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346A - Deposition sour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eposition sour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346A
KR20230131346A KR1020220027643A KR20220027643A KR20230131346A KR 20230131346 A KR20230131346 A KR 20230131346A KR 1020220027643 A KR1020220027643 A KR 1020220027643A KR 20220027643 A KR20220027643 A KR 20220027643A KR 20230131346 A KR20230131346 A KR 20230131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eight
nozzles
deposi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종
박간영
한종분
강현규
김대용
서동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346A/en
Priority to CN202320190741.5U priority patent/CN219526764U/en
Priority to CN202310099515.0A priority patent/CN116695065A/en
Publication of KR2023013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3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43Crucibles for sourc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coating;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the vacuum, e.g. vacuum locks
    • C23C14/564Means for minimising impurities in the coating chamber such as dust, moisture, residual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증착물질이 수용되는 하우징, 제1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마스크 조립체를 향해 상기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제1노즐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노즐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노즐로부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노즐을 둘러싸는 제2노즐을 포함하는, 증착원을 개시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housing in which a deposition material is accommodated,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for spraying the deposition material toward a mask assembly moving relative to a first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A deposition source is disclosed, including a second nozzle spaced from the first nozz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surrounding the first nozzle.

Description

증착원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DEPOSITION SOUR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Manufacturing method of deposition source and display device {DEPOSITION SOUR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증착원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vices and methods, and more particularly, to deposition sour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display devices.

최근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전자 기기는 이동형 전자 기기와 고정형 전자 기기와 같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Recently, electronic devices have been widely used. Electronic devices are us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mobile electronic devices and fixed electronic devices, and these electronic devices include display devices that can provide visual information such as images or videos to users to support various functions.

표시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 유기층, 금속층 등의 다양한 층을 증착하여 형성된다. 표시장치의 복수의 층을 형성하기 위해 증착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증착 장치는 증착원으로부터 증착물질이 분사되어 마스크를 통해 기판에 증착되도록 이용된다.A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visually displays data and is formed by depositing various layers such as organic layers and metal layers. A deposition apparatus may be used to form multiple layers of the display device. A deposition device is used to spray a deposition material from a deposition source and deposit it on a substrate through a mask.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증착 물질이 효과적으로 분사될 수 있는 증착원 및 증착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im to provide a deposition source from which a deposition material can be effectively sprayed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eposition source.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illustrative, and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증착물질이 수용되는 하우징, 제1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마스크 조립체를 향해 상기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제1노즐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노즐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노즐로부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노즐을 둘러싸는 제2노즐을 포함하는, 증착원을 개시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housing in which a deposition material is accommodated,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for spraying the deposition material toward a mask assembly moving relative to a first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A deposition source is disclosed, including a second nozzle spaced from the first nozz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surrounding the first nozzl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노즐의 외측에서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may form a closed loop outside the first nozzle on a plan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1노즐의 중심과 동심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may be provided concentrically with the center of the first nozzl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노즐의 일부를 감싸도록 반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may have a semicircular shape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first nozzle in a plane view.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은 분사방향인 제3방향으로의 제1높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3방향으로의 제2높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높이는 상기 제2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nozzle includes a first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which is the spraying direction, and the second nozzle includes a second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irst height is the third direction. It can be less than 2 heigh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제2노즐의 둘레를 따라 가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height may var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nozzl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노즐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노즐의 상기 제2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heigh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노즐 중 상기 제2방향의 중앙에 있는 제2노즐로부터 상기 제2방향의 양단부에 있는 제2노즐로 갈수록 상기 제2높이가 작아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height may become smaller as it moves from the second nozzle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in the second direction to the second nozzle at both ends of the second direc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은 분사방향인 제3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nozzle may include a portion whose diameter increases in the third direction, which is the injection direc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노즐은 상기 제2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노즐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blocking plat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s along the second direction. More may be includ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은 분사방향인 제3방향으로의 제1높이,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3방향으로의 제2높이 및 상기 차단판은 상기 제3방향으로의 제3높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높이는 상기 제2높이보다 작고,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제3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nozzle has a first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which is the spraying direction, the second nozzle has a second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blocking plate has a third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Each height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height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may be smaller than the third heigh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1노즐과 마주보는 내부면에 배치되는 메쉬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may include a mesh structur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facing the first nozzl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노즐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heat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second nozzle and capable of heating the second nozzl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노즐 전체에 상기 제2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may be provided in all of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챔버 내부로 기판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기판과 마스크 조립체를 정렬하는 단계 및 하우징에 수용된 증착 물질을 제1노즐로부터 분사하고, 상기 제1노즐로부터 이격되어 둘러싸는 제2노즐에 의해 분사각을 제한하여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serting a substrate into a chamber, aligning the substrate and the mask assembly, spraying the deposition material contained in the housing from a first nozzle, and spraying a second nozzl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nozzle and surrounding the first nozzle. Disclosed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spraying with a limited spray angle using a nozzl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을 통과하여 분사된 증착 물질을 상기 제2노즐의 일측 및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각각 배치된 차단판에 의해 분사각을 다시 제한하여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ep of spraying the deposition material sprayed through the second nozzle by restricting the spray angle by a blocking pl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nozzle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is further performed. It can be includ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 상기 제2노즐 및 상기 차단판은 각각 분사방향으로의 제1높이, 제2높이 및 제3높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높이는 상기 제2높이보다 작고,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제3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nozzle, the second nozzle, and the blocking plate each include a first height, a second height, and a third height in the spray direction, and the first height is smaller than the second height. , the second height may be smaller than the third heigh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의 분사방향으로의 높이는 상기 제2노즐의 둘레를 따라 가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second nozzle in the spraying direction may var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nozzl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 및 상기 제2노즐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노즐 각각의 분사방향으로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nozzle and the second nozzle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the heigh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in the spraying direct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1노즐과 마주보는 내부면에 배치되는 메쉬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may include a mesh structur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facing the first nozzl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을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ep of heating the second nozzle may be further includ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증착물질이 효과적으로 분사될 수 있는 증착원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position source and a display device through which a deposition material can be effectively sprayed can be provided.

또한 쉐도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기판의 증착불량을 방지하고 초고해상도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dow phenomenon can be prevented, preventing defective deposition of the substrate and enabling the implementation of ultra-high resolution display device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에서 증착물질이 분사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도 2의 V-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도 3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deposition material being sprayed from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2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ure 3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manufactured using a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manufactured using a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not in a limiting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singular terms include plural te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a part of a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part, but also when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between them.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re ar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arbitrari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also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In cases where a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at the same time,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at in which they ar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2)는 후술할 표시장치(1, 도 13 참조)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manufacture the display device 1 (see FIG. 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표시장치의 제조장치(2)는 챔버(10), 제1지지부(20), 제2지지부(30), 마스크 조립체(40), 증착원(500), 자기력부(60), 비젼부(70) 및 압력조절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2 includes a chamber 10, a first support part 20, a second support part 30, a mask assembly 40, a deposition source 500, a magnetic force part 60, and a vision part 70. ) and a pressure control unit 80.

챔버(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기판(100) 및 마스크 조립체(40)가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챔버(10)의 일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챔버(10)의 개구된 부분에는 게이트밸브(1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게이트밸브(11)의 작동에 따라서 챔버(10)의 개구된 부분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chamber 10 and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may be accommodated.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chamber 10 may be formed to be open, and a gate valve 11 may be installed in the open portion of the chamber 10. In this case, the open portion of the chamber 10 may be opened or closed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gate valve 11.

제1지지부(20)는 표시기판(100)을 안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20)는 챔버(10) 내부에 고정된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지지부(20)는 표시기판(100)이 안착되며, 챔버(10) 내부에서 선형 운동 가능한 셔틀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지지부(20)는 챔버(10)에 고정되거나 챔버(1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챔버(10)에 배치되는 정전척이나 점착척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may seat and support the display substrate 100 . 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part 20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fixed inside the chamber 10.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may be in the form of a shuttle on which the display substrate 100 is seated and capable of linear movement within the chamber 10.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part 20 may be fixed to the chamber 10 or may include an electrostatic chuck or an adhesive chuck disposed in the chamber 10 so as to be movable within the chamber 10.

제2지지부(30)는 마스크 조립체(4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부(30)는 챔버(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30)는 마스크 조립체(40)의 위치를 미세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부(30)는 마스크 조립체(40)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별도의 구동부 내지는 얼라인유닛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mask assembly 40 can be seat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part 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hamber 10. The second support part 30 may be able to fin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mask assembly 40.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unit 3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driving unit or alignment unit to enable the mask assembly 40 to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다른 실시예로서 제2지지부(30)는 셔틀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2지지부(30)는 마스크 조립체(40)가 안착되며, 마스크 조립체(40)를 이송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지지부(30)는 챔버(10) 외부로 이동하여 마스크 조립체(40)가 안착된 후 챔버(10) 외부에서 챔버(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part 30 may be in the form of a shuttle.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may seat the mask assembly 40 and may be capable of transporting the mask assembly 40. 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member 30 may move outside the chamber 10 and enter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from outside the chamber 10 after the mask assembly 40 is seated.

