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787A -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787A
KR20230126787A KR1020220024002A KR20220024002A KR20230126787A KR 20230126787 A KR20230126787 A KR 20230126787A KR 1020220024002 A KR1020220024002 A KR 1020220024002A KR 20220024002 A KR20220024002 A KR 20220024002A KR 20230126787 A KR20230126787 A KR 20230126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on
power generation
site
data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24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787A/ko
Publication of KR2023012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78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로거(logger)와 통신하여 상기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에 관련된 발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발전 데이터를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사이트에 대해 사이트 별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 보증치는 실제 발전량 및 약정 발전량 간의 비율을 기반으로 발전 수익의 계산에 활용되는 항목이다.

Description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OPERATION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 등이 심각한 문제로 되면서, 에너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태양광, 풍력 등을 이용하여 발전 과정에서 공해를 유발하지 않거나 적게 유발하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다만,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경우 발전량이 기상 상태에 매우 의존적인 관계로 화력, 원자력 등의 기존 발전 방식에 비해 발전량의 예측이 매우 어렵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이러한 점에서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며 안정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계통과 연계가 어렵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에서는 계통과의 연계를 위해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를 활용함으로써 이러한 불확실성을 해결하려고 한다. 즉, ESS의 충방전 제어를 통해 안정적인 고품질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이러한 ESS 연계형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해, ESS와 연계된 계통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며, ESS 전력 거래를 통해 발전 사업자에게 전력 판매 수익을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구역에 설치된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에 대한 통합 운영을 위해, 각 발전 시스템에서 수집된 발전량, 충전량 등에 관련된 데이터(이하, "발전 데이터"라 지칭함)가 통합 운영 서버 측으로 전달된다. 이때, 발전 데이터는 실시간이 아닌 특정 주기로 수집되어 전송된다(이하, 이와 같이 특정 주기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벌크 데이터(bulk data)"라고 지칭함).
이후, 통합 운영 서버는 수신된 벌크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구역 또는 각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발전 및 저장 현황에 관련된 데이터(이하, "분석 데이터"라 지칭함)를 파악하며, 필요 시 파악된 분석 데이터를 다양한 단말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분석 데이터는 발전 보증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전 보증치는 하나의 구역 또는 하나의 발전 시스템에서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하루, 일주일 또는 한달 등) 동안에 발전하기로 사전에 약정한 발전량에 대해 달성한 실제 발전량의 비율에 관련된 보증치이다. 이러한 발전 보증치는 해당 구역 또는 발전 시스템의 사업자에 대한 전력 판매 수익의 계산에 대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발전 보증치는 기 설정된 보증치 계산 정책에 따라 분석(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보증치 계산 정책은 구역 또는 발전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보증량 계산 정책이 다른 사이트들에 대해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해당 사이트 내의 발전 시스템에 대한 발전 보증치 등을 분석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사이트 별로 분석 관리 시스템을 각각 구축해야 하므로, 설치 및 운영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관리자 등이 각 사이트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각 분석 관리 시스템에 대해 별도로 접속해야 해야 하는 불편함의 문제도 발생한다.
다만, 상술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기 공개된 기술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트 내의 발전 시스템에 대한 발전 보증치 등의 분석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로거(logger)와 통신하여 상기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에 관련된 발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발전 데이터를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사이트에 대해 사이트 별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 보증치는 실제 발전량 및 약정 발전량 간의 비율을 기반으로 발전 수익의 계산에 활용되는 항목이다.
