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487A - Wearable device and diagnostic system for sensing multiple body signals - Google Patents

Wearable device and diagnostic system for sensing multiple body sig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487A
KR20230130487A KR1020220032513A KR20220032513A KR20230130487A KR 20230130487 A KR20230130487 A KR 20230130487A KR 1020220032513 A KR1020220032513 A KR 1020220032513A KR 20220032513 A KR20220032513 A KR 20220032513A KR 20230130487 A KR20230130487 A KR 20230130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ubject
sensing device
hol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현호
Original Assignee
젠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젠트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30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487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by whole-body plethys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3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 A61B5/1135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by monitoring thoracic expa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61Strain gau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He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체의 호흡에 따른 스트랩의 인장력을 통해 변화되는 센싱값을 통해 피검체의 호흡수를 측정하고, 다이아프램을 통해 증폭된 심박음을 통해 피검체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싱 장치 및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주보는 측면에 스트랩이 관통하는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가압홀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하고, 내부에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하부케이스와 스트레인센서가 부착된 가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rable sensing device that measures the breathing rate of a subject through a sensing value that changes through the tension of the strap according to the subject's breathing, and measures the heart rate of the subject through heartbeat sounds amplified through a diaphragm. It relates to devices and diagnostic syst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case in which a pair of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a strap passes is formed on opposing sides, and a pressure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a lower case coupled to the upper case and a circuit board embedded therein, and a strain device. It may include a pressurizing frame to which a sensor is attached.

Description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 및 진단 시스템{WEARABLE DEVICE AND DIAGNOSTIC SYSTEM FOR SENSING MULTIPLE BODY SIGNALS}Wearable sensing device and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logical signals {WEARABLE DEVICE AND DIAGNOSTIC SYSTEM FOR SENSING MULTIPLE BODY SIGNALS}

본 발명은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 및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체의 호흡에 따른 스트랩의 인장력을 통해 변화되는 센싱값을 통해 피검체의 호흡수를 측정하고, 다이아프램을 통해 증폭된 심박음을 통해 피검체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싱 장치 및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sensing device and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logical signal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sensing device and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respiratory rate of a subject through a sensing value that changes through the tension of the strap according to the subject's breathing, and This relates to a wearable sensing device and diagnostic system that can measure the heart rate of a subject through heartbeat sounds amplified through a prom.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자 장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부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센서들은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외부,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 또는 이상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s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research on healthcare using electronic devic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For example, sensors mounted on electronic devices can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user, and it is most important for the user to continuously measure biosignals in order to check his or her condition. do. In this regard, as technology that allows monitoring the user's exercise state or abnormal condition is required, electronic devices that provide the function of checking the user's biological signals are being developed.

특히,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생체 신호 중 호흡수는 신체의 가장 기본적인 활력 정도를 파악하는 바이탈 사인 중 하나로서, 호흡률, 즉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among the biosignals collected from users, the respiratory rate is one of the vital signs that determine the most basic level of vitality of the body, and various methods are used to measure the respiratory rate, that is, the number of breaths per minute.

예를 들어, 피검체의 호흡률 또는 호흡수를 측정하는 방식에는 폐활량측정법(spirometry), 호기말이산화탄소분압측정술(capnometry)의 방식이 존재한다.For example, there are two types of methods for measuring the breathing rate or respiratory rate of a subject: spirometry and capnometry.

폐활량측정법(spirometry)은 폐활량측정기를 이용하여 폐에 들어오고 나가는 공기의 흐름을 측정하는 방식이고, 호기말이산화탄소분압측정술(capnometry)은 호흡에 따른 CO2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정확도는 비교적 높으나, 추가 장비가 필요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Spirometry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flow of air entering and leaving the lungs using a spirometer, and capnometry is a method of measuring CO2 according to respiration. This conventional method has relatively high accuracy, but has limitations in that it requires additional equipment and makes continuous monitoring difficult.

심음은 심장이 수축 및 확장할 때 발생하는 소리이다. 심음은 일반적으로 청진센서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지만, 청진센서를 통해 확인할 경우 기타 잡음들이 함께 집음되기 때문에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존재해야 한다.Heart sounds are the sounds that occur when the heart contracts and expands. Heart sounds can generally be confirmed through an auscultation sensor, but when confirmed through an auscultation sensor, other noises are picked up together, so a filter must exist to remove noise.

그리고 심음과 호흡음을 동시에 측정하려면 호흡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와 심음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가 모두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센서들이 모두 구비된 청진기는 비용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청진기 내부의 구조가 복잡해져 잦은 고장으로 인한 유지보수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o measure heart sounds and breathing sounds simultaneously, both a sensor for sensing breathing and a sensor for sensing heart sounds must be provided, so a stethoscope equipped with all of these sensors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expensive. 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ethoscope is complicated, which has disadvantages in terms of maintenance due to frequent breakdowns.

뿐만 아니라, 개(강아지 포함), 고양이 및 조류와 같은 동물들은 이상 증상이 발현되지 않더라도 외부 온도에 따라 호흡수 및 심박수에 변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피검체의 호흡 또는 심박수의 증가가 이상 상태(예를 들면, 질병)에 의한 것인지 또는 외부 온도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측정 장치는 외부 온도를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피검체의 외부 온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덥거나 기준치 이하로 추운 환경에서 기온의 영향으로 호흡수 또는 심박수가 증가될 경우 피검체가 정상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nimals such as dogs (including puppies), cats, and birds may experience changes in their breathing and heart rate depending on the external temperature even if they do not display abnormal symptoms, so an increase in the subject's breathing or heart rate may cause abnormal conditions (e.g. For exampl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whether it is caused by disease) or external temperature. However, since conventional measuring devices do not consider external temperature at all, if the respiratory rate or heart rate increases due to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subject is hotter than the standard value or colder than the standard value, even though the subject is in a normal state, And an error may occur in judging it as an abnormal condi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8096호(2018.06.2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68096 (2018.06.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검체의 호흡에 따른 스트랩의 인장력을 통해 변화되는 센싱값을 통해 피검체의 호흡수를 측정하고, 다이아프램을 통해 증폭된 심박음을 통해 피검체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싱 장치 이를 이용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measure the subject's breathing rate through a sensing value that changes through the tension of the strap according to the subject's breathing, and to measure the subject's heart rate through heartbeat sounds amplified through a diaphragm. The goal is to provide a diagnostic system using a wearable sensing device that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센싱 장치는 마주보는 측면에 스트랩이 관통하는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가압홀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하고, 내부에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하부케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케이스의 가압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실장되는 가압프레임 및 상기 가압프레임의 일부에 부착되고, 상기 스트랩의 조임에 의한 상기 가압프레임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회로기판에 송신하는 스트레인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ase in which a pair of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a strap passes is formed on opposing sides, a pressure hol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coupled to the upper case, and a device inside the wearable sensing device. A lower case in which a circuit board is embedded, a pressing frame mounted on the lower case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pressing hole of the upper case, and a shape of the pressing frame attached to a part of the pressing frame and tightening the strap. It may include a strain sensor that measures changes and transmits them to the circuit board.

상기 가압프레임은, 일측이 꺾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꺾인 부위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슬롯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The pressing fram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with one side bent, and the bent portion of the plate can be inserted into a slo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상기 센싱 장치의 하부케이스 하단에는, 일부에 제1 센싱홀이 형성된 바닥판이 배치되고, 상기 센싱 장치의 바닥판에는, 상기 플렉시블 플레이트가 구비된 다이아프램이 더 장착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에 의해 증폭된 피검체의 심박음을 측정하는 청진센서가 상기 회로기판에 더 실장될 수 있다.At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of the sensing device, a bottom plate with a first sensing hole formed in a portion is disposed, and a diaphragm equipped with the flexible plate is further moun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sensing device, and the amplification by the diaphragm An auscultation sensor that measures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에는, 일부에 제1 센싱홀이 형성된 바닥판이 배치되고, 상기 청진센서는 상기 회로기판에서 상기 제1 센싱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실장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해 전달된 심박음은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전이공간(transient space)을 지나면서 증폭되고, 증폭된 심박음은 상시 제1 센싱홀을 통해 상기 청진센서로 입력될 수 있다.At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a bottom plate with a first sensing hole formed in a portion is disposed, and the stethoscope sensor is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hole on the circuit board, and is transmitted by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The heartbeat sound is amplified as it passes through a transition spa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ottom plate, and the amplified heartbeat sound can always be input to the auscultation sensor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피검체의 심박동을 나타내는 파장 영역을 더 증폭하는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aphragm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material that further amplifies the wavelength region representing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센싱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센싱홀보다 작은 직경의 제2 센싱홀이 형성되는 실링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ad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 second sensing hol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sensing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hole.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스트레인센서의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호흡수를 계산하고 상기 청진센서의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심박수를 계산하는 카운팅회로 및 상기 계산된 상기 호흡수 또는 상기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includes a counting circuit for calculating the respiratory rate using the measurement signal from the strain sensor and the heart rate using the measurement signal from the stethoscope sensor, and at least one of the calculated respiratory rate or the heart rate to the outside. A transmitting communication circuit can be mounted.

복수의 심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외장 ECG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외장 ECG 모듈과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회로가 더 실장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ECG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cardiogram sensors, and an interface circuit for connecting to the external ECG module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계산된 호흡수, 심박수 및 상기 측정된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체의 이상 상태 또는 병명을 판단하는 진단회로가 더 실장될 수 있다.A diagnostic circuit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to determine an abnormal condition or disease name of the subject using at least one of the calculated breathing rate, heart rate, and measured electrocardiogram.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단 시스템은 마주보는 측면에 스트랩이 관통하는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가압홀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하고 내부에 제1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하부케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케이스의 가압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실장되는 가압프레임 및 상기 가압프레임의 일부에 부착되고 상기 스트랩의 조임에 의한 상기 가압프레임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송신하는 스트레인센서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와, 상기 센싱 장치와 이격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스트레인센서의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호흡수를 계산하는 카운팅회로가 실장된 제2 회로기판과 배터리가 내장되는 연산 장치 및 상기 센싱 장치와 상기 연산 장치를 연결하는 전력 통신선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agnostic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ase in which a pair of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a strap passes is formed on opposite sides and a pressure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and a first device coupled to the upper case and inside the upper case. A lower case in which a circuit board is embedded, a pressing frame mounted on the lower case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pressing hole of the upper case, and a shape change of the pressing frame attached to a part of the pressing frame and tightening the strap. A sensing device that includes a strain sensor that measures and transmits to the first circuit board, is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device, and has a counting circuit mounted therein that calculates the breathing rate using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strain sensor. 2 It may include an arithmetic device with a built-in circuit board and a battery, and a power communication line connecting the sensing device and the arithmetic device.

