 새로운 클리닝 시트가 적층체의 최표면이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적층체의 최표면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는, 도 1에 도시하는 예와는 반대로, 클리닝면을 내측으로 하여 권회된 클리닝 롤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형태의 클리닝 롤로부터 클리닝 시트를 인출해서(되감아서) 적당한 길이로 잘라냄으로써, 매엽상의 클리닝 시트가 얻어진다. 그 매엽상의 클리닝 시트를, 적절한 지그에 설치하여, 또는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클리너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may be used in a form that is not wound into a roll, for example, in a sheet form. For example, a sheet-fed cleaning sheet can be installed in an appropriate jig, or the cleaning sheet alone can be used as a cleaner without using a jig. The sheet-shaped cleaning sheet may be used in the form of only one sheet, or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laminate of two or more sheets. The above laminate can be used in such a way that one cleaning sheet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When one of the outermost surfaces is peeled off from the remaining laminate, a new cleaning sheet becomes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laminate. As a resul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laminate can be updated. Additionally, contrary to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may be configured as a cleaning roll wound with the cleaning surface facing inward. By pulling out (rewinding) the cleaning sheet from this type of cleaning roll and cutting it to an appropriate length, a sheet-fed cleaning sheet is obtained. The sheet-shaped cleaning sheet can be used as a cleaner by installing it in an appropriate jig or alone without using a jig.

<흡수량><Absorption amount>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는, 흡수량이 0.5g/d㎡ 이상인 것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점착제 노출 영역(제1 영역)과 흡수층 노출 영역(제2 영역)을 갖는 클리닝면을 구비한 클리닝 시트에 있어서, 흡수량이 0.5g/d㎡ 이상임으로써, 청소 대상면에서 물 등의 액체와 고형 이물을 동시에 또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is characterized by an absorption amount of 0.5 g/dm2 or more. In a cleaning sheet provided with a cleaning surface having an adhesive exposed area (first area) and an absorbent layer exposed area (second area), when the absorption amount is 0.5 g/dm2 or more, liquid such as water and solid foreign matter are removed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can also be efficiently removed at the same time.

액체의 제거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 클리닝 시트의 흡수량은 0.7g/d㎡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9g/d㎡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g/d㎡ 이상이어도 되고, 1.2g/d㎡ 이상이어도 되고, 1.5g/d㎡ 이상이어도 된다. 흡수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8g/d㎡ 이하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클리닝 시트의 두께를 억제하면서 액체 제거 성능과 점착제에 의한 고형 이물의 제거 성능을 밸런스 좋게 양립하는 관점에서, 상기 흡수량은, 예를 들어 5.0g/d㎡ 이하여도 되고, 3.5g/d㎡ 이하여도 되고, 2.5g/d㎡ 이하여도 된다. 클리닝 시트의 흡수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클리닝 시트의 흡수량은, 흡수층의 선택, 클리닝면에 차지하는 제1 영역의 면적 비율(점착제 면적률), 점착제의 흡수층에의 도공량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liquid removal efficiency, the absorption amount of the cleaning sheet is preferably 0.7 g/dm2 or more, more preferably 0.9g/dm2 or more, may be 1.0g/dm2 or more, and may be 1.2g/dm2 or more. It may be 1.5 g/d㎡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absorption amou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8 g/dm 2 or less. In some embodiments, from the viewpoint of maintaining a good balance between the liquid removal performance and the solid foreign matter removal performance by the adhesive while suppressing the thickness of the cleaning sheet, the water absorption amount may be, for example, 5.0 g/dm2 or less, It may be 3.5 g/dm2 or less, and may be 2.5g/dm2 or less. The water absorption amount of the cleaning sheet i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described later. The absorption amount of the cleaning sheet can be adjusted by selection of the absorption layer, the area ratio of the first region to the cleaning surface (adhesive area ratio), the amount of adhesive applied to the absorption layer, etc.

<흡수층><Absorption layer>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는, 기재를 포함하고, 해당 기재는 적어도 전방면에 흡수층을 갖는다. 환언하면, 기재의 적어도 전방면은 흡수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재 전체가 흡수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형태의 기재는, 해당 기재의 배면도 또한 흡수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includes a substrate, and the substrate has an absorbent layer at least on the front surface. In other words, at least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is comprised of an absorbent layer. The entire substrate may be comprised of an absorption layer. In this type of substrate, the back side of the substrate is also composed of an absorbent layer.

흡수층으로서는, 상술한 흡수량의 클리닝 시트를 구축 가능한 흡수 성능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흡수층의 흡수량은, 대략 0.5g/d㎡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대략 0.5g/d㎡ 초과인 것이 유리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흡수층의 흡수량은, 대략 1.0g/d㎡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1.3g/d㎡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대략 1.5g/d㎡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1.8g/d㎡ 이상이어도 된다. 흡수층의 흡수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대략 10.0g/d㎡ 이하일 수 있다. 클리닝 시트의 강도나 두께 억제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흡수층의 흡수량은, 대략 7.0g/d㎡ 이하여도 되고, 대략 5.0g/d㎡ 이하여도 되고, 대략 3.0g/d㎡ 이하여도 된다. 흡수층의 흡수량은, 흡수층(예를 들어 부직포)을 1변 10cm의 정사각 형상으로 재단한 시험편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클리닝 시트의 흡수량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된다. 흡수층의 흡수량은, 해당 흡수층의 재질, 구조, 평량 등의 선택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As the absorbent layer, one having absorbent performance capable of constructing a cleaning sheet with the above-mentioned absorbent amount is used.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hat the absorption amount of the absorption layer is approximately 0.5 g/dm 2 or more, and it is advantageous that it is approximately 0.5 g/dm 2 or more. In some embodiments, the absorption amount of the absorption layer is preferably approximately 1.0 g/dm2 or more, more preferably approximately 1.3g/dm2 or more, may be approximately 1.5g/dm2 or more, or approximately 1.8g/d. It may be more than ㎡. The upper limit of the absorption amount of the absorptio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10.0 g/dm 2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strength and thickness of the cleaning sheet, in some embodiments, the absorption amount of the absorbent layer may be approximately 7.0 g/dm 2 or less, approximately 5.0 g/dm 2 or less, or approximately 3.0 g/dm 2 or less. It's okay. The water absorption amount of the absorbent layer i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water absorption amount of the cleaning sheet, except that a test piece is used in which the absorbent layer (for example, non-woven fabric) is cut into a square shape with 10 cm on each side. The absorption amount of the absorption layer can be adjusted by selecting the material, structure, basis weight, etc. of the absorption layer.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흡수층은 다공질이다. 다공질의 흡수층에 의하면, 예를 들어 비다공질이며 주로 팽윤에 의해 흡수하는 타입의 흡수층에 비하여, 흡수에 의한 체적 변화나 강도 저하를 억제하면서 원하는 흡수성이 발휘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흡수에 의한 점착제의 탈락(청소 대상면에의 점착제의 잔류를 발생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에 사용되는 점착제로서는, 비수용성 또한 비수팽윤성인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In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 absorbent layer is porous. The porous absorbent layer tends to exhibit the desired absorbency while suppressing volume change and strength decrease due to absorption, compared to, for example, a non-porous absorbent layer that mainly absorbs by swelling. This is desirable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adhesive from falling off due to absorption (which can be a factor in causing the adhesive to remain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the same reason, the adhesive used in 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can preferably be one that is non-water soluble and non-water swellable.

다공질의 흡수층의 적합예로서, 각종의 섬유 집적체로 이루어지는 흡수층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섬유 집적체란, 다수의 섬유가 집적하여 구성된 재료 외에, 1 또는 소수의 섬유가 축적되어 구성된 재료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섬유 집적체는, 일반적으로, 섬유의 얽힘, 교차, 결속 등의 물리적 작용 및/또는 융착, 용착, 바인더에 의한 결착, 화학 반응에 의한 결합 등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집적체로서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섬유 집적체는 부직포, 직포, 종이, 펠트 등으로 칭해지는 것일 수 있다. 섬유 집적체를 구성하는 섬유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천연 섬유(전형적으로는,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및 화학 섬유(합성 섬유, 반합성 섬유,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무기 섬유 등)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섬유 집적체를 구성하는 섬유의 재질은, 1종류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흡수성, 유연성, 점착제와의 친화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흡수층의 예로서, 코튼 부직포 및 레이온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를 클리닝 롤의 형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표면 갱신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는, 코튼 부직포가 보다 바람직하다.A suitable example of a porous absorbent layer includes an absorbent layer made of various fiber aggregates. Here, in this specification, a fiber aggregate is a concept that includes a material composed of one or a small number of fibers accumulated in addition to a material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fibers integrated. Such fiber aggregates generally maintain their form as aggregates by physical actions such as entanglement, crossing, and binding of fibers and/or chemical actions such as fusion, welding, binding by binders, and bonding by chemical reactions. It is configured to do so. The fiber aggregate may be referred to as non-woven fabric, woven fabric, paper, felt, etc. The material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ber aggreg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various natural fibers (typically cellulose-based fibers such as cotton) and chemical fibers (synthetic fibers, semi-synthetic fibers, regenerated fibers such as rayon, inorganic fibers, etc. )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The material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ber aggregate may be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Examples of absorbent layers that can be preferably employed from the viewpoint of absorbency, flexibility, affinity with adhesives, etc. include cotton nonwoven fabric and rayon nonwoven fabric. From the viewpoint of surface updating workability, etc. when 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is in the form of a cleaning roll, cotton nonwoven fabric is more preferable.

다공질의 흡수층의 다른 예로서, 오픈 셀 구조의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흡수층을 들 수 있다. 상기 발포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폼, 폴리비닐알코올(PVA)폼 등을 이용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a porous absorption layer is an absorption layer made of foam with an open cell structure. As the foam, for example, polyurethane foam, polyvinyl alcohol (PVA) foam, etc. can be used.

흡수층의 평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흡수량의 클리닝 시트를 실현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흡수층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15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g/㎡ 이상이고, 30g/㎡ 이상이어도 되고, 35g/㎡ 이상이어도 된다. 흡수층의 평량이 커지면, 해당 흡수층을 갖는 클리닝 시트의 흡수량 및 인열 강도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흡수층의 평량은, 예를 들어 150g/㎡ 이하여도 되고, 100g/㎡ 이하여도 되고, 80g/㎡ 이하여도 되고, 60g/㎡ 이하여도 된다. 흡수층의 평량을 작게 하는 것은, 클리닝 시트의 박형화나 자원의 절약 관점에서 바람직하다.The basis weight of the absorptio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so as to realize a cleaning sheet with the desired absorption amount. In some embodiments, the basis weight of the absorbent layer is preferably 15 g/m 2 or more, more preferably 25 g/m 2 or more, and may be 30 g/m 2 or more, or 35 g/m 2 or more. As the basis weight of the absorbent layer increases, the water absorption amount and tear strength of the cleaning sheet having the absorbent layer tend to increase. Additionally, in some embodiments, the basis weight of the absorbent layer may be, for example, 150 g/m 2 or less, 100 g/m 2 or less, 80 g/m 2 or less, or 60 g/m 2 or less. Reducing the basis weight of the absorption layer is desirable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cleaning sheet and saving resources.

<점착제><Adhesive>

상기 흡수층 상에는, 부분적으로 점착제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클리닝 시트의 제1 면에, 점착제가 노출되는 제1 영역 및 흡수층이 노출되는 제2 영역을 갖는 클리닝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리닝면은, 클리닝 시트의 제1 면의 전체 범위여도 되고, 일부를 제외한 범위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20)의 폭 방향의 양단을 따라, 점착제가 배치되지 않고 클리닝면으로 되어 있지 않은 점착제 비배치부(12, 13)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점착제 비배치부(12, 13)의 폭은, 각각, 예를 들어 3mm 내지 20mm(전형적으로는 5mm 내지 15mm) 정도로 할 수 있다. 점착제 비배치부(12, 13)의 폭은, 동일 정도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기재(20)의 폭 방향의 어느 일단부측에만 점착제 비배치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의 폭 방향의 적어도 일단부측에 점착제 비배치부를 마련함으로써, 예를 들어 클리닝 롤의 최외주에 노출되는 클리닝 시트를 갱신할 때에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넘김부)를 집기 쉽고, 롤로부터 인출한 클리닝 시트를 잘라내기 쉬운 등의 효과가 실현될 수 있다. 점착제 비배치부는, 기재의 전체 길이 중 일부의 길이에만, 연속하여 또는 단속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On the absorbent layer, an adhesive is partially disposed. As a result, a cleaning surface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having a first area where the adhesive is exposed and a second area where the absorbent layer is exposed. The cleaning surface may be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or may be the area excluding a part of it.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adhesive non-disposition portions 12 and 13 where the adhesive is not disposed and which do not constitute a cleaning surface may be provided along both ends of the substrate 20 in the width direction. The width of the non-adhesive portions 12 and 13 can be, for example, about 3 mm to 20 mm (typically 5 mm to 15 mm). The widths of the adhesive non-placed portions 12 and 1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he adhesive non-disposition portion may be provided only on one end of the substrate 20 in the width direction. By providing an adhesive non-disposition portion on at least one end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bstrate, for example, when renewing a cleaning sheet exposed to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cleaning roll, it is easy to pinch the wound outer periphery end (turning portion) of the cleaning sheet and withdraw it from the roll. Effects such as easy cutting of one cleaning sheet can be realized. The adhesive-non-disposed portion may be provided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only for a portion of the total length of the substrate.

