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920A - 리드탭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리드탭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920A
KR20230125920A KR1020220022762A KR20220022762A KR20230125920A KR 20230125920 A KR20230125920 A KR 20230125920A KR 1020220022762 A KR1020220022762 A KR 1020220022762A KR 20220022762 A KR20220022762 A KR 20220022762A KR 20230125920 A KR20230125920 A KR 20230125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nit
film
block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광석
최한현
이나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2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920A/ko
Publication of KR20230125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both upper and lower mov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 B23D15/08Sheet shears with a blade moved in one plane, e.g.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1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cutt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리드탭 제조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리드탭 제조장치는, 연료전지용 전극을 공급하는 전극 공급부와, 전극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전극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필름 부착부와, 필름 부착부에 의해 필름이 부착된 전극을 공정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극 리딩부와, 전극 리딩부가 공정 진행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전극의 이동을 구속하는 전극 고정부 및 전극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전극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전극 커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드탭 제조장치{LEAD TAP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리드탭의 절단에 따른 제품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드탭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노트북,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 등의 휴대용 모바일기기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인 축전지가 포함된 배터리팩을 단말기의 일측면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2차 전지는 휴대성과 이동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며, 최근에는 에너지밀도가 높은 리튬계 2차 전지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리튬계 2차 전지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이 사용되는 리튬 폴리머 전지로 구분된다.
리튬계 폴리머 2차 전지는, 전지부 및 전지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파우치로 구성된다.
전지부의 각 극판에는 전극단자인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출된다.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에는 금속재질인 양극 탭과 음극 탭이 구비된다. 양극 탭과 음극 탭의 단부는 외부와 통전이 가능하도록 파우치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실링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양극 탭과 음극 탭의 양면에 필름을 부착하므로 리드탭을 구성한다. 필름은 파우치 내에 충진되는 전해액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며, 절연기능을 하다.
리드탭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띠와 같은 형태로 구비된 양극 탭의 금속재료 및 음극 탭의 금속재료의 양면으로 필름을 위치시킨 다음 열원을 이용하여 융착시킨 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므로 리드탭을 성형하다.
그러나 종래 리드탭 제조장치는 리드탭을 융착이 완료된 후 리드탭을 절단할 때 리드탭과 접하는 면적이 많은 칼날을 사용하여 리드탭을 절단하므로 리드탭의 폭방향 양측이 변형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8311호 (2018.06.08 등록, 발명의 명칭: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드탭의 절단시 발생되는 리드탭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리드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드탭의 절단시 사용되는 칼날의 형상을 변경하여 절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드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드탭 제조장치는, 리드탭 절단시 리드탭과 상부커팅부가 접하는 면적을 감소시켜 리드탭의 변형을 최소화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리드탭을 절단하는 상부날이 리드탭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리드탭과 상부날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므로, 상부날의 절단력이 상승하여 리드탭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드탭 제조장치는, 연료전지용 전극을 공급하는 전극 공급부와, 전극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전극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필름 부착부와, 필름 부착부에 의해 필름이 부착된 전극을 공정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극 리딩부와, 전극 리딩부가 공정 진행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전극의 이동을 구속하는 전극 고정부 및 전극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전극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전극 커팅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극 커팅부는, 상부 커팅부와 하부 커팅부를 포함한다. 상부 커팅부와 하부 커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전극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전극을 절단하는 칼날부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 커팅부는 지지부와 칼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전극의 하부를 지지하며, 칼날부는 지지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팅블럭에서 돌출되어 지지부의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칼날부와 마주하는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칼날부는, 하부경사면과 같은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부경사면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상부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팅부는, 하부 커팅부의 전방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블럭 및 이동블럭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하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상의 칼날을 구비하는 상부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날이 하강하는 동작에 의해 전극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블럭과 상부날은 일체로 이루어지며, 종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 부착부를 통해 필름이 부착된 전극을 전달받으며, 전극에 필름을 융착시키는 필름 융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 융착부와 전극 리딩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및 연결프레임 또는 전극 리딩부에 기어 연결되며 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연결프레임과 필름 융착부와 전극 리딩부를 전극의 공정 진행방향 및 공정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극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극의 공정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연결프레임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직선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선가이드부는, 전극의 공정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부재 및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며 레일부재에 연결되어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레일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리딩부가 동작되어 전극 리딩부와 전극의 이동이 함께 이루어지며, 필름이 전극에 융착되는 동작과 함께 전극 리딩부와 필름 융착부가 공정 진행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커팅부에 의해 전극의 절단이 이루어진 후 전극과 이격된 전극 리딩부는 필름 융착부와 함께 공정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전극 리딩부는, 필름 융착부와 필름 부착부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필름 융착부와 전극 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드탭 제조장치는, 상부날이 리드탭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절단력을 향상시키므로 리드탭의 절단 작업시 발생되는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커팅부와 하부커팅부가 리드탭과 접하는 면적이 감소되어 리드탭의 변형 현상을 감소시키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융착부와 전극 리딩부가 연결프레임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융착부와 전극 리딩부가 연결프레임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융착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융착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융착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융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하부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하부구동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하부융착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리딩부와 전극고정부와 전극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리딩부와 전극고정부와 전극이동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과 전극이동부와 직선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과 전극이동부와 직선가이드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과 전극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과 직선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커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안내부에 상부 커팅부와 하부 커팅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팅부와 하부 커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팅부와 하부 커팅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팅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팅부의 상부날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제조장치(1)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제조장치(1)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14)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제조장치(1)는, 전극 공급부(20)와 필름 부착부(30)와 필름 융착부(40)와 고정베이스부와 전극 리딩부(240)와 전극 고정부(250)와 연결프레임(280)과 전극 이동부(290)와 직선가이드부(320)와 커팅 이동부(3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리드탭 제조장치(1)는 리드탭(14)의 융착 공정을 개선하여 생산 품질을 안정화하며, 생산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리드탭(14)을 이송하는 유닛과 리드탭(14)을 융착하는 유닛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리드탭(14)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융착작업을 하므로 생산시간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필름 융착부(40)와 전극 리딩부(240)가 연결프레임(280)에 의해 연결되어 같이 이동되므로, 리드탭(14)의 융착작업과 함께 리드탭(14)의 이동이 같이 이루어질 수 잇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융착 공정 시간을 확보하여 품질을 안정화할 수 있으며, 생산시간이 단축되어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구비된 전극 커팅부(330)는 전극(10)을 커팅하는 칼날의 형상을 변경하여 커팅된 전극(1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드탭 제조장치(1)에 공급되는 전극(10)은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이다. 전극(10)은 리드탭 제조장치(1)에 의해 공정진행 방향으로 이동된다. 전극(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필름(12)이 각각 접착된 후 절단되어 리드탭(14)이 만들어진다.
전극 공급부(20)는 연료전지용 전극(10)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전극 공급부(20)는 전극(10)이 권선된 전극(10)릴을 포함한다. 전극(10)릴의 외측에 권선된 전극(10)은 전극(10)릴의 회전에 의해 필름 부착부(30)로 이동한다.
필름 부착부(30)는 전극 공급부(20)에 의해 공급된 전극(10)에 필름(12)을 부착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전극 공급부(20)에서 인출된 띠 형상의 전극(10)은 필름 부착부(30)를 통과한 후 필름 융착부(40)로 이동된다.
전극 공급부(20)와 필름 부착부(30)는 전극(10)이 이동하는 공정 진행방향(D1)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필름 부착부(30)는 전극(10)의 상면에 필름(12)을 부착하는 상부부착부와, 전극(10)의 하면에 필름(12)을 부착하는 하부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름 부착부(30)에는 절연 재질의 필름(12)이 권취된 필름(12)릴과, 필름(12)릴에서 인출된 필름(12)의 이동경로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되면서 필름(12)을 컷팅하는 필름(12)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름(12)릴에서 인출되어 이동하는 필름(12)의 이동경로는 전극(10)의 이동경로와 교차한다. 필름(12)릴에서 인출된 필름(12)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후 전극(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가접된다.
