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645A -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on device to reduce beach erosion - Google Patents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on device to reduce beach ero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645A
KR20230127645A KR1020220025184A KR20220025184A KR20230127645A KR 20230127645 A KR20230127645 A KR 20230127645A KR 1020220025184 A KR1020220025184 A KR 1020220025184A KR 20220025184 A KR20220025184 A KR 20220025184A KR 20230127645 A KR20230127645 A KR 2023012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and
seawater
passage
installa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2995B1 (en
Inventor
박영현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02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995B1/en
Publication of KR2023012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6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9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일단의 전면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단의 배면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 이어져 해수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통로; 및 상기 몸체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해수가 유입될 때 상기 제2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한 해수 유입이 중단될 때 상기 제2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 body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opening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ssage extending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to provide a flow path of seawater; and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to open the second opening when seawater flows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o open the second opening when seawater inflow through the first opening is stopped. It relates to an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for closing the.

Description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on device to reduce beach erosion}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on device to reduce beach erosion}

본 발명은 모래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로부터 해안을 향해 해수 유동이 이루어질 때의 통로 개방에 의한 모래의 유입 및 해안으로부터 바다를 향해 해수 유동이 이루어질 때의 통로 폐쇄에 의한 모래의 유출 차단에 의해 모래 포집이 이루어짐으로써 해안침식이 저감되어 해안 보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d coll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inflow of sand by opening a passage when seawater flows from the sea to the shore, and the removal of sand by closing the passage when seawater flows from the shore to the sea. It relates to an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which reduces coastal erosion by collecting sand by blocking outflow, thereby enabling coastal conservation.

육지의 하천 및 해안사구 등으로부터 공급된 모래가 퇴적됨에 따라 해안에 모래사장이 형성된다.Sandy beaches are formed along the coast as sand supplied from land rivers and coastal sand dunes is deposited.

이때, 해안 모래사장은 육지의 하천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모래가 해안에 퇴적하는 현상과 파랑에 의해 모래가 바다 쪽으로 유실되는 현상이 균형을 이룰 때 온전히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astal sandy beach can be maintained intact when a phenomenon in which sand supplied from rivers on land is deposited on the shore and a phenomenon in which sand is lost toward the sea due to waves are balanced.

그러나 도시화로 인하여 육상에서의 모래 공급이 격감하고 있고, 골재 자원 확보를 위한 해사 채취가 증가하고 있으며, 모래의 흐름을 교란시키는 항만과 방파제 등의 인공 구조물 설치가 늘어나고 있는바, 이로 인해 해안의 모래가 부족해지고 있으므로 해안 모래사장의 유지가 곤란해지고 있다.However, due to urbanization, the supply of sand on land is sharply decreasing, the collection of sea sand to secure aggregate resources is increasing, and the installation of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ports and breakwaters that disturb the flow of sand is increasing. As water supply is becoming scarce, it is becoming difficult to maintain sandy beaches.

또한, 기후 온난화에 따라 높은 파랑의 내습빈도가 증가하여 육지로부터 먼곳으로 해안가 모래가 이동함에 따라 해안침식이 가속화 되고 있어 이에 의해서도 해안 모래사장의 유지가 곤란해지고 있다.In addition, as the frequency of high wave invasion increases with climate warming, coastal erosion is accelerated as coastal sand moves away from the land, and this also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coastal sandy beaches.

한편, 해안침식은 단순 모래사장 유지 곤란으로 그치지 않고 해안가 주택 및 도로 등의 구조적 안정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astal erosion is not just a simple difficulty in maintaining sandy beaches, but can also cause deterioration i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coastal houses and roads.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878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해안침식 억제장치' 등을 통해 해안침식을 억제하고 있다.For this reason, coastal erosion is suppressed through a 'coastal erosion suppression devic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88784.

