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170A -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170A
KR20230127170A KR1020230107828A KR20230107828A KR20230127170A KR 20230127170 A KR20230127170 A KR 20230127170A KR 1020230107828 A KR1020230107828 A KR 1020230107828A KR 20230107828 A KR20230107828 A KR 20230107828A KR 20230127170 A KR20230127170 A KR 20230127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ing
refractive power
lenses
maintai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7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7170A/ko
Publication of KR2023012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17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G02B9/58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arranged - + +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대상측으로부터 결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4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를 제공한다.
<수학식 1>
-40.0 < R1+R2 < -25.0, 여기서, R1은 제1 렌즈의 대상면의 곡률반경이고, R2는 제1 렌즈의 결상면의 곡률반경이다.

Description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카메라 또는 감시용 카메라에 채용되는 광학계는 전방, 측방 및 후방등의 영상을 보다 넓은 범위를 촬영하기 위하여 수평화각이 일정각도 이상의 넓은 화각을 갖는 광각렌즈를 요구함과 동시에 광학계에 채용되는 렌즈의 소형 및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있어서, 소형화 촬상 장치에 탑재되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수광소자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촬상 장치에서 가장 부피를 차지하는 부분은 촬상 렌즈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촬상 장치에서 소형화, 박형화에 가장 이슈가 되는 구성요소는 대상물의 상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이다.
그러나, 넓은 화각을 갖는 광학계를 구현하는 경우, 광학계의 광축방향 길이가 길어지고, 주변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렌즈의 지름을 크게 해야만 하기 때문에 광학계의 콤팩트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실시예는 고성능이면서도 초박형의 사이즈를 가지는 촬상 렌즈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대상측으로부터 결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4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를 제공한다.
<수학식 1>
-40.0 < R1+R2 < -25.0, 여기서, R1은 제1 렌즈의 대상면의 곡률반경이고, R2는 제1 렌즈의 결상면의 곡률반경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률은 1.57보다 크고 1.60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의 아베(abbe) 수는 60보다 크고, 64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의 대상면 코닉(Conic) 상수는 -0.10보다 크고, 0.21보다 작으며, 상기 제3 렌즈의 결상면 코닉(Conic) 상수는 -1.4보다 크고, -0.7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대상측으로부터 결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대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음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2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3 렌즈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양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음의 굴절력을 갖고, 이웃하는 렌즈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웃하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이웃하는 렌즈의 대상면 및 결상면과 각각 결합되는 평면을 포함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촬상 렌즈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난반사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의 대상면 및/또는 결상면에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결합면과 결합하는 접촉면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고, 상기 접촉면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난방사방지부는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 중, 상기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간격이 가장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렌즈의 구경이 상기 제2 렌즈의 구경보다 크고, 상기 제2 렌즈의 구경이 상기 제3 렌즈의 구경보다 클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상술한 촬상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4매의 렌즈로도 광각의 시야각을 가지고, 저왜곡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와 도 7b는 촬상 렌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대상면'이라 함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대상측(object side)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하며, '결상면'이라 함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결상측(image side)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렌즈의 "+ 파워"는 평행광을 수렴시키는 수렴 렌즈를 나타내며, 렌즈의 "- 파워"는 평행광을 발산시키는 발산 렌즈를 나타낸다.
도 1은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는 대상측에서부터 결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및 제4 렌즈(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렌즈(110)의 전면에는 셔터(Shutter)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에 조리개(AS)가 배치될 수 있는데, 조리개(AS)는 가변 조리개일 수 있다.
