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919A -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m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m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919A
KR20230127919A KR1020230024683A KR20230024683A KR20230127919A KR 20230127919 A KR20230127919 A KR 20230127919A KR 1020230024683 A KR1020230024683 A KR 1020230024683A KR 20230024683 A KR20230024683 A KR 20230024683A KR 20230127919 A KR20230127919 A KR 20230127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electronic device
human interface
complex human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은형
Original Assignee
(주)모키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키보 filed Critical (주)모키보
Publication of KR20230127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9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터치 입력 영역의 일부에 대응되는 제1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 때,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외부 영역 -이 때, 상기 외부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임-, 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a first touch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 part of a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and a user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touch input area.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acquired touch input when a touch input for is obtained - in this case, based on the acquired touch input whe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When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but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 in this case, the outer area is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but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ing pointer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may be provided.

Description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M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complex human interfa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TV, 빔 프로젝터 등의 전자 기기와 연결되어 텍스트 정보 또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상기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laptop, tablet PC, mobile phone, TV, beam projector, etc. to transmit text information or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to the computer, etc. It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n interface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TV, 빔 프로젝터 등의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는 등의 동작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laptops, tablet PCs, mobile phones, TVs, and beam projectors have at least one interface for operations such as generating at least one data, storing at least one data, and executing at least one command. needs to be provided.

컴퓨터의 경우 키보드와 같은 텍스트 입력 장치가 인터페이스로 구비되거나,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기기가 인터페이스로 구비될 수 있으며, 컴퓨터와 연결된 키보드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컴퓨터와 연결된 마우스로부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나 포인터 실행 명령 등을 획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computer, a text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may be provided as an interface, or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may be provided as an interface. You can obtain execution commands and the like.

또한, 태블릿 피씨나 휴대폰의 경우 터치 센서가 인터페이스로 구비되어, 구비된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대한 이동/변경 정보나, 적어도 하나의 기능 실행 명령 또는 버추얼 키보드를 통한 텍스트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ablet PC or mobile phone, a touch sensor is provided as an interface to obtain movement/change information on a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provided touch interface, at least one function execution command, or text information through a virtual keyboard. can

다만,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TV, 빔 프로젝터 등의 전자 기기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인터페이스들이 구비될 수 있다.However, interfaces f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laptops, tablet PCs, mobile phones, TVs, and beam projector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various interface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키 입력 센서 및 터치 입력 센서가 통합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 which a key input sensor and a touch input sensor are integrated.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키 입력 센서 및 터치 입력 센서가 통합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ing an electrode layer in which a key input sensor and a touch input sensor are integr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피가 감소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with reduced volume.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하기 위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for enhanc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이 상술한 과제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을 포함함-, 복수개의 탄성 유닛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은 제1 탄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 유닛은 제1 전도성 물질을 포함함-,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 유닛은 상기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탄성 유닛의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탄성 유닛의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wherein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 a first key cap,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wherein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include a first elastic unit, and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include a first elastic unit. 1 elastic unit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aterial, and includes an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 wherein the first elastic unit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key cap, and The hard layer includes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nd a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nd the first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type electrode and the first type electrode are included in the first type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included in the type 2 electrode is disposed to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first keycap,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to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of the first elastic unit,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in which one electrode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of the first elastic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과 관련된 제1 내지 제4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ing a first key cap- and an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the electrode The layer includes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nd a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first type electrode associated with the first key cap. to fourth holes, and the first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type electrode is located in a first region defined by the first to fourth holes.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 및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2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하고,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제1 라인, 상기 제1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5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3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6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3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일렉트로드인 제7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 a first key cap, a second key cap adjacent to the first key c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first key cap. 1 including a third key cap adjacent to the key c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bu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key c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nd a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first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second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In order to generate the key input signal and the touch input signal, the first type lines function as either a transmitter or a receiver, the second type lines function as the other of a transmitter or a receiver, and the second type lines function as one of a transmitter or a receiver. The type lines include a first line, a second line adjacent to the first lin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 third line adjacent to the second lin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 first electrode that is a second type electrode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key cap, and a second electrode that is the first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line is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A third electrode of the second type included in the second line is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and a fourth electrode of the first type included in the second line is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type electrode. The fifth electrode, which is the first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line and overlapped with the key cap, is arranged to overlap the third key cap and included in the third line. The sixth electrode, which is the third electrode, is disposed to overlap the third key cap, and the seventh electrode, which is the first electrode included in the third line, is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A device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하고,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제1 라인, 상기 제1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제4 라인, 상기 제4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5 라인 및 상기 제4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6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라인, 상기 제2 라인 및 상기 제3 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라인은 복수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라인 및 상기 제6 라인은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and an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nd a second-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first-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keyboard layout. and second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width direction, in order to generate the key input signal and the touch input signal, the first type lines function as either a transmitter or a receiver, and the first type lines function as either a transmitter or a receiver. The two type lines function as either a transmitter or a receiver, and the second type lines include a first line, a second line adjacent to the first line and the keyboard lay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line and the keyboard lay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djacent third line, wherein the first type lines include a fourth line, a fifth line adjacent to the fourth line in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 sixth line adjacent to the fourth line in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Including, wherein the first line, the second line, and the third line include at least one second-type electrode, the fourth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type electrodes, The fifth line and the sixth line may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that does not include the second type electro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및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1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 상기 제1 키 캡의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1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일렉트로드, 상기 제2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키 캡의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2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4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3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wherein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 a first key cap and a second key cap adjacent to the first key c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first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first key cap. , a second electrode for generating a first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to a part of the first key cap, and a second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second key cap. and a fourth electrode for generating a second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to a part of the second key cap,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compris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are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key cap, and the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electrode bu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n which the third electrode is not connected and the thir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but not to the first electrode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및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 일렉트로드,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2 일렉트로드,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4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wherein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 a first key cap and a second key cap adjacent to the first key c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nd a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Including,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s a first type electrode overlapping the first keycap, a first type electrode overlapping the first keycap, a second type electrode overlapping the first keycap, and 2 A third electrode of a first type overlapping the key cap and a fourth electrode of the second type overlapping the second key cap,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ourth electrode include: Provided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ourth electrode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can b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제2 키 캡, 제3 키 캡 및 제4 키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키 캡 및 상기 제2 키 캡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며, 상기 제3 키 캡과 상기 제4 키 캡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 상기 제2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일렉트로드, 상기 제3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3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4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4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미리 설정된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응되고,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 입력 영역, 상기 미리 설정된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고, 터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 영역 및 상기 키 입력 영역 및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이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합 기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키 캡 및 상기 제2 키 캡은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키 캡 및 상기 제4 키 캡은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되,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 a first key cap, a second key cap, a third key cap, and a fourth key cap, The key cap and the second key cap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third key cap and the fourth key cap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 and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The electrode layer comprises a first electrode for generating a first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to the first keycap, and a user's input to the second keycap. A second electrode for generating a second key input signal, a third electrode for generating a third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to the third keycap and a user's input to the fourth keycap A fourth electrode for generating a fourth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corresponds to a preset keyboard layout and a key input area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 a touch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preset keyboard layout and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nd a complex function area disposed in an area where the key input area and the touch input area overlap, wherein the first The key cap and the second key cap are arranged to be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the third key cap and the fourth key cap are arranged not to be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and the first electrode is arranged to be included in the second key cap.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n which the third electrode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but the thir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electrod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터치 입력 영역의 일부에 대응되는 제1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 때,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외부 영역 -이 때, 상기 외부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임-, 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음.-를 포함하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더라도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ing a touch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provided with a touch input operating in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a first touch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area is activated; and when a touch input for the touch input area is obtained from a user,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acquired touch input. In this case, whe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touch input obtained, but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an external area. , The external area is an area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but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 when included in ,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 but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When the touch start point of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even if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end point or touch path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 which is generated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olutions, and solution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You will be able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키 입력 센서 및 터치 입력 센서가 통합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n which a key input sensor and a touch input sensor are integrated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키 입력 센서 및 터치 입력 센서가 통합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ing an electrode layer in which a key input sensor and a touch input sensor are integrated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피가 감소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a reduced volum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강화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with enhanced user convenien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효과들이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락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 및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 및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 및 도 32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전원 모드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diagram of a keyboard layout for describ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layers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de layer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n electrode layer to describe an electrode layer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a protrusion of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n electrode 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o describe an electrode layer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describe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osite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describe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osite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de layer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n operation of an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n operation of an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utilization scenario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2 and 23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 user's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24 to 28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9 and 30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nvironment of an application driven in the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1 and 32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pplications driven in the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 power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d in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clearly expla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istribu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he scope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precedents,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However, in the case where a specific term is defined and used in an arbitrary meaning,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not the simple name of the term.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awings accompanying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s necessary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When an element or layer described herein is referred to as “on” o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is not just directly above the other element or layer, but also another layer in the middle. Alternatively, all cases involving other components may be included.

본 명세서에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낼 수 있다.Like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may in principle indicate like elements.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 기호로서 이해될 수 있다.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is specification may be understood as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에 따라 이용되거나 혼용 되는 것으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은 갖는 것이 아닐 수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r mixed according to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may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in themselve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necessa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을 포함함-, 복수개의 탄성 유닛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은 제1 탄성 유닛을 포함함, 복수개의 전도성 물질 -상기 복수개의 전도성 물질은 제1 전도성 물질을 포함함-,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 유닛은 상기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ing a first key cap -,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including a first elastic unit,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a conductive material, wherei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materials include a first conductive material; and an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 wherein the first elastic unit corresponds to the first key cap.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nd a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nd the first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type electrode An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type electrode are disposed to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first keycap, and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to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and the first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disposed such that the electrode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할 수 있다.Here,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first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second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wherein the To generate the key input signal and the touch input signal, the first type lines may function as either a transmitter or a receiver, and the second type lines may function as the other of a transmitter or a receiver.

여기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에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type lines.

여기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에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type lines.

여기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 또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의 라인에 포함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 또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 중 다른 하나의 타입의 라인에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lectrode is included in any one of the first type lines and the second type lines, and the second electrode is included in one of the first type lines and the second type lines. It can be included in another type of line.

여기서,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4 일렉트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electrode layer further includes a third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type electrode and a fourth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type electrode, and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are the first type electrode. The fourth electrode may be disposed to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first key cap, the fourth electrode may be disposed to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and the third electrode may be disposed not to overlap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여기서,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ourth electrod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include a protrusion.

여기서,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상기 제4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s a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protrusion of the fourth electrode may have the same shape.

여기서,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상기 제4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의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s a protrusion, and the shape of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protrusion of the fourth electrode may be different.

여기서,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의 돌출부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s a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protrusion of the fourth electrode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여기서, 상기 제2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이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이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Here, a size of an area where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overlap may be the same as a size of an area where the protrusion of the fourth electrode and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overlap.

여기서,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키 캡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may be disposed to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keycap.

여기서,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키 캡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may be formed to be included in the first key cap.

여기서,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키 캡의 이동에 의한 상기 제1 탄성 유닛의 변형에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may be arranged to move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elastic unit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keycap.

여기서,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탄성 유닛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may be formed to be included in the first elastic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과 관련된 제1 내지 제4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ing a first key cap- and an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the electrode The layer includes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nd a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first type electrode associated with the first key cap. to fourth holes, and the first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type electrode is located in a first region defined by the first to fourth holes. there is.

여기서,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홀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며, 상기 제3홀은 상기 제1 홀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4 홀은 상기 제3 홀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2홀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hole is adjacent to the first hol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the third hole is adjacent to the first ho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fourth hole is adjacent to the third hole. It is adjacen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but may be adjacent to the second hole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여기서,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2 홀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5 홀 및 상기 제4 홀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6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홀, 상기 제4 홀, 상기 제5 홀 및 상기 제6 홀에 의해 정의되는 제2 영역 내에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Here, the electrode layer further includes a fifth hole adjacent to the second hole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 sixth hole adjacent to the fourth hole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wherein the second hole and the first hole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not be included in the second region defined by the 4 holes, the fifth hole, and the sixth hole.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키 캡의 일부 및 상기 제2 키 캡의 일부와 오버랩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key caps further include second key caps adjacent to the first key ca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second region is a part of the first key cap and a part of the second key cap. may overlap with

여기서,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2 일렉트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electrod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typ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located in the first region defined by the first to fourth holes. .

여기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가 트랜스미터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리시버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Here, when the first electrode functions as a part of the transmitter, the second electrode may function as a part of the receiver.

여기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lectrode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the second electrode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하부 플레이트 및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는 제1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은 상기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제1 내지 제4 결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결속 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키보드 메커니즘에 결착될 수 있다.Her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further includes a lower plate and a keyboard mechanism layer, wherein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includes a first keyboard mechanism unit, and the first keyboard mechanism unit is attached to the first key cap. The lower plate may include first to fourth binding members, and the first to fourth binding members may be coupled to the first keyboard mechanism through the first to fourth hole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 및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2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하고,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제1 라인, 상기 제1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5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3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6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3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일렉트로드인 제7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 a first key cap, a second key cap adjacent to the first key c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first key cap. 1 including a third key cap adjacent to the key c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bu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key c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nd a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first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second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In order to generate the key input signal and the touch input signal, the first type lines function as either a transmitter or a receiver, the second type lines function as the other of a transmitter or a receiver, and the second type lines function as one of a transmitter or a receiver. The type lines include a first line, a second line adjacent to the first lin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 third line adjacent to the second lin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 first electrode that is a second type electrode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key cap, and a second electrode that is the first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line is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A third electrode of the second type included in the second line is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and a fourth electrode of the first type included in the second line is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type electrode. The fifth electrode, which is the first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line and overlapped with the key cap, is arranged to overlap the third key cap and included in the third line. The sixth electrode, which is the third electrode, is disposed to overlap the third key cap, and the seventh electrode, which is the first electrode included in the third line, is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A device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7 일렉트로드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5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6 일렉트로드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ourth electrode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The third electrode and the seventh electrod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fifth electrode and the sixth electrod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하고,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제1 라인, 상기 제1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제4 라인, 상기 제4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5 라인 및 상기 제4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6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라인, 상기 제2 라인 및 상기 제3 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라인은 복수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라인 및 상기 제6 라인은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and an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nd a second-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first-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keyboard layout. and second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a width direction, in order to generate the key input signal and the touch input signal, the first type lines function as either a transmitter or a receiver, and the first type lines function as either a transmitter or a receiver. The two type lines function as either a transmitter or a receiver, and the second type lines include a first line, a second line adjacent to the first line and the keyboard lay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line and the keyboard lay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djacent third line, wherein the first type lines include a fourth line, a fifth line adjacent to the fourth line in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 sixth line adjacent to the fourth line in a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Including, wherein the first line, the second line, and the third line include at least one second-type electrode, the fourth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type electrodes, The fifth line and the sixth line may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that does not include the second type electro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및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1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 상기 제1 키 캡의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1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일렉트로드, 상기 제2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키 캡의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2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4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3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wherein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 a first key cap and a second key cap adjacent to the first key c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first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first key cap. , a second electrode for generating a first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to a part of the first key cap, and a second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second key cap. and a fourth electrode for generating a second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to a part of the second key cap,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compris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are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key cap, and the first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electrode bu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n which the third electrode is not connected and the thir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but not to the first electrode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및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 일렉트로드,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2 일렉트로드,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4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wherein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 a first key cap and a second key cap adjacent to the first key c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n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nd a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Including,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s a first type electrode overlapping the first keycap, a first type electrode overlapping the first keycap, a second type electrode overlapping the first keycap, and 2 A third electrode of a first type overlapping the key cap and a fourth electrode of the second type overlapping the second key cap,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ourth electrode include: Provided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ourth electrode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can b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제2 키 캡, 제3 키 캡 및 제4 키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키 캡 및 상기 제2 키 캡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며, 상기 제3 키 캡과 상기 제4 키 캡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 상기 제2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일렉트로드, 상기 제3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3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4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4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미리 설정된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응되고,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 입력 영역, 상기 미리 설정된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고, 터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 영역 및 상기 키 입력 영역 및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이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합 기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키 캡 및 상기 제2 키 캡은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키 캡 및 상기 제4 키 캡은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되,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key caps -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 a first key cap, a second key cap, a third key cap, and a fourth key cap, The key cap and the second key cap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third key cap and the fourth key cap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 and a key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 Electrode Layer for Generating-The electrode layer comprises a first electrode for generating a first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to the first keycap, and a user's input to the second keycap. A second electrode for generating a second key input signal, a third electrode for generating a third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to the third keycap and a user's input to the fourth keycap A fourth electrode for generating a fourth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corresponds to a preset keyboard layout and a key input area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 a touch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preset keyboard layout and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nd a complex function area disposed in an area where the key input area and the touch input area overlap, wherein the first The key cap and the second key cap are arranged to be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the third key cap and the fourth key cap are arranged not to be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and the first electrode is arranged to be included in the second key cap.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n which the third electrode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but the third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electrod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터치 입력 영역의 일부에 대응되는 제1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 때,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외부 영역 -이 때, 상기 외부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임-, 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음.-를 포함하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더라도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ing a touch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a keyboard layout,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provided with a touch input operating in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a first touch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area is activated; and when a touch input for the touch input area is obtained from a user,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acquired touch input. In this case, whe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touch input obtained, but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an external area. , The external area is an area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but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 when included in ,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 but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When the touch start point of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even if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end point or touch path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 which is generated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왼쪽 또는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center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may be located to the left or right of the center of the touch input area.

여기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복수개의 키 캡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Her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key caps, and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may be a touch input for the plurality of key caps.

여기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을 구현하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에서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Her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n electrode layer for implementing the touch input area, and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used to generate a touch input signal in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ode layer. can be an input.

여기서, 상기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과 상이한 제2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method may include a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a second touch input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in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when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is obtained from a user. operating as; may further include.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Here, at least a part of the preset area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여기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Here, a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to the center of the preset area may be different from a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touch input area to the center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여기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시키되,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외부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Here,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of the touch input for the preset area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of the touch input for the obtained preset area is included in the external area,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maintained as the first operation mode.

여기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복수개의 키 캡을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 중 G 키에 대응되는 키 캡 또는 H 키에 대응되는 키 캡 중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될 수 있다.Her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key caps, and the preset area is at least one of a key cap corresponding to the G key or a key cap corresponding to the H key among the plurality of key caps. It may overlap the key cap at least partially.

여기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과 동일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touch input area may be the same as the touch input area.

여기서,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획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제1 동작 모드로 동작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n the operating method, if a touch input is not obtained from a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whil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performs the first operation. Operating in the mode; may further include.

여기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터치 시작점이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Here,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a touch input including a touch start point included in the external area is obtained from the user, based o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the pointer location is related. information can be created.

여기서, 상기 터치 경로는 상기 터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터치 종료점 까지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경로일 수 있다.Here, the touch path may be a path of a user's touch input from the touch start point to the touch end point.

여기서, 상기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과 상이한 제2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n the operating method, when a touch input acquired from a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 second touch input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for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operating in a second operating mode; may further include.

여기서, 상기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외부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도더라도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Here, in the operating method, when the touch start point of the touch input acquir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external area, even if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end point or touch path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preset area, the complex An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human interface may not be changed.

여기서, 상기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anging an operating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from the second operating mode to the first operating mode when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there is.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시간과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획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related to time, 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a touch input is not obtained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the complex human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interface may be changed from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여기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복수개의 키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키 입력과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제2 동작 모드가 해제 될 수 있다.Her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keycaps,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related to key input, and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performs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is obtained, the second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released.

여기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포함되는 제2 키 캡에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는 제2 동작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Here, when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is obtained whil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operates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The operating mode of the device may be maintained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여기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획득되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키 입력 동작 모드로 변경된 후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키 입력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Here, whil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operates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is obtained, and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When a touch input is obtained from the user after the operation mode of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changed to the key input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from the key input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there is.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터치 입력과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개수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related to a touch input, and whil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 touch input for a preset number of touch points is obtained from a user. In this case,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from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입력은 4 개의 터치점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Here, the touch input for the preset number of touch points may be a touch input for four touch points.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터치 입력과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특정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related to a touch input, and when a touch input for a specific area is obtained from a user whil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operates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n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from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여기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4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Here, when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touch inputs for four touch points on the specific region are obtained from the user,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operates. The mode may be changed from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전원 모드 관련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전원이 OFF 된 후 다시 전원이 ON 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 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power mode related condition, and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whil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then the power is turned on again,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may be operat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터치 시작점이 포함되며,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이 획득된 후 상기 외부 영역 내에 터치 시작점이 포함되는 추가적인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추가적인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Here, after a touch input in which a touch start point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a touch end point or at least a part of a touch path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is obtained from the user, an additional touch input in which the touch start point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When is obtained, pointer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additional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으나, 터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when the touch input acquir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external area, th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but at least one function related to the touch can be performed.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며, 기 설정된 제스쳐와 관련된 터치 입력인 경우, 기 설정된 제스쳐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Here, whe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external area and is a touch input related to a preset gesture, a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t gesture may be performed.

