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464A -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용 부품 - Google Patents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464A
KR20230130464A KR1020220027684A KR20220027684A KR20230130464A KR 20230130464 A KR20230130464 A KR 20230130464A KR 1020220027684 A KR1020220027684 A KR 1020220027684A KR 20220027684 A KR20220027684 A KR 20220027684A KR 20230130464 A KR20230130464 A KR 20230130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namel composition
enamel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연
양재경
김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7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464A/ko
Publication of KR2023013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46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03C8/08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03C8/04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C03C8/20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containing titanium compounds; containing zirconium comp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우수한 청소 기능성과 밀착성을 가지며, 조리기기의 다양한 부품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신규의 법랑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법랑 조성물은 SiO2 15 ~ 25 중량%, P2O5 15 ~ 30 중량%, B2O3 5 ~ 15 중량%, Na2O, Li2O 및 K2O 가운데 1종 이상 15 ~ 25 중량%, NaF 1 ~ 5 중량%, ZnO 1 ~ 5 중량%, Al2O3, TiO2, ZrO2, MoO3, CeO2, Fe2O3, Co3O4 가운데 1종 이상 20 ~ 35 중량%를 포함하여, 음식이 오염에 취약하고 열 충격이 가해지는 버너용 캡, 그레이트, 그리들과 같은 조리기기용 부품의 코팅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용 부품{COMPOSITION FOR ENAMEL,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PARTS OF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상온에서 물불림 없이 모든 오염물을 청소할 수 있는 법랑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법랑(enamel)은 금속판의 표면에 유리질 유약을 도포시킨 것이다. 일반적인 법랑은 전자레인지와 오븐과 같은 조리기기 등에 사용된다. 전기오븐, 가스 오븐 등의 조리기구는 가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조리과정에서 발생한 오염물질 등이 조리기구의 캐비티(cavity) 내벽에 들러붙게 되므로, 상기 캐비티 내벽을 청소할 필요가 있다. 상기 법랑은 조리기구의 캐비티 내벽 표면 등에 코팅되어 조리기구에 묻은 오염물의 제거를 용이하게끔 한다. 일반적으로, 캐비티 내벽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기술로는 고온에서 오염물을 태워 재로 만드는 pyrolysis(열분해) 방법이 알려져 있고, pyrolysis(열분해) 방법이 적용되는 법랑 조성물로서 P2O5, SiO2, B2O3 등의 성분을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기존에 알려져 있는 법랑 조성물은 450~500
Figure pat00001
의 pyrolysis(열분해) 고온 조건에서 약 4시간 정도 가열하여야 청소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기존의 법랑 조성물은 청소를 하기 위해서 큰 에너지를 소비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법랑 조성물은 고온에서 열처리하지 않으면 청소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법랑 조성물은 조리기기의 내부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조리기기의 외부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또한, 기존의 법랑 조성물은 소, 돼지, 가금류 기름과 같은 오일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일정시간 수분에 의한 불림과정이 필요하여 청소 과정이 번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법랑은 조리기기의 캐비티 내벽뿐만 아니라 조리기기에 사용되는 여러 부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조리기기의 각 부품은 소재도 다르고 형태도 상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부품의 소재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법랑 조성물이 설계되었다.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1종의 법랑 조성물을 다양한 부품에 모두 적용하는 경우에는 부품 소재와 법랑 코팅의 밀착성에 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선행문헌)
(특허문헌 1)
미국등록특허 35470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온에서 모든 오염물에 대해 청소가 가능한 신규의 법랑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불림 없이 모든 오염물에 대해서 청소가 가능한 신규의 법랑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조리기기의 부품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신규의 법랑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온에서 모든 오염물에 대해 물불림 없이 청소가 가능하고 또한 다양한 조리기기용 부품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은 실리코-포스페이트계 성분과 촉매 산화물을 신규의 조성비로 포함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은 SiO2 15 ~ 25 중량%, P2O5 15 ~ 30 중량%, B2O3 5 ~ 15 중량%, Na2O, Li2O 및 K2O 가운데 1종 이상 15 ~ 25 중량%, NaF 1 ~ 5 중량%, ZnO 1 ~ 5 중량%, Al2O3, TiO2, ZrO2, MoO3, CeO2, Fe2O3, Co3O4 가운데 1종 이상 20 ~ 35 중량%를 포함한다.
