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188A -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188A
KR20230124188A KR1020220021180A KR20220021180A KR20230124188A KR 20230124188 A KR20230124188 A KR 20230124188A KR 1020220021180 A KR1020220021180 A KR 1020220021180A KR 20220021180 A KR20220021180 A KR 20220021180A KR 20230124188 A KR20230124188 A KR 20230124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virtual
user
virtual charact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상
Original Assignee
송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상 filed Critical 송유상
Priority to KR1020220021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188A/ko
Publication of KR20230124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1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06T17/205Re-mes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웹툰 캐릭터를 가상 캐릭터로 생성하고, 가상 캐릭터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션과 음성을 모델링하여 플랫폼 컨텐츠에 활용할 수 있는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ONTENTS USING VIRTUAL CHARACTER}
본 발명은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웹툰 캐릭터를 가상 캐릭터로 생성하고, 가상 캐릭터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션과 음성을 모델링하여 플랫폼 컨텐츠에 활용할 수 있는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및 전자기기의 발전 특히 SNS의 발전 및 일상화에 따라 그 내용을 이루는 컨텐츠의 시나리오가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최근 가상의 유튜버, 즉 버추얼(Virtual) 유튜버가 등장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버추얼 유튜버의 유형은 크게 두가지이다. 하나는 버추얼 캐릭터로서 3D 그래픽 등으로 완전히 새롭게 창조된 가상의 3D 컴퓨터 캐릭터이고, 두번째는 버추얼 휴먼(가상 인간), 즉 딥페이크 기술(AI 기술 기반의 인간 이미지 합성 기술)의 하나로 가상의 얼굴을 생성해 만들어진 가상 인간이다.
이러한 버추얼 유튜버, AI 아이돌의 인기에는 메타버스 열풍이 큰 역할을 했다. 메타버스는 가상 세계지만 현실과 상호 작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메타버스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가상의 캐릭터는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업계뿐만 아니라 이제는 광고, 영화, 음악, 교육 업계 등에서 빼놓을 수 없는 수단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가상 캐릭터에 대해서 대중은 이질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에 가상 캐릭터에 대한 수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인간의 실제 형상이 아닌 버추얼 캐릭터가 대중적 파급력을 갖기는 쉽지 않다. 여전히 사람들은 실제 인간 연예인과 교감을 더 보편적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질은 캐릭터에 생명력을 불어 넣는 스토리텔링을 얼마나 잘하느냐에 달려있을 것이다.
새로운 팬덤을 형성하고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그 캐릭터만이 가진 고유한 매력과 개성이 있어야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679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토리텔링을 갖고 있는 친숙한 웹툰의 캐릭터를 가상 캐릭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캐릭터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션과 음성을 모델링하여 플랫폼 컨텐츠에 활용할 수 있는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웹툰의 캐릭터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캐릭터를 3D 모델링하여 가상 캐릭터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캐릭터를 활용할 플랫폼 컨텐츠의 가상환경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컨텐츠의 가상환경 상에서 상기 가상 캐릭터를 포함한 영상 컨텐츠를 제작 및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은 스토리텔링을 갖고 있는 친숙한 웹툰의 캐릭터를 가상 캐릭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캐릭터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션과 음성을 모델링하여 플랫폼 컨텐츠에 활용하기 때문에 대중에게 캐릭터 수용도를 높이고 이질감없이 캐릭터를 구현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3D 캐릭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웹툰의 2D 캐릭터 이미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툰의 가상 캐릭터를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 카테고리 분야를 분류한 일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가상 캐릭터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유튜브 채널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가상 캐릭터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라이브 커머스 방송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가상 캐릭터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시청자와 소통이 가능한 소통 컨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가상 캐릭터를 기반으로 개최되는 웹툰 콘서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가상 