상기와 같은 경우 제1지지부(20)와 제2지지부(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1지지부(20)와 제2지지부(30)는 이동 가능한 셔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20)와 제2지지부(30)는 마스크 조립체(40) 상에 표시기판(100)이 안착된 상태로 마스크 조립체(40)와 표시기판(100)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포함하며, 표시기판(100)과 마스크 조립체(40)를 동시에 선형 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cas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irst support part 2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0 to be formed integrally.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part 2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0 may include a movable shuttle. 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 include a structure for fixing the mask assembly 40 and the display substrate 100 with the display substrate 100 seated on the mask assembly 40. It is also possible to linearly move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at the same time.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지지부(20)와 제2지지부(30)는 서로 구분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 제1지지부(20)와 제2지지부(30)는 챔버(10)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support part 2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0 are formed to be distinc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The first support part 2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0 ar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form disposed inside the chamber 10.

증착원(500)은 마스크 조립체(4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증착원(500)에는 증착물질이 수납될 수 있으며, 증착물질에 열을 가함으로써 증착 물질을 증발시키거나 승화시킬 수 있다. 증착원(500)은 챔버(10) 내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거나 일 방향을 따라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챔버(10) 내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증착원(50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deposition source 50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mask assembly 40 . At this time, the deposition material may be stored in the deposition source 500, and the deposition material may be evaporated or sublimated by applying heat to the deposition material. The deposition source 500 may be fixedly placed inside the chamber 10 or may be placed inside the chamber 10 to enable linear movement in one direction. The deposition source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마스크 조립체(40)는 챔버(10) 내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마스크 조립체(40)는 마스크 프레임(41) 및 마스크 시트(42)를 포함할 수 있다.Mask assembly 40 may be selectively placed inside chamber 10 . At this time, the mask assembly 40 may include a mask frame 41 and a mask sheet 42.

마스크 프레임(41)은 복수 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 부분이 관통되어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마스크 프레임(410)의 내부는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sk frame 41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rames, and the central portion may be penetrated to form an opening. At this time, the interior of the mask frame 410 may be formed in a grid shape.

마스크 시트(42)는 마스크 프레임(41)에 인장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마스크 시트(4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홀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홀은 증착 물질이 마스크 시트(42)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홀일 수 있다.The mask sheet 42 may be installed in a tensioned state on the mask frame 41. The mask sheet 42 may include at least one pattern hole. The pattern hole may be a through hole formed to allow the deposition material to pass through the mask sheet 42.

자기력부(60)는 표시기판(100)과 대향하도록 챔버(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자기력부(60)는 마스크 조립체(40)에 자기력을 가하여 표시기판(100) 측으로 마스크 조립체(40)를 가력할 수 있다. 특히 자기력부(60)는 마스크 시트(42)의 쳐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마스크 시트(42)를 표시기판(100)에 인접시킬 수 있다. 또한, 자기력부(60)는 마스크 시트(42)와 표시기판(100)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The magnetic force unit 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hamber 10 to face the display substrate 100 . At this time, the magnetic force unit 60 may apply magnetic force to the mask assembly 40 to force the mask assembly 40 toward the display substrate 100 . In particular, the magnetic force unit 60 not only prevents the mask sheet 42 from sagging but also allows the mask sheet 42 to be adjacent to the display substrate 100. Additionally, the magnetic force unit 60 can maintain a uniform gap between the mask sheet 42 and the display substrate 100.

비젼부(70)는 챔버(10)에 설치되며, 표시기판(100)과 마스크 조립체(40)의 위치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비젼부(70)는 표시기판(100) 및 마스크 조립체(40)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젼부(7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근거로 표시기판(100)과 마스크 조립체(4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를 근거로 제1지지부(20)에서 표시기판(10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거나 제2지지부(30)에서 마스크 조립체(4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2지지부(30)에서 마스크 조립체(4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여 표시 기판(100)과 마스크 조립체(40)의 위치를 정렬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vision unit 70 is installed in the chamber 10 and can capture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At this time, the vision unit 70 may include a camera that photographs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board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vision unit 70, and the position of the display board 100 in the first support part 20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image. The position of the mask assembly 40 on the second support 30 can be finely adjusted. However, 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are aligned by fin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sk assembly 40 on the second support part 30.

압력조절부(80)는 챔버(10)와 연결되어 챔버(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력조절부(80)는 챔버(10)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절부(80)는 챔버(10) 내부의 압력을 진공 상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pressure control unit 80 is connected to the chamber 10 and can control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10. For example, the pressure regulator 80 can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10 to be equal to or similar to atmospheric pressure. Additionally, the pressure regulator 80 can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10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a vacuum state.

압력조절부(80)는 챔버(10)와 연결되는 연결배관(81)과 연결배관(81)에 설치되는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펌프(82)의 작동에 따라서 연결배관(81)을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거나 챔버(10) 내부의 기체를 연결배관(81)을 통하여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The pressure regulator 80 may include a connection pipe 81 connected to the chamber 10 and a pump 82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ipe 81.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pump 82,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81 or the gas inside the chamber 10 may be gui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ion pipe 81.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장치의 제조장치(2)의 작동을 살펴보면, 압력조절부(80)가 챔버(10) 내부를 대기압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태로 만들면, 게이트밸브(11)가 작동하여 챔버(10)의 개구된 부분을 개방할 수 있다. Meanwhile,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device 2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ssure regulator 80 makes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in a state equal to or similar to atmospheric pressure, the gate valve 11 operates and the chamber ( The opened part of 10) can be opened.

이후 외부에서 표시기판(100)을 챔버(10) 외부에서 내부로 장입할 수 있다. 이때, 표시기판(100)은 다양한 방식으로 챔버(10)로 장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기판(100)은 챔버(10) 외부에 배치된 로봇암 등을 통하여 챔버(10) 외부에서 챔버(10) 내부로 장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지지부(20)가 셔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제1지지부(20)가 챔버(10) 내부에서 챔버(10) 외부로 반출된 후 챔버(10) 외부에 배치된 별도의 로봇암 등을 통하여 표시기판(100)을 제1 지지부(20)에 안착시키고 제1지지부(20)가 챔버(10) 외부에서 챔버(10) 내부로 장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챔버(10) 외부에 배치된 로봇암을 통하여 표시기판(100)이 챔버(10) 외부로부터 챔버(10) 내부로 장입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fterwards, the display substrate 100 can be charged from the outside into the chamber 10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display substrate 100 may be charged into the chamber 1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display substrate 100 may be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the chamber 10 in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through a robot arm disposed outside the chamber 10.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irst support part 20 is formed in a shuttle shape, a separate robot is placed outside the chamber 10 after the first support part 20 is transported from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10. It is also possible to seat the display substrate 100 on the first support part 20 through an arm or the like and insert the first support part 20 from the outside of the chamber 10 in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case where the display board 100 is charged from the outside of the chamber 10 in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through a robot arm disposed outside the chamber 10.

마스크 조립체(40)는 상기와 같이 챔버(10) 내부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마스크 조립체(40)는 표시기판(10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챔버(10) 외부에서 챔버(10) 내부로 장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마스크 조립체(40)는 챔버(1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표시기판(100)만 챔버(10) 외부에서 챔버(10) 내부로 장입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mask assembly 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hamber 10 as described above. In another embodiment, the mask assembly 40 may be charged from the outside of the chamber 10 into the chamber 10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e display substrate 100.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mask assembly 40 is placed inside the chamber 10 and only the display board 100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the chamber 10 in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Let me explain.

상기와 같은 경우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지지부(20)와 제2지지부(30)가 셔틀 형태로써 표시기판(100)과 마스크 조립체(40)를 고정시킨 후 챔버(10) 외부에서 챔버(10) 내부로 장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case, as another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pport part 2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0 are in the form of a shuttle to fix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and then move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10. It is also possible to charge into the chamber 10.

표시기판(100)이 챔버(10) 내부로 장입되면, 표시기판(100)은 제1지지부(20)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비젼부(70)는 표시기판(100)과 마스크 조립체(40)의 위치를 촬영할 수 있다. 특히 비젼부(70)는 표시기판(100)의 제1얼라인마크 및 마스크 조립체(40)의 제2 얼라인마크를 촬영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substrate 10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10, the display substrate 100 may be seat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20. At this time, the vision unit 70 can photograph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In particular, the vision unit 70 can photograph the first alignment mark of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alignment mark of the mask assembly 40.