또한, 필터(150), 커버 글래스(160) 및 수광소자(170)가 순서대로 포함되어 카메라 모듈 내의 촬상 렌즈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필터(150)는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 부재가 배치되며, 커버 글래스(160)는 광학 부재, 예를 들어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일 수 있고, 수광소자(170)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적층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화소 및/또는 화소수가 높은 카메라 모듈에 적용될 수 있는 촬상 렌즈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카메라 모듈은 화소 및/또는 화소수가 높은 이미지센서 또는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S11'은 제1 렌즈(110)의 대상면, 'S12'는 제1 렌즈(110)의 결상면이고, 'S21'은 제2 렌즈(120)의 대상면, 'S22'는 제2 렌즈(120)의 결상면이며, 'S31'은 제3 렌즈(130)의 대상면, 'S32'는 제3 렌즈(130)의 결상면이고, 'S41'은 제4 렌즈(140)의 대상면, 'S42'는 제4 렌즈(140)의 결상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제1 렌즈(110)는 대상면(S11)이 오목하고, 결상면(S12)이 플랫하거나 오목할 수 있으며,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렌즈(120)는 대상면(S21)이 볼록하고 결상면(S22)이 플랫하거나 볼록할 수 있으며,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렌즈(130)의 대상면(S31)과 결상면(S32)이 모두 볼록하고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4 렌즈(140)의 대상면(S41) 과 결상면(S42)이 모두 오목하고, 음의 굴졀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간에 공기 간격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볼록한 제3 렌즈(130)의 결상면(S32)과 오목한 제4 렌즈(140)의 대상면(S41)이 40㎛ 내지 60㎛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의 배치는 저분산(Low Dispersion) 성능을 높일 수 있어 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110~140)의 렌즈들은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는데, 렌즈들의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되면, 각종 수차, 예를 들면 구면 수차, 코마 수차 및 왜곡 수차 등의 보정에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110~140)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리 렌즈는 전이점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경시 변화에도 굴절률의 변형 및 초점거리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는 조리개(AS)를 통과한 빛이 입사되는 제3 렌즈(130)가 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기 때문에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110~140)이 모두 유리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렌즈가 유리로만 제작될 경우 촬상 렌즈의 제조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렌즈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면 촬상 렌즈가 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으면서 촬상 렌즈를 제조하는데 드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는 반사 방지 또는 표면 경도 향상을 위하여 렌즈의 표면이 코팅처리 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40.0 < R1+R2 < -25.0
여기서, R1은 제1 렌즈의 대상면의 곡률반경이고, R2는 제1 렌즈의 결상면의 곡률반경이다.
실시예는 광각 렌즈를 구현하기 위해 제1 렌즈의 대상면이 빛을 모아주도록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렌즈가 음의 굴절력을 가지도록 제1 렌즈의 결상면은 오목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R1+R2의 값이 -40.0보다 작거나 -25.0보다 커지면 제1 렌즈를 투과한 빛이 제2 렌즈로 입사되지 않고 촬상 렌즈의 넓은 화각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제3 렌즈(130)의 굴절률은 1.57보다 크고 1.60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3 렌즈(130)의 굴절률이 1.57보다 작아지면 촬상 렌즈의 전체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제3 렌즈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으며 촬상 렌즈의 해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제3 렌즈(130)의 굴절률이 1.60보다 커지면 제3 렌즈의 제조가 어렵게 된다.
그리고, 제3 렌즈(130)의 아베(abbe) 수는 60보다 크고, 64보다 작을 수 있는데, 제3 렌즈(130)의 아베(abbe) 수가 60보다 크고 64보다 작으면 촬상 렌즈의 색수차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여기서, 제3 렌즈(130)의 아베(abbe) 수가 60보다 작거나 64보다 커지면 제3 렌즈의 제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제3 렌즈(130)의 대상면(S31) 코닉(Conic) 상수는 -0.10보다 크고, 0.21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제3 렌즈(130)의 결상면(S32) 코닉(Conic) 상수는 -1.4보다 크고, -0.7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3 렌즈(130)의 대상면(S31)과 결상면(S32)의 코닉 상수값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해상도가 저하될 수 있다.
표 1은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의 각 렌즈들의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및 아베수를 나타낸다.
