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859A -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859A
KR20230129859A KR1020220027027A KR20220027027A KR20230129859A KR 20230129859 A KR20230129859 A KR 20230129859A KR 1020220027027 A KR1020220027027 A KR 1020220027027A KR 20220027027 A KR20220027027 A KR 20220027027A KR 20230129859 A KR20230129859 A KR 20230129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correction
posterior
maxilla
necess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숙
Original Assignee
허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경숙 filed Critical 허경숙
Priority to KR102022002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9859A/ko
Publication of KR2023012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8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하기와 같은 진단방법을 가진다.
환자정보를 획득하는 환자정보획득단계;
상기 환자정보획득단계에서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에서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범위판단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을 가진다.

Description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Orthodontic automatic diagnosis method}
본원발명은 치과교정을 종합적으로 자동진단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시간을 소요하여 투명교정장치에 대한 발명을 하였으나 환자는 투명교정기를 이용하여 교정치료를 원하지만, 실제 투명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치료는 한계가 있다.
투명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치료의 진단 가이드라인조차 없어서 치과의사 및 환자 모두 불편을 겪고 있는 상태이다.
기존 투명교정기공소나 투명교정 회사, 또는 병의원에서 투명교정 환자의 분석을 대부분 투명교정기공사들이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어, 진단 분석이 어렵고, 진단하는 사람마다 분석 결과가 다르며, 치료 결과도 다르고, 대량 생산에 있어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기존 진단은 X-ray , 치아모델, 얼굴 모두 각자 서로 다른 기관에서 수동으로 진단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x-ray , 치아모델, 얼굴 모두 통합적으로 진단하여 치료방법을 정하는 것이다.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투명 교정장치(1)는 정상 영구치를 교정할 때 사용될 수 있고, 과잉치가 존재할 경우 및 유치나 혼합치열을 교정할 경우에는 투명 교정정치(1)의 형태 및 재질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잉치 소실부가 전치부에 존재할 경우, 전치부 교정틀(110)은 과잉치 소실부를 포함하는 연속된 하나 이상의 전치부 치아를 덮는 형태일 수 있으며, 과잉치 소실부를 포함하는 연속된 하나 이상의 전치부 치아에 교정력을 가해 과잉치 소실부의 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유치나 혼합치열을 교정할 경우, 전치부 교정틀(110)은 전치부 치아의 측면이 뚫린 상태로 전면 및 후면을 덮는 형태일 수 있고, 제1 구치부 교정틀(123)은 일측 구치부 치아의 측면이 뚫린 상태로 전면 및 후면을 덮는 형태일 수 있고, 제2 구치부 교정틀(125)은 타측 구치부 치아의 측면이 뚫린 상태로 전면 및 후면을 덮는 형태일 수 있고, 치아 교정틀(100)은 전체 치아의 측면이 뚫린 상태로 전면 및 후면을 덮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전치부 교정틀(110), 제1 구치부 교정틀(123), 제2 구치부 교정틀(125), 및 치아 교정틀(100)의 전체 또는 일부의 재질은 영구치의 치근에 비해 좁은 단면적의 치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치를 교정하기 위해 탄성도가 변경될 수 있는 연성재질인 실리콘, EVA(Ethylene Vinyl Acetat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교정장치(1)는 전치부 교정틀(110), 제1 구치부 교정틀(123), 제2 구치부 교정틀(125), 또는 치아 교정틀(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치부 교정틀(110)은 투명한 포켓형태로서, 하나 이상의 치아를 덮으며 에워싸는 형태일 수 있고, 덮으며 에워싼 하나 이상의 치열을 레벨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치부 교정틀(110)은 4개의 전치 및 2개의 견치의 전체 또는 그 일부에 장착될 수 있고, 4개의 전치 및 2개의 견치의 전체 또는 그 일부의 치열을 레벨링 할 수 있다.
