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508A -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 Google Patents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508A
KR20230131508A KR1020220028464A KR20220028464A KR20230131508A KR 20230131508 A KR20230131508 A KR 20230131508A KR 1020220028464 A KR1020220028464 A KR 1020220028464A KR 20220028464 A KR20220028464 A KR 20220028464A KR 20230131508 A KR20230131508 A KR 20230131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rc
long hole
clos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동일
박기대
Original Assignee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아메카닉스 filed Critical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to KR102022002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508A/en
Publication of KR20230131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5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8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되는 프레임 구조물에 고정설치되는 제1브라켓 ;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브라켓 ; 상기 제1브라켓 양측에 관통형성된 호형 상부 장공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연결핀을 일단에 갖추고 상기 제2브라켓의 상단 양측에 관통형성된 상부 원형공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연결핀을 타단에 갖추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각 상단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재 ; 및 상기 제1브라켓 양측에 관통형성된 호형 하부 장공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연결핀을 일단에 갖추고 상기 제2브라켓의 하단 양측에 관통형성된 하부 원형공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4연결핀을 타단에 갖추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각 하단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재 ;를 포함할 수 있다.
A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is launche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acket fixed to a frame structure coupled to a display device; a second bracket detachably assembled with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wall o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to be mounted; A second connection having a first connection pin at one end rotatably assembled while moving along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and rotatably assembled into the upper circular hole formed through both upper sides of the second bracket. A first connector having a pin at the other en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nd a fourth connection pin at one end rotatably assembled while moving along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and rotatably assembled into the lower circular hole formed through both lower sides of the second bracket. A second connect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n at the other end to connec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Figure P1020220028464
Figure P1020220028464

Description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월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의 배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를 벽면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고, 벽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틸팅시켜 케이블을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연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디스플레이의 시청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wall mount.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can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o that the back of the display is not exposed, and the display can be tilted from the wall to secure space for connecting cables to the back of the display. This relates to a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that can adjust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In general, flat display device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plasma display devices,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s, an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lthough they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light-emitting display devices are attracting attention due to their advantages of mass production technology, ease of driving means, and high-definition implementation.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화 및 대형화됨과 동시에 그 두께도 점점 얇아지고 있으며, 무게도 가벼워지고 있다. As these display devices become higher resolution and larger, their thickness is becoming thinner and lighter.

대형화되고 박형화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월마운트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매개로 하여 거실이나 실내의 벽체에 고정설치하게 되며, 월마운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에 고정설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월마운트의 두께만큼 벽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벽에 고정되었다. Display devices that are becoming larger and thinner are fixed to the wall in the living room or indoors through a separate device such as a wall mount. When the display device is fixed to the wall using a wall mount,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wall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wall mount. It was fixed to the wall in a spaced apart state.

디스플레이 장치가 월마운트에 의해서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과 일체화된 느낌을 사용자에게 주지 못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이 상하좌우 측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외부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When the display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wall by a wall mount, the user is unable to feel that the display device is integrated with the wall, and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is exposed to the user through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aesthetics are not good.

(특허문헌 1) KR 10-2021-0119095 A (Patent Document 1) KR 10-2021-0119095 A

특허문헌 1은 제1연결 브라켓에 마련된 제1경사슬릿 및 제2연결 브라켓에 마련된 제2경사슬릿 각각을 관통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부착되어 제1연결 브라켓 및 제2연결 브라켓 각각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장착시키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Patent Document 1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so as to penetrate each of the first inclined slit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and the second inclined slit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so that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and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 wall-mount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mounted on the back is disclosed.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구비되는 입출력 단자나 전원단자와 같은 단자를 확인하거나 전원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을 단자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완전히 분리해야만 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후 재장착하는 번거로움에 의해서 사용 및 관리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However, in order to check terminals such as input/output terminals or power terminal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or to connect cables such as power cables or communication cables, the display device must be completely removed, making it inconvenient to remove and reinstall the display device. This caused inconvenience in use and management.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하는 응시각도인 시청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이 벽면에 거의 접하거나 밀착된 상태에 틸팅조작이 곤란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각도를 조절하지 못하면서 사용상 불편함으로 초래하였다. When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viewing angle, which is the viewing angle at which the display device is viewed, it is difficult to tilt the display device when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is almost in contact with 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o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cannot be adjusted, causing inconvenience in use. did.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배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를 벽면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고, 벽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틸팅시켜 케이블을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연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거나 디스플레이의 시청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install the display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o that the back of the display is not exposed, and to connect the cable to the back of the display by tilting the display from the wall. We aim to provide a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that can secure space or adjust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되는 프레임 구조물에 고정설치되는 제1브라켓 ;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브라켓 ; 상기 제1브라켓 양측에 관통형성된 호형 상부 장공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연결핀을 일단에 갖추고 상기 제2브라켓의 상단 양측에 관통형성된 상부 원형공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연결핀을 타단에 갖추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각 상단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재 ; 및 상기 제1브라켓 양측에 관통형성된 호형 하부 장공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연결핀을 일단에 갖추고 상기 제2브라켓의 하단 양측에 관통형성된 하부 원형공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4연결핀을 타단에 갖추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각 하단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재 ;를 포함하여, 상기 호형 상부 장공의 하사점에 상기 제1연결핀이 위치되고, 상기 호형 하부 장공의 하사점에 상기 제3연결핀이 위치되는 밀착모드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배면은 상기 벽면에 밀착되고, 상기 호형 상부 장공의 상사점에 상기 제1연결핀이 위치되고, 상기 호형 하부 장공의 상사점에 상기 제3연결핀이 위치되는 틸팅모드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단은 벽면으로부터 멀어져 벌어지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물을 벽면으로부터 틸팅시키는,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racket fixed to a frame structure coupled to a display device; a second bracket detachably assembled with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wall o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to be mounted; A second connection having a first connection pin at one end rotatably assembled while moving along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and rotatably assembled into the upper circular hole formed through both upper sides of the second bracket. A first connector having a pin at the other en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nd a fourth connection pin at one end rotatably assembled while moving along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and rotatably assembled into the lower circular hole formed through both lower sides of the second bracket. A second connecting member equipped with a connecting pin at the other end to connec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in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and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In the close contact mode in which the third connection pin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the back surface of the frame structur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the first connection pin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of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and the upper dead center of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A close tilting type display wall mount is provided in which the frame structure is tilted from the wall surfac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structure is spread away from the wall surface when the third connection pin is positioned at the point.

