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292A - LED tumbler - Google Patents

LED tumb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292A
KR20230124292A KR1020220021414A KR20220021414A KR20230124292A KR 20230124292 A KR20230124292 A KR 20230124292A KR 1020220021414 A KR1020220021414 A KR 1020220021414A KR 20220021414 A KR20220021414 A KR 20220021414A KR 20230124292 A KR20230124292 A KR 20230124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unit
tumbler
beverag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4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지현
황준영
고희재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292A/en
Publication of KR2023012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2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provided with transient audible or visual signaling means, e.g. for indicating dispensing, or other illuminating or acoustic devices, e.g. wh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4Devices wherein the heating current flows through particular resi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음료용기와, 상기 음료용기의 상부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마개부와, 상기 음료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기 음료용기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용기에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키는 히팅베드유닛를 포함하며, 히팅베드유닛이 센싱부에서 센싱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용기에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따뜻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LED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tumb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and formed with an open top, and a stopper that is coupled o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closes the accommodation space. A sens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ing space, coupled or detach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Based on the heating bed unit for heating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in the beverage container, the heating bed unit heats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in the beverage container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to warm the user. It is about an LED tumbler that can serve drinks.

Description

LED 텀블러{LED tumbler}LED tumbler {LED tumbler}

본 발명은 LED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LED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tumb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LED tumbler provided to a user by heating a beverage accommodated in a receiving space of a beverage container.

텀블러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다량의 음료를 담아서, 야외활동시 장시간에 걸쳐 조금씩 나누어 마실수 있도록 형성된 비교적 큰 용량을 갖는 용기이다. 이러한 텀블러는 음료가 충진되는 음료용기와 음료용기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와 계폐부의 상부에 마련된 음입구를 개폐시키는 덮개부가 설치된다.A tumbler is generally a container having a relatively large capacity formed so that a user can drink a large amount of beverage in small portions over a long period of time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 tumbler is provided with a beverage container filled with a beverage,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oupled to the beverage container to be openable and closed, and a lid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ound inlet provided on the top of the closing portion.

그러나 종래의 텀블러는 장시간 야외활동을 할 경우에 음료가 식어버리게 되기 때문에 텀블러 내부에 담긴 음료의 맛을 온전히 유지하기 어렵다.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선행기술들이 제안되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umbler cools the beverage when outdoors for a long tim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tast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side the tumbler. Therefore, several prior art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제안된 선행기술은 휴대용 포트 텀블러(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16383호)로서, 상기 선행기술은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텀블러 바디의 하측에 발열부가 마련되어 텀블러 바디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열시키는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The proposed prior art is a portable port tumble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16383), and the prior art has a heating unit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umbler body for accommodating liquid contents, Heating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umbler body A technical configuration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가열부의 구체적 구성들이 텀블러 바디 내부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전체적 텀블러의 중량이 증가하여 사용자가 음료가 충진된 텀블러를 파지할 시, 텀블러의 중량이 무거워서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heating unit are disclosed inside the tumbler body, the overall weight of the tumbler increases, so that when the user holds the tumbler filled with beverage, the weight of the tumbler is heavy, resulting in poor usability. There is a disadvantage.

한국등록특허 제10-2116383호: 휴대용 포트 텀블러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16383: Portable Port Tumbl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료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음료를 가열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따뜻한 음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rm beverage to the user by heating the beverage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음료용기와, 상기 음료용기의 상부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마개부와, 상기 음료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기 음료용기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용기에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키는 히팅베드유닛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chieve the object, the LED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inside, a beverage container formed with an open top, and coupled or separa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Possibly installed, a stopper for closing the accommodating space, a sens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ing space, and coupled or detachabl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is installed, and includes a heating bed unit for heating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상기 히팅베드유닛은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음료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히팅베드부와, 상기 헤팅베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공급부의 공급 전력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heating bed unit includes a housing part, a heating bed part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and transmitting heat to the beverage container, a power supply part supplying power to the heated bed part, and a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ing part. and a first control unit controlling supply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상기 마개부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 내부에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이물질을 살균하는 살균부와, 상기 마개부에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살균부를 온오프시키는 제1 온오프버튼을 더 포함한다.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and further includes a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foreign substances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into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first on-off butto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and turning on and off the sterilization unit .