상기 가압프레임은, 일측이 꺾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꺾인 부위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슬롯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The pressing fram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with one side bent, and the bent portion of the plate can be inserted into a slo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상기 센싱 장치의 하부케이스 하단에는, 일부에 제1 센싱홀이 형성된 바닥판이 배치되고, 상기 센싱 장치의 바닥판에는, 플렉시블 플레이트가 구비된 다이아프램이 더 장착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에 의해 증폭된 피검체의 심박음을 측정하는 청진센서가 상기 제1 회로기판에 더 실장될 수 있다.At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of the sensing device, a bottom plate with a first sensing hole formed in a portion is disposed, and a diaphragm with a flexible plate is further moun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sensing device, and the blood amplified by the diaphragm is An auscultation sensor that measures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first circuit board.

상기 청진센서는 상기 제1 회로기판에서 상기 제1 센싱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실장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해 전달된 심박음은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전이공간(transient space)을 지나면서 증폭되고, 증폭된 심박음은 상시 제1 센싱홀을 통해 상기 청진센서로 입력될 수 있다.The auscultation sensor is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hole on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heartbeat sound transmitted by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is a transition spa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ottom plate. It is amplified as it passes through, and the amplified heartbeat sound can always be input to the auscultation sensor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피검체의 심박동을 나타내는 파장 영역을 더 증폭하는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aphragm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material that further amplifies the wavelength region representing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센싱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센싱홀보다 작은 직경의 제2 센싱홀이 형성되는 실링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ad disposed between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 second sensing hol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sensing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hole.

상기 제2 회로기판에는, 상기 카운팅회로에서 계산된 상기 호흡수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A communication circuit that transmits the breathing rate calculated by the counting circuit to the outside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복수의 심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외장 ECG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기판에는, 상기 외장 ECG 모듈과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회로가 더 실장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ECG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cardiogram sensors, and an interface circuit for connecting to the external ECG module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first circuit board.

상기 카운팅회로는, 상기 심박음을 통해 심박수를 계산하고, 상기 제2 회로기판에는, 상기 계산된 호흡수, 심박수 및 상기 측정된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체의 이상 상태 또는 병명을 판단하는 진단회로가 더 실장될 수 있다.The counting circuit calculates the heart rate through the heartbeat sound,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determines the abnormal state or disease of the subject using at least one of the calculated breathing rate, heart rate, and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Additional diagnostic circuits can be mounted.

상기 연산 장치는,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스트랩이 관통하는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하고 내부에 상기 스트레인센서의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호흡수를 계산하는 카운팅회로가 실장된 제2 회로기판과 배터리가 내장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device includes an upper case in which a pair of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the strap passes is formed on opposite sides, and a counting circuit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case and calculates the breathing rate using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strain sensor inside. It may include a lower case in which a second circuit board and a battery are moun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피검체의 호흡에 따른 스트랩의 인장력을 통해 변화되는 센싱값을 통해 피검체의 호흡수를 측정하고, 다이아프램을 통해 증폭된 심박음을 통해 피검체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athing rate of the subject is measured through a sensing value that changes through the tension of the strap according to the subject's breathing, and the heart rate of the subject is measured through the heartbeat sound amplified through the diaphragm. Therefore, it can be designed with a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웨어러블 센싱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센싱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예시된 센싱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센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가압프레임이 스트랩에 의해 눌린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스트랩(S)이 이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센싱 장치의 통신회로와 외부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웨어러블 센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웨어러블 센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웨어러블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센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연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5의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a wearabl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1 viewed from below.
Figures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sensing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ns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1.
Figure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frame of Figure 5 is pressed by a strap.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ap S of Figure 5 in a relaxed state.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munication circuit and external devices of the sensing device shown in FIG. 1.
Figure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iagnostic system according to Example 4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nsing device shown in FIG. 11.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uting device shown in Figure 11
Figure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agnostic system of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들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것은 본 발명을 어느 특정한 실시예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모든 변형(transform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 대체물(substitutions)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ny specific embodiment, and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한 구성이 어떤 서브 구성을 "구비(have)" 또는 "포함(comprise)" 한다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other)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tated that one configuration “has” or “comprises” a certain sub-configuration, it does not exclude the other configuration but adds the other configuration,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is means that it may be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유닛(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nit", "...Module", and "Component"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includes hardware, software, or It can also be implemented through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웨어러블 센싱 장치(10)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센싱 장치(10)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earable sensing device 10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device 10 illustrated in FIG. 1 viewed from below.

센싱 장치(10)는 스트랩(S)을 통해 피검체의 신체에 착용되고, 피검체가 호흡할 때 스트랩(S)의 조임으로 인한 가압프레임(230)(도 3의 230)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여 호흡수를 계산하고, 피검체의 흉부에 접촉된 다이아프램(240)을 통해 증폭된 심박음을 통해 피검체의 심박수를 측정한다.The sensing device 10 is worn on the subject's body through a strap (S), and measures the change in shape of the pressing frame 230 (230 in FIG. 3) due to the tightening of the strap (S) when the subject breathes. The respiratory rate is calculated, and the subject's heart rate is measured through the heartbeat sound amplified through the diaphragm 240 in contact with the subject's chest.

스트랩(S)은 피검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트랩(S)의 양 끝단에는 버클(미도시), 스냅 단추(미도시) 또는 벨크로(미도시)와 같은 부재가 구비되어 스트랩(S)착용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트랩(S)은 신축성을 가지거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피검체의 체형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strap 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and so that it can be worn on the subject. Members such as buckles (not shown), snap buttons (not shown), or Velcro (not shown)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trap (S) to facilitate putting on and taking off the strap (S). The strap (S) is implemented to have elasticity or an adjustable length, so that it can provide a comfortable fit according to the body type of the subject.

센싱 장치(10)에는 외장 ECG 모듈(250)(electrocardiogram)이 선택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외장 ECG 모듈(250)은 피검체의 신체에 부착되어 심장의 수축에 따른 활동전류를 곡선으로 기록한다. 외장 ECG 모듈(250)은 심전도 센서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심전도 센서가 두 개 이상일 때에도 하나의 확장 케이블(251)을 통해 센싱 장치(10)에 접속될 수 있다.An external ECG module 250 (electrocardiogram) may be optionally further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10. The external ECG module 250 is attached to the subject's body and records the action current according to heart contraction as a curve. The external ECG module 250 may be equipped with one or more electrocardiogram sensors, and can be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10 through one extension cable 251 even when there are two or more electrocardiogram sensors.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예시된 센싱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FIGS.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sensing device 10 illustrated in FIG. 1 .

센싱 장치(10)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를 포함한다.The sensing device 10 includes an upper case 100 and a lower case 200.

상부케이스(100)는 센싱 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중 하나로서,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 또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case 100 is one of the cases that forms the external shape of the sensing device 10, and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a circle, or another shape.

상부케이스(100)는 측면에 스트랩(S)이 체결되기 위한 한 쌍의 체결홀(110)이 형성된다. 스트랩(S)은 한 쌍의 체결홀(110)을 통해 상부케이스(100)의 내부를 가로지르게 관통한다. 상부케이스(100)의 상부는 스트랩(S)이 보이도록 개방된다. 그 이유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분리 없이도 스트랩(S)만 제거함으로써 가압프레임(230) 및 스트레인센서(233)의 교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upper case 100 has a pair of fastening holes 110 formed on the side for fastening the strap S. The strap (S) penetrates across the interior of the upper case (100) through a pair of fastening holes (110).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se 100 is open so that the strap (S) is visible. The reason is to enable replacement of the pressure frame 230 and strain sensor 233 by removing only the strap (S) without separating the upper case 100 and lower case 200.

상부케이스(100)의 하부면(101)은 상부케이스(100)의 내부를 향해 오목한 곡선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스트랩(S)이 피검체의 신체에 착용되면 스트랩(S)은 원형의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상부케이스(100)의 하부면(101)은 스트랩(S)의 형상과 유사한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lower surface 101 of the upper case 100 is formed to have a concave curved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upper case 100. For example, when the strap S is worn on the subject's body, the strap S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lower surface 101 of the upper case 10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strap S. do.

상부케이스(100)는 하부면(101)에 가압홀(102)이 형성된다. 가압홀(102)은 하부케이스(200)에 실장되는 가압프레임(230)의 일부가 하부케이스(2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기 위한 홀이다. 가압프레임(230)은 가압홀(102)에 노출된 상태에서 일면이 스트랩(S)에 접촉된다. 가압프레임(230)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The upper case 100 has a pressure hole 10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01. The pressing hole 102 is a hole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pressing frame 230 mounted on the lower case 200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lower case 200. One surface of the pressing frame 230 is in contact with the strap (S) while exposed to the pressing hole (102). The pressing frame 230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하부케이스(200)는 상부케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된다. 하부케이스(200)는 내부에 회로기판(210) 및 회로기판(21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20)가 내장된다. The lower case 2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ase 100. The lower case 200 has a built-in circuit board 210 and a battery 220 that supplies power to the circuit board 210.

하부케이스(200)는 측면에 확장홀(201)이 형성된다. 확장홀(201)은 외장 ECG 모듈(250)이 접속되기 위한 확장 케이블(251)이 관통되는 홀이다.The lower case 200 has an expansion hole 201 formed on its side. The expansion hole 201 is a hole through which the expansion cable 251 for connecting the external ECG module 250 passes.

하부케이스(200)는 측면에 충전홀(202)이 형성된다. 충전홀(202)은 센싱 장치(1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미도시)이 관통되는 홀이다.The lower case 200 has a charging hole 202 formed on the side. The charging hole 202 is a hole through which a charging cable (not shown) for charging the sensing device 10 passes.

회로기판(210)은 하부케이스(200)의 바닥쪽 즉, 가압프레임(230)의 밑쪽에 배치된다. 그 이유는 가압프레임(230)이 상부케이스(100)의 개방된 상부로 탈착될 때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회로기판(210)은 스트레인센서(233), 배터리(220), 외장 ECG 모듈(250), 청진센서(242)(도 3의 242) 등이 연결되도록 전기회로가 편성된다.The circuit board 210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200, that is, under the pressing frame 230. The reason is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the pressing frame 230 is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open upper part of the upper case 100. The circuit board 210 is configured with an electric circuit to connect the strain sensor 233, battery 220, external ECG module 250, and auscultation sensor 242 (242 in FIG. 3).

