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515A - 착용형 안저촬영기 - Google Patents

착용형 안저촬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515A
KR20230126515A KR1020220023789A KR20220023789A KR20230126515A KR 20230126515 A KR20230126515 A KR 20230126515A KR 1020220023789 A KR1020220023789 A KR 1020220023789A KR 20220023789 A KR20220023789 A KR 20220023789A KR 20230126515 A KR20230126515 A KR 20230126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earable
fundus
fundus camera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 진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3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515A/ko
Publication of KR2023012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안에 대한 안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착용형 안저촬영기에 관한 것으로, 피검사자의 양안을 덮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안저 촬영을 위한 촬영부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를 피검사자의 얼굴에 맞춰 고정하는 걸침부; 및 촬영과정에서 검사자가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돌출하여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양안을 덮을 수 있는 본체에 안저 촬영을 위한 촬영부를 구비함으로써, 양쪽 눈에 대한 안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외부에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안저 촬영을 위한 광학계에 필요한 공간으로 인하여 본체의 부피가 커짐에도 불구하고, 피검사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로 안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용형 안저촬영기{WEARABLE OPHTALMOSCOPE}
본 발명은 안저촬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녹내장 검사 등의 용도로 망막을 관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의 진단에 사용되는 기기에는 보통 검안기, 검안경, 슬릿램프, 안압기, 안저촬영기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안저촬영기는 눈의 안쪽 면인 망막을 관찰함으로 일반적인 눈의 질병들을 알 수 있는 것으로, 망막의 상태를 이미지 센서에 연결하여 촬영 및 관찰하고 기록 또는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안저촬영기는 녹내장 검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녹내장을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주사레이저현미경(Scanning Laser Polarimetry, SLP) 또는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시야검사(Visual Field Test), 시신경유두(Optic Disc, OD)의 함몰 비율 비교가 대표적인 진단방법이지만, 검사비용이 높아서 일반적인 진단 장치로서의 사용이 어렵다. 한편, 녹내장 발병 초기단계에서 가장 먼저 결손이 발생하는 해부학적 조직은 신경절세포의 축삭으로 구성된 망막 신경 섬유층(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이며, 건강검진 또는 안과검사에서 실시하는 안저촬영(Fundus Photography) 검사를 통해 망막 신경 섬유층(RNFL)의 결손 여부를 판독할 수 있으며, 앞서 살펴본 진단 방법들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검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안저촬영을 통해서 조기에 녹내장의 징후를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안저촬영기는 복잡한 광학계를 필요로 하고 폴라로이드카메라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고정된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고정된 구조로 인하여 움직임이 많은 소아나 활동이 불편한 환자들에 대한 촬영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기존의 안저촬영기는 주로 병원에 설치되어 사용되었으며, 그 활용도가 높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6383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쉽게 양안에 대한 안저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착용형 안저촬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안저촬영기는, 피검사자의 양안을 덮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안저 촬영을 위한 촬영부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를 피검사자의 얼굴에 맞춰 고정하는 걸침부; 및 촬영과정에서 검사자가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돌출하여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최근 광학계의 발달과 디지털카메라의 개발로 인하여 다양한 안과 검사장치들을 이동형으로 제작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며, 일부는 양안의 검사에 유리한 착용형 장치로서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광학계가 발전하여도 안저촬영기는 피검사자의 눈과 촬영부 사이에 필요한 거리가 있기 때문에 착용형장치를 개발하여도 크기가 과도하게 커지며, 착용형의 안저촬영기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충분한 길이의 경통을 가지는 단안 방식의 휴대용 안저촬영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양쪽 눈에 대한 안저촬영을 위해서는 좌안과 우안에 촬영을 순차적으로 수행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안저촬영기의 본체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통해서 검사자가 안저촬영기의 무게 중에서 일부를 지지함으로써, 안저촬영을 위한 충분한 크기를 가지면서도 피검사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양안 촬영이 가능한 착용형 안저촬영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의 하우징 외부에는 이동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이동레일을 따라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레일은 본체 하우징의 하면에서 측면까지 이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에는 이동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동체에 