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983A -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983A
KR20230130983A KR1020220028251A KR20220028251A KR20230130983A KR 20230130983 A KR20230130983 A KR 20230130983A KR 1020220028251 A KR1020220028251 A KR 1020220028251A KR 20220028251 A KR20220028251 A KR 20220028251A KR 20230130983 A KR20230130983 A KR 20230130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up
lens
optical system
zoom optical
tele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형록
장대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983A/ko
Publication of KR2023013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9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물체(object)측으로부터 상(image)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렌즈군, 제2 렌즈군 및 제3 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군 및 상기 제3 렌즈군은 이동 가능하고,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EFL, effective focal length)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EFLtele는 텔레포토에서 줌 광학계의 유효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HimageD는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을 의미한다.

Description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OPTICAL SYSTEM AND CAMERA MODULE F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에 내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성능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 단말 내 카메라 모듈에도 오토포커싱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휴대 단말 내 카메라 모듈이 오토포커싱 기능을 가지기 위하여, 외부 광을 디지털 이미지 또는 디지털 영상으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처리에 의하여 배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1배, 3배, 5배 등과 같이 소정의 정해진 배율로만 줌이 가능하며,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해상도가 떨어지고, 디지털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휴대 단말 내 카메라 모듈이 오토포커싱 기능을 가지기 위하여, 렌즈를 이동시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다만, 휴대 단말 내 좁은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한 광학계의 설계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줌(zoom)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물체(object)측으로부터 상(image)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렌즈군, 제2 렌즈군 및 제3 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군 및 상기 제3 렌즈군은 이동 가능하고,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EFL, effective focal length)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EFLtele는 텔레포토에서 줌 광학계의 유효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HimageD는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을 의미한다.
상기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는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의 1.6배 이상일 수 있다.
CRA(chief ray angle)는 15°이하이고, 텔레포토에서의 CRA와 와이드 앵글에서의 CRA 간 차는 0.4°이하일 수 있다.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 텔레포토(telephoto)로 주밍(zooming) 시 상기 제3 렌즈군의 이동 스트로크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TTL(Total Track Length)은 이미지 센서면으로부터 줌 광학계의 첫번째 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STOKE3는 제3 렌즈군의 이동 스트로크를 의미한다.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 텔레포토(telephoto)로 주밍(zooming) 시 상기 제3 렌즈군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2 렌즈군의 이동 거리보다 클 수 있다.
35mm 환산 초점 거리는 115mm 이상일 수 있다.
와이드 앵글에서 F수는 2.14 이하이고, 텔레포토에서 F수는 2.94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군은 3매 이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군은 2매 이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렌즈군은 2매 이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군은 3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3매의 렌즈 중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군은 3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3매의 렌즈 중 상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의 아베수는 3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군은 2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2매의 렌즈 간 아베수 차는 3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군은 2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2매의 렌즈 중 상측에 가까운 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된 필터, 그리고 상기 필터 상에 배치된 줌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줌 광학계는, 물체(object)측으로부터 상(image)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렌즈군, 제2 렌즈군 및 제3 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군 및 상기 제3 렌즈군은 이동 가능하고,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EFL, effective focal length)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EFLtele는 텔레포토에서 줌 광학계의 유효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HimageD는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배율뿐만 아니라, 고배율로 줌 기능이 가능한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는 연속적인 줌 조절이 가능하며, 고배율에서도 높은 해상도를 유지할 수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ut 기법이 적용된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중간 모드(middle mode)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중간 모드(middle mode)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중간 모드(middle mode)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물체(object)측으로부터 상(image)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렌즈군(100),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렌즈군(100)의 전단에는 직각 프리즘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줌 광학계는 물체(object)측으로부터 상(image)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직각 프리즘, 제1 렌즈군(100),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렌즈군(100)은 복수 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제1 렌즈군(100)은 적어도 3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군(100)이 1매 또는 2매의 렌즈를 포함할 경우 최대 배율에서의 해상력 보정이 어려울 수 있고,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갈수록 해상력이 낮아질 수 있으며, 3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경우 줌 광학계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질 수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제1 렌즈군(100)은 3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군(100)은 상측에 대해 고정된다. 제1 렌즈군(100)은 센서(10)면에 대해 고정된다. 즉, 복수 매의 렌즈는 상측에 대해 고정된다.
제2 렌즈군(200)은 복수 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제2 렌즈군(200)은 2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이 1매의 렌즈를 포함할 경우 최대 배율에서의 해상력 보정이 어려울 수 있고, 3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경우 줌 광학계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질 수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제2 렌즈군(200)은 2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은 이동 가능하다. 제2 렌즈군(200)에 포함된 복수 매의 렌즈는 렌즈의 중심축을 따라 함께 이동 가능하다. 제2 렌즈군(200)에 포함된 2매의 렌즈는 렌즈의 중심축을 따라 함께 이동 가능하다. 제2 렌즈군(200)이 3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경우, 제2 렌즈군(200)의 사이즈 및 무게가 늘어나게 되며, 이동 시 구동 전력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렌즈군(200)은 2매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렌즈군(200)의 이동에 따라 초점거리가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의 이동에 따라 배율이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렌즈군(200)은 줌밍(zooming)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렌즈군(300)은 복수 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제3 렌즈군(300)은 2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렌즈군(300)이 1매의 렌즈를 포함할 경우 최대 배율에서의 해상력 보정이 어려울 수 있고, 3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경우 줌 광학계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질 수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제3 렌즈군(300)은 2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렌즈군(300)은 이동 가능하다. 제3 렌즈군(300)에 포함된 복수 매의 렌즈는 렌즈의 중심축을 따라 함께 이동 가능하다. 제3 렌즈군(300)에 포함된 2매의 렌즈는 렌즈의 중심축을 따라 함께 이동 가능하다. 제3 렌즈군(300)이 3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경우, 제3 렌즈군(300)의 사이즈 및 무게가 늘어나게 되며, 이동 시 구동 전력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3 렌즈군(300)은 2매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렌즈군(300)의 이동에 따라 초점이 조정될 수 있다. 