배터리(220)는 회로기판(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20)는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무선 충전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경우 회로기판(210)에는 무선충전 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배터리(220)가 유선 충전될 경우 하부케이스(200)의 측면에는 충전케이블이 관통되는 충전홀(20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충전케이블은 충전홀(202)을 통과하여 회로기판(210)에 형성된 충전단자(212)에 접속될 수 있다.The battery 220 may be placed on top of the circuit board 210 . The battery 220 can b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wired charging or wireless charging, and when supplied with power through wireless charging, the circuit board 21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module (not shown). When the battery 220 is charged by wire, a charging hole 202 through which the charging cable passes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r case 200. The charging cable may pass through the charging hole 202 and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12 formed on the circuit board 210.

가압프레임(230)은 적어도 일부가 상부케이스(100)의 가압홀(102)에 노출되도록 하부케이스(200)에 실장된다.The pressing frame 230 is mounted on the lower case 20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pressing hole 102 of the upper case 100.

가압프레임(230)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프레임(230)은 얇은 플라스틱판 또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frame 2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For example, the pressing frame 230 may be formed of a thin plastic plate or a thin metal plate.

가압프레임(230)은 일부가 절곡된 ‘ㄱ’자 형태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pressing frame 2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L’ shaped plate with a portion of it bent.

가압프레임(230)은 지지판(232)과 가압판(231)을 포함한다. The pressure frame 230 includes a support plate 232 and a pressure plate 231.

지지판(232)은 하부케이스(200)의 일측, 즉, 내측면에 형성된 슬롯(211)에 장착된다. 지지판(232)은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200)의 결합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가지는 장착 방향으로 슬롯(211)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판(232)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100)가 결합되고 스트랩(S)이 탈거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슬롯(2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00) 슬롯(206)의 입구를 간섭하지 않은 상태로 하부케이스(200)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케이스(100)의 상부는 스트랩(S)이 보이도록 개방되기 때문에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100)의 분리없이도 스트랩(S)만 제거함으로써 가압프레임(230) 및 스트레인센서(233)의 교체가 가능하다. 가압프레임(230) 슬롯(211)으로부터 쉽게 장착 및 탈착되기 때문에 가압프레임(230) 또는 스트레인센서의 수명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다. The support plate 232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200, that is, in the slot 21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 support plate 232 may be mounted in the slot 211 in a mounting direction parallel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200. The support plate 232 can be mounted on the slot 211 through the open top of the upper case 100 when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100 are combined and the strap (S) is removed. The upper case 10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20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entrance of the slot 206,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se 100 is open so that the strap (S) is visible. The pressure frame 230 and the strain sensor 233 can be replaced by only removing the strap (S) without separating the (100) and the lower case (100). Since the pressure frame 230 is easily mounted and detached from the slot 211, it is easy to replace the pressure frame 230 or the strain sensor according to its lifespan.

가압판(231)은 지지판(232)의 상부에서 지지판(232)으로부터 꺽인 형태로 연장된다. 가압판(231)은 지지판(23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판(231)은 얇은 플라스틱판 또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가압판(231)만 얇은 플라스틱판 또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지지판(232)은 탄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ressure plate 231 extends from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232 in a bent shape. The pressure plate 23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plate 232. The pressure plate 231 may be formed of a thin plastic plate or a thin metal plate. For reference, only the pressure plate 231 may be formed of a thin plastic plate or a thin metal plate, and the support plate 232 may be formed of a non-elastic material.

가압프레임(230)의 가압판(231)은 상부케이스(100)의 가압홀(102)을 통해 상부케이스(100)의 내부로 노출된다. 가압판(231)은 피검체가 호흡하여 흉부가 팽창되면 스트랩(S)의 조임으로 인해 형상이 변화된다. 가압판(231)의 형상의 변화라 함은 스트랩(S)의 조임으로 인해 가압판(231)이 하부케이스(200)를 향해 구부러지는 것을 의미한다. 가압판(231)은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피검체의 흉부가 수축되면 스트랩(S)의 조임이 완화되면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구된다.The pressure plate 231 of the pressure frame 230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case 100 through the pressure hole 102 of the upper case 100. The shape of the pressure plate 231 changes due to the tightening of the strap (S) when the subject breathes and the chest expands. The change in shape of the pressure plate 231 means that the pressure plate 231 is bent toward the lower case 200 due to the tightening of the strap (S). Since the pressure plate 23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en the subject's chest is contracted, the tightness of the strap (S) is reliev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가압프레임(230)의 가압판(231) 일부에는 스트레인센서(233)가 부착된다. 스트레인센서(233)는 스트랩(S)의 조임에 의한 가압프레임(230)(즉, 가압판(231))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여 회로기판(210)에 송신한다.A strain sensor 233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231 of the pressure frame 230. The strain sensor 233 measures the change in shape of the pressure frame 230 (i.e., the pressure plate 231) due to the tightening of the strap (S) and transmits it to the circuit board 210.

스트레인센서(233)는 가압판(231)의 하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가압판(231)의 상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스트레인센서(233)는 가압판(231)의 일면 전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가압판(231)의 일면 일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트레인센서(233)는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ge)로 대체될 수도 있다.The strain sensor 233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231 or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231. The strain sensor 233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231, or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231. The strain sensor 233 may be replaced with a strain gauge.

ECG 모듈(electrocardiogram)은 센싱 장치(10)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외장 ECG 모듈(250)은 피검체의 신체 즉, 피검체의 팔, 다리 또는 복부에 부착되어 심장의 수축에 따른 활동전류를 곡선으로 기록한다.An ECG module (electrocardiogram) is option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10. The external ECG module 250 is attached to the subject's body, that is, the subject's arms, legs, or abdomen, and records the action current according to heart contraction as a curve.

외장 ECG 모듈(250)은 확장 케이블(251)을 통해 회로기판(21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회로(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확장 케이블(251)은 인터페이스회로(미도시)와 연결된 외부접속단자(213)에 접속된다. 만약, 외장 ECG 모듈(250)이 인터페이스회로와 무선 연결된다면 외부접속단자(213)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external ECG module 250 may be connected to an interface circuit (not shown)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210 through an extension cable 251. At this time, the extension cable 251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13 connected to the interface circuit (not shown). If the external ECG module 25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nterface circui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13 may not be provided.

외장 ECG 모듈(250)은 심전도 센서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심전도 센서가 두 개 이상일 때에도 하나의 확장 케이블(251)을 통해 회로기판(21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회로에 접속될 수 있다.The external ECG module 250 may be equipped with one or more electrocardiogram sensors, and even when there are two or more electrocardiogram sensors, i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circuit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210 through one extension cable 251.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센싱 장치(10)의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nsing device 10 illustrated in FIG. 1 .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듯, 하부케이스(200)의 하부에는 바닥판(203)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s 3 to 5, a bottom plate 203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200.

바닥판(203)은 일부에 제1 센싱홀(205)이 형성된다. 바닥판(203)에 형성된 제1 센싱홀(205)은 바닥판(203)을 기준으로 바닥판(203)의 외부(다이아프램(240) 쪽)와 하부케이스(200)의 내부를 연통한다.A first sensing hole 205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bottom plate 203. The first sensing hole 205 formed in the bottom plate 203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bottom plate 203 (diaphragm 240 side) and the inside of the lower case 200 with the bottom plate 203 as the reference.

바닥판(203)의 외측(즉, 피검체를 향하는 측) 둘레에는 다이아프램(240)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돌기(204)이 형성된다. 체결돌기(204)은 다이아프램(240)이 용이하게 체결되게 하기 위해 단부가 하부케이스(200)의 측면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A fastening protrusion 204 for fastening the diaphragm 240 is formed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plate 203 (i.e., the side facing the subject). The en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204 may be bent toward the side of the lower case 200 in order to easily fasten the diaphragm 240.

다이아프램(240)은 하부케이스(200)의 바닥판(203) 전체를 덮도록 체결돌기(204)에 장착된다. 이때, 다이아프램(240)은 하부케이스(200)의 바닥판(203)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다이아프램(240)이 하부케이스(200)의 바닥판(203)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되면 하부케이스(200)의 바닥판(203)과 다이아프램(240)의 사이에는 전이공간(R)(transient space)이 형성된다.The diaphragm 240 is mounted on the fastening protrusion 204 to cover the entire bottom plate 203 of the lower case 200. At this time, the diaphragm 240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plate 203 of the lower case 200. In this way, when the diaphragm 240 is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203 of the lower case 2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transi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203 of the lower case 200 and the diaphragm 240. (R) (transient space) is formed.

센싱 장치(10)가 피검체에 착용되면, 센싱 장치(10)에 형성된 다이아프램(240)이 피검체의 흉부에 접촉되고 이때 다이아프램(240)의 변형에 의해 전달된 피검체의 심박음은 다이아프램(240)과 상기 바닥판(203) 사이의 전이공간(R)을 지나면서 증폭된다. 다이아프램(240)의 변형에 의해 전달된 피검체의 심박음은 전이공간(R)의 형상 또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증폭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When the sensing device 10 is worn on a subject, the diaphragm 240 formed in the sensing device 10 is in contact with the chest of the subject, and at this time, the heartbeat sound of the subject transmitted by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240 is It is amplified as it passes through the transition space (R) between the diaphragm 240 and the bottom plate 203. The degree of amplification of the subject's heartbeat sound transmitted by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240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r size of the transition space (R).

증폭된 심박음은 제1 센싱홀(205)을 통해 회로기판(210)에 구비된 청진센서(242)로 입력된다. 참고로, 청진센서(242)는 회로기판(210)에서 제1 센싱홀(205)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회로기판(210)에는 제1 센싱홀(205)과 청진센서(242)를 연결하는 전이홀(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전이홀은 제1 센싱홀(205)과 동일한 직경 또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mplified heartbeat sound is input to the auscultation sensor 242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210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205. For reference, the auscultation sensor 242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hole 205 on the circuit board 210. In addition, a transition hole (not shown)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hole 205 and the auscultation sensor 242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circuit board 210. The transition hole may be formed with the same diameter or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sensing hole 205.

다이아프램(240)은 피검체의 심박동을 나타내는 파장 영역을 더 증폭하는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아프램(240)은 고무 재질의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고, 평판형 또는 피검체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렌즈 또는 돔(dome)의 형상의 플랙시블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diaphragm 240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material that further amplifies the wavelength region representing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For example, the diaphragm 2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rubber film and may be provided with a flexible plate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or a convex lens or dome that is convex toward the subject.