면번호 곡률반경(R) 두께 또는 거리(d) 굴절률(Nd) 아베수(Vd)
S11 -36.1944 1.319 1.5311 56.5
S12 2.965159 5.800651    
S21 16.36467 2.8 1.5311 56.5
S22 -6.05369 0.460194    
AS(stop) 1.00E+18 2.633772    
S31 5.246022 2.399853 1.589 61.2
S32 -3.12816 0.05    
S41 -3.1766 0.38 1.642 22.4
S42 -97.199 0.983529    
표 1에서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조리개(AS) 및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의 대상면 및 결상면의 곡률이 차례로 기재되고 있으며, 곡률이 양(+)인 경우 물체 측으로 휘어진 경우이고 음(-)인 경우 수광소자 측으로 휘어진 경우이다. 곡률이 무한(Infinity)인 경우 플랫(flat)한 경우이고, 각각의 대상면에 대응하여 두께가 기재되고, 결상면에 대응하여 인접한 렌즈 등과의 거리가 기재되고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2 렌즈(120)의 결상면(S22)과 조리개(AS) 간의 거리(d4)는 0.460194mm이고, 조리개(AS)와 제3 렌즈(130)의 대상면(S31) 간의 거리(d5)는 2.633772mm로 d4보다 d5가 작을 수 있다. 즉, 제2 렌즈(120)가 제3 렌즈(130)보다 조리개(AS)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3 렌즈(130)가 열에 의한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에 의해 저왜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간에 공기 간격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가 저분산(Low Dispersion) 성능을 높여 수차를 최소화하면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3 렌즈(130)의 결상면(S32)과 제4 렌즈(140)의 대상면(S41)이 0.05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렌즈(110)의 굴절력은 -0.197이고, 제2 렌즈(120)의 굴절력은 0.115이고, 제3 렌즈(130)의 굴절력은 0.270이며, 제4 렌즈(140)의 굴절력은 -0.197이다.
그리고,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는 -5.079이고, 제2 렌즈(120)의 초점거리는 8.662이고,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는 3.709이며, 제4 렌즈(140)의 초점거리는 -5.070이다. 여기서, 초점거리가 +인 경우 실초점이고 -인 경우는 허초점을 의미하고,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는 3.1730mm 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렌즈는 표면에 반사 방지 또는 표면 경도 향상을 위해 코팅처리될 수 있다.
표 2는 제1 실시예에서 각 렌즈면의 코닉상수(k) 및 비구면계수(A 내지 D)를 나타낸다.
면번호 K A B C D
S11 -38.998765 0.212466E-03 -.398223E-05 0.197458E-07 -.706309E-11
S12 -0.493508 0.813849E-03 0.227856E-03 -.203029E-04 0.235975E-05
S21 -40.792050 -.126510E-02 -.408383E-03 0.476455E-04 -.445578E-05
S22 -0.225426 -.192012E-02 -.779158E-04 0.115687E-04 -.126901E-05
S31 0.049368 -.179093E-03 -.850038E-04 0.225443E-04 -.405445E-05
S32 -0.896940 0.276948E-02 0.397754E-03 -.504850E-04 0.248296E-05
S41 -2.358592 -.224844E-02 0.538172E-03 -.279062E-04 0.100786E-05
S42 10.000000 0.393568E-02 -.251601E-03 0.596224E-04 -.404504E-05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110~140)의 렌즈들의 양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110~140)의 렌즈들의 양면이 모두 비구면으로 형성되면, 각종 수차, 예를 들면 구면 수차, 코마 수차 및 왜곡 수차 등의 보정에 우수할 수 있다.
도 4는 촬상 렌즈의 제1 실시예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서, Y축은 이미지의 크기를 의미하고, X축은 초점거리(mm 단위) 및 왜곡도(% 단위)를 의미하며, 곡선들이 Y축에 접근될수록 수차 보정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종구면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435.80nm, 486.10nm, 546.10nm, 587.60nm, 656.30nm 및 850.00nm인 광에 대한 종구면수차를 나타내며, 비점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546.10nm인 광에 대한, 구결면(S: Sagittal surface) 및 자오면(T: Tangential surface)에서의 수차를 나타낸다. 또한, 왜곡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546.10nm인 광에 대한 왜곡을 나타낸다.
