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232A - Touchless display apparatus and the air clean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uchless display apparatus and the air clean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232A
KR20230130232A KR1020220027130A KR20220027130A KR20230130232A KR 20230130232 A KR20230130232 A KR 20230130232A KR 1020220027130 A KR1020220027130 A KR 1020220027130A KR 20220027130 A KR20220027130 A KR 20220027130A KR 20230130232 A KR20230130232 A KR 20230130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ing
display device
sensing are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효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232A/en
Publication of KR20230130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232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배치되어 비접촉식으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형성된 PIR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ouchless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ody forming an exterior, and a PIR senso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input a signal in a non-contact manner.

Description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TOUCHLESS DISPLAY APPARATUS AND THE AIR CLEANER USING THE SAME }Touchless display device and air purifier equipped with same {TOUCHLESS DISPLAY APPARATUS AND THE AIR CLEANER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수동형 적외선 감지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 PIR)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키를 터치하지 않고도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러한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having a touchless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uchless display device that utilizes a passive infrared sensor (PIR) to control functions without the user touching the keys. and an air purifier equipped with such a touchless display device.

미세먼지와 황사가 심한 우리나라에서 이제 공기청정기는 필수 가전 중 하나가 되었으며 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기능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접촉식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풍량을 조절하고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In Korea, where fine dust and yellow dust are severe, air purifiers have now become one of the essential home appliances, and the functions of air purifiers are also becoming more diverse according to the needs of consumers. In general, air purifiers allow users to control air volume and select modes through touch buttons.

하지만 코로나19 펜데믹 발생으로 인해 바이러스와 세균의 위험도가 높아졌으며 신체접촉을 통한 감염을 방지하고자 'Untact' 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매김 하였다. 또한, 대중이 사용하는 공간에서는 손잡이나 버튼에 항균 필름을 씌우고 마트에서는 카트를 사용할 때 소독제를 뿌리는 등 위생 관리에 대한 관심이 극대화 되었다. However, due to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the risk of viruses and bacteria has increased, and 'Untact' has become a trend to prevent infection through physical contact. In addition, interest in hygiene management has been maximized, such as covering handles and buttons with antibacterial film in spaces used by the public and spraying disinfectant when using carts in supermarkets.

하지만,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접촉식 버튼을 직접 터치하여 조작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개인 가정에서는 접촉식 터치 버튼이 문제가 되지 않지만 상가나 음식점 등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되는 곳에서는 기기를 조작하는 것이 매우 꺼림직하고 주변 사람들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 However, despite this trend, there is a problem with existing air purifiers that requires users to operate them by directly touching the contact buttons on the display unit. In private homes, contact-type touch buttons are not a problem, but in places where they are expos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such as stores or restaurants, it is very uncomfortable to operate the device and you cannot help but be concerned about what people around you think.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3931호 '접촉과 비접촉 동시 사용 가능한 버튼 장치 및 그 인식 방법'(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적외선 광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접근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93931, 'Button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contact and non-contact use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detects access to the user's body through an infrared light sensor. A technology for detecting and generating an input signal is being disclosed.

하지만, 특허문헌 1에서는 능동형 적외선 감지 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버튼을 이용한 다양한 신호 입력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Patent Document 1 uses an active infrared detection sens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to inputting various signals using multiple button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6737호 '접촉과 비접촉 동시 사용 가능한 버튼 장치 및 그 인식 방법'(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적외선 광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접근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나 능동형 적외선 감지 센서(AIR, Active Infrared Sensor)를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서는 능동형 적외선 감지 센서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센서들의 조합을 통한 신호 입력에 한계가 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136737, 'Button device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with contact and non-contact and its recogni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detects the user's body approach through an infrared optical sensor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technology, but uses an active infrared sensor (AIR). However, since Patent Document 1 uses an active infrared detection sensor, there is a limit to signal input through a combination of multiple sensor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6737호 '비접촉식 버튼 입력 장치'(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복수개의 비접촉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고 기기를 제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만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능동형 적외선 감지 센서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센서들의 조합을 통한 신호 입력에 한계가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136737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technology for sensing the user's motion and controlling the device using a plurality of non-contact buttons, but Patent Document 1 Likewise, because it uses an active infrared detection sensor, there are limits to signal input through the combination of multiple sensors.