하부케이스(200)의 바닥판(203)과 회로기판(210) 사이에는 실링패드(26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A sealing pad 260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203 of the lower case 200 and the circuit board 210.

실링패드(260)는 하부케이스(200)의 바닥판(203)과 회로기판(210)과 밀착되어 심박음이 유출되지 않게 한다.The sealing pad 2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203 and the circuit board 210 of the lower case 200 to prevent heartbeat sounds from leaking out.

실링패드(260)는 제1 센싱홀(205)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케이스(200)의 바닥판(203)에 형성된 제1 센싱홀(205)보다 작은 직경의 제2 센싱홀(261)이 형성된다. 참고로, 회로기판(210)에 전이홀이 형성된다면 전이홀은 제2 센싱홀(261)과 동일한 직경 또는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ealing pad 260 has a second sensing hole 261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sensing hole 205 formed in the bottom plate 203 of the lower case 2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hole 205. is formed For reference, if a transition hole is formed in the circuit board 210, the transition hol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or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sensing hole 261.

센싱 장치(10)는 제1 센싱홀(205) 및 제2 센싱홀(261)의 직경을 조절하여 원하는 파장의 소리만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청진센서(242)는 미세한 소리까지 측정되기 때문에 피검체의 심박음 외에 잡음도 측정되기 마련인데, 제1 센싱홀(205) 및 제2 센싱홀(261)의 직경을 조절하여 원하는 파장의 소리만 증폭시키면 청진센서(242)를 통해 원하는 소리(즉, 심박음)만 측정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10 is capable of amplifying only sounds of a desired wavelength by adjusting the diameters of the first sensing hole 205 and the second sensing hole 261. For example, since the auscultation sensor 242 measures even minute sounds, noise is also measured in addition to the subject's heartbeat. By adjusting the diameters of the first sensing hole 205 and the second sensing hole 261, the desired wavelength is adjusted. If only the sound is amplified, only the desired sound (i.e. heartbeat sound) can be measured through the auscultation sensor 242.

도 6은 도 5의 가압프레임(230)이 스트랩(S)에 의해 눌린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스트랩(S)이 이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ssing frame 230 of Figure 5 being pressed by the strap (S).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ap S of Figure 5 in a relaxed state.

참고로, 도 5 및 도 7은 피검체의 호흡이 호기일 때 흉부가 수축되어 스트랩(S)이 이완된 상태이며, 스트랩(S)이 이완되어 가압프레임(230)을 누르지 않을 상태이다. 도 6은 피검체의 호흡이 흡기일 때 흉부가 팽창되어 스트랩(S)이 조여지면서 가압프레임(230)을 누른 상태이다.For reference, Figures 5 and 7 show a state in which the chest is contracted and the strap (S) is relaxed when the subject's breathing is exhalation, and the strap (S) is relaxed and does not press the pressing frame 230.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ssurizing frame 230 is pressed while the chest is expanded and the strap (S) is tightened when the subject's breathing is inhalation.

피검체의 호흡은 흡기와 호기로 구분된다.The subject's breathing is divided into inspiration and exhalation.

흡기(Inspiration) 과정에서는 늑간근(Intercostal muscle)이 수축하여 늑골(Rib)이 들리고, 횡격막 역시 수축함에 따라 내려가 흉강(Thoracic cage)의 부피가 늘어난다. 반대로, 호기(Expiration) 과정에서는 늑간근이 이완하여 늑골이 내려가고, 횡격막도 이완하여 올라가 흉강의 부피가 줄어든다.During the inspiration process, the intercostal muscles contract and the ribs are lifted, and the diaphragm also contracts and goes down,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thoracic cage. Conversely, during expiration, the intercostal muscles relax and the ribs go down, and the diaphragm also relaxes and goes up, reducing the volume of the thoracic cavity.

본 발명에서 호흡은 흡기와 호기를 검출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좁은 의미로 흉곽의 팽창과 수축을 의미할 수 있으며, 더 좁은 의미로 폐의 팽창과 수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호흡이라는 정의는 흡기와 호기를 포괄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흉곽 또는 폐의 팽창과 수축을 아우르는 의미로 해석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reathing can be defined in a broad sense to detect inspiration and exhalation. Or, in a narrower sense, it can mea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ibcage, and in a narrower sense it can mea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ungs. In other words, the definition of breath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reted to encompass not only inspiration and exhalation, but also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hest or lungs.

여기서, 피검체가 호흡을 하면 흉곽이 팽창하는데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했을 때가 호흡이 변화되는 순간 즉, 들숨에서 날숨으로 변화되는 순간이다. Here, when the subject breathes, the rib cage expands, and when the rib cage expands to its maximum level, this is the moment when breathing changes, that is, when it changes from inhalation to exhalation.

도 6에서 보듯, 피검체의 호흡 중 흡기 일 때 흉부가 팽창되고, 이로 인해 스트랩(S)이 조여지면서 가압프레임(230)을 누르게 된다. 도 7에서 보듯, 피검체의 호흡 중 호기 일 때 흉부가 수축되고, 이로 인해 스트랩(S)의 이완되면서 가압프레임(230)을 누르는 힘이 약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subject inhales during breathing, the chest expands, which tightens the strap (S) and presses the pressurizing frame (230). As shown in FIG. 7, the chest contracts during exhalation of the subject, and as a result, the strap S is relaxed and the force pressing the pressing frame 230 becomes weak.

가압프레임(230)에 부착된 스트레인센서(233)는 피검체의 호흡에 의한 가압프레임(230)의 형상 변화를 측정한다.The strain sensor 233 attached to the pressurizing frame 230 measures the change in shape of the pressurizing frame 230 due to the subject's breathing.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센싱 장치(10)의 통신회로(11)와 외부기기(12)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munication circuit 11 and external device 12 of the sensing device 10 shown in FIG. 1.

도 3 및 도 8에서 보듯, 센싱 장치(10)는 통신회로(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8, the sensing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circuit 11.

통신회로(11)는 회로기판(210)에 구비된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 is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210.

통신회로(11)는 스트레인센서(233)의 측정 신호와, 청진 센서의 측정 신호를 외부기기(12)로 송한다. 여기서 외부기기(12)라 함은 진단 시스템(미도시) 또는 분석 장치(미도시)를 의미할 수 있다. 진단 시스템 또는 분석 장치는 센싱 장치(10)로부터 심박 파형(청진센서(242)의 측정 신호), 호흡 파형(스트레인 센서의 측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파형 신호를 제공 받고, 그 데이터를 통해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진단 시스템 또는 분석 장치는 피검체의 심박수, 호흡수 또는 심박수를 통해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 transmits the measurement signal from the strain sensor 233 and the measurement signal from the auscultation sensor to the external device 12. Here, the external device 12 may mean a diagnostic system (not shown) or an analysis device (not shown). The diagnostic system or analysis device receives at least one waveform signal of a heart rate waveform (measurement signal from the stethoscope sensor 242) and a respiration waveform (measurement signal from the strain sensor) from the sensing device 10, and detects the subject through the data. At least one of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can be calculated. Additionally, the diagnostic system or analysis device may determine the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through the subject's heart rate, respiratory rate, or heart rate.

한편, 센싱 장치(10)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ing device 1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온도센서는 센싱 장치(1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외부 온도는 피검체의 검사가 진행되는 검사실의 온도를 의미한다.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sensing device 10. Here, the external temperature refers to the temperature of the laboratory where the subject is tested.

통신회로(11)는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진단 시스템 또는 분석 장치로 제공한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 provides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o a diagnostic system or analysis device.

진단 시스템 또는 분석 장치는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온도를 종합 고려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한다.The diagnostic system or analysis device determines the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and the external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예를 들면, 진단 시스템 또는 분석 장치는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을 때, 이상 상태(예를 들면, 질병)에 의한 것인지 또는 외부 온도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한다.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heart rate or breathing rate increases or decreases, the diagnostic system or analysis device determines whether it is due to an abnormal condition (eg, disease) or external temperature.

만약, 외부 온도가 적정 온도 범위(room temperature) 임에도 불구하고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피검체에 이상 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외부 온도가 적정 온도 범위(room temperature)를 벗어난 상태면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 중 적어도 하나의 증가 또는 감소를 외부 온도에 의한 증가 또는 감소로 판단한다.If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increases or decreases even though the external temperature is within the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room temperature),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in the subject, and the external temperature is within the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room temperature). temperature), an increase or decrease in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is judged to be an increase or decrease due to the external temperature.

여기서, 피검체의 이상 상태 판단에 큰(serious)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적정 온도 범위(room temperature)는 22~25° 사이일 수 있으며, 해당 온도 범위에서 1°씩 증가 또는 감소할 때마다 증가되는 피검체의 호흡수 또는 심박수는 알고리즘 또는 미리 구축된 DB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room temperature) tha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determination of the subject's abnormal condition may be between 22 and 25°, and increases with each 1° increase or decrease in the temperature range. The respiratory rate or heart rate of the subject can be confirmed from an algorithm or a pre-built DB.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웨어러블 센싱 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sensing device 20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2의 센싱 장치(20)는 실시예1의 센싱 장치(10)와 동일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에 카운팅회로(21)가 더 포함된다. 카운팅회로(21)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모두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The sensing device 20 of Embodiment 2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as the sensing device 10 of Embodiment 1, and further includes a counting circuit 21 on the circuit board. All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counting circuit 21 are the same as those in Embodiment 1, so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피검체의 호흡 중 흡기 일 때 흉부가 팽창되고, 이로 인해 스트랩이 조여지면서 가압프레임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피검체의 호흡 중 호기 일 때 흉부가 수축되고, 이로 인해 스트랩의 이완되면서 가압프레임을 누르는 힘이 약하게 된다. 가압프레임에 부착된 스트레인센서는 피검체의 호흡에 의한 가압프레임의 형상변화를 측정한다.When the subject inhales during breathing, the chest expands, which tightens the strap and presses on the pressurizing frame. Also, when the subject exhales during breathing, the chest contracts, which causes the strap to relax and the force pressing the pressurizing frame to weaken. The strain sensor attached to the pressurizing frame measures the change in shape of the pressurizing frame due to the subject's breathing.

