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693A - A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n the blockchain environment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n the blockchain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693A
KR20230131693A KR1020220028909A KR20220028909A KR20230131693A KR 20230131693 A KR20230131693 A KR 20230131693A KR 1020220028909 A KR1020220028909 A KR 1020220028909A KR 20220028909 A KR20220028909 A KR 20220028909A KR 20230131693 A KR20230131693 A KR 20230131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ield
integrated
field value
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693A/en
Publication of KR2023013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69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06F16/1834Distributed file systems implemented based on peer-to-peer networks, e.g. gnutell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82Tablespace storage structures; Manage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은,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ption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n the blockchain environment}{A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n the blockchain environment}

본 발명은 블록체인 환경에서의 데이터 처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ata processing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블록체인은 분포식 데이터 저장, 포인트 투 포인트 전송, 합의 메커니즘, 암호화 알고리즘 등 컴퓨터 기술의 신형 응용 모드이다. 블록체인은 공개적이고 투명하며 변조(tamper)가 불가능한 특징으로 인해, 금융, 추적, 보험 등 분야에서 점점 널리 응용되고 있다.Blockchain is a new application mode of computer technology, including distributed data storage, point-to-point transmission, consensus mechanism, and encryption algorithm. Blockchain is being increasingly widely applied in fields such as finance, tracking, and insurance due to its open, transparent, and tamper-proof characteristics.

블록체인 기술은 최초의 비트코인 시스템에서 이더리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예를 들어 폴카닷(Polkadot), 코스모스(Cosmos) 등 지분 증명(Proof of Stake, PoS) 합의 메커니즘에 기반한 신형 블록체인 기술과 같이 보다 우수한 기술을 사용한 블록체인 시스템들이 줄줄이 생성되었다.Blockchain technology is continuously evolving, from the first Bitcoin system to Ethereum, and recently, for example, Polkadot and Cosmos, based on the Proof of Stake (PoS) consensus mechanism. Blockchain systems using better technologies, such as new blockchain technology, have been created one after another.

그러나, 기존의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가 어렵다. 또한, 대량의 데이터를 이더리움에 저장하고 사용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고, 대량의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때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공개형 블록체인의 경우 데이터 저장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store large amounts of data on the existing Ethereum blockchain. In addition, there is no way to store and use large amounts of data in Ethereum, it takes a lot of time to store large amounts of data in blockchain, and in the case of public blockchains, data storage costs are high.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22212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2221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the Ethereum blockchain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구분자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필드별로 통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ing data by field using a separator and storing it in a blockchain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구분자와 위치 정보를 통해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data through a identifier and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은, (a)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필드별로 상기 제1 데이터의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필드값을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통합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에 필드별로 통합된 상기 제1 데이터의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필드값은 구분자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a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acquiring first data and second data; (b) generating integrated data by integrating field values of the first data and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for each field; (c) storing the integrated data in a blockchain network; wherein the field values of the first data and the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integrated by field in the integrated data may be distinguished by a separator.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는, 제1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1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1 필드값을 통합한 제1 통합 필드값을 생성하고, 제2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2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2 필드값을 통합한 제2 통합 필드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합 필드값과 제2 통합 필드값을 포함하는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tep (b) generates a first integrated field value that integrates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for the first field, and generates a first integrated field value of the first field. Generating a second integrated field value by integrating a second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a second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and generating the integrated data including the first integrated field value and the second integrated field value.