이러한 종래기술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비접촉 기기 제어를 구현하기 위하여 PIR 센서를 활용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se prior technologies and implement non-contact device control, technology using PIR sensors is being research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3931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939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6737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136737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동형 적외선 감지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 PIR)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비접촉식으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o provide an air purifier whose functions can be controlled in a non-contact manner by applying a passive infrared sensor (PIR).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배치되어 비접촉식으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형성된 PIR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ouchless display device that includes a body forming the exterior, and a PIR senso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input a signal in a non-contact mann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IR 센서는 사용자 손가락이 위쪽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용자 손가락이 위쪽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R sensor includes a first sensor that detects that the user's finger is placed upward and generates a signal, and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nsor and detects that the user's finger is placed upward. Disclosed is a touchless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sensor that generates a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의 신호를 조합하여 신호의 조합에 따른 기능들을 수행시키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less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mbine signals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nd perform function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signals is discl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의 조합은 제1 센서의 신호만 존재하는 경우, 제2 센서의 신호만 존재하는 경우 및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신호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the signals includes a case where only a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exists, a case where only a signal from the second sensor exists, and a case where signals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exist simultaneously. Disclosed is a touchless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less display device is disclosed, wherein the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user's finger is sens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1 센싱유닛과 상기 제1 센싱유닛을 보호하며 센싱범위를 확장시키는 제1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2 센싱유닛과 상기 제2 센싱유닛을 보호하며 센싱범위를 확장시키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includes a first sensing unit that detects infrared rays and a first cover member that protects the first sensing unit and expands the sensing range, and the second sensor detects infrared rays. Disclosed is a touchless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sensing unit that senses and a second cover member that protects the second sensing unit and expands the sensing r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커버부재는 제1 센싱유닛의 (a)센싱영역과 제2 센싱유닛의 (b)센싱영역이 중첩되는 (d)센싱영역을 생성시키는 제1 및 제2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create a (d) sensing area where the (a) sensing area of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b) sensing area of the second sensing unit overlap. Disclosed is a touchless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and second le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신호가 감지되는 영역이 (a)센싱영역에서 (b)센싱영역로 변경되는 경우와, (a)센싱영역,(d)센싱영역,(c)센싱영역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area where the signal is detected from (a) sensing area to (b) sensing area, (a) sensing area, (d) sensing area, (c) Disclosed is a touchless display device that performs different functions when the sensing area is sequentially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센서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용자 손가락이 위쪽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제3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less display device is disclosed, further comprising a third senso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ensor and generates a signal by detecting that the user's finger is placed abov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센서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3 센싱유닛과, 상기 제3 센싱유닛을 보호하며 센싱범위를 확장시키는 제3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커버부재는 제2 센싱유닛의 (b)센싱영역과 제3 센싱유닛의 (c)센싱영역이 중첩되는 (e)센싱영역을 생성시키는 제3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ensor includes a third sensing unit that detects infrared rays, and a third cover member that protects the third sensing unit and expands the sensing range, and the third cover member Discloses a touchless display device comprising a third lens that generates a (e) sensing area where the (b) sensing area of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c) sensing area of the third sensing unit overlap.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신호가 감지되는 영역이 (a)센싱영역 및 (b)센싱영역에서 (b)센싱영역 및 (c) 센싱영역으로 변경되는 경우와, (a)센싱영역 및 (b)센싱영역, (d)센싱영역 및 (e)센싱영역, (b)센싱영역 및 (c)센싱영역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operated when the area where the signal is detected is changed from (a) sensing area and (b) sensing area to (b) sensing area and (c) sensing area, (a) A touch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different functions when sequentially changed into the sensing area, (b) sensing area, (d) sensing area and (e) sensing area, (b) sensing area, and (c) sensing area. Discloses a lease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미세먼지 필터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장치의 기능을 수행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장치를 터치하지 않고도 동작 명력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ine dust filter inside,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device, and a control unit that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user can transmit operating force to the control unit without touching the device.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touchless display device is discl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손가락이 위쪽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PIR 센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disclose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PIR sensors that generate a signal by detecting that the user's finger is placed upw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IR 센서들은 서로 이격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들의 조합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R sensors include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trol unit performs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signals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Disclosed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the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IR 센서들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에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purifier is disclosed wherein the PIR sensors generate a signal when the user's finger is detect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개선된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improved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공기청정기의 물리적인 조작부 버튼의 한계와 단점을 보완하고 바이러스와 세균으로부터 제품을 더욱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First, i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and shortcomings of the air purifier's physical control buttons and allows the product to be used more cleanly from viruses and bacteria.

