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111A - 전송 빔 특성들에 기초한 위치 추정 - Google Patents

전송 빔 특성들에 기초한 위치 추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111A
KR20230128111A KR1020237026542A KR20237026542A KR20230128111A KR 20230128111 A KR20230128111 A KR 20230128111A KR 1020237026542 A KR1020237026542 A KR 1020237026542A KR 20237026542 A KR20237026542 A KR 20237026542A KR 20230128111 A KR20230128111 A KR 20230128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identifier
location server
determining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수키 프리얀토
안더스 베그기리안
호세 플로델리스
유지에 장
요한 힐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28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1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74Multi-channe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irection-finding, i.e. having a single antenna system capable of giving simultaneous indications of the directions of different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44Accuracy or reliability of position solution or of measurements contributing theret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4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spaced direction-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예들은 액세스 노드(AN)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로부터 무선 채널 상으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기준 신호로부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식별자는 기준 신호의 전송 특성과 연관되는, 상기 식별자 결정 단계; 및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 및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위치 서버 노드(LN)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위치 서버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무선 통신 디바이스, 액세스 노드 및 위치 서버 노드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송 빔 특성들에 기초한 위치 추정
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 추정을 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때때로 사용자 장비; UE라고도 함)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사용 사례들을 제공한다. 주요 사용 사례는 무선 통신이다. 다른 사용 사례는 UE의 포지셔닝이다.
UE들의 포지셔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변측량 또는 다각측량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변측량의 예는 삼변측량이다. 여기서, 기준 좌표계에서 잘 규정된 위치를 갖는 다중 액세스 노드들(AN)은 포지셔닝 신호들(또한 포지셔닝 기준 신호들, PRS들이라고도 함)을 전송한다. UE는 PRS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다변측량 또는 다각측량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 특정 포지셔닝 기술은 관측된 도착 시차(OTDOA: observed time-difference of arrival)이다.
OTDOA는 특히, 롱텀 에볼루션(LTE) 4G 또는 새로운 무선 (NR: New Radio) 5G 프로토콜들과 같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된다. 여기서, UE는 AN들을 구현하는 다중 기지국들(BS들) 또는 전송/수신 포인트들(TRP들: Transmission/Reception Points)로부터 PRS들을 수신한 다음, 도착 시차(TDOA)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준 신호 시차(RSTD: 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보고의 형태인 TDOA 측정 결과들이 LTE 포지셔닝 프로토콜(LPP)을 사용하여 UE로부터 위치 서버 노드(LN)로 전송된다. 이는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LN은 TDOA 측정들의 적어도 2개 또는 적어도 3개의 결과들의 다변측량 및/또는 다각측량에 기초하여 포지셔닝 추정을 수행한다. 3GPP 기술 사양(TS) 38.305, V16.0.0(2018-03), 섹션 4.3.3을 참조한다.
많은 규제 및 상업적 사용 사례들에서는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UE)의 위치 추정을 획득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알려진 규제 및 상업적 사용 사례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위치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포지셔닝 측정을 수행하는 것은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들에 의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포지셔닝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들은 포지셔닝 신호들의 각각의 수신 특성들, 예를 들어 포지셔닝 기준 신호들의 각각의 도착각을 결정하고, 수신 특성들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LN에 전송할 수 있고, LN은 상이한 수신 특성들에 기초하여 UE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는 정확도와 신뢰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필요성은 독립항들의 주제로 다루어진다. 종속항들은 유리한 예들을 설명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예들은 액세스 노드(AN)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로부터 무선 채널 상으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기준 신호로부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식별자는 기준 신호의 전송 특성과 연관되는, 상기 식별자 결정 단계; 및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 및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위치 서버 노드(LN)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예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기준 신호를, 기준 신호의 식별자와 연관된 전송 특성을 사용하여 무선 채널 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전송된 기준 신호는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예들은 위치 서버 노드(LN)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들(AN들)로부터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 및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기준 신호의 식별자로부터 기준 신호 및 기준 신호와 연관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UE)의 전송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 및 전송 특성에 기초하여 UE의 위치 추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예들은 액세스 노드를 제공하며, AN은 AN으로 하여금: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로부터 무선 채널 상으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기준 신호로부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하는 단계로서, 식별자는 기준 신호의 전송 특성과 연관되는, 상기 식별자 결정 단계;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 및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위치 서버 노드(LN)에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예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UE)를 제공하며, UE는 UE로 하여금 기준 신호를 기준 신호의 식별자와 연관된 전송 특성을 사용하여 무선 채널 상으로 전송하는 단계로서, 전송된 기준 신호는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상기 전송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예들은 위치 서버 노드(LN)를 제공하며, LN은 LN으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들(AN들)로부터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 및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기준 신호의 식별자로부터 기준 신호 및 기준 신호와 연관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UE)의 전송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 및 전송 특성에 기초하여 UE의 위치 추정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특징과 아직 설명되지 않은 하기의 특징들은 나타낸 각각의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조합들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기준 신호의 도착각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제1 빔 특성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5는 제2 빔 특성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6은 제3 빔 특성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7은 상이한 출발각들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8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액세스 노드들 및 위치 서버 노드 사이의 시그널링을 도시한다.