상기 음료용기의 수용공간에 음료의 수용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살균부가 음료용기 내부를 살균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beverag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erilization unit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상기 음료용기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의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유닛을 더 포함한다.It is installed in the beverage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상기 음료용기에 일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유닛을 온오프시키는 제2 온오프버튼을 더 포함한다.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gripping part that the user grips, and a second on/off button installed on the gripping part and turning on/off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마개부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제1 가이드홀과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음료용기의 수용공간에 충진된 음료의 당 농도가 일정한 농도가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음료용기의 내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음료용기의 내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상기 제1 연장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마개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마개부의 회전 중심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부에 체결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홀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호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제2 및 제3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수용공간내 소정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제1 연장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상기 마개부에 인접되도록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상기 마개부에 멀어되도록 상기 제2 연장부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stopper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hole and a second guide hole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sugar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becomes a constant concentration.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unit that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rotates, wherein the rotation unit penetrates the first guide hole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beverage container; 2.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beverage container through the guide hole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t the top of the stopper. It includes a connecting rod connecting each other, and a first rotating shaft fastened to the stopper so that the connecting rod can rotate at a rotation center position of the stopp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are centered on the first rotational axis. It is formed to extend along an arc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rotat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protrusio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s formed with second and third protrusions,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in the beverage container The first exten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second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second extension so as to be closer to the stopper tha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third protrusion is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farther from the stopper than the first protrusion part.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음료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의 수용공간의 영역별 당 농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농도측정부와, 상기 농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영역별 당 농도가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신호음을 울리는 알림신호부를 더 포함한다.The rotat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notifies the user when the sugar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matches a plurality of concentration measuring units for measuring the sugar concentration by region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signal unit for sounding a signal.

상기 농도측정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되는 음료용기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 내부의 중간영역의 당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와, 상기 제2 돌출부와 대향되는 음료용기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 내부의 상측영역의 당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와, 상기 제3 돌출부와 대향되는 음료용기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 내부의 하측영역의 당 농도를 측정하는 제3 측정부를 포함한다.Th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opposite to the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sugar concentration in the middle region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opposite to the second protrusion. A second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sugar concentration of the upper region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third measurement unit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opposite to the third protrusion and measuring the sugar concentration of the lower region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do.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음료용기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하는 무드등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드등유닛은 회전부와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기어가 형성된 웜휠과,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웜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도광판과, 상기 제1 도광판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다수의 제2 도광판과, 상기 제1 도광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광판으로 서로 상이한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도광판은 표면에 소정형상의 무늬가 형성된다.The light emitting unit is installed out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further includes a mood light unit providing an aesthetic sense to the user. The mood light unit includes a rotating part and a light emitting part, and the rotating part includes a second rotating shaft and a second rotating shaft. A rotating plate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a bearing part installed under the rotating plate, a bottom plate installed under the bearing part, and a rotation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A motor, a worm wheel having a plurality of gear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and a worm install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motor and engaged with the worm wheel, wherein the light emitting par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plate A first light guide plate, A plurality of second light guide plates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the edg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and an irradiation unit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and irradia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to the first light guide plate, A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on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plat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LED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히팅베드유닛이 센싱부에서 센싱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용기에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따뜻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1) The heating bed unit heats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thereby providing a warm beverage to the user.

(2) 회전유닛이 음료용기 내부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회전함으로써 음료용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의 당 농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2) The sugar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kept constant by rotating the rotation unit by being inser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at a predetermined depth.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LED tumb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LED tumb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LED tumb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LED tumb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LED tumb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LED tumbl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n 'LED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enlarg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10)는 음료용기(100), 마개부(200), 센싱부(300) 및 히팅베드유닛(400)을 포함한다.1 to 3, the LED tumbl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verage container 100, a stopper 200, a sensing unit 300 and a heating bed unit 400 do.

상기 음료용기(100)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음료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10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각도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 형상으로 적용가능하다.The beverage container 100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and the top is opened so that the beverage can be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beverage container 1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ap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상기 음료용기(100)는 상부에 구비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된 열 전도부(120)로 구분된다.The beverage container 100 is divided into a body portion 110 provided at the top and a heat conduction portion 12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상기 몸체부(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가공이 쉽고 중량이 가벼워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음료용기(100)의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구성 또는 강도를 고려하여 금속, 플라스틱 및 탄소나노튜브 등 여러 금속 또는 합성수지들이 적용될 수 있다.Since the body part 11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it is easy to process and light in weigh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it. However, the material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is not limited to plastic, and various metals or synthetic resins such as metal, plastic, and carbon nanotubes may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or strength.