여기서, 기 설정된 제스쳐와 관련된 기능은 스크롤, 확대, 화면 스와핑 등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t gesture may include at least one function among functions such as scrolling, enlarging, and screen swapping.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된 후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경로가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과 상이한 제2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다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Here,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the touch path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a second touch different from the first touch input area When an input area is activated and at least a part of a touch path of a touch input obtained from a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ga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may be activated.

여기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제2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 조절 관련 정보를 생성하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고,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외부 영역내에 포함되고,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 조절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Her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 second touch input area, and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of the touch input acquir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property value adjustment related information of the property to be adjusted. However, if the touch start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end point or a touch path is included 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 When the touch start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and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end point or the touch path is included 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property value adjustment related information of the property to be adjusted may be generated. there is.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는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TV, 빔 프로젝터 등의 전자 기기와 연결되어 텍스트 정보 또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상기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The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laptops, tablet PCs, mobile phones, TVs, and beam projectors, and mean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text information or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can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키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키 스트로크(Keystroke)가 가능한 물리적 구성을 제공하되, 상기 키 스트로크가 가능한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고 빠른 인터페이스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와 관련된 것이다.In particular,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ysical configuration capable of keystroke so that the user can more accurately and conveniently input a key, but touches within an area where the keystroke is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that enables a user to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switch interfaces by enabling inpu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락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다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는 복수개의 키 캡(1010),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 터치 입력 센서(1030), 키 입력 센서(1040) 및 컨트롤러(10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electronic device 1000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key caps 1010,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1020, a touch input sensor 1030, a key input sensor ( 1040) and a controller 1050.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은 통상적으로 키보드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 또는 키 커버로 이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understood as a plurality of key caps or key covers typically included in a keyboard.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도 제공될 수 있고, 일부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되 일부가 상이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shapes, some of which are provided in the same shape, but some are of different shapes. can be provided a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은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1 키 캡과 제2 키 캡은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 first key cap and a second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은 사용자의 누름 입력에 따라 구분되어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to be separated and moved according to a user's press input.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1 키 캡과 제2 키 캡은 사용자의 누름 입력에 따라 구분되어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 first key cap and a second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to be moved separately according to a user's press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Elastic unit)(1020)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A plurality of elastic units 10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restoring force to the plurality of key cap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이 사용자의 누름 입력에 따라 이동된 후 다시 원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0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is moved according to a user's pressing input and then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It may be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restoring force for each.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은 탄성력을 가지는 물질 또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0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material or shape having elasticity.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은 러버덤(Rubber dome), 스프링(Spring)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물질 또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0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material or shape having elasticity such as a rubber dome or a sp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each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0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에 포함되는 제1 탄성 유닛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 (1010)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에 포함되는 제2 탄성 유닛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2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elastic unit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0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elastic unit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0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 각각이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각각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과 적어도 일부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aning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0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means that they are arranged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It may mean, and it may mean that it is arranged to contact at least a part directly or indirectly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센서(103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여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The touch input sensor 10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touch input signal by obtain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이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근접함에 따른 입력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uch input from the user may mean the user's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art of the user's body approaches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It can be understood as meaning including input according to.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신호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the touch input signal may refer to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센서(1030)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감압식 터치 패널,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광학 방식 터치 패널, 초음파 방식 터치 패널 등의 다양한 터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ouch input sensor 10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ouch interfaces such as a resistive touch panel, a resistive touch panel, a capacitive touch panel, an optical touch panel, and an ultrasonic touch panel. Not limited to thi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센서(1030)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 되는 영역에 터치 영역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touch input sensor 10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form a touch area in an area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센서(1030)가 정전용량방식 터치 패널을 구현하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는 영역에 터치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touch input sensor 10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electrode layer for implementing a capacitive touch panel, the touch area is at least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The electrode layer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meaning that the electrode layer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means that the electrode layer is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센서(1040)는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획득하여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The key input sensor 10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key input signal by obtaining a key input from a user.

이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대한 누름(Push) 입력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 지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입력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ey input from the user may refer to a push input for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key input signals for generating key input signals corresponding to pre-specified positions may be used. It can be understood as meaning including input.

또한, 상기 키 입력 신호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the key input signal may refer to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센서(1040)는 스위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key input sensor 10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a switch method.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센서(1040)는 복수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각각의 위상 변동에 따라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key input sensor 10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es and generate a corresponding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phase chan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에 포함되는 제1 스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에 포함되는 제2 스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2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 first switch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witches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a first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and a second switch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witches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a first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I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key cap included in the key cap 10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각각이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각각의 위상이 변동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과 적어도 일 시점 직/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meaning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means that the phas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It may refer to being disposed to directly/indirectl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f the key caps 1010 at least at one point in ti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센서(1040)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key input sensor 10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a capacitive manner.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센서(1040)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각각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key input sensor 10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ccording to the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It may be implemented to generate a corresponding key input signal based on an electrical sig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020 in order to amplify the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keycaps 10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n't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 및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3 일렉트로드 및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2 키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and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he third electrode and the fourth electrode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key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caps 101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정전 용량이 변화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과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meaning that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means that the capacitanc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It may mea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1010 and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overlap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 및 상기 키 입력 센서(1040)는 통합적인 레이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 및 상기 키 입력 센서(1040)가 통합적인 레이어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전체적인 부피가 감소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하락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ouch input sensor 1030 and the key input sensor 1040 may be provided as an integrated layer, and the touch input sensor 1030 and the key input sensor 1040 are integrated. When provided as an integral layer, the overall volum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can be reduced,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이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로부터 획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a touch input signal obtained from the touch input sensor 1030 .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로부터 획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좌표값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at least one coordinate value based on a touch input signal obtained from the touch input sensor 10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로부터 획득되는 터치 입력 신호의 좌표 값을 기초로 포인터 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pointer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a coordinate value of a touch input signal obtained from the touch input sensor 10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로부터 획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실행 명령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pointer execution command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a touch input signal obtained from the touch input sensor 1030 .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로부터 획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마우스 좌클릭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eft click of a mouse based on a touch input signal obtained from the touch input sensor 10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로부터 획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마우스 우클릭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right click of a mouse based on a touch input signal obtained from the touch input sensor 10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을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at least one key value based on a key input signal obtained from the key input sensor 1040 .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키 코드 값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at least one key code value based on a key input signal obtained from the key input sensor 10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코드 값은 통상의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키 코드 값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key code value may be key code values corresponding to a typical keyboard layo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실행 명령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pointer execution command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a key input signal obtained from the key input sensor 1040 .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마우스 좌클릭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eft mouse click based on a key input signal obtained from the key input sensor 10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 중 기 설정된 키 입력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마우스 좌클릭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eft mouse click based on a key input signal obtained from a preset key input sensor among the key input sensors 1040. , but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마우스 우클릭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right click of a mouse based on a key input signal obtained from the key input sensor 10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 중 기 설정된 키 입력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마우스 우클릭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the controll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right-click of a mouse based on a key input signal obtained from a preset key input sensor among the key input sensors 1040. Not limited to this.

또한,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전원 관련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050 may determine a power-related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모드를 전원 off 모드, 대기 모드, 활성화 모드 등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050 may determine the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s a power-off mode, a standby mode, an activation mode, and the like.

이 때, 상기 전원 off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무시되거나 인식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in the power off mode, a user's key input or a user's touch input may be ignored or not recogniz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대기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모드가 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in the standby mode, when a user's key input or a user's touch input is acquired, the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switched to an active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활성화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키 값 또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in the activation mode, at least one key value or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or user's touch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동작 관련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050 may determine an operation related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동작 모드를 키 입력 모드 또는 터치 입력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050 ma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s a key input mode or a touch input mode.

이 때, 상기 키 입력 모드 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키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in the key input mode, at least one key value may be generated based on a key inpu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터치 입력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터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in the touch input mod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a touch inpu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터치 영역과 관련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050 may determine a mode related to the touch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모드를 키보드 레이아웃의 제1 영역을 터치 영역으로 하는 제1 모드 또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제2 영역을 터치 영역으로 하는 제2 모드로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050 sets the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to a first mode in which the first area of the keyboard layout is a touch area or the second area of the keyboard layout is a touch area.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제1 모드는 오른손 모드 상기 제2 모드는 왼손 모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first mode may mean a right-handed mode and the second mode may mean a left-handed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1 모드가 오른손 모드, 상기 제2 모드가 왼손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상기 제2 영역 보다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mode is set to the right hand mode and the second mode is set to the left hand mode, the first area of the keyboard layout may be located to the right of the second area of the keyboard layo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또한,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연결과 관련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050 may determine a mode related to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모드를 제1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모드,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제2 연결 모드 및 제3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제3 연결 모드로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050 sets the mode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to a first connection mode connected to a first electronic device, a second connection mode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connection mode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nic device. 3 may be determined as a third connection mode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연결 모드에 따라 다른 설정 값을 로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50 may load different setting value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연결 모드가 제1 연결 모드인 경우 제1 설정 값을 로딩하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연결 모드가 제2 연결 모드인 경우 제2 설정 값을 로딩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연결 모드가 제3 연결 모드인 경우 제3 설정 값을 로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050 loads a first set value when the connec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the first connection mode, and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 When the connection mode of 1000) is the second connection mode, a second setting value may be loaded, and when the connec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a third connection mode, a third setting value may be load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설정 값은 키 입력 센서와 키 코드 값에 대한 매칭 값,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OS 관련된 설정 값, 터치 감도 값, 포인터 위치 이동 감도 값,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설정 값, 터치 영역에 대한 설정 값 등 다양한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setting value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 a matching value for a key input sensor and a key code value, a setting value related to the OS of the connected electronic device, a touch sensitivity value, and a pointer position movement sensitivity value. , a setting value related to an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 setting value for a touch area, etc.,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또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연결된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 memory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data,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data to the connected electronic device. can include mor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of a keyboard layout for describ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키 입력 영역(1110) 및 터치 입력 영역(11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n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key input area 1110 and a touch input area 1120 .

이 때, 상기 키 입력 영역(1110)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key input area 1110 may be an area for generating at least one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은 사용자가 제1 키 캡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키 입력 센서로부터 키 입력 신호가 발생되며, 사용자가 제2 키 캡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2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키 입력 센서로부터 키 입력 신호가 발생되는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key input area 1110, when a user presses a first key cap, a key input signal is generated from a key input sens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key cap, and when the user presses a second key cap, a key input signal is generated. may be an area where a key input signal is generated from a key input sensor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key cap,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 캡에 대한 누름(Push) 입력, 압력(Pressure)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키 입력으로 이해될 수 있는 다양한 입력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key input may include a push input, a pressure input, and the like for at least one key cap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but is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concepts of various input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as key inputs.

또한, 상기 키 입력 영역(1110)에서 발생된 상기 키 입력 신호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다.Also, the key input signal generated in the key input area 1110 may be processed by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는 상기 키 입력 영역(1110)에서 발생된 상기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키 값(Key value)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generates at least one key value based on the key input signal generated in the key input area 1110.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는 상기 키 입력 영역(1110)에서 발생된 상기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실행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generates at least one pointer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based on the key input signal generated in the key input area 1110.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값(Key value)은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키 코드(Key code)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키 코드(Key code)에 대응되는 텍스트 값, 기능 값 등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키 값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key value may mean a key code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and a text value, function value, etc. corresponding to the key code. It may me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th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as key values.

또한, 이 때, 상기 키 코드(Key code)는 사용자의 키 입력, 사용자의 키 입력으로부터 발생되는 키 입력 신호, 텍스트 값 또는 기능 값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되는 값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키 코드로 이해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the key code may mean a value used to identify a user's key input, a key input signal generated from the user's key input, a text value, or a function valu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what would normally be understood as a key code.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신호(Touch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Also, the touch input area 1120 may be an area for generating at least one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사용자가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 포함되는 제1 영역을 터치한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터치 입력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되며, 사용자가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 포함되는 제2 영역을 터치한 경우,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터치 입력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되는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touch input area 1120, when a user touches a first area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1120, a touch input signal is generated from a touch input sensor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rea.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second area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1120, it may be an area where a touch input signal is generated from a touch input sensor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또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user's touch input may include various inputs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from a touch input senso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키 캡에 대한 터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user's touch input may include a touch to a key cap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서 발생된 상기 터치 입력 신호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다.Also, the touch input signal generated in the touch input area 1120 may be processed by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서 발생된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generat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touch input signal generated in the touch input area 1120, bu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서 발생된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실행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generates at least one pointer execution command information based on the touch input signal generated in the touch input area 1120.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 및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적어도 일부 오버랩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2 , the key input area 1110 and the touch input area 1120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의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의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key input area 11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keyboard layout of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nd the touch input area 1120 is provid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part of the keyboard layout of the electronic device 1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상기 키 입력 영역(1110) 내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touch input area 1120 may be formed to be included in the key input area 1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상기 키 입력 영역(1110)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되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touch input area 1120 may be formed to at least partially overlap with the key input area 1110 but not to overlap at least partial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과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ey input area 1110 and the touch input area 1120 may have the same siz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과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ey input area 1110 and the touch input area 1120 may have different siz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과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이 오버랩되는 영역은 복합 기능 영역(Multi-functional region)으로 정의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region where the key input region 1110 and the touch input region 1120 overlap may be defined as a multi-functional region.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 내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과 대응되는 영역이 복합 기능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when the touch input area 1120 is formed to be included in the key input area 1110,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area 1120 is defined as a complex function area.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영역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되,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Also, the complex func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n area for generating at least one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and generating at least one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이 때,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키 입력 신호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터치 입력 신호 등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above contents may be applied to a key inpu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and a touch inpu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을 포함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2 , an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130 .

이 때,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실행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13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t least one pointer execution command.

또한, 이 때,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은 마우스 좌클릭 또는 우클릭에 대응되는 실행명령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may include one of execution commands corresponding to a left-click or a right-click of a mou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의 키보드 레이아웃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be included in the keyboard layout of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의 2개의 스페이스바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located between two space bars of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상기 키 입력 영역(1110)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be included in the key input area 1110 .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상술한 키 입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에 포함되는 키 입력 센서는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는 상기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실행 명령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key input sensor, and the key input sensor included in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130 may include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130. ), and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generates at least one pointer execution command based on the key input signal.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touch input area 1120 as shown in FIG. 2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the pointer execution command unit 1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sposed inside the touch input area 1120 differently from that shown in FIG. 2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및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을 포함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2 , the touch input area 1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touch input area 1121 and a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

이 때,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에 대하여는 상술한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 대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of the touch input area 1120 may be applied to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and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은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and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may be set to overlap at least partially.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은 J 키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은 G 키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설정되어, G키캡의 일부, J키캡의 일부 및 H키캡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과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이 오버립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is set to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J keycap, and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is set to overlap the G keycap at least in part. ,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and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may be set to overlap in regions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G keycap, a part of the J keycap, and a H keyca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은 오버랩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and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may be set not to overlap.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은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보다 왼쪽 영역으로 설정되되 H 키캡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보다 오른쪽 영역으로 설정되되 H키캡의 다른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unlike shown in FIG. 2 ,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is set to the left area of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but is set to overlap a part of the H keycap, and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1 is set to overlap with a part of the H keycap. The touch input area 1122 may be set to an area to the right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but overlap with another part of the H keycap,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동작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operated such that different touch input regions are activ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이 때,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것의 의미는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 된다고 이해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aning of the touch input area being activated may mean that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touch input signal for the activated touch input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ypically the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It can include concepts that are understood to be.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이 활성화되는 제1 동작 모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이 활성화되는 제2 동작 모드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이 활성화되는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touch input area 1120 is activated, and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is activated. A second operation mode and a thir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second touch input region 1122 is activated may be operated.

이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서 발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operation mode may be a mode for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a touch input signal generated in the touch input area 112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user's touch input to the touch input area 1120 is obtain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a touch input signal is generated, and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touch input signal.

예를 들어,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 내에 터치 시작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first operation mode,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is located within the touch input area 1120,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generat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u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또한,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에서 발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Also, the second operation mode may be a mode for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a touch input signal generat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user's touch input to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is obtain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 touch input signal is generated, and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 may generat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touch input signal.

예를 들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내에 터치 시작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is located with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generat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Not limited to thi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외부의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user's touch input to a touch input area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is obtain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 may not generat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내에 터치 시작점이 위치하는 경우 터치 종료점까지의 터치 경로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외부의 터치 입력 영역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더라도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the touch start point is located with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the touch path to the touch end point is a touch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1121. Even when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input area,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generat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3 동작 모드는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에서 발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Also, the third operation mode may be a mode for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a touch input signal generated 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user's touch input to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is obtained in the third operation mode, a touch input signal is generated, and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 may generat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touch input signal.

예를 들어,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 내에 터치 시작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third operation mode,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is located with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generat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Not limited to thi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 외부의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user's touch input to a touch input area outside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is obtained in the third operation mode,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 may not generat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 내에 터치 시작점이 위치하는 경우 터치 종료점까지의 터치 경로가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 외부의 터치 입력 영역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더라도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third operation mode, when the touch start point is located with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the touch path to the touch end point is a touch outside the second touch input area 1122. Even when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input area,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generat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모드는 왼손 모드에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모드는 오른손 모드에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mode may correspond to a left-handed mode, and the third mode may correspond to a right-handed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모드에 따라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touch input area activ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may be designated by a user.

예를 들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사용자의 커스텀 동작 모드인 제4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동작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include a fourth operation mode, which is a user's custom operation mode, and a touch input area activated in the fourth operation mode may be set by the user.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제4 동작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은 사용자의 제스쳐, 모션, 터치 입력 등에 의해 설정되거나,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설정 값을 획득하여 설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uch input area activated in the fourth operation mode may be set by a user's gesture, motion, or touch input, or may be set by obtaining a user's setting value from the outside.

이하에서는 상술한 대로 키 입력 센서와 터치 입력 센서가 통합적인 레이어로 제공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as described above,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 which a key input sensor and a touch input sensor are provided as an integrated lay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layers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200)는 키 캡 레이어(1210), 키보드 메커니즘(Keyboard mechanism) 레이어(1220), 탄성 유닛 레이어(1230),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 및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n electronic device 1200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key cap layer 1210, a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an elastic unit layer 1230, and an electrode. At least one of the layer 1240 and the lower plate layer 1250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210)는 복수개의 키 캡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key cap layer 1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 caps.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key caps,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2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들은 사용자와 컨택하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200)의 최상단의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d in the key cap layer 1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fer to an uppermost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2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that contacts a u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2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들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Also, a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d in the key cap layer 1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obtain at least one input from the user.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2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 들은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 텍스트 입력, 누름(Push) 입력, 압력(Pressure)입력, 하강 입력, 터치 입력, 슬라이딩 입력 등을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d in the key cap layer 1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key input, text input, push input, pressure input, descending input, touch input, and sliding from the user. An input or the like may be acquir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2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들의 표면에는 대응되는 문자가 프린팅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Corresponding characters may be printed on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keycaps included in the keycap layer 1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는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board mechanism units.

이 때,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들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 각각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keyboard mechanism units included in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to guide the movem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는 복수개의 시저 메커니즘(Scissor mechanism)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cissor mechanism units.

이 때, 상기 시저 메커니즘 유닛은 2개의 지지 유닛이 X자로 교차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지지 유닛이 대응되는 키 캡의 서로 다른 부분에 결착되어 상기 대응되는 키 캡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투-파트 어셈블리(Two-part assembly)로 제공되는 메커니즘 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시저 메커니즘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issor mechanism unit is formed by crossing two support units in the shape of an X, and each support unit is attached to a different part of the corresponding key cap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key cap. It may refer to a mechanism unit provided as a (Two-part assemb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the concept of a scissor mechanism commonly understoo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는 복수개의 버터플라이 메커니즘(Butterfly mechanism)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erfly mechanism units.