이때,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후면에 함몰형성되는 배치홈의 바닥면에 교체가능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bracket may be fixedly and replaceab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an arrangement groove recessed in the rear of the frame structure.

이때, 상기 제1브라켓은 제1판체의 양측테두리에 상기 제2브라켓 측으로 절곡되는 한쌍의 제1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제2판체의 양측테두리에 제1브라켓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한쌍의 제1측판과 중첩되는 한쌍의 제2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재는 제3판체의 양측테두리에 상기 제1브라켓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한쌍의 제1측판과 중첩되는 한쌍의 제3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재는 제4판체의 양측테두리에 상기 제2브라켓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한쌍의 제2측판과 중첩되는 한쌍의 제4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bracket includes a pair of first side plates on both edges of the first plate and bent toward the second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s bent toward the first bracket on both edges of the second plate and the pair of side plates. It includes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overlapping with the first side plates,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bent toward the first bracket at both edges of the third plate body to form a pair of third side plates overlapping with the pair of first side plates.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pair of fourth side plates on both edges of the fourth plate body that are bent toward the second bracket and overlap the pair of second side plates.

이때, 상기 호형 하부 장공의 호형길이 및 폭은 상기 호형 상부 장공의 호형 길이 및 폭보다 길고 넓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c-shaped length and width of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may be formed to be longer and wider than the arc-shaped length and width of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제2브라켓과 대응하는 전면에 걸림스토퍼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제2브라켓에는 하부 측으로 개구되도록 절개형성되어 상기 걸림스토퍼와 걸림연결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bracket may have a locking stopper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may include a cut portion formed to open toward the lower side and connected to the locking stopper.

이때, 상기 절개부는 상기 걸림스토퍼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추어 상기 걸림스토퍼가 걸림배치되는 타원 절개부와, 상기 타원 절개부로부터 직하부로 절개되어 상기 걸림스토퍼와 제2브라켓과의 연결부위가 간섭없이 통과하는 직선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t portion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cking stopper and is cut directly below the oval cut portion where the locking stopper is placed,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ocking stopper and the second bracket does not interfere. It may include a straight cut section passing through it.

이때, 상기 제1브라켓은 후면에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중첩시 상기 제2브라켓의 전면에 돌출형성된 상부 접촉부와 탄력적으로 접해지는 제1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bracket may include a first damper in elastic contact with an upper contac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bracket when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overlap on the rear side.