전극(10)은 공정 진행방향(D1)을 따라 길이방향(D)으로 연장되며, 필름(12)은 전극(10)의 폭방향(W)으로 접착된다.
전극 공급부(20)와 필름 부착부(30)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필름 융착부(40)는 필름 부착부(30)를 통해 필름(12)이 부착된 전극(10)을 전달받으며, 전극(10)에 필름(12)을 융착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필름 융착부(40)는 필름(12)을 가압하면서, 기설정된 히팅온도로 전극(10)과 필름(12)에 열을 가하는 동작으로 전극(10)에 필름(12)을 융착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름 융착부(40)는 전극 리딩부(240)와 일체로 이동되므로 리드탭(14)의 융착 작업과 리드탭(14)의 이송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 융착부(40)는 전극 리딩부(240)의 이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필름 융착부(40)와 전극 리딩부(240)가 연결프레임(280)에 의해 연결되며, 전극(10)이동부가 전극 리딩부(240)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필름 융착부(40)와 전극 리딩부(240)가 함께 이동되므로, 리드탭(14)의 융착 작업과 리드탭(14)의 이송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 융착부(40)는 복수 개의 융착기를 포함한다. 필름 융착부(40)에 구비된 융착기는 1개의 필름(12)을 전극(10)에 융착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필름(12)을 전극(10)에 융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융착부(40)의 융착기는 2개의 필름(12)을 전극(10)에 융착시킬 수 있다
필름 융착부(40)의 동작으로 각각의 융착기에서 복수의 필름(12)을 동시에 전극(10)에 융착시킬 수 있으므로 리드탭(14)의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필름 융착부(40)에 설치된 각 융착기에는 복수의 필름(12)을 전극(10)에 융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융착블럭이 구비되므로 리드탭(14)의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융착부(40)와 전극 리딩부(240)가 연결프레임(28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융착부(40)와 전극 리딩부(240)가 연결프레임(28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융착부(40)는 복수의 융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융착기와 융착부는 같은 의미의 단어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융착부(40)는 복수의 융착부가 공정 진행방향(D1)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융착부는 공정 진행방향(D1)을 따라 1열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2열 이상 복수의 열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융착부(40)는 공정 진행방향(D1)을 따라 2열로 나란히 설치된다. 필름 융착부(40) 1열에 대해서 설명하면 6개의 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융착부(40)는, 제1융착부(50)와 제2융착부(130)와 제3융착부(140)와 제4융착부(210)와 제5융착부(215)와 제6융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10)의 공정 진행방향(D1)을 따라 제1융착부(50)와 제2융착부(130)와 제3융착부(140)와 제4융착부(210)와 제5융착부(215)와 제6융착부(220)의 순서로 설치된다.
제1융착부(50)와 제2융착부(130)와 제4융착부(210)와 제5융착부(215)는 동일 구조의 융착기로 구성된다. 또한 제3융착부(140)와 제6융착부(220)도 동일 구조의 융착기로 구성된다.
제1융착부(50)와 제2융착부(130)는 전극(10)과 필름(12)을 가열하며 전극(10)의 외측에 필름(12)을 열융착시키는 동작을 한다. 그리고 제3융착부(140)는 필름(12)을 가열하여 전극(10)의 외측에 필름(12)을 열융착시킨다. 그리고 제4융착부(210)와 제5융착부(215)는 전극(10)과 필름(12)을 가열하며 전극(10)의 외측에 필름(12)을 열융착시키는 동작을 한다. 제6융착부(220)는 전극(10)과 필름(12)을 냉각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융착부(50)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융착부(50)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융착부(50)는, 연결프레임(280)에 고정되어 연결프레임(280)과 함께 이동하는 제1프레임(60)과, 제1프레임(6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방향(H)으로 이동되는 구동실린더(100)와, 전극(10)이 이동되는 경로의 상측에 위치하며 구동실린더(100)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 전극(10)과 필름(12)을 가압하며 전극(10)에 필름(12)을 융착시키는 제1상부융착블럭(90) 및 전극(10)이 이동되는 경로의 하측에 위치하며 구동실린더(100)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 전극(10)과 필름(12)을 가압하며 전극(10)에 필름(12)을 융착시키는 제1하부융착블럭(70)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60)은 제1융착부(50)의 주요 구성들이 설치되기 위한 프레임을 형성한다. 제1프레임(60)은 후술할 연결프레임(280)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60)은 제1패널(61)과 제2패널(62)과 제1연결기둥(63)을 포함한다.
제1패널(61)은 판 형상이며, 전극(10)이 이동되는 경로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1패널(61)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패널(61)의 하측에 제2패널(62)이 설치된다. 제2패널(62)은 전극(10)이 이동되는 경로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패널(61)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패널(61)과 제2패널(62)은 상하방향(H)으로 연장된 제1연결기둥(63)에 연결된다. 또한 제1연결기둥(63)은 후술할 연결프레임(280)에 연결되므로, 연결프레임(280)과 함께 공정 진행방향(D1)으로 이동하거나 공정 진행방향(D1)의 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융착부(50)는 2매의 필름(12)을 전극(10)에 동시에 융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1상부융착블럭(90)과 제1하부융착블럭(70)은 복수의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부융착블럭(70)은, 전극(10)을 가압하여 열을 가하는 제1하부블럭(72)과, 제1하부블럭(72)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필름(12)을 가압하며 열을 가하는 제2하부블럭(74)과, 제2하부블럭(74)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전극(10)을 가압하며 열을 가하는 제3하부블럭(80)과, 제3하부블럭(80)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필름(12)을 가압하며 열을 가하는 제4하부블럭(82) 및 제4하부블럭(82)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전극(10)을 가압하며 열을 가하는 제5하부블럭(84)을 포함한다.
전극(10)의 공정 진행방향(D1)을 따라 제1하부블럭(72)과 제2하부블럭(74)과 제3하부블럭(80)과 제4하부블럭(82)과 제5하부블럭(84)의 순서로 설치된다. 제1하부블럭(72)과 제3하부블럭(80)과 제5하부블럭(84)은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제2하부블럭(74)과 제4하부블럭(82)도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하부블럭(72)의 내측에는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된다.
제2하부블럭(74)의 내측에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하부블럭(74)은, 구동실린더(100)에 연결되어 상하방향(H)으로 이동되며 내측에는 히터와 온도센서가 설치된 제2블럭몸체(75)와, 제2블럭몸체(75)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블럭커버(76)와, 제2블럭커버(76)의 상측에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전극(10)을 향한 방향으로 필름(12)을 가압하는 제2접착패널(77) 및 제2블럭몸체(7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제2블럭커버(76)의 측면에 구비된 홈부로 삽입되어 제2블럭몸체(75)의 상측에 제2블럭커버(76)를 고정시키는 제2락킹돌기(78)를 포함한다.
제2블럭몸체(75)는 후술할 구동실린더(100)에 구비된 제2하부실린더(112)에 연결되며, 상하방향(H)으로 이동한다.
제2블럭커버(76)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 측면에는 제2락킹돌기(78)와 결합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다.
제2접착패널(77)은 필름(1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접착패널(77)은 전극(10)에 접착된 필름(12)을 가압하면서 필름(12)에 열을 전달한다.
제2락킹돌기(78)의 하측은 제2블럭몸체(7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락킹돌기(78)의 상측은 제2블럭커버(76)에 구비된 홈부로 삽입되어 걸리므로 제2블럭커버(76)의 이동을 구속한다.