일부 예들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회로들 또는 다른 전기 디바이스들을 제공한다. 회로들 및 다른 전기 디바이스들에 대한 모든 참조들 및 각각에 의해 제공된 기능이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된 것만 포함하는 것으로 제한되게 하려는 것이 아니다. 개시된 다양한 회로들 또는 다른 전기 디바이스들에 특정 라벨들이 할당될 수 있지만, 이러한 라벨들은 회로들 및 다른 전기 디바이스들에 대한 동작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회로들 및 다른 전기 디바이스들은 원하는 전기적 구현의 특정 유형에 기초하여 임의의 방식으로 서로 조합 및/또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회로 또는 다른 전기 디바이스에는 임의의 수의 마이크로컨트롤러들, 그래픽 프로세서 유닛(GPU), 집적 회로들,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FLASH,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또는 이들의 다른 적절한 변형들),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고 인식한다. 또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전기 디바이스들은 개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수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개시내용의 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예들의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취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한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가 이후에 설명되는 예들 또는 단지 예시하기 위해 취해진 도면들에 의해 제한되게 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면들은 개략적인 표현들로 간주되며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들은 반드시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다양한 요소들은 그들의 기능 및 일반적인 목적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지도록 표현된다. 기능 블록들, 디바이스들, 구성요소들, 또는 도면들에 도시되거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물리적 또는 기능적 유닛들 사이의 임의의 접속 또는 결합은 또한 간접 접속 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 사이의 결합은 무선 접속을 통해 확립될 수도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104) 및 무선 링크(150)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104)의 AN(120)에 접속된 UE(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UE(110)는 메모리 회로(161) 및 인터페이스 회로(181)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처리 회로(171)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171)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110)의 인터페이스 회로(181) 및 AN(120)의 인터페이스 회로(182)는 무선 링크(150) 상에서의 통신을 허용할 수 있다. AN(12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회로(182) 및 메모리 회로(162)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처리 회로(172)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182)는 LN(130)의 인터페이스 회로(183)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LN(130)의 처리 회로(173)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회로(183) 및 메모리 회로(163)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LN은 예를 들어 NRPPa(NR Positioning Protocol A) 프로토콜 및 LTE 포지셔닝 프로토콜(LPP)을 각각 사용하여 AN들 및/또는 UE와 통신할 수 있다. LN은 UE의 장소(또는 위치)를 결정/추정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의 구현과 관련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후술된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다중 셀들을 포함한다. 각 셀은 전체 커버리지 영역의 각 하위-영역에 대응한다. 다른 구현 예들은 전기 전자 기술 협회(IEEE) WLAN 네트워크, 멀티파이어(MulteFire)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포지셔닝 신호의 도착각(AoA: angle of arrival)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포지셔닝의 맥락에서 AoA는 수신된 기준 신호의 고도 및 방위각을 의미할 수 있다. AoA는 UE를 찾거나 도착 시차(TDOA) 위치 측정들을 개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업링크-기반 포지셔닝에서, AoA는 AN의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여 UE에 의해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들을 측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AN의 안테나 어레이(200)를 도시한다. 안테나 어레이(200)는 안테나 요소들(201, 202, 203, 204, 205, 206)을 포함한다. 안테나 어레이(200)는 기준 신호(271)(실선으로 도시됨)를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 요소들(201, 202, 203, 204, 205, 206)에서의 AoA에 따라, 그들은 상이한 시간에 기준 신호(271)를 수신할 수 있다. 시차(285, 284, 283, 282, 281)는 하나의 안테나 요소(206)에서의 신호 도착 시간을 다른 안테나 요소들(201, 202, 203, 204, 205)에서의 도착 시간으로부터 감산하여 계산된다. 