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280A -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280A
KR20230126280A KR1020220022745A KR20220022745A KR20230126280A KR 20230126280 A KR20230126280 A KR 20230126280A KR 1020220022745 A KR1020220022745 A KR 1020220022745A KR 20220022745 A KR20220022745 A KR 20220022745A KR 20230126280 A KR20230126280 A KR 20230126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water
network
air quality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영
이승배
홍성욱
Original Assignee
오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280A/ko
Publication of KR2023012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2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8Material parameters
    • G01N2291/02845Humidity, wet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8Material parameters
    • G01N2291/02881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끼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산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한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Moss growth system for application of air quality improvement system using indoor moss growth system}
본 발명은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끼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산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한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정화(air purification)는 공기 속의 분진, 유해가스, 세균 등을 제거하여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오염이 심해지고 황사 등이 자주 발생하는 환경 하에서 환경을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공기정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미세먼지가 특히 문제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입자상 물질을 말하는데, 석탄, 석유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나, 공장,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하며, 입자의 크기가 10㎛보다 작은 미세먼지와 25㎛보다 작은 초미세먼지로 나뉘고, 그 성분은 발생 지역이나 계절, 기상조건 등에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다 사람의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갈 수 있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실내외에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들을 개발하고 있다.
이끼를 이용한 공기오염 정화장치와 관련된 기술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5717호의 이끼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끼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끼 필터의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하고 바닥 면적 대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직으로 이끼를 생육할 수 있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온도와 습도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이끼 생육망의 수분을 관리하는 운용시스템을 구비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물공급을 제어하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조와, 물순환 펌프, UV램프, 정수필터, 물공급 드리퍼를 포함하는 관수부와, 제1급수관과, 제2급수관과, 제3급수관과, 제1PP망, 생이끼, 수태, PE부착망, 제2PP망을 포함하는 이끼 생육망과,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 온습도센서, 수위계를 포함하는 생육 콘트롤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은, 이끼 필터의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하고 바닥 면적 대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직으로 이끼를 생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은, 장치의 온도와 습도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이끼 생육망의 수분을 관리하는 운용시스템을 구비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끼 생육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의 내부 상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 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끼 생육망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의 내부 상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끼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산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한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조(100)와, 물순환 펌프(210), UV램프(230), 정수필터(250), 물공급 드리퍼(270)를 포함하는 관수부(200)와, 제1급수관(220)과, 제2급수관(240)과, 제3급수관(260)과, 제1PP망(310), 생이끼(320), 수태(330), PE부착망(340), 제2PP망(350)을 포함하는 이끼 생육망(300)과,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 온습도센서(420), 수위계(미도시)를 포함하는 생육 콘트롤 시스템(40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끼 생육망(300)은 제1PP망(310), 생이끼(320), 수태(330), PE부착망(340), 제2PP망(350)을 포함한다. 또한 도 1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끼 생육망(300)은 후술할 물공급 드리퍼(270)의 하부에 결합하며 후술할 관수부(20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이끼 생육망(300)은 상기 관수부(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끼를 생육하고, 이끼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역할을 한다. 상기 이끼 생육망(300)은 수직으로 이끼를 생육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 면적 대비 효율이 높은 공기질 개선체를 제공한다.
제1PP망(310) 및 제2PP망(350)은 상기 이끼 생육망(30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어, 이끼와 상기 이끼 생육망(300)의 내부구조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PP망(310)은 상기 이끼 생육망(300)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2PP망(350)은 후술할 PE부착망(340)의 후방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PP망(310) 및 제2PP망(350)은 서로를 간결하게 잡아주며 양 끝 단에 함체와 고정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하여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PP망(310) 및 제2PP망(350)은 복수의 그물형태로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섬유가 가로와 세로로 연속적으로 엮여진 구조로 형성된 망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PP망(310) 및 제2PP마은 20mm간격으로 망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기 생이끼(320)는 제1PP망(310)의 후방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이끼는 깃털이끼 또는 털깃털이끼로 구성된다. 깃털이끼류는 그늘진 바위 또는 땅에 엉겨서 자라는 특징이 있으며, 서로를 연결하여 자라는 특징으로 인해 수직 생육에 용이하다.
상기 수태(330)는 상기 생이끼(320)의 후방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태(330)는 건조이끼이며, 물을 다량으로 함유할 수 있는 특수한 세포를 지닌 조직체다. 상기 수태(330)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생이끼(320)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태(330)는 병원균을 억제할 수 있는 향균작용이 가능하다.
PE부착망(340)은 상기 수태(330)의 후방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PE부착망(340)은 방수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상기 PE부착망(340)은 미세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PE부착망(340)은 이중구조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E부착망(340)은 선경 0.23mm의 섬유를 이중으로 그물망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여 형성한다. 상기 PE부착망(340)은 상기 이끼 생육망(300)에서 물 흐름을 지연하고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입체적인 그물망 형태이므로, 상기 이끼 생육망(300)이 이끼를 고정하기 용이하게 한다.
