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360A - 커피박 재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커피박 재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360A
KR20230131360A KR1020220027779A KR20220027779A KR20230131360A KR 20230131360 A KR20230131360 A KR 20230131360A KR 1020220027779 A KR1020220027779 A KR 1020220027779A KR 20220027779 A KR20220027779 A KR 20220027779A KR 20230131360 A KR20230131360 A KR 20230131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moisture content
sawdust
compressio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드테크
Priority to KR1020220027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360A/ko
Publication of KR2023013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5Litter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2Compressing or comp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5Agricultural waste, e.g. corn crops, grass clippings, nut shells or oil pressing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4Recovery of fats, fatty oils, fatty acids or other fatty substances, e.g. lanolin or wa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피박 재활용 방법은, 함수율 75~80%의 커피박을 입자 활성화를 위해 컨디셔닝하는 단계와, 컨디셔닝된 커피박을 함수율 30~35%로 압착 탈수하는 단계와, 압착 탈수 과정에서 유출된 혼합물로부터 커피오일을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커피오일을 바이오 디젤로 변환하는 단계와, 압착 탈수되어 함수율 30~35%을 갖는 커피박에 중량비 40~60%의 톱밥을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된 커피박-톱밥을 함수율 10~12%로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커피박-톱밥을 축사 깔개로 만들거나 압축 성형해서 펠렛으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박 재활용 방법{Recycling method of coffee waste}
본 발명은 커피를 추출하고 남은 커피박(커피 찌꺼기)를 친환경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전 세계인의 기호식품으로서, 국내에서도 커피를 찾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커피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커피는 0.2%만이 추출되어 사용되고 99.8%는 커피박으로 버려지며, 1년에 버려지는 커피박의 양은 수십만 톤에 달하는 실정이다.
커피박은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되지 않고 일반 생활 폐기물로 버려져 소각되거나 매립되고 있다. 그러나, 커피박은 75% 내지 80%의 함수율을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소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커피박의 매립 폐기시 발생하는 폐액이 산성을 띠고 COD(Chemical Oxygen Demand)와 SS(Suspended Solid)가 높기 때문에, 수질과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박은 15 % 내지 25 %의 커피오일이 함유되어 있고 그 고형분은 kg당 5000kcal 이상의 발열량을 가지므로, 친환경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9598호(2017.06.21.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친환경적으로 커피박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커피박 재활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박 재활용 방법은, 함수율 75~80%의 커피박을 입자 활성화를 위해 컨디셔닝하는 단계와, 컨디셔닝된 커피박을 함수율 30~35%로 압착 탈수하는 단계와, 압착 탈수 과정에서 유출된 혼합물로부터 커피오일을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커피오일을 바이오 디젤로 변환하는 단계와, 압착 탈수되어 함수율 30~35%을 갖는 커피박에 중량비 40~60%의 톱밥을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된 커피박-톱밥을 함수율 10~12%로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커피박-톱밥을 축사 깔개로 만들거나 압축 성형해서 펠렛으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디셔닝 단계는, 컨디셔너의 케이싱 내에 상온 상태의 커피박을 투입한 후, 1~2kg/cm2의 압력과 120~130℃의 온도를 갖는 스팀을 케이싱 내에 공급하여 커피박이 90초~120초 동안 스팀과 혼합되면서 체류되게 하여 커피박의 온도를 50~60℃로 높여주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압착 탈수 단계는, 압착탈수설비의 압축용기에 커피박을 투입한 후, 20~30kgf/cm2의 압력과, 1.5~2m/min의 압축 속도와, 30~40초의 압축 시간으로 압축해서 탈수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 디젤 변환 단계는, 반응조에 커피오일을 투입한 후, 커피오일에 메탄올을 혼합하고 촉매제를 첨가해서 설정 시간 동안 반응시켜 바이오 디젤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단계는, 건조기에 커피박을 투입한 후, 120~150℃의 열풍 온도와 1~2m/sec의 열풍 속도로 열풍을 공급하고 건조기 내의 드럼을 3~6rpm으로 회전시키면서 15~20분의 건조체류시간으로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박을 압착 탈수해서 추출된 커피오일을 바이오 디젤로 변환하고, 탈수된 커피박을 톱밥과 혼합하고 건조하여 고열량의 펠렛 연료로 만들거나 축사깔개로 만들어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친환경적으로 커피박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박 재활용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커피박 재활용 방법에 대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박 재활용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커피박 재활용 방법에 대한 공정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박 재활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10 단계에서, 함수율 75~80%의 커피박을 입자 활성화를 위해 컨디셔닝한다. 통상적으로, 커피를 추출하고 남은 커피박은 함수율 75~80%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커피박이 입고/저장되어 컨디셔너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컨디셔너의 케이싱 내에 상온 상태의 커피박을 투입한 후, 1~2kg/cm2의 압력과 120~130℃의 온도를 갖는 스팀을 케이싱 내에 공급하여 커피박이 90초~120초 동안 스팀과 혼합되면서 체류되게 하여 커피박의 온도를 50~60℃로 높여줄 수 있다.