안테나 요소들(201, 202, 203, 204, 205, 206) 사이의 알려진 거리와 조합하여, 시차는 기준 신호들(271)의 AoA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안테나 요소들(201, 202, 203, 204, 205, 206)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위상들을 갖는 신호는 도 3의 단계(301)에서 수신된다. 이러한 수신된 신호들은 그 후에 도 3의 단계(302)에서 처리되어 도 3의 단계(30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로부터 수신된 기준 신호의 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알고리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NR에서 각도 스펙트럼 추정들을 추정하기 위해 MUSIC(다중 신호 분류: 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및 다른 서브스페이스-기반 접근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다. AoA들은 도 3의 단계(304)에서 전력 각도 스펙트럼의 피크들을 발견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피크가 전력 각도 스펙트럼에서 검출될 수 있다. 이는 기준 신호의 다중 경로 전파 때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애플리케이션들에서 기준 신호는 벽, 창문 등에 의해 여러 번 반사될 수 있다. 조준선(LOS: line of sight)에 대응하는 실제 AoA는 최대 우도 알고리즘(maximum likelihood algorithm)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력 각도 스펙트럼은 도 3의 단계(305)에서 획득된다.
예들에서,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은 기준 신호의 제1 경로의 계수 측정을 포함한다. 기준 신호의 제1 경로의 계수 측정은 제1 경로를 통해 수신된 기준 신호의 특성을 하나 이상의 다른 경로들을 통해 수신된 기준 신호의 특성에 대한 하나 이상의 측정들과 비교하는 측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수신 특성의 일례는 제1 경로 평균 비율(FPAR: First Path Average Ratio)이라고도 할 수 있다. FPAR은 전력 지연 프로파일(PDP: Power Delay Profile)의 제1 경로의 양과 PDP의 평균 사이의 비율이다.
기준 신호의 제1 경로의 계수 측정은 AoA 측정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PDP는 수신된 기준 신호와 전송된 기준 신호의 복제(replica) 사이의 상호-상관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보고된 FPAR은 정규화된 값(예를 들어, 1로 정규화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들에서,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은 AoA의 통계적 특성을 포함한다. 단계(304)에서의 계산은 다중 AoA들에 대응하는 다중 피크들을 생성할 수 있다. 통계적 특성은 다중 AoA 값들의 표준 편차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수신 특성은 업링크 도착각(UL-AoA) 및/또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UE(410, 510, 610)로부터 AN(420, 520, 620)으로 기준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 빔들과 UE(410, 510, 610)로부터 기준 신호들(471, 571, 671)을 수신하기 위해 AN(420, 520, 620)에 의해 사용되는 수신 빔들(472, 572, 672)의 상이한 예들을 도시한다. 빔들은 상이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빔(471)은 빔(571)보다 넓고 빔(671)은 단 하나의 로브 대신에 두 개의 로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빔 특성들에 대한 지식은 UE(410, 510, 610)의 더 양호한 위치 추정을 결정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7은 상이한 AN을 목표로 하는 상이한 출발각들을 갖는 기준 신호들(771, 772, 773)을 전송하는 UE(710)를 도시한다. AN들(731, 732, 733)은 특정 도착각들을 갖는 기준 신호들(771, 772, 773)을 수신할 수 있다. 다중-경로 전파(위 참조)로 인해, 기준 신호들(771, 772, 773)의 출발각들은 AN(731, 732, 733)에 의해 결정된 각각의 도착각들과 상이할 수 있다. LN이 특정 기준 신호의 실제 출발각을 인식하게 하면, LN이 UE(710)의 위치의 더 양호한 위치 추정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710)로부터 서빙 AN(731)으로의 전송 빔의 공간적 방향에 대하여 출발각들(A0D1 및 A0D2)이 규정될 수 있다. 그러나, 출발각들은 UE의 좌표계에 대해 또는 전역 좌표계에 대해 규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는 중력의 방향 및/또는 자북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센서들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방향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준 신호의 출발각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UE(810)의 개선된 위치 추정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예를 도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UE(810)는 UE(810)의 능력들을 나타내는 메시지(84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메시지(840)는 UE(810)가 기준 신호의 식별자와 연관된 전송 특성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전송된 기준 신호는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전송 특성은 전송 빔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UE(810)는 AN(821)을 통해 LN(830)에 메시지(840)를 제공할 수 있다. AN(821)은 현재 UE(810)를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서빙 AN(821)으로 간주될 수 있다.