수조(100)는 물을 공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조(100)는 후술할 관수부(200)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100)는 수도로부터 물을 공급받지 않고 저장된 물을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도의 위치와 관계없이 본 발명을 배치 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관수부(200)는 물순환 펌프(210), UV램프(230), 정수필터(250), 물공급 드리퍼(270)를 포함한다. 상기 관수부(200)는 상기 이끼 생육망(300)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순환 펌프(210)는 상기 수조(10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물순환 펌프(210)는 수조(10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압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순환 펌프(210)는 임베디드 콘트폴 패널과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순환 펌프(210)는, 상기 물순환 펌프(210)의 입구측에 형성된 스폰지형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물순환 펌프(210)는 교류 수중펌프를 사용하며, 입수구 외부에 스폰지형 필터를 설치하여 굵은 입자를 필터링한다. 상기 물순환 펌프(210)는 제1급수관(220)으로 후술할 UV램프(230)와 연결된다.
UV램프(230)는 강한 자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물순환 펌프(210)로부터 이동된 물을 살균하는 기능을 한다. 이 기능으로 수조(100)내 조류 및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UV램프(230)는 제2급수관(240)으로 후술할 정수필터(250)와 연결된다.
정수필터(250)는 후술할 물 공급 드리퍼의 구멍을 막을 수 있는 미세한 입자를 필터링 하는 기능으로, 모래, 먼지 그리고 석회 등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수필터(250)는 모래, 석회, 먼지 등으로 인한 물공급 드리퍼(270)의 물 공급 저해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250)는 제3급수관(260)으로 후술할 물공급 드리퍼(270)와 연결된다.
상기 물공급 드리퍼(270)는 후술할 제3급수관(260) 상에 설치되며, 물공급 드리퍼(270)는 상기 이끼 생육망(300)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끼는 물공급에 있어서 적정한 물륭이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이끼 생육망(300)에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공급 드리퍼(270)의 관경이 적정해야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 드리퍼(270)는 0.85mm의 직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50mm 간격으로 드리퍼를 설치하여 모든 이끼 생육망(300)에 수분이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 드리퍼(270)는 상기 수태(330)에 직접적으로 물을 급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태(330)는 물을 다량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생이끼(320)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물공급 드리퍼(270)는 수태(330)를 통해 상기 생이끼에 물을 간접적으로 공급함으로서 상기 생이끼의 과습을 방지하고, 상기 생이끼가 적정한 수분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제1급수관(220), 제2급수관(240) 및 제3급수관(260)은 상기 관수부(200)의 구성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급수관(220)은 상기 물순환 펌프(210)의 출구 측과 상기 UV램프(230)의 입구 측을 연결하며, 상기 제2급수관(240)은 상기 UV램프(230)의 출구 측과 상기 정수필터(250)의 입구 측을 연결하며, 제3급수관(260)은 상기 정수필터(250)의 출구 측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급수관(260)은 하나 이상의 물공급 드리퍼(270)가 설치된다.
생육 콘트롤 시스템(400)은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과, 온습도센서(420)와, 수위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생육 콘트롤 시스템(400)은 상기 이끼 생육망(300)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관수부(200)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본 발명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은 상기 물순환 펌프(21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은 일륜적인 물공급으로 과습이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운용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은 후술할 온습도센서(420)에서 받은 정보로 상기 물순환 펌프(21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은 상기 물공급 드리퍼(270)가 상기 이끼 생육망(300)에 물을 공급하는 시간을 조정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은 물공급 시간을 조정할 수 있으며, 온도와 습도에 따라서 펌프의 작동을 콘트롤하여 적정한 이기 생육망의 적정한 습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은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상기 관수부(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은 스마트 폰을 이용한 모바일 콘트롤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서 관리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물공급 콘트롤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장치내 저장한 로그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며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온습도센서(420)는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과 연결되며, 상기 관수부(200) 내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습도센서(420)는 상기 온습도센서(420)가 측정한 온도와 습도를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로 전송하며,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은 상기 온습도센서(420)에서 받은 정보로 상기 물순환 펌프(21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습도센서(420)는 기계장치 내의 온도와 습도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끼 생육망(300)의 수분관리가 가능한 정보를 콘트롤 패널에 제공한다.