카운팅회로(21)는 스트레인센서에서 측정된 호흡 파형의 피크치와 다음 피크치를 이용하여 분당 호흡수를 계산한다.The counting circuit 21 calculates the number of breaths per minute using the peak value and the next peak value of the respiration waveform measured by the strain sensor.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해 전달된 심박음은 다이아프램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전이공간(transient space)을 지나면서 증폭되고, 증폭된 심박음은 하부케이스의 바닥판에 형성된 제1 센싱홀을 통해 청진센서에서 측정된다.The heartbeat sound transmitted by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is amplified as it passes through the transition spa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ottom plate, and the amplified heartbeat sound is auscultated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formed in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case. It is measured by the sensor.

카운팅회로(21)는 청진센서에서 측정된 심박 파형의 피크치와 다음 피크치를 이용하여 분당 심박수를 계산한다.The counting circuit 21 calculates the heart rate per minute using the peak value and the next peak value of the heart rate waveform measured by the auscultation sensor.

통신회로(22)는 카운팅회로(21)에서 계산된 호흡수 또는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기기(23)로 송신한다. 외부기기(23)는 진단 시스템 또는 분석 장치일 수 있으며, 진단 시스템 또는 분석 장치는 피검체의 심박수, 호흡수 또는 심전도를 통해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22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breathing rate or the heart rate calculated by the counting circuit 21 to the external device 23. The external device 23 may be a diagnostic system or an analysis device, and the diagnostic system or analysis device may determine an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through the subject's heart rate, respiratory rate, or electrocardiogram.

한편, 센싱 장치(20)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ing device 2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온도센서는 센싱 장치(2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외부 온도는 피검체의 검사가 진행되는 검사실의 온도를 의미한다.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sensing device 20. Here, the external temperature refers to the temperature of the laboratory where the subject is tested.

통신회로(22)는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온도를 외부기기(23)(즉, 진단 시스템 또는 분석 장치)로 제공한다.The communication circuit 22 provides the external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o the external device 23 (i.e., a diagnostic system or analysis device).

진단 시스템 또는 분석 장치는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온도를 종합 고려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한다.The diagnostic system or analysis device determines the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and the external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웨어러블 센싱 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sensing device 30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3의 센싱 장치(30)는 실시예1의 센싱 장치(10)와 동일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에 카운팅회로(31) 및 진단회로(33)가 더 포함된다. 카운팅회로(31) 및 진단회로(33)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모두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The sensing device 30 of Embodiment 3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as the sensing device 10 of Embodiment 1, and further includes a counting circuit 31 and a diagnostic circuit 33 on the circuit board. Except for the counting circuit 31 and the diagnostic circuit 33, all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Embodiment 1, so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카운팅회로(31)는 실시예2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Additionally, since the counting circuit 31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2,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진단회로(33)는 카운팅회로(31)에서 측정된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를 통해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진단회로(33)는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피검체에 이상 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진단회로(33)는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가 불규칙하면 이상 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The diagnostic circuit 33 may determine the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through the subject's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measured by the counting circuit 31. For example, the diagnostic circuit 33 may determine that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in the subject when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increases or decreases. Additionally, the diagnostic circuit 33 may determine that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if the subject's heart rate or breathing rate is irregular.

한편, 센싱 장치(30)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ing device 3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온도센서는 센싱 장치(3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외부 온도는 피검체의 검사가 진행되는 검사실의 온도를 의미한다.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sensing device 30. Here, the external temperature refers to the temperature of the laboratory where the subject is tested.

진단회로(33)는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온도를 종합 고려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한다.The diagnostic circuit 33 determines the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and the external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웨어러블 진단 시스템(4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iagnostic system 40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4의 진단 시스템(40)는 실시예1에서 센서 관련된 장치들과 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통해 호흡수 또는 심박수를 측정하는 회로들을 분리시킨 것이다. 센서와 관련된 부품들은 센싱 장치(50)에 내장되고, 호흡수 또는 심박수를 측정하는 회로들은 연산 장치(70)에 내장된다.The diagnostic system 40 of Embodiment 4 is a configuration of Embodiment 1 in which sensor-related devices and circuits that measure breathing rate or heart rate through signals measured from the sensor are separated. Components related to the sensor are built into the sensing device 50, and circuits that measure breathing rate or heart rate are built into the computing device 70.

예컨대, 피검체가 소형 동물일 경우 센싱 장치(50)의 크기가 한정된다. 만약 소형 동물인데에도 불구하고 큰 센싱 장치(50)를 사용하게 되면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형 견종의 경우 흉부의 형태가 정면을 향해 뾰족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센싱 장치(50)가 크게 형성되면 소형 견종의 흉부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subject is a small animal, the size of the sensing device 50 is limited. If a large sensing device 50 is used even though the animal is a small animal, measurement errors may occur. For example, in the case of small dog breeds, the chest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sharply toward the front. If the sensing device 50 is formed large, it may not completely adhere to the chest of small dog breeds, resulting in measurement errors.

실시예4는 센서 관련 장치를 센싱 장치(50)에 내장시키고 나머지 부품들을 연산 장치(70)에 분리시킴으로써 센싱 장치(50)의 크기를 작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Embodiment 4,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sensing device 50 to be smaller in size by embedding the sensor-related device in the sensing device 50 and separating the remaining components into the computing device 70.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센싱 장치(50)의 단면도이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nsing device 50 shown in FIG. 1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4의 진단 시스템(40)는 센싱 장치(50), 연산 장치(70) 및 전력 통신선(51)을 포함한다.11 and 12, the diagnostic system 40 of Embodiment 4 includes a sensing device 50, an arithmetic device 70, and a power communication line 51.

센싱 장치(50)는 센서와 관련된 부품들이 내장된다.The sensing device 50 is equipped with sensor-related components.

센싱 장치(50)는 상부케이스(500)와, 하부케이스(600)를 포함한다.The sensing device 50 includes an upper case 500 and a lower case 600.

센싱 장치(50)의 상부케이스(500)는 센싱 장치(50)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중 하나로서,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 또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case 500 of the sensing device 50 is one of the cases that forms the external shape of the sensing device 50, and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circular shape, or other shape.

센싱 장치(50)상부케이스(500)는 측면에 스트랩(S)이 체결되기 위한 한 쌍의 체결홀(510)이 형성된다. 스트랩(S)은 한 쌍의 체결홀(510)을 통해 상부케이스(500)의 내부를 가로지르게 관통한다. 상부케이스(500)의 상부는 스트랩(S)이 보이도록 개방된다. 그 이유는 상부케이스(500)와 하부케이스(600)의 분리없이도 스트랩(S)만 제거함으로써 가압프레임(630) 및 스트레인센서(633)의 교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upper case 500 of the sensing device 50 has a pair of fastening holes 510 formed on the side for fastening the strap S. The strap (S) penetrates across the interior of the upper case (500) through a pair of fastening holes (510).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se 500 is open so that the strap (S) is visible. The reason is to enable replacement of the pressure frame 630 and strain sensor 633 by removing only the strap (S) without separating the upper case 500 and lower case 600.

상부케이스(500)의 하부면(501)은 상부케이스(500)의 내부를 향해 오목한 곡선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스트랩(S)이 피검체의 신체에 착용되면 스트랩(S)은 원형의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상부케이스(500)의 하부면(501)은 스트랩(S)의 형상과 유사한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lower surface 501 of the upper case 500 is formed to have a concave curved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upper case 500. For example, when the strap S is worn on the subject's body, the strap S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lower surface 501 of the upper case 50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strap S. do.

상부케이스(500)는 하부면(501)에 가압홀(502)이 형성된다. 가압홀(502)은 하부케이스(600)에 실장되는 가압프레임(630)의 일부가 하부케이스(6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기 위한 홀이다. 가압프레임(630)은 가압홀(502)에 노출된 상태에서 일면이 스트랩(S)에 접촉된다. 가압프레임(630)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The upper case 500 has a pressure hole 50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501. The pressing hole 502 is a hole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pressing frame 630 mounted on the lower case 600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lower case 600. One surface of the pressing frame 630 is in contact with the strap (S) while exposed to the pressing hole 502. The pressing frame 630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센싱 장치(50)의 하부케이스(600)는 상부케이스(500)의 하부에 결합된다. 센싱 장치(50)의 하부케이스(600)는 내부에 제1 회로기판(610) 및 스트레인센서(633)가 부착된 가압프레임(630)이 실장된다.The lower case 600 of the sensing device 5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ase 500. The lower case 600 of the sensing device 50 is equipped with a first circuit board 610 and a pressure frame 630 to which a strain sensor 633 is attached.

센싱 장치(50)의 하부케이스(600)는 측면에 전력 통신선(51)이 관통되는 통신관통홀(602)이 형성된다. 전력 통신선(51)은 통신관통홀(602)을 통해 제1 회로기판(610)의 통신단자(612)에 접속된다.The lower case 600 of the sensing device 50 has a communication penetration hole 602 formed on the side through which the power communication line 51 passes. The power communication line 51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612 of the first circuit board 610 through the communication through hole 602.

센싱 장치(50)의 하부케이스(600)는 측면에 확장홀(60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확장홀(601)은 외장 ECG 모듈(52)이 접속되기 위한 확장 케이블(53)이 제1 회로기판(610)을 향해 관통되는 홀이다.The lower case 600 of the sensing device 50 may further have an expansion hole 601 formed on its side. The expansion hole 601 is a hole through which the expansion cable 53 for connecting the external ECG module 52 passes toward the first circuit board 610.

제1 회로기판(610)은 하부케이스(600)의 바닥쪽에 배치된다. 회로기판(610)은 스트레인센서(633), 외장 ECG 모듈(52), 청진센서(842) 등이 연결되도록 전기회로가 편성된다.The first circuit board 610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600. The circuit board 610 is configured with an electric circuit to connect the strain sensor 633, the external ECG module 52, the auscultation sensor 842, etc.

가압프레임(630)은 적어도 일부가 센싱 장치(50)의 상부케이스(500)의 가압홀(502)에 노출되도록 센싱 장치(50)의 하부케이스(600)에 실장된다.The pressing frame 630 is mounted on the lower case 600 of the sensing device 50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pressing hole 502 of the upper case 500 of the sensing device 50.

가압프레임(630)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프레임(630)은 얇은 플라스틱판 또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frame 6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For example, the pressing frame 630 may be formed of a thin plastic plate or a thin metal plate.

가압프레임(630)은 일부가 절곡된 ‘ㄱ’자 형태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pressing frame 6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L’ shaped plate with a portion of it bent.