LN(830)은 서빙 AN(821)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841)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빙 AN(821)은 위치 추정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기준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UE(810)에 의해 사용될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 UE(810)는 각각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을 나타내는 신호(842)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빙 AN(821)은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구성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843)를 LN(830)에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AN(821)은 UE(810)가 기준 신호(871)를 전송하도록 트리거하는 신호(844)를 UE(810)에 전송할 수 있고, LN(830)은 AN들(821, 822, 823)이 기준 신호(871)의 수신 특성을 결정하도록 트리거하는 메시지들(881, 882, 883)을 AN들(821, 822, 823)에 제공할 수 있다.
AN들(821, 822, 823) 각각은 UE(810)로부터 무선 채널 상으로 기준 신호(871)를 수신한다. AN들(821, 822, 823) 각각은 기준 신호(871)의 수신 특성을 결정한다. 기준 신호(871)의 수신 특성을 결정하는 것은 또한 기준 신호(871)에 대한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AN들(821, 822, 823)은 기준 신호(871)로부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결정한다. 예들에서, 식별자는 기준 신호(871)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식별자는 기준 신호의 데이터 페이로드로서 운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리소스 요소들이 기준 신호(871)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예들에서, 기준 신호(871)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리소스 요소들은 기준 신호(871)의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AN들(821, 822, 823)은 그 후 기준 신호(871)의 수신 특성 및 기준 신호(871)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들(891, 892, 893)을 LN(830)에 제공할 수 있다. LN(830)은 기준 신호의 식별자 및 기준 신호(871)와 연관된 UE(810)로부터 기준 신호(871)의 전송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LN(830)은 어떤 UE가 기준 신호(871)를 전송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LN(830)은 기준 신호(871)의 수신 특성 및 전송 특성에 기초하여 UE(810)의 위치 추정을 결정할 수 있다. 전송 특성의 추가적인 사용은 위치 추정의 정확도 및/또는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LN(830)은 위치 추정의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준 신호(871)의 전송 특성 및 상이한 AN들(821, 822, 823)에 의해 결정된 수신 특성들은 UE(810)의 방향을 포함하는 위치 추정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준 신호(871)의 전송 특성은 기준 신호(871)를 전송하기 위한 공간 필터; 기준 신호(871)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빔의 빔 폭 정보, 특히 반 전력 빔 폭(HPBW)에 대한 정보; 기준 신호(871)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 패턴; 및 빔 포밍 코드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또한 UE(810)의 개선된 위치 추정을 결정하는 방법의 추가 예를 도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기준 신호의 전송 특성을 사용하는 것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기준 신호의 출발각을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다. UE(810)는 UE(810)의 능력들을 나타내는 메시지(84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메시지(840)는 UE(810)가 기준 신호의 식별자와 연관된 출발각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전송된 기준 신호는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UE(810)는 AN(821)을 통해 LN(830)에 메시지(840)를 제공할 수 있다. AN(821)은 현재 UE(810)를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서빙 AN(821)으로 간주될 수 있다.
LN(830)은 서빙 AN(821)에 포지셔닝 정보 요청(841)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빙 AN(821)은 위치 추정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기준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UE(810)에 의해 사용될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 UE(810)는 각각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을 나타내는 신호(842)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빙 AN(821)은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구성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843)를 LN(830)에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AN(821)은 UE(810)가 기준 신호(871)를 전송하도록 트리거하는 신호(844)를 UE(810)에 전송할 수 있고, LN(830)은 AN들(821, 822, 823)이 기준 신호(871)의 수신 특성을 결정하도록 트리거하는 메시지들(881, 882, 883)을 AN들(821, 822, 823)에 제공할 수 있다.