상기 열 전도부(120)는 상기 히팅베드유닛(400)으로부터 소정온도의 열이 전도된다.The heat conducting part 120 conducts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rom the heated bed unit 400 .

상기 열 전도부(100)는 열 전도율이 높은 구리, 알루미늄, 텅스텐 및 철과 같은 금속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전도부(100)는 구리, 알루미늄, 텅스텐 및 철중 어느 하나의 소재가 단독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상기 소재들중 둘 이상이 조합된 금속합금이 적용될 수 있다.The thermal conductive part 100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copper, aluminum, tungsten, or iron. In addition, the thermal conductive part 100 may be formed of a single material of copper, aluminum, tungsten, and iron, or a metal alloy in which two or more of the materials are combined.

상기 마개부(200)는 상기 음료용기(100)의 상부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마개부(200)는 상기 음료용기(100)의 상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The stopper 200 is coupled o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and opens or closes the receiving space. The stopper 200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상기 마개부(200)는 음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가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음입구로 스트로우가 인입될 수도 있다.The stopper 200 has a sound inlet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rink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straw can also be introduced into the sound inlet.

상기 센싱부(300)는 상기 음료용기(1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센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싱부(300)는 접촉식 온도센서가 적용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비접촉식 온도센서가 적용될 수 도 있다.The sensing unit 300 is install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00 and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In this embodiment, a contact temperature sensor is applied to the sensing unit 300, but a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상기 히팅베드유닛(400)은 상기 음료용기(100)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센싱부(300)에서 센싱된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용기(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킨다.The heating bed unit 400 is coupled or detach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300. heat the beverage.

상기 히팅베드유닛(400)은 하우징부(410), 히팅베드부(420), 전력공급부(미도시) 및 제1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heated bed unit 400 includes a housing part 410, a heated bed part 420, a power supply part (not shown) and a first controller (not shown).

상기 하우징부(41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부(41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The housing part 4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part 4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but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상기 히팅베드부(420)는 상기 하우징부(410)의 상부에 마련되며, 전력 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열에너지를 열 전도부(120)에 전도시킴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킨다. 상기 히팅베드부(420)는 얇은두께의 PCB 기판으로 이루어진 PCB 히팅베드(PCB Heatbed)가 적용된다.The heating bed part 42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410, and heats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y conducting thermal energy converted from electric power energy to the heat conduction part 120. The heating bed part 420 is applied with a PCB heating bed made of a thin-thickness PCB board.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하우징부(410)에 설치되며, 상기 히팅베드부(420)에 전력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410 and supplies power to the heating bed unit 420 .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300)에서 센싱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공급부의 공급 전력을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ler controls supply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300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10)는 감지부(500), 살균부(520) 및 제2 제어부(미도시) 및 제1 온오프버튼(540)을 더 포함한다.The LED tumbl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etection unit 500, a sterilization unit 520, a second control unit (not shown), and a first on/off button 540.

상기 감지부(500)는 상기 음료용기(100)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100)의 수용공간에 음료의 수용여부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료의 수용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500)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측정값에 따라 음료의 수용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감지부(500)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The detection unit 500 is installed in the beverage container 100 and detects whether a beverage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unit 500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everage is accepted is provided separately, but the role of the sensing unit 500 may be substitut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everage is accep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

상기 살균부(520)는 상기 마개부(200)의 하면에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부(200)의 하면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100)의 수용공간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살균함으로써 상기 세균감염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unit 52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200, specifical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200, and irradiates ultraviolet light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By sterilizing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cterial infection.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500)에서 감지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살균부(520)가 상기 음료용기(100)를 살균하도록 상기 살균부(520)를 제어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the sterilization unit 520 so that the sterilization unit 520 sterilizes the beverage container 100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500.

상기 제1 온오프버튼(540)은 상기 마개부(200)의 상면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살균부(520)를 온/오프시킨다.The first on/off button 5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200, and turns on/off the sterilization unit 520 by a user's manipulation as need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10)는 발광유닛(600), 파지부(700) 및 제2 온오프버튼(710)을 더 포함한다.The LED tumbl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600, a gripper 700 and a second on/off button 710.

상기 발광유닛(600)은 상기 음료용기(100)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100)의 외부로 광을 조사한다. 또한, 상기 발광유닛(600)은 백색광을 발광하는 엘이디가 적용된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installed in the beverage container 100, and irradiates light to the out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an LED that emits white light.