발치 교정의 경우, 통상적으로 양쪽 견치 바로 뒤의 소구치가 발치되고 시행되므로, 전치부 교정틀(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전치 및 2개의 견치의 전체 또는 그 일부의 전면, 후면, 측면, 및 경계면을 덮으며 에워싼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발치를 하지 않고 교정하는 경우, 4개의 전치 및 2개의 견치의 전체 또는 그 일부의 양쪽 측면은 감싸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전치 및 2개의 견치의 전체 또는 그 일부의 전면, 후면 및 경계면만 덮는 형태일 수 있다.
제1 구치부 교정틀(123) 및 제2 구치부 교정틀(125)은 투명한 포켓형태로서, 하나 이상의 일측 구치부 치아 또는 하나 이상의 타측 구치부 치아를 덮으며 에워싸는 형식일 수 있고, 덮으며 에워싼 하나 이상의 일측 구치부 치아 또는 하나 이상의 타측 구치부 치열을 레벨링 할 수 있다.
제1 구치부 교정틀(123)은 일측 구치부 치아에 장착될 수 있고, 제1 구치부 교정틀(123)이 장착된 부분의 치열을 레벨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치 교정의 경우, 통상적으로 양쪽 견치 바로 뒤의 소구치가 발치되고 시행되므로, 일측 구치부는 소구치 1개와 대구치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구치부 교정틀(123)은 1개의 소구치 및 2개의 대구치 전체 또는 그 일부의 전면, 후면, 경계면 및 일측 구치부 양단의 측면을 덮으며 에워싸는 형태일 수 있으며, 1개의 소구치와 2개의 대구치의 치열을 레벨링 할 수 있다.
발치하지 않을 경우, 일측 구치부는 소구치 2개와 대구치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구치부 교정틀(123)은 2개의 소구치 및 2개의 대구치 전체 또는 그 일부의 전면, 후면, 경계면을 덮는 형태일 수 있고, 치아의 끝에 위치한 대구치의 식도측 측면을 에워싸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구치부 교정틀(123)은 견치 뒤에 위치한 소구치의 견치 측 측면을 에워싸지 않을 수 있다.
제2 구치부 교정틀(125)은 타측 구치부 치아에 장착될 수 있고, 제2 구치부 교정틀(125)이 장착된 부분의 치열을 레벨링 할 수 있으며, 제1 구치부 교정틀(123)과 좌우 대칭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치 교정의 경우, 통상적으로 양쪽 견치 바로 뒤의 소구치가 발치되고 시행되므로, 타측 구치부는 소구치 1개와 대구치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구치부 교정틀(125)은 1개의 소구치 및 2개의 대구치 전체 또는 그 일부의 전면, 후면, 경계면 및 일측 구치부 양단의 측면을 덮으며 에워싸는 형태일 수 있으며, 1개의 소구치와 2개의 대구치의 치열을 레벨링 할 수 있다.
발치하지 않을 경우, 타측 구치부는 소구치 2개와 대구치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구치부 교정틀(125)은 2개의 소구치 및 2개의 대구치 전체 또는 그 일부의 전면, 후면, 경계면을 덮는 형태일 수 있고, 치아의 끝에 위치한 대구치의 식도측 측면을 에워싸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구치부 교정틀(125)은 견치 뒤에 위치한 소구치의 견치 측 측면을 에워싸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1 구치부 교정틀(123)과 제2 구치부 교정틀(125)은 치아의 배열순서만 대칭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일측 구치부 치아와 하나 이상의 타측 구치부 치아의 형태는 각각 다를 수 있다. 또한, 일측 구치부 치아의 개수와 타측 구치부 치아의 개수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쪽 소구치나 대구치의 개수가 다른 경우나 사랑니가 한쪽만 잇몸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처럼 양쪽 치아의 상태가 다른 경우에, 제1 구치부 교정틀(123)과 제2구치부 교정틀(125)은 좌우 대칭 형태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제1 구치부 교정틀(123)과 제2 구치부 교정틀(125)은 일측 사랑니와 타측 사랑니의 잇몸 밖으로의 돌출정도나 돌출여부에 따라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된 사랑니의 형태에 따라 돌출된 사랑니 부분의 제1 구치부 교정틀(123)과 제2 구치부 교정틀(125)은 전면, 후면, 경계면, 또는 측면 중 하나 이상이 없을 수도 있고, 전면, 후면, 경계면, 또는 측면 이외의 또 다른 면이 존재할 수도 있다.