제2하부블럭(74)의 부품 중 제2접착패널(77)의 내구성이 약하므로, 제2접착패널(77)의 교체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제2락킹돌기(78)를 회전시키는 작업 만으로 제2블럭커버(76)와 제2접착패널(77)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3하부블럭(80)과 제5하부블럭(84)의 구성은 제1하부블럭(7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4하부블럭(82)의 구성도 제2하부블럭(74)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상부융착블럭(90)은, 전극(10)을 가압하여 열을 가하는 제1상부블럭(91)과, 제1상부블럭(91)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필름(12)을 가압하며 열을 가하는 제2상부블럭(92)과, 제2상부블럭(92)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전극(10)을 가압하며 열을 가하는 제3상부블럭(93)과, 제3상부블럭(93)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필름(12)을 가압하며 열을 가하는 제4상부블럭(94) 및 제4상부블럭(94)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전극(10)을 가압하며 열을 가하는 제5상부블럭(95)을 포함한다.
전극(10)의 공정 진행방향(D1)을 따라 제1상부블럭(91)과 제2상부블럭(92)과 제3상부블럭(93)과 제4상부블럭(94)과 제5상부블럭(95)의 순서로 설치된다. 제1상부블럭(91)과 제3상부블럭(93)과 제5상부블럭(95)은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제2상부블럭(92)과 제4상부블럭(94)도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융착부(50)를 통과하는 전극(10)을 기준으로 전극(10)의 상측에 제1상부융착블럭(90)이 설치되며, 전극(10)의 하측에 제1하부융착블럭(70)이 설치된다. 제1상부블럭(91)의 하측에 제1하부블럭(72)이 위치하며, 제2상부블럭(92)의 하측에 제2하부블럭(74)이 위치하며, 제3상부블럭(93)의 하측에 제3하부블럭(80)이 위치하며, 제4상부블럭(94)의 하측에 제4하부블럭(82)이 위치하며, 제5상부블럭(95)의 하측에 제5하부블럭(84)이 위치한다.
또한 제1상부융착블럭(90)과 제1하부융착블럭(70)의 구성이 동일하다. 제1상부블럭(91)과 제1하부블럭(72)의 구성이 동일하며, 제2상부블럭(92)과 제2하부블럭(74)의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제1상부블럭(91)과 제1하부블럭(72)과 제3상부블럭(93)과 제3하부블럭(80)과 제5상부블럭(95)과 제5하부블럭(84)은 동일 구성을 가지며 전극(10)을 가압하며 가열한다.
그리고 제2상부블럭(92)과 제2하부블럭(74)과 제4상부블럭(94)과 제4하부블럭(82)은 동일 구성을 가지며 필름(12)을 가압하며 가열한다.
구동실린더(100)는, 전극(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프레임(60)에 고정되는 하부실린더(110)와, 전극(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프레임(60)에 고정되는 상부실린더(120)를 포함한다.
하부실린더(110)는 제1하부융착블럭(70)에 연결되어 제1하부융착블럭(70)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하부실린더(110)는, 제1하부블럭(72)에 연결되어 제1하부블럭(72)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제1하부실린더(111)와, 제2하부블럭(74)에 연결되어 제2하부블럭(74)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제2하부실린더(112)와, 제3하부블럭(80)에 연결되어 제3하부블럭(80)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제3하부실린더(113)와, 제4하부블럭(82)에 연결되어 제4하부블럭(82)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제4하부실린더(114) 및 제5하부블럭(84)에 연결되어 제5하부블럭(84)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제5하부실린더(1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부실린더(111)와 제3하부실린더(113)와 제5하부실린더(115)는 제2패널(62)에 설치되며, 제2하부실린더(112)와 제4하부실린더(114)는 제2패널(62)의 하측에 위치한 연결프레임(280)에 설치된다.
제2하부실린더(112)와 제4하부실린더(114)가 다른 하부실린더(110)와 같은 높이에 설치되지 않는 이유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서로 간섭 없이 설치되기 위함이다.
제1하부융착블럭(70) 보다 하부실린더(110)의 크기가 크므로, 제2패널(62)에 모든 하부실린더(110)를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하부실린더(110)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하므로 한정된 공간 내에 하부실린더(110)를 모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하부실린더(110)는 모두 동시에 동작되거나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동작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상부실린더(120)는 제1상부융착블럭(90)에 연결되어 제1상부융착블럭(90)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상부실린더(120)는, 제1상부블럭(91)에 연결되어 제1상부블럭(91)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제1상부실린더(121)와, 제2상부블럭(92)에 연결되어 제2상부블럭(92)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제2상부실린더(122)와, 제3상부블럭(93)에 연결되어 제3상부블럭(93)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제3상부실린더(123)와, 제4상부블럭(94)에 연결되어 제4상부블럭(94)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제4상부실린더(124) 및 제5상부블럭(95)에 연결되어 제5상부블럭(95)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제5상부실린더(1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상부실린더(121)와 제3상부실린더(123)와 제5상부실린더(125)는 제1패널(61)의 하측에 고정되며, 제2상부실린더(122)와 제4상부실린더(124)는 제1패널(61)의 상측에 고정된다.
제2상부실린더(122)와 제4상부실린더(124)가 다른 상부실린더(120)와 같은 높이에 설치되지 않는 이유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서로 간섭 없이 설치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부실린더(120)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하므로 한정된 공간 내에 상부실린더(120)를 모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상부실린더(120)는 모두 동시에 동작되거나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동작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융착부(130)는 제1융착부(50)에 연이어 설치되며, 제1융착부(5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융착부(140)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융착부(140)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하부구동부(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하부구동부(200)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하부융착블럭(16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융착부(140)는 제2융착부(130)와 제4융착부(210)의 사이에 설치되며 필름(12)을 전극(10)에 열융착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융착부(140)는, 연결프레임(280)에 고정되어 연결프레임(280)과 함께 이동하는 제3프레임(150)과, 제3프레임(150)을 통과하는 전극(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3프레임(150)에 고정되는 제3상부구동부(190)와, 제3프레임(150)을 통과하는 전극(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하부구동부(200)와, 전극(10)이 이동되는 경로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3상부구동부(190)의 동작에 의해 상하방향(H)으로 이동되어 전극(10)에 필름(12)을 융착시키는 제3상부융착블럭(170) 및 전극(10)이 이동되는 경로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3하부구동부(200)의 동작에 의해 상하방향(H)으로 이동되어 전극(10)에 필름(12)을 융착시키는 제3하부융착블럭(160)을 포함한다.
제3프레임(150)은 제3융착부(140)의 주요 구성들이 설치되기 위한 프레임을 형성한다. 제3프레임(150)은 후술할 연결프레임(280)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프레임(150)은 제3패널(151)과 제3연결기둥(152)을 포함한다.
제3패널(151)은 판 형상이며, 전극(10)이 이동되는 경로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3패널(151)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후술할 연결프레임(280)의 지지프레임(282)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3패널(151)과 지지프레임(282)은 상하방향(H)으로 연장된 제3연결기둥(152)에 연결되므로, 제3융착부(140)는 연결프레임(280)과 함께 공정 진행방향(D1)으로 이동하거나 공정 진행방향(D1)의 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3융착부(140)는 2매의 필름(12)을 전극(10)에 동시에 융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3상부융착블럭(170)과 제3하부융착블럭(160)은 각각 2개씩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하부융착블럭(160)은 전극(10)의 하측에 2개 설치되며, 전극(10)의 하측면에 부착된 필름(12)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전극(10)의 하측면에 전극(10)을 접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하부융착블럭(160)은, 제3하부구동부(200)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 상하방향(H)으로 이동되며 내측에는 히터와 온도센서가 설치된 제3블럭몸체(161)와, 제3블럭몸체(16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3블럭커버(162)와, 제3블럭커버(162)의 상측에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전극(10)을 향한 방향으로 필름(12)을 가압하는 제3접착패널(163) 및 제3블럭몸체(1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제3블럭커버(162)의 측면에 구비된 홈부로 삽입되어 제3블럭몸체(161)의 상측에 제3블럭커버(162)를 고정시키는 제3락킹돌기(164)를 포함한다.
제3블럭몸체(161)는 제3하부구동부(200)의 동작에 의해 상하방향(H)으로 이동한다. 제3블럭몸체(161)는 후술할 블럭연결몸체(172)에 연결된다.