둘째, PIR 센서를 이용해 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체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카메라 등을 이용해 모션감지를 할 필요없이 비터치식으로 제품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Second, by using a PIR sensor to detect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object that emits infrared rays, it becomes possible to operate the product in a non-touch manner without the need to detect motion using a camera.

셋째, 복수개의 PIR 센서를 복합적으로 인식시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ir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by complexly recognizing multiple PIR sensors.

본 발명에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 또한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expect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rom above of a touchless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touchless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shown in FIG. 3.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shown in FIG. 3.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touchless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shown in FIG. 6.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shown in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considering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a distinct meaning or role in itself.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by the attached drawing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 유로로 안내하는 흡입홀들이 형성된 하우징(11)과, 내부 유로로 안내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기타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집진 필터와,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을 통해 내부 유로로 안내된 공기에 대한 살균 및 탈취를 실시하는 광촉매 모듈과, 내부 유로에 수용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유닛과, 송풍 유닛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 유닛과,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 formed with suction holes that guide external air to the internal flow path, dust contained in the air guided to the internal flow path, A dust collection filter that collects and removes other foreign substances, a photocatalyst module that sterilizes and deodorize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passage through the photochemical reaction of the photocatalyst, a blowing unit that blows the air contained in the internal passage, and a blowing unit It may include a discharge unit that discharges the air blown by the device to the outside, and an input/output modul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공기 청정기(10)는 하우징(11)의 측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위치한 흡입홀들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집진 필터 및 광촉매 모듈을 이용해 정화 및 살균한 후 하우징(11)의 상면에 위치한 토출홀(15)들을 통해 외부로 토출하는 타워형 공기 청정기로 구성되는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ir purifier 10 purifies and sterilizes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suction holes located on at least one of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housing 11 using a dust collection filter and a photocatalyst module, and then discharges air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 It is desirable to have a tower-type air purifier that discharges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s 15,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공기 청정기(10)가 타워형 공기 청정기로 구성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case where the air purifier 10 is configured as a tower-type air purifier.

먼저, 하우징(11)은 공기 청정기(10)에 포함된 각종의 부품들을 설치 및 수용하기 위한 장치이다.First, the housing 11 is a device for installing and accommodating various parts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10.

하우징(11)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11)은 원통형 필터 자동회전 장치와, 각종의 부품들을 설치 및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본체를 지지하도록 베이스와 하우징 본체를 연결하는 지지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housing 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housing 11 may include a cylindrical filter automatic rotation device, a housing body that provides space for installing and accommodating various parts, and a support bar connecting the base and the housing body to support the housing body. You can.

이러한 하우징(11)의 내부에는, 하우징 본체의 흡입홀들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토출 유닛의 토출홀(15)들을 향해 유동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 유로는 지지대들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흡입홀들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Inside the housing 11, an internal flow path is formed through which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holes of the housing main body flows toward the discharge holes 15 of the discharge unit. Additionally, the internal flow path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 partitioned by supports, and may include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holes flows.

토출 유닛은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토출 유닛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토출 유닛은 토출 그릴, 가이드 베인, 보조 그릴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is a device for discharging air blown by a blowing fan to the outside.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un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discharge grill, a guide vane, an auxiliary grill, etc.

토출 그릴은 공기를 외부로 토출함과 함께, 오염물, 기타 액상 또는 고상의 외부 물체가 내부 유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e discharge grill is provid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and prevent contaminants and other liquid or solid external objects from entering the internal flow path.