예컨대, 컨디셔너는 케이싱과, 패들을 부착한 상태로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와, 케이싱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인젝터, 및 케이싱의 하부에 부착되어 컨디셔닝된 커피박을 배출하는 스크류피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디셔너는 케이싱의 한쪽 끝 상부로부터 케이싱 내로 상온 상태의 커피박을 공급받는다. 컨디셔너는 1~2kg/cm2의 압력과 120~130℃의 온도를 갖는 스팀을 케이싱 내에 분사하면서 샤프트의 패들을 회전시켜 커피박을 스팀과 고르게 혼합시킨다.
컨디셔너는 90초~120초 동안 커피박을 스팀과 혼합시키면서 체류시켜 커피박의 온도를 50~60℃로 높여준다. 그러면, 커피박의 입자 내에 내재된 오일 입자의 활성도가 높아지고 균질화됨으로써, 추후 커피박의 압착시 커피박에 내재된 커피오일과 수분이 잘 빠져 나올 수 있게 된다. 이후, 컨디셔너는 컨디셔닝된 커피박을 스크류피더로 배출시켜 압착탈수설비의 압축용기에 일정량씩 채워준다.
S120 단계에서, 컨디셔닝된 커피박을 함수율 30~35%로 압착 탈수한다. 이때, 압착탈수설비의 압축용기에 커피박을 투입한 후, 20~30kgf/cm2의 압력과, 1.5~2m/min의 압축 속도와, 30~40초의 압축 시간으로 압축해서 탈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압착탈수설비는 고압착 스크류 프레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압착탈수설비는 커피박을 담는 압축용기와 압축용기를 좌우로 이동시켜주는 이송장치, 압축용기에 담긴 커피박을 압축하는 압착장치, 커피박으로부터 유출된 커피오일과 물을 모으는 집수유장치를 포함하여 배치타입으로 작동될 수 있다.
압축용기는 200~300리터 용량의 2중 사각 용기로 내,외부 용기를 구비할 수 있다. 내부 용기는 하단부에 1mm 이하의 작은 홀을 갖고, 커피박의 압축시 유출되는 액체가 빠져 나올 수 있게 한다. 외부 용기는 내부 용기와 20mm 간격을 주고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스티프너로 덧대어져 내부 용기의 강도를 보강해준다. 외부 용기는 내부 용기의 홀을 통하여 유출된 액체가 배출구 쪽으로 흘러 나가도록 해준다. 외부 용기는 하부판이 슬라이딩되게 구성되어 하부가 개폐된다. 외부 용기는 압축된 커피박의 배출시 하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송장치는 압축용기의 한쪽 측면에 장착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장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압축용기를 좌우로 이송시켜 준비위치와 압축위치 간에 왕복시킨다. 준비위치는 압착 탈수된 커피박을 아래로 배출하고 컨디셔너로부터 공급되는 커피박을 압축용기에 담는 위치에 해당하고, 압축위치는 압축용기에 담긴 커피박을 압축하여 탈수하는 위치에 해당한다.