제3블럭커버(162)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 측면에는 제3락킹돌기(164)와 결합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다.
제3접착패널(163)은 필름(1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제3접착패널(163)은 전극(10)에 접착된 필름(12)을 가압하면서 필름(12)에 열을 전달한다.
제3락킹돌기(164)의 하측은 제3블럭몸체(1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3락킹돌기(164)의 상측은 제3블럭커버(162)에 구비된 홈부로 삽입되어 걸리므로 제3블럭커버(162)의 이동을 구속한다.
제3하부블럭(80)의 부품 중 제3접착패널(163)의 내구성이 약하므로, 제3접착패널(163)의 교체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제3락킹돌기(164)를 회전시키는 작업 만으로 제3블럭커버(162)와 제3접착패널(163)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3하부융착블럭(160)은, 블럭연결몸체(172)와 안내바퀴(174)와 상하이동 안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상부융착블럭(170)은 전극(10)을 사이에 두고 제3하부융착블럭(16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3상부융착블럭(170)과 제3하부융착블럭(160)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제3상부융착블럭(17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상부구동부(190)는 제3융착부(140)를 통과하는 전극(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3상부융착블럭(170)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3상부구동부(190)는 제3패널(151)에 고정되며, 제3상부구동부(190)에서 연장된 로드가 제3상부융착블럭(170)에 고정되므로 제3상부융착블럭(170)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킨다.
블럭연결몸체(172)는 상하방향(H)으로 연장되며, 블럭연결몸체(172)의 상측은 제3하부융착블럭(160)에 연결된다. 블럭연결몸체(172)의 하측에는 안내바퀴(17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블럭연결몸체(172)의 하측은 사선 형상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며, 안내바퀴(174)의 하측은 블럭연결몸체(172)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하이동 안내부(180)는 블럭연결몸체(172)의 상하방향(H)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 안내부(180)는, 연결프레임(280)에 고정되며 상하방향(H)으로 연장되는 레일지지부(186)와, 블럭연결모메체와 마주하는 레일지지부(186)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하방향(H)으로 연장되는 상하 안내레일(182) 및 블럭연결몸체(172)에 고정되며 상하 안내레일(182)을 따라 상하방향(H)으로 이동하는 레일이동홀더(184)를 포함한다.
레일이동홀더(184)는 상하 안내레일(182)의 일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상하 안내레일(182)을 따라 상하방향(H)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3하부구동부(200)는 블럭연결몸체(172)와 이에 연결된 제3하부융착블럭(160)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하부구동부(20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로드부재(202)가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되는 구동실린더(100)와, 로드부재(202)에 연결되며 구동실린더(100)의 동작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블럭연결몸체(172)를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경사받침부(2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하부구동부(200)는, 연결프레임(280)에 고정되며 구동실린더(100)를 지지하는 경사받침부(204)와, 경사받침부(204)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연결프레임(280)에 고정되는 제3레일(206)과, 경사받침부(204)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3레일(206)을 따라 이동되는 제3블럭(2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융착부(140)에 설치된 제3하부융착블럭(160)은 다른 융착부 대비 무겁기 때문에 제3하부융착블럭(160)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큰 용량의 구동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구동장치가 상하방향(H)으로 설치되기 위해서는 제3융착부(140)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용량 증가로 크기가 큰 제3구동실린더(201)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며, 제3구동실린더(201)의 수평방향 이동은 경사받침부(204)와 블럭연결몸체(172)에 의해 상하방향(H) 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경사받침부(204)는 상측에 안내경사면(205)이 형성된다. 경사받침부(204)는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받침부(204)의 안내경사면(205)에 안내바퀴(174)가 접한 상태로 설치되며, 경사받침부(204)의 수평방향 이동에 의해 안내바퀴(174)와 블럭연결몸체(172)와 제3하부융착블럭(160)은 상하방향(H)으로 이동된다.
경사받침부(204)의 수평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받침부(204)의 하측에는 제3레일(206)과 제3블럭(207)이 설치되어 경사받침부(204)의 이동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융착부(140)를 통과한 전극(10)은 제4융착부(210)와 제5융착부(215)와 제6융착부(220)를 차례로 통과한다. 제3융착부(140)와 제4융착부(210)는 제1융착부(5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6융착부(220)도 제3융착부(14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3융착부(140)는 필름(12)을 압착하며 가열하는 기능을 구비하나, 제6융착부(220)는 필름(12)을 가압하며 냉각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3융착부(140)에는 히터가 설치되며, 제6융착부(220)에는 히터 대신 냉각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냉각라인이 설치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필름 융착부(40)의 하측에는 연결프레임(280)이 설치되며, 연결프레임(280)의 하측에는 고정베이스부가 설치된다. 고정베이스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10)리딩부와 전극(10)고정부와 전극(10)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10)리딩부와 전극(10)고정부와 전극(10)이동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리딩부(240)는 필름 융착부(40)와 동기화하여 이동되며 전극(10)을 공정 진행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전극 리딩부(240)는, 필름 융착부(40)와 필름 부착부(30)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필름 융착부(40)와 전극 고정부(25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전극 리딩부(240)가 동작되어 전극(10)을 압착하여 전극(10)과 전극 리딩부(240)의 이동이 동기화된다. 그리고 전극 이동부(290)에 의해 전극 리딩부(240)가 이동하면 전극(10)도 전극 리딩부(240)와 함께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10)리딩부는 필름 융착부(40)와 전극 고정부(250)의 사이에 설치되며, 전극 리딩부(240)가 동작되어 전극 리딩부(240)와 전극(10)의 이동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 이동부(290)의 동작에 의해 전극 리딩부(240)는 전극(10)의 공정진행 방향 및 공정진행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극 리딩부(240)와 필름 융착부(40)가 연결프레임(280)에 의해 연결되어 전극 리딩부(240)와 필름 융착부(40)가 같이 이동된다.
전극 리딩부(240)가 동작되어 전극 리딩부(240)와 전극(10)의 이동이 함께 이루어지며, 필름(12)이 전극(10)에 융착되는 동작과 함께 전극 리딩부(240)와 필름 융착부(40)가 공정 진행방향(D1)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커팅부(330)에 의해 전극(10)의 절단이 이루어진 후 전극(10)과 이격된 전극 리딩부(240)는 필름 융착부(40)와 함께 공정 진행방향(D1)의 역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리딩부(240)는, 연결프레임(280)에 연결되며 상하방향(H)으로 연장되는 리딩 프레임(241)과, 리딩 프레임(241)을 통과하는 전극(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방향(H)으로 이동되는 리딩 상부블럭(242)과, 리딩 프레임(241)을 통과하는 전극(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하방향(H)으로 이동되는 리딩 하부블럭(243)과, 리딩 상부블럭(242)의 상측에 위치하며 리딩 상부블럭(242)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리딩 상부구동부(244)와, 리딩 하부블럭(243)의 하측에 위치하며 리딩 하부블럭(243)을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리딩 하부구동부(245)를 포함한다.
리딩 프레임(241)에 리딩 상부구동부(244)와 리딩 하부구동부(245)가 고정되며, 리딩 상부구동부(244)와 리딩 하부구동부(245)가 동작되어 전극(10)을 향하여 리딩 상부블럭(242)과 리딩 하부블럭(243)이 이동되므로, 리딩 상부블럭(242)과 리딩 하부블럭(243)의 사이에 전극(10)이 압착된다.
리딩 프레임(241)은 후술할 전극 이동부(290)에 연결되므로 공정 진행방향(D1) 또는 공정 진행방향(D1)의 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극 고정부(250)는 전극 리딩부(240)가 공정 진행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전극(10)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전극 고정부(250)는 전극 리딩부(240)를 통과한 전극(10)을 가압하여 전극(1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고정부(250)는, 고정 베이스부(23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60)과, 고정 프레임(260)을 통과하는 전극(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방향(H)으로 이동되어 전극(10)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상부블럭(270)과, 고정 프레임(260)에 고정되며 고정 상부블럭(270)에 연결되어 고정 상부블럭(270)을 이동시키는 고정 상부구동부(272)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260)은 고정 베이스부(230)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260)은 하부 고정프레임(262)과 상부 고정프레임(264)과 지지기둥(266)을 포함한다.