또한, 토출 그릴은 입출력 모듈이 안착되는 모듈 안착홈과,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홀(15)들 등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charge grill may have a module seating groove in which the input/output module is seated, and discharge holes 15 that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상단부에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포함될 수 있다. As show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uchless display device 100 for controlling functions at the top of the product.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 및 이를 활용하여 제품을 제어하는 방법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100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product using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른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3.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0)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존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display device 100 may be present at the top of the air purifier 1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01)와, 현재 기기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들은 감압식 버튼, 정전식 버튼 또는 PIR 센서를 이용한 터치리스 버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압식/정전식 버튼과 터치리스 버튼이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리스 버튼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body 101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devic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device, and buttons for operating the device. The buttons can be resistive buttons, capacitive buttons, or touchless buttons using PIR sensors. 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e-sensitive/capacitive button and a touchless button may be placed together.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the touchless button will be described below.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할 수 있는 PIR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PIR 센서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제3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3개의 PIR 센서가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더 많거나 적은 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equipped with a PIR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user's hand. As shown, the PIR sensor may include a first sensor 110, a second sensor 120, and a third sensor 130 that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drawing shows three PIR sensors, but more or fewer sensors may be included as needed.

PIR 센서는 인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을 터치할 필요없이 PIR 센서 위쪽에 손을 가져가는 것만으로 제품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PIR sensor detects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human body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Therefore, users can control the product simply by placing their hand above the PIR sensor without having to touch buttons.

도 3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센서(130)는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각 신호의 조합을 통해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to third sensors 130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to control the device through a combination of signals.

제1 내지 제3 센서(110,120,130)의 표면에는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재(112,122,132)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는 유리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PIR 센서(111,121,131)의 센싱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렌즈가 포함될 수도 있다.Cover members 112, 122, and 132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to third sensors 110, 120, and 130 to protect the sensors. The cover member may be made of glass or synthetic resin, and may include a lens to expand the sensing range of the PIR sensors 111, 121, and 13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적 스위치에서 구현할 수 있는 딜레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손으로 1회씩 짧게 누르는 버튼 터치와는 달리, 버튼에 몇 초 간의 딜레이를 발생시키고 일반 소비자는 사용하지 않는 라인테스트 모드와 같은 특정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IR 센서에 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체가 감지되었을 시, 일정 부분 동안은 프로그램의 딜레이 기능을 통해 기계식 스위치의 '누름' 기능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딜레이 기능은 제품의 전원 ON/OFF 시에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lay func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mechanical switch can be implemented. Unlike touching the button, which is briefly pressed once by hand, it causes a delay of several seconds on the button and allows the user to enter a specific mode, such as line test mode, which is not used by general consumers. For example, when an object emitting infrared rays is detected by the PIR sensor, the program's delay function can function as a 'press' function of a mechanical switch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delay function can be used when the product is turned on/off.

또한, PIR 센서를 복합으로 인식시켜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부터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제3 센서(130)라고 명명하였을 시,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제2 센서(120)와 제3 센서(130), 제1 센서(110)와 제3 센서(130) 등 복수개의 센서를 동시에 인식시켜 또 다른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Additionally, other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by recognizing PIR sensors in combination. For example, when naming the first sensor 110, the second sensor 120, and the third sensor 130 from the left, the first sensor 110, the second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20 ) and the third sensor 130,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third sensor 130 can be simultaneously recognized to implement another mode.

또한, 어느 한 센서 위에 배치되었던 손가락을 다른 센서 위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통해 새로운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센서(110) 위의 손가락을 제2 센서(120) 위로 이동시켜(I 위치에서 II 위치로 이동) 이 동작에 매칭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dditionally, a new function can be executed by moving a finger placed on one sensor to another senso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it is possible to move the finger on the first sensor 110 over the second sensor 120 (moving from position I to position II) to execute the function matched to this movement.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청정기(10)는 기본모드와, 설정변경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er 10 may include a basic mode and a setting change mode.

기본 모드에서는 전원 ON/OFF, 풍량 조절 모드 진입, 모드 변경 진입, 와이파이 설정을 3개의 PIR 센서의 조합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In basic mode, power ON/OFF, wind volume control mode entry, mode change entry, and Wi-Fi settings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ree PIR sensors.