상기와 같이 촬영된 제1얼라인마크와 제2얼라인마크를 근거로 표시기판(100)과 마스크 조립체(4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표시장치의 제조장치(2)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표시기판(100)과 마스크 조립체4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alignment mark and the second alignment mark photographed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2 is equipped with a separate control unit (not shown) to determine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표시기판(100)과 마스크 조립체(40)의 위치 파악이 완료되면, 제2지지부(30)는 마스크 조립체(4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Once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are completed, the second support part 30 can fin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mask assembly 40.

이후 증착원(500)이 작동하여 증착물질을 마스크 조립체(40) 측으로 공급하고, 마스크 시트(42)의 복수 개의 패턴홀을 통과한 증착물질은 표시기판(100)에 증착될 수 있다. 이때, 증착원(500)이 표시기판(100) 및 마스크 조립체(40)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거나, 표시기판(100) 및 마스크 조립체(40)가 증착원(500)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증착원(500)은 표시기판(100)및 마스크 조립체(40)와 상대이동할 수 있다. 이때, 펌프(82)는 챔버(10) 내부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챔버(10) 내부의 압력을 진공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Afterwards, the deposition source 500 operates to supply the deposition material to the mask assembly 40, and the deposition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pattern holes of the mask sheet 42 can be deposited on the display substrate 100. At this time, the deposition source 500 may move in parallel with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or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may move in parallel with the deposition source 500. . That is, the deposition source 500 can move relative to the display substrate 100 and the mask assembly 40. At this time, the pump 82 can maintain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10 in the same or similar form as a vacuum by sucking in the gas inside the chamber 10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경우 증착물질은 마스크 조립체(40)의 패턴홀을 통과하여 표시기판(100)에 증착될 수 있다. 이때, 마스크 조립체(40)는 표시기판(100)에 증착되어야 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패턴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표시장치(1)에 적층되는 복수 개의 층, 예를 들어 유기층, 금속층 등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deposition material may pass through the pattern hole of the mask assembly 40 and be deposited on the display substrate 100. At this time, the mask assembly 40 may provide a pattern hole corresponding to an area to be deposited on the display substrate 100 . Accordingly, a plurality of layers, such as an organic layer and a metal layer, can be formed to be stacked on the display device 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증착원(500)은 마스크 조립체(40)의 일변과 평행한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x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증착원(500)은 하우징(510), 커버부(520) 및 제1노즐(53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deposition source 50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mask assembly 40 (for example, the x direction in FIG. 1 ).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deposition source 500 may include a housing 510, a cover portion 520, and a first nozzle 531.

하우징(510)은 내부 공간을 갖는 강체로서, 내부 공간에 증착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510)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510)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housing 510 is a rigid body with an internal space and can accommodate a deposition material in the internal space. 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51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fact that the housing 5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하우징(510)은 일면(예를 들어, 도 2의 +z 방향 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증착물질은 이 개방된 면을 통해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10)에는 히터(미도시)가 배치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된 증착물질을 가열하여 증발 또는 승화시킬 수 있다.The housing 510 may have a shape in which one side (eg, the +z direction side in FIG. 2) is open. The deposition material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510 through this open surface. Additionally, a heater (not shown) is disposed in the housing 510 to heat the deposition material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to evaporate or sublimate it.

하우징(510)의 개방된 일면에는 커버부(52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520)는 하우징(510)의 개방된 일면을 덮어 하우징(510)을 밀폐시킬 수 있다.A cover portion 520 may be disposed on one open surface of the housing 510. The cover portion 520 can cover one open surface of the housing 510 and seal the housing 510.

제1노즐(531)은 커버부(5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노즐(531)은 다양한 형태로 커버부(5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노즐(531)은 커버부(5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노즐(531)은 커버부(520)와 별도로 형성되어 커버부(520)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노즐(531)은 커버부(520)와 별도로 형성되어 커버부(520)와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st nozzle 531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part 520. The first nozzle 531 may be connected to the cover part 520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first nozzle 53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portion 520.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nozzle 531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ver part 520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cover part 52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nozzle 53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case where i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ver part 520 and is combined with the cover part 520.

제1노즐(531)은 커버부(520)를 통해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노즐(531)은 커버부(520)의 저면 또는 저면을 넘어서까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제1노즐(531)은 커버부(520)에 구비된 개구의 둘레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노즐(531)이 커버부(520)에 구비된 개구의 둘레 상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증착물질은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 또는 승화되어 제1노즐(531)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The first nozzle 531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510 through the cover part 520. In one embodiment, the first nozzle 531 may be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cover portion 520 or beyond the bottom. Alternatively, the first nozzle 531 may be disposed around the opening provided in the cover part 520.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first nozzle 531 is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provided in the cover part 520. The deposition material may be heated by a heater, evaporated or sublimated, and then sprayed through the first nozzle 531.

일 실시예에서 제1노즐(53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노즐(531)은 예를 들어, 마스크 조립체(40) 또는 기판(100)의 일변과 평행한 방향(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의 x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제1노즐(531)이 나란히 배치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증착원(500)은 기판(100) 및/또는 마스크 조립체(40)와 상대이동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증착원(500)은 기판(100) 및/또는 마스크 조립체(40)와 제1방향(예를 들어, 도 1의 y 방향)으로 상대이동하며 증착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노즐(531)은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예를 들어, 도 1의 x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증착원(500)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기판(100)의 전면에 증착물질을 증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mask assembly 40 or the substrate 100 (e.g., the x direction in FIG. 1 or FIG. 2). there is. In one embodiment, the deposition source 500 may move relative to the substrate 100 and/or the mask assembly 4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are arranged side by side.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deposition source 500 may spray the deposition material while moving relative to the substrate 100 and/or the mask assembly 40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y direction in FIG. 1). .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eg, x-direction in FIG. 1). The deposition source 500 can deposit a deposition material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with this configuration.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제1노즐(531)은 제1방향으로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제1노즐(531)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행과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일 예시로서 복수 개의 제1노즐(531)이 2행 8열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o form rows and columns. In FIG. 2 , as an example,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are shown in two rows and eight colum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노즐(532)은 복수 개의 제1노즐(531)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노즐(532)이 복수 개의 제1노즐(531) 전체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second nozzle 532 may be disposed o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second nozzle 532 is disposed throughout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노즐(531)은 커버(520) 상에 구비된 개구(521)의 둘레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노즐(531)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노즐(531)은 원기둥 형태, 다각기둥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노즐(531)이 원기둥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1노즐(531)은 커버(52)에 구비된 개구(521)를 통해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즉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에서 증발 또는 승화된 증착물질은 제1노즐(531)을 통해 제3방향(예를 들어, 도 3a의 z 방향)으로 기판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first nozzle 531 may be disposed around the opening 521 provided on the cover 520. In one embodiment, the first nozzle 53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first nozzle 53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r a polygonal pillar shape.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first nozzle 531 has a cylindrical shape. This first nozzle 531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510 through the opening 521 provided in the cover 52. That is, the deposition material evaporated or sublim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510 may be sprayed toward the substrate in a third direction (eg, z-direction in FIG. 3A) through the first nozzle 531.

제2노즐(532)은 제1노즐(53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노즐(532)은 제1노즐(53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노즐(53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노즐(532)은 제1노즐(531)보다 직경이 더 큰 원기둥 형태로, 제2노즐(532)은 제1노즐(531)로부터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노즐(532)은 제1노즐(531)로부터 분사되는 증착물질의 분사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The second nozzle 53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nozzle 531.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nozzle 531 and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first nozzle 531 . That is, the second nozzle 532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nozzle 531, and the second nozzle 532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nozzle 531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here is. The second nozzle 532 may limit the spray angle of the deposition material sprayed from the first nozzle 531.

일 실시예에서, 제2노즐(532)은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즉, 도 3의 -z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1노즐(531)보다 직경이 더 큰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nozzle 531 when viewed from a plane (that is, when viewed in the -z direction of FIG. 3).

이때 제2노즐(532)이 중심과 제1노즐(531)의 중심은 동심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노즐(531)의 외측면으로부터 제2노즐(532)까지의 간격(s)은 제1노즐(531)의 중심으로부터 제1방향, 제2방향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든 방향에서 동일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er of the second nozzle 532 and the center of the first nozzle 531 may be concentric. In this case, the distance (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nozzle 531 to the second nozzle 532 will be the same in all directions including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center of the first nozzle 531. You can.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노즐(531)의 중심과 제2노즐(532)의 중심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노즐(531)의 외측면으로부터 제2노즐(532)까지의 간격(s)은 제1노즐(531)의 일측(예를 들어, 도 3의 +x 방향 측)에서의 간격이 타측(예를 들어, 도 3의 -x 방향 측)에서의 간격과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노즐(532)의 중심은 필요에 따라, 즉 설계된 입사각을 고려하여 제1노즐(531)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노즐(531)의 중심과 제2노즐(532)의 중심이 동심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center of the first nozzle 531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nozzle 532 may not coincide. In this case, the distance 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nozzle 531 to the second nozzle 532 is the distance on one side of the first nozzle 531 (for example, the +x direction side in FIG. 3). The spacing may be different from the spacing on the other side (for example, the -x direction side in FIG. 3). In this way, the center of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arranged not to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first nozzle 531 as needed, that is, considering the designed angle of incidence.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center of the first nozzle 531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nozzle 532 are concentric.