표 3은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의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및 아베수를 나타낸다.
면번호 곡률반경(R) 두께 또는 거리(d) 굴절률(Nd) 아베수(Vd)
S11 -36.1944 1.319 1.5311 56.5
S12 2.965159 6.051559    
S21 16.36467 2.8 1.5311 56.5
S22 -6.05369 0.1    
AS(stop) 1.00E+18 3.197186    
S31 4.472282 1.858068 1.589 61.2
S32 -4.12745 0.05    
S41 -4.69987 0.5 1.642 22.4
S42 14.53251 0.973202    
표 3에서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조리개(AS) 및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의 대상면 및 결상면의 곡률이 차례로 기재되고 있으며, 곡률이 양(+)인 경우 물체 측으로 휘어진 경우이고 음(-)인 경우 수광소자 측으로 휘어진 경우이다. 곡률이 무한(Infinity)인 경우 플랫(flat)한 경우이고, 각각의 대상면에 대응하여 두께가 기재되고, 결상면에 대응하여 인접한 렌즈 등과의 거리가 기재되고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제2 렌즈(120)의 결상면(S22)과 조리개(AS) 간의 거리(d4)는 0.1mm이고, 조리개(AS)와 제3 렌즈(130)의 대상면(S31) 간의 거리(d5)는 3.197186mm로 d4보다 d5가 작을 수 있다. 즉, 제2 렌즈(120)가 제3 렌즈(130)보다 조리개(AS)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3 렌즈(130)가 열에 의한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에 의해 저왜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간에 공기 간격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가 저분산(Low Dispersion) 성능을 높여 수차를 최소화하면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3 렌즈(130)의 결상면(S32)과 제4 렌즈(140)의 대상면(S41)이 0.05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렌즈(110)의 굴절력은 -0.196이고, 제2 렌즈(120)의 굴절력은 0.115이고, 제3 렌즈(130)의 굴절력은 0.252이며, 제4 렌즈(140)의 굴절력은 -0.183이다.
그리고,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는 -5.101이고, 제2 렌즈(120)의 초점거리는 8.697이고,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는 3.961이며, 제4 렌즈(140)의 초점거리는 -5.476이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는 3.1693mm 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렌즈는 표면에 반사 방지 또는 표면 경도 향상을 위해 코팅처리될 수 있다.
표 4는 제2 실시예에서 각 렌즈면의 코닉상수(k) 및 비구면계수(A 내지 D)를 나타낸다.
면번호 K A B C D
S11 -38.998765 0.212466E-03 -.398223E-05 0.197458E-07 -.706309E-11
S12 -0.493508 0.813849E-03 0.227856E-03 -.203029E-04 0.235975E-05
S21 -40.792050 -.126510E-02 -.408383E-03 0.476455E-04 -.445578E-05
S22 -0.225426 -.192012E-02 -.779158E-04 0.115687E-04 -.126901E-05
S31 -0.017055 -.424069E-04 0.193853E-05 -.523047E-05 0.421021E-05
S32 -1.250524 0.216519E-02 0.254725E-03 0.116793E-04 -.410740E-05
S41 -4.062207 -.248634E-02 0.775096E-03 -.382847E-04 -.794010E-05
S42 -0.867839 0.311432E-02 0.403252E-03 -.495979E-04 0.214033E-05
도 5는 촬상 렌즈의 제2 실시예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 Y축은 이미지의 크기를 의미하고, X축은 초점거리(mm 단위) 및 왜곡도(% 단위)를 의미하며, 곡선들이 Y축에 접근될수록 수차 보정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종구면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435.80nm, 486.10nm, 546.10nm, 587.60nm, 656.30nm 및 850.00nm인 광에 대한 종구면수차를 나타내며, 비점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587.60nm인 광에 대한, 구결면(S: Sagittal surface) 및 자오면(T: Tangential surface)에서의 수차를 나타낸다. 또한, 왜곡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587.60nm인 광에 대한 왜곡을 나타낸다.