클리닝면 전체의 면적에 차지하는 제1 영역의 면적 비율(이하, 「점착제 면적률」이라고도 함)은, 다음 식: [(제1 영역의 합계 면적)/(제1 영역의 합계 면적+제2 영역의 합계 면적)]×100;에 의해 산출된다. 점착제 면적률은, 예를 들어 5% 이상으로 할 수 있고, 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5% 이상으로 해도 되고, 25% 이상으로 해도 되고, 35% 이상 또는 45% 이상으로 해도 된다. 점착제 면적률이 커지면, 고형 이물의 포착성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 면적률은 95%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8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하로 해도 되고, 65% 이하로 해도 되고, 55% 이하로 해도 된다. 점착제 면적률이 작아지면, 클리닝 시트의 흡수량은 대체로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The area ratio of the first area to the entire area of the cleaning surfac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dhesive area ratio”) i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Total area of the first area)/(Total area of the first area + Second area) Total area of)] × 100; The adhesive area ratio can be, for example, 5% or more, preferably 10% or more, 15% or more, 25% or more, 35% or more, or 45% or more. As the adhesive area ratio increases, the ability to capture solid foreign substances tends to improve. 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dhesive area ratio is suitably 95% or less, preferably 85% or less, may be 75% or less, 65% or less, and may be 55% or less. do. As the adhesive area ratio decreases, the absorption amount of the cleaning sheet generally tends to increase.

클리닝면에 있어서의 제1 영역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트라이프상, 도트상(복수의 점상 또는 섬상), 격자상, 이들을 조합한 패턴 등일 수 있다. 제1 영역의 배치 패턴은, 규칙적이어서도 되고 랜덤이어도 된다. 제1 영역의 배치 패턴은, 클리닝면의 전체에 걸쳐 동일해도 되고, 위치(예를 들어,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어도 된다. 제조 용이성이나 클리닝 롤의 형성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클리닝면의 전체에 걸쳐 동일 배치 패턴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제1 영역은, 클리닝면의 전체 범위에 걸쳐 대략 균등하게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패턴의 배치 빈도나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위치(예를 들어 폭 방향의 위치)에 의해 조밀이 발생하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클리닝 시트의 제조 용이성이나, 클리닝 롤의 형태로 하는 경우의 형상 정밀도 등의 관점에서, 클리닝면의 전체 범위에 걸쳐 제1 영역이 대략 균등하게 마련되어 있는 구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제1 영역의 배치 패턴은, 예를 들어 점착제의 배치 패턴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의 배치와 점착제의 배치는, 제조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일치하고 있는 것이 유리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rea on the cleaning surfa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stripe-shaped, dot-shaped (plural dots or islands), grid-shaped, or a combination of these patterns.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first area may be regular or random.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first area may be the same over the entire cleaning surface, or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for exampl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manufacturing and ease of forming a cleaning roll, it is advantageous to use the same arrangement pattern over the entire cleaning surface. Additionally, the first area may be provided approximately evenly over the entire range of the cleaning surface, and density may be genera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e.g.,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by, for example, adjusting the arrangement frequency or size of the pattern. It may be provided.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manufacturing the cleaning sheet, shape accuracy when forming the cleaning roll, etc.,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area is provided substantially evenly over the entire cleaning surface can be preferably adopted.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first area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by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adhesive. 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that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region and the arrangement of the adhesive are consistent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manufacture, etc., but are not limited to this.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리닝 시트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거의 평행하게(스트라이프상으로) 배치된 점착제에 의해 제1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클리닝 시트는, 해당 클리닝 시트의 긴 변 방향의 각 부에 있어서의 구성(단면 형상)이 일정한 점에서, 상기 클리닝 시트를 권회한 클리닝 롤을 그 적용 대상면(청소 대상면) 상에서 전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감(반응)의 변동이 적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청소 얼룩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도 유리하다.In some preferred embodimen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first region is formed by adhesive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in stripes)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 In this type of cleaning sheet, the configuration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part i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is constant, so that the cleaning roll wound around the cleaning sheet is applied on the application surface (cleaning target surface). This is preferable because there is little variation in the feeling of use (response) when electric. That is, the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This is also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cleaning stains.

점착제가 스트라이프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양태에 있어서, 해당 스트라이프의 각 선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폭(제1 영역의 폭) W1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서 설계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의 폭 W1(도 2 참조)은, 예를 들어 대략 0.1mm 이상으로 할 수 있고, 고형 이물의 포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대략 0.3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대략 0.5mm 이상으로 해도 되고, 대략 0.7mm 이상으로 해도 된다. 상기 폭 W1은, 예를 들어 대략 20mm 이하로 할 수 있고, 청소 대상면 상의 액체의 제거 얼룩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대략 10mm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대략 5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2mm 이하로 해도 된다. 인접하는 선의 간격(제2 영역의 폭) W2는, 흡수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대략 0.1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대략 0.3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0.5mm 이상 또는 대략 0.7mm 이상으로 해도 된다. 상기 폭 W2(도 2 참조)는, 예를 들어 대략 20mm 이하로 할 수 있고, 청소 대상면 상의 고형 이물의 제거 얼룩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대략 10mm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대략 5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2mm 이하로 해도 된다.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adhesive is arranged in stripes, the width (width of the first region) W1 of the adhesive constituting each line of the stri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width W1 (see Fig. 2) of the adhesive can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0.1 mm or more, and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trapping ability of solid foreign substances, it is advantageous to set it to approximately 0.3 mm or more, and approximately It may be 0.5 mm or more, or approximately 0.7 mm or more. The width W1 can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20 m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stains from removal of liqui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t is appropriate to set it to approximately 10 mm or less, preferably approximately 5 mm or less, and approximately 2 mm. You can do it below. The spacing (width of the second area) W2 between adjacent lines is suitably set to approximately 0.1 mm or more, preferably approximately 0.3 mm or more, and approximately 0.5 mm or more or approximately 0.7 m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absorbency. You can do it. The width W2 (see FIG. 2) can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20 m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stains from removal of soli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t is appropriate to set it to approximately 10 mm or less, and approximately 5 mm or less. It is preferable, and may be approximately 2 mm or less.

점착제가 도트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양태에 있어서, 도트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장원형, 부채형(예를 들어 반원형), 링상, 사각형(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마름모형 등),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삼각형, 육각형 등), 기타, 각종 도안, 기호, 문자 등을 나타내는 형상, 이들의 1 또는 2 이상을 조합한 형상 등일 수 있다. 각 도트의 면적은, 예를 들어 대략 0.1㎟ 이상으로 할 수 있고, 고형 이물의 포착성의 관점에서 대략 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1㎟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3㎟ 이상 또는 대략 6㎟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청소 대상면 상의 액체의 제거 얼룩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각 도트의 면적은, 예를 들어 대략 300㎟ 이하로 할 수 있고, 대략 100㎟ 이하(예를 들어 대략 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도트와 인접하는 도트와의 간격은, 예를 들어 0.1mm 내지 10mm 정도(전형적으로는 0.5mm 내지 5mm 정도, 예를 들어 1mm 내지 3mm 정도)로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adhesive is arranged in a dot shape, the shape of the do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circular, oval, oval, fan-shaped (e.g. semi-circular), ring-shaped, quadrangular (square, rectangular, trapezoidal, rhombus, etc.), polygons other than squares (triangles, hexagons, etc.), shapes representing various designs, symbols, letters, etc., and shapes that combine one or two or more of these. The area of each dot can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0.1 mm2 or more, and is preferably approximately 0.5 mm2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trapping solid foreign substances. It may be approximately 1 mm2 or more, or approximately 3 mm2 or more, or approximately 6 mm2. It can be more than that.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stains from removal of liqui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area of each dot can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300 mm2 or less, and is preferably approximately 100 mm2 or less (e.g., approximately 30 mm2 or less). desirable. The distance between each dot and the adjacent dot can be, for example, about 0.1 mm to 10 mm (typically about 0.5 mm to 5 mm, for example, about 1 mm to 3 mm).

클리닝면의 면적당에 포함되는 점착제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흡수량이 실현되고, 또한 고형 이물의 제거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클리닝면의 면적당의 점착제의 양은, 예를 들어 3g/㎡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도공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5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g/㎡ 이상이어도 되고, 15g/㎡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클리닝면의 면적당의 점착제의 양은, 예를 들어 120g/㎡ 이하여도 되고, 점착력을 적절하게 억제하여 클리닝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9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g/㎡ 이하여도 되고, 50g/㎡ 이하여도 되고, 30g/㎡ 이하여도 된다. 클리닝면의 면적당에 포함되는 점착제의 양은, 기재의 면적당의 중량과, 클리닝면이 형성되어 있는 범위에 있어서의 클리닝 시트의 면적당의 중량의 차로부터 구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의 양은, 제1 영역의 면적당의 점착제의 부여량이나 점착제 면적률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The amount of adhesive contained per area of the cleaning surfa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so that the desired absorption amount is realized and the solid foreign matter removal effect is appropriately exhibited. In some embodiments, the amount of adhesive per area of the cleaning surface can be, for example, 3 g/m2 or more, preferably 5 g/m2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coating stability, etc., may be 10 g/m2 or more, and may be 15 g/m2 or more. It may be more than /㎡. In addition, the amount of adhesive per area of the cleaning surface may be, for example, 120 g/m 2 or less, and is preferably 90 g/m 2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appropriately suppressing the adhesive force to facilitate cleaning operations, and may be 70 g/m 2 or less. , may be 50 g/m 2 or less, and may be 30 g/m 2 or less. The amount of adhesive contained per area of the cleaning surface can be determin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ight per area of the base material and the weight per area of the cleaning sheet in the range where the cleaning surface is formed. The amount of the adhesive can be adjusted by the amount of adhesive applied per area of the first region or the adhesive area ratio.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영역의 면적당의 점착제의 양은, 예를 들어 5g/㎡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도공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1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g/㎡ 이상이어도 되고, 25g/㎡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영역의 면적당의 점착제의 양은, 예를 들어 150g/㎡ 이하여도 되고, 점착력을 적절하게 억제하여 클리닝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12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g/㎡ 이하여도 되고, 70g/㎡ 이하여도 되고, 50g/㎡ 이하여도 된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amount of adhesive per area of the first region can be, for example, 5 g/m2 or more, and is preferably 10 g/m2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coating stability, etc., may be 15 g/m2 or more, or 25 g. It may be more than /㎡. Additionally, the amount of adhesive per area of the first region may be, for example, 150 g/m 2 or less, and is preferably 120 g/m 2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appropriately suppressing the adhesive force to facilitate cleaning operations, and may be 100 g/m 2 or less. , may be 70 g/m 2 or less, and may be 50 g/m 2 or less.

<방수층><Waterproof layer>

기재는 흡수층의 배면측, 즉 점착제층이 마련되는 측과는 반대측(배면측)에 배치된 방수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방수층은, 비다공질의 수지층(예를 들어 수지 필름), 클로즈드 셀 구조의 발포체층, 금속박, 이들의 복합체 등일 수 있다. 후술하는 층간 강도를 높이기 쉬운 점에서, 비다공질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방수층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다공질의 수지층이란, 25℃에서, 당해 층의 겉보기의 체적에 차지하는 구멍(공극)의 체적의 비율이 3체적% 이하인 층을 말한다. 비다공질의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블렌드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기타, 염화비닐 수지(전형적으로는, 연질 염화비닐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배면측이 폴리올레핀 수지에 의해 구성된 방수층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The base material may include a waterproof layer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absorbent layer, that is, on the side opposite (back side) to the side on which the adhesive layer is provided. The waterproof layer may be a non-porous resin layer (for example, a resin film), a foam layer with a closed cell structure, a metal foil, or a composite thereof. A waterproofing layer containing a non-porous resin layer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asy to increase the interlayer strength described later. Here, the non-porous resin layer refers to a layer in which the ratio of the volume of pores (voids) to the apparent volume of the layer is 3% by volume or less at 25°C. Examples of 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non-porous resin layer includ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ethylene-propylene copolymer, and polypropylene-polyethylene blend resin; Others include vinyl chloride resin (typically soft vinyl chloride resin), vinyl acetate resin, and polyamide-based resin; These can be mentioned,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In some embodiments, a waterproof layer made of polyolefin resin at least on the back side can be preferably employed.

방수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방수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이상이면 되고, 적당한 강도(예를 들어, 인열 강도, 층간 강도 등)를 갖는 클리닝 시트를 실현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5㎛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0㎛ 이하이면 되고, 클리닝 시트의 유연성이나 박형화의 관점에서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하여도 되고, 20㎛ 이하여도 되고, 15㎛ 이하여도 된다.The thickness of the waterproof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thickness of the waterproof layer may be, for example, 1 μm or more, and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it easy to realize a cleaning sheet with appropriate strength (e.g., tear strength, interlayer strength, etc.), it is appropriate that it is 5 μm or more, and is 10 μm or more. It is preferabl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5㎛ or more.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waterproof layer may be, for example, 100 μm or less, preferably 50 μ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flexibility and thinning of the cleaning sheet, more preferably 30 μm or less, and may be 25 μm or less, and may be 20 μm or less. It may be 15㎛ or less.

몇 가지의 양태에서는, 기재의 배면이 방수층(예를 들어, 수지 필름 등의 수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재의 배면에는, 박리 처리제의 도포 등의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박리 처리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나 불소계 박리 처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 처리제, 기타의 공지 또는 관용의 박리 처리제를,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처리에 의해, 예를 들어 롤 형태의 클리닝 시트의 되감기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back of the substrate is comprised of a waterproof layer (for example, a resin layer such as a resin film). A peeling treatment, such as application of a peeling treatment agent, may be performed on the back of the substrate. The peel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silicone-based peeling agents, fluorine-based peeling agents, long-chain alkyl-based peeling agents, and other known or common peeling agents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r use. By the peeling treatment, for example, the rewinding force of the roll-shaped cleaning sheet can be adjusted.