일 실시예에서 제1노즐(531)은 분사방향인 제3방향(예를 들어 도 3의 z 방향)으로의 길이인 제1높이(h1)를 포함하고, 제2노즐(532)은 분사방향인 제3방향으로의 길이인 제2높이(h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높이(h1)는 제2높이(h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노즐(532)에 의해 제1노즐(531)로부터 분사된 증착물질의 분사각이 제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nozzle 531 includes a first height h1 that is a length in the third direction (for example, the z direction in FIG. 3), which is the injection direction, and the second nozzle 532 includes a length in the third direction (e.g., z-direction in FIG. 3), which is the injection dir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height (h2), which is the length in the third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height (h1)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height (h2). Accordingly, the spray angle of the deposition material sprayed from the first nozzle 531 by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limi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에서 증착물질이 분사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deposition material being sprayed from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500)은 제2노즐(532)을 구비함에 따라 증착물질의 분사각(θ)이 작아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s the deposition sour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nozzle 532, the injection angle θ of the deposition material may be reduced.

일반적으로 증착물질은 분사되어 마스크 조립체(40)의 패턴홀을 통과하여 기판(100)에 증착될 수 있다. 이때, 증착물질의 분사각(θ)이 큰 경우 마스크 조립체(40)의 패턴홀을 비스듬하게 통과하여, 증착이 불필요한 영역에 증착물질이 증착되는 외부 쉐도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증착이 필요한 영역에 증착물질이 일부만 증착되는 내부 쉐도우가 발생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deposition material may be sprayed, pass through the pattern hole of the mask assembly 40, and be deposited on the substrate 100. At this time, if the injection angle (θ) of the deposition material is large, it may pass through the pattern hole of the mask assembly 40 at an angle, creating an external shadow where the deposition material is deposited in an area where deposition is not required. Additionally, internal shadows may occur where only a portion of the deposition material is deposited in the area where deposition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500)은 제1노즐(531)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노즐(532)을 통해 증착물질의 분사각(θ)을 제한하여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노즐(531)로부터 분사된 증착물질의 분사각은 제2노즐(532)을 통과한 증착물질의 분사각(θ)보다 크다. 그러나 제1노즐(531)로부터 분사된 증착물질 중 일부는 제2노즐(532)에 부딪혀 분사되지 못하고, 제2노즐(532)에 의해 분사각(θ)이 작아져서 분사될 수 있다.The deposition sour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straightness by limiting the injection angle (θ) of the deposition material through the second nozzle 532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nozzle 531. . Specifically, the injection angle of the deposition material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531 is greater than the injection angle (θ) of the deposition material that passed through the second nozzle 532. However, some of the deposition material sprayed from the first nozzle 531 may not be sprayed because it hits the second nozzle 532, and the spray angle θ may be reduced by the second nozzle 532.

이에 따라 전술한 쉐도우를 방지하여, 증착물질이 기판(100)의 요구되는 위치에 요구되는 두께로 증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초고해상도가 요구되는 표시패널에서 우수한 증착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shadow can be prevented, and the deposition material can be deposited at a required location on the substrate 100 with a required thickness. This can reduce the defect rate of the display panel of the display device, and can achieve excellent deposition, especially in display panels that require ultra-high resolution.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증착원(500)은 차단판(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판(540)은 기판(100) 및/또는 마스크 조립체(40)와 상대이동하는 방향, 즉 제1방향(도 2의 y 방향)으로 제1노즐(531)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차단판(540)은 제1노즐(531)의 제1방향으로의 일측과,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차단판(540)은 제1노즐(531)을 사이에 두고 제1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deposition source 500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late 540. The blocking plate 54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nozzle 531 in a direction in which it moves relative to the substrate 100 and/or the mask assembly 40,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y direction in FIG. 2). The blocking plate 54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first nozzle 531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That is, the blocking plate 540 may be formed of a pair of plates facing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with the first nozzle 531 in between.

차단판(540)은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도 2의 x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판(540)은 커버부(520)의 제2방향의 양 단부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The blocking plate 540 may extend along a second direction (x-direction in FIG. 2)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one embodiment, the blocking plate 540 may extend between both ends of the cover portion 520 in the second direc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도 2의 V-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2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차단판(540)은 제3방향(예를 들어 도 5의 z 방향)으로의 제3높이(h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높이(h3)는 제2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노즐(532)을 통과한 증착물질은 차단판(540)에 의해 다시 한번 분사각이 작아지도록 경로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착물질은 제1방향(도 5의 y 방향)으로의 분사각(θ)은 차단판(540)의 존재로 인해, 제2방향(도 5의 x 방향)으로의 분사각보다 더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증착물질은 직진성이 향상되므로 요구되는 영역에 보다 우수하게 증착되고, 쉐도우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증착물질의 제1방향(도 5의 y 방향)으로의 분사각이 작아져 증착품질이 향상되는 대신 분사할 수 있는 영역이 좁아질 수 있으나, 증착원(500)은 기판(100)과 제1방향(도 5의 y 방향)으로 상대이동하므로 증착원(500)이 이동하며 증착물질을 분사하여 기판(100)의 전면에 증착물질을 우수하게 증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blocking plate 540 may include a third height h3 in the third direction (eg, z-direction in FIG. 5 ). At this time, the third height (h3)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height (h2). Accordingly, the path of the deposition materi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restricted by the blocking plate 540 so that the spray angle is once again reduced. Accordingly, the injection angle θ of the deposition material in the first direction (y direction in FIG. 5) is smaller than the injection angle in the second direction (x direction in FIG. 5) due to the presence of the blocking plate 540. You can lose. Accordingly, the deposition material can be deposited better in the required area because the straightness is improved, and the shadow phenomenon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spraying angle of the deposition material in the first direction (y direction in FIG. 5) becomes smaller, which may narrow the area where the deposition material can be sprayed instead of improving the deposition quality. However, the deposition source 500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100. Since the deposition source 500 moves relative to one direction (y direction in FIG. 5) and sprays the deposition material, the deposition material can be excellently deposi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500)은 증착물질의 분사각을 제한하여 쉐도우 현상을 방지하고 초고해상도의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position sour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hadow phenomenon and implement a display device with ultra-high resolution by limiting the spray angle of the deposition material.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도 3과 유사한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ure 3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 제1노즐(531)은 제3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노즐(531)은 커버부(520)에 인접한 부분은 커버부(520)와 접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노즐(531)은 커버부(520)와 접촉면에 수직하여 연장된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노즐(531)은 정면 상에서 도 6과 같이 Y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노즐(5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노즐(531)과 이격되어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노즐(531)이 Y자 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증착물질이 적당한 분사각을 가지고 분사되고, 이때 제2노즐(532)은 지나치게 비산되는 증착물질을 차단하여 분사각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착물질의 증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nozzle 531 may include a portion whose diameter increases in the third direction. Specifically, the portion of the first nozzle 531 adjacent to the cover part 520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cover part 520. At this time, the first nozzle 531 may extend to have an inclination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a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cover portion 520. That is, the first nozzle 531 may be formed in a Y shape as shown in FIG. 6 on the front. In this case as well,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arranged to surround and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nozzle 53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nozzle 531 is formed in a Y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deposition material is sprayed at an appropriate spray angle, and at this time, the second nozzle 532 can limit the spray angle by blocking the deposition material from scattering excessively. there is. Accordingly, the deposition quality of the deposition material can be improv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제2노즐(532)은 커버부(520)로부터 제3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노즐(532)은 노즐바디(532-1) 및 지지대(532-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바디(532-1)는 전술한 제2노즐(532)과 같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노즐바디(532-1)가 원기둥의 형상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대(532-2)는 노즐바디(532-1)의 하부에서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532-2)는 노즐바디(532-2)의 하부 둘레를 따라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532-2)는 일 실시예로 핀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portion 520 in the third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nozzle 532 may include a nozzle body 532-1 and a support stand 532-2. The nozzle body 532-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or polygonal column like the second nozzle 532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fact that the nozzle body 532-1 has a cylindrical shape. A plurality of supports 532-2 may be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nozzle body 532-1 and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For example, four supports 532-2 may be arrang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nozzle body 532-2.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532-2 may be formed in a pin-like shape.