전원 ON/OFF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파워 코드를 꽂은 후, 부저음이 들리면 제1 센서(110) 위에 손을 3초간 유지시키면 추가 부저음과 함께 공기청정기(10)가 작동을 시작한다. 공기청정기(10) 작동 중, 제1 센서(110) 위에 손을 3초간 유지시키면 부저음과 함께 전원이 꺼진다.To describe the power ON/OFF embodiment, after plugging in the power cord and hearing a buzzer sound, hold your hand on the first sensor 110 for 3 seconds and the air purifier 10 starts operating with an additional buzzer sound. While the air purifier 10 is operating, if you hold your hand on the first sensor 110 for 3 seconds, the power turns off with a buzzer sound.

풍량 조절 모드 진입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풍량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풍량 조절 모드에 진입해야 하는데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제2 센서(120) 위에 손을 2초간 유지시키면 부저음과 함께 풍량 조절 모드에 진입된다.To explain the embodiment of entering the wind volume control mode, in order to adjust the air volume, you must enter the air volume control mode. If you hold your hand on the second sensor 120 for 2 seconds while the power is on, the wind volume control mode is entered with a buzzer sound. .

자동 모드와 집중 모드 진입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자동/집중 모드 진입을 하기 위해서는 전원을 켠 상태에서 제3 센서(130) 위에 손을 2초간 유지시킨다. 2초간 인식이 되면 부저음과 함께 자동/집중 모드로 진입된다.To describe an embodiment of entering automatic mode and concentrated mode, in order to enter automatic/focused mode, keep your hand on the third sensor 130 for 2 seconds while turning on the power. Once recognized for 2 seconds, it enters automatic/focus mode with a buzzer sound.

와이파이 ON/OFF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와이파이 ON/OFF 기능은 전원 ON 상태에서 제1 센서(110)와 제3 센서(130) 위에 동시에 손을 3초간 유지시켜 진입한다.To describe the Wi-Fi ON/OFF embodiment, the Wi-Fi ON/OFF function is entered by simultaneously holding the hand on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third sensor 130 for 3 seconds in a power-on state.

설정 변경 모드는 기본 모드에서 풍량 조절 또는 자동/집중 모드의 미세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모드이다. 설정 변경 모드는 PIR 센서의 수량을 최소로 사용하면서 기능적 세분화를 가능하게 한다.The setting change mode is a mode used to adjust the air volume in the basic mode or fine-tune the automatic/focused mode. Configuration change mode enables functional refinement while using the minimum number of PIR sensors.

예를 들어, 풍량 조절 모드 진입(기본 모드에서 제2 센서(120) 2초 인식) 하였을 시, 부저음과 또는 LED 색상으로 알림이 발생되고 설정 변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풍량은 취침, 약, 중, 강 4단계로 일반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최초 모드는 '약'으로 세팅되어 있다. 풍량 조절 모드에 진입한 후, 제1 센서(110)에 손을 올리면 취침으로 변경된다. 반대로 제2 센서(120)에 손을 올리면 중으로 변경된다. 모든 변경 이후에는 제3 센서(130)에 손을 2초간 올리고 Set 이 확인되어야 풍량 조절 모드에서 빠져나갈 수 있다.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wind volume control mode (recognition of the second sensor 120 for 2 seconds in the basic mode), a notification is generated with a buzzer sound or LED color, and the setting change mode can be entered. Airflow can generally be classified into four levels: sleeping, low, medium, and high, and the initial mode is set to 'low'. After entering the wind volume control mode, if you place your hand on the first sensor 110, the mode changes to sleep. Conversely, when you place your hand on the second sensor 120, it changes to medium. After all changes, you must place your hand on the third sensor 130 for 2 seconds and confirm the set to exit the air volume control mode.

예를 들어, '약' 기준, 제1 센서(110) 인식 시 '약' -> '취침' -> '강' -> '중' -> '약'으로 로테이션 되고, '약' 기준, 제2 센서(120) 인식 시 '약' -> '중' -> '강' -> '취침' -> '약'으로 로테이션 될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weak', when the first sensor 110 recognizes it, it rotates from 'weak' -> 'sleeping' -> 'strong' -> 'medium' -> 'weak', and based on 'weak', the 2 When the sensor 120 recognizes it, it can be rotated from ‘weak’ -> ‘medium’ –> ‘strong’ –> ‘sleeping’ –> ‘weak’.