이 때, 상기 버터플라이 메커니즘 유닛은 1개의 지지 유닛의 양단이 대응되는 키 캡의 서로 다른 부분에 결착되고, 양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변형되어 상기 대응되는 키 캡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싱글 파트 어셈블리(Single-part assembly)로 제공되는 메커니즘 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버터플라이 메커니즘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both ends of one support unit are bound to different parts of the corresponding keycap, and the butterfly mechanism unit is deformed around a hinge located between both end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keycap. It may refer to a mechanism unit provided as a single-part assemb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commonly understood concept of a butterfly mechanism.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는 상술한 예시들 외에 대응되는 키 캡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다양한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various keyboard mechanism units for guiding movement of corresponding key caps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유닛 레이어(1230)는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astic unit layer 1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 유닛 레이어(123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 각각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included in the elastic unit layer 1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in order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 또는 터치 입력 신호(Touch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ectrode layer 1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or a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layer 1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a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and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이 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사용자의 키 입력은 상기 키 캡 레이어(1210)를 통해 획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을 통해 상술한 터치 입력 또는 키 입력에 대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들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user's touch input or the user's key input may be obtained through the keycap layer 12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bove-described touch input or key input through FIG. 1 may be applied.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들은 상기 키 캡 레이어(12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key cap layer 1210.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에 포함되며,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기능하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 각각은 상기 키 캡 레이어(121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each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24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unctioning to generate at least a key input signal is one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d in the key cap layer 1210. I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에 포함되며,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기능하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들은 상기 키 캡 레이어(121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unctioning to generate at least a touch input signal are the plurality of keys included in the key cap layer 1210. It may be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cap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는 복수개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ectrode layer 1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yer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가 배치되는 제1 레이어,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 혹은 상기 제2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레이어, 외부 노이즈 신호를 차폐할 수 있는 도전체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레이어, 상기 제2 레이어 및 상기 커버레이어는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electrode layer 1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disposed, a second lay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the first layer or the first layer. A cover layer for prote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wo layers and a conductor layer for shielding external noise signals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layer, the second layer, and the cover layer may be formed by combining, Not limited to this.

이 때,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는 상술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일부의 레이어들 사이의 접착을 제공하기 위한 접착 레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de layer 1240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for providing adhesion betwee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layers included in the aforementioned electrode layer.

또한, 이 때, 상기 커버레이어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the cover layer may be used as a light guide plate of a backlight unit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커버레이어는 광원으로 부터 빛을 수신하여 기정해진 영역에서 빛이 확산될 수 있도록 광 확산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cover layer may include a light diffusion area to receive light from a light source and diffuse the light in a predetermined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광 확산 영역은 레이저 혹은 도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기능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과 재료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ight diffusion area may be formed using a laser or pai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and materials in order to function as a backlight unit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는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 보드(FPCB)로 형성되거나 플라스틱 필름에 도전성 안료를 안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electrode layer 1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conductive pigment is deposited on a plastic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 복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ectrode layer 1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홀은 상술한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을 하술하는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에 결착시키기 위해 하부 플레이트에 포함되는 결속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to pass a binding member included in the lower plate in order to bind the plurality of keyboard mechanism units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to the lower plate layer described below.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홀은 상술한 키보드 매커니즘 레이어(1220)를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에 결착시키기 위해 키보드 매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결속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to pass a binding member included in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to bind the above-described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to the lower plate layer.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술한 키보드 매커니즘 레이어(1220)를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에 결착시키기 위한 결속부재를 통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may not pass through a binding member for binding the above-described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to the lower plate layer.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은 백라이트의 광원을 통과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may function to pass a light source of the backl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술한 키보드 매커니즘 레이어(1220)의 위치상태에 따라 상술한 키보드 매커니즘 레이어(12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 안에 위치하거나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Also, in at least one hole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at least a part of the above-described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may or may not be located in the hole according to the position state of the above-described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hole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240 .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에 포함되는 상기 커버레이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레이어 또는 상기 제2 레이어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t least one hole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ver layer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240, but may not be formed in the first layer or the second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n't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에 포함되는 상기 커버레이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에는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커버레이어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hole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is formed in the cover layer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240 but not formed i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the cover layer is transparent or It may be manufactured to have translucent properti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커버레이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에는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홀은 원형, 사각형, 선형 또는 십자형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at least one hole formed in the cover layer but not formed i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implemented in a circular shape, a rectangular shape, a linear shape, or a cross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커버레이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에는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제1 레이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와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hole formed in the cover layer but not formed i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arranged to at least partially overlap with at least one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layer.

예를 들어, 상기 커버레이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에는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제1 레이어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 및 제2 일렉트로드와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t least one hole formed in the cover layer but not formed i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overlap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layer. It may be plac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술한 상기 커버레이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레이어 및/또는 상기 제2 레이어에는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홀은 물리적인 홀 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빛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통과 할 수 있는 홀의 개념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홀의 주변보다 광 투과성이 높은 투명 혹은 반투명한 재질로 제공되는 광투과 영역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at least one hole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cover layer but not formed in the first layer and/or the second layer does not mean only a physical hole, and at least one material such as light may pass therethrough. It includes the concept of a hole in the hol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concept of a light-transmitting area provided with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having higher light transmittance than the hole's periph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는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들을 장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layer 1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mount a plurality of keyboard mechanism units included in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는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들을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lower plate layer 1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inding members for mounting a plurality of keyboard mechanism units included in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결속 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 각각과 결속되어 상기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 각각을 상기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에 장착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binding members included in the lower plate layer 1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bou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board mechanism units to mount each of the plurality of keyboard mechanism units to the lower plate layer 1250. can do.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는 제1 내지 제4 결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 결속 부재는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제1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의 4 부분에 각각 결속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lower plate layer 1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first to fourth binding members, and the first to fourth binding members include first to fourth binding members included in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Each of the four parts of the keyboard mechanism unit may be bound, and the first keyboard mechanism unit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late layer 12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에 장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binding member to be mounted on the lower plate layer 1250 .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된 결속부재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 복수개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에 결속될 수 있다. For example, a binding member included in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ass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of the electrode layer 1240 and be bound to the lower plate layer 1250 .

이 때,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결속부재는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시소)들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유닛(미도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at least one binding member included in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may be a separate unit (not shown) for mounting a plurality of keyboard mechanism units (seesaws) included in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20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 상기 탄성 유닛 레이어(1230),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 및 상기 키 캡 레이어(12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200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lower plate layer 1250, the electrode layer 1240, the elastic unit layer 1230, and the keyboard mechanism layer 1220. and the key cap layer 121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300)는 키 캡 레이어(1310), 탄성 유닛 레이어(1320)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n electronic device 130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key cap layer 1310, an elastic unit layer 1320, and an electrode layer 1330.

이 때, 상기 키 캡 레이어(1310), 탄성 유닛 레이어(1320)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key cap layer 1310, the elastic unit layer 1320, and the electrode layer 1330,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310)는 복수개의 키 캡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key cap layer 1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 caps.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310)는 제1 키 캡(1311) 및 제2 키 캡(131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key cap layer 13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key cap 1311 and a second key cap 13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유닛 레이어(1320)는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astic unit layer 1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유닛 레이어(1320)는 상기 제1 키 캡(1311)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 탄성 유닛(1321) 및 상기 제2 키 캡(1312)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탄성 유닛(132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elastic unit layer 1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elastic unit 1321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key cap 1311 and the second key cap ( 1312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unit 1322 disposed to correspond 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유닛 레이어(132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included in the elastic unit layer 1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다만, 상술한 전도성 물질 또는 하술할 전도성 물질은 실시예에 따라 상기 키 캡 레이어(13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 캡에 포함될 수 있으며, 혹은 적어도 하나의 키 캡이 전도성 물질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캡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전도성 물질이 이동되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와의 거리가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에 포함되는 전도성 물질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ductive material or the conductive material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ncluded in at least one keycap included in the keycap layer 1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r at least one keycap may be provided as a conductive material, , In this case,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keycap and the distance to the electrode layer 1330 may be changed.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included conductive material.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유닛 레이어(13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탄성 유닛(1321)은 제1 전도성 물질(13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탄성 유닛(1322)은 제2 전도성 물질(1324)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elastic unit 1321 included in the elastic unit layer 1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e material 1323, and the second elastic unit 1322 may include a 2 conductive material 1324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키 캡 레이어(131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전도성 물질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에 가까워 짐에 따라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야기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ductive material causes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electrode layer 1330 as the conductive material approaches the electrode layer 1330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keycap layer 1310. It may be configured to do so.

또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카본(carbon) 등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야기시키기 위한 다양한 물질로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provided as various materials for causing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electrode layer 1330, such as carb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 또는 리시버(Receiver)로 기능하는 일렉트로드 라인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layer 1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form part of an electrode line functioning as a transmitter or a receiver. there i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는 제1 일렉트로드(1331), 제2 일렉트로드(1332), 제3 일렉트로드(1333), 제4 일렉트로드(1334), 제5 일렉트로드(1335) 및 제6 일렉트로드(1336)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electrode layer 1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1331, a second electrode 1332, a third electrode 1333, a fourth electrode 1334, and a fifth electrode. An electrode 1335 and a sixth electrode 1336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일렉트로드(1331 내지 1334)는 상기 제1 키 캡(1311)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및 제6 일렉트로드(1335 및 1336)는 상기 제2 키 캡(1312)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to fourth electrodes 1331 to 1334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1311, and The fifth and sixth electrodes 1335 and 1336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key cap 1312,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일렉트로드들이 상기 키 캡들과 오버랩 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330)에 포함되는 각 레이어들이 적층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일렉트로드들과 상기 키 캡들이 오버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s to overlap the key caps means that the electrodes and the key caps are stacked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yers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330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re stacked. It may mean overlapp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1331 및 1332)는 상기 제1 탄성 유닛(1321)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및 제6 일렉트로드(1335 및 1336)는 상기 제2 탄성 유닛(132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331 and 1332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elastic unit 1321, and The fifth and sixth electrodes 1335 and 1336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elastic unit 1322,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일렉트로드(1331), 상기 제3 일렉트로드(1333) 및 상기 제5 일렉트로드(1335)는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일렉트로드 라인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렉트로드로 설명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1332), 상기 제4 일렉트로드(1334) 및 상기 제6 일렉트로드(1446)는 리시버로 기능하는 일렉트로드 라인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렉트로드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electrode 1331, the third electrode 1333, and the fifth electrode 1335 are the electrodes constituting a part of the electrode line functioning as a transmitter. The second electrode 1332, the fourth electrode 1334, and the sixth electrode 1446 will be described as electrodes constituting a part of an electrode line functioning as a receiv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키 캡(1311)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누름(Push)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1 키 캡(1311)은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user's key input or push input to the first key cap 1311 is obtained, the first key cap 1311 may be moved downward.

이 때, 상기 제1 키 캡(131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탄성 유닛(1321)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탄성 유닛(1321)의 형상의 변경에 따라 상기 제1 탄성 유닛(1321)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1323)과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1331 및 133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first elastic unit 1321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key cap 1311, and the first elastic uni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first elastic unit 1321.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1323 included in 1321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331 and 1332 may be reduced.

이에 따라, 적어도 제1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제1 일렉트로드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일렉트로드(1331)와 제1 리시버로 기능하는 제2 일렉트로드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일렉트로드(1332) 및 상기 제1 전도성 물질(1323)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경되어 제1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1331 constituting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line functioning as at least the first transmitter and the second electrode constitut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line functioning as the first receiver A first key input signal may be generated by changing the capacitance between 1332 and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1323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키 캡(1312)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누름(Push)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 키 캡(1312)은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user's key input or push input to the second key cap 1312 is obtained, the second key cap 1312 may be moved downward.

이 때, 상기 제2 키 캡(131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탄성 유닛(1322)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탄성 유닛(1322)의 형성의 변경에 따라 상기 제2 탄성 유닛(1322)에 포함되는 상기 제2 전도성 물질(1324)과 상기 제5 및 제6 일렉트로드(1335 및 1336)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second elastic unit 1322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key cap 1312, and the second elastic unit 1322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elastic unit 1322.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material 1324 included in 1322 and the fifth and sixth electrodes 1335 and 1336 may be reduced.

이에 따라, 적어도 제2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제3 일렉트로드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5 일렉트로드(1335)와 제2 리시버로 기능하는 제4 일렉트로드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6 일렉트로드(1336) 및 상기 제2 전도성 물질(1324)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경되어 제2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fth electrode 1335 constituting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electrode line functioning as at least the second transmitter and the sixth electrode constituting at least a part of the fourth electrode line functioning as the second receiver A second key input signal may be generated by changing the capacitance between 1336 and the second conductive material 1324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캡 레이어(1310)의 제1 영역(1340)에 대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적어도 제3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제5 일렉트로드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3 일렉트로드(1333)와 제3 리시버로 기능하는 제6 일렉트로드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4 일렉트로드(1334) 및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경되어 제1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touch input by a user's finger to the first region 1340 of the keycap layer 1310 is obtained, at least one of the fifth electrode line functioning as the third transmitter The capacitance between the third electrode 1333 constituting a part, the fourth electrode 1334 constituting at least a part of the sixth electrode line functioning as a third receiver, and the user's finger is changed, so that the first A touch input signal may be generated.

이 때, 상기 제1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제2 키 입력 신호의 크기는 제1 기준 값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터치 입력 신호의 크기는 제2 기준 값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magnitudes of the first key input signal and the second key input signal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magnitude of the first touch input signal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valu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1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제2 키 입력 신호의 크기는 제1 기준 값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터치 입력 신호의 크기는 제2 기준 값 이상이되 상기 제1 기준 값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magnitudes of the first key input signal and the second key input signal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magnitude of the first touch input signal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value but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Not limited to this.

또한, 상기 제1 키 입력 신호, 상기 제2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 신호는 상술한 컨트롤러에 의해 처리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키 값 또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들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key input signal, the second key input signal, and the first touch input signal may be processed by the above-described controller, and based on this, at least one key value or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However,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is,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도 4에서 기술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300)는 상술한 터치 입력 센서와 상술한 키 입력 센서가 통합적인 레이어로 구현되는 일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며, 이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300)의 전체적인 부피가 감소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하락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device 13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described in FIG. 4 is related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above-described touch input sensor and the above-described key input sensor ar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layer. In this case, the overall volume of the electronic device 13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reduced, durability may be improved, and manufacturing cost may be reduced.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de layer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 및 제2 일렉트로드 레이어(1420)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 ,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electrode layers 1410 and 1420, and FIG. It is shown with respect to the lead layer 14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20.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Electrode layers 1410 and 1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first type lines and second type lines.

이 때, 상기 제1 타입 라인들 각각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Length direction)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 각각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Width direction)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type lines may be composed of an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each of the second type lines may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It may be composed of an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along the.

또한, 이 때,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은 X축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은 Y축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may be understood as an X-axis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may be understood as a Y-axis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상기 제1 타입 라인들 또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의 전기적 연결은 동일 레이어 상의 동일 표면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일체로 형성되는 다른 레이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electrodes constituting the first type lines or the second type lines may be implemented on the same surface on the same layer or through another layer integrally formed, Not limited to this.

또한,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transmitter) 또는 리시버(Receiver)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상기 트랜스미터 또는 상기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electrode layers 1410 and 1420, the first type lines may function as either a transmitter or a receiver, and the first type lines may function as either a transmitter or a receiver. Type 2 lines can function as either the transmitter or the receiver.

예를 들어,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된 제1 타입 라인들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된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미터로 기능할 수 있고,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리시버로 기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layer 1410 includes first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second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It may include type lines, and the first type lines includ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1410 may function as at least one transmitter, and the first type lines includ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1410 may function as Type 2 lines can function as at least one receiver.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는 N개의 제1 타입 라인들 및 M개의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제1 타입 라인들 각각은 서로 다른 N개의 트랜스미터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M개의 제2 타입 라인들 각각은 서로 다른 M개의 리시버로 기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first electrode layer 1410 may include N first-type lines and M second-type lines, and the N first-type lines Each of the lines may function as N different transmitters, and each of the M second type lines may function as M different receiv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레이어(1420)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된 제1 타입 라인들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된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레이어(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리시버로 기능할 수 있고,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레이어(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미터로 기능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20 is composed of first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It may include second type lines, and the first type lines included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20 may function as at least one receiver, and included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20 The second type lines may function as at least one transmitter.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레이어(1420)는 N개의 제1 타입 라인들 및 M개의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제1 타입 라인들 각각은 서로 다른 N개의 리시버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M개의 제2 타입 라인들 각각은 서로 다른 M개의 트랜스미터로 기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second electrode layer 1420 may include N first-type lines and M second-type lines, and the N first-type lines Each of the lines may function as N different receivers, and each of the M second type lines may function as M different transmitt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의 신호 타이밍(Signal timing)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Also, signal timings of the first type lin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s 1410 and 1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이 각각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의 구동 신호 타이밍(Driving signal timing)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type lin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s 1410 and 1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unction as transmitters, driving signal timings of the first type lin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can, bu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이 각각 리시버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의 스캔 신호 타이밍(Scan signal timing)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the first type lin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s 1410 and 1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each function as a receiver, the scan signal timing of the first type lines They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의 신호 타이밍(Signal timing)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Also, signal timings of the second type lin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s 1410 and 1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이 각각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의 구동 신호 타이밍(Driving signal timing)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econd type lin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s 1410 and 1420 each function as a transmitter, driving signal timings of the second type lin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Not limited to this.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이 각각 리시버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의 스캔 신호 타이밍(Scan signal timing)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the second type lin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s 1410 and 1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each function as a receiver, the scan signal timing of the second type lines They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lectrodes included in the aforementioned electrode layers 1410 and 14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n electrode layer to describe an electrode layer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1500)는 제1 타입 라인(1510) 및 제2 타입 라인(15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n electrode layer 1500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type line 1510 and a second type line 1520.

이 때, 상기 제1 타입 라인(1510) 및 상기 제2 타입 라인(152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above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first type line 1510 and the second type line 1520,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 라인(1510)은 제1 일렉트로드(1511), 제2 일렉트로드(15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타입 라인(1520)은 제3 일렉트로드(1521) 및 제4 일렉트로드(152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type line 151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511 and a second electrode 1512, and the second type line 1520 may include a third electrode ( 1521) and a fourth electrode 1522,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511) 및 상기 제3 일렉트로드(1521)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로 정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1511 and the third electrode 15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efined as a first typ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512 and the fourth electrode 1522 may be defined as a second type electrod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Touch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type of electrode may mean an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type electrode may refer to an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user's touch input,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mean an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refer to an electrod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user's key input,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는 기 설정된 형상을 가지는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type electrode may mean an electrod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는 마름모 형상의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type electrode may mean a diamond-shaped electr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와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mean an electrode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type electr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의 형상이 마름모 형상인 경우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마름모 형상이 아닌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first type electrode is a diamond shape,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refer to an electrode other than a diamon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include a protrusion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로 정의되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제1 돌출부(15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제2 돌출부(153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defined as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1531, and the fourth electrode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1532,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타입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type lin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type line.

예를 들어, 상기 제1 타입 라인(151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는 상기 제2 타입 라인(15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14)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1512, which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type line 1510,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type line 1520. I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ourth electrode 1514.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제2 타입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type lin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type line.

예를 들어, 상기 제1 타입 라인(151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는 상기 제2 타입 라인(15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1531 of the second electrode 1512, which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type line 1510, is included in the second type line 1520. It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protrusion 1532 of the fourth electrode 1522 that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n elastic unit (not shown)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제1 탄성 유닛(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1531 of the second electrode 1512, which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and the second protrusion 1532 of the fourth electrode 1522 are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I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a first elastic unit (not shown) included in the provided electronic devic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의 전도성 물질(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 conductive material (not shown) of an elastic unit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제1 탄성 유닛의 제1 전도성 물질(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1531 of the second electrode 1512, which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and the second protrusion 1532 of the fourth electrode 1522 are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I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not shown) of the first elastic unit included in the provided electronic devic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키 캡(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 key cap (not shown)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1531 of the second electrode 1512, which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and the second protrusion 1532 of the fourth electrode 1522 are the composite human interface I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key cap included in the provided electronic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2개의 돌출부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reas of two adjacent protrusions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area of the first protrusion 1531 of the second electrode 1512, which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and the area of the second protrusion 1532 of the fourth electrode 1522 are substantially the same. It can, bu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2개의 돌출부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reas of two adjacent protrus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area of the first protrusion 1531 of the second electrode 1512 that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and the area of the second protrusion 1532 of the fourth electrode 152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2개의 돌출부의 면적은 다양한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rea of two adjacent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ratios.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의 면적은 5:5, 4:6, 3:7, 2:8, 1:9, 6:4, 7:3, 8:2, 9:1 등의 다양한 비율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area of the first protrusion 1531 of the second electrode 1512 that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and the area of the second protrusion 1532 of the fourth electrode 1522 is 5:5. , 4:6, 3:7, 2:8, 1:9, 6:4, 7:3, 8:2, may be formed in various ratios such as 9:1,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곶(Cape)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shape of a cape.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곶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1532 of the fourth electrode 1522, which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shape of a cape of the fourth electrode 1522, bu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만(Bay)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be formed at a bay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만의 위치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1531 of the second electrode 1512, which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the position of the bay of the second electrode 15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n'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접한 일렉트로드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adjacen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be a first type electrode.