상기 로거는 각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에 수집된 상기 발전 데이터를 시간 간격을 두고 벌크 데이터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다수의 존(zone)에 대한 발전 보증치의 계산 정책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이트가 속하는 존의 정산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각 사이트의 발전 보증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계산 정책은 실제 발전량 및 약정 발전량 간의 비율에 대한 제1 정책과, 상기 비율에 인센티브가 추가 적용된 제2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사이트 중에 제1 사이트가 복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에 대해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이트가 속하는 존의 정산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각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한 후, 계산된 발전 보증치를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1 사이트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발전 보증치를 이용하여 발전 보증량, 달성율 및 발전 수익을 추가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웹 페이지를 기반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계산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발전 보증치, 발전 보증량, 달성율 및 발전 수익에 대한 현황 파악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방법으로서, 통합 운영 서버가 로거(logger)와 통신하여 상기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에 관련된 발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상기 발전 데이터를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사이트에 대해 사이트 별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 보증치는 실제 발전량 및 약정 발전량 간의 비율을 기반으로 발전 수익의 계산에 활용되는 항목이다.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기 저장된 다수의 존(zone)에 대한 발전 보증치의 계산 정책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이트가 속하는 존의 정산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각 사이트의 발전 보증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사이트 중에 제1 사이트가 복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상기 제1 사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에 대해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이트가 속하는 존의 정산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각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한 후, 계산된 발전 보증치를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1 사이트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상기 계산된 발전 보증치를 이용하여 발전 보증량, 달성율 및 발전 수익을 추가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웹 페이지를 기반으로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계산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상기 통합 운영 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 보증치, 발전 보증량, 달성율 및 발전 수익에 대한 현황 파악을 위한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트 내의 발전 시스템에 대한 발전 보증치 등의 분석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거가 실시간이 아닌 일정 시간 동안 분석 데이터를 수집한 후, 시간 간격을 두고 벌크 데이터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이용시간을 줄여 해당 네트워크의 이용료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존(zone) 별로 상이한 발전 보증치의 계산 정책을 별도로 관리되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이트 또는 각 발전 시스템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함으로써, 각 사이트에 대해 별도로 구축되어야 했던 다수의 시스템 없이도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통합 운영될 수 있으며, 설치 및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통합 운영 서버(30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운영 서버(300)의 제어부(35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운영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합 운영 방법에서 S420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단말(400)에서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마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등에 따르는 설명은 인용된 특성, 변수, 또는 값과 같이 제시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허용 오차, 측정 오차, 측정 정확도의 한계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타 요인을 비롯한 변형과 같은 효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위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이하, "본 시스템"이라 지칭함)은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100)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발전 시스템(100) 외에 로거(logger)(200) 및 통합 운영 서버(3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시스템(10)은 단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은 다수의 사이트를 포함한다. 즉, 본 시스템(10)은 제1 내지 제m 사이트(단, m은 2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사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발전 시스템(100)을 포함한다. 즉, 하나의 사이트는 전용의 로거(200)를 구비하여, 해당 로거(200)에 전용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발전 시스템(100)에서 생성된 신재생에너지 기반의 전기에 관련된 데이터가 수집되도록 구분된 인접 영역이다. 즉, 하나의 사이트는 특정 발전 사업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발전 시스템(100)에 의한 발전 수익 사업이 가능하도록 인가된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즉, 제1 사이트)가 복수의 발전 시스템(100_1, …100_n1)(단, n1은 2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특정 다른 사이트의 경우, 하나의 발전 시스템(10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발전 시스템(100)은 신재생에너지 기반으로 발전(發電)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발전 시스템(100)은 신재생에너지 기반으로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 장치와, 해당 발전 장치에서 발전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장치와, 발전 장치에서 발전된 전력 또는 배터리 장치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에 제공하도록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발전 장치는 태양광, 태양열, 풍력, 수력, 해양, 지열, 바이오, 폐기물 등을 이용하여 재생 가능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즉, 발전 시스템(100)의 발전 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는 태양광 패널이고, 배터리 장치는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인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력 변환 장치는 발전 장치에서 생성된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거나, 배터리에 저장된 직류의 전력을 계통으로 공급하기 전에 교류로 변환하거나, 직류 전력을 다른 크기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거나, 교류 전력을 다른 크기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거(200)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컴퓨팅이 가능한 전자 장치로서, 데이터 수집 및 전송이 가능한 장치이다. 즉, 로거(200)는 사이트 별로 전용으로 구비되어 해당 사이트 내의 발전 시스템(100)과 네트워크(가령, 외부에 대해 폐쇄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특히, 로거(200)는 전용으로 연결된 각 발전 시스템(100)으로부터 발전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발전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 운영 서버(300)로 네트워크(가령,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이때, 발전 데이터는 발전 시스템(100)에서 신재생에너지 기반으로 전기를 생성하는데 관련된 데이터이다. 일례로, 발전 데이터는 발전량(실제 발전량), 충전량, 방전량, 일사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전량은 해당 발전 시스템(100)의 발전 장치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의 양에 관련된 데이터로서,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경우에 "PV 발전량"이라 지칭할 수도 있다. 충전량은 해당 발전 시스템(100)의 배터리 장치에서 충전한 전기 에너지의 양에 관련된 데이터이다. 방전량은 해당 발전 시스템(100)에서 전력 계통으로 내보낸 전기 에너지의 양에 관련된 데이터이다. 일사량은 해당 발전 시스템(100)이 위치한 영역의 태양 에너지의 양에 관련된 데이터이다.