제3 렌즈군(300)은 포커싱(focusing)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렌즈군(300)의 후단에 필터(20) 및 이미지 센서(1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20)는 IR(infrared) 필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20)는 카메라 모듈 내에 입사되는 광으로부터 근적외선, 예를 들면 파장이 700nm 내지 1100nm인 빛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10)는 와이어(wire)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필터(20)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이물 방지용 필터 및 IR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필터(20)가 이물 방지용 필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3 렌즈군(30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IR 필터 또는 이미지 센서(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필터(20)는 IR을 차단하는 필터가 아닌, IR을 투과하는 필터일 수도 있다.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의 이동에 따라 줌 광학계의 배율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줌 광학계의 배율은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의 이동에 따라 3배 내지 5배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드 앵글에서 줌 광학계는 3배의 배율을 가질 수 있고, 텔레포토에서 5배의 배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배율이 연속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한다는 것의 의미는 배율이 디지털적으로 단속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선형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이동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는 이동 시작 지점(와이드 앵글)부터 소정의 지점까지는 멀어지다가 소정의 지점부터 이동 종료 지점(텔레포토)까지 점차 가까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TTL(Total Top Length)이 17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6.9m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6.88mm 미만이고,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35mm 환산 초점 거리는 115mm 이상이고,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35mm 환산 초점 거리는 72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를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EFLtele는 텔레포토에서 줌 광학계의 유효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HimageD는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을 의미한다. 단위는 [mm]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이란 이미지 센서에서 빛을 수광하는 픽셀이 어레이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이란 이미지 센서의 전체 영역에서 수광한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 영역, 패키징에 따른 하우징 부분 등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를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줌 광학계는 텔레포토에서 유효 초점 거리가 13[mm]보다 클 수 있고,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은 2.5[mm]보다 클 수 있으므로, F수가 2.94보다 작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는 5[mm]보다 클 수 있다. F수는 조리개의 유효 직경(D)에 대한 초점거리(f)의 비(f/D)를 의미할 수 있다. F수가 작아질수록 빛이 모이는 양이 많아 밝아질 수 있으며, F수가 커질수록 빛이 모이는 양이 적어 어두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배율에서의 초점거리에서도 f값이 2.94 이하로, 소정의 밝기가 유지될 수 있다.
줌 광학계는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를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EFLwide는 와이드 앵글에서 줌 광학계의 유효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HimageD는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줌 광학계는 와이드 앵글에서 유효 초점 거리가 9[mm]보다 작을 수 있고,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은 2.5[mm]보다 클 수 있으므로, F수가 2.14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이동 스트로크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이동 스트로크는 구동부에 의하여 렌즈군이 이동 가능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3 렌즈군(300)의 이동 스트로크(stroke)는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렌즈군(300)의 이동 스트로크(stroke)는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TTL(Total Track Length)은 이미지 센서면으로부터 줌 광학계의 첫번째 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TL은 제1 렌즈군(100)에서 물측에 가장 가까운 일면부터 빛이 입사되는 이미지 센서(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장 거리와 혼용될 수 있다. STOKE3는 제3 렌즈군(300)의 이동 스트로크를 의미할 수 있다. 단위는 [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줌 광학계는 TTL이 17[mm], 바람직하게는 16.9[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6.88[mm]보다 작을 수 있고, 제3 렌즈군(300)의 이동 스트로크가 3.2[mm]보다 작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면으로부터 줌 광학계의 첫번째 면까지의 거리는 17[mm]보다 작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제2 렌즈군의 3.2[mm]보다 작은 이동 스트로크에 대응하여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는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의 1.6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1.6배 내지 1.7배일 수 있다.
이동 스트로크가 클 경우,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휴대 단말 내에 탑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하지만, 이동 스트로크가 수학식 4 내지 수학식 5의 범위이면, 구동부의 크기를 작게 구현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렌즈군(100 내지 300)은 플라스틱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줌 광학계는 CRA(chief ray angle)가 15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 즉 상면에 입사되는 광선의 각도는 15도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CRA는 14도에서 15도 사이의 값 중에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텔레포토에서의 CRA와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CRA 간 차가 0.4도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텔레포토에서의 CRA와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CRA 간 차가 0.4도 이하이면, 이미지 센서에서 보증되는 색 틀어짐 발생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렌즈군(100)은 3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3매의 렌즈 중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의 굴절률(nd)은 1.6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동일 사이즈 대비하여 고배율 성능이 가능하며, 유효경 사이즈를 4.6mm 이하로 줄여 슬림한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렌즈군(100)은 3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3매의 렌즈 중 상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의 아베수(Vd)는 35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텔레포토에서의 색수차 보정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군(200)은 2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2매의 렌즈 간 아베수(vd) 차는 35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와이드 앵글로부터 텔레포트까지의 전 영역에서 해상력 보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렌즈군(300)은 2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2매의 렌즈 중 상측에 가까운 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3 렌즈군(300)의 파워가 높아 성능 보정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3 렌즈군(300)의 스트로크를 3.2mm 이하로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제1 렌즈군(100)의 전단에 배치된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렌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OIS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렌즈군(100)의 전단은 물체(object)측으로부터 상측(image)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물체측과 제1 렌즈군(100) 사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제1 렌즈군(100)의 전단에 배치된 직각 프리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직각 프리즘은 직각 프리즘으로 입사되는 전체 광이 직각 프리즘 내부에서 전반사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직각 프리즘은 반사면을 포함하며, 반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이 전반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각 프리즘으로 입사된 광은 직각 프리즘의 반사면에서 전반사되어 제1 렌즈군(100)의 첫 번째에 입사되는 광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긴 전장 길이를 요구하는 줌 광학계가 얇은 두께의 휴대 단말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ut 기법이 적용된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렌즈는 유효경 및 유효경을 둘러 배치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는 D-cut 기법이 적용되지 않은 렌즈를 도시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것처럼, D-cut 기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렌즈는 유효경 및 리브가 절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의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D-cut 기법이 적용된 렌즈를 도시한다. 도 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일 실시예에 따른 D-cut 기법이 적용된 경우, 렌즈는 리브의 일부가 절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D-cut 기법이 적용된 렌즈는 유효경이 절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의 (c)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D-cut 기법이 적용된 렌즈를 도시한다. 도 2의 (c)에 도시된 것처럼,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D-cut 기법이 적용된 경우, 렌즈는 리브의 일부 및 유효경의 일부가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렌즈군(100 내지 300)에 포함된 복수의 렌즈는 D-cut 기법이 적용된 렌즈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렌즈군(100 내지 300)에 포함된 복수의 렌즈의 적어도 일부는 D-cut 기법이 적용된 렌즈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렌즈군(100 내지 300)에 포함된 복수의 렌즈의 적어도 일부는 상측부 및 하측부의 일부가 절단된 D-cut 렌즈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렌즈군(100 내지 300)에 포함된 복수의 렌즈의 적어도 일부는 상측부 및 하측부의 일부가 절단된 D-cut 렌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렌즈군(100 내지 300)에 포함된 복수의 렌즈의 적어도 일부는 유효경이 4.64mm 이하, 바람직하게는 4.6mm 이하인 D-cut 렌즈일 수 있다.
