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894A -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 - Google Patents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894A
KR20230130894A KR1020220028055A KR20220028055A KR20230130894A KR 20230130894 A KR20230130894 A KR 20230130894A KR 1020220028055 A KR1020220028055 A KR 1020220028055A KR 20220028055 A KR20220028055 A KR 20220028055A KR 20230130894 A KR20230130894 A KR 20230130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ulletproof
protective wall
warh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493B1 (ko
Inventor
우순
김은정
우지연
Original Assignee
우순
김은정
우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순, 김은정, 우지연 filed Critical 우순
Priority to KR1020220028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493B1/ko
Publication of KR2023013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1/00Target ranges
    • F41J11/02Safety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2Plate construction
    • F41H5/04Plate construction composed of more than one layer
    • F41H5/0471Layered armour containing fibre- or fabric-reinforced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24Armour; Armour plates for stationary use, e.g. fortifications ; Shelters; Guard Bo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 총기에서 발사된 탄두를 피탄됨 없이 회수가능하도록 판넬을 구성하고, 상기 판넬을 방호벽으로 구성함으로써, 탄두로 인해 인명을 손상할 위험을 차단시킬 수 있고, 빔에 볼트 또는 너트로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판넬을 설치하여 방호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사격소음의 방음과 주요시설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된 판넬을 교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Protection wall equipped with bulletproof panel and bulletproof panel}
본 발명은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총기에서 발사된 탄두를 피탄됨 없이 회수가능하도록 판넬을 구성하고, 상기 판넬을 방호벽으로 구성함으로써, 탄두로 인해 인명을 손상할 위험을 차단시킬 수 있고, 빔에 볼트 또는 너트로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판넬을 설치하여 방호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사격소음의 방음과 주요시설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된 판넬을 교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기를 다루는 군, 경찰기관 등에서는 요원들의 사격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실내외 실탄사격장에서 실탄사격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일반인들도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레저 활동의 폭이 넓어지면서 야외 실탄사격장을 찾아 실탄사격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실탄사격시에는 뜻하지 않은 유탄, 도비탄, 오발탄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어 자칫하면 이용자들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종래의 우리나라 야외 실탄사격장의 구조는 산기슭에 표적을 세우고 평지의 사로에서 표적을 향해 사격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사선에서 조준 사격한 탄환은 대부분 표적을 향해 날아가 표적을 관통한 후 표적 후방의 피탄지(탄두가 피탄되는 소정 영역)에 피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야외 실탄사격장 피탄지는, 주로 토사로 이루어져 있어 사격훈련이 지속되는 경우 토사가 패이게 되어 토사 보강이 필요하고, 또한 폐탄두 속에 포함되어 있는 납(Pb) 성분으로 인해 토양오염은 물론 그로 인한 수질오염 등 환경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피탄지에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역시 일정 기간 사용하게 되면 직격탄에 의한 파손부가 발생하여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게 됨은 물론 미관을 해치게 되고, 경질의 콘크리트 재질인 까닭에 개인화기 사격시에는 항상 도비탄 발생의 위험이 있어 안전성은 매우 취약하다고 아니 할 수 없었다.
또한, 사선에서 사수가 조준 사격한 탄환(사수의 조준 사격에 의해 표적을 향해 날아가는 탄환으로써 여기서는 '정탄'이라고 부르기로 한다.)은 사수가 당초 조준한 것처럼 오로지 표적지를 향해서 날아간다고만 볼 수는 없다.
사수의 오조준으로 인해 표적을 벗어나는 유탄이 될 수도 있고, 돌 등 딱딱한 물체에 맞고 튕겨져 나가 도비탄(도탄)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사수의 실수로 인한 오발탄이 있을 수도 있다.