상부 고정프레임(264)은 판 형상이며, 전극(10)이 이동되는 경로의 상측에 위치한다. 상부 고정프레임(264)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부 고정프레임(264)의 하측에 하부 고정프레임(262)이 설치된다. 하부 고정프레임(262)은 전극(10)이 이동되는 경로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부 고정프레임(264)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부 고정프레임(264)과 하부 고정프레임(262)은 상하방향(H)으로 연장된 지지기둥(266)에 연결된다. 또한 지지기둥(266)의 하부는 고정 베이스부(230)에 고정되므로 전극 고정부(250)의 이동을 구속한다.
고정 상부블럭(270)은 고정 프레임(260)을 통과하는 전극(10)과 상부 고정프레임(264)의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 상부구동부(272)의 동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하부 고정프레임(262)을 향한 방향으로 전극(10)을 가압하므로 전극(10)의 이동이 구속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280)과 전극(10)이동부와 직선가이드부(32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280)과 전극(10)이동부와 직선가이드부(320)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280)은 필름 융착부(40)와 전극 리딩부(240)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연결부재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부재가 연결되어 연결프레임(28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280)은, 폭방향(W)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82)과, 길이방향(D)으로 연장되며 지지프레임(282)의 양측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282)과 연결되는 사이드프레임(284) 및 사이드프레임(284) 또는 지지프레임(282)과 전극 리딩부(240)를 연결하는 커넥터부(286)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282)은 필름 융착부(40)의 하측에 위치하며 필름 융착부(40)에 고정된다. 지지프레임(282)은 폭방향(W)으로 설치된 판 형상이며, 필름 융착부(40)에 구비된 각 융착부의 하부에 지지프레임(282)이 설치된다.
사이드 프레임은 지지프레임(282)의 상측에 위치하며, 지지프레임(282)의 폭방향(W)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사이드 프레임은 지지프레임(282)에 고정되므로 사이드 프레임과 함께 지지프레임(282)이 이동한다.
커넥터부(286)는 사이드프레임(284)과 전극 리딩부(240)를 연결하거나 지지프레임(282)과 전극 리딩부(240)를 연결한다. 따라서 연결프레임(280)과 함께 전극 리딩부(240)가 이동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10)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280)과 전극(10)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이동부(290)는, 연결프레임(280) 또는 전극 리딩부(240)에 기어 연결되며, 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연결프레임(280)과 필름 융착부(40)와 전극 리딩부(240)를 전극(10)의 공정 진행방향(D1) 및 공정 진행방향(D1)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이동부(290)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292)와, 구동부(29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루바(294) 및 스크루바(294)의 외측기어에 대응하는 내측기어가 구비되는 연결홀부를 구비하며 연결프레임(280) 또는 전극 리딩부(240)에 고정되고 스크루바(294)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너트부(300)를 포함한다.
구동부(292)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장치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92)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가 사용된다. 구동부(292)는 서보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출력축에 연결된 스크루바(294)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292)는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 베이스부(230)에 고정된다.
스크루바(294)는 원형봉 형상이며 스크루바(294)의 외측에는 나선형의 외측기어가 설치된다. 스크루바(294)와 기어 결합되는 너트부(300)에는 스크루바(294)가 통과하여 설치되기 위한 연결홀부가 형성된다. 연결홀부의 내측에는 외측기어에 대응하는 내측기어가 형성된다.
너트부(300)는 전극 리딩부(240)에 고정되어 회전이 구속되므로, 스크루바(294)의 회전에 의해 너트부(300)와 전극 리딩부(240)는 공정 진행방향(D1) 또는 공정 진행방향(D1)의 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부(300)는 육면체 형상의 블럭이며 고정 프레임(260)의 하측에 고정된다.
또한 전극 이동부(290)는 전극 리딩부(2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극 리딩부(240)의 길이방향(D) 이동을 안내하는 제1직선안내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직선안내부(310)는, 전극 리딩부(240)의 하부에 위치하며 길이방향(D)으로 연장되는 제1직선레일(312)과, 전극 리딩부(240)의 하부에 고정되어 전극 리딩부(240)와 함께 이동되며 제1직선레일(312)에 연결되어 제1직선레일(312)을 따라 이동하는 제1레일홀더(314)를 포함한다.
제1직선레일(312)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직선레일(312)은 고정 베이스부(230)에 고정되어 이동이 구속된다.
제1레일홀더(314)는 제1직선레일(312)의 상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제1직선레일(312)을 따라 길이방향(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레일홀더(314)는 리딩 프레임(241)의 하부에 고정되므로 제1레일홀더(314)와 리딩 프레임(241)은 제1직선레일(312)을 따라 이동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280)과 직선가이드부(3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가이드부는, 연결프레임(28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극(10)의 공정 진행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연결프레임(28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가이드부(320)는, 전극(10)의 공정 진행방향(D1)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부재(322) 및 연결프레임(280)의 하부에 고정되며 레일부재(322)에 연결되어 레일부재(322)를 따라 이동하는 레일블럭(324)을 포함한다.
레일부재(322)는 연결프레임(280)의 하부에 위치하며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다. 레일부재(322)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레일부재(322)는 고정 베이스부(230)에 고정되므로 레일부재(322)의 이동이 구속된다.
레일블럭(324)은 레일부재(322)의 상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레일부재(322)를 따라 길이방향(D)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일블럭(324)의 상측은 연결프레임(280) 중 지지프레임(282)에 고정된다. 지지프레임(282)의 폭방향(W) 양측에 레일블럭(324)이 설치되므로 레일블럭(324)과 함께 이동되는 지지프레임(282)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커팅부(33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이동부(39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안내부(360)에 상부 커팅부(380)와 하부 커팅부(37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커팅부(330)는 전극 고정부(250)에 의해 고정된 전극(10)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리드탭(14)을 생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커팅부(330)는 전극(10)을 폭방향(W)으로 절단한다. 또한 전극 커팅부(330)에 구비된 칼날부(377)는 전극(10)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칼날부(377)가 전극(10)을 절단할 때 점접촉을 하면서 절단하므로 전극(1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극(10)과 평행하게 설치된 칼날을 사용하여 전극(10)을 절단할 경우, 전극(10)의 양측 단부가 칼날에 밀려서 굽어지는 변형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날부(377)는 전극(10)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루며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칼날부(377)가 전극(10)을 절단할 때 면접촉이나 선접촉이 아닌 점접촉을 하므로 절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극(10)의 눌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전극(10)의 변형을 교정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전극(10)을 절단하기 위한 칼날부(377)는 전극(10)의 상측이나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전극(10)을 향하여 이동되어 전극(10)을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커팅부(330)는, 상부 커팅부(380)와 하부 커팅부(370)와 커팅 프레임(340)과 커팅 구동부(350)와 승하강 안내부(3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커팅 프레임(340)은 고정 베이스부(230)의 상측에 위치한다. 커팅 프레임(340)은 커팅 이동부(390)에 의해 길이방향(D)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 베이스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커팅 프레임(340)은 상하방향(H)으로 연장되며, 커팅 프레임(340)의 내측에는 승하강 안내부(360)와 하부 커팅부(370)와 상부 커팅부(380)가 설치된다.
커팅 구동부(350)는 하부 커팅부(370)와 상부 커팅부(3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구동부(350)는 전극(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커팅 프레임(340)에 고정된다. 커팅 구동부(350)는 실린더를 사용하나, 다른 리니어 구동장치나 모터 등이 실린더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커팅 구동부(350)의 하측에 상부 커팅부(380)가 연결되며, 커팅 구동부(350)의 동작에 의해 상부 커팅부(380)가 상하방향(H)으로 이동되며 전극(10)을 절단한다. 커팅 구동부(350)가 직접 상부 커팅부(380)에 연결어 상부 커팅부(38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커팅 구동부(350)가 커팅 이동부(390)에 연결되어 커팅 이동부(390)를 연결시키면, 커팅 이동부(390)에 연결된 상부 커팅부(380)가 이동될 수 있다.