<층간 강도><Interlayer strength>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층간 강도는, 예를 들어 대략 0.5N/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방수층과 흡수층이 부주의하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것은, 클리닝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클리닝 시트에 있어서 특히 의미가 있다. 층간 강도가 대략 1.0N/25mm 이상(예를 들어 대략 1.5N/25mm 이상, 나아가 2.0N/2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층간 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방수층과 흡수층이 부주의하게 분리되는 사태를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높을수록 유리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층간 강도는, 예를 들어 대략 10N/25mm 이하일 수 있다. 층간 강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T자 박리 시험을 행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측정 준비로서 흡수층으로부터 방수층을 손으로 박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실용상 충분히 높은 층간 강도를 갖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층간 강도인 측정에 있어서는, 방수층과 흡수층의 계면에서 박리되는지, 흡수층의 내부에서 파괴되는지(예를 들어, 흡수층의 일부가 방수층측에 남는지)를 막론하고, 상기 T자 박리 시험에 의해 얻어지는 측정값을 층간 강도로서 기록한다. 따라서, 층간 강도의 값에는, 방수층과 흡수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 이외에, 흡수층(부분적으로 점착제가 함침한 흡수층일 수 있음)의 내부 파괴 방지성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layer strength of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absorbent layer is, for example, approximately 0.5 N/25 mm or more. This makes it easy to prevent inadvertent separation of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absorbent layer. This is particularly meaningful for cleaning sheets where the cleaning surface is an adhesive surfac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interlayer strength is approximately 1.0 N/25 mm or more (for example, approximately 1.5 N/25 mm or more, furthermore, 2.0 N/25 mm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interlayer strengt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higher it is, the more advantageous it is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absorbent layer from being inadvertently separated. In some embodiments, the interlaminar strength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10 N/25 mm or less. The interlayer strength can be measured by performing a T-shaped peel test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described later. In this method, when the waterproof layer cannot be peeled off from the absorbent layer by hand in preparation for measurement, it can be evaluated as having a sufficiently high interlayer strength for practical use. In addition, in measuring the interlayer strength, the T-shaped peel test is used regardless of whether peeling occur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absorbent layer or is destroyed inside the absorbent layer (for example, whether a part of the absorbent layer remains on the waterproof layer side). The resulting measurements are recorded as interlaminar strength.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bonding strength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absorbent layer, the value of the interlayer strength may also be influenced by the internal destruction prevention property of the absorbent layer (which may be an absorbent layer partially impregnated with an adhesive).

<클리닝 시트><Cleaning sheet>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클리닝 시트의 두께는, 예를 들어 15㎛ 이상이면 되고, 30㎛ 이상이어도 되고, 45㎛ 이상이어도 되고, 60㎛ 이상이어도 되고, 75㎛ 이상이어도 된다. 클리닝 시트의 두께가 커지면, 클리닝면의 제거 대상면에 대한 양호한 밀착성과, 클리닝 시트의 강도(예를 들어 인열 강도)를 적합하게 양립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예를 들어 클리닝 시트를 클리닝 롤의 형태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해당 클리닝 롤의 소형 경량화 또는 해당 클리닝 롤에 포함되는 클리닝 시트의 장척화의 관점에서, 클리닝 시트의 두께는, 예를 들어 250㎛ 이하이면 되고, 200㎛ 이하여도 되고, 150㎛ 이하여도 되고, 130㎛ 이하여도 되고, 120㎛ 이하 또는 110㎛ 이하여도 된다.The thickness of 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set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thickness of the cleaning sheet may be, for example, 15 μm or more, 30 μm or more, 45 μm or more, 60 μm or more, or 75 μm or more. As the thickness of the cleaning sheet increases, it becomes easier to achieve both good adhesion of the cleaning surface to the surface to be removed and the strength (for example, tear strength) of the cleaning sheet.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cleaning sheet is in the form of a cleaning roll,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size and weight of the cleaning roll or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cleaning sheet included in the cleaning roll, the thickness of the cleaning sheet is, for example, 250 It may be ㎛ or less, and may be 200 ㎛ or less, 150 ㎛ or less, 130 ㎛ or less, 120 ㎛ or less, or 110 ㎛ or less.

클리닝 시트의 폭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클리닝 롤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의 작업 효율 등의 관점에서, 클리닝 시트의 폭은, 5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0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cm 이상이어도 되고, 14cm 이상이어도 된다. 클리닝 시트의 폭은, 예를 들어 대략 100cm 이하로 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대략 70cm 이하, 바람직하게는 대략 50cm 이하이고, 대략 40cm 이하여도 되고, 대략 35cm 이하, 나아가 대략 30cm 이하(예를 들어 대략 25cm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클리닝 시트의 폭이 예를 들어 대략 10cm 이상 대략 50cm 이하(바람직하게는 대략 14cm 이상 대략 40cm 이하)인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cleaning shee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rom the viewpoint of work efficiency when used in the form of a cleaning roll, the width of the cleaning sheet is suitably 5 cm or more, preferably 10 cm or more, may be 12 cm or more, and may be 14 cm or more. The width of the cleaning sheet can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100 cm or less, typically approximately 70 cm or less, preferably approximately 50 cm or less, may be approximately 40 cm or less, approximately 35 cm or less, and further approximately 30 cm or less (e.g. Approximately 25 cm or less) may be sufficient.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width of the cleaning sheet is, for example, approximately 10 cm or more and approximately 50 cm or less (preferably approximately 14 cm or more and approximately 40 cm or less).

클리닝 시트의 제1 면에 형성되는 클리닝면의 폭은, 대략 2.5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4.5cm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9.5cm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11cm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13cm 이상이어도 된다. 클리닝면의 폭은, 예를 들어 대략 98cm 이하로 할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의 관점에서 대략 68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48cm 이하여도 되고, 대략 39cm 이하, 대략 34.5cm 이하, 나아가 대략 29.5cm 이하(예를 들어 대략 24.5cm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클리닝면의 폭이 예를 들어 대략 9.5cm 이상 대략 48cm 이하(바람직하게는 대략 13cm 이상 대략 39cm 이하)인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cleaning surfac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is preferably approximately 2.5 cm or more, may be approximately 4.5 cm or more, may be approximately 9.5 cm or more, may be approximately 11 cm or more, or may be approximately 13 cm or more. The width of the cleaning surface can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98 cm or less, preferably approximately 68 c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use, may be approximately 48 cm or less, approximately 39 cm or less, approximately 34.5 cm or less, and further approximately 29.5 cm or less ( For example, it may be approximately 24.5 cm or less).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in a form where the width of the cleaning surface is, for example, approximately 9.5 cm or more and approximately 48 cm or less (preferably approximately 13 cm or more and approximately 39 cm or less).

(인열 강도)(Tearing Strength)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클리닝 시트의 인열 강도는, 예를 들어 대략 1.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클리닝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클리닝 시트를 권회한 클리닝 롤의 외주면의 갱신 시에, 상기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넘김부)를 그 내주의 클리닝 시트로부터 박리할 때의 세로 갈라짐을 방지하기 쉬워져, 외주면의 갱신 작업성이 향상된다. 즉, 머리털이나 실밥 등이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를 넘어 부착된 상태의 클리닝 롤로부터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를 박리하려고 하면, 상기 머리털이나 실밥 등이 걸려서 상기 권회 외주 단부로부터 클리닝 시트가 긴 변 방향(세로 방향)으로 갈라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클리닝 시트의 인열 강도가 소정 이상인 것은, 상기 세로 갈라짐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인열 강도는, 2.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N 이상(예를 들어 4.0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인열 강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후술하는 리드 테이프 등과 같은 보강 수단을 사용함으로써도 상기 세로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earing strength of the cleaning sheet is preferably approximately 1.0 N or more, for example. As a result, for example, when renew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cleaning roll wound with a cleaning sheet whose cleaning surface is an adhesive surface, the wound outer peripheral end portion (turn portion) of the cleaning sheet is peeled from the inner peripheral cleaning sheet. It becomes easier to prevent vertical cracks, and the workability of renew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mproves. That is, when an attempt is made to peel the winding outer peripheral end of a cleaning sheet from a cleaning roll with hair, lint, etc. attached beyond the winding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leaning sheet, the hair, lint, etc. will get caught and the cleaning sheet will be separated from the winding outer peripheral end by the long side. There are cases where it splits directionally (vertically). It is advantageous for the cleaning sheet to have a tear strength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vertical crack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tearing strength is 2.0N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0N or more (for example, 4.0N or more). Tear strength i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vertical cracking can be prevented by using reinforcing means such as a lead tap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점착력)(adhesiveness)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는, 상기 클리닝면이 점착면인 점착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액체의 제거성과 고형 이물의 제거성을 고레벨로 양립시키기 쉽다. 여기서, 클리닝면이 점착면이라는 것은, 해당 클리닝면을 스테인리스강(SUS)판에 압착하여 측정되는 점착력(이하, 「SUS에 대한 점착력」이라고도 함)이 0.05N/25mm 이상인 것을 말한다. 클리닝면이 점착면인 클리닝 시트는, 클리닝면의 제1 영역이 제2 영역보다 돌출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n adhesive sheet where the cleaning surface is an adhesive surfac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easy to achieve both liquid removal and solid foreign matter removal at a high level. Here, the fact that the cleaning surface is an adhesive surface means that the adhesive forc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dhesive force to SUS”) measured by pressing the cleaning surface to a stainless steel (SUS) plate is 0.05 N/25 mm or more. In a cleaning sheet whose cleaning surface is an adhesive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rea of the cleaning surface protrudes or is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area.

상기 SUS에 대한 점착력은, SUS304BA판을 피착체에 사용하여, JIS Z 0237에 규정하는 180도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된다. SUS에 대한 점착력은, 구체적으로는 다음 수순으로 측정된다. 즉, 측정 대상의 클리닝 시트를 폭 25mm, 길이 100 내지 200mm 정도의 띠상으로 커트한 시험편을 준비한다. 상기 시험편의 클리닝면을, 피 착체로서의 SUS304BA판에, 2kg의 롤러를 1왕복시켜서 첩부한다. 이것을 23℃, 50% RH의 환경 하에 30분간 유지한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JIS Z 0237에 준거하여, 23℃, RH50%의 환경 하,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180도 박리 강도(N/25mm)를 측정한다. 측정은 2회 이상(바람직하게는 3회 이상) 행하고, 그것들의 산술 평균값을 점착력의 값으로 한다. 인장 시험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의 「텐실론」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adhesion to the SUS is measured by a 180 degree peel test specified in JIS Z 0237 using a SUS304BA plate as the adherend. Adhesion to SUS is specifically measur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That is, a test piece is prepared by cutting the cleaning sheet to be measured into a strip about 25 mm wide and 100 to 200 mm long. The cleaned surface of the test piece is attached to a SUS304BA board as an adherend by rotating a 2 kg roller once. After keeping this in an environment of 23°C and 50% RH for 30 minutes, peeling was performed at 180 degrees using a tensile tester at a tensile speed of 300 mm/min in an environment of 23°C and 50% RH, based on JIS Z 0237. Measure the strength (N/25mm). Measurements are performed two or more times (preferably three or more times), and their arithmetic average value is taken as the value of adhesive force. The tensile test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tensile tester can be used. For example, it can be measured using “Tensilon” manufactured by Shimadzu Seisakusho.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고형 이물의 포착 성능을 높이는 관점에서, 클리닝면의 SUS에 대한 점착력은, 0.1N/25mm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0.5N/25mm 이상(예를 들어 1.0N/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청소 대상면에의 접착제 잔여물(점착제의 잔류)이나, 청소 대상면의 손상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클리닝면의 SUS에 대한 점착력은, 5.0N/25mm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3.0N/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N/25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1.5N/25mm 이하여도 된다. SUS에 대한 점착력은, 예를 들어 클리닝면의 면적당에 포함되는 점착제의 양이나 점착제 면적률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capturing solid foreign substances, it is appropriate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cleaning surface to the SUS is 0.1 N/25 mm or more, and 0.5 N/25 mm or more (for example, 1.0 N/25 mm or more) It is desirable to be 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adhesive residue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damage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t is appropriate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the SUS is 5.0 N/25 mm or less, and is 3.0 N/25 m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less than 2.0N/25mm,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less than 2.0N/25mm, for example, it may be 1.5N/25mm or less. The adhesive force to SUS can be adjusted, for example, by the amount of adhesive contained per area of the cleaning surface, the adhesive area ratio, etc.

<클리닝 롤><Cleaning Roll>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는, 상기 클리닝면을 외측으로 하여 권회됨으로써 클리닝 롤로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클리닝 롤은, 예를 들어 청소 대상면 상을 전동시키는 양태로 사용되고, 해당 청소 대상면 상의 액체 및 고형 이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사용되는 클리닝 시트는, 상기 전동 시에 있어서의 클리닝 롤의 형상 유지성의 관점에서, 클리닝면이 점착면인 점착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may be configured as a cleaning roll by being wound with the cleaning surface facing outward. This cleaning roll is used, for example, in a manner that rolls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can efficiently remove liquid and soli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cleaning sheet used in this aspect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n adhesive sheet whose cleaning surface is an adhesive surface from the viewpoint of the ability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cleaning roll during rolling.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클리닝 롤의 직경은, 예를 들어 대략 10mm 이상이어도 되고, 통상은 20mm 이상이 적당하고, 30mm 이상이어도 되고, 40mm 이상이어도 되고, 50mm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서 클리닝 롤의 직경이란, 당해 클리닝 롤의 미사용 시(즉, 제품의 사용 개시 전)에 있어서의 직경(외경)을 말한다. 상기 클리닝 롤의 직경은, 예를 들어 대략 200mm 이하여도 되고, 조작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은 대략 150mm 이하가 적당하고, 100mm 이하여도 되고, 대략 80mm 이하여도 되고, 대략 70mm 이하여도 된다.Although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diameter of the cleaning roll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10 mm or more, usually 20 mm or more is appropriate, and may be 30 mm or more, 40 mm or more, or 50 mm or more. Here, the diameter of the cleaning roll refers to the diameter (outer diameter) of the cleaning roll when not in use (that is, before the start of use of the product). The diameter of the cleaning roll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200 m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operability, etc., approximately 150 mm or less is usually appropriate, and may be 100 mm or less, approximately 80 mm or less, or approximately 70 mm or less.

클리닝 롤을 구성하는 클리닝 시트의 내주 직경은, 예를 들어 대략 5mm 이상이어도 되고, 통상은 대략 10mm 이상이 적당하고, 대략 20mm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서, 클리닝 시트의 내주 직경이란, 클리닝 시트의 권회 개시 단부에 있어서의 권회 직경을 말하고, 클리닝 시트가 권취 코어에 감긴 형태의 클리닝 롤에서는 해당 권취 코어의 외경과 대략 일치한다. 상기 클리닝 시트의 내주 직경은, 예를 들어 대략 180mm 이하여도 되고, 대략 130mm 이하여도 되고, 대략 90mm 이하여도 되고, 대략 70mm 이하여도 되고, 대략 60mm 이하여도 된다.The inner peripheral diameter of the cleaning sheet constituting the cleaning roll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5 mm or more, and usually approximately 10 mm or more is appropriate, and may be approximately 20 mm or more. 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cleaning sheet refers to the winding diameter at the winding start end of the cleaning sheet, and in a cleaning roll in which the cleaning sheet is wound around a winding core, it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winding core. The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cleaning sheet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180 mm or less, approximately 130 mm or less, approximately 90 mm or less, approximately 70 mm or less, or approximately 60 mm or less.