압착장치는 압축용기에 담겨 압착위치로 이송된 커피박을 압착하여 물과 커피오일이 분리 배출되도록 한다. 압착장치는 압축용기의 상부면적에 맞춘 압축판과, 압축판을 수직으로 하강시켜 커피박을 압축하는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에 장착된 유압공급장치와, 압축용기를 받쳐주고 압축시의 압력을 잡아주는 압력지지대와, 유출되는 물과 커피오일을 모으는 탱크, 및 탱크에 모인 물과 커피오일을 파이프를 통해 유수분리장치로 보내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착장치는 유압의 압력과 압축속도는 압축용기에 담기는 커피박의 양과 압착 후의 커피박 함수율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압착장치는 20~30kgf/cm2의 압력과, 1.5~2m/min의 압축 속도와, 30~40초의 압축 시간으로 압축해서 탈수시킨다. 압착탈수설비는 커피박의 압축용기 투입, 압축용기의 압축위치 이동, 커피박 압축, 압축용기의 준비위치 이동, 압축된 커피박 배출 순으로 이루어진 각 배치당 싸이클 타임이 120~150초로 설정되어 커피박의 압착 탈수를 완료할 수 있게 한다.
압착탈수설비는 압착 탈수되어 압축용기에 담겨 있는 함수율 30~35%의 커피박을 준비위치로 옮긴 후, 압축용기의 하부를 개방해서 압축용기 하부의 컨베이어 위로 배출시키고 혼합공정의 커피박 저장소로 이송한다.
S130 단계에서, 압착 탈수 과정에서 유출된 혼합물로부터 커피오일을 분리한다. 예컨대, 압축공정에서 압축용기를 통하여 유출되어 모아진 혼합물은 삼상유수분리장치로 이송되어 비중분리방식으로 커피오일과 물과 고형분으로 분리된다. 물과 고형분은 외부로 배출되고, 커피오일은 오일 탱크에 모여 바이오 디젤 공정으로 이송된다.
S140 단계에서, 분리된 커피오일을 바이오 디젤로 변환한다. 이때, 반응조에 커피오일을 투입한 후, 커피오일에 메탄올을 혼합하고 촉매제를 첨가해서 설정 시간 동안 반응시켜 바이오 디젤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탄올을 커피오일량의 20%로 반응조에 투입하여 커피오일과 혼합하고, 촉매제인 소량의 수산화나트륨과 극소량의 황산을 투입하고 24시간을 반응시켜 바이오 디젤로 변환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압착 탈수되어 함수율 30~35%을 갖는 커피박에 중량비 40~60%의 톱밥을 혼합한다. 즉, 중량비 40~60%의 커피박과 40~60%의 톱밥을 혼합한다.
예컨대, 각각의 저장소에 저장된 커피박과 톱밥을 제품의 함수율과, 품질, 사용용도에 따라 중량비 40~60%의 비율로 계량하여 믹서에 투입하고, 1~2분 동안 혼합한 후 배출하여 건조공정으로 이송한다. 믹서 타입은 패들 믹서나 리본믹서 중에서 선정될 수 있다. 믹서 용량과 1회 혼합량은 계량, 투입, 혼합, 배출 순으로 이루어지는 싸이클 타임 4~5분을 기준으로 시간당 처리 용량에 맞추어 결정될 수 있다.
톱밥으로는 소나무톱밥이 이용될 수 있다. 커피박에는 펠렛 성형을 저해하는 실리카, 석회, Mg, K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펠렛 성형의 바인더 역할을 하는 리그닌 성분이 부족하여 커피박 자체만으로 펠렛 형태로 성형되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리그닌 성분이 많고 펠렛 성형이 잘되는 소나무 톱밥이 커피박에 혼합됨으로써, 커피박에 부족한 리그닌 성분을 보충하여 펠렛으로 성형이 가능해지게 한다. 또한, 축사의 깔개로 선호되는 소나무 톱밥과 커피박이 혼합되어 최상 품질의 축사깔개를 만들 수 있게 한다. 커피박과 톱밥의 혼합비율은 커피박과 톱밥의 품질과 펠렛 연료나 축사깔개의 사용 용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혼합된 커피박-톱밥을 함수율 10~12%로 건조시킨다. 이때, 건조기에 커피박을 투입한 후, 120~150℃의 열풍 온도와 1~2m/sec의 열풍 속도로 열풍을 공급하고 건조기 내의 드럼을 3~6rpm으로 회전시키면서 15~20분의 건조체류시간으로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건조기는 연속 건조식 드럼 건조기로 구성될 수 있다. 혼합된 커피박-톱밥은 건조기 상부의 피더를 통하여 건조기에 일정량씩 투입된다. 연소로에서 고온의 열풍을 발생시켜 건조기에 공급하여 커피박-톱밥과 열풍의 접촉에 의하여 커피박-톱밥의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된다.
