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417A -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417A
KR20230131417A KR1020220028450A KR20220028450A KR20230131417A KR 20230131417 A KR20230131417 A KR 20230131417A KR 1020220028450 A KR1020220028450 A KR 1020220028450A KR 20220028450 A KR20220028450 A KR 20220028450A KR 20230131417 A KR20230131417 A KR 20230131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ance
failure
communication device
output
occ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소영
Original Assignee
강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소영 filed Critical 강소영
Priority to KR102022002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417A/ko
Publication of KR2023013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4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6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notification, e.g. enhancement of specific meta-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 또는 PC로부터 안내정보를 수신하는 전용 통신장치, 소정거리에서의 통신을 제공하는 근거리용 통신장치, 상기 전용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할 때 안내장치의 장애도 발생하는지 판별하고, 안내장치의 비장해로 판별되면 비장해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근거리용 통신장치를 활성화모드로 구동시키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전용 통신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전용 통신장치에서 수신된 안내정보를 출력하고, 전용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하면 근거리용 통신장치에서 수신된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GUIDANCE SYSTEM EQUIPPED WITH COMMUNICATION FAILURE PREPARATION FUNCTIONS}
본 발명은 전용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할 때 근거리용 통신장치로 통신하는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광판 자가진단에 대하여>
전광판은 광고나 교통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고,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LED 모듈이 포함된다. LED 모듈은 픽셀 또는 도트의 단위로 메트릭스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LED를 포함한다.
전광판은 노후화, 접속불량 또는 전원공급의 문제로 출력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전광판의 출력불량의 원인은 LED의 에이징에 따른 LED 자체결함, LED를 패키징하고 LED 구동을 제어하는 모듈 드라이버의 결함, 상기 모듈 드라이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의 결함, 상기 전원장치와 모듈 드라이버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의 결함 등 다양할 수 있다.
선행기술로 기재된 특허문헌들은 전광판의 출력불량을 자가진단하는 기술이다. 특허문헌 1은 LED 픽셀의 전압을 측정하여 LED 픽셀의 고장여부나 커넥터의 접속불량 여부를 판별하였다.
특허문헌 2는 LED 패널의 로우 어드레스와 컬럼 어드레스 라인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과 타임 테이블을 비교하여 LED의 불량여부를 판별하였다.
특허문헌 3은 LED 모듈의 전류계산값과 전류측정값을 비교하여 LED 모듈의 불량여부를 판별하였다.
특허문헌 4는 설정된 영역을 감시하기 위한 CCTV를 이용하여 전광판을 촬영하고, 촬영영상에서 도트의 밝기, 직경, 간격, 개수 또는 외부 조도값을 이용하여 불량도트를 검출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4는 전광판의 출력불량만 판별하였고, 출력불량의 원인을 판별하는 기술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광판의 출력불량은 다양한 원인이 존재한다. 관리자는 원인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력불량이 발생한 전광판을 수거하여 수리할 지, 일부 부품을 교체하여 현장에서 직접 수리할 지 또는 어떤 부품의 고장인지 사전에 부품을 구비하여 현장에 출동할 지를 결정해야 한다.
즉 종래에는 전광판의 출력불량만 판별하였고, 출력불량의 원인을 판별하지 못하여 현장에 출동하는 관리자의 애로사항이 많다.
현장에는 전광판만 존재할 수 있고, 지주나 스마트폴에 CCTV와 전광판과 함께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광판만 존재할 때와 CCTV와 함께 존재할 때 출량불량의 원인을 판별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종래의 전광판 에이징에 대하여>
종래에는 특허문헌 5와 같이 전광판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전압강하율 기반의 에이징을 통하여 전광판의 불량을 검출하였다. 참고로 특허문헌 6은 LED 사용환경에 따른 특성변화를 고려하여 장시간 사용에 의해 LED 열화가 발생하고, 열화요인들을 사전에 검출하여 발광특성을 보정하였다.