이때, 상기 제2연결재는 후면에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중첩시 상기 제2브라켓의 전면에 돌출형성된 하부 접촉부와 탄력적으로 접해지는 제2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or may include a second damper that elastically contacts a lower contac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bracket when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overlap at the rear.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는 밀착모드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장치과 결합된 프레임 구조물의 배면을 벽면에 밀착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미를 높일 수 있는 한편, 틸팅모드에 의해서 수직한 벽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과 결합된 프레임 구조물을 이격시켜면서 바닥면과 접하지 않도록 프레임 구조물의 하단을 일정각도 벌려 시청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케이블을 간편하게 접속연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hance the appearance by preventing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attaching the back of the frame structure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to the wall in the close contact mode. 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tilting mode, the frame structure combined with the display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wall, and the bottom of the frame structure is opened at a certain angle to avoid contact with the floor to easily adjust the viewing angle and separate the display device from the wall. You can easily connect and connect cables without having to do anything.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와 도 1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를 제1브라켓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a)는 밀착
(b)는 1차 틸팅
(c)는 2차 틸팅상태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를 고정브라켓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a)는 밀착
(b)는 1차 틸팅
(c)는 2차 틸팅상태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의 제1,2연결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밀착
(b)는 1차 틸팅
(c)는 2차 틸팅상태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의 제1,2연결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a)는 밀착
(b)는 1차 틸팅
(c)는 2차 틸팅상태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를 매개로 벽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밀착
(b)는 1차 틸팅
(c)는 2차 틸팅상태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를 매개로 벽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a)는 밀착
(b)는 1차 틸팅
(c)는 2차 틸팅상태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를 벽면의 고정브라켓에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1A and 1B are overal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first bracket;
(a) is close contact
(b) is the first tilting
(c) is the second tilting stat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 fixing bracket;
(a) is close contact
(b) is the first tilting
(c) is the second tilting state.
Figures 4a and 4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of the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close contact
(b) is the first tilting
(c) is the second tilting state.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of the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close contact
(b) is the first tilting
(c) is the second tilting stat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a wall using a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close contact
(b) is the first tilting
(c) is the second tilting state.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a wall using a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close contact
(b) is the first tilting
(c) is the second tilting state.
Figure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fixing bracket on a wall.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in the drawings,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echnical ideas.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configuration may be replaced by various alternatives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A component being “in front,” “rear,” “above,” or “below” another component means that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This includes not only those placed at the “bottom”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component is placed in the middle. In addition, the fact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ncludes not onl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100)는 도 1a 와 도 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D)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200)과 벽면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물을 수직한 벽면에 밀착하거나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시청각도를 가변하기 위해서 프레임 구조물을 틸팅하도록 제1브라켓(10), 제2브라켓(20), 제1연결재(30), 제2연결재(40) 및 고정브라켓(5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frame structure 200 to which the display device D is coupled and installed. A first bracket (10), a second bracket (20), a first connector (30), and a second connector ( 40) and a fixing bracket 50.

상기 제1브라켓(10)은 도 2a, 도 2b, 도 2c,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4a,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되는 프레임 구조물(200)의 후면에 함몰형성되는 배치홈(203)에 고정설치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체구조물이다. The first bracket 10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frame structure 200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S. 2A, 2B, 2C, 3A, 3B, 3C and 4A, 4B. It is a plate structure in the shape of an approximately square plate that is fixed and installed in a recessed arrangement groove 203.

상기 프레임 구조물(200)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과 대응하는 백플레이트(201)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테두리를 감싸도록 상기 백플레이트의 외측테두리에 구비되는 사이드프레임(20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structure 200 includes a back plate 201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a display device, such as a display panel, and a side frame 202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back plate to surround the outer edge of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상기 백플레이트(201)의 후면 상단에는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배치홈(203)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홈(203)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브라켓(10)을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 The rear top of the back plate 201 includes an arrangement groove 203 recessed to a certain depth, and the first bracket 1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arrangement groove 203 using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I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이러한 제1브라켓(10)은 대략 사각판상의 제1판체(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판체의 양측테두리에 상기 제2브라켓(20)측으로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한쌍의 제1측판(12)을 포함할 수 있다. This first bracket 10 includes a first plate body 11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and a pair of first side plates bent at approximately a right angle toward the second bracket 20 on both edges of the first plate body ( 12) may be included.

상기 한쌍의 제1측판(12)에는 상기 제1연결재(30)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2연결핀(33,34)이 각각 연결되는 호형 상부 장공(13)과 호형 하부 장공(14)을 각각 관통형성한다. The pair of first side plates 12 has an arc-shaped upper long hole 13 and an arc-shaped lower long hole 14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ns 33 and 34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0 are connected, respectively. are formed through each.

상기 제2브라켓(20)은 도 2a, 도 2b, 도 2c,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4a,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고자 하는 벽면(W)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50)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체 구조물이다. The second bracket 20 is fixed to the wall W o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to be mounted, as shown in FIGS. 2A, 2B, 2C, 3A, 3B, 3C and 4A, 4B. It is a plate structure in the shape of an approximately square plate that is detachably assembled with the installed fixing bracket 50.

이러한 제2브라켓(20)은 상기 제1판체(11)와 대응하는 대략 사각판상의 제2판체(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판체의 양측테두리에 상기 제1브라켓(10)측으로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측판과 중첩되는 한쌍의 제2측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This second bracket 20 includes a second plate 21 in the shape of an approximately square pla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ate 11, and i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late body toward the first bracket 10. It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22 that are bent at a right angle and overlap the first side plate.

상기 한쌍의 제2측판(22)에는 상기 제2연결재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3,4연결핀(43,44)이 각각 연결되는 상부 원형공(23)과 하부 원형공(24)을 각각 관통형성한다. In the pair of second side plates 22,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on pins 43 and 44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or pass through the upper circular hole 23 and the lower circular hole 24, respectively. form

상기 제2브라켓(20)과 결합되는 고정브라켓(50)은 복수개의 고정나사(53)에 의해서 상기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체구조물이며, 상기 고정나사(53)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각 모서리부에 관통형성되는 수평한 나사연결공(51)을 통하여 벽면(W)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bracket 50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20 is a plate structure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that is fixed to the wall by a plurality of fixing screws 53, and the fixing screw 53 is a part of the fixing bracket. It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wall (W) through horizontal screw connection holes (51) formed through each corner.