이와 유사하게 자동/집중 모드도 진입이 가능하다. 기본 모드에서 제3 센서(130)를 2초 인식하면, 부저음 또는 LED 색상으로 변경 알림이 발생되고 자동/집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풍량 조절과 마찬가지로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로 '자동/집중' 모드를 선택하고 제3 센서(130)에 손을 2초간 올려 set으로 세팅을 마무리 한다.Similarly, automatic/focus mode can also be entered. In the basic mode, when the third sensor 130 is recognized for 2 seconds, a buzzer sound or LED color change notification is generated, and automatic/focused mode can be selected. As with wind volume control, select 'Auto/Focus' mode with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second sensor 120, and place your hand on the third sensor 130 for 2 seconds to complete the setting.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 외에도,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적용된 공기청정기(10)의 활용 방안은 매우 다양하다.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세팅에 필요한 시간(초)과 PIR 센서의 ON/OFF 조합을 통해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또한, ON/OFF 시퀀스의 순차 적용을 통해 추가 버튼 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PIR 센서를 통해 다양한 사람이 터치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고, 코로나19와 같이 바이러스와 세균의 위험도에서 벗어날 수 있는 'Untact' 트렌드를 지향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utilize the air purifier 10 to which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100 is applied. It can be customiz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rough the time required for setting (seconds) and the ON/OFF combination of the PIR sensor. Additionally, additional button combinations are possible through sequential application of the ON/OFF sequence.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void using the product by touching it by various people through the PIR sensor and to aim for the 'Untact' trend that can avoid the risk of viruses and bacteria such as COVID-19.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른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touchless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6.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6.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센서(130)는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각 신호의 조합을 통해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to third sensors 130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to control the device through a combination of signals.

제1 내지 제3 센서(110,120,130)의 표면에는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재(112,122,132)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는 유리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PIR 센서(111,121,131)의 센싱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렌즈가 포함될 수도 있다.Cover members 112, 122, and 132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to third sensors 110, 120, and 130 to protect the sensors. The cover member may be made of glass or synthetic resin, and may include a lens to expand the sensing range of the PIR sensors 111, 121, and 131.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센서(110)는 a영역을 감지하고, 제2 센서(120)는 b영역을 감지하고, 제3 센서(130)는 c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센싱 범위 확장 렌즈에 의하여 각 센서의 센싱 각도가 증가되어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가 함께 감지하는 d영역, 제2 센서(120)와 제3 센서(130)가 함께 감지하는 e영역이 생기게 된다. As shown, the first sensor 110 can detect area A, the second sensor 120 can detect area B, and the third sensor 130 can detect area C. At this time, the sensing angle of each sensor is increased by the sensing range expansion lens, so that the d area, which is sensed by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second sensor 120, and the second sensor 120 and the third sensor 130 are An e area that is sensed together is created.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손이 지나가는 영역을 파악하여 손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a영역의 센싱이 b영역 센싱으로 변경된다면 사용자가 제1 센서(110) 버튼을 사용한 후 제2 센서(120) 버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일 수 있다. d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동작이 손가락 슬라이딩 동작인지 손가락을 변경한 것인지 정확히 확인하고 구분하는 것이 어렵다. The control unit 200 can identify the area through which the user's hand passes and more accurate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hand. For example, if the sensing of area a is changed to sensing of area b, this may be the case where the user wants to use the second sensor 120 button after using the first sensor 110 button. If area d does not exis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onfirm and distinguish whether this movement is a finger sliding movement or a finger change.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0)가 a영역 -> d영역 -> b영역 순서로 센싱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손가락을 우측으로 쓸어 넘기는 동작을 취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00 confirms that sensing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area a -> area d -> area b, thereby confirming that the action of swiping the finger to the right was taken.

다른 실시예로, 두 손가락을 동시에 사용하여 새로운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nother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put a new signal using two fingers simultaneously.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위에 두 손가락을 오버랩시켜 두 버튼이 동시에 누른 것과 같은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센서(120)와 제3 센서(130) 위에 두 손가락을 오버랩시켜 신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7, the user can overlap two fingers on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second sensor 120 to generate a signal as if two buttons were pressed simultaneously. Likewise,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a signal by overlapping two fingers on the second sensor 120 and the third sensor 130.