특히 조리기기용 부품에 사용되는 여러 소재들과 열팽창 계수를 매칭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은 유리형성인자(Si, P, B의 산화물)와 망목 수식체(NA, K, Li의 산화물) 및 중간산화물(ZnO)의 신규한 조성비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법랑 조성물은 상온에서 쉽게 청소가 가능하도록 상술한 성분들과 Al2O3, TiO2, ZrO2, MoO3, CeO2, Fe2O3, Co3O4 가운데 1종 이상의 성분 간의 신규한 조성비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법랑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법랑 조성물을 용융하고 냉각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또한 본 발명은 그 표면에 상술한 법랑 코팅층이 적용된 조리기기용 부품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은 상온에서 모든 오염물에 대해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은 물불림 없이 모든 오염물에 대해서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은 다양항 조리기기용 부품에 적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조리기기용 부품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법랑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리기기용 부품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조리기기용 부품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 단가 절감에 효과적이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부품이 적용된 조리기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부품 가운데 버너 캡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부품 가운데 그레이트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부품 가운데 그리들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밀착성 평가 기준에 관한 사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법랑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용 부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법랑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은 SiO2 15 ~ 25 중량%, P2O5 15 ~ 30 중량%, B2O3 5 ~ 15 중량%, Na2O, Li2O 및 K2O 가운데 1종 이상 15 ~ 25 중량%, NaF 1 ~ 5 중량%, ZnO 1 ~ 5 중량%, Al2O3, TiO2, ZrO2, MoO3, CeO2, Fe2O3, Co3O4 가운데 1종 이상 20 ~ 3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리코-포스페이트계 조성을 기본으로 한 법랑 조성물이다. 먼저, 본 발명의 법랑 조성물은 유리 구조를 형성하는 성분으로서 SiO2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처럼, SiO2는 유리 구조를 형성하는 성분으로 유리 구조의 골격을 강화시켜 법랑 조성물의 내화학성을 향상시키고 촉매로 작용하는 금속산화물의 특성 발현을 용이하게 하는 성분이다. 촉매 금속산화물은 타 성분들에 비해 내열성이나 내화학성이 열등하기 때문에 법랑 조성물에 다량이 함유될 수 없다. 그러나, SiO2는 pore size가 큰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SiO2가 유리 조성에 적정량 포함되면 유리 내 촉매 금속산화물의 용해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SiO2와 촉매 금속산화물의 함량비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면서도 촉매 금속산화물의 특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SiO2는 15~25 중량%의 범위에서 법랑 조성물에 함유된다. 상기 SiO2가 25 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의 첨가를 방해하여 청소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SiO2가 15 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코-포스페이트계 유리 조성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법랑 조성물은 SiO2와 마찬가지로 유리 구조를 형성하는 유리 형성제인 P2O5를 포함한다. P2O5는 특히 다량의 전이금속산화물의 첨가를 용이하게 하는 유리 형성제이다. 상기 P2O5는 15~30 중량%의 범위에서 법랑 조성물에 함유된다. 상기 P2O5가 30 중량%를 초과하면 법랑 조성물의 열물성이 저하되고 유리화가 어렵다. P2O5가 15 중량% 미만이면 법랑 조성물에 포함되는 전이금속산화물의 첨가량이 줄어든다.
다음으로, B2O3은 유리 형성제로서 역할을 하며. 또한 법랑 조성물을 소성할 때 적정한 점도를 유지하게 하며 법랑 조성물의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성분이다. 상기 B2O3-는 5~15 중량%의 범위에서 글라스 조성물에 함유된다. 상기 B2O3가 15 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의 첨가를 방해하여 청소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B2O3가 5 중량% 미만이면 유리 조성이 붕괴되거나, 유리 조성물의 결정화가 발생될 수 있다.