승하강 안내부(360)는 커팅 프레임(340)의 내측에 위치하며, 커팅 구동부(350)에 의해 동작되어 상부 커팅부(380)를 상하방향(H)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안내부(360)는, 전극(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부 커팅부(380)를 지지하는 제1안내프레임(362)과, 제1안내프레임(362)의 하측에 위치하며 하부 커팅부(370)를 지지하는 제2안내프레임(364)과, 제2안내프레임(364)의 폭방향(W) 양측에 위치하며 제1안내프레임(362)을 관통하며 상하방향(H)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366) 및 가이드바(366)의 외측에 설치되며 탄성을 구비하는 탄성부재(368)를 포함한다.
제1안내프레임(362)과 제2안내프레임(364)은 전극(10)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2안내프레임(364)은 커팅 프레임(340)에 고정된다. 제1안내프레임(362)은 커팅 구동부(350)에 구비된 로드에 연결되어 상하방향(H)으로 이동된다.
제2안내프레임(364)에는 하부 커팅부(370)가 고정되며, 제1안내프레임(362)에는 상부 커팅부(380)가 고정된다. 따라서 제1안내프레임(362)과 함께 상부 커팅부(380)가 상하방향(H)으로 이동하면서 전극(10)을 절단한다.
상부 커팅부(380)의 이동으로 전극(10)이 절단된 후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탄성부재(368)의 복원력에 의해 제1안내프레임(362)과 상부 커팅부(380)의 상측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팅부(380)와 하부 커팅부(37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팅부(380)와 하부 커팅부(370)의 정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팅부(37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팅부(380)의 상부날(384)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팅부(380)와 하부 커팅부(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전극(10)을 지지하는 지지부(372) 및 지지부(372)의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전극(10)을 절단하는 칼날부(37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커팅부(330)에서는 하부 커팅부(370)에 지지부(372)와 칼날부(377)가 설치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부 커팅부(370)가 아닌 상부 커팅부(380)에 지지부(372)와 칼날부(377)가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하부커팅부는 전극(10)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측을 향한 칼날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팅부(370)는 지지부(372)와 커팅블럭(376)과 칼날부(37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72)는 전극(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지지부(372)는 전극(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극(10)의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다. 지지부(372)의 상측은 평면을 형성하며, 지지부(372)의 하측에는 커팅블럭(376)이 위치한다.
또한 지지부(372)는, 칼날부(377)와 마주하는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경사면(374)을 포함한다. 지지부(372)를 기준으로 고정부가 위치된 방향을(도 24기준 우측)을 전방이라 한다. 지지부(372)의 전단은 칼날부(377)와 이격되며, 지지부(372)와 칼날부(377)의 사이에는 오목한 홈부가 형성된다.
지지부(372)의 전방 단부와 칼날부(377)가 이격되므로, 칼날부(377)의 상단이 전극(10)의 하부에 접하며 전극(10)을 절단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지지부(372)의 단부와 칼날부(377)의 상단이 서로 접한 상태로 설치된 경우, 칼날부(377)가 마모되어 칼날의 상단 높이가 지지부(372)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아져서 전극(10)에 칼날부(377)가 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칼날부(377)가 항상 전극(10)의 하단에 접하며 전극(10)을 절단할 수 있도록 지지부(372)의 전방 단부와 칼날부(377)는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커팅블럭(376)은 지지부(372)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팅블럭(376)의 상측에는 지지부(372)가 연결되며 커팅블럭(376)의 하측은 승하강 안내부(360)에 구비된 제2안내프레임(364)에 연결된다.
칼날부(377)는 지지부(372)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팅블럭(376)에서 돌출되어 지지부(372)의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칼날부(377)는 지지부(372)의 하부경사면(374)과 같은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부경사면(374)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상부경사면(378)을 포함할 수 있다.
칼날부(377)의 상부경사면(378)이 지지부(372)의 하부경사면(374)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므로 칼날부(377)와 지지부(372)가 접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칼날부(377)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전극(10) 절단시 칼날부(377)가 흔들리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커팅블럭(376)과 칼날부(377)는 일체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의해서는 별도의 부재로 제작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부(372)의 최상단 높이는 칼날부(377)의 최상단 높이 보다 높게 이루어지므로, 절단이 이루어지지 전극(10)의 다른 부위가 지지부(372)의 전방에 위치한 칼날부(377)에 접하며 스크래치나 손상이 발생됨을 방지한다.
칼날부(377)가 손상된 경우, 칼날부(377)와 연결된 커팅블럭(376)을 지지부(372)에서 분리하여 교체하는 작업에 의해 칼날부(377)의 교체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칼날부(377)의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부 커팅부(380)는 전극(10)의 상측에 위치하며, 하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칼날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부 커팅부(380)는 하강하는 동작에 의해 전극(10)을 절단한다. 상부 커팅부(380)에 커팅 구동부(350)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승하강 안내부(360)의 제1안내프레임(362)에 상부 커팅부(380)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팅부(380)는 이동블럭(382)과 상부날(384)을 포함한다.
이동블럭(382)은 하부 커팅부(370)의 전방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동블럭(382)은 전극(10)의 폭방향(W)으로 연장된다. 이동블럭(382)과 상부날(384)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부 커팅부(380)의 종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날(384)은 이동블럭(382)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하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상의 칼날을 형성한다. 상부날(384)은 전극(10)이 위치한 하측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는 칼날을 형성한다.
상부날(384)의 하단은 제1기준선(F)과 설정 경사각(A)을 이루며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제1기준선(F)은 리드탭(14)과 평행을 이루는 가상 기준선인다. 또는 제1기준선(F)은 수평선에 평행하게 설치되거나 칼날부(377)의 상단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상 기준선인다. 또는 제1기준선(F)은 이동블럭(382)의 상측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상 기준선일 수 있다.
상부날(384)이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상부날(384)이 하강하는 동작에 의해 전극(10)과 접하는 면적을 최소로 하면서 전극(10)을 절단할 수 있다. 칼날부(377)의 상단은 전극(10)의 하측에 선접촉되며, 상부날(384)은 전극(10)에 점접촉되어 절단력이 전극(10)에 절달되는 부위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종래 대비 적은 힘으로도 전극(10)을 손쉽게 절달할 수 있으며, 전극(10)의 절단면이 매끈하게 이루어지며 전극(10)의 폭방향(W) 양측 단부가 휘어지는 절단불량도 감소된다.
전극 커팅부(330)는 고정 베이스부(23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의해서는 커팅 이동부(390)에 의해 전극 커팅부(33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이동부(390)는 길이방향(D)을 따라 전극 커팅부(33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이동부(390)는, 구동모터(392)와 회전바(394)와 장착너트(395)와 제2직선안내부(396)와 제2직선레일(397)과 제2레일홀더(39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 이동부(390)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392)와, 구동모터(39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바(394) 및 회전바(394)의 외측에 형성된 기어에 대응하는 기어가 내측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전극 커팅부(330)에 고정되는 장착너트(395)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92)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장치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392)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가 사용된다. 구동모터(392)는 서보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출력축에 연결된 회전바(394)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392)는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 베이스부(230)에 고정된다.
회전바(394)는 원형봉 형상이며 회전바(394)의 외측에는 나선형의 기어가 설치된다. 회전바(394)와 기어 결합되는 장착너트(395)에는 회전바(394)가 통과하여 설치되기 위한 내측홀이 형성된다.
장착너트(395)는 전극 커팅부(330)에 고정되어 회전이 구속되므로, 회전바(394)의 회전에 의해 장착너트(395)와 전극 커팅부(330)는 공정 진행방향(D1) 또는 공정 진행방향(D1)의 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너트(395)는 커팅 프레임(340)의 하측에 고정된다.