클리닝 롤을 구성하는 클리닝 시트에는, 해당 클리닝 롤을 외주측으로부터 보아 시인할 수 있는 모양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모양이란, 도형, 기호, 문자, 이들의 조합, 이것들과 색채와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양은,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와, 그 권회 외주 단부에 인접하는 클리닝 시트 표면 사이에서 부정합이 발생하게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모양의 부정합을 발생시킴으로써,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를 찾기 쉬워진다고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넘김부)를 찾기 쉬운 것은, 예를 들어 클리닝 롤의 최외주에 노출시키는 점착제를 갱신할 때의 작업 효율의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모양의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클리닝 시트의 긴 방향 또는 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선이나 도트일 수 있다. 상기 선은, 직선, 곡선, 꺾은선, 파선 등일 수 있다. 상기 선의 굵기는, 일정해도 되고, 규칙적 또는 불규칙하게 변화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모양의 부정합은, 예를 들어 색채의 차이여도 된다. 또한,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를 찾기 쉽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양의 부정합을 이용하는 방법 외에, 예를 들어 상기 절단부를 따라 클리닝 시트에 모양(예를 들어, 절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착색선)을 부여하는 방법, 절단부의 권회 내주를 향하는 측에 모양을 부여하는 방법, 절단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모양(예를 들어, 절단부측을 정점으로 하여 대향하는 삼각형)을 부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방법을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The cleaning sheet constituting the cleaning roll may be provided with a shape that allows the cleaning roll to be visually recognized when viewe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Here, shape includes shapes, symbols, letters, combinations thereof, and combinations of these with colors. In some embodiments, the shape may be such that misalignment occurs between the wound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leaning sheet and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adjacent to the wound outer peripheral end. By creating misalignment of this shape,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find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winding of the cleaning sheet is achieved. Making it easy to find the end (turning portion) of the winding outer periphery of the cleaning sheet can help improve work efficiency, for example, when renewing the adhesive exposed to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cleaning roll. The form of the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lines or dots that extend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o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ne may be a straight line, curved line, broken line, broken line, etc. The thickness of the line may be constant or may vary regularly or irregularly. Additionally, the mismatch of the above shapes may be, for example, a difference in color. In addition, as a method of making it easier to find the winding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leaning sheet,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using shape mismatch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pattern (e.g., a colored line extending along the cut portion) is applied to the cleaning sheet along the cut portion. ), a method of giving a shape to the side faci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winding of the cut part, a method of giving a shape to both sides with the cut part in between (e.g., opposing triangles with the cut side as the vertex), etc. possibl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se methods may be appropriately combined.

클리닝 시트에는, 클리닝 롤에 있어서 권장되는 전동 방향을 나타내는 표지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권장되는 전동 방향은, 통상, 클리닝 시트 중 클리닝 롤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부분이, 해당 클리닝 시트의 권회 내주 단부측에서 권회 외주 단부를 향하는 순으로 청소 대상면에 접촉하도록 전동하는 방향이다. 상기 표지는, 의도하는 정보를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살표 등의 기호나 지시 마크 등의 도형이어도 되고, 문자여도 되고,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The cleaning sheet may be provided with a sign indicating the recommended rolling direction for the cleaning roll. The recommended rolling direction is generally a direction in which the portion of the cleaning sheet located on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cleaning roll is rolled so that it contacts the surface to be cleaned in the order from the inner end of the winding of the cleaning sheet to the outer end of the winding. The sig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convey the intended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it may be a symbol such as an arrow or a figure such as an instruction mark, or a letter, or a combination thereof.

(되감기력)(Rewind power)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롤의 되감기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대략 2.0N/25mm 이하로 할 수 있다. 클리닝 롤의 외주에 나타나는 클리닝면의 갱신 등을 위하여 클리닝 시트를 의도적으로 인출할 때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상기 되감기력은, 대략 1.5N/25mm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대략 1.0N/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0.7N/25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되감기력은, 예를 들어 대략 0.5N/25mm 이하여도 되고, 대략 0.3N/25mm 이하여도 되고, 대략 0.2N/25mm 이하여도 된다. 또한, 클리닝 롤의 되감기력은, 예를 들어 0.005N/25mm 이상이어도 되고, 레일 당김 억제 등의 관점에서, 대략 0.01N/25mm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대략 0.02N/25mm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0.05N/25mm 이상이어도 된다.The rewinding force of the cleaning roll disclosed he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2.0 N/25 m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workability when intentionally pulling out a cleaning sheet for the purpose of updating the cleaning surface appearing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leaning roll, etc., it is appropriate that the rewinding force is approximately 1.5 N/25 mm or less, and is preferably approximately 1.0 N/25 mm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pproximately 0.7N/25mm or less. In some embodiments, the rewinding force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0.5 N/25 mm or less, approximately 0.3 N/25 mm or less, or approximately 0.2 N/25 mm or less. In addition, the rewinding force of the cleaning roll may be, for example, 0.005 N/25 mm or more, and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rail pulling, etc., it is appropriate to be approximately 0.01 N/25 mm or more, and may be approximately 0.02 N/25 mm or more, or approximately 0.05 N. It can be more than /25mm.

클리닝 롤의 되감기력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즉, 23℃, 50% RH의 환경 하에서, 측정 대상의 클리닝 롤을 인장 시험기에 세트하고,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를 인장 시험기의 척에 장착해서 300mm/분의 속도(되감기 속도)로 인장함으로써, 상기 클리닝 롤을 접선 방향으로 되감는다. 이때 관측되는 인장 강도를 클리닝면의 폭 25mm당의 값으로 환산함으로써, 되감기력[N/25mm]을 구할 수 있다.The rewinding force of the cleaning roll is measured as follows. That is, in an environment of 23°C and 50% RH, the cleaning roll to be measured is set in the tensile tester, and the wound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leaning sheet is attached to the chuck of the tensile tester and pulled at a speed of 300 mm/min (rewind speed). , rewind the cleaning roll in the tangent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rewinding force [N/25mm] can be obtained by converting the observed tensile strength into a value per 25mm width of the cleaning surface.

(레일 당김 방지부)(Rail pulling prevention part)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클리닝 롤을 구성하는 클리닝 시트에는, 해당 클리닝 시트의 클리닝면의 점착성이 부분적으로 억제된 레일 당김 방지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레일 당김이란, 청소 대상면 상에서 클리닝 롤을 전송시킬 때, 클리닝 시트와 청소 대상면 사이의 점착력에 되감기력이 져버려, 클리닝 시트가 청소 대상면에 첩부되어서 롤이 풀려버리는 현상을 말한다. 상기 레일 당김 방지부는,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 근방의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로부터 클리닝 롤의 외주를 따라서 1/4주(바람직하게는 1/6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1/8주)의 범위 내에 레일 당김 방지부를 배치할 수 있다. 클리닝 롤의 레일 당김 현상은,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발생한다. 그래서, 이 권회 외주 단부 부근에 있어서 클리닝 시트의 점착성을 억제함으로써, 청소 대상면에 대한 점착력과 클리닝 시트의 배면에 대한 점착력(되감기력에 관련할 수 있음)의 관계를 국소적으로 조절하고, 레일 당김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클리닝 롤을 구성하는 클리닝 시트에 절단 예정 개소(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절단부(14))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레일 당김 방지부는, 각 절단 예정 개소(즉, 해당 절단 예정 개소에서 클리닝 시트를 절단함으로써 권회 외주 단부가 될 수 있는 개소)로부터 클리닝 롤의 외주를 따라서 1/4주의 범위 내에 배치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leaning sheet constituting the cleaning roll may be provided with a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in which the adhesiveness of the cleaning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is partially suppressed. The rail pulling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when a cleaning roll is transferred on a surface to be cleaned, the rewinding force is lost to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cleaning sheet and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 cleaning sheet is stuck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causing the roll to unwind. It is effective to arrange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in an area near the end of the winding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eaning sheet. In one aspect,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can be disposed within a range of 1/4 circumference (preferably 1/6 circumference, more preferably 1/8 circumferenc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eaning roll from the end of the winding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eaning sheet. there is. The rail pulling phenomenon of the cleaning roll occurs starting from the end of the winding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eaning sheet. Therefore, by suppressing the adhesiveness of the cleaning sheet in the vicinity of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is w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hesive force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 adhesive force to the back of the cleaning sheet (which may be related to the rewinding force) is locally adjusted, and the rail The occurrence of pulling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When the cleaning sheet constituting the cleaning roll is set to be cut at a location to be cut (e.g., the cut portion 14 shown in FIG. 1),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is cleaned at each scheduled to be cut location (i.e., the cut portion 14 shown in FIG. 1). By cutting the sheet, it can be placed within a range of 1/4 circumferenc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leaning roll from the point that can become th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ing.

레일 당김 방지부는, 클리닝 시트의 긴 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전형적으로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의 레일 당김 방지부에 의하면, 고형 이물의 포착 성능이나 흡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레일 당김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를 따라, 해당 클리닝 시트의 권회 내주를 향하는 측의 위치에 레일 당김 방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레일 당김 방지부는, 권회 외주 단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전체 길이 중 일부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typically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 to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of this shape, the rail pulling phenomen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while suppressing a decrease in the capturing performance or absorption performance of solid foreign substances. In one aspect, a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can be formed along an end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ing of the cleaning sheet at a position on the side faci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winding of the cleaning sheet.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may be provid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winding, or may be provided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along a portion of the entire length.

레일 당김 방지부의 구성은, 클리닝면의 점착력을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형태의 클리닝 롤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에 접하여 그 권회 내주를 향하는 측의 점착면(11)에, 비점착성 또는 저점착성의 외면을 갖는 시트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된 리드 테이프(18)를 첩부함으로써, 레일 당김 방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절단부에 접하여 그 권회 내주를 향하는 측의 점착면에도 마찬가지의 리드 테이프(18)가 배치되어 있다. 리드 테이프(18)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종 수지 필름, 종이, 천, 고무 시트, 발포체 시트, 금속박, 이들의 복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리드 테이프(18)의 형상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띠상으로 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클리닝 시트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면 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partially suppress the adhesive force on the cleaning surface. For example, in the cleaning roll of the type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5, the adhesive surface 11 on the side that contacts th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ing of the cleaning sheet and face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winding is non-adhesive or low-adhesive. A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can be formed by attaching the lead tape 18 made of a sheet-like member having an outer surface of . In this embodiment, a similar lead tape 18 is disposed on the adhesive surface on the side faci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winding in contact with each cut portion. The lead tape 1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various resin films, paper, cloth, rubber sheets, foam sheets, metal foils, and composites thereof can be used. The shape of the lead tape 18 can be, for example, a strip as shown in FIG. 5,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ny shape that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이러한 리드 테이프를 배치함으로써, 레일 당김의 방지에 추가하여, 클리닝 롤의 외주면(점착면)의 갱신 시에 클리닝 시트가 권회 외주 단부로부터 긴 변 방향으로 갈라지는 사태(세로 갈라짐)를 방지할 수 있다.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및 클리닝 시트를 절단부로부터 절단함으로써 권회 외주 단부가 될 수 있는 개소)의, 권회 내주를 향하는 측의 위치에 리드 테이프를 배치함으로써, 해당 권회 외주 단부를 리드 테이프로 보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머리털이나 실밥 등이 부착된 상태의 클리닝 롤로부터도 클리닝 시트를 박리하기 쉬워지고, 클리닝 롤의 외주면(점착면)의 갱신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 양태에 있어서, 클리닝 시트보다도 강도(인장 강도, 인열 강도 등)이 높은 리드 테이프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ET나 PP 등의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리드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리드 테이프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은, 먼지가 부착되기 어렵도록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클리닝 시트와는 다른 색으로 착색된 리드 테이프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 또는 절단부의 위치를 판별하기 쉽게 할 수 있다.By arranging such a lead tape, in addition to preventing rail pull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eaning sheet from splitting (vertically splitting) in the long side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winding outer circumference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hesive surface) of the cleaning roll is renewed. By arranging the lead tape at a position on the side fac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winding of the winding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leaning sheet (and the location that can become the winding outer peripheral end by cutting the cleaning sheet from the cut portion),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winding can be reinforced with the lead tape. You can. This makes it easier to peel the cleaning sheet from the cleaning roll to which hair, lint, etc. are attached, and the workability of upda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dhesive surface) of the cleaning roll is improved. From this viewpoint, in one aspect, a lead tape with higher strength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etc.) than the cleaning sheet can be preferably used. For example, a lead tape made of a resin film such as PET or PP can be used. The resin film constituting the lead tape may contain an antistatic agent to make it difficult for dust to adhere. In one aspect, a lead tape color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cleaning sheet can be preferably us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wound outer peripheral end or cut portion of the cleaning sheet.

레일 당김 방지부의 폭은, 예를 들어 1mm 이상으로 할 수 있고, 통상은 2mm 이상(예를 들어 3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레일 당김 방지부의 폭을 크게 함으로써, 레일 당김 방지 성능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레일 당김 방지부의 폭은, 예를 들어 50mm 이하로 할 수 있다. 점착 성능의 유지나 권취 풀림 방지의 관점에서, 통상은 레일 당김 방지부의 폭을 30mm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5mm 이하(예를 들어 1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일 당김 방지부는, 절단 예정 개소로부터 권회 내주를 향하는 측의 위치에 추가하여, 절단 예정 개소로부터 권회 외주를 향하는 측(권회 외주 단부측)의 위치에도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절단 예정 개소를 넘어서 해당 절단 예정 개소를 따라 연장되도록 레일 당김 방지부를 마련해도 된다.The width of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can be, for example, 1 mm or more, and is usually appropriate to be 2 mm or more (for example, 3 mm or more). B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erformance tends to improve. The width of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can be, for example, 50 m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maintaining adhesion performance and preventing unwinding, it is generally appropriate to set the width of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to 30 mm or less, and preferably 15 mm or less (for example, 10 mm or less). Additionally,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on the side fac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ing from the planned cutting point (end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ing) in addition to the position on the side faci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winding from the planned cutting point. For example, the rail pulling prevention portion may be provided to extend beyond the intended cutting location and along the corresponding cutting location.