Li2O, Na2O, 및 K2O는 법랑 조성물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Li2O, Na2O 및 K2O 가운데 1종 이상은 15~25 중량%의 범위에서 법랑 조성물에 함유된다. 상기 Li2O, Na2O 및 K2O 가운데 1종 이상의 함유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면 유리의 열팽창계수를 극단적으로 증가시켜 코팅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Li2O, Na2O 및 K2O 가운데 1종 이상의 함유량이 15 중량% 미만이면 청소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은 상기 Na2O를 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NaF도 법랑 조성물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NaF는 1~5 중량%의 범위에서 법랑 조성물에 함유된다. 상기 NaF가 5 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의 첨가를 방해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NaF가 1 중량% 미만이면 청소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ZnO는 망목형성산화물(SiO2, P2O5 및 B2O3)과 알칼리 산화물(Li2O, Na2O 및 K2O)의 균형을 맞추어주는 중간산화물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ZnO는 1~5 중량%의 범위에서 법랑 조성물에 함유된다. 상기 ZnO가 5 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의 첨가를 방해하여 청소 기능성이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ZnO가 1 중량% 미만이면 청소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단일 법랑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조리기기용 부품에 모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법랑 조성물의 열팽창 계수와 다양한 종류의 조리기기용 부품의 열팽창 계수가 모두 매칭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망목형성산화물(SiO2, P2O5 및 B2O3), 알칼리 산화물(Li2O, Na2O 및 K2O) 및 중간산화물(ZnO)의 성분비를 이용하여 위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법랑 조성물은 코팅의 내구성과 청소 기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Al2O3, TiO2, ZrO2, MoO3, CeO2, Fe2O3, Co3O4 가운데 1종 이상 20 ~ 35 중량%를 포함한다.
TiO2, MoO3, Fe2O3는 주로 오일류 오염물의 청소성능을 증진시키는 성분들이며, CeO2, Co3O4, Al2O3, ZrO2는 주로 당류 오염물의 청소성능을 증진시키는 성분들이다. 또한 Co3O4, Fe2O3는 코팅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면서 색상 구현 인자로도 작용하는 성분들이다. 본 발명의 법랑 조성물이 위 성분들을 3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면 코팅의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법랑 조성물이 위 성분들을 20 중량% 미만 포함하면 코팅의 청소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법랑 조성물은 내구성 증진을 위해 상기 Al2O3를 7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법랑 조성물은 청소 기능성 증진을 위해서 상기 MoO3를 3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상기 CeO2를 1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법랑 조성물은 모재와의 밀착 성능을 개선시키면서 색상 구현을 위해 상기 Fe2O3와 상기 Co3O4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Fe2O3와 상기 Co3O4의 총 함량이 1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은 유리를 구현하는 성분들과 촉매 성능을 갖는 성분들이 최적화된 조성계를 가짐으로써 조리기기의 다양한 부품들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물불림 없이 모든 오염물에 대해서 청소가 가능하다.