이러한 고정브라켓(50)은 상기 제2브라켓(20)과 대응하는 전면에 한쌍의 걸림스토퍼(55)를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설치하고, 상기 제2브라켓(20)의 제2판체(21)에는 하부 측으로 개구되도록 절개형성되어 상기 걸림스토퍼(55)와 걸림연결되는 한쌍의 절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This fixing bracket 50 has a pair of locking stoppers 55 fixed to the fron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acket 20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and the second plate body 21 of the second bracket 20. ) may include a pair of cut portions 25 that are cut to open toward the lower side and are connected to the locking stopper 55.

상기 절개부(25)는 상기 걸림스토퍼(55)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추어 상기 걸림스토퍼가 걸림배치되도록 타원형으로 절개되는 타원 절개부(25a)를 포함하고, 상기 타원 절개부로부터 직하부로 향하여 일직선상으로 절개되어 상기 걸림스토퍼와 고정브라켓와의 연결부위가 간섭없이 통과하도록 직선형으로 절개되는 직선 절개부(25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ut portion 25 includes an oval cut portion 25a that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cking stopper 55 and is cut in an oval shape so that the locking stopper is locked, and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directly downward from the oval cut portion. It may include a straight cut portion 25b that is cut upward to allow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ocking stopper and the fixing bracket to pass without interference.

상기 걸림스토퍼(55)는 상기 고정브라켓(50)의 전면에 제2브라켓 측으로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사각 엠보싱부(56)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일정두께의 원반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ocking stopper 55 is detachably assembled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to a square embossed portion 56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bracket on the front of the fixing bracket 50, and has a certain thickness made of a resin material. It may be made up of a disk body.

상기 걸림스토퍼(55)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브라켓(50)의 전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2브라켓의 제2판체가 삽입되는 간격을 확보하도록 단차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25)의 내측테두리에는 상기 걸림스토퍼의 걸림연결시 상기 단차면과의 밀착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걸림스토퍼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프레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stepped surface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locking stopper 55 to ensure a gap between the front of the fixing bracket 50 and the second plate body of the second bracket, and the inside of the cutout 25 is formed. The edge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locking stopper so as to increase close contact with the step surface when the locking stopper is connected.

이때, 상기 걸림스토퍼(55)가 걸림배치되는 타원 절개부(25a)는 외측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진 형상의 타원형으로 절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val cutout portion 25a, where the locking stopper 55 is locked, is formed in an oval shape inclined upward at a certain angle to the outside.

상기 제1연결재(30)는 도 2a, 도 2b, 도 2c,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4a,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10)을 구성하는 한쌍의 제1측판 상단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된 호형 상부 장공(13)을 따라 안내이동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연결핀(33)을 일단 양측에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20)을 구성하는 한쌍의 제2측판(22)의 상단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된 상부 원형공(23)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연결핀(34)을 타단 양측에 각각 포함하여 상기 제1브라켓(10)의 상단과 상기 제2브라켓(20)의 각 상단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A, 2B, 2C, 3A, 3B, 3C and 4A, 4B,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0 is a pair of connectors constituting the first bracket 10. A pair of first connection pins (33) that are rotatably assembled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s (1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op of the first side plate are provided on both sides, and constitute the second bracket (20). A second connection pin (34) rotatably assembled to the upper circular hole (2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plate (22) is includ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bracket (10) are provided. It may be provided as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each upper end of the second bracket 20.

이러한 제1연결재(30)는 상기 제1브라켓(10)과 대응하는 대략 사각판상의 제3판체(31)를 포함하고, 상기 제3판체의 양측테두리에 제1브라켓 측으로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브라켓에 구비되는 한쌍의 제1측판(12)과 중첩되는 한쌍의 제3측판(32)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3측판(32)의 각 상,하단에는 상기 호형 상부 장공(13)과 상부 원형공(23)에 각각 일대일 대응조립되는 제1,2연결핀(33,34)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This first connecting member 30 includes a third plate body 31 of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acket 10, and is bent at approximately a right angle at both edges of the third plate body toward the first bracket. It includes a pair of third side plates 32 overlapping with a pair of first side plates 12 provided on the first bracket, and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is located at each upper and lower end of the pair of third side plates 32 ( 13) and the upper circular hole 23 may b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ins 33 and 34 respectively assembl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상기 제1연결재(30)의 제3판체(31)와 대응하는 제1브라켓(10)의 제1판체(11) 후면에는 상기 제1브라켓의 제1측판(12)과 상기 제2브라켓의 제2측판(22)간의 중첩시 상기 제2브라켓(20)의 제2판체(21) 전면에 돌출형성된 상부 접촉부(26a)에 탄력적으로 접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댐퍼(15)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plate body 11 of the first bracket 10 corresponding to the third plate body 31 of the first connector 30, the first side plate 12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plate body of the second bracket are provided. When the two side plates 22 overlap, it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damper 15 that elastically contacts the upper contact portion 26a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plate body 21 of the second bracket 20. .