<점착제의 예시><Examples of adhesive>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에 사용되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고무계 점착제란, 베이스 폴리머로서 고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말한다. 다른 점착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란, 폴리머 성분 중의 주성분(가장 배합 비율이 높은 성분)을 가리킨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에 포함되는 폴리머 성분에 차지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비율은, 고형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는 대략 50중량% 이상이고, 통상은 대략 70중량% 이상이 적당하고, 대략 90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베이스 폴리머의 비율은, 상한이 100중량%이고, 예를 들어 대략 99중량% 이하여도 된다.The adhesive used in 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the adhesive, for example, an acrylic adhesive, a rubber adhesive, a polyester adhesive, a urethane adhesive, a polyether adhesive, a silicone adhesive, etc. can be used. Here, the rubber-based adhesive refers to an adhesive that contains a rubber-based polymer as a base polymer. The same goes for other adhesive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base polymer refers to the main component (the component with the highest mixing ratio) among the polymer components. The proportion of the base polymer in the polymer compon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disclosed herein is typically approximately 50% by weight or more, usually approximately 70% by weight or more, and may be approximately 90% by weight or more, based on solid content. . The upper limit of the proportion of the base polymer is 100% by weight, for example, it may be approximately 99% by weight or less.

점착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열 용융 상태에서 도공되는 핫 멜트형,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 성분이 수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분산형(전형적으로는 에멀션형), 점착 성분이 유기 용제에 용해되어 있는 용제형 등의, 다양한 타입의 점착제일 수 있다. 생산성이나 환경 부하 경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점착제로서, 핫 멜트형 점착제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핫 멜트형 점착제가 바람직하다.The form of the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hot melt type applied in a heated and melted state, an active energy ray curing type cured by an active energy ray, and an aqueous dispersion type in which the adhesive component is dispersed in water (typically an emulsion type). ), and solvent-based adhesives in which the adhesive component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Preferred adhesives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load reduction include hot melt adhesives and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s. Among them, hot melt type adhesives are preferable.

기재의 흡수층 상에 점착제를 부분적으로 배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기재에 점착제를 직접 도공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직접법), 적절한 박리면 상에 형성한 점착제층을 기재에 전사하는 방법(전사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의 도공에는, 다이 코터나 그라비아 코터 등의, 종래 공지된 도공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형성에 핫 멜트형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핫 멜트형 점착제는, 유기 용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가열 용융액의 형태로 도공될 수 있다.The method of partially disposing the adhesive on the absorbent layer of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method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by directly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substrate (direct method), or applying the adhesive layer formed on an appropriate peeling surface to the substrate. A transcription method (transcription method) can be used. For coating the adhesive, conventionally known coating means such as a die coater or a gravure coater can be used. When a hot melt adhesive is used to form the adhesive layer, the hot melt adhesive can be applied in the form of a heated melt that substantially does not contain an organic solvent.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성능이나 비용의 관점에서, 상기 점착제로서 고무계 점착제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와 아크릴계 점착제를 혼합(블렌드) 또는 적층에 의해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하,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에 사용될 수 있는 고무계 점착제 및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의도는 아니다.In some embodiments, from the viewpoint of adhesive performance and cost, a rubber-based adhesive or an acrylic adhesive can be preferably used as the adhesive. A rubber-based adhesive and an acrylic adhesive may be used in combination by mixing (blending) or lamination. Hereinafter, the rubber-based adhesive and acrylic adhesive that can be used in 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u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고무계 점착제)(Rubber adhesive)

고무계 점착제의 예로서는, 천연 고무나 그 변성물 등의 천연 고무계 중합체,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결정성 폴리올레핀-에틸렌/부틸렌-결정성 폴리올레핀 블록 공중합체(CEBC)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결정성 폴리올레핀 블록 공중합체(SEBC) 등의 고무계 폴리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의 일 적합예로서, SIS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SIS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rubber-based adhesives include natural rubber-based polymers such as natural rubber and its modified products, isoprene rubber, chloroprene rubber, 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SIS),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SBS), and styrene-ethylene. / Rubber systems such as 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 (SEBS), crystalline polyolefin-ethylene/butylene-crystalline polyolefin block copolymer (CEBC), and styrene-ethylene/butylene-crystalline polyolefin block copolymer (SEBC) An adhesive containing one or two or more types of polymers as a base polymer can be mentioned. A suitable example of a rubber-based adhesive is an adhesive that uses SIS as a base polymer (SIS-based adhesive).

고무계 점착제(예를 들어, SIS계 점착제)는, 베이스 폴리머로서의 고무계 폴리머 외에, 예를 들어 점착 부여 수지(태키파이어) 및 프로세스 오일을 주요한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각 성분의 종류나 배합비는, 클리닝면에 있어서 원하는 고형 이물 포착 성능이 얻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A rubber-based adhesive (for example, an SIS-based adhesive) may contain, for example, a tackifying resin (tackifier) and process oil as main components in addition to a rubber-based polymer as a base polymer. The type and mixing ratio of each component can be set so that the desired solid foreign matter capturing performance is obtained on the cleaning surface.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일반적인 로진계, 테르펜계, 탄화수소계, 에폭시계,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계, 페놀계, 케톤계 등의 각종 점착 부여 수지를,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대략 40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70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100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량은, 저온 특성의 저하를 피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대략 25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대략 20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16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대략 14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대략 120중량부 이하여도 된다.As tackifying resins, various tackifying resins such as general rosin-based, terpene-based, hydrocarbon-based, epoxy-based, polyamide-based, elastomer-based, phenol-based, ketone-based, etc. can be used alone or in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You can use it.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blending amount of the tackifying resin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40 parts by weight or more, approximately 70 parts by weight or more, or approximately 100 parts by weight or more. 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tackifying resin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is suitably, for example, approximately 250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approximately 200 parts by weight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deterioration of low-temperature properties. It may be approximately 160 parts by weight or less, approximately 14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approximately 120 parts by weight or less.

프로세스 오일로서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파라핀계, 나프텐계, 방향족계 등의 프로세스 오일을,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프로세스 오일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대략 30중량부 이상, 대략 50중량부 이상 또는 대략 70중량부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프로세스 오일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대략 200중량부 이하로 할 수 있고, 청소 대상면의 오염 방지 등의 관점에서 대략 15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12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대략 10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대략 80중량부 이하여도 된다.As the process oil, for example, general paraffin-based, naphthenic-based, aromatic-based process oil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blending amount of the process oil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can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30 parts by weight or more, approximately 50 parts by weight or more, or approximately 70 parts by weight or more. In addition, the amount of process oil mix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can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20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etc., it is preferably approximately 150 parts by weight or less. It may be 120 parts by weight or less, approximately 10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approximately 80 parts by weight or less.

고무계 점착제(예를 들어, SIS계 점착제)에는, 또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의 종류나 배합량은, 일반적인 점착제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종류 및 배합량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Rubber-based adhesives (for example, SIS-based adhesives) may further contain various additives such as anti-aging agents,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light stabilizers, antistatic agents, and colorants (pigments, dyes, etc.). The types and mixing amounts of these additives can be similar to the usual types and mixing amounts in the general adhesive field.

(아크릴계 점착제)(Acrylic adhesive)

아크릴계 점착제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이다. 여기서 아크릴계 폴리머란, 해당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총량 중 50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예를 들어 90중량% 이상)이 1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이하, 이것을 「아크릴계 모노머」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인 폴리머를 가리킨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An acrylic adhesive is an adhesive that contains an acrylic polymer as a base polymer. Here, the acrylic polymer means that 50% by weight or more (preferably 70% by weight or more, for example 90% by weight or more) of the total amount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olymer contains at least one (meth)acryloyl group per molecule. It refers to a polymer that is a monomer (hereinaf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crylic monomer”).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oyl group is meant to comprehensively refer to acryloyl group and methacryloyl group. Likewise,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ate is meant to comprehensively refer to acrylates and methacrylates.

아크릴계 폴리머는, 해당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이 2종 이상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나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이어도 된다. 제조 용이성이나 점착 특성의 조정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아크릴계 폴리머로서, 랜덤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crylic polymer may be a random copolymer, a block copolymer, a graft copolymer, etc., i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contains two or more types of monomers. Preferred acrylic polymers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production and ease of adjustment of adhesive properties include random copolymers and block copolymers. Acrylic polym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바람직한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주모노머로서 포함하는 모노머 원료로 합성된 아크릴계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쇄상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즉 C1-20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의 저장 탄성률 등의 관점에서, C1-12(예를 들어 C2-10, 전형적으로는 C4-8)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부틸아크릴레이트(BA)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의 한쪽 또는 양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crylic polymer includes an acrylic random copolymer synthesized from a monomer raw material containing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as a main monomer. As the alkyl (meth)acrylate,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 chain alkyl group of 1 to 20 carbon atoms at the ester terminal, that is, C 1-20 alkyl (meth)acrylate, can b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etc., C 1-12 (for example, C 2-10 , typically C 4-8 ) alkyl (meth)acrylate is preferr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Preferred alkyl (meth)acrylates include n-bu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isooctyl (meth)acrylate, isononyl (meth)acrylate, and lauryl (meth)acrylate. Rates, etc. can be mentione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one or both of n-butylacrylate (BA) and 2-ethylhexyl acrylate (2EHA).

아크릴계 랜덤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에 차지하는 주모노머의 비율은, 대략 6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80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대략 90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체 모노머 성분에 차지하는 주모노머의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의 특성(점착력, 응집력 등)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통상은 대략 99중량% 이하(예를 들어 대략 98중량% 이하, 전형적으로는 대략 9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랜덤 공중합체는, 실질적으로 주모노머만을 중합한 것이어도 된다.The proportion of the main monomer in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random copolymer is preferably approximately 60%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approximately 80% by weight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approximately 90% by weight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proportion of the main monomer in the total monomer compon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facilitating adjustment of the properties of the adhesive (adhesion, cohesion, etc.), it is usually approximately 99% by weight or less (e.g., approximately 98% by weight). Hereinafter, it is preferably approximately 95% by weight or less). The acrylic random copolymer may be obtained by substantially polymerizing only the main monomer.

상기 모노머 원료는, 점착제의 특성 조절 등을 목적으로 하여, 주모노머에 추가하여, 해당 주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부모노머를 더 포함해도 된다. 그러한 부모노머의 적합예로서,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이하, 관능기 함유 모노머라고도 함)를 들 수 있다.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예로서는,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알콕시기 함유 모노머,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에 가교점을 도입하기 쉽고 또한 가교 밀도를 조절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한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관능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합성하기 위한 전체 모노머 성분 중, 예를 들어 대략 1 내지 10중량%이면 되고, 대략 2 내지 8중량%여도 되고, 대략 3 내지 7중량%여도 된다.The monomer raw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in addition to the main monomer, a parent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main monomer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properties of the adhesive. A suitable example of such a parentomer is a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Examples of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includ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acid anhydride group-containing monomers,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s,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s, epoxy group-containing monomers, alkoxy group-containing monomers, and 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s.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Preferred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includ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because it is easy to introduce a crosslinking point into the acrylic polymer and easy to control the crosslinking density;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2-hydroxyethyl acrylate and 4-hydroxybutyl acrylate; etc. can be mentioned. The amount of th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for example,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used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1 to 10% by weight, approximately 2 to 8% by weight, or approximately 3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for synthesizing the acrylic polymer. It may be 7% by weight.

상기 모노머 원료는, 부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의 응집력을 높이는 등의 목적으로, 상기 관능기 함유 모노머 이외의 모노머를 포함해도 된다. 그러한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계 모노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시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관능기 함유 모노머 이외의 부모노머의 양은,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를 합성하기 위한 전체 모노머 성분 중, 대략 20중량% 이하(예를 들어 2 내지 20중량% 정도, 전형적으로는 3 내지 10중량%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nomer raw material may contain monomers other than th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as parent monomers, for example,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cohesion of the acrylic polymer. Examples of such monomers include vinyl ester monomers such as vinyl acetate and vinyl propionate; Aromatic vinyl compounds such as styrene, α-methylstyrene, and vinyl toluene; Cycloalkyl (meth)acrylates such as cyclohexyl (meth)acrylate and isobornyl (meth)acrylate; etc. can be mention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The amount of parentomers other than th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it is approximately 20% by weight or less (e.g., 2 to 20%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for synthesizing an acrylic polymer. It is preferable to set it to about % by weight, typically about 3 to 10% by weight.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폴리머(전형적으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를 베이스 폴리머로서 포함하는 점착제는, 핫 멜트 형식에서의 도공에 적합한 것이 될 수 있다. 점착제층의 형성에 핫 멜트형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은, 생산성이나 환경 부하 경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용융 점도 저감 등의 관점에서, 별형 구조나 분기 구조에 비하여, 직쇄 구조의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가 유리하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the acrylic polymer includes an acrylic block copolymer. The acrylic block copolymer may exhibit the properties of a thermoplastic polymer (typically a thermoplastic elastomer). An adhesive containing such an acrylic block copolymer as a base polymer can be suitable for coating in a hot melt format. It is preferable to use a hot melt type adhesive to form the adhesive layer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load reduction.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melt viscosity, etc., acrylic block copolymers with a straight-chain structure are more advantageous than those with a star-shaped structure or branched structure.