실시예에서, 상기 구분자는, 상기 제1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1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1 필드값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2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2 필드값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parator is located between a first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a first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with respect to the first field, and a second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eld. It may be located between a field value and a second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개수는, 상기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number of data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data.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데이터의 ID(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1 데이터의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통합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에 포함된 필드별 통합 필드값을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의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필드별 통합 필드값에 포함된 상기 제1 데이터의 각 필드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필드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the blockchain environment includes, after step (c), the first data for the integrated data using the ID (identification) of the first data. Requesting an inquiry; According to the request, determining integrated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ata; dividing integrated field values for each field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using the separator; determining each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included in the integrated field value for each field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corresponding to the ID of the first data; and searching the first data based on each field value.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획득하고, 필드별로 상기 제1 데이터의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필드값을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합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에 필드별로 통합된 상기 제1 데이터의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필드값은 구분자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 data processing device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quires first data and second data, and integrates the field values of the first data and the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for each field.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data;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integrated data to a blockchain network, wherein field values of the first data and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integrated by field in the integrated data may be distinguished by a separator.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1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2 필드값을 통합한 제1 통ㅎ압 필드값을 생성하고, 제2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2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2 필드값을 통합한 제2 통합 필드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통합 필드값과 제2 통합 필드값을 포함하는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first integrated field value that integrates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for the first field, and generates a first integrated field value in the second field. Generating a second integrated field value by integrating a second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a second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and the integrated data including the first integrated field value and the second integrated field value can be created.

실시예에서, 상기 구분자는, 상기 제1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1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1 필드값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2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2 필드값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parator is located between a first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a first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with respect to the first field, and a second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eld. It may be located between a field value and a second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개수는, 상기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number of data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data.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데이터의 ID(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1 데이터의 조회를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통합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구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에 포함된 필드별 통합 필드값을 분할하며, 상기 제1 데이터의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필드별 통합 필드값에 포함된 상기 제1 데이터의 각 필드값을 결정하며, 상기 각 필드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requests inquiry of the first data for the integrated data using the ID (identification) of the first data, and the control unit responds to the first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determine integrated data, divide integrated field values for each field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using the separator, and integrate each field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corresponding to the ID of the first data. Each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included in the field value is determined, and the first data can be searched based on each field valu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Specific detail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ives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ttached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those skilled in the art (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inventi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저장시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required for data storage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속도가 향상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storage speed can be improved and the load on the blockchain network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storage spac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공유의 투명성, 편의성 증대 및 신규 비즈니스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toring data in a blockchain network, it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ransparency and convenience of data sharing and creating new businesse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potential effects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분할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분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system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integration method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integration process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division method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division process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data processing device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The various features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claims may be better understood by consideration of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 apparatus, method, manufacturing method, and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e disclosed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are inten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specifically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disclosed terms and sentences are intended to easily explain various features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system 100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서버(11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data processing system 100 may include a server 110 and a blockchain network 120.

서버(110)는 구분자를 이용하여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합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저장할 수 있다.The server 110 may generate integrated data by integrating data using a separator, and store the integrated data in the blockchain network 120.

또한, 서버(110)는 구분자와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대하여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rver 110 can query data on the blockchain network 120 through the identifie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ata.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는 전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ata may include power data,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a variety of data.

일 실시예에서,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112), 데이터 통합 모듈(114) 및 데이터 분할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rver 110 may include a database (DB) 112, a data integration module 114, and a data partitioning module 116.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12)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의 통합 및 분할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atabase 112 stores data and may store information necessary for integrating and dividing data.

데이터 통합 모듈(114)은 데이터베이스(112)로부터 추출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구성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 integration module 114 can integrate data extracted from the database 112 and store it in the blockchain network 120.

데이터 분할 모듈(116)은 데이터를 요청하여 통합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로부터 조회하며, 통합 데이터로부터 요청한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The data splitting module 116 may request data, query the integrated data from the blockchain network 120, and separate the requested data from the integrated data.

일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blockchain network 120 may include a smart contract 122. In one embodiment, blockchain network 120 may include the Ethereum blockchain network.

스마트 컨트랙트(12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배포되어 있으며, 데이터 저장 기능과 데이터 조회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mart contract 122 is distributed on the blockchain network 120 and may consist of a data storage function and a data search function.

스마트 컨트랙트(12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20)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일종이며, 조건에 부합하면 계약 내용이 이행되는 디지털 계약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Smart contract 122 is a type of program that runs on the blockchain network 120, and can refer to a digital contract method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are fulfilled when conditions are met.