치아 교정틀(100)은 투명한 포켓형태로서, 전치부 교정틀(110), 제1 구치부 교정틀(123), 제2 구치부 교정틀(125), 제1 치아 소실부(300), 및 제2 치아 소실부(310)를 덮으며 에워싸는 방식일 수 있다.
치아 교정틀(100)은 좌우 치아의 개수 및 배열이 같을 경우 좌우 대칭 형태일 수 있고, 좌우 치아의 개수 또는 배열이 다를 경우 좌우 대칭 형태가 아닐 수 있다.
치아 교정틀(100)은 전치부 교정틀(110), 제1 구치부 교정틀(123) 및 제2 구치부 교정틀(125)에 교정력을 가함으로써 치아 교정틀(100)만 사용하거나 치아 교정틀(100)은 사용하지 않고 전치부 교정틀(110), 제1 구치부 교정틀(123), 제2 구치부 교정틀(125) 만을 사용하여 교정할 때보다 빠른 교정속도를 낼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전치부 치아, 하나 이상의 일측 구치부 치아, 하나 이상의 타측 구치부 치아의 치열을 균일하게 레벨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 교정틀(100)은 사용하지 않고 전치부 교정틀(110), 제1 구치부 교정틀(123), 제2 구치부 교정틀(125) 만을 사용할 경우, 전치부, 일측 구치부, 또는 타측 구치부 각각의 연속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치아의 높이는 맞을 수 있으나, 전치부, 일측 구치부, 및 타측 구치부 전체 치아의 높낮이는 맞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치부, 일측 구치부, 또는 타측 구치부 각각의 연속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치아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의 돌출 정도는 같을 수 있으나, 전치부, 일측 구치부, 및 타측 구치부 전체 치아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의 돌출 정도는 다를 수 있다. 치아 교정틀(100)을 장착할 경우, 하나 이상의 전치부 치아, 하나 이상의 일측 구치부 치아, 및 하나 이상의 타측 구치부 치아의 높낮이를 같게 맞출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전치부 치아, 하나 이상의 일측 구치부 치아, 및 하나 이상의 타측 구치부 치아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의 돌출 정도를 같게 맞출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2148778(2020.08.27)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2178836(2020.11.13)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1463424(2014.11.20)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1518709(2015.05.15)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2244439(2021.04.29)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1579455(2015.12.22)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1676584(2016.11.15)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2060882(2019.12.30)
본원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의 정보(x-ray, 치아 모델, 안면사진)를 이용하여 자동 분석 하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에 따른 최적의 치료방법 도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제1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환자정보를 획득하는 환자정보획득단계;
상기 환자정보획득단계에서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에서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범위판단단계로 이루어지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에서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치아 교정의 공간이 부족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
상기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공간부족여부에 따라 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교정장치선택판단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공간부족여부에 따라 공간이 여유가 있을 경우에는 투명교정장치로 교정이 가능한 진단방법을 가진다.
제2실시예로는 다음과 같다.
환자정보를 획득하는 환자정보획득단계;
상기 환자정보획득단계에서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골격 및 안면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골격 및 안면정보로부터
상기 골격 및 안면정보에서 문제가 있을 경우에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악전방이동여부를 판단하는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
상기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에 잇따라 또는 상기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와 별도로 하악전방이동여부 및 하악후방이동여부를 판단하는 하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를 통하여 교정장치를 선택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되,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하악전방이동이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고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고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한 경우에는 기능장치 교정 및 브라켓교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각각 이동이 불필요하고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하며,교정장치로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하악후방이동범위여부판단단계에 따라 수술교정 또는 투명교정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지 않고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능장치교정을 선택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3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환자정보를 획득하는 환자정보획득단계;
상기 환자정보획득단계에서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골격 및 안면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골격 및 안면정보판단단계;
상기 골격 및 안면정보판단단계에서 문제가 있을 경우에 상악후방이동 및 상악전방이동여부를 판단하는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
상기 골격 및 안면정보판단단계에서 문제가 없을 경우에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로 이루어진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에서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범위판단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에 잇따라 또는 상기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와 별도로 하악전방이동여부 및 하악후방이동여부를 판단하는 하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를 통하여 교정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되,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하악전방이동이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고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고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한 경우에는 기능장치 교정 및 브라켓교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하고 교정장치로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하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에 따라 수술교정 또는 투명교정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지 않고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능장치교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각각 이동이 불필요하고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하며,교정장치로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하악후방이동범위여부판단단계에 따라 수술교정 또는 투명교정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에서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치아 교정의 공간이 부족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
상기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공간부족여부에 따라 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교정장치선택판단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공간부족여부에 따라 공간이 여유가 있을 경우에는 투명교정장치로 교정이 가능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효과로는 환자의 정보(X-ray, 치아 모델, 안면사진)를 이용하여 자동 분석 하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에 따른 최적의 치료방법 도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1은 환자정보를 획득하여 구치교합개선이 필요할 때에 브라켓 교정 또는 투명교정장치를 해야 하는 것을 자동으로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도이다.