상기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 블록(이하, Ac 블록이라고도 함)과, 적어도 하나의 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이하, MAc 블록이라고도 함)을 1분자 중에 구비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Ac 블록은, 해당 Ac 블록을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단위 중 대략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75중량% 이상이 알킬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되는 모노머 단위이다. 상기 MAc 블록은, 해당 MAc 블록을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단위 중 대략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75중량% 이상이 알킬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되는 모노머 단위이다.The acrylic block copolymer preferably includes, for example, at least one acrylate block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c block) and at least one methacrylate block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MAc block) in one molecule. can be hired. The Ac block is a monomer unit in which approximately 50% by weight or more, preferably approximately 75% by weight or more, of the total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Ac block is derived from alkyl acrylate. The MAc block is a monomer unit in which approximately 50% by weight or more, preferably approximately 75% by weight or more, of the total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MAc block is derived from alkyl methacrylate.

Ac 블록을 구성하는 알킬아크릴레이트의 예로서는, C1-20 알킬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구성 모노머 단위로서 C4-14 알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Ac 블록이 바람직하고, C4-9 알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Ac 블록이 보다 바람직하다. C4-9 알킬아크릴레이트의 적합예로서, BA, 2EHA, n-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OA), n-노닐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INA)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BA 및 2EHA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Ac 블록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alkyl acrylate constituting the Ac block include C 1-20 alkyl acrylate. Ac blocks containing C 4-14 alkyl acrylates as constituent monomer units are preferred, and Ac blocks containing C 4-9 alkyl acrylates are more preferred. As suitable examples of C 4-9 alkyl acrylate, BA, 2EHA, n-hexyl acrylate, n-octylacrylate, isooctyl acrylate (IOA), n-nonyl acrylate and isononyl acrylate (INA). I can hear it. For example, an Ac block containing at least one of BA and 2EHA is preferr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있어서, Ac 블록을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 중 C4-14 알킬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예를 들어 50중량% 이상이고, 7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실질적으로 100중량%(예를 들어, 99중량%를 초과하고 100중량% 이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Ac 블록을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가 실질적으로 BA 단독인 구성, 2EHA 단독인 구성, BA 및 2EHA의 2종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Ac 블록을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가 BA와 2EHA의 양쪽을 포함하는 양태에 있어서, BA와 2EHA의 중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BA/2EHA의 중량비는, 예를 들어 10/90 내지 90/10, 바람직하게는 80/20 내지 2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70/30이고, 60/40 내지 40/60이어도 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oportion of C 4-14 alkyl acrylate in the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 Ac block is, for example, 50% by weight or more, may be 75% by weight or more, or is substantially 100% by weight (e.g. , may exceed 99% by weight and be 100% by weight or less). For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Ac block is essentially BA alon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nomer unit is essentially 2EHA alone, o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Ac block consists of two types of BA and 2EHA can be preferably adopted.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Ac block contains both BA and 2EHA, the weight ratio of BA and 2EH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weight ratio of BA/2EHA is, for example, 10/90 to 90/10, preferably 80/20 to 20/80, more preferably 30/70 to 70/30, and may also be 60/40 to 40/60. do.

MAc 블록을 구성하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로서는, C1-20(바람직하게는 C1-14)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MAc 블록을 구성하는 모노머 중 C1-4(바람직하게는 C1-3) 알킬메타크릴레이트의 비율은, 예를 들어 대략 5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7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실질적으로 100중량%(예를 들어, 99중량%를 초과하고 100중량% 이하)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알킬메타크릴레이트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및 에틸메타크릴레이트(EMA)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노머 단위가 실질적으로 MMA 단독인 구성, EMA 단독인 구성, MMA 및 EMA의 2종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alkyl methacrylate constituting the MAc block include C 1-20 (preferably C 1-14 ) alkyl methacrylate. The proportion of C 1-4 (preferably C 1-3 ) alkyl methacrylate among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MAc block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50% by weight or more, approximately 75% by weight or more, and may be substantially 100% by weight. It may be % by weight (for example, more than 99% by weight and less than or equal to 100% by weight). Among these, preferred alkyl methacrylates include methyl methacrylate (MMA) and ethyl methacrylate (EMA). For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nomer unit is essentially MMA alon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nomer unit is substantially only EMA, o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nomer unit consists of two types of MMA and EMA can be preferably adopted.

일 양태에 있어서, C6-12 알킬아크릴레이트와 C2-5 알킬아크릴레이트를 20/80 내지 80/20(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70/3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60/40, 예를 들어 45/55 내지 55/4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 Ac 블록을 갖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는, 저온 성능과 응집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EHA와 BA를 상기 중량비로 포함하는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 Ac 블록을 갖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c 블록이 2EHA 및 BA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one embodiment, the ratio of C 6-12 alkyl acrylate and C 2-5 alkyl acrylate is 20/80 to 80/20 (more preferably 30/70 to 70/30, more preferably 40/60 to 60). An acrylic block copolymer having an Ac block composed of monomer units containing a weight ratio of /40, for example, 45/55 to 55/45, may be used. Such an acrylic block copolymer can have an excellent balance between low-temperature performance and cohesiveness. For example, an acrylic block copolymer having an Ac block composed of monomer units containing 2EHA and BA in the above weight ratio can be preferably used. The Ac block may be composed of only 2EHA and BA.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Ac 블록/MAc 블록의 중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4/96 내지 90/10이면 되고, 7/93 내지 70/30이어도 되고, 10/90 내지 50/50이어도 되고, 15/85 내지 40/60이어도 되고, 15/85 내지 25/75이어도 된다. 2 이상의 MAc 블록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에서는, 그것들의 MAc 블록의 합계 중량과 Ac 블록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이상의 Ac 블록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The weight ratio of Ac block/MAc block in the acrylic block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4/96 to 90/10, 7/93 to 70/30, or 10/90 to 50/ It may be 50, 15/85 to 40/60, or 15/85 to 25/75. In an acrylic block copolymer containing two or more MAc blocks, the total weight of the MAc blocks and the weight ratio of the Ac blocks are preferably within the above range. The same applies to acrylic block copolymers containing two or more Ac blocks.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에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모노머(그 밖의 모노머)가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그 밖의 모노머로서는, 알콕시기나 에폭시기, 수산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시아노기, 카르복시기, 산 무수물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비닐 화합물,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N-비닐피롤리돈 등의 비닐기 함유 복소환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모노머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의 대략 20중량% 이하여도 되고, 대략 10중량% 이하여도 되고, 대략 5중량% 이하여도 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가 상기 그 밖의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그 밖의 모노머의 함유량이 전체 모노머 성분의 1중량% 미만(전형적으로는 0 내지 0.5중량%) 또는 검출 한계 이하인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Monomers other than alkyl (meth)acrylate (other monomers) may be copolymerized in the acrylic block copolymer. Examples of the other monomers include vinyl compounds having functional groups such as alkoxy groups, epoxy groups, hydroxyl groups, amino groups, amide groups, cyano groups, carboxyl groups, and acid anhydride groups,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aromatic vinyl compounds such as styrene, and N- Examples include vinyl group-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such as vinylpyrrolidone. The content of the other monomers may be approximately 20% by weight or less, approximately 10% by weight or less, or approximately 5%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block copolymer.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crylic block copolymer contains substantially no other monomers. For example, an acrylic block copolymer in which the content of the above-mentioned other monomers is less than 1%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component (typically 0 to 0.5% by weight) or below the detection limit is preferable.

이러한 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는, 공지된 방법(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3414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323072호 공보를 참조)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고, 혹은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상기 시판품의 예로서는, 쿠라레사제의 상품명 「크라리티」 시리즈(예를 들어, LA2140e, LA2250 등의 품번의 것), 가네카사제의 상품명 「NABSTAR」 등을 들 수 있다.These acrylic block copolymers can be easily synthesized by known methods (for example,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34146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323072), or ar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can be easily obtained. Examples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the “Clarity” series manufactured by Kuraray Corporation (for example, those with product numbers LA2140e, LA2250, etc.) and the “NABSTAR” manufactured by Kaneka Corporation.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로서는, 일반적인 로진계, 테르펜계, 탄화수소계, 에폭시계,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계, 페놀계, 케톤계 등의 각종 점착 부여 수지를,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대략 1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10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저온 특성의 저하를 피하는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제의 사용량은, 통상, 대략 50중량부 이하가 적당하고, 대략 3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대략 2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대략 10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점착제가 점착 부여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아도 된다.The acrylic adhesive may contain a tackifier as needed. As the tackifier, various tackifier resins such as general rosin-based, terpene-based, hydrocarbon-based, epoxy-based, polyamide-based, elastomer-based, phenol-based, ketone-based, etc.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as appropriate. Can be used in combination. The blending amount of the tackifying resin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1 part by weight or more, approximately 5 parts by weight or more, or approximately 10 parts by weight or mor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deterioration of low-temperature properties, the appropriate amount of tackifier to be used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is usually approximately 50 parts by weight or less, may be approximately 3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may be approximately 20 parts by weight or less. It may be approximate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The adhesive need not contain substantially a tackifier.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가소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가소제는, 점착력의 억제, 용융 점도의 저하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소제의 예로서는, 프탈산디옥틸, 프탈산디이소노닐, 프탈산디이소데실, 프탈산디부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디이소노닐 등의 아디프산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트리옥틸 등의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세바스산에스테르;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아마인유 등의 에폭시화 식물유; 에폭시화 지방산옥틸에스테르 등의 에폭시화 지방산알킬에스테르;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그것들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환상 지방산에스테르 및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오일 등의 연화제도 가소제에 포함된다. 가소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소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략 1중량부 이상, 대략 5중량부 이상, 대략 7중량부 이상 또는 대략 10중량부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소 대상면의 오염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사용량은, 대략 10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대략 5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대략 30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대략 10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점착제가 가소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아도 된다.The acrylic adhesive may contain a plasticizer as needed. Plasticizers can be helpful in suppressing adhesion and lowering melt viscosity. Examples of plasticizers include phthalic acid esters such as dioctyl phthalate, diisononyl phthalate, diisodecyl phthalate, and dibutyl phthalate; Adipic acid esters such as dioctyl adipate and diisononyl adipate; trimellitic acid esters such as trioctyl trimellitic acid; Sebacic acid ester; Epoxidized vegetable oils such as epoxidized soybean oil and epoxidized linseed oil; Epoxidized fatty acid alkyl esters such as epoxidized fatty acid octyl ester; Cyclic fatty acid esters and derivatives thereof such as sorbitan monolaurate, sorbitan monostearate, sorbitan monooleate, sorbitan trioleate, and ethylene oxide adducts thereof; etc. can be mentioned. Additionally, softeners such as process oils are also included in plasticizers. Plasticiz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The amount of plasticizer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1 part by weight or more, approximately 5 parts by weight or more, approximately 7 parts by weight or more, or approximately 10 parts by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Additionally,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it is appropriate that the amount of plasticizer used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is approximately 100 parts by weight or less, may be approximately 5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may be approximately 30 parts by weight or less. It may be approximate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The adhesive need not contain substantially any plasticizer.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 이외의 점착제(예를 들어, 고무계 점착제)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가소제를 적량 함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ven in adhesives other than acrylic adhesives (for example, rubber-based adhesives), the above-mentioned plasticizer can be contained in an appropriate amount as needed.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또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의 첨가제의 종류나 배합량은, 일반적인 점착제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종류 및 배합량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The acrylic adhesive may further contain various additives such as anti-aging agents,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light stabilizers, antistatic agents, and colorants (pigments, dyes, etc.). The types and mixing amounts of these additives can be similar to the usual types and mixing amounts in the general adhesive field.

<용도><Use>

여기에 개시되는 클리닝 시트는, 각종 청소 대상면의 청소(클리닝)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 대상면 상에 존재할 수 있는 액체 및 고형 이물을 모두 적확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특장을 살려, 세면소, 탈의소, 조립식 욕실, 화장실, 부엌 등에 있어서, 바닥면이나 벽면 등의 청소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cleaning sheet disclosed herein can be applied to cleaning various surfaces to be cleaned. For example, taking advantage of the ability to accurately remove all liquid and solid foreign substances that may exi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cleaning floors and walls in washrooms, changing rooms, prefabricated bathrooms, toilets, kitchens, etc. It can be preferably used.

이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사항에는, 이하의 것이 포함된다.Matters disclosed by this specification include the following.

〔1〕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클리닝 시트이며,[1] A cleaning sheet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적어도 전방면에 흡수층을 갖는 기재와, 해당 흡수층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점착제를 구비하고,A substrate having an absorbent layer at least on the front surface, and an adhesive partially disposed on the absorbent layer,

상기 제1 면은, 상기 점착제가 노출되는 제1 영역과, 상기 흡수층이 노출되는 제2 영역을 갖는 클리닝면을 포함하고,The first surface includes a cleaning surface having a first area where the adhesive is exposed and a second area where the absorbent layer is exposed,

흡수량이 0.5g/d㎡ 이상인, 클리닝 시트.A cleaning sheet with an absorption amount of 0.5 g/d㎡ or more.

〔2〕 상기 클리닝면이 점착면인 점착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2]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1], wherein the cleaning surface is configured as an adhesive sheet where the adhesive surface is an adhesive surface.

〔3〕 상기 기재는, 상기 흡수층의 배면측에 배치된 방수층을 더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3]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base material further includes a waterproof layer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absorbent layer.

〔4〕 상기 방수층은, 적어도 배면측이 폴리올레핀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상기 〔3〕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4]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3], wherein the waterproof layer is made of polyolefin resin at least on the back side.

〔5〕 상기 기재의 배면이 방수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5]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3] or [4] above, wherein the back of the base material is comprised of a waterproof layer.

〔6〕 상기 방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층간 강도가 0.5N/25mm 이상인, 상기 〔3〕 내지 〔5〕의 어느 것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6]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f [3] to [5] above, wherein the interlayer strength of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absorbent layer is 0.5 N/25 mm or more.

〔7〕 인열 강도가 1.0N 이상인, 상기 〔1〕 내지 〔6〕의 어느 것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7]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f [1] to [6] above, wherein the cleaning sheet has a tear strength of 1.0 N or more.

〔8〕 상기 클리닝 시트는, 해당 클리닝 시트의 긴 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부를 갖는, 상기 〔1〕 내지 〔7〕의 어느 것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8]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f [1] to [7], wherein the cleaning sheet has a cu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9〕 상기 클리닝면을 외측으로 하여 권회됨으로써 클리닝 롤로서 구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8〕의 어느 것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9]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f [1] to [8] above, which is configured as a cleaning roll by being wound with the cleaning surface facing outward.