지지대(532-2)는 커버부(520)에 연결되어 노즐바디(532-1)를 지지할 수 있다. 노즐바디(532-1)는 전술한 제2노즐(532)과 마찬가지로 제1노즐(531)을 둘러싸서 증착물질의 분사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바디(532-1)의 최대 높이, 즉 커버부(520)의 일면으로부터 노즐바디(532-1)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제1노즐(531)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커버부(520)의 일면으로부터 노즐바디(532-1)의 하단까지의 거리는 제1노즐(531)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노즐(532)은 제1노즐(510)의 하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2노즐(532)은 하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핀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무게가 감소하고 경량화될 수 있다.The support 532-2 may be connected to the cover portion 520 to support the nozzle body 532-1. Like the above-described second nozzle 532, the nozzle body 532-1 may surround the first nozzle 531 to reduce the injection angle of the deposition material. To this end, the maximum height of the nozzle body 532-1, that is, the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cover part 520 to the top of the nozzle body 532-1,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nozzle 531. At this time, the distance from one surface of the cover part 520 to the bottom of the nozzle body 532-1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nozzle 531. In this way,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in a form that exposes the lower part of the first nozzle 510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nozzle 532 is not curved but is shaped like a pin, so the weight can be reduced and lighten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2노즐(532)은 제2노즐(532)의 둘레를 따라 제2높이(h2)가 가변할 수 있다. 즉, 제2노즐(532)은 도 8과 같이 상부 둘레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height h2 of the second nozzle 532 may var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nozzle 532 . That is,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nozzle 532 may not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shown in FIG. 8 .

일 실시예에서 제2노즐(532)은 일 단부, 예를 들어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오목한 오목부(532-3)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532-3)는 증착물질의 분사각을 조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개수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목부(532-3)는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532-3)를 통과하는 증착물질은 보다 큰 분사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532-3)의 깊이를 조정함에 따라 증착물질의 분사각을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증착공정의 특성에 따라 오목부(532-3)의 개수, 위치 및 깊이가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532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532-3 that is concave around one end, for example, the upper e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532-3 may be provided as required to adjust the spray angle of the deposition material. In one embodiment, two concave portions 532-3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ly, the deposition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concave portion 532-3 can be sprayed at a larger spray angle. Additionally, the injection angle of the deposition material can be adjusted as needed by adjusting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532-3.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location, and depth of the concave portions 532-3 may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quired deposition process.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2노즐(532)은 제1노즐(531)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노즐(532)은 평면 상에서 반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노즐(532)은 제1노즐(531)의 일부를 감싸도록 반원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도 제2노즐(532)의 높이는 제1노즐(531)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노즐(532)이 배치된 측으로는 분사각이 작아지고, 제2노즐(532)이 배치되지 않은 측으로는 분사각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제2노즐(532)의 형상이 상기와 같이 반원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요구되는 증착 특성에 맞춰 증착물질의 분사각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0)에서 증착물질이 보다 직진성을 가지고 증착되어야 하는 부분에는 도 9와 같이 인접한 두 제1노즐(531) 사이에 반원기둥 형상의 제2노즐(532)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한 두 제1노즐(531) 사이에서 제2노즐(532)에 의해 분사각이 제한되어 분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원기둥 형상의 제2노즐(532)은 요구되는 증착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9,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provided to partially surround the first nozzle 531. For example,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provided in a semicircular shape on a plane. That is,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semicylindrical column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first nozzle 531. Even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nozzle 531. Accordingly, the spray angle may become smaller on the side where the second nozzle 532 is disposed, and the spray angle may not be limited on the side where the second nozzle 532 is not disposed. As the shape of the second nozzle 532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emi-cylindrical column as described above, the injection angle of the deposition material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quired deposition characteristics. For example, in a portion of the substrate 100 where the deposition material must be deposited with more straightness, second nozzles 532 in the shape of a semicylindrical column may be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first nozzles 531 as shown in FIG. 9. . Accordingly, the spray angle may be limited by the second nozzle 532 between two adjacent first nozzles 531.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nozzle 532 having a semi-cylindrical shape may be placed in various positions depending on the required deposition characteristics.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제2노즐(532)은 내부면에 메쉬구조(5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노즐(531)의 외부면과 마주보는 제2노즐(532)의 내부면에 메쉬구조(532-4)가 배치될 수 있다. 메쉬구조(532-4)는 제1노즐(531)로부터 분사된 증착물질이 제2노즐(532)에 부딪혀 한꺼번에 무너져 떨어지지 않도록 증착물질을 붙잡아둘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second nozzle 532 may further include a mesh structure 532-4 on its inner surface. That is, the mesh structure 532-4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nozzle 532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nozzle 531. The mesh structure 532-4 can hold the deposition material sprayed from the first nozzle 531 so that it does not collapse and fall all at once when it hits the second nozzle 532.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2노즐(532)의 외측에는 제2노즐(532)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가열부는 예를 들어 제2노즐(532)을 둘러싸는 열선(heat wire)일 수 있다. 가열부는 제2노즐(532)을 가열하여 제2노즐(532)에 부착되는 증착물질을 증발 또는 승화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전술한 메쉬구조(532-4)와 협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착물질의 분사 시 메쉬구조(532-4)는 제2노즐(532)에 부딪히는 증착물질을 붙잡아 유지하고, 증착물질의 분사가 완료된 후, 가열부는 제2노즐(532)을 가열하여 메쉬구조(532-4)에 유지된 증착물질을 증발 또는 승화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냉각부가 제2노즐(532)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증착물질의 분사가 완료되고 가열부가 가동되어 제2노즐(532)에 부착된 증착물질을 제거한 후에, 냉각부는 제2노즐(532)을 냉각시켜 적정 온도로 제2노즐(532)의 온도를 낮추고, 다음 증착 공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a heating unit (not shown) capable of heating the second nozzle 53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econd nozzle 532. For example, the heating unit may be a heat wire surrounding the second nozzle 532. The heating unit may heat the second nozzle 532 to remove the deposition material attached to the second nozzle 532 by evaporating or sublimating it. This may optionally cooperate with the mesh structure 532-4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spraying the deposition material, the mesh structure 532-4 catches and holds the deposition material hitting the second nozzle 532, and after the injection of the deposition material is completed, the heating unit heats the second nozzle 532 to The deposition material retained in the mesh structure 532-4 can be removed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ooling unit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second nozzle 532. After the injection of the deposition material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heating unit is operated to remove the deposition material attached to the second nozzle 532, the cooling unit cools the second nozzle 532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can be lowered and the next deposi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또는 가열부는 메쉬구조(532-4)와는 관계없이 제2노즐(532)의 온도를 상승시켜 증착 공정 시 증착물질이 제2노즐(532)에 부착되지 못하고 증발되도록 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eating unit may be us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nozzle 532 regardless of the mesh structure 532-4 so that the deposition material is not attached to the second nozzle 532 and evaporates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노즐(531)은 제2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제1노즐(531)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노즐(532)의 제2높이(h2)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2노즐(532) 중 중앙에 배치된 제2노즐(532)의 제2높이(h2)가 가장 클 수 있다. 상기 제2노즐(532)을 기준으로 제2방향으로 양 단부로 갈수록 제2노즐(532)들의 제2높이(h2)가 작아질 수 있다. 제2높이(h2)가 작을수록 증착물질의 분사각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소자가 다수 배치되는 기판(100)의 중앙부분에서는 보다 직진성이 높도록 증착물질을 증착하고, 표시소자가 상대적으로 적게 배치되는 기판(100)의 주변부분에서는 보다 넓은 영역을 커버하도록 증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heights h2 of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532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second height h2 of the centrally placed second nozzle 532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532 may be the largest. The second height h2 of the second nozzles 532 may become smaller as it moves toward both ends in the second direction based on the second nozzle 532. As the second height (h2) becomes smaller, the spray angle of the deposition material may increase. Accordingly, in the central part of the substrate 100, where a large number of display elements are arranged, the deposition material is deposited to ensure higher straightness, and in the peripheral part of the substrate 100, where relatively few display elements are arranged, the deposition material is deposited to cover a wider area. can do.

