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79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업데이트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업데이트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797A
KR20230132797A KR1020237026380A KR20237026380A KR20230132797A KR 20230132797 A KR20230132797 A KR 20230132797A KR 1020237026380 A KR1020237026380 A KR 1020237026380A KR 20237026380 A KR20237026380 A KR 20237026380A KR 20230132797 A KR20230132797 A KR 20230132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ai
3gpp access
service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민
윤명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32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5G system)에 등록하는 단계, 단말이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idle)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 및 단말이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단말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에 등록하는 경우, 단말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단말 위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말에 비-3GPP 액세스(non-3GPP access) 방식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 할당된 경우, 단말의 TAI가 변경될 때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접속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접속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특히, 많은 통신 기기들이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통신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뿐만 아니라 신뢰성 (reliability) 및 지연(latency) 민감한 서비스/UE(user equipment)를 고려한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기술 구성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3GPP 액세스에서 비-3GPP 액세스 방식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TAI가 할당되는 경우, 단말의 TAI가 변경될 때 단말의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허여 메시지 또는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에 기초하여 위치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거절 메시지에 비-3GPP 액세스에서 TAI 변경에 기초하여 서비스 요청을 거절하는 상황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거절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이 재-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 예들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 구성이 적용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5G system)에 등록하는 단계, 단말이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idle)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 및 단말이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단말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에 등록하는 경우, 단말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특정 동작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5G system)에 등록하고,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idle) 상태로 천이하고, 단말이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되, 단말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에 등록하는 경우, 단말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단말이 5GS(5G system)로 등록되는 단계, 및 비-3GPP 액세스가 휴지(idle)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는 단말에 기초하여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단말이 5GS에 등록되는 경우, 단말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특정 동작은: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단말을 5GS(5G system)로 등록시키고, 휴지(idle)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는 단말에 기초하여 네트워크가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되,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단말이 5GS에 등록되는 경우, 단말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들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장치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5G system)에 등록하고,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idle) 상태로 천이하고, 및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되, 장치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에 등록하는 경우, 장치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computer-readable medium)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executable)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5G system)에 등록하고,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idle) 상태로 천이하고, 및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되, 장치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에 등록하는 경우, 장치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사항들은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단말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단말은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을 전송하고, 단말의 컨텍스트의 RA에 대한 제 1 TAI가 제 2 TAI로 변경된 경우, AMF는 서비스 요청 절차 내에서 단말의 등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단말의 등록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경우, 변경된 제 2 TAI에 기초하여 단말의 컨텍스트의 RA가 업데이트되고, 업데이트된 RA에 기초하여 허여되는 NSSAI(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및 거절되는 NSSAI를 설정하고, 설정된 허여되는 NSSAI 및 거절되는 NSSAI에 기초하여 PDU(packet data unit) 세션 해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단말은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수신하되, 서비스 허여 메시지는 PDU 세션 상태 정보, 업데이트된 RA정보, 허여되는 NSSAI 정보 및 거절되는 NSSAI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단말은 AMF로부터 NAS(non access stratum)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구성 업데이트 명령(configuration update command) 메시지를 수신하되,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는 업데이트된 RA정보, 허여되는 NSSAI 정보 및 거절되는 NSSAI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허여되는 NSSAI 및 거절되는 NSSAI에 기초하여 PDU 세션이 해제되는 경우, 단말은 PDU 세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AMF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단말은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단말은 변경된 제 2 TAI에 기초하여 AMF부터 서비스 거절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서비스 거절 메시지는 거절이유 정보, 제 1 지시자 정보 및 제 2 지시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거절이유 정보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단말이 비-3GPP 액세스의 RA 내에 위치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거절 값(cause valu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제 1 지시자는 단말이 RA 내에 위치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정보이고, 제 2 지시자는 단말에 새로운 등록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단말은 제 2 지시자에 기초하여 NAS 시그널링 연결을 해제하여 휴지 상태로 천이한 후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단말은 AMF와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단말에 대한 재 등록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된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고,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에 기초하여 등록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단말은 단말에 대한 재 등록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수신하고, 서비스 허여 메시지에 기초하여 등록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3GPP 액세스에서 비-3GPP 액세스 방식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TAI가 할당되는 경우, 단말의 TAI가 변경될 때 단말의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허여 메시지 또는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에 기초하여 위치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여 단말이 위치를 올바르게 업데이트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거절 메시지에 비-3GPP 액세스에서 TAI 변경에 기초하여 서비스 요청을 거절하는 상황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이 