〔10〕 상기 흡수층은 다공질인, 상기 〔1〕 내지 〔9〕의 어느 것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10]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f [1] to [9], wherein the absorbent layer is porous.

〔11〕 상기 흡수층은 부직포인, 상기 〔1〕 내지 〔10〕의 어느 것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11]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f [1] to [10], wherein the absorbent layer is a non-woven fabric.

〔12〕 상기 흡수층은 코튼 부직포인, 상기 〔11〕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12]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11], wherein the absorbent layer is a cotton non-woven fabric.

〔13〕 상기 클리닝면에 차지하는 상기 제1 영역의 면적 비율(점착제 면적률)이 5% 이상 95% 이하, 15% 이상 85% 이하, 또는 35% 이상 75% 이하인, 상기 〔1〕 내지 〔12〕의 어느 것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13] [1] to [12] above, wherein the area ratio (adhesive area ratio) of the first region to the cleaning surface is 5% or more and 95% or less, 15% or more and 85% or less, or 35% or more and 75% or less. The cleaning sheet described in any of the above.

〔14〕 상기 제1 영역은 스트라이프상으로 마련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13〕의 어느 것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14]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f [1] to [13], wherein the first region is provided in a stripe shape.

〔15〕 상기 클리닝면의 SUS에 대한 점착력이 0.1N/25mm 이상 5N/25mm 이하인, 상기 〔1〕 내지 〔14〕의 어느 것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15]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f [1] to [14] above, wherein the cleaning surface has an adhesive force to SUS of 0.1 N/25 mm or more and 5 N/25 mm or less.

〔16〕 상기 점착제는, 고무계 점착제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인, 상기 〔1〕 내지 〔15〕의 어느 것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16]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f [1] to [15] above, wherein the adhesive is a rubber adhesive or an acrylic adhesive.

〔17〕 상기 점착제는, 고무계 점착제(예를 들어, SIS계 점착제)인, 상기 〔16〕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17]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16], wherein the adhesive is a rubber-based adhesive (for example, an SIS-based adhesive).

〔18〕 상기 〔1〕 내지 〔17〕의 어느 것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가 상기 클리닝면을 외측으로 하여 권회된 클리닝 롤과,[18] a cleaning roll in which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f [1] to [17] is wound with the cleaning surface facing outward;

상기 클리닝 롤을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그A jig that rotatably supports the cleaning roll.

를 구비하는, 클리너.Equipped with a cleaner.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구체예로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Hereinafter,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se specific examples.

<예 1><Example 1>

부직포 F1(닛신보 텍스타일사제 「오이코스 AP2040」, 스펀 레이스법에 의해 제조된 코튼 부직포, 평량 40g/㎡, 흡수성 있음)의 배면에 두께 20㎛의 폴리에틸렌(PE) 시트가 라미네이트 가공되고, 또한 상기 PE 시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폭 160mm의 기재 S1을 준비하였다. 이 기재 S1의 부직포면(전방면)에 SIS계 점착제를 용융 상태에서 스트라이프상으로 도공함으로써, 폭 1mm의 점착제 도공부(제1 영역)와 폭 1mm의 점착제 비도포 시공부(제2 영역)를 교호로 갖는 클리닝면을 형성하였다(점착제 면적률 50%). 점착제의 도공 범위(클리닝면의 폭)는 150mm로 하고, 상기 기재 S1의 폭 양단으로부터 각 5mm의 범위는, 점착제를 도공하지 않은 드라이 에지로 하였다. 점착제의 도공량은, 상기 도공 범위에 있어서의 기재 S1의 면적 1㎡당 15 내지 25g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클리닝면(점착면)의 SUS에 대한 점착력이 0.1 내지 1.0N/25mm의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예 1에 관한 클리닝 시트를 제작하였다.A polyethylene (PE) sheet with a thickness of 20 μm is laminated on the back of nonwoven fabric F1 (“Oikos AP2040” manufactured by Nisshinbo Textiles, cotton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by the spunlace method, basis weight 40 g/m2, water absorbent), and the PE A base material S1 with a width of 160 mm was prepared, the sheet surface of which was subjected to a peeling treatment using a silicone-based peeling agent. By coating the SIS-based adhesive in a stripe form on the nonwoven fabric surface (front surface) of this substrate S1 in a molten state, an adhesive-coated area (first area) with a width of 1 mm and an adhesive-free area (second area) with a width of 1 mm are formed. Alternating cleaning surfaces were formed (adhesive area ratio 50%). The adhesive coating range (width of the cleaning surface) was set to 150 mm, and a 5 mm range from both ends of the width of the substrate S1 was used as a dry edge without adhesive coating. The amount of adhesive applied is about 15 to 25 g per 1 m2 of the area of base material S1 in the above coating range, so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cleaning surface (adhesive surface) to SUS is within the range of 0.1 to 1.0 N/25 mm. Adjusted as much as possible. In this way,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Example 1 was produced.

<예 2><Example 2>

부직포 F2(닛신보 텍스타일사제 「오이코스 AP2050」, 스펀 레이스법에 의해 제조된 코튼 부직포, 평량 50g/㎡, 흡수성 있음)의 배면에 두께 20㎛의 PE 시트가 라미네이트 가공되고, 또한 상기 PE 시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폭 160mm의 기재 S2를 준비하였다. 기재 S1 대신에 기재 S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관한 클리닝 시트를 제작하였다.A PE sheet with a thickness of 20 μm is laminated on the back of nonwoven fabric F2 (“Oikos AP2050” manufactured by Nisshinbo Textiles, cotton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by the spunlace method, basis weight 50 g/m2, water absorbent), and further on the surface of the PE sheet. A base material S2 with a width of 160 mm was prepared, on which a release treatment using a silicone-based release treatment agent was performed. A cleaning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base material S2 was used instead of base material S1.

<예 3><Example 3>

부직포 F3(후타무라 가가꾸사제 「#404WJ」, 습식 단섬유 스펀본드법에 의해 제조된 레이온 부직포, 평량 40g/㎡, 흡수성 있음)의 배면에 두께 20㎛의 PE 시트가 라미네이트 가공되고, 또한 상기 PE 시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폭 160mm의 기재 S3을 준비하였다. 기재 S1 대신에 기재 S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관한 클리닝 시트를 제작하였다.A PE sheet with a thickness of 20 μm is laminated on the back of nonwoven fabric F3 (“#404WJ” manufactured by Futamura Chemical, rayon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by wet staple fiber spunbond method, basis weight 40 g/m2, water absorbent), and further processed as above. A base material S3 with a width of 160 mm was prepared, on which the surface of the PE sheet was subjected to a peeling treatment using a silicone-based peeling agent. A cleaning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base material S3 was used instead of base material S1.

<예 4, 5><Examples 4, 5>

점착제의 도공 패턴을 직경 약 3mm의 도트상(격자점 배치, 점착제 면적률 6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 3과 각각 마찬가지로 하여, 예 4, 5에 관한 클리닝 시트를 제작하였다.Cleaning sheets according to Examples 4 and 5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s 1 and 3, respectively, except that the adhesive coating pattern was changed to a dot shape with a diameter of about 3 mm (lattice dot arrangement, adhesive area ratio of 60%).

<예 6><Example 6>

부직포 F6(마에다코센사제의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 「SP-1040E」, 평량 40g/㎡, 흡수성 없음)의 배면에 PET 필름(두께 10㎛) 및 PE 시트(두께 20㎛)가 이 순으로 라미네이트되고, 또한 상기 PE 시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폭 160mm의 긴 형상의 기재 S6을 준비하였다. 기재 S1 대신에 기재 S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관한 클리닝 시트를 제작하였다.PET film (thickness 10 ㎛) and PE sheet (thickness 20 ㎛) are laminated in this order on the back of nonwoven fabric F6 (polypropylene (PP) nonwoven fabric "SP-1040E" manufactured by Maeda Kosen, basis weight 40 g/m2, non-absorbent). A long base material S6 with a width of 160 mm was prepared, on which the surface of the PE sheet was subjected to a peeling treatment using a silicone-based peeling agent. A cleaning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base material S6 was used instead of base material S1.

<예 7 내지 9><Examples 7 to 9>

예 7 내지 9에 관한 클리닝 시트로서는, 예 1 내지 3에 관한 클리닝 시트의 제작에 사용한 기재 S1 내지 S3을 그대로(즉, 기재의 부직포면에 점착제를 도공하지 않고) 사용하였다.As the cleaning sheets for Examples 7 to 9, the substrates S1 to S3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cleaning sheets for Examples 1 to 3 were used as is (i.e., without applying an adhesive to the nonwoven surface of the substrate).

<예 10><Example 10>

본 예에 관한 클리닝 시트로서는, 부직포 F10(아사히 가세이사제의 PP 부직포 「에르터스 PO3040」, 평량 40g/㎡, 흡수성 없음)의 배면에 두께 20㎛의 PE 시트가 라미네이트되고, 또한 상기 PE 시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폭 160mm의 긴 형상의 기재 S10을 그대로(즉, 기재의 부직포면에 점착제를 도공하지 않고) 사용하였다.As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a PE sheet with a thickness of 20 μm is laminated on the back of nonwoven fabric F10 (PP nonwoven fabric “Ertus PO3040” manufactured by Asahi Kasei, basis weight 40 g/m2, non-absorbent), and the PE sheet surface is The elongated substrate S10 with a width of 160 mm, which had been subjected to a release treatment with a silicone-based release treatment agent, was used as is (i.e., without applying an adhesive to the nonwoven surface of the substrate).

<클리닝 롤의 제작><Production of cleaning roll>

각 예에 관한 클리닝 시트를, 기재의 부직포면을 외측으로서, 외경 38mm의 원통상의 보드지제 권취 코어의 주위에 약 50주 감음으로써, 각 예에 관한 클리닝 롤을 제작하였다.A cleaning roll for each example was produced by winding the cleaning sheet for each example about 50 times around a cylindrical cardboard winding core with an outer diameter of 38 mm, with the nonwoven fabric side of the base material as the outside.

<평가><Evaluation>

1. 흡수량 측정1. Absorption measurement

각 예에 관한 클리닝 롤로부터 클리닝 시트를 인출하고, 1변 10cm의 정사각 형상의 시험편을 3매 채취하였다. 시험편의 중량(흡수전 중량)을 측정하고, 기재의 부직포면측을 하측으로 하여 상기 시험편을 물에 1분간 침지시켜, 해당 시험편을 물로 취출하여 공중에 1분간 이상 달아매서 물을 물방울로 떨어뜨린 후, 그 중량(흡수 후 중량)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편에 대하여 흡수 후 중량과 흡수 전 중량의 차를 구하여, 3매의 시험편의 평균값을 클리닝 시트의 흡수량[g/d㎡]으로서 표 1에 나타내었다.The cleaning sheet was taken out from the cleaning roll for each example, and three square test pieces with a side of 10 cm were taken. Measure the weight of the test piece (weight before absorption), immerse the test piece in water for 1 minute with the nonwoven fabric side of the substrate facing downward, take the test piece out into the water, hang it in the air for at least 1 minute, and drop the water. , its weight (weight after absorption) was measured. For each test pie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ight after absorption and the weight before absorption was calculat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three test pieces is shown in Table 1 as the water absorption amount of the cleaning sheet [g/dm2].

2. 클리닝 성능2. Cleaning performance

[물의 제거 성능][Water removal performance]

왁스 가공되어 있지 않은 플로어링재(에이다이산교사제, 「DXRD-1451UR」. 폭 30cm, 길이 90cm의 직사각 형상. 이하 동일함)의 표면을 청소 대상면으로 하여, 해당 청소 대상면에 분무기로 물을 5회 분무하였다. 1회당의 분무량은 약 0.5g으로 하고, 물의 제거 정도를 눈으로 보아 파악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빨갛게 착색한 물을 사용하였다. 그 후, 각 예에 관한 클리닝 롤을 도 3, 4에 도시하는 개략 형상의 지그(50)의 회전부(52)에 설치하고, 상기 청소 대상면의 우측 절반을 1왕복, 이어서 좌측 절반을 1왕복시켜서, 이하의 3 수준으로 물의 제거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Set the surface of a non-waxed flooring material (manufactured by Aidaisangyo Co., Ltd., “DXRD-1451UR”; rectangular shape with a width of 30 cm and a length of 90 cm;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as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spray 5 drops of wate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Sprayed again. The amount of spray per time was about 0.5 g, and water colored red was used to make it easier to visually determine the degree of water removal. After that, the cleaning roll for each example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part 52 of the jig 50 of the schematic shape shown in FIGS. 3 and 4, and the right half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reciprocated once, and then the left half is reciprocated once. Thus, the water removal performance was evaluated at the following three level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E(Excellent): 물을 거의 제거할 수 있었다(우수한 물 제거 성능을 갖는다).E (Excellent): Water could almost be removed (has excellent water removal performance).

G(Good): 일부 남아 있지만, 대부분의 물을 제거할 수 있었다(양호한 물 제거 성능을 갖는다).G (Good): Although some remained, most of the water could be removed (possesses good water removal performance).

P(Poor): 물을 제거할 수 없었다(물 제거 성능은 모자라다).P(Poor): Water could not be removed (water removal performance was insufficient).

[머리털의 제거 성능(물 없음)][Hair removal performance (no water)]

마른 상태의 상기 청소 대상면 상에, 길이 약 5cm의 머리털을 10개 살포한 후, 각 예에 관한 클리닝 롤을 도 3, 4에 도시하는 개략 형상의 지그(50)의 회전부(52)에 설치하고, 상기 청소 대상면의 우측 절반을 1왕복, 이어서 좌측 절반을 1왕복시켰다. 이 시험을 10회 행하고, 사용한 머리털의 합계 개수(100개)에 대한 합계 제거 개수의 백분율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수치가 클수록 제거 성능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평가 결과 100%란, 100개의 머리털을 모두 제거할 수 있었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After spreading 10 hairs of about 5 cm in length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n a dry state, the cleaning roll for each example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part 52 of the jig 50 of the schematic shape shown in FIGS. 3 and 4. Then, the right half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was made one round trip, and then the left half was made one round trip. This test was performed 10 times, and the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hairs removed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hairs used (100) is shown in Table 1. The larger the number, the higher the removal performance. The evaluation result of 100% indicates that all 100 hairs were able to be removed.