일례로, 제1 사이트에서, 각 발전 시스템(100)은 그 전용의 로거(200)에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해당 전용의 로거(200)로 발전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각 발전 시스템(100)은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발전 데이터를 해당 전용의 로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해당 전용의 로거(200)는 수신한 발전 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안 수집하며, 수집된 발전 데이터들이 벌크 데이터(bulk data)의 형태로 통합 운영 서버(300) 측으로 VPN 등을 기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벌크 데이터는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된 다수의 발전 데이터를 포함하는 집합 데이터이다. 이러한 동작은 각 사이트의 로거(200_1, … 200_m)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거(200)가 통합 운영 서버(300)로 벌크 데이터의 형태로 발전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유는 네트워크 이용료의 절감을 위함이다. 즉, 로거(200)가 통합 운영 서버(300)로 실시간으로 분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분석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이용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의 이용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이는 로거(200와 통합 운영 서버(300) 간에 네트워크 사업자의 VPN 등의 전용 네트워크 방식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본 발명에서, 각 사이트의 로거(200_1, …200_m)는 실시간이 아닌 일정 시간 동안 분석 데이터를 수집한 후, 시간 간격을 두고 벌크 데이터를 통합 운영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이용 시간을 줄여 해당 네트워크의 이용료를 절감할 수 있다.
통합 운영 서버(300)는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100)의 통합 운영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즉, 통합 운영 서버(300)는 각 로거(200_1, …200_m)로부터 수신한 벌크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각 사이트 또는 각 발전 시스템(100)에 대한 다양한 분석 데이터를 계산한다.
이때, 분석 데이터는 사이트 또는 발전 시스템(100) 별로 계산되는 데이터로서, 발전 보증치를 포함한다. 물론, 분석 데이터는 발전 보증치 외에 발전 보증량, 달성율, 오차율, 발전 수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단말(400)은 통합 운영 서버(300)에 접속하여, 통합 운영 서버(300)에 저장된 각 사이트 또는 각 발전 시스템(100)의 발전 데이터 또는 분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400)은 통합 운영 서버(300)를 관리하기 위한 운영자 측의 관리 단말이거나, 각 사이트의 사업자가 사용하는 사업자 단말이거나, 전력거래소 등에서 사용하는 거래소 단말일 수 있다.