상기 제1댐퍼(15)는 상기 제1브라켓의 제1판체의 후면으로부터 제1연결재 측으로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른 엠보싱부(16)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중공관체(15a)와, 상기 제1중공관체의 내부에 삽입배치되어 외부노출되는 고무소재와 제1탄성체(15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amper 15 is a first hollow pipe body ( 15a), and may include a rubber material and a first elastic body 15b that are inserted and disposed inside the first hollow tube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2연결재(40)는 도 2a, 도 2b, 도 2c,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4a,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10)을 구성하는 한쌍의 제1측판(12) 하단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된 호형 하부 장공(14)을 따라 안내이동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연결핀(43)을 일단 양측에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20)을 구성하는 한쌍의 제2측판(22)의 상단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된 하부 원형공(24)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4연결핀(44)을 타단 양측에 각각 포함하여 상기 제1브라켓(10)의 하단과 상기 제2브라켓(20)의 각 하단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0 is a pair of second connectors constituting the first bracket 10, as shown in FIGS. 2A, 2B, 2C, 3A, 3B, 3C and 4A, 4B. A third connecting pin (43) is rotatably assembled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14) formed through each low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12) on both sides, and the second bracket (20) is provided. The first bracket (10) includes a fourth connecting pin (44)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that is rotatably assembled into the lower circular hole (24) formed through each upper side of the pair of second side plates (22). It may be provided as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lower end of and each lower end of the second bracket 20.

이러한 제2연결재(40)는 상기 제2브라켓(20)과 대응하는 대략 사각판상의 제4판체(41)를 포함하고, 상기 제4판체의 양측테두리에 제2브라켓 측으로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브라켓에 구비되는 한쌍의 제2측판(22)과 중첩되는 한쌍의 제4측판(42)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4측판(42)의 각 상,하단에는 상기 호형 하부 장공(14)과 하부 원형공(24)에 각각 일대일 대응조립되는 제3,4연결핀(43,44)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This second connecting member 40 includes a fourth plate body 41 of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acket 20, and is bent at approximately a right angle at both edges of the fourth plate body toward the second bracket. It includes a pair of fourth side plates 42 overlapping with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22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and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 14) and the lower circular hole 24 may be provided with third and fourth connection pins 43 and 44, respectively, which are assembl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상기 제2브라켓(20)과 대응하는 제2연결재(40)의 제4판체(41) 후면에는 상기 제1브라켓의 제1측판과 상기 제2브라켓의 제2측판간의 중첩시 상기 제2브라켓(20)의 제2판체의 전면에 돌출형성된 하부 접촉부(26b,26c)와 탄력적으로 접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2댐퍼(45)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rear side of the fourth plate body 41 of the second connector 4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acket 20, when the first side plat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second bracket overlap, the second bracket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damper 45 in elastic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portions 26b and 26c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plate body of 20).

상기 제2댐퍼(45)는 상기 제4연결재의 제4판체 후면으로부터 제2브라켓 측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또다른 엠보싱부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중공관체(45a)와, 상기 제2중공관체의 내부에 삽입배치되 외부노출되는 고무소재와 제2탄성체(45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damper 45 includes a second hollow tube body 45a detachably assembled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on another embossed part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fourth plate of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toward the second bracket, It may include a rubber material and a second elastic body 45b that are inserted and disposed inside the second hollow pipe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1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D)와 결합된 프레임 구조물을 벽면에 밀착하는 밀착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틸팅된 프레임 구조물을 벽면 측으로 미는 힘과 더불어 직상부로 들어올리는 힘을 전달하면, 도 5a 와 도 6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구조물과 연결된 제1브라켓이 상승되면서 틸팅모드시 경사진 제1,2연결재를 수직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In order to perform a close contact mode in which the frame structure combined with the display device 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using the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applies a force to push the tilted frame structure toward the wall, and In addition, when a lifting force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upper part, as shown in FIGS. 5A and 6A, the first bracket connected to the frame structure is raised and the inclined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converted to a vertical state in the tilting mode. .

즉, 틸팅모드시 상기 제1브라켓(1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호형 상부 장공(13)의 상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제1연결재(30)의 제1연결핀(33)은 상기 호형 상부 장공(13)의 하사점으로 안내이동되어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브라켓(10)의 길이중간 양측에 형성된 호형 하부 장공(14)의 상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제2연결재(40)의 제3연결핀(43)은 상기 하부 장공(14)의 하사점에 위치된다. That is, in the tilting mode, the first connection pin 33 of the first connector 30, which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of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1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bracket 10, is located in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 13), and at the same time, the third connection pin ( 43)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lower long hole 14.

이때, 상기 제1브라켓(10)의 제1판체와 제2브라켓(20)의 제2판체는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면서 이들사이에 수직상태로 전환되는 제1,2연결재(30,40)가 배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10)의 제1측판과 제2브라켓(20)의 제2측판은 서로 중첩되고, 서로 중첩되는 제1,2측판사이에는 수직상태로 전환되는 제1,2연결재(30,40)의 제3,4측판이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plate body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plate body of the second bracket 20 face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0 and 40 are in a vertical state between them. is disposed, the first side plate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second bracket 20 overlap each other, and between the overlapping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re converted to a vertical state. Third and fourth side plates of the connecting members 30 and 40 are disposed.