[머리털의 제거 성능(물 있음)][Hair removal performance (with water)]

마른 상태의 상기 청소 대상면 상에, 길이 약 5cm의 머리털을 10개 살포하고, 또한 분무기로 물을 5회 분무하였다(1회당의 분무량은 약 0.5g). 그 후, 각 예에 관한 클리닝 롤을 도 3, 4에 도시하는 개략 형상의 지그(50)의 회전부(52)에 설치하고, 상기 청소 대상면의 우측 절반을 1왕복, 이어서 좌측 절반을 1왕복시켰다. 이 시험을 10회 행하고, 사용한 머리털의 합계 개수(100개)에 대한 합계 제거 개수의 백분율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수치가 클수록 제거 성능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평가 결과 100%란, 100개의 머리털을 모두 제거할 수 있었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n a dry state, 10 hairs of about 5 cm in length were sprayed, and water was sprayed 5 times with a sprayer (the amount of spray per time was about 0.5 g). After that, the cleaning roll for each example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part 52 of the jig 50 of the schematic shape shown in FIGS. 3 and 4, and the right half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reciprocated once, and then the left half is reciprocated once. I ordered it. This test was performed 10 times, and the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hairs removed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hairs used (100) is shown in Table 1. The larger the number, the higher the removal performance. The evaluation result of 100% indicates that all 100 hairs were able to be removed.

3. 층간 강도3. Interlaminar strength

각 예에 관한 클리닝 롤로부터 클리닝 시트를 인출하고, 폭 25mm의 띠상으로 재단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때, 시험편의 긴 변 방향이 클리닝 시트의 긴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였다. 측정 준비로서, 시험편의 긴 변 방향의 일단부에 있어서 부직포로부터 라미네이트층(방수층)을 손으로 박리하였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박리한 부분의 부직포측 및 라미네이트층측을 척으로 끼우고,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T자 박리 시험을 행함으로써, 층간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cleaning sheet was taken out from the cleaning roll for each example, cut into strips with a width of 25 mm, and test pieces were produced.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of the test piece was made to match the long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In preparation for measurement, the laminate layer (waterproof layer) was peeled from the nonwoven fabric by hand at one end of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test piece. Next, using a tensile tester, the nonwoven fabric side and the laminate layer side of the peeled portion were clamped together and a T-shaped peel test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of a tensile speed of 300 mm/min to measure the interlayer strength.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또한, 예 2, 4, 8의 클리닝 시트에서는, 측정 준비로서 시험편의 긴 변 방향의 일단부에 있어서 부직포로부터 라미네이트층을 손으로 박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층간 강도를 나타내는 란에는 「측정 불가」라고 기재하였다. 이들 클리닝 시트에 대해서는, 실용상 충분히 높은 층간 강도를 갖는다고 생각된다.In addition, in the cleaning sheets of Examples 2, 4, and 8, the laminate layer could not be peeled off by hand from the nonwoven fabric at one end of the long side of the test piece in preparation for measurement, so the column indicating interlayer strength was marked as “unable to measure.” It was described. These cleaning sheets are thought to have sufficiently high interlayer strength for practical use.

또한, 동일한 기재 S1을 사용한 예 1, 4, 7의 클리닝 롤에 대해서, 상술한 물의 제거 시험을 행한 후에 해당 클리닝 롤의 최외주를 구성하는 클리닝 시트(즉, 상기 물의 제거 시험에 의해 흡수한 클리닝 시트)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부직포와 라미네이트층의 층간 강도를 손 박리에 의해 간이 평가한 바, 예 1, 4의 클리닝 시트에 비하여 예 7의 클리닝 시트에서는 흡수에 의해 층간 강도가 크게 저하되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이것은, 부직포 상에 부분적으로 도공된 점착제가 흡수에 의한 층간 강도의 저하 억제에 기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after the above-mentioned water removal test was performed on the cleaning rolls of Examples 1, 4, and 7 using the same base material S1, the cleaning sheet constituting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cleaning roll (i.e., the cleaning sheet absorbed by the above water removal test sheet), similarly, the interlayer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 laminate layer was briefly evaluated by hand peeling, and it was found that compared to the cleaning sheets of Examples 1 and 4, the interlayer strength of the cleaning sheet of Example 7 tended to decrease significantly due to water absorption. It has been done. This indicates that the adhesive partially coated on the nonwoven fabric contributes to suppressing the decrease in interlayer strength due to water absorption.

4. 인열 강도4. Tear strength

각 예에 관한 클리닝 롤로부터 클리닝 시트를 인출하고, 폭 50mm의 띠상으로 재단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때, 시험편의 긴 변 방향이 클리닝 시트의 긴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였다. 상기 시험편에, 그 긴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도중까지, 해당 시험편의 폭 중앙을 따라 절입을 넣었다.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상기 절입의 우측 및 좌측의 긴 방향의 일단부를 각각 척으로 파지하고, 인장 속도 300mm/분의 속도로 T자 방향으로 인장함으로써, 클리닝 시트의 인열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cleaning sheet was taken out from the cleaning roll for each example, cut into strips with a width of 50 mm, and test pieces were produced.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of the test piece was aligned with the long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A cut was made in the test piece along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test piece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iddle. Using a tensile tester, the tear strength of the cleaning sheet was measured by holding the right and left longitudinal ends of the incision with a chuck and pulling in the T-shaped direction at a tensile speed of 300 mm/mi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5. 외주면(점착면) 갱신 작업성5. Outer peripheral surface (adhesive side) renewal workability

상술한 방법에 의해 머리털의 제거 성능(물 없음)을 평가한 후, 머리털이 부착된 채의 클리닝 롤에 있어서 클리닝 시트의 권회 외주 단부를 넘겨, 머리털이 부착되어 있는 것에 의한 클리닝 시트의 세로 갈라짐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시험은 10회 행하고, 세로 갈라짐이 발생한 횟수에 의해, 이하의 2 수준으로 갱신 작업성을 평가하였다.After evaluating the hair removal performance (no water)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the cleaning roll with hair attached was passed over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leaning sheet, and vertical cracking of the cleaning sheet due to the hair attached was observed. It was evaluated whether or not it occurred. The test was performed 10 times, and the renewal workability was evaluated at the following two levels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vertical cracks occurred.

G(good): 세로 갈라짐이 발생한 횟수가 0회 또는 1회(갱신 작업성 양호).G (good): Number of vertical cracks occurring 0 or 1 time (good renewal workability).

A(acceptable): 세로 갈라짐이 발생한 횟수가 2 내지 4회(실용 가능한 갱신 작업성을 갖는다).A (acceptable): The number of times vertical cracks occur is 2 to 4 (has practical renewal workability).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의 부직포 상에 점착제가 부분적으로 배치된 구성이며 흡수량이 0.5g/d㎡ 이상인 예 1 내지 5의 클리닝 시트는, 물의 제거성이 좋고, 또한, 마른 청소 대상면 상의 머리털뿐만 아니라, 물로 젖은 청소 대상면 상의 머리털도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예 1, 2, 4의 클리닝 시트는, 예 3, 5의 클리닝 시트에 비하여 인열 강도가 크고, 클리닝 롤의 형태에 있어서 보다 양호한 점착면 갱신 작업성을 나타내었다.As shown in Table 1, the cleaning sheets of Examples 1 to 5, which are composed of an adhesive partially disposed on an absorbent nonwoven fabric and have an absorption amount of 0.5 g/dm2 or more, have good water removal properties and can be us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dry. Not only hair but also hair on the water-wet surface to be cleaned could be successfully removed. The cleaning sheets of Examples 1, 2, and 4 had greater tear strength than the cleaning sheets of Examples 3 and 5, and showed better adhesive surface renewal workability in the shape of the cleaning roll.

한편, 비흡수성의 부직포 상에 점착제가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흡수량이 적은 예 6의 클리닝 시트에서는, 물을 제거할 수 없었다. 점착제를 갖지 않는 예 7 내지 10의 클리닝 시트에서는, 머리털을 제거할 수 없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leaning sheet of Example 6, in which the adhesive was partially disposed on a non-absorbent nonwoven fabric and the water absorption amount was small, water could not be removed. In the cleaning sheets of Examples 7 to 10 without adhesive, hair could not be removed.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서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Although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e claims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specific examples illustrated above.

1: 클리닝 롤
10: 클리닝 시트
10A: 제1 면
10B: 제2 면
11: 클리닝면
12, 13: 점착제 비배치부
14: 절단부
16: 권회 외주 단부(넘김부)
18: 리드 테이프
20: 기재
22: 흡수층
24: 방수층
31: 점착제(제1 영역)
32: 흡수층 노출부(제2 영역)
40: 권취 코어
50: 지그
52: 회전 부재
54: 파지 부재
56: 청소 대상면
100: 클리너
W1: 제1 영역의 폭
W2: 제2 영역의 폭
1: Cleaning roll
10: Cleaning sheet
10A: side 1
10B: Side 2
11: Cleaning side
12, 13: Adhesive non-placement area
14: cutting part
16: Winding outer peripheral end (turning part)
18: lead tape
20: Description
22: absorption layer
24: waterproof layer
31: Adhesive (first region)
32: Absorption layer exposed portion (second region)
40: winding core
50: Jig
52: Rotating member
54: Absence of grip
56: Cleaning target surface
100: Cleaner
W1: Width of first area
W2: Width of the second region

Claims (8)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클리닝 시트이며,
적어도 전방면에 흡수층을 갖는 기재와, 해당 흡수층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점착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점착제가 노출되는 제1 영역과, 상기 흡수층이 노출되는 제2 영역을 갖는 클리닝면을 포함하고,
흡수량이 0.5g/d㎡ 이상인, 클리닝 시트.
A cleaning sheet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 substrate having an absorbent layer at least on the front surface, and an adhesive partially disposed on the absorbent layer,
The first surface includes a cleaning surface having a first area where the adhesive is exposed and a second area where the absorbent layer is exposed,
A cleaning sheet with an absorption amount of 0.5 g/d㎡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면이 점착면인 점착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는, 클리닝 시트.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eaning surface is configured as an adhesive sheet with an adhesive su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흡수층의 배면측에 배치된 방수층을 더 포함하는, 클리닝 시트.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ubstrate further includes a waterproof layer disposed on a back side of the absorbent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층간 강도가 0.5N/25mm 이상인, 클리닝 시트.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interlayer strength of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absorbent layer is 0.5 N/25 mm or mor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열 강도가 1.0N 이상인, 클리닝 시트.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leaning sheet has a tear strength of 1.0 N or mor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시트는, 해당 클리닝 시트의 긴 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부를 갖는, 클리닝 시트.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cleaning sheet has a cu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leaning sheet.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면을 외측으로 하여 권회됨으로써 클리닝 롤로서 구성되어 있는, 클리닝 시트.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cleaning sheet is wound with the cleaning surface facing outward, thereby forming a cleaning roll.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리닝 시트가 상기 클리닝면을 외측으로 하여 권회된 클리닝 롤과,
상기 클리닝 롤을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그
를 구비하는, 클리너.
a cleaning roll in which the cleaning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s wound with the cleaning surface facing outward;
A jig that rotatably supports the cleaning roll.
Equipped with a cleaner.
KR1020237028502A 2021-01-28 2022-01-12 cleaning sheets and cleaners KR2023013285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12195A JP2022115555A (en) 2021-01-28 2021-01-28 Cleaning sheet and cleaner
JPJP-P-2021-012195 2021-01-28
PCT/JP2022/000728 WO2022163352A1 (en) 2021-01-28 2022-01-12 Cleaning sheet and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851A true KR20230132851A (en) 2023-09-18

Family

ID=8265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502A KR20230132851A (en) 2021-01-28 2022-01-12 cleaning sheets and cleaner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15555A (en)
KR (1) KR20230132851A (en)
CN (1) CN116761540A (en)
WO (1) WO2022163352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0856A (en) 1984-12-29 1986-07-21 Pioneer Electronic Corp Cassette tape player
JP2018000745A (en) 2016-07-06 2018-01-11 株式会社ニトムズ Adhesive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0856U (en) * 1985-03-25 1986-10-04
JPS61228820A (en) * 1985-04-02 1986-10-13 東郷 修 Cleaner
JPH11313792A (en) * 1998-05-07 1999-11-16 Lion Corp Cleaning tool
JP6305610B2 (en) * 2017-06-30 2018-04-04 株式会社ニトムズ Adhesive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0856A (en) 1984-12-29 1986-07-21 Pioneer Electronic Corp Cassette tape player
JP2018000745A (en) 2016-07-06 2018-01-11 株式会社ニトムズ Adhesive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3352A1 (en) 2022-08-04
CN116761540A (en) 2023-09-15
JP2022115555A (en)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1225B2 (en) Adhesive cleaner for plate surface
KR20190015572A (en) Adhesive cleaner
KR102038735B1 (en) Adhesive cleaner for removal of organic dirt
JP2003190074A (en) Adhesive roll cleaner
AU2018290793B2 (en) Adhesive mounting devices having patterned adhesive regions
KR20230132851A (en) cleaning sheets and cleaners
KR102385102B1 (en) adhesive cleaner
JP6305610B2 (en) Adhesive cleaner
JP6248114B2 (en) Adhesive cleaner
JP7358176B2 (en) Cleaning sheets and cleaning tools
WO2018143031A1 (en) Adhesive cleaner
JP2010046450A (en) Dust removable roll of micro-suction cup
CN114554924B (en) Cleaning sheet, laminate of cleaning sheets, clean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cleaning sheet
JP6248113B2 (en) Adhesive cleaner
JP2018083090A (en) Adhesive cleaner
JP2021058593A (en) Cleaning sheet, laminate of cleaning sheet, cleaning instru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leaning sheet
JP2021058592A (en) Cleaning sheet, laminate of cleaning sheet, cleaning instru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leaning sheet
JP2006022181A (en) Adhesive tape or 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