즉 전광판은 초기에 출력불량의 가능성이 낮지만, 어느 정도 장시간 사용하면 비, 눈, 온도 또는 습도 등 전광판이 설치된 현장의 환경에 대응하여 LED의 발광특성이 미세하게 감소될 수 있고, 전광판의 출력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LED의 전압이나 전류 등 출력기준값을 현장상황에 맞게 보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LED 에이징을 고려하여 출력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출력기준값을 제공하지 않아 출력불량검사에 관한 신뢰도가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자연재해 또는 재난에 따른 통신장애에 대하여>
종래의 통신장치는 서버 또는 PC로부터 자연재해 또는 전쟁과 같은 재난에 관한 안내정보를 수신하여 전광판에게 제공하고, 전광판은 안내정보를 출력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낙뢰, 침수 또는 지진 등 자연재해가 발생하거나 재난이 발생하면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고, 정작 전광판의 기능이 발휘해야 할 시기에 재난에 관한 안내정보를 출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서버 또는 PC에서 통신장애로 전광판이 자연재해 또는 재난에 의해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특허문헌 7과 같이 PC나 적외선 리모컨을 이용하여 안내정보를 수신하여 전광판에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PC를 이용하여 안내정보를 출력하기 때문에 적외선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항상 활성화해야 하므로,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PC 또는 서버를 통하여 안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장치와 전광판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적외선이나 와이파이 또는 지그비 등 근거리 통신모듈은 소형이라 지주 내부에 설치되어 보호될 수 있다.
종래에는 자연재해 또는 재난으로 인해 통신장치뿐만 아니라 전광판까지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할 때 우선적으로 전광판의 장애가 있는지 판별해야 하지만, 현재 이러한 기술이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5250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2070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94899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2085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8994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9115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73962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용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할 때 안내장치의 장애도 발생하는지 판별하고, 안내장치의 비장해로 판별되면 비장해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근거리용 통신장치를 활성화모드로 구동시키는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은, 서버 또는 PC(30)로부터 안내정보를 수신하는 전용 통신장치(600); 소정거리에서의 통신을 제공하는 근거리용 통신장치(700); 상기 전용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할 때 안내장치의 장애도 발생하는지 판별하고, 안내장치의 비장해로 판별되면 비장해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근거리용 통신장치를 활성화모드로 구동시키는 제어장치(100) 및 상기 전용 통신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전용 통신장치에서 수신된 안내정보를 출력하고, 전용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하면 근거리용 통신장치에서 수신된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거리용 통신장치는 원격단말기(50)와 통신이 연결되면 비장해 상태정보를 원격단말기에게 전송하고, 안내정보를 원격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전용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할 때 안내장치의 장애를 판별하는 간소판별모드 및 설정된 주기마다 안내장치의 장애를 판별하는 정밀판별모드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용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할 때 안내장치의 장애도 발생하는지 판별하고, 안내장치의 비장해로 판별되면 비장해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근거리용 통신장치를 활성화모드로 구동시킴으로써, 근거용 통신장치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자연재해 또는 재난에 의해 전용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하여도 안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정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안내장치가 존재할 때 안내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예이다.
도 5는 안내장치와 감시장치가 함께 존재할 때 안내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예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안내 시스템(10)은 제어장치(100), 안내장치(200) 및 전원장치(300)를 포함한다. 제어장치(100)는 안내장치(200) 또는 전원장치(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안내장치(200)는 전광판일 수 있고, 광고나 교통정보 등 다양한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한 목적의 정보를 안내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전원장치(300)는 안내장치(200)에게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장치(100), 안내장치(200) 또는 전원장치(300)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안내장치(200)는 지주, 스마트폴 또는 고정을 위한 고정물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내장치(200)와 전원장치(300)는 유지보수의 편리함을 위해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전원장치(300)의 고장 시 안내장치(200)를 분해할 필요가 없다.
도 2는 도 1의 측정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로서, 안내 시스템(10)은 출력불량의 원인을 판별하기 위한 측정장치를 더 포함한다. 측정장치(400)는 전원장치(300)의 전원공급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전원장치(300)와 안내장치(200)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의 이상유무를 측정한다.
측정장치(400)는 안내장치(200)의 출력측정값을 생성할 수 있고, 선행기술로 기재된 특허문헌 1 내지 3의 측정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측정장치(400)는 프로브를 통하여 전원, 전류, 전압 또는 휘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장치(400)는 제1 측정부(410), 제2 측정부(420), 제3 측정부(430) 및 수집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정부(410)는 전원장치(300)의 전원이 출력되는 출력단과 연결된다. 제2 측정부(420)는 안내장치(200)의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과 연결된다.
제3 측정부(430)는 출력패턴을 출력하는 LED의 전압, 전류 또는 휘도값을 측정하여 출력측정값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3 측정부(430)는 LED 출력라인에 형성되어 전류나 전압을 측정한다.