표 5는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의 각 렌즈들의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및 아베수를 나타낸다.
면번호 곡률반경(R) 두께 또는 거리(d) 굴절률(Nd) 아베수(Vd)
S11 -36.1944 1.319 1.5311 56.5
S12 2.965159 5.712527    
S21 16.36467 2.8 1.5311 56.5
S22 -6.05369 0    
AS(stop) 1.00E+18 3.082622    
S31 4.860152 2.512555 1.589 61.2
S32 -3.39416 0.1    
S41 -3.12216 0.464376 1.642 22.4
S42 -58.4582 0.879034    
표 5에서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조리개(AS) 및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의 대상면 및 결상면의 곡률이 차례로 기재되고 있으며, 곡률이 양(+)인 경우 물체 측으로 휘어진 경우이고 음(-)인 경우 수광소자 측으로 휘어진 경우이다. 곡률이 무한(Infinity)인 경우 플랫(flat)한 경우이고, 각각의 대상면에 대응하여 두께가 기재되고, 결상면에 대응하여 인접한 렌즈 등과의 거리가 기재되고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2 렌즈(120)의 결상면(S22)과 조리개(AS)와의 거리(d4)는 0mm이고, 조리개(AS)와 제3 렌즈(130)의 대상면(S31) 간의 거리(d5)는 3.082622mm이다. 즉, 제3 렌즈(130)가 상대적으로 조리개(AS)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제3 렌즈(130)가 열에 의한 영향을 덜 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저왜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간에 공기 간격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가 저분산(Low Dispersion) 성능을 높여 수차를 최소화하면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3 렌즈(130)의 결상면(S32)과 제4 렌즈(140)의 대상면(S41)이 0.01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제3 실시예에서 제3 렌즈(130)의 결상면(S32)과 제4 렌즈(140)의 대상면(S41) 거리가 더 가까울 수 있는데, 이는 제3 렌즈와 제4 렌즈의 곡률반경이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렌즈(110)의 굴절력은 -0.196이고, 제2 렌즈(120)의 굴절력은 0.115이고, 제3 렌즈(130)의 굴절력은 0.261이며, 제4 렌즈(140)의 굴절력은 -0.194이다.
그리고,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는 -5.101이고, 제2 렌즈(120)의 초점거리는 8.697이고,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는 3.825이며, 제4 렌즈(140)의 초점거리는 -5.155이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는 3.1785mm 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렌즈는 표면에 반사 방지 또는 표면 경도 향상을 위해 코팅처리될 수 있다.
표 6은 제3 실시예에서 각 렌즈면의 코닉상수(k) 및 비구면계수(A 내지 D)를 나타낸다.
면번호 K A B C D
S11   -38.998765 0.212466E-03  -.398223E-05 0.197458E-07 -.706309E-11
S12  -0.493508  0.813849E-03 0.227856E-03 -.203029E-04 0.235975E-05
S21  -40.792050 -.126510E-02 -.408383E-03 0.476455E-04 -.445578E-05
S22  -0.225426 -.192012E-02 -.779158E-04 0.115687E-04 -.126901E-05
S31  0.202506 -.402681E-03 -.152561E-03 0.265831E-04 -.286531E-05
S32  -0.757944 0.182120E-02 0.626393E-03 -.568018E-04 0.180974E-05
S41 -3.096583 -.206318E-02 0.526577E-03 -.272536E-04 0.574780E-06
S42  -10.000000 0.870663E-02 -.814185E-03 0.979174E-04 -.452648E-05
도 6은 촬상 렌즈의 제3 실시예의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에서, Y축은 이미지의 크기를 의미하고, X축은 초점거리(mm 단위) 및 왜곡도(% 단위)를 의미하며, 곡선들이 Y축에 접근될수록 수차 보정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종구면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435.80nm, 486.10nm, 546.10nm, 587.60nm, 656.30nm 및 850.00nm인 광에 대한 종구면수차를 나타내며, 비점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587.60nm인 광에 대한, 구결면(S: Sagittal surface) 및 자오면(T: Tangential surface)에서의 수차를 나타낸다. 또한, 왜곡수차에 관한 그래프는 파장이 587.60nm인 광에 대한 왜곡을 나타낸다.