그러나 이는 예시로서 설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증착공정의 특성에 따라 예를 들어, 제2방향으로의 양 단부에서의 제2노즐(532)의 제2높이(h2)가 가장 크고, 중앙의 제2노즐(532)의 제2높이(h2)가 가장 작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is is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quired deposition process, for example, the second height (h2) of the second nozzle 532 at both ends in the second direction It may be arranged so that is the largest and the second height h2 of the central second nozzle 532 is the smallest.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position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제1노즐(531) 중 일부에만 제2노즐(532)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2와 같이 복수 개의 제1노즐(531)은 제2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노즐(532)은 제2방향으로의 양 단부에 있는 제1노즐(531)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노즐(532)이 배치되지 않는 제2방향으로의 양 단부에 있는 제1노즐(531)은, 제2노즐(532)이 배치된 중앙부분보다 증착물질의 분사각이 더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소자가 다수 배치되는 기판(100)의 중앙부분에서는 보다 직진성이 높도록 증착물질을 증착하고, 표시소자가 상대적으로 적게 배치되는 기판(100)의 주변부분에서는 보다 넓은 영역을 커버하도록 증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nozzles 532 may be disposed in only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nozzle 532 may not be disposed at the first nozzle 531 at both end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nozzles 531 at both ends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 the second nozzles 532 are not disposed may have a wider spray angle of the deposition material than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second nozzles 532 are disposed. Accordingly, in the central part of the substrate 100 where a large number of display elements are arranged, the deposition material is deposited to ensure higher straightness, and in the peripheral part of the substrate 100 where relatively few display elements are arranged, the deposition material is deposited to cover a wider area. can do.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증착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제1노즐(531) 중 제2노즐(532)이 배치되지 않는 제1노즐(531)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nozzle 531 where the second nozzle 532 is not dispose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531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required deposition characteristics.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ure 1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manufactured using a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표시장치(1)는 표시영역(DA) 및 표시영역(DA)의 외측에 위치한 주변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영역(DA)에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X)들의 어레이를 통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display device 1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and a peripheral area PA located outside the display area DA. The display device 1 can provide an image through an array of a plurality of pixels (PX) two-dimensionally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DA).

주변영역(PA)은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표시영역(DA)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주변영역(PA)에는 화소(PX)들 각각에 대응하는 화소회로에 전기적 신호나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드라이버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주변영역(PA)에는 전자소자나 인쇄회로기판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인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peripheral area (PA) is an area that does not provide an image and may completely or partially surround the display area (DA). A driver, etc. for providing an electrical signal or power to a pixel circu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ixels PX may be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PA. A pad, which is an area where electronic devices, printed circuit boards, etc.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may be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PA).

이하에서는 표시장치(1)가 발광소자(Light emitting element)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장치(1)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장치(1)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즉 무기 발광 표시 장치(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일 수 있다. 무기 발광다이오드는 무기물 반도체 기반의 재료들을 포함하는 PN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PN 접합 다이오드에 순방향으로 전압을 인가하면 정공과 전자가 주입되고, 그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으로 생기는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시켜 소정의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전술한 무기 발광다이오드는 수~수백 마이크로미터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 무기 발광다이오드는 마이크로 LED로 지칭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장치(1)는 양자점 발광 표시 장치(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일 수 있다. Hereinafter, it will be explained that the display device 1 is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but the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 may be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at is,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ay include a PN diode containing inorganic semiconductor-based materials.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PN junction diode in the forward direction, holes and electrons are injected, and the energy generated by the recombination of the holes and electrons is converted into light energy to emit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The above-described inorganic light-emitting diode may have a width of several to hundreds of micrometers, and in some embodiments, the inorganic light-emitting diode may be referred to as a micro LED. As anothe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 may be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한편, 표시장치(1)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watch phone), 안경형 디스플레이, 및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자동차의 계기판, 및 자동차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또는 대쉬보드에 배치된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를 대신하는 룸 미러 디스플레이(room mirror display), 자동차의 뒷좌석용 엔터테인먼트로, 앞좌석의 배면에 배치되는 표시 화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 is used for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ersonal comput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lectronic notebooks, e-book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navigation, and UMPCs. It can be used as a display screen for various products such as televisions, laptops, monitors, billboard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as well a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Ultra Mobile PC).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mounted on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a watch phone, a glasses-type display,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It can be used.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dashboard of a car, a center information display (CID) placed on the center fascia or dashboard of a car, and a room mirror display (a display instead of a side mirror of a car). room mirror display), entertainment for the backseat of a car, and can be used as a display screen placed on the back of the front seat.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3의 II-II'선을 따라 취한 표시 장치의 단면에 대응될 수 있다.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manufactured using a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correspond to a cross-section of the display device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3.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는 기판(100), 화소회로층(PCL), 표시요소층(DEL), 봉지층(300)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stacked structure of a substrate 100, a pixel circuit layer (PCL), a display element layer (DEL), and an encapsulation layer 300.

기판(100)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및 무기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기판(100)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과 무기절연층의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0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베이스층(101), 제1 배리어층(102), 제2 베이스층(103), 및 제2 배리어층(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층(101)과 제2 베이스층(103)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e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또는/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리어층(102)과 제2 배리어층(104)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와 같은 무기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substrate 100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a base layer containing a polymer resin and an inorganic layer. For example, the substrate 100 may include a base layer containing a polymer resin and a barrier layer of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For example, the substrate 100 may include a first base layer 101, a first barrier layer 102, a second base layer 103, and a second barrier layer 104 sequentially stacked. The first base layer 101 and the second base layer 103 are made of polyimide (PI), polyethersulfone (PES), polyarylate, polyether imide (PEI), polyethylene napthalate (PEN), polyethyeleneterepthalate (PET),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carbonate (PC), cellulose triacetate (TAC), or/and cellulose acetate propio It may includ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etc. The first barrier layer 102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104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licon oxynitride, and/or silicon nitride. The substrate 100 may have flexible characteristics.

기판(100) 상에는 화소회로층(PCL)이 배치된다. 도 14는 화소회로층(PCL)이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구성요소들 아래 또는/및 위에 배치되는 버퍼층(111), 제1 게이트절연층(112), 제2 게이트절연층(113), 층간절연층(114), 제1 평탄화절연층(115) 및 제2 평탄화절연층(116)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A pixel circuit layer (PCL)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14 shows a buffer layer 111, a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12, and a second gate in which the pixel circuit layer (PCL) is disposed below or/and above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and the component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It is shown to include an insulating layer 113,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4, a first planarization insulating layer 115, and a second planarization insulating layer 116.

버퍼층(111)은 기판(100)의 하부로부터 이물, 습기 또는 외기의 침투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고, 기판(100) 상에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와 같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물질을 포함하는 단일 층 또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uffer layer 111 may reduce or block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moisture, or external ai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100 and may provide a flat surface on the substrate 100. The buffer layer 111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licon oxynitride, or silicon nitride, and may have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materials.

버퍼층(111) 상의 박막트랜지스터(TFT)는 반도체층(Act)을 포함하며, 반도체층(Act)은 폴리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반도체층(Act)은 비정질(amorphous) 실리콘을 포함하거나,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거나, 유기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채널영역(C) 및 채널영역(C)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드레인영역(D) 및 소스영역(S)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GE)은 채널영역(C)과 중첩할 수 있다.The thin film transistor (TFT) on the buffer layer 111 includes a semiconductor layer (Act), and the semiconductor layer (Act) may include polysilicon. Alternatively, the semiconductor layer (Act) may include amorphous silicon, an oxide semiconductor, an organic semiconductor, etc. The semiconductor layer (Act) may include a channel region (C) and a drain region (D) and a source region (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hannel region (C), respectively. The gate electrode (GE) may overlap the channel area (C).

게이트전극(GE)은 저저항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GE)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GE) may include a low-resistance metal material. The gate electrode (GE) may contain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aluminum (Al), copper (Cu), titanium (Ti), etc., and may be formed as a multilayer or single layer containing the above materials. there is.

반도체층(Act)과 게이트전극(GE) 사이의 제1 게이트절연층(112)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x)등과 같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연산화물(ZnOx)은 산화아연(ZnO), 및/또는 과산화아연(ZnO2)일 수 있다.The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12 between the semiconductor layer (Act ) and the gate electrode (GE) is made of silicon oxide (SiO 2 ), silicon nitride ( SiN ), titanium oxide (TiO 2 ), tantalum oxide (Ta 2 O 5 ), hafnium oxide (HfO 2 ), or zinc oxide (ZnO x ). Zinc oxide (ZnO x ) may be zinc oxide (ZnO) and/or zinc peroxide (ZnO 2 ).

제2 게이트절연층(113)은 상기 게이트전극(GE)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게이트절연층(113)은 상기 제1 게이트절연층(112)과 유사하게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x) 등과 같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연산화물(ZnOx)은 산화아연(ZnO), 및/또는 과산화아연(ZnO2)일 수 있다.The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13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gate electrode (GE). The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13 , similar to the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12, is made of silicon oxide (SiO 2 ), silicon nitride (SiN , titanium oxide (TiO 2 ), tantalum oxide (Ta 2 O 5 ), hafnium oxide (HfO 2 ), or zinc oxide (ZnO x ). Zinc oxide (ZnO x ) may be zinc oxide (ZnO) and/or zinc peroxide (ZnO 2 ).