수집부(440)는 유지보수와 설치의 효율을 고려하여 안내장치(200)와 전원장치(300)와 분리되어 독립적인 몸체를 포함한다. 수집부(440)는 각각의 측정부(410, 420, 430)의 측정값을 수집하여 제어장치(100)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출력불량으로 판별될 때 측정장치(400)를 구동하여 측정장치(400)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측정장치(400)를 이용한 출력불량의 원인을 판별하여 관리자의 원활한 유지보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안내 시스템(10)은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감시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안내장치(200)와 감시장치(500)가 함께 설치된다면 감시장치(500)를 통하여 안내장치(200)에 대한 출력불량의 원인을 판별할 수 있다.
감시장치(500)는 CCTV일 수 있고, PTZ 기능이 내장될 수 있으며, 설정된 감시영역을 촬영하다가, 제어장치(100)의 제어요청을 받으면 안내장치(200)의 출력패턴을 촬영하여 촬영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선행기술로 기재된 특허문헌 4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특허문헌 4는 촬영영상에서 도트의 밝기, 직경, 간격, 개수 또는 외부 조도값을 이용하여 불량도트 등 출력패턴의 누락을 검출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안내장치(200)에 포함된 모듈 드라이버의 이상으로 비정상적 깜박거림이나 출력패턴과 전혀 다른 미설정된 이상패턴이 출력될 수 있지만, 특허문헌 4는 이러한 해결원리가 없다.
제어장치(100)는 촬영영상에서 출력패턴의 누락이 발생하면 안내장치에 포함된 출력소자의 이상으로 판별할 수 있고, 촬영영상에서 미설정된 이상패턴이 존재하면 안내장치에 포함된 모듈드라이버의 이상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영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안내장치(200)에 대한 출력불량의 원인을 판별할 수 있고, 출력불량으로 판별될 때 감시장치(500)를 구동하여 감시장치(500)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감시장치(500)를 이용한 출력불량의 원인을 판별하여 관리자의 원활한 유지보수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출력불량이 발생하면 전원장치(300)에 대한 전원공급의 이상유무 판별, 전원장치(300)와 안내장치(200)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의 이상유무 판별 및 안내장치(200)의 출력패턴을 촬영한 촬영영상 분석을 통하여 출력불량의 원인을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내장치(200)에 대한 출력불량의 원인을 판별할 때 측정장치(400)와 감시장치(500)를 함께 활용할 수 있고, 더욱 정확하게 원인을 판별할 수 있다.
종래에는 특허문헌 5와 같이 전광판의 생산과정에서 전광판의 에이징 검사를 하였지만, 전광판을 현장에 설치한 이후 소정의 기간이 지난 후에 에이징 검사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에이징에 의해 안내장치(200)의 출력측정값과 출력기준값의 어느 정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감시장치(500)의 촬영영상과 기준영상의 품질적 차이는 거의 없을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출력측정값과 출력기준값 간의 차이가 설정된 에이징 출력 변동폭을 초과하고, 촬영영상과 기준영상 간의 차이가 설정된 에이징 영상품질 변동폭보다 작으면, 에이징 출력 변동폭을 이용하여 출력기준값을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내장치(200)를 설치한 이후 소정이 기간이 지난 후에도 측정장치(400)와 감시장치(500)를 이용한 에이징 검사를 제공할 수 있고, 에이징에 의해 안내장치(200)의 기능이 일부 상실하여도 안내장치(200)를 더 사용할 수 있고, 안내장치(200)의 수명연장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문헌 6과 같이 비나 눈 또는 온습도 등 환경에 따라 LED의 출력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안내정보의 종류별로 복수의 출력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내장치(200)의 출력불량을 체크한다고 하여 이용자의 혼동을 유발시키는 안내정보와 상관이 없는 출력패턴을 출력해서는 안 된다.
제어장치(10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력패턴별 및 환경별로 복수의 출력기준값을 저장하고, 측정시기의 환경과 선택된 출력패턴에 대응하여 안내장치(200)에 대한 출력불량의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출력기준값을 이용하여 안내장치(200)에 대한 출력불량의 정도를 판별함으로써, 관리자의 유지보수 스케줄을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관리자는 특정영역에 설치된 안내장치(200)의 출력불량이 극히 미미하고, 정보표현에 문제가 없다면 특정영역에 설치된 안내장치(200)의 유지보수를 미루고, 더 문제가 심한 곳부터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출력불량의 정도를 판별할 때 출력불량의 영역을 제외한 출력영역에 출력패턴의 출력이 가능한지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00)는 안내장치(200)의 불량도트가 발생하면 불량도트가 발생한 영역을 제외한 출력영역에 출력패턴의 표출위치 변경이나 축소 등 출력패턴의 출력이 가능한지 판별한다.