도 7a와 도 7b는 촬상 렌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렌즈 배럴(40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100~140)와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렌즈(100~140)는 대상측으로부터 결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렌즈 내지 제n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제1 렌즈(110)는 광각 렌즈를 구현하기 위해 제1 렌즈의 대상면이 빛을 모아주도록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렌즈(100~140)가 렌즈 배럴(400)에 배치될 때, 제1 렌즈(110)의 대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데 제1 렌즈(110) 대상면의 오목한 형태는 외부 환경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고 스크래치가 덜 발생하도록 해준다.
또한, 복수의 렌즈들은 도면에서 렌즈 배럴(400)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나의 렌즈의 대상면이 이웃하는 렌즈의 결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렌즈(110)의 결상면과 제2 렌즈(120)의 대상면이 마주하도록 제2 렌즈(120)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렌즈(120)는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렌즈(130)은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으며, 제4 렌즈(14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이웃하는 렌즈들의 사이에 간격 유지 부재(200)가 배치되어, 이웃하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해 줄 수 있다.
여기서, 간격 유지 부재(200)는 렌즈 배럴(400)의 내주면(410)에 접하는 외주면(214, 224)을 가지고, 렌즈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렌즈 간의 간격을 유지해 줄 수 있다. 그리고, 간격 유지 부재(200)는 제(n-1) 렌즈의 결상면과 접하는 제1 결합면(211, 221)과 제n 렌즈의 대상면과 접하는 제2 결합면(212, 2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110~140)의 대상면 및/또는 결상면에 간격 유지 부재의 결합면과 결합하는 접촉면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고, 접촉면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일 수 있다.
또한, 간격 유지 부재(200)의 내주면에는 제(n-1) 렌즈의 결상면으로부터 제n 렌즈의 대상측면으로 발산하는 빛이 난반사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는 난반사 방지부(213, 223)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촬상 렌즈는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110~140)로 구비되고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에 제1 간격 유지 부재(2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간격 유지 부재(210)는 제1 렌즈(110)의 결상면에 접하는 제1 결합면(211)과 제2 렌즈(120)의 대상면과 접하는 제2 결합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면(211)과 제2 결합면(212)은 각각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에 결합되어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해 줄 수 있다.
또한, 제1 간격 유지 부재(210)의 내주면에는 제1 난반사 방지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난반사 방지부(213)는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요철부의 돌출부의 마주보는 두 면이 이루는 각도는 50° 내지 70°일 수 있다.
한편, 제1 간격 유지 부재(210)의 제1 결합면(211)과 제2 결합면(212)은 각각 제1 렌즈(110) 결상면의 제1 접촉면(111)과 제2 렌즈(120) 대상면의 제2 접촉면(121)과 면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면(211)과 제2 결합면(212)은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의 크기나, 제1 렌즈(110)의 결상면과 제2 렌즈(120)의 대상면의 형상에 따라 그 형태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실시예와 같이 제1 렌즈(110)의 결상면이 오목하고, 제2 렌즈(120)의 대상면이 플랫하거나 오목할 경우, 제1 결합면(211)과 제2 결합면(212)은 각각 제1 접촉면(111)과 제2 접촉면(121)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에 제1 간격 유지 부재(21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110)의 구경이 제2 렌즈(120)의 구경보다 크고, 제2 렌즈(120)의 구경이 제3 렌즈(130)의 구경보다 크게 복수의 렌즈가 배치될 수 있는데, 특히, 광각을 구현하기 위해 제1 렌즈(110)의 구경이 다른 렌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상술한 구조는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간의 간격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지지해 줄 수 있다.
한편,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에 제2 간격 유지 부재(2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간격 유지 부재(220)는 제2 렌즈(120)의 결상면에 접하는 제1 결합면(221)과 제3 렌즈(130)의 대상면과 접하는 제2 결합면(222)이 각각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에 결합되어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해 줄 수 있다.