캐릭터를 기반으로 보건복지부와 웹툰 작가가 협업하여 생성된 공익 캠페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가상 캐릭터를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다양한 플랫폼 컨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컨텐츠 제작 장치(200) 및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업자가 소유한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사업자는 상품 판매자, 영상 제작자, 광고주, 연예인 기획사, 업체 관계자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업자는 본 발명의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통하여 가상 캐릭터를 통한 마케팅 및 홍보활동을 하고자 하는 이들이라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웹툰의 캐릭터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210), 상기 선택된 캐릭터를 3D 모델링하여 가상 캐릭터로 생성하는 가상 캐릭터 생성부(220), 상기 가상 캐릭터를 활용할 플랫폼 컨텐츠의 가상환경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플랫폼 컨텐츠 결정부(230) 및 상기 플랫폼 컨텐츠의 가상환경 상에서 상기 가상 캐릭터를 포함한 영상 컨텐츠를 제작 및 재생하거나 실시간 라이브 스트리밍을 구현하는 영상 컨텐츠 생성부(24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2D 캐릭터 이미지 또는 사진 이미지를 포함하는 웹툰 속 캐릭터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웹툰뿐만 아니라, 웹소설, 게임, 완구 캐릭터, 브랜드 마스코트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때, 2D 캐릭터 이미지 또는 사진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이미지일 수도 있고, 컨텐츠 제작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100)에 다양한 웹툰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 중에 어느 하나의 웹툰을 선택하도록 제공된 이미지일 수도 있다. 웹툰의 2D 캐릭터 이미지의 다양한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가상 캐릭터 생성부(220)는 상기 캐릭터를 3D 모델링하여 가상 캐릭터로 생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영상 속의 실제 얼굴에 복수의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포인트에서 발생하는 변화에 기초하여 표정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표정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캐릭터의 얼굴 표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얼굴에서 설정된 포인트는 눈썹, 눈꼬리, 눈동자, 입꼬리, 입술, 광대, 볼, 턱, 및 치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캐릭터 생성부(220)는 상기 사용자 영상 속의 사용자의 소정의 관절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관절 위치들을 상기 가상 캐릭터에 대응하는 각 관절 위치들과 매핑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 영상 속 사용자 이미지에 복수의 다각형으로 분할된 메쉬를 적용하여 상기 메쉬의 변형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가 상기 메쉬에 매핑되도록 모델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관절들과 매핑된 가상 캐릭터 관절 정보들과, 메쉬에 관한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될 수 있다.
가상 캐릭터 생성부(220)는 현실 사용자의 모션이나 표정을 추적하기 위한 트랙커를 채용할 수 있다. 트랙커는 특징점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모션이나 표정을 추적할 수 있다. 도 4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생성된 3D 캐릭터의 일 예를 도시한다.
플랫폼 컨텐츠 결정부(2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온라인 쇼핑몰의 라이브 커머스 방송, 웹툰 캐릭터의 팬미팅 방송, 상품 홍보 영상, 교육 방송, OST를 활용한 콘서트 방송, 공익 캠페인 영상, 각종 채널 영상, 2D 애니메이션, 캐릭터간 협업 영상, 지역 축제 영상, 특산물 홍보 영상 및 실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컨텐츠 분야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가 가상 캐릭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제작 장치(200)는 컨텐츠 주제에 관련된 분야를 제공하기 위해서 웹툰의 가상 캐릭터를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 카테고리 분야를 먼저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작 장치(200)는 컨텐츠 카테고리로서 패션, 뷰티, 교육 및 여행에 관련된 컨텐츠 카테고리를 사용자 단말(100)에 디스플레이하고,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작 장치(200)는 컨텐츠 카테고리로서 생필품, 음식, 책, 신발에 관련된 컨텐츠 카테고리를 사용자 단말(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도 7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작 장치(200)는 컨텐츠 카테고리로서 건강, 상담, 결혼 및 다이어트를 사용자 단말(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도 8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작 장치(200)는 컨텐츠 카테고리로서 음악, 스포츠, 요리, 펫에 관련된 컨텐츠 카테고리를 사용자 단말(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전술한 컨텐츠 카테고리 분야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분야를 선택할 수 있고, 다음으로 선택된 컨텐츠 분야에서 가상 캐릭터를 어떠한 영상에 활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온라인 쇼핑몰의 라이브 커머스 방송, 웹툰 캐릭터의 팬미팅 방송, 상품 홍보 영상, 교육 방송, OST를 활용한 콘서트 방송, 공익 캠페인 영상, 각종 채널 영상, 2D 애니메이션, 캐릭터간 협업 영상, 지역 축제 영상, 특산물 홍보 