탈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표시부가 구비된 스마트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여 스마트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피검사자의 얼굴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힌지연결된 회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만을 회동하여, 피검사자의 양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부는 카메라와 광학계 및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근적외선 광원과 가시광 광원을 모두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양안을 덮을 수 있는 본체에 안저 촬영을 위한 촬영부를 구비함으로써, 양쪽 눈에 대한 안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외부에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안저 촬영을 위한 광학계에 필요한 공간으로 인하여 본체의 부피가 커짐에도 불구하고, 피검사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로 안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저촬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저촬영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저촬영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저촬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저촬영기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안저촬영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착용형 안저촬영기는 본체(100)와 걸침부(200) 및 손잡이(300)를 포함하며, 별개로 구비되는 스마트 기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착용형 안저촬영기는 검사를 받는 피검사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며, 고글형(goggle) 또는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저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안저를 촬영하기 전에 피검사자의 안구 관찰 및 초점 조절 등의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종래와 같이 고정된 형태의 안저촬영기에서는 피검사자가 안저촬영기에 미리 지정된 위치에 이마와 턱을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정확한 위치에 얼굴과 눈을 위치시켜야만 안저 촬영 및 준비가 가능하였기 때문에,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의 경우에 안저 촬영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나아가 이동이 가능한 안저촬영기의 경우에도, 단안 방식의 안저촬영기는 양쪽 눈에 대한 안저촬영을 위해서는 좌안과 우안에 촬영 준비와 촬영을 순차적으로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검사자와 피검사자 모두에게 불편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저촬영기를 착용형으로 구성한 것은, 안저촬영기의 위치 조정 및 양안 검사를 통해서 검사자와 피검사자가 안저 촬영 과정에서 겪는 불편을 줄이고, 안저 촬영 대상을 넓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체(100)는 피검사자의 양안을 덮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에 안저 촬영을 위한 촬영부가 설치된다. 안저촬영을 위한 촬영부는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와 안저를 촬영하기 위한 광학계 및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촬영부는 안저 촬영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나, 특히 본 실시예는 광원으로서 근적외선 광원과 가시광 광원을 함께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안저촬영을 위해서는 가시광 광원이 켜진 상태에서 촬영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안저를 촬영하기 전에 피검사자의 안구 관찰 및 초점 조절 등의 준비과정에서도 조명이 필요하다, 이때, 안저 촬영에 사용되는 가시광 광원을 안구 관찰 및 초점 조절 과정에서도 사용하는 경우에 가시광 광원에 의해서 피검사자의 눈에 큰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근적외선 광원과 가시광 광원을 함께 구비하고, 안구 관찰 및 초점 조절 등의 준비과정에서는 피검사자의 눈에 영향이 적은 근적외선 광원을 이용하고, 안저 촬영 시에 짧은 시간 동안만 가시광 광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걸침부(200)는 본체(100)를 피검사자의 얼굴에 고정하기 위하여, 본체(100)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걸침부(200)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검사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침부(200)의 후면부는 셔틀모양 등의 돌림장치를 통해 머리 장착 시, 피검사자의 머리에 밀착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걸침부(200)의 후면부는 환자의 후두부에 밀착할 수 있게 인체공학적인 각도를 적용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걸침부(200)의 형태는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안저 촬영을 위한 광학계는 피검사자의 눈과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과거에 비파여 광학계가 발전하면서, 안저 촬영을 위하여 필요한 간격이 줄어든 상태이지만, 눈의 외곽부분인 각막 등을 촬영하기 위한 경우에 비하여 안저 촬영을 위한 광학계에서 요구되는 거리는 상당히 길다. 본 실시예의 착용형 안저촬영기는 본체(100)의 내부에 촬영부 및 광학계가 설치되기 때문에 본체(100)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길이에서 소정의 범위가 필요하며, 이는 본체(100) 자체의 크기가 커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안저 촬영을 위한 광학계가 포함된 본 실시예의 착용형 안저촬영기는 걸침부(200)를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피검사자의 머리에 착용하였을 때에 안정감이 낮기 때문에, 검사자가 안저 촬영을 준비하고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는 본체(100)에 부착되는 손잡이(300)를 부가함으로써, 검사자가 손잡이(300)를 이용해서 피검사자에게 인가되는 안저촬영기의 무게를 분산하여 촬영 및 조작 과정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300)는 장치 조작을 위한 버튼(310)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그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300)가 형성된 버튼(310)을 이용하여 촬영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지만, 안저 촬영을 위한 준비 및 촬영 과정에서는 더 많은 조작을 수행해야 한다. 