위치를 올바르게 업데이트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거절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이 재-등록 절차를 수행하여 위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 구성이 적용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서술하는 구성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개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에 대한 실시 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의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참조 포인트(reference point)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E-UTRAN과 EPC(evolved packet core)의 아키텍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UE(user equipment)와 eNB(evolved node B) 사이의 제어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UE와 eNB 사이의 사용자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적인 NR(new radio)-RAN(radio access network)의 아키텍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반적인 NG-RAN과 5GC(5th generation core)의 기능적 분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5G(5th generation) 시스템의 일반적인 아키텍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의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개시를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이동국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Node B), gNB(gNode B), ng-eNB, 발전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또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단말(terminal)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이동 가입자 단말(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발전된 이동 단말(advanced mobile station, AMS)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의 경우, 이동국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의 경우, 이동국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xx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시스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3GPP 5G(5th generation) NR(New Radio)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으며, 특히,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3GPP TS(technical specification) 38.211, 3GPP TS 38.212, 3GPP TS 38.213, 3GPP TS 38.321 및 3GPP TS 38.331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 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른 무선 접속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시스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3GPP 5G NR 시스템 이후에 적용되는 시스템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할 수 있으며, 특정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설명하지 않은 자명한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 구성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통신 시스템(예, LTE, NR 등)을 기반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는 3GPP TS 36.xxx Release 8 이후의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3GPP TS 36.xxx Release 10 이후의 LTE 기술은 LTE-A로 지칭되고, 3GPP TS 36.xxx Release 13 이후의 LTE 기술은 LTE-A pro로 지칭될 수 있다. 3GPP NR은 TS 38.xxx Release 15 이후의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3GPP 6G는 TS Release 17 및/또는 Release 18 이후의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xxx"는 표준 문서 세부 번호를 의미한다. LTE/NR/6G는 3GPP 시스템으로 통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배경기술, 용어, 약어 등에 관해서는 본 발명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예로, 36.xxx 및 38.xxx 표준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어, 약어 및 그 밖의 배경기술에 대해서는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하기 표준 문서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특히, LTE/EPS(Evolved Packet System) 관련 용어, 약어 및 그 밖의 배경기술들은 36.xxx 시리즈, 23.xxx 시리즈 및 24.xxx 시리즈를 참고할 수 있으며, NR(new radio)/5GS 관련 용어, 약어 및 그 밖의 배경기술들은 38.xxx 시리즈, 23.xxx 시리즈 및 24.xxx 시리즈를 참고할 수 있다.
3GPP LTE/EPS
- 3GPP TS 36.211: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 3GPP TS 36.212: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 3GPP TS 36.213: Physical layer procedures
- 3GPP TS 36.214: Physical layer; Measurements
- 3GPP TS 36.300: Overall description
- 3GPP TS 36.304: User Equipment (UE) procedures in idle mode
- 3GPP TS 36.306: User Equipment (UE) radio access capabilities
- 3GPP TS 36.314: Layer 2 - Measurements
- 3GPP TS 36.321: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 3GPP TS 36.322: Radio Link Control (RLC) protocol
- 3GPP TS 36.323: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 3GPP TS 36.331: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 3GPP TS 36.413: S1 Application Protocol (S1AP)
- 3GPP TS 36.423: X2 Application Protocol (X2AP)
- 3GPPP TS 22.125: Unmanned Aerial System support in 3GPP; Stage 1
- 3GPP TS 23.303: Proximity-based services (Prose); Stage 2
- 3GPP TS 23.401: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enhancements for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access
- 3GPP TS 23.402: Architecture enhancements for non-3GPP accesses
- 3GPP TS 23.286: Application layer support for V2X services; Functional architecture and information flows
- 3GPP TS 24.301: Non-Access-Stratum (NAS) protocol for Evolved Packet System (EPS); Stage 3
- 3GPP TS 24.302: Access to the 3GPP Evolved Packet Core (EPC) via non-3GPP access networks; Stage 3
- 3GPP TS 24.334: Proximity-services (ProSe) User Equipment (UE) to ProSe function protocol aspects; Stage 3
- 3GPP TS 24.386: User Equipment (UE) to V2X control function; protocol aspects; Stage 3
3GPP NR/5GS
- 3GPP TS 38.211: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 3GPP TS 38.212: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 3GPP TS 38.213: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control
- 3GPP TS 38.214: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data
- 3GPP TS 38.215: Physical layer measurements
- 3GPP TS 38.300: NR and NG-RAN Overall Description
- 3GPP TS 38.304: User Equipment (UE) procedures in idle mode and in RRC inactive state
- 3GPP TS 38.321: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 3GPP TS 38.322: Radio Link Control (RLC) protocol
- 3GPP TS 38.323: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 3GPP TS 38.331: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 3GPP TS 37.324: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 3GPP TS 37.340: Multi-connectivity; Overall description
- 3GPP TS 23.501: System Architecture for the 5G System
- 3GPP TS 23.502: Procedures for the 5G System
- 3GPP TS 23.503: Policy and Charging Control Framework for the 5G System; Stage 2
- 3GPP TS 24.501: Non-Access-Stratum (NAS) protocol for 5G System (5GS); Stage 3
- 3GPP TS 24.502: Access to the 3GPP 5G Core Network (5GCN) via non-3GPP access networks
- 3GPP TS 24.526: User Equipment (UE) policies for 5G System (5GS); Stage 3
3GPP V2X
- 3GPP TS 23.285: Architecture enhancements for V2X services
- 3GPP TR 23.786: Evolved Packet System (EPS) and the 5G System (5GS) to support advanced V2X services
- 3GPP TS 23.287: Architecture enhancements for 5G System (5GS) to support Vehicle-to-Everything (V2X) services
- 3GPP TS 24.587: Vehicle-to-Everything (V2X) services in 5G System (5GS); Protocol aspects; Stage 3
- 3GPP TS 24.588: Vehicle-to-Everything (V2X) services in 5G System (5GS); User Equipment (UE) policies; Stage 3
이하, 위와 같이 정의된 용어를 바탕으로 본 명세서에 대하여 기술한다.