제2 게이트절연층(113) 상부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상부 전극(Cst2)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전극(Cst2)은 그 아래의 게이트전극(GE)과 중첩할 수 있다. 이 때, 제2 게이트절연층(113)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게이트전극(GE) 및 상부 전극(Cst2)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게이트전극(GE)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하부 전극(Cst1)으로 기능할 수 있다.The upper electrode (Cst2)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13. The upper electrode (Cst2) may overlap the gate electrode (GE) below it. At this time, the gate electrode (GE) and the upper electrode (Cst2) that overlap with the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13 therebetween may form a storage capacitor (Cst). That is, the gate electrode (GE) can function as the lower electrode (Cst1)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이와 같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와 박막트랜지스터(TFT)가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storage capacitor (Cst)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may be overlapped and formed. In some embodiments, the storage capacitor Cst may be formed so as not to overlap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상부 전극(Cst2)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및/또는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물질의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The upper electrode (Cst2) is aluminum (Al), platinum (Pt), palladium (Pd), silver (Ag), magnesium (Mg), gold (Au), nickel (Ni), neodymium (Nd), and iridium (Ir). , chromium (Cr), calcium (Ca), molybdenum (Mo), titanium (Ti), tungsten (W), and/or copper (Cu), and may be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of the foregoing materials. .

층간절연층(114)은 상부 전극(Cst2)을 덮을 수 있다. 층간절연층(114)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연산화물(ZnOx)은 산화아연(ZnO), 및/또는 과산화아연(ZnO2)일 수 있다. 층간절연층(114)은 전술한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4 may cover the upper electrode (Cst2).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4 is made of silicon oxide (SiO 2 ) , silicon nitride ( SiN 5 ), hafnium oxide (HfO 2 ), or zinc oxide (ZnO x ). Zinc oxide (ZnO x ) may be zinc oxide (ZnO) and/or zinc peroxide (ZnO 2 ).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4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각각 층간절연층(11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각각 그 하부의 절연층들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드레인영역(D) 및 소스영역(S)과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전도성이 좋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Ti/Al/Ti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drain electrode (DE) and the source electrode (SE) may each be locat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4. The drain electrode (DE) and the source electrode (SE)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region (D) and the source region (S) through contact holes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s below them, respectively. The drain electrode (DE) and source electrode (SE) may include a material with good conductivity. The drain electrode (DE) and source electrode (SE) may contain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aluminum (Al), copper (Cu), titanium (Ti), etc., and may be a multilayer containing the above materials.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In one embodiment, the drain electrode (DE) and the source electrode (SE)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Ti/Al/Ti.

제1 평탄화절연층(115)은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을 덮을 수 있다. 제1 평탄화절연층(115)은 폴리메틸메타크리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나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과 같은 일반 범용고분자,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와 같은 유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lanarization insulating layer 115 may cover the drain electrode (DE) and the source electrode (SE). The first planarization insulating layer 115 is made of general-purpose polymers such as polymethylmethacrylate (PMMA) or polystyrene (PS), polymer derivatives with phenol groups, acrylic polymers, imide polymers, and aryl ether polymers. It may include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such as polymers, amide-based polymers, fluorine-based polymers, p-xylene-based polymers, vinyl alcohol-based polymers, and blends thereof.

제2 평탄화절연층(116)은 제1 평탄화절연층(1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평탄화절연층(116)은 제1 평탄화절연층(115)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메틸메타크리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나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과 같은 일반 범용고분자,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와 같은 유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lanarization insulating layer 116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insulating layer 115 . The second planarization insulating layer 116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planarization insulating layer 115, and may be a general-purpose polymer such as polymethylmethacrylate (PMMA) or polystyrene (PS), or phenol. It may include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such as polymer derivatives having a group, acrylic polymers, imide polymers, aryl ether polymers, amide polymers, fluorine polymers, p-xylene polymers, vinyl alcohol polymers, and blends thereof. .

전술한 구조의 화소회로층(PCL) 상에는 표시요소층(DEL)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요소층(DEL)은 표시요소(즉, 발광소자)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화소전극(210), 중간층(220), 및 공통전극(230)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예컨대, 적색, 녹색, 또는 청색 빛을 방출하거나,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발광영역을 통해 빛을 방출하며, 발광영역을 화소(PX)로 정의할 수 있다. A display element layer (DEL) may be disposed on the pixel circuit layer (PCL)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display element layer (DEL)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s a display element (i.e.,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cludes a pixel electrode 210, an intermediate layer 220, and a common electrode 230. It may include a layered structur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for example, may emit red, green, or blue light, or may emit red, green, blue, or white ligh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emit light through a light-emitting area, and the light-emitting area can be defined as a pixel (PX).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화소전극(210)은 제2 평탄화절연층(116) 및 제1 평탄화절연층(115)에 형성된 컨택홀들과 제1 평탄화절연층(115) 상에 배치된 컨택메탈(CM)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ixel electrode 21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formed by contact holes formed in the second planarization insulating layer 116 and the first planarization insulating layer 115 and a contact metal dispos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insulating layer 115.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hin film transistor (TFT) through (CM).

화소전극(210)은 인듐틴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징크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징크산화물(ZnO; zinc oxide), 인듐산화물(In2O3: indium oxide), 인듐갈륨산화물(IGO; indium gallium oxide) 또는 알루미늄징크산화물(AZO; aluminum zinc oxide)와 같은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화소전극(210)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사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화소전극(210)은 전술한 반사막의 위/아래에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xel electrode 210 is made of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zinc oxide (ZnO), indium oxide (In 2 O 3 ), and indium. It may include a conductive oxide such as gallium oxide (IGO) or aluminum zinc oxide (AZO). In another embodiment, the pixel electrode 210 is made of silver (Ag), magnesium (Mg), aluminum (Al), platinum (Pt), palladium (Pd), gold (Au), nickel (Ni), and neodymium (Nd). , may include a reflective film containing iridium (Ir), chromium (Cr), or a compound thereof. In another embodiment, the pixel electrode 210 may further include a film formed of ITO, IZO, ZnO, or In 2 O 3 above and below the above-described reflective film.

화소전극(210) 상에는 화소전극(210)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개구(117OP)를 갖는 화소정의막(117)이 배치된다. 화소정의막(117)은 유기절연물 및/또는 무기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117OP)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발광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개구(117OP)의 크기/폭이 발광영역의 크기/폭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PX)의 크기 및/또는 폭은 해당하는 화소정의막(117)의 개구(117OP)의 크기 및/또는 폭에 의존할 수 있다.A pixel defining layer 117 having an opening 117OP expos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ixel electrode 210 is disposed on the pixel electrode 210. The pixel defining layer 117 may include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or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The opening 117OP can define a light emitting area of light emitted from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For example, the size/width of the opening 117OP may correspond to the size/width of the light emitting area. Accordingly, the size and/or width of the pixel PX may depend on the size and/or width of the opening 117OP of the corresponding pixel defining layer 117.

중간층(220)은 화소전극(2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발광층(222)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222)은 소정의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고분자 또는 저분자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발광층(222)은 무기 발광물질을 포함하거나,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The middle layer 22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layer 222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ixel electrode 210. The light-emitting layer 222 may include a polymer or low-molecular organic material that emits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Alternatively, the light-emitting layer 222 may include an in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 or quantum dots.

일 실시예로, 중간층(220)은 발광층(222)의 아래와 위에 각각 배치되는 제1 기능층(221) 및 제2 기능층(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능층(221)은 예컨대,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을 포함하거나, 홀 수송층 및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능층(223)은 발광층(222) 위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또는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능층(221) 및/또는 제2 기능층(223)은 후술할 공통전극(230)과 마찬가지로 기판(100)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iddle layer 220 may include a first functional layer 221 and a second functional layer 223 disposed below and above the light emitting layer 222,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first functional layer 221 may include a hole transport layer (HTL), or may include a hole transport layer and a hole injection layer (HIL). The second functional layer 223 is a component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222 and may include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o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The first functional layer 221 and/or the second functional layer 223 may be a common layer formed to entirely cover the substrate 100, like the common electrode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공통전극(230)은 화소전극(210) 상에 배치되며, 화소전극(210)과 중첩할 수 있다. 공통전극(230)은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공통전극(230)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반)투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공통전극(230)은 전술한 물질을 포함하는 (반)투명층 상에 ITO, IZO, ZnO 또는 In2O3과 같은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통전극(230)은 기판(100)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mmon electrode 230 is disposed on the pixel electrode 210 and may overlap the pixel electrode 210. The common electrode 23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with a low work function. For example, the common electrode 230 is made of silver (Ag), magnesium (Mg), aluminum (Al), platinum (Pt), palladium (Pd), gold (Au), nickel (Ni), neodymium (Nd), and iridium ( It may include a (semi) transparent layer containing Ir), chromium (Cr), lithium (Li), calcium (Ca), or an alloy thereof. Alternatively, the common electrode 230 may further include a layer such as ITO, IZO, ZnO, or In 2 O 3 on the (semi) transparent layer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material. The common electrode 230 may be formed integrally to cover the entire substrate 100.