<법랑 조성물의 제조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성분을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 원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법랑 조성물 재료를 용융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조성물 재료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법랑 조성물 재료를 충분히 혼합한 후, 상기 법랑 조성물 재료를 용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재료가 1200~1400℃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 재료가 1~2시간 동안 용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용융된 조성물 재료가 퀀칭 롤러에 의해 급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법랑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조리기기용 부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코팅하고자 하는 대상 물체(조리기기용 부품)의 일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부품이 적용된 조리기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기기(100)는 캐비닛(10), 쿡탑 유닛(20) 및 오븐 유닛(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00)는 드로워 유닛(40) 및 컨트롤 패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조리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육면체의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쿡탑 유닛(20)은 캐비닛(10)의 상부에 장착되며, 버너(5)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물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레이트(25)를 갖는다. 상기 그레이트(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부품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쿡탑 유닛(20)은 탑 플레이트(21) 및 조작 노브(27)를 더 포함한다. 이때, 탑 플레이트(21) 상에 4개의 버너(5)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버너(5)의 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이러한 버너(5)는 공기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화염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조작 노브(27)는 버너(5)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장착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부품으로서 버너 캡이 상기 버너(5)에 장착될 수 있다. 버너 캡이란, 요리 중에 조리물이 넘쳐 흘러도 안전하게 버너를 보호해주며, 가스 불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오븐 유닛(30)은 쿡탑 유닛(20)의 하방에 해당하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1)를 갖는다. 즉, 오븐 유닛(30)에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된다. 그리고, 조리실은 도어(3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리실의 내부에는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가열원, 예를 들면, 브로일 버너, 베이크 버너 및 컨벡션 장치 중 적어도 1개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드로워 유닛(40)은 오븐 유닛(30)의 하방에 해당하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드로워 유닛(40)은 조리물이 담기는 용기를 워밍하는 역할을 한다. 드로워 유닛(40)은 캐비닛(10)의 내부 및 외부로 인출되고, 용기가 수납되는 드로워(41)를 포함한다.
컨트롤 패널(50)은 쿡탑 유닛(20)의 후방에 해당하는 캐비닛(10)의 상면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50)은 오븐 유닛(30) 및 드로워 유닛(4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 받고, 오븐 유닛(30) 및 드로워 유닛(4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부품으로서 그리들이 조리기기(100)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들이란 요리에 사용되는 크고 두꺼운 철판을 의미한다. 상기 그리들에 열을 가하여 다양한 요리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그리들은 버너 위에 두고 사용하거나 또는 오븐에 넣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부품으로서 버너 캡, 그레이트 및 그리들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법랑 조성물은 상기 버너 캡, 그레이트 및 그리들과 같은 조리기기용 부품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은 건식 공정 또는 습식 공정에 의해 상기 조리기기용 부품들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태양을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법랑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를 갖는 법랑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원재료들을 V-혼합기(V-mixer)에서 3시간 동안 충분히 혼합하였다. 여기서, Na2O, K2O, Li2O의 원재료는 각각 Na2CO3, K2CO3, Li2CO3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성분은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혼합된 재료를 1300℃에서 1시간 30분 동안 충분히 용융시키고, 퀀칭 롤러(quenching roller)에서 급냉 시킨 후 유리 컬릿을 수득하였다.
상기 과정으로 수득한 유리 컬릿을 하기 표 2와 같이 배합한 이후 약 10시간 혼합하여 슬립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슬립의 입도를, 60cc 슬립이 325메쉬 시브(ASTM C285-88)에 통과시켜 통과하지 못한 프릿이 1g 내지 3g 남아있는 정도로 입도를 제어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SiO2 23.87 20.94 18.82 20.94 20.94 13.43 24.37 20.34
P2O5 18.19 17.82 17.82 16.89 16.54 26.88 18.24 23.82
B2O3 7.32 11.09 13.52 13.21 11.85 11.28 11.32 13.72
Na2O 5.7 8.46 8.46 8.46 8.46 4.66 8.87 6.71
K2O 17.57 10.5 10.5 9.54 10.5 8.47 14.48 11.71
Li2O 0.44 0.37 0.37 0.37 0.45 0 0.36 1.66
NaF 0.97 1.96 1.96 2.87 1.96 2.46 1.97 2
Al2O3 10.92 13.65 13.65 12.51 12.07 16.75 5.92 6.72
TiO2 0.74 0.73 0.68 0.73 0.79 0.89 0.74 1
Fe2O3 0.53 0.51 0.51 0.51 0.51 1.41 0.53 1
Co3O4 1 1.47 1.47 1.47 1.47 1.12 0.45 2.1
ZnO 3.16 3.1 2.84 3.1 3.1 3.96 3.16 4.18
ZrO2 3.51 3.44 3.44 3.44 3.41 4.22 3.51 2.7
MoO3 4.5 4.41 4.41 4.41 6.2 1.79 4.5
CeO2 1.58 1.55 1.55 1.55 1.75 2.68 1.58 2.34
성분 배합비 (중량부)
유리 컬릿 100
Water 50
Ball clay 5
Aluminum oxide 3
Borax 0.2
Bentonite 0.2
Sodium nitrite 0.3
<법랑 조성물 시편 제조>
위와 같이 제조된 법랑용 프릿을 각각 버너 캡, 그레이트 및 그리들의 표면에 모두 스프레이 건을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코팅 후 200℃내지 250℃에서 5분 내지 10분의 건조 공정을 진행하고, 코팅층에 대해 810℃ 내지 830℃의 온도조건으로 300초 내지 420초 동안 소성하였다.