AN들(821, 822, 823) 각각은 UE(810)로부터 무선 채널 상으로 기준 신호(871)를 수신한다. AN들(821, 822, 823) 각각은 기준 신호(871)의 수신 특성을 결정한다. 기준 신호(871)의 수신 특성을 결정하는 것은 또한 기준 신호(871)에 대한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AN들(821, 822, 823)은 기준 신호(871)로부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결정한다. 예들에서, 식별자는 기준 신호(871)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표시자는 기준 신호의 데이터 페이로드로서 운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리소스 요소들이 기준 신호(871)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예들에서, 기준 신호(871)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리소스 요소들은 기준 신호(871)의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그 후, AN들(821, 822, 823)은 기준 신호(871)의 수신 특성 및 기준 신호(871)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들(891, 892, 893)을 LN(83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들에서, AN들(821, 822, 823)은 기준 신호(871)의 수신 특성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의 추정 출발각을 결정할 수 있다. LN(830)은 기준 신호(871)의 식별자 및 기준 신호(871)와 연관된 UE(810)로부터 기준 신호(871)의 AoD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LN(830)은 어떤 UE가 기준 신호(871)를 전송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에, LN(830)은 AN들(821, 822, 823)에 의해 결정된 기준 신호(871)의 수신 특성 및 추정된 AoD 및/또는 기준 신호의 식별자로부터 결정된 AoD에 기초하여 UE(810)의 위치 추정을 결정할 수 있다. 기준 신호(871)의 AoD 및/또는 추정된 AoD의 추가적인 사용은 위치 추정의 정확도 및/또는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LN(830)은 또한 위치 추정의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위치 추정은 또한 전역 기준 시스템에 대한 UE(810)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추정을 결정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들의 양태들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전송 특성 및 AoD(또는 추정된 AoD) 모두 위치 추정을 결정하기 위해 LN(83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위치 추정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메시지들(891, 892, 893)은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측정의 물리적 셀 ID(PCI), 그룹 셀 ID(GCI) 및 송수신 포인트 ID(TRP ID), UL 도착각(방위각 및 고도), UL SRS-RSRP, 측정의 타임 스탬프 및 각 측정에 대한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L 도착각(UL AoA)은 3GPP TR 38.215-v16.2에서 제안된 기준 방향에 대한 UE의 추정 방위각으로 규정될 수 있다. 기준 방향은 전역 좌표계(GCS: global coordinate system)에서 규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정 방위각은 지리적 북쪽에 대해 측정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양의 값이며 추정된 수직각은 천정에 대해 측정되고 수평 방향에 대해 양의 값이다. 예들에서, 기준 방향들은 또한 로컬 좌표계(LCS: local coordinate system)에서 규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정 방위각은 LCS의 x-축에 대해 측정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양의 값이며 추정된 수직각은 LCS의 z-축에 대해 측정되고 x-y-평면 방향에 대해 양의 값이다. LCS의 베어링, 다운틸트 및 경사각들은 3GPP TS 38.901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 UL AoA는 특정 UE에 대응하는 UL 채널에 대한 AN의 안테나 어레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AN이 기준 신호들의 수신, 특히 SRS 수신을 위해 수신 빔을 배열할 때 수신 빔 방향 불확실성들이 있을 수 있다. 레거시 표준들은 0.1도의 도착각 입도를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3GPP TS 38.455 참조). 수신 빔 방향의 오류들 및/또는 불확실성들은 AoA 정확도에 영향을 미쳐 포지셔닝 추정 정확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다중 경로 환경에서, 기준 신호는 직접 경로(조준선, LOS)에서의 UE로부터 수신되지 않고 신호의 반사/굴절로 인해 다른 방향들(비조준선, NLOS)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은 더 높은 정확도, 정밀도 및 신뢰도로 위치 추정을 획득하기 위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한다.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UE 전송 빔은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위치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LN에서 형상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제안된 수정에는 다음 조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AN으로부터 LN으로의 측정 보고는 기준 신호의 전송 특성과 연관된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보고에 SRS 리소스 ID가 추가될 수 있다. 표시자는 연관된 기존의 UL-SRS RSRP의 SRS 리소스 ID에 대응할 수 있다. 다중 UL-SRS RSRP 및 연관된 SRS 리소스 ID가 보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N에서 측정된 최상의 UL-SRS RSRP의 수 N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측정 보고는 SRS 전송 시 UE의 추정 AoD를 포함할 수 있다. SRS 리소스 ID는 LN에 의해 UL SRS의 빔 ID의 표시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N은 UE가 다중 AN들에 도달하기 위해 동일한 전송 빔을 사용하는지 또는 상이한 전송 빔을 사용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UE가 기준 신호(예를 들어, SRS)를 전송할 때, UE는 전송 빔의 특성들 및/또는 특징들도 송신할 수 있다. 