단말(400) 및 통합 운영 서버(300)는 컴퓨팅(computing)이 가능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또는 휴대폰(mobile phon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통합 운영 서버(30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또한, 통합 운영 서버(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310), 통신부(320), 디스플레이(330), 메모리(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다양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키며, 다양한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키보드(key board),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마우스(mouse), 메뉴 버튼(menu butt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320)는 로거(200), 단말(400) 등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가령, 통신부(320)는 로거(200)로부터 발전 데이터 또는 벌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20)는 각 사이트 또는 각 발전 시스템(100)의 발전 데이터 또는 분석 데이터를 단말(400)로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20)는 다른 장치로부터 계산 정책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2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케이블 통신 등의 유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로거(200), 단말(400) 등과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330)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비발광형 패널이나 발광형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330)는 제어부(350)에서의 처리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330)는 입력부(120, 2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340)는 통합 운영 서버(3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340)의 저장 정보로는 통신부(320)를 통해 로거(200), 단말(400) 등의 다른 장치와 송수신하는 정보, 제어부(350)의 제어 동작을 위한 정보, 제어부(350)에서 계산되는 분석 데이터에 대한 정보, 후술할 통합 운영 방법에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 정보는 후술할 기본 정보, 계산 정책의 메타 데이터, 약정 발전량, 인센티브 등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40)는 그 유형에 따라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그네틱 매체 타입(magnetic media type),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광 기록 매체 타입(optical Media type), 자기-광 매체 타입(magneto-optical media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롬 타입(read only memory type), 또는 램 타입(random access memory typ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모리(340)는 그 용도/위치에 따라 캐시(cache), 버퍼, 주기억장치, 또는 보조기억장치이거나 별도로 마련된 저장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50)는 통합 운영 서버(300)의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후술할 통합 운영 방법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운영 서버(300)의 나머지 구성, 즉 입력부(310), 통신부(320), 디스플레이(330), 메모리(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하드웨어인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해당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세스(proces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다수의 발전 시스템(100)에 대한 통합 운영을 위해, 제어부(350)는 로거(200)에서 수신되는 발전 데이터를 처리하여 다수의 사이트에 대해 사이트 별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접속된 단말(400)로 각 사이트 또는 각 발전 시스템(100)에 대한 발전 데이터 또는 분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운영 서버(300)의 제어부(35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제어부(3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제어부(351), 저장 제어부(352) 및 계산 제어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351), 저장 제어부(352) 및 계산 제어부(353)는 제어부(350)의 하드웨어 구성이거나, 제어부(350)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세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운영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운영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운영 방법(이하, "본 방법"이라 지칭함)은 본 시스템(10)에서 수행되며, 특히 통합 운영 서버(300)의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10 내지 S43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S410의 수행 이전에, 제어부(350)는 각 사이트, 각 발전 시스템(100) 및 각 로거(200) 등에 대한 정보(이하, "기본 정보"라 지칭함)의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기본 정보는 각 사이트, 각 발전 시스템(100) 및 각 로거(200)에 대한 식별자,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정보는 메모리(340)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기본 정보는 통신부(320)를 통해 관리 단말 등으로부터 수신되어 메모리(340)에 저장되거나, 해당 기본 정보를 저장한 저장 장치가 통합 운영 서버(300)에 추가 연결됨으로써 메모리(3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S410에서, 발전 데이터가 수집된다. 즉, 발전 시스템(100), 로거(200) 및 통합 운영 서버(300)의 순서로 발전 데이터가 수집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각 사이트의 발전 시스템(100)에서,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발전이 이루어지며, 해당 발전에 따른 발전 데이터가 그 전용의 로거(200)에 수집된다. 일례로, 발전 데이터는 발전량(실제 발전량), 충전량, 방전량, 일사량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본 시스템(1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각 로거(200)는 수집된 발전 데이터를 통합 운영 서버(300) 측으로 전달한다. 일례로, 각 로거(200)는 일정 시간 동안에 발전 데이터를 집합한 벌크 데이터를 실시간이 아닌 시간 간격을 두고 통합 운영 서버(30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통신 제어부(351)는 각 로거(200)로부터 각 사이트의 발전 시스템(100)의 발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통신부(320)를 제어한다. 또한, 저장 제어부(352)는 수신된 발전 데이터를 메모리(3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S420에서, 계산 제어부(353)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발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수의 사이트에 대해 사이트 및 발전 시스템(100) 별로 분석 데이터를 계산하도록 제어한다. 일례로, 분석 데이터는 발전 보증치 외에 발전 보증량, 달성율, 오차율, 발전 수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전 보증치에 대한 설명은 본 시스템(1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특히, 상술한 S410에서, 각 발전 시스템(100)은 그 전용의 로거(200)로 발전 데이터를 전송 시에 해당 발전 시스템(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명칭 또는 ID 정보 등)을 함께 전달한다. 이에 따라, 로거(200)는 해당 식별자가 포함된 발전 데이터 또는 벌크 데이터를 통합 운영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420에서, 계산 제어부(353)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관리 데이터에 대해 그 식별자를 기반으로 각 발전 시스템(100) 및 사이트에 대한 관리 데이터의 분류가 가능하며, 분류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이트 및 발전 시스템(100) 별 분석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계산 제어부(353)는 메모리(340)에 기 저장된 다수의 존(zone)에 대한 발전 보증치의 계산 정책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이트가 속하는 존의 정산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각 사이트의 발전 보증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발전 보증치는 실제 발전량 및 약정 발전량 간의 비율을 기반으로 발전 수익의 계산에 활용되는 항목으로서, 계산 정책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즉, 발전 보증치에 대한 계산 정책은 사이트 별로 기 설정되는데, 일례로 사업자가 전력거래소 등에 전력 판매 수익에 따른 계약 시에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계산 정책은 통합 운영 서버(300)에 기 저장되어 있다.