5G의 세 가지 주요 요구 사항 영역은 (1) 개선된 모바일 광대역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영역, (2) 다량의 머신 타입 통신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영역 및 (3) 초-신뢰 및 저 지연 통신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사용 예(Use Case)는 최적화를 위해 다수의 영역들이 요구될 수 있고, 다른 사용 예는 단지 하나의 핵심 성능 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에만 포커싱될 수 있다. 5G는 이러한 다양한 사용 예들을 유연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5G 시스템 아키텍처
5G 시스템은 4세대 LTE 이동 통신 기술로부터 진보된 기술로서 기존 이동 통신망 구조의 개선(Evolution) 혹은 클린-스테이트(Clean-state) 구조를 통해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 LTE(Long Term Evolution)의 확장된 기술로서 eLTE(extended LTE), non-3GPP(예를 들어, WLAN) 액세스 등을 지원한다.
5G 시스템은 서비스-기반으로 정의되고, 5G 시스템을 위한 아키텍처(architecture) 내 네트워크 기능(NF: Network Function)들 간의 상호동작(interaction)은 다음과 같이 2가지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참조 포인트 표현(representation): 2개의 NF들(예를 들어, AMF 및 SMF) 간의 점-대-점 참조 포인트(예를 들어, N11)에 의해 기술되는 NF들 내 NF 서비스들 간의 상호 동작을 나타낸다.
- 서비스-기반 표현(representation): 제어 평면(CP: Control Plane) 내 네트워크 기능들(예를 들어, AMF)은 다른 인증된 네트워크 기능들이 자신의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표현은 필요한 경우 점-대-점(point-to-point) 참조 포인트(reference point)도 포함한다.
3GPP 시스템 일반
도 1은 다양한 참조 포인트(reference point)들을 도시한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예시에서는 LTE/EPS 기반 네트워크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술한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에 참조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에서 SGW, PDN GW, MME, SGSN 및 ePDG 엔티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술한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각 엔티티 상호 간의 인터페이스로써 S1-MME, S1-U, S2a, S2b, S3, S4, S5, S11 및 SGi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엔티티 및 인터페이스가 상술한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E-UTRAN 시스템은 기존 UTRAN 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3GPP LTE/LTE-A 시스템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IMS 및 패킷 데이터를 통해 음성(voice)(예를 들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E-UMTS 네트워크는 E-UTRAN, EPC 및 하나 이상의 UE를 포함한다. E-UTRAN은 단말에게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eNB들로 구성되고, eNB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술한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E-UTRAN과 EPC(evolved packet core)의 아키텍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게이트웨이로의 라우팅,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방송 채널(BCH)의 스케줄링 및 전송,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자원을 UE에게 동적 할당, eNB의 측정을 위한 설정 및 제공, 무선 베어러 제어, 무선 허가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그리고 연결 이동성 제어 등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EPC 내에서는 페이징 상황, LTE_IDLE 상태 관리, 사용자 평면의 암호화, SAE 베어러 제어, NAS 시그널링의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3GPP TR 23.799의 Annex J에는 5G 및 4G를 조합한 다양한 아키텍쳐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3GPP TS 23.501에는 NR 및 NGC를 이용한 아키텍쳐가 나와 있다.
도 4는 UE(user equipment)와 eNB(evolved node B) 사이의 제어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UE와 eNB 사이의 사용자 평면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 규격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User Plane)과 제어신호(Signaling) 전달을 위한 제어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상기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GC(5G Core)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에서는 그 중에서 일부에 해당하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410)와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420)와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430),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440),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450),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460), N3IWF(non-3GPP interworking function)(490)를 포함한다.
UE(100)는 gNB(300)를 포함하는 NG-RAN(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를 통해 UPF(440)를 거쳐 데이터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UE(100)는 신뢰되지 않는 비-3GPP 액세스, 예컨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를 통해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비-3GPP 액세스를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N3IWF(490)가 배치될 수 있다.
N3IWF(490)는 비-3GPP 액세스와 5G 시스템 간의 인터워킹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UE(100)가 비-3GPP 액세스(예: IEEE 802.11로 일컬어지는 WiFi)와 연결된 경우, UE(100)는 N3IWF(490)를 통해 5G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N3IWF(490)는 AMF(410)와 제어 시그너링을 수행하고, 데이터 전송을 위해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440)와 연결된다.
AMF(410)는 5G 시스템에서 액세스 및 이동성을 관리할 수 있다. AMF(410)는 NAS(non-access stratum) 보안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MF(410)는 아이들 상태(idle state)에서 이동성을 핸들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UPF(440)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수행한다. UPF 노드(440)는 4세대 이동통신의 S-GW(serving gateway) 및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의 사용자 평면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UPF(440)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xt generation RAN, NG-RAN)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계점으로 동작하고, gNB(300)와 SMF(420) 사이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는 요소이다. 또한, UE(100)가 gNB(300)에 의해서 서빙되는 영역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 UPF(440)는 이동성 앵커 포인트(mobility anchor point) 역할을 수행한다. UPF(440)는 PDU를 핸들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G-RAN(예: 3GPP 릴리즈-15 이후에서 정의되는 NG-RAN) 내에서의 이동성을 위해, UPF(440)는 패킷들을 라우팅할 수 있다. 또한, UPF(440)는 다른 3GPP 네트워크(예: 3GPP 릴리즈-15 전에 정의되는 RAN), 예를 들어, UTRAN(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evolved-UTRAN) 또는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와의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UPF(440)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종료점(termination point)에 해당할 수 있다.