또한, 제2 간격 유지 부재(220)의 내주면에는 제2 난반사 방지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난반사 방지부(223)는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요철부의 돌출부의 마주보는 두 면이 이루는 각도는 50° 내지 70°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간격 유지 부재(220)의 제1 결합면(221)에는 단차(224)가 형성될 수 있는데, 단차(224)는 제2 렌즈(120)의 결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고, 제2 렌즈(120)의 중앙부가 배치될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단차(224)의 아랫면은 제2 렌즈(120)를 투과하여 제3 렌즈(130)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해 줄 수 있는 조리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렌즈(120)의 결상면 중앙부가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되고, 제2 간격 유지 부재(220)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통해 제2 렌즈(120)를 투과한 빛이 제3 렌즈(130)로 입사되는 통로가 확보되도록, 인접하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 중,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의 간격이 가장 크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이웃하는 렌즈 사이에는 제3 간격 유지 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간격 유지 부재(300)는 렌즈 배럴(400)의 내주면에(410)에 접하는 외주면(315)을 가지고, 제3 렌즈(130)과 제4 렌즈(140)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 간의 간격을 유지해 줄 수 있다. 또한, 제3 간격 유지 부재(300)는 제3 렌즈(130)의 결상면과 접하는 제1 결합면(311)과 제4 렌즈의 대상면과 접하는 제2 결합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간격 유지 부재(300)는 제4 렌즈(140)와 결합되는 제1 결합면(311)이 평면으로 구비되어 제3 렌즈의 결상면과 제4 렌즈의 대상면이 가장자리부에서 면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렌즈(130)의 결상면의 가장자리부에는 제1 결합면(311)과 접하는 결합 플랜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렌즈(130)의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렌즈가 적층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 플랜지(135)가 형성되고, 결합 플랜지(135)의 상면에는 제2 간격 유지 부재(220)의 제2 결합면(222)과 결합되는 제1 접촉면(131)이 형성되고, 결합 플랜지(135)의 하면에는 제3 간격 유지 부재(300)의 제1 결합면(311)과 결합되는 제2 접촉면(1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플랜지(135)와 수평하게 제4 렌즈(14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접촉면(141) 사이에 제3 간격 유지 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간격 유지 부재(300)는 상하면이 평평한 링형태로 배치되어 제3 간격 유지 부재(300)와 접촉하는 제3 렌즈(130)의 제2 접촉면(132)과 제4 렌즈(140)의 제1 접촉면(141)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제3 렌즈의 일면이 볼록하고, 상기 일면과 대응되는 오목한 면을 가진 제4 렌즈 사이에 간격 유지 부재가 배치될 때, 오목한 면을 가진 제4 렌즈의 가장자리에 홈을 내어 상기 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배치시켜 제3 렌즈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홈에 배치된 간격 유지 부재의 모서리가 제3 렌즈의 볼록한 면에 접하여 제3 렌즈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간격 유지 부재를 배치시키기 위해 제4 렌즈에 홈을 제작하기 위한 사출 과정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촬상 렌즈의 제작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촬상 렌즈는 촬상 렌즈를 통과한 빛을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투과한 빛을 수용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촬상 렌즈가 포함된 카메라 모듈은,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및 테블렛(tablet) PC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digital device)에 내장될 수 있다. 특히, 광각을 구현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에 내장되어 촬영된 영상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 렌즈 120: 제2 렌즈
130: 제3 렌즈 140: 제4 렌즈
150: 필터 160: 커버 글래스
170: 수광소자 200, 300: 간격 유지 부재
211, 221, 311: 제1 결합면 212, 222, 312: 제2 결합면
213, 223: 난반사 방지부 400: 렌즈 배럴
AS: 조리개

Claims (14)

  1. 대상측으로부터 결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4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의 대상면 코닉(Conic) 상수는 -0.10보다 크고, 0.21보다 작으며,
    상기 제3 렌즈의 결상면 코닉(Conic) 상수는 -1.4보다 크고, -0.7보다 작고,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수학식 1>
    -40.0 < R1+R2 < -25.0, 여기서, R1은 제1 렌즈의 대상면의 곡률반경이고, R2는 제1 렌즈의 결상면의 곡률반경이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률은 1.57보다 크고 1.60보다 작은 촬상 렌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의 아베(abbe) 수는 60보다 크고, 64보다 작은 촬상 렌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촬상 렌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촬상 렌즈.