<실험예 1 - 청소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편들에 대해 하기와 같이 청소 성능을 평가하였다.
청소 성능의 측정방법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편 표면에 오염물로서 닭기름 1g 정도를 골고루 얇게 브러쉬(brush)로 바른 다음, 오염물이 도포된 시험체를 항온기 속에 넣고, 270℃의 온도 및 30분 시간의 조건에서 오염물을 고착화시켰다. 고착화 이후, 시험체를 자연 냉각하였다. 이후 상온수를 적신 후라이팬 전용 수세미로 3kgf 이하의 힘으로 경화된 닭기름을 닦았다. 지름 5cm의 바닥이 평탄한 봉을 사용하여 오염된 법랑 표면에서 닦아지는 부분을 균일화하였다. 이때 닦은 왕복 횟수를 측정하여 이를 청소 횟수로 정의하며, 평가 지표는 좌측 하단의 표와 같다. 오염물이 토마토 소스일 경우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청소성을 평가하였다.
청소 왕복 횟수 Level
~ 5 5
~ 15 4
~ 25 3
~ 50 2
50 ~ 1
<실험예 2 - 밀착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밀착력의 측정방법은 Dupont Impact Tester (ASTM D1794, JIS K5400)를 이용하였다. 시험체를 Sample Stage 중심에 놓고, 시험체의 평면부의 중심에 지름 약 25.4 ㎜ (1 inch) 강구를 설치한 후 무게 2㎏의 철편을 300 ㎜의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벗겨짐의 상태를 조사하였다. 밀착성 level의 판정 기준은 도 3에 도시된 기준에 의한다.
<실험 결과>
위 실험예의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닭기름 청소성 Lv. 5 Lv. 5 Lv. 5 Lv. 5 Lv. 5 Lv. 1 Lv. 2 Lv. 1
토마토소스 청소성 Lv. 5 Lv. 5 Lv. 5 Lv. 5 Lv. 5 Lv. 2 Lv. 1 Lv. 1
밀착력 Lv. 4 Lv. 5 Lv. 5 Lv. 5 Lv. 5 Lv. 0 Lv. 0 Lv. 4
평가 결과,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시편들은 모든 오염물이 상온에서 쉽게 제거되었다. 이와 달리 비교예들은 모든 오염물이 상온에서 제거되지 않았다. 아울러, 실시예들은 우수한 청소 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밀착성도 우수하였다. 하지만, 비교예 1 및 2는 밀착성도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조리기기
5 : 버너
10 : 캐비닛
20 : 쿡탑 유닛
21 : 플레이트
25 : 그레이트
27 : 조작 노브
30 : 오븐 유닛
31 : 도어
40 : 드로워 유닛
41 : 드로워
50 : 컨트롤 패널

Claims (19)

  1. SiO2 15 ~ 25 중량%;
    P2O5 15 ~ 30 중량%;
    B2O3 5 ~ 15 중량%;
    Na2O, Li2O 및 K2O 가운데 1종 이상 15 ~ 25 중량%;
    NaF 1 ~ 5 중량%;
    ZnO 1 ~ 5 중량%;
    Al2O3, TiO2, ZrO2, MoO3, CeO2, Fe2O3, Co3O4 가운데 1종 이상 20 ~ 35 중량%;를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2O를
    5 중량% 이상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l2O3
    7 중량% 이상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oO3
    3 중량% 이상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eO2
    1 중량% 이상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e2O3와 상기 Co3O4가 모두 포함되고,
    상기 Fe2O3와 상기 Co3O4의 총 함량은 1 중량% 이상인
    법랑 조성물.