특히, 발전 보증치에 대한 계산 정책은 존(zone)에 따라 다양한 정책이 적용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존은 동일한 계산 정책이 적용되는 영역을 지칭한다. 즉, 발전 보증치에 대한 계산 정책은 실제 발전량 및 약정 발전량 간의 비율이 적용되는 제1 정책과, 실제 발전량 및 약정 발전량 간의 비율에 인센티브가 추가 적용된 제2 정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제 발전량은 어느 기간(가령, 하루, 일주일 또는 한달 등) 동안의 발전량으로서, 관리 또는 벌크 데이터에 포함된 발전량을 이용하여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약정 발전량은 사업자가 전력거래소 등에 전력 판매 수익에 따른 계약 시에 어느 기간(가령, 하루, 일주일 또는 한달 등) 동안의 발전하기로 약속한 발전량이다.
예를 들어, 제1 정책은 하기의 수식 1을 적용하는 정책일 수 있다.
발전 보증치 = 실제 발전량/약정 발전량 (수식 1)
또한, 제2 정책은 하기의 수식 2 또는 수식 3을 적용하는 정책일 수 있다.
발전 보증치 = 실제 발전량/약정 발전량 × 인센티브 (수식 2)
발전 보증치 = 실제 발전량/약정 발전량 + 인센티브 (수식 3)
즉, 제2 정책이 적용될 경우, 실제 발전량에 따른 제1 정책의 발전 보증치 보다 인센티브에 의해 더 증가된 발전 보증치가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센티브는 발전 보증치에 대한 가중치로서, 사업자가 전력거래소 등에 전력 판매 수익에 따른 계약 시에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전 보증치에 대한 계산 정책은 제1 또는 제2 정책 외에도 실제 발전량 및 약정 발전량 간의 비율을 기반으로 하는 정책이면 추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계산 정책은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메모리(340)에 저장되는데, 계산 제어부(353)는 각 사이트 또는 발전 시스템(100)에 대해 분류된 발전 데이터에 적용되는 정책을 메모리(34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결정한다. 이후, 계산 제어부(353)는 결정된 정책을 적용하여 해당 발전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하여 각 사이트 또는 발전 시스템(100)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계산 정책은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메모리(340)에 저장되는데, 계산 제어부(353)는 각 사이트 또는 발전 시스템(100)에 대해 분류된 발전 데이터에 적용되는 정책을 메모리(34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결정한다. 이후, 계산 제어부(353)는 결정된 정책을 분류된 발전 데이터에 적용하여 각 사이트 또는 발전 시스템(100)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발전 보증량은 발전 보증치에 실제 발전량을 곱한 값으로서, 발전 보증량은 발전 수익의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발전량의 값을 나타내며, "발전 예측량"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즉, 발전 보증량은 하기의 수식 4를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
발전 보증량 = 발전 보증치 × 약정 발전량 (수식 4)
또한, 달성율은 약정 발전량에 대해 달성된 발전 보증량의 정도이다. 즉, 달성율은 약정 발전량에 대한 발전 보증량의 비율로서, 하기의 수식 5를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
달성율(%) = 발전 보증량/약정 발전량 × 100 (수식 5)
반면, 오차율은 약정 발전량에 대해 미 달성된 발전 보증량의 정도를 나타낸다. 즉, 오차율은 하기의 수식 6을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오차율(%) = 100 - (발전 보증량/약정 발전량 × 100) (수식 6)
또한, 발전 수익은 발전 보증량을 기반으로 계산된 수익 금액을 나타내다. 즉, 발전 수익은 하기의 수식 7을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단위 발전 보증량의 금액은 메모리(340)에 기 저장된다.