상기 파지부(700)는 상기 음료용기(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지부(700)가 별도 제작후에 상기 음료용기(100)에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음료용기(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gripping part 7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and the user can easily grip i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gripping portion 700 is shown as being fastened to the beverage container 100 after being separately manufactured,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everage container 100 otherwise.

상기 제2 온오프버튼(710)은 상기 파지부(700)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발광유닛(600)을 온/오프시킨다.The second on/off button 710 is installed on the gripping part 700 and turns on/off the light emitting unit 600 by manipulation by the user as needed.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10)는 상기 음료용기(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킴으로써 음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ED tumbl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beverage at a set temperature desired by the user by heating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한편,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ED tumbl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in the previously shown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10)는 음료용기(100), 마개부(200), 센싱부(300) 및 히팅베드유닛(400)을 포함하며, 회전유닛(800)을 포함한다.The LED tumbl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verage container 100, a stopper 200, a sensing unit 300, and a heating bed unit 400, and includes a rotation unit 800 do.

상기 회전유닛(800)은 상기 음료용기(100) 내부에 소정깊이 인입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음료용기(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를 혼합하여 전체적인 당도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실시예의 실시를 위해서, 상기 마개부(20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제1 가이드홀(210)과 제2 가이드홀(220)이 형성되어 있다.The rotating unit 800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100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rotated to mix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so that the overall sugar content can be uniformly adjusted. For implement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 first guide hole 210 and a second guide hole 220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200 are formed.

상기 제1 가이드홀(210)과 상기 제2 가이드홀(220)은 원호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first guide hole 210 and the second guide hole 220 are formed to extend along a circular arc direction.

상기 회전유닛(800)은 제1 연장부(810), 제2 연장부(820), 연결로드(830) 및 제1 회전축(840)을 포함한다.The rotation unit 80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810 , a second extension part 820 , a connection rod 830 and a first rotation shaft 840 .

상기 제1 연장부(810)는 상기 제1 가이드홀(210)을 관통하여 음료용기(100) 내부로 소정길이 연장된다.The first extension part 810 passes through the first guide hole 210 and extends into the beverage container 100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제1 연장부(810)는 상기 음료용기(100)의 수용공간내 소정위치에 돌출되도록 제1 돌출부(812)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extension part 810 is formed with a first protrusion part 812 so as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상기 제2 연장부(820)는 상기 제2 가이드홀(220)을 관통하여 음료용기(100) 내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상기 제1 연장부(810)와 나란하게 연장된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820 passes through the second guide hole 220 and extends into the beverage container 10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extends parallel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810 .

상기 제2 연장부(820)는 상기 제1 돌출부(812)보다 상기 마개부(200)에 인접되도록 상부에 제2 돌출부(82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second extension part 820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part 822 protrudes from the top so as to be closer to the stopper 200 than the first protrusion part 812 .

상기 제2 연장부(820)는 상기 제1 돌출부(812)보다 상기 마개부(200)에 멀어지도록 하부에 제3 돌출부(82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second extension part 820 is formed so that the third protrusion 824 protrudes further from the stopper 200 than the first protrusion part 812 .

상기 연결로드(830)는 상기 마개부(200)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연장부(810)와 상기 제2 연장부(820)의 상단을 상호 연결한다.The connecting rod 830 inter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first extension part 81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820 at the upper part of the stopper 200 .

상기 제1 회전축(840)은 상기 마개부(200)와 체결되며, 상기 연결로드(830)가 상기 마개부(200)의 회전 중심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rotational shaft 840 is fastened to the stopper 200 and allows the connecting rod 830 to rotate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opper 200 .

상기 회전유닛(800)은 농도측정부(850)와 알림신호부를 더 포함한다.The rotation unit 800 further includes a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850 and a notification signal unit.

상기 농도측정부는 상기 음료용기(100) 내부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100)의 수용공간의 영역별 당 농도를 측정한다.Th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is installed in a plurality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00, and measures the sugar concentration for each region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상기 농도측정부는 제1 측정부(852), 제2 측정부(854) 및 제3 측정부(856)를 포함한다.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includes a first measurement unit 852, a second measurement unit 854, and a third measurement unit 856.

상기 제1 측정부(852)는 상기 제1 돌출부(812)와 대향되는 음료용기(100)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100) 내부의 중간영역의 당 농도를 측정한다.The first measurement unit 852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opposite to the first protrusion 812 to measure the sugar concentration in the middle region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00.