이때, 커피박-톱밥은 건조기의 회전 드럼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날개판들에 의하여 위로 끌어올려졌다 중량에 의하여 아래로 낙하 분산되면서 열풍과 접촉하게 된다. 커피박-톱밥은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열풍에 의하여 건조되고 열풍의 흐름을 따라서 건조기의 출구 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되고, 커피박-톱밥과의 열교환에 의하여 습도가 높아진 공기는 싸이클론에서 커피박-톱밥의 미분들을 분리한 후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건조 파라미터인 열풍온도는 120~150℃, 열풍속도는 1~2m/sec, 드럼 회전수는 3~6rpm, 건조체류시간은 15~20분 내에서, 커피박-톱밥의 입자 크기와 함수율, 커피박-톱밥의 투입량에 따라 설정하되, 배출공기의 30~40%를 재순환시켜 연소로에 공급 공기로 사용함으로써, 연소로에서의 에너지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대기배출량도 줄일 수 있다.
커피박-톱밥은 건조 중 마찰이나 건조온도의 변화에 의한 발화로 인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크므로, 건조기에는 화재감지센서와 소화급수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10~12%로의 함수율로 건조된 커피박-톱밥은 펠렛 성형 공정이나 축사깔개 포장 공정으로 이송된다.
S170 단계에서, 건조된 커피박-톱밥을 축사 깔개로 만들거나 압축 성형해서 펠렛으로 만든다.
예컨대, 함수율 10~12%로 건조된 커피박-톱밥은 펠렛 성형기 상단의 빈에 저장된 후, 일정량씩 펠렛 성형기 상부의 컨디셔너로 투입된다. 컨디셔너는 소량의 스팀이나 물을 투입하고 패들 샤프트를 회전시켜 커피박-톱밥이 섞이고 균질화되면서 펠렛 성형기로 이송되게 한다. 펠렛 성형기는 이송된 커피박-톱밥을 6mm 또는 8mm 크기의 펠렛으로 압축 성형하여 바이오매스 연료로 만든다. 성형된 펠렛은 포장되어 출하된다. 한편, 함수율 10%로 건조된 커피박-톱밥을 압축 성형해서 펠렛으로 만들 수도 있다.
커피박-톱밥 펠렛의 열량은 혼합비율에 따라 4800~5100Kcal/kg으로 목재펠렛의 열량인 4300Kcal/kg보다 열량을 12~18% 높일 수 있고, 목재 펠렛의 단점인 흡습성에 의한 자연분화와 부서짐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연료로서의 활용가치가 높아지게 된다.
한편, 함수율 10~12%로 건조된 2~4mm 입자크기의 커피박-톱밥은 다른 첨가제나 물질과 혼합하는 가공 없이 포장되어 출하된다. 즉, 함수율 10~12%로 건조된 커피박-톱밥은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는 최상의 축사 깔개가 되어 활용된다.