그러나 종래 제안된 해안침식 억제장치 등은 해안선의 변형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모래의 유실 방지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proposed coastal erosion control devices not only cause deformation of the coastline, but also have problems in preventing loss of sand that does not meet expectations.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해안선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모래 유실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해안침식 저감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e above reasons, the field is seeking ways to reduce coastal erosion that can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astline and increase the effect of preventing sand loss, but satisfactory results have not been obtained so fa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878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8878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바다로부터 해안을 향해 해수 유동이 이루어질 때의 통로 개방에 의한 모래의 유입 및 해안으로부터 바다를 향해 해수 유동이 이루어질 때의 통로 폐쇄에 의한 모래의 유출 차단에 의해 모래 포집이 이루어짐으로써 해안침식이 저감되어 해안 보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래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flow of sand by opening the passage when seawater flows from the sea to the shore and closing the passage when seawater flows from the shore to the se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nd collection device that reduces coastal erosion and preserves the coast by collecting sand by blocking outflow of san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길이 방향 일단의 전면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단의 배면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 이어져 해수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통로; 및 상기 몸체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해수가 유입될 때 상기 제2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한 해수 유입이 중단될 때 상기 제2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를 제안한다.a body in which a first opening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opening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ssage extending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to provide a flow path of seawater; and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to open the second opening when seawater flows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o open the second opening when seawater inflow through the first opening is stopped. We propose an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for closing the.

상기 몸체는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may be made of concrete.

상기 통로는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중간으로 향하며 점차로 개방폭이 감소하게 형성된다.The passage is formed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toward the middle, and the opening width gradually decreases.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 배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해수가 유입될 때 해수와의 접촉에 의해 상부로 회전하여 상기 제2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한 해수 유입이 중단될 때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전하여 상기 제2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다.The cover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when seawater flows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the cover rotates upward by contact with seawater to open the second opening, and the seawater through the first opening. When the inflow is stopped, the second opening may be closed by rotating downward by its own weight.

본 발명은 상기 몸체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or lifting and supporting the body.

상기 지지대는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는, 몸체의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 사이에 이어지는 통로 및 몸체 배면에 배치되는 덮개를 포함하는바, 제1개구부로부터 이어지는 통로를 통해 바다로부터 해안으로 해수가 유입될 때 제2개구부가 덮개 일 방향 회전에 의해 개방되고, 제1개구부로부터 이어지는 통로를 통한 해수 유입이 중단될 때 제2개구부가 덮개 다른 일 방향 회전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통로를 통해 바다로부터 해안으로 모래 유입이 이루어질 뿐 해안으로부터 바다로 모래 유출이 방지되므로 이에 의해 해안 모래 유출로 인한 해안침식이 저감될 수 있어 해안의 보존이 이루어질 수 있다.An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ssage leading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body and a cov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through the passage leading from the first opening to the sea. When seawater flows into the shore, the second opening is opened by rotating the cover in one direction, and when the inflow of seawater through the passage from the first opening is stopped, the second opening is closed by rotation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cover. Through this, only the inflow of sand from the sea to the shore is prevented from the outflow of sand from the shore to the sea, thereby reducing coastal erosion due to the outflow of coastal sand and thus preserving the coast.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는, 통로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중간으로 향하며 점차로 개방폭이 감소하는바, 통로 내에서 해수 및 모래의 유동이 이루어질 때 통로 중간에서 유속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에 의해 해수 및 모래가 해안 내측으로 더 깊이 밀려들 수 있어 해안에서 모래의 퇴적이 더욱 폭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nderwater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toward the middle, and when seawater and sand flow in the passage, the flow rate increases in the middle of the passage. As a result, seawater and sand can be pushed deeper into the shore, thereby allowing sand to be deposited more widely on the shor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는,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지지대에 의해 몸체가 해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몸체 주변에 모래 퇴적이 이루어지더라도 퇴적된 모래로 인한 통로 막힘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ody. Since the body is lifted from the sea floor by the support, sand is deposited around the body. Even if it collapses, clogging of passages due to accumulated sand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의 설치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에서의 모래 유입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에서의 모래 유출 차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form of an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sand inflow in an underwater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sand outflow blocking in an underwater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underwater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pport.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A)는, 몸체(10); 통로(20); 및 덮개(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nderwater sand collecting device (A)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passage 20; and a cover 30.

본 발명의 몸체(10)는, 길이 방향 일단의 전면(10a)에 제1개구부(1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단의 배면(10b)에 제2개구부(12)가 형성된다.In the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opening 1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10a of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opening 1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10b of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해안의 수중에 몸체(10)를 배치하되, 전면(10a)이 바다를 향하고, 배면(10b)이 해안을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해수가 바다로부터 해안을 향해 유동할 때 전면(10a)의 제1개구부(11)를 통해 해수 및 모래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by disposing the body 10 in the water of the shore, the front surface 10a faces the sea and the rear surface 10b faces the shore, so that when seawater flows from the sea toward the shore, the first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10a Seawater and sand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11 .