물론 사격장 접근로 등의 사격장 인근에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간판의 설치는 필수적이겠으나, 행여 경고내용을 숙지하지 못한 사람들이 사격장 인근에서 생업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을 것인바 여간 위험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사격장 인근에 도로나 민가가 있는 경우에는 유탄이나 도비탄 또는 오발탄에 의한 인명피해의 위험성이 매우 크다 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안전대책을 강구하는 일이야말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사격장 인근 지역의 피탄흔을 조사하여 피탄흔이 있는 곳 중에서 사람의 통행이 가능한 지역에 우선적으로 유탄 및 사격소음 차단용 방호벽을 설치하는 일은 매우 시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사격장으로부터 날아오는 유탄, 도비탄 및 오발탄을 차단해 줌으로써 이로 인한 인명피해 가능성을 사전에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탄 및 사격소음 차단용 방호벽은, 보통은 4m 또는 6m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사격장의 용도와 위치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이보다 더 높게 설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어렵고, 관리가 어려우며, 유지보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사격장의 사격 소음은, 인근 주민들로 하여금 소음공해로 인한 민원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었고, 사격시 사수의 집중력 향상과 사격장시설 특히 군사시설의 보호를 위해서는 외관은 수려하되 외부 시선은 차단하여 줄 필요성이 제기되어 오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20-0000982호에 유탄 및 사격소음 차단용 방호벽이 출원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사격장의 유탄 및 사격소음 차단용 방호벽에 있어서, 옹벽 또는 콘크리트 블록 위에 형성된 직선형 또는 곡선형의 설치선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앙카볼트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H빔프레임과, 폐타이어칩을 바인더에 혼합하여 열간 또는 틀에 넣어 자연 경화시키는 냉간방식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H빔프레임의 Web(웨브)과 Web로부터 소정 간격의 이격부를 두고 인접한 H빔프레임의 상부프랜지와 하부프랜지의 사이 홈부에 삽입 적치되는 피탄고무블럭과, 장방형 형상의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형성되어 H빔프레임 중앙부에 두고 상기 H빔프레임의 전,후면에 부착되되 인접 피탄고무판간에는 소정 간격의 이격부를 두고 상기 피탄고무블럭과는 서로 엇갈려서 결합되는 피탄고무판과, 상기 피탄고무판의 두께와 상기 H빔프레임의 상부프랜지 두께와 상기 피탄고무블럭의 두께를 모두 합한 길이를 벗어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피탄고무판을 H빔프레임의 홈부에 삽입 적치된 피탄고무블럭에 결합고정하기 위한 직결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탄고무블럭과 상기 피탄고무판을 형성하는 폐타이어칩의 입자크기는, 실탄 사격시 고무입자가 작은 피탄고무판에 총기의 발사음이 먼저 부딪혀 음이 차단된 다음 고무입자가 굵은 내부의 피탄고무블럭에 박히게 되어 사격소음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도탄 또는 유탄의 발생시에는 1차로 입자가 작은 피탄고무판을 통과하며 감속되고, 2차로 입자가 굵은 피탄고무블럭에 박히게 되고, 상기 피탄고무블럭을 관통하게 되는 경우에도 다시 한 번 후방의 입자가 작은 피탄고무판에 의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유탄의 피탄으로 인한 인명피해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폐탄두에 포함되어 있는 납(Pb)성분에 의한 토양오염 및 이로 인한 수질오염 등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후면의 피탄고무판을 형성하는 폐타이어칩의 입자크기는 상기 피탄고무블럭을 형성하는 폐타이어칩의 입자크기 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유탄 및 사격소음 차단용 방호벽은, H빔프레임 사이에 피탄고무블럭을 설치하게 되므로, 상기 피탄고무블럭의 사이즈가 클 경우 사용할 수 없는 단점과 함께, 상기 H빔프레임 사이에 피탄고무블럭을 설치한 후, 상기 피탄고무블럭 전면과 후면에 피탄고무판을 덧댄 후 직결피스로 고정시키게 되므로 작업공정이 너무 복잡하고 어렵다라는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20-0000982호, 출원일; 2020년03월21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총기에서 발사된 탄두를 피탄됨 없이 회수가능하도록 판넬을 구성하고, 상기 판넬을 방호벽으로 구성함으로써, 탄두로 인해 인명을 손상할 위험을 차단시킬 수 있고, 빔에 볼트 또는 너트로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판넬을 설치하여 방호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사격소음의 방음과 주요시설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된 판넬을 교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탄용 판넬에 있어서, 바닥면과 전,후 및 좌우측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부가 개구되어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판넬용 프레임(110)과,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에 충진되어 탄두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되는 탄두관통 방지층(120)과,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에 적층되게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에 충진되어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의 전면과 연결 형성됨에 따른 탄두를 흡수하여 포집가능하게 구비되는 탄두흡수층(130)과,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의 후면 선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방탄용 판넬(100)이 방호벽의 방호벽용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방호벽으로 구성될 때, 상기 방호벽의 방호벽용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에 있어서, 사격장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방호벽용 