  7. SiO2 15 ~ 25 중량%;
    P2O5 15 ~ 30 중량%;
    B2O3 5 ~ 15 중량%;
    Na2O, Li2O 및 K2O 가운데 1종 이상 15 ~ 25 중량%;
    NaF 1 ~ 5 중량%;
    ZnO 1 ~ 5 중량%;
    Al2O3, TiO2, ZrO2, MoO3, CeO2, Fe2O3, Co3O4 가운데 1종 이상 20 ~ 35 중량%;를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 원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법랑 조성물 원료를 용융하는 단계; 및
    상기 용융된 법랑 조성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법랑 조성물은
    상기 Na2O를 5 중량% 이상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법랑 조성물은
    상기 Al2O3를 7 중량% 이상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법랑 조성물은
    상기 MoO3를 3 중량% 이상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법랑 조성물은
    상기 CeO2를 1 중량% 이상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법랑 조성물은
    상기 Fe2O3와 상기 Co3O4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Fe2O3와 상기 Co3O4의 총 함량은 1 중량% 이상인
    법랑 조성물 제조 방법.
  13. 표면에 법랑 코팅층이 형성된 조리기기용 부품으로서,
    상기 법랑 코팅층은,
    SiO2 15 ~ 25 중량%;
    P2O5 15 ~ 30 중량%;
    B2O3 5 ~ 15 중량%;
    Na2O, Li2O 및 K2O 가운데 1종 이상 15 ~ 25 중량%;
    NaF 1 ~ 5 중량%;
    ZnO 1 ~ 5 중량%;
    Al2O3, TiO2, ZrO2, MoO3, CeO2, Fe2O3, Co3O4 가운데 1종 이상 20 ~ 35 중량%;를 포함하는 법랑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조리기기용 부품.
  14. 제13항에 있어서,
    버너용 캡, 그레이트(grate) 및 그리들(Griddle) 가운데 선택되는
    조리기기용 부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법랑 조성물은
    상기 Na2O를 5 중량% 이상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부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법랑 조성물은
    상기 Al2O3를 7 중량% 이상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부품.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법랑 조성물은
    상기 MoO3를 3 중량% 이상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부품.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법랑 조성물은
    상기 CeO2를 1 중량% 이상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부품.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법랑 조성물은
    상기 Fe2O3와 상기 Co3O4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Fe2O3와 상기 Co3O4의 총 함량은 1 중량% 이상인
    조리기기용 부품.
KR1020220027684A 2022-03-03 2022-03-03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용 부품 KR20230130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684A KR20230130464A (ko) 2022-03-03 2022-03-03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용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684A KR20230130464A (ko) 2022-03-03 2022-03-03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용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464A true KR20230130464A (ko) 2023-09-12

Family

ID=8801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684A KR20230130464A (ko) 2022-03-03 2022-03-03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용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4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663B1 (ko) 유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234551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172459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172416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1476500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1476501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216709B1 (ko) 유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JP6826670B2 (ja) ガラス組成物及び調理機器
KR20180089986A (ko) 유리 조성물 및 조리기기
KR102118456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140115562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172417B1 (ko) 법랑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2631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EP3851419A1 (en) Enamel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cooking appliance using same
KR20200102758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230130464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용 부품
KR20230130463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용 부품
KR102172460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623353B1 (ko) 법랑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KR20230131713A (ko) 법랑용 슬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용 부품
KR20210093118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310341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210073334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172418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210093115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