원형타입 렌즈의 경우 세로 방향의 높이로 인해 렌즈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렌즈 상측부 및 하측부에 D-cut을 적용함으로써 세로 방향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렌즈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중간 모드(middle mode)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단면도이다.
아래의 표 1 및 표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에 포함된 렌즈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고, 표 3 및 표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에 포함된 렌즈의 코닉 상수 및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렌즈 No. 렌즈면 No. 곡률반경(R, mm) 두께(mm) 물질 굴절률
제1 렌즈 112 60.3342 0.719245 플라스틱 1.61501
114 -12.1609 1
제2 렌즈 122 -17.0408 0.553684 플라스틱 1.66131
124 -8.30244 0.131749
제3 렌즈 132 13.8705 0.427557 플라스틱 1.567
134 2.33193 2.68183(2.28183)
제4 렌즈 212 3.225 2.13717 플라스틱 1.5348
214 -3.85922 0.103958
제5 렌즈 222 -5.53524 2.2 플라스틱 1.67141
224 -21.0003 2.03474(0.98424)
제6 렌즈 312 -7.85237 1.89021 플라스틱 1.67141
314 -2.67266 0.1
제7 렌즈 322 -13.7047 0.499095 플라스틱 1.61501
324 2.80057 1.40852(3.26599)
필터 22
24
센서 10
렌즈 No. 렌즈면 No. 아베수 형상
제1 렌즈 112 25.9594 볼록
114 오목
제2 렌즈 122 20.356 오목
124 오목
제3 렌즈 132 37.5648 볼록
134 볼록
제4 렌즈 212 55.7083 볼록
214 오목
제5 렌즈 222 19.2457 오목
224 오목
제6 렌즈 312 19.2457 오목
314 오목
제7 렌즈 322 25.9594 오목
324 볼록
필터 22
24
센서 10
렌즈면 No. 코닉상수(K) A B C D
112 300 3.32E-03 1.32E-03 -9.05E-04 4.95E-04
114 22.442481 9.40E-03 1.76E-03 -1.54E-03 8.08E-04
122 52.752652 2.05E-02 -8.53E-03 3.45E-03 -1.53E-03
124 -27.057807 2.49E-03 -7.11E-03 7.32E-02 -4.05E-03
132 -100 -8.82E-02 4.65E-02 -1.40E-02 2.57E-03
134 -9.0157875 -2.07E-02 1.27E-02 -1.01E-03 -2.35E-03
212 -0.20997364 -1.25E-03 1.04E-04 -9.77E-05 5.37E-05
214 -1.8917857 7.44E-04 -2.12E-03 4.16E-03 -2.33E-03
222 -1.0543537 -2.55E-03 -1.71E-03 3.70E-03 -1.72E-03
224 -39.844876 2.36E-03 -1.57E-03 2.35E-03 -1.34E-03
312 12.279984 1.37E-02 -6.50E-03 6.04E-03 -4.18E-03
314 -2.7369272 -1.68E-02 2.44E-02 -1.98E-03 9.51E-03
322 18.909675 -0.14052782 0.1064617 -6.02E-02 2.28E-02
324 -16.50136 -6.08E-02 3.85E-02 -1.71E-02 4.99E-03
렌즈면 No. E F G H J
112 -2.00E-04 5.30E-05 -8.55E-06 7.68E-07 -2.92E-08
114 -3.14E-04 8.12E-05 -1.27E-05 1.09E-06 -3.83E-08
122 3.40E-04 -4.01E-05 5.05E-06 -8.20E-07 6.20E-08
124 8.87E-04 1.68E-07 -3.30E-05 5.31E-06 -2.70E-07
132 -5.81E-04 2.37E-04 -6.16E-05 7.63E-06 -3.57E-07
134 1.47E-03 -4.50E-04 7.95E-05 -7.79E-06 3.30E-07
212 3.33E-06 -1.03E-05 3.49E-06 -4.94E-07 2.65E-08
214 7.45E-04 1.54E-04 2.17E-05 -2.01E-06 9.24E-08
222 3.07E-04 2.10E-05 -1.81E-05 2.78E-06 -1.44E-07
224 4.67E-04 -9.21E-05 8.85E-06 -2.45E-07 0
312 1.98E-03 -6.33E-04 1.32E-04 -1.67E-05 9.64E-07
314 -3.10E-03 7.20E-04 -1.15E-04 1.11E-05 -4.76E-07
322 -5.51E-03 8.14E-04 -6.73E-05 2.40E-06 0
324 -7.59E-04 -9.65E-07 2.09E-05 -3.19E-06 1.60E-07
도 3a 내지 도 3c 및 표 1 내지 표 4를 참조하면, 줌 광학계는 물체(object)측으로부터 상(image)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렌즈군(100),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을 포함한다. 제1 렌즈군(100)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및 제3 렌즈(130)를 포함한다.