예를 들어, 상기 제1 타입 라인(151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접한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511)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511, which is an adjacen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512, which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type line 1510, is the first electrode 1511. It can be of type Electrode.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라인(15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접한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521)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third electrode 1521, which is an adjacent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electrode 1522, which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type line 1520, is It may be a first type electrode.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second type electr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 있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FIG. 7 illustrates various embodiments of a second type electrode that may be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 때,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상술한 내용들에 의해 정의되는 일렉트로드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네이밍 한 것으로, 동일한 정의에 대응되는 일렉트로드를 다른 방식으로 네이밍 하더라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bove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type electrode, and the second type electrode is nam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electrode defined by the abov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ame definition. Even if the electrode is named in a different way, it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7을 참조하면,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는 제1 일렉트로드(1610), 제2 일렉트로드(1620), 제3 일렉트로드(1630), 제4 일렉트로드(1640), 제5 일렉트로드(1650) 및 제6 일렉트로드(1660) 등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various embodiments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 a first electrode 1610, a second electrode 1620, a third electrode 1630, a fourth electrode 1640, A fifth electrode 1650 and a sixth electrode 1660 may be included.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7에서 도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의 변형 실시예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등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 7 , and may include various embodiments that can be modifi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e modified embodiment of FIG. 7 .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rotrusion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610)는 제1 돌출부(16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는 제2 돌출부(1621)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는 제3 돌출부(16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4 일렉트로드(1640)는 제4 돌출부(1641)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5 일렉트로드(1650)는 제5 돌출부(1651)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610,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1611, and the second type electrode,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de 1620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1621, and the third electrode 1630,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third protrusion 1631, The fourth electrode 1640,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ourth protrusion 1641, and the fifth electrode 1650,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fifth protrusion 1651 may be includ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돌출부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protrusion included in the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vary.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610)의 상기 제1 돌출부(1611)는 상기 제1 일렉트로드(1610)의 곶(Cape)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1611 of the first electrode 1610,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pe of the first electrode 1610 It may be plac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상기 제2 돌출부(1621)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만(Bay)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1621 of the second electrode 1620,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bay of the second electrode 1620. It may be placed in a lo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의 상기 제3 돌출부(1631)는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의 만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third protrusion 1631 of the third electrode 1630,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y of the third electrode 1630.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의 크기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의 상기 제3 돌출부(1631)의 위치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상기 제2 돌출부(1621)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ay of the third electrode 1630 may be different from the siz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ay of the second electrode 1620. Accordingly, the third electrode ( A position of the third protrusion 1631 of 1630 may be different from a posi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621 of the second electrode 1620 .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640)의 상기 제4 돌출부(1641)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1640)의 만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fourth protrusion 1641 of the fourth electrode 1640,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y of the fourth electrode 1640.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제4 일렉트로드(164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의 크기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4 일렉트로드(1640)의 상기 제4 돌출부(1641)의 위치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상기 제2 돌출부(1621)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ay of the fourth electrode 1640 may be different from the siz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ay of the second electrode 1620. Accordingly, the fourth electrode ( A position of the fourth protrusion 1641 of 1640 may be different from a posi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621 of the second electrode 1620 .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5 일렉트로드(1650)의 상기 제5 돌출부(1651)는 상기 제5 일렉트로드(1650)의 곶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fifth protrusion 1651 of the fifth electrode 1650,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pe of the fifth electrode 1650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Also, the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not include a protrusion.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6 일렉트로드(1660)는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sixth electrode 1660,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not to include a protrus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가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wo second type electrodes may be arranged to form a pair.

이 때, 2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각각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라인 및 리시버로 기능하는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two second type electrodes may be electrodes constituting at least a part of a line functioning as a transmitter and a line functioning as a receiver, respectively.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일렉트로드(1610)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는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1610 and the second electrode 1620 may be arranged to form a pai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640)는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rd electrode 1630 and the fourth electrode 1640 may be arranged to form a pai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일렉트로드(1650) 및 상기 제6 일렉트로드(1660)는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fth electrode 1650 and the sixth electrode 1660 may be arranged to form a pai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2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각각의 일렉트로드의 돌출부가 어느 하나의 일렉트로드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wo electrodes of the second type arranged in pairs may be arranged so that the protrusion of each electrode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ay of any one electrod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1610,1620)는 상기 제1 돌출부(1611)와 상기 제2 돌출부(1621)가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0 and 1620 include only the first protrusion 1611 and the second protrusion 1621 of the second electrode 1620. It may be arranged to be accommodated at least partially in an area corresponding 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2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각각의 일렉트로드의 돌출부가 각각의 일렉트로드의 만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wo electrodes of the second type arranged to form a pair may be arranged so that the protrusion of each electrode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a region defined by the bay of each electrod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및 제4 일렉트로드(1630,1640)는 상기 제3 돌출부(1631)와 상기 제4 돌출부(1641)가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과 상기 제4 일렉트로드(164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1630 and 1640, the third protrusion 1631 and the fourth protrusion 1641 are only the third electrode 1630. It may be arranged to be accommodated at least partially in an area defined by the area corresponding to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bay of the fourth electrode 16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2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어느 하나의 일렉트로드의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일렉트로드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wo electrodes of the second type arranged in pairs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protrusion of one electrode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ay of the other electrod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및 제6 일렉트로드(1650,1660)는 상기 제5 돌출부(1651)가 상기 제6 일렉트로드(166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fth and sixth electrodes 1650 and 1660 are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an area where the fifth protrusion 1651 corresponds to the bay of the sixth electrode 1660. It may be arranged to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a protrusion of a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8에서 도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의 변형 실시예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등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 8 , and may include various embodiments that can be modifi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e modified embodiment of FIG. 8 .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쌍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protrusions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in pairs to form a region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돌출부(1711) 및 제2 돌출부(1712)는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영역(1710)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 a first protrusion 1711 and a second protrusion 17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in pairs, and generate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It may be provided to form area 1 17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돌출부(1721) 및 제4 돌출부(1722)는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영역(1720)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 a third protrusion 1721 and a fourth protrusion 17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in pairs and generate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It may be provided to form the second region 1720 f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돌출부(1731) 및 제6 돌출부(1732)는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3 영역(1730)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 the fifth protrusion 1731 and the sixth protrusion 17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in pairs, and generate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It may be provided to form a third region 1730 f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탄성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유닛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elastic unit, and the elastic unit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an area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은 일 실시예에 따라 쌍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돌출부(1711) 및 상기 제2 돌출부(1712)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제1 영역(17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n elastic unit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use the first protrusion 1711 and the second protrusion 1712 arranged in pai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rea 1710 formed to generate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은 일 실시예에 따라 쌍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3 돌출부(1721) 및 상기 제4 돌출부(1722)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제2 영역(172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an elastic unit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third protrusion 1721 and the fourth protrusion 1722 arranged in pai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egion 1720 formed to generate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은 일 실시예에 따라 쌍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5 돌출부(1731) 및 상기 제6 돌출부(1732)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제3 영역(173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an elastic unit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on the fifth protrusion 1731 and the sixth protrusion 1732 arranged in pai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area 1730 formed to generate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탄성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유닛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 유닛의 상기 전도성 물질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elastic unit, and the elastic unit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of the elastic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elastic unit according to a user's input. I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an area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의 전도성 물질은 일 실시예에 따라 쌍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돌출부(1711) 및 상기 제2 돌출부(1712)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제1 영역(17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 conductive material of an elastic unit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protrusion 1711 and the second protrusion 1712 arranged in pai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rea 1710 formed to generate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의 전도성 물질은 일 실시예에 따라 쌍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3 돌출부(1721) 및 상기 제4 돌출부(1722)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제2 영역(172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conductive material of the elastic unit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third protrusion 1721 and the fourth protrusion ( 1722)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area 1720 formed to generate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의 전도성 물질은 일 실시예에 따라 쌍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5 돌출부(1731) 및 상기 제6 돌출부(1732)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제3 영역(173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conductive material of the elastic unit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fifth protrusion 1731 and the sixth protrusion (1731) arranged in pai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732)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area 1730 formed to generate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The second type of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has been described through FIGS. 6 to 8 .

다만, 도 6 내지 도 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돌출부를 포함하는 일렉트로드의 구성을 제2 타입 일렉트로드로 기술하였으나, 앞서 기술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돌출부의 구성 자체가 제2 타입 일렉트로드로도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다.However, in FIGS. 6 to 8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including the protrusion is described as the second type electrode,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rusion included in the previously described second type electrode itself is the second type electrode. A draw may also be understood, which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때에 따라 앞서 기술한 돌출부 자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를 포함하는 일렉트로드로도 이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be understood as a protruding portion itself described above as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nd may also be understood as an electrode including a protrud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n electrode 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o describe an electrode layer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를 통해 기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대하여는 상술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대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렉트로드 레이어가 포함하는 제1 타입 라인, 제2 타입 라인, 제1 타입 일렉트로드, 제2 타입 일렉트로드 등에 대하여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described contents of the electrode layer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de layer 1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and the first type line, the second type line, and the first type line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type electrode, the second type electrode, etc.,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n electrode layer 1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는 제1 일렉트로드(1810) 및 제2 일렉트로드(182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layer 1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810 and a second electrode 1820.

이 때, 상기 제1 일렉트로드(1810)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18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1810 and the second electrode 1820 may be a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9 , the electrode layer 1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는 제1 홀(1831), 제2 홀(1832), 제3 홀(1833) 및 제4 홀(1834)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layer 1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hole 1831 , a second hole 1832 , a third hole 1833 , and a fourth hole 1834 .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홀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holes,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제1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을 결착시키기 위한 하부 플레이트의 결속 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홀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pass through the binding members of the lower plate for binding the first keyboard mechanism unit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t may be a hole for do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적어도 네 개의 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on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is arranged to be at least partly included in a region defined by at least four hol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can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810)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1820)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영역(1840)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9 , the first electrode 1810 and the second electrode 1820, which are second type electrod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are the electrode layer 1800. )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1840 defined by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included 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적어도 네 개의 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trusion of at least one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is included in a region defined by at least four hol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can be arranged so that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810)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1820) 각각의 돌출부들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영역(1840)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9 ,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electrode 1810 and the second electrode 1820, which are second type electrod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are the electrodes. It may be arranged to be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1840 defined by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included in the layer 18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홀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hol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may be formed such that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re different.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e a length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greater than a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It may be provided in a long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홀은 다양한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hol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홀은 직사각형상, 정사각형상, 타원형상, 원형상, 사다리꼴 형상 등의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상술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hol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 square shape, an elliptical shape, a circular shape, a trapezoidal shape, or the like, but the above examples It is not limited to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홀이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일부의 홀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은 동일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hol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are formed such that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a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re different,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At least some of the holes may have the same orientation.

예를 들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의 오리엔테이션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orientations of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may be the sam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홀 중 동일한 키 캡과 관련된 홀 들의 오리엔테이션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rientations of holes related to the same key cap among a plurality of hol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may be the same.

예를 들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이 제1 키캡과 관련된 홀 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의 오리엔테이션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are holes related to the first keycap, the orientation of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is They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홀 중 동일한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과 관련된 홀 들의 오리엔테이션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rientations of holes related to the same keyboard mechanism unit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may be the same.

예를 들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이 제1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과 관련된 홀 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의 오리엔테이션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are holes related to the first keyboard mechanism unit,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Orientations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적어도 네 개의 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가 적어도 일부 포함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네 개의 홀 중의 일부의 홀과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econd type electrode is disposed such that at least a part is included in a region defined by the at least four hol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1800, some of the at least four holes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not be included in a region defined by at least two adjacent holes.

예를 들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 제5 홀(1835) 및 제6 홀(18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1 영역(1840)에 상기 제1 일렉트로드(1810)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1820)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2 홀(1832), 상기 제4 홀(1834), 상기 제5 홀(1835) 및 상기 제6 홀(1836)에 의해 정의되는 제2 영역(1850) 내에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layer 1800 may include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the fifth hole 1835 and the sixth hole 1836, and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may be formed. The first electrode 1810 and the second electrode 1820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1840 defined by holes 1831 to 1834, and the second hole 1832 and the second electrode 1820 may be included.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not be included in the second region 1850 defined by the fourth hole 1834, the fifth hole 1835, and the sixth hole 1836.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적어도 네 개의 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가 포함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네 개의 홀 중의 일부의 홀과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ode layer 1800 includes a protruding part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in a region defined by the at least four holes, some of the at least four holes are included. A protrusion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not be included in a region defined by at least two holes adjacent to the hole of .

예를 들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 제5 홀(1835) 및 제6 홀(18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1 영역(1840)에 상기 제1 일렉트로드(1810)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1820)의 돌출부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2 홀(1832), 상기 제4 홀(1834), 상기 제5 홀(1835) 및 상기 제6 홀(1836)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2 영역(1850) 내에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layer 1800 may include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the fifth hole 1835 and the sixth hole 1836, and the first to fourth holes 1831 to 1834 may be formed. Protrusions of the first electrode 1810 and the second electrode 1820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1840 defined by holes 1831 to 1834, the second hole 1832,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not be included in the second area 1850 defined by the fourth hole 1834, the fifth hole 1835, and the sixth hole 1836.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홀(1832)은 상기 제1 홀(1831)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홀이며, 상기 제5 홀(1835)은 상기 제2 홀(1832)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홀이고, 상기 제3 홀(1833)은 상기 제1 홀(1831)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홀이며, 상기 제4 홀(1834)은 상기 제3 홀(1833)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2 홀(1832)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홀이고, 상기 제6 홀(1836)은 상기 제4 홀(1834)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5 홀(1835)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홀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hole 1832 is a hole adjacent to the first hole 1831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fifth hole 1835 is the second hole 1832 and The third hole 1833 is a hole adjacent to the first hole 1831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fourth hole 1834 is adjacent to the first hole 183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 and the keyboard lay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djacent to the second hole 183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sixth hole 1836 is adjacent to the fourth hole 183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 but may be a hole adjacent to the fifth hole 1835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1 홀(1831)과 상기 제3 홀(1833)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5 홀(1835)과 상기 제 6 홀(1836)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e 1831 and the third hole 1833 may be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fth hole 1835 and the sixth hole 1836,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1 홀(1831)과 상기 제5 홀(1835)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3 홀(1833)과 상기 제 6 홀(1836)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e 1831 and the fifth hole 1835 may be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hole 1833 and the sixth hole 1836,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describe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900)는 키 캡 레이어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n electronic device 190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key cap layer and an electrode layer.

이 때, 상기 키 캡 레이어 및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key cap layer and the electrode layer,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는 복수개의 키 캡을 포함할 수 있다.A key cap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 cap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는 제1 키 캡(1951), 제2 키 캡(1952) 및 제3 키 캡(1953)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 key cap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key cap 1951 , a second key cap 1952 , and a third key cap 1953 .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키 캡(1952)은 상기 제1 키 캡(1951)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키 캡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키 캡(1953)은 상기 제1 키 캡(1951)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2 키 캡(1952)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키 캡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key cap 1952 may refer to a key cap adjacent to the first key cap 195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third key cap 1953 may mean a key cap adjacent to the first key cap 195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bu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key cap 195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키 캡(1952)은 상기 제1 키 캡(1951)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이동된 키 캡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키 캡(1953)은 상기 제1 키 캡(1951)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제2 거리만큼 이동된 키 캡을 의미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key cap 1952 may mean a key cap moved by a first distance from the first key cap 1951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third key cap 1952 The cap 1953 may mean a key cap moved by a second distanc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key cap 1951 and the keyboard layout. In this case, the second distanc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but , but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ectrod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라인(1910), 제2 라인(1920) 및 제3 라인(193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electrod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line 1910, a second line 1920, and a third line 1930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제1 라인(1910), 상기 제2 라인(1920) 및 상기 제3 라인(1930)의 형상은 상기 제1 라인(1910), 상기 제2 라인(1920) 및 상기 제3 라인(1930) 각각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들이 연결된 형상일 수 있으며,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0에서는 상기 제1 라인(1910), 상기 제2 라인(1920) 및 상기 제3 라인(1930) 각각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At this time, the shapes of the first line 1910, the second line 1920, and the third line 1930 are the first line 1910, the second line 1920, and the third line ( 193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electrodes constituting each are connected, an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n FIG. shown as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type lines may be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one key cap.

이 때,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이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 각각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aning that the second type lines are arranged to overlap with at least one key cap includes the meaning that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ode constituting each of the second type lines is arranged to overlap with at least one key cap. can do.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라인(1910)은 상기 제1 키 캡(1951) 및 상기 제2 키 캡(1952)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line 19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1951 and the second key cap 1952,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라인(1920)은 상기 제1 키 캡(1951), 상기 제2 키 캡(1952) 및 상기 제3 키 캡(1953)과 오버랩 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second line 19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1951, the second key cap 1952, and the third key cap 1953.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다른 상기 제3 라인(1930)은 상기 제1 키 캡(1951) 및 상기 제3 키 캡(1953)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rd line 1930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1951 and the third key cap 1953,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Touch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또는 적어도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type lines are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touch input signal or at least a key input signal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A second type electrode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라인(1910)은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 일렉트로드(1911) 및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2 일렉트로드(191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line 19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a first electrode 1911 that is a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touch input signal. A second electrode 1912 that is an electrode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라인(1920)은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3 일렉트로드(1921),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4 일렉트로드(1922) 및 제5 일렉트로드(192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second line 19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a third electrode 1921 that is a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first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touch input signal. A fourth electrode 1922 and a fifth electrode 1923, which are type 1 electrodes, may b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라인(1930)은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6 일렉트로드(1931),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7 일렉트로드(193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third line 19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a sixth electrode 1931 that is a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nd a first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touch input signal. A seventh electrode 1932 that is a type 1 electrode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라인들 각각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는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가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 보다 많거나, 더 넓은 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lectrode constituting each of the second type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the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is larger or wider than the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rea can be provided.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라인(1910)을 구성하는 10개의 일렉트로드 중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만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이며 나머지 9개의 일렉트로드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referring to a part of the electrode layer shown in FIG. 10 , only the first electrode 1911 among 10 electrodes constituting the first line 1910 is a second type electrode, and the remaining 9 The dog's electrode may be a first type electr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라인(1920)을 구성하는 10개의 일렉트로드 중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만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이며 나머지 9개의 일렉트로드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a part of the electrode layer shown in FIG. 10 , only the third electrode 1921 among 10 electrodes constituting the second line 1920 is a second type electrode. The remaining nine electrodes may be first type electrod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참조하면, 상기 제3 라인(1930)을 구성하는 10 개의 일렉트로드 중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만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이며 나머지 9개의 일렉트로드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a part of the electrode layer shown in FIG. 10 , only the sixth electrode 1931 among 10 electrodes constituting the third line 1930 is a second type electrode. The remaining nine electrodes may be first type electrod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라인(192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는 상기 제1 키 캡(1951)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1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hird electrode 1921,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second line 1920, is a key input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first key cap 1951. 1 It can be used to generate a key input signal.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라인(191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는 상기 제2 키 캡(1952)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2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1911,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irst line 1910, is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second key cap 1952. It can be used to generate 2 key input signal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라인(193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는 상기 제3 키 캡(1953)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3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xth electrode 1931,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third line 1930, is a third electrode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third key cap 1953. It can be used to generate 3 key input signal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키 캡(1952)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2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는 상기 제1 키 캡(1951)의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9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키 캡(1951)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1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1911 used to generate the second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to the second key cap 1952 is the first key cap 1951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912 used to generate a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for a partial area of the reg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er's key input It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1921 used to generate the first key input signal.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키 캡(1951)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1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는 상기 제2 키 캡(1952)의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1922) 및 상기 제3 키 캡(1953)의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제5 일렉트로드(19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2 키 캡(1952)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2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제3 키 캡(1953)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3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rd electrode 1921 used to generate the first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to the first key cap 1951 is the second key cap 1952 ) Touch input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to a partial area of the fourth electrode 1922 and the third key cap 1953 used to generate a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to a partial area of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fth electrode 1923 used for generating a signal, the first electrode used for generating a second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second key cap 1952 1911 and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electrode 1931 used to generate a third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third key cap 1953. ca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키 캡(1953)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3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는 상기 제1 키 캡(1951)의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7 일렉트로드(19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키 캡(1951)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1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ixth electrode 1931 used to generate a third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third key cap 1953 is the first key cap 1951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venth electrode 1932 used to generate a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to a part of the reg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er's key input to the first key cap 1951 It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1921 used to generate the first key input signal.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key caps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plurality of electrodes.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키 캡(1951), 상기 제2 키 캡(1952), 상기 제3 키 캡(1953)은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key cap 1951, the second key cap 1952, and the third key cap 1953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may be arranged to overlap a plurality of electrodes. .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제1 키 캡(1951)은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912), 상기 제7 일렉트로드(1932) 및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키 캡(1952)은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922) 및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키 캡(1953)은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5 일렉트로드(1923) 및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the first key cap 1951 includes the second electrode 1912, which is a first type electrode, the seventh electrode 1932, and the third electrode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1921, and the second key cap 1952 overlaps the fourth electrode 1922, which is a first type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1911,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The third key cap 1953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ifth electrode 1923, which is a first type electrode, and the sixth electrode 1931,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이 때, 상기 제2 키 캡(1952)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는 상기 제1 키 캡(1951)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9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키 캡(1951)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1911,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overlapping the second key cap 1952, is a first type electrode overlapping the first key cap 1951, and the second electrode 1911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cap 1912, but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1921,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overlapping the first key cap 1951.