또한 커팅 이동부(390)는 전극 커팅부(3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극 커팅부(330)의 길이방향(D) 이동을 안내하는 제2직선안내부(3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직선안내부(396)는, 전극 커팅부(330)의 하부에 위치하며 길이방향(D)으로 연장되는 제2직선레일(397)과, 전극 커팅부(330)의 하부에 고정되어 전극 커팅부(330)와 함께 이동되며 제2직선레일(397)에 연결되어 제2직선레일(397)을 따라 이동하는 제2레일홀더(398)를 포함한다.
제2직선레일(397)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2직선레일(397)은 고정 베이스부(230)에 고정되어 이동이 구속된다.
제2레일홀더(398)는 제2직선레일(397)의 상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제2직선레일(397)을 따라 길이방향(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레일홀더(398)는 커팅 프레임(340)의 하부에 고정되므로 제2레일홀더(398)와 커팅 프레임(340)은 제2직선레일(397)을 따라 이동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공정 진행방향(D1)', 공정 진행방향 역방향(D2)'은 방향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정 진행방향(D1)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한 방향이며, 공정 진행방향 역방향(D2)은 우측에서 좌측을 향한 방향이다.
또한 길이방향(D)은 도 1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이며, 폭방향(W)은 도 1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이다. 그리고 상하방향(H)은 도 3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극 리딩부(240)가 1개만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전극 리딩부(240)가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극 리딩부(240)의 설치위치는 필름 융착부(40)의 전방이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극(10) 코팅부에 구비된 하부 커팅부(370)와 상부 커팅부(380)의 위치도 서로 바뀔 수 있으며, 하부 커팅부(370)의 후방에 상부 커팅부(380)가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탭 제조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극 공급부(20)에서 인출된 전극(10)은 필름 부착부(30)로 이동된다. 필름 부착부(30)에서 인출된 필름(12)은 전극(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접합된다.
필름 부착부(30)를 통과한 전극(10)은 필름 융착부(40)로 이동한다. 필름 융착부(40)에 구비된 각 융착부에서는 전극(10)에 2매의 필름(12)을 동시에 융착한다.
제1융착부(50)에서 전극(10)과 필름(12)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제1융착부(50)에서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하부블럭(72)과 제1상부블럭(91)이 리드탭(14)을 향하여 이동하여 전극(10)을 가압하며 가열한다. 제2하부블럭(74)과 제2상부블럭(92)이 리드탭(14)을 향하여 이동하여 전극(10)의 외측에 접착된 필름(12)을 가압하며 가열한다. 제3하부블럭(80)과 제3상부블럭(93)이 리드탭(14)을 향하여 이동하여 전극(10)을 가압하며 가열한다. 제4하부블럭(82)과 제4상부블럭(94)이 리드탭(14)을 향하여 이동하여 전극(10)의 외측에 접착된 필름(12)을 가압하며 가열한다. 제5하부블럭(84)과 제5상부블럭(95)이 리드탭(14)을 향하여 이동하여 전극(10)을 가압하며 가열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제1융착부(50)에서는 전극(10)에 부착된 필름(12) 2매를 동시에 융착시키는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제1융착부(50)에서 필름(12) 1매의 융착만 이루어지게 할 경우, 제4하부블럭(82)과 제4상부블럭(94)과 제5하부블럭(84) 및 제5상부블럭(95)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는 제4하부블럭(82)과 제4상부블럭(94)과 제5하부블럭(84) 및 제5상부블럭(95) 및 이에 연결된 구동장치를 제1융착부(50)에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2매의 필름(12)을 동시에 열융착시키는 필름 융착부(40)를 통과하며 필름(12)이 융착된 전극(10)은 전극 리딩부(240)로 이동한다. 전극 리딩부(240)에 구비된 리딩 상부블럭(242)과 리딩 하부블럭(243) 사이에 전극(10)이 압착되므로 전극 리딩부(240)와 전극(10)이 이동이 동기화된다.
전극 이동부(290)에 구비된 구동부(292)가 동작되어 스크루바(294)를 회전시키면, 스크루바(294)에 연결된 너트부(300)가 전극 리딩부(240)와 함께 공정 진행방향(D1)으로 이동한다.
전극 이동부(290)의 동작에 의해 전극 리딩부(240)와 연결프레임(280)과 필름 융착부(40)는 공정 진행방향(D1)으로 1피치 이동한다. 1피치는 리드탭(14)의 길이방향(D) 길이이다.
연결프레임(280)의 하부에 레일블럭(324)이 고정되어 있으며, 레일블럭(324)은 길이방향(D)으로 설치된 레일부재(322)를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연결프레임(280) 및 연결프레임(280)에 의해 지지되는 전극(10) 융착부 및 연결프레임(280)에 연결된 전극 리딩부(240)는 길이방향(D)으로 같이 이동된다.
전극(10)과 전극 리딩부(240)와 연결프레임(280)과 필름 융착부(40)가 1피치의 길이 만큼 공정 진행방향(D1)으로 이동된 후 전극 커팅부(330)가 동작되어 전극(10)이 절단된다.
그리고 다시 전극 이동부(290)의 동작에 의해 전극(10)과 전극 리딩부(240)와 연결프레임(280)과 필름 융착부(40)가 1피치의 길이 만큼 공정 진행방향(D1)으로 다시 이동된 후 전극 커팅부(330)가 동작되어 전극(10)이 절단된다.
그리고 전극 고정부(250)가 동작되어 전극(10)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전극 리딩부(240)는 전극(10)과 이격된다. 그리고 전극 이동부(290)의 동작에 의해 전극 리딩부(240)와 연결프레임(280)과 필름 융착부(40)는 공정 진행방향 역방향(D2)으로 2피치 이동한 후 앞의 동작을 반복한다.
만약, 필름 융착부(40)에 구비된 각 융착부에서 전극(10)에 1매의 필름(12)이 융착되는 경우에는 1피치의 이동만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필름 융착부(40)에 구비된 각 융착부에서 전극(10)에 1매의 필름(12)이 융착된 후 필름 융착부(40)를 통과한 전극(10)은 전극 리딩부(240)로 이동한다.
전극 리딩부(240)에 구비된 리딩 상부블럭(242)과 리딩 하부블럭(243) 사이에 전극(10)이 압착되므로 전극 리딩부(240)와 전극(10)이 이동이 동기화된다.
전극 이동부(290)의 동작에 의해 전극 리딩부(240)와 연결프레임(280)과 필름 융착부(40)는 공정 진행방향(D1)으로 1피치 이동한다. 1피치는 리드탭(14)의 길이방향(D) 길이이다.
전극(10)과 전극 리딩부(240)와 연결프레임(280)과 필름 융착부(40)가 1피치의 길이 만큼 공정 진행방향(D1)으로 이동된 후 전극 커팅부(330)가 동작되어 전극(10)이 절단된다.