상기 제2 측정부(854)는 상기 제2 돌출부(822)와 대향되는 음료용기(100)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100) 내부의 상측영역의 당 농도를 측정한다.The second measurement unit 854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opposite to the second protrusion 822 to measure the sugar concentration of the upper region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00.

상기 제3 측정부(856)는 상기 제3 돌출부(824)와 대향되는 음료용기(100)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100) 내부의 하측영역의 당 농도를 측정한다.The third measuring unit 856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opposite to the third protrusion 824 to measure the sugar concentration of the lower region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100.

상기 제1, 제2 및 제3 측정부(852, 854, 856)는 상기 음료용기(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에 광의 조사를 통해 굴절률 산출하여 당 농도를 측정하는 광학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measurement units 852, 854, and 856 are optical sensors that measure the sugar concentration by calculating the refractive index through irradiation of light to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 Can be applied .

상기 알림신호부는 상기 음료용기(100)에 설치되며, 상기 농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영역별 당 농도가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신호음을 울린다.The notification signal unit is installed in the beverage container 100, and sounds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user when the sugar concentrations for each region measured by th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match.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10)는 상기 회전유닛(800)의 회전으로 상기 농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수용공간의 영역별 당 농도가 균일하게 되면 알림신호음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LED tumbl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sugar concentration for each reg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measured by th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becomes uniform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800 It works.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LED tumbler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10)는 음료용기(100), 마개부(200), 센싱부(300) 및 히팅베드유닛(400)을 포함하며, 발광유닛(600)을 포함한다.The LED tumbler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verage container 100, a stopper 200, a sensing unit 300, and a heated bed unit 400,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600 do.

상기 발광유닛(600)은 상기 음료용기(100)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하는 무드등유닛(9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무드등유닛(900)은 회전부(910)와 광원부(920)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600 is installed outside the beverage container 100 and further includes a mood light unit 900 providing an aesthetic sense to the user. The mood light unit 900 includes a rotating part 910 and a light source part 920.

상기 회전부(910)는 제2 회전축(911), 회전판(912), 베어링부(913), 바닥판(914), 회전모터(915), 웜휠(916) 및 웜(917)을 포함한다.The rotation unit 910 includes a second rotation shaft 911, a rotation plate 912, a bearing unit 913, a bottom plate 914, a rotation motor 915, a worm wheel 916, and a worm 917.

상기 제2 회전축(91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second rotation shaft 911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회전판(912)은 상기 제2 회전축(911)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rotating plate 912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911 .

상기 베어링부(913)는 상기 회전판(91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912)을 안정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The bearing part 913 is installed below the rotating plate 912 and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ng plate 912 in a stable manner.

상기 바닥판(914)은 상기 베어링부(913)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부(913)를 안정되도록 지지한다.The bottom plate 914 is installed below the bearing part 913 and supports the bearing part 913 stably.

상기 회전모터(915)는 상기 바닥판(914)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The rotation motor 915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plate 914 and generates rotational force by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웜휠(916)은 상기 회전판(912)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The worm wheel 916 has a plurality of gear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912 .

상기 웜(917)은 상기 회전모터(915)의 회전축(840)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웜휠(916)과 치합됨으로써 회전력을 상기 웜휠(916)로 전달한다.The worm 917 is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840 of the rotation motor 915, and a plurality of gears are formed and meshed with the worm wheel 916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worm wheel 916.

상기 광원부(920)는 제1 도광판(922), 제2 도광판(924) 및 조사부(926)를 포함한다.The light source unit 920 includes a first light guide plate 922 , a second light guide plate 924 and an irradiation unit 926 .

상기 제1 도광판(922)은 상기 회전판(91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9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제1 도광판(922)은 상부에 상기 음료용기(100)가 설치된다.The first light guide plate 922 is installed above the rotation plate 912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plate 912 . The first light guide plate 922 has the beverage container 100 installed thereon.

상기 제2 도광판(924)은 상기 제1 도광판(922)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소정길이 다수개가 연장된다.A plurality of second light guide plates 924 extend upwar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based on the edg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922 .