수위계(미도시)는 상기 수조(100)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100)의 물의 저장량을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콘트롤 패널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계(미도시)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조(100)내의 물의 저장량이 부족할 경우 알람을 보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상기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의 작용 내지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기 이끼 생육망(300)에 수분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습도센서(420)에서 장치의 온도, 습도를 측정한다.(S110)
다음에, 상기 온습도센서는 측정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끼 생육망(300)의 수분관리가 가능한 정보를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에 전송한다.(S120)
다음에, 상기 온습도센서(42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은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은 이끼가 건조한지 판단한다.(S130)
다음에, 이끼가 건조할 경우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410)은 상기 물순환 펌프(210)를 작동시켜 상기 수조(100)에 저장된 물을 이동시킨다. 상기 물순환 펌프(210)에 의해 압송된 물은 제1급수관(220)을 통해 물을 UV램프(230)로 이동된다.(S140)
다음에, 상기 UV램프(230)는 강한 자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물순환 펌프(210)에서 이동된 물을 살균한다. 살균된 물은 제2급수관(240)을 통해 정수필터(250)로 이동한다.(S150)
다음에, 상기 정수필터(250)는 이동된 물에서 모래, 석회, 먼지 등을 필터링한다. 상기 정수필터(250)에서 필터링된 물은 제3급수관(260)으로 이동된다.(S160)
다음에, 이동된 물을 제3급수관(260)에 설치된 물공급 드리퍼(270)에 의해 상기 이끼 생육망(300)에 급수된다.(S170)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 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스마트폰
100: 수조
200: 관수부
210: 물순환 펌프
220: 제1급수관
230: UV램프
240: 제2급수관
250: 정수필터
260: 제3급수관
270: 물공급 드리퍼
300: 이끼 생육망
310: 제1PP망
320: 생이끼
330: 수태
340: PE부착망
350: 제2PP망
400: 생육 콘트롤 시스템
410: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
420: 온습도센서

Claims (11)

  1.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이끼 생육 시스템에 있어서,
    물을 공급하는 수조와;
    물순환 펌프, UV램프, 정수필터, 물공급 드리퍼를 포함하는 관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순환 펌프는 상기 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상기 물순환 펌프의 출구 측과 상기 UV램프의 입구 측을 연결하는 제1급수관과;
    상기 UV램프의 출구 측과 상기 정수필터의 입구 측을 연결하는 제2급수관과;
    상기 정수필터의 출구 측과 연결된 제3급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3급수관에는 하나 이상의 물공급 드리퍼가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 드리퍼의 하부에 결합하며 상기 관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이끼 생육망과;
    상기 관수부와 결합하는 생육 콘트롤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생육 콘트롤 시스템은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과, 온습도센서와, 수위계를 포함하며,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은 상기 물순환 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온습도센서는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수위계는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은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끼 생육망은
    제1PP망과,
    상기 제1PP망의 후방에 결합하는 생이끼와,
    상기 생이끼의 후방에 결합하는 수태와,
    상기 수태의 후방에 결합하는 PE부착망과,
    상기 PE부착망의 후방에 결합하는 제2PP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 펌프의 입구 측에 형성된 스펀지형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PP망 및 상기 제2PP망은 복수의 그물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PP망 및 상기 제2PP망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섬유가 가로와 세로로 연속적으로 엮여진 구조로 형성된 망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E부착망은 방수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은 상기 물공급 드리퍼가 상기 이끼 생육망에 물을 공급하는 시간을 조정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센서는 상기 관수부 내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며,
    상기 온습도센서는 상기 온습도센서가 측정한 온도와 습도를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로 전송하며,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은 상기 온습도센서에서 받은 정보로 상기 물순환 펌프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콘트롤 패널은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상기 관수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E부착망은 미세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E부착망은 이중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드리퍼는 수태에 직접적으로 물을 급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KR1020220022745A 2022-02-22 2022-02-22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KR20230126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745A KR20230126280A (ko) 2022-02-22 2022-02-22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745A KR20230126280A (ko) 2022-02-22 2022-02-22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280A true KR20230126280A (ko) 2023-08-30

Family

ID=8784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745A KR20230126280A (ko) 2022-02-22 2022-02-22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2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930B1 (ko)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KR101441040B1 (ko)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
US8454729B2 (en) Micro-irrig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lant-based cleaning of indoor air and filter bed bioregeneration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102089615B1 (ko) 공기정화 벽면 녹화 구조체
KR102102954B1 (ko) 스마트 공기 청정 시스템
JP2008263869A (ja) 植物栽培用容器および自動灌水式植物栽培システム
CN106165624A (zh) 一种鱼花共生智能生态墙
KR20200138264A (ko) 태양열 온실 아쿠아포닉스 및 블랙 솔저 플라이 퇴비화기 및 자동 물고기 먹이공급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4566710A (zh) 空气净化系统及空气净化装置和栽培单元
KR101978427B1 (ko) 축사시설 배출가스의 악취 및 분진 방제시스템
CN205755879U (zh) 一种鱼花共生智能生态墙
KR101281110B1 (ko) 공기 강제투입형 벽면식 식물이용 공기정화 시스템
CN108476987A (zh) 一种环保降温猪舍
CN203261868U (zh) 一种房屋生态绿化系统以及室内生态绿化系统
JP2007060981A (ja) 大気浄化、害虫捕獲、気温緩和となる緑化装置
KR102223211B1 (ko) 양액 재활용 여과장치
KR20150141308A (ko) 식물재배가 가능한 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2271415B1 (ko)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장치
KR100729180B1 (ko) 가스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사 환기 공조 시스템
KR20230126280A (ko) 실내 이끼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 시스템 적용을 위한 이끼 생육 시스템
KR20220168223A (ko) 스마트 이끼패널 장치
KR102067030B1 (ko) 식생블록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207219723U (zh) 育肥猪舍
CN205962304U (zh) 一种养鸭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