PCF(430)는 사업자의 정책을 제어하는 노드이다. AF(450)는 UE(100)에게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UDM(460)은 4세대 이동 통신의 HSS(home subscriber server)와 같이,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UDM(460)은 가입자 정보를 통합 데이터 저장소(unified data repository: UDR)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SMF(420)는 UE(10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SMF(420)는 PDU(protocol data unit) 세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AMF(410), SMF(420), PCF (430), UPF(440), AF(450), UDM(460), N3IWF(490), gNB(300), 또는 UE(100)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될 수 있으며,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노드 관점에서 표현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UE는 차세대 RAN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 DN)와 연결된다. 제어 평면 기능(control plane function, CPF) 노드는 4세대 이동 통신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기능 전부 또는 일부, S-GW(serving gateway) 및 P-GW(PDN gateway)의 제어 평면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한다. CPF 노드는 AMF와 SMF을 포함한다.
UPF 노드는 사용자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은 UE를 인증 및 관리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NSSF)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위한 노드이다.
네트워크 공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는 5G 코어의 서비스와 기능을 안전하게 공개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도 7에 나타난 레퍼런스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N1은 UE와 AMF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2은 (R)AN과 A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3은 (R)AN과 UP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4은 SMF와 UP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5은 PCF과 A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6은 UPF와 DN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7은 SMF과 PC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8은 UDM과 A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9은 UPF들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0은 UDM과 S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1은 AMF과 S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2은 AMF과 AUS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3은 UDM과 AUS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4은 AMF들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5은 비-로밍 시나리오(non-roaming scenario)에서, PCF와 AMF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로밍 시나리오에서, AMF와 방문 네트워크(visited network)의 PCF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6은 SMF들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22은 AMF와 NSS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30은 PCF와 NEF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33은 AF와 NEF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술한 엔티티 및 인터페이스는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3GPP 무선 접속 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user plane)과 제어 신호(signaling) 전달을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layer-1), L2(layer-2), L3(layer-3)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프로토콜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도 8는 UE과 gNB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AS(access stratum) 계층은 물리(physical, PHY) 계층, 매체 접속 제어 계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패킷 데이터 수렴(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계층에 기초한 동작은 본 문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통신 시스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기기들 간에 무선 통신/연결(예, 5G)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의 도면/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하드웨어 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또는 기능 블록을 예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무선 기기
도 9는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무선 기기(900a)와 제2 무선 기기(900b)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LTE, NR)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기기(900a), 제2 무선 기기(900b)}은 도 1의 {무선 기기(100x), 기지국(120)} 및/또는 {무선 기기(100x), 무선 기기(100x)}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무선 기기(900a)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02a)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904a)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906a)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908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2a)는 메모리(904a) 및/또는 송수신기(906a)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2a)는 메모리(904a)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906a)을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02a)는 송수신기(906a)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904a)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04a)는 프로세서(902a)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902a)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무선 기기(900b)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02b), 하나 이상의 메모리(904b)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906b)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90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2b)는 메모리(904b) 및/또는 송수신기(906b)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2b)는 메모리(904b)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906b)를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02b)는 송수신기(906b)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904b)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04b)는 프로세서(902b)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902b)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904b)는 프로세서(902b)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902b)와 메모리(904b)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906b)는 프로세서(902b)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908b)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906b)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906b)는 RF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무선 기기 구조는 도 9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기기에 대해서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새로운 통신 시스템(e.g. 5G system, 5GS)에서 단말은 비-3GPP 액세스(non-3GPP access)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기존 통신 시스템에서 비-3GPP 액세스는 유저 플레인에 기초한 별도의 통로를 통해 접근될 수 있었으나, 새로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비-3GPP 액세스를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경우, 단말은 N3IWF을 통해 5GS로의 접속을 지원받을 수 있다.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단말이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를 통해 5GS로의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은 N3IWF를 통해 접속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때, N3IWF는 비-3GPP 액세스와 5GS 간의 인터워킹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3IWF는 AMF와 제어 시그널링을 수행하고, 데이터 전송을 위해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존 비-3GPP 액세스에서는 트래킹 에리어(tracking area, TA) 관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었다. 일 예로, 단말이 비-3GPP 액세스 영역 내에 위치하면 연결 상태가 되고, 비-3GPP 액세스 영역 외에 위치하면 휴지 상태일 수 있었다. 여기서, 기존 시스템에서 비-3GPP 액세스와 3GPP 액세스가 구별되어 단말이 비-3GPP 액세스 영역 외에서 페이징이나 그 밖의 동작을 통해 연결 지원이 불가능하므로 비-3GPP 액세스에 대해서는 TA 관리가 수행되지 않고, 하나의 TA만이 주어질 수 있었다.