한편, 몸체(10)는 예컨대 콘크리트로 형성됨으로써 자체의 하중에 의해 수중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body 10 is formed of, for example, concrete, the flow can be suppressed in a state where it is installed underwater by its own load.

그리고 몸체(10)에서 제1개구부(11)와 제2개구부(12)는 그 중심이 일치함으로써 제1개구부(11)와 제2개구부(12) 사이에 연결되는 통로(20)가 굴곡 부위 없이 바르게 이어질 수 있으므로 통로(20) 내에서 해수 및 모래의 유동이 원활할 수 있다.In the body 10, the first opening 11 and the second opening 12 coincide in center, so that the passage 20 connected between the first opening 11 and the second opening 12 is formed without bending. Since it can be properly connected, the flow of seawater and sand in the passage 20 can be smooth.

그리고 몸체(10)에서 제1개구부(11) 및 제2개구부(12)는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몸체(10) 하단이 이르는 간격이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몸체(10) 상단에 이르는 간격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해저면에 퇴적되는 모래로 인한 제1개구부(11) 및 제2개구부(12)의 막힘이 방지될 수 있다.And in the body 10, the first opening 11 and the second opening 12 are formed with a larger distance from each center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than the distance from each center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Accordingly, clogging of the first opening 11 and the second opening 12 due to sand deposited on the sea floor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통로(20)는 제1개구부(11)와 제2개구부(12) 사이에 이어져 해수의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The passag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lowed between the first opening 11 and the second opening 12 to provide a flow path for seawater.

이때, 통로(20)는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중간으로 향하며 점차로 개방폭이 감소하게 형성됨으로써 통로(20) 중간부에서 개방폭 차이에 의한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해수 및 모래의 유동 속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바다로부터 해안을 향하여 유동하는 해수 및 모래가 해안 내측으로 더욱 깊게 밀려들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ssage 20 is formed toward the middle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the opening width gradually decreases, so that the flow rate of seawater and sand increases due to the Bernoulli effect due to the difference in opening width in the middle of the passage 20, so that the flow rate of seawater and sand increases from the sea. Seawater and sand flowing toward the shore may be pushed deeper into the shore.

여기서, 통로(20) 중간의 직경이 통로(20) 일단 및 타단 직경의 50% 미만인 경우 해수 및 모래의 유동 정체로 이어질 수 있고, 통로(20) 중간의 직경이 통로(20) 일단 및 타단 직경의 80%를 초과하는 경우 베르누이 효과에 의한 유속 증가가 미미할 수 있는바, 통로(20) 중간의 직경은 통로(20) 일단 및 타단 직경의 50~80%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if the diameter of the middle of the passage 20 is less than 50% of the diameters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20, it may lead to flow stagnation of seawater and sand, and the diameter of the middle of the passage 20 is the diameter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20 If it exceeds 80% of the flow rate increase due to the Bernoulli effect may be insignificant, the diameter of the middle of the passage 20 is preferably 50 to 80% of the diameters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20.

본 발명의 덮개(30)는 몸체(10) 배면(10b)에 배치되어 제2개구부(12)를 개폐한다.The cov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10b of the body 10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12.

이때, 덮개(30)는, 제1개구부(11)를 통해 해수가 유입될 때 제2개구부(12)를 개방하고, 제1개구부(11)를 통한 해수 유입이 중단될 때, 다시 말해 해수가 해안으로부터 바다를 향해 유동할 때 제2개구부(12)를 폐쇄함으로써 통로(20)를 통해 바다로부터 해안을 향해 해수 및 모래의 유입이 이루어질 뿐 해안으로부터 바다를 향하는 해수 및 모래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30 opens the second opening 12 when seawater flows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11, and when the inflow of seawater through the first opening 11 is stopped, in other words, when seawater flows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11, When flowing from the shore to the sea, by closing the second opening 12, the inflow of seawater and sand from the sea to the shore through the passage 20 is achieved, but the outflow of seawater and sand from the shore toward the sea can be prevented. there is.