가압프레임(630)은 지지판(632)과 가압판(631)을 포함한다. The pressure frame 630 includes a support plate 632 and a pressure plate 631.

지지판(632)은 센싱 장치(50)의 하부케이스(600)의 일측, 즉, 내측면에 형성된 슬롯(611)에 장착된다. 지지판(632)은 센싱 장치(50)의 상부케이스(500) 및 하부케이스(600)의 결합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장착 방향으로 슬롯(611)에 장착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632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600 of the sensing device 50, that is, in the slot 611 formed on the inner side. The support plate 632 may be mounted in the slot 611 in a mounting direction parallel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upper case 500 and lower case 600 of the sensing device 50.

가압판(631)은 지지판(632)의 상부에서 지지판(632)으로부터 꺽인 형태로 연장된다. 가압판(631)은 지지판(63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판(631)은 얇은 플라스틱판 또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가압판(631)만 얇은 플라스틱판 또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지지판(632)은 탄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ressure plate 631 extends from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632 in a bent shape. The pressure plate 63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plate 632. The pressure plate 631 may be formed of a thin plastic plate or a thin metal plate. For reference, only the pressure plate 631 may be formed of a thin plastic plate or a thin metal plate, and the support plate 63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without elasticity.

가압프레임(630)의 가압판(631)은 센싱 장치(50)에 형성된 상부케이스(500)의 가압홀(502)을 통해 상부케이스(500)의 내부로 노출된다. 가압판(631)은 피검체가 호흡하여 흉부가 팽창되면 스트랩(S)의 조임으로 인해 형상이 변화된다. 가압판(631)의 형상의 변화라 함은 스트랩(S)의 조임으로 인해 가압판(631)이 하부케이스(600)를 향해 구부러지는 것을 의미한다. 가압판(631)은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피검체의 흉부가 수축되면 스트랩(S)의 조임이 완화되면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구된다.The pressure plate 631 of the pressure frame 630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case 500 through the pressure hole 502 of the upper case 500 formed in the sensing device 50. The shape of the pressure plate 631 changes due to the tightening of the strap (S) when the subject breathes and the chest expands. The change in shape of the pressure plate 631 means that the pressure plate 631 is bent toward the lower case 600 due to the tightening of the strap (S). Since the pressure plate 63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en the subject's chest is contracted, the tightness of the strap (S) is reliev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가압프레임(630)의 가압판(631) 일부에는 스트레인센서(633)가 부착된다. 스트레인센서(633)는 스트랩(S)의 조임에 의한 가압프레임(630)(즉, 가압판(631))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여 회로기판(610)에 송신한다.A strain sensor 633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631 of the pressure frame 630. The strain sensor 633 measures the change in shape of the pressure frame 630 (i.e., the pressure plate 631) due to the tightening of the strap (S) and transmits it to the circuit board 610.

스트레인센서(633)는 가압판(631)의 하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가압판(631)의 상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스트레인센서(633)는 가압판(631)의 일면 전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가압판(631)의 일면 일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트레인센서(633)는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ge)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가압판(631)과 스트레인센서(633)의 동작 및 가압프레임(630)의 장착 방식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동작한다.The strain sensor 633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631 or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631. The strain sensor 633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631, or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631. The strain sensor 633 may be replaced with a strain gauge.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plate 631 and the strain sensor 633 and the mounting method of the pressure frame 630 described above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외장 ECG 모듈(52)(electrocardiogram)은 센싱 장치(50)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외장 ECG 모듈(52)은 피검체의 신체 즉, 피검체의 팔, 다리 또는 복부에 부착되어 심장의 수축에 따른 활동전류를 곡선으로 기록한다.The external ECG module 52 (electrocardiogram)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50. The external ECG module 52 is attached to the subject's body, that is, the arm, leg, or abdomen of the subject, and records the action current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of the heart as a curve.

외장 ECG 모듈(52)은 확장 케이블(53)을 통해 제1 회로기판(61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회로(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확장 케이블(53)은 인터페이스회로(미도시)와 연결된 외부접속단자(미도시)에 접속된다. 만약, 외장 ECG 모듈(52)이 인터페이스회로와 무선 연결된다면 외부접속단자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external ECG module 52 may be connected to an interface circuit (not shown) provided on the first circuit board 610 through an extension cable 53. At this time, the extension cable 53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an interface circuit (not shown). If the external ECG module 52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nterface circuit,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may not be provided.

외장 ECG 모듈(52)은 심전도 센서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심전도 센서가 두 개 이상일 때에도 하나의 확장 케이블(53)을 통해 제1 회로기판(61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회로에 접속될 수 있다.The external ECG module 52 may be equipped with one or more electrocardiogram sensors, and even when there are two or more electrocardiogram sensors, i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circuit provided on the first circuit board 610 through one extension cable 53. .

센싱 장치(50)의 하부케이스(600) 하부에는 바닥판(603)이 구비된다.A bottom plate 603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600 of the sensing device 50.

하부케이스(600)의 바닥판(603)은 일부에 제1 센싱홀(605)이 형성된다. 예컨대, 제1 센싱홀(605)은 바닥판(603)의 중심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바닥판(603)에 형성된 제1 센싱홀(605)은 바닥판(603)을 기준으로 바닥판(603)의 외부(다이아프램(640) 쪽)과 하부케이스(600)의 내부를 연통한다.A first sensing hole 605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bottom plate 603 of the lower case 600. For example, the first sensing hole 605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603. The first sensing hole 605 formed in the bottom plate 603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bottom plate 603 (diaphragm 640 side) and the inside of the lower case 600 with the bottom plate 603 as the reference.

하부케이스(600) 바닥판(603)의 외측(즉, 피검체를 향하는 측) 둘레에는 다이아프램(640)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돌기(604)이 형성된다. 체결돌기(604)은 다이아프램(640)이 용이하게 체결되게 하기 위해 단부가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A fastening protrusion 604 for fastening the diaphragm 640 is formed around the outer side (i.e., the side facing the subject) of the bottom plate 603 of the lower case 600. The en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604 may protrude outward to facilitate fastening of the diaphragm 640.

다이아프램(640)은 하부케이스(600)의 바닥판(603) 전체를 덮도록 체결돌기(604)에 장착된다. 이때, 다이아프램(640)은 하부케이스(600)의 바닥판(603)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다이아프램(640)이 하부케이스(600)의 바닥판(603)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되면 하부케이스(600)의 바닥판(603)과 다이아프램(640)의 사이에는 전이공간(R)(transient space)이 형성된다.The diaphragm 640 is mounted on the fastening protrusion 604 to cover the entire bottom plate 603 of the lower case 600. At this time, the diaphragm 640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plate 603 of the lower case 600. In this way, when the diaphragm 640 is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603 of the lower case 6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transi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603 of the lower case 600 and the diaphragm 640. (R) (transient space) is formed.

센싱 장치(50)가 피검체에 착용되면, 센싱 장치(50)에 형성된 다이아프램(640)이 피검체의 흉부에 접촉되고 이때 다이아프램(640)의 변형에 의해 전달된 피검체의 심박음은 다이아프램(640)과 상기 바닥판(603) 사이의 전이공간(R)을 지나면서 증폭된다. 다이아프램(640)의 변형에 의해 전달된 피검체의 심박음은 전이공간(R)의 형상 또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증폭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When the sensing device 50 is worn on a subject, the diaphragm 640 formed in the sensing device 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hest of the subject, and at this time, the heartbeat sound of the subject transmitted by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640 is It is amplified as it passes through the transition space (R) between the diaphragm 640 and the bottom plate 603. The degree of amplification of the subject's heartbeat sound transmitted by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640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r size of the transition space (R).

증폭된 심박음은 제1 센싱홀(605)을 통해 제1 회로기판(610)에 구비된 청진센서(842)로 입력된다. 참고로, 청진센서(842)는 제1 회로기판(610)에서 제1 센싱홀(605)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제1 회로기판(610)에는 제1 센싱홀(605)과 청진센서(842)를 연결하는 전이홀(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전이홀은 제1 센싱홀(605)과 동일한 직경 또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mplified heartbeat sound is input to the auscultation sensor 842 provided on the first circuit board 610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605. For reference, the auscultation sensor 842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hole 605 on the first circuit board 610. In addition, a transition hole (not shown)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hole 605 and the auscultation sensor 842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first circuit board 610. The transition hole may be formed with the same diameter or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sensing hole 605.

다이아프램(640)은 피검체의 심박동을 나타내는 파장 영역을 더 증폭하는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아프램(640)은 고무 재질의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고, 평판형 또는 피검체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렌즈 또는 돔(dome) 형상의 플렉시블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diaphragm 640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material that further amplifies the wavelength region representing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For example, the diaphragm 6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rubber film and may be provided with a flat plate, a convex lens bulging toward the subject, or a dome-shaped flexible plate.

하부케이스(600)의 바닥판(603)과 회로기판(610) 사이에는 실링패드(66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A sealing pad 660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603 of the lower case 600 and the circuit board 610.

실링패드(660)는 하부케이스(600)의 바닥판(603)과 제1 회로기판(610)과 밀착되어 심박음이 유출되지 않게 한다.The sealing pad 6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603 of the lower case 600 and the first circuit board 610 to prevent heartbeat sounds from leaking out.

실링패드(660)는 제1 센싱홀(605)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케이스(600)의 바닥판(603)에 형성된 제1 센싱홀(605)보다 작은 직경의 제2 센싱홀(661)이 형성된다. 참고로, 회로기판(610)에 전이홀이 형성된다면 전이홀은 제2 센싱홀(661)과 동일한 직경 또는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ealing pad 660 has a second sensing hole 661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sensing hole 605 formed in the bottom plate 603 of the lower case 6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hole 605. is formed For reference, if a transition hole is formed in the circuit board 610, the transition hol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or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sensing hole 661.