이렇게 두 손가락을 이용하는 경우 도 8과 같이 두 손가락을 I 위치에서 II위치로 밀어 넘기는 동작으로 독립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n using two finger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ndependent signal by sliding the two fingers from position I to position II, as shown in Figure 8.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1~3개의 손가락을 이용해 다양한 조합의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터치 버튼이 없이도 기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user can generate various combinations of signals using 1 to 3 fingers, so it is possible to use all functions of the device without a separate touch butt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기청정기의 물리적인 조작부 버튼의 한계와 단점을 보완하고 바이러스와 세균으로부터 제품을 더욱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PIR 센서를 이용해 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체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카메라 등을 이용해 모션감지를 할 필요없이 비터치식으로 제품을 조작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PIR 센서를 복합적으로 인식시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등 종래기술에 비해 양적/질적으로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and shortcomings of the physical control panel buttons of the air purifier, allows the product to be used more cleanly from viruses and bacteria, and uses a PIR sensor to emit infrared rays or By being able to detect the movement of an object, the product can be operated in a non-touch manner without the need for motion detection using a camera, and various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by complexly recognizing multiple PIR sensor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mproved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merely illustratively illustrate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ll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공기청정기
11 : 하우징
15 : 토출홀
100 :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101 : 바디
110 : 제1 센서
111 : PIR 센싱유닛
112 : 커버부재
120 : 제2 센서
121 : PIR 센싱유닛
122 : 커버부재
130 : 제3 센서
131 : PIR 센싱유닛
132 : 커버부재
200 : 제어부
10: Air purifier
11: housing
15: discharge hole
100: Touchless display device
101: body
110: first sensor
111: PIR sensing unit
112: cover member
120: second sensor
121: PIR sensing unit
122: cover member
130: third sensor
131: PIR sensing unit
132: cover member
200: control unit

Claims (15)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면에 배치되어 비접촉식으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형성된 PIR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Body forming the exterior; and
A touchless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IR senso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input a signal in a non-contact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IR 센서는,
사용자 손가락이 위쪽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용자 손가락이 위쪽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IR sensor is,
a first sensor that generates a signal by detecting that the user's finger is placed upward; and
A touchless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senso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nsor and generates a signal by detecting that the user's finger is placed ab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의 신호를 조합하여 신호의 조합에 따른 기능들을 수행시키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touchless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med to combine signals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nd perform function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signa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조합은,
제1 센서의 신호만 존재하는 경우, 제2 센서의 신호만 존재하는 경우 및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신호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ombination of the above signals is,
A touchless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ase where only a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exists, a case where only a signal from the second sensor exists, and a case where signals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exist simultaneous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ignal is,
A touchless display device that is generated when the user's finger is detect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1 센싱유닛과 상기 제1 센싱유닛을 보호하며 센싱범위를 확장시키는 제1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2 센싱유닛과 상기 제2 센싱유닛을 보호하며 센싱범위를 확장시키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rst sensor includes a first sensing unit that detects infrared rays and a first cover member that protects the first sensing unit and expands the sensing range,
The second sensor is a touchless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sensing unit that detects infrared rays and a second cover member that protects the second sensing unit and expands the sensing ran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버부재는,
제1 센싱유닛의 (a)센싱영역과 제2 센싱유닛의 (b)센싱영역이 중첩되는 (d)센싱영역을 생성시키는 제1 및 제2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A touchless display devic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lenses that generate a (d) sensing area where (a) the sensing area of the first sensing unit and (b) the sensing area of the second sensing unit overla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호가 감지되는 영역이 (a)센싱영역에서 (b)센싱영역로 변경되는 경우와, (a)센싱영역,(d)센싱영역,(c)센싱영역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use 7,
The control unit,
Different functions when the area where the signal is detected changes from (a) sensing area to (b) sensing area, and when it changes sequentially from (a) sensing area, (d) sensing area, and (c) sensing area. A touchless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용자 손가락이 위쪽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제3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touchless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hird senso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ensor and generates a signal by detecting that the user's finger is placed abo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3 센싱유닛; 및
상기 제3 센싱유닛을 보호하며 센싱범위를 확장시키는 제3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커버부재는,
제2 센싱유닛의 (b)센싱영역과 제3 센싱유닛의 (c)센싱영역이 중첩되는 (e)센싱영역을 생성시키는 제3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third sensor is,
A third sensing unit that detects infrared rays; and
It includes a third cover member that protects the third sensing unit and expands the sensing range,
The third cover member,
A touchless display device comprising a third lens that generates a (e) sensing area where the (b) sensing area of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c) sensing area of the third sensing unit overlap.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호가 감지되는 영역이 (a)센싱영역 및 (b)센싱영역에서 (b)센싱영역 및 (c) 센싱영역으로 변경되는 경우와, (a)센싱영역 및 (b)센싱영역, (d)센싱영역 및 (e)센싱영역, (b)센싱영역 및 (c)센싱영역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control unit,
When the area where the signal is detected changes from (a) sensing area and (b) sensing area to (b) sensing area and (c) sensing area, (a) sensing area and (b) sensing area, (d) A touchless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different functions when sequentially changed into a sensing area, (e) sensing area, (b) sensing area, and (c) sensing area.
내부에 미세먼지 필터를 구비하는 하우징;
장치의 기능을 수행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장치를 터치하지 않고도 동작 명력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A housing having a fine dust filter inside;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device; and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touchless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so that a user can transmit operating commands to the control unit without touching the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손가락이 위쪽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PIR 센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use 12,
The touchless display device,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IR sensors that generate a signal by detecting that the user's finger is placed upwar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IR 센서들은 서로 이격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들의 조합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use 13,
The PIR sensors include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air purifi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performs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a combination of signals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PIR 센서들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에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use 14,
The PIR sensors are,
An air purifier that generates a signal when the user's finger is detect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KR1020220027130A 2022-03-03 2022-03-03 Touchless display apparatus and the air cleaner using the same KR202301302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130A KR20230130232A (en) 2022-03-03 2022-03-03 Touchless display apparatus and the air clean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130A KR20230130232A (en) 2022-03-03 2022-03-03 Touchless display apparatus and the air clean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232A true KR20230130232A (en) 2023-09-12