또한, 일 예로,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는 TA들의 집합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에 대한 TA가 변경되더라도 동일한 RA 내인 경우에는 TA 업데이트 절차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단말에 대한 각각의 구성이나 파라미터들은 RA에 기초하여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새로운 통신 시스템(e.g. 5GS)에서 통합 비-3GPP 액세스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비-3GPP 액세스도 LTE나 NR과 유사하게 5GS의 하나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비-3GPP 액세스를 고려하여 AS 절차 및 NAS 절차가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비-3GPSS 액세스에 대한 AS 절차 및 NAS 절차는 본 발명 전에 개시된 3GPP TS 23.501, TS 23.502, TS 24.501 및 TS 24.502 문서를 참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새로운 통신 시스템에서는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가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동일한 물리 네트워크 하부 구조에서 가상화된 독립적인 논리망의 다중화를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서비스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분리되는 각각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비-3GPP 액세스도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허용되는 (Allowed) NSSAI(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및 거절되는 (Rejected) NSSAI도 상술한 RA 단위로 관리될 수 있다. 즉, RA가 동일한 경우, 허용되는 NSSAI가 동일하게 지원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새로운 통신 시스템에서 비-3GPP 액세스가 통합 적용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관련하여 각각의 액세스 타입별로 NSSAI가 독립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즉, 비-3GPP 액세스 및 3GPP 액세스 각각에 대한 NSSAI가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면, 비-3GPP 액세스에 대해서 단일 RA가 할당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새로운 통신 시스템(e.g. 5G system, 5GS)에서는 다양한 비-3GPP 액세스(e.g. untrusted non-3gpp access, trusted non-3gpp access, wireline non-3gpp access) 방식이 도입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하나의 비-3GPP 액세스 형태를 고려할 수 있었으나, 새로운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비-3GPP 액세스를 고려할 수 있게 되었다. 일 예로, 비-3GPP 액세스로써 비-신뢰 비-3GPP 액세스는 WiFi처럼 운영자에 의해 동작되지 않는 액세스로써 N3IWF에 기초하여 5GS로의 접속이 지원될 수 있다. 반면, 비-3GPP 액세스로써 신뢰 비-3GPP 액세스는 5GS 네트워크 운영자가 운영하는 액세스로써 TNGF(trusted non-3GPP gateway function)에 기초하여 5GS로의 접속이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비-3GPP 액세스로써 유선 비-3GPP 액세스는 고정된 유선 라인에 대한 액세스로써 W-AGF(wireline access gateway function)에 기초하여 5GS로의 접속이 지원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비-3GPP 액세스 방식이 다양할 수 있다. 여기서, 기존 시스템에서는 비-3GPP 액세스에 대해 단일 RA 및 이에 대응되는 슬라이스만 지원 가능하므로 다양한 방식의 비-3GPP 액세스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에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즉, 다양한 방식의 비-3GPP 액세스를 기존처럼 하나로 관리하면 관리에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새로운 통신 시스템에서는 비-3GPP 액세스 방식마다 각각의 TAI(tracking area identifier)가 할당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존에는 비-3GPP 액세스에 대해서 하나의 TAI가 할당될 수 있었던 것과 상이하게 비-3GPP 액세스 방식마다 각각의 TAI가 할당될 수 있다. 이때, AMF는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한 각각의 펑션(e.g. N3IWF, TNGF(trusted non-3GPP gateway function), W-AGF(wireline access gateway function))으로부터 TAI에 기초하여 지원되는 S-NSSAI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표 1과 같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정보는 액세스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제공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즉, 비-3GPP 액세스 방식에 기초하여 상이한 TAI가 할당될 수 있으며, 상이한 TAI에 기초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구성이 설정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비-3GPP 액세스를 세분화하여 TAI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일 예로, 단말이 3GPP 액세스를 통해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경우, AMF는 RA에 기초하여 TAI 리스트에 포함된 TA 셋을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AMF가 단말에 RA를 할당한 경우, 단말은 AMF로부터 RA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RA와 관련된 정보는 이동 패턴, 허여된 영역 및 금지된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AMF는 서빙 영역으로써 모든 PLMN에 대한 RA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PLMN 내에서 비-3GPP 액세스 타입별로 TAI가 할당될 수 있다. 이때, 비-3GPP 액세스 각각에 대한 TAI 값들은 N2 구성 절차에 기초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네트워크로 등록하는 경우, AMF는 단말에게 RA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RA는 단말이 5GS로 등록할 수 있는 각각의 펑션에 대응되는 TAI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3GPP 액세스 각각에 대한 TAI 값들은 N2 구성 절차에 기초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N2 구성 절차에서 AMF는 하기 표 2의 정보를 액세스 노드로 제공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또 다른 일 예로, 동일한 비-3GPP 액세스 방식 내에서도 복수 개의 TAI가 할당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N3IWF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N3IWF에 대한 각각의 TAI가 할당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동일한 N3IWF에 대해서 복수 개의 TAI가 할당될 수 있다.