현재 축산농가에서 깔개로 선호하는 소나무 톱밥은 함수율이 30~35%이지만, 함수율 10~12%로 건조된 커피박-톱밥은 함수율이 낮아 톱밥 깔개보다 동물들이 배출하는 축산 분뇨를 더 많이 흡수하여 오랜 기간 동안 축사를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함수율 10~12%의 커피박-톱밥은 축사의 악취를 줄여주고 해충의 접근 막아주어 동물들에게 편안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하며, 깔개로 사용된 후 배출된 커피박-톱밥에 분뇨가 혼합된 퇴비는 질소성분이 풍부한 있는 양질의 유기질 비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피박 재활용 방법에 의하면, 커피박을 압착 탈수해서 추출된 커피오일을 바이오 디젤로 변환하고, 탈수된 커피박을 톱밥과 혼합하고 건조하여 고열량의 펠렛 연료로 만들거나 축사깔개로 만들어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친환경적으로 커피박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하자면, 커피를 추출하고 남은 커피박은 발열량이 5600Kcal/kg이고, 탄소 57%, 오일 20%, 질소 2.1%가 함유되어 있어, 바이오매스 연료나 바이오디젤 오일, 퇴비나 축사의 깔개로 재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자원이지만, 수거되는 커피박의 함수율이 75~80%로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커피박의 함수율을 10%로 낮추어야 하기 때문에 커피박의 수분제거가 커피박 재활용의 선결조건이 되며, 건조나 탈수 공정을 통하여 수분을 제거하여야 한다.
건조에 의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경우, 1000kg의 커피박을 80%에서 10%로 건조하면, 함수율 10% 커피박은 222kg, 증발수분량은 778kg으로 건조필요열량이 약 610,000Kcal(커피박 109kg상당 열량)이 소모되므로, 생산되는 커피박 연료의 50% 정도를 건조에너지로 사용하게 되어 커피박 연료화의 효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1차 탈수 후 건조에 의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경우, 커피박 1000kg을 함수율 80%에서 35%로 탈수하면 함수율 35%의 커피박 308kg, 탈수량 692kg이 되어 전체 수분량 800kg의 86% 수분을 건조에너지의 소비 없이 제거할 수 있다. 수분35% 커피박 308kg을 수분10%로 건조하면 함수율 10%, 커피박 222kg, 증발수분량 86kg이 되며, 건조필요열량은 63,000kcal로 줄게 되므로, 탈수 후 건조시 건조에너지 소모량을 10% 정도로 줄일 수 있다.
커피박 재활용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또 하나의 과제는 커피박에 함유되어 있는 20% 커피오일의 추출이다. 함수율 75~80% 커피박을 함수율 10%로 건조하여 바이오매스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 커피오일은 연료에 내재되어 연료의 열량을 높이기는 하나, 오일로서 활용할 경우보다는 그 효용가치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커피오일을 연료로 만들기 전 솔벤트추출 방식으로 오일을 추출할 수는 있으나, 솔벤트추출 방식은 공정이 복잡하고 솔벤트 취급상의 안전성과 커피박을 함수율 10%로 건조하는데 많은 건조에너지가 소비되어 재활용의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솔벤트오일추출보다는 추출효율이 조금 낮더라도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고, 본 실시예와 같이 함수율 75~80%의 커피박을 컨디셔닝하고 높은 압력으로 압착하여 물과 커피오일을 추출한 후 물과 커피오일의 혼합물로부터 커피오일을 분리하는 압착오일추출 방식이 커피오일과 커피박의 경제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커피박 재활용의 선결조건과 과제들을 해결하고 재활용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함수율 75~80%의 커피박을 압착탈수 방식으로 탈수하여 커피오일을 분리하고, 함수율 30~35%의 커피박을 톱밥과 혼합한 후 함수율 10~12%로 건조하여 건조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며, 분리된 커피오일을 바이오 디젤로 변환하고, 함수율 30~35%의 커피박을 톱밥과 40~60%의 비율로 혼합하고 함수율 10~12%로 건조하여 고열량의 펠렛 연료로 만들거나 축사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축사깔개로 활용함으로써, 커피박 재활용의 최적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함수율 75~80%의 커피박을 입자 활성화를 위해 컨디셔닝하는 단계;
    컨디셔닝된 커피박을 함수율 30~35%로 압착 탈수하는 단계;
    압착 탈수 과정에서 유출된 혼합물로부터 커피오일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커피오일을 바이오 디젤로 변환하는 단계;
    압착 탈수되어 함수율 30~35%을 갖는 커피박에 중량비 40~60%의 톱밥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커피박-톱밥을 함수율 10~12%로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커피박-톱밥을 축사 깔개로 만들거나 압축 성형해서 펠렛으로 만드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피박 재활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닝 단계는,
    컨디셔너의 케이싱 내에 상온 상태의 커피박을 투입한 후, 1~2kg/cm2의 압력과 120~130℃의 온도를 갖는 스팀을 케이싱 내에 공급하여 커피박이 90초~120초 동안 스팀과 혼합되면서 체류되게 하여 커피박의 온도를 50~60℃로 높여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박 재활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탈수 단계는,