도2는 환자정보를 획득하여 골격 및 안면문제가 있을 경우에 브라켓교정, 기능장치 교정, 기능장치교정과 브라켓교정을 동시에 하는 경우 , 투명교정 및 수술교정을 판별하는 자동진단에 관한 방법도이다.
도3은 도1과 도2를 합하여 구치교합개선여부판단방법과 골격 및 안면문제여부판단방법에 관한 것을 통합하여 진단하도록 하는 진단방법에 관한 방법도이다.
도4 및 도5는 배경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본원발명은 투명교정 장치를 이용할 경우, 한계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투명교정장치와 아울러 브라켓 교정 ,기능장치 교정 및 수술교정 등의 최적 치료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자동진단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즉 환자에 맞은 최적의 치료 방법을 안전하고 빠르게 자동으로 분석 가능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먼저 환자의 정보(X-ray, 치아 모델, 안면사진)를 이용하여 안면통합자동진단 방법을 가지는 것이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에 따른 최적의 치료방법을 도출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X-ray로 치아를 촬영하고, 치아를 3차원으로 스캔하거나 치아모델을 만들고, 안면사진을 촬영하여 환자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모두는 빅데이터와 딥러닝을 기반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환자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최적의 치료방법을 도출하고 치료결과를 예측하여 치과에 제공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도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원발명은 X-ray로 치아를 촬영하고, 치아를 3차원으로 스캔하거나 치아모델을 만들고, 안면사진을 촬영하는 환자정보를 획득하는 환자정보획득단계(S10)를 가진다.
상기 환자정보획득단계(S10)에서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S20)를 가진다.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S20)에서는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범위판단단계(S30)로 이루어진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을 가진다.
본원발명의 도면1에서는 구치교합관계를 개선할 여지가 있을 경우에 2mm이상인지 2mm 보다 작은지를 환자정보로부터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이 구치교합관계개선범위판단단계(S30)이다. 범위를 2mm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수치의 범위는 일부조정될 여지가 있다.
빅데이터와 딥러닝을 기반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환자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최적의 치료방법을 도출하고 치료결과를 예측하여 치과에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임상적으로 치과현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2mm를 전후한 수치이다.
2mm이상일 경우에는 브라켓교정을 하는 것으로 진단을 하는 것이다.
2mm이하일 경우에는 이후에 설명될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S40)로 진입하여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 판단단계(S20)에서 구치교합개선이 필요할 경우에 개선의 수치가 2mm보다 작을 경우에도 치아교정공간이 부족한지의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또한 공간이 범위 내인지 여부에 따라 투명교정 및 브라켓교정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숙련의사 또는 미숙련의사에 따라 진단을 상이하게 하여 환자를 어렵게 하는 일들을 본원발명의 자동진단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S20)에서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치아 교정의 공간이 부족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S40)로 진행한다.
상기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S40)에서 판단한 공간부족여부에 따라 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교정장치선택판단단계(S5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도면1에서는 공간이 부족할 경우에 10mm이상인지 10mm 보다 작은지를 환자정보로부터 확인하는 과정으로 10mm 이상일 경우에는 브라켓교정으로 진단하는 것이다.