또한, 이 때, 상기 제1 키 캡(1951)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는 상기 제2 키 캡(1952)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922) 및 상기 제3 키 캡(1953)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5 일렉트로드(19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2 키 캡(1952)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3 키 캡(1953)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Also, at this time, the third electrode 1921,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that overlaps with the first keycap 1951, is a first type electrode that overlaps with the second keycap 1952. 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electrode 1923, which is a first type electrode that overlaps with the electrode 1922 and the third key cap 1953, and overlaps with the second key cap 1952. It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911, which is a type 2 electrode, and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xth electrode 1931, which is a type 2 electrode that overlaps with the third keycap 1953. may not be

또한, 이 때, 상기 제3 키 캡(1953)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는 상기 제1 키 캡(1951)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7 일렉트로드(19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키 캡(1951)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Also, at this time, the sixth electrode 1931,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that overlaps with the third keycap 1953, is a first type electrode that overlaps with the first keycap 1951. 7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1932, but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1921,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overlapping the first keycap 1951.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제2 타입 라인들 중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two adjacent lines among the second type lin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type electrode.

예를 들어, 상기 제1 라인(1910) 및 상기 제1 라인(1910)과 인접한 상기 제2 라인(1920) 각각은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 및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line 1910 and the second line 1920 adjacent to the first line 1910 includes the first electrode 1911 and the third electrode, which are second type electrodes. (1921).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라인(1920) 및 상기 제2 라인(1920)과 인접한 상기 제3 라인(1930) 각각은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 및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each of the second line 1920 and the third line 1930 adjacent to the second line 1920 includes the third electrode 1921 that is a second type electrode and the sixth electrode. Electrode 1931 may be included.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osite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describe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osite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또한, 도 11과 도 10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동일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을 나누어서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통상의 기술자가 도 10과 도 11을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기술적 사상을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도 10과 도 11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도출되는 기술적 사상 역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lectrode layers shown in FIGS. 11 and 10 may mean the same part,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rawings have been divided and described,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comprehensively understand FIGS. 10 and 11 and It is possible to derive an idea,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the technical idea deriv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FIGS. 10 and 11.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900)는 키 캡 레이어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an electronic device 190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key cap layer and an electrode layer.

이 때, 상기 키 캡 레이어 및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key cap layer and the electrode layer,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는 복수개의 키 캡을 포함할 수 있다.A key cap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 cap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는 제1 키 캡(1951), 제4 키 캡(1954) 및 제5 키 캡(1955)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 key cap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key cap 1951 , a fourth key cap 1954 , and a fifth key cap 1955 .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키 캡(1954)은 상기 제1 키 캡(1951)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키 캡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5 키 캡(1955)은 상기 제1 키 캡(1951)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4 키 캡(1954)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키 캡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ourth key cap 1954 may mean a key cap adjacent to the first key cap 1951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nd the fifth key cap 1955 may refer to a key cap adjacent to the first key cap 1951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but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key cap 1954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제1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ectrod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type lines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4 라인(1960), 제5 라인(1970) 및 제6 라인(198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electrod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ourth line 1960, a fifth line 1970, and a sixth line 1980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제4 라인(1960), 상기 제5 라인(1970) 및 상기 제6 라인(1980)의 형상은 상기 제4 라인(1960), 상기 제5 라인(1970) 및 상기 제6 라인(1980) 각각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들이 연결된 형상일 수 있으며,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1에서는 상기 제4 라인(1960), 상기 제5 라인(1970) 및 상기 제6 라인(1980) 각각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At this time, the shapes of the fourth line 1960, the fifth line 1970, and the sixth line 1980 are the fourth line 1960, the fifth line 1970, and the sixth line ( 198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electrodes constituting each are connected, an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n FIG. shown as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ype lines may be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one key cap.

이 때,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이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 각각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aning that the first type lines are arranged to overlap with at least one key cap includes the meaning that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ode constituting each of the first type lines is arranged to overlap with at least one key cap. can do.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4 라인(1960)은 상기 제1 키 캡(1951), 상기 제4 키 캡(1954) 및 상기 제5 키 캡(1955)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ourth line 19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1951, the fourth key cap 1954, and the fifth key cap 1955, but , but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5 라인(1970)은 상기 제1 키 캡(1951), 상기 제4 키 캡(1954) 및 상기 제5 키 캡(1955)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fifth line 19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1951, the fourth key cap 1954, and the fifth key cap 1955.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6 라인(1970)은 상기 제1 키 캡(1951), 상기 제4 키 캡(1954) 및 상기 제5 키 캡(1955)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sixth line 19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key cap 1951, the fourth key cap 1954, and the fifth key cap 1955.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Touch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또는 적어도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ype lines are a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t least a touch input signal or at least a key input signal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A second type electrode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4 라인(1960)은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8 일렉트로드(1961), 제9 일렉트로드(1962) 및 제10 일렉트로드(196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ourth line 19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an eighth electrode 1961, a ninth electrode 1962, and a 10th electrode that are second type electrodes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1963),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5 라인(1970)은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1 일렉트로드(1971), 제12 일렉트로드(1972) 및 제13 일렉트로드(197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fifth line 19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an 11th electrode 1971, a 12th electrode 1972 and a 1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13 Electrode (1973),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6 라인(1980)은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4 일렉트로드(1981), 제15 일렉트로드(1982) 및 제16 일렉트로드(198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sixth line 19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a 14th electrode 1981, a 15th electrode 1982 and a 1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16 Electrode 1983,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타입 라인들 각각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는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가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 보다 많거나, 더 넓은 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lectrode constituting each of the first type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the first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is larger or wider than the second type electrod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rea can be provided.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참조하면, 상기 제4 라인(1960)을 구성하는 10개의 일렉트로드 중 상기 제8 일렉트로드(1961), 상기 제9 일렉트로드(1962), 상기 제10 일렉트로드(1963)가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이며 나머지 7개의 일렉트로드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referring to a part of the electrode layer shown in FIG. 11 , the eighth electrode 1961 and the ninth electrode 1962 among ten electrodes constituting the fourth line 1960 , The tenth electrode 1963 may be a second type electrode and the remaining seven electrodes may be a first type electr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참조하면, 상기 제5 라인(1970)을 구성하는 10개의 일렉트로드 모두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a part of the electrode layer shown in FIG. 11 , all 10 electrodes constituting the fifth line 1970 may be first type electrod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참조하면, 상기 제6 라인(1980)을 구성하는 10개의 일렉트로드 모두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a part of the electrode layer shown in FIG. 11 , all 10 electrodes constituting the sixth line 1980 may be first type electrod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라인(196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8 일렉트로드(1961)는 상기 제4 키 캡(1954)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4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ighth electrode 1961,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ourth line 1960, is the first electrode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to the fourth key cap 1954. It can be used to generate 4 key input signal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라인(196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9 일렉트로드(1962)는 상기 제1 키 캡(1951)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1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inth electrode 1962,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ourth line 1960, is the first key cap 1951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1 It can be used to generate a key input signal.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라인(196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0 일렉트로드(1963)는 상기 제5 키 캡(1955)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5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10th electrode 1963, which is a second type electrode included in the fourth line 1960, is the first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to the fifth keycap 1955. It can be used to generate 5 key input signal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제1 타입 라인들 중 어느 하나의 라인이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인접한 다른 라인은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ny one of the first type lin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the second type electrode, another adjacent line may not include the second type electrode. .

예를 들어, 상기 제4 라인(1960)이 제2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8 일렉트로드(1961), 상기 제9 일렉트로드(1962) 및 상기 제10 일렉트로드(196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4 라인(1960)과 인접한 상기 제5 라인(1970) 및 상기 제6 라인(1980)은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ourth line 1960 includes the eighth electrode 1961, the ninth electrode 1962, and the tenth electrode 1963, which are second electrodes, the first electrode The fifth line 1970 and the sixth line 1980 adjacent to the fourth line 1960 may not include a second type electrod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제1 타입 라인이 복수개의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2 타입 일렉트로드 중 인접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의 개수는 적어도 일부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type line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type electrodes, the plurality of second type electrodes are disposed between adjacent second type electrodes. The number of first type electrodes to be used may be at least partially the same.

예를 들어, 상기 제4 라인(1960)이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8 일렉트로드(1961), 상기 제9 일렉트로드(1962) 및 상기 제10 일렉트로드(196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8 및 제9 일렉트로드(1961,196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의 개수는 2개이며, 상기 제9 및 제10 일렉트로드(1962,1963)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의 개수 역시 2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fourth line 1960 includes the eighth electrode 1961, the ninth electrode 1962, and the tenth electrode 1963, which are second type electrodes, the The number of first type electrodes disposed between the eighth and ninth electrodes 1961 and 1962 is two, and the first type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ninth and tenth electrodes 1962 and 1963 The number of may also be two,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de layer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렉트로드 및 전기적 연결 선을 검정색으로 표시하였다.In FIG. 12, the electrode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line are marked in black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는 복수개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an electrode layer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yers.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는 적어도 제1 레이어(2010) 및 제2 레이어(202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 the electrode layer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a first layer 2010 and a second layer 20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에 대하여는 제1 타입 라인, 제2 타입 라인, 제1 타입 일렉트로드, 제2 타입 일렉트로드 등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와 관련되어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related to the electrode layer, such as the first type line, the second type line, the first type electrode, and the second type electrode,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de layer 2000,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레이어(2010)는 일렉트로드가 위치하는 레이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layer 2010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000 may be a layer where the electrode is located.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이어(2010)는 일렉트로드가 패터닝되어 있는 레이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layer 2010 may be a layer in which an electrode is patter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에 포함되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 또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들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1 레이어(2010)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type line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000 and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or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electrodes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type lines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layer 2010 .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에 대한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1 레이어(2010) 상에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 electrical connection to a first type line composed of an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layer 20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n'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레이어(2020)는 상기 제1 레이어(2010)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의 일렉트로드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레이어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layer 2020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000 is used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t least some electrodes located in the first layer 2010. can be a layer.

예를 들어, 상기 제2 레이어(2020)는 상기 제1 레이어(2010)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의 일렉트로드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도선이 패터닝 되어있는 레이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second layer 2020 may be a layer in which a conductive wire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t least some of the electrodes located in the first layer 2010 is patter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에 포함되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 또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들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2 레이어(202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type line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000 and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or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electrodes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type lines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econd layer 2020 .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에 대한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2 레이어(2020)를 통해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 electrical connection to a second type line composed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econd layer 2020, bu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도 12를 통해 기술한 내용은 터치 입력 신호 또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도 12를 통해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렉트로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들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through FIG. 12 relates to an embodiment of provi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lectrodes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or a key input signal,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 12 is not limited to, and various methods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s or providing the electrically connected electrodes may als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2100)는 키 캡 레이어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n electronic device 210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key cap layer and an electrode layer.

이 때, 상기 키 캡 레이어 및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key cap layer and the electrode layer,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2100)는 키 입력 영역(2110) 및 터치 입력 영역(2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키 입력 영역(2110)과 상기 터치 입력 영역(2120)이 오버랩되는 영역에 복합 기능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13 , an electronic device 210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key input area 2110 and a touch input area 2120, and the key input area 2110 ) and the touch input area 2120 may overlap a complex function area.

이 때, 상기 키 입력 영역(2110), 상기 터치 입력 영역(2120) 및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key input area 2110, the touch input area 2120, and the complex function area,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는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는 키 캡 및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키 캡을 포함할 수 있다.A key cap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key cap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and a key cap not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는 상기 복합 기능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으며,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제1 키 캡(2130), 상기 복합 기능 영역과 오버랩되며,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는 제2 키 캡(2140), 상기 복합 기능 영역과 오버랩되며,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는 제3 키 캡(2150), 상기 복합 기능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으며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제4 키 캡(2160) 및 상기 복합 기능 영역과 일부 오버랩되나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제5 키 캡(217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 keycap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oes not overlap with the complex function area, overlaps with the first keycap 2130 not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and the complex function area. A second key cap 2140 included in, overlapping with the complex function area, and a third key cap 2150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not overlapping with the complex function area and not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A fourth key cap 2160 and a fifth key cap 2170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complex function area but not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may b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2100)의 상기 키 입력 영역(2110)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한 쌍의 일렉트로드가 상기 키 캡 레이어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to generate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in the key input area 2110 of the electronic device 210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t least one A pair of electrodes may be arranged to overlap a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d in the key cap layer.

예를 들어, 상기 제1 키 캡(2130)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1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2131,2132)가 상기 제1 키 캡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generate a first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first key cap 2130, at least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31 and 2132 overlap the first key cap. can be arranged so that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키 캡(2140)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제3 및 제4 일렉트로드(2141,2142)가 상기 제2 키 캡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at least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2141 and 2142 are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second key cap 2140. It can be arranged to overlap with.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3 키 캡(2150)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3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제5 및 제6 일렉트로드(2151,2152)가 상기 제3 키 캡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at least the fifth and sixth electrodes 2151 and 2152 are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third key cap 2150. It can be arranged to overlap with.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4 키 캡(2160)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4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제7 및 제8 일렉트로드(2161,2162)가 상기 제4 키 캡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at least the seventh and eighth electrodes 2161 and 2162 are configured to generate a fourth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fourth key cap 2160. It can be arranged to overlap with.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5 키 캡(2170)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5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제9 및 제10 일렉트로드(2171,2172)가 상기 제5 키 캡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at least the ninth and tenth electrodes 2171 and 2172 are configured to generate a fifth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the fifth key cap 2170. It can be arranged to overlap with.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기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키 캡과 오버랩되는 한 쌍의 일렉트로드는 제3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air of electrodes overlapping a keycap not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may be a third type electrode.

예를 들어, 상기 제1 키 캡(213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2131,2132)는 제3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31 and 2132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first key cap 2130 may be third type electrod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4 키 캡(216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7 및 제8 일렉트로드(2161,2162)는 제3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seventh and eighth electrodes 2161 and 2162 disposed to overlap the fourth key cap 2160 may be third type electrod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5 키 캡 (217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9 및 제10 일렉트로드(2171,2172)는 제3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ninth and tenth electrodes 2171 and 2172 disposed to overlap the fifth key cap 2170 may be third type electrod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제3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ird type electrode may be an electrod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또한, 상기 제3 타입 일렉트로드는 상술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hird type electrode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the protruding part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type electr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복합 기능 영역 과 오버랩되지 않는 키 캡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 중 한 쌍의 일렉트로드와 오버랩되되 다른 일렉트로드들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key cap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complex function region may overlap with a pair of electrodes among a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but may not overlap with other electrodes.

예를 들어, 상기 제1 키 캡(2130)은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2131,2132)와 오버랩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다른 일렉트로드들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key cap 2130 may overlap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31 and 2132 but may not overlap other electrodes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n'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기능 영역 내에 포함되는 키 캡들 중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2 개의 키 캡 각각에 대한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mong the keycaps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the electrodes for generating key input signals for each of the two adjacent keycap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예를 들어, 상기 복합 기능 영역 내에 포함되며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기 제2 키 캡(2140) 및 상기 제3 키 캡(2150) 각각에 대한 제2 키 입력 신호 및 제3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a second key input signal and a third key input signal for each of the second key cap 2140 and the third key cap 2150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an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Electrodes for generating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키 캡(2140)과 오버랩되며, 상기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제3 및 제4 일렉트로드(2141,2142)는 상기 제3 키 캡(2150)과 오버랩되며, 상기 제3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5 및 제6 일렉트로드(2151,2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overlaps with the second key cap 2140, and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2141 and 2142 for generating the second key input signal overlap with the third key cap 2150. and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and sixth electrodes 2151 and 2152 for generating the third key input signal.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기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키 캡들 중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2 개의 키 캡 각각에 대한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들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some of the electrodes for generating key input signals for each of two key caps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mong the key caps not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can

예를 들어, 상기 복합 기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으며,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기 제4 키 캡(2160) 및 상기 제5 키 캡(2170) 각각에 대한 제4 키 입력 신호 및 제5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들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 fourth key input signal and a fifth key for each of the fourth key cap 2160 and the fifth key cap 2170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and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layout. At least some of the electrodes for generating input signal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키 캡(2160)과 오버랩되며, 상기 제4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한 쌍의 일렉트로드 중 상기 제7 일렉트로드(2161)는 상기 제5 키 캡(2170)과 오버랩되며, 상기 제5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한 쌍의 일렉트로드 중 상기 제9 일렉트로드(21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venth electrode 2161 overlaps with the fourth key cap 2160, and among the pair of electrodes for generating the fourth key input signal, the fifth key cap 2170 and overlapping,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inth electrode 2171 of the pair of electrodes for generating the fifth key input signal.

도 13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키 입력 센서와 터치 입력 센서가 일렉트로드 레이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합 기능 영역의 터치 분해능을 향상시키되,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키 입력 영역의 구성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FIG. 13, the key input sensor and the touch input sensor can be implemented as an electrode layer, and the touch resolution of the complex function area is improved, but the key input area not included in the complex function area. configuration can be simpler.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일부를 이용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More specifically,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by using a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2200)는 키 캡 레이어(2210), 탄성 유닛 레이어(2220)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2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an electronic device 220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key cap layer 2210, an elastic unit layer 2220, and an electrode layer 2230.

이 때, 상기 키 캡 레이어(2210), 탄성 유닛 레이어(2220)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223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key cap layer 2210, the elastic unit layer 2220, and the electrode layer 2230,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223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센서(2250) 및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센서(2240)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ectrode layer 2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touch input sensor 2250 and at least one key input sensor 2240 .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센서(225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above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at least one touch input sensor 2250, redundant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센서(224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sinc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at least one key input sensor 2240, redundant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센서(2240)는 상술한 제3 타입 일렉트로드, 상술한 스위치 등에 대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key input sensor 2240 can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third-type electrode, the above-described switch, and the like, so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센서(224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센서(225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센서(225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와 상이한 일렉트로드로 구성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센서(2240)를 구성하는 일렉트로드가 두 개 인 경우 하나의 일렉트로드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센서(225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의 일부로서 구성되며, 다른 하나의 일렉트로드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센서(225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와 상이한 일렉트로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key input sensor 2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art of at least one electrode constituting the at least one touch input sensor 2250, and the at least one touch input sensor 2250 ), and when there are two electrodes constituting at least one key input sensor 2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electrode corresponds to at least one touch input. It is configured as a part of at least one electrode constituting the sensor 2250, and the other electrode may be composed of an electrode different from the at least one electrode constituting the at least one touch input sensor 2250. Not limi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2230)는 절연 레이어(2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ectrode layer 2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2231.

이 때, 상기 절연 레이어(2231)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23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일렉트로드 레이어(2230)와 구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ulating layer 2231 is described as being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23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may be provid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electrode layer 223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231)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23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와 오버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layer 22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one electrode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230.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231)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230)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 센서(2250)를 구성하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2251) 및 제2 일렉트로드(2252)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22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electrode 2251 and the second electrode 2252 for constituting the touch input sensor 2250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230. It may be arranged to overlap wi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231)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23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layer 22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sposed not to overlap with at least one electrode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230 .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231)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230)에 포함되는 키 입력 센서(2240)를 구성하기 위한 제3 일렉트로드(2241) 및 제4 일렉트로드(2242)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22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hird electrode 2241 and a fourth electrode 2242 for constituting the key input sensor 2240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230. It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231)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insulating layer 22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t least one hol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231)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230)에 포함되는 키 입력 센서(2240)를 구성하기 위한 제3 일렉트로드(2241) 및 제4 일렉트로드(2242)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홀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22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hird electrode 2241 and a fourth electrode 2242 for constituting the key input sensor 2240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230.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first hole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231)는 상기 탄성 유닛 레이어(2220)에 포함되는 제1 탄성 유닛에 포함되는 제1 전도성 물질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홀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22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ole loc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first elastic unit included in the elastic unit layer 2220. It may be provided 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231)는 상기 키 캡 레이어(2210)에 포함되는 제1 키캡의 중심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1 홀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22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first hole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first keycap included in the keycap layer 2210, Not limited to this.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일부를 이용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More specifically,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by using a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2300)는 키 캡 레이어(2310), 탄성 유닛 레이어(2320)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2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an electronic device 230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key cap layer 2310, an elastic unit layer 2320, and an electrode layer 2330.