여기서, 덮개(30)는, 몸체(10)의 배면(10b)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제1개구부(11)를 통해 해수가 유입될 때 해수와의 접촉에 의해 상부로 회전함에 따라 제2개구부(12)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제1개구부(11)를 통한 해수 유입이 중단될 때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전함에 따라 제2개구부(12)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Here, the cover 30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10b of the body 10 so that when seawater flows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11, it rotates upward by contact with seawater. The opening of the two openings 12 is made, and when the inflow of seawater through the first opening 11 is stopped, the second opening 12 is closed as it rotat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A)는 지지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water sand collecting device A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40.

따라서 지지대(40) 상부에 몸체(10)를 배치함으로써 몸체(10)가 해저면(100)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Therefore, by disposing the body 10 on the support 40, the body 10 can be lifted from the sea floor 100.

이때, 지지대(40)는 몸체(10)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4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body 10 as well a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10 .

지지대(40)와 몸체(10)가 일체로 형성되면 지지대(40)와 몸체(10) 결합으로 인한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When the support 40 and the body 10 are integrally formed, trouble caused by coupling the support 40 and the body 10 can be reduced.

한편, 지지대(40)는 몸체(1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지지대(4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40 may be of any conventional structure and method as long as the body 10 is stably supported,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pport 40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A)를 통한 모래 포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and collection through the underwater sand collection device (A)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서 제1개구부(11) 및 제2개구부(12)가 형성된 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안의 수중에 설치되되, 제1개구부(11)가 형성된 전면(10a)이 바다를 향하고, 제2개구부(12)가 형성된 배면(10b)이 해안을 향하도록 배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0 having the first opening 11 and the second opening 12 is installed in the water of the coast as shown in FIG. 3, and the front surface 10a having the first opening 11 is The back surface 10b facing the sea and having the second opening 12 is disposed facing the seashore.

따라서 바다로부터 해안을 향하여 해수 유동이 이루어질 때 제1개구부(11)를 통해 해수 및 모래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seawater flows from the sea toward the shore, seawater and sand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1 .

이때, 몸체(1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해안을 따라 나열될 수 있는바, 바다로부터 해안을 향하여 해수 유동이 이루어질 때 몸체(10)의 나열 구간 전체에서 해수 및 모래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bodies 10 may be provided and arranged along the coast, and when seawater flows from the sea toward the shore, seawater and sand may be introduced in the entire section of the body 10 arranged.

여기서, 해수에 포함된 모래는 특히 해안가에서 수면과 바닥 사이의 중간부 이하에 집중되므로 몸체(10)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는 제1개구부(11)를 통해 수면과 바닥 사이의 중간부 이하에 집중되는 모래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and contained in the seawater is concentrated below the middle part between the water surface and the bottom, especially on the shore, so it is concentrated below the middle part between the water surface and the bottom through the first opening 11 locat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body 10. Inflow of sand can be achie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개구부(11)와 제2개구부(12) 사이에는 통로(20)가 이어지는바, 통로(20)에 의해 제1개구부(11)와 제2개구부(12) 사이에 해수 유동 경로가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assage 20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opening 11 and the second opening 12, and seawater flows between the first opening 11 and the second opening 12 by the passage 20. path is provided.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구부(11)를 통해 유입된 해수 및 모래는 그 후방으로 이어지는 통로(20)를 따라 해안을 향해 유동하므로 이에 의해 모래의 포집이 이루어지게 되며, 모래의 포집에 의해 해안에 모래의 퇴적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에 의해 해안침식이 저감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 since the seawater and sand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1 flow toward the shore along the passage 20 leading to the rear, the sand is collected by this, and the sand is collected. As a result, sand is deposited on the shore, thereby reducing coastal erosion.

이때, 본 발명의 통로(20)는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중간으로 향하며 점차로 개방폭이 감소하게 형성되는바, 통로(20) 중간부에서 개방폭 차이에 의한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해수 및 모래의 유동 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바다로부터 해안으로 향하는 해수 및 모래가 해안 내측으로 더욱 깊게 밀려들게 되므로 해안에 모래의 퇴적이 보다 폭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ssag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open width gradually decreasing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toward the middle, and the flow rate of seawater and sand is increased due to the Bernoulli effec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opening width in the middle part of the passage 20 As a result, the seawater and sand heading from the sea to the shore are pushed more deeply into the shore, so sand deposition on the shore can be made more widely.