이 정보는 LP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별도의 채널 전송에서 서빙 AN을 통해 LN에 송신될 수 있다. 빔 특징들/특성들은 빔 폭 정보(즉, 반 전력 빔폭(HPBW)), 빔 패턴, 빔포밍 코드북, 빔 스티어링 각(beam steering angle)을 포함할 수 있다. AN들에 대한 선택된 빔들의 상대적인 출발각(AoD)이 또한 전송될 수 있다. AoD에 대한 기준 방향은 서빙 AN에 대한 전송 빔일 수 있다. UE가 기준 방향을 식별할 수 있는 나침반 및/또는 추가 센서들(예를 들어, 관성 측정 장치(IMU), 자력계, 기압계)이 UE에 장착된 경우, UE는 각 빔의 각도 방향(방위각, 고도)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전송 빔 특성들은 미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UE는 미리-구성된 빔 특성들을 갖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 UE가 기준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전송 빔 특성을 반드시 전달할 필요는 없다. UE는 기준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가능한 전송 빔들의 전송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LN 및/또는 서빙 AN에 미리 송신할 수 있다. 서빙 AN/LN이 기준 신호들의 전송을 트리거할 때, 서빙 AN/LN은 또한 UE에 의해 어떤 전송 빔 구성이 사용될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위치 또는 로컬라이제이션 정확도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 AoD를 사용하여 UL-AoA 포지셔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빔 스위핑 또는 다중 빔들을 AN들로 향할 수 있게 하는 전송을 적용한다. 일부 UE Tx 빔 정보(예를 들어, 빔 패턴)는 AN에 의한 UL-AoD 추정을 위해 LN에 선택적으로 보고되거나 UL-AoA 결정을 개선하기 위해 LN에서 내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LN이 이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 LN은 Tx 빔 폭을 계산하여 AoD 측정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Tx 빔의 사이드 로브 효과가 억제되거나 완화될 수 있다.
AoD 정보는 LN에 의한 로컬라이제이션 알고리즘들을 적용함으로써 UE의 위치 추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AoD 정보는 단독으로 또는 TDOA 및 AoA와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AN이 LN에 다중 AoA들을 제공하는 경우, AoD 또는 UE 빔 관련 정보는 기준 신호의 NLOS 구성요소들로부터 도출된 부정확할 수 있는 AoA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3GPP Rel-16에는 규제 및 상업적 사용 사례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위치 기술들이 명시되어 있다. Rel-17 NR 포지셔닝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들 및 업계 수직들(industry verticals)로 인해 발생하는 더 높은 정확도의 위치 요건들을 해결한다. 다음의 예시적인 성능 목표들을 충족하기 위한 개선사항들 및 솔루션들이 조사되어 명시된다. 일반적인 상업적 사용 사례들(예를 들어, TS 22.261)에 대해: 서브-미터 수준의 위치 정확도(< 1m)가 예상되고 IIoT 사용 사례들(예를 들어, 22.804)에 대해 0.2m 미만의 위치 정확도가 예측된다. 목표 지연시간 요건은 < 100ms이다; 일부 IIoT 사용 사례들에 대해, 10ms 정도의 지연시간이 바람직하다.
NR(새로운 무선) 포지셔닝 아키텍처의 액세스 & 이동성 기능(AMF: Access & Mobility Function)은 UE와 연관된 위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AMF는 3GPP 5G 프로토콜에 규정된 바와 같이 진화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re)에 대한 접속을 갖는 위치 관리 기능(LMF)에 위치 서비스 요청을 송신한다. E-SMLC 또는 위치 서버 노드(LN)는 NR/E-UTRAN(3GPP 5G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 진화된 UMTS 지상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액세스 정보를 갖는다. 예를 들어, LN은 UE에서 포지셔닝 측정을 트리거할 수 있다. DL-TDoA(다운링크 - 도착 시차) 또는 DL-AoD(다운링크 - 출발각)를 사용하는 경우, UE는 AN로부터, 특히 gNB(들)에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들(PRS)에 기초하여 포지셔닝 측정들을 수행한다. PRS들은 통상적으로 다중 gNB들로부터 주기적으로 동시에 전송된다. UE는 기준 신호 시간차(RSTD) 측정들 및/또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측정들을 수행한다. UE는 gNB들 중 하나를 통해 포지셔닝 측정 보고를 다시 E-SMLC에 전송한다. E-SMLC는 수신된 포지셔닝 측정에 기초하여 포지셔닝 추정을 계산한다. 이 간단한 예시로부터, 단-대-단 지연시간이 코어 네트워크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서 많은 신호 경로들을 관련시킬 수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이 특정한 양호한 예들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하면 당업자에게 등가물들 및 수정물들이 일어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모든 등가물들 및 수정물들을 포함하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요약하면, 적어도 다음의 예들이 상술되었으며, 여기서 예들에 명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예들의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 괄호 안에 놓인 이러한 특징들과 관련된 참조 부호들이 뒤따른다. 이러한 참조 부호들은 예들의 공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예 1. 액세스 노드, AN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로부터 무선 채널 상으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로부터 상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 특성과 연관되는, 상기 식별자 결정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위치 서버 노드, LN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 AN 동작 방법.