Family

ID=8801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130A KR20230130232A (en) 2022-03-03 2022-03-03 Touchless display apparatus and the air clean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23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737B1 (en) 2020-03-20 2020-07-23 주식회사 온유테크 Touchless button input apparatus
KR102293931B1 (en) 2020-07-10 2021-08-26 (주)태그프리 Button device that can use both contact and non-contact methods simultaneously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737B1 (en) 2020-03-20 2020-07-23 주식회사 온유테크 Touchless button input apparatus
KR102293931B1 (en) 2020-07-10 2021-08-26 (주)태그프리 Button device that can use both contact and non-contact methods simultaneously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53991B (en) Sanitization behavior tracking and ranking
KR102539016B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473908B2 (en) Remote control system
US201601035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human machine interface utilizing near-field quasi-state electrical field sensing technology
US20070040676A1 (en) Low voltage occupancy sensor
KR101535242B1 (en) Lighting unit with illumina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US20160196109A1 (en) Intrinsically safe remote interaction with cooktop
US20170164162A1 (en) LumenGlow™ virtual switch
KR20230130232A (en) Touchless display apparatus and the air cleaner using the same
JP2020067668A (en) Input system
EP1672796A2 (en) Optical proximity switch
KR101923154B1 (en) Digital Doorlock having Electrostatic Capacity Type Fingerprint Sensor
KR20170007573A (en) Contactless Way Button Input Apparatus Using a Laser
WO2020075456A1 (en) Input device
CN109710098B (en) Touch button with display screen and household appliance
JP2007149580A (en) Switch device
US11520445B1 (en) Appliance with modular user interface
JP2009275962A (en) Heating device, and furniture and wall body incorporating the same
JP6096160B2 (en) Cooker
US12010778B2 (en) Power management control device
JP2002317482A (en) Sanitary washing device
JP6253820B2 (en) Cooker
US20240098862A1 (en) Power Management Control Device
KR102545743B1 (en) Contactless button input system
TWM524715U (en) Portable ultraviolet disinf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