상술한 상황에서, 단말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에 등록되는 경우, 단말은 단말이 가지고 있는 RA에 대해 TAI1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 뿐,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후, 단말이 비-3GPP 액세스에 대해서 휴지 상태로 천이하였다가 다시 연결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연결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3GPP 액세스에 기초한 경우, 단말은 기지국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되는 TAI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반면, 비-3GPP 액세스에서는 TAI 정보가 브로드캐스트되지 않으므로 단말은 현재 자신이 위치한 TAI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단말의 이동에 기초하여 RA를 벗어나 다른 TA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비-3GPP 액세스로부터 TAI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단말은 RA를 벗어나더라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이동에 기초하여 새로운 N3IWF는 단말에 대한 IKE 터널 설정(IKE tunnel setup)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NAS 메시지를 AMF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TAI는 새로운 TAI로써 TAI2가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 뿐,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AMF는 기존에 할당했던 단말의 RA에 대한 TAI(TAI1)와 상이한 TAI(TAI2)를 통해서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었으므로 단말의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지 않고, 오작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3GPP 액세스의 경우, 단말은 브로드캐스트되는 TAI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업데이트를 수행하므로 상술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나, 비-3GPP 액세스의 경우에는 TAI가 브로드캐스트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단말의 이동에 기초하여 TAI가 변경된 경우, 단말은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할 수 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고,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비-3GPP 액세스 방식(e.g. untrusted / trusted / wireline) 내에서 복수 개의 TA를 구성하는 경우, 단말은 RA를 벗어난 상태에서 서비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새로운 N3IWF 선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NAS 시그널링 전송을 위한 IKE 터널(IKE tunnel)을 생성하여 서비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AMF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해 단말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컨텍스트에 저장된 RA에 서비스 요청이 전달된 TA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AMF는 서비스 요청의 TA를 고려하여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AMF는 단말의 컨텍스트에 저장된 RA를 바탕으로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location update)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컨텍스트에 저장된 RA에 서비스 요청이 전달된 TA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AMF는 RA 업데이트 절차에서 수행하는 위치 업데이트 절차를 서비스 요청 절차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AMF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단말 컨텍스트의 RA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RA에 기초하여 허여되는 NSSAI, 거절되는 NSSAI 및 해당 S-NSSAI 제거에 따른 PDU 세션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AMF는 서비스 허여(service accept) 메시지를 통하여 PDU 세션의 동기화 결과를 PDU 세션 상태(PDU session status) IE를 통해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AMF는 TAI 리스트(RA 정보), 허여된 NSSAI 및 거절된 NSSAI 정보를 서비스 허여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의 컨텍스트에 저장된 RA에 서비스 요청이 전달된 TA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AMF는 단말 구성 업데이트 (UE configuration update) 절차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의 컨텍스트에 저장된 RA에 서비스 요청이 전달된 TA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AMF는 RA 업데이트 절차에서 수행하는 위치 업데이트를 서비스 요청 절차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AMF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단말 컨텍스트의 RA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RA에 기초하여 허여되는 NSSAI, 거절되는 NSSAI 및 해당 S-NSSAI 제거에 따른 PDU 세션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AMF는 단말의 NAS 시그널링 연결이 수행된 상태에서 구성 업데이트 명령(configuration update command)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는 위치 업데이트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에 기초하여 위치 업데이트 결과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 내의 IE(information element)는 상술한 TAI 리스트 정보, RA에 기초하여 허여되는 NSSAI 및 거절되는 NSSA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허여되는 NSSAI 변경에 기초하여 PDU 세션이 해제되는 경우, AMF는 서비스 허여 메시지 내의 PDU 세션 상태 IE에 해당 정보를 반영하여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AMF는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AMF는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우선 전송하고, 이후 단말 구성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의 컨텍스트에 저장된 RA에 서비스 요청이 전달된 TA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AMF는 RA에 포함되지 않는 TA를 통해 단말이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였으므로 단말의 위치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AMF는 RA에 포함되지 않는 TA를 통해 단말이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였으므로 단말의 서비스 요청을 거절하고, 서비스 거절(service reject)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서비스 거절 메시지는 단말의 컨텍스트에 저장된 RA에 서비스 요청이 전달된 TA가 포함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새로운 거절이유(New 5GMM cause)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새로운 거절 값(cause value)이 상술한 상황에 기초하여 단말의 컨텍스트에 저장된 RA에 서비스 요청이 전달된 TA가 포함되지 않음을 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상술한 거절 값을 통해 단말의 컨텍스트에 저장된 RA에 서비스 요청이 전달된 TA가 포함되지 않음에 기초하여 서비스 요청이 거절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서비스 거절 메시지는 단말이 RA를 벗어났음을 지시하는 지시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거절 메시지는 단말이 새로운 등록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정보들은 서비스 거절 메시지에서 새로운 IE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즉, RA를 벗어났음을 지시하는 지시자 정보 및 단말의 새로운 등록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지시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새로운 IE 형태로 서비스 거절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정보들은 IE 내의 비트/플래그(bit/flag) 형태로 포함되어 지시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이 상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NAS 시그널링 연결 및 IKE 시그널링을 해제하여 휴지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5GU 상태 (5G Update Status)는 "5U2: not updated"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등록 (registra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등록 요청 메시지의 5GS 등록 타입 IE(registration type IE)는 초기 요청(initial request) 또는 이동성 등록 업데이팅(mobility registration updating)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이 연결 모드로 천이한 후 전송할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follow-on request bit"를 제 1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값은 단말이 연결 모드로 천이한 후 전송할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존재함을 지시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N3IWF와 새로운 IKE 터널을 생성하고, NAS 메시지를 AMF로 전달할 수 있다. 