다만, 이전과 반대로 해안으로부터 바다를 향하여 해수 유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통로(20)를 통해 해안에 퇴적된 모래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해안침식이 진행될 수 있다.However, contrary to the previous case, when seawater flows from the shore toward the sea, sand accumulated on the shore may flow out through the passage 20, thereby leading to coastal erosion.

그러나 본 발명은 몸체(10)의 배면(10b)에 배치되는 덮개(30)를 포함하는바, 해안으로부터 바다를 향하여 해수 유동이 이루어질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가 제2개구부(12)를 폐쇄함에 따라 통로(20)를 통한 모래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해안침식이 저감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30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10b of the body 10, and when seawater flows from the coast toward the sea, as shown in FIG. 5, the cover 30 opens the second opening. As the passage 12 is closed, the outflow of sand through the passage 20 can be prevented, thereby reducing coastal erosion.

이때, 본 발명의 덮개(30)는 몸체(10)의 배면(10b)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바, 제1개구부(11)를 통해 해수가 유입될 때 해수와의 접촉에 의해 상부로 회전함에 따라 제2개구부(12)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제1개구부(11)를 통한 해수 유입이 중단될 때, 다시 말해 해안으로부터 바다를 향하여 해수 유동이 이루어질 때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전함에 따라 제2개구부(12)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cov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disposed up and down on the rear surface 10b of the body 10, and when seawater flows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11, it moves upward by contact with seawater. As it rotates,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ing 12 is made, and when the inflow of seawater through the first opening 11 is stopped, that is, when the seawater flows from the coast toward the sea, it rotat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Accordingly, the second opening 12 is closed.

여기서, 해안에 퇴적된 모래는 해수가 해안으로부터 바다를 향하여 유동할 때 몸체(10) 상단을 넘어서 유출될 수 있으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래 이동은 해안가에서 수면과 바닥 사이의 중간부 이하에 집중되어 몸체(10) 상단을 넘는 모래는 미미하므로 덮개(30)를 통해 제2개구부(12)를 폐쇄함으로써 해안에 퇴적된 모래 상당 부분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Here, the sand accumulated on the shore may flow out beyond the top of the body 10 when seawater flows from the shore toward the sea, but as described above, the sand movement is concentrated at the shore below the middle between the water surface and the bottom Since sand exceeding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is insignificant, by closing the second opening 12 through the cover 30,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and accumulated on the shor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A)는 모래 퇴적으로 인한 통로(20) 막힘이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underwater sand collecting device A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ogging of the passage 20 due to sand accumulation can be prevented.

즉, 본 발명은 지지대(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40)의 지지에 의해 몸체(10)가 해저면(100)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으므로 몸체(10) 주변에 모래 퇴적이 이루어지더라도 퇴적된 모래로 인한 통로(20) 막힘이 방지될 수 있어 모래 포집이 지속적으로 원활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40, as shown in FIG. 6, since the body 10 can be lifted from the sea floor 100 by the support of the support 40, the body ( 10) Even if sand is deposited in the vicinity, the clogging of the passage 20 due to the deposited sand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sand can be continuously collected smoothly.

그리고 본 발명에서 몸체(10)의 제1개구부(11) 및 제2개구부(12)는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몸체(10) 하단이 이르는 간격이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몸체(10) 상단에 이르는 간격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바, 해저면(100)에 퇴적되는 모래로 인한 제1개구부(11) 및 제2개구부(12)의 막힘이 방지될 수 있어 모래 포집이 지속적으로 원활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ning 11 and the second opening 12 of the body 10 have a distance from each center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compared to a distance from each center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Since it is formed larger, the first opening 11 and the second opening 12 can be prevented from clogging due to sand deposited on the sea floor 100, so that the sand can be continuously collected smooth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can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d such changes are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below.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invention.