제2 렌즈군(200)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4 렌즈(210) 및 제5 렌즈(220)를 포함한다. 제3 렌즈군(300)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6 렌즈(310) 및 제7 렌즈(320)를 포함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TTL이 16.88mm이고,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HimageD)가 2.52mm인 조건 하에서, 와이드 앵글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가 8.41(즉, 35mm 환산 초점 거리가 72mm)이고, F수는 2.13이며, CRA는 14.8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TTL이 16.88mm이고,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HimageD)가 2.52mm인 조건 하에서, 텔레포토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가 13.57(즉, 35mm 환산 초점 거리가 115.9mm)이고, F수는 2.93이며, CRA는 14.43도이다.
표 1에서, 두께(mm)는 각 렌즈면에서 다음 렌즈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예들 들어, 제1 렌즈(110)의 물측면(112)에 기재된 두께는 제1 렌즈(110)의 물측면(112)에서 상측면(114)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110)의 물측면(112)에 기재된 두께는 제1 렌즈(110)에서 물측면(112)의 곡률 중심과 상측면(114)의 곡률 중심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1 렌즈(110)의 상측면(114)에 기재된 두께는 제1 렌즈(110)의 상측면(114)에서 제2 렌즈(120)의 물측면(122)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110)의 상측면(114)에 기재된 두께는 제1 렌즈(110) 상측면(114)의 곡률 중심과 제2 렌즈(120) 물측면(122)의 곡률 중심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서 제4 렌즈(210)의 물측면(212)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제3 렌즈(130) 상측면(134)의 곡률 중심과 제4 렌즈(210) 물측면(212)의 곡률 중심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때, 제2 렌즈군(200)이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주밍(zooming)하는 과정에서 이동하므로,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변할 수 있다.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최단 거리에서 최장 거리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와이드 앵글에서 최장 거리(2.68183)를 가질 수 있다.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중간 모드에서 최단 거리와 최장 거리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텔레포토에서 최단 거리(2.28183)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5 렌즈(220) 및 제7 렌즈(320)의 상측면(224)에 기재된 두께 역시 동일하다.
표 3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7 렌즈(110 내지 320)의 각 면은 볼록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렌즈(110)는 물측면(112)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렌즈일 수 있다. 제1 렌즈(110)는 상측면(114)이 물체측으로 오목한 렌즈일 수 있다. 제2 렌즈(120)는 물측면(122)이 물체측으로 오목한 렌즈일 수 있다. 제2 렌즈(120)는 상측면(124)이 물체측으로 오목한 렌즈일 수 있다. 제3 렌즈(130)는 물측면(132)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렌즈일 수 있다. 제3 렌즈(130)는 상측면(134)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렌즈일 수 있다.
제4 렌즈(210)는 물측면(212)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렌즈일 수 있다. 제4 렌즈(210)는 상측면(214)이 물체측으로 오목한 렌즈일 수 있다. 제5 렌즈(220)는 물측면(222)이 물체측으로 오목한 렌즈일 수 있다. 제5 렌즈(220)는 상측면(224)이 물체측으로 오목한 렌즈일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가 최소거리일 때(즉, 텔레포토에서), 제4 렌즈(210)의 물측면(212)의 곡률 중심은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 양 끝단보다 상측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6 렌즈(310)는 물측면(312)이 물체측으로 오목한 렌즈일 수 있다. 제6 렌즈(310)는 상측면(314)이 물체측으로 오목한 렌즈일 수 있다. 제7 렌즈(320)는 물측면(322)이 물체측으로 오목한 렌즈일 수 있다. 제7 렌즈(320)는 상측면(324)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렌즈일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간의 거리가 d1a이고,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간의 거리가 d2a이고,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간의 거리가 d3a인 경우, 줌 광학계는 와이드 앵글(예를 들어, 3배 배율)을 가질 수 있다. 즉, 제3 렌즈(130) 상측면(134)의 곡률 중심과 제4 렌즈(210) 물측면(212)의 곡률 중심 사이의 거리가 d1a이고, 제5 렌즈(220) 상측면(224)의 곡률 중심과 제6 렌즈(310) 물측면(312)의 곡률 중심 사이의 거리가 d2a이고, 제7 렌즈(320) 상측면(324)의 곡률 중심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가 d3a인 경우, 줌 광학계는 와이드 앵글을 가질 수 있다.
도 3b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간의 거리가 d1b이고,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간의 거리가 d2b이고,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간의 거리가 d3b인 경우, 줌 광학계는 중간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3 렌즈(130) 상측면(134)의 곡률 중심과 제4 렌즈(210) 물측면(212)의 곡률 중심 사이의 거리가 d1b이고, 제5 렌즈(220) 상측면(224)의 곡률 중심과 제6 렌즈(310) 물측면(312)의 곡률 중심 사이의 거리가 d2b이고, 제7 렌즈(320) 상측면(324)의 곡률 중심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가 d3b인 경우, 줌 광학계는 중간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도 3c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간의 거리가 d1c이고,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간의 거리가 d2c이고,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간의 거리가 d3c인 경우, 줌 광학계는 텔레포토(예를 들어, 5배 배율)을 가질 수 있다. 즉, 제3 렌즈(130) 상측면(134)의 곡률 중심과 제4 렌즈(210) 물측면(212)의 곡률 중심 사이의 거리가 d1c이고, 제5 렌즈(220) 상측면(224)의 곡률 중심과 제6 렌즈(310) 물측면(312)의 곡률 중심 사이의 거리가 d2c이고, 제7 렌즈(320) 상측면(324)의 곡률 중심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가 d3c인 경우, 줌 광학계는 텔레포토를 가질 수 있다.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렌즈군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는 d1a에서 d1b를 거쳐 d1c로 변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와이드 앵글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d1a)는 2.68183[mm]이다. 텔레포토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d1c)는 2.28183[mm]이다. 이와 같이, 와이드 앵글에서 중간 모드를 거쳐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화는 과정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는 2.68183[mm]에서 2.28183[mm]로 작아질 수 있다. 즉,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d1a>d1b>d1c).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의 증가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간의 거리는 d2a에서 d2b를 거쳐 d2c로 변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와이드 앵글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d2a)는 2.03474[mm]이다. 텔레포토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d2c)는 0.98424[mm]이다. 