베이스부재(210)와, 상기 방호벽용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일단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세워지되, 일측과 타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방호벽용 고정프레임(220)과, 상기 방호벽용 고정프레임 사이에 복수 개의 고정볼트 또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적층되어 사격에 따른 탄두를 흡수 포집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방탄용 판넬(1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에 따르면, 총기에서 발사된 탄두를 피탄됨 없이 회수가능하도록 판넬을 구성하고, 상기 판넬을 방호벽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인해, 탄두로 인해 인명을 손상할 위험을 차단시킬 수 있고, 빔에 볼트 또는 너트로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판넬을 설치하여 방호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사격소음의 방음과 주요시설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된 판넬을 교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에 탄두가 박입되어 구멍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도면이다.
도 4는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을 배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전,후 및 좌우측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부가 개구되어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판넬용 프레임(110)과,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에 충진되어 탄두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되는 탄두관통 방지층(120)과,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에 적층되게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에 충진되어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의 전면과 연결 형성됨에 따른 탄두를 흡수하여 포집가능하게 구비되는 탄두흡수층(130)과,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의 후면 선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방탄용 판넬(100)이 방호벽의 방호벽용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방호벽으로 구성될 때, 상기 방호벽의 방호벽용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을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의 판넬용 프레임(110)은, 내부에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과 탄두흡수층(130)이 형성되도록 바닥면과 전,후 및 좌,우측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판넬용 프레임(110)은, 바닥면과 전,후 및 좌,우측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 또는 양면 양단을 각각 2/3의 만큼의 길이로 자른 후 내측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고정편(111a)을 갖는 판넬용 프레임틀(111)을 고정편(111a)이 대향되게 서로 맞댄 후,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직사각 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판넬용 프레임(110)이 구성되므로 인해, 방탄용 판넬(100)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조절 즉, 상기한 판넬용 프레임틀(111)을 2개 또는 3개를 연결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방탄용 판넬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고정편(111a)에 의해 탄두관통 방지부층(120)과, 탄두흡수층(130)을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고정시킬 수 있어서 상기 방탄용 판넬(100)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한 탄두관통 방지층(120)은,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에 충진되어 탄두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탄두관통 방지층(120)은, 시멘트와 물과 모래 그리고 자갈을 1:1.5:2:3의 부피 비율로 혼합시킨 공지의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의 시멘트 무게 대비 2~3%로 투입되어 혼합되는 방탄섬유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탄두관통 방지층(120)은,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의 바닥면으로부터 1/3 높이까지만 충진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방탄섬유의 혼합을 콘크리트의 시멘트 무게 대비 2% 이하로 투입되어 혼합될 경우, 방탄을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3% 이상으로 투입될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방탄섬유의 혼합비율은 콘크리트의 시멘트 무게 대비 2~3%로 투입되어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탄두관통 방지층(120)이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의 바닥면으로부터 1/3 높이 이상으로 충진되어 형성될 경우, 방탄용 판넬(100)의 무게가 무거워져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을 만들 때,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1/3 높이 이하로 충진되어 형성될 경우, 탄두관통 방지층이 넓을 얇아 방탄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탄두관통 방지층(110)은, 상기 판넬용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1/3까지만 충진되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탄두관통 방지층(120)이 구성되므로 인해, 탄두가 방탄용 판넬(100)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탄두로 인해 인명을 손상할 위험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한 탄두흡수층(130)은,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에 