봉지층(300)은 표시요소층(DEL) 상에 배치되고 표시요소층(DEL)을 커버할 수 있다. 봉지층(30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봉지층을 포함하며, 일 실시예로서 도 14는 봉지층(3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봉지층(310), 유기봉지층(320) 및 제2 무기봉지층(33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The encapsulation layer 300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element layer DEL and cover the display element layer DEL. The encapsulation layer 300 includes at least one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and at least one organic encapsulation layer. As an example, Figure 14 shows a first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310 in which the encapsulation layers 300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an organic encapsulation layer. It is shown to include an encapsulation layer 320 and a second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330.

제1 무기봉지층(310) 및 제2 무기봉지층(330)은 알루미늄산화물, 티타늄산화물, 탄탈륨산화물, 하프늄산화물, 징크산화물, 실리콘산화물, 실리콘질화물, 실리콘산질화물 중 하나 이상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폴리머(polymer)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계열의 소재로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유기봉지층(320)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모노머를 경화하거나, 폴리머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310 and the second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330 may include one or more inorganic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oxide, titanium oxide, tantalum oxide, hafnium oxide, zinc oxide,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and silicon oxynitride. there is. The organic encapsulation layer 320 may include a polymer-based material. Polymer-based materials may include acrylic resin, epoxy resin, polyimide, and polyethylene. In one embodiment, the organic encapsulation layer 320 may include acrylate. The organic encapsulation layer 320 can be formed by curing a monomer or applying a polymer. The organic encapsulation layer 320 may be transparent.

봉지층(300) 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터치 센서층이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 센서층 상에는 광학 기능층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은 외부의 입력, 예컨대 터치 이벤트에 따른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광학 기능층은 외부로부터 표시 장치를 향해 입사하는 빛(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및/또는 표시 장치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광학 기능층은 위상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λ/2 위상지연자 및/또는 λ/4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 및 편광자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touch sensor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encapsulation layer 300, and an optical functional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touch sensor layer. The touch sensor layer can acquire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for example, a touch event.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may reduce the reflectance of light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toward the display device and/or improve the color purity of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In one embodiment,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may include a retarder and/or a polarizer. The phase retarder may be a film type or a liquid crystal coating type, and may include a λ/2 phase retarder and/or a λ/4 phase retarder. The polarizer may also be a film type or a liquid crystal coating type. The film type may include a stretched synthetic resin film, and the liquid crystal coating type may include liquid crystal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The phase retarder and polarizer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상기 터치 전극층 및 광학 기능층 사이에는 점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재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일반적인 것을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재는 감압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일 수 있다.An adhesive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ouch electrode layer and the optical function layer. The adhesive member may be any general material known in the art without limitation. The adhesive member may b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attached claims.

1: 표시장치
2: 표시장치의 제조 장치
10: 챔버
20: 제1지지부
30: 제2지지부
40: 마스크 조립체
60: 자기력부
70: 비젼부
80: 압력조절부
100: 표시기판
500: 증착원
510: 하우징
520: 커버부
531: 제1노즐
532: 제2노즐
1: Display device
2: Manufacturing device of display device
10: Chamber
20: first support
30: second support portion
40: Mask assembly
60: Magnetic force unit
70: Vision Department
80: Pressure control unit
100: display board
500: deposition source
510: housing
520: Cover part
531: First nozzle
532: Second nozzle

Claims (21)

내부에 증착물질이 수용되는 하우징;
제1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마스크 조립체를 향해 상기 증착물질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제1노즐;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노즐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노즐로부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노즐을 둘러싸는 제2노즐;을 포함하는, 증착원.
A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deposition material therein;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spraying the deposition material toward a mask assembly moving relative to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nozzle is disposed o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nozz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surrounds the first nozzle. , deposition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노즐의 외측에서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는, 증착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nozzle forms a closed loop outside the first nozzle on a pla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1노즐의 중심과 동심으로 구비되는, 증착원.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econd nozzle is provided concentrically with the center of the first nozz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평면 상에서 상기 제1노즐의 일부를 감싸도록 반원형의 형상인, 증착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nozzle is a deposition source that has a semicircular shape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first nozzle on a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은 분사방향인 제3방향으로의 제1높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3방향으로의 제2높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높이는 상기 제2높이보다 작은, 증착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nozzle includes a first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which is the spraying direction, and the second nozzle includes a second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The first height is smaller than the second heigh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제2노즐의 둘레를 따라 가변하는, 증착원.
According to clause 5,
The second height vari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nozz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노즐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노즐의 상기 제2높이는 서로 상이한, 증착원.
According to clause 5,
The second heigh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노즐 중 상기 제2방향의 중앙에 있는 제2노즐로부터 상기 제2방향의 양단부에 있는 제2노즐로 갈수록 상기 제2높이가 작아지는, 증착원.
In clause 7,
The second height becomes smaller from the second nozzle at the center of the second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to the second nozzles at both ends of the secon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은 분사방향인 제3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증착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nozzle is a deposition source including a portion whose diameter increases in the third direction, which is the injection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노즐은 상기 제2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노즐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증착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A deposition source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plat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은 분사방향인 제3방향으로의 제1높이,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3방향으로의 제2높이 및 상기 차단판은 상기 제3방향으로의 제3높이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높이는 상기 제2높이보다 작고,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제3높이보다 작은, 증착원.
According to clause 10,
The first nozzle has a first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which is the spraying direction, the second nozzle has a second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blocking plate has a third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The first height is smaller than the second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is smaller than the third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1노즐과 마주보는 내부면에 배치되는 메쉬구조를 포함하는, 증착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nozzle includes a mesh structur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facing the first nozz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노즐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증착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eposition source further includes a heat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second nozzle and capable of heating the second nozz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노즐 전체에 상기 제2노즐이 구비되는, 증착원.
According to paragraph 1,
A deposition source wherein the second nozzle is provided in all of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챔버 내부로 기판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기판과 마스크 조립체를 정렬하는 단계; 및
하우징에 수용된 증착 물질을 제1노즐로부터 분사하고, 상기 제1노즐로부터 이격되어 둘러싸는 제2노즐에 의해 분사각을 제한하여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Inserting a substrate into the chamber;
aligning the substrate and mask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spraying the deposition material contained in the housing from a first nozzle, and spraying the deposition material at a limited spray angle by a second nozzl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nozzle and surrounding the first nozzl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을 통과하여 분사된 증착 물질을 상기 제2노즐의 일측 및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각각 배치된 차단판에 의해 분사각을 다시 제한하여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15,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spraying the deposition material injected through the second nozzle by again limiting the spray angle by a blocking pl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nozzle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Manufacturing metho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 상기 제2노즐 및 상기 차단판은 각각 분사방향으로의 제1높이, 제2높이 및 제3높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높이는 상기 제2높이보다 작고,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제3높이보다 작은,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16,
The first nozzle, the second nozzle, and the blocking plate each include a first height, a second height, and a third height in the spray direction,
The first height is smaller than the second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is smaller than the third heigh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의 분사방향으로의 높이는 상기 제2노즐의 둘레를 따라 가변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15,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height of the second nozzle in the spraying direction is vari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nozzl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 및 상기 제2노즐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노즐 각각의 분사방향으로의 높이는 서로 상이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15,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nozzle and the second nozzle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the heigh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in the spraying dir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제1노즐과 마주보는 내부면에 배치되는 메쉬구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15,
The second nozzle includes a mesh structur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facing the first nozzl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을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use 15,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heating the second nozzle.
KR1020220027643A 2022-03-03 2022-03-03 Deposition sour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20230131346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643A KR20230131346A (en) 2022-03-03 2022-03-03 Deposition sour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N202320190741.5U CN219526764U (en) 2022-03-03 2023-02-10 Deposition source
CN202310099515.0A CN116695065A (en) 2022-03-03 2023-02-10 Deposition sour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643A KR20230131346A (en) 2022-03-03 2022-03-03 Deposition sour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346A true KR20230131346A (en) 2023-09-13

Family

ID=8762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643A KR20230131346A (en) 2022-03-03 2022-03-03 Deposition sour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1346A (en)
CN (2) CN116695065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95065A (en) 2023-09-05
CN219526764U (en) 202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8039B1 (en) Mask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9137133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KR20230131346A (en) Deposition sour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20220159525A (en) Mask, mask assembly,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isplay apparatus
CN218291085U (en) Deposition source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CN221071627U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nd mask assembly
US20230304145A1 (en) Mask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202400432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KR20240001794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KR20230068495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N220376763U (en) Device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30174329A (en) Mask assembly, method for manufacturing mask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202400265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40013957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KR20230156204A (en) Mask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20230189625A1 (en) Mask st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sk assembly
US202302505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20240018641A1 (en) Mask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ask assembly
KR20230171537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20230161301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KR20240073210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0732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N117070897A (en) Manufacturing equipment of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