도 4 안내장치가 존재할 때 안내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예이고, 도 5는 안내장치와 감시장치가 함께 존재할 때 안내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예이다.
본 발명은 설정된 주기마다 안내장치(200)의 출력측정값과 출력기준값을 비교하고, 출력불량이 발생할 때 측정장치(400) 또는 감시장치(500)를 활용함으로써, 전력소모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안내장치(200)는 복수의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화면마다 적어도 하나의 LED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화면의 출력불량을 판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안내 시스템(10)은 전용 통신장치(600) 및 근거리용 통신장치(700)를 더 포함한다.
전용 통신장치(600)는 서버 또는 PC(30)로부터 안내정보를 수신하고, 근거리용 통신장치(700)는 소정거리에서의 통신을 제공한다. 근거리용 통신장치(700)는 적외선,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등 근거리 통신기능이 구비될 수 있고, 소정거리까지의 유선길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전용 통신장치(600)의 장애가 발생할 때 안내장치(200)의 장애도 발생하는지 판별하고, 안내장치(200)의 비장해로 판별되면 비장해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근거리용 통신장치(700)를 활성화모드로 구동시킨다.
안내장치(200)는 전용 통신장치(6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전용 통신장치(600)에서 수신된 안내정보를 출력하고, 전용 통신장치(600)의 장애가 발생하면 근거리용 통신장치(700)에서 수신된 안내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은 자연재해 또는 재난으로 인해 전용 통신장치(600)뿐만 아니라 안내장치(200)의 장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고, 안내장치(200)의 장애여부를 판별하여 근거리용 통신장치(70)로 상황전파를 해야 서버 또는 PC(30)에서 전광판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7은 통신장치를 이용한 안내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예로서, 본 발명은 전용 통신장치(600)의 장애가 발생할 때 안내장치(200)의 장애도 발생하는지 판별하고, 안내장치(200)의 비장해로 판별되면 비장해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근거리용 통신장치(700)를 활성화모드로 구동시킴으로써, 근거용 통신장치(700)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자연재해 또는 재난에 의해 전용 통신장치(600)의 장애가 발생하여도 안내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안내장치(200)의 상태에 대한 상황전파를 제공할 수 있다.
근거리용 통신장치(700)는 원격단말기(50)와 통신이 연결되면 비장해 상태정보를 원격단말기(50)에게 전송하고, 안내정보를 원격단말기(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종래에는 원격단말기(50)를 안내정보의 입력으로만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안내장치(2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황전파를 하는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전용 통신장치(600)의 장애가 발생할 때 안내장치(200)의 장애를 판별하는 간소판별모드 및 설정된 주기마다 안내장치(200)의 장애를 판별하는 정밀판별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간소판별모드는 안내장치(200)의 출력측정값과 출력기준값을 비교하여 출력불량인지 판별할 수 있다. 정밀판별모드는 안내장치(200)의 출력불량이 발생하면 전원장치(300)의 전원공급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고 전원장치(300)와 안내장치(200)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의 이상유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400) 또는 안내장치(200)의 출력화면을 촬영하여 촬영영상을 생성하는 감시장치(500)를 이용하여 출력불량의 원인을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연재해 또는 재난 등 긴박한 상황에서 안내장치(200)의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정미판별모드가 아닌 간소판별모드로 제어장치(100)를 구동할 수 있다.