그 후, AMF는 등록 요청에 따라 위치 업데이트(location update), 단말 컨텍스트 업데이트(UE context update) 및 허여된/거절된 NSSAI를 재할당하고, 재할당된 NSSAI에 기초하여 PDU 세션의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AMF는 새로운 RA 정보 (TAI list), 허여된 NSSAI(allowed NSSAI), 거절된 NSSAI(rejected NSSAI) 및 PDU 세션 상태(PDU session statu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허여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이 "follow-on request bit"를 제 1 값으로 설정하여 요청한 경우, AMF는 등록 절차 이후에 NAS 신호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단말은 등록 허여 메시지를 처리하고, 비-3GPP 액세스에 대한 RA 및 NSSAI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IKE 시그널링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등록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때, 등록 요청의 5GS 등록 타입 IE(registration type IE)는 초기 요청(initial request) 또는 이동성 등록 업데이팅(mobility registration updating)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이 연결 모드로 천이한 후 전송할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follow-on request bit"를 제 1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값은 단말이 연결 모드로 천이한 후 전송할 데이터나 시그널링이 존재함을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의 컨텍스트에 저장된 RA에 서비스 요청이 전달된 TA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AMF는 단말의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는 재-등록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재-등록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정보는 “registration requested”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는 새로운 TAI 정보를 포함하는 TAI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ACK 메시지로써 구성 업데이트 완료(configuration update complete) 메시지를 AMF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AMF는 단말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기 전에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AMF는 단말의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IKE 시그널링 및 NAS 시그널링을 모두 해제하여 휴지 상태로 천이한 후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IKE 시그널링 및 NAS 시그널링을 유지한 상태에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의 재-등록을 지시하는 정보는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 대신 서비스 허여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AMF가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 후에 단말의 등록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등록을 해제하는 메시지에 단말의 재-등록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에서 적용되는 단말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은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5GS로 등록할 수 있다.(S1010) 이때, 도 1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비-3GPP 액세스에는 비-3GPP 액세스 방식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TAI가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5GS에 등록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컨텍스트의 RA에는 비-3GPP 액세스에 할당된 복수의 TAI들 중 특정 TAI가 할당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020) 그 후, 단말은 비-3GPP 액세스에 대해 연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030) 이때, 일 예로, 등록된 단말의 컨텍스트의 RA는 제 1 TAI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이동에 기초하여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비-3GPP 액세스는 TAI를 브로드캐스트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의 이동성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이 제 2 TAI에 기초하여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상황에서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는 서비스 절차 내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단말은 업데이트된 위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040)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단말은 AMF로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고, AMF는 변경된 제 2 TAI에 기초하여 서비스 요청 절차 내에서 단말의 등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등록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경우, 변경된 제 2 TAI에 기초하여 단말의 컨텍스트의 RA가 업데이트되고, 업데이트된 RA에 기초하여 허여되는 NSSAI 및 거절되는 NSSAI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허여되는 NSSAI 및 거절되는 NSSAI에 기초하여 PDU 세션 해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수신하되, 서비스 허여 메시지는 PDU 세션 상태 정보, 업데이트된 RA정보, 허여되는 NSSAI 정보 및 거절되는 NSSAI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업데이트된 위치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에서 적용되는 단말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은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5GS로 등록할 수 있다.(S1110) 이때, 도 1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비-3GPP 액세스에는 비-3GPP 액세스 방식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TAI가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5GS에 등록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컨텍스트의 RA에는 비-3GPP 액세스에 할당된 복수의 TAI들 중 특정 TAI가 할당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120) 그 후, 단말은 비-3GPP 액세스에 대해 연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30) 이때, 일 예로, 등록된 단말의 컨텍스트의 RA는 제 1 TAI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이동에 기초하여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비-3GPP 액세스는 TAI를 브로드캐스트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의 이동성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이 제 2 TAI에 기초하여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상황에서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변경된 제 2 TAI에 기초하여 AMF부터 서비스 거절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140) 이때, 서비스 거절 메시지는 거절이유 정보, 제 1 지시자 정보 및 제 2 지시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절이유 정보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단말이 비-3GPP 액세스의 RA 내에 위치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거절 값(cause value)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상술한 거절 값에 기초하여 단말이 비-3GPP 액세스의 RA 내에 위치하지 않아 서비스 요청이 거절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시자는 단말이 RA 내에 위치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정보이고, 제 2 지시자는 단말에 새로운 등록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상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NAS 시그널링 연결을 해제하여 휴지 상태로 천이한 후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AMF와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단말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비 신뢰 비-3GPP 액세스, 신뢰 비-3GPP 액세스 및 유선 비-3GPP 액세스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으며, 그 밖의 비-3GPP 액세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5GS에서 비-3GPP 액세스에 대한 복수 개의 TA가 설정된 경우, 단말의 이동성에 따른 위치 업데이트 방법을 통해 단말이 위치 업데이트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에 대한 일례들 또한 본 개시의 구현 방법들 중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일종의 제안 방식들로 간주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또한,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들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일부 제안 방식들의 조합 (또는 병합)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안 방법들의 적용 여부 정보 (또는 상기 제안 방법들의 규칙들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 (예: 물리 계층 시그널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주도록 규칙이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본 개시에서 서술하는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개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들의 일례로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또는 3GPP2 시스템 등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뿐 아니라,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을 응용한 모든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제안한 방법은 초고주파 대역을 이용하는 mmWave, THz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자유 주행 차량, 드론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5G system)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idle)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비-3GPP 액세스에 대해 상기 휴지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이 상기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상기 5GS에 등록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의 상기 RA에 대한 상기 제 1 TAI가 상기 제 2 TAI로 변경된 경우, 상기 AMF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절차 내에서 상기 단말의 등록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기 등록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제 2 TAI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의 상기 RA가 업데이트되고,