적층되게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에 충진되어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의 전면과 연결 형성됨에 따른 탄두를 흡수하여 포집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탄두흡수층(130)은, 시멘트와 물을 1.5~1.8:1의 중량 비율로 혼합시킨 시멘몰과, 상기 시멘몰의 부피 대비 15%~25%로 투입되는 동물성기포제와, 상기 시멘트의 무게 대비 2~3%로 투입시켜 혼합되는 방탄섬유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탄두흡수층(130)의 시멘트와 물이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 즉, 1.5~1.8:1의 중량 비율을 벗어날 경우, 동물성기포제와, 방탄섬유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시멘몰이 너무 묽어져 양생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므로, 상기한 탄두흡수층의 시멘트와 물의 비율은 상기한 바와 같이 1.5~1.8: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탄두흡수층(130)의 동물성기포제의 혼합을 시멘몰의 부피 대비 15% 이하로 투입할 경우, 탄두가 탄두흡수층(130)속으로 흡수되지 않게 되고, 25% 이상으로 투입할 경우, 탄두가 탄두흡수층(130)을 관통함에 따른 탄두관통 방지층(120)의 손상이 빨리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한 동물성기포제의 혼합은 시멘몰의 부피 대비 15%~25%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방탄섬유의 혼합을 시멘트 무게 대비 2% 이하로 투입되어 혼합될 경우, 방탄을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3% 이상으로 투입될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방탄섬유의 혼합비율은 시멘트 무게 대비 2~3%로 투입시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탄두흡수층(130)을 구성하므로 인해, 탄두의 비탄을 방지하면서 탄두의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고정부재(140)는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의 후면 선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방탄용 판넬(100)이 방호벽의 방호벽용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방호벽으로 구성될 때, 상기 방호벽의 고방호벽용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고정부재(140)는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의 후면 선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일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볼트 또는 너트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140)가 예를 들어 고정볼트로 구성되므로 인해, 방호벽의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상기 볼트를 각각 관통시킨 후 너트를 매개로 방호벽용 고정프레임에 고정가능하므로, 방탄용 판넬을 고정프레임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손상된 방탄용 판넬을 교체할 때에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200)은, 사격장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방호벽용 베이스부재(210)와, 상기 방호벽용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일단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세워지되, 일측과 타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방호벽용 고정프레임(220)과, 상기 방호벽용 고정프레임 사이에 복수 개의 고정볼트 또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적층되어 사격에 따른 탄두를 흡수 포집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방탄용 판넬(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방호벽용 고정프레임(220)간 최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방탄용 판넬(100)의 배면 상단과 최하단 상부에 적층되게 고정 설치되는 다른 방탄용 판넬의 배면 하단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볼트 또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방탄용 판넬 사이로 탄두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상,하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용 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 탄두관통방지용 띠(23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을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의 방호벽용 베이스부재(210)는, 사격장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방호벽용 고정프레임(220)을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호벽용 베이스부재(210)로 인해, 상기 방호벽용 고정프레임(220)을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방호벽용 고정프레임(220)은 상기 방호벽용 베이스부재(210)의 상면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일단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세워지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방탄용 판넬(100)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방호벽용 고정프레임(220)은 복수 개의 방탄용 판넬(100)이 고정 설치되더라도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H빔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고정홀은 상기 방탄용 판넬(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방호벽용 고정프레임(220)으로 인해, 복수 개의 방탄용 판넬(100)이 고정 설치되더라도 휨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상기 방탄용 판넬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방호벽용 고정프레임(220)에 방탄용 판넬(100)의 설치는, 상기 방탄용 판넬(100)의 판넬용 프레임(110) 배면에 고정된 