이와 같이, 와이드 앵글에서 중간 모드를 거쳐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화는 과정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는 2.03474[mm]에서 0.98424[mm]로 변할 수 있다. 즉,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는 감소할 수 있다(d2a>d2b>d2c). 이때,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의 증가량은 감소할 수 있다.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간의 거리는 d3a에서 d3b를 거쳐 d3c로 변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와이드 앵글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d3a)는 1.40852[mm]이다. 텔레포토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d3c)는 3.26599[mm]이다. 이와 같이, 와이드 앵글에서 중간 모드를 거쳐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화는 과정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는 1.40852[mm]에서 3.26599[mm]로 변할 수 있다. 변할 수 있다.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d3a<d3b<d3c). 다만,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의 증가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은 서로 이동하는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을 이동시킴에 따라 줌 광학계의 배율이 3배 배율로부터 5배 배율까지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도 4c를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구면수차는 각 파장에 따른 구면수차를 나타내고, 비점수차는 상면의 높이에 따른 탄젠셜면(tangential plane)과 새지털면(sagital plane)의 수차특성을 나타내며, 왜곡수차는 상면의 높이에 따른 왜곡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와이드 앵글에서 435nm, 486nm, 546nm, 587nm, 656nm 파장의 빛에 대한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중간 모드에서 435nm, 486nm, 546nm, 587nm, 656nm 파장의 빛에 대한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텔레포토에서 435nm, 486nm, 546nm, 587nm, 656nm 파장의 빛에 대한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구면수차가 파장에 관계없이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서 끝단까지 -0.1[mm] 내지 0.1[mm]이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비점수차가 파장에 관계없이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서 끝단까지 -0.05[mm] 내지 0.05[mm]이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왜곡수차가 파장에 관계없이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서 끝단까지 -1[%] 내지 1[%]이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중간 모드(middle mode)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아래의 표 5 및 표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에 포함된 렌즈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고, 표 7 및 표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에 포함된 렌즈의 코닉 상수 및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렌즈 No. 렌즈면 No. 곡률반경(R, mm) 두께(mm) 물질 굴절률
제1 렌즈 112 66.6076 0.742601 플라스틱 1.61501
114 -12.2723 1.07633
제2 렌즈 122 -17.4573 0.547711 플라스틱 1.67141
124 -8.58702 0.118702
제3 렌즈 132 18.8977 0.429143 플라스틱 1.567
134 2.47495 2.6881(2.2881)
제4 렌즈 212 3.2442 2.09757 플라스틱 1.5441
214 -4.07821 0.1
제5 렌즈 222 -5.87871 2.19992 플라스틱 1.66131
224 -26.6265 1.96525(0.796713)
제6 렌즈 312 -7.94075 1.99341 플라스틱 1.66131
314 -2.81611 0.1
제7 렌즈 322 -14.4214 0.574648 플라스틱 1.61501
324 2.97274 1.44454(3.08452)
필터 22
24
센서 10
렌즈 No. 렌즈면 No. 아베수 형상
제1 렌즈 112 25.9594 볼록
114 오목
제2 렌즈 122 19.2457 오목
124 오목
제3 렌즈 132 37.5648 볼록
134 볼록
제4 렌즈 212 56.1161 볼록
214 오목
제5 렌즈 222 20.356 오목
224 오목
제6 렌즈 312 20.356 오목
314 오목
제7 렌즈 322 25.9594 오목
324 볼록
필터 22
24
센서 10
렌즈면 No. 코닉상수(K) A B C D
112 294.56433 3.00E-03 1.56E-03 -1.37E-03 9.70E-04
114 23.279105 9.21E-03 7.13E-04 -7.16E-04 6.71E-04
122 56.222 2.29E-02 -1.48E-02 8.98E-03 -3.48E-03
124 -32.862085 1.53E-02 -3.64E-02 3.89E-02 -2.34E-02
132 -98.679266 -7.10E-02 1.26E-02 2.23E-02 -2.12E-02
134 -9.3316987 -2.10E-02 1.21E-02 5.00E-04 -3.96E-03
212 -0.20646362 -1.91E-03 2.19E-03 -2.81E-03 2.08E-03
214 -1.8619975 -8.54E-04 1.82E-04 2.58E-03 -1.54E-03
222 -1.0184591 -4.59E-03 1.11E-03 1.85E-03 -1.09E-03
224 -63.681285 2.64E-03 -2.29E-03 4.05E-03 -3.07E-03
312 12.209388 1.37E-02 -1.02E-02 1.39E-03 -1.40E-02
314 -2.907628 -8.74E-03 1.69E-02 -1.85E-02 1.02E-02
322 0.13846667 -0.10528415 8.00E-02 -5.93E-02 3.25E-02
324 -15.836147 -4.74E-02 3.02E-02 -1.83E-02 9.44E-03
렌즈면 No. E F G H J
112 -4.35E-04 1.16E-04 -1.82E-05 1.53E-06 -5.37E-08
114 -3.90E-04 1.24E-04 -2.14E-05 1.92E-06 -6.81E-08
122 3.31E-04 1.94E-04 -7.20E-05 9.80E-06 -4.94E-07
124 8.15E-03 -1.70E-03 2.08E-04 -1.35E-05 3.54E-07
132 9.20E-03 -2.32E-03 3.51E-04 -2.97E-05 1.09E-06
134 2.41E-03 -7.62E-04 1.39E-04 -1.39E-05 5.92E-07
212 -9.26E-04 2.54E-04 -4.20E-05 3.85E-06 -1.49E-07
214 3.89E-04 -2.37E-05 -9.98E-06 2.28E-06 -1.48E-07
222 2.07E-04 2.39E-05 -1.84E-05 3.25E-06 -2.05E-07
224 1.42E-03 -3.90E-04 5.86E-05 -3.70E-06 0
312 9.14E-03 -3.71E-03 9.13E-04 -1.24E-04 7.10E-06
314 -2.94E-03 3.45E-04 2.67E-05 -1.12E-05 8.40E-07
322 -1.15E-02 2.48E-03 -2.96E-04 1.50E-05 0
324 -3.49E-03 8.60E-04 -1.34E-04 1.18E-05 -4.56E-07
도 5a 내지 도 5c 및 표 5 내지 표 8을 참조하면, 줌 광학계는 물체(object)측으로부터 상(image)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렌즈군(100),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을 포함한다. 제1 렌즈군(100)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및 제3 렌즈(130)를 포함한다. 제2 렌즈군(200)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4 렌즈(210) 및 제5 렌즈(220)를 포함한다. 제3 렌즈군(300)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6 렌즈(310) 및 제7 렌즈(320)를 포함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TTL이 16.88mm이고,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HimageD)가 2.52mm인 조건 하에서, 와이드 앵글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가 8.41(즉, 35mm 환산 초점 거리가 71.7mm)이고, F수는 2.13이며, CRA는 14.8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TTL이 16.88mm이고,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HimageD)가 2.52mm인 조건 하에서, 텔레포토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가 13.57(즉, 35mm 환산 초점 거리가 116.8mm)이고, F수는 2.92이며, CRA는 14.54도이다.