예 2. 예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은 상기 기준 신호의 추정 도착각을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 AN 동작 방법.
예 3. 예1 또는 예2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은 상기 기준 신호의 제1 경로의 계수 측정을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 AN 동작 방법.
예 4. 예1 내지 예3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은 상기 기준 신호의 추정 도착각의 통계적 특성을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 AN 동작 방법.
예 5.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 기준 신호를, 상기 기준 신호의 식별자와 연관된 전송 특성을 사용하여 무선 채널 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된 기준 신호는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를 나타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동작 방법.
예 6. 예5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식별자를 운반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동작 방법.
예 7. 예5 또는 예6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요소들은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를 나타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동작 방법.
예 8. 예5 내지 예7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위치 서버 노드, LN으로부터 또는 서빙 AN으로부터 상기 식별자와 연관된 전송 특성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동작 방법.
예 9. 예5 내지 예8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식별자와 연관된 상기 전송 특성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위치 서버 노드, LN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동작 방법.
예 10. 위치 서버 노드, LN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들 AN들로부터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기준 신호 및 상기 기준 신호와 연관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의 전송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 및 상기 전송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UE의 위치 추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서버, LN 노드 동작 방법.
예 11. 예10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은 상기 UE의 방향(orientation)을 포함하는, 위치 서버, LN 노드 동작 방법.
예 12. 예10 또는 예1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위치 추정의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서버, LN 노드 동작 방법.
예 13. 예10 내지 예12 중 어느 한 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전송 특성은:
-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공간 필터,
- 빔 폭 정보, 특히 반 전력 빔 폭 HPBW(half power beam width)
- 빔 패턴,
- 빔 포밍 코드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서버, LN 노드 동작 방법.
예 14. 액세스 노드, AN에 있어서:
상기 AN으로 하여금
-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로부터 무선 채널 상으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로부터 상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 특성과 연관되는, 상기 식별자 결정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위치 서버 노드, LN에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 AN.
예 15. 액세스 노드, AN, 특히 예14에 의한 AN에 있어서,
제어 회로 또는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AN으로 하여금 예1 내지 예4 중 어느 한 예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액세스 노드, AN.
예 16.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에 있어서:
상기 UE로 하여금:
- 기준 신호를 상기 기준 신호의 식별자와 연관된 전송 특성을 사용하여 무선 채널 상으로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전송된 기준 신호는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를 나타내는, 상기 전송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예 17.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특히 예16에 의한 UE에 있어서,
제어 회로 또는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UE로 하여금 예5 내지 예9 중 어느 한 예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예 18. 위치 서버 노드, LN에 있어서:
상기 LN으로 하여금
-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들, AN들로부터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기준 신호 및 상기 기준 신호와 연관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의 전송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 및 상기 전송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UE의 위치 추정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위치 서버 노드, LN.
예 19. 위치 서버 노드, LN, 특히 예18에 의한 LN에 있어서,
제어 회로 또는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LN으로 하여금 예10 내지 예13 중 어느 한 예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위치 서버 노드, LN.

Claims (19)

  1. 액세스 노드, AN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로부터 무선 채널 상으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reception property)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로부터 상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 특성과 연관되는, 상기 식별자 결정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위치 서버 노드, LN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 AN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은 상기 기준 신호의 추정 도착각(estimated angle of arrival)을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 AN 동작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은 상기 기준 신호의 제1 경로의 계수 측정을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 AN 동작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은 상기 기준 신호의 추정 도착각의 통계적 특성을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 AN 동작 방법.