고정부재(140) 예를 들면, 고정볼트를 고정홀에 관통시킨 후 너트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방탄용 판넬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한 방탄용 판넬(100)은 상기 방호벽용 고정프레임(220) 사이에 복수 개의 고정볼트 또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적층되어 사격에 따른 탄두를 흡수 포집시킬 수 있도록 판넬용 프레임과, 탄두관통 방지층과, 탄두흡수층 그리고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설명한 방탄용 판넬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에 의해 사격장 인근의 도로나 민가로 날아드는 유탄, 도비탄 및 오발탄을 차단하여 인명피해를 막아줌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며,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격소음의 방음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방탄용 판넬 110 ; 판넬용 프레임
120 ; 탄두관통 방지층 130 ; 탄두흡수층
140 ; 고정부재 200 ;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
210 ; 방호벽용 베이스부재 220 ; 방호벽용 고정프레임
230 ; 탄두관통방지용 띠

Claims (8)

  1. 방탄용 판넬에 있어서,
    바닥면과 전,후 및 좌우측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부가 개구되어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판넬용 프레임(110)과;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에 충진되어 탄두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되는 탄두관통 방지층(120)과;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에 적층되게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에 충진되어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의 전면과 연결 형성됨에 따른 탄두를 흡수하여 포집가능하게 구비되는 탄두흡수층(130)과;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의 후면 선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방탄용 판넬(100)이 방호벽의 방호벽용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방호벽으로 구성될 때, 상기 방호벽의 방호벽용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탄용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은, 바닥면과 전,후 및 좌,우측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 또는 양면 양단을 각각 2/3의 만큼의 길이로 자른 후 내측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고정편(111a)을 갖는 판넬용 프레임틀(111)을 고정편(111a)이 대향되게 서로 맞댄 후,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직사각 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방탄용 판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은, 시멘트와 물과 모래 그리고 자갈을 1:1.5:2:3의 부피 비율로 혼합시킨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의 시멘트 무게 대비 2~3%로 투입되어 혼합되는 방탄섬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방탄용 판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흡수층(130)은, 시멘트와 물을 1.5~1.8:1의 중량 비율로 혼합시킨 시멘몰과, 상기 시멘몰의 부피 대비 15%~25%로 투입되는 동물성기포제와, 상기 시멘트의 무게 대비 2~3%로 투입시켜 혼합되는 방탄섬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방탄용 판넬.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은,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의 바닥면으로부터 1/3 높이까지만 충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방탄용 판넬.
  6.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에 있어서,
    사격장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방호벽용 베이스부재(210)와;
    상기 방호벽용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일단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세워지되, 일측과 타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방호벽용 고정프레임(220)과;
    상기 방호벽용 고정프레임 사이에 복수 개의 고정볼트 또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적층되어 사격에 따른 탄두를 흡수 포집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방탄용 판넬(1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용 고정프레임(220)간 최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방탄용 판넬(100)의 배면 상단과 최하단 상부에 적층되게 고정 설치되는 다른 방탄용 판넬의 배면 하단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볼트 또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방탄용 판넬 사이로 탄두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상,하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용 홀이 형성된 탄두관통방지용 띠(2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탄용 판넬(100)은, 바닥면과 전,후 및 좌우측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부가 개구되어 구비되는 사각 형상의 판넬용 프레임(110)과,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에 충진되어 탄두가 관통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게 구비되는 탄두관통 방지층(120)과,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에 적층되게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에 충진되어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의 전면과 연결 형성됨에 따른 탄두를 흡수하여 포집가능하게 구비되는 