    압착탈수설비의 압축용기에 커피박을 투입한 후, 20~30kgf/cm2의 압력과, 1.5~2m/min의 압축 속도와, 30~40초의 압축 시간으로 압축해서 탈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박 재활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디젤 변환 단계는,
    반응조에 커피오일을 투입한 후, 커피오일에 메탄올을 혼합하고 촉매제를 첨가해서 설정 시간 동안 반응시켜 바이오 디젤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박 재활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건조기에 커피박을 투입한 후, 120~150℃의 열풍 온도와 1~2m/sec의 열풍 속도로 열풍을 공급하고 건조기 내의 드럼을 3~6rpm으로 회전시키면서 15~20분의 건조체류시간으로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박 재활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으로 만드는 단계는,
    함수율 10%로 건조된 커피박-톱밥을 압축 성형해서 펠렛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박 재활용 방법.
KR1020220027779A 2022-03-04 2022-03-04 커피박 재활용 방법 KR20230131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779A KR20230131360A (ko) 2022-03-04 2022-03-04 커피박 재활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779A KR20230131360A (ko) 2022-03-04 2022-03-04 커피박 재활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360A true KR20230131360A (ko) 2023-09-13

Family

ID=8802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779A KR20230131360A (ko) 2022-03-04 2022-03-04 커피박 재활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13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598A (ko) 2015-12-11 2017-06-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두커피박을 재활용한 친환경 점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598A (ko) 2015-12-11 2017-06-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두커피박을 재활용한 친환경 점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447B1 (ko) 미생물제재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고형연료 제조방법
KR101539224B1 (ko) 바이오메스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WO2018211461A1 (en) Process for beneficiating and cleaning biomass
CN101844859B (zh) 一种污泥的蒸汽低温热调质干化成套处理装置及方法
US20090209025A1 (en) High solid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er
KR101358836B1 (ko) 유기성 쓰레기와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 연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76555B1 (ko) 제지슬러지와 커피찌꺼기를 주원료로 하는 고형연료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260506B (zh) 一种橡胶树加工板材的废弃料综合利用的方法
CN102361963A (zh) 高质生物油的高产率生产方法
KR102205450B1 (ko) 축분을 주원료로 한 고체연료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161897A (zh) 一种农作物秸秆制取木炭活性炭可燃气生物油的制作方法
KR101179825B1 (ko) 음식물 쓰레기나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하여 토양성분을 개량하는 유기비료를 얻는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CN206680393U (zh) 一种有机废弃物资源化处理系统
CN101597132A (zh) 城镇污水污泥的生物干燥方法
KR20110005104A (ko) 탄화 고체연료 및 그 제조방법
CN201753303U (zh) 一种污泥的蒸汽低温热调质干化成套处理装置
CN1334152A (zh) 用湿解法处理城市生活垃圾的工艺
KR20230131360A (ko) 커피박 재활용 방법
EP1851176A1 (en) Method for treating biomass
CZ2016748A3 (cs) Masa odpadních materiálů biologického původu pro výrobu paliva určeného k přímému spalování a způsob výroby paliva z odpadních materiálů biologického původu
WO2012028908A1 (pt) Processo e instalação para a produção industrial de blocos, pastilhas e granulados a partir de resíduos de origem vegetal
EP1810953A1 (en) A method and a plant for treating waste material from olive oil production
CN114804935A (zh) 一种厨余垃圾制备生物炭基有机肥的方法及系统
KR20190120637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CN110624935B (zh) 适用于湿垃圾处理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