이때, 검사자는 한 손으로는 손잡이(300)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안저촬영기를 조작하는 동작을 수행해야 하지만, 검사자에 따라서 사용이 편리한 손잡이의 위치는 서로 상이하다. 대부분은 본체(100) 하우징의 하면에 손잡이(300)가 위치하는 것이 편리하겠지만, 본체(100) 하우징의 하면에서도 좌측과 우측 등과 같이 구체적인 위치에 따라서 사용 편이성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본 실시예는 손잡이(30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체(100)의 하우징에 이동레일(150)을 설치하고 손잡이(300)가 이동레일(150)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동레일(150)은 본체(100) 하우징의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서 본체(100) 하우징의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300)가 직접 이동레일(150)에 결합되어 이동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서는 이동레일(150)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체(160)를 이동레일(150)에 결합하고, 손잡이(300)는 이동체(160)에 부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안저촬영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손잡이(300)가 부착된 것이 편리하지만, 보관 등을 위해서는 손잡이(300)를 본체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잡이(300)를 이동레일(150)에 직접 부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이동레일(150)에는 이동체(160)가 결합되고 손잡이(300)는 이동체(160)에 부착 및 탈거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손잡이(300)가 이동레일(150)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장치는 이동레일(150)에서 미리 정해진 일부 위치에 손잡이(300)가 고정되는 구조일 수도 있으나, 이동레일(150) 상의 임의 위치에서 모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에 따라서 편안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00)는 걸침부(200)에 설치되며, 착용형 안저촬영기의 전체 구조에서 '후면부'에 배치되어 기기 자체의 무게 배분에 기여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00)에 의해 무게가 배분되기 때문에, 손잡이(300)를 쥐고 있는 검사자에게 느껴지는 장치의 무게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스마트 기기(500)를 이용하여 착용형 안저촬영기의 사용 효율을 높이는 구조를 적용한다.
스마트 기기(500)는 본체(100)에 결합 가능한 것으로 전면에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기기(500)는 본체(100)의 앞부분에 결합되며, 본체(100)에 전면에 형성되는 장착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5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소형 PC 등 디스플레이 기능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의 전면부에 스마트 기기(500)가 안착되는 장착위치가 형성되었으며, 장착위치는 홈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스마트 기기(500)가 본체(100)의 외주면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스마트 기기(500)에 구비된 제어부를 통해 착용형 안저촬영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500)에는 앱이 설치되어 스마트 기기(500) 자체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고, 검사자는 앱을 사용하여 안저촬영기를 제어할 수 있다. 앱 실행을 통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서 본체(100)로 전달하여 촬영부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500)는 본체(100)의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여, 스마트 기기(500) 자체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500)의 표시부에는 본체(100)의 촬영부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500)는 안저촬영기를 외부에서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안저촬영기의 본체(100)에는 제어를 위한 버튼 등을 최소화하고 스마트 기기(500)를 이용하여 안저촬영기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본 명세서의 설명들 중에서 스마트 기기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에 필요한 구성들은 착용형 안저촬영기에 포함된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스마트 기기(500)를 고정하는 설치부(140)가 형성된다. 설치부(140)는 본체(100)에 형성되며, 본체(100) 상에서 움직이면서 스마트 기기(500)를 고정하거나 탄성에 의해 스마트 기기(500)를 고정함으로써, 본체(100)에 안착된 스마트 기기(500)의 이동이나 이탈을 방지한다. 설치부(140)는 본체(100)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모터 등의 구동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설치부(140)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서 스마트 기기(5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때, 본체(100)에 안착센서를 설치하여 장착위치에 안착되는 스마트 기기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장착위치 상에 스마트 기기(500)가 안착되었음을 안착센서가 감지하면, 안착센서는 이동식으로 구성된 설치부(14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설치부(140)가 움직여서 자동으로 스마트 기기(500)를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안착센서는 거리 센서, 접촉 센서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동방식의 설치부(140)를 동작시키는 방식은 상기 자동 제어뿐만 아니라 검사자의 수동 이동이나 별도의 스위치를 이용한 이동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설치부(140)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500)가 본체(100)로부터 이탈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100)에 스마트 기기(5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체(100)에는 