10: 안내 시스템 30: 서버 또는 PC
50: 원격단말기 100: 제어장치
200: 안내장치 300: 전원장치
400: 측정장치 410: 제1 측정부
420: 제2 측정부 430: 제3 측정부
440: 수집부 500: 감시장치
600: 전용 통신장치 700: 근거리용 통신장치

Claims (3)

  1. 서버 또는 PC(30)로부터 안내정보를 수신하는 전용 통신장치(600);
    소정거리에서의 통신을 제공하는 근거리용 통신장치(700);
    상기 전용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할 때 안내장치의 장애도 발생하는지 판별하고, 안내장치의 비장해로 판별되면 비장해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근거리용 통신장치를 활성화모드로 구동시키는 제어장치(100) 및
    상기 전용 통신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전용 통신장치에서 수신된 안내정보를 출력하고, 전용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하면 근거리용 통신장치에서 수신된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안내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용 통신장치는 원격단말기(50)와 통신이 연결되면 비장해 상태정보를 원격단말기에게 전송하고, 안내정보를 원격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용 통신장치의 장애가 발생할 때 안내장치의 장애를 판별하는 간소판별모드 및 설정된 주기마다 안내장치의 장애를 판별하는 정밀판별모드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
KR1020220028450A 2022-03-06 2022-03-06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 KR20230131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450A KR20230131417A (ko) 2022-03-06 2022-03-06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450A KR20230131417A (ko) 2022-03-06 2022-03-06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417A true KR20230131417A (ko) 2023-09-13

Family

ID=8802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450A KR20230131417A (ko) 2022-03-06 2022-03-06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1417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508B1 (ko) 2000-01-31 2002-09-11 주식회사 우호티앤씨 전광표시장치의 고장 자체 진단장치
KR101020700B1 (ko) 2008-10-13 2011-03-11 (주)한일에스티엠 불량 검출 기능을 구비하는 led 장치
KR101191150B1 (ko) 2011-05-17 2012-10-15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사용환경과 시간경과에 의해 열화되는 전광판의 보정장치
KR101473962B1 (ko) 2013-01-02 2014-12-17 주식회사 코런 적외선 리모컨과 퍼스널 컴퓨터를 겸용하는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출력 데이터 설정 방법
KR101489948B1 (ko) 2014-06-23 2015-02-06 유원엘디에스(주) Led 소자와 led모듈의 불량 검사방법 및 led 소자와 led모듈의 불량 검사장치
KR101694899B1 (ko) 2016-07-13 2017-01-10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불량 검출을 위한 led 전광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120854B1 (ko) 2019-08-02 2020-06-10 이성 주식회사 학습 기반의 led 전광판 자가진단 불량 도트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508B1 (ko) 2000-01-31 2002-09-11 주식회사 우호티앤씨 전광표시장치의 고장 자체 진단장치
KR101020700B1 (ko) 2008-10-13 2011-03-11 (주)한일에스티엠 불량 검출 기능을 구비하는 led 장치
KR101191150B1 (ko) 2011-05-17 2012-10-15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사용환경과 시간경과에 의해 열화되는 전광판의 보정장치
KR101473962B1 (ko) 2013-01-02 2014-12-17 주식회사 코런 적외선 리모컨과 퍼스널 컴퓨터를 겸용하는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출력 데이터 설정 방법
KR101489948B1 (ko) 2014-06-23 2015-02-06 유원엘디에스(주) Led 소자와 led모듈의 불량 검사방법 및 led 소자와 led모듈의 불량 검사장치
KR101694899B1 (ko) 2016-07-13 2017-01-10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불량 검출을 위한 led 전광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120854B1 (ko) 2019-08-02 2020-06-10 이성 주식회사 학습 기반의 led 전광판 자가진단 불량 도트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76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s in outdoor display
KR101113910B1 (ko) 엘이디전광판의 엘이디화소 검사장치
US111008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ignage system of a transit vehicle
KR101427748B1 (ko) Led 전광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전광판 모니터링 시스템
US201200570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Identifying Display Components
KR101647492B1 (ko) Led 전광판용 전자부품 교체시기 스마트 검출장치
US11579602B2 (en) Method for commissioning and maintenance of alarm systems
KR100414522B1 (ko) 점검기능을 갖는 전광판 및 에러검출방법
JP2011209637A (ja) 大型表示盤の発光表示素子監視装置
US20100171629A1 (en) Signal tower and integr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230131417A (ko) 통신장애 대비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
KR20230131416A (ko) 측정장치와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
KR20230131415A (ko) 감시장치와 자가진단 기능이 구비된 안내 시스템
KR102346865B1 (ko) Led모듈신호이중화장치
KR20230013526A (ko) 전광판의 과전류 화재 방지 장치
KR20100096586A (ko) 전광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10991285B2 (en) Cloud-based remote diagnostics for smart signage
KR101668805B1 (ko)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부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
KR102493248B1 (ko) 다수의 엘이디전광판모듈이 단과 열로 이루어진 엘이디 전광판의 가상엘이디전광판모듈을 이용한 출력에러 검출 방법
US10796630B2 (en)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system and image detecting method
KR101641316B1 (ko)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부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
KR102569261B1 (ko) Led전광판 시스템에서 컨트롤러 고장을 복구하는 방법
KR102648082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스마트 엘이디 전광판의 고장 예측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엘이디 전광판
CN105247604A (zh) 用于验证具有发光二极管的广告牌的操作的方法
KR102655406B1 (ko) Led모듈의 고장 진단이 가능한 전광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