표 5에서, 두께(mm)는 각 렌즈면에서 다음 렌즈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표 5를 참조하면,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와이드 앵글에서 최장 거리(2.6881)를 가질 수 있다.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중간 모드에서 최단 거리와 최장 거리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텔레포토에서 최단 거리(2.2881)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5 렌즈(220) 및 제7 렌즈(320)의 상측면(224)에 기재된 두께 역시 동일하다.
표 6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7 렌즈(110 내지 320)의 각 면은 볼록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렌즈군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는 d1a에서 d1b를 거쳐 d1c로 변할 수 있다. 표 5를 참조하면, 와이드 앵글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d1a)는 2.6881[mm]이다. 텔레포토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d1c)는 2.2881[mm]이다. 이와 같이, 와이드 앵글에서 중간 모드를 거쳐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화는 과정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는 2.6881 [mm]에서 2.2881 [mm]로 작아질 수 있다. 즉,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d1a>d1b>d1c).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의 증가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간의 거리는 d2a에서 d2b를 거쳐 d2c로 변할 수 있다. 표 5를 참조하면, 와이드 앵글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d2a)는 1.96525[mm]이다. 텔레포토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d2c)는 0.796713[mm]이다. 이와 같이, 와이드 앵글에서 중간 모드를 거쳐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화는 과정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는 1.96525[mm]에서 0.796713[mm]로 변할 수 있다. 즉,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는 감소할 수 있다(d2a>d2b>d2c). 이때,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의 증가량은 감소할 수 있다.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간의 거리는 d3a에서 d3b를 거쳐 d3c로 변할 수 있다. 표 5를 참조하면, 와이드 앵글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d3a)는 1.44454[mm]이다. 텔레포토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d3c)는 3.08452[mm]이다. 이와 같이, 와이드 앵글에서 중간 모드를 거쳐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화는 과정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는 1.44454[mm]에서 3.08452[mm]로 변할 수 있다. 변할 수 있다.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d3a<d3b<d3c). 다만,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의 증가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은 서로 이동하는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을 이동시킴에 따라 줌 광학계의 배율이 3배 배율로부터 5배 배율까지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6c를 통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구면수차는 각 파장에 따른 구면수차를 나타내고, 비점수차는 상면의 높이에 따른 탄젠셜면(tangential plane)과 새지털면(sagital plane)의 수차특성을 나타내며, 왜곡수차는 상면의 높이에 따른 왜곡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와이드 앵글에서 435nm, 486nm, 546nm, 587nm, 656nm 파장의 빛에 대한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중간 모드에서 435nm, 486nm, 546nm, 587nm, 656nm 파장의 빛에 대한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텔레포토에서 435nm, 486nm, 546nm, 587nm, 656nm 파장의 빛에 대한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구면수차가 파장에 관계없이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서 끝단까지 -0.1[mm] 내지 0.1[mm]이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비점수차가 파장에 관계없이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서 끝단까지 -0.05[mm] 내지 0.05[mm]이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왜곡수차가 파장에 관계없이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서 끝단까지 -1[%] 내지 1[%]이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중간 모드(middle mode)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아래의 표 9 및 표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에 포함된 렌즈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고, 표 11 및 표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에 포함된 렌즈의 코닉 상수 및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렌즈 No. 렌즈면 No. 곡률반경(R, mm) 두께(mm) 물질 굴절률
제1 렌즈 112 66.1232 0.892664 플라스틱 1.66131
114 -12.456 1
제2 렌즈 122 -17.6686 0.414918 플라스틱 1.67141
124 -24.4991 0.1
제3 렌즈 132 5.24452 0.262477 플라스틱 1.5445
134 2.10346 2.65955(2.25955)
제4 렌즈 212 3.20228 2.15474 플라스틱 1.5441
214 -3.55505 0.1
제5 렌즈 222 -4.62831 2.2 플라스틱 1.66131
224 -19.463 1.93175(0.90675)
제6 렌즈 312 -7.85022 2.2 플라스틱 1.66131
314 -2.66781 0.106818
제7 렌즈 322 -11.7313 0.627075 플라스틱 1.61501
324 2.94156 1.49286(3.16619)
필터 22
24
센서 10
렌즈 No. 렌즈면 No. 아베수 형상
제1 렌즈 112 20.356 볼록
114 오목
제2 렌즈 122 19.2457 오목
124 오목
제3 렌즈 132 55.9842 볼록
134 볼록
제4 렌즈 212 56.1161 볼록
214 오목
제5 렌즈 222 20.356 오목
224 오목
제6 렌즈 312 20.356 오목
314 오목
제7 렌즈 322 25.9594 오목
324 볼록
필터 22
24
센서 10
렌즈면 No. 코닉상수(K) A B C D
112 278.7848 3.47E-03 1.35E-03 -9.94E-04 5.20E-04
114 23.13747 8.66E-03 3.42E-03 -3.59E-03 2.35E-03
122 56.70908 2.28E-02 -2.13E-02 1.78E-02 -1.03E-02
124 -112.2143 2.11E-02 -4.71E-02 5.37E-02 -3.67E-02
132 -61.96745 -6.87E-02 1.36E-02 2.59E-02 -2.91E-02
134 -10.65557 -1.78E-02 6.78E-03 4.81E-03 -6.85E-03
212 -0.210225 -1.11E-03 -6.46E-04 1.11E-03 -8.50E-04
214 -1.750206 -3.85E-04 -1.64E-03 5.64E-03 -4.45E-03
222 -1.002425 -3.52E-03 -1.56E-03 5.54E-03 -4.29E-03
224 -41.78119 2.16E-03 -1.05E-03 1.72E-03 -1.02E-03
312 12.40823 1.37E-02 -6.90E-03 5.65E-03 -3.71E-03
314 -2.599078 -9.56E-03 1.64E-02 -1.70E-02 9.40E-03
322 8.704476 -0.10349986 7.40E-02 -4.84E-02 2.30E-02
324 -15.54193 -4.50E-02 2.54E-02 -1.24E-02 4.99E-03
렌즈면 No. E F G H J
112 -1.89E-04 4.52E-05 -6.66E-06 5.49E-07 -1.93E-08
114 -1.01E-03 2.78E-04 -4.63E-05 4.29E-06 -1.68E-07
122 3.66E-03 -8.19E-04 1.12E-04 -8.32E-06 2.52E-07