이 과정이 교정장치선택판단단계(S50)이다. 범위를 10mm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수치의 범위는 일부조정될여지가 있다.
10mm 보다 작을 경우에는 투명교정으로 진단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환자는 투명교정장치로 교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투명교정 또는 브라켓교정으로 교정을 할 경우에 치료결과를 예측하여 환자 또는 치과의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S40)에서 판단한 공간부족여부에 따라 공간이 여유가 있을 경우에는 투명교정으로 교정이 가능한 것이다.
환자에게는 투명교정장치를 제공하도록 투명교정장치를 제조하는 기공소에 환자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도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원발명은 X-ray로 치아를 촬영하고, 치아를 3차원으로 스캔하거나 치아모델을 만들고, 안면사진을 촬영하여 환자정보를 획득하는 환자정보획득단계(S100)를 가진다.
상기 환자정보획득단계(S100)에서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골격 및 안면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골격 및 안면정보로부터,
상기 골격 및 안면정보에서 문제가 있을 경우에 상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 (S300) 및 상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S320)를 판단하는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500)를 가진다.
상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 (S300)와 상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S320)를 판단하는 단계로 통합하여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500)로 칭한다.
상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300) 및 상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S320)는 순서는 변할 수 있다.
상기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500)에 잇따라 또는 상기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500)와 별도로 하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 (S400,S330,S420) 및 하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410,S340,S440)의 여부를 판단하는 하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600)를 통하여 교정장치를 선택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을 가진다.
하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 (S400,S330,S420) 및 하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 (S410,S340,S440)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총칭하여 하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 (S600)라 칭한다.
여기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300) 및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410)에서는 각각 이동이 필요하되, 하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S400)에서 이동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으로 진단하는 것이다.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 (S320) 및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 (S340)에서 각각 이동이 필요하고 상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 (S300) 하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 (S330)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도 수술교정으로 진단하는 것이다.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S320)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S330)에서 이동이 필요하고 상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 (S300)에서 이동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300)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S400)에서 각각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능장치 교정 및 브라켓교정으로 진단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300),상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S320),하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S420)에서는 각각 이동이 필요치 않고,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440)에서 이동이 필요하고, 교정장치로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하악후방이동범위여부판단단계(S450)에서 범위인지의 여부에 따라 수술교정 또는 투명교정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악후방이동범위여부판단단계(S450)에서 하악후방이동의 범위는 2mm이상인지 이하인지의 여부에 따라 구성하였다.
하악후방이동의 범위는 2mm를 전후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현재까지 임상적으로 판단여부의 최적치는 2mm가 경계인 것으로 경험칙상 나타난 수치이다.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좀더 최적의 수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S300)에서 이동이 필요하지 않고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S320) 에서 이동이 필요하지 않고 하악전방이동여부판단단계(S420)에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능장치교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3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원발명은 X-ray로 치아를 촬영하고, 치아를 3차원으로 스캔하거나 치아모델을 만들고, 안면사진을 촬영하여 환자정보를 획득하는 환자정보획득단계(S100)를 가진다.
상기 환자정보획득단계(S100)에서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골격 및 안면문제가 있는지를 여부를 확인하는 골격 및 안면정보판단단계(S200)를 가진다.
상기 골격 및 안면정보판단단계(S200)에서 문제가 없을 경우에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S20)를 가진다.
이후의 과정은 제1실시예에 관한 것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다.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S20)에서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범위판단단계(S30)로 이루어진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을 가진다.
본원발명의 도면1에서는 구치교합관계를 개선할 여지가 있을 경우에 2mm이상인지 2mm 보다 작은지를 환자정보로부터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이 구치교합관계개선범위판단단계(S30)이다. 범위를 2mm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수치의 범위는 일부조정될 여지가 있다.
빅데이터와 딥러닝을 기반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환자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최적의 치료방법을 도출하고 치료결과를 예측하여 치과에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임상적으로 치과현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2mm를 전후한 수치이다.
2mm이상일 경우에는 브라켓교정을 하는 것으로 진단을 하는 것이다.