상기 제1연결재의 제3측판은 상기 제1브라켓의 제1측판 내측에 중첩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재의 제4측판은 상기 제1브라켓의 제1측판과 상기 제2브라켓의 제2측판과의 사이에 중첩배치된다. The third side plat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disposed overlapping inside the first side plat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fourth side plate of the second connecting material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de plat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side plate of the second bracket. It is placed overlapping between .

이러한 밀착모드시 도 7a 와 도 8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구조물(200)의 상단과 하단은 벽면에 최대한 근접되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배면이 벽면(W)에 밀착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단은 바닥면(F)에 최대한 근접하거나 접해질 수 있다. In this close contact mode, as shown in FIGS. 7A and 8A, the top and bottom of the frame structure 200 ar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wall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structur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W). The bottom can be as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F) as possible.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에 구비되는 제1댐퍼(15)는 상기 제1연결재(30)의 하단과 상기 제2연결재(40)의 상단에 형성되는 간격을 통하여 외부노출되는 제2브라켓의 전면에 돌출형성된 상부 접촉부(26a)와 탄력적으로 접해짐과 동시에 상기 제4연결재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2댐퍼(45)는 상기 상부 접촉부의 직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접촉부(26b,26c)와 탄력적으로 접해지게 된다. And, the first damper 15 provided on the first bracket is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bracke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gap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connector 30 and the top of the second connector 40. The second damper 45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ourth connector elastically contacts the protruding upper contact portion 26a and elastically contacts the lower contact portions 26b and 26c provided directly below the upper contact portion. You lose.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D)와 결합된 프레임 구조물을 벽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틸팅착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벽면에 밀착된 프레임 구조물(200)을 전방으로 당기는 힘과 더불어 프레임 구조물의 하단을 들어올리는 힘을 전달하면, 도 5b, 도 5c 와 도 6b, 도 6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구조물과 연결된 제1브라켓은 제2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강되면서 밀착모드시 수직상태의 제1,2연결재를 경사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On the contrary, in order to perform the tilting mode of separating the frame structure coupled with the display device (D) from the wall, the user pulls the frame structure 200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forward and lifts the lower end of the frame structure. When the force is transmitted, as shown in FIGS. 5B, 5C and 6B, 6C, the first bracket connected to the frame structure is lowered away from the second bracket,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vertical in the close contact mode. is converted to a slope state.

즉, 밀착모드시 상기 제1브라켓(1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호형 상부 장공(13)의 하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제1연결재(30)의 제1연결핀(33)은 상기 호형 상부 장공(13)의 상사점으로 안내이동되어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브라켓(10)의 길이중간 양측에 형성된 호형 하부 장공(14)의 하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제2연결재(40)의 제3연결핀(43)은 상기 하부 장공(14)의 상사점에 위치된다. That is, in the close contact mode, the first connection pin 33 of the first connector 30, which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1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bracket 10, is connected to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 13), and at the same time, the third connection pin ( 43)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of the lower long hole 14.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단을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호형 상부 장공(13)의 상사점에 제1연결핀이 위치되는 제1연결재(30)는 상기 제2브라켓의 원형 상부공에 조립된 제2연결핀(34)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경사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호형 하부 장공(14)의 상사점에 제3연결핀이 위치되는 제2연결재(40)는 상기 제2브라켓의 원형 하부공에 조립된 제4연결핀(44)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경사상태로 전환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lower end of the frame structure is lift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0, the first connecting pin of which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of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13,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0 assembled to the circular upper hole of the second bracket. With the connecting pin 34 as the center of rotati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nd converted to an inclined s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third connecting pin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of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14. With the fourth connecting pin 44 assembled in the circular lower hole of the second bracket as the center of rotation, it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o change to an inclined state.