제1 센싱홀(605) 및 제2 센싱홀(661)의 직경을 조절하여 원하는 파장의 소리만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청진센서(842)는 미세한 소리까지 측정되기 때문에 피검체의 심박음 외에 잡음도 측정되기 마련인데, 제1 센싱홀(605) 및 제2 센싱홀(661)의 직경을 조절하여 원하는 파장의 소리만 증폭시키면 청진센서(842)를 통해 원하는 소리(즉, 심박음)만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다이아프램(640) 및 청진센서(842)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mplify only sounds of a desired wavelength by adjusting the diameters of the first sensing hole 605 and the second sensing hole 661. For example, since the auscultation sensor 842 measures even minute sounds, noise is also measured in addition to the subject's heartbeat. By adjusting the diameters of the first sensing hole 605 and the second sensing hole 661, the desired wavelength is adjusted. If only the sound is amplified, only the desired sound (i.e. heartbeat sound) can be measured through the auscultation sensor 842. The diaphragm 640 and auscultation sensor 842 described above may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연산 장치(70)의 단면도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uting device 70 shown in FIG. 11.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연산 장치(70)는 스트랩(S)에 체결된 상태에서 센싱 장치(5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연산 장치(70)는 센싱 장치(50)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620), 센싱 장치(50)의 측정신호를 통해 호흡수 또는 심박수를 측정하는 카운팅회로 등이 내장된다.Referring to FIGS. 11 and 13 , the computing device 70 is fastened to the strap S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device 50 . The computing device 70 is equipped with a battery 620 that supplies power to the sensing device 50 and a counting circuit that measures the breathing rate or heart rate through a measurement signal from the sensing device 50.

연산 장치(70)는 상부케이스(700)와 하부케이스(800)를 포함한다.The computing device 70 includes an upper case 700 and a lower case 800.

연산 장치(70)의 상부케이스(700)는 상부케이스(700)는 측면에 스트랩(S)이 체결되기 위한 한 쌍의 체결홀(710)이 형성된다. 스트랩(S)은 한 쌍의 체결홀(710)을 통해 상부케이스(700)의 내부를 가로지르게 관통한다. 상부케이스(700)의 상부는 스트랩(S)이 보이지 않도록 폐쇄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스트랩(S)이 보이도록 개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case 700 of the computing device 70 has a pair of fastening holes 710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case 700 for fastening the strap S. The strap (S) penetrates across the interior of the upper case (700) through a pair of fastening holes (710).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se 700 is shown closed so that the strap S is not visible, but it may be formed open so that the strap S is visible.

연산 장치(70)의 하부케이스(800)는 연산 장치(70)의 상부케이스(700) 하부에 결합된다. 연산 장치(70)의 하부케이스(800)는 내부에 제2 회로기판(810)이 실장된다.The lower case 800 of the computing device 7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ase 700 of the computing device 70. The lower case 800 of the computing device 70 has a second circuit board 810 mounted therein.

제2 회로기판(810)에는 배터리(820) 및 카운팅회로(미도시) 등이 연결되도록 전기회로가 편성된다.An electric circuit is form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810 to connect the battery 820 and a counting circuit (not shown).

하부케이스(800)는 측면에 충전홀(802)이 형성된다. 충전홀(802)은 센싱 장치(7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이 관통되는 홀이다.The lower case 800 has a charging hole 802 formed on the side. The charging hole 802 is a hole through which a charging cable for charging the sensing device 70 passes.

연산 장치(70)의 하부케이스(800)는 측면에 전력 통신선(51)이 관통되는 통신관통홀(802)이 형성된다. 전력 통신선(51)은 통신관통홀(802)을 통해 제2 회로기판(810)에의 통신단자(812)에 접속된다.The lower case 800 of the computing device 70 has a communication penetration hole 802 formed on the side through which the power communication line 51 passes. The power communication line 51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812 of the second circuit board 810 through the communication through-hole 802.

배터리(820)는 전력 통신선(71)을 통해 제1 회로기판(810)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배터리(820)는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무선 충전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경우 제2 회로기판(810)에는 무선충전 모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배터리(820)가 유선 충전될 경우 연산 장치(70) 하부케이스(800)의 측면에는 충전케이블이 관통되는 충전홀(80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충전케이블은 충전홀(802)을 통과하여 회로기판(810)에 형성된 충전단자(812)에 접속된다.The battery 820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circuit board 810 through the power communication line 71. The battery 820 can b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wired charging or wireless charging, and when supplied with power through wireless charging, the second circuit board 81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module. When the battery 820 is charged by wire, a charging hole 802 through which the charging cable passes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r case 800 of the computing device 70. The charging cable passes through the charging hole 802 and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812 formed on the circuit board 810.

카운팅회로는 스트레인센서(633)의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호흡수를 계산한다.The counting circuit calculates the respiratory rate using the measurement signal from the strain sensor 633.

예컨대, 피검체의 호흡 중 흡기 일 때 흉부가 팽창되고, 이로 인해 스트랩(S)이 조여지면서 가압프레임(630)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피검체의 호흡 중 호기 일 때 흉부가 수축되고, 이로 인해 스트랩(S)의 이완되면서 가압프레임(630)을 누르는 힘이 약하게 된다. 가압프레임(630)에 부착된 스트레인센서(633)는 피검체의 호흡에 의한 가압프레임(630)의 형상변화를 측정한다.For example, when the subject inhales during breathing, the chest expands, which tightens the strap (S) and presses the pressurizing frame (630). Also, when the subject exhales during breathing, the chest contracts, which causes the strap (S) to relax and the force pressing the pressurizing frame (630) to weaken. The strain sensor 633 attached to the pressurizing frame 630 measures the change in shape of the pressurizing frame 630 due to the subject's breathing.

카운팅회로는 스트레인센서(633)에서 측정된 호흡 파형의 피크치와 다음 피크치를 이용하여 분당 호흡수를 계산한다.The counting circuit calculates the number of breaths per minute using the peak value and the next peak value of the breathing waveform measured by the strain sensor 633.

센싱 장치(50)의 다이아프램(640)의 변형에 의해 전달된 심박음은 다이아프램(640)과 상기 바닥판(603) 사이의 전이공간(R)(transient space)을 지나면서 증폭되고, 증폭된 심박음은 하부케이스(600)의 바닥판(603)에 형성된 제1 센싱홀(605)을 통해 청진센서(842)에서 측정된다. 카운팅회로는 청진센서(842)에서 측정된 심박 파형의 피크치와 다음 피크치를 이용하여 분당 심박수를 계산한다.The heartbeat sound transmitted by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640 of the sensing device 50 is ampl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ransition space (R) (transient space) between the diaphragm 640 and the bottom plate 603. The heart beat sound is measured by the auscultation sensor 842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605 formed in the bottom plate 603 of the lower case 600. The counting circuit calculates the heart rate per minute using the peak value and the next peak value of the heart rate waveform measured by the auscultation sensor 842.

통신회로(미도시)는 카운팅회로에서 계산된 호흡수 또는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기기로 송신한다. 외부기기는 진단 시스템(40) 또는 분석 장치일 수 있으며, 진단 시스템(40) 또는 분석 장치는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를 통해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A communication circuit (not shown)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breathing rate or heart rate calculated by the counting circuit to an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diagnostic system 40 or an analysis device, and the diagnostic system 40 or an analysis device may determine an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through the subject's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한편, 연산 장치(70)의 제2 회로기판(810)에는 진단회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econd circuit board 810 of the computing device 70 may further include a diagnostic circuit (not shown).

진단회로는 카운팅회로에서 측정된 피검체의 심박수, 호흡수 또는 심전도를 통해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진단회로는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피검체에 이상 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진단회로는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가 불규칙하면 이상 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The diagnostic circuit can determine the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through the subject's heart rate, respiratory rate, or electrocardiogram measured in the counting circuit. For example, the diagnostic circuit may determine that an abnormal state has occurred in the subject when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increases or decreases. Additionally, the diagnostic circuit may determine that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if the subject's heart rate or breathing rate is irregular.

통신회로는 진단회로에서 판단된 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circuit transmits th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iagnostic circuit to an external device.

연산 장치(70) 또는 센싱 장치(50) 중 하나의 장치에는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온도는 피검체의 검사가 진행되는 검사실의 온도를 의미한다. 진단회로는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온도를 종합 고려하여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한다. 온도 센서는 진단회로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도 제2 회로기판(6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온도 센서의 측정값은 통신회로(미도시)에 의해 외부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One of the computing device 70 or the sensing device 50 may further be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Here, the external temperature refers to the temperature of the laboratory where the test of the subject is performed. The diagnostic circuit determines the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and the external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610 even when a diagnostic circuit is not provided, and in this case,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circuit (not show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5의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agnostic system of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5의 센싱 장치(80) 및 외장 ECG 모듈(81)는 실시예4의 진단 시스템 및 외장 ECG 모듈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sensing device 80 and the external ECG module 81 of Example 5 are the same as the diagnosis system and external ECG module of Example 4,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연산 장치(90)는 센싱 장치와 전력 통신선(91)으로 연결된다.The computing device 90 is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through a power communication line 91.

연산 장치(90)는 내부에 스트레인센서의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호흡수를 계산하는 카운팅회로가 실장된 제2 회로기판과 배터리가 내장된다. 카운팅회로, 제2 회로기판 및 배터리는 실시예4의 카운팅회로, 제2 회로기판 및 배터리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The calculation device 90 has a built-in battery and a second circuit board equipped with a counting circuit that calculates the breathing rate using a measurement signal from a strain sensor. Since the counting circuit, second circuit board, and battery are the same as those of Embodiment 4,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연산 장치(90)의 외형은 카운팅회로, 제2 회로기판 및 배터리가 내장된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mputing device 90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a counting circuit, a second circuit board, and a battery are built into it.

연산 장치(90)에는 카운팅회로에서 계산된 상기 호흡수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The calculation device 90 may b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circuit that transmits the breathing rate calculated in the counting circuit to the outside.

통신회로는 카운팅회로에서 계산된 호흡수 또는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기기로 송신한다. 외부기기는 진단 시스템 또는 분석 장치일 수 있으며, 진단 시스템 또는 분석 장치는 피검체의 심박수, 호흡수 또는 심전도를 통해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breathing rate or heart rate calculated by the counting circuit to an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diagnostic system or analysis device, and the diagnostic system or analysis device may determine the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through the subject's heart rate, respiratory rate, or electrocardiogram.

통신회로는 무선 및 유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연산 장치(90)는 선택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may support at least one of wireless and wired communication. The computing device 90 may optionall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연산 장치(90)에는 진단회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진단회로는 카운팅회로에서 측정된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를 통해 피검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진단회로는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피검체에 이상 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진단회로는 피검체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가 불규칙하면 이상 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통신회로는 진단회로의 결과를 외부기기로 전송한다.The computing device 90 may further include a diagnostic circuit. The diagnostic circuit can determine the abnormal state of the subject through the subject's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measured in the counting circuit. For example, the diagnostic circuit may determine that an abnormal state has occurred in the subject when at least one of the subject's heart rate or respiratory rate increases or decreases. Additionally, the diagnostic circuit may determine that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if the subject's heart rate or breathing rate is irregular. The communication circuit transmits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circuit to an external devi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everal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또한 상술한 장치 또는 시스템의 부분적 기능들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Additionally, partial functions of the above-mentioned device or system may be provid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by tangibly implementing a program of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floptical disks. Included are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perform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USB memory, and the like.