발전 수익 = 발전 보증량 × 단위 발전 보증량 금액 (수식 7)
예를 들어, 어느 사이트 또는 발전 시스템(100)의 약정 발전량이 50 KWh이고, 실제 발전량이 10 KWh이며, 단위 발전 보증량 금액이 1,000 원/KWh일 수 있다.
이때, 제1 정책이 적용될 경우, 사이트 또는 발전 시스템(100)에 대해, 발전 보증치는 10 KWh/50 KWh = 0.2 이고, 발전 보증량은 0.2 × 50 KWh = 10 KWh이며, 달성율은 10 KWh/50 kwh × 100 = 20% 이고, 오차율은 80%이며, 발전 수익은 10 KWh × 1,000 원/KWh = 10,000원이다.
한편, 수식 2에 따른 제2 정책이 적용되되 그 인센티브가 2일 경우, 사이트 또는 발전 시스템(100)의 발전 보증치는 10 KWh/50 KWh × 1.5 = 0.3 이며, 발전 보증량은 0.3 × 50 KWh = 15 KWh이며, 달성율은 15 KWh/50 kwh × 100 = 30% 이고, 오차율은 70%이며, 발전 수익은 15 KWh × 1,000 원/KWh = 15,000원이다.
또한, 수식 3에 따른 제2 정책이 적용되되 그 인센티브가 0.2일 경우, 사이트 또는 발전 시스템(100)의 발전 보증치는 10 KWh/50 KWh + 0.2 = 0.4 이며, 발전 보증량은 0.4 × 50 KWh = 20 KWh이며, 달성율은 20 KWh/50 kwh × 100 = 40% 이고, 오차율은 60%이며, 발전 수익은 20 KWh × 1,000 원/KWh = 20,000원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합 운영 방법에서 S420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420은 S421 내지 S42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S421에서, 계산 제어부(353)는 사이트 및 발전 시스템(100) 별로 발전 데이터를 분류한다.
즉, 계산 제어부(353)는 제1 사이트 내지 제m 사이트에 대한 발전 데이터를 별도로 분류하되, 각 사이트에 속한 발전 시스템(100) 별로 발전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일례로, 계산 제어부(353)는 제1 사이트에 대한 발전 데이터를 분류하되, 제1 사이트에 속한 각 발전 시스템(100_1, …100_n1)에 대한 발전 데이터를 별도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계산 제어부(353)는 제1 사이트의 발전 데이터에 대해, 제1 발전 시스템(100_1)에 대한 발전 데이터(이하, "제1 발전 데이터"라 지칭함)를 분류하고, 마찬가지로 제n 발전 시스템(100_n1)에 대한 발전 데이터(이하, "제n 발전 데이터"라 지칭함)를 분류할 수 있다.
이후, S422에서, 분류된 발전 데이터에 대해 적용되는 정책을 메모리(34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결정한다.
일례로, 제1 사이트와 관련하여 분류된 발전 데이터에 대해, 계산 제어부(353)는 제1 사이트에 적용되는 정책이 어떤 것인지를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결정한다. 가령, 제1 사이트에 대한 계산 정책이 제2 정책인 경우, 제2 정책을 적용할 계산 정책으로 결정한다.
이후, S423에서, 계산 제어부(353)는 결정된 정책을 해당 사이트의 각 발전 시스템(100) 별로 분류된 발전 데이터에 적용하여 해당 사이트의 발전 시스템(100) 별로 분석 데이터를 계산한다.