이때 상기 제2연결재(40)에 구비되는 제3연결핀(43)이 안내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호형 하부 장공(14)의 호형길이(L2) 및 폭(W2)은 상기 제1연결재(30)에 구비되는 제1연결핀(33)이 안내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호형 상부 장공(13)의 호형길이(L1) 및 폭(W1)보다 길고 넓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이 벽면(W)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50)과 결합된 제2브라켓(20)에 대하여 수직상태에서 경사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사이의 간격을 벌림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된 프레임 구조물을 하부로 벌어지도록 일정각도 틸팅하는 틸팅모드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rc-shaped length (L2) and width (W2) of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14) into which the third connecting pin (43)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40) is movably assembled are determined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0). The first connection pin 33 provided in is formed to be longer and wider than the arc-shaped length (L1) and width (W1) of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13 to be guided and moved, so that the first bracket is attached to the wall (W). The second bracket 20 coupled with the fixed bracket 50 is switched from a vertical state to an inclined state,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nd at the same time, forming a frame structure combined with the display device. The tilting mode, which tilts at a certain angle to spread downward,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이러한 틸팅모드시 도 7b 와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구조물(200)이 수직한 벽면(W)에 대하여 일정각도( θ1) 경사진 경사상태로 틸팅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하는 시청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한편 도 7c 와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구조물(200)이 수직한 벽면(W)에 대하여 일정각도(θ2) 최대로 경사진 경사상태로 틸팅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된 프레임 구조물의 배면을 완전히 노출시켜 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tilting mode, as shown in FIGS. 7B and 8B, the frame structure 200 is tilted at a certain angle (θ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wall surface (W), thereby providing an viewing angle for viewing the display devic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7C and 8C, the frame structure 200 is tilted at a maximum angle θ2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wall surface W, and the frame combined with the display device is tilted. The work of connecting cables can be performed by completely exposing the back of the structure.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를 벽면의 고정브라켓에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Figure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fixing bracket on a wall.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된 프레임 구조물의 배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브라켓(10)은 제1,2연결재(30,40)를 매개로 하여 제2브라켓(2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는 제1,2브라켓 및 제1,2연결재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는 한쌍의 걸림스토퍼(55)를 갖는 고정브라켓(50)을 고정설치한다. The first bracket 10 fixed to the rear of the frame structure coupled with the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20 via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30 and 40, so that the frame structure has a first bracket 10. , Equipped with a second bracket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a fixing bracket (50) having a pair of locking stoppers (55)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where the display device is to be installed.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브라켓(20)의 제2판체(21)에 절개형성된 절개부(25)를 상기 고정브라켓의 직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걸림스토퍼 측으로 하강시키면, 상기 절개부의 직선 절개부(25b)는 상기 걸림스토퍼와 고정브라켓간의 연결부위와의 간섭없이 통과하면서 외경이 큰 걸림스토퍼(55)가 내경이 작은 절개부의 타원 절개부(25a)에 걸림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된 프레임 구조물을 벽면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거치하여 설치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cutout portion 25 formed in the second plate body 21 of the second bracket 20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fixing bracket and lowered toward the locking stopper, the straight cut portion of the cutout portion 25 is lowered toward the locking stopper. (25b) passes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cking stopper and the fixing bracket, and the locking stopper (55) with a large outer diameter is placed in the elliptical cutout (25a) of the small inner diameter cutout, so that the user can combine it with the display device. You can easily install the frame structure by mounting it on the fixing bracket installed on the wal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7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deletion, addition, etc.,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7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부처명] 경상북도[Ministry name] Gyeongsangbuk-do

[연구관리전문기관] 경상북도 경제진흥원[Research management agency] Gyeongsangbuk-do Economic Promotion Agency

[연구사업명] 경북형 기업수요공모패키지 사업[Research project name] Gyeongbuk-type corporate demand public offering package project

[연구과제명] OLED의 회전각(90)조절 및 전도력(100N)이 적용된 스마트형 디스플레이 서포팅 시스템 개발[Research project title] Development of a smart display support system with OLED rotation angle control (90) and conduction force (100N)

[주관기관] 경상북도 경제진흥원[Host organization] Gyeongsangbuk-do Economic Promotion Agency

[기여율] 50%[Contribution rate] 50%

[연구기간] 2021.05.20 ~ 2021.12.31[Research period] 2021.05.20 ~ 2021.12.31

10 : 제1브라켓 11 : 제1판체
12 : 제1측판 13 : 호형 상부 장공
14 : 호형 하부 장공 15 : 제1댐퍼
20 : 제2브라켓 21 : 제2판체
22 : 제2측판 23 : 상부공
24 : 하부공 25 : 절개부
30 : 제1연결재 31 : 제3판체
32 : 제3측판 33 : 제1연결핀
34 : 제2연결핀 40 : 제2연결재
41 : 제4판체 42 : 제4측판
45 : 제2댐퍼 50 : 고정브라켓
10: 1st bracket 11: 1st plate
12: First side plate 13: Arc-shaped upper long hole
14: arc-shaped lower long hole 15: first damper
20: second bracket 21: second plate
22: second side plate 23: upper hole
24: lower hole 25: incision
30: first connecting material 31: third plate body
32: Third side plate 33: First connection pin
34: second connection pin 40: second connection material
41: 4th plate body 42: 4th side plate
45: 2nd damper 50: fixing bracket