스마트 기기(500)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모듈을 설치하여, 장착위치에 스마트 기기(500)가 안착되면 스마트 기기(500)가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은 전원공급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무선 충전 모듈은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마트 기기(500)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마트 기기(500)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충전 모드를 켜고 끄는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안저 촬영 과정에서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눈을 확인해야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며, 피검사자가 답답함을 호소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때, 착용형 안저촬영기를 벗었다가 다시 착용하는 행위를 반복하는 것은 안저촬영기를 착용형으로 구성한 효과를 감소시키며, 사용 과정의 불편함을 높이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본 실시예는 착용형 안저촬영기를 머리에 착용하고 있는 상태, 즉 걸침부(200)가 피검사자의 머리에 걸쳐진 상태에서 피검사자의 눈을 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를 걸침부(200)가 머리에 걸쳐진 상태에서 피검사자의 얼굴에 접촉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110)에 힌지부(130)로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써 피검사자의 눈이 노출되도록 하는 회동부(120)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회동부(120)만을 움직여서 피검사자의 눈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눈을 확인하거나 피검사자가 답답함을 호소할 때에 착용형 안저촬영기를 벗지 않은 상태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고정부
120: 회동부 130: 힌지부
140: 설치부 150: 이동레일
160: 이동체 200: 걸침부
300: 손잡이 310: 버튼
400: 전원공급부 500: 스마트 기기

Claims (7)

  1. 피검사자의 양안을 덮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안저 촬영을 위한 촬영부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를 피검사자의 얼굴에 맞춰 고정하는 걸침부; 및
    촬영과정에서 검사자가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돌출하여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안저촬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우징 외부에는 이동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이동레일을 따라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안저촬영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은 본체 하우징의 하면에서 측면까지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안저촬영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에는 이동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동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안저촬영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표시부가 구비된 스마트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여 스마트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안저촬영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피검사자의 얼굴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힌지연결된 회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만을 회동하여, 피검사자의 양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안저촬영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카메라와 광학계 및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근적외선 광원과 가시광 광원을 모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안저촬영기.
KR1020220023789A 2022-02-23 2022-02-23 착용형 안저촬영기 KR20230126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789A KR20230126515A (ko) 2022-02-23 2022-02-23 착용형 안저촬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789A KR20230126515A (ko) 2022-02-23 2022-02-23 착용형 안저촬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515A true KR20230126515A (ko) 2023-08-30

Family

ID=8784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789A KR20230126515A (ko) 2022-02-23 2022-02-23 착용형 안저촬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5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830B1 (ko) 2021-01-05 2021-06-11 주식회사 유엠아이옵틱스 자동 초점 기능을 이용한 안저 영상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830B1 (ko) 2021-01-05 2021-06-11 주식회사 유엠아이옵틱스 자동 초점 기능을 이용한 안저 영상 촬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8142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ophthalmic testing and measurement
US11504000B2 (en) Ophthalmologic testing systems and methods
WO1991016857A1 (en) Vascular entoptoscope
CN115151181A (zh) 用于眼科装置的个性化患者接口
KR20200006397A (ko) 휴대용 디지털 세극등 현미경
US11564568B1 (en) Eye imaging system and fundus camera positioning device
KR20230126515A (ko) 착용형 안저촬영기
JP7162360B2 (ja) 視覚系診査装置
CN216854660U (zh) 眼底检查镜
CN115836837B (zh) 眼科检测装置
CN218943312U (zh) 一种便携式儿童眼科检查仪
KR20040075183A (ko) 비디오 안진 기록장치용 시각 고정기
CN117204804A (zh) 一种便携式儿童眼科检查仪
CN116035526A (zh) 眼底检查镜
WO2019103631A1 (en) Portable goni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