그리고 전극 고정부(250)가 동작되어 전극(10)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전극 리딩부(240)는 전극(10)과 이격된다. 그리고 전극 이동부(290)의 동작에 의해 전극 리딩부(240)와 연결프레임(280)과 필름 융착부(40)는 공정 진행방향 역방향(D2)으로 1피치 이동한 후 앞의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탭 제조장치(1)는 금속인 전극(10)에 필름(12)을 융착하기 위해서는 전극(10)에 필름(12)을 붙인 상태에서 일정 시간동안 열을 가해 주어야한다. 종래에는 필름 융착부(40)는 이동하지 않고 전극 리딩부(240)만 이동하므로 리드탭(14)의 융착과 이동에 각각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리드탭 제조장치(1)는 연결프레임(280)에 의해 전극(10) 융착부와 전극 리딩부(240)가 연결되어 전극(10) 융착부와 전극 리딩부(240)가 같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리드탭(14)의 융착 작업과 이송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리드탭(14)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융착 공정 시간을 확보하여 생산품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생산시간을 단축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10)에 복수의 필름(12)을 동시에 융착할 수 있으므로 리드탭(14)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10)에 2매의 필름(12) 또는 3매 이상 복수의 필름(12)을 동시에 융착하므로 생산시간을 단축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날(384)이 리드탭(14)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절단력을 향상시키므로 리드탭(14)의 절단 작업시 발생되는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부커팅부와 하부커팅부가 리드탭(14)과 접하는 면적이 감소되어 리드탭(14)의 변형 현상을 감소시키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리드탭 제조장치
10: 전극 12: 필름 14: 리드탭
20: 전극 공급부
30: 필름 부착부
40: 필름 융착부
50: 제1융착부 60: 제1프레임 61: 제1패널 62: 제2패널 63: 제1연결기둥
70: 제1하부융착블럭 72: 제1하부블럭
74: 제2하부블럭 75: 제2블럭몸체 76: 제2블럭커버 77: 제2접착패널 78: 제2락킹돌기
80: 제3하부블럭 82: 제4하부블럭 84: 제5하부블럭
90: 제1상부융착블럭 91: 제1상부블럭 92: 제2상부블럭 93: 제3상부블럭 94: 제4상부블럭 95: 제5상부블럭
100: 구동실린더
110: 하부실린더 111: 제1하부실린더 112: 제2하부실린더 113: 제3하부실린더 114: 제4하부실린더 115: 제5하부실린더
120: 상부실린더 121: 제1상부실린더 122: 제2상부실린더 123: 제3상부실린더 124: 제4상부실린더 125: 제5상부실린더
130: 제2융착부
140: 제3융착부 150: 제3프레임 151: 제3패널 152: 제3연결기둥
160: 제3하부융착블럭 161: 제3블럭몸체 162: 제3블럭커버 163: 제3접착패널 164: 제3락킹돌기
170: 제3상부융착블럭 172: 블럭연결몸체 174: 안내바퀴
180: 상하이동 안내부 182: 상하 안내레일 184: 레일이동홀더 186: 레일지지부
190: 제3상부구동부
200: 제3하부구동부 201: 제3구동실린더 202: 로드부재 203: 구동브라켓 204: 경사받침부 205: 안내경사면 206: 제3레일 207: 제3블럭
210: 제4융착부
215: 제5융착부
220: 제6융착부
230: 고정 베이스부
240: 전극 리딩부 241: 리딩 프레임 242: 리딩 상부블럭 243: 리딩 하부블럭 244: 리딩 상부구동부 245: 리딩 하부구동부
250: 전극 고정부
260: 고정 프레임 262: 하부 고정프레임 264: 상부 고정프레임 266: 지지기둥
270: 고정 상부블럭 272: 고정 상부구동부
280: 연결프레임 282: 지지프레임 284: 사이드프레임 286: 커넥터부
290: 전극 이동부 292: 구동부 294: 스크루바 300: 너트부
310: 제1직선안내부 312: 제1직선레일 314: 제1레일홀더
320: 직선가이드부 322: 레일부재 324: 레일블럭
330: 전극 커팅부 340: 커팅 프레임 350: 커팅 구동부
360: 승하강 안내부 362: 제1안내프레임 364: 제2안내프레임 366: 가이드바 368: 탄성부재
370: 하부 커팅부 372: 지지부 374: 하부경사면 376: 커팅블럭 377: 칼날부 378: 상부경사면
380: 상부 커팅부 382: 이동블럭 384: 상부날
390: 커팅 이동부 392: 구동모터 394: 회전바 395: 장착너트 396: 제2직선안내부 397: 제2직선레일 398: 제2레일홀더
D1: 공정 진행방향
D2: 공정 진행방향 역방향
D: 길이방향 W: 폭방향 H: 상하방향
A: 설정 경사각
F: 제1기준선

Claims (13)

  1. 연료전지용 전극을 공급하는 전극 공급부;
    상기 전극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상기 전극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필름 부착부;
    상기 필름 부착부에 의해 상기 필름이 부착된 상기 전극을 공정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극 리딩부;
    상기 전극 리딩부가 공정 진행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전극의 이동을 구속하는 전극 고정부; 및
    상기 전극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전극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전극 커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 커팅부는, 상부 커팅부와 하부 커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커팅부와 상기 하부 커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전극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전극을 절단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리드탭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팅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칼날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극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칼날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팅블럭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의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리드탭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칼날부와 마주하는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부는, 상기 하부경사면과 같은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경사면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상부경사면;을 포함하는 리드탭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팅부는, 상기 하부 커팅부의 전방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하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상의 칼날을 구비하는 상부날;을 포함하는 리드탭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이 하강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전극을 절단하는 리드탭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과 상기 상부날은 일체로 이루어지며, 종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리드탭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부착부를 통해 상기 필름이 부착된 상기 전극을 전달받으며, 상기 전극에 상기 필름을 융착시키는 필름 융착부;를 더 포함하는 리드탭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융착부와 상기 전극 리딩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 또는 상기 전극 리딩부에 기어 연결되며, 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필름 융착부와 상기 전극 리딩부를 상기 전극의 공정 진행방향 및 공정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극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리드탭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극의 공정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직선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리드탭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가이드부는, 상기 전극의 공정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부재;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레일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레일블럭;을 포함하는 리드탭 제조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딩부가 동작되어 상기 전극 리딩부와 상기 전극의 이동이 함께 이루어지며,
    상기 필름이 상기 전극에 융착되는 동작과 함께 상기 전극 리딩부와 상기 필름 융착부가 공정 진행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되는 리드탭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팅부에 의해 상기 전극의 절단이 이루어진 후 상기 전극과 이격된 상기 전극 리딩부는 상기 필름 융착부와 함께 공정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되는 리드탭 제조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딩부는, 상기 필름 융착부와 상기 필름 부착부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상기 필름 융착부와 상기 전극 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리드탭 제조장치.
KR1020220022762A 2022-02-22 2022-02-22 리드탭 제조장치 KR20230125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762A KR20230125920A (ko) 2022-02-22 2022-02-22 리드탭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762A KR20230125920A (ko) 2022-02-22 2022-02-22 리드탭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920A true KR20230125920A (ko) 2023-08-29

Family

ID=8780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762A KR20230125920A (ko) 2022-02-22 2022-02-22 리드탭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9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519B1 (ko) 전극 리드 접합용 버스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422273B1 (ko) 가압 활성화 장치
JP2004522278A (ja) 自動化されたリチウム2次電池製造システム用パッキング装置
KR20090093222A (ko) 전지모듈의 제조방법 및 중대형 전지팩
CN110355470B (zh) 一种电池极耳转接结构及转接方法
KR101138644B1 (ko) 전극단자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KR20210097903A (ko) 파우치형 배터리의 충방전용 그립퍼 및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배터리의 충방전 장치
KR101659120B1 (ko) 벤딩 장치
KR20230125920A (ko) 리드탭 제조장치
EP3644401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20210036703A (ko) 배터리 셀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20230125922A (ko) 리드탭 제조장치
US20230042766A1 (en) Electrode lead gripper for pressure activation device
KR20200064527A (ko) 마찰교반용접용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제조 방법
EP4019185B1 (en) Welding jig
KR102077273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테라스 성형 장치
CN113210821B (zh) 一种锂电池点焊装置
CN115397599A (zh) 焊接设备、使用该焊接设备的焊接方法以及通过该焊接方法制造的电极组件
CN115735296A (zh) 用于贴附可充电电池用胶带的装置和使用该装置的方法
JP6221680B2 (ja) 燃料電池の製造方法
KR20210097301A (ko) 가압 활성화 장치용 전극 리드 그립퍼 및 이를 구비한 가압 지그
TW2004158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sting sealing material onto lead wire for use in small battery
KR101037873B1 (ko) 금속 클래드의 결합방법
KR102666215B1 (ko) 이차전지 리드탭 제조장치
US20230148221A1 (en) Pouch-Shaped Battery Case Sealing Apparatus and Pouch-Shaped Secondary Battery Sealing Method U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