일례로, 계산 제어부(353)는 제1 사이트의 복수의 발전 시스템(100_1, …100_n1)의 발전 시스템 별로 분류된 관리 데이터에 대해, 결정된 제2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제1 사이트의 발전 시스템(100) 별로 분석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즉, 계산 제어부(353)는 결정된 제2 정책을 제1 발전 데이터 내지 제n 발전 데이터에 대해 각각 적용함으로써 제1 사이트의 각 발전 시스템(100_1, …100_n1)에 대한 각각의 분석 데이터를 계산한다. 이때, 계산 제어부(353)는 제1 발전 데이터 내지 제n 발전 데이터에 대해 결정된 제2 정책을 적용하여, 제1 사이트의 각 발전 시스템(100_1, …100_n1)에 대한 각각의 발전 보증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계산 제어부(353)는 계산된 각 발전 보증치를 기반으로, 제1 사이트의 각 발전 시스템(100_1, …100_n1)에 대한 발전 시스템 별 나머지 분석 데이터(즉, 발전 보증량, 달성율, 오차율, 발전 수익)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 S424에서, 계산 제어부(353)는 계산된 특정 사이트의 각 발전 시스템(100)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사이트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계산 제어부(353)는 계산된 제1 사이트의 각 발전 시스템(100_1, …100_n1)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사이트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즉, 계산 제어부(353)는 제1 발전 시스템(100_1)의 발전 보증치부터 제n 발전 시스템(100_n1)의 발전 보증치까지 모두 합산함으로써, 제1 사이트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계산 제어부(353)는 제1 발전 시스템(100_1)의 발전 보증량부터 제n 발전 시스템(100_n1)의 발전 보증량까지 모두 합산함으로써, 제1 사이트에 대한 발전 보증량을 계산할 수 있다. 물론, 계산 제어부(353)는 계산된 제1 사이트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수식 4에 적용함으로써 제1 사이트에 대한 발전 보증량을 계산할 수도 있다.
이후, 계산 제어부(353)는 계산된 제1 사이트에 대한 발전 보증량을 수식 5 내지 수기 7에 각각 적용함으로써 제1 사이트에 대한 달성율, 오차율 및 발전 수익을 계산할 수 있다. 물론, 계산 제어부(353)는 제1 발전 시스템(100_1)의 수익 금액부터 제n 발전 시스템(100_n1)의 수익 금액까지 모두 합산함으로써, 제1 사이트에 대한 수익 금액을 계산할 수도 있다
이후, 저장 제어부(352)는 S420에 따라 계산된 각 사이트 및 각 발전 시스템(100)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메모리(3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은 존(zone) 별로 상이한 발전 보증치의 계산 정책을 별도로 관리되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이트 또는 각 발전 시스템(100)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각 사이트에 대해 별도로 구축되어야 했던 다수의 시스템 없이도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통합 운영될 수 있으며, 설치 및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단말(400)에서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다.
이후, S430에서, 통신 제어부(351)는 웹 페이지를 기반으로 통신부(32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400)로 계산된 분석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관리 단말, 사업자 단말 또는 거래소 단말인 단말(400)의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기 설정된 단말(400)로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해당 분석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분석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400)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이트 및 각 발전 시스템(100)에 대한 수신한 분석 데이터의 현황 파악을 위한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단말(400)은 수신된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이트 및 각 발전 시스템(100)에 따른 발전 보증치, 발전 보증량, 달성율, 오차율, 발전 수익 등에 대한 현황 파악을 위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트 내의 발전 시스템에 대한 발전 보증치 등의 분석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거가 실시간이 아닌 일정 시간 동안 분석 데이터를 수집한 후, 시간 간격을 두고 벌크 데이터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이용시간을 줄여 해당 네트워크의 이용료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존(zone) 별로 상이한 발전 보증치의 계산 정책을 별도로 관리되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이트 또는 각 발전 시스템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함으로써, 각 사이트에 대해 별도로 구축되어야 했던 다수의 시스템 없이도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통합 운영될 수 있으며, 설치 및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통합 운영 시스템 100: 발전 시스템
200: 로거 300: 통합 운영 서버
310: 입력부 320: 통신부
330: 디스플레이 340: 메모리
350: 제어부 351: 통신 제어부
352: 저장 제어부 353: 계산 제어부

Claims (12)

  1.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로거(logger)와 통신하여 상기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에 관련된 발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발전 데이터를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사이트에 대해 사이트 별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 보증치는 실제 발전량 및 약정 발전량 간의 비율을 기반으로 발전 수익의 계산에 활용되는 항목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거는 각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에 수집된 상기 발전 데이터를 시간 간격을 두고 벌크 데이터 형태로 전송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다수의 존(zone)에 대한 발전 보증치의 계산 정책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이트가 속하는 존의 정산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각 사이트의 발전 보증치를 계산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정책은 실제 발전량 및 약정 발전량 간의 비율에 대한 제1 정책과, 상기 비율에 인센티브가 추가 적용된 제2 정책을 포함하는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사이트 중에 제1 사이트가 복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에 대해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이트가 속하는 존의 정산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각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한 후, 계산된 발전 보증치를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1 사이트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발전 보증치를 이용하여 발전 보증량, 달성율 및 발전 수익을 추가 계산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웹 페이지를 기반으로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계산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발전 보증치, 발전 보증량, 달성율 및 발전 수익에 대한 현황 파악이 표시되는 시스템.