    상기 업데이트된 RA에 기초하여 허여되는 (allowed) NSSAI(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및 거절되는 (rejected) NSSAI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허여되는 NSSAI 및 상기 거절되는 NSSAI에 기초하여 PDU(packet data unit) 세션 해제 동작이 수행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서비스 허여 메시지는 PDU 세션 상태 정보, 상기 업데이트된 RA정보, 상기 허여되는 NSSAI 정보 및 상기 거절되는 NSSAI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AMF로부터 NAS(non access stratum)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구성 업데이트 명령(configuration update command)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는 상기 업데이트된 RA정보, 상기 허여되는 NSSAI 정보 및 상기 거절되는 NSSAI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허여되는 NSSAI 및 상기 거절되는 NSSAI에 기초하여 PDU 세션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PDU 세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상기 AMF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변경된 상기 제 2 TAI에 기초하여 상기 AMF부터 서비스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거절 메시지는 거절이유 정보, 제 1 지시자 정보 및 제 2 지시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이유 정보는 상기 제 2 TAI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비-3GPP 액세스의 상기 RA 내에 위치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거절사유 값(cause value)를 포함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자는 상기 단말이 상기 RA 내에 위치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 2 지시자는 상기 단말에 새로운 등록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정보인,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 2 지시자에 기초하여 NAS 시그널링 연결을 해제하여 휴지 상태로 천이한 후에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AMF와 NAS 시그널링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재 등록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된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에 기초하여 등록 절차를 다시 수행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에 대한 재 등록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허여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허여 메시지에 기초하여 등록 절차를 다시 수행하는,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동작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5G system)에 등록하고,
    상기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idle) 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비-3GPP 액세스에 대해 상기 휴지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단말이 상기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상기 5GS에 등록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단말.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단말이 5GS(5G system)로 등록되는 단계; 및
    상기 비-3GPP 액세스가 휴지(idle)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는 단말에 기초하여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5GS에 등록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위치 업데이트 방법.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동작은: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단말을 5GS(5G system)로 등록시키고,
    휴지(idle)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는 단말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가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비-3GPP 액세스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5GS에 등록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네트워크.
  18.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들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5G system)에 등록하고,
    상기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idle) 상태로 천이하고, 및
    상기 비-3GPP 액세스에 대해 상기 휴지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장치가 상기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상기 5GS에 등록하는 경우, 상기 장치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장치.
  19.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computer-readable medium)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executabl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S(5G system)에 등록하고,
    상기 비-3GPP 액세스에 대해 휴지(idle) 상태로 천이하고, 및
    상기 비-3GPP 액세스에 대해 상기 휴지 상태에서 연결(connected)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장치가 상기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상기 5GS에 등록하는 경우, 상기 장치의 컨텍스트의 등록 영역(registration area, RA)에 대한 TAI(tracking area identification)는 제 1 TAI로 설정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절차는 제 2 TAI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37026380A 2021-01-25 2022-01-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업데이트 방법 및장치 KR202301327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0314 2021-01-25
KR1020210010314 2021-01-25
PCT/KR2022/001222 WO2022158928A1 (ko) 2021-01-25 2022-01-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797A true KR20230132797A (ko) 2023-09-18

Family

ID=8254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380A KR20230132797A (ko) 2021-01-25 2022-01-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업데이트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284082A1 (ko)
KR (1) KR20230132797A (ko)
WO (1) WO20221589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2630A1 (zh) * 2019-06-17 2020-12-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确定、发送策略的方法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84082A1 (en) 2023-11-29
WO2022158928A1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99431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注册终端的方法及其设备
US1193733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lternative data over non-access stratum, donas, data delivery in a roaming scenario
US11159976B2 (en) Handling of mapped EPS bearer context for invalid QoS flow description
EP3627793A1 (en) Sess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1284458B2 (en) Handling of mapped EPS bearer context with duplicate EPS bearer ID
WO2021070086A1 (en) Ue controlled pdu sessions on a network slice
US11877351B2 (en) Provision GPSI pertaining to PDU session(s)
US20220361054A1 (en) Method for moving pdu session on non-3gpp to 3gpp access
US20230189208A1 (en) Processing method of amf for supporting multiple usims
US11153925B2 (en) Handling of QoS flow description without valid EPS bearer context
CN115039390B (zh) 通信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3013279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업데이트 방법 및장치
EP42621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247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voking user equipment authent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396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user equipment authent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9207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등록 관리 방법 및 장치
EP42806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340252A1 (en) Terminal operat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3838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1963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homogeneous slice support
EP427111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401554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qos flow based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2170798A1 (zh) 确定策略的方法和通信装置
EP4325917A1 (en) Terminal operat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015973A1 (zh) 一种网络切片准入控制方法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