124 1.56E-02 -4.24E-03 7.17E-04 -6.89E-05 2.87E-06
132 1.54E-02 -4.80E-03 9.05E-04 -9.48E-05 4.24E-06
134 3.89E-03 -1.27E-03 2.48E-04 -2.65E-05 1.21E-06
212 3.88E-04 -1.09E-04 1.88E-05 -1.79E-06 7.36E-08
214 1.98E-03 -5.44E-04 9.18E-05 -8.72E-06 3.59E-07
222 1.89E-03 -5.19E-04 8.69E-05 -8.16E-06 3.31E-07
224 4.13E-04 -9.90E-05 1.21E-05 -5.11E-07 0
312 1.73E-03 -5.25E-04 9.79E-05 -1.06E-05 5.48E-07
314 -3.10E-03 6.17E-04 -7.21E-05 4.54E-06 -1.19E-07
322 -7.07E-03 1.31E-03 -1.32E-04 5.51E-06 0
324 -1.48E-03 3.05E-04 -4.17E-05 3.44E-06 -1.31E-07
도 7a 내지 도 7c 및 표 9 내지 표 12를 참조하면, 줌 광학계는 물체(object)측으로부터 상(image)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렌즈군(100),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을 포함한다. 제1 렌즈군(100)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및 제3 렌즈(130)를 포함한다. 제2 렌즈군(200)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4 렌즈(210) 및 제5 렌즈(220)를 포함한다. 제3 렌즈군(300)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6 렌즈(310) 및 제7 렌즈(320)를 포함한다.도 7a를 참조하면, TTL이 16.88mm이고,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HimageD)가 2.52mm인 조건 하에서, 와이드 앵글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가 8.39(즉, 35mm 환산 초점 거리가 71mm)이고, F수는 2.13이며, CRA는 14.8도이다.
도 7c를 참조하면, TTL이 16.88mm이고,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HimageD)가 2.52mm인 조건 하에서, 텔레포토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가 13.56(즉, 35mm 환산 초점 거리가 115mm)이고, F수는 2.92이며, CRA는 14.4도이다.
표 9에서, 두께(mm)는 각 렌즈면에서 다음 렌즈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표 9를 참조하면,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와이드 앵글에서 최장 거리(2.65955)를 가질 수 있다.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중간 모드에서 최단 거리와 최장 거리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3 렌즈(130)의 상측면(134)에 기재된 두께는 텔레포토에서 최단 거리(2.25955)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5 렌즈(220) 및 제7 렌즈(320)의 상측면(224)에 기재된 두께 역시 동일하다.
표 10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7 렌즈(110 내지 320)의 각 면은 볼록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렌즈군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는 d1a에서 d1b를 거쳐 d1c로 변할 수 있다. 표 9를 참조하면, 와이드 앵글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d1a)는 2.65955[mm]이다. 텔레포토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d1c)는 2.25955[mm]이다. 이와 같이, 와이드 앵글에서 중간 모드를 거쳐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화는 과정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는 2.65955 [mm]에서 2.25955 [mm]로 작아질 수 있다. 즉,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d1a>d1b>d1c).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1 렌즈군(100)과 제2 렌즈군(200) 사이의 거리의 증가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간의 거리는 d2a에서 d2b를 거쳐 d2c로 변할 수 있다. 표 9를 참조하면, 와이드 앵글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d2a)는 1.93175[mm]이다. 텔레포토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d2c)는 0.90675[mm]이다. 이와 같이, 와이드 앵글에서 중간 모드를 거쳐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는 1.93175[mm]에서 0.90675[mm]로 변할 수 있다. 즉,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는 감소할 수 있다(d2a>d2b>d2c). 이때,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 사이의 거리의 증가량은 감소할 수 있다.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간의 거리는 d3a에서 d3b를 거쳐 d3c로 변할 수 있다. 표 9를 참조하면, 와이드 앵글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d3a)는 1.49286[mm]이다. 텔레포토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d3c)는 3.16619[mm]이다. 이와 같이, 와이드 앵글에서 중간 모드를 거쳐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화는 과정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는 1.49286[mm]에서 3.16619[mm]로 변할 수 있다.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d3a<d3b<d3c). 다만, 와이드 앵글에서 텔레포토로 배율이 변하는 과정에서, 제3 렌즈군(300)과 이미지 센서(10) 사이의 거리의 증가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은 서로 이동하는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2 렌즈군(200)과 제3 렌즈군(300)을 이동시킴에 따라 줌 광학계의 배율이 3배 배율로부터 5배 배율까지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a 내지 도 8c를 통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구면수차는 각 파장에 따른 구면수차를 나타내고, 비점수차는 상면의 높이에 따른 탄젠셜면(tangential plane)과 새지털면(sagital plane)의 수차특성을 나타내며, 왜곡수차는 상면의 높이에 따른 왜곡도를 나타낸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와이드 앵글에서 435nm, 486nm, 546nm, 587nm, 656nm 파장의 빛에 대한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중간 모드에서 435nm, 486nm, 546nm, 587nm, 656nm 파장의 빛에 대한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텔레포토에서 435nm, 486nm, 546nm, 587nm, 656nm 파장의 빛에 대한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구면수차가 파장에 관계없이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서 끝단까지 -0.1[mm] 내지 0.1[mm]이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비점수차가 파장에 관계없이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서 끝단까지 -0.05[mm] 내지 0.05[mm]이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왜곡수차가 파장에 관계없이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서 끝단까지 -1[%] 내지 1[%]이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줌 광학계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줌 광학계에서 더미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물측으로부터 제1 렌즈군, 제2 렌즈군, 제3 렌즈군, 필터 및 센서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제3 렌즈군과 필터 사이에 더미 렌즈(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미 렌즈(400)의 폭은 제1 렌즈군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더미 렌즈(400)의 유효경은 제1 렌즈군의 유효경보다 클 수 있다. 더미 렌즈(400)의 유효경은 제1 렌즈군에 포함된 렌즈들의 유효경보다 클 수 있다.