상기 조사부(926)는 상기 제1 도광판(922)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광판(922)으로 서로 상이한 색상의 광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도광판(924)은 상기 조사부(926)에 의해 조사된 광이 상기 제1 및 제2 도광판(924) 내부로 도광함으로써 발광하게 된다.The irradiation unit 926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922 and radiates light of different colors to the first light guide plate 922 .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plates 924 emit light by guiding the light irradiated by the irradiation unit 926 in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plates 924 .

상기 제1 및 제2 도광판(924)은 표면에 소정형상의 무늬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도광판(924)은 표면에 하트무늬(♥), 별무늬(★), 사각형무늬(■), 삼각형무늬(▲), 아라비아 숫자(1) 및 기호(X) 등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여러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plates 924 are pattern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surfac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plates 924 improve aesthetics by displaying heart patterns (♥), star patterns (★), square patterns (■), triangle patterns (▲), Arabic numerals (1), and symbols (X)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plates 924. Several patterns can be formed.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LED 텀블러(10)는 상기 제1 및 제2 도광판(924)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무드등처럼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LED tumbler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user with an aesthetic feeling like a mood light b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plates 924 .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 LED 텀블러
100: 음료용기
200: 마개부
210: 제1 가이드홀
220: 제2 가이드홀
300: 센싱부
400: 히팅베드유닛
410: 하우징부
420: 히팅베드부
500: 감지부
520: 살균부
540: 제1 온오프버튼
600: 발광유닛
700: 파지부
710: 제2 온오프버튼
800: 회전유닛
810: 제1 연장부
812: 제1 돌출부
820: 제2 연장부
822: 제2 돌출부
824: 제3 돌출부
830: 연결로드
840: 회전축
900: 발광유닛
900: 무드등유닛
910: 회전부
911: 회전축
912: 회전판
913: 베어링부
914: 바닥판
915: 회전모터
916: 웜휠
917: 웜
920: 광원부
922: 제1 도광판
924: 제2 도광판
926: 조사부
10: LED tumbler
100: beverage container
200: stopper
210: first guide hole
220: second guide hole
300: sensing unit
400: heating bed unit
410: housing part
420: heating bed part
500: sensing unit
520: sterilization unit
540: first on-off button
600: light emitting unit
700: gripping unit
710: second on-off button
800: rotation unit
810: first extension
812: first protrusion
820: second extension
822: second protrusion
824: third protrusion
830: connecting rod
840: axis of rotation
900: light emitting unit
900: mood light unit
910: rotating part
911: axis of rotation
912: rotary plate
913: bearing part
914 bottom plate
915: rotation motor
916: worm wheel
917: Worm
920: light source
922: first light guide plate
924: second light guide plate
926: investigation department