일 실시예에서, 폐쇄형 블록체인에서는 저장 비용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없지만, 공개형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저장한다면 저장비용을 고려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시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storage costs in a closed blockchain, but if data is stored in a public blockchain, storage costs are considered, 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s required for data storage can be reduced.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속도가 향상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storage speed can be improved and the load on the blockchain network 120 can be reduced.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storage spac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공유의 투명성, 편의성 증대 및 신규 비즈니스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ing data in the blockchain network 120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ransparency and convenience of data sharing and creating new busines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integration method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integration process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3을 참고하면, S201 단계는 서버(110)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저장할 전력 데이터를 추출하고 정렬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체적인 데이터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step S201 is a step of extracting and sorting power data to be stored in the blockchain network 120 by the server 110. In one embodiment, the overall number of data can be confirmed.

S203 단계는 서버(110)에 의해 추출한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이다. 통합 데이터의 수는 설정된 대로 실행되며, 데이터 통합은 구분자(예: ‘|’)를 포함하여 각각의 데이터 속성(즉, 필드) 별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데이터는 ‘데이터속성 : 데이터|데이터|...|데이터’의 형식으로 변환되어 생성될 수 있다. Step S203 is a step of integrating data extracted by the server 110. The number of integrated data is executed as set, and data integration can be performed for each data attribute (i.e. field), including delimiters (e.g. ‘|’). In one embodiment, integrated data may be generated by being converted to the format of ‘data attribute: data|data|...|data’.

즉, 각각의 데이터를 필드별로 합치되 구분자(‘|’)를 통해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통합할 수 있는 통합 사이즈(Merge Size)가 달라질 수 있다.In other words, each data can be combined by field but separated using a separator (‘|’). In this case, the merge size that can be integrated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data.

S205 단계는 서버(110)에 의해 통합된 통합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배포된 데이터 저장용 스마트 컨트랙트(122)를 호출하고 통합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tep S205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integrated data integrated by the server 110 to the blockchain network 120. The smart contract 122 for data storage distributed on the blockchain network 120 can be called and the integrated data can be stored.

S207 단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의해 수신한 통합 데이터를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에 기록하는 단계이다. Step S207 is a step of creating a transaction using the integrated data received by the blockchain network 120 and recording it in a block.

S209 단계는 서버(110)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저장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ID1, ID2, TX, CONTRACT ADDRESS, ABI, 데이터 수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ID1과 ID2는 S203단계에서 저장한 Key값을 의미하며, 전력데이터는 Meter ID와 Date Time을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 Step S209 is a step in which the results stored in the blockchain network 120 by the server 110 are stored in the database. For example, ID1, ID2, TX, CONTRACT ADDRESS, ABI, and data number can be stored. Here, ID1 and ID2 mean the key value saved in step S203, and Meter ID and Date Time can be used as identifiers for power data.

따라서, ID1는 'MeterId| MeterId|...|MeterId' 로 되며, ID2는 ‘dateTime|dateTime| ...|dateTime' 으로 저장될 수 있다. Therefore, ID1 is 'MeterId| It becomes ‘MeterId|...|MeterId’, and ID2 is ‘dateTime|dateTime| ...|dateTime'.

예를 들어, ABI(Application Binary Interface)는 두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를 하는 역할, 스마트 컨트랙트(122) 내의 함수를 호출하거나 스마트 컨트랙트(122)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For example, ABI (Application Binary Interface) may serve as an interface between two programs, call a function within the smart contract 122, or indicate a method of obtaining data from the smart contract 12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분할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분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의 각 단계는 도 1의 서버(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division method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division process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each step of FIG. 4 may be performed by the server 110 of FIG. 1.

도 4 및 5를 참고하면, S401 단계는 서버(110)에 의해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다. 데이터 식별 KEY를 이용해서 검색하게 되며, 전력데이터에서는 Meter Id와 Date Time이 될 수 있다. 즉, 특정 데이터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step S401 is a step of requesting data from the server 110. Search is performed using the data identification KEY, and in power data, it can be Meter Id and Date Time. In other words, you can request to view specific data.