이 때, 상기 키 캡 레이어(2310), 탄성 유닛 레이어(2320)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233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key cap layer 2310, the elastic unit layer 2320, and the electrode layer 2330,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233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센서(2350) 및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센서(2340)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ectrode layer 2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touch input sensor 2350 and at least one key input sensor 2340 .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센서(235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at least one touch input sensor 2350, redundant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센서(234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at least one key input sensor 2340, redundant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센서(2340)는 상술한 제3 타입 일렉트로드, 상술한 스위치 등에 대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key input sensor 2340 may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third-type electrode, the above-described switch, and the like, so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센서(234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센서(235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센서(235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와 상이한 일렉트로드로 구성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센서(2340)를 구성하는 일렉트로드가 두 개 인 경우 하나의 일렉트로드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센서(235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의 일부로서 구성되며, 다른 하나의 일렉트로드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센서(235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와 상이한 일렉트로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key input sensor 23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art of at least one electrode constituting the at least one touch input sensor 2350, and the at least one touch input sensor 2350 ), and when there are two electrodes constituting at least one key input sensor 23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electrode corresponds to at least one touch input. It is configured as a part of at least one electrode constituting the sensor 2350, and the other electrode may be composed of an electrode different from the at least one electrode constituting the at least one touch input sensor 2350. Not limi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2330)는 절연 레이어(2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ectrode layer 2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2331.

이 때, 상기 절연 레이어(2331)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33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일렉트로드 레이어(2330)와 구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ulating layer 2331 is described as being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33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may be provid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electrode layer 233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331)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33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와 오버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layer 23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one electrode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330.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331)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330)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 센서(2350)를 구성하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2351), 제2 일렉트로드(2352) 및 키 입력 센서(2340)를 구성하기 위한 제3 일렉트로드(2341), 제4 일렉트로드(2342)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23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2351 and a second electrode 2352 for constituting the touch input sensor 2350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330. And it may be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third electrode 2341 and the fourth electrode 2342 for constituting the key input sensor 23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331)는 적어도 일부 두께가 상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insulating layer 23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have at least a partial thickness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331)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330)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 센서(2350)를 구성하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2351) 및 제2 일렉트로드(2352)와 오버랩되는 제1 영역의 두께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330)에 포함되는 키 입력 센서(2340)를 구성하기 위한 제3 일렉트로드(2341) 및 제4 일렉트로드(2342)와 오버랩되는 제2 영역의 두께 보다 두껍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23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electrode 2351 and the second electrode 2352 for constituting the touch input sensor 2350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330. The thickness of the first area overlapping with the second area overlapping the third electrode 2341 and the fourth electrode 2342 for constituting the key input sensor 2340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330. It may be provid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331)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330)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 센서(2350)를 구성하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2351) 및 제2 일렉트로드(2352)와 오버랩되는 제1 영역의 두께가 상기 탄성 유닛 레이어(2220)에 포함되는 제1 탄성 유닛에 포함되는 제1 전도성 물질에 대응되는 제2 영역의 두께 보다 두껍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23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2351 and a second electrode (for constituting the touch input sensor 2350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330) 2352)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first elastic unit included in the elastic unit layer 2220, bu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레이어(2331)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330)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 센서(2350)를 구성하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2351) 및 제2 일렉트로드(2352)와 오버랩되는 제1 영역의 두께가 제1 키캡의 중심에 대응되는 제2 영역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23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2351 and a second electrode (for constituting the touch input sensor 2350 included in the electrode layer 2330) 2352),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overlapping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first keycap,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전반적으로 기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키 입력 센서와 터치 입력 센서가 일체로 구현되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전체적인 두께 또는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통합적 신호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점에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사용 인터페이스의 보다 빠르고 명확한 전환 역시 가능해질 수 있으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하락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describ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 key input sensor and a touch input sensor are integrally implemented to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r volum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 terms of signal control, a faster and clearer transition of the use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also be possible, and as described above, the durability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improved, , the manufacturing cost may decrease.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 및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n operation of an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6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는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an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touch input area, and may be driven in an operation mod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이 활성화되는 제1 동작 모드로 구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10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touch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a keyboard layout, and a first touch input area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3011 may be driven in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it is activ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touch input area,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도 16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이 활성화되는 제1 동작 모드를 기준으로 설명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과 상이한 터치 입력 영역(예를 들어, 오른쪽의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다른 동작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의 실시예들도 포함할 수 있다.16 may be described based on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embodiments in which a touch input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eg, a right touch input area) is driven in another operation mode in which it is activated. can

또한, 이 때,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것의 의미는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된다고 이해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meaning of the touch input area being activated may mean that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touch input signal for the activated touch input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typically the touch input area. may include concepts that are understood to be activated.

도 16의 (a)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의 (b)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 외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영역이 획득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6(a)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case where a user's touch input to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is acquired, and FIG. 16(b) shows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 It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 case where a user's touch input area to the outside is obtained.

우선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a) of FIG. 16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touch input to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of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obtained from a user. .

예를 들어,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터치 시작 점(3031) 및 터치 종료 점(3032)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 내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이 획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16 , a touch start point 3031 and a touch end point 3032 from the user are the first touch input of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 touch input included in the area 3011 may be acquir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터치 시작점(3031)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시작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최초로 획득된 터치 입력이 획득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정 기준 이상의 터치 입력 신호가 최초로 발생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시작점으로 이해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uch start point 3031 may mean a point where a touch input from the user starts, and may mean a point where a first touch input obtained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is obtained, and a touch input signal of a certain standard or higher is obtained. It may mean a first occurrence poi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concept commonly understood as a touch start point.

또한, 이 때, 상기 터치 종료점(3032)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종료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마지막으로 획득된 터치 입력이 획득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고, 일정 기준 이상의 터치 입력 신호가 마지막으로 발생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종료점으로 이해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touch end point 3032 may mean a point at which a touch input from the user ends, may mean a point at which a touch input obtained last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is acquired, and may mean a point at which a touch input is obtained over a certain standard or more. It may mean a point at which a touch input signal was last gene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concept commonly understood as a touch end point.

또한, 이 때, 상기 터치 시작점(3031) 및 상기 터치 종료점(3032) 사이의 터치 입력은 터치 경로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a touch input between the touch start point 3031 and the touch end point 3032 may be defined as a touch pa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a) of FIG. 16 , when a touch input to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of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the user,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can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와 연결된 전자기기에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와 연결된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3020)에 표시되는 포인터(3021)의 위치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touch input to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of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a user,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Information related to a pointer posi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3010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nd to a display device 3020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3010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The position of the displayed pointer 3021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 외부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6(b)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of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the user. It can be.

예를 들어,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터치 시작점(3041) 및 터치 종료점(3042)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 내에 포함되지 않는 터치 입력이 획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16, a touch start point 3041 and a touch end point 3042 from the user are the first touch input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 3011) may be acquir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터치 시작점(3041)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시작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최초로 획득된 터치 입력이 획득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정 기준 이상의 터치 입력 신호가 최초로 발생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시작점으로 이해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uch start point 3041 may mean a point where a touch input from the user starts, and may mean a point where a touch input first obtained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is obtained, and a touch input signal of a certain standard or higher It may mean a first occurrence poi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concept commonly understood as a touch start point.

또한, 이 때, 상기 터치 종료점(3042)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종료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마지막으로 획득된 터치 입력이 획득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고, 일정 기준 이상의 터치 입력 신호가 마지막으로 발생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종료점으로 이해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the touch end point 3042 may mean a point at which a touch input from the user ends, may mean a point at which a touch input obtained last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is acquired, and may mean a point at which a touch input obtained over a certain standard or more It may mean a point at which a touch input signal was last gene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concept commonly understood as a touch end point.

또한, 이 때, 상기 터치 시작점(3041) 및 상기 터치 종료점(3042) 사이의 터치 입력은 터치 경로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a touch input between the touch start point 3041 and the touch end point 3042 may be defined as a touch pa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 외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의 키보드 레이아웃 내에 포함되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의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the outside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may mean an area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and the key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t may refer to an area included in the layout but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and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but the first touch input area ( 30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 외부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16 again, when a touch inpu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of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the user,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It may not b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 외부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와 연결된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3020)에 표시되는 포인터(3022)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touch inpu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of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the user,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pointer 3022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3020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not chan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는 것의 의미는 터치 입력 신호는 획득되나 획득된 터치 입력 신호가 무시되어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터치 입력 신호는 획득되나 획득된 터치 입력 신호가 처리되어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또는 터치 입력 신호 자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는 다양한 예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fact that th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means that when the touch input signal is obtained but the acquired touch input signal is ignored and th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the touch input signal is acquired but the acquired touch input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a signal is processed and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or a touch input signal itself is not obtained, and various examples in which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may be included. .

상술한 예시들과 같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가 터치 입력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을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in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driven in an operation mod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convenience can be provided to a user who mainly uses the activated touch input area. .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가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이 활성화되는 제1 동작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왼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driven in the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touch input region 3011 is activated, convenience is provided to a user who mainly uses the left hand. can provide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왼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를 이용하여 타이핑을 치다가 왼손을 이용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싶은 경우, 오른손을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로부터 이동시키지 않고도 왼손을 이용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오른손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011) 외부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오른손에 의한 터치 입력에 의해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when a user who mainly uses his left hand wants to move a pointer using his left hand while typing using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he moves his right hand to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t is possible to move the pointer using the left hand without moving it from the provided electronic device 3010. In this case, since the right hand can be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3011, the touch input by the right hand Si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inter location is not generated by this method, convenien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이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가 오른손에 대응되는 영역인 제2 터치 입력 영역에 활성화되는 제2 동작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시들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understood that this provides convenience to a right-handed user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driven in a second operation mode activated 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corresponding to the right hand. It can be, and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s and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in various ways.

그러나,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의 크기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010)의 전체 터치 입력 영역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으며, 터치 입력 영역이 감소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However, the size of the activated touch input area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entire touch input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30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s the touch input area decreases, inconvenience may be caused to the user.

따라서, 사용자에게 맞게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을 제공하되, 터치 입력 영역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성도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providing a touch input area that is activated to suit the user, but solving the inconvenience caused by a decrease in the size of the touch input area.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7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 및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n operation of an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7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110)는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an electronic device 311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touch input area, and may be driven in an operation mod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110)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제1 터치 입력 영역(3111)이 활성화되는 제1 동작 모드로 구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11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touch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a keyboard layout, and a first touch input area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3111 may be driven in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it is activ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touch input area,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도 17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제1 터치 입력 영역(3111)이 활성화되는 제1 동작 모드를 기준으로 설명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111)과 상이한 터치 입력 영역(예를 들어, 오른쪽의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다른 동작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의 실시예들도 포함할 수 있다.17 may be described based on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touch input area 3111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embodiments in which a touch input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touch input area 3111 (eg, a right touch input area) is driven in another operation mode in which it is activated. can

또한, 이 때,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것의 의미는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된다고 이해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meaning of the touch input area being activated may mean that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touch input signal for the activated touch input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typically the touch input area. may include concepts that are understood to be activat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17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3131)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111) 내부에 위치하되,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종료점(3132)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3131)부터 터치 종료점(3132) 사이의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111)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More specifically, FIG. 17 shows that the touch start point 3131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is located in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3111, but the touch end point 3132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or the user's touch input This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es a case where at least a part of a touch path between the touch start point 3131 and the touch end point 3132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3111.

이 때, 상기 터치 시작점(3131)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시작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최초로 획득된 터치 입력이 획득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정 기준 이상의 터치 입력 신호가 최초로 발생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시작점으로 이해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uch start point 3131 may mean a point where a touch input from the user starts, and may mean a point where a first touch input obtained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is obtained, and a touch input signal of a certain standard or higher It may mean a first occurrence poi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concept commonly understood as a touch start point.

또한, 이 때, 상기 터치 종료점(3132)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종료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마지막으로 획득된 터치 입력이 획득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고, 일정 기준 이상의 터치 입력 신호가 마지막으로 발생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종료점으로 이해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the touch end point 3132 may mean a point at which a touch input from the user ends, may mean a point at which a touch input obtained last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is acquired, and may mean a point at which a touch input is obtained over a certain standard or more. It may mean a point at which a touch input signal was last gene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concept commonly understood as a touch end point.

또한, 이 때, 상기 터치 시작점(3131) 및 상기 터치 종료점(3132) 사이의 터치 입력은 터치 경로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a touch input between the touch start point 3131 and the touch end point 3132 may be defined as a touch pa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17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3131)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111)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종료점(3132)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3131)부터 터치 종료점(3132) 사이의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111) 외부에 위치하더라도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7 , when the touch start point 3131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is located in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3111, the touch end point 3132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or the user's touch input Even if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path between the touch start point 3131 and the touch end point 3132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3111,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3131)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111) 내부에 위치하되,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종료점(3132)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3131)부터 터치 종료점(3132) 사이의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111)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110)와 연결된 전자기기에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110)와 연결된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3120)에 표시되는 포인터(3121)의 위치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ouch start point 3131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is located in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3111, but the touch end point 3132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or the user's When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path between the touch start point 3131 and the touch end point 3132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3111,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so that the complex human interface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3110 provided, and the pointer 3121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3120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31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 may be displayed with a changed 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120)에 표시되는 상기 포인터(3121)의 이동 경로는 상기 터치 시작점(3131)과 상기 터치 종료점(3132) 사이의 터치 경로에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movement path of the pointer 3121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3120 may correspond to a touch path between the touch start point 3131 and the touch end point 3132,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종료점(3132)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3131)부터 터치 종료점(3132) 사이의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3111) 외부에 위치하되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110)의 터치 입력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path between the touch end point 3132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or the touch start point 3131 and the touch end point 3132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is the first touch input area 3111 Although located outside, it may be located within the touch input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3110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3200)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210),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220),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230) 및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단계(S324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a method 3200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operating in a first operating mode (S3210), obtain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S3220), If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S3230) and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If not, at least one step of not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S3240) may be included.

이 때,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210)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터치 입력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Also, in operating in the first operat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210), the first operating mode may be an operating mod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a touch input region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activated.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210)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제1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operating in the first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210), the first operation mode activates the first touch input area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t may be an operating mode to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220)에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터치 입력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obtaining a touch input from the user (S3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ouch input from the user may mean a touch input to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key caps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220)에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에서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obtain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S3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ouch input from the user is used to generate a touch input signal in at least a part of an electrode layer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t may mean a user's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230)에서, 상기 터치 시작점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시작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최초로 획득된 터치 입력이 획득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정 기준 이상의 터치 입력 신호가 최초로 발생한 지점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시작점으로 이해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when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230), the touch start point is the touch input starting point from the user. It may mean a point, may mean a point where a touch input obtained for the first time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is acquired, and may mean a point where a touch input signal of a certain standard or higher first occ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ypically It may include a concept understood as a touch starting poin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230)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은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S3230) when the starting point of the touch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ouch input area corresponds to the first touch input area. It may refer to at least a part of a touch input area activated in an operation mod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230)에서, 상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와 연결된 전자 기기의 포인터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generating pointer-related information (S3230)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inter location-related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t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of a pointer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rovided electronic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230)에서, 상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와 연결된 전자기기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와 연결된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위치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generating pointer-related information (S3230)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inter location-related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t may be transmitted to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rovided electronic device,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단계(S3240)에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것의 의미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하나 이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않는 경우 등의 다양한 경우들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3240 of not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when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This can be understood as including various cases, such as when a touch input signal is not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when a touch input signal is generated but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based thereon.

도 19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9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3300)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310),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20),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330),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단계(S3340),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 및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36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a method 3300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tep of operating in a first operating mode (S3310), obtain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S3320), If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S3330), and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If not, at least one step of not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S3340), obtaining a touch input from the user on a preset area (S3350), and operating in the third operation mode (S3360) can include

이 때,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31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step (S3310) operat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2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step of obtaining a touch input from the user (S3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33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step of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S3330) when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단계(S334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step of not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S3340) when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cquired from the user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기 설정된 영역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기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In addition,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region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50), the preset region may be a preset region for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기 설정된 영역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터치 입력 영역을 변경시키기 위한 기 설정된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S3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t area is a preset area for changing the touch input area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기 설정된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영역일 수 있다.Also,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S3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t area may be an area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기 설정된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일정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S3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t area may be a certain area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기 설정된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경계와 가까운 영역일 수 있다.Also,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50), the preset area may be an area close to the boundary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기 설정된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S3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t area may be an area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boundary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Not limited to thi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기 설정된 영역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일 수 있다.Also,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S3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t area may be an area close to the center of the touch input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기 설정된 영역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S3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t area may be an area including the center of the touch input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의 중심이 위치한 방향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이 위치한 방향과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acquir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50),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er of the preset area is located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nter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located may be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the touch input area of the devic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왼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의 중심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S3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enter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the center of the touch input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When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the center of the preset area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은 G 키에 대응되는 키 캡 또는 H 키에 대응되는 키 캡 중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된 영역일 수 있다.In addition,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50), the preset area is at least one key of a keycap corresponding to the G key or a keycap corresponding to the H key. It may be an area overlapping with the cap.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기 설정된 영역이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설계되는 것은 사용자가 넓은 터치 입력 영역을 사용하고 싶은 의도를 기계적으로 감지하기 위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50), the design of the preset area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dicates that the user intends to use a wide touch input area. It may be for mechanically sens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시작점으로부터 시작된 터치의 터치 경로 또는 터치 종료점에 대응되는 터치 입력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50), the touch input for the preset area is a touch input corresponding to a touch path of a touch starting from the touch start point or a touch end point. It may me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되, 기 설정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50),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of the touch input for the preset area is located with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the third operation mode is entered. However, if the touch starting point of the touch input for the preset area is not located with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the third operation mode may not oper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기 설정된 영역은 동작 모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from the user (S3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t area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기 설정된 영역은 제1 영역일 수 있으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기 설정된 영역은 제2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step of acquir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region from the user (S3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a first operation mode, the preset region is the first region. area, 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preset area may be the second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350)에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왼손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기 설정된 영역은 제1 영역일 수 있으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오른손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기 설정된 영역은 제2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in obtaining a touch input for a preset region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50), whe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a left-handed mode, the preset region is the first region. area, and whe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a right-handed mode, the preset area may be a second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360)에서, 제3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과 상이한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 되는 동작 모드 일 수 있다.Also, in operating in the thir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60), the third operation mode may be an operation mode in which a touch input area different from the touch input area activat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is activated.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360)에서, 제3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보다 큰 영역인 제2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operation in the thir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60), the third operation mode includes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a second touch area larger than the first touch input area. It may be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input area is activ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360)에서, 제3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과 상이한 제2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in the step of operating in the thir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60), the third operation mode overlaps the first touch input area at least in part bu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touch input area. It may be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360)에서, 제3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과 상이한 제2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in operating in the thir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60), the third operation mode may be an operation mode in which a second touch input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 but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360)에서, 제3 동작 모드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터치 입력 영역 전체가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in the step of operating in the third operation mode (S33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hird operation mode may be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entire touch input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activated. , but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360)에서, 상기 터치 시작점으로부터 시작된 터치 경로 또는 터치 종료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perating in the thir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60),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even if the touch path starting from the touch start point or the touch end point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360)에서,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perating in the thir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60),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even i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360)에서,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 이상 터치 입력이 획득되지 않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다시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operating in the third operat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3360), when a touch input is not obtained from the user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the first operating mode again.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3300)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왼손 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며, 왼손 모드에서 왼쪽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왼쪽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왼쪽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터치 시작점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슬라이딩을 하여 터치 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전체 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될 수 있고, 전체 모드에서 전체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고,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딩을 하여 왼쪽 터치 입력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3300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can be operated in a left-handed mode, and the left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in the left-handed mode. and, if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not included in the left touch input area,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inter location is not generated, but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left touch input area. In this cas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when the user slides to the right from the touch start point and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path is included in a preset area, the full mode can be switched and operated, and the entire mode can be operated. The touch input area may be activated, and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even when the user slides to the right and moves out of the left touch input area.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3300)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오른손 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며, 오른손 모드에서 오른쪽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오른쪽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오른쪽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터치 시작점으로부터 왼쪽으로 슬라이딩을 하여 터치 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전체 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될 수 있고, 전체 모드에서 전체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고, 사용자가 왼쪽으로 슬라이딩을 하여 오른쪽 터치 입력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3300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can be operated in a right-handed mode, and the right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in the right-handed mode. and, if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not included in the right touch input area,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but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right touch input area. In this ca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pointer can be generated, and when the user slides leftward from the touch starting point and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path is included in a preset area, the full mode can be switched and operated, and the full mode can be operated. The touch input area may be activated, and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even when the user slides to the left and leaves the right touch input area.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3400)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410),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420),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430) 및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단계(S334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 a method 3400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operating in a first operating mode (S3410), obtain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S3420), When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the third operation mode is operated, and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S3430) and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f the touch input area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t least one step of not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S3340) may be included.