  5.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 기준 신호를, 상기 기준 신호의 식별자와 연관된 전송 특성을 사용하여 무선 채널 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된 기준 신호는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를 나타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식별자를 운반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동작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요소들은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를 나타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동작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위치 서버 노드, LN으로부터 또는 서빙 AN으로부터 상기 식별자와 연관된 상기 전송 특성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동작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식별자와 연관된 상기 전송 특성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위치 서버 노드, LN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동작 방법.
  10. 위치 서버 노드, LN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들 AN들로부터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기준 신호 및 상기 기준 신호와 연관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의 전송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 및 상기 전송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UE의 위치 추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서버, LN 노드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은 상기 UE의 방향(orientation)을 포함하는, 위치 서버, LN 노드 동작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위치 추정의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서버, LN 노드 동작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전송 특성은:
    -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공간 필터,
    - 빔 폭 정보,
    - 빔 패턴,
    - 빔 포밍 코드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서버, LN 노드 동작 방법.
  14. 액세스 노드, AN에 있어서:
    상기 AN으로 하여금
    -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로부터 무선 채널 상으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 상기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로부터 상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하는 단계로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 특성과 연관되는, 상기 식별자 결정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위치 서버 노드, LN에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 AN.
  15. 액세스 노드, AN, 특히, 제14항에 의한 AN에 있어서,
    제어 회로 또는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AN으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액세스 노드, AN.
  16.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에 있어서:
    상기 UE로 하여금:
    - 기준 신호를 상기 기준 신호의 식별자와 연관된 전송 특성을 사용하여 무선 채널 상으로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전송된 기준 신호는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를 나타내는, 상기 전송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17.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특히, 제16항에 의한 UE에 있어서,
    제어 회로 또는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UE로 하여금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
  18. 위치 서버 노드, LN에 있어서:
    상기 LN으로 하여금
    -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들, AN들로부터 기준 신호의 수신 특성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기준 신호 및 상기 기준 신호와 연관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UE의 전송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수신 특성 및 상기 전송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UE의 위치 추정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위치 서버 노드, LN.
  19. 위치 서버 노드, LN, 특히, 제18항에 의한 LN에 있어서,
    제어 회로 또는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LN으로 하여금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위치 서버 노드, LN.
KR1020237026542A 2021-01-15 2022-01-11 전송 빔 특성들에 기초한 위치 추정 KR202301281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2150032-7 2021-01-15
SE2150032 2021-01-15
PCT/EP2022/050416 WO2022152684A1 (en) 2021-01-15 2022-01-11 Position estimate based on transmission beam proper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111A true KR20230128111A (ko) 2023-09-01

Family

ID=8012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542A KR20230128111A (ko) 2021-01-15 2022-01-11 전송 빔 특성들에 기초한 위치 추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64694A1 (ko)
EP (1) EP4278203A1 (ko)
KR (1) KR20230128111A (ko)
CN (1) CN116710796A (ko)
WO (1) WO20221526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1997B (zh) * 2018-10-12 2021-08-0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到达时间差定位方法及其装置
WO2020164710A1 (en) * 2019-02-14 2020-08-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Ra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positioning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64694A1 (en) 2024-02-22
CN116710796A (zh) 2023-09-05
EP4278203A1 (en) 2023-11-22
WO2022152684A1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8510B2 (en) Network positioning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US9467803B2 (en) Detecting multipath and determining positioning measurement uncertainty
US11051267B2 (en) Channel latency determining method, position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EP2773156B1 (en) User equipment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server
US20220271818A1 (en) Non-Line-of-Sight Path Detection for User Equipment Positioning in Wireless Networks
US10101434B2 (en) Positioning method, control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2014023527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of terminal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7306421B (zh) 一种定位方法及装置
US10356741B2 (en) Fingerprint positioning for mobile terminals
TW202241184A (zh) 用於定位的錨使用者設備選擇
US20240064694A1 (en) Position estimate based on transmission beam properties
US20240061065A1 (en) Position estimate based on angle of departure
US20230408706A1 (en) Method for positioning in a non-terrestrial communications network
US20220022182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estimate ue position
US20230292278A1 (en) System and method of positioning of a target node in side-link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75718A1 (en) Allocation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positioning data
US20230232365A1 (en) Methods, apparatuses, system and product for positioning deter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