10: 센싱 장치
100: 상부케이스
110: 체결홀
200: 하부케이스
201: 확장홀
250: 외장 ECG 모듈
251: 확장 케이블
10: Sensing device
100: Upper case
110: fastening hole
200: lower case
201: expansion hall
250: External ECG module
251: extension cable

Claims (19)

마주보는 측면에 스트랩이 관통하는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가압홀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하고, 내부에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하부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케이스의 가압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실장되는 가압프레임; 및
상기 가압프레임의 일부에 부착되고, 상기 스트랩의 조임에 의한 상기 가압프레임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회로기판에 송신하는 스트레인센서
를 포함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
An upper case in which a pair of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a strap passes is formed on opposing sides, and a pressure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A lower case coupled to the upper case and having a circuit board embedded therein;
a pressurizing frame mounted on the lower case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pressurizing hole of the upper case; and
A strain sensor that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pressing frame and measures a change in shape of the pressing frame due to tightening of the strap and transmits it to the circuit board.
Wearable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프레임은, 일측이 꺾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꺾인 부위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슬롯에 삽입 장착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essing fram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with one side bent.
The bent portion of the plate is inserted into a slo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Wearable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에는, 일부에 제1 센싱홀이 형성된 바닥판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판에는, 플렉시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이아프램이 더 장착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에 의해 증폭된 피검체의 심박음을 측정하는 청진센서가 상기 회로기판에 더 실장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t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a bottom plate with a first sensing hole formed in a portion is disposed,
A diaphragm including a flexible plate is further moun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case,
An auscultation sensor that measures the subject's heartbeat amplified by the diaphragm is further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Wearable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센서는 상기 회로기판에서 상기 제1 센싱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실장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해 전달된 심박음은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전이공간(transient space)을 지나면서 증폭되고, 증폭된 심박음은 상기 제1 센싱홀을 통해 상기 청진센서로 입력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tethoscope sensor is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hole on the circuit board,
The heartbeat sound transmitted by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is amplified as it passes through the transition spa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ottom plate, and the amplified heartbeat sound is input to the auscultation sensor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felled
Wearable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피검체의 심박동을 나타내는 파장 영역을 더 증폭하는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diaphragm is formed of a shape and material that further amplifies the wavelength region representing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Wearable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센싱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센싱홀보다 작은 직경의 제2 센싱홀이 형성되는 실링패드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A sealing pad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 second sensing hol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sensing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hole.
A wearable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further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스트레인센서의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호흡수를 계산하고 상기 청진센서의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심박수를 계산하는 카운팅회로 및 상기 계산된 상기 호흡수 또는 상기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회로가 실장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On the circuit board,
A counting circuit for calculating the respiratory rate using the measurement signal from the strain sensor and the heart rate using the measurement signal from the stethoscope sensor, and a communication circu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calculated respiratory rate or the heart rate to the outside. mounted
Wearable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심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외장 ECG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외장 ECG 모듈과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회로가 더 실장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
In clause 7,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ECG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cardiogram sensors,
An interface circuit for connection to the external ECG module is further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Wearable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계산된 호흡수, 심박수 및 상기 측정된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체의 이상 상태 또는 병명을 판단하는 진단회로가 더 실장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
In clause 7,
On the circuit board,
A diagnostic circuit is further installed to determine the abnormal state or disease name of the subject using at least one of the calculated breathing rate, heart rate, and measured electrocardiogram.
Wearable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마주보는 측면에 스트랩이 관통하는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가압홀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하고 내부에 제1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하부케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케이스의 가압홀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실장되는 가압프레임 및 상기 가압프레임의 일부에 부착되고 상기 스트랩의 조임에 의한 상기 가압프레임의 형상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송신하는 스트레인센서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상기 센싱 장치와 이격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스트레인센서의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호흡수를 계산하는 카운팅회로가 실장된 제2 회로기판과 배터리가 내장되는 연산 장치; 및
상기 센싱 장치와 상기 연산 장치를 연결하는 전력 통신선
을 포함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진단 시스템.
An upper case in which a pair of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a strap passes is formed on opposite sides and a pressure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a lower case coupled to the upper case and in which a first circuit board is embedd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e. A strain attached to a pressure frame mounted on the lower case so as to be exposed to the pressure hole of the upper case and a part of the pressure frame, and which measures the change in shape of the pressure frame due to tightening of the strap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circuit board. A sens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an arithmetic devic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device and has a second circuit board and a built-in battery equipped with a counting circuit that calculates the respiratory rate using the measurement signal from the strain sensor; and
Power communication line connecting the sensing device and the computing device
containing
Wearable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프레임은, 일측이 꺾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꺾인 부위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슬롯에 삽입 장착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The pressing fram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with one side bent.
The bent portion of the plate is inserted into a slo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case.
Wearable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의 하부케이스 하단에는, 일부에 제1 센싱홀이 형성된 바닥판이 배치되고,
상기 센싱 장치의 바닥판에는, 플렉시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이아프램이 더 장착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에 의해 증폭된 피검체의 심박음을 측정하는 청진센서가 상기 제1 회로기판에 더 실장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At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of the sensing device, a bottom plate with a first sensing hole formed in a portion is disposed,
A diaphragm including a flexible plate is further moun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sensing device,
An auscultation sensor that measures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amplified by the diaphragm is further mounted on the first circuit board.
Wearable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센서는 상기 제1 회로기판에서 상기 제1 센싱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실장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해 전달된 심박음은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전이공간(transient space)을 지나면서 증폭되고, 증폭된 심박음은 상시 제1 센싱홀을 통해 상기 청진센서로 입력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The stethoscope sensor is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hole on the first circuit board,
The heartbeat sound transmitted by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is amplified as it passes through the transition space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ottom plate, and the amplified heartbeat sound is always input to the auscultation sensor through the first sensing hole. felled
Wearable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피검체의 심박동을 나타내는 파장 영역을 더 증폭하는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The diaphragm is formed of a shape and material that further amplifies the wavelength region representing the heartbeat of the subject.
Wearable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센싱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센싱홀보다 작은 직경의 제2 센싱홀이 형성되는 실링패드를 더 포함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4,
A sealing pad disposed between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 second sensing hol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sens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hole.
Wearable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기판에는, 상기 카운팅회로에서 계산된 상기 호흡수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회로가 더 실장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The second circuit board is further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circuit that transmits the breathing rate calculated by the counting circuit to the outside.
Wearable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심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외장 ECG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기판에는, 상기 외장 ECG 모듈과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회로가 더 실장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3,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ECG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cardiogram sensors,
An interface circuit for connection to the external ECG module is further mounted on the first circuit board.
Wearable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회로는, 상기 심박음을 통해 심박수를 계산하고,
상기 제2 회로기판에는, 상기 계산된 호흡수, 심박수 및 상기 측정된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체의 이상 상태 또는 병명을 판단하는 진단회로가 더 실장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7,
The counting circuit calculates the heart rate through the heartbeat sound,
The second circuit board is further equipped with a diagnostic circuit that determines the abnormal state or disease name of the subject using at least one of the calculated breathing rate, heart rate, and measured electrocardiogram.
Wearable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장치는,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스트랩이 관통하는 한 쌍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하고 내부에 상기 스트레인센서의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호흡수를 계산하는 카운팅회로가 실장된 제2 회로기판과 배터리가 내장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진단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1,
The computing device is,
An upper case in which a pair of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the strap passes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and a second unit coupled to the upper case and equipped with a counting circuit inside which calculates the breathing rate using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strain sensor. Includes a lower case with a built-in circuit board and battery.
Wearable diagnostic syste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KR1020220032513A 2022-03-03 2022-03-16 Wearable device and diagnostic system for sensing multiple body signals KR2023013048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433 2022-03-03
KR20220027433 2022-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487A true KR20230130487A (en) 2023-09-12

Family

ID=8801977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513A KR20230130487A (en) 2022-03-03 2022-03-16 Wearable device and diagnostic system for sensing multiple body signals
KR1020220038503A KR20230130491A (en) 2022-03-03 2022-03-29 Wearable sensing device and diagnost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0220038502A KR20230130490A (en) 2022-03-03 2022-03-29 Wearable sensing device and diagnostic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503A KR20230130491A (en) 2022-03-03 2022-03-29 Wearable sensing device and diagnost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0220038502A KR20230130490A (en) 2022-03-03 2022-03-29 Wearable sensing device and diagnostic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3013048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96A (en) 2016-12-13 2018-06-21 최선규 Apparatus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for p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96A (en) 2016-12-13 2018-06-21 최선규 Apparatus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for p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491A (en) 2023-09-12
KR20230130490A (en)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99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physiological events
US65174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spiration using signals from a piezoelectric sensor mounted on a substrate
CN107529991A (en) For the heart of detection object and/or the equipment, system and method for respiratory disorder
WO2000017615A2 (en) Physiological sensing device
JP2007296266A (en) Biosensor device
CN110650680B (en) Device for monitoring blood and respiratory flow
US20220133222A1 (en) A sleep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H10155755A (en) Medical apparatus
WO20061247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and analysis
KR102214111B1 (en) Medical diagrnostic apparatus
CN110811547A (en) Multi-guide sleep monitor and sleep monitoring method
US20060007796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recording signals
CN111836581B (en) Techniques for quantifying respiration using a wearable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EP35510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etection of a respiratory status
KR20230130487A (en) Wearable device and diagnostic system for sensing multiple body signals
JPWO2012165427A1 (en) Respiration detection device
KR102550296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tic respiratory using pogo pin, and measuring respiratory device therefor
KR102456242B1 (en) Piezoelectric sensing device using a strap
KR20220167666A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tic respiratory using diaphragm, and measuring respiratory device therefor
KR102597398B1 (en) Device and system for measuring cardiopulmonary dysfunction
KR102596602B1 (en) Wired type wearable biometric diagnostic device, system and sensing device therefore
KR102596603B1 (en) Wearable sensing device and health diagnosis system using same
KR102420171B1 (en) Wearable sensor, health diagnosis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for animals
KR102642248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respiratory rate using heart sound, and heart sound measurring device therefor
WO2023167374A1 (en) Wearable sensing apparatus and diagnostic apparatus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