Claims (8)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되는 프레임 구조물에 고정설치되는 제1브라켓 ;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브라켓 ;
상기 제1브라켓 양측에 관통형성된 호형 상부 장공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연결핀을 일단에 갖추고 상기 제2브라켓의 상단 양측에 관통형성된 상부 원형공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연결핀을 타단에 갖추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각 상단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재 ; 및
상기 제1브라켓 양측에 관통형성된 호형 하부 장공을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연결핀을 일단에 갖추고 상기 제2브라켓의 하단 양측에 관통형성된 하부 원형공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4연결핀을 타단에 갖추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각 하단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재 ;를 포함하여,
상기 호형 상부 장공의 하사점에 상기 제1연결핀이 위치되고, 상기 호형 하부 장공의 하사점에 상기 제3연결핀이 위치되는 밀착모드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배면은 상기 벽면에 밀착되고,
상기 호형 상부 장공의 상사점에 상기 제1연결핀이 위치되고, 상기 호형 하부 장공의 상사점에 상기 제3연결핀이 위치되는 틸팅모드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단은 벽면으로부터 멀어져 벌어지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물을 벽면으로부터 틸팅시키는,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
A first bracket fixed to the frame structure coupled with the display device;
a second bracket detachably assembled with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wall o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to be mounted;
A second connection having a first connection pin at one end rotatably assembled while moving along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and rotatably assembled into the upper circular hole formed through both upper sides of the second bracket. A first connector having a pin at the other en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nd
A fourth connection has a third connection pin at one end rotatably assembled while moving along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and rotatably assembled into the lower circular hole form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racket. Including a second connecting member equipped with a pin at the other end to connec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n a close contact mod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in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and the third connection pin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the back surface of the frame structur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In a tilting mod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in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of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and the third connection pin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of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the lower end of the frame structure is spread away from the wall surface. A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that tilts the display from the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후면에 함몰형성되는 배치홈의 바닥면에 교체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bracket is a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that is fixedly and replaceab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an arrangement groove recessed in the rear of the fram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제1판체의 양측테두리에 상기 제2브라켓 측으로 절곡되는 한쌍의 제1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제2판체의 양측테두리에 제1브라켓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한쌍의 제1측판과 중첩되는 한쌍의 제2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재는 제3판체의 양측테두리에 상기 제1브라켓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한쌍의 제1측판과 중첩되는 한쌍의 제3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재는 제4판체의 양측테두리에 상기 제2브라켓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한쌍의 제2측판과 중첩되는 한쌍의 제4측판을 포함하는,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bracket includes a pair of first side plates on both edges of the first plate body and bent toward the second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s bent toward the first bracket on both edges of the second plate body to form the pair of side plates. It includes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overlapping with the first side plat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pair of third side plates on both edges of the third plate body and bent toward the first bracket and overlapping the pair of first side plates,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located on both edges of the fourth plate body. A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comprising a pair of fourth side plates bent toward the second bracket and overlapping the pair of second side pl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하부 장공의 호형길이 및 폭은 상기 호형 상부 장공의 호형 길이 및 폭보다 길고 넓게 형성되는,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rc-shaped length and width of the arc-shaped lower long hole are formed to be longer and wider than the arc-shaped length and width of the arc-shaped upper lo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제2브라켓과 대응하는 전면에 걸림스토퍼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제2브라켓에는 하부 측으로 개구되도록 절개형성되어 상기 걸림스토퍼와 걸림연결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xing bracket has a locking stopper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ncludes a cut portion that is open to the lower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locking stopp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걸림스토퍼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추어 상기 걸림스토퍼가 걸림배치되는 타원 절개부와, 상기 타원 절개부로부터 직하부로 절개되어 상기 걸림스토퍼와 제2브라켓과의 연결부위가 간섭없이 통과하는 직선 절개부를 포함하는,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
According to clause 5,
The cut portion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cking stopper and has an oval cut portion where the locking stopper is placed, and is cut directly below the oval cut portion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ocking stopper and the second bracket passes without interference. Close-fitting, tilting display wall mount with straight cutou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2브라켓의 전면에 돌출형성된 상부 접촉부와 탄력적으로 접해지는 제1댐퍼를 포함하는,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bracket is a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including a first damper that is in elastic contact with an upper contac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재는 상기 제2브라켓의 전면에 돌출형성된 하부 접촉부와 탄력적으로 접해지는 제2댐퍼를 포함하는, 밀착 틸팅형 디스플레이 월마운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connection material includes a second damper that is in elastic contact with a lower contac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bracket.
KR1020220028464A 2022-03-07 2022-03-07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KR202301315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464A KR20230131508A (en) 2022-03-07 2022-03-07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464A KR20230131508A (en) 2022-03-07 2022-03-07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508A true KR20230131508A (en) 2023-09-14

Family

ID=8801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464A KR20230131508A (en) 2022-03-07 2022-03-07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150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770B2 (en) Double-sided light box
CN101881990B (en) Notebook computer and bracket thereof
USD570355S1 (en) Extra large low-profile tiltable mount for flat panel displays
USD560672S1 (en) Small low-profile tiltable mount for flat panel displays
USD560609S1 (en) Enclosure for desktop power cord and cable management
KR102213516B1 (en) Partition extension holder
KR20230131508A (en) Close tilting display wall mount
KR20030026646A (en) Speaker establish structure note book pc
US8777433B2 (en) Keypad ligh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D544848S1 (en) Multi-screen TV
JP3498648B2 (en) Wiring cover
CN217503434U (en) Panel light
US12000531B2 (en) Display apparatus
US20220403975A1 (en) Display apparatus
KR100526619B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Stand to Monitor
KR102087912B1 (en) Height adujusting apparatus for monitor and desktop computer having the same
JP2002025391A (en) Mounting structure of switch operation key to panel
JP2014102902A (en) Indirect lighting apparatus
KR102595103B1 (en) Light stand capable of self-assembling
WO2020182038A1 (en) Main control panel assembly and clothes washing machine
CN219669897U (en) Intelligent control box and elevator
JPS59221532A (en) Floor type cooking device
CN106898518B (en) A kind of press-key structure and its assemble method
KR20030080133A (en) Support bracket for notebook computer
KR200248522Y1 (en) Personal computer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