S403 단계는 식별 KEY로 데이터베이스(112)에서 저장된 데이터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ID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12)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한 정보를 기준으로 몇 번째 구분자에 요청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Step S403 is a step of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12 using an identification key. In one embodiment, database 112 can be searched via input ID. Based on the searched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in which identifier the requested data exists.

S405 단계는 S403 단계에서 검색한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S403 단계에서 검색한 결과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의 데이터를 조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1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20)로부터 통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tep S405 is a step of querying data on the blockchain network 120 using the information retrieved in step S403. In one embodiment, the search results in step S403 can be used to query data in the blockchain network 120. In one embodiment, server 110 may receive integrated data from blockchain network 120.

S407 단계는 통합 데이터를 분할하여 요청한 데이터만 추출하는 단계이다. 구분자를 통해 데이터를 분리한 다음 S403 단계에서 얻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된 데이터의 ID에 기반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된 데이터의 ID가 3이고, 데이터베이스(112)로부터 검색된 통합 데이터가 ‘1|2|3| ...|10’ 인 경우의 위치 정보는 3일 수 있다. Step S407 is a step to divide the integrated data and extract only the requested data. After separating the data using a separator, the corresponding data can be extrac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S403. In one embodiment, location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based on the ID of the requested data. For example, the ID of the requested data is 3, and the integrated data retrieved from the database 112 is ‘1|2|3| In the case of ...|10',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3.

S407 단계는 S401 단계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요청한 전력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Step S407 is a step to query the data requested in step S401. For example, you can check the requested power data.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12)의 테이블은 아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able of the database 112 may be represented as <Table 1> below.

Column NameColumn Name Data TypeData Type NullableNullable Primary KeyPrimary Key ID1ID1 VARCHAR2(500)VARCHAR2(500) NN YY ID2ID2 VARCHAR2(500)VARCHAR2(500) NN YY CONTRACT
ADDRESS
CONTRACT
ADDRESS
VARCHAR2(42)VARCHAR2(42) NN
ABIABI CLOBCLOB NN MERGE_SIZEMERGE_SIZE NUMBER(3,0)NUMBER(3,0) N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의 각 단계는 도 7의 데이터 처리 장치(7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each step of FIG. 6 may be performed by the data processing device 700 of FIG. 7.

도 6을 참고하면, S601 단계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이다.Referring to FIG. 6, step S601 is a step of acquiring first data and second data.

S603 단계는 필드별로 제1 데이터의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필드값을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Step S603 is a step of generating integrated data by integrating the field values of the first data and the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for each field.

일 실시예에서, 통합 데이터에 필드별로 통합된 제1 데이터의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필드값은 구분자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eld values of the first data and the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integrated by field in the integrated data may be distinguished by a separator.

일 실시예에서, 제1 필드에 대하여 제1 데이터의 제1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제1 필드값을 통합한 제1 통합 필드값을 생성하고, 제2 필드에 대하여 제1 데이터의 제2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제2 필드값을 통합한 제2 통합 필드값을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first integrated field value is generated by integrating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for the first field, and the second integrated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is generated for the second field. A second integrated field value that integrates the field value and the second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may be generated.

또한, 제1 통합 필드값과 제2 통합 필드값을 포함하는 통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tegrated data including a first integrated field value and a second integrated field value can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서, 구분자는 제1 필드에 대하여 제1 데이터의 제1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제1 필드값 사이에 위치하고, 제2 필드에 대하여 제1 데이터의 제2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제2 필드값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parato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with respect to the first field, and the second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eld.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field values of .

일 실시예에서,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개수는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number of data included in integrated data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data.

S605 단계는 통합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Step S605 is a step of storing integrated data in the blockchain network 120.