이 때,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단계(S341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step (S3410) operat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S342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step of obtaining a touch input from the user (S3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단계(S344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step of not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S3440) when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cquired from the user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430)에서, 상기 제3 동작 모드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the third operation mode is operated, and in the step of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S3430), the first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3 operation modes,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430)에서, 터치 시작 점 및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the third operation mode is operated, and in the step of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S3430), touch start Since the above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dot and the first touch input area,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단계(S3430)에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third operation mode, and the pointer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is converted in step S3430 to the pointer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step of generating ,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3400)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왼손 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며, 왼손 모드에서 왼쪽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왼쪽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왼쪽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전체 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전체 모드에서 전체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고,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딩을 하여 왼쪽 터치 입력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3400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can be operated in a left-handed mode, and the left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in the left-handed mode. and, if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not included in the left touch input area,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inter location is not generated, but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left touch input area. In this case, it is switched to the full mode and oper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inter position can be generated, the entire touch input area can be activated in the full mode, and even if the user slides to the right and moves out of the left touch input area, the pointer location Relevan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3400)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오른손 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며, 오른손 모드에서 오른쪽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오른쪽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시작점이 오른쪽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전체 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되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전체 모드에서 전체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고, 사용자가 왼쪽으로 슬라이딩을 하여 오른쪽 터치 입력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3400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can be operated in a right-handed mode, and the right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in the right-handed mode. and, if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not included in the right touch input area,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but the touch start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right touch input area. In this case, it is switched to the full mode and oper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inter position can be generated, the entire touch input area can be activated in the full mode, and even if the user slides to the left and goes out of the right touch input area, the pointer location Relevan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0을 통해 기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확장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에 들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xtensible embodiments of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제2 동작 모드(전체 모드)로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를 제2 동작 모드(전체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제1 터치 입력 영역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 operation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when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during operation in a second operation mode (full mode). A step of changing the second operation mode (full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first touch input area mode) may be included.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시간과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획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time-related condition, 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a touch input is not obtained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An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from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또한, 이 때,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복수개의 키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키 입력과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키 입력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key caps,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related to key input, and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the key cap. When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is obtained during operation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a key input operation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mode can be changed.

또한, 이 때,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포함되는 제2 키 캡에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는 제2 동작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when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is obtained whil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operates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complex human interface The operating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maintained as the second operating mode.

또한, 이 때,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획득되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키 입력 동작 모드로 변경된 후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키 입력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whil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operates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is obtained, and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provided. When a touch input is obtained from the user after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changed from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the key input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changes from the key input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can be changed.

또한,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터치 입력과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개수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related to a touch input, and a touch is appli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touch points from a user whil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an input is obtained,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from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또한, 이 때,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입력은 4 개의 터치점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the touch input for the preset number of touch points may include touch input for four touch points.

또한,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터치 입력과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특정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related to a touch input, and a touch input for a specific area is obtained from a user while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In this case,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from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또한, 이 때,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4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Further, at this time, when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touch inputs for four touch points on the specific area are obtained from the user,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n operating mode of the device may be changed from the second operating mode to the first operating mode.

또한,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전원 모드 관련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전원이 OFF 된 후 다시 전원이 ON 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 될 수 있다.Further,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power mode related condition, 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turned off while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then turned on again, the power is turned on agai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operated in a first operation mod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변경된 후 제2 동작 모드가 유지될 수 잇다.Further,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fter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changed from the first operation mode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second operation mode can be maintained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터치 시작점이 포함되되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영역(제1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지 않으나, 터치 입력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이 획득된 후 외부 영역 내에 터치 시작점이 포함되는 추가적인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추가적인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touch start point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from the user, but the touch end point or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path is an external area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but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When an additional touch input including a touch start point within the external area is obtained after a touch input included in is obtained,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additional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으나,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영역에 사용자로부터 터치 시작점이 획득되는 경우, 포인터 관련 정보를 생성하지 않으나, 터치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touch starting point is acquired from a user in an area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but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the pointer related It does not generate information, but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touch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며, 기 설정된 제스쳐와 관련된 터치 입력인 경우, 기 설정된 제스쳐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an area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is a touch input related to a preset gesture, a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t gesture may be per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기 설정된 제스쳐는 터치 점의 개수 터치의 방향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2점 터치, 3점 터치, 4점 터치, 5점 터치, 2점 슬라이딩, 2점 왼쪽 슬라이딩, 2점 오른쪽 슬라이딩, 2점 위쪽 슬라이딩, 2점 아래쪽 슬라이딩, 3점 슬라이딩, 3점 왼쪽 슬라이딩, 3점 오른쪽 슬라이딩, 3점 위쪽 슬라이딩, 3점 아래쪽 슬라이딩, 4점 슬라이딩, 4점 왼쪽 슬라이딩, 4점 오른쪽 슬라이딩, 4점 위쪽 슬라이딩, 4점 아래쪽 슬라이딩, 5점 슬라이딩, 5점 왼쪽 슬라이딩, 5점 오른쪽 슬라이딩, 5점 위쪽 슬라이딩, 5점 아래쪽 슬라이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preset gesture may mean the number of touch points, the direction of the touch, and the like, 2-point touch, 3-point touch, 4-point touch, 5-point touch, 2-point sliding, 2-point left sliding, 2-point right sliding. , 2 points sliding up, 2 points sliding down, 3 points sliding, 3 points sliding left, 3 points sliding right, 3 points sliding up, 3 points sliding down, 4 points sliding, 4 points sliding left, 4 points sliding right, 4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sliding up by points, sliding down by 4 points, sliding by 5 points, sliding left by 5 points, sliding right by 5 points, sliding up by 5 points, sliding down by 5 points, and the like.

또한, 이 때, 기 설정된 제스쳐와 관련된 기능은 스크롤, 확대, 화면 스와핑 등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제스쳐에 따른 기능으로 이해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t gesture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of functions such as scrolling, zooming, and screen swapping, and may include various functions commonly understood as functions according to touch gestures. there is.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 값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obtained from a user is included in an area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adjustment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property value of the property to be adjusted may be gene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조절 대상 속성의 속성 값은 오디로 볼륨 관련 속성 값, 플레이백 관련 속성 값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속성 값으로 이해되는 다양한 개념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perty value of the property to be adjusted may mean a volume-related property value, a playback-related property value, etc. in audio, but may include various concepts commonly understood as property values.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며, 터치 점이 한 개인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 값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an area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is a touch input with one touch point,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an arrow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며, 터치 점이 한 개인 터치 입력인 경우 터치 입력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오른쪽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 값이 생성되며,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인 경우 왼쪽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 값이 생성되고, 슬라이딩 방향이 위쪽인 경우 위쪽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 값이 생성되며, 슬라이딩 방향이 아래쪽인 경우 아래쪽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 값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i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the touch input has one touch point, and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is to the right,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right arrow is If the sliding direction is left,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left arrow is generated, if the sliding direction is upward,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up arrow is generated, and if the sliding direction is downward,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down arrow is generated. This may be gene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며, 터치 점이 두 개인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상기 터치 입력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조합키에 대응되는 키 값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for example, whe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an area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is a touch input having two touch points, the touch input is a key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key according to a slidin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A value may be gene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며, 터치 점이 두 개인 터치 입력인 경우 터치 입력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컨트롤에 대응되는 키 값과 오른쪽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 값을 포함하는 조합키 입력이 생성되며,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인 경우 컨트롤에 대응되는 키 값과 왼쪽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 값을 포함하는 조합키 입력이 생성되고, 슬라이딩 방향이 위쪽인 경우 컨트롤에 대응되는 키 값과 위쪽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 값을 포함하는 조합키 입력이 생성되며, 슬라이딩 방향이 아래쪽인 경우 컨트롤에 대응되는 키 값과 아래쪽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 값을 포함하는 조합키 입력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i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is a touch input with two touch points, if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is to the right,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nd the right side A combination key input including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arrow is created, and if the sliding direction is left, a combination key input including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nd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left arrow is created, and the sliding direction is upward In case of , a combination key input including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nd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up arrow is created, and if the sliding direction is downward, the combination including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nd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down arrow A key input may be gene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며, 터치 점이 세 개인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상기 터치 입력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조합키에 대응되는 키 값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for example, whe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an area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is a touch input having three touch points, the touch input is a key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key according to a slidin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A value may be gene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며, 터치 점이 세 개인 터치 입력인 경우 터치 입력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컨트롤에 대응되는 키 값과 아래쪽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 값을 포함하는 조합키 입력이 생성되며,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인 경우 컨트롤에 대응되는 키 값과 위쪽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 값을 포함하는 조합키 입력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if the touch input acquir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is a touch input with three touch points, if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is to the right,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nd the bottom A combination key input including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arrow is generated, and when the sliding direction is left, a combination key input including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nd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up arrow may be generated, but is limited to this. It doesn't work.

이는,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워드파일에서 커서가 아래 단락으로 이동되는 조합키가 출력되며,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인 경우, 워드 파일에서 커서가 위쪽 단락으로 이동되는 조합키가 출력되도록 셋팅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is means that if the sliding direction is right, the combination key that moves the cursor to the lower paragraph in the word file is output, and if the sliding direction is left, the combination key that moves the cursor to the upper paragraph in the word file is output.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며, 터치 점이 네 개인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상기 터치 입력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기능키에 대응되는 키 값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for example, whe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an area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is a touch input having four touch points, the touch input is a key corresponding to a function key according to a slidin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A value may be gene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며, 터치 점이 네 개인 터치 입력인 경우 터치 입력의 슬라이딩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Page Down 에 대응되는 기능 키 값이 생성되며, 슬라이딩 방향이 왼쪽인 경우 Page Up 에 대응되는 기능 키 값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if the touch input acquir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an area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the touch input has four touch points, the function key value corresponding to Page Down whe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is to the right is generated, and when the sliding direction is left, a function key value corresponding to Page Up may be gene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술한 예시들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일 뿐이며, 상술한 예시들을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and appropriate combinations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술한 제1 터치 입력 영역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은 특정 키 입력과 함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to the area included in the area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described above can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to the area with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together with a specific key input. can

예를 들어, 기능키를 누른 상태에서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 값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a user's touch input to an area with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obtained while pressing a function key,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an arrow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sliding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n't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나의 예시만들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다양한 예시들이 특정 키 입력과 함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only one example has been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various example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n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to an area with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long with a specific key inpu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된 후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경로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과 상이한 제2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다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touch path of a touch input obtained from a user after a touch start point of a touch input obtained from a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When is included in an area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a second touch input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and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path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again the first touch input. When included in the area, the first touch input area may be activa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제2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 조절 관련 정보를 생성하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고,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제3 영역)내에 포함되고,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 조절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 second touch input area, and a touch starting point of a touch input obtained from a user When included 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property value adjustment-related information of an attribute to be adjusted is generated, wherein the touch start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at least one of a touch end point or a touch path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When a part is included 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touch start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third area)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the touch end point Alternatively, when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path is included 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property value adjustment-related information of the property to be adjusted may be generated.

즉,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동작 모드에 따라 활성화되고 활성화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속성 값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에서 제1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 되는 영역이며, 외부 영역이 활성화되지 않는 영역이고 제2 터치 입력 영역이 속성 값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일 때, 제1 터치 입력 영역으로부터 시작된 터치 입력이 외부 영역 또는 제2 터치 입력 영역으로 확장되는 경우(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해당 영역으로 확장되는 것을 의미함)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며, 제2 터치 입력 영역으로부터 시작된 터치 입력의 경우는 속성값을 조절하기 위해 기능하며, 외부 영역으로부터 시작된 터치 입력이 제2 터치 입력 영역으로 확장되는 경우 속성 값을 조절하기 위해 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at is,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include areas that are activated and not activ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may include areas for adjusting property values, and may include a first touch in a scenar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input area is an activated area, the outer area is a non-activated area, and the second touch input area is an area for adjusting property values, a touch input starting from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the outer area or the second touch input area. (meaning that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end point or touch path extends to the corresponding area),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inter position is continuously generated, and in the case of a touch input starting from the second touch input area, property values are adjusted. It may be understood that it may function to adjust an attribute value when a touch input started from an external area extends to a second touch input area.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중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외부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Further,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touch input to an area outside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obtained while being operated in a first operation mode.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 및 이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utilization scenario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scenar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1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utilization scenario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1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자(3510),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 디스플레이 장치(3530) 및 가상 현실 기기(3540)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1 , in order to describe a utilization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user 3510, an electronic device 3520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 display device ( 3530) and a virtual reality device 3540 are shown.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는 사용자(3510)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와 가상 현실 기기(3540)를 함께 사용하는 시나리오일 수 있다.A utilization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 scenario in which a user 3510 uses an electronic device 352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 virtual reality device 3540 together. there is.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는 사용자(3510)가 책상에 앉아서 작업을 하면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를 인터페이스 장치로 이용하되, 가상 현실 기기(3540)를 사용하는 시나리오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in a utilization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user 3510 uses the electronic device 352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s an interface device while sitting at a desk and working. However, it may be a scenario using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는 상술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결된 전자 기기에 대한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양한 예시들이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520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an interface device for a connected electronic device. Various examples of can be applied.

또한,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530)는 컴퓨터의 모니터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35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fer to a computer moni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display devices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또한,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3540)는 VR(Virtual reality) 기기, AR(Augmented Reality) 기기, MR(Mixed Reality) 기기, XR(eXpended Reality)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virtual reality (VR) device, an augmented reality (AR) device, a mixed reality (MR) device, an expanded reality (XR) device, and the like, but , but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3540)는 사용자(3510)의 시야에 주변에 대응되는 이미지(355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utilization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may display an image 3550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s in the field of view of the user 3510. there i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3540)는 사용자(3510)의 시야에 주변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 및 디스플레이 장치(3530)에 대응되는 이미지(3551,3552)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is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d in the user's 3510's field of view. Images 3551 and 3552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3520 and the display device 3530 may be display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3540)는 메인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메인 프로세서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 utilization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rocessor and display an image obtained from the main processor.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3540)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 utilization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includes a main processor and can generate and display various informati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354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sage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obtains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352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can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354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obtains a key input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352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t can, bu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354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로부터 키 입력 값을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usage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receives a key input value from the electronic device 352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can be obtai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354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로부터 터치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usage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receives a touch input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352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can be obtai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354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로부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usage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is related to the pointer loc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352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354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좌표 값을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usage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receives at least on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352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 coordinate value may be acquir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354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로부터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usage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enters an operation mode from the electronic device 352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활용 시나리오(3500)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354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3520)로부터 전력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usage scenario 3500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enters the power mode from the electronic device 3520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354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3550)를 기준으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image 3550 displayed on the virtual reality device 35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2 및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22 and 23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 user's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2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3600)에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3620) 및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이미지(36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 a screen 3600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n image 36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 image 3620 corresponding to a display device, and a user At least one image of the images 3630 corresponding to the hand of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일부 변경될 수 있다.An image 36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t least partially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에 포함되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키 입력에 대응되는 영역의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a key input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a user, the key input from the user included in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btained. An imag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may be chang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로부터 키 입력 신호가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에 포함되며,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의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a key input signal is obtained from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t is included in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key input signal The imag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 may be chang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로부터 키 입력 값이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에 포함되며, 키 입력 값에 대응되는 영역의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a key input value is obtained from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t is included in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key input value An imag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may be chang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것은 다양한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various change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것은 대응되는 영역의 색이 변경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chang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changing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region.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것은 대응되는 영역에 하이라이트 표시가 출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changing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outputting a highlight display in a corresponding reg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n'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것은 상술한 예시들 외에도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다양한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partially changing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outputting various visual effects for the corresponding area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것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것은 제1 시간 구간 동안 유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t least a partial change of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aintained during the first time interv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기 위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t least partially change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기 위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키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order to change at least a portion of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transmit a key input signal, bu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기 위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키 입력 신호 및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한 좌표 값을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in order to change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requires a key input signal and a key input signal. The generated coordinate value may be transmit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기 위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키 캡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for example, in order for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be at least partially changed,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corresponds to a position where a key input signal is generated. Key cap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기 위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키 값을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in order to change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generated based on a key input signal. A key value may be transmit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기 위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키 값 및 키 값에 대응되는 좌표 값을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in order to change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3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generated based on a key input signal. A key value and a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key value may be transmit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36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일부 변경될 수 있다.Also, the image 362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t least partially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3620)에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키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key input for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the user, text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output on the image 362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로부터 키 입력 신호가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3620)에 키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a key input signal is obtained from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text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may be output on the image 362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but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로부터 키 입력 값이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3620)에 키 입력 값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a key input value is obtained from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text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value may be output on the image 362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but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술한 키 입력은 푸쉬 입력, 키 입력, 누름 입력, 텍스트 입력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key input may be expressed as push input, key input, press input, text input,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3700)에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3720) 및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이미지(37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 a screen 3700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n image 37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 image 3720 corresponding to a display device, and a user At least one image of the images 3730 corresponding to the hand of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일부 변경될 수 있다.An image 37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t least partially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에 포함되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영역의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a user, the obtained touch input from the user included in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btained. An imag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a touch input may be chang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에 포함되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 터치 종료점 및 터치 시작점으로부터 터치 종료점까지의 터치 경로 대응되는 영역의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to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a user, the user included in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ouch start point of the acquired touch input, the touch end point, and the imag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path from the touch start point to the touch end point may be chang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로부터 터치 입력 신호가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에 포함되며,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의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signal is obtained from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t is included in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touch input signal The image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 may be chang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로부터 터치 입력 좌표 값이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에 포함되며, 터치 입력 좌표 값에 대응되는 영역의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coordinate value is obtained from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t is included in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ouch input An imag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may be chang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것은 다양한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Also, changing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various changes.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것은 대응되는 영역의 색이 변경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chang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changing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region.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것은 대응되는 영역에 하이라이트 표시가 출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changing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outputting a highlight display in a corresponding reg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n'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것은 상술한 예시들 외에도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다양한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partially changing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outputting various visual effects for a corresponding reg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것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것은 제2 시간 구간 동안 유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t least a partial change of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aintained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기 위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t least partially change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기 위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터치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order to change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transmit a touch input signal, bu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기 위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터치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한 좌표 값을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in order for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be at least partially changed,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has a touch input signal and a touch input signal. The generated coordinate value may be transmit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710)가 적어도 일부 변경되기 위하여,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되는 키 캡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in order for the image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be at least partially changed,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corresponds to a location where a touch input signal is generated. Key cap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37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일부 변경될 수 있다.Also, the image 372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t least partially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3720)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a user, the location of a pointer displayed on the image 372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hanged. , but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로부터 터치 입력 신호가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3720)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signal is acquired from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image 372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hanged. Not limited.

또한, 예를 들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로부터 터치 입력 좌표 값이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3720)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a touch input coordinate value is obtained from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the position of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image 372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hanged. Not limited to this.

또한, 상술한 터치 입력은 터치 입력, 슬라이딩 터치 입력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touch input may be expressed as a touch input, a sliding touch input,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37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S. 22 and 23 , images 3610 and 37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user's input.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3710)에 제1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3710)에 제2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a key input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the user, a first visual effect is applied to images 3610 and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output, and when a touch input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a user, a second image 3610 or 37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layed. A visual effect may be out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제1 비쥬얼 이펙트 및 상기 제2 비쥬얼 이펙트는 색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first visual effect and the second visual effect may have different color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상기 제1 비쥬얼 이펙트 및 상기 제2 비쥬얼 이펙트는 영역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the first visual effect and the second visual effect may have different sizes of region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상기 제1 비쥬얼 이펙트가 지속되는 시간과 상기 제2 비쥬얼 이펙트가 지속되는 시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the duration of the first visual effect and the duration of the second visual effec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제2 비쥬얼 이펙트가 지속되는 시간은 상기 제1 비쥬얼 이펙트가 지속되는 시간보다 길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duration of the second visual effect may be longer than the duration of the first visual effe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371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S. 22 and 23 , images 3610 and 37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differently changed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t can be.