  6. 대상측으로부터 결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대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음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2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3 렌즈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양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음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률은 1.57보다 크고 1.60보다 작고,
    이웃하는 렌즈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웃하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이웃하는 렌즈의 대상면 및 결상면과 각각 결합되는 평면을 포함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촬상 렌즈.
  7. 대상측으로부터 결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대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음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2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3 렌즈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양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음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3 렌즈의 아베(abbe) 수는 60보다 크고, 64보다 작고, 이웃하는 렌즈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웃하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이웃하는 렌즈의 대상면 및 결상면과 각각 결합되는 평면을 포함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촬상 렌즈.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내주면에 난반사 방지부가 형성되는 촬상렌즈.
  9.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의 대상면 및/또는 결상면에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결합면과 결합하는 접촉면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고, 상기 접촉면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인 촬상 렌즈.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난방사 방지부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촬상렌즈.
  11.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 중, 상기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간격이 가장 큰 촬상렌즈.
  12.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구경이 상기 제2 렌즈의 구경보다 크고, 상기 제2 렌즈의 구경이 상기 제3 렌즈의 구경보다 큰 촬상렌즈.
  13.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의 촬상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 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KR1020230107828A 2015-11-19 2023-08-17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20230127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828A KR20230127170A (ko) 2015-11-19 2023-08-17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84A KR102570047B1 (ko) 2015-11-19 2015-11-19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0230107828A KR20230127170A (ko) 2015-11-19 2023-08-17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384A Division KR102570047B1 (ko) 2015-03-04 2015-11-19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170A true KR20230127170A (ko) 2023-08-31

Family

ID=590534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384A KR102570047B1 (ko) 2015-03-04 2015-11-19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0230107828A KR20230127170A (ko) 2015-11-19 2023-08-17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384A KR102570047B1 (ko) 2015-03-04 2015-11-19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00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8435A (ja) * 2003-11-17 2005-06-09 Fuji Photo Film Co Ltd ズームレンズ
TWI416196B (zh) * 2011-04-15 2013-11-21 Largan Precision Co Ltd 影像擷取鏡頭
US8817387B2 (en) * 2012-10-10 2014-08-26 Optical Logic Inc. Imaging lens
KR101412627B1 (ko) * 2013-09-24 2014-06-27 주식회사 세코닉스 왜곡이 보정된 광각 촬영 렌즈 시스템
TWM481412U (zh) * 2014-03-05 2014-07-01 Largan Precision Co Ltd 環形光學元件與鏡頭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603A (ko) 2017-05-29
KR102570047B1 (ko)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300871A (zh) 影像拾取光學系統
US11733479B2 (en) Imaging lens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US10656410B2 (en) Imaging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200084181A (ko) 촬상 광학계
KR20140089007A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40089005A (ko) 촬상 렌즈 시스템
KR10172947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200026726A (ko) 촬상 광학 시스템 및 전자 장치
CN113341539B (zh) 光学系统、镜头模组和电子设备
KR102052545B1 (ko) 촬상 렌즈
KR102599615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568944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CN114509862B (zh) 光学系统、摄像模组和电子设备
CN114740604B (zh) 光学系统、摄像模组和电子设备
CN114740599B (zh) 光学系统、摄像模组和电子设备
KR101872857B1 (ko) 초소형 광각 촬상 렌즈 시스템
CN214474193U (zh) 光学系统、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0737080A (zh) 薄型成像镜片组
KR102422780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20150080329A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2126411B1 (ko) 촬상 광학계
KR102570047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493388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599618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528499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