  8.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방법으로서,
    통합 운영 서버가 로거(logger)와 통신하여 상기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에 관련된 발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상기 발전 데이터를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사이트에 대해 사이트 별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 보증치는 실제 발전량 및 약정 발전량 간의 비율을 기반으로 발전 수익의 계산에 활용되는 항목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기 저장된 다수의 존(zone)에 대한 발전 보증치의 계산 정책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이트가 속하는 존의 정산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각 사이트의 발전 보증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사이트 중에 제1 사이트가 복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상기 제1 사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에 대해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이트가 속하는 존의 정산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각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한 후, 계산된 발전 보증치를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1 사이트에 대한 발전 보증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상기 계산된 발전 보증치를 이용하여 발전 보증량, 달성율 및 발전 수익을 추가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웹 페이지를 기반으로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계산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상기 통합 운영 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 보증치, 발전 보증량, 달성율 및 발전 수익에 대한 현황 파악을 위한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0024002A 2022-02-24 2022-02-24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6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002A KR20230126787A (ko) 2022-02-24 2022-02-24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002A KR20230126787A (ko) 2022-02-24 2022-02-24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787A true KR20230126787A (ko) 2023-08-31

Family

ID=8784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002A KR20230126787A (ko) 2022-02-24 2022-02-24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7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Energy consumption of cryptocurrency mining: A study of electricity consumption in mining cryptocurrencies
Rider et al. Bilevel approach for optimal location and contract pricing of distributed generation in radial distribution systems using mixed‐integer linear programming
Li et al. Integrated power management of data centers and electric vehicles for energy and regulation market participation
Melton Gridwise transactive energy framework (draft version)
Xie et al. Supplementary automatic generation control using controllable energy storage in electric vehicle battery swapping stations
CN102332120A (zh) 一种电力智能营业厅管理系统
KR20190081261A (ko) 친환경 에너지의 정성적 가치를 디지털 암호화 화폐로 변환하는 시스템
Infante et al. Operational strategy analysis of electric vehicle battery swapping stations
Radovanovic et al. Power modeling for effective datacenter planning and compute management
Habibi et al. Assessment of energy storage systems as a reserve provider in stochastic network constrained unit commitment
Miller et al. Renewable electricity use by the 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dustry
Prasanta Gupta et al. Stochastic scheduling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for large‐scale wind power penetration
JP7018558B2 (ja) 電力取引システム
KR20120074458A (ko) 지능형 전원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26787A (ko)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통합 운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Okafor et al. Enterprise energy analytic cloud portal for user-centric on-demand profile access in smart green energy management system
Zhou et al. Optimal control strategy of load aggregators with demand response
Karnouskos et al. Prosumer interactions for efficient energy management in smartgrid neighborhoods
Yongqiang et al. Comparison of centralised and distributed energy storage configuration for AC/DC hybrid microgrid
Gumyusenge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 meter
Lei et al. Optimizing price-informed operation of a battery storage system in an office building
Smith Overview of the US Department of energy’s research & development activities on microgrid technologies
Kern et al.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a Renewable Energy Platform
Nafus et al. Carbon-Responsive Computing: Changing the Nexus between Energy and Computing. Energies 2021, 14, 6917
Aganagic et al. Next generation integrated emissions manage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