예를 들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1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3710)에 제1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될 수 있으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2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3710)에 제2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the first mode, a first visual effect is output to images 3610 and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the second mode, a second visual effect is output on the images 3610 and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텍스트 입력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3710)에 제1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될 수 있으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터치 입력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3710)에 제2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a text input mode, a first visual effect is applied to the images 3610 and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output, 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a touch input mode, a second visual effect is applied to the images 3610 and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out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제1 비쥬얼 이펙트 및 상기 제2 비쥬얼 이펙트는 색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first visual effect and the second visual effect may have different color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상기 제1 비쥬얼 이펙트 및 상기 제2 비쥬얼 이펙트는 영역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the first visual effect and the second visual effect may have different sizes of region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상기 제1 비쥬얼 이펙트 및 상기 제2 비쥬얼 이펙트는 동시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the first visual effect and the second visual effect may not be simultaneously out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텍스트 입력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제2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a text input mode and a user's touch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a second visual effect is output. may not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터치 입력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제1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a touch inpu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user's key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a first visual effect may not be out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상기 제1 비쥬얼 이펙트가 지속되는 시간과 상기 제2 비쥬얼 이펙트가 지속되는 시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the duration of the first visual effect and the duration of the second visual effec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제2 비쥬얼 이펙트가 지속되는 시간은 상기 제1 비쥬얼 이펙트가 지속되는 시간보다 길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duration of the second visual effect may be longer than the duration of the first visual effe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3710)에 제1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1 비쥬얼 이펙트가 사라지고 제2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ile the first visual effect is being output to the images 3610 and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 touch input for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the user. In this case, the first visual effect disappears and the second visual effect may be out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610,3710)에 제2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한 키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 비쥬얼 이펙트가 사라지고 제1 비쥬얼 이펙트가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ile the second visual effect is being output to the images 3610 and 37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 key input for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btained from the user. In this case, the second visual effect may disappear and the first visual effect may be out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4 내지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24 to 28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4 내지 도 28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에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FIGS. 24 to 28 , since the above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to be described below,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3800)에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810),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3820) 및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이미지(38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image 38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 image 3820 corresponding to a display device, and a user are displayed on a screen 3800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t least one image of the images 3830 corresponding to the hand of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810)는 제1 타입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Wh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perat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an image 38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a first type imag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키 입력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81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perated in a key input mode, an image 38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an i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layout may be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작 모드는 키 입력 모드, 텍스트 입력 모드, 키보드 모드 등 텍스트 입력을 위한 키 입력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모드로서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first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variously expressed as a mode for obtaining a key input signal for text input, such as a key input mode, a text input mode, and a keyboard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5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3900)에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910),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3920) 및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이미지(39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 an image 39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 image 3920 corresponding to a display device, and a user are displayed on a screen 3900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one image of the images 3930 corresponding to the hand of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910)는 제2 타입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Wh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perat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n image 39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a second type imag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터치 입력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91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이 표시된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perated in a touch input mode, an image 39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an image 3910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area may be provided as a displayed im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동작 모드는 터치 입력 모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 획득 모드, 터치 모드 등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모드로서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secon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variously expressed as a mode for acquiring a touch input signal according to a touch input from a user, such as a touch input mode, a pointer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acquisition mode, and a touch mode. Not limited.

도 26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4000)에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010),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4020) 및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이미지(40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 a screen 4000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n image 40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 image 4020 corresponding to a display device, and a user At least one image of the images 4030 corresponding to the hand of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010)는 제3 타입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Wh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perated in the third operation mode, the image 40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a third type imag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오른손 터치 입력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01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오른손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이 표시된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perated in a right hand touch input mode, the image 40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hand touch region of may be provided as an image display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동작 모드는 오른손 터치 입력 모드, 오른손잡이 모드, 오른손 모드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thir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expressed as a right-handed touch input mode, a right-handed mode, a right-handed mod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7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4100)에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110),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4120) 및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이미지(41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 a screen 4100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n image 41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 image 4120 corresponding to a display device, and a user At least one image of the images 4130 corresponding to the hand of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4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110)는 제4 타입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Wh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perated in the fourth operation mode, an image 41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a fourth type imag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왼손 터치 입력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11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왼손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이 표시된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perated in a left-handed touch input mode, the image 41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eft hand touch area of may be provided as an image display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동작 모드는 왼손 터치 입력 모드, 왼손잡이 모드, 왼손 모드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fourth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expressed as a left-handed touch input mode, a left-handed mode, or a left-handed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4200)에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210),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4220) 및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이미지(42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8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 a screen 4200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n image 42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 image 4220 corresponding to a display device, and a user At least one image of the images 4230 corresponding to the hand of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4 동작 모드에서 제2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210)는 적어도 일부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perated from the fourth operation mode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42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왼손 터치 입력 모드로 동작되는 중 터치 입력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21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왼손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이 표시된 이미지에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이 표시된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perated in a left-handed touch input mode and is changed to a touch input mode, the image 42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displayed as a complex human interface. An image displaying an area corresponding to a touch area of the left hand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to an image displaying an area corresponding to a touch area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810,3910,4010,4110,4210)가 변경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S. 24 to 28 , an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accordingly, an image 38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3910, 4010, 4110, 4210) may be changed.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1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제1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810,3910,4010,4110,4210)가 제1 타입 이미지에서 제2 타입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first input is obtained from a user while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a first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changed to a second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mode may be changed, and accordingly, the images 3810, 3910, 4010, 4110, and 42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from the first type image to the second type image. Not limited.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텍스트 입력 모드로 동작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터치 입력 모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810,3910,4010,4110,4210)가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이미지에서 터치 영역을 표시하는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touch input is obtained from a user while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a text input mode, the operating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a touch input. mode, and accordingly, the images 3810, 3910, 4010, 4110, and 42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can be changed from images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layout to images displaying the touch area.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제2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810,3910,4010,4110,4210)가 제2 타입 이미지에서 제1 타입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second input is obtained from a user while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changed. The first operation mode may be changed, and accordingly, the images 3810 , 3910 , 4010 , 4110 , and 42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from the second type image to the first type image. , but not limited thereto.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터치 입력 모드로 동작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텍스트 입력 모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810,3910,4010,4110,4210)가 터치 영역을 표시하는 이미지에서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key input is obtained from a user while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a touch input mode, the operating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set to text input. mode, and accordingly, the images 3810, 3910, 4010, 4110, and 4210 corresponding to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complex human interfaces can be changed from images displaying touch areas to images corresponding to keyboard layout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2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제3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3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810,3910,4010,4110,4210)가 제2 타입 이미지에서 제3 타입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third input is obtained from the user whil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changed. It may be changed to the third operation mode, and accordingly, the images 3810, 3910, 4010, 4110, and 42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from the second type image to the third type image. , but not limited thereto.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터치 입력 모드로 동작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조합키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오른손 터치 입력 모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3810,3910,4010,4110,4210)가 터치 영역을 표시하는 이미지에서 오른손 터치 영역을 표시하는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preset combination key input is obtained from a user while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a touch input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changed to a right-hand touch input mode, and accordingly, the images 3810, 3910, 4010, 4110, and 42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display the right-hand touch area in the images displaying the touch area. It may be changed to an im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9 및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29 and 30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nvironment of an application driven in the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9 및 도 30을 설명하기에 앞서,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은 메인 프로세서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설정 환경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으로 기술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FIGS. 29 and 30 , the environment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a virtual reality device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n environment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a main processor, a setting environment of a complex human interface device, and the like. For convenience, it will be described as an environment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a virtual reality device.

도 29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4400)에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410)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442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 , at least one of an image 44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n image 4420 corresponding to a display device are displayed on a screen 4400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image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이 제1 환경인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410)는 제1 타입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n environment of an application driven in a virtual reality device is a first environment, an image 44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a first type imag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언어 환경이 영어로 설정된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410)는 쿼티(QWERTY) 자판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language environment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et to English, the image 44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QWERTY keyboard. It may be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4500)에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510)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452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0 , at least one of an image 45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n image 4520 corresponding to a display device are displayed on a screen 4500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image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이 제2 환경인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510)는 제2 타입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If the environment of an application driven in the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he second environment, the image 45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a second type imag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언어 환경이 한국어로 설정된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510)는 한글 두벌식 자판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language environment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et to Korean, an image 45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will be provid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Korean keyboard.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29 및 도 30을 통해 기술한 예시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310,4410)가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exampl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9 and 30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mages 4310 and 44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a virtual reality device. may be changed and provided.

도 31 및 도 32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31 and 32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pplications driven in the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1 및 도 32을 설명하기에 앞서,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프로세서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기술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FIGS. 31 and 32, an application running in a virtual reality device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n application running in a main processor,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described as an application running in a virtual reality device. I'm going to do it.

도 31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4500)에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510)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452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 at least one of an image 45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n image 4520 corresponding to a display device are displayed on a screen 4500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image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1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510)는 제1 타입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If an application driven in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first application, an image 45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a first type imag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게임이며, 게임 캐릭터 이동을 위해 활성화되는 버튼이 WASD 인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510)는 WASD에 대응되는 버튼의 이미지만 출력되거나 WASD에 대응되는 버튼의 이미지에 하이라이트가 출력되는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f an application driven in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game and a button activated to move a game character is WASD, an image 45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WASD. An image in which only an image of a button corresponding to , or a highlight is output on an image of a button corresponding to WASD may be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2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4600)에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610)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462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2 , at least one of an image 46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nd an image 4620 corresponding to a display device are displayed on a screen 4600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image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2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610)는 제2 타입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If the application that is driven in the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he second application, the image 4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a second type image.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게임이며, 게임 캐릭터를 컨트롤하기 위해 활성화되는 버튼이 1,2,3,4,Q,W,E,R 인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610)는 1,2,3,4,Q,W,E,R에 대응되는 버튼의 이미지만 출력되거나, 1,2,3,4,Q,W,E,R에 대응되는 버튼의 이미지에 하이라이트가 출력되는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f an application running on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game, and buttons activated to control a game character are 1, 2, 3, 4, Q, W, E, and R, the complex human In the image 46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interface, only images of buttons corresponding to 1,2,3,4,Q,W,E,R are output, or 1,2,3,4,Q,W Images of buttons corresponding to , E and R may be provided with highligh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31 및 도 32을 통해 기술한 예시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510,4610)가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exampl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1 and 32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mages 4510 and 46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re changed according to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virtual reality device. can be provided.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전원 모드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 power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3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may include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전원 모드가 제1 전원 모드인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는 제1 타입 이미지(471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전원 모드가 제2 전원 모드인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는 제2 타입 이미지(4720)로 제공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전원 모드가 제3 전원 모드인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는 제3 타입 이미지(473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전원 모드가 제4 전원 모드인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는 제4 타입 이미지(4740)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power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the first power mod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a first type image 4710. When the power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the second power mod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the second type image 4720. When the power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ccording to the example is the third power mod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a third type image 47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f the power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s the fourth power mod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the fourth type image 4740 .

이 때, 상기 제1 전원 모드는 전원 off 모드 또는 연결 부재 모드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first power mode may mean a power off mode or a connection member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상기 제2 전원 모드는 전원 Sleep 모드 또는 대기 모드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the second power mode may mean a power sleep mode or a standby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상기 제3 전원 모드는 Semi-active 모드, 활성 대기 모드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the third power mode may mean a semi-active mode, an active standby mod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 때, 상기 제4 전원 모드는 Active 모드, 활성화 모드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at this time, the fourth power mode may mean an active mode, an active mod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타입 이미지(4710 내지 4740)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Also, the first to fourth type images 4710 to 474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도 33은 상기 제1 내지 제4 타입 이미지(4710 내지 4740)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33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전원 모드에 따라 가상 현실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타입으로 제공되거나 구분될 수 있는 타입의 이미지로 제공되는 다양한 실시예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FIG. 33 only shows one embodiment of the first to fourth type images 4710 to 4740,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FIG. 33, and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images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d in a screen displayed in a virtual reality device are provided in different types or as images of a type that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power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rovided.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도 33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전원 모드를 4가지의 전원 모드로 나누어서 설명 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33에서 설명한 4가지 전원 모드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가지, 3가지, 5가지, 6가지 등 다양한 종류의 전원 모드를 구비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이용되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FIG. 33 describes the power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by dividing it into four power mode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four power modes described in FIG. 33, and tw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having various types of power modes, such as three, three, five, and six, is used, and thus different types of images can be provided.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d in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810)는 다양한 조건들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 an image 48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d in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as a different image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there is.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810)는 다양한 종류의 커스텀 이미지(4820)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an image 48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d in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as various types of custom images 4820 .

또한, 이 때, 상기 커스텀 이미지(4820)는 사용자, 이미지 공급자,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공급자, 가상 현실 기기의 공급자 등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810)에 대하여 제작하거나 제공한 다양한 이미지들이 될 수 있다.Also, at this time, the custom image 4820 is an image 48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by a user, an image provider, a supplier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 supplier of a virtual reality device, and the like. ) can be various images produced or provided.

또한, 이 때, 다양한 조건들(4830)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 전원 모드 또는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어플리케이션의 환경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810)를 변경시키기 위한 다양한 조건들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various conditions 4830 may be an operation mode or power supply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a type of application driven in a virtual reality device, an application environment,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Various conditions for changing the image 481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d in th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ncluded.

즉, 도 3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81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커스텀 이미지(4820)로 제공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34 , an image 48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d in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Depending on the mode, different types of custom images 4820 may be provided.

또한, 도 3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810)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전원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커스텀 이미지(4820)로 제공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34 , an image 48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d in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Depending on the mode, different types of custom images 4820 may be provided.

또한, 도 3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810)는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커스텀 이미지(4820)로 제공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34 , an image 48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d in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pends on the type of application driven by the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ly, different types of custom images 4820 may be provided.

또한, 도 3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응되는 이미지(4810)는 가상 현실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커스텀 이미지(4820)로 제공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34 , an image 4810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d in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related to the environment of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virtual reality device. Accordingly, different types of custom images 4820 may be provided.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31)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터치 입력 영역의 일부에 대응되는 제1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 때,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외부 영역 -이 때, 상기 외부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나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임-, 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음.-;를 포함하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더라도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ing a touch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a keyboard layout,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in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a first touch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and
Generating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touch input obtained when a touch input from a user is obtained from the user - in this case, whe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acquired touch input, but the touch input acquired from the user is an external area - when this is the case, the external area is an area included in the touch input area but not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Im-, if included in,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
When the touch start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even if the touch end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or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path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왼쪽 또는 오른쪽에 위치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located to the left or right of the center of the touch input area.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복수개의 키 캡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대한 터치 입력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key caps,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a touch input for the plurality of key caps.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을 구현하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에서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n electrode layer for implementing the touch input area,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an input for generating a touch input signal in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ode layer.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과 상이한 제2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operation is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 a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a second touch input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when a touch input for a preset area is obtained from a user; more cont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5,
At least a part of the preset area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역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상이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5,
A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to the center of the preset area is different from a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touch input area to the center of the first touch input area.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시키되,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외부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유지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5,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of the touch input for the preset area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Mainta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as the first operation mode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of the touch input for the preset area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external area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복수개의 키 캡을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 중 G 키에 대응되는 키 캡 또는 H 키에 대응되는 키 캡 중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key caps,
The preset area overlaps at least one key cap among the key caps corresponding to the key G or the key cap H among the plurality of key caps.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과 동일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touch input area is the same as the touch input area.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외부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도더라도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method of operation is
If the touch start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external area Even if the touch end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or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path is included in the preset area,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does not change the mode of operation of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터치 시작점이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5,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a touch input including a starting point of touch is included in the external area is obtained from the user,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provided based on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created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경로는 상기 터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터치 종료점 까지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경로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path is a path of a user's touch input from the touch start point to the touch end point.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과 상이한 제2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제2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operation is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 a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a second touch input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when a touch input obtained from a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step; further compris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method of operation is
When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from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further compris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시간과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이 획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time-related condi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no touch input is obtained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changes to the first operation mode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change to operating mod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복수개의 키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키 입력과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제2 동작 모드가 해제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key caps,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related to key input,
When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key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caps is obtained whil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operates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When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released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포함되는 제2 키 캡에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는 제2 동작 모드로 유지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7,
When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key 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 caps is obtained whil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operates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The operating mode is maintained as the second operating mod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획득되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키 입력 동작 모드로 변경된 후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키 입력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7,
Whil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keycap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keycaps is acquired and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operates. When a touch input is obtained from the user after the mode is changed from the second operation mode to the key input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changed from a key input operation mode to a first operation mod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터치 입력과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개수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related to a touch input,
When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a touch input for a preset number of touch points is obtained from the user,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set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입력은 4 개의 터치점에 대한 터치 입력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20,
The touch input for the preset number of touch points is a touch input for four touch points.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터치 입력과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특정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related to a touch input,
When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a touch input from the user is obtained for a specific area,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changes to the first operation mode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change to operating mod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4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로 변경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n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touch inputs for four touch points on the specific area are obtained from the user,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changed. Changed from the second operating mode to the first operating mod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조건은 전원 모드 관련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동작 중 전원이 OFF 된 후 다시 전원이 ON 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제1 동작 모드로 동작 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at least one release condition includes a power mode related conditio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whil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then the power is turned on again,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s operat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터치 시작점이 포함되며,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이 획득된 후 상기 외부 영역 내에 터치 시작점이 포함되는 추가적인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추가적인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a touch input in which a touch start point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a touch end point or at least a part of a touch path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is obtained from the user, an additional touch input in which the touch start point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is obtained. If it is,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additional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지 않으나, 터치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ouch input acquir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external area, the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but at least one function related to the touch is performed.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26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며, 기 설정된 제스쳐와 관련된 터치 입력인 경우, 기 설정된 제스쳐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6,
I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external area and is a touch input related to a preset gesture,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t gesture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27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제스쳐와 관련된 기능은 스크롤, 확대, 화면 스와핑 등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27,
The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t gesture includes at least one of functions such as scrolling, zooming, and screen swapp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26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이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조절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6,
Adjusting at least one property when a touch input obtained from a user is included in the external area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된 후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경로가 상기 외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과 상이한 제2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다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touch input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touch input area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then the touch path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is activated, and when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path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ga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is activated.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제2 터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 조절 관련 정보를 생성하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고,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터치 입력의 터치 시작점이 상기 외부 영역내에 포함되고, 터치 종료점 또는 터치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경우 조정 대상 속성의 속성값 조절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complex human interface includes a second touch input area;
When the touch starting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property value adjustment related information of the property to be adjusted is generated;
When the touch start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first touch input area and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end point or a touch path is included 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pointer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s generated,
When the touch start point of the touch input obtained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outer area and at least a part of the touch end point or the touch path is included in the second touch input area, property value adjustment related information of the property to be adjusted is generated.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plex human interface.

KR1020230024683A 2022-02-25 2023-02-24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m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3012791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25050 2022-02-25
KR1020220025050 2022-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919A true KR20230127919A (en) 2023-09-01

Family

ID=879751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381A KR20230127821A (en) 2022-02-25 2022-05-19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muman interface
KR1020230024683A KR20230127919A (en) 2022-02-25 2023-02-24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m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381A KR20230127821A (en) 2022-02-25 2022-05-19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muman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27821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821A (en)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495B1 (en)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JP6238368B2 (en) Standardization of pressure sensitive key
EP1190299B1 (en) Handheld or pocketsized electronic apparatus and hand-controlled input device
US8471822B2 (en) Dual-sided track pad
JP3630153B2 (en) Information display input device, information display inpu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070262968A1 (en) Input device
US20160320810A1 (e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20120019A1 (en) External input device for electrostatic capacitance-type touch panel
KR20130073824A (en) Touch keypad module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GB2472339A (en) A Method for interpreting contacts on a clickable touch sensor panel
JP2013117964A (en) Touch key module and its input processing method
EP2065794A1 (en) Touch sensor for a display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10090150A1 (en) Input processing device
KR20110042893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of terminal
EP207350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261991A1 (en) Keyboard device
US20130154941A1 (en) Enhanced Tablet Computer
US864362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30027136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729991B2 (en) Electronics
KR20230127919A (en)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m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90135156A1 (en) Touch sensor for a display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KR102015313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15309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14623495U (en) Touch module and computer equipment with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