일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의 ID(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통합 데이터에 대한 제1 데이터의 조회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통합 데이터를 결정하고, 구분자를 이용하여 통합 데이터에 포함된 필드별 통합 필드값을 분할하고, 제1 데이터의 ID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 필드별 통합 필드값에 포함된 제1 데이터의 각 필드값을 결정하며, 각 필드값에 기반하여 제1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n inquiry of the first data for integrated data is requested using the ID (identification) of the first data, integrated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at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integrated data is collected using a separator. Divide the integrated field value for each field included in the field, determine each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included in the integrated field value for each fiel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corresponding to the ID of the first data, and determine each field value. The first data can be searched based on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장치(7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7의 데이터 처리 장치(700)는 도 1의 서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data processing device 700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the data processing device 700 of FIG. 7 may include the server 110 of FIG. 1.

도 7을 참고하면, 데이터 처리 장치(700)는 제어부(710), 통신부(720) 및 저장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data processing device 7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710, a communication unit 720, and a storage unit 730.

제어부(710)는 저장부(730)로부터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획득하고, 필드별로 제1 데이터의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필드값을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10 may obtai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from the storage unit 730 and generate integrated data by integrating the field values of the first data and the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for each field.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710)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7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7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71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or microprocessor, or may be part of a processor.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10 may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The control unit 7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7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신부(720)는 통합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20)에 송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720 may transmit integrated data to the blockchain network 120.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720)는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7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ll or part of the communication unit 720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mitter', 'receiver', or 'transceiver'.

저장부(730)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730)는 도 1의 데이터베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730 may store first data and second data. In one embodiment, storage unit 730 may include database 112 of FIG. 1 .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73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730)는 제어부(7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unit 730 may be comprised of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combination of 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730 may provide stored data upon request from the control unit 710.

도 7을 참고하면, 데이터 처리 장치(700)는 제어부(710), 통신부(720) 및 저장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700)는 도 7에 설명된 구성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도 7에 설명된 구성들보다 많은 구성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data processing device 7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710, a communication unit 720, and a storage unit 730.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rocessing device 700 may be implemented with more or fewer configurations than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FIG. 7 because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FIG. 7 are not essential. there i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can be performed in any order,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일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고,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step may be omitted or added to each drawing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or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understoo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데이터 처리 시스템
110: 서버
112: 데이터베이스
114: 데이터 통합 모듈
116: 데이터 분할 모듈
120: 블록체인 네트워크
122: 스마트 컨트랙트
700: 데이터 처리 장치
710: 제어부
720: 통신부
730: 저장부
100: Data processing system
110: server
112: database
114: Data integration module
116: data partition module
120: Blockchain network
122: Smart contract
700: data processing device
710: Control unit
72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730: storage unit

Claims (10)