더미 렌즈(400)는 고정될 수 있다. 더미 렌즈(400)는 상측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더미 렌즈(400)는 제4 렌즈군으로 불릴 수 있다. 더미 렌즈(400)는 1개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더미 렌즈(400)는 제2 렌즈군 및 제3 렌즈군의 이동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미 렌즈(400)는 유입된 이물질이 센서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카메라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휴대 단말 내에 내장될 수 있으며, 메인 카메라 모듈과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된 필터, 그리고 필터 상에 배치된 줌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렌즈군(100),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휴대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laptop) 컴퓨터, PDA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는 카메라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1000)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휴대 단말 내에 내장될 수 있으며, 메인 카메라 모듈(1100)과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1000)는 앞서 설명한 제1 렌즈군(100),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을 포함하며, 제1 렌즈군(100), 제2 렌즈군(200) 및 제3 렌즈군(300)은 휴대 단말의 두께 제약으로 인하여 휴대 단말의 측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군(100)의 전단에는 직각 프리즘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줌 광학계가 휴대 단말기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될 때, 즉 줌 광학계에 포함된 렌즈들의 렌즈면이 휴대 단말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될 때, 줌 광학계에 포함된 렌즈들의 직경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휴대 단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내에도 렌즈가 이동하여 연속적으로 배율 조정이 가능한 줌 광학계가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휴대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laptop) 컴퓨터, PDA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1 렌즈군
200 : 제2 렌즈군
300 : 제3 렌즈군

Claims (13)

  1. 물체(object)측으로부터 상(image)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렌즈군, 제2 렌즈군 및 제3 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군 및 상기 제3 렌즈군은 이동 가능하고,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EFL, effective focal length)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는 줌 광학계;

    여기서, EFLtele는 텔레포토에서 줌 광학계의 유효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HimageD는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을 의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는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의 1.6배 이상인 줌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CRA(chief ray angle)는 15°이하이고,
    텔레포토에서의 CRA와 와이드 앵글에서의 CRA 간 차는 0.4°이하인 줌 광학계.
  4. 제1항에 있어서,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 텔레포토(telephoto)로 주밍(zooming) 시 상기 제3 렌즈군의 이동 스트로크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는 줌 광학계;

    여기서, TTL(Total Track Length)은 이미지 센서면으로부터 줌 광학계의 첫번째 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STOKE3는 제3 렌즈군의 이동 스트로크를 의미한다.
  5. 제4항에 있어서,
    와이드 앵글(wide angle)에서 텔레포토(telephoto)로 주밍(zooming) 시 상기 제3 렌즈군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2 렌즈군의 이동 거리보다 큰 줌 광학계.
  6. 제1항에 있어서,
    35mm 환산 초점 거리는 115mm 이상인 줌 광학계.
  7. 제1항에 있어서,
    와이드 앵글에서 F수는 2.14 이하이고, 텔레포토에서 F수는 2.94이하인 줌 광학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3매 이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군은 2매 이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렌즈군은 2매 이하의 렌즈를 포함하는 줌 광학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3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3매의 렌즈 중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인 줌 광학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3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3매의 렌즈 중 상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의 아베수는 35 이상인 줌 광학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은 2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2매의 렌즈 간 아베수 차는 35 이상인 줌 광학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군은 2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2매의 렌즈 중 상측에 가까운 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인 줌 광학계.
  13.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된 필터, 그리고
    상기 필터 상에 배치된 줌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줌 광학계는,
    물체(object)측으로부터 상(image)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렌즈군, 제2 렌즈군 및 제3 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군 및 상기 제3 렌즈군은 이동 가능하고,
    텔레포토(telephoto)에서의 유효 초점 거리(EFL, effective focal length)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는 카메라 모듈;

    여기서, EFLtele는 텔레포토에서 줌 광학계의 유효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HimageD는 이미지 센서 픽셀 영역의 대각 길이의 절반 값을 의미한다.
KR1020220028251A 2022-03-04 2022-03-04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30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251A KR20230130983A (ko) 2022-03-04 2022-03-04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251A KR20230130983A (ko) 2022-03-04 2022-03-04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983A true KR20230130983A (ko) 2023-09-12

Family

ID=8801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251A KR20230130983A (ko) 2022-03-04 2022-03-04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9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41508A1 (en) Optical system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JP2023553441A (ja) 光学系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20048525A (ko) 카메라 모듈
EP4130838A1 (en) Optical system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US7411740B2 (en) Zoom lens
US20220113491A1 (en) Optical system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optical system
KR20080099031A (ko) 소형 촬영 렌즈
EP4141507A1 (en) Optical system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100689370B1 (ko) 줌 렌즈
EP4206779A1 (en) Optical system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KR20210060316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3287048B (zh) 光学系统和包括光学系统的相机模块
KR20230130983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47434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19487A (ko) 광학계
US20220404597A1 (en) Optical system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KR20220082525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23553442A (ja) 光学系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20109228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35351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071715A (ko) 촬상 광학계
KR20220132993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23553445A (ja) 光学系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40035163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N118011588A (en) Zoom optica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