10 : 몸체 10a : 전면
10b : 배면 11 : 제1개구부
12 : 제2개구부 20 : 통로
30 : 덮개 40 : 지지대
100 : 해저면 A : 모래 포집장치
10: body 10a: front
10b: back 11: first opening
12: second opening 20: passage
30: cover 40: support
100: sea floor A: sand collecting device

Claims (5)

길이 방향 일단의 전면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단의 배면에 제2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 이어져 해수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통로; 및
상기 몸체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해수가 유입될 때 상기 제2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한 해수 유입이 중단될 때 상기 제2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
a body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opening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ssage extending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to provide a flow path of seawater; and
It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opening, to open the second opening when seawater flows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o open the second opening when seawater inflow through the first opening is stopped. An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comprising: a cover that clo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는 중심으로부터 상기 몸체 하단에 이르는 간격이 중심으로부터 상기 몸체 상단에 이르는 간격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is lar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중간으로 향하며 점차로 개방폭이 감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ssage is directed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the middle, and an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width is gradually redu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 배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해수가 유입될 때 해수와의 접촉에 의해 상부로 회전하여 상기 제2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한 해수 유입이 중단될 때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전하여 상기 제2개구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when seawater flows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it rotates upward by contact with seawater to open the second opening, and through the first opening An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inflow of seawater is stopped, it rotat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to close the second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저감을 위한 수중 설치형 모래 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ng device for reducing coastal ero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for lifting and supporting the body.
KR1020220025184A 2022-02-25 2022-02-25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on device to reduce beach erosion KR1026229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184A KR102622995B1 (en) 2022-02-25 2022-02-25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on device to reduce beach ero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184A KR102622995B1 (en) 2022-02-25 2022-02-25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on device to reduce beach ero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645A true KR20230127645A (en) 2023-09-01
KR102622995B1 KR102622995B1 (en) 2024-01-10

Family

ID=8797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184A KR102622995B1 (en) 2022-02-25 2022-02-25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on device to reduce beach ero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99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1213A (en) * 1987-03-27 1988-10-06 Yoshizo Nagao Waves absorbing and spending block
JPH01214612A (en) * 1988-02-19 1989-08-29 Kubota Ltd Hydrophilic bulkhead structure
KR20070033400A (en) * 2007-03-06 2007-03-26 한상배 Ian agent to sort and collect sand and nito
KR101377437B1 (en) * 2013-05-22 2014-03-25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xed unit structure to restore the loss of sand, structure and restoring method using it
KR20200088784A (en)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한오션 coastal erosion restore uni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1213A (en) * 1987-03-27 1988-10-06 Yoshizo Nagao Waves absorbing and spending block
JPH01214612A (en) * 1988-02-19 1989-08-29 Kubota Ltd Hydrophilic bulkhead structure
KR20070033400A (en) * 2007-03-06 2007-03-26 한상배 Ian agent to sort and collect sand and nito
KR101377437B1 (en) * 2013-05-22 2014-03-25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xed unit structure to restore the loss of sand, structure and restoring method using it
KR20200088784A (en)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한오션 coastal erosion restor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995B1 (en)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7035B2 (en) Tsunami countermeasure structure
KR101377437B1 (en) Fixed unit structure to restore the loss of sand, structure and restoring method using it
KR101146131B1 (en) Using buoyancy for automatic closing pide door devices and method of control
JP6625911B2 (en) Flap gate and gate equipment
JP5737675B2 (en) Sabo weir
JP4678893B1 (en) Intake mechanism of Sabo Dam
KR20230127645A (en) underwater installation type sand collection device to reduce beach erosion
KR20140099027A (en) Height variable type block structure
KR101257344B1 (en) Non-electric automatic control water door
CN109914357B (en) Method for arranging sand discharge holes of dam body of high-sand-content river
CN105839584B (en) flood control system
JP4118770B2 (en) Sabo dam storage and drainage structure
JP2009100683A (en) Paddy field water-reserving device
KR101373030B1 (en) Shore Protection Block with Floating Bump
KR101555657B1 (en) An undercurrent block for flow control of river
JP6659489B2 (en) Breakwater structure
CN110761249A (en) 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water taking structure based on high-low dam water taking principle
KR200341022Y1 (en) Embankment draining structure for preventing river flooding
WO2020027738A1 (en) Flow control gate assembly
KR200395487Y1 (en) Wall hung toilet with siphon system
CN108086403A (en) Water intake structures
KR200377423Y1 (en) Floodgate opening and shutting adopted by water pressure difference
JP3500508B2 (en) Composite gate for water control
CN214939882U (en) Gate with function of making an uproar is fallen
CN217710606U (en) Layered shaft gallery structure for head of ca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