2mm이하일 경우에는 이후에 설명될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S40)로 진입하여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 판단단계(S20)에서 구치교합개선이 필요할 경우에 개선의 수치가 2mm보다 작을 경우에도 치아교정공간이 부족한지의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또한 공간이 범위 내인지 여부에 따라 투명교정 및 브라켓교정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숙련의사 또는 미숙련의사에 따라 진단을 상이하게 하여 환자를 어렵게 하는 일들을 본원발명의 자동진단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S20)에서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치아 교정의 공간이 부족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S40)로 진행한다.
상기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S40)에서 판단한 공간부족여부에 따라 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교정장치선택판단단계(S5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도면1에서는 공간이 부족할 경우에 10mm이상인지 10mm 보다 작은지를 환자정보로부터 확인하는 과정으로 10mm 이상일 경우에는 브라켓교정으로 진단하는 것이다.
이 과정이 교정장치선택판단단계(S50)이다. 범위를 10mm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수치의 범위는 일부조정될여지가 있다.
10mm 보다 작을 경우에는 투명교정으로 진단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환자는 투명교정장치로 교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투명교정 또는 브라켓교정으로 교정을 할 경우에 치료결과를 예측하여 환자 또는 치과의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S40)에서 판단한 공간부족여부에 따라 공간이 여유가 있을 경우에는 투명교정으로 교정이 가능한 것이다.
환자에게는 투명교정장치를 제공하도록 투명교정장치를 제조하는 기공소에 환자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골격 및 안면정보판단단계(S200)에서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한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통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2)

  1. 환자정보를 획득하는 환자정보획득단계;
    상기 환자정보획득단계에서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에서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범위판단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에서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치아 교정의 공간이 부족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
    상기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공간부족여부에 따라 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교정장치선택판단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공간부족여부에 따라 공간이 여유가 있을 경우에는 투명교정장치로 교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4. 환자정보를 획득하는 환자정보획득단계;
    상기 환자정보획득단계에서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골격 및 안면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골격 및 안면정보로부터
    상기 골격 및 안면정보에서 문제가 있을 경우에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악전방이동여부를 판단하는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
    상기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에 잇따라 또는 상기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와 별도로 하악전방이동여부 및 하악후방이동여부를 판단하는 하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를 통하여 교정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되,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하악전방이동이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6. 제4항에서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고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고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한 경우에는 기능장치 교정 및 브라켓교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각각 이동이 불필요하고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하며,교정장치로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하악후방이동범위여부판단단계에 따라 수술교정 또는 투명교정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지 않고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능장치교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11. 환자정보를 획득하는 환자정보획득단계;
    상기 환자정보획득단계에서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골격 및 안면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골격 및 안면정보판단단계;
    상기 골격 및 안면정보판단단계에서 문제가 있을 경우에 상악후방이동 및 상악전방이동여부를 판단하는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
    상기 골격 및 안면정보판단단계에서 문제가 없을 경우에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에서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치교합관계개선범위판단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에 잇따라 또는 상기 상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와 별도로 하악전방이동여부 및 하악후방이동여부를 판단하는 하악전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를 통하여 교정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되,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하악전방이동이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15. 제13항에서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고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고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교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한 경우에는 기능장치 교정 및 브라켓교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하고 교정장치로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하악후방이동여부판단단계에 따라 수술교정 또는 투명교정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및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각각 필요하지 않고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능장치교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후방이동여부, 상기 상악전방이동여부, 상기 하악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각각 이동이 불필요하고 상기 하악후방이동여부의 단계에서 이동이 필요하며,교정장치로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하악후방이동범위여부판단단계에 따라 수술교정 또는 투명교정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방법.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치교합관계개선여부판단단계에서 구치교합관계의 개선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치아 교정의 공간이 부족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