(a)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필드별로 상기 제1 데이터의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필드값을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통합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에 필드별로 통합된 상기 제1 데이터의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필드값은 구분자에 의해 구분되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
(a) acquiring first data and second data;
(b) generating integrated data by integrating field values of the first data and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for each field;
(c) storing the integrated data in a blockchain network;
Including,
The field values of the first data and the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integrated by field in the integrated data are separated by a separator,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제1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1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1 필드값을 통합한 제1 통합 필드값을 생성하고, 제2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2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2 필드값을 통합한 제2 통합 필드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합 필드값과 제2 통합 필드값을 포함하는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In step (b),
Generating a first integrated field value that integrates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for the first field, and generating a second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for the second field and generating a second integrated field value that integrates the second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and
generating the integrated data including the first integrated field value and the second integrated field value;
Including,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자는, 상기 제1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1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1 필드값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2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2 필드값 사이에 위치하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eparato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with respect to the first field, and the second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eld and the second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with respect to the first field. Located between the second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개수는, 상기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number of data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data,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데이터의 ID(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1 데이터의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통합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에 포함된 필드별 통합 필드값을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의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필드별 통합 필드값에 포함된 상기 제1 데이터의 각 필드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필드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fter step (c) above,
Requesting an inquiry of the first data for the integrated data using the ID (identification) of the first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determining integrated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ata;
dividing integrated field values for each field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using the separator;
determining each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included in the integrated field value for each field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corresponding to the ID of the first data; and
querying the first data based on each field value;
Including,
Data processing method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획득하고,
필드별로 상기 제1 데이터의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필드값을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합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에 필드별로 통합된 상기 제1 데이터의 필드값과 제2 데이터의 필드값은 구분자에 의해 구분되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장치.
Obtaining first data and second data,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integrated data by integrating field values of the first data and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for each field;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integrated data to a blockchain network;
Including,
The field values of the first data and the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integrated by field in the integrated data are separated by a separator,
A data processing device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1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2 필드값을 통합한 제1 통ㅎ압 필드값을 생성하고, 제2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2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2 필드값을 통합한 제2 통합 필드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통합 필드값과 제2 통합 필드값을 포함하는 상기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 unit,
A first integrated field value is generated by integrating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for the first field, and the second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is generated for the second field. Generating a second integrated field value that integrates the field value and the second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Generating the integrated data including the first integrated field value and the second integrated field value,
A data processing device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자는, 상기 제1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1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1 필드값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필드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제2 필드값과 상기 제2 데이터의 제2 필드값 사이에 위치하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장치.
In clause 7,
The separato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and the first field value of the second data with respect to the first field, and the second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eld and the second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with respect to the first field. Located between the second field values of the second data,
A data processing device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개수는, 상기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number of data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data,
A data processing device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데이터의 ID(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1 데이터의 조회를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통합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구분자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에 포함된 필드별 통합 필드값을 분할하며,
상기 제1 데이터의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필드별 통합 필드값에 포함된 상기 제1 데이터의 각 필드값을 결정하며,
상기 각 필드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조회하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할을 통한 데이터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Requesting an inquiry of the first data for the integrated data using the ID (identification) of the first data,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request, determine integrated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ata,
Using the separator, the integrated field value is divided for each field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ata corresponding to the ID of the first data, each field value of the first data included in the integrated field value for each field is determined,
Searching the first data based on each field value,
A data processing device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division in a blockchain environment.
KR1020220028909A 2022-03-07 2022-03-07 A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n the blockchain environment KR202301316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909A KR20230131693A (en) 2022-03-07 2022-03-07 A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n the blockchain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909A KR20230131693A (en) 2022-03-07 2022-03-07 A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n the blockchain enviro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693A true KR20230131693A (en) 2023-09-14

Family

ID=8801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909A KR20230131693A (en) 2022-03-07 2022-03-07 A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n the blockchain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169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212A (en) 2020-12-24 2021-10-08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Transac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program and medium of Ethereum virtual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212A (en) 2020-12-24 2021-10-08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Transac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program and medium of Ethereum virtual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5222B2 (en) Virtual repository management
CN107402988B (en) Distributed NewSQL database system and semi-structured data query method
US8515926B2 (en) Processing related data from information sources
US84637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ulti-population statistical measures using middleware
US10970300B2 (en) Supporting multi-tenancy in a federated data management system
US200902045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grated enterprise search
CN101441688A (en) User authority allocation method and user authority control method
CN107103011B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terminal data search
CN112989412A (en) Data desensitiz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SQL statement analysis
CN115080537B (en) Multi-tenant database separ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chip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377876B (en) Data databas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platform based on Domino platform
CN111984712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6326317A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230131693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through data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n the blockchain environment
US20230153455A1 (en) Query-based database redaction
US9633123B2 (en) Data federation query suggestion
EP2369492A1 (en) Configuration management device, configuration management program, and method
US11645299B2 (en) Data management device and data management method
US20140172834A1 (en) Providing premium access to aggregated data sets
CN115659406B (en) Data access method
CN111949665B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Ioannou et al. Searching web 2.0 data through entity-based aggregation
Shu et al. Canopy-Based Private Blocking
CN118170784A (en) Data query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6756166A (en) Data retrieval service system and method, storage medium and computer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