탄두흡수층(130)과,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의 후면 선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방탄용 판넬(100)이 방호벽의 방호벽용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방호벽으로 구성될 때, 상기 방호벽의 방호벽용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부재(140)로 구성되되,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은, 바닥면과 전,후 및 좌,우측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 또는 양면 양단을 각각 2/3의 만큼의 길이로 자른 후 내측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고정편(111a)을 갖는 판넬용 프레임틀(111)을 고정편(111a)이 대향되게 서로 맞댄 후,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직사각 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은, 시멘트와 물과 모래 그리고 자갈을 1:1.5:2:3의 부피 비율로 혼합시킨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의 시멘트 무게 대비 2~3%로 투입되어 혼합되는 방탄섬유로 구성되며, 상기 탄두흡수층(130)은, 시멘트와 물을 1.5~1.8:1의 중량 비율로 혼합시킨 시멘몰과, 상기 시멘몰의 부피 대비 15%~25%로 투입되는 동물성기포제와, 상기 시멘트의 무게 대비 2~3%로 투입시켜 혼합되는 방탄섬유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탄두관통 방지층(120)은, 상기 판넬용 프레임(110)의 바닥면으로부터 1/3 높이까지만 충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
KR1020220028055A 2022-03-04 2022-03-04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 KR10263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055A KR102630493B1 (ko) 2022-03-04 2022-03-04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055A KR102630493B1 (ko) 2022-03-04 2022-03-04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894A true KR20230130894A (ko) 2023-09-12
KR102630493B1 KR102630493B1 (ko) 2024-01-29

Family

ID=8802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055A KR102630493B1 (ko) 2022-03-04 2022-03-04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4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5346A (ko) * 2008-12-24 2010-07-02 오인규 탄두 회수 장치
JP2011513187A (ja) * 2008-03-03 2011-04-28 ユナイテッド・ステイツ・ジプサム・カンパニー セメント系装甲パネルシステム
KR20120014452A (ko) * 2010-08-09 2012-02-17 (주)에프티에스 고무블럭을 이용한 총알의 튕김을 방지하는 방탄용 패널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방탄장치
KR20200000982U (ko) 2018-11-08 2020-05-18 양현석 망치용 거치대
KR200494043Y1 (ko) * 2020-03-21 2021-07-20 주식회사 아인이엔시 유탄 및 사격소음 차단용 방호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3187A (ja) * 2008-03-03 2011-04-28 ユナイテッド・ステイツ・ジプサム・カンパニー セメント系装甲パネルシステム
KR20100075346A (ko) * 2008-12-24 2010-07-02 오인규 탄두 회수 장치
KR20120014452A (ko) * 2010-08-09 2012-02-17 (주)에프티에스 고무블럭을 이용한 총알의 튕김을 방지하는 방탄용 패널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방탄장치
KR20200000982U (ko) 2018-11-08 2020-05-18 양현석 망치용 거치대
KR200494043Y1 (ko) * 2020-03-21 2021-07-20 주식회사 아인이엔시 유탄 및 사격소음 차단용 방호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493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3081C (en) Lightweight enhanced ballistic armor system
US20060107985A1 (en) Modular shoot house facility
US20110233869A1 (en) Ballistic paneling for bullet traps
US20050262999A1 (en) Projectile-retaining wall panel
US20150354926A1 (en) Ballistic wall structure
KR101979022B1 (ko) 사격장 개인 화기용 방탄 방호벽
KR102630493B1 (ko) 방탄용 판넬 및 방탄용 판넬이 구비된 방호벽
US20160017626A1 (en) Watchtower
KR200494043Y1 (ko) 유탄 및 사격소음 차단용 방호벽
US6446974B1 (en) Durable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position of expended munitions fired at a target positioned close to the shooter
KR102460359B1 (ko) 경계 막사 및 사격장 피탄지용 셀형 조립식 방호 구조체
KR102052633B1 (ko) 도비탄 방호 및 방호진 구축용 조립식 방호 장치
KR102493355B1 (ko) 유탄 방지가능한 소음챔버
US10473440B1 (en) System for personalized berm
KR102630513B1 (ko) 도비탄방지 및 방음가능한 사격장
KR102022826B1 (ko)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을 이용한 벽부형 탄두수거장치
CZ308949B6 (cs) Mobilní systém pro výcvik střelby a taktiky v uzavřených prostorách
CZ34745U1 (cs) Mobilní systém pro výcvik střelby a taktiky v uzavřených prostorách
CA2946391C (en) Projectile arresting device and projectile arresting arrangement.
KR102617668B1 (ko) 도비탄 방지기능을 겸비한 탄두 회수장치
US20220412697A1 (en) Ballistic fiberglass mold
KR20230130893A (ko) 가상환경의 근접사격용 피탄장치
Rottman Special Forces Camps in Vietnam 1961–70
TWM644517U (zh) 靶場彈頭回收與防護系統
Kopowski et al. Wood sandwich constructions subjected to small caliber imp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