Claims (10)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음료용기와;
상기 음료용기의 상부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마개부와;
상기 음료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기 음료용기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용기에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시키는 히팅베드유닛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텀블러.
A receiving space is provided inside, and a beverage container formed with an open top;
a stopper coupled or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closing the receiving space;
a sens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ion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eating bed unit that is coupled or detach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heats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LED tumbl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베드유닛은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음료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히팅베드부와;
상기 헤팅베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공급부의 공급 전력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텀블러.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bed unit
a housing part;
a heating bed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and transferring heat to the beverage container;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bed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LED tumbl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 내부에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이물질을 살균하는 살균부와;
상기 마개부에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살균부를 온오프시키는 제1 온오프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텀블러.
According to claim 1,
a sterilization unit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and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into the beverage container to sterilize foreign substances;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on-off button for turning on and off the sterilization unit
LED tumbl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수용공간에 음료의 수용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살균부가 음료용기 내부를 살균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텀블러.
According to claim 3,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beverag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erilization unit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LED tumbl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의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텀블러.
According to claim 3,
It is installed in the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LED tumbl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에 일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유닛을 온오프시키는 제2 온오프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텀블러.
According to claim 5,
a gripp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gripped by a user;
It is installed on the hold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on-off button for turning on and off the light emitting unit
LED tumbler.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제1 가이드홀과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음료용기의 수용공간에 충진된 음료의 당 농도가 일정한 농도가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음료용기의 내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음료용기의 내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상기 제1 연장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마개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마개부의 회전 중심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부에 체결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홀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호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제2 및 제3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수용공간내 소정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제1 연장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상기 마개부에 인접되도록 상기 제2 연장부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상기 마개부에 멀어되도록 상기 제2 연장부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LED 텀블러.
According to claim 6,
The stopper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hole and a second guide hole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unit that is introduc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rotat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so that the sugar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becomes a constant concentration,
The rotation unit is
a first extension portion passing through the first guide hole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beverage container;
a second extension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econd guide hole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beverage container,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 connecting rod interconnecting upper ends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at an upper part of the stopper;
A first rotational shaft fastened to the stopper so that the connecting rod can rotate at a rotational center of the stopper,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are formed to extend along an arc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The first extension is formed with a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extension is formed with second and third protrusions,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rst extension so as to protrude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second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second extension so as to be closer to the stopper than the first protrusion,
The third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farther from the stopper than the first protrusion part.
LED tumbl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음료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용기의 수용공간의 영역별 당 농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농도측정부와;
상기 농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영역별 당 농도가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신호음을 울리는 알림신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텀블러.
According to claim 7,
The rotation unit is
A plurality of concentration measuring units install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measuring the sugar concentration for each region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tification signal unit for sound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user when the sugar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matches.
LED tumbl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측정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되는 음료용기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 내부의 중간영역의 당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와;
상기 제2 돌출부와 대향되는 음료용기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 내부의 상측영역의 당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와;
상기 제3 돌출부와 대향되는 음료용기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 내부의 하측영역의 당 농도를 측정하는 제3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텀블러.
According to claim 8,
Th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A first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facing the first protrusion to measure the sugar concentration of the middle region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 second measurement unit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facing the second protrusion to measure the sugar concentration of an upper region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It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opposite to the third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sugar concentration of the lower region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LED tumbler.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음료용기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하는 무드등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드등유닛은 회전부와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기어가 형성된 웜휠과;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웜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도광판과;
상기 제1 도광판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다수의 제2 도광판과;
상기 제1 도광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광판으로 서로 상이한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도광판은 표면에 소정형상의 무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텀블러.
According to claim 6,
The light emitting unit is installed out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further includes a mood light unit providing an aesthetic sense to the user,
The mood light unit includes a rotating part and a light emitting part,
the rotating part
a second rotation shaft;
a rotating plate installed on the second rotating shaft;
a bearing part installed under the rotating plate;
a bottom plate installed under the bearing part;
a rotational motor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generating rotational force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a worm wheel having a plurality of gear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It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motor and includes a worm meshed with the worm wheel,
the light emitting part
a first light guide plate installed above the rotating plate;
a plurality of second light guide plates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an edg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An irradiation unit installed at an edg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and irradia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to the first light guide plate,
The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plates are characterized in that a pattern of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on the surface
LED tumbler.
KR1020220021414A 2022-02-18 2022-02-18 LED tumbler KR202301242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414A KR20230124292A (en) 2022-02-18 2022-02-18 LED tumb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414A KR20230124292A (en) 2022-02-18 2022-02-18 LED tumb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292A true KR20230124292A (en) 2023-08-25

Family

ID=8784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414A KR20230124292A (en) 2022-02-18 2022-02-18 LED tumb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429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83B1 (en) 2020-01-03 2020-05-29 (주)피앤씨 Portable port tumb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83B1 (en) 2020-01-03 2020-05-29 (주)피앤씨 Portable port tumb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91083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heating a liquid
US8519356B2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the inside of a container
KR20230124292A (en) LED tumbler
CA2867788A1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KR20180089408A (en)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drink beverages from a container
JP2017170341A (en) Water supply device
WO2012061968A1 (en) Beverage containing apparatus
KR101853438B1 (en) tumbler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CN205671930U (en) Water boiling device
KR101944184B1 (en) Comb sterilizer serving as mood lamp
KR200490106Y1 (en) Heating apparatus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WO2019180709A1 (en) Device for aerating a beverage in a carafe with vortex circulation
KR101570936B1 (en) Safety kettle
CN201350229Y (en) Portable ultraviolet light sterilizing device
CN215191404U (en) Tongue depressor connecting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
KR20240006242A (en) Water bottle having electronically openable cork
KR100390606B1 (en) Apparatus for contralling cooking time of cooking pot
KR20180068689A (en) Electric pot with feeding bottle disinfection function
KR20200008491A (en) Humidifier with tumbler
ZA200808417B (en) A sauna-like apparatus and method
CN218924738U (en) Water bath kettle
KR200295016Y1 (en) A sauna machine medicine
TW201915417A (en) Drying and sanitiz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liquid supplying status of the liquid accommodating unit can be controlled through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ver member
KR102421152B1 (en) Sterilization tumbler
TWM357978U (en) Portable ultraviolet ster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