영상 및 실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중 적어도 하나에 가상 캐릭터를 등장 인물로서 활동하도록 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영상 컨텐츠 생성부(240)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3D 모델링 정보, 가상환경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실시간 모션 및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의 모션과 발화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자신의 모션과 음성을 입력하면, 영상 컨텐츠 생성부(240)는 미리 가상 캐릭터 생성부(220)를 통해 저장했던 사용자 관절들과 매핑된 가상 캐릭터 관절 정보들과, 메쉬에 관한 정보들,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모션 및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캐릭터의 모션과 발화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출력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시스템에 의하면, 스토리텔링을 갖고 있는 친숙한 웹툰의 캐릭터를 가상 캐릭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캐릭터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션과 음성을 모델링하여 플랫폼 컨텐츠에 활용하기 때문에 대중에게 캐릭터 수용도를 높이고 이질감없이 캐릭터를 구현해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은 컨텐츠 제작 장치(200)가 사용자로부터 웹툰의 캐릭터 선택을 입력받는다(S110). 일 실시예로 2D 캐릭터 이미지 또는 사진 이미지를 포함하는 웹툰 속 캐릭터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2D 캐릭터 이미지 또는 사진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이미지일 수도 있고, 컨텐츠 제작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 다양한 웹툰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 중에 어느 하나의 웹툰을 선택하도록 제공된 이미지일 수도 있다. 웹툰의 2D 캐릭터 이미지의 다양한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캐릭터를 3D 모델링하여 가상 캐릭터로 생성한다(S120).
구체적으로,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S120)는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영상 속의 실제 얼굴에 복수의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포인트에 기초하여 표정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표정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캐릭터의 얼굴 표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영상 속의 사용자의 소정의 관절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관절 위치들을 상기 가상 캐릭터의 관절 위치들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영상 속 사용자 이미지에 복수의 다각형으로 분할된 메쉬를 적용하여 상기 메쉬의 변형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가 상기 메쉬에 매핑되도록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얼굴에서 설정된 포인트는 눈썹, 눈꼬리, 눈동자, 입꼬리, 입술, 광대, 볼, 턱, 및 치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현실 사용자의 모션이나 표정을 추적하기 위한 트랙커를 채용할 수 있다. 트랙커는 특징점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모션이나 표정을 추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상 캐릭터를 활용할 플랫폼 컨텐츠의 가상환경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S130).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온라인 쇼핑몰의 라이브 커머스 방송, 웹툰 캐릭터의 팬미팅 방송, 상품 홍보 영상, 교육 방송, OST를 활용한 콘서트 방송, 공익 캠페인 영상 및 각종 채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컨텐츠 분야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가 가상 캐릭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제작 장치는 컨텐츠 주제에 관련된 분야를 제공하기 위해서 웹툰의 가상 캐릭터를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 카테고리 분야를 먼저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전술한 컨텐츠 카테고리 분야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분야를 선택할 수 있고, 다음으로 선택된 컨텐츠 분야에서 가상 캐릭터를 어떠한 영상에 활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온라인 쇼핑몰의 라이브 커머스 방송, 웹툰 캐릭터의 팬미팅 방송, 상품 홍보 영상, 교육 방송, OST를 활용한 콘서트 방송, 공익 캠페인 영상 및 각종 채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가상 캐릭터를 등장 인물로서 활동하도록 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플랫폼 컨텐츠의 가상환경 상에서 상기 가상 캐릭터를 포함한 영상 컨텐츠를 제작 및 재생한다(S140). 일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3D 모델링 정보, 가상환경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실시간 모션 및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의 모션과 발화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자신의 모션과 음성을 입력하면,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했던 사용자 관절들과 매핑된 가상 캐릭터 관절 정보들과, 메쉬에 관한 정보들,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모션 및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캐릭터의 모션과 발화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출력해줄 수 있다.