    상기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공간부족여부에 따라 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는 교정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교정장치선택판단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22. 제21항에서 상기 공간부족여부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공간부족여부에 따라 공간이 여유가 있을 경우에는 투명교정장치로 교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KR1020220027027A 2022-03-02 2022-03-02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KR20230129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027A KR20230129859A (ko) 2022-03-02 2022-03-02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027A KR20230129859A (ko) 2022-03-02 2022-03-02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859A true KR20230129859A (ko) 2023-09-11

Family

ID=8802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027A KR20230129859A (ko) 2022-03-02 2022-03-02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9859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424B1 (ko) 2014-08-22 2014-11-20 홍경재 투명 교정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제조 방법
KR101518709B1 (ko) 2014-10-17 2015-05-15 홍경재 투명 교정 장치 제조 방법
KR101579455B1 (ko) 2014-09-30 2015-12-22 박숙규 투명교정장치
KR101676584B1 (ko) 2015-12-18 2016-11-15 이민정 투명교정시스템
KR102060882B1 (ko) 2018-03-23 2019-12-30 강혁권 투명 교정장치
KR102148778B1 (ko) 2020-05-07 2020-08-27 시스루테크 주식회사 포지셔너,투명교정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78836B1 (ko) 2018-05-09 2020-11-13 시스루테크 주식회사 교정치아모델의 회전중심점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투명교정장치 제조방법
KR102244439B1 (ko) 2020-12-10 2021-04-29 주식회사 그래피 교정력을 높인 투명 치아 교정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424B1 (ko) 2014-08-22 2014-11-20 홍경재 투명 교정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제조 방법
KR101579455B1 (ko) 2014-09-30 2015-12-22 박숙규 투명교정장치
KR101518709B1 (ko) 2014-10-17 2015-05-15 홍경재 투명 교정 장치 제조 방법
KR101676584B1 (ko) 2015-12-18 2016-11-15 이민정 투명교정시스템
KR102060882B1 (ko) 2018-03-23 2019-12-30 강혁권 투명 교정장치
KR102178836B1 (ko) 2018-05-09 2020-11-13 시스루테크 주식회사 교정치아모델의 회전중심점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투명교정장치 제조방법
KR102148778B1 (ko) 2020-05-07 2020-08-27 시스루테크 주식회사 포지셔너,투명교정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44439B1 (ko) 2020-12-10 2021-04-29 주식회사 그래피 교정력을 높인 투명 치아 교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31831B (zh) 生成牙科矫正器的方法
CN106137414B (zh) 确定目标牙列布局的方法和系统
EP2134290B1 (en) Computer-assisted creation of a custom tooth set-up using facial analysis
US7942672B2 (en) Gingiva modeling
Creed et al. A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linear measurements obtained from cone beam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s and digital models
US20210093421A1 (en) Dental aligners, procedures for aligning teeth, and automated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US11896452B2 (en) Method for virtual setup with mixed dentition
US20030224314A1 (en) Dental appliance having a duplicated tooth area and/or a predicted tooth area and a method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teeth of a patient
CN111261287B (zh) 一种种植方案设计方法及系统、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419380B1 (ko) 컴퓨터를 이용한 치열 교정기의 제조 방법
KR102320857B1 (ko)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EP3998985A1 (en) Virtual articulation in orthodontic and dental treatment planning
US20240090983A1 (en) Method for ensuring functional occlusion for customized orthodontic devices
CN112419476A (zh) 牙科病人三维虚拟图像的创建方法及系统
Bianchi et al. Three-dimensional digital applications for implant space planning in orthodontics: A narrative review
Zimmermann et al.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n dentistry
KR102347493B1 (ko) 치아 배열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Drafta et al. Diagnostic Wax-Up-an extremely important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dental office and the dental laboratory
Lim et al. Construction reproducibility of a composite tooth model composed of an intraoral-scanned crown and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scanned root
Somvasoontra et al. Associations among the anterior maxillary dental arch form, alveolar bone thickness, and the sagittal root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in relation to immediate implant placement: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EP3295894A1 (en) Improved method for capturing patient information to produce digital models and fabricate custom prosthetics
KR20230129859A (ko) 치과교정 자동진단 방법
US20190083207A1 (en) Method for Capturing Patient Information to Produce Digital Models and Fabricate Custom Prosthetic
KR102506836B1 (ko) 치아 배열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388411B1 (ko) 트레이 제조방법, 데이터 이전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