도 10은 가상 캐릭터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유튜브 채널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11은 가상 캐릭터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라이브 커머스 방송의 일 예를 도시하며, 도 12는 가상 캐릭터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시청자와 소통이 가능한 소통 컨텐츠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13은 가상 캐릭터를 기반으로 개최되는 웹툰 콘서트의 일 예를 도시하며, 도 14는 가상 캐릭터를 기반으로 보건복지부와 웹툰 작가가 협업하여 생성된 공익 캠페인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스토리텔링을 갖고 있는 친숙한 웹툰의 캐릭터를 가상 캐릭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캐릭터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션과 음성을 모델링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플랫폼 컨텐츠에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대중에게 캐릭터 수용도를 높이고 이질감없이 캐릭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로부터 수익을 창출해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5)

  1. 사용자로부터 웹툰의 캐릭터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캐릭터를 3D 모델링하여 가상 캐릭터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캐릭터를 활용할 플랫폼 컨텐츠의 가상환경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컨텐츠의 가상환경 상에서 상기 가상 캐릭터를 포함한 영상 컨텐츠를 제작 및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를 3D 모델링하여 가상 캐릭터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영상 속의 실제 얼굴에 복수의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포인트에 기초하여 표정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표정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캐릭터의 얼굴 표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영상 속의 사용자의 소정의 관절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관절 위치들을 상기 가상 캐릭터의 관절 위치들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영상 속 사용자 이미지에 복수의 다각형으로 분할된 메쉬를 적용하여 상기 메쉬의 변형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가 상기 메쉬에 매핑되도록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컨텐츠의 가상환경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는,
    온라인 쇼핑몰의 라이브 커머스 방송, 웹툰 캐릭터의 팬미팅 방송, 상품 홍보 영상, 교육 방송, OST를 활용한 콘서트 방송, 공익 캠페인 영상 및 각종 채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를 포함한 영상 컨텐츠를 제작 및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3D 모델링 정보, 가상환경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실시간 모션 및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의 모션과 발화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웹툰의 캐릭터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는,
    2D 캐릭터 이미지 또는 사진 이미지를 포함하는 웹툰 속 캐릭터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KR1020220021180A 2022-02-18 2022-02-18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KR202301241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180A KR20230124188A (ko) 2022-02-18 2022-02-18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180A KR20230124188A (ko) 2022-02-18 2022-02-18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188A true KR20230124188A (ko) 2023-08-25

Family

ID=8784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180A KR20230124188A (ko) 2022-02-18 2022-02-18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41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799A (ko) 2004-06-30 2004-11-17 주식회사 연세교육미디어 인터랙티브 출판물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교육 시스템및 그 구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799A (ko) 2004-06-30 2004-11-17 주식회사 연세교육미디어 인터랙티브 출판물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교육 시스템및 그 구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di et al. The Metaverse: A new digital frontier for consumer behavior
Violante et al. How to design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that impacts the consumer engagement: the case of the virtual supermarket
WO2013120851A1 (en) Method for sharing emotions through the creation of three-dimensional avatars and their interaction through a cloud-based platform
Čopič Pucihar et al. ART for art: augmented reality taxonomy for art and cultural heritage
El Filali et al. Augmented reality types and popular use cases
Sookkaew et al. “Digital influencer”: development and coexistence with digital social groups
Harbison Performing image
Visconti et al. Comparing technologies for conveying emotions through realistic avatars in virtual reality‐based metaverse experiences
Helle et al. Miracle Handbook: Guidelines for Mixed Reality Applications for culture and learning experiences
Margaritopoulos et al. The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in print media
Marchuk et al. Mobile application for advertising faculty educational services
Lin et al.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augmented-reality experiential marketing campaigns
KR20230124188A (ko)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Kim et al. A Conceptual Study of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to OOH Advertising: Focused on Extended Reality Technology
Li et al. Construction of Interactive Virtual Reality Simulation Digital Media System Based on Cross‐Media Resources
Min et al. Differences of information management between fashion show video and fashion film: Focusing on cases of chanel
KR20210045659A (ko) 가상 패션 아이템 인터페이스 관리 프로그램
KR20210045851A (ko) 패션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Dörner et al. Social gaming and learning applications: A driving force for the future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KR20210045793A (ko) Ar/vr기반의 인터렉티브 패션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Zhao Data-Driven Storytelling for Casual Users
Wiley From Your Phone To Your Home: An Augmented Reality Brand Experience For High-End Furniture
Kerdvibulvech An innovative use of multidisciplinary applications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ly digital media for connecting people
Hushain et al. The Advantage of Animated Advertisements in Today's Era
Wendt Embodying Balenciaga